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298B1 - 핵 자기 공명 진단용 혈액 저류제 - Google Patents

핵 자기 공명 진단용 혈액 저류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298B1
KR100736298B1 KR1020017007945A KR20017007945A KR100736298B1 KR 100736298 B1 KR100736298 B1 KR 100736298B1 KR 1020017007945 A KR1020017007945 A KR 1020017007945A KR 20017007945 A KR20017007945 A KR 20017007945A KR 100736298 B1 KR100736298 B1 KR 100736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bis
acid
carboxymethyl
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9889A (ko
Inventor
피어 루시오 아넬리
마리노 브로쉐타
크리스토프 드하엔
오르넬라 가조티
루치아노 라투아다
지오반나 룩스
기우세페 만프레디
피에르프란체스코 모로시니
다니엘라 팔라노
미셸 세르레티
풀비오 우게리
마시모 비지갈리
Original Assignee
브라코 이미징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코 이미징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브라코 이미징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1009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 A61K49/10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 A61K49/085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conjugated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04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medical, immunological, body treatment, or diagnosis
    • Y10S977/927Diagnostic contrast agent
    • Y10S977/928X-ray ag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04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medical, immunological, body treatment, or diagnosis
    • Y10S977/927Diagnostic contrast agent
    • Y10S977/929Ultrasound contrast ag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04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medical, immunological, body treatment, or diagnosis
    • Y10S977/927Diagnostic contrast agent
    • Y10S977/93MRI contrast ag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e(2+), Fe(3+), Cu(2+), Cr(3+), Gd(3+), Eu(3+), Dy(3+), Yb(3+) 또는 Mn(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상자성 2 내지 3가 금속 이온과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착물, 및 1차, 2차, 3차 아민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된 생리학상 상용성이 있는 유기 염기 또는 양이온이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무기 염기와의 상기 착물의 염의, 핵 자기 공명을 사용하여 사람과 동물의 신체의 혈액계를 영상화시키기 위한 진단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 화학식 I의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진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X-L-Y
식 중, X는 EDTA, DTPA, DOTA, DO3A, BOP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아미노폴리카르복실 리간드 및 그의 유도체의 잔기이고,
Y는 콜산, 케노데옥시콜산, 데옥시콜산, 우르소데옥시콜산, 리토콜산의 잔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담즙산의 유도체 그 자체, 및 반응기로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위치에서 관능화된 것 모두이고,
L은 X의 임의 위치 및 Y의 C-3, C-7, C-12 위치에 연결된 사슬이다.
핵 자기 공명, 혈액 저류제, 진단 조성물, 조영제, 가돌리늄 착물.

Description

핵 자기 공명 진단용 혈액 저류제 {Blood Pool Agents for Nuclear Magnetic Resonance Diagnostics}
본 발명은 자기 공명 영상(M.R.I.)으로 알려진 진단 기술에서 조영제로서, 특히 혈액 저류제로서의 킬레이트 활성을 갖는 분자와 담즙산의 짝염기의 금속 이온 착물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킬레이트제 및 적절한 금속으로 형성된 착물은 X-선 영상, 핵 자기 공명 영상 (M.R.I.) 및 섬광조영술의 진단 기술에서 이미 조영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임상 시술에서 강력한 진단 기술로 알려진 자기 공명 영상 (M.R.I.)을 사용하는 의료 진단은 주로,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노폴리카르복실 리간드 및(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유사체와 2 내지 3가 상자성 금속 이온의 킬레이트된 착물을 함유한 상자성 제약 조성물을 사용한다 (Stark, D. D., Bradley, W. G., Jr., Eds.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C. V. Mosby Company, St. Louis, Missouri (USA), 1988).
기본적으로 수분의 양성자의 NMR 신호로부터 유도된 영상은 양성자 밀도, 및 T1 및 T2 이완 시간과 같은 다른 매개변수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대조의 증가는 수분의 양성자 근처의 공명 특성을 상당히 변화시키는 외인성 화학 물 질의 투여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문헌 [Lauffer, R.B. Chem. Rev. 1987, 87, 901] 참조).
N.M.R. 영상에 사용되는 상자성 조영제는 조직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성자의 이완 시간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데, 상기 조영제는 농축되어 있으며, 따라서 다른 조직들 간의, 또는 건강한 조직과 질환 조직 사이의 대조를 증가시킬 수 있다.
가돌리늄 상자성 착물은 쌍극성 상호작용을 통해 수 분자 근처의 양성자의 이완 시간을 감소시키는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연구, 출판 및 특허의 대상이었다.
이들 중 일부는 M.R.I. 조영제로서 임상적 용도로 제시된다 : Gd-DTPA, 디에틸렌트리아미노펜타아세트산과의 가돌리늄 착물의 N-메틸글루카민 염, 마그네비스트(MAGNEVIST, 등록상표); Gd-DOTA, 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10-테트라아세트산과의 가돌리늄 착물의 N-메틸글루카민 염, 도타렘(DOTAREM, 등록상표); Gd-HPDO3A, [10-(2-히드록시프로필)-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간-1,4,7-트리아세트산과의 가돌리늄 착물, 프로한스(PROHANCE, 등록상표); Gd-DTPA-BMA, 디에틸렌트리아미노펜타아세트산 비스(메틸아미드)와의 가돌리늄 착물, 옴니스칸(OMNISCAN, 등록상표).
상기에 나열하고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조영제는 일반적인 용도로 의도된 것이다. 사실, 투여 후, 상기 M.R.I. 조영제는 배출되기 전에 혈액 내에, 또한 신체의 여러 부위의 세포외 부분에 확산된다. 따라서, 이들은 이런 점에서 X-선 의 료 진단에 사용되는 요오드화 화합물과 유사하다.
현재, 의료 전문직에는 이미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제품을 사용해서는 잘 확인할 수 없는 특정 기관을 목적하거나 혈액계의 영상화를 위한 조영제가 필요하다. 후자의 것을 얻기 위한 제1 접근법은 조영제를 단백질과 같은 거대분자에 공유 결합시키거나, 리포좀과 같은 안정한 분자 응집괴 내에 인글로베이팅(inglobating)시키거나, 또는 소위 초상자성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디에틸렌트리아미노펜타아세트산과 가돌리늄의 착물(Gd-DTPA)은 혈액으로부터 세포외 유체로의 확산을 최소화시키거나 억제하기 위하여 사람 알부민(HSA), 폴리라이신 또는 덱스트란과 결합하여 (Okasendal A. N. et al., J. Magn. Reson. Imaging, 157, 1993; Rocklage S. M., "Contrast Agents, Magn. Res. Imaging, Mosby Year Book, 372-437, 1992), 혈액계에서 약물의 체류 시간을 높인다. 이러한 접근법은 원하는 효과를 얻기는 하지만, 약물 그 자체가 배출되기 어렵기 때문에 불쾌한 부작용으로 고통스럽다.
다른 전략은 내피 세망에 의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의한 간의 흡수를 감소시켜 (Tilcock C., Biochim. Biophys. Acta, 77, 1993; Bogdanoy A. A. et al., Radiology, 701, 1993) 혈액 내에 약물이 오랫 동안 존재하도록 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탄화수소류로 피복된 초상자성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부작용뿐만 아니라 높은 제조 비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독성은 낮고 경제적으로 합당한 가격의 효율적인 혈액 저류제가 여 전히 절실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에서 본 발명자들에 의해 이미 앞서 게재된 것 중, 담즙산과, 상자성의 2 내지 3가 금속의 이온을 킬레이트시킬 수 있는 킬레이트제와의 공액으로 얻어지는 특별히 선택된 화합물의 혈액 저류제로서의 신규한 용도뿐만 아니라 신규 화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 혈액 저류제로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은 간담즙성 계를 가시화시키기 위한 조영제임을 입증하는 양호한 간담즙성 배출을 나타냈다 (문헌 [Anelli P.L. et al., Acta Radiologica, 38, 125, 1997] 참조).
놀랍게도, 상기 화합물의 특정 군은 충분히 장시간 동안 혈관계에 잔류하여 혈관계, 특히 관상의 영상화를 위한 조영제로서의 용도에 가치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효과는 동물 (예, 토끼, 원숭이)에게 생체내 시험을 행하여 분명하게 입증될 수 있다. 혈관계 내 지속성은 사실 조영제를 투여한 후 적절한 시간 간격에서 취한 동물의 혈액 샘플의 양성자 이완값(1/T1)을 플롯팅시키면 즉시 가시화될 수 있다.
Gd(III) 착물은 상자성 종이므로, 높은 1/T1 값은 혈액내 조영제의 농도가 높다는 증거이다.
종래의 세포외 조영제와 혈액 저류제의 차이는 문헌 [Lauffer et al., Radiology, 529, 1998]에 잘 명시되어 있는데, 상기 문헌에는 조영제의 투여후에 경과한 시간의 함수로서 혈액 중의 T1 프로파일이 보고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착물은 예를 들어, 합당한 안전 지수와 상용 가능한 투여량으로 토끼에게 투여했을 때, 혈액 중에서 투여 10 분 후에 5 s-1보다 높은 이완 속도의 변화 (Δ1/T1으로 측정)를 일으킬 수 있으며, 따라서 혈관계의 영상화를 위한 조영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효과는 담즙산의 존재에만 단독으로 관련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착물의 화학 구조에도 의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실, 킬레이트 단위는 담즙산의 3,7 또는 12 위치에서 결합을 통해 스테로이드 구조에 바람직하게 연결되어야 하는 것처럼 보인다.
사실, 킬레이트 단위와 24 위치에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담즙산 사이의 임의의 연결로는 혈관계에서 만족스럽지 않은 지속성을 갖는 착물을 얻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Figure 112001015045123-pct0000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Fe(2+), Fe(3+), Cu(2+), Cr(3+), Gd(3+), Eu(3+), Dy(3+), Yb(3+) 또는 Mn(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상자성 2 내지 3가 금속 이온과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과의 착물을 혈액 저류제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X-L-Y
식 중,
X는 에틸렌디아미노테트라아세트산 (EDTA), 디에틸렌트리아미노펜타아세트산 (DTPA), 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10-테트라아세트산 (DOTA), 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트리아세트산 (DO3A), [10-(2-히드록시프로필)-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트리아세트산 (HPDO3A), 4-카르복시-5,8,11-트리스(카르복시메틸)-1-페닐-2-옥사-5,8,11-트리아자트리데칸-13-산 (BOP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아미노폴리카르복실 리간드 또는 그의 유도체의 잔기이고,
Y는 콜산, 케노데옥시콜산, 데옥시콜산, 우르소데옥시콜산, 리토콜산의 잔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담즙산의 유도체 그 자체, 및 최종 생성물의 입체화학과는 독립적으로 반응성 기로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위치에서 관능화된 것 모두이고,
Figure 112001015045123-pct00002
상기 유도체는 또한 24 위치에서 타우린 및 글리신을 갖는 산 기의 짝염기를 포함하며,
L은 임의로 아미도기로 변형되는 하나의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X의 임의 위치, 및 Y의 C-3, C-7, C-12 위치에 연결된 사슬이고, 하기 화학식 II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01015045123-pct00003
식 중,
m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여기서 1 이상의 값인 경우, A는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고,
A는 하기 화학식 III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01015045123-pct00004
식 중,
n 및 q는 0 또는 1일 수 있되, 동시에 0은 아니고,
p는 0 내지 10일 수 있고,
Z는 산소 원자 또는 -NR기이고, 여기에서, R은 수소 원자, 또는 비치환되거나 -COOH기로 치환된 (C1-C5) 알킬기이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연결 사슬 L이 하기 화학식 IIIa 및 IIIb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Figure 112001015045123-pct00005
Figure 112001015045123-pct00006
또한 Z가 산소 원자이고, 따라서 L이 최종 생성물의 입체 화학과는 독립적으로 3, 7, 12 위치에 존재하는 히드록시기를 통해 형성된 구조도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잔기 X가 EDTA, DTPA, DOTA, DO3A, BOP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이 화학식 IIIa 및 III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Y가 바람직하게는 콜산, 데옥시콜산, 케노데옥시콜산, 리토콜산의 잔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3- 위치에서 아미노기에 의해 L에 연결되어 있고, 24 위치의 산 기가 그 자체이거나 또는 그의 타우린 또는 글리신 유도체로 존재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또한 Y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가 케토기로 전환되어, 다르게 관능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정의된 상자성 금속 이온과의 특히 바람직한 착물은 가돌리늄 또는 망간과의 착물이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학식 I에서 잔기 X가 중심 사슬 상에 치환된 DTPA이고, R1이 수소 원자 또는 -COOH기이고, Y가 콜산, 데옥시콜산, 케노데옥시콜산, 리토콜산 잔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이 화학식 III의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1015045123-pct00007
특히 바람직한 것은 하기 화학식 IVa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1015045123-pct00008
식 중, R1은 -COOH기이고, Y는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L은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화학식 IVa의 군에 속하는 하기의 신규 화합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09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콜란-24-산,
[3β(S),5β,7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7-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11
[3α(S),5β]-3-[2-[[5-[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2-옥소에톡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12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옥소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13
[3β(S),5β,7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7-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14
N2-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N-[(3β,5β,7α,12α)-7,12-디히드록시-24-옥소-24-[(2-술포에틸)아미노]콜란-3-일]-L-글루타민,
Figure 112001015045123-pct00015
N2-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N-[(3β,5β)-24-옥소-24-[(2-술포에틸)아미노]콜란-3-일]-L-글루타민,
Figure 112001015045123-pct00016
[3β(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17
[3β(R),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18
[3β(R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19
[3α(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20
[3β(RS),5β,7α,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21
[3β(S),5β,7α,12α]-3-[[[5-[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 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22
[3α(S),5β]-3-[2-[[5-[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2-옥소에톡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23
가돌리늄과의 착물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에 기재되어 있는, 이 군에 속하는 다른 화합물은 하기와 같다:
[3β(S),5β,7α,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24
[3β(S),5β,7α,12α]-3-[[4-[[5-[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1,4-디옥소부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25
중심 위치에서 치환된 DTPA 유도체인 하기 화학식 IVb의 화합물도 또한 바람직하다.
Figure 112001015045123-pct00026
식 중, Y는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L은 화학식 IIIa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Vb의 군에 속하는 하기의 신규 화합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3β,5β,7α,12α)-3-[[[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27
(3β,5β)-3-[[[[[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 미노]아세틸]아미노]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28
가돌리늄과의 착물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에 기재되어 있는 이 군에 속하는 다른 화합물로는 하기의 것이 있다:
(3β,5β,7α,12α)-3-[[[[[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29
(3β,5β,7α,12α)-3-[[6-[[[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1-옥소헥실]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30
화학식 I에서 잔기 X가 DTPA이고, Y가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L이 화학식 IIIa의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도 또한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01015045123-pct00031
가돌리늄과의 착물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에 기재되어 있는 이 군에 속하는 다른 화합물로는 하기의 것이 있다:
(3β,5β,7α,12α)-3-[[N-[N-[2-[[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N-(카르복시메틸)글리실]글리실]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32
18-[[(3β,5β,7α,12α)-23-카르복시-7,12-히드록시-24-노르콜란-3-일]아미노]-3,6,9-트리스(카르복시메틸)-11,18-디옥소-3,6,9,12-테트라아자옥타데칸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33
화학식 I에서 X가 DO3A이고, Y가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한 바 와 같고, L이 화학식 IIIa 및 IIIb의 구조에서 선택되는 하기 화학식 VI의 화합물도 바람직하다.
Figure 112001015045123-pct00034
화학식 VI의 화합물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10-[3-[[(3α,5β,7α,12β)-23-카르복시-7,12-디히드록시-24-노르콜란-3-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트리아세트산이며, 그의 가돌리늄과의 착물은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1015045123-pct00035
유사하게, 화학식 I에서 잔기 X가 EDTA이고, Y가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L이 화학식 III의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VII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망간과 화학식 VII의 화합물과의 착물이다.
Figure 712006003038268-pct00084
화학식 VII의 화합물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하기의 것이다:
[3α(S),5β,12α]-3-[[[[5-[[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12-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37
[3β(S),5β,7α,12α]-3-[[4-[[5-[[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1,4-디옥소부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38
[3α(S),5β]-3-[2-[[5-[[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2-옥소에톡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39
[3β(S),5β,12α]-3-[[4-[[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40
[3β(S),5β]-3-[[4-[[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옥소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41
화학식 I의 화합물은
1) 관능화된 리간드, 즉, 적합한 관능기를 사용하여 담즙산과 안정하게 결합하면서 하나의 상자성 금속 이온과 배위할 수 있는 리간드의 합성,
2) 관능화된 담즙산의 합성,
3) 두 개의 상이한 신톤 간의 커플링 반응,
4) 임의 보호기의 분해,
5) 상자성 금속 이온의 착물화
를 포함하는 수렴 합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언급된 특허 출원 제95/32741호에 상세하게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리간드의 제조를 위한 바람직한 방법의 일부는 두 개의 신톤 사이의 아미드 결합의 형성을 포함하는데, 이들 두 개의 신톤 중 하나는 상자성 이온의 킬레이트 계의 전구체 (신톤 A)이고, 다른 하나는 최종 착물에 포함되는 담즙산 잔기의 전구체 (신톤 B)이다.
이하에 기재된 방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법을 제한하려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아미드 결합은
a) 카르복실 관능기를 함유하는 신톤 A를 1차 또는 2차 아미노 관능기를 함유하는 신톤 B와 반응시키는 방법,
b) 1차 또는 2차 아미노 관능기를 함유하는 신톤 A를 카르복실 관능기를 함유하는 신톤 B와 반응시키는 방법, 또는
c) DTPA 이산 무수물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제품)을 1차 또는 2차 아미노 관능기를 함유하는 신톤 B와 반응시키는 방법
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신톤 A 및 B의 일부 목록을 하기 표 1에 나열한다.
Figure 112001015045123-pct00042
물론 사용되는 신톤은 아미드 결합의 형성에 이용되는 조건하에서 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기에서 적절하게 보호된다. 두 신톤 사이의 결합 형성 후에, 원래의 기로 되돌리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탈보호 단계가 후속되어야 한다.
이들 유형의 방법에 별법으로, 하기 반응식 1에 예시한 실험 부분의 실시예 3에 기재된 화합물의 합성의 경우에서와 같이, 킬레이트 하위 단위가 담즙산 유도체에서 시작하여 다단계 반응에 의해 도입될 수 있다.
Figure 112001015045123-pct00043
본 발명은 또한 트랜스아미드화 반응을 이용하여, 출발 피롤리디논의 질소 원자에 인접한 키랄 중심에서의 입체 화학을 유지하고, 2차 아미드를 형성하는 하기 반응식 2로 예시한 신규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1015045123-pct00044
식 중,
R4는 아미노 보호기이고,
R5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10 알킬 또는 아릴이고,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되거나 아릴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 C1-C20 알킬이거나, 상기 기들이 C3-C10 환을 형성한다.
기 R4 및 R5의 조합된 선택은 다양한 조건하에서 분해가 일어나야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R4의 가능한 예는 카르보벤질옥시 (Cbz)기이고, R5의 가능한 예는 메틸기 또는 t-부틸기이다.
본 방법은 일반적으로 글루탐산 γ-아미드를 얻기 위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화합물, 특히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잔기 Y의 3-아미노 유도체를 갖는 글루탐산 γ-아미드의 제조에 매우 유용하고 유리하다. 사실, 글루탐산과 상응하는 아민 사이의 γ-아미도 결합의 형성을 위해 고가의 축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최종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전체적으로 신규한 합성 방법의 응용의 일례로는 [3β(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합성을 들 수 있는데, 그의 종래의 합성법은 실험의 실시예 4에 기재되어 있는 반면, 별법은 실시예 5에 기재되어 있으며, 전체 합성 반응식은 하기 반응식 3으로 나타낸다.
Figure 112001015045123-pct00045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에 이미 기재되어 있는 콜산 유도체, [3β(S),5β,7α,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을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화학식 I의 킬레이트제와의 착물 염을 형성하기에 적절한 금속 이온은 Fe(2+), Fe(3+), Cu(2+), Cr(3+), Gd(3+), Eu(3+) , Dy(3+), Yb(3+) 또는 Mn(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원소의 2가 또는 3가 이온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킬레이트된 착물의 진단적 용도에 있어서, 이들은 조영제, 특히 자기 공명을 이용한 영상 진단 기술에서 혈액 저류제로 사용할 수 있다.
착물의 제조는 물에 용해시키거나 물-알코올 용액에 현탁시킨 상자성 금속의 산화물 또는 적절한 염을 킬레이트제의 수용액 또는 물-알코올 용액에 교반하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온화하게 가열하거나 비점으로 가열하면서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첨가하는 방법에 따라 통상적으로 행하여진다. 착물이 반응 용액에 불용성일 경우, 여과할 수 있다. 가용성일 경우에는, 용매를 증발 제거하여, 예를 들어 분무 건조를 통해 잔류물로 회수할 수 있다.
얻어진 착물이 여전히 유리 산 기를 함유할 경우, 용액 중에서 생리학상 상용가능한 양이온을 형성하는 유기 또는 무기 염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중성 염으로 변형시킨다.
이들 중성 염의 제조를 위해, 충분한 양의 염기를 수용액 또는 현탁액 중의 유리 산 기를 함유하는 착물에 가하여 중화시킬 수 있다. 이어서, 얻어진 용액을 용이하게 증발시키거나 적절한 용매를 가하여 착물 염을 결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킬레이트된 착물을 염화시키는 데 바람직한 무기 양이온은 특히 칼륨,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 금속 이온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나트륨 이온이다.
상기 언급한 목적에 적절한 유기 염기로부터 유도된 바람직한 양이온은 특히, 1차, 2차 및 3차 아민의 양이온, 예를 들면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모르폴린, 글루카민, N-메틸글루카민, N,N-디메틸글루카민이고, N-메틸글루카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바람직한 양이온은 예를 들어 타우린, 글리신, 라이신, 아르기닌 또는 오르니틴의 양이온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 대한 별법은 착물 염을 단리시키지 않고 주사용 제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최종 용액이 신체에 유독한 유리 금속 이온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은 적정에 의해, 예를 들어 크실레놀 오렌지와 같은 색깔이 있는 지시약을 사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착물 염의 최종 정제 단계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방법에서, 킬레이트제, 염 또는 금속 산화물, 및 임의의 염화 염기는 주사용 물 중에 화학량론적 비로 반응시키고, 이어서 반응이 완료된 후, 발열 물질을 여과 제거하고, 생성물을 적절한 용기에 넣은 후 가열 멸균시킨다.
주사용 제약 제제는 전형적으로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조된 활성 성분, 및 부형제를 약물학적인 측면에서 적절한 순도를 갖는 물에 용해시켜 제조하여, 장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용으로 적절한 제약 제제를 0.01 내지 1.0 몰 농도로 제공한다. 얻어진 조영제는 적절하게 멸균시킨다.
조영제는 진단 요건에 따라 체중 1 kg 당 0.01 내지 0.3 mmol의 투여량으로 투여한다.
원칙적으로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투여량은 체중 1 kg 당 0.001 내지 약 1.0 mmol이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바람직한 투여량은 체중 1 kg 당 0.01 내지 약 0.5 mmol이다.
장 투여를 위한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체중 1 kg 당 0.5 내지 약 10 mmol이고, 바람직하게는 체중 1 kg 당 약 1.0 내지 약 10 mmol이다.
본 발명의 신규 제제는 양호한 내성을 나타내고, 또한 그의 수용해도는 이들을 핵 자기 공명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절하게 하는 훨씬 중요한 특성이다.
본 발명의 진단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 조성물은 환자, 전형적으로 고온 혈액 동물에게 자기 공명에 의해 가시화될 기관 또는 조직에 전신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분석 절차 및 기기는 문헌 [Stark, D.D., Bradley, W. 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osby Year Book, St. Louis Mo, 1992]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용한 실험 조건은 실험 부분에 상세하게 예시할 것이다.
<실험>
실시예 1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시킨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46
A) [3β(S),5β]-3-[[5-(1,1-디메틸에톡시)-4-[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 -2-옥소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1,5-디옥소펜틸]아미노]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3β,5β)-3-아미노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5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하게 제조함) 3.6 g (9.24 mmol), N,N-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L-글루탐산 t-부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함) 8.5 g (11.39 mmol) 및 디에틸 시아노포스포네이트 1.64 g (9.39 mmol)을 DMF 160 ㎖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Et3N 1.28 ㎖ (9.24 mmo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두었다. 1시간 후에 용액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OAc로 취하여 5% NaHCO3로 세척하고,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9.5 g; 8.50 mmol)을 얻었다.
수율: 92%
K.F.: 3.47%
원소 분석 C H N
계산%: 66.63 9.74 5.01
실측%:a 67.42 10.08 5.07
a : 120℃ 진공하에서 건조시킨 후.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4:6 EtOAc/n-헥산
검출: 1 M NaOH 중 0.5% KMnO4 Rf = 0.46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B) [3β(S),5β]-3-[[4-카르복시-4-[비스[2-[비스(카르복시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1-옥소부틸]아미노]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CH2Cl2 50 ㎖ 중의 단계 A)에서 제조한 화합물 9.3 g (8.32 mmol)의 교반한 용액에 CF3COOH 5.1 ㎖ (66.6 mmol)을 가하고; 0 내지 5℃의 온도에서 10분 후에 용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CF3COOH 50 ㎖로 취하고, 실온에서 24시간 후에 CF3COOH 30 ㎖를 추가로 가하여 반응을 완료시켰다. 5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CH2Cl2로 처리하고, 매번 분말을 얻을 때까지 감압하에 용매를 증발시켰다. 고상물을 H2O로 세척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6.9 g; 8.24 mmol)을 얻었다.
수율: 99% 융점: 205℃
K.F.: 7.78%
원소 분석 C H N
계산%; 60.27 8.18 6.69
실측%:a 59.28 8.11 6.68
a: 120℃ 진공 하에서 건조시킨 후
TLC: 고정상: 실리카 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6:4:1 CHCl3/MeOH/25% NH4OH
검출: 1 M NaOH 중 0.5% KMnO4 Rf = 0.28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C)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콜란-24-산
H2O 50 ㎖ 중의 단계 B)에서 제조한 화합물 6.14 g (7.33 mmol)의 현탁액에 pH-스타트(stat) 장치를 사용하여 pH 13으로 유지하면서 1 M NaOH 50 ㎖ (50 mmol)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12 M HCl로 산성화 (pH 0.5)시켜 현탁액을 얻은 후, 이것을 여과시키고 H2O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5.64 g; 6.85 mmol)을 얻었다.
수율: 93% 융점: 205℃
K.F.: 9.02%
원소 분석 C H N Cl, Na
계산%: 59.84 8.08 6.81
실측%:a 59.56 8.15 6.80 <0.1
a: 120℃ 진공 하에서 건조시킨 후
TLC: 고정상: 실리카 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6:4:1 CHCl3/MeOH/25% NH4OH
검출: 1 M NaOH 중 0.5% KMnO4 Rf = 0.25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D)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된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단계 C)에서 제조한 화합물 4.53 g (5.5 mmol)을 H2O 50 ㎖에 현탁시키고, 2 M 메글루민 수용액 10 ㎖ (20 mmol)로 용해시켜 pH 6.8의 용액을 얻었다. 그런 다음, 2 M 메글루민 수용액 6.5 ㎖ (13 mmol)을 가하여 pH 6.8을 유지하면서 0.5 M GdCl3 수용액 11 ㎖ (5.5 mmol)을 1시간 동안 가하였다. 반응 과정을 모세관 전자이동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2시간 후, 밀리포어(Millipore, 등록상표) 막을 통해 용액을 여과하고 나노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건조시켜 원하는 화합물 (6.15 g; 4.17 mmol)을 얻었다.
수율: 76% 융점: 220℃
K.F.: 8.44%
CE 분석: 100% (면적%)
모세관: 벌브 셀을 갖는 용융 실리카 0.56 m ×50 mm
전압: 25 kV
완충액: 0.05 M 붕산염 pH 9.3, 0.3 mM EDTA
온도: 40℃
정지 시간: 20분
검출 (UV): 200 내지 210 nm
주입: 유체역학식(hydrodynamic) (50 mbar, 5초)
시료 농도: 1 mg/㎖
장치: 휴렛 팩커드 (Hewlett Packard) 3D HPCE
선조건: t(분) 작용
2 H2O로 세척
2 0.1 M NaOH로 세척
1 H2O로 세척
5 완충액으로 세척
9 분석 시작
원소 분석 C H Gd N Cl,Na
계산%: 47.65 7.35 10.06 6.27
실측%:a 47.83 7.36 10.01 6.24 <0.1
a: 120℃ 진공 하에서 건조 후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하기 화합물 및 관련 가돌리늄 착물을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된 [3β(S),5β,7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7-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된 [3α(S),5β]-3-[2-[[5-[비스 [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2-옥소에톡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실시예 2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된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옥소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47
A) (3β,5β)-3-아지도-12-옥소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존스(Jones) 시약 12.5 ㎖ [33.3 mmol Cr(VI)]를 아세톤 (600 ㎖) 중의 (3β,5β,12α)-3-아지도-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5에 기재된 (3β,5β,7α,12α)-3-아지도-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의 방법과 유사하게 제조함) 17.8 g (41.1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9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20시간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CHCl3 (400 ㎖)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NaHCO3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이어서 H2O로 세척하였다. 용액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고, 96% EtOH에서 결정화시켜 원하는 생성물 (14.1 g; 32.9 mmol)을 얻었다.
수율: 84% 융점: 153℃
K.F.: <0.1%
[α]20D = +83.25 (c 2.1, CHCl3)
원소 분석 C H N
계산%: 69.90 9.15 9.78
실측%: 69.98 9.32 9.69
TLC: 고정상: 실리카 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8:2 n-헥산/EtOAc
검출: 1 M NaOH 중 0.5% KMnO4 Rf = 0.43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B) (3β,5β)-3-아미노-12-옥소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THF (130 ㎖) 중의 화합물 A) 16.4 g (38.2 mmol)의 용액을 5% Pd/C (1.6 g)의 존재하에 파르(Parr; 등록상표) 오토클레이브에서 실온 및 40 bar에서 15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 (여과지 및 FH 0.5 ㎛ 밀리포어(Millipore; 등록상표) 막)하고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11.8 g; 29.2 mmol)을 얻었다.
수율: 77% 융점: 129-130℃
K.F.: 1.04%
[α]20D = +87.8 (c 2.02, CHCl3)
원소 분석 C H N
계산%: 74.40 10.24 3.47
실측%: 72.72 10.00 3.35
TLC: 고정상: 실리카 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95:5 MeOH/Et3N
검출: 1 M NaOH 중 0.5% KMnO4 Rf = 0.31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C) [3β(S),5β]-3-[[4-[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5-(1,1-디메틸에톡시)-1,5-디옥소펜틸]아미노]-12-옥소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CH2Cl2 (25 ㎖) 중의 DCC (6.24 g; 30.3 mmol)의 용액을 CH2Cl2 (300 ㎖) 중의 N,N-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L-글루탐산 1-(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함) (21.5 g; 28.9 mmol), 화합물 B) (11.1 g; 27.5 mmol) 및 HOBT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3.72 g; 27.5 mmol)의 용액에 질소하에 0℃에서 30분 동안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방치하여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21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액을 NaHCO3 포화 수용액에 이어 H2O로 세척하고, 이어서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24.5 g; 21.7 mmol)을 얻었다.
수율: 79%
[α]20D = +12.17 (c 2.07, CHCl3)
TLC: 고정상: 실리카 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1:1 EtOAc/n-헥산
검출: 1 M NaOH 중 0.5% KMnO4 Rf = 0.45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D)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옥소콜란-24-산
TFA 80 ㎖ (1.0 mol)를 CH2Cl2 (50 ㎖) 중의 단계 C)에서 제조한 화합물 23.8 g (21.0 mmol)의 용액에 0℃에서 1시간 동안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한 후, 2시간 후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TFA (100 ㎖; 1.3 mol)로 취하고, 용액을 추가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CH2Cl2로 취하여 다시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얼음조로 냉각시키면서 1 M NaOH 150 ㎖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pH 10). 30% NaOH 3.30 ㎖를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을 pH 13으로 조정하고, 4시간 후에 밀리포어(Millipore; 등록상표) 막 (HAS 0.45 ㎛)을 통해 여과하였다. 30% HCl 12.5 ㎖ 및 1 M HCl 19 ㎖를 사용하여 여액을 pH 1.60으로 산성화시켰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H2O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15.8 g; 18.9 mmol)을 얻었다.
수율: 90% 융점: 172-175℃
K.F.: 1.98%
[α]20D = +43.54 (c 2.02, 1 M NaOH)
HPLC: 97% (면적%)
고정상: Zorbax ECLIPSE XDB-C8 3.5 ㎛; 150 ×4.6 mm;
온도: 40℃
이동상: 구배 용출
A = 0.017 M H3PO4, H2O 중의 0.3 mM EDTA
B = CH3CN
구배: 분 A% B%
0 85 15
40 65 35
50 65 35
유속: 1.5 ㎖/분
검출 (UV): 210 nm
원소 분석 C H N Cl Na
계산% 58.84 7.71 6.69
실측% 56.57 7.68 6.37 0.25 0.18
TLC: 고정상: 실리카 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5:4:2 CHCl3/MeOH/25% NH4OH
검출: 1 M NaOH 중 0.5% KMnO4 Rf = 0.28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E)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된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옥소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0.918 M 메글루민 수용액 49.0 ㎖ (45.0 mmol)를 H2O (100 ㎖) 중의 단계 D)에서 제조한 화합물 14.0 g (16.7 mmol)의 현탁액에 실온에서 적가하여 투명한 용액 (pH 6.5)을 얻었다. 여기에 pH-스타트를 사용하여 0.918 M 메글루민 수용액 55.7 ㎖ (51.1 mmol)을 가함으로써 pH 6.5로 유지하면서 0.503 M GdCl3 수용액 31.6 ㎖ (15.9 mmol)을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혼합물을 밀리포어 (Millipore; 등록상표) 막 (HAWP 0.45 ㎛)을 통해 여과하고, 나노여과하고, 0.918 M 메글루민 수용액 0.100 ㎖ (0.092 mmol)를 사용하여 pH를 7.0으로 조정하여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22.0 g; 14.0 mmol)을 얻었다.
수율: 84% 융점: 100-105℃
K.F.: 5.06%
HPLC 분석: 97% (면적%)
고정상: HYPURITY(상표명) Elite C18 5 ㎛; 250 ×4.6 mm Hypersil 칼럼
온도: 40℃
이동상: 구배 용출:
A = 물 중의 0.01 M KH2PO4
B = CH3CN
구배: 분 A% B%
0 95 5
40 65 35
50 65 35
유속: 1 ㎖/분
검출 (UV): 210 nm
원소 분석 C H N Gd Na,Cl
계산%: 47.23 7.16 6.22 9.97
실측% : 45.70 7.32 6.00 9.41 <0.1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3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된 (3β,5β,7α,12α)-3-[[[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2: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48
A) (3β,5β,7α,12α)-3-[[[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3β,5β,7α,12α)-3-[(아미노아세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함) 24.8 g (51.9 mmol)을 CH3CN 390 ㎖ 중의 N-(2-브로모에틸)-N-[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글리신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함) 38.7 g (110 mmol)의 교반한 용액에 현탁시켰다. pH 8의 2 M 인산염 완충액 245 ㎖를 가하여 2상(biphase) 용액을 얻었으며, 이것을 실온에서 144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증발시킨 후 잔류 오일을 CH2Cl2 250 ㎖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H2O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 (용출액 = 95:5 CHCl3/CH3OH)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24.8 g; 24.3 mmol)을 얻었다.
수율: 47%
[α]20D = +9.45 (c 1.5, CHCl3)
원소 분석 C H N
계산%: 64.68 9.47 5.49
실측% : 64.55 9.44 5.46
TLC: 고정상: 실리카 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88:12 CHCl3/MeOH
검출: 1 M NaOH 중 0.5% KMnO4 Rf = 0.57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B) (3β,5β,7α,12α)-3-[[[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2 M LiOH 수용액 318 ㎖ (636 mmol)을 EtOH 310 ㎖ 중의 단계 A)에서 제조한 화합물 (21.6 g; 21.1 mmol)의 용액에 15분 동안 적가하였다. 23시간 후에, EtOH를 증발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2.6 M HCl 255 ㎖에 적가하고, 30% NaOH로 pH를 1.4로 조정하였다. 1.5시간 후에, 침전물을 여과하고, 0.1 M HCl 300 ㎖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13.1 g; 16.7 mmol)을 얻었다.
수율: 78% 융점: 129-132℃ 분해
HPLC 분석: 97.8% (면적%)
고정상: Lichrosorb RP-Select B 5 ㎛; 250 ×4 mm 칼럼 Merck KGaA
온도: 45℃
이동상: 구배 용출:
A = H2O 중의 0.01 M KH2PO4 및 0.017 M H3PO4
B = CH3CN
분 A% B%
0 95 5
5 20 80
45 20 80
유속: 1 ㎖/분
검출 (UV): 210 nm
착물계 역가 : 95.5% (0.1 M GdCl3)
[α]20D = +13.03 (c 5, 1 M NaOH)
원소 분석 C H N Cl
계산%: 58.30 7.98 7.16
실측% : 54.63 8.12 6.64 1.82 H2O 4.89
C)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된 (3β,5β,7α,12α)-3-[[[비스 [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 24-산의 가돌리늄 착물 (2:1)
단계 B)에서 제조된 화합물 11.3 g (13.8 mmol)을 H2O 40 ㎖에 현탁시키고, 1 M 메글루민 수용액 44.7 ㎖ (44.7 mmol)을 pH 6까지 가하여 용해시켰다. 1 M 메글루민 수용액 73.5 ㎖ (73.5 mmol)을 가하여 pH를 6.5로 유지하면서 1 M GdCl3 수용액 13.7 ㎖ (13.7 mmol)을 1시간 동안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나노여과하고, 0.1 M 메글루민 0.3 ㎖를 사용하여 pH를 6.8로 조정하였다. 증발 후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17.2 g; 12.9 mmol)을 얻었다.
수율: 93% 융점: 245-249℃ 분해
유리 리간드: <0.1% (0.001 M GdCl3)
HPLC 분석: 100% (면적%)
고정상: Lichrospher 100 RP-8 5 ㎛; 250 ×4 mm 칼럼 Merck KGaA
온도: 40℃
이동상: 예비 혼합된 상으로 균등 용출;
n-옥틸아민 1 g 및 Na2EDTA 0.3 mmol을 CH3CN 260 ㎖ 및 H2O 740 ㎖에 가하였다. H3PO4를 사용하여 용액을 pH 7로 완충시켰다.
유속: 1 ㎖/분
검출 (UV): 210 nm
원소 분석 C H Gd N
계산% : 47.05 7.06 11.84 6.33
실측%: 45.19 7.21 11.22 6.07 H2O 4.16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4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시킨 [3β(S),5β,12α]-3-[[4-[비스 [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49
A) [3β(S),5β,12α]-3-[[4-[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5-(1,1-디메틸에톡시)-1,5-디옥소펜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트리에틸아민 (2.23 g; 22 mmol)을 0℃에서 DMF 300 ㎖ 중 (3β,5β,12α)-3-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5에 기재된 콜산 유도체와 유사하게 제조함) 8.93 g (22 mmol), N,N-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L-글루탐산 1-(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함) 16.41 g (22 mmol) 및 디에틸 시아노포스포네이트 3.91 g (2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0℃에서 1.5시간 및 실온에서 18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OAc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NaHCO3 포화 수용액과 H2O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20.67 g; 18.2 mmol)을 얻었다.
수율: 83%
[α]20 D = -6.75 (c 2.0, CHCl3)
원소 분석 C H N
계산%: 65.69 9.60 4.94
실측%: 66.54 9.95 4.99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1:1 n-헥산/EtOAc Rf = 0.09
검출: 10% H2SO4 중 Ce(SO4)2·4H2O (0.18%) 및 (NH4)6Mo7O24·4H2O (3.83%)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B) [3β(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단계 A)에서 제조한 화합물 (19.72 g; 17.4 mmol)을 실온에서 CF3CO2H 105 ㎖ 에 용해시켰다. 26시간 후 용액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H2O로 처리하고; 고상물을 여과하고, H2O로 세척하여 진공 하에 부분적으로 건조시켰다. 생성된 중간체를 H2O에 현탁시키고, pH 13까지 1 M NaOH로 용해시켰다. 실온에서 5시간 후, 0.5 M HCl을 용액에 pH 1.4까지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5시간 후 침전물을 여과하고, H2O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조생성물을 얻고, 이를 수지 앰버라이트(Amberlite; 등록상표) XAD 1600 수지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9.92 g; 11.8 mmol)을 얻었다.
수율: 68%. 융점: 184℃(분해)
착물계 역가 (0.1 M GdCl3): 99.3%
산 역가 (0.1 N NaOH): 99.8%
[α]20λ (c 2.0; 1 M NaOH)
λ[㎚] 589 578 546 436 405 365
[α] +23.61 +24.59 +27.90 +46.67 +55.61 +71.40
원소 분석 C H N
계산%: 58.70 7.93 6.68
실측%: 58.22 8.16 6.59 H2O 0.70%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5:4:2 CHCl3/MeOH/25% NH4OH Rf = 0.13
검출: 10% H2SO4 중 Ce(SO4)2·4H2O (0.18%) 및 (NH4)6Mo7O24·4H2O (3.83%)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C)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시킨 [3β(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단계 B)에서 제조한 화합물 (8.39 g; 10 mmol)을 H2O (30 ㎖)에 현탁시키고 pH 6까지 1 M 수성 메글루민 (36.5 ㎖; 36.5 mmol)을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1 M 수성 메글루민 (19.3 ㎖; 19.3 mmol)을 첨가하여 pH 6으로 유지하면서 1.025 M GdCl3 수용액 (9.85 ㎖; 10.1 mmol)을 1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용액을 나노여과하고 (nanofiltered), 1 M 수성 메글루민으로 pH를 7.0으로 조정하였다. 증발하고 건조시킨 후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8.57 g; 5.4 mmol).
수율: 54%. 융점: 150-166℃(170℃ 분해)
원소 분석 C H N Gd
계산%: 47.17 7.28 6.21 9.96
실측%: 43.40 7.31 5.68 9.31 H2O 7.14%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D) 단계 C)에서 제조된 화합물과 유사하게, 나트륨으로 염화시킨 [3β(S),5β,12 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을 제조하였다.
단계 B)에서 제조한 화합물 (26.92 g; 32.08 mmol)을 H2O (100 ㎖)에 현탁시키고 pH 6까지 2 M NaOH (56 ㎖; 112 mmol)을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2 M NaOH (28.95 ㎖; 57.9 mmol)을 첨가하여 pH 6으로 유지하면서 0.512 M GdCl3 수용액 (58.2 ㎖; 29.77 mmol)을 3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용액의 pH를 2 M NaOH (4 ㎖; 8 mmol)로 6.7로 조정하고 용액을 나노여과하였다. 동결 건조시킨 후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29.86 g; 28.2 mmol).
수율: 88%. 융점: >300℃
원소 분석 C H N Gd Na
계산%: 46.49 5.71 5.29 14.85 6.51
실측%: 43.98 6.34 4.92 13.86 6.16 H2O 4.63%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5
반응식 3에 따른 [3β(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제조를 위한 별법
A) (S)-5-옥소-1,2-피롤리딘디카르복실산 2-메틸-1-(페닐메틸) 디에스테르
CH3I 7.1 g (50 mmol)을 CH2Cl2 (33 ㎖) 중 (S)-5-옥소-1,2-피롤리딘디카르복 실산 1-(페닐메틸) 에스테르 6.58 g (25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55 g; 27.5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5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CH2Cl2 (50 ㎖)로 희석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H2O, 2% 수성 Na2CO3, 0.2 M HCl 및 H2O로 세척하였다.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킨 후, 원하는 생성물 (6.8 g; 24.5 mmol)을 얻었다.
수율: 98%
HPLC 분석: 98.5% (면적%)
고정상: Lichrosorb RP-Select B 5 ㎛; 250×4 ㎜ 칼럼 Merck KGaA;
온도: 45℃;
이동상: 구배 용출;
A = 물 중 0.017 M H3PO4
B = CH3CN
구배: 분 A% B%
0 80 20
15 80 20
35 40 60
유속: 1 ㎖/분;
검출 (UV): 210 ㎚.
[α]20λ (c 2; CHCl3)
λ(㎚) 589 578 546 365
[α] -42.97 -44.79 -50.09 -100.43
원소 분석 C H N
계산%: 60.64 5.45 5.05
실측%: 60.94 5.54 5.00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B) [3β(S),5β,12α]-3-[[5-메톡시-1,5-디옥소-4-[[(페닐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펜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3β,5β,12α)-3-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5에 기재된 콜산 유도체와 유사하게 제조함) 8.92 g (22 mmol)을 디옥산 (55 ㎖) 중 화합물 A) (6.1 g; 22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50℃로, 이어서 29시간 동안 105℃로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 (EtOAc/n-헥산으로 구배 용출)로 정제한 후 1:1 EtOAc/n-헥산 혼합물로 결정화시켜 원하는 생성물 (11.2 g; 16.4 mmol)을 얻었다.
수율: 75% 융점: 140℃
HPLC 분석: 99.2% (면적%)
고정상: Lichrosorb RP-Select B 5 ㎛; 250×4 ㎜ 칼럼 Merck KGaA;
온도: 45℃;
이동상: 구배 용출;
A = 물 중 0.017 M H3PO4
B = CH3CN
구배: 분 A% B%
0 65 35
25 15 85
30 15 85
유속: 1 ㎖/분;
검출 (UV): 210 ㎚.
[α]20λ(c 2.01; CHCl3)
λ(㎚) 589 578 546 365
[α] +24.14 +25.13 +28.51 +73.81
원소 분석 C H N
계산%: 68.70 8.43 4.11
실측%: 69.36 8.72 4.13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EtOAc
검출: 10% H2SO4 중 Ce(SO4)2·4H2O (0.2%) 및 (NH 4)6Mo7O24·4H2O (3.8%) Rf = 0.11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C) [3β(S),5β,12α]-3-[[4-[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5-메톡시-1,5-디옥소펜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5% Pd/C 1 g을 MeOH (100 ㎖) 중 화합물 B) (10.4 g; 15.3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현탁액을 실온에서 수소 분위기 (흡수 H2: 348 ㎖; 15.5 mmol) 하에 3.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밀리포어(Millipore; 등록상표) FH 필터 (0.45 ㎛) 상에서 여과한 후 용액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잔류물을 얻고, 이를 CH3CN (60 ㎖)에 용해시켰다. 2 M 수성 pH 8 인산염 완충액 (60 ㎖)을 첨가한 다음, CH3CN (15 ㎖) 중 N-(2-브로모에틸)-N-[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글리신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1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함) (11.86 g; 33.7 mmol)를 실온에서 10분 내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3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분리시킨 후, 유기상을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AcOEt (200 ㎖)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H2O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 (EtOAc/n-헥산으로 구배 용출)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11.36 g; 10.4 mmol)을 얻었다.
수율: 68%. 융점: 55-58℃
HPLC 분석: 100% (면적%)
[α]20λ (c 2.01; CHCl3)
λ[㎚] 589 578 546 365
[α] -6.97 -7.41 -8.61 -32.89
원소 분석 C H N
계산%: 64.93 9.42 5.13
실측%: 65.06 9.36 5.11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EtOAc
검출: 10% H2SO4 중 Ce(SO4)2·4H2O (0.2%) 및 (NH 4)6Mo7O24·4H2O (3.8%) Rf = 0.45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D) [3β(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디옥산 (50 ㎖) 중 화합물 C) (8.5 g; 7.8 mmol)의 용액에 2 M LiOH 수용액 (117 ㎖; 234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37% HCl을 서서히 첨가하여 pH 6으로 산성화시켰다. 용액을 감압 하에 증발 시켜 50 g으로 농축시키고 H2O (40 ㎖)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37% HCl을 첨가하여 pH 2.5로 산성화시키고 50-55℃로 가열하여,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2N HCl로 pH 1.3으로 서서히 산성화시켰다. 5분 후 비균질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15시간 동안 방치하여 실온으로 서서히 냉각시켰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H2O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5.92 g; 7 mmol)을 얻었다.
수율: 90%. 융점: 180-198℃
HPLC 분석: 99.9% (면적%)
고정상: Zorbax ECLIPSE XDB-C8 3.5 ㎛; 150×4.6 ㎜ 칼럼, 록랜드 테크놀로지스, 인크.(Rockland Technologies, Inc.);
온도: 40℃;
이동상: 구배 용출;
A = 물 중 0.017 M H3PO4, 0.3 mM EDTA
B = CH3CN
구배: 분 A% B%
0 85 15
40 65 35
50 65 35
유속: 1.5 ㎖/분;
검출 (UV): 210 ㎚;
산 역가 (0.1 N NaOH): 99%
[α]20λ(c 2.04; 1 N NaOH)
λ(㎚) 589 578 546 436 405 365
[α] +24.80 +25.83 +29.22 +49.02 +58.43 +75.59
원소 분석 C H N Cl, Li
계산%: 58.70 7.93 6.68
실측%: 57.90 7.97 6.57 <0.1 H2O 0.95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6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시킨 (3β,5β,7α,12α]-3-[[[[[비스 [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2: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50
A) N-[[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 틸]글리신
글리실글리신 6.5 g (49.3 mmol)을 1:1 H2O/EtOH 혼합물 100 ㎖ 중에 현탁시키고 10 M NaOH (4.8 ㎖)로 pH 10에서 용해시켰다. 10 M NaOH (5.8 ㎖)로 pH 10.5로 유지시키면서 EtOH 40 ㎖ 중 N-(2-브로모에틸)-N-[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글리신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42 g; 110.9 mmol)을 2시간 내에 적가하였다. 용액은 빠르게 에멀젼으로 변했으며, 이를 2.5시간 후 10 M NaOH를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22시간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H2O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증발시켜 잔류물을 얻고, 이를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1 M HCl을 첨가하여 pH를 4.5로 조정하고, 용액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H2O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원하는 생성물 13 g (19.3 mmol)을 얻었다.
수율: 39%
원소 분석 C H N
계산%: 56.95 8.66 8.30
실측%: 56.67 8.68 8.30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6:3:1 CHCl3/MeOH/25% NH4OH
Rf = 0.65
검출: 1 M NaOH 중 1% KMnO4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B) (3β,5β,7α,12α)-3-[[[[[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TEA 2.8 ㎖ (20.2 mmol)을 0℃에서 교반시킨 DMF (290 ㎖) 중 단계 A)에서 제조한 화합물 13.6 g (20.2 mmol), (3β,5β,7α,12α]-3-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8.52 g (20.2 mmol) 및 DEPC (3.4 ㎖; 22.2 mmol)을 함유하는 용액에 5분 내에 적가하였다. 1시간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용액을 6.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EPC 0.3 ㎖ (2 mmol)을 첨가하고 용액을 추가로 15.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MF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OAc에 용해시키고, 수성 NaHCO3, 이어서 물로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건조시켰다.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원하는 생성물 13.7 g (12.7 mmol)을 얻었다.
수율: 63%
[α]20 D = +5.26 (c 1.5, CHCl3)
원소 분석 C H N
계산%: 63.48 9.25 6.49
실측%: 63.22 9.40 6.40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C) (3β,5β,7α,12α)-3-[[[[[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단계 B)에서 제조한 화합물 12.85 g (12 mmol)을 -5/0℃에서 교반하는 TFA (210 ㎖)에 용해시켰다. 16시간 후 TFA를 증발시켜 잔류물을 얻고, 이를 pH 13에서 0.8 M NaOH 90 ㎖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50 ㎖로 농축시키고, 0.6 M HCl 105 ㎖에 적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0.1 M HCl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조생성물을 얻고 이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원하는 화합물을 염화된 형태로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시켜 잔류물을 얻고, 이를 물에 용해시키고 pH 1.45로 유지하면서 1 M HCl에 적가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0.1 M HCl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2.6 g (3.1 mmol)을 얻었다.
수율: 26%. 융점: 120-125℃
HPLC 분석: 98% (면적%)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D)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시킨 (3β,5β,7α,12α)-3-[[[[[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2:1)
단계 C)에서 제조한 화합물 2.59 g (3.08 mmol)을 물 (20 ㎖)에 현탁시키고 pH 5까지 1 M 메글루민 수용액 (3.08 ㎖; 3.08 mmol)을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Gd2O3 (0.501 g; 2.77 mmol)을 50℃로 가열한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1시간 후, 1 M 메글루민 (2.8 ㎖; 2.8 mmol)을 첨가하여 침전물을 용해시켰다. 24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1 M 수성 메글루민 (0.4 ㎖)로 pH를 6.8로 조정하였다. 증발시키고 건조시킨 후, 원하는 생성물 4.2 g (3.00 mmol)을 얻었다.
수율: 99%. 융점: 209-213℃ 분해
HPLC 분석: 99.7% (면적%)
유리 리간드: <0.1% (0.001 GdCl3)
원소 분석 C H N Gd
계산%: 46.84 6.99 7.08 11.36
실측%: 44.01 7.35 6.68 10.39 H2O 4.95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7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시킨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4: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51
A) (3β,5β)-3-[[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3β,5β)-3-아미노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함) 40.0 g (103 mmol)을 질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DMF (1.0 ℓ)에 현탁시켰다. 트리에틸아민 (13.0 g; 129 mmol)을 첨가한 다음, DMF (30 ㎖) 중 브로모아세트산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24.0 g; 123 mmol)의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1시간 동안 용해될 때까지 적가하였다. 3일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4% NaHCO3 수용액으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고, 침전물을 H2O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33.7 g (66.9 mmol)을 얻었다.
수율: 65% 융점: 62-64℃
[α]20 D = +23.55 (c 1.96, MeOH)
원소 분석 C H N
계산%: 73.91 10.60 2.78
실측%: 74.67 10.85 2.78 H2O< 0.1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7:3 n-헥산/EtOAc Rf = 0.31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B) [3β(S),5β]-3-[[4-[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5-(1,1-디메틸에톡시)-1,5-디옥소펜틸][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9.5 g; 151 mmol)을 질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교반시킨 DMF (400 ㎖) 중 화합물 A) (33.0 g; 65.5 mmol), N,N-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L-글루탐산 1-(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함) (53.8 g; 72.1 mmol) 및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안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OP) (40.6 g; 91.8 mmol)의 용액에 20분 동안 적가하였다. 2일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EtOAc로 용해시켰다. 용액을 H2O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2회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38.7 g (31.4 mmol)을 얻었다.
수율: 48%
[α]20 D = -54.50 (c 2.51, CHCl3)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7:3 n-헥산/EtOAc Rf = 0.22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C)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콜란-24-산
실온에서 교반시킨 EtOH (350 ㎖) 중 화합물 B) (38.7 g; 31.4 mmol)의 용액에, 2 M LiOH 용액 500 ㎖를 1시간 동안 적가하였다. 16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500 ㎖로 농축시키고 2 M LiOH 용액 (350 ㎖)을 다시 첨가하고 50℃로 가열하였다. 24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5℃에서 격렬하게 교반시킨 6 M HCl 320 ㎖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의 pH를 2 M NaOH 55 ㎖를 사용하여 1.0으로 조정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0.1 M HC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조생성물을 H2O에 현탁시키고 1 M NaOH를 첨가하여 용해시킨 다음, 염기성 용액을 0.5 M HCl 용액에 적가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0.05 M HCl과 H2O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23.5 g (26.7 mmol)을 얻었다.
수율: 85%. 융점: 178-182℃
[α]450 20= +24.10 (c 1.49; 1 M NaOH)
HPLC 분석: 100% (면적%)
고정상: Hypurity Elite C-18 5 ㎛; 칼럼 250×4.6 ㎜;
온도: 40℃;
이동상: 구배 용출;
A = 물 중 0.01 M KH2PO4, 0.3 mM EDTA
B = CH3CN
구배: 분 A% B%
0 95 5
40 65 35
50 65 35
유속: 1 ㎖/분;
검출 (UV): 210 ㎚.
원소 분석 C H N Na Cl
계산%: 58.62 7.78 6.36
실측%: 57.71 8.07 6.20 0.13 0.55 H2O<0.1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D)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시킨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4:1)
H2O (100 ㎖) 중의 단계 C)에서 제조한 화합물 (12.9 g; 14.6 mmol)의 현탁액에 실온에서 1 M 메글루민 수용액 (72.0 ㎖; 72.0 mmol)을 첨가하여 pH 6.2의 맑 은 용액을 얻었다. pH-스타트에 의해 1 M 메글루민 (30.0 ㎖; 30.0 mmol)을 첨가하여 pH 6.2를 유지하면서 0.393 M GdCl3 수용액 (37.2 ㎖; 14.6 mmol)을 적가하였다. 첨가 종료시 반응 혼합물을 종이를 통해, 이어서 밀리포어(등록상표) 막 (HAWP 0.45 ㎛)을 통해 여과하고 나노여과하고 1 M 메글루민 (0.20 ㎖; 0.20 mmol)을 첨가하여 pH 7.0으로 조정하고 증발시켰다. 고체를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 24.0 g (13.2 mmol)을 얻었다.
수율: 91%. 융점: 90-92℃
HPLC 분석: 100% (면적%)
고정상: Lichrospher 100 RP-8 5 ㎛; 칼럼 Merck KGAa 250×4 ㎜;
온도: 40℃;
이동상: 예비혼합시킨 이동상으로 균등 용출함: n-옥틸아민 1 g을 아세토니트릴 400 ㎖과 물 600 ㎖에 첨가하였다. 용액을 H3PO4로 pH 6으로 완충시켰다.
유속: 1 ㎖/분;
검출 (UV): 210 ㎚.
원소 분석 C H N Gd Na, Cl
계산%: 46.96 7.38 6.17 8.66
실측%: 44.27 7.59 5.76 8.21 <0.1 H2O 6.61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8
나트륨으로 염화시킨 [3β(R),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52
반응식 3과 실시예 5에 제시된 실험 방법에 따라, (R)-5-옥소-1,2-피롤리딘디카르복실산 1-(페닐메틸) 에스테르 (시판 제품)을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메틸 요오다이드로 에스테르화하고, 이렇게 얻은 (R) 메틸 에스테르를 (3β,5β,12α)-3-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5에 기재된 콜산 유도체와 유사하게 제조함)와 반응시켜 [3β(R),5β,12α]-3-[[4-[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5-메톡시-1,5-디옥소펜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Cbz 보호기를 제거하고 (H2/Pd), CH3CN/인산염 완충액 pH 8 중 N-(2-브로모에틸)-N-[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글리신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1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함)로 알킬화한 후, 헥사에스테르를 얻고, 이를 관련 헥사산으로 전환시켰다 (수성 LiOH/디옥산). 후자를 실시예 4의 D)에 보고된 방법에 따라 착물화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44%의 전체 수율로 얻었다.
융점: >300℃
원소 분석 C H N Gd Na
계산%: 46.49 5.71 5.29 14.85 6.51
실측%: 44.02 6.13 5.10 14.09 6.17 H2O 4.50%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9
나트륨으로 염화시킨 [3β(R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53
본 화합물은 (3β,5β,12α)-3-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5에 기재된 콜산 유도체와 유사하게 제조함) 및 N,N-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DL-글루탐산 1-(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DL 글루탐산으로부터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15에 L 이성질체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함)로부터 실시예 4에 상세히 제시된 방법에 따라 합성하였다. 생성물을 61%의 전체 수율로 얻었다.
융점: >300℃
HPLC 분석: 99% (면적%)
고정상: Zorbax ECLIPSE XDB-C8 3.5 ㎛; 150×4.6 ㎜ 칼럼 록랜드 테크놀로지스, 인크.;
온도: 40℃;
이동상: 구배 용출;
A = 물 중 0.005 M KH2PO4, 0.005 M K2HPO4, 0.3 mM EDTA
B = CH3CN
구배: 분 A% B%
0 90 10
5 90 10
20 50 50
유속: 1.0 ㎖/분;
검출 (UV): 210 ㎚;
크로마토그래피법에서는 2개의 피크를 거의 동일한 백분율로 보여주며, 이는 DTPA 잔기 내의 RS 입체중심으로 인한 디아스테레오 이성질체에 관련된 것이다.
원소 분석 C H N Gd Na
계산%: 46.49 5.71 5.29 14.85 6.51
실측%: 43.98 6.34 4.98 13.86 6.16 H2O 4.63%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10
나트륨으로 염화시킨 [3α(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54
(3α,5β,12α)-3-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3α,5β,12α)-3,12-디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를 미쯔노부 조건 (Mitsunobu, O. Synthesis 1981, 1-28; Denike, J.K. et al., Chem. Phys. Lipids 1995, 77, 261-267) 하에 THF 중에서 트리페닐포스핀,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및 포름산과 반응시켜 (3β,5β,12α)-3-포르밀옥시-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후자를 탈보호시켜 (MeOH/HCl) (3β,5β,12α)-3,12-디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고, 이를 콜산 유도체에 대한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5에 기재된 일련의 반응으로 처리하였다. (3α,5β,12α)-3-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를 32%의 전체 수율로 얻었다.
융점: 90-92℃
[α]20 D = +53.46 (c 1.3, CH3OH)
원소 분석 C H N
계산%: 74.03 10.69 3.44
실측%: 74.20 10.99 3.26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9:1:0.15 CHCl3/CH3OH/25% NH4OH Rf = 0.21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반응식 3과 실시예 5에 제시된 실험 방법에 따라, (S)-5-옥소-1,2-피롤리딘디카르복실산 2-메틸 1-(페닐메틸) 디에스테르를 화합물 A)와 반응시켰다. 이렇게 얻은 [3α(S),5β,12α]-3-[[4-[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5-메톡시-1,5-디옥소펜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소화시켜 (H2/Pd) Cbz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후속적으로 CH3CN/인산염 완충액 pH 8 중 N-(2-브로모에틸)-N-[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글리신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1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함)로 알킬화하여 상응하는 헥사에스테르를 얻었다. 후자를 헥사산으로 전환시키고 (수성 LiOH/디옥산), 이를 실시예 4의 D)에 보고된 방법에 따라 착물화시켜 원하는 생성물을 33%의 전체 수율로 얻었다.
융점: >300℃
HPLC 분석: 100.0% (면적%)
원소 분석 C H N Gd Na
계산%: 46.49 5.71 5.29 14.85 6.51
실측%: 42.04 6.37 4.76 13.28 5.91 H2O 9.79%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11
나트륨으로 염화시킨 [3β(S),5β,7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7-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55
본 화합물은 (3β,5β,7α)-3-아미노-7-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5에 기재된 콜산 유도체와 유사하게 제조함) 및 N,N-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L-글루탐산 1-(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함)로부터 실시예 4에 상세히 제시된 방법에 따라 합성하였다. 생성물을 89%의 전체 수율로 얻었다.
융점: >300℃
원소 분석 C H N Gd Na
계산%: 46.49 5.71 5.29 14.85 6.51
실측%: 43.88 6.50 4.91 13.62 6.04 H2O 7.11%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12
[3β(RS),5β,7α,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Figure 112001015045123-pct00056
본 화합물은 (3β,5β,7α,12α)-3-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함) 및 N,N-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DL-글루탐산 1-(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DL 글루탐산으로부터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15에 L 이성질체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함)로부터 화합물 B)의 제조에 대해 실시예 4에 상세히 제시된 방법에 따라 합성하였다. 생성물을 65%의 전체 수율로 얻었다.
융점: 224℃ 분해
HPLC 분석: 97% (면적%)
고정상: Zorbax ECLIPSE XDB-C8 3.5 ㎛; 150×4.6 ㎜ 칼럼 록랜드 테크놀로지스, 인크.;
온도: 40℃;
이동상: 구배 용출;
A = 물 중 0.017 M H3PO4, 0.3 mM EDTA
B = CH3CN
구배: 분 A% B%
0 95 5
40 65 35
50 65 35
유속: 1.0 ㎖/분;
검출 (UV): 210 ㎚;
크로마토그래피법에서는 2개의 피크를 거의 동일한 백분율로 보여주며, 이는 DTPA 잔기 내의 RS 입체중심으로 인한 디아스테레오 이성질체에 관련된 것이다.
원소 분석 C H N Li,Cl
계산%: 57.60 7.78 6.55
실측%: 54.34 7.81 6.19 <0.1 H2O 5.12%
IR, NM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13
나트륨으로 염화된 [3α(S),5β,7α,12α]-3-[[[[5-[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7,12-디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57
A) [3α(S),5β,7α,12α]-3-[[[[6-(1,1-디메틸에톡시)-5-[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6-옥소헥실]아미노]카르보닐]옥시]-7,12-디히드록시 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방법 1: 질소 분위기 하에서 무수 CH2Cl2 (40 ㎖) 중의 비스(트리클로로메틸)카르보네이트 (2.9 g; 9.7 mmol)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무수 CH2Cl2 (100 ㎖)중의 (3α,5β,7α,12α)-3,7,12-트리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시판 제품) (10.0 g; 23.7 mmol) 및 피리딘 (2.3 ㎖; 28.4 mmol) 용액에 적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가온하고 실온에서 1시간 후에 용액을 다시 0 ℃로 냉각하고,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7.9 ㎖; 47.3 mmol)을 첨가한 후에 무수 CH2Cl2 (50 ㎖) 중의 N2,N2-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L-라이신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용액 (Anelli, P.L. et al., Bioconjugate Chem. 1999, 10, 137) (17.6 g; 23.7 mmol)을 적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H2O (2 x 100 ㎖)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4.8 g; 12.4 mmol).
수율: 52 %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방법 2: 무수 CH2Cl2 (150 ㎖) 중의 [3α,5β,7α,12α]-3-[(클로로카르보닐)옥시]-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용액 (Janout, V., Lanier, M.; Regen, S.L. J. Am. Chem. Soc. 1997, 119, 640) (6.1 g; 12.6 mmol)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0 ℃로 냉각한 후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8 ㎖; 27.6 mmo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무수 CH2Cl2 (20 ㎖) 중의 N2,N2-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L-라이신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9.3 g; 12.6 mmol) 용액을 적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H2O (2 x 100 ㎖)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1.9 g; 9.9 mmol).
수율: 79 %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B) [3α(S),5β,7α,12α]-3-[[[[5-[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 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2 M LiOH 수용액 (141 ㎖)을 실온에서 1,4-디옥산 (141 ㎖) 중의 화합물 A) (11.2 g; 9.4 mmol) 용액에 적가하였다. 104시간 후에 용액을 농축하고 (150 ㎖) 2 M HCl (175 ㎖) 수용액에 적가하였다: 최종 pH는 1.9이었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H2O (5 x 50 ㎖)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10 % CH3CN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진한 HCl을 첨가하여 pH를 1로 조정한 뒤에 이 용액을 앰버라이트(Amberlite, 등록상표) XAD 16.00 수지 칼럼 (250 ㎖) 상에 넣고 CH3CN/H2O 구배로 용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한 분획을 증발시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4.3 g; 4.8 mmol).
수율: 51 % 융점: 184-191 ℃
K.F.: 4.36 %
[α]20D = +19.5 (c 1, 1 M NaOH)
HPLC 분석: 97.3 % (면적%)
고정상: Hypurity Elite C 18 5 ㎛; Hypersil로 채워진 250 x 4.6 ㎜ 칼럼;
온도: 40 ℃;
이동상: 구배 용출;
A=물 중의 0.01 M KH2PO4, 0.3 mM EDTA;
B=CH3CN
구배: 분 A% B%
0 95 5
20 65 35
50 65 35
유속: 1 ㎖/분;
검출 (UV): 200 ㎚;
원소 분석 C H N Cl
계산%: 57.45 7.85 6.23
실측%: 55.22 7.91 6.08 <0.1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C) 나트륨으로 염화된 [3α(S),5β,7α,12α]-3-[[[[5-[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7,12-디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단계 B)에서 제조한 화합물 (4.7 g; 5.2 mmol)을 H2O (100 ㎖)에 현탁시키고 pH가 6.5가 될 때까지 1 M NaOH (10 ㎖)를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1 M NaOH (15.6 ㎖)로 pH 6.5를 유지하면서 H2O (17㎖) 중의 GdCl3 (1.9 g; 5.2 m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후에, 이 용액을 CH3CN/H2O 구배로 용출하는 앰버라이트(등록상표) XAD 16.00 수지 칼럼 (250 ㎖) 상에 넣었다. 생성물을 함유한 분획을 증발시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4.2 g; 3.8 mmol).
수율: 72 % 융점: >300 ℃
K.F.: 9.49 %
[α]20D = +2.63 (c 2, H2O)
HPLC 분석: 100 % (면적%) (단계 B와 동일한 방법)
원소 분석 C H N Gd Na Cl
계산%: 46.15 5.76 5.00 14.05 6.17
실측%: 41.80 6.28 4.54 12.64 5.73 <0.1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14
나트륨으로 염화된 [3β(S),5β,12α]-3-[[4-[[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 (카르복시메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망간 착물 (3: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58
A) [3β(S),5β,12α]-3-[[4-아미노-5-메톡시-1,5-디옥소펜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5 % Pd/C 3.4 g을 MeOH (340 ㎖) 중의 [3β(S),5β,12α]-3-[[5-메톡시-1,5-디옥소-4-[[(페닐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펜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5, 생성물 B) (34.14 g; 5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수소 분위기하 실온에서 3.5시간에 걸쳐 현탁액을 교반하였다. 밀리포어(등록상표) 필터 FH (0.45 ㎛)를 통해 여과시킨 후에 용액을 증발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27.1 g; 49.3 mmol).
수율: 98.6 %
중량 손실 (50 ℃; 고진공): <0.1 %
원소 분석 C H N
계산%: 67.85 9.55 5.10
실측%: 68.58 9.72 5.12
[α]20D=+36.61 (c 2.01, CHCl3)
산 역가 (0.1 M HCl): 94.6 %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B) [3β(S),5β,12α]-3-[[4-[[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1,5-디옥소펜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단계 A)에서 제조한 화합물 (16.0 g; 29.1 mmol) 및 N-(2-브로모에틸)-N-[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글리신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13.3 g; 37.8 mmol) (WO-A-95/32741: 실시예 1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함)를 EtOAc (120 ㎖)에 용해시켰다. pH 8의 2 M 인산염 완충액 (120 ㎖)을 첨가한 후에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고 이어서 수상을 새로운 pH 8의 2 M 인산염 완충액 (120 ㎖)으로 대체하고 70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40 ℃로 가온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분리하고 유기상을 증발시켜 CH2Cl2 (150 ㎖) 중에 용해된 잔류물을 얻고, 이를 물 (2 x 100 ㎖)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2.3 g; 15.0 mmol).
수율: 52 %
원소 분석 C H N
계산%: 65.90 9.46 5.12
실측%: 65.99 9.72 5.03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1:1 = EtOAc/n-헥산 Rf=0.40
검출: 1 M NaOH 중의 1 % KMnO4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C) [3β(S),5β,12α]-3-[[4-[[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5-메톡시-1,5-디옥소펜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tert-부틸 브로모아세테이트 (3.9 g; 20.1 mmol)를 CH3CN 중의 단계 B)에서 제조한 화합물 (11.0 g; 13.4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5 ㎖; 20.1 mmol)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9 ㎖; 4.0 mmol) 및 tert-부틸 브로모아세테이트 (0.8 g; 4.0 mmol)를 더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 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고, 분리하고 유기상을 증발시켜 CH2Cl2 (150 ㎖)에 용해된 잔류물을 얻고, 물 (2 x 100 ㎖)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0.7 g; 11.5 mmol).
수율: 85 %
원소 분석 C H N
계산%: 65.57 9.39 4.50
실측%: 66.27 9.62 4.52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1:1 = EtOAc/n-헥산 Rf=0.46
검출: 1 M NaOH 중의 1 % KMnO4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D) [3β(S),5β,12α]-3-[[4-[[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2 M LiOH 수용액 (120 ㎖)을 실온에서 1,4-디옥산 (120 ㎖) 중의 단계 C)에서 제조한 화합물 (9.2 g; 9.8 mmol) 용액에 적가하였다. 24시간 후에 용액을 농축하고 (100 ㎖) 2 M 수성 HCl (135 ㎖)에 적가하였다: 최종 pH가 1.9이었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H2O (5 x 50 ㎖)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7.3 g; 9.6 mmol).
수율: 98 % 융점: 163-168 ℃
K.F.: 1.81 %
[α]20D = +29.03 (c 1, 1 M NaOH)
HPLC 분석: 100 % (면적%)
고정상: Zorbax Eclipse XDB-C8 3.5 ㎛; 150 x 4.6 ㎜ 칼럼, 록랜드 테크놀로지스 인크 제조
온도: 40 ℃;
이동상: 구배 용출;
A=물 중의 0.01 M KH2PO4, 0.01 M K2HPO4, 0.3 mM EDTA;
B=CH3CN
구배: 분 A% B%
0 93 7
5 93 7
50 60 40
유속: 1 ㎖/분;
검출 (UV): 200 ㎚;
원소 분석 C H N Li Cl
계산%: 60.23 8.06 5.69
실측%: 58.60 8.25 5.49 <0.1 <0.1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E) 나트륨으로 염화된 [3β(S),5β,12α]-3-[[4-[[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망간 착물 (3:1)
단계 D)에서 제조한 화합물 (5.3 g; 7.2 mmol)을 H2O (250 ㎖)에 현탁시키고 pH가 6.5가 될 때까지 1 M NaOH (36 ㎖)를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1 M NaOH (7.9 ㎖)로 pH를 6.5로 유지시키면서 H2O (50 ㎖) 중의 MnCl2·4H2O (1.4 g; 7.2 m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후에 용액을 나노여과로 탈염시킨 후에, 증발시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8 % 융점: >300 ℃
K.F.: 13.54 %
[α]20D = +2.63 (c 2, H2O)
CE 분석: 100 % (면적%)
모세관: 용융 실리카 0.72 m x 50 ㎛
전압: 30 ㎸
완충액: 0.07 M 붕산염, pH 9.3, 0.3 mM EDTA
온도: 25 ℃
정지시간: 20분;
검출 (UV): 200 ㎚;
주입: 유체역학식 (50 mbar, 4초);
시료 농도: 1 ㎎/㎖;
장치: 휴렛 팩커드 3D HPCE
선조건: t(분) 작용
2 H2O로 플러시
2 0.1 M NaOH로 플러시
1 H2O로 플러시
5 완충액으로 플러시
원소 분석 C H N Mn Na Cl
계산%: 51.87 6.35 4.90 6.41 8.05
실측%: 45.50 6.95 4.30 5.28 6.86 <0.1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동일한 방법에서 실시예 2의 화합물 B)로부터 출발하여 [3β(S),5β]-3-[[4-[[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옥소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나트륨으로 염화된 [3α(S),5β,12α]-3-[[[[5-[[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12-히드록시콜란-24-산의 망간 착물 (3: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59
A) N 2 -[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N 2 -[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N 6 -[(페닐메톡시)카르보닐]-L-라이신 메틸 에스테르
CH3CN (25 ㎖)에 용해된 N-(2-브로모에틸)-N-[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글리신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25.6 g; 72.55 mmol) (WO-A-95/32741: 실시예 1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함)를 CH3CN (250 ㎖) 중의 N6-[(페닐메톡시)카르보닐]-L-라이신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20 g; 60.46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2.64 ㎖; 72.55 mmol)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5일 후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7.7 ㎖; 101.6 mmol) 및 tert-부틸 브로모아세테이트 (18.8 g; 13.5 ㎖; 101.6 mmol)를 용액에 더 첨가 하였다. 24시간 후에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2O (200 ㎖)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액을 0.1 M HCl (2 x 100 ㎖)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감압하에서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3.03 g; 19.2 mmol).
수율: 32 %
K.F.: <0.1 %
[α]20D=-22.47 (c 1.93, CHCl3)
원소 분석 C H N
계산%: 61.83 8.45 6.18
실측%: 61.70 8.52 5.84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3:7 = EtOAc/n-헥산 Rf=0.40
검출: 10 % H2SO4 중의 Ce(SO4)2, 4H2O (0.18 %) 및 (NH4)6Mo7O24·4H2O (3.83 %)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B) (3α,5β,7α,12α)-3-[(클로로카르보닐)옥시]-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주의: 모든 조작은 환기가 잘 되는 퓸 후드 내에서 수행해야 한다.
톨루엔 중의 20 % 포스겐 용액 (100 ㎖; 202.2 mmol)을 질소하에서 0 ℃로 냉각시킨 무수 CH2Cl2 (350 ㎖) 중의 (3α,5β,7α,12α)-3,12-디히드록시콜란 -24-산 메틸 에스테르 (14.7 g; 36 mmol) 용액에 적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증발시켜 (주의)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5.2 g; 32.4 mmol).
수율: 90 %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C) [3α(S),5β,12α]-3-[[[[5-[[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6-메톡시-6-옥소헥실]아미노]카르보닐]옥시]-12-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5 % Pd/C (1.3 g)을 MeOH (120 ㎖) 중의 단계 A)에서 제조한 화합물 (12.3 g; 18.1 mmol) 용액에 첨가하고 현탁액을 3시간 동안 실온 수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였다. 밀리포어(등록상표) 필터 (FT 0.45 ㎛)를 통해 여과한 뒤에 용액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무수 CH2Cl2 (20 ㎖)에 용해시키고 질소하의 0 ℃에서 무수 CH2Cl2 (200 ㎖) 중의 단계 B)에서 제조한 화합물 (8.7 g; 18.54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EA) (6.5 ㎖; 37.07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3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H2O (2 x 100 ㎖)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분리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여과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8.6 g; 8.8 mmol).
수율: 49 %
K.F.:<0.1 %
원소 분석 C H N
계산%: 65.07 9.38 4.30
실측%: 65.67 9.52 4.24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3:7 = EtOAc/n-헥산 Rf=0.30
검출: 10 % H2SO4 중의 Ce(SO4)2, 4H2O (0.18 %) 및 (NH4)6Mo7O24·4H2O (3.83 %)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D) [3α(S),5β,12α]-3-[[[[5-[[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12-히드록시콜란-24-산
2 M LiOH (133 ㎖; 266 mmol)를 1,4-디옥산 (130 ㎖) 중의 단계 C)에서 제조한 화합물 (8.5 g; 10.64 mmol)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2 N HCl (120 ㎖)를 첨가하여 pH 7로 중화시켰다. 용액을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부피를 반으로 농축하고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pH 1.5로 매우 천천히 산성화하여 백색 침전물을 얻고 이를 여과하고, H2O (2 x 100 ㎖)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6.45 g; 8.13 mmol).
수율: 76 % 융점: 188.9 ℃
K.F.: 1.44 %
[α]20D= + 35.47 (c 2.01, 1 M NaOH)
HPLC 분석: 96.8 % (면적%)
고정상: Zorbax Eclipse XDB-C8 3.5 ㎛; 150 x 4.6 ㎜ 칼럼, 록랜드 테크놀로지스 인크;
온도: 40 ℃;
이동상: 구배 용출;
A = 물 중의 0.017 M H3PO4;
B = CH3CN
구배: 분 A% B%
0 65 35
25 15 85
30 15 85
유속: 1 ㎖/분;
검출 (UV): 210 ㎚;
원소 분석 C H N Li Cl
계산%: 59.91 8.12 5.37
실측%: 58.44 8.04 5.03 <0.1 <0.1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E) 나트륨으로 염화된 [3α(S),5β,12α]-3-[[[[5-[[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12-히드록시콜란-24-산의 망간 착물 (3:1)
단계 D)에서 제조한 화합물 (5 g; 6.3 mmol)을 H2O (50 ㎖)에 현탁하고 1 M NaOH (18 ㎖; 18 mmol)를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0.559 M의 MnCl2 수용액 (11.27 ㎖; 6.3 mmol)을 3시간에 걸쳐 1M NaOH (7.8 ㎖)로 pH 6.5로 조정하면서 첨가하였다. 용액을 1 M NaOH (0.9 ㎖; 0.9 mmol)로 pH 6.8로 조정하고, 여과하고 (HA 0.45 ㎛ 밀리포어(등록상표) 막) 나노여과에 의해 탈염시켰다. 용액을 증발시키고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5.45 g; 6.05 mmol).
수율: 96 % 융점: >300 ℃
K.F.: 3.78 %
[α]20D = +2.74 (c 2, H2O)
CE 분석: 100 % (면적%)
모세관: 용융 실리카 0.72 m x 50 ㎛
전압: 30 ㎸
완충액: 0.07 M 붕산염, pH 9.3, 0.3 mM EDTA
온도: 25 ℃
정지시간: 20분;
검출 (UV): 200 ㎚;
주입: 유체역학식 (50 mbar, 4초);
시료 농도: 1 ㎎/㎖;
장치: 휴렛 팩커드 3D HPCE
선조건: t(분) 작용
2 H2O로 플러시
2 0.1 M NaOH로 플러시
1 H2O로 플러시
5 완충액으로 플러시
원소 분석 C H N Mn Na Cl
계산%: 52.00 6.49 4.66 6.10 7.66
실측%: 49.54 7.17 4.44 5.65 7.58 <0.1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16
나트륨으로 염화된 N 2 -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N-[(3β,5β,7α,12α)-7,12-디히드록시-24-옥소-24-[(2-술포에틸)아미노]콜란-3-일]-L-글루타민의 가 돌리늄 착물 (3: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60
A) [3β(S),5β,7α,12α]-3-[[4-[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5-(1,1-디메틸에톡시)-1,5-디옥소펜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페닐메틸 에스테르
N,N-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L-글루탐산 1-(1,1-디메틸 에틸)에스테르 (Anelli, P.L. et al. Bioconjugate Chem. 1999, 10, 137) (37 g; 50 mmol), (3β,5β,7α,12α)-3-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페닐메틸 에스테르 (Anelli, P.L.; Lattuada, L.; Uggeri, F. Synth. Commun. 1998, 28, 109) (31 g; 55 mmol) 및 디에틸 시아노포스포네이트 (시판 제품) (9.6 g; 55 mmol; 9.2 ㎖)를 DMF (750 ㎖)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0 ℃로 냉각시키고 Et3N (7.3 ㎖)를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후에 용액을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OAc (300 ㎖)에 용해시키고, 5 % NaHCO3 수용액 (2 x 200 ㎖)으로 세척한 후에 염수 (2 x 200 ㎖)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Na2SO4로 건조시킨 후에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36 g; 29 mmol).
수율: 58 %
K.F.: 0.98 %
원소 분석 C H N
계산%: 65.64 9.21 4.57
실측%: 66.31 9.20 4.51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2:8 = EtOAc/n-헥산 Rf=0.3
검출: AcOH/진한 H2SO4/p-아니스알데히드=100:2:1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B) [3β(S),5β,7α,12α]-3-[[4-[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5-(1,1-디메틸에톡시)-1,5-디옥소펜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트리에틸암모늄 염
5 % Pd/C (3.6 g)을 EtOH (1.5 ℓ) 중의 단계 A)에서 제조한 화합물 (36 g; 29.4 mmol) 용액에 첨가하고 현탁액을 3시간 동안 수소 분위기하의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여과 (밀리포어(등록상표) 필터 FT 0.45 ㎛를 통해) 후에 용액을 감압하에서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22 g; 18 mmol).
수율: 60 % 융점: 58 ℃
K.F.: 1.34 %
원소 분석 C H N
계산%: 65.07 9.86 5.66
실측%: 64.34 10.07 5.48
TLC: 고정상: 실리카겔 평판 60F 254 Merck
용출액: 1:5:95 = Et3N/MeOH/CH2Cl2 Rf=0.33
검출: AcOH/진한 H2SO4/p-아니스알데히드=100:2:1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C) N 2 -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N-[(3β,5β,7α,12α)-7,12-디히드록시-24-옥소-24-[(2-술포에틸)아미노]콜란-3-일]-L-글루타민
0 ℃, 질소 분위기 하에서 Et3N (1.2 g; 12 mmol; 1.7 ㎖)을 DMF (400 ㎖) 중의 화합물 B) (12.5 g; 11 mmol), 2-아미노에탄술폰산 (시판 제품) (1.5 g; 12 mmol) 및 디에틸 시아노포스포네이트 (시판 제품) (2.1 g; 12 mmol; 2 ㎖) 용액에 적가하였다. 20분 후에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실온까지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디옥산 (250 ㎖)에 용해시키고 0.5 M H2SO4 (250 ㎖; 125 mmol) 수용액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90 ℃에서 가열하였다. 용액의 pH를 2 N NaOH로 1.4에서 7로 조정하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H2O (250 ㎖) 및 2 N HCl (12.5 ㎖)에 용해시키고 CH3CN/H2O 구배를 갖는 앰버 라이트(등록상표) XAD-16.00 수지 칼럼을 통해 용출시킴으로써 탈염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5 g; 1.6 mmol).
수율: 14 % 융점: >200 ℃
K.F.: 5.87 %
원소 분석 C H N S
계산%: 53.68 7.44 7.28 3.33
실측%: 50.34 7.71 6.64 2.99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D) 나트륨으로 염화된 N 2 -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N-[(3β,5β,7α,12α)-7,12-디히드록시-24-옥소-24-[(2-술포에틸)아미노]콜란-3-일]-L-글루타민의 가돌리늄 착물 (3:1)
생성물 C) (880 ㎎; 0.915 mmol)를 H2O (50 ㎖)에 용해시키고 pH 6.8에 도달할 때까지 1 N NaOH를 적가하였다. Gd2O3 (165 ㎎; 0.46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50 ℃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밀리포어(등록상표) 장치 (HA 0.45 ㎛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도웩스(Dowex, 등록상표) CCR 3LB 약한 양이온 교환수지 칼럼 (Na+ 형태, 20 ㎖)에 넣었다. 용출액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키고 건조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00 g; 0.75 mmol).
수율: 82 % 융점: >250 ℃
K.F.: 13.95 %
HPLC 측정: 100 % (면적%)
고정상: Lichrospher 100 RP-8 5 ㎛; 250 x 4 ㎜ 칼럼 Merck KGaA;
온도: 40 ℃;
이동상: 미리 혼합된 이동상으로 균등 용출: n-옥틸아민 1 g을 700 ㎖의 물로 혼합된 아세토니트릴 300 ㎖에 첨가하였다. H3PO4로 용액을 pH 6으로 완충하였다;
유속: 1 ㎖/분
검출 (UV): 200 ㎚;
원소 분석 C H N S Gd Na
계산%: 43.78 5.54 5.92 2.71 13.30 5.83
실측%: 36.82 6.04 5.11 2.18 10.64 5.35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N2-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N-[(3β,5β)-24-옥소-24-[(2-술포에틸)아미노]콜란-3-일]-L-글루타민의 가돌리늄 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나트륨으로 염화된 [3α(S),5β]-3-[2-[[5-[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2-옥소에톡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Figure 112001015045123-pct00061
A) (3α,5β)-3-(카르복시메톡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20 ℃에서 벤질 글리코레이트 트리플레이트 (Williams, M. A.; Rapoport, H. J. Org. Chem. 1994, 59, 3616) (16.8 g; 56.3 mmol)를 15분에 걸쳐 무수 CH3CN (400 ㎖) 중의 (3α,5β)-3-히드록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Dayal, B. et al. Steroids 1981, 37, 239) (20 g; 51.2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0 ㎖; 57.4 mmol)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20 ℃에서 4시간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추가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OAc (300 ㎖)와 NaHCO3 포화용액 (300 ㎖)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EtOH (200 ㎖)에 용해시킨 후에 5 % Pd/C (3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하의 실온에서 5시간에 걸쳐 교반하였다. 밀리포어(등록상표) 필터 FH (0.45 ㎛)를 통해 여과한 후에 용액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4.2 g; 31.7 mmol).
수율: 62 %
K.F.: <0.1
원소 분석 C H
계산%: 72.28 9.89
실측%: 71.97 9.81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B) [3α(S),5β]-3-[2-[[5-[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2-옥소에톡시]콜란-24-산
N2,N2-비스[2-[비스[2-(1,1-디메틸에톡시)-2-옥소에틸]아미노]에틸]-L-라이신 (1,1-디메틸에틸) 에스테르 (Anelli, P.L. et al Bioconjugate Chem. 1999, 10, 137) (18.56 g; 25 mmol), (18.6 g; 25 mmol), 화합물 A) (11.2 g; 25 mmol) 및 디에틸 시아노포스페이트 (시판 제품) (4.9 g; 28 mmol)을 DMF (300 ㎖)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0 ℃로 냉각시키고 Et3N (4 ㎖)을 적가하였다. 6시간 후에 실온에서 용액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OAc (250 ㎖)에 용해시키고, 5 % NaHCO3 수용액 (2 x 100 ㎖)으로 세척한 후에 염수 (2 x 100 ㎖)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Na2SO4로 건조시킨 후에 감압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디옥산 (300 ㎖)에 용해시키고 0.5 M H2SO4 수용액 (300 ㎖; 150 mmol)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90 ℃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2 N NaOH로 용액의 pH를 7로 조정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H2O (300 ㎖) 및 2 N HCl (30 ㎖)에 용해시키고 CH3CN/H2O 구배로 앰버라이트(등록상표) XAD-16.00 수지 칼럼을 통해 용출함으로써 탈염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9.03 g; 10.25 mmol).
수율: 41 %
K.F.: 2.78 %
원소 분석 C H N
계산%: 59.98 8.24 6.36
실측%: 58.11 8.28 6.14
1H-NMR, 13C-NMR,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C) 나트륨으로 염화된 [3α(S),5β]-3-[2-[[5-[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2-옥소에톡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pH 6.8에 도달할 때까지 1 N NaOH를 첨가함으로써 생성물 B) (5 g; 5.67 mmol)을 H2O (200 ㎖)에 용해시켰다. Gd2O3 (1.03 g; 2.84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50 ℃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밀리포어(등록상표) 장치 (HA 0.45 ㎛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건조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5.74 g; 5.21 mmol).
수율: 92 % 융점: >250 ℃
K.F.: 5.81 %
원소 분석 C H N Gd Na
계산%: 47.99 6.04 5.09 14.28 6.26
실측%: 45.09 6.15 4.77 13.39 5.81
IR 및 MS 스펙트럼은 나타낸 구조와 일치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5의 화합물 A)로부터 출발하여 [3α(S),5β]-3-[2-[[5-[[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2-옥소에톡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을 제조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5의 화합물 A) 및 (3β,5β,7α,12α)-3-[(3-카르복시-1-옥소프로필)아미노]-7,12-디히드로콜란-24-산 메틸 에스테르 (WO-A-95/32741: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함)로부터 출발하여 [3β(S),5β,7α,12α]-3-[[4-[[5-[[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1,4-디옥소부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이완 속도의 측정 (△1/T 1 )
투여후 경과 시간에 대한 세로방향 이완 속도 1/T1의 진행을 플롯팅함으로써 혈액 저류제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미리 결정된 시간에서 선택된 혈액 샘플의 양성자 이완 속도 1/T1은 "역전 회복" 3개의 파라미터 서열을 사용하여 브룩커 미니스펙(Brucker Minispec) PC120 장치로 39 ℃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인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된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을 0.1 mmol/㎏의 투여량으로 토끼에게 투여하였다. 도표 (도 1)는 이완 속도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9에서 제조된 화합물인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된 [3β,5β,7α,12α]-3-[[N-[N-[2-[[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N-(카르복시메틸)글리실]글리실]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2:1)을 0.1 mmol/㎏의 투여량으로 토끼에게 투여하였다. 도표 (도 2)는 이완 속도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국제 특허 공개 제95/32741호의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화합물인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된 [3β(S),5β,7α,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을 0.1 mmol/㎏의 투여량으로 토끼에게 투여하였다. 도표 (도 3)는 이완 속도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화합물인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된 [3β(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을 0.05 mmol/㎏의 투여량으로 원숭이에게 투여하였다. 도표 (도 4)는 이완 속도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실시예 19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된 [3β(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의 0.3 M 제약 제제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된 [3β(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3:1) (실시예 4에 예시한 것과 같이 제조함) 31.775 ㎏ 및 트로메타몰 히드로클로라이드 100 g을 실온에서 제약용 스테인레스강 반응기 내의 멸균수 100 ℓ에 용해시켰다. 용해시킨 후에 1 M 트로메타몰을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7.4로 조정하였다. 용액을 직경 0.22 ㎜의 필터를 통해 멸균 여과하고 할로부틸 마개로 닫혀지는 20 ㎖ 바이알에 나누어 담고 알루미늄 링으로 봉하여 Fo=18에서 증기 멸균시켰다. HPLC에서 0.294 M 역가를 얻었다.
실시예 20
실시예 19의 제제를 함유한 미리 충전된 플라스틱 주사기
실시예 19에서 제조된 용액의 20 ㎖ 부분을 캡으로 닫혀지는 팁을 갖는 CZ 플라스틱 주사기에 넣었다. 피스톤을 진공 하에 삽입하고, 미리 충전된 주사기를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하여 Fo=18의 값을 얻었다.

Claims (29)

  1. 화학식 I의 화합물과 Fe(2+), Fe(3+), Cu(2+), Cr(3+), Gd(3+), Eu(3+), Dy(3+), Yb(3+) 및 Mn(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 내지 3가 상자성 금속 이온의 킬레이트된 착물, 또는 1차, 2차, 3차 아민 및 염기성 아미노산에서 선택된 생리학상 상용 가능한 유기 염기, 또는 양이온이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무기 염기와의 상기 착물의 염을 포함하는, 핵 자기 공명을 이용하여 사람과 동물 신체의 혈액계의 영상을 얻기 위한 진단 제제.
    <화학식 I>
    X-L-Y
    식 중,
    X는 에틸렌디아미노테트라아세트산 (EDTA), 디에틸렌트리아미노펜타아세트산 (DTPA), 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10-테트라아세트산 (DOTA), 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트리아세트산 (DO3A), [10-(2-히드록시프로필)-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트리아세트산 (HPDO3A), 4-카르복시-5,8,11-트리스(카르복시메틸)-1-페닐-2-옥사-5,8,11-트리아자트리데칸-13-산 (BOPT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아미노카르복실 리간드 또는 그의 유도체의 잔기이고,
    Y는 콜산, 케노데옥시콜산, 데옥시콜산, 우르소데옥시콜산, 리토콜산의 잔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담즙산의 유도체 그 자체, 및 최종 생성물의 입체 화학과는 독립적으로 반응기로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위치에서 관능화된 것 모두이고,
    Figure 112004058995655-pct00062
    상기 유도체는 또한 24 위치에 타우린 및 글리신을 갖는 산 기의 짝염기를 포함하고,
    L은 임의로는 아미드기로 변형되는 하나의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X의 임의 위치 및 Y의 C-3, C-7, C-12 위치에 연결된 하기 화학식 II의 사슬이고,
    <화학식 II>
    Figure 112004058995655-pct00063
    식 중,
    m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여기에서 1 이상의 값일 경우, A는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고,
    A는 하기 화학식 III이고,
    <화학식 III>
    Figure 112004058995655-pct00064
    n 및 q는 0 또는 1일 수 있되, 동시에 0은 아니고,
    p는 0 내지 10일 수 있고,
    Z는 산소 원자 또는 -NR 기이고, 여기에서 R은 수소 원자, 또는 비치환되거나 -COOH기로 치환된 (C1-C5)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착물이 가돌리늄 또는 망간 이온으로 형성된 것인 진단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 사슬 L이 하기 화학식 IIIa 및 IIIb의 구조를 갖는 것인 진단 제제.
    <화학식 IIIa>
    Figure 112004058995655-pct00065
    <화학식 IIIb>
    Figure 112004058995655-pct00066
  4. 제1항에 있어서, Z가 산소 원자이고, 따라서 L이 최종 생성물의 입체 화학과는 독립적으로 3, 7, 12 위치에 존재하는 히드록시기를 통해 형성되는 것인 진단 제제.
  5. 제3항에 있어서,
    잔기 X가 EDTA, DTPA, DOTA, DO3A, BOP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이 화학식 IIIa 및 III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Y가 3 위치에서 아미노기에 의해 L에 연결된 콜산, 데옥시콜산, 케노데옥시콜산, 리토콜산의 잔기 그 자체 또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가 케토기로 변형된 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24 위치의 산 기가 그대로 또는 그의 타우린 또는 글리신 유도체로 존재하고;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착물이 가돌리늄 또는 망간 이온으로 형성되고, 중성화에 적절한 유기 염기의 양이온이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모르폴린, 글루카민, N-메틸글루카민, N,N-디메틸글루카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무기 염기의 양이온이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진단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에서 잔기 X가 중심 사슬상에 치환된 DTPA이고, R1이 수소 원자 또는 -COOH기이고, Y가 콜산, 데옥시콜산, 케노데옥시콜산 및 리토콜산 잔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이 화학식 III의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진단 제제.
    <화학식 IV>
    Figure 112006096004278-pct00067
  7. 제6항에 있어서, R1이 -COOH기이고, Y가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L이 화학식 IIIa 및 IIIb의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IVa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진단 제제.
    <화학식 IVa>
    Figure 112006096004278-pct00068
    <화학식 IIIa>
    Figure 112006096004278-pct00086
    <화학식 IIIb>
    Figure 112006096004278-pct00087
  8. 제7항에 있어서,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콜란-24-산,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콜란-24-산,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옥소콜란-24-산,
    [3β(S),5β,7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7-히드록시콜란-24-산,
    N2-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N-[(3β,5β)-24-옥소-24-[(2-술포에틸)아미노]콜란-3-일]-L-글루타민,
    N2-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N-[(3β,5β,7α,12α)-7,12-디히드록시-24-옥소-24-[(2-술포에틸)아미노]-콜란-3-일]-L-글루타민,
    [3β(S),5β,7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7-히드록시콜란-24-산,
    [3β(R),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3β(R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3β(RS),5β,7α,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3β(S),5β,7α,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3α(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콜란-24-산,
    [3β(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및
    [3α(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학식 IVa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진단 제제.
  9. 제6항에 있어서, Y가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L이 화학식 IIIa의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IVb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진단 제제.
    <화학식 IVb>
    Figure 112006096004278-pct00069
    <화학식 IIIa>
    Figure 112006096004278-pct00088
  10. 제9항에 있어서,
    (3β,5β,7α,12α)-3-[[[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3β,5β)-3-[[[[[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콜란-24-산,
    (3β,5β,7α,12α)-3-[[[[[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및
    (3β,5β,7α,12α)-3-[[6-[[[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아세틸]아미노]-1-옥소헥실]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학식 IVb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진단 제제.
  11. 제5항에 있어서, 화학식 I에서 잔기 X가 DTPA이고, Y가 콜산, 데옥시콜산, 케노데옥시콜산 및 리토콜산 잔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이 화학식 IIIa의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진단 제제.
    <화학식 V>
    Figure 112006096004278-pct00070
  12. 제11항에 있어서,
    (3β,5β,7α,12α)-3-[[N-[N-[2-[[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N-(카르복시메틸)글리실]글리실]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및
    18-[[(3β,5β,7α,12α)-23-카르복시-7,12-히드록시-24-노르콜란-3-일]아미노]-3,6,9-트리스(카르복시메틸)-11,18-디옥소-3,6,9,12-테트라아자옥타데칸산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학식 V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진단 제제.
  13. 제5항에 있어서, 화학식 I에서 잔기 X가 DO3A이고, Y가 콜산, 데옥시콜산, 케노데옥시콜산 및 리토콜산 잔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이 화학식 IIIa 및 IIIb의 구조에서 선택된 하기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진단 제제.
    <화학식 VI>
    Figure 112006096004278-pct00089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에서 잔기 X가 EDTA이고, Y가 콜산, 데옥시콜산, 케노데옥시콜산 및 리토콜산 잔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이 화학식 III의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V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진단 제제.
    <화학식 VII>
    Figure 112006096004278-pct00085
  16. 제15항에 있어서,
    [3α(S),5β,12α]-3-[[[[5-[[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12-히드록시콜란-24-산,
    [3β(S),5β,7α,12α]-3-[[4-[[5-[[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1,4-디옥소부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3β(S),5β]-3-[2-[[5-[[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2-옥소에톡시]콜란-24-산,
    [3β(S),5β,12α]-3-[[4-[[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 및
    [3β(S),5β]-3-[[4-[[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카르복시메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옥소콜란-24-산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학식 V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진단 제제.
  17. 제1항 내지 제13항,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킬레이트된 착물 염이 나트륨 및 N-메틸글루카민으로 형성되는 것인 진단 제제.
  18.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시킨 [3β(S),5β]-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로 염화시킨 [3β(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및
    나트륨으로 염화시킨 [3β(RS),5β,12α]-3-[[4-[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카르복시-1-옥소부틸]아미노]-12-히드록시콜란-24-산의 가돌리늄 착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하나 이상의 제18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핵 자기 공명을 이용하여 사람과 동물 신체의 혈액계의 영상을 얻기 위한 조영술에 의한 진단용 제약 조성물.
  25. 제24항에 있어서, 트로메타몰 및 글리실글리신으로부터 선택된 생리학상 허용 가능한 완충액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제1항에 있어서,
    [3α(S),5β,7α,12α]-3-[[[[5-[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카르보닐]옥시]-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3α(S),5β]-3-[2-[[5-[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2-옥소에톡시]콜란-24-산,
    [3β(S),5β,7α,12α]-3-[[4-[[5-[비스[2-[비스(카르복시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5-카르복시펜틸]아미노]-1,4-디옥소부틸]아미노]-7,12-디히드록시콜란-24-산, 및
    10-[3-[[(3α,5β,7α,12α)-23-카르복시-7,12-디히드록시-24-노르콜란-3-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트리아세트산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진단 제제.
KR1020017007945A 1998-12-23 1999-12-16 핵 자기 공명 진단용 혈액 저류제 KR100736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8A002802 1998-12-23
IT1998MI002802A IT1304501B1 (it) 1998-12-23 1998-12-23 Uso di derivati di acidi biliari coniugati con complessi metallicicome "blood pool agents" per l'indagine diagnostica tramite risonanz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889A KR20010099889A (ko) 2001-11-09
KR100736298B1 true KR100736298B1 (ko) 2007-07-06

Family

ID=1138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945A KR100736298B1 (ko) 1998-12-23 1999-12-16 핵 자기 공명 진단용 혈액 저류제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461588B1 (ko)
EP (2) EP1140209B1 (ko)
JP (1) JP4733271B2 (ko)
KR (1) KR100736298B1 (ko)
CN (2) CN1263515C (ko)
AT (1) ATE405296T1 (ko)
AU (1) AU773876B2 (ko)
CA (1) CA2355888C (ko)
CZ (1) CZ302195B6 (ko)
DE (1) DE69939398D1 (ko)
HK (1) HK1042432B (ko)
HU (1) HU228048B1 (ko)
IL (2) IL143730A0 (ko)
IT (1) IT1304501B1 (ko)
MX (1) MXPA01006344A (ko)
NO (1) NO322551B1 (ko)
PL (1) PL196474B1 (ko)
RU (2) RU2250765C2 (ko)
WO (1) WO2000038738A1 (ko)
ZA (1) ZA2001048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19763B (ko) 1995-02-01 1997-11-11 Epix Medical Inc
IL134985A0 (en) 1997-10-02 2001-05-20 Epix Medical Inc A method for contrast enhanced diagnostic imaging
IT1317862B1 (it) * 2000-02-29 2003-07-15 Bracco Spa Coniugati di acidi biliari con chelati complessi di ioni metallici eloro uso.
IT1318485B1 (it) * 2000-04-21 2003-08-25 Bracco Spa Uso di derivati di acidi biliari coniugati con complessi di ionimetallici nella visualizzazione diagnostica di sistemi microvascolari
US6900192B2 (en) * 2000-10-06 2005-05-31 Xenoport, Inc. Bile-acid conjugates for providing sustained systemic concentrations of drugs
EP1229041A1 (en) * 2001-02-05 2002-08-07 Bracco Imaging S.p.A.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Glutamido bile ester derivatives using N-tBoc methyl pyroglutamate
US7053076B2 (en) 2001-08-29 2006-05-30 Xenoport, Inc. Bile-acid derived compounds for enhancing oral absorption and systemic bioavailability of drugs
EP1302465A1 (en) * 2001-10-11 2003-04-16 BRACCO IMAGING S.p.A. Enhanced substrate imaging by reversible binding to a paramagnetic complex
US7850947B2 (en) 2003-01-13 2010-12-14 Bracco Imaging S.P.A. Gastrin releasing peptide compounds
US7922998B2 (en) 2003-01-13 2011-04-12 Bracco Imaging S.P.A. Gastrin releasing peptide compounds
US7226577B2 (en) 2003-01-13 2007-06-05 Bracco Imaging, S. P. A. Gastrin releasing peptide compounds
US8420050B2 (en) * 2003-01-13 2013-04-16 Bracco Imaging S.P.A. Gastrin releasing peptide compounds
US7611692B2 (en) 2003-01-13 2009-11-03 Bracco Imaging S.P.A. Gastrin releasing peptide compounds
AU2003303714B2 (en) * 2003-01-13 2009-02-19 Bracco Imaging S.P.A. Improved linkers for radiopharmaceutical compounds
KR20060121244A (ko) * 2003-12-24 2006-11-28 브라코 이미징 에스.피.에이. 개선된 가스트린 방출 펩티드 화합물
CN101827631B (zh) 2007-07-11 2013-04-24 得克萨斯系统大学董事会 用于成像中的粒子和标记物
CN101845112B (zh) * 2010-06-02 2011-09-14 华东理工大学 一种基于高分子纳米粒子的高灵敏性核磁共振成像造影剂的制备方法
MX356514B (es) 2011-01-20 2018-05-30 Univ Texas Marcadores de formación de imagen por resonancia magnética, sistemas de suministro y extracción, y métodos de fabricación y uso de los mismos.
EP2822605A1 (en) 2012-03-05 2015-01-14 Bracco Imaging S.p.A Dynamic contrast enhanced mri method and agents for the assessment of the macromolecular transport within pathologic tissues
CN102766188B (zh) * 2012-07-24 2016-01-13 上海交通大学 胆固醇衍生物、螯合物、重组高密度脂蛋白及其用途
GB201421163D0 (en) * 2014-11-28 2015-01-14 Ge Healthcare As Formulations of metal complexes
US10093741B1 (en) 2017-05-05 2018-10-09 Fusion Pharmaceuticals Inc. IGF-1R monoclonal antibodies and uses thereof
AU2018261890A1 (en) 2017-05-05 2019-11-28 Centre For Prob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IGF-1R monoclonal antibodies and uses thereof
BR112019023246B1 (pt) 2017-05-05 2023-11-14 Centre For Prob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Compostos compreendendo uma fração quelante, métodos para produção dos mesmos e usos dos mesmos
CN112424214A (zh) * 2018-05-30 2021-02-26 川斯勒佰尔公司 包含甾族部分的阳离子脂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2741A1 (en) * 1994-05-26 1995-12-07 Bracco S.P.A. Bile acid conjugates, derivatives thereof with metal complexes and related us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13029B (it) * 1986-01-30 1989-12-07 Bracco Ind Chimica Spa Chelati di ioni metallici paramagnetici.
US5057302A (en) * 1987-02-13 1991-10-15 Abbott Laboratories Bifunctional chelating agents
US5227474A (en) * 1987-02-13 1993-07-13 Abbott Laboratories Bifunctional chelating agents
DE3930696A1 (de) * 1989-09-14 1991-03-28 Hoechst Ag Gallensae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verwendung als arzneimittel
NO940115D0 (no) * 1994-01-13 1994-01-13 Nycomed Imaging As Kontrastmidler for roentgen- og magnettomografisk avbildning
DE69534990T2 (de) * 1994-04-20 2006-10-05 Amersham Health Salutar Inc. Kontrastmittel
JPH11116542A (ja) * 1997-10-06 1999-04-27 Sogo Pharmaceut Co Ltd γ−グルタミン酸アミド類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2741A1 (en) * 1994-05-26 1995-12-07 Bracco S.P.A. Bile acid conjugates, derivatives thereof with metal complexes and related 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33695A (zh) 2002-01-30
HUP0104715A2 (hu) 2002-04-29
NO20013154D0 (no) 2001-06-22
EP1140209A1 (en) 2001-10-10
CZ20012330A3 (cs) 2002-01-16
EP1935435A3 (en) 2009-01-21
NO322551B1 (no) 2006-10-23
EP1140209B1 (en) 2008-08-20
CA2355888A1 (en) 2000-07-06
EP1935435B1 (en) 2017-09-06
MXPA01006344A (es) 2002-06-04
EP1935435A2 (en) 2008-06-25
HU228048B1 (en) 2012-09-28
JP4733271B2 (ja) 2011-07-27
AU1980700A (en) 2000-07-31
JP2002533420A (ja) 2002-10-08
PL196474B1 (pl) 2008-01-31
WO2000038738A1 (en) 2000-07-06
ATE405296T1 (de) 2008-09-15
KR20010099889A (ko) 2001-11-09
DE69939398D1 (de) 2008-10-02
RU2004127136A (ru) 2006-02-27
NO20013154L (no) 2001-08-23
ITMI982802A1 (it) 2000-06-23
RU2250765C2 (ru) 2005-04-27
IT1304501B1 (it) 2001-03-19
CN1263515C (zh) 2006-07-12
RU2395490C2 (ru) 2010-07-27
CN1854122A (zh) 2006-11-01
CA2355888C (en) 2009-02-24
HUP0104715A3 (en) 2005-11-28
US6461588B1 (en) 2002-10-08
HK1042432B (zh) 2007-01-26
AU773876B2 (en) 2004-06-10
PL349488A1 (en) 2002-07-29
HK1042432A1 (en) 2002-08-16
IL143730A (en) 2007-09-20
IL143730A0 (en) 2002-04-21
CN100450996C (zh) 2009-01-14
ZA200104820B (en) 2002-06-13
CZ302195B6 (cs)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298B1 (ko) 핵 자기 공명 진단용 혈액 저류제
JP4108120B2 (ja) 胆汁酸抱合体、それらの金属錯体との誘導体、及び関連する使用方法
JP5052726B2 (ja) 金属イオンキレートとの胆汁酸複合体及びその使用
EP0703790B1 (en) Iodinated paramagnetic chelates, and their use as contrast agents
EP1153029A2 (en) Amphipatic polycarboxylic chelates and complexes with paramagnetic metals as mri contrast agents
KR100376950B1 (ko) 대환식킬레이트제,이들의킬레이트및진단분야에서의이의용도
KR20080027397A (ko) 극성 라디칼과의 퍼플루오로알킬 함유 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