KR940006341Y1 - 원단자동포장기 - Google Patents

원단자동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341Y1
KR940006341Y1 KR92001695U KR920001695U KR940006341Y1 KR 940006341 Y1 KR940006341 Y1 KR 940006341Y1 KR 92001695 U KR92001695 U KR 92001695U KR 920001695 U KR920001695 U KR 920001695U KR 940006341 Y1 KR940006341 Y1 KR 940006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vinyl
basket
bond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1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089U (ko
Inventor
이정호
서동현
Original Assignee
이정호
서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서동현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92001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341Y1/ko
Publication of KR9300180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0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6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rolled-up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6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 B65B11/18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two or more straight p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단자동포장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키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 : 급송부
3, 27 : 컨 베이어 4, 10, 20, 25, 28, 31, 38, 39 : 실린더
5 : 스토퍼 6, 9, 22, 32 : 센서
7 : 1차접착부 8, 23 : 바스켓
11, 24 : 힌지축 12 : 피딩장치
13 : 와인딩장치 14 : 피딩로울러
15 : 안내로울러 16 : 와인딩로울러
17 : 접착플레이트 18, 29 : 히터
19 : 커터 21 : 푸쉬히팅부
26 : 2차접착부 30 : 리프트
33 : 왕복대 34 : 가이드베어링
35 : 히팅용스틱 36 : 러버스틱
38 : 승강컨베이어
본 고안은 원단의 염색가공, 검사후의 포장과정을 자동으로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한 원단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LC)의 제어에 의해 원단의 폭에 관계없이 자유자재로 포장을 연속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포장후의 폐비닐은 중앙집중식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종래의 원단 포장작업은 작업자가 원단을 일일이 원통형비닐로 포삽하여 좌우단을 접착하는 방법을 고수해옴로서, 작업의 번거로움은 차치하고라도 인력 및 작업시간의 손실등은 실로 엄청난 것이었는 바, 본 고안은 상기 원단의 비닐포장 작업을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LC)의 제어에 의해 원단의 로딩, 비닐의 로딩, 비닐의 원단 감삽, 중앙부위 비닐의 접착, 좌우단부 비닐접착, 후공저응로의 이송이 연속일괄처리될 수 있도록한 것으로서 이하 예시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기체(1) 일측에는 전처리 공정을 종료한후 포장코져 원통형으로 권취된 원단(a)이 기체(1)내로 간헐적으로 급송될 수 있는 급송부(2)가 설치된다.
급송부(2)는 브레이크 모터(미도시)가 장착된 컨베이어(3) 및 실린더(4)의 신축작동에 의해 승강하며 원단(a)을 간헐적으로 급송할 수 있는 스토퍼(5)로 구성된다.
스토퍼(5)의 선측에는 원단(a)의 급송을 감지하여 스토퍼(5)의 실린더(4)를 작동시킬 수 있는 센서(6)가 적정위치에 부착된다.
스토퍼(5)의 후측에는 스토퍼(5)의 승강작동으로 급송된 원단(a)을 1차 접착부(7)로 이송하는 바스켓(8)이 설치된다.
상기 바스켓(8) 역시 원단(a) 감지센서(9)가 부착되어 실린더(10)에 신호를 줄 수 있도록 하여 실린더(10)의 신축작동에 의해 일정각도 힌지축(11)을 기점으로 승강하면서 원단(a)을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차접착부(7)상하에는 포장용 비닐(b)을 급송함과 동시에 잔여 폐비닐(b')을 인취할 수 있는 피딩장치(12)와 와인딩장치(13)가 각기 설치된다. 상기 피딩장치(12)에는 비닐(b)을 피딩키 위한 피딩로울러(14) 및 구동을 위한 브레이크 장착모터(미도시)가 각기 설치되며, 1차 접착부(7)로의 안내를 위한 안내로울러(15)등이 적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와인딩장치(13)에도 폐비닐(b')를 와인딩할 수 있는 와인딩로울러(16)등이 당연히 설치되며, 일정장력으로 일정폭씩 와인딩할 수 있도록 부수적인 장치가 적절히 삽입될 것이다.
1차접착부(7)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시하면; 1차접착부(7)에는 비닐(b)을 접착할 수 있는 접착플레이트(17)가 바스켓(8)후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동 접착플레이트(17)상부에는 전후로 접착용 히터(18)가 부설되고 양히터(18)중간에는 비닐(b)이 원단(a)을 포삽한 후 폐비닐(b')을 커팅할 수 있는 커터(19)가 설치된다.
동 커터(19)는 히터(18)보다는 높게 설치됨이 접착과 동시에 커팅을 행함에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접착플레이트(17)상부에는 실린더(20)의 승강작동에 의해 승강하며 비닐(b)을 접착토록 하는 푸시히팅장치(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원단(a)의 이송을 감지하여 비닐(b)공급 및 텐숀상태를 결정하는 센서(22)가 부착된다.
1차 접착부(7)후측에는 1차접착시 원단(a)이 비닐(b)을 포삽하여 접착작업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또하나의 바스켓(23)이 힌지 축(24)을 기점으로 하부의 실린더(25)의 작동에 의해 적의의 각도로 승강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1차접착이 완료된(즉, 비닐이 원단을 전체포삽하여 비닐의 양단이 접착된 상태)원단(a)은 좌우단부의 비닐을 접착키 위하여 2차접착부(26)로 급송되며, 동 2차접착부(26)는 물론 바스켓(23)후측에 구성되어 있다.
2차접착부(26)의 구성을 살펴보자.
하부에는 1차포장된 원단(a) 이송용 컨베이어(27)가 좌우로 복수개 설치되며(도면상에서는 측면이므로 일측만 도시되어 있음)좌우 컨베이어(27)중도에는 실린더(28)에 의해 승강하며 원단(a)을 포삽하고 있는 비닐(b)좌우를 접착하는 히터(29)가 입설된 리프트(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히터(28)상하로는 원단(a)의 좌우폭 검출을 위한 센서(32)가 설치되어 있으며, 히터(28)상부는 왕복대(33)상에 연결되어 있으며, 동 왕복대(33)이송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가이드베어링(3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왕복대(33)전후로는 좌우로 복수개의 히팅용 스틱(35)과 러버스틱(36)이 실린더(37)에 의해 각운동가능케 설치된다. 양 스틱은 물론 비닐의 양단을 접착가능케 협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2차접착부(26)후측에는 포장된 원단을 후공정으로 이송키 위한 승강컨베이어(38)가 설치되며, 이 역시 실린더(39)에 의해 승강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의 미설명부호(40)은 왕복대 이송용 실린더, (41)는 2차폐비닐수거용 바스켓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원단 포장방법 및 포장되는 순서를 살펴보기로 한다.
콘트롤박스(미도시)상의 전원스위치를 ON하면 PLC회로에 의하여 각종 메모리장치가 작동이 개시되며, 적정의 폭으로 권취된 원단(a)을 기체(1)일측(도면상에는 좌측)의 컨베이어(3)상에 적재하면 컨베이어(3)의 구동으로 원단(a)이 컨베이어(3)후단의 센서(6)에 의해 감지되어 스토퍼(5)상을 경유할시 스토퍼(5)는 실린더(4)의 작동으로 승강하여 차기 포장코져 하는 원단(a)을 컨베이어(3)상에 대기시키게 되며, 스토퍼(5)를 경유한 원단(a)은 바스켓(8)상에 급송케 된다.
원단(a)이 바스켓(8)상에 이송될시에 선측의 센서(9)가 이를 감지하여 실린더(10)가 바스켓(8)을 작동시키게 되고 바스켓(8)상의 원단(a)은 1차접착부(7)상의 또하나의 바스켓(23)으로 이송케되는데, 이때 포장용 비닐(b)은 상부의 피당장치(12)에서 1차접착부(7)상의 접착플레이트(17)를 경유하여 하부의 와인당장치(13)와 연결이동케 되어 있으므로 원단(a)은 자연히 비닐(b)을 밀고서 바스켓(23)에 이송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원단(a)과 비닐(b)은 접착플레이트(17)와 푸쉬히팅부(21)를 경과한 상태에 있으므로(제2도 참조) 푸쉬히팅부(21)가 하강케 되면 비닐(b)이 만곡된 상태에서 중도에 접하는 부위가 상호 접착플레이트(17)상의 전후 히터(18)에 의해 열접착됨과 동시에 양 히터(18) 중도의 커터(19)에 의해 1차접착포장된 원단(a)과 폐비닐(b')은 상호 분리되는 것이며, 포장전의 비닐(b)과 폐비닐(b')은 접착연결된 상태로 계속적으로 하부 와인딩장치로 일정폭씩 와인딩되는 것이다.
1차 로장접착이 완료된 원단(a)은 실린더(25)의 작동으로 바스켓(23)이 상향각운동하여 2차접착부(26)로 원단(a)을 급송케 된다.
2차 접착부(26)의 이송용 컨베이어(27)가 구동되면서 원단(a)이 히터(29)가 설치된 리프트(30)상에 이송되면 컨베이어(27)가 스톱되고 리프트(30)가 하측의 실린더(28)에 의해 상승함과 동시에 센서(32)가 원단(a)의 좌우폭을 검하여 리프트(30)상의 히터(29)를 원단(a)의 좌우단으로 이송케되는데, 물론 이때의 좌우 이송은 왕복대(33)상의 실린더(40)가 작동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원활한 이송을 가이드베어링(34)이 보조케 되는 것이다.
히터(29)가 원단(a)의 좌우단으로 이송되면 왕복대(33)전후의 히팅용 스틱(35) 및 러버스틱(36)이 실린더(37)에 의해 원단(a)의 중심방향으로 각운동하면서 포장용 비닐(b)의 좌우단을 접착키 위해 협지함과 동시에 히터(29)에 열이 가해져 비닐(b)의 좌우단이 접착완료되는 것이며, 이때 폐비닐(b')은 하부의 바스켓(41)으로 자동낙하하여 수거케 된다.
비닐(b)포장이 완료되면 컨베이어(27)가 재차 작동되면서 원단(a)이 승강컨베이어(38)상으로 이동케 되며, 승강컨베이어(38)가 하부의 실린더(39)의 작동으로 상승하여 포장이 완료된 원단(a)을 기체(1)밖으로 인출하여 후공정으로 이송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실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단자동포장기는 원단의 폭에 구해됨 없이 PLC의 제어에 의해 원단 및 포장용 비닐의 로딩, 비닐의 1, 2차접착, 이송등을 자동으로 일괄처리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수작업에서 발생하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에서 보호받고져 하는 기술의 보호범위가 언급될 것이나, 일부 구성을 등가물로 치환하거나 단순히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유사실시 태양 역시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저촉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적의 치수의 원단(a)을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는 원단자동포장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기체(1) 일측에는 원단의 급송을 간헐적으로 행할 수 있는 급송부(2)가 마련되며, 기체(1)내부에는 1차접착부(7)로의 원단이송을 수행하는 바스켓(8) 및 2차접착부(26)로의 원단이송을 담당하는 바스켓(23) 및 포장된 원단을 배출키 위한 승강컨베이어(38)를 가지며, 상기 1차접착부(7)상하에는 포장용 비닐(b)을 피딩 및 와인딩할 수 있는 피딩장치(12)와 와인딩장치(13)를 설치하며; 상기 1차접착부(7)는 원단이 비닐에 포삽된 상태에서 접착을 행할 수 있도록 전후에 히터(18) 및 중도에 커터(19)를 가진 접착플레이트(17) 및 비닐을 압지접착하는 푸쉬히팅부(21)를 가지며; 상기 2차접착부(26)는 원단이송용 컨베이어(27)상간의 승강리프트(30) 및 원단의 좌우폭을 검출하는 센서(32)가 부착된 히터(28)를 구비하며, 상기 히터(28)를 원단폭에 맞추어 좌우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왕복대(33)를 설치하며; 상기 왕복대(33)는 원활한 이동을 위해 가이드베어링(34)이 설치됨과 동시에, 원단의 좌우히팅접착시 비닐을 협지접착할 수 있는 보조수단으로 히팅용스틱(35)과 러버스틱(36)이 실린더(37)에 의해 작동가능케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자동포장기.
KR92001695U 1992-01-31 1992-01-31 원단자동포장기 KR940006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695U KR940006341Y1 (ko) 1992-01-31 1992-01-31 원단자동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695U KR940006341Y1 (ko) 1992-01-31 1992-01-31 원단자동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089U KR930018089U (ko) 1993-08-20
KR940006341Y1 true KR940006341Y1 (ko) 1994-09-17

Family

ID=1932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1695U KR940006341Y1 (ko) 1992-01-31 1992-01-31 원단자동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3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089U (ko) 199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13949A1 (en) Film wrapping machine simultaneously utilizing two film carriage assemblies
US3739547A (en) Shrink-wrapping method and apparatus
JPH0427090B2 (ko)
US58507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ing articles in shrink film
JP3701143B2 (ja) フォイル材接合装置及び方法
US6688082B1 (en) Method for stopping and starting an automatic machine for collectively wrapping products, especially rolls of toilet or kitchen paper
KR920010800B1 (ko) 권취기에서의 스푸울 방출방법 및 장치
KR940006341Y1 (ko) 원단자동포장기
JPH11321830A (ja) ウェブ巻装ロールの包装材除去装置
KR200201124Y1 (ko) 원단포장기의 원단 외부포장장치
JPH07148371A (ja) 布地搬送システム、布地搬送方法及び布地搬送装置
KR100638791B1 (ko) 합지 제조장치
JP2712108B2 (ja) 給紙装置へのロール原反供給方法及び装置
KR0140045Y1 (ko) 비닐 포장지용 프레스 가공 이송 장치
KR100460520B1 (ko) 식품 포장필름용 포장기
KR200397056Y1 (ko) 급지 및 절취수단을 갖는 라미네이팅 장치
CN211870523U (zh) 伸缩皮带抛物装盘机
JPH11130014A (ja) 結束機械の上押さえ装置および結束機械
KR200336969Y1 (ko) 합지 제조장치
JP2932971B2 (ja) ストレッチフィルム包装機
JPH06127516A (ja) 積層物搬送装置
JPH0215463B2 (ko)
US2925696A (en) Wrapping machine
JP3228397B2 (ja) 供給装置
JP5365178B2 (ja) ストレッチ包装方法及びストレッチ包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