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706B1 - 조작 축의 회전 이송 구조 - Google Patents

조작 축의 회전 이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706B1
KR100734706B1 KR1020010084931A KR20010084931A KR100734706B1 KR 100734706 B1 KR100734706 B1 KR 100734706B1 KR 1020010084931 A KR1020010084931 A KR 1020010084931A KR 20010084931 A KR20010084931 A KR 20010084931A KR 100734706 B1 KR100734706 B1 KR 100734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engagement
operation lever
guid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3020A (ko
Inventor
가즈소 미츠히로
Original Assignee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루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5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7Ratchet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a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933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 B60N2/943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4Rotary member or shaft indexing, e.g., tool or work turr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에 의해 부품 비용의 저감화(低減化)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외관 형상의 모양을 양호하게 한다. 중립 위치에 설정된 조작 레버(70)를 한쪽 방향으로 왕복 조작함으로써 조작 레버(70)의 회전 운동 중심과 동심(同心)으로 설치된 조작 축(50)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편, 조작 레버(70)를 다른 방향으로 왕복 조작함으로써 조작 축(50)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한 축의 회전 이송 구조이며, 조작 축(50)에 바깥에서 끼워져 조작 레버(70) 측으로부터의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한 조작 축(50)의 회전을 허용하는 한편, 조작 축(50) 측으로부터의 조작 축(50)의 회전을 저지하는 브레이크 드럼(brake drum)(40)과, 이 브레이크 드럼(40) 바깥에서 조작 축(50)에 함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크 기어(lock gear)(60)와, 조작 레버(70)의 전진 운동 시에 로크 기어(60)와의 맞물림으로 조작 축(50)을 회전시키는 한편, 조작 레버(70)의 복귀 운동 시에 맞물림을 해제하는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 왕복 운동 조작, 맞물림, 걸림, 걸림 해제

Description

조작 축의 회전 이송 구조{ROTARY FEED MECHANISM FOR DRIVING A SHAFT IN RESPONSE TO TURN OF A LEVER}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회전 이송 구조가 적용된 시트(seat)의 높이 위치 조절 기구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형태의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가 채용된 조작 축의 회전 이송 구조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회전 이송 구조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를 나타낸 도 3의 A선 화살표에서 본 부분 확대도.
도 5는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를 나타낸 도 4의 B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6은 회전 이송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 도면이며, (가)는 조작 레버가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 (나)는 조작 레버를 위쪽을 향해서 전진 운동 시키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7은 회전 이송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 도면이며, (가)는 조작 레버를 최전진 운동 위치까지 전진 운동시킨 상태, (나)는 조작 레버를 복귀 운동시키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는 가이드 캠(guide cam) 및 로크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나)는 (가)의 가이드 캠의 C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는 가이드 캠 및 로크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나)는 (가)의 가이드 캠의 D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트 11: 시트 보톰(seat bottom)
12: 시트 백(seat back) 13: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
14: 슬라이드 레일(slide rail) 14a: 하부 레일(lower rail)
14b: 상부 레일(upper rail) 20: 조절 기구
21: 가설 로드 22: 링크 로드(link rod)
23: 링크 축 25: 섹터 기어(sector gear)
24: 시트 보톰 지지 로드
30: 회전 이송 구조 40: 브레이크 드럼(brake drum)
41: 외부 통 42: 내부 통
43: 브레이크 스프링(brake spring)
44: 플랜지부 44a: 장착 구멍
45a: 키(key) 축 45b: 대직경 나사 축
45c: 소직경 나사 축 45c: 소직경 나사 축
45: 중심 축 46: 너트
48: 스프링 받이 돌출편(突出片) 49: 복귀 스프링
50: 조작 축 51: 중심 구멍
52: 멈춤 축 53: 너트
60: 로크 기어 61: 편평(扁平) 구멍
62: 걸어 맞춤 톱니 70: 조작 레버
71: 기어 장착부 72: 조작 지레
73: 장착 오목부 74: 밑판
75: 중심 구멍 76: 스프링 받이 축
77: 격벽(隔壁) 78: 지지 축
79: 스프링 받이 돌출편 80: 로크 부재
81: U자 플레이트 82: 로크 플레이트
83: 단자 부재 83: 피안내 돌기(突起)
84: 걸어 맞춤 구멍 85: 스프링 받이 돌출편
86: 제1코일 스프링(제1가세(加勢) 수단)
90: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
91: 가이드 플레이트(제2가이드 부재)
91a: 절곡편(折曲片) 91b: 연설편(延設片)
91c: 가이드편 91d: 축수편(軸受片)
92, 92' 92": 가이드 캠(제1가이드 부재)
92a: 원주편(圓柱片) 92a': 반원주편
92b: 3각편(三角片) 92c: 가이드편
92d: 면일(面一) 가이드편 92e: 원호 가이드편
92f: 지지편(支持片) 92g: 가이드편
92p: 원호면 92h: 평행면
92i: 비간섭편 92j: 직교면
92k: 간섭편 92m: 제2평행면
92n: 피복편 93: 간극(間隙)
94: 캠 축 95: 제2코일 스프링(제2가세 수단)
본 발명은, 조작 레버의 왕복 조작으로 조작 축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이송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어 시트(seat)의 착좌석(着座席)의 고저(高低)를 조절하기 위한 부재로서의 적용이 가장 적절한 회전 이송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0-11827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시트 보톰(seat bottom)의 높이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기구가 알려져 있다. 이 높이 조절 기구는, 시트 보톰의 하부 프레임 사이에 가설(架設)된 전후 방향 1쌍의 가설 축과, 각각의 가설 축에 직교하도록 고정된 전후 방향 1쌍의 링크 로드(link rod)와, 이것들 링크 로드의 선단(先端) 측에 각각 축 주위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전후 방향에 연장되는 시트 보톰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링크 로드와 시트 보톰 지지 프레임으로 형성된 사변형 링크 구조로 링크 운동을 함으로써, 시트 보톰의 높이 위치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변형 링크 구조에 링크 운동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전방 측의 가설 축을 회전 운동 조작하는 조작 레버가 시트 보톰 하부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이 조작 레버를 중립 위치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왕복 조작하는 것에 의한 가설 축의 한 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사변형 링크 구조를 통해서 시트 보톰이 하강하는 한편, 그 위쪽을 향한 왕복 조작으로 시트 백이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와 가설 축과의 사이에는 회전 이송 구조가 끼워 설치되고, 이 회전 이송 구조의 작용으로, 조작 레버의 아래쪽을 향한 왕복 조작에 의해 시트 보톰이 하강하는 동시에, 조작 레버의 위쪽을 향한 왕복 조작에 의해 시트 보톰이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회전 이송 구조는, 상기 가설 축을 회전시키는 조작 축과, 이 조작 축을 동심(同心)으로 내장한 브레이크 드럼과, 이 브레이크 드럼에 동심으로 상기 조작 축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래칫(ratchet)과, 이 래칫과 상기 조작 레버와의 사이에 끼워 설치된 연계(連係) 구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브레이크 드럼은, 가설 축 측으로부터 조작 축을 회전시키려 하여도, 브레이크가 기능하여 회전할 수 없지만, 조작 레버 측으로부터는 브레이크 기능의 해제로 조작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공지된 부재이다.
또한, 상기 연계 구조는, 조작 레버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왕복 조작으로 전진 운동 시에만 래칫을 통해 조작 축을 회전시키지만, 복귀 운동 시에는 래칫을 회전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조작 레버를 중립 위치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왕복 조작함으로써, 연계 구조 및 래칫을 통해 이 왕복 조작이 조작 축에 전달되고, 이것에 의한 가설 축의 소정 방향에의 회전에 의해 시트 보톰이 하강하는 한편, 조작 레버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위쪽을 향하는 왕복 조작으로 시트 보톰이 상승하게 된다.
그렇지만, 종래의 이와 같은 회전 이송 구조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의 복귀 운동 시(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에 걸림 플레이트가 래칫에 간섭한 상태로 초기 위치에 복귀하기 때문에, 「딱딱」이라고 하는 귀에 거슬리는 이상 소음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존재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상 소음의 발생이 없고, 또한 부품 점수(點數)를 적게 할 수 있는 조작 축의 회전 이송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중립 위치에 위치한 조작 레버를 한 방향으로 왕복 조작함으로써 조작 레버의 회전 운동 중심과 동심으로 설치된 조작 축을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편, 조작 레버를 다른 방향으로 왕복 조작함으로써 상기 조작 축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축의 회전 이송 구조로서, 상기 조작 축에 밖에서 끼워져 조작 레버 측으로부터의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한 조작 축의 회전을 허용하는 한편, 조작 축 측으로부터의 조작 축의 회전을 저지하는 브레이크 드럼과, 이 브레이크 드럼 바깥에서 조작 축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크 기어와, 상기 조작 레버 측에 축으로 지지된 1개의 로크 플레이트와, 조작 레버의 전진 운동 시에 상기 로크 기어와 상기 로크 플레이트와의 맞물림으로 조작 축을 회전시키는 한편, 조작 레버의 복귀 운동 시에 상기 맞물림을 해제하는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크 기어가 브레이크 드럼의 바깥 쪽에 설치되고, 또한 로크 플레이트의 작동 방향이 회전 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기 때문에, 드럼의 외주면(外周面)에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형성된 래칫과 걸림 플레이트와의 걸림 및 걸림 해제에 의해 조작 축의 회전 이송을 실행하는 종래의 것에 비교해서, 복귀 운동 시의 로크 플레이트의 걸림을 해제할 때에 이상 소음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크 플레이트는, 상기 조작 레버에 지지 축 주위로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제1가세(加勢) 수단의 가세력(加勢力)에 의해 상기 로크 기어에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 맞춤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는, 조작 레버의 전진 운동 시에 로크 플레이트의 걸어 맞춤 구멍의 로크 기어에의 걸어 맞춤을 허용하는 동시에, 복귀 운동 시에 로크 플레이트의 걸어 맞춤 구멍의 로크 기어에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도록 로크 플레이트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를 전진 운동시킴으로써, 제1가세 수단의 가세력으로 걸어 맞춤 구멍의 로크 기어에 대하여 걸어 맞추어진 상태에서 로크 플레이트가 조작 축 주위로 회전 운동하고, 이것에 의한 로크 플레이트의 회전 운동으로 조작 축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조작 레버를 복귀 운동시킴으로써 가이드 부재에 의해 걸어 맞춤 구멍의 로크 기어에 대한 걸어 맞춤이 해제되기 때문에, 일단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 조작 축은, 역회전하는 일이 없이 조작 레버의 전진 운동 시의 회전 위치가 유지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를 중립 위치로부터 소정의 방향을 향해서 왕복 운동 조작하는 것에 의한 로크 플레이트의 걸어 맞춤 구멍의 로크 기어에 대한 걸림 및 걸림 해제에 의해서 조작 축은 소정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크 플레이트는, 그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피안내 돌기를 갖추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조작 레버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전진 운동 시에 상기 피안내 돌기와의 간섭으로 제2가세 수단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축 주위로 회전 운동하고, 로크 플레이트의 로크 기어에 걸어 맞춘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 축 주위의 회전 운동을 허용하고, 소정의 위치에서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제1가이드 부재와, 조작 레버의 복귀 운동 시에 상기 피안내 돌기와의 간섭으로 로크 플레이트를 지지 축 주위로 회전 운동시켜 걸어 맞춤 구멍이 로크 기어와 걸어 맞춰지지 않도록 하는 제2가이드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가세 수단은, 상기 제1가세 수단보다 큰 가세력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를 소정의 방향을 향해 전진 운동 조작하면, 로크 플레이트의 피안내 돌기가 제2가세 수단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제1가이드 부재를 축 주위로 회전 운동시키고, 이것에 의한 피안내 돌기의 제1가이드 부재에 대한 빠져나감으로 로크 플레이트가 걸어 맞춰진 상태의 로크 기어가 회전하기 때문에, 조작 축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조작 레버가 최대 전진 운동 조작된 상태에서는, 제2가세 수단의 가세력이 제1가세 수단의 가세력보다 큰 것에 의해, 제1가이드 부재가 축 주위에 역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이것에 의한 피안내 돌기를 통한 로크 플레이트의 지지 축 주위의 회전 운동으로 걸어 맞춤 구멍의 로크 기어에 대한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 계속하여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를 복귀 운동 조작하면, 피안내 돌기가 제2가이드 부재에 안내되어서 로크 플레이트의 로크 기어에 대한 걸어 맞춤 해제 상태가 유지된 채, 즉 조작 축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조작 레버는 원래의 중립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를, 조작 레버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전진 운동 시에 로크 플레이트와의 연동으로 조작 축을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는 제1가이드 부재와, 조작 레버의 복귀 운동 시에도 로크 플레이트와의 연동으로 조작 축을 회전시키지 않도록 작용하는 제2가이드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이면서 조작 레버의 왕복 운동으로 조작 축을 소정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시트의 높이 위치 조정용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 높이 위치 조정용의 기기(機器)가 간단한 구성이면서 조작이 용이한 것으로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회전 이송 구조가 적용된 시트 높이 위치 조절 기구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10)는, 시트 보톰(seat bottom)(11)과, 이 시트 보톰(11)의 뒷부분에 세워 설치된 시트 백(seat back)(12)과, 상기 시트 보톰(11) 및 시트 백(12)을 지지하는 폭 방향 1쌍의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13)과,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13)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레일(slide rail)(1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14)은, 플로어(floor)에 고정된 하부 레일(14a)과, 이 하부 레일(14a)에 위로부터 밖에서 끼워진 전후 이동 가능한 상부 레일(14b)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13)은, 이 슬라이드 레일(14)의 천판(天板) 위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시트(10)의 1쌍의 사이드 프레임(13) 사이에 시트 보톰(11)의 높이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기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높이 조절 기구(20)는, 1쌍의 사이드 프레임(13) 사이에 가설된 전후 방향 1쌍의 가설 로드(21)와,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13)의 내측에서 가설 로드(21)에 직교하도록 고정되어 위쪽으로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각각 전후 방향 1쌍의 링크 로드(link rod)(22)와, 이것들 1쌍의 링크 로드(22) 사이에 링크 축(23) 주위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가교(架橋)된 폭 방향 1쌍의 시트 보톰 지지 로드(24)와, 전방 측의 링크 로드(22)의 한쪽 측(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전방 측을 향해 돌출 설치된 섹터 기어(sector gear)(25)와, 이 섹터 기어(25)에 맞물리는 기어를 구비한, 사이드 프레임(13)에 부착되는 본 발명의 회전 이송 구조(3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13)과, 이것들 사이드 프레임(13)에 가설 로드(21)를 통해 연결된 각각 1쌍의 링크 로드(22)와, 이것들 링크 로드(22)에 링크 축(23)을 통해 연결된 폭 방향 1쌍의 시트 보톰 지지 로드(24)로 사변형 링크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이송 구조(30)는, 조작 레버(70)를 갖추고 있으며, 이 조작 레버(7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한 조작 축(50)의 회전으로 조작 축(50)과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에 맞물린 섹터 기어(25)를 가설 로드(21) 주위로 함께 회전시키고, 이것에 의한 사변형 링크 구조의 링크 운동으로 시트 보톰 지지 로드(24)를 승강시켜, 시트 보톰(11)의 높이 위치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조작 축(50)의 회전 이송 구조(30)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그것의 조립 사시도이다. 우선,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축(50)의 회전 이송 구조(30)는, 사이드 프레임(13)(도 1)의 바깥 면 측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드럼(40)과, 이 브레이크 드럼(40)에 동심으로 내장된 조작 축(50)과, 브레이크 드럼(40)의 밑면에 동심으로 적층(積層) 배치되는 로크 기어(60)와, 중립 위치로부터의 위쪽을 향하는 왕복 운동 조작 또는 아래쪽을 향하는 왕복 운동 조작으로 조작 축(50)을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 레버(70)와, 이 조작 레버(70)와 상기 로크 기어(60)와의 사이에 끼워 설치되어 조작 레버(70)와 로크 기어(60)를 연결하는 로크 부재(80)와, 상기 브레이크 드럼(40)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로크 부재(80)의 로크 기어(60)에 대한 걸림 및 걸림 해제를 안내하는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크 부재(80)와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로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1실시형태의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 드럼(40)은, 외부 통(41)과, 이 외부 통(41)에 끼워진 내부 통(42)과, 이 내부 통(42) 및 상기 외부 통(41) 사이에 미끄럼 접촉 상태로 끼워 설치된 코일 형상의 브레이크 스프링(43)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내부 통(42)에 이것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조작 축(50)이 동심으로 배열 설치된 것이다(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7-19562호 공보 참조).
이러한 브레이크 드럼(40)은, 내부 통(42)이 로크 기어(60)의 회전으로 로크 기어(60) 측으로부터 회전됨으로써, 브레이크 스프링(43)의 직경 치수가 약간 작아져서 내부 통(42)은 원주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회전하는 것에 대해, 조작 축(50)을 회전시키려고 하였을 때에는, 브레이크 스프링(43)은, 직경 치수가 크게 되어 외부 통(41)의 내주면(內周面)을 누르고, 이것에 의해 조작 축(50)의 축심 주위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조작 레버(70) 측으로부터의 로크 기어(60)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조작 축(5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에 대해, 조작 축(50)에 직접 힘을 가해도 조작 축(50)은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드럼(40)의 외부 통(41)에는, 개구(開口) 측 외주면의 전체 원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돌출 설치된 플랜지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44)에는, 복수 개의 장착 구멍(44a)이 뚫려 설치되고, 이 장착 구멍(44a)에 소정의 나사가 끼워 통과된 상태로 브레이크 드럼(40)이 시트(10)의 사이드 프레임(13)(도 1)에 나사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부 통(42)은, 외부 통(41)의 밑판의 중심 위치에 뚫려 설치된 중심 구멍을 관통하는 중심 축(45)을 갖추고 있다. 이 중심 축(45)은, 내부 통(42)에 일체로 고정되고, 외부 통(41)의 밑판보다 외부에 돌출한 부분으로부터 선단(先端) 측을 향해 키(key) 축(45a), 대직경(大直徑) 나사 축(45b) 및 소직경(小直徑) 나사 축(45c)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키 축(45a)은, 서로 반대 측의 원주면이 절삭되어서 각각의 평행한 평면으로 이루어진 편평(偏平) 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 기어(60)는, 직경 치수가 브레이크 드럼(40)의 외부 통(41)의 직경 치수와 대략 동등하게 치수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로크 기어(60)는, 중심 위치에 상기 내부 통(42)의 키 축(45a)이 미끄럼 접촉 상태로 끼워지는 편평 구멍(61)을 갖추고 있는 동시에, 외주면에는 전체 원주에 걸쳐서 균등한 피치로 복수의 걸어 맞춤 톱니(6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편평 구멍(61)이 중심 축(45)의 키 축(45a)에 밖에서 끼워진 상태로 너트(46)를 대직경 나사 축(45b)에 나사로 부착하여 체결함으로써 로크 기어(60)가 중심 축(45)을 통해 브레이크 드럼(40)의 내부 통(42)에 장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 축(50)의 중심 위치에는 중심 구멍(51)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중심 축(45)의 기단면(基端面)(내부 통(42)의 밑판 측의 면)에는, 이 중심 구멍(51)에 대향한 도시 생략한 나사 구멍이 동심으로 뚫려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멈춤 축(52)이 조작 축(50)의 중심 구멍(51)을 통해 중심 축(45)의 나사 구멍에 나사로 부착 체결됨으로써, 조작 축(50)이 멈춤 축(52) 주위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내부 통(42) 내에 장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조작 레버(70)는, 기단(基端) 측에 원형으로 형성된 로크 기어(60)를 장착하기 위한 기어 장착부(71)와, 이 기어 장착부(71)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조작 지레(72)로서 이루어져 있다. 기어 장착부(71)에는, 내경(內徑) 치수가 로크 기어(60)의 외경(外徑) 치수보다 약간 큰 장착 오목부(73)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 오목부(73)의 밑판(74)에는, 중심 위치에 상기 소직경 나사 축(45c)을 미끄럼 접촉 상태로 삽입하여 통과하는 중심 구멍(75)이 뚫려 설치되고, 2장의 접시 스프링(47)을 통해 상기 중심 구멍(75)에 소직경 나사 축(45c)을 삽입하여 통과하고, 너트(53)를 나사로 부착하여 체결함으로써, 브레이크 드럼(40) 및 로크 기어(60)가 접시 스프링(47)을 통해 조작 레버(70)에 장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드럼(40) 및 로크 기어(60)가 조작 레버(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압축 탄성 변형하고 있는 접시 스프링(47)의 가세력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40), 로크 기어(60) 및 조작 레버(70) 사이의 덜컹거림이 유효하게 방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조작 레버(70)는, 기어 장착부(71)의 외주부의 적소(適所)로부터 브레이크 드럼(40)의 플랜지부(44)를 향해서 돌출한 스프링 받이 돌출편(79)을 갖추고 있는 동시에, 플랜지부(44)에도 상기 스프링 받이 돌출편(79)에 대응한 스프링 받이 돌출편(48)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 스프링 받이 돌출편(48, 79)은, 조작 레버(70)가 중립 위치로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 서로 중합(重合)되도록 설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양(兩) 스프링 받이 돌출편(48, 79)이 중합된 상태에서, 대직경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복귀 스프링(49)이 브레이크 드럼(40)의 외부 통(41)에 밖에서 끼워져, 이 복귀 스프링(49)의 양단부(兩端部)에서 양 스프링 받이 돌출편(48, 79)을 끼워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조작 지레(72)를 중립 위치로부터 어느 방향을 향해서 조작하여도, 각각의 스프링 받이 돌출편(48, 79)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복귀 스프링(49)에 가세력이 발생하고, 이 가세력으로 조작 레버(70)는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힘을 받게 된다.
상기 로크 부재(80)는, 기어 장착부(71)와 조작 지레(72)와의 경계 위치에 장착되는 U자 형상을 이룬 U자 플레이트(81)와, 이 U자 플레이트(81)의 밑판의 중앙부로부터 로크 기어(60)의 방향에 돌출 설치된 로크 플레이트(82)와, 이 로크 플레이트(82)의 선단부(先端部)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피안내 돌기(8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로크 부재(80)는, U자 플레이트(81)가 조작 지레(72)의 기단 측의 오목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오목부의 도 2에 있어서의 상하의 내면 사이에 가설되는 지지 축(78)이 U자 플레이트(81)의 양 측부(側部)에 관통되어, 이것에 의해 지지 축(78) 주위로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 축(78)은, 로크 기어(60)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크 플레이트(82)에는, 도 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걸어 맞춤 구멍(84)이 도 2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복수 개(도 2에서는 3개)가 병렬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의 걸어 맞춤 구멍(84)은, 상기 로크 기어(60)의 걸어 맞춤 톱니(62)의 톱니 피치와 동일한 피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U자 플레이트(81)의 로크 플레이트(82)와 반대쪽의 가장자리부에는, 스프링 받이 돌출편(85)이 돌출 설치되어 있는 한편, 조작 지레(72) 내에는, 스프링 받이 돌출편(85)보다 전방 위치에 스프링 받이 축(7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스프링 받이 축(76)과 상기 스프링 받이 돌출편(85)과의 사이에 제1코일 스프링(제1가세 수단)(86)이 장설(張設)되고, 이것에 의해 로크 부재(80)를 지지 축(78) 주위에 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 받이 돌출편(85)은 제1코일 스프링(86)에 의해 가세된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부가 기어 장착부(71)와 조작 지레(72)와의 사이에 형성된 격벽(77)에 닿아서 멈추고, 이것 이상의 지지 축(78) 주위의 회전 운동이 저지된 걸어 맞춤 위치에 위치가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80)가 걸어 맞춤 위치에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82)의 각각의 걸어 맞춤 구멍(84)이 로크 기어(60)의 걸어 맞춤 톱니(62)에 끼워져 걸어 맞춰진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조작 지레(72)를 파지(把持)하여 상하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 조작하면, 이 조작은, 로크 부재(80), 로크 기어(60)를 통해 브레이크 드럼(40)의 내부 통(42)에 전달되고, 로크 기어(60) 측으로부터의 회전력의 전달에 의해서는 회전하도록 구성된 내부 통(42)이 회전함으로써, 이것에 유도되어 조작 축(50)이 조작 지레(72)의 조작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하에,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를 나타낸 도 3의 A선 화살표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가이드 플레이트(91)를 나타낸 도 4의 B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이것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는, 상기 로크 부재(80)에 대향하여 브레이크 드럼(40)의 플랜지부(44)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된 1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제1가이드 부재)(91)와, 이것들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91)와의 협동으로 로크 부재(80)의 피안내 돌기(83)를 안내하는 가이드 캠(제2가이드 부재)(9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91)는, 브레이크 드럼(40)의 플랜지부(44)로부터 로크 기어(60)의 방향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1쌍의 절곡편(折曲片)(91a)과, 각각의 절곡편(91a)의 선단 측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연설편(延設片)(91b)과, 각각의 연설편(91b)의 선단부가 2갈래 형상으로 나뉘어 형성된 한쪽 측인 제1가이드편(91c)과, 그 다른 쪽 측인 축수편(軸受片)(91d)으로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각의 제1가이드편(91c)은, 그 상면에서 로크 부재(80)의 피안내 돌기(83)를 안내하는 것이고, 각각의 연설편(91b)으로부터 로크 부재(80)의 방향에 돌출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제1가이드편(91c)의 선단 사이에는, 피안내 돌기(83)가 통과할 수 있도록 치수가 설정된 간극(9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축수편(91d)은, 가이드 캠(92)을 축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제1가이드편(91c)과 반대쪽의 연설편(91b)의 가장자리부가 브레이크 드럼(40)의 외부 통(41)의 방향으로 절곡된 후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캠(92)은,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91)의 축수편(91d)의 캠 축(94) 주위로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된 원주편(圓柱片)(92a)과, 각각의 원주편(92a)으로부터 제1가이드편(91c)의 반대 방향에 연장 설치된 대략 3각 형상의 3각편(92b)과, 각각의 3각편(92b)의 선단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2가이드편(92c), 각각의 원주편(92a)으로부터 3각편(92b)과 반대 방향에 돌출 설치된 스프링 지지편(支持片)(92f)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스프링 지지편(92f) 사이에는, 제2코일 스프링(제2가세 수단)(95)이 장설(張設)되고, 이 제2코일 스프링(95)의 가세력에 의해서 각각의 가이드 캠(92)은, 각각의 캠 축(94) 주위에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한 힘을 받고 있다.
상기 각각의 원주편(92a)은, 가이드 플레이트(91)보다 외부 통(41) 근처의 위치에서, 또한 제1가이드편(91c)과 축수편(91d)의 바깥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두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3각편(92b)은, 원주편(92a)의 플랜지부(44) 근처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제2가이드편(92c)은, 이 3각편(92b)의 선단(도 5의 하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제1가이드편(91c)에 대향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제2가이드편(92c)은, 가이드캠(92)이 상기 제2코일 스프링(95)의 가세력을 받은 상태에서, 표면 측이 제1가이드편(91c)과 하나의 면으로 되는 면일 가이드편(92d)과, 이 면일 가이드편(92d)에 연속되는 원호 형상을 이룬 원호 가이드편(92e)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원호 가이드편(92e)은, 내면 측이 원주편(92a)에 대향하고 있는 동시에, 각각의 선단부는 피안내 돌기(83)보다도 외부 통(41) 근처의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제2코일 스프링(95)은, 그 가세력이 상기 제1코일 스프링(86)의 가세력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여기서 말하는 각각의 코일 스프링(95, 86)의 가세력은, 모멘트를 고려한 가세력이다.
따라서, 조작 레버(70)가 중립 위치에 위치가 설정된 상태,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부재(80)의 피안내 돌기(83)가 각각의 가이드 캠(92) 사이의 간극(93)에 위치한 상태에서 조작 지레(72)를 어느 쪽인가의 방향으로 전진 운동 조작하면, 우선 피안내 돌기(83)가 원호 가이드편(92e)의 내면 측을 외부 통(41)의 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가이드 캠(92)은 캠 축(94) 주위로 제1가이드편(91c)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이것에 의해 피안내 돌기(83)는 제1가이드편(91c)과 원호 가이드편(92e)과의 사이를 빠져나와 면일 가이드편(92d) 위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제2코일 스프링(95)의 가세력 쪽이 제1코일 스프링(86)의 가세력보다 크기 때문에, 제2코일 스프링(95)의 가세력에 의해 가이드 캠(92)은 캠 축(94) 주위로 회전 운동하고, 피안내 돌기(83)를 밀어 올려 로크 플레이트(82)를 걸어 맞춤 해제 위치에 위치 설정하는 동시에, 면일 가이드편(92d)은 제1가이드편(91c)과 하나의 면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지레(72)를 복귀 운동 조작함으로써, 피안내 돌기(83)는, 제1가이드편(91c)의 표면 측으로 안내되어서 가이드 캠(93) 사이의 간극(93)을 향하고, 거기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1코일 스프링(86)의 가세력에 의한 로크 부재(80)의 지지 축(78) 주위의 회전 운동으로 원래의 걸어 맞춤 위치에 복귀하게 된다.
이하에 본 제1실시형태의 회전 이송 구조(30)의 작용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근거로, 필요에 따라 도 2∼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회전 이송 구조(3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6의 (가)는, 조작 레버(70)가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 도 6의 (나)는, 조작 레버(70)를 위쪽을 향해 전진 운동시키고 있는 상태, 도 7의 (가)는, 조작 레버(70)를 최전진 운동 위치에까지 전진 운동시킨 상태, 도 7의 (나)는, 조작 레버(70)를 복귀 운동시키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6의 (가)에 나타내는, 조작 레버(70)가 중립 위치에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는, 로크 부재(80)는, 제1코일 스프링(86)에 의해 지지 축(78) 주위에 로크 기어(60)를 향하는 가세력을 받고, 이것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82)의 걸어 맞춤 구멍(84)이 로크 기어(60)의 걸어 맞춤 톱니(62)에 밖에서 끼워져 로크 기어(60)가 회전이 멈추어져 있다. 또한, 상하 1쌍의 가이드 캠(92)은, 제2코일 스프링(95)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세되어, 이것에 의해 가이드 캠(92)의 면일 가이드편(92d)의 표면 측은 가이드 플레이트(91)의 제1가이드편(91c)과 하나의 면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로크 부재(80)의 피안내 돌기(83)는, 상하의 가이드 캠(92) 사이의 간극(93)에 위치하고 있다.
삭제
이 상태에서 조작 지레(72)를 파지하여 위쪽으로 전진 운동 조작함으로써, 피안내 돌기(83)가 가이드 캠(92)의 원호 가이드편(92e)의 내면 측에 안내되면서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 로크 기어(60)는 중심 축(45)(도 2) 주위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은, 브레이크 드럼(40)을 통해 조작 축(50)의 축심(軸心) 주위의 회전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피안내 돌기(83)가 원호 가이드편(92e)의 선단부에 도달하면 제1가이드편(91c)과 간섭함으로써 이것에 눌려서 가이드 캠(92)이 캠 축(94) 주위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이것에 의해 피안내 돌기(83)는, 도 6의 (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 가이드편(92e)과 제1가이드편(91c)과의 사이를 미끄러져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조작 지레(72)가 최전진 운동 위치까지 끌려 올라가면, 피안내 돌기(83)는, 도 7의 (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가이드편(91c)을 지나쳐서 제2가이드편(92c)의 면일 가이드편(92d)에만 맞닿은 상태가 되지만, 이 상태에서는, 제2코일 스프링(95)의 가세력 쪽이 제1코일 스프링(86)의 가세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플레이트(91)는 캠 축(94) 주위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면일 가이드편(92d)이 피안내 돌기(83)를 도 6의 왼쪽을 향해서 누른다. 이것에 의해 로크 부재(80)는 지지 축(78) 주위를 회전 운동하여 로크 플레이트(82)의 걸어 맞춤 구멍(84)이 로크 기어(60)의 걸어 맞춤 톱니(62)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어서, 조작 지레(72)를 복귀 운동 조작하면, 걸어 맞춤 톱니(62)가, 도 7의 (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가이드편(91c)에 안내되어서 이동하기 때문에, 로크 플레이트(82)의 걸어 맞춤 구멍(84)이 로크 기어(60)의 걸어 맞춤 톱니(62)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조작 지레(72)의 복귀 운동 조작에 의해서는 로크 기어(60)가 회전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조작 지레(72)가 중립 위치에 복귀하면, 피안내 돌기(83)가 제1가이드편(91c)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제1코일 스프링(86)의 가세력에 의해 로크 부재(80)가 지지 축(78) 주위에 회전 운동하고, 이것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82)의 걸어 맞춤 구멍(84)이 로크 기어(60)의 걸어 맞춤 톱니(62)에 다시 밖에서 끼워져, 도 6의 (가)에 나타낸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조작 지레(72)의 위쪽을 향하는 왕복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로크 기어(60)는 중심 축(45)(도 2) 주위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으로 조작 축(50), 섹터 기어(25)(도 1), 링크 로드(22) 및 시트 보톰 지지 로드(24)를 통해 시트 보톰(11)이 승강하게 된다. 또한, 조작 레버(70)를 중립 위치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왕복 조작함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의 작용으로 로크 기어(60)를 중심 축(45) 주위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실시형태의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가 적용된 회전 이송 구조(30)는, 이상 상술(詳述)한 바와 같이, 중립 위치에 설정된 조작 레버(70)를 한 방향으로 왕복 조작함으로써 조작 레버(70)의 회전 운동 중심과 동심으로 설치된 조작 축(50)을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편, 조작 레버(70)를 다른 방향으로 왕복 조작함으로써 조작 축(50)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한 조작 축의 회전 이송 구조이며, 조작 축(50)에 밖에서 끼워져 조작 레버(70) 측으로부터의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한 조작 축(50)의 회전을 허용하는 한편, 조작 축(50) 측으로부터의 조작 축(50)의 회전을 저지하는 브레이크 드럼(40)과, 이 브레이크 드럼(40) 바깥에서 조작 축(50)에 함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크 기어(60)와, 조작 레버(70)의 전진 운동 시에 로크 기어(60)와의 맞물림으로 조작 축(50)을 회전시키는 한편, 조작 레버(70)의 복귀 운동 시에 맞물림을 해제하는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선 제일 먼저, 로크 기어(60)를 브레이크 드럼(40)의 바깥쪽에 설치했기 때문에, 드럼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 톱니 기어에 대한 걸림 및 걸림 해제에 의해 조작 축(50)의 회전 이송을 하는 종래의 것에 비교해서, 브레이크 드럼(40)의 직경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회전 이송 구조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를, 조작 레버(70)에 지지 축 주위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축으로 지지시키고, 또한, 제1코일 스프링(86)의 가세력에 의해 로크 기어(60)에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구멍(84)을 구비한 로크 플레이트(82)와, 조작 레버(70)의 전진 운동 시에 로크 플레이트(82)의 걸어 맞춤 구멍(84)의 로크 기어(60)에의 걸어 맞춤을 허용하는 동시에, 복귀 운동 시에 로크 플레이트(82)의 걸어 맞춤 구멍(84)의 로크 기어(60)에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도록 로크 플레이트(82)를 안내하는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로서 구성했기 때문에, 조작 레버(70)를 전진 운동시킴으로써, 제1코일 스프링(86)의 가세력으로 걸어 맞춤 구멍(84)의 로크 기어(60)에 대한 걸어 맞춤이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에 의해 확보된 상태로 되어서 로크 플레이트(82)가 조작 축(50) 주위에 회전 운동하고, 이 로크 플레이트(82)의 회전 운동으로 조작 축(5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조작 레버(70)를 복귀 운동시킴으로써,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에 의해 걸어 맞춤 구멍(84)의 로크 기어(60)에 대한 걸어 맞춤이 해제되고, 이것에 의해 일단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 조작 축(50)은, 역회전하는 일이 없이 조작 레버(70)의 전진 운동 시의 회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70)를 중립 위치로부터 소정의 방향을 향해 왕복 운동 조작하는 것에 의한 로크 플레이트(82)의 걸어 맞춤 구멍(84)의 로크 기어(60)에 대한 걸림 및 걸림 해제에 의해 조작 축(50)을 소정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로크 플레이트(82)에는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피안내 돌기(83)를 설치하는 동시에,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를, 조작 레버(70)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전진 운동 시에 피안내 돌기(83)와의 간섭으로 제2코일 스프링(95)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캠 축(94) 주위로 회전 운동하고, 로크 플레이트(82)의 로크 기어(60)에의 걸어 맞춤을 확보한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 축(50) 주위의 회전 운동을 허용하는 가이드 캠(92)과, 조작 레버(70)의 복귀 운동 시에 피안내 돌기(83)와의 간섭으로 로크 플레이트(82)를 지지 축 주위로 회전 운동시켜서 걸어 맞춤 구멍(84)의 로크 기어(60)에 대한 걸어 맞춤을 해제시키는 가이드 플레이트(91)를 구비하여 구성했기 때문에, 조작 레버(70)를 소정의 방향을 향해서 전진 운동 조작하면, 로크 플레이트(82)의 피안내 돌기(83)가 제2코일 스프링(95)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가이드 캠(92)을 축 주위로 회전 운동시키고, 이것에 의한 피안내 돌기(83)의 가이드 캠(92)에 대한 빠져나옴으로 로크 플레이트(82)가 걸어 맞춰진 상태인 로크 기어(60)가 회전하기 때문에, 조작 축(5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조작 레버(70)가 최대로 전진 운동 조작된 상태에서는, 제2코일 스프링(95)의 가세력이 제1코일 스프링(86)의 가세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가이드 캠(92)이 축 주위에 역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이것에 의한 피안내 돌기(83)를 통한 로크 플레이트(82)의 지지 축 주위의 회전 운동으로 걸어 맞춤 구멍(84)의 로크 기어(60)에 대한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 이어서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70)를 복귀 운동 조작하면, 피안내 돌기(83)가 가이드 플레이트(91)에 안내되어서 로크 플레이트(82)의 로크 기어(60)에 대한 걸어 맞춤 해제 상태가 유지된 채, 즉, 조작 축(50)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조작 레버(70)는 원래의 중립 위치에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를, 조작 레버(70)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전진 운동 시에 로크 플레이트(82)와의 연동으로 조작 축(50)을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는 가이드 캠(92)과, 조작 레버(70)의 복귀 운동 시에도 로크 플레이트(82)와의 연동으로 조작 축(50)을 회전시키지 않도록 작용하는 가이드 플레이트(91)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이면서 조작 레버(70)의 왕복 운동으로 조작 축(50)을 소정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는 가이드 캠(92') 및 로크 부재(80)를 나타내는 사시도, (나)는 (가)의 가이드 캠(92')의 C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시형태의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로크 부재(80)와, 가이드 캠(92')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제1실시형태에서 채용되고 있었던 가이드 플레이트(91)는 채용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되는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가 가이드 캠(92')에만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캠(92')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드럼(40)의 플랜지부(44)에 설치된 캠 축(94) 주위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축으로 지지되는 1쌍의 원주편(92a)과,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원주편(92a)으로부터 돌출 설치된 스프링 지지편(92f)과, 이 스프링 지지편(92f)과 반대쪽의 원주편(92a)의 위치에 일체로 설치된 제3가이드편(92g)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3가이드편(92g)은, 조작 레버(70)(도 1)가 중립 위치에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 로크 부재(80)를 지지하는 지지 축(78)과 평행하고, 또한, 조작 레버(70)가 전진 운동 조작되어도 로크 플레이트(82)의 피안내 돌기(83)와 간섭하지 않는 평행면(92h)을 갖는 비간섭편(92i)과, 이 비간섭편(92i)과 직교하고, 또한, 조작 레버(70)가 전진 운동 조작된 때에 상기 피안내 돌기(83)와 간섭하는 직교면(92j)을 갖는 간섭편(92k)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간섭편(92k)은, 그 직교면(92j)의 길이 치수가 조작 레버(70)의 약 80%의 회전 운동 범위에서 피안내 돌기(83)와 맞닿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이 직교면(92j)과 대략 직교하여 스프링 지지편(92f)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평행면(92m)을 갖추고 있다. 제2평행면(92m)은, 조작 레버(70)가 전진 운동 조작되어 종료된 상태에서도, 피안내 돌기(83)가 이 제2평행면(92m)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길이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의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에 의하면, 조작 레버(70)가 중립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피안내 돌기(83)는, 도 8의 (나)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제3가이드편(92g)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동시에, 도 8의 (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82)의 걸어 맞춤 구멍(84)이 로크 기어(60)의 걸어 맞춤 톱니(62)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70)를 도 8의 위쪽을 향해서 전진 운동 조작하면, 피안내 돌기(83)가 직교면(92j)에 맞닿을 때까지는, 제3가이드편(92g)이 캠 축(94) 주위에 회전 운동하는 일 없이 조작 레버(70)와 함께 회전하는 로크 부재(80)의 중심 축(45) 주위의 회전에 의한 로크 플레이트(82)의 회전 운동에 의해 로크 기어(60)가 회전하고, 조작 축(50)이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 레버(70)의 위쪽을 향한 전진 운동 조작을 계속함으로써, 피안내 돌기(83)가 직교면(92j)를 누르고, 이것에 의해 도 8의 (나)의 위쪽 측의 제3가이드편(92g)은, 캠 축(94)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도 8의 (나)의 화살표 X로 나타낸 상태가 된다.
그리고, 더욱 조작 레버(70)를 전진 운동 조작함으로써, 피안내 돌기(83)는, 직교면(92j)의 선단 측으로부터 간섭편(92k)의 제2평행면(92m)으로 이행(移行)하고, 도 8의 (나)의 화살표 Y로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 상태가 되면, 제1코일 스프링(86)(도 4)의 가세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제2코일 스프링(95)의 가세력에 의해 제3가이드편(92g)이 캠 축(94)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이것에 의한 로크 부재(80)의 지지 축(78) 주위의 회전 운동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82)의 로크 기어(60)에 대한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 조작 레버(70)의 조작이 로크 기어(60)를 통해 조작 축(50)에 이르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70)를, 도 8의 (나)에 있어서의 아래쪽을 향해 복귀 운동 조작함으로써, 피안내 돌기(83)는 제2평행면(92m)을 미끄럼 운동하면서 도 8의 (나)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제2평행면(92m)을 떼어냄으로써, 도 8의 (나)에 실선으로 나타낸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위쪽을 향한 조작 레버(70)의 왕복 운동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조작 축(50)은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조작 레버(70)를 아래쪽을 향해 왕복 조작함으로써, 조작 축(50)은 다른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실시형태의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에 의하면, 가이드 플레이트(91)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부분품 비용의 경감화에 공헌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는 가이드 캠(92") 및 로크 부재(80)를 나타내는 사시도, (나)는 (가)의 가이드 캠(92")의 D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실시형태의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로크 부재(80)와, 제3실시형태 고유의 가이드 캠(9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실시형태에서 채용되고 있었던 가이드 플레이트(91)는 채용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 캠(92")은 1개만이 채용되고 있다. 기타 구성은, 제2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즉,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는, 가이드 캠(92")만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제3실시형태의 가이드 캠(92")은, 도 9의 (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선대칭으로 형성된 1쌍의 가이드 캠(92')을 원주편(92a) 1개로 공용되도록 합체시킨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러한 가이드 캠(92")은, 상기 원주편(92a)에 대응한, 정면으로 보아서 반원 형상의 1개의 반원주편(92a')과, 이 반원주편(92a')으로부터 도 9의 (가)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1쌍의 간섭편(92k)과, 이것들 간섭편(92k)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을, 피안내 돌기(83)와 반대 측에서 덮는 피복편(92n)으로서 이루어져 있다. 반원주편(92a')은, 플랜지부(44)에 설치된 캠 축(94) 주위에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반원주편(92a')은, 브레이크 드럼(40)의 플랜지부(44)에 피안내 돌기(83)에 대응해서 설치된 1개의 캠 축(94)에 의해 이 캠 축(94) 주위로 자유로이 정역(正逆)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간섭편(92k) 사이의 간극 부분에 위치하는 반원주편(92a')의 현(弦)에 닿는 부분의 외면에,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행면(92h)에 상당한, 상기 중심 축(45)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92p)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호면(92p)은, 로크 플레이트(82)가 걸어 맞춤 위치에 설정된 상태의 피안내 돌기(83)가 맞닿는 동시에, 조작 레버(70)의 약 80%의 전진 운동에 의해서는 피안내 돌기(83)가 간섭편(92k)의 직교면(92j)에 도달하지 않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피복편(92n)의 정상부(도 9의 왼쪽)에는, 제2코일 스프링(95)이, 캠 축(94)의 축심과 상기 정상부를 연결하는 직선상에서 장설(張設)되고, 이 제2코일 스프링(95)의 가세력으로 가이드 캠(92")은, 피안내 돌기(83)가 원호면(92p)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립 자세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3실시형태의 가이드 캠(92")에 의하면, 조작 레버(70)가 중립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피안내 돌기(83)는, 도 9의 (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주편(92a')의 원호면(92p)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동시에, 도 9의 (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82)의 걸어 맞춤 구멍(84)이 로크 기어(60)의 걸어 맞춤 톱니(62)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70)를, 예를 들어 도 9의 위쪽을 향해 전진 운동 조작하면, 피안내 돌기(83)가 간섭편(92k)의 직교면(92j)에 맞닿을 때까지는, 가이드 캠(92")이 캠 축(94) 주위로 회전 운동하지 않고 조작 레버(70)와 함께 회전하는 로크 부재(80)의 중심 축(45) 주위의 회전에 의한 로크 플레이트(82)의 회전 운동에 의해 로크 기어(60)가 중심 축(45) 주위를 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조작 축(50)이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 레버(70)의 위쪽을 향한 전진 운동 조작을 계속함으로써, 피안내 돌기(83)가 직교면(92j)을 누르고, 이것에 의해 도 9의 (나)의 위쪽 측의 간섭편(92k)은, 캠 축(94)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도 9의 (나)의 화살표 Z로 나타낸 상태가 된다.
그리고, 더욱 조작 레버(70)를 전진 운동 조작함으로써, 피안내 돌기(83)는, 직교면(92j)의 선단 측으로부터 간섭편(92k)의 제2평행면(92m)으로 이행하고, 도 9의 (나)의 화살표 Z'로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 상태가 되면, 제1코일 스프링(86)(도 4)의 가세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제2코일 스프링(95)의 가세력에 의해 간섭편(92k)이 캠 축(94)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이것에 의한 로크 부재(80)의 지지 축(78) 주위의 회전 운동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82)의 로크 기어(60)에 대한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 조작 레버(70)의 조작이 로크 기어(60)를 통해 조작 축(50)에 이르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70)를, 도 9의 (나)에 있어서의 아래쪽을 향해 복귀 운동 조작함으로써, 피안내 돌기(83)는 제2평행면(92m)을 미끄럼 운동하면서 도 9의 (나)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제2평행면(92m)으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도 9의 (나)에 실선으로 나타낸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위쪽을 향한 조작 레버(70)의 왕복 운동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조작 축(50)은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조작 레버(70)를 아래쪽을 향해 왕복 조작함으로써, 조작 축(50)은 다른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3실시형태의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에 의하면, 제1실시형태의 가이드 플레이트(91)를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같이 가이드 캠을 2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2실시형태보다도 더욱 부품 비용의 경감화에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내용도 포함하는 것이다.
(1)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는, 브레이크 드럼(40)의 플랜지부(44)에 부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가 플랜지부(44)에 부착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브레이크 드럼(40)의 외부 통(41)의, 로크 기어(60)에 대한 대향면에 환상(環狀) 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이 환상 플레이트에 걸림 및 걸림 해제 안내 부재(90)를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2)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로크 기어(60)의 외주면에 전체 원주에 걸쳐서 걸어 맞춤 톱니(62)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로크 기어(60)의 외주면에 전체 원주에 걸쳐서 걸어 맞춤 톱니(62)를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시트 보톰(11)의 승강 범위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걸어 맞춤 톱니(62)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3)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축(50)의 회전 이송 구조(30)를 시트(10)의 시트 보톰(11)의 승강에 적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회전 이송 구조(30)는, 시트 보톰(11)의 승강에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윈치(winch)나 리프터(lifter)와 같은, 조작 레버(70)의 왕복 동작으로 소정의 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각종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로크 기어를 브레이크 드럼의 바깥쪽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드럼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 톱니 기어에 대한 걸림 및 걸림 해제에 의해 조작 축의 회전 이송을 실행하는 종래의 것에 비교해서, 브레이크 드럼의 직경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게 되고, 이것에 의해 회전 이송 구조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를 전진 운동시킴으로써, 제1가세 수단의 가세력으로 걸어 맞춤 구멍의 로크 기어에 대한 걸어 맞춤이 가이드 부재에 의해서 확보된 상태가 되어 로크 플레이트가 조작 축 주위로 회전 운동하고, 이것에 의한 로크 플레이트의 회전 운동으로 조작 축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조작 레버를 복귀 운동시킴으로써, 가이드 부재에 의해 걸어 맞춤 구멍의 로크 기어에 대한 걸어 맞춤이 해제되기 때문에, 일단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 조작 축은, 역회전하는 일 없이 조작 레버의 전진 운동 시의 회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를 중립 위치로부터 소정의 방향을 향하여 왕복 운동 조작하는 것에 의한 로크 플레이트의 걸어 맞춤 구멍의 로크 기어에 대한 걸림 및 걸림 해제에 의해서 조작 축을 소정의 방향에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를, 조작 레버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전진 운동 시에 로크 플레이트와의 연동으로 조작 축을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는 제1가이드 부재와, 조작 레버의 복귀 운동 시에도 로크 플레이트와의 연동으로 조작 축을 회전시키지 않도록 작용하는 제2가이드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이면서 조작 레버의 왕복 운동으로 조작 축을 소정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시트의 높이 위치 조정용의 기기를, 간단한 구성이면서 조작이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중립 위치에 위치한 조작 레버를 한 방향으로 왕복 조작함으로써 조작 레버의 회전 운동 중심과 동심(同心)으로 설치된 조작 축을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편, 조작 레버를 다른 방향으로 왕복 조작함으로써 상기 조작 축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축의 회전 이송 구조로서,
    상기 조작 축에 밖에서 끼워져 조작 레버 측으로부터의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한 조작 축의 회전을 허용하는 한편, 조작 축 측으로부터의 조작 축의 회전을 저지하는 브레이크 드럼(brake drum)과, 이 브레이크 드럼 밖에서 조작 축에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로크 기어(lock gear)와, 상기 조작 레버 측에 축으로 지지된 1개의 로크 플레이트(lock plate)와, 조작 레버의 전진 운동 시에 상기 로크 기어와 상기 로크 플레이트와의 맞물림으로 조작 축을 회전시키는 한편, 조작 레버의 복귀 운동 시에 상기 맞물림을 해제하는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축의 회전 이송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플레이트는, 상기 조작 레버에 지지 축 주위로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제1가세(加勢) 수단의 가세력에 의해 상기 로크 기어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톱니 맞물림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기구는, 조작 레버의 전진 운동 시에 로크 플레이트의 걸어 맞춤 구멍의 로크 기어에의 걸어 맞춤을 허용하는 동시에, 복귀 운동 시에 로크 플레이트의 걸어 맞춤 구멍의 로크 기어에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도록 로크 플레이트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축의 회전 이송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플레이트는, 그 선단(先端)으로부터 돌출한 피안내 돌기(突起)를 갖추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조작 레버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전진 운동 시에 상기 피안내 돌기와의 간섭으로 제2가세 수단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축 주위로 회전 운동하고, 로크 플레이트의 로크 기어에 걸어 맞춘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 축 주위의 회전 운동을 허용하고, 소정의 위치에서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제1가이드 부재와, 조작 레버의 복귀 운동 시에 상기 피안내 돌기와의 간섭으로 로크 플레이트를 지지 축 주위로 회전 운동시켜서 걸어 맞춤 구멍이 로크 기어와 걸어 맞추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2가이드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가세 수단은, 상기 제1가세 수단보다 큰 가세력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축의 회전 이송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시트(seat)의 높이 위치 조정용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축의 회전 이송 구조.
KR1020010084931A 2000-12-26 2001-12-26 조작 축의 회전 이송 구조 KR100734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94833 2000-12-26
JP2000394833A JP4691249B2 (ja) 2000-12-26 2000-12-26 操作軸の回転送り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020A KR20020053020A (ko) 2002-07-04
KR100734706B1 true KR100734706B1 (ko) 2007-07-02

Family

ID=1886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931A KR100734706B1 (ko) 2000-12-26 2001-12-26 조작 축의 회전 이송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02392B2 (ko)
EP (1) EP1219494B1 (ko)
JP (1) JP4691249B2 (ko)
KR (1) KR100734706B1 (ko)
DE (1) DE60108839T2 (ko)
TW (1) TW5909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7658A1 (de) 2003-04-25 2004-11-25 Volkswagen Ag Fahrzeugsitz
KR100737599B1 (ko) * 2005-11-04 200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펌핑레버와 일체로 형성된 리클라이너 레버
FR2911094B1 (fr) * 2007-01-10 2009-03-27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articulation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US8496098B1 (en) * 2008-12-23 2013-07-30 Crh North America, Inc. Manual seat height adjuster mechanism
JP5048883B1 (ja) 2012-04-19 2012-10-17 備前発条株式会社 クラッチ装置
US11304528B2 (en) 2012-09-20 2022-04-19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USD697726S1 (en) 2012-09-20 2014-01-21 Steelcase Inc. Chair
EP2908695B1 (en) * 2012-10-19 2016-11-23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Tension adjust device for a chair and chair
CN114506408B (zh) * 2022-01-13 2023-12-29 安徽兴腾物流设备有限公司 旋转结构及折叠旋转杆件
CN115059700B (zh) * 2022-06-30 2023-06-30 沈阳卓越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滑行节能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756A (ko) * 1996-09-11 1998-06-25 박병재 자동차 시트의 좌우 경사각 조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4198A (en) * 1988-10-26 1990-05-02 Ford Motor Co Seat positioning mechanism
JPH0719562A (ja) 1993-07-02 1995-01-20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
JP2605697Y2 (ja) * 1993-09-16 2000-07-3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機構
DE4436096C2 (de) 1994-10-10 1998-02-26 Keiper Recaro Gmbh Co Klinkenschaltwerk zum Antrieb einer Verstellvorrichtungen für einen Fahrzeugsitz
DE4446741B4 (de) 1994-12-24 2004-06-24 Adam Opel Ag Betätigungseinrichtung
DE19725899C2 (de) * 1997-06-13 1999-10-28 Brose Fahrzeugteile Beidseitig wirkender Verstellantrieb
JPH11342036A (ja) * 1998-06-03 1999-12-14 Tachi S Co Ltd ラチェット式駆動機構
JP2000118273A (ja) * 1998-10-13 2000-04-25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フタ装置
JP2000280799A (ja) * 1999-03-30 2000-10-10 Shiroki Corp シートリフター装置のハンドル機構
US6464193B1 (en) * 2000-10-30 2002-10-15 Tachi-S Co., Ltd. Seat lifter with ratchet-type lever mechanis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756A (ko) * 1996-09-11 1998-06-25 박병재 자동차 시트의 좌우 경사각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020A (ko) 2002-07-04
JP4691249B2 (ja) 2011-06-01
US6702392B2 (en) 2004-03-09
EP1219494B1 (en) 2005-02-09
DE60108839D1 (de) 2005-03-17
EP1219494A1 (en) 2002-07-03
JP2002195312A (ja) 2002-07-10
US20020084688A1 (en) 2002-07-04
TW590920B (en) 2004-06-11
DE60108839T2 (de)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706B1 (ko) 조작 축의 회전 이송 구조
EP1652721B1 (en) Seat reclining apparatus
US5921140A (en) Index shifter for a bicycle transmission and a method of making an index shifter for a bicycle transmission
US5865285A (en) Manual drive operating in both directions to produce a rotary movement, more particularly for vehicle seats
US7380763B2 (en) Seat height adjusting device
US20070182165A1 (en) Door lock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EP1243733A1 (en) Vehicle window lifter with cable tensioning device
GB2412096A (en) A cov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10442323B2 (en) Method of producing seat reclining apparatus
US5207740A (en)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EP1717391A2 (en) Lock unit for an escape door
GB2042444A (en) Floor-mounted transmission shift control and lock mechanisms
JP2008238895A (ja) スライドドア干渉防止構造
US20070111845A1 (en) Driving mechanism and door 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EP1580462A2 (en) A selector apparatus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vehicle
US5588334A (en) Cable core adjuster with lock members
CN115279624B (zh) 滑动装置
KR200373783Y1 (ko)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록 장치
JP2010174567A (ja) ドアラッチ装置
GB2439083A (en) A mechanism for a vehicle door
JP3547335B2 (ja) マニュアルバルブレバーの位置決め構造
KR200488916Y1 (ko) 푸시풀 도어 락 장치
JP3647502B2 (ja) シートトラック
EP0911208B1 (en) Seat slide apparatus
JP5415883B2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