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938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938B1
KR100737938B1 KR1020050123642A KR20050123642A KR100737938B1 KR 100737938 B1 KR100737938 B1 KR 100737938B1 KR 1020050123642 A KR1020050123642 A KR 1020050123642A KR 20050123642 A KR20050123642 A KR 20050123642A KR 100737938 B1 KR100737938 B1 KR 100737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unit
conveyance
cover body
conveying
conveyanc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9929A (ko
Inventor
도루 오자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2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234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by inverting and refeeding the image receiving material with an image on one face to the recording member to transfer a second image on its second face, e.g. by using a duplex tray; Details of duplex trays or inverters
    • G03G15/235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by inverting and refeeding the image receiving material with an image on one face to the recording member to transfer a second image on its second face, e.g. by using a duplex tray; Details of duplex trays or inverters the image receiving member being preconditioned before transferring the second image, e.g. decurled, or the second image being formed with different operating parameters, e.g. a different fix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4Openable part of feed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38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 recording medium carried by a transport belt
    • G03G2215/014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 recording medium carried by a transport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vertic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03G2221/1675Paper handling jam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에 설치된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와의 사이에 제 1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 벨트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된 커버체, 및 상기 반송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기록 매체를 상기 제 1 반송로로 되돌리는 제 2 반송로를 상기 커버체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반송 벨트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반송로는 상기 커버체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이 일체로 회동해서 개방 가능하고, 상기 제 2 반송로는 상기 제 1 반송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을 회동시킴으로써 개방 가능하다.
반송로, 반송 벨트, 지지축, 커버, 벨트 유닛, 개방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체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체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해제 버튼(해제부)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장치 본체
16 : 피드 롤
22 : 제 1 반송로
26 : 반송 벨트
27, 29 : 장가(張架) 롤러
28Y, 28M, 28C, 28K : 프로세스 카트리지
30 : 감광체 드럼(화상 형성부)
31 : 대전 롤
44, 48 : 배출 롤 쌍
46 : 제 2 반송로
50 : 커버체
51 : 지지축
52 : 반송 벨트 유닛
53 : 지지축
62 : 측판
64 : 지지 부재
66 : 장가 샤프트
68 : 고정부
70 : 손잡이
74 : 해제 버튼
P : 용지(기록 매체)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장치 본체에 설치된 화상 형성부와의 사이에 제 1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 벨트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기록 매체를 반송하고, 반송 벨트를 사이에 끼고 제 1 반송로와 대향하여 설치된 제 2 반송로에 의해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를 제 1 반송로로 되돌려 보내어 양면(兩面)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종래 고안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2003-316107호에는 상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 1 반송로에 걸린 기록 매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아래쪽에 지지점을 갖는 커버체를, 반송 벨트와 일체로 회동(回動)시켜 제 1 반송로를 개방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2003-316107호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제 2 반송로가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제 2 반송로에 기록 매체가 걸린 경우에 걸린 기록 매체를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2003-241466호에는 제 1 반송로를 개방시키는 경우에, 위쪽에 지지점을 갖는 상부 커버를 회동시키고 나서 반송 벨트에 설치된 손잡이를 잡아당김으로써, 반송 벨트 및 아래쪽에 지지점을 갖는 하부 커버를 일체로 회동시켜 제 1 반송로를 개방한다. 제 2 반송로를 개방시키는 경우에는 상부 커버를 회동시키고 나서 하부 커버만을 회동시켜 제 2 반송로를 개방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2003-241466호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반송 벨트에 설치된 손잡이를 잡아당김으로써 반송 벨트 및 하부 커버를 일체적으로 회동시키고 있다. 따라서 반송 벨트의 손잡이를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커버를 개방할 필요가 있고, 제 1 반송로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상부 커버의 회동 동작과, 반송 벨트 및 하부 커버의 회동 동작의 2 액션(action)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개방 빈도가 높은 제 1 반송로로의 액세스가 나쁘고, 조작이 번 잡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반송로를 개방하는 조작성이 양호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에 설치된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와의 사이에 제 1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 벨트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된 커버체, 및 상기 반송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기록 매체를 상기 제 1 반송로로 되돌리는 제 2 반송로를 상기 커버체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반송 벨트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반송로는 상기 커버체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이 일체로 회동해서 개방 가능하고, 상기 제 2 반송로는 상기 제 1 반송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을 회동시킴으로써 개방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서는, 반송 벨트를 구비하는 동시에 기록 매체를 제 1 반송로로 되돌리는 제 2 반송로가 커버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반송 벨트 유닛이 장치 본체 측이 아니라 커버체 측에 축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버체를 회동시킴으로써 반송 벨트 유닛이 일체로 회동해서 제 1 반송로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에 대하여 반송 벨트 유닛을 회동시킴으로써 제 2 반송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체를 회동시키는 원 액션(one action)(1 회 동작)으로 제 1 반송로를 개방할 수 있다.
제 1 반송로는 화상이 형성되는 기록 매체가 반송되므로, 기록 매체를 제 1 반송로로 되돌리기 위한 제 2 반송로보다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기록 매체가 걸릴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본 구성에서는 원 액션으로 제 1 반송로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양호하고, 액세스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제 2 반송로도 반송 벨트 유닛을 회동시킴으로써 개방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양호하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른 실시예의 일례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는 장치 본체(12)를 구비하고, 장치 본체(12)의 하부에는 용지(기록 매체)(P)가 다발 형상으로 적층되어 수납되는 급지 트레이(1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우측이 장치의 전면측, 좌측이 장치의 배면 측에 상당한다.
이 급지 트레이(14)의 선단측(도 1에서 우단 측) 상부에는 용지 P 상면의 선단부와 압접(壓接)하여 급지 트레이(14) 내로부터 용지 P를 꺼내는 피드 롤(1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급지 트레이(14)의 선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완만하게 만곡(灣曲) 되고 장치 전면측(도 1에서 우측)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 반송로(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반송로(22)를 따라 용지 반송 방향의 상류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용지 P를 사이에 끼고(nip) 반송하는 복수(예를 들면 2 개)의 반송 롤 쌍(24),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 P를 정전 흡착하여 반송하는 무단(無端) 형상의 반송 벨트(26)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벨트(26)는 제 1 반송로(22)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제 1 반송로(22)의 한쪽 측 노면(路面)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반송 벨트(26)는 위쪽에 배치된 장가(張架) 롤러(27)와 아래쪽에 배치된 장가 롤러(29)에 걸쳐져 있으며, 장가 롤러(27) 및 장가 롤러(29)의 한쪽이 회전 구동함으로써 반송 벨트(26)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반송 벨트(26)의 반송 방향 상류에는 반송 벨트(26)의 표면 위를 대전시키는 동시에, 반송 벨트(26)에 정전 흡착되는 용지 P를 반송 벨트(26)에 눌러서 맞닿게 하는 대전 롤(31)이 반송 벨트(26)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반송로(22)를 사이에 끼고 반송 벨트(26)와 대향하는 가로 방향에는 옐로(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블랙(black)의 각색(各色)에 대응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제 1 반송로(22)를 따라 장치 본체(12)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종렬 배치되어 있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는 각각 소정 방향(도 1에서 반 시계 회전)으로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화상 형성부)(30)을 구비하고 있다.
감광체 드럼(30) 주위에는 감광체 드럼(30)의 회전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순 서대로, 각각 감광체 드럼(30)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32)과, 감광체 드럼(30)을 노광하여 감광체 드럼(30) 위에 잠상(潛像)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34)와, 감광체 드럼(30) 위에 형성된 잠상에 각색의 토너를 부착시켜 현상하는 현상 롤러(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 벨트(26)의 내주측에는 감광체 드럼(30)에 반송 벨트를 사이에 끼고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감광체 드럼(30) 위에 형성된 토너 상(toner image)을 용지 P에 소정의 전사 위치에서 전사하는 전사 장치(38)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벨트(26)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에는 전사된 토너 상을 용지 P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40), 용지 P를 사이에 끼고 반송하는 반송 롤 쌍(42), 용지 P를 배출 트레이(20)로 배출하는 배출 롤 쌍(4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 P를 반전시키고, 다시 제 1 반송로(22)로 되돌려 보내기 위한 제 2 반송로(46)가, 반송 벨트(26)를 사이에 끼고 제 1 반송로(22)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반송로(46)에는 용지 P를 사이에 끼고 아래쪽으로 반송하는 복수(예를 들면 3 개)의 반송 롤 쌍(48)이 배치되어 있다. 양면에 화상을 형성할 때에는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 P는 배출 롤 쌍(44)에 의해 스위치 백(switch back)되어 제 2 반송로(46)에 인도되고, 복수의 반송 롤 쌍(48)에 의해 아래쪽으로 반송되어 제 1 반송로(22)로 되돌려 보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용지 P의 한쪽 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급지 트레이(14)에서 꺼내진 용지 P는 복수의 반송 롤 쌍(24)에 의해 반송로(22)를 따라서 위쪽으로 반송되어 반송 벨트(26)로 보내진다. 반송 벨트(26)로 보내진 용지 P는 대전 롤(31)에 의해 반송 벨트(26)에 눌려서 맞닿는 동시에, 대전된 반송 벨트(26)에 정전 흡착되고, 위쪽으로 반송되어,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색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사 위치로 순차적으로 보내진다.
소정의 전사 위치로 보내진 용지 P는 감광체 드럼(30) 위에 형성된 각색의 토너 상이 전사 장치(38)에 의해 전사되어 풀 컬러(full-color)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정착 장치(40)로 반송되어, 전사된 토너 상이 정착 장치(40)에 의해 정착되어 배출 롤 쌍(44)에 의해 배출 트레이(20)로 배출된다.
또한, 용지 P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토너 상이 정착 장치(40)에 의해 정착되어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 P는 배출 롤 쌍(44)에 의해 스위치 백(switch back)되고, 반전되어 제 2 반송로(46)로 보내진다. 제 2 반송로(46)로부터 다시 제 1 반송로(22)로 보내지고, 다른 한쪽 면 측에 상기와 동일하게 화상이 형성됨으로써 용지 P의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일련의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제 1 반송로(22), 제 2 반송로(46)를 개방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에는 L자 형상의 커버체(50)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체(50)는 장치 본체(12)의 하부에 지지축(5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 지되고, 장치 본체(12) 측으로부터 장치 외측으로(도 2에서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해서 경도(傾倒)됨으로써, 제 1 반송로(22)를 개방 가능하다.
커버체(50)의 내면 측에는 제 2 반송로(46)의 한쪽 노면(46A)이 형성되는 동시에 반송 롤 쌍(48)의 한쪽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50)의 외면(外面)에는 커버체(50)를 회동시킬 때에 잡는 손잡이(60)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체(50)의 하부에 지지축(5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장치 외측으로부터 장치 본체(12) 측으로(도 2에서 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해서 경도됨으로써, 제 2 반송로(46)를 개방 가능한 반송 벨트 유닛(5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 벨트 유닛(52)의 지지축(53)은 커버체(50)의 지지축(51)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 벨트 유닛(52)의 지지축(53)은 반송 벨트 유닛(52)의 커버체(50) 측의 코너부에 설치되며, 반송 벨트 유닛(52)의 중심(重心)보다 커버체(50) 측의 위치에서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반송 벨트 유닛(52)은 회동 전의 반송 벨트 유닛(52)을 나타내며,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반송 벨트 유닛(52)은 회동해서 경도된 후의 반송 벨트 유닛(52)을 나타낸다.
반송 벨트 유닛(52)은 장치 본체(12) 측(도 2에서 좌측)에 반송 벨트(26)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벨트 유닛(52)의 커버체(50) 측(도 2에서 우측)에 제 2 반송로(46)의 다른 쪽 노면(46B)이 형성되고, 반송 롤 쌍(48)의 다른 쪽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송 롤 쌍(48)의 다른 쪽 및 반송 벨트(26)가 걸쳐지는 장가(張架) 롤 러(27, 29)는 그 축 방향 양단부에 설치된 반송 벨트 유닛(52)의 한 쌍의 측판(62)에 축지지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장가 롤러(27)를 지지하는 장가 샤프트(shaft)(66)가 측판(62)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일단(一端) 측의 측판(62)만 도시되어 있다.
한편, 장치 본체(12) 측에는 제 2 반송로(46)가 개방된 상태에서, 장가 샤프트(66)의 축 방향 양단부와 결합하여 반송 벨트 유닛(52)을 지지하는 ㄷ자 형상의 지지 부재(64)가 설치되어 있다.
장가 샤프트(66)를 지지 부재(64)에 결합시켜 반송 벨트 유닛(52)을 지지시킨 상태에서는, 반송 벨트 유닛(52)의 단부(端部)가 커버체(50)에 맞닿아 버팀목 역할을 하여 커버체(50)가 폐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반송 벨트 유닛(52) 및 커버체(5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장가 샤프트(66)는 고정부(68)에 결합하여 장치 본체(12)에 위치 결정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벨트 유닛(52)의 자유단 측 한 쌍의 측판(62)에는 각각 손잡이(70)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70)에는 반송 벨트 유닛(52)을 커버체(50)에 록킹(locking)하는 돌기(72)(록킹부)가 설치되고, 이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버튼(74)(해제부)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체(50)에 형성된 오목부(록킹부)(76)에 돌기(72)가 결합됨으로써 반송 벨트 유닛(52)이 커버체(50)에 록킹되고, 해제 버튼(74)을 누름으로써 돌기(72)가 들어가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 해제 버튼(74)은 손잡이(7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손잡이(70)를 잡는 파지(把持) 동작시에 해제 버튼(74) 이 눌러지고, 파지 동작과 연동하여 반송 벨트 유닛(52)의 록킹 상태를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 1 반송로(22)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는 커버체(50)를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회동시켜 장치 외측으로 경도시킨다. 이것에 의해, 반송 벨트 유닛(52)이 일체로 회동하고, 제 1 반송로(22)를 개방하여 걸린 용지 P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벨트 유닛(52)을 커버체(50) 측에 축지지함으로써 커버체(50)를 회동시키는 원 액션(one action)(1 회 동작)으로 제 1 반송로(22)를 개방할 수 있다.
제 1 반송로(22)에는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 P가 반송되므로,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 P가 통과하는 제 2 반송로(46)보다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용지 P가 걸릴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원 액션으로 제 1 반송로(22)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양호하고, 액세스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교환이 필요해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커버체(50)를 반송 벨트 유닛(52)과 일체로 회동시킴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가로 방향을 개방시키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각각을 제거하여 교환할 수 있다.
제 2 반송로(46)에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에는 커버체(50)를 반송 벨트 유닛(52)과 일체로 회동시켜 제 1 반송로(22)를 개방한 후, 반송 벨트(52)의 자유 단 측에 있는 손잡이(70)를 잡고, 해제 버튼(74)을 누름으로써 커버체(50)와의 록킹 상태를 해제한다. 해제한 후에, 손잡이(70)를 잡은 채로 커버체(50)에 대하여 반송 벨트 유닛(52)을 장치 외측으로부터 장치 본체(12) 측으로 회동시켜 지지 부재(64)에 반송 벨트(26)의 장가 샤프트(66)를 결합시킨다.
커버체(50)와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동작은 손잡이(70)를 잡는 파지 동작과 연동하므로, 손잡이(70)를 시프트(shift)할 필요가 없어 조작성이 양호하다. 또한, 손잡이(70)는 반송 벨트 유닛(52)의 자유단 측에 있으므로 잡기 용이하고, 조작성이 양호하다.
또한, 반송 벨트 유닛(52)의 지지축(53)은 반송 벨트 유닛(52)의 커버체(50) 측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송 벨트 유닛(52)은 자중(自重)에 의해 지지 부재(64)로 경도되고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된다. 그 때문에, 손으로 반송 벨트 유닛(52)을 지지하지 않고도 제 2 반송로(46)에 걸린 용지 P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장가 샤프트(66)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장가 샤프트(66)가 버팀목 역할을 하여 커버체(50)를 폐쇄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잘못하여 제 2 반송로(46)가 개방된 상태(반송 벨트 유닛(52)이 커버체(50)에 록킹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동되는 일이 없고, 장치 내부의 구성 부품이 파손되는 일이 없다.
또한, 장가 샤프트(66)는 가동시에는 고정부(68)에 결합하므로, 피지지부를 복수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 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버체(50)는 장치 본체(12)의 하부에 축지지된 지지축(51)을 중심으로 회동해서 경도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커버체는 이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 본체의 측부에 축지지되어 가로 방향으로 회동하고, 가로 개방의 커버체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지지 부재를 폭 방향 일단부의 상하에 한 쌍 설치하고, 측판(62)의 한쪽에 지지 부재에 결합되는 피지지부(예를 들면 샤프트(shaft))를 설치함으로써, 반송 벨트 유닛(52)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장가 샤프트(66)를 고정부(68) 및 지지 부재(64)에 결합시키고 있지만, 고정부 및 지지 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피지지부를 복수 설치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상이 형성되는 대상인 기록 매체가 용지일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기록 매체는 용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라스틱 필름이나 금속 판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 등 공업적으로 이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 전반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에 설치된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와의 사이에 제 1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 벨트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된 커버체, 및 상기 반송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기록 매체를 상기 제 1 반송로로 되돌리는 제 2 반송로를 상기 커버체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반송 벨트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반송로는 상기 커버체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이 일체로 회동해서 개방 가능하고, 상기 제 2 반송로는 상기 제 1 반송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을 회동시킴으로써 개방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실현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반송로를 개방한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의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반송로를 개방한 반송 벨트 유닛을 지지 부재로 지지할 수 있고, 걸린 기록 매체의 제거를 양손으로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의 지지축은 상기 커버체의 지지축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의 지지축은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의 상기 커버체 측의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은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피지지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커버체에 맞닿아 상기 커버체의 회동을 저지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을 가동시에 위치 결정 고정하는 고정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은 상기 반송 벨트를 장가 반송하는 장가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장가 롤러를 지지하는 장가 샤프트일 수도 있다.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을 회동시킬 때에 잡는 손잡이가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의 자유단 측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은 상기 커버체에 록킹하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의 록 킹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해제부의 해제 동작은 상기 손잡이를 잡는 파지 동작과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커버체는 상기 장치 본체의 하부에 축지지되고, 장치 외측으로 향하여 회동해서 경도(傾倒)됨으로써 상기 제 1 반송로를 개방하며,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은 상기 커버체의 하부에 축지지되고, 장치 외측으로부터 장치 본체 측으로 향하여 회동해서 경도됨으로써 상기 제 2 반송로를 개방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 구성과 같은 구성에 의해 반송로를 개방하는 조작성이 양호하다.

Claims (10)

  1.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에 설치된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와의 사이에 제 1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 벨트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되고, 제 1 록킹부가 형성된 커버체, 및
    상기 반송 벨트 및 상기 제 1 록킹부에 록킹 및 해제 가능한 제 2 록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제 1 반송로로 되돌리는 제 2 반송로를 상기 커버체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반송 벨트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반송로는 상기 커버체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이 일체로 회동해서 개방 가능하고,
    상기 제 2 반송로는 상기 제 1 반송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2 록킹부에 의한 록킹 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을 회동시킴으로써 개방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반송로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의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의 지지축은 상기 커버체의 지지축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의 지지축은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의 상기 커버체 측의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은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피지지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일단부(一端部)가 상기 커버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커버체의 회동을 저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을 가동시에 위치 결정 고정하는 고정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반송 벨트 유닛은 반송 벨트를 장가 반송하는 장가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장가 롤러를 지지하는 장가 샤프트(shaf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을 회동시킬 때에 잡는 손잡이가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의 자유단 측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록킹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구비하며,
    상기 해제부의 해제 동작은 상기 손잡이를 잡는 파지 동작과 연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장치 본체의 하부에 축지지되고, 장치 외측으로 향하여 회동해서 경도(傾倒)됨으로써 상기 제 1 반송로를 개방하며,
    상기 반송 벨트 유닛은 상기 커버체의 하부에 축지지되고, 장치 외측으로부터 장치 본체 측으로 향하여 회동해서 경도됨으로써 상기 제 2 반송로를 개방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123642A 2005-06-13 2005-12-15 화상 형성 장치 KR100737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72525A JP4577105B2 (ja) 2005-06-13 2005-06-13 画像形成装置
JPJP-P-2005-00172525 2005-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929A KR20060129929A (ko) 2006-12-18
KR100737938B1 true KR100737938B1 (ko) 2007-07-13

Family

ID=3751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642A KR100737938B1 (ko) 2005-06-13 2005-12-15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80533A1 (ko)
JP (1) JP4577105B2 (ko)
KR (1) KR100737938B1 (ko)
CN (1) CN10049856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0506B2 (ja) * 2005-08-11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87133B2 (ja) * 2006-12-21 2012-02-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134347B2 (ja) * 2007-12-04 2013-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08244B2 (ja) * 2008-01-31 2010-07-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JP5292867B2 (ja) * 2008-03-14 2013-09-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35766B2 (ja) * 2008-06-19 2012-05-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620183B2 (en) * 2008-10-16 2013-12-3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11728B2 (ja) * 2008-10-29 2012-04-04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5150522B2 (ja) * 2009-01-22 2013-02-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013305A (ja) * 2009-06-30 2011-01-2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482237B2 (ja) * 2010-01-28 2014-05-07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ターロック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083179B2 (ja) 2012-10-01 2017-02-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180266B2 (ja) * 2013-09-30 2017-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70788B2 (ja) 2015-08-06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60005B2 (ja) * 2016-02-18 2019-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1121553A (ja) * 2020-01-31 2021-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1466A (ja) * 2002-02-20 2003-08-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3316107A (ja) * 2001-09-07 2003-11-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搬送ユニット、中間転写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1383A (en) * 1970-01-22 1972-05-09 Pitney Bowes Inc Document handling apparatus for photocopy machines
JPH0425709Y2 (ko) * 1985-08-19 1992-06-19
JPH01172848A (ja) * 1987-12-26 1989-07-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着脱機構
JP2774735B2 (ja) * 1992-05-27 1998-07-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685539A (en) * 1995-07-05 1997-11-11 Pitney Bowes Inc. Disk transport for paper sheets
US5954329A (en) * 1997-01-17 1999-09-21 Mita Industrial Co., Ltd. Document feeder having an improved separator mechanism
US6145828A (en) * 1997-11-28 2000-11-14 Mita Industrial Co., Ltd. Sheet conveyor single-handed parting engagement mechanism
JPH11231595A (ja) * 1998-02-17 1999-08-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668052B2 (ja) * 1999-06-21 2005-07-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1027847A (ja) * 1999-07-14 2001-01-30 Sharp Corp 現像装置
JP3748777B2 (ja) * 2001-02-01 2006-02-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385058B1 (ko) * 2001-02-19 200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JP2002304032A (ja) * 2001-04-09 2002-10-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799011B2 (en) * 2001-11-05 2004-09-28 Seiko Epson Corporation Tandem-type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EP1316856A3 (en) * 2001-11-30 2003-09-17 Ricoh Company, Ltd. Vertical path sheet jam recovery image forming apparatus
CN1268987C (zh) * 2002-07-26 2006-08-0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包括转印带的图像形成装置
JP3870919B2 (ja) * 2003-03-20 2007-0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222035A (ja) * 2004-01-09 2005-08-18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162182B2 (en) * 2004-03-19 2007-01-09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door assembly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6107A (ja) * 2001-09-07 2003-11-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搬送ユニット、中間転写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3241466A (ja) * 2002-02-20 2003-08-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1095A (zh) 2006-12-20
JP2006349754A (ja) 2006-12-28
JP4577105B2 (ja) 2010-11-10
KR20060129929A (ko) 2006-12-18
US20060280533A1 (en) 2006-12-14
CN100498565C (zh)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938B1 (ko) 화상 형성 장치
JP5134347B2 (ja) 画像形成装置
JP4974290B2 (ja) 画像形成装置
JP4577116B2 (ja) 画像形成装置
JP5889359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80118291A1 (en) Tandem type color image forming machine
JP7358087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6009900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344599B2 (ja) 画像形成装置
US91346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02899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189281B2 (ja) 画像形成装置
JP5387954B2 (ja) 像形成構造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060077A (ja)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38039B2 (ja) 画像形成装置
JP5305253B2 (ja) 画像形成装置
JP5148008B2 (ja) 画像形成装置
JP464574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5680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037914A5 (ko)
JP2006153973A (ja) 画像形成装置
JP5062493B2 (ja) 画像形成装置
JP469209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292867B2 (ja) 画像形成装置
JP4998343B2 (ja) 開閉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