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648B1 - 엔진 구동식 발전기 - Google Patents

엔진 구동식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648B1
KR100735648B1 KR1020067000513A KR20067000513A KR100735648B1 KR 100735648 B1 KR100735648 B1 KR 100735648B1 KR 1020067000513 A KR1020067000513 A KR 1020067000513A KR 20067000513 A KR20067000513 A KR 20067000513A KR 100735648 B1 KR100735648 B1 KR 100735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duct member
generator
frame
intak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0667A (ko
Inventor
도시후미 고치
다다후미 히로세
류지 츠루
쇼우헤이 가사기
유지 시마다
다케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73029A external-priority patent/JP41881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730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303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730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233946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02B63/04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the engine-generator unit being placed on a frame or in an housing
    • F02B63/047Movable engine-generator combinations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3)과 발전기(4)를 프레임(2)에 지지시켜 구성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에 있어서, 프레임(2)은 주위를 개방한 틀형태로 구성하고, 이 프레임(2) 안에서 엔진(3) 및 발전기(4) 외주에 이들과의 사이에 일련의 냉각풍 통로(32)를 구획하는 덕트 부재(31)를 배치하는 동시에 냉각풍 통로(32)에 엔진(3)에 의해 구동되는 냉각팬(26)을 설치하여 덕트 부재(31)의 상류단에는 외측단에 흡기구(38)를 가지며 전장품(53, 55)을 수용하는 흡기 박스(34)를 접속하고, 또한 덕트 부재(31)의 타단에는 외측단에 배기구(73)를 가지며 엔진(3)의 배기 머플러(74)를 수용하는 배기 박스(68)를 접속하였다. 이렇게 하여, 소형이면서 또한 운전 소음의 저감을 가능하게 한 엔진 구동식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 구동식 발전기{ENGINE-DRIVEN ELECTRIC GENERATOR}
본 발명은 엔진과, 이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프레임에 지지시켜 구성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엔진 구동식 발전기는 예컨대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36880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러한 엔진 구동식 발전기는 건설 작업 현장이나 옥외에서 임시 전원 등으로서 널리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 환경이나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그 운전 소음을 아주 낮게 억제하는 것이 종종 요구된다.
그래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엔진 구동식 발전기에서는, 프레임 자체를 엔진, 발전기 및 이들 부속 기기를 덮는 소음 차단 케이스에 구성하여 운전 소음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지만, 상기 소음 차단 케이스에 의해 엔진 구동식 발전기 전체가 대형화할 뿐만 아니라 중량 증가가 불가피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프레임은 주위를 개방한 틀형으로 구성하여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운전 소음의 저감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엔진 구동식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엔진과, 이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프레임에 지지시켜 구성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주위를 개방한 틀형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이 프레임 안에서 상기 엔진 및 발전기의 외주에 엔진과 발전기 사이에서 일련의 냉각풍 통로를 구획하는 덕트 부재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풍 통로에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이 냉각풍 통로에서 덕트 부재의 상류단측으로부터 하류단측을 향하는 냉각풍을 발생시키는 냉각팬을 설치하여 상기 덕트 부재의 상류단에는 외측단에 흡기구를 가지며 전장품(電裝品)을 수용하는 흡기 박스를 접속하고, 또한 상기 덕트 부재의 타단에는 외측단에 배기구를 가지며 상기 엔진의 배기 머플러를 수용하는 배기 박스를 접속한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징에 부가하여 상기 흡기 박스 및 배기 박스를 팽창 소음실로 구성한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특징에 부가하여 상기 덕트 부재의 상부에는 그 전 길이에 걸쳐 그 상면을 덮는 연료 탱크를 배치한 것을 제3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 특징에 부가하여 상기 엔진 및 발전기의 조립체를 상기 프레임에 탄성 지지시키는 동시에 그 조립체에 상기 덕트 부재를 고정 지지시키는 한편, 상기 흡기 박스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지지시키고, 상기 덕트 부재 및 흡기 박스 사이를 이들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시일 부재를 매개로 하여 접속한 것을 제4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특징에 부가하여 상기 발전기는 상기 엔진의 크랭크축에 한쪽만 지지되는 외측 로터를 구비하는 자석 발전기로 구성하고, 그 외측 로터의 외측 단부면에 상기 냉각팬을 부착한 것을 제5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징에 부가하여 상기 엔진의 흡기량 제어 장치 및 그 흡기를 정화하는 에어클리너를 상기 덕트 부재의 외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그 에어클리너의 공기 입구를 상기 흡기 박스에 접속한 것을 제6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징에 부가하여 상기 덕트 부재의 상류단은 흡기구를 갖는 흡기 박스에 접속하고, 상기 엔진의 에어클리너를 상기 덕트 부재의 외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이 에어클리너의 공기 입구관을 상기 흡기 박스에 접속한 것을 제7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 특징에 부가하여 상기 엔진 및 발전기의 조립체를 상기 프레임에 탄성 지지시키는 동시에 그 조립체에 상기 덕트 부재 및 상기 에어클리너를 고정 지지시키는 한편, 상기 흡기 박스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지지시키고, 상기 덕트 부재 및 흡기 박스 사이를, 이들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제1 시일 부재를 매개로 하여 접속하며, 또한 상기 흡기 박스 및 상기 에어클리너의 공기 입구관 사이를, 이들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제2 시일 부재를 매개로 하여 접속한 것을 제8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 특징에 부가하여 상기 엔진 및 발전기의 조립체를 상기 프레임에 탄성 지지시키고, 그 조립체에 상기 덕트 부재를 고정 지지시키는 한편, 상기 에어클리너 및 흡기 박스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지지시키고, 상기 덕트 부재 및 흡기 박스 사이를, 이들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제1 시일 부재를 매개로 하여 접속하며, 또한 상기 엔진 및 에어클리너 사이를, 이들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탄성 연통 튜브를 매개로 하여 접속한 것을 제9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 내지 제9 특징 중 어느 하나에 부가하여 상기 엔진의 실린더부를 크랭크 케이스의 일측방에 경사지게 위치시키고, 이 실린더부의 아래쪽에 상기 엔진의 크랭크축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에어클리너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한 것을 제10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 내지 제9 특징 중 어느 하나에 부가하여 상기 흡기 박스 안에서, 그 흡기 박스의 상기 덕트 부재와의 접속부와 상기 흡기구 사이에 전장품을 설치한 것을 제11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 내지 제9 특징 중 어느 하나에 부가하여 상기 덕트 부재의 하류단을, 배기구를 갖는 배기 박스에 접속하고, 이 배기 박스에 상기 엔진의 배기 머플러를 배치한 것을 제12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징에 부가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엔진을 탄성 지지시키고, 상기 프레임 안에서 상기 엔진 및 발전기에 이들과의 사이에 일련의 냉각풍 통로를 구획하는 덕트 부재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이 냉각풍 통로에 냉각풍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냉각팬을 상기 냉각풍 통로에 배치하고, 흡기구를 가지며 전장품을 수용하는 흡기 박스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켜 부착하고, 이 흡기 박스와 상기 덕트 부재의 상류부를, 이들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제1 시일 부재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통하도록 접속한 것을 제13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3 특징에 부가하여 상기 덕트 부재의 상류단부를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전장품에 근접시키기 위해 상기 흡기 박스 안에 들어가도록 배치한 것을 제14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3 또는 제14 특징에 부가하여 상기 엔진의 리코일식 스타터를 그것의 로프 풀리가 상기 흡기 박스 내로 들어가도록 배치하고, 이 로프 풀리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스타터 로프를 상기 흡기 박스의 일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하여 그 외측단에 조작 손잡이를 접속한 것을 제15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3 또는 제14 특징에 부가하여 상기 엔진의 에어클리너를 상기 덕트 부재의 외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그 에어클리너의 공기 입구와 상기 흡기 박스를, 이들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제2 시일 부재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통하도록 접속한 것을 제16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엔진 운전 중에 덕트 부재 안의 냉각팬의 회전에 의해 외기가 냉각풍으로서 흡기 박스에 인입되고, 덕트 부재 안, 즉 냉각풍 통로를 흘러 배기 박스 안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그 사이에 흡기 박스 안에서는 전장품을 냉각시키고, 또한 덕트 부재 안에서는 엔진 및 발전기를 냉각시키며, 배기 박스 안에서는 배기 머플러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덕트 부재는 엔진, 발전기 및 냉각팬이 발생시키는 작동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벽으로서도 기능하므로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정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덕트 부재 및 흡기, 배기 박스는 개방된 틀형 프레임에 부착되기 때문에, 엔진 구동식 발전기 전체를 방음벽으로 덮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소형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덕트 부재 이외에 기화기나 에어클리너 등의 보강 배치가 가능하여 이들의 유지 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엔진, 발전기 및 냉각팬의 작동 소음이 덕트 부재의 상류단 및 하류단으로부터 흡기 박스 및 배기 박스로 전달되더라도 흡기 박스 및 배기 박스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 소음을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정숙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연료 탱크가 덕트 부재와 함께 엔진 및 발전기의 상부를 덮는 2중 방음벽을 구성하게 되고, 엔진 및 발전기의 작동 소음이 위쪽으로 새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 간단한 구조로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정숙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엔진 운전 중에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엔진 및 프레임 사이의 탄성 지지부에 흡수시켜 프레임으로의 진동 전달을 방지하거나 또는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의 진동이 그것에 고정되는 덕트 부재에 전달되더라도 그 진동을 상기 시일 부재에 흡수시켜 흡기 박스로의 전달을 막을 수 있고, 따라서, 흡기 박스로부터 덕트 부재로의 냉각풍의 유통을 누설 없이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크랭크축에 한쪽만 지지되는 외측 로터가 넓은 외측 단부면을 이용하여 덕트 부재의 직경에 대응하는 대직경의 냉각팬을 간단히 부착할 수 있어 엔진 및 발전기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엔진의 흡기 행정시에는 흡기 박스 안의 공기가 에어클리너 및 흡기량 제어 장치를 통해 엔진으로 흡입됨으로써, 엔진의 흡기 소음도 흡기 박스에 의해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고,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정숙성 향상에 한층 더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르면, 엔진, 발전기 및 냉각팬의 작동 소음이 덕트 부재의 상류단으로부터 흡기 박스에 전달되더라도 흡기 박스에 의해 상기 작동 소음을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고, 또한, 엔진의 흡기 행정시에는 흡기 박스 안의 공기가 에어클리너를 통해 엔진으로 흡입됨으로써, 엔진의 흡기 소음도 흡기 박스에 의해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어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정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따르면, 엔진 운전중의 진동을 엔진 및 프레임 사이의 탄성 지지부에 흡수시켜 프레임으로의 진동 전달을 방지하거나 또는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진동이 그것에 고정된 덕트 부재에 전달되더라도 그 진동을 제1 및 제2 시일 부재에 흡수시켜 흡기 박스로의 전달을 막을 수 있고, 따라서, 흡기 박스로부터 덕트 부재 및 에어클리너로의 공기의 유통을 누설 없이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따르면, 엔진 운전중의 진동을 엔진 및 프레임 사이의 탄성 지지부에 흡수시켜 프레임으로의 진동 전달을 방지하거나 또는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진동에 따른 덕트 부재 및 흡기 박스 사이의 상대 변위를 시일 부재의 변형에 의해 흡수시켜 흡기 박스로의 진동 전달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엔진 및 에어클리너 사이의 진동에 따른 상대 변위는 탄성 연통 튜브의 변형으로 흡수시킬 수 있고, 따라서, 에어클리너의 공기 입구관을 흡기 박스에 일체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조의 간소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특징에 따르면,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무게 중심을 낮추면서 비교적 대용량의 에어클리너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특징에 따르면, 흡기 박스 안을 흐르는 냉각풍에 의해 전장품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 전장품이 흡기 박스 안에서 차음 격벽이 되어 흡기 박스의 소음(消音)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 특징에 따르면, 배기 박스 안에서 배기 머플러를 냉각시키는 동시에 배기 소음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3 특징에 따르면, 엔진의 운전 중에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엔진 및 프레임 사이의 탄성 지지부에 흡수시켜 프레임으로의 진동 전달을 방지하거나 또는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진동이 엔진에 고정된 덕트 부재에 전달되더라도 그 진동을 제1 시일 부재에 흡수시켜 흡기 박스로의 전달을 막을 수 있고, 따라서, 흡기 박스로부터 덕트 부재로의 공기의 유통을 누설 없이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4 특징에 따르면, 덕트 부재의 상류단부를 전장품에 근접시킴으로써, 그 전장품 주위의 공기가 덕트 부재에 효과적으로 흡입되게 되고, 상기 전장품이 비교적 고온이 되기 쉬운 것이더라도 그것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5 특징에 따르면, 조작 손잡이가 배치되는 흡기 박스의 외측 부분은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거의 최외측 부분에 맞닿게 되고, 조작 손잡이의 견인 조작을 다른 것에 간섭받지 않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시동 조작성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6 특징에 따르면, 엔진의 흡기 행정시에는 흡기 박스 안의 공기가 에어클리너를 통해서 엔진으로 흡입됨으로써, 엔진의 흡기 소음도 흡기 박스에 의해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어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정숙성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진동이 에어클리너에 전달되더라도 그 진동을 제2 시일 부재에 흡수시켜 흡기 박스로의 전달을 막을 수 있고, 따라서, 흡기 박스로부터 에어클리너로의 공기의 유통을 누설 없이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구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제1, 제2 흡기 루버(38a, 38b)에, 상기 배기구는 배기 루버(73)에, 상기 전장품은 제어 유닛(53) 및 인버터(54)에 각각 대응하고, 또한 상기 시일 부재는 제1 시일 부재(41)에, 상기 흡기량 제어 장치는 기화기(44)에 각각 대응한다.
본 발명의 상기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을 따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는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측면도로서 이동용 핸들을 사 용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이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평면도.
도 3은 이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정면도.
도 4는 이동용 핸들을 수납 상태로 했을 경우의 이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정면도.
도 5는 흡기 박스의 박스 본체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이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정면도.
도 6은 이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배면도.
도 7은 배기 박스의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한 이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배면도.
도 8은 이 엔진 구동식 발전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3의 9-9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10-10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도 3의 11-11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12-12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3은 도 2의 13-13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14-14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는 도 1의 이동용 핸들부의 확대도.
도 16은 도 15의 16-16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17-17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8은 도 15의 18-18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9는 도 15의 19-19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0은 도 9의 20-20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구동식 발전기
2 : 프레임
2b : 측부 프레임
3 : 엔진
4 : 발전기
7 : 크로스 부재
26 : 냉각팬
31 : 덕트 부재
31a : 덕트 부재의 상류단부(스타터 커버)
32 : 냉각풍 통로
34 : 제어 박스(흡기 박스)
38a, 38b : 흡기구(제1, 제2 흡기 루버)
41 : 시일 부재(제1 시일 부재)
45 : 에어클리너
47a : 에어클리너의 공기 입구관
52 : 조작 창
53 : 전장품(제어 유닛)
55 : 전장품(인버터)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엔진 구동식 발전기(1)는 프레임(2)과, 이 프레임(2)의 하부에 탄성 지지되는 엔진(3) 및 발전기(4)와, 프레임(2)의 상부에 부착되는 연료 탱크(5)와, 엔진(3) 및 발전기(4)를 위한 제어 유닛(53)을 구비한다.
프레임(2)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을 コ자형으로 굴곡시켜 이루어지는 저부 프레임(2a)과, 이 저부 프레임(2a)의 양단에 연속해있는 강관을 기립시킨 후 수평으로 굴곡시켜 이루어지며 저부 프레임(2a)의 좌우 양변부와 협동하여 コ자형을 이루는 좌우의 측부 프레임(2b, 2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부 프레임(2a)에는 좌우 양변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하부 크로스 부재(7, 7…)가 설치되고, 양 측부 프레임(2b, 2b)의 수직변부의 상부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중간 크로스 부재(8)가 설치되며, 양 측부 프레임(2b, 2b) 위쪽의 경사진 각부(角部)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 크로스 부재(8')가 설치된다. 이 중간 크로스 부재(8)는 범퍼를 겸하도록 그 길이방향 중간부를 양 측부 프레임(2b, 2b)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좌우의 측부 프레임(2b, 2b)의 윗변부에는 이들 중간부를 서로 연결하는 행거 부재(9)가 설치되고, 엔진 구동식 발전기(1)에 현가 이동을 제공한다. 이렇게 해서, 프레임(2)은 주위를 개방한 틀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엔진 구동식 발전기(1)에서는, コ자형의 측부 프레임(2b, 2b)이 개방된 쪽을 전측, 이 측부 프레임(2b, 2b)이 폐쇄된 쪽, 즉 중간 크로스 부재(8)측을 후측으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크로스 부재(7, 7…) 중 2개의 크로스 부재(7, 7)에는 좌우 한 쌍 전후 2조의 지지판(10, 10; 10, 10)이 각각 탄성 부재(11, 11: 11, 11)를 통해 부설된다. 또한, 좌우의 측부 프레임(2b, 2b)에는 프레임(2)의 전면측에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좌우 한 쌍, 상하 2조의 한 쌍의 브래킷(12, 12; 13, 13)이 설치되고, 상부의 브래킷(12, 12)의 하부에는 각 대응하는 측부 프레임(2b)의 수직변부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보강 스테이(stay)(14, 14)가 결합된다. 이들 보강 스테이(14, 14)의 전단부에는 좌우 한 쌍의 브래킷편(16, 16)이 마련된다.
각 좌우 한 쌍의 지지판(10, 10; 10, 10)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15, 15)이 볼트 결합되고, 이들 연결판(15, 15)에 엔진(3)의 저벽이나 또는 엔진(3)에 결합되는 후술하는 덕트 부재(31)의 저벽이 볼트(33)에 의해 결합된다. 이렇게 해서, 엔진(3) 및 발전기(4)의 조립체는 프레임(2)에 탄성 지지된다.
도 9 내지 도 11에 있어서, 엔진(3) 및 발전기(4)의 외주에는 냉각팬(26)을 에워싸면서 엔진(3) 및 발전기(4) 사이에 일련의 냉각풍 통로(32)를 구획하는 덕트 부재(31)가 배치되고, 상기 냉각풍 통로(32)에서는, 냉각팬(26)의 회전에 의해 냉각팬(26)측의 상류단으로부터 엔진(3) 후면측의 하류단을 향해 냉각풍이 흐르도록 되어 있다. 덕트 부재(31)는 그 제작을 쉽게 하기 위해서 복수로 분할되어 있고, 그 적소가 엔진(3)의 외주면에 볼트 결합된다.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3)은 4행정식으로서, 엔진 구동식 발전기(1)의 전후 방향을 향해 크랭크축(17)을 배치하고, 그 실린더부(19)는 크랭크축(17)을 수용 지지하는 크랭크 케이스(18)로부터 일측방으로 경사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실린더부(19)의 전면 및 후면에 흡기 포트 및 배기 포트가 각각 개구된다.
발전기(4)는 크랭크 케이스(18)의 전단면에 복수 개의 볼트(21)로 고착되어 있고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일(22a)을 구비하는 스테이터(22)와, 크랭크 케이스(18)의 전단벽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크랭크축(17)의 전단부에 고착되고, 내주면에 복수 개의 영구자석(23a)을 배열하여 고정 설치한 외부 로터(23)로 구성되며, 즉 외부 로터(out-rotor)식 다극 자석 발전기로 되어 있다. 외부 로터(23)는 스테이터(22)에 에워싸지는 허브(23b)를 구비하고 있고, 이 허브(23b)가 크랭크축(17)의 단부에 테이퍼지게 끼워 맞춰지는 동시에 키(24)와 너트(25)에 의해 크랭크축(17)의 단부에 고착된다. 이렇게 해서 외부 로터(23)는 크랭크축(17)에 한쪽만 지지된다.
상기 외부 로터(23)의 외측 단부면에는 외부 로터보다 대직경으로서 덕트 부재(31)의 내경에 대응하는 원심식의 냉각팬(26)과, 이 냉각팬(26)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리코일식 스타터(27)가 부착된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축(17)의 후단부에는 링 기어(28) 가 고착되고, 이 링 기어(28)를 피니언(29) 및 오버런닝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구동하는 스타터 모터(30)가 크랭크 케이스(18)의 상부에 부착된다.
도 1 내지 도 5, 도 8 내지 도 11에 있어서, 프레임(2)의 전방부에는 정면에서 보아 엔진 구동식 발전기(4) 전면의 윤곽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흡기 박스(34)가 배치된다. 이 흡기 박스(34)는 후면을 개방한 합성수지제의 박스 본체(36)와, 그 개방 후면을 폐쇄하도록 박스 본체(36)에 결합되는 강판제의 단부판(37)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단부판(37)이 프레임(2)의 보강 부재로서 상기 브래킷(12, 13)에 복수 개의 볼트(35)로 탈착 가능하게 고착되며, 또한 박스 본체(36)는 단부판(37)으로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2)은 1개의 강관을 이용하여 コ자형의 저부 프레임(2a)과, 이 저부 프레임(2a)의 좌우 측변부를 공유하는 コ자형의 좌우 한 쌍의 측부 프레임(2b, 2b)을 형성하고, 양 측부 프레임(2b, 2b) 사이를 복수 개의 크로스 부재(7, 8, 8')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구조는 매우 간단하며, 또한 이 프레임(2)은 그 개방된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흡기 박스(34)에 의해 보강됨으로써, 프레임(2)의 경량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흡기 박스(34)를 프레임(2)으로부터 제거하면, 그것에 의해 개방되는 프레임(2)의 전면측으로부터 엔진(3) 및 발전기(4)의 탈착이 가능해지고, 이들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박스 본체(36)의 전면에는 제1 흡기 루버(38a)가 설치되고, 또한, 단부판(37)에는 제2 흡기 루버(38b)와, 덕트 부재(31)의 상류단에 인접하는 대직경의 제1 접속구(39)와, 소직경의 제2 접속구(40)가 설치되고, 그 제1 접속구(39)의 주연부에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진 환상의 제1 시일 부재(41)가 장착되며, 이 제1 시일 부재(41)의 환상으로서 가요성이 풍부한 시일 립(41a)이 덕트 부재(31)의 외주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끼워 장착된다. 이 제1 시일 부재(41)는 그 시일립(41a)의 탄성 변형에 의해 덕트 부재(31) 및 흡기 박스(34)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면서 흡기 박스(34) 및 덕트 부재(31) 사이를 연통한다. 덕트 부재(31)의 상류단부는 흡기 박스(34) 안에 들어가도록 후술하는 스타터 커버(31a)로 구성되고, 이 스타터 커버(31a)의 단부벽 및 둘레벽에는 다수의 통풍 구멍(116a, 116b)이 마련되어 있다(도 20 참조). 흡기 박스(34)는 그 횡단 면적이 상기 통풍 구멍(116a, 116b)의 종합 개구 면적보다 커지고 있어 소음 팽창실을 구성한다.
도 9 및 도 20에 있어서, 상기 리코일식 스타터(27)는 외부 로터(23)의 외측 단부면에 고착되는 컵형의 피동 부재(111)와, 덕트 부재(31)의 상류단에 그것을 덮 도록 결합되는 밥그릇 모양의 스타터 커버(31a)와, 이 스타터 커버(31a)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스타터 로프(113)가 주위에 감겨지는 로프 풀리(114)와, 이 로프 풀리(114) 및 피동 부재(111) 사이에 설치되고, 스타터 로프(113)의 견인에 의한 로프 풀리(114)의 정회전시에만 로프 풀리(114) 및 피동 부재(111) 사이를 연결하는 일방향 클러치(115)를 구비하며, 로프 풀리(114)는 도시하지 않은 복귀 스프링에 의해 역회전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로프 풀리(114)에는 다수의 통풍 구멍(112)이 형성되고, 로프 풀리(114)가 덕트 부재(31) 안의 냉각풍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스타터 로프(113)는 스타터 커버(31a) 및 흡기 박스(34)의 측벽에 각각 설치된 그로밋(grommet)형의 로프 가이드(118, 119)를 통해서 흡기 박스(34) 밖으로 인출되고, 그 외측단에 조작 손잡이(117)가 접속된다. 이 조작 손잡이(117)는 그 후퇴 위치에서는, 외측의 로프 가이드(119)의 외측단에서 지지된다.
이렇게 해서 리코일식 스타터(27)의 조작 손잡이(117)가 배치되는 흡기 박스(34)의 외측 부분은 엔진 구동식 발전기(1)의 거의 최외측 부분에 맞닿기 때문에, 조작 손잡이(117)의 견인 조작을 다른 것에 간섭받지 않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시동 조작성이 양호하다.
도 1,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엔진(3)의 실린더부(19)의 전면에는 기화기(44)가 부착된다. 이 기화기(44)는 덕트 부재(31)의 측벽을 관통하여 덕트 부재(31) 밖으로 노출되어 있고, 이 덕트 부재(31) 밖으로 배치되는 에어클리너(45)가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진 탄성 연통 튜브(46)를 통해 기화기(44)의 흡기 도입구에 접속된다. 또한, 엔진(3)의 점화 플러그에 접속되는 하이텐션 코드(43)도 덕트 부재(31)의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클리너(45)는 측면에서 보아 엔진(3)의 크랭크축(17)의 축방향으로 긴 거의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그 적어도 일부가 크랭크 케이스(18)의 일측방으로 약간 경사지게 상향으로 실린더부(19)의 아래쪽에 오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엔진 구동식 발전기(1)의 무게 중심을 낮추면서 비교적 대용량의 에어클리너(45)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이 에어클리너(45)는 도 11 및 도 12에 명시한 바와 같이, 볼트(50)에 의해 덕트 부재(31) 외측면에 고착되어 외측면을 개방하는 클리너 케이스(47)와, 이 클리너 케이스(47)의 개방면을 폐쇄하도록 볼트(51)에 의해 클리너 케이스(47)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48)와, 이들 클리너 케이스(47) 및 케이스 커버(48) 사이에 끼워지는 클리너 엘리먼트(49)로 구성되고, 클리너 케이스(47)는 클리너 엘리먼트(49)의 미정화면측으로 연통하는 공기 입구관(47a)을 일체로 갖는다.
상기 제2 접속구(40)의 주변부에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진 환상의 제2 시일 부재(42)가 장착되고, 이 제2 시일 부재(42)의 환상으로서 가요성이 풍부한 시일 립(42a)이 에어클리너(45)의 상기 공기 입구관(47a)의 외주에 끼워 장착된다. 이 제2 시일 부재(42)는 그 시일 립(42a)의 탄성 변형에 의해 프레임(2)에 엔진(3)을 통해 탄성 지지되는 덕트 부재(31)와, 프레임(2)에 고정 지지되는 흡기 박스(34)와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면서 흡기 박스(34) 및 에어클리너(45) 사이를 연통한다.
도 3, 도 5 및 도 9에 있어서, 흡기 박스(34)는 그 전면 상부에 조작 창(52)이 설치되어 있고, 흡기 박스(34) 안에서 제1 접속구(39)의 위쪽에 배치되는 엔진(3) 및 발전기(4)를 위한 제어 유닛(53)의 조작 패널(53a)이 이 조작 창(52)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패널(53a)은 흡기 박스(34)의 후벽 내면에 볼트(54)에 의해 고착된다.
또한, 흡기 박스(34) 안에서는 제어 유닛(53) 및 인버터(55)가 제1 흡기 루버(38a) 및 제1 접속구(39)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배터리(61)가 제1 흡기 루버(38a) 및 제2 접속구(40) 사이에 설치된다. 특히, 덕트 부재(31)의 제1 접속구(39)로부터 흡기 박스(34) 안으로 들어가도록 배치되는 상류단부, 즉 스타터 커버(31a)가 인버터(55)의 배면에 근접 배치된다.
상기 인버터(55)(특히 도 5 참조)는 그 하단면에 돌출 설치된 복수 개의 지지축(56)을 그로밋(57)을 통해 흡기 박스(34)의 저벽에 지지시키는 동시에 상단의 복수 개의 귀형상 부재(58)를 흡기 박스(34)의 단부판(37)에 볼트(59)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흡기 박스(34)에 부착된다. 그 때, 인버터(55)의 주위에는 제1 및 제2 흡기 루버(38a, 38b)로부터 제1 및 제2 접속구(39, 40)로의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한 충분한 통풍 간격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61)는 고무밴드(62)에 의해 단부판(37)에 유지된다. 그 때, 배터리(61)의 주위에는 제1 및 제2 흡기 루버(38a, 38b)로부터 제2 접속구(40)로의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한 충분한 통풍 간격이 마련된다. 이 배터리(61)의 점검을 위해 흡기 박스(34)의 전벽에 리드(63)에 의해 폐쇄 가능한 점검 창(64)(도 8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도 9에 명시된 바와 같이, 덕트 부재(31)의 하류단에는 부착 플랜지(67)가 형성되어 있고, 이 부착 플랜지(67)에 배기 박스(68)가 부착된다. 배기 박스(68)는 후면 상부에 배기 루버(73)를 갖는 동시에 전면을 개방한 박스 본체(68)와, 그 개방면을 폐쇄하도록 박스 본체(69)의 플랜지부(68a)와 접합되는 단부판(70)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단부판(70) 및 플랜지부(68a)가 상기 부착 플랜지(67)에 복수 개의 볼트(71)에 의해 고착된다. 배기 박스(68)의 단부판(70)에는 크고 작은 통과 구멍(72, 75)(도 7 참조)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 통과 구멍(72, 75)을 통해서 덕트 부재(31)의 하류단과 배기 박스(68) 내부가 연통된다. 이 배기 박스(68)는 그 횡단 면적이 통과 구멍(72, 75)의 개구 면적보다 충분히 커져 소음 팽창실을 구성한다.
상기 배기 박스(68)에는 엔진(3)의 실린더부(19)의 후면에 부착되는 배기 머플러(74)와, 이 배기 머플러(74)의 출구관(74a)이 수용되고, 그 출구관(74a)의 종단은 배기 박스(68)의 배기 루버(73)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에 개구된다. 그리고, 배기 머플러(74) 주위에는 각 통과 구멍(72, 75)으로부터 배기 루버(73)로의 냉각풍의 흐름을 허용하는 충분한 통풍 간격이 마련된다.
도 1, 도 7, 도 9,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3) 및 발전기(4)를 덮는 덕트 부재(31)의 상부에는 상부벽에 급유구 캡(5a)을 구비하는 상기 연료 탱크(5)가 배치된다. 이 연료 탱크(5)는 위에서 볼 때 거의 정방형을 이루며 덕트 부재(31)의 상면을 전 길이에 걸쳐 덮도록 되어 있고, 그 외주에 돌출 설치된 부착 플랜지(77)의 4개의 코너부가 이들 상하로 배치된 탄성 부재(78, 78')와 함께 상기 프레임(2)의 상부 크로스 부재(8') 및 브래킷편(16, 16)에 볼트(79)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렇게 해서 연료 탱크(5)는 프레임(2)에 탄성 지지된다.
특히,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연료 탱크(5)의 부착 플랜지(77)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프레임(2)의 상부 크로스 부재(8')에는 부착 플랜지(77)의 아래쪽으로 굴곡된 굴곡 가장자리(77a)를 향하게 하는 홈통(80)이 형성되고, 이 홈통(80)의 양단은 유출 구멍(81)을 통해 좌우 측부 프레임(2b, 2b)의 세로변부 외주면으로 연통 한다. 상기 유출 구멍(81)은 크로스 부재(8')의 좌우 측부 프레임(2b, 2b)에 대한 용접부에 노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연료 탱크(5)의 상면에는 홈통(80)측을 향해 내려가 부착 플랜지(77)에 도달하는 경사면(5b)이 형성된다.
그렇게 하여, 연료 탱크(5)로의 급유시에 만일 급유구로부터 연료 탱크(5)의 상면으로 흘러 넘친 연료가 후방으로 흘러가면, 그 연료는 경사면(5b)을 흘러내려서 부착 플랜지(77)에 도달하며, 이 플랜지(77) 아래쪽으로의 굴곡단 가장자리(77a)로 유도되어 홈통(80)으로 확실하게 흘러 떨어지고, 홈통(80)을 흘러 좌우 어느 하나의 유출 구멍(81)으로부터 좌우 어느 하나의 측부 프레임(2b, 2b)의 세로변부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려 발전기 밖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도시예와 같이, 엔진(3)이나 발전기(4) 또는 홈통(80)의 아래쪽에 배기 박스(68) 등과 같은 그 부속 기기가 배치되어 있어도 그것이 상기 흘러 넘친 연료에 의해 오손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대폭 넓힐 수 있다.
또한, 홈통(80)은 프레임(2)의 보강 부재인 크로스 부재(8')를 이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그 크로스 부재(8')의 양단에 유출구(81)가 노치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프레임(2)의 강도 저하를 막을 수 있다.
상기 덕트 부재(31), 배기 박스(68) 및 연료 탱크(5)는 틀형 프레임(2) 안에 배치된다.
그렇게 하여, 엔진(3)의 운전시에는 회전하는 크랭크축(17)에 의해 발전기(4)를 구동함으로써 발전을 행하고, 그 출력은 인버터(55) 및 제어 유닛(53)에 의해 제어된 후, 조작 패널(53a) 상의 콘센트로부터 취출된다.
또한, 크랭크축(17)에 의해 회동 구동되는 냉각팬(26)은 냉각풍으로서의 외기를 제1 및 제2 흡기 루버(38a, 38b)로부터 흡기 박스(34)로 인입하며, 덕트 부재(31) 안을 상류단으로부터 하류단으로 흐르게 하여 배기 박스(68) 안을 통과하여 배기 루버(73)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냉각 공기의 흐름에 의해 흡기 박스(34) 안에서는 제어 유닛(53) 및 인버터(55)가 냉각되고, 또한 덕트 부재(31) 안에서는 엔진(3) 및 발전기(4)가 냉각되며, 배기 박스(68) 안에서는 배기 머플러(74)가 냉각된다.
특히, 덕트 부재(31)의 상류단부, 즉 통풍 구멍(116a, 116b)을 갖는 스타터 커버(31a)가 흡기 박스(34) 안에서 인버터(55)의 배면에 근접 배치되기 때문에, 인버터(55) 주위의 공기가 덕트 부재(31)에 효과적으로 흡입되게 되고, 비교적 고온이 되기 쉬운 인버터(55)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 머플러(74)의 출구관(74a)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 가스는 배기 박스(68) 안에서 상기 냉각풍과 혼합되어 배기 온도를 낮출 수 있고, 동시에 그 배기음의 효과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덕트 부재(31)의 내경에 대응하는 대직경의 냉각팬(26)은 크랭크축(17)에 한쪽만 지지되는 외부 로터(23)의 넓은 외측 단부면을 이용하여 간단히 부착할 수 있어 엔진(3) 및 발전기(4)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엔진(3), 발전기(4)의 운전 중에 엔진, 발전기 및 냉각팬(26)이 발생시키는 작동 소음은 덕트 부재(31)에 의해 차단된다. 즉, 덕트 부재(31)가 엔진(3), 발전기(4) 및 냉각팬(26)의 방음벽 역할을 한다. 또한, 그 작동 소음이 덕트 부재(31)의 상류단 및 하류단으로부터 흡기 박스(34) 및 배기 박스(68)에 전달되더라도 흡기 박스(34) 및 배기 박스(68)의 팽창 소음 작용에 의해 상기 작동 소음을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고, 외부로의 작동 소음의 누설을 강력하게 막을 수 있다. 특히, 흡기 박스(34)에서는, 제어 유닛(53) 및 인버터(55)가 제1 접속구(39)와 제1 흡기 루버(38a)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어 유닛(53) 및 인버터(55)가 제1 접속구(39) 및 제1 흡기 루버(38a) 사이의 차음 격벽이 되어 소음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막아 흡기 박스(34)의 소음(消音)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엔진 구동식 발전기(1)의 정숙성이 확보된다.
또한, 연료 탱크(5)는 덕트 부재(31)의 상면을 그 전 길이에 걸쳐 덮음으로써, 덕트 부재(31)와 협동하여 엔진(3) 및 발전기(4)에 대한 2중 방음벽을 구성하게 되고, 엔진(3) 및 발전기(4)의 작동 소음이 위쪽으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 간단한 구조로 엔진 구동식 발전기(1)의 정숙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대형의 연료 탱크(5)는 좌우의 측부 프레임(2b, 2b)의 상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그 부착 및 제거가 용이하고, 또한 흡기 박스(34)와 같이 프레임(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이 연료 탱크(5) 및 흡기 박스(34)를 제거함으로써, 프레임(2)의 상면 및 전면을 개방하여 엔진(3) 및 발전기(4)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이들의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3)의 흡기 행정시에는 흡기 박스(34) 안의 공기가 에어클리너(45) 및 기화기(44)를 통해 엔진(3)으로 흡입되기 때문에, 엔진(3)의 흡기 소음도 흡기 박스(34)에 의해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다. 특히, 흡기 박스(34) 안의 배터리(61)는 제2 접속구(40) 및 제1 흡기 루버(38a) 사이의 차음 격벽이 되어 흡기 소음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막아 흡기 박스(34)의 소음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진(3), 발전기(4) 및 냉각팬(26)의 작동 소음 등을, 엔진(3)과 발전기(4)를 덮는 덕트 부재(31) 및 그 상류단 및 하류단에 접속되는 흡기 박스 및 배기 박스(34, 68)에 의해 간단하고,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으며, 게다가 이들 덕트 부재(31) 및 흡기 박스와 배기 박스(34, 68)는 개방된 틀형 프레임(2) 안에 배치되기 때문에, 엔진 구동식 발전기 전체를 방음벽으로 덮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엔진 구동식 발전기(1)의 소형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덕트 부재(31) 밖에는 기화기(44)나 에어클리너(45)가 배치되기 때문에, 이들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엔진(3) 운전중의 진동은 엔진(3)과 프레임(2)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부재(11, 11; 11, 11)의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되어 프레임(2)으로의 진동 전달을 방지하거나 또는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그런데, 덕트 부재(31) 및 에어클리너(45)는 상기 엔진(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3)과 함께 진동하는 것이지만, 흡기 박스(34)는 프레임(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3) 및 발전기(4)의 운전시에는 덕트 부재(31)와 흡기 박스, 그리고 에어클리너(45)와 흡기 박스(34) 사이에 엔진(3)의 진동에 의한 상대 변위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흡기 박스(34)의 제1 접속구 및 제2 접속구(39, 40)는 가요성이 풍부한 제1 시일 부재 및 제2 시일 부재(41, 42)를 통해 덕트 부재(31) 및 에어클리너(45)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시일 부재 및 제2 시일 부재(41, 42)의 변형에 의해 덕트 부재(31)와 흡기 박스, 그리고 에어클리너(45)와 흡기 박스(34) 사이의 진동에 따른 상대 변위가 허용되고, 흡기 박스(34)로부터 덕트 부재(31)로의 냉각풍의 유통을 누설 없이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의 저부 프레임(2a)에는 후방부측, 즉 배기 박스(68)측에서 좌우 한 쌍의 차륜(83, 83)이 피봇 지지되고, 또한 전방부측, 즉 흡기 박스(34)측에서 좌우 한 쌍의 접지 다리(84, 84)가 고정 설치된다.
도 1, 도 15 내지 도 19에 있어서, 프레임(2) 전단의 상부 브래킷(12, 12)에는 좌우 한 쌍의 핸들 브래킷(87, 87)이 흡기 박스(34)의 단부판(37)과 볼트(35)로 함께 체결되고, 이들 핸들 브래킷(87, 87)은 흡기 박스(34)의 박스 본체(36)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슬릿(76, 76)(도 8 참조)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엔진 구동식 발전기(1)를 이동할 때에 사용하는 이동용 핸들(86)이 이들 돌출부에 부착된다. 이 이동용 핸들(86)은 좌우 한 쌍의 핸들바(88, 88)와, 이들 핸들바(88, 88)의 중간부를 서로 연결하는 크로스 부재(89)와, 각 핸들바(88, 88)와 그 기단에 용접한 연결판(90)과 볼트 결합되는 L자형의 지지 기판(92)과, 각 핸들바(88, 88)에 선단에 끼워 장착된 고무제의 핸들 그립(93)으로 이루어져 있고, 좌우의 지지 기판(92, 92)이 좌우의 핸들 브래킷(87, 87)에 각각 수평 방향의 추축 볼트(94, 94)를 통해 연결되며, 이동용 핸들(86)은 양 핸들바(88, 88)를 수평으로 한 사용 위치(A)와, 핸들 그립(93)을 수직으로 아래쪽을 향한 수납 위치(B)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추축 볼트(94)의 머리 부분과 지지 기판(92) 사이에는 이동용 핸들(86)에 적당한 회동 저항을 부여하는 접시 스프링(95)이 개재된다.
이동용 핸들(86)의 사용 위치(A)는 상기 연결판(90) 및 지지 기판(92)에 형성된 스토퍼(96)가 핸들 브래킷(87)의 선단면에 접촉함으로써 한정되고, 수납 위치(B)는 핸들 그립(93)이 프레임(2)의 저부 프레임(2a)의 흡기 박스(3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전변부에 접촉함으로써 한정된다.
지지 기판(92)에는 이동용 핸들(86)을 저장 위치(B)로부터 사용 위치(A)로 회동할 때, 상기 스토퍼(96)가 핸들 브래킷(87)에 접촉하기 직전에 작동하는 댐퍼(97)가 설치된다. 즉, 댐퍼(97)는 지지 기판(92)의 내벽에 일체로 돌출 설치한 지지축(98)과, 이 지지축(98)의 외주에 끼워 장착되는 고무로 이루어진 쿠션 부재(99)와, 이 쿠션 부재(99)의 외주에 끼워 장착되는 부시(100)로 구성되어 있고, 스토퍼(96)가 핸들 브래킷(87)의 선단면에 접촉하기 직전에 부시(100)가 핸들 브래킷(87)에 접촉하기 때문에 쿠션 부재(99)의 탄성 변형에 의해 이동용 핸들(86)의 회동 충격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동용 핸들(86) 및 핸들 브래킷(87)에는 이동용 핸들(86)을 사용 위치(A)에 잠그는 록 기구(101)가 설치된다. 이 록 기구(101)는 좌우의 연결판(90, 90) 및 지지 기판(92, 92) 사이에 고정 설치된 추축(102, 102)에 지지되어 록 위치(L)와 언록 위치(U) 사이를 회동할 수 있는 조작 레버(103, 103)를 구비하고 있다. 각 조작 레버(103)에는 록 핀(105)이, 또한 핸들 브래킷(87)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록 홈(lock groove: 106)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이동용 핸들(86)의 사용 위치(A)에서, 조작 레버(103)를 록 위치(L) 및 언록 위치(U)로 회동하는 데 따라서 상기 록 핀(105)이 록 홈(106)에 맞물리고 이탈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 레버(103)와 지지 기판(92) 사이에는 조작 레버(103)를 록 위치(L)의 방향으로 압박하는 록 스프링(107)이 압축 설치된다. 또한, 핸들 브래킷(87)에는 그 선단면으로부터 상부 가장자리에 걸쳐 록 핀(105)의 록 홈(106)으로의 결합을 유도하는 원호면(87a)이 형성된다.
그렇게 하여, 이동용 핸들(86)이 추축 볼트(94) 주위에서 수납 위치(B)로부터 사용 위치(A)로 회동하고, 록 핀(105)이 원호면(87a)으로 유도되면서 록 홈(106)에 도달하면, 록 스프링(107)의 압박력에 의해 조작 레버(103)가 록 위치(L)로 회동되어 록 핀(105)이 록 홈(106)에 맞물린다. 이렇게 해서, 이동용 핸들(86)은 수평의 사용 위치(A)에 잠긴다.
이 이동용 핸들(86)의 좌우 그립(93, 93)을 파지하여 끌어올리고, 접지 다리(84, 84)를 부상시킨 상태에서 이동용 핸들(86)을 밀고 당기면, 차륜(83, 83)의 회전에 의해 엔진 구동식 발전기(1)를 경쾌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핸들(86)의 사용 중에 그것으로부터 손을 떼는 경우, 그 핸들(86)은 록 기구(101)에 의해 계속해서 잠겨 있기 때문에, 그 핸들(86)의 자중(自重)에 의한 수납 위치(B)로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어 그 핸들(86)의 조작성이 양호하다.
또한, 이동용 핸들(86)을 사용 위치(A)로 회동했을 때에는 스토퍼(96)가 핸들 브래킷(87)에 접촉하기 직전부터 댐퍼(97)의 쿠션 부재(99)가 부시(100)를 통해 핸들 브래킷(87)에 접촉하여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이동용 핸들(86)의 회동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그 핸들(86)이 록 기구(101)에 의해 사용 위치(A)에 잠긴 후에도 상기 쿠션 부재(99)의 탄성 변형은 유지되기 때문에, 그 반발력에 의해 록 기구(101)의 덜걱거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쿠션 부재(99)는 그 외주를 덮는 부시(100)에 의해 핸들 브래킷(87)과의 직접 접촉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그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그 이동 후에는 조작 레버(103)를 록 스프링(107)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언록 위치(U)로 회동하여 록 핀(105)을 록 홈(106)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이동용 핸들(86)은 추축 볼트(94) 주위의 회동이 자유로워진다. 따라서, 그 핸들(86)을 수직 자세의 수납 위치(B)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때, 이동용 핸들(86)의 좌우 핸들 그립(93, 93)이 프레임(2)의 저부 프레임(2a)에 접촉함으로써, 좌우의 핸들바(88, 88) 및 크로스 부재(89)는 흡기 박스(34)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어 유닛(53), 인버터(55) 및 배터리(61)와 함께 흡기 박스(34)를 다른 것과의 접촉으로부터 보호하는 강고한 범퍼 역할을 한다.
또한, 이동용 핸들(86)을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 위치(B)로 접은 상태에서는, 이동용 핸들(86)에 방해되지 않게 엔진 구동식 발전기(1)에 의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엔진 구동식 발전기(1)를 창고 등에 저장할 때에는 비교적 작은 저장 공간으로 충분하다.
또한, 그 핸들(86)이 범퍼로서 기능함으로써, 흡기 박스(34)에 특별한 가드 프레임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저장 위치에 회동된 이동용 핸들(86)과 프레임(2)의 저부 프레임(2a)으로 흡기 박스(34)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따라서, 제어 유닛(53), 인버터(55) 및 배터리(61)를 수용하는 대형 흡기 박스(34)의 박스 본체(36)를 합성수지제로 하여 그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에어클리너(45)를 흡기 박스(34)와 마찬가지로 프레임(2)에 고정 지지하고, 엔진(3)의 진동에 따른 기화기(44) 및 에어클리너(45) 사이의 상대 변위를 기화기(44) 및 에어클리너(45) 사이를 연통하는 탄성 연통 튜브(46)의 변형으로 흡수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에어클리너(45)의 공기 입구관(47a)을 흡기 박스(34)에 일체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머플러(74)의 출구관은 도 9에 도면 부호 74a'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박스(68)의 외벽을 관통시켜 외부로 개구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배기 박스(68)의 배기 루버(73)로부터는 냉각풍만이 배출된다.

Claims (16)

  1. 엔진(3)과, 이 엔진(3)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4)를 프레임(2)에 지지하여 구성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주위를 개방한 틀형 프레임(2)으로 구성되고, 이 프레임(2) 안에서 상기 엔진(3) 및 발전기(4)의 외주에 이들과의 사이에 일련의 냉각풍 통로(32)를 구획하는 덕트 부재(31)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풍 통로(32)에 상기 엔진(3)에 의해 구동되어 이 냉각풍 통로(32)에서 덕트 부재(31)의 상류단측으로부터 하류단측을 향하는 냉각풍을 발생시키는 냉각팬(26)을 설치하고, 상기 덕트 부재(31)의 상류단에는 외측단에 흡기구(38)를 가지며 전장품(電裝品; 53, 55)을 수용하는 흡기 박스(34)를 접속하고, 또한 상기 덕트 부재(31)의 타단에는 외측단에 배기구(73)를 가지며 상기 엔진(3)의 배기 머플러(74)를 수용하는 배기 박스(68)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박스(34) 및 배기 박스(68)는 팽창 소음실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부재(31)의 상부에는 그 전 길이에 걸쳐 그 상면을 덮는 연료 탱크(5)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3) 및 발전기(4)의 조립체를 상기 프레임(2)에 탄성 지지하는 동시에 그 조립체에 상기 덕트 부재(31)를 고정 지지하는 한편, 상기 흡기 박스(34)를 상기 프레임(2)에 고정 지지하고, 상기 덕트 부재(31) 및 흡기 박스(34) 사이를 이들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시일 부재(41)를 매개로 하여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4)는 상기 엔진(3)의 크랭크축(17)에 한쪽만 지지되는 외측 로터(23)를 구비하는 자석 발전기(4)로 구성되고, 그 외측 로터(23)의 외측 단부면에 상기 냉각팬(26)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3)의 흡기량 제어 장치(44) 및 그 흡기를 정화하는 에어클리너(45)를 상기 덕트 부재(31)의 외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그 에어클리너(45)의 공기 입구를 상기 흡기 박스(34)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부재(31)의 상류단은 흡기구(38)를 갖는 흡기 박스(34)에 접속되고, 상기 엔진(3)의 에어클리너(45)를 상기 덕트 부재(31)의 외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이 에어클리너(45)의 공기 입구관(47a)을 상기 흡기 박스(34)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3) 및 발전기(4)의 조립체를 상기 프레임(2)에 탄성 지지하는 동시에 그 조립체에 상기 덕트 부재(31) 및 상기 에어클리너(45)를 고정 지지하는 한편, 상기 흡기 박스(34)를 상기 프레임(2)에 고정 지지하고, 상기 덕트 부재(31) 및 흡기 박스(34) 사이를, 이들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제1 시일 부재(41)를 매개로 하여 접속하며, 또한 상기 흡기 박스(34) 및 상기 에어클리너(45)의 공기 입구관(47a) 사이를, 이들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제2 시일 부재(41)를 매개로 하여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3) 및 발전기(4)의 조립체를 상기 프레임(2)에 탄성 지지하고, 그 조립체에 상기 덕트 부재(31)를 고정 지지하는 한편, 상기 에어클리너(45) 및 흡기 박스(34)를 상기 프레임(2)에 고정 지지하고, 상기 덕트 부재(31) 및 흡기 박스(34) 사이를, 이들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제1 시일 부재(41)를 매개로 하여 접속하며, 또한 상기 엔진(3) 및 에어클리너(45) 사이를, 이들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가요성이 있는 연통 튜브(46)를 매개로 하여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3)의 실린더부(19)를 크랭크 케이스(18)의 일측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이 실린더부(19)의 아래쪽에 상기 엔진(3)의 크랭크축(17)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에어클리너(45)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박스(34) 안에서, 그 흡기 박스(34)의 상기 덕트 부재(31)와의 접속부와 상기 흡기구(38) 사이에 전장품(53, 55)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부재(31)의 하류단을, 배기구(73)를 갖는 배기 박스(68)에 접속하고, 이 배기 박스(68)에 상기 엔진(3)의 배기 머플러(74)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에 상기 엔진(3)을 탄성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2) 안에서 상기 엔진(3) 및 발전기(4)에 이들과의 사이에 일련의 냉각풍 통로(32)를 구획하는 덕트 부재(31)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냉각풍 통로(32)에 상기 엔진(3)에 의해 구동되어 이 냉각풍 통로(32)에 냉각풍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냉각팬(26)을 배치하고, 흡기구(38a, 38b)를 가지며 전장품(53, 55)을 수용하는 흡기 박스(34)를 상기 프레임(2)에 고정시켜 부착하며, 이 흡기 박스(34)와 상기 덕트 부재(31)의 상류부를, 이들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제1 시일 부재(41)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통하도록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부재(31)의 상류단부를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전 장품(55)에 근접시키기 위해 상기 흡기 박스(34) 내로 밀려 들어가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3)의 리코일식 스타터(27)를 그것의 로프 풀리(114)가 상기 흡기 박스(34) 내로 밀려 들어가도록 배치하고, 이 로프 풀리(114)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스타터 로프(113)를 상기 흡기 박스(34)의 일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하여 그 외측단에 조작 손잡이(117)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3)의 에어클리너(45)를 상기 덕트 부재(31)의 외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그 에어클리너(45)의 공기 입구와 상기 흡기 박스(34)를, 이들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제2 시일 부재(41)를 통해 서로 연통하도록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
KR1020067000513A 2003-07-10 2004-07-08 엔진 구동식 발전기 KR100735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73029A JP4188168B2 (ja) 2003-07-10 2003-07-10 エンジン駆動式発電機
JP2003273026A JP2005030354A (ja) 2003-07-10 2003-07-10 エンジン駆動式発電機
JPJP-P-2003-00273023 2003-07-10
JPJP-P-2003-00273026 2003-07-10
JPJP-P-2003-00273029 2003-07-10
JP2003273023A JP4233946B2 (ja) 2003-07-10 2003-07-10 エンジン駆動式発電機
PCT/JP2004/009713 WO2005005806A1 (ja) 2003-07-10 2004-07-08 エンジン駆動式発電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667A KR20060040667A (ko) 2006-05-10
KR100735648B1 true KR100735648B1 (ko) 2007-07-06

Family

ID=3406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513A KR100735648B1 (ko) 2003-07-10 2004-07-08 엔진 구동식 발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43739B2 (ko)
EP (1) EP1645733B1 (ko)
KR (1) KR100735648B1 (ko)
CN (1) CN1823212B (ko)
AU (1) AU2004255716B2 (ko)
CA (1) CA2529619C (ko)
WO (1) WO2005005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3151B2 (ja) * 2003-07-10 2009-03-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発電機
JP4700571B2 (ja) * 2006-07-19 2011-06-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CN100387813C (zh) * 2006-09-12 2008-05-14 无锡开普动力有限公司 V型双缸发动机消音器的冷却系统
AU2006348327A1 (en) * 2006-09-14 2008-03-20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Sound-proof engine generator
US20080157635A1 (en) * 2006-11-07 2008-07-03 Potenco, Inc Motor powered string retraction for a human power generator
US20080150378A1 (en) * 2006-11-07 2008-06-26 Potenco, Inc. Human power generation using a pulley
US7747355B2 (en) * 2006-11-07 2010-06-29 Potenco, Inc. Electrical power generator with adaptive coupling
US8093731B2 (en) * 2006-11-07 2012-01-10 Potenco, Inc. Gearless human power generation
CN101260831B (zh) * 2007-03-08 2012-05-23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发电机进气装置
JP4974155B2 (ja) * 2007-04-02 2012-07-11 ヤマハモーターパワープロダクツ株式会社 遮音型エンジン発電機
JP2008255831A (ja) * 2007-04-02 2008-10-23 Yamaha Motor Powered Products Co Ltd 遮音型エンジン発電機
EP1995432A1 (en) * 2007-05-22 2008-11-26 Yunfeng Ma Portable engine
KR100893335B1 (ko) * 2007-09-03 2009-04-14 주식회사 효성 왕복엔진을 이용한 발전기
JP2009121244A (ja) * 2007-11-12 2009-06-04 Honda Motor Co Ltd 防音密閉型発電機
US8186314B2 (en) * 2007-11-20 2012-05-29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Generator cooling system and method
US8154137B1 (en) * 2008-02-27 2012-04-10 Reliance Controls Corporation Portable power source having detachably mounted accessory
CA2668350C (en) * 2008-06-27 2016-07-12 Honda Motor Co., Ltd. Engine generator
CA2669515C (en) * 2008-06-27 2017-03-28 Honda Motor Co., Ltd. Engine generator
CN101446232B (zh) * 2008-09-28 2010-11-24 无锡开普动力有限公司 风冷发电机组
JP4943405B2 (ja) * 2008-10-28 2012-05-30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US8935995B1 (en) * 2009-01-30 2015-01-20 Bobby L. Hawkins Wheeled, manually moveable electric generator
US8616159B1 (en) * 2009-06-18 2013-12-31 Bobby L. Hawkins Wheeled, manually moveable, propane fueled electric generator
JP5473954B2 (ja) * 2011-01-14 2014-04-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冷却構造を有する高電圧機器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US9488137B2 (en) 2011-03-22 2016-11-08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uel vapor flow in an engine-driven generator
US9109549B2 (en) 2011-03-22 2015-08-18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uel vapor flow in an engine-driven generator
AU2012216661B2 (en) 2011-09-13 2016-09-01 Black & Decker Inc Air ducting shroud for cooling an air compressor pump and motor
US8899378B2 (en) 2011-09-13 2014-12-02 Black & Decker Inc. Compressor intake muffler and filter
CN102383926B (zh) * 2011-10-23 2013-02-06 浙江乐恒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发动机驱动的箱式发电机
US8890340B2 (en) 2011-11-04 2014-11-18 Kohler, Inc. Fan configuration for an engine driven generator
US8544425B2 (en) 2011-11-04 2013-10-01 Kohler Co. Engine driven generator that is cooled by a first electrical fan and a second electrical fan
US8872361B2 (en) 2012-01-25 2014-10-28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Standby generators including compressed fiberglass components
JP5840577B2 (ja) * 2012-07-30 2016-0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携帯型エンジン発電機
USD749511S1 (en) * 2013-07-10 2016-02-16 Champion Power Equipment, Inc. Engine powered generator
US9470269B2 (en) 2013-08-22 2016-10-18 Stanley Black & Decker, Inc. Hydraulic power unit
US10294858B2 (en) 2013-08-29 2019-05-21 Polaris Industries Inc. Portable generator
US10060343B2 (en) 2014-12-09 2018-08-28 Generac Power Systems, Inc. Air flow system for an enclosed portable generator
US11111913B2 (en) 2015-10-07 2021-09-07 Black & Decker Inc. Oil lubricated compressor
USD834517S1 (en) 2016-11-08 2018-11-27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Portable generator
JP6916049B2 (ja) * 2017-06-22 2021-08-11 株式会社ミクニ 汎用エンジン
JP2020148104A (ja) 2019-03-11 2020-09-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CN110529239A (zh) * 2019-08-13 2019-12-03 苏州帕瓦麦斯动力有限公司 便携逆变汽油发电机组
US11591977B2 (en) 2020-06-03 2023-02-28 Briggs & Stratton, Llc Inverter generator
US11705779B2 (en) 2020-06-03 2023-07-18 Briggs & Stratton, Llc Inverter generator
CN112832905B (zh) * 2021-01-07 2022-04-01 浙江耀锋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发电机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6880A (ja) * 1997-07-24 1999-02-09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発電機
KR0140539Y1 (ko) * 1994-12-30 1999-05-15 석진철 디젤엔진 발전기의 베드 프레임
KR20010015265A (ko) * 1999-07-12 2001-02-26 가와모토 노부히코 엔진 발전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0748U (ko) * 1978-12-20 1980-06-23
JPS5590748A (en) 1978-12-28 1980-07-09 Ryuichi Sato Power increasing machine
JPS5890318U (ja) 1981-12-14 1983-06-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発動発電機のマフラカバ−装置
JPS615390U (ja) 1984-06-15 1986-0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ル−ツポンプ
JPS643777Y2 (ko) * 1984-11-30 1989-02-01
JPH0623720Y2 (ja) 1988-05-11 1994-06-22 神鋼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用パッケージ
JPH01176721U (ko) * 1988-05-31 1989-12-18
JPH0365852U (ko) 1989-10-31 1991-06-26
JP3800373B2 (ja) * 1997-07-24 2006-07-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JP3800372B2 (ja) * 1997-07-24 2006-07-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JPH11200951A (ja) 1998-01-13 1999-07-27 Kubota Corp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装置
JP3347045B2 (ja) * 1998-01-19 2002-1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作業機
JP4262345B2 (ja) * 1999-01-26 2009-05-13 ヤマハモーターパワー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の冷却構造
JP3727488B2 (ja) * 1999-05-21 2005-1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JP3065852U (ja) * 1999-07-19 2000-02-08 デンヨー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型作業機
JP3934898B2 (ja) 2001-09-25 2007-06-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JP3934896B2 (ja) * 2001-09-25 2007-06-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JP4101494B2 (ja) * 2001-10-11 2008-06-1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EP1302638B1 (en) 2001-10-11 2008-05-21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Engine gen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539Y1 (ko) * 1994-12-30 1999-05-15 석진철 디젤엔진 발전기의 베드 프레임
JPH1136880A (ja) * 1997-07-24 1999-02-09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発電機
KR20010015265A (ko) * 1999-07-12 2001-02-26 가와모토 노부히코 엔진 발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02447A1 (en) 2008-08-28
EP1645733B1 (en) 2016-09-07
WO2005005806A1 (ja) 2005-01-20
CA2529619C (en) 2009-09-22
AU2004255716B2 (en) 2008-08-28
US7743739B2 (en) 2010-06-29
CN1823212A (zh) 2006-08-23
EP1645733A1 (en) 2006-04-12
AU2004255716A1 (en) 2005-01-20
CN1823212B (zh) 2012-04-11
EP1645733A4 (en) 2012-05-16
CA2529619A1 (en) 2005-01-20
KR20060040667A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648B1 (ko) 엔진 구동식 발전기
KR100735649B1 (ko) 엔진 구동식 발전기
KR100652541B1 (ko) 엔진 구동식 작업기
JP4767791B2 (ja) エンジン駆動式作業機
JP4210571B2 (ja) エンジン駆動式作業機
JP2005076550A (ja) エンジン駆動式発電機
JP4167561B2 (ja) エンジン駆動式作業機
JP4226404B2 (ja) 作業機のハンドル装置
JP4233946B2 (ja) エンジン駆動式発電機
JP4188168B2 (ja) エンジン駆動式発電機
JP2005030354A (ja) エンジン駆動式発電機
JP2005030355A (ja) エンジン駆動式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