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199B1 -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 이의 용도 및 이로 경화된 에폭시수지 - Google Patents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 이의 용도 및 이로 경화된 에폭시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199B1
KR100734199B1 KR1020057004297A KR20057004297A KR100734199B1 KR 100734199 B1 KR100734199 B1 KR 100734199B1 KR 1020057004297 A KR1020057004297 A KR 1020057004297A KR 20057004297 A KR20057004297 A KR 20057004297A KR 100734199 B1 KR100734199 B1 KR 10073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agent
formula
epoxy
epoxy resins
di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773A (ko
Inventor
홀거 켈러
우도 글라우너
Original Assignee
쉴 운트 자일아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쉴 운트 자일아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쉴 운트 자일아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50046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System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64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 C07F9/6571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having phosphorus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7163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having phosphorus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the ring phosphorus atom being bound to at least one carbon atom
    • C07F9/657172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having phosphorus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the ring phosphorus atom being bound to at least one carbon atom the ring phosphorus atom and one oxygen atom being part of a (thio)phosphinic acid ester: (X = O, 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System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025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Desodorisation of organo-phosphorus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30Di-epoxy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and nitrogen
    • C08G59/304Di-epoxy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and nitrogen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007Curing agents not provided for by the groups C08G59/42 - C08G59/66
    • C08G59/4014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G59/4042Imin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046Amines heterocyclic
    • C08G59/5053Amines heterocyclic containing only nitrogen as a heteroatom
    • C08G59/508Amines heterocyclic containing only nitrogen as a heteroatom having three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G59/5086Triazines; Melamines; Guan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8L63/04Epoxynovolacs

Abstract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는 A) 하나 이상의 알데히드 또는 케톤을 하나 이상의 포스포너스산 (phosphonous acid) 유도체에 부가시키는 단계, 그 후, B) 수득된 부가 생성물과 하나 이상의 디아미노 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과의 축합 반응 단계에 의하여 수득된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경화제는 에폭시 수지용으로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공동-경화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동시에 난연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제를 사용할 경우, 유리전이온도 (Tg) 를 150 ℃ 이하로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인 함량이 2.2 중량% 이상인, 난연성이도록 개질된 경화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화제 및 이로 제조가능한 에폭시 수지의 용도는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에폭시 수지, 경화제, 유리전이온도, 난연성

Description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 이의 용도 및 이로 경화된 에폭시 수지 {CURING AGENTS FOR EPOXY RESINS, USE THEREOF AND EPOXY RESIN CURED THEREWITH}
본 발명은, 동시에 화재-방지 효과를 제공하는 에폭시 수지용 인-함유 경화제 (curing agent) 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서 구매가능한 에폭시 수지는 통상 액상 물질이거나 점성이 있는 물질, 유리질의 물질 또는 또한 결정질의 물질인데, 이들은 사용하기 전에 적당한 경화제와 혼합되고 임의적으로는 또한 용매, 반응성 희석제 (점도 저하 에폭시 수지), 연화제 (softner), 필러, 또는 안료로 개질된다. 경화제를 사용함에 따라, 예를 들어,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아민 경화제 예컨대 디에틸렌 트리아민.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가 실온에서 접합 후 즉시 경화되는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 시스템들이 있으며,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가 접합한 후에도 일정한 "작동 시간" 후에만 경화되거나 또는 단지 비교적 높은 온도를 초과한 후에만 경화되는 시스템들이 있다. 마지막에 언급한 시스템들에서 경화 효과는 일정한 지연 후 일어나기 때문에, 이들에 사용되는 경화제는 때로 "잠재성 (latent) 경화제"로 표기된다.
난연성 (fire retardant)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많은 응용들에서 지정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리, 안티모니 트리옥시드 등의 전통적인 방염제 (flame-protection agent) 나 고도로 브롬화된 유기 화합물을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내로 도입시킴으로써 수행되었다. (참조, 예를 들어, "International Plastics Flammability Handbook" 2nd edition, Carl Hanser Publishing House, Munich, 1990). 독물학상의 위험성은 제쳐두고라도, 이러한 전통적인 방염제들을 사용할 경우, 종종, 이러한 방염제들이 도입된 에폭시 수지의 기계적 및 물리적 특성이 손상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과거에, 에폭시 수지의 중합체 구조에 결합된 반응성 방염제, 예컨대, 예를 들어 "DOP" 로 알려진 10-옥소-10H-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 (10-Oxo-1OH-9-oxa-10-phospha-phenanthrene) (이는 또한 9,10-디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시드로도 표기될 수 있음) (EP-B1-0 806 429, 청구항 24 참조) 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삼관능성 (trifunctional) 에폭시-노볼락(노볼락) 수지에 있어서, DOP 는 하기 반응 도식에 따라서 수지의 글리시딜기와 반응한다:
Figure 112005013091823-pct00001
그러나, 상기 기술한, DOP 를 이용하여 난연성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 이유들로 여러 응용에 부적당하다:
- 에폭시 수지의 표준적인 방염성 개질에 있어서, 개질된 경화 에폭시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2 중량% 이상의 인 함량이 요구된다. 이러한 인 함량을 달성하기 위하여, DOP 부분은 개질된 수지의 60 % 이상을 포함했어야 한다.
- 상기와 같은 고비율의 방염제는 유리전이온도 (Tg) 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에폭시 수지에 따라서, 동적 주사 열량계 (Dynamic Scanning Calometry, DSC) 로 동적으로 측정한 것으로서 150 ℃ 미만의 유리전이온도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전형적인 Tg 는 135 ℃ (DSC) 이다. 그러나, 인쇄회로기판 기재을 제조하거나 또는 기타 전자적 목적 예컨대 주형용 수지 (casting 수지) 나 매복 덩어리 (embedded mass) 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는, 현재 사용시, 무연화 (lead-free) 주석 땜납 (tin solder) 조성물에 관해서, 약 185 내지 205 ℃ 사이의 융점, 150 ℃ 초과, 바람직하게는 160 또는 165 ℃ 초과 (DSC) 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져야만 한다.
- DOP 는 상기 글리시딜기에 직접 결합하는 방염제로서는 소수의 에폭시 수지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페놀-노볼락 수지에서 크레졸-노볼락으로 변경시키는 등의, 수지의 화학적 구조을 약간 변경시키는 경우, 양립불가능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DE-OS 100 06 592 는 에폭시 수지용 아민 경화제와, 예를 들어, DOP 등의 방염제로 이루어진 "잠재성의" 조합 화합물 및, 일성분계 (one-component system) 로 존재할 경우 수 시간의 경화가 일어나지 않는 작동 시간을 보이거나, 또는 비교적 높은 일정 한계 온도를 초과할 때만 경화되는 난연성 개질된 에폭시 수지를 제조함에 있어서의 이들의 용도를 개시한다. 이들 공지된 잠재성 경화제들에 있어서, 아민 경화제의 아미노기에서의 질소 원자는 DOP 의 인 원자에 직접 결합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경화 및 화재-방지 특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에폭시 수지를 위한 신규한 경화제로서, 단독으로나 또는 공동-경화제 (co-curing agent) 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Tg 를 150 ℃ (DSC) 이하의 값으로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원하는 방염에 필요한 인 함량이 경화된 에폭시 수지를 기준으로 2.2 중량% 이상인 경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문제는 하기 단계들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로 해결된다:
(A) 하나 이상의 화학식 I 의 알데히드 또는 케톤:
Figure 112005013091823-pct00002
[식 중,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임의 치환된 C1 - C8-알킬, 아릴, 알카릴, 또는 아르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을, 하나 이상의 화학식 II 의 포스포너스산 (phosphonous acid) 유도체:
[식 중, R3 및 R4 는 서로 독립적으로 임의 치환된 C1 - C8-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알카릴,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3 및 R4 가 함께 단핵 (mononuclear) 또는 다핵 (polynuclear), 임의 치환된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고리 시스템으로부터 선택된다] 에 부가시키는 단계 (제 1 단계) 및
(B) 제 1 단계에서 수득된 부가 생성물과 하나 이상의 디아미노 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과의 축합 반응 단계 (제 2 단계).
놀랍게도, 본 발명의 경화제를 난연성 에폭시 수지의 경화 및 제조에 사용할 경우,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150 ℃ 이하로 유해하게 저하됨 없이, 표준적인 방염 개질에 필요한 2.2 중량% 이상의 인 함량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대로, 수지의 인 함량이 약 3 중량% 일때도 유리전이온도가 170 ℃ 까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로써, 특히 인쇄회로기판 기재 및 고융점의 무연화 땜납 주석과 접촉하게 되는 기타 전자 부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할로겐 비함유의 난연성 경화 에폭시 수지 시스템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제에 있어서, 상기 알데히드는 바람직하게는 포름알데히드, 파라포름알데히드, 1,3,5-트리옥산 등의 포름알데히드 렌더링 (rendering) 화합물 또는 임의 치환된 벤즈알데히드를 포함하며, 한편, 케톤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임의 치환된 아세토페논 또는 벤조페논을 사용할 수 있다.
디아미노 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 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 술폰 (DDS), 우레아, 또는 멜라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제의 제조의 제 1 단계에서의 부가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한편 제 2 단계에서의 축합 반응은, 선택적으로 촉매의 존재하에,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제의 제조에 있어서, 포스포너스산 유도체로서, "DOP" 로 공지된, 화합물 10-옥소-10H-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 (9,10-디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시드에 상당함) 또는, DOP 와 2'-히드록시디페닐-2-포스핀산 (예를 들어 EP-B1-0833832 로부터 공지된 바의 것) 을 함유한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경화제의 제조에 있어서, 성분들 (a) 알데히드 또는 케톤, (b) 포스포너스산 유도체 및 (c) 디아미노 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의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a:b:c=1:1:1 내지 a:b:c=x:x:1 이고, 이때 x 는 상기 폴리아미노 화합물 분자 하나에 있는 아미노기의 수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경화제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화학식 III, IV, V 또는 VI 의 라디칼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분자 구조로 특징지어 진다:
Figure 112005013091823-pct00004
본 발명의 한가지 특히 바람직한 경화제는, 구조식 VII 를 갖는 N,N',N"-트리스-(10-옥소-lOH-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일메틸)-[1,3,5] 트리아진-2,4,6-트리아민이다:
Figure 112005013091823-pct00005
본 발명의 경화제는 에폭시 수지용 단일 경화제로서 또는 에폭시 수지용 공동-경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데, 공동 경화제라는 것은 하나 이상의 다른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아민 경화제, 특히 디에틸렌 트리아민, 디메틸 아미노 프로필아민, 이소포론-디아민, 디시안 디아미드 (시아노구아니딘) 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과 함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경화제를 경화된 에폭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150 ℃ 초과, 특히 165 ℃ 초과 (각 경우 DSC) 로 증가시키는데 사용하는 것이 특히 이롭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경화제를 에폭시 수지를 방염 (flameproof) 하는데에 사용하는 것이 특히 이로우며, 바람직하게는 인 함량이 2.2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2 중량% 이상이고 난연성이도록 개질된 경화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는데에 사용하는 것이 이롭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경화제로 경화되고 난연성이도록 개질된 에폭시 수지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에폭시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에폭시-노볼락 수지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난연성이도록 개질된 경화된 에폭시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보통 융점이 약 185 내지 205 ℃ 인 용융 무연화 주석 땜납과의 접촉때문에 150 ℃ 이상의 높은 유리전이온도 및 동시에 효과적인 방염이 특히 중요한 인쇄회로기판 기재 및 극소전자공학 (microelectronics) 분야의 다른 제품들을 제조하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을 하기에서 하기 작용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상기 경화제의 제조
A) 제 1 단계
40 g (185 mmol) 의 DOP 를 130 ℃ 까지 가열하고, 교반하면서 15 g 의 포르말린 용액 (37 중량%) 을 이 온도에서 45 분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그 후 30 분 후, 백색 고형체가 형성되었는데, 이는 약 140 ℃ 에서 용해하기 시작했다.
B) 제 2 단계
제 1 단계에서 생성된 부가물을 약 150 ℃ 까지 추가적으로 가열하였다. 생성된 맑은 용액에 7.8 g 의 멜라민 (61.7 mmol)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두 시간에 걸쳐 200 ℃ 까지 가열하였다. 물이 더이상 형성되지 않을 때까지 혼합물을 200 ℃ 로 유지시켰다.
에폭시 수지의 경화 및 방염
7 g 의 에폭시-노볼락 수지 (LER N 740, 한국 LG 사로부터 입수가능; 에폭시 드 상품(number): 0.575 mol/lOO g) 및 3 g 의 에폭시-노볼락 수지 (Ukanol EPUK, 보블리젠 (Boeblingen) 의 Schill + Seilacher 사로부터 입수가능; 에폭시드 상품: 0.28 mole/100 g) 을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경화제 3 g 과 함께 160 ℃ 까지 가열하고, 맑은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2.4 g 의 고체 형태의 디아미노 디페닐 술폰을 도입하고 맑은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용액을 160 ℃ 에서 15 분간 방치한 후, 175 ℃ 에서 30 분간 두고, 최종적으로 195 ℃ 에서 3 시간 방치하여 경화시켰다. 결과로서, 경화되고 동시에난연성이도록 개질된 황색의 투명한 고형체의 에폭시 수지가 생성되었다. 상기 제조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170 ℃ (DSC) 였고, 인 함량은 2.9 중량% 였다. 상기 생성된 경화된 시료는 미국보험협회안전시험소 (Underwriters' Laboratories, USA) 의 UL94 V-0 방염 기준을 만족시켰다.

Claims (26)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의 제조 방법 :
    A) 하기 화학식 I 의 하나 이상의 알데히드 또는 케톤 :
    [화학식 I]
    Figure 112005044343681-pct00006
    [식 중,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임의로 치환되는 C1 - C8-알킬, 아릴, 알카릴, 또는 아르알킬을 나타냄], 및 하기 화학식 II 의 하나 이상의 포스포너스산 (phosphonous acid) 유도체의 첨가 반응 :
    [화학식 II]
    Figure 112005044343681-pct00007
    [식 중, R3 및 R4 는 서로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되는 C1 - C8-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알카릴, 아르알킬, 헤테로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3 및 R4 가 함께 단핵 (mononuclear) 또는 다핵 (polynuclear) 의, 임의로 치환되는,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고리 시스템으로부터 선택됨] ; 및
    B) 단계 (A) 에서 수득된 부가 생성물과 하나 이상의 디아미노 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과의 축합 반응.
  2. 제 1 항에 있어서, 알데히드가 포름알데히드, 파라포름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렌더링 화합물 또는 임의로 치환되는 벤즈알데히드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포름알데히드 렌더링 화합물이 1,3,5-트리옥산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케톤은 임의로 치환되는 아세토페논 또는 벤조페논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첨가 반응은 50 내지 15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디아미노 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은 에틸렌 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 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 술폰 (DDS), 우레아 또는 멜라민을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축합 반응은 10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축합 반응은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너스산 유도체는 10-옥소-10H-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 (9,10-디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시드) ("DOP") 또는, DOP 및 2'-히드록시디페닐-2-포스핀산을 함유한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들 (a) 알데히드 또는 케톤, (b) 포스포너스산 유도체 및 (c) 디아미노 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은 a:b:c = 1:1:1 내지 a:b:c = x:x:1 의 몰비 (이때, x 는 폴리아미노 화합물 분자 하나에 있는 아미노기의 수에 해당함) 로 반응되는 방법.
  11.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하기 화학식 III 의 하나 이상의 라디칼을 함유하는 분자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용 난연성 경화제 :
    [화학식 III]
    Figure 112006096843257-pct00008
    .
  12.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하기 화학식 IV 의 하나 이상의 라디칼을 함유하는 분자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용 난연성 경화제 :
    [화학식 IV]
    Figure 112006096843257-pct00009
    .
  13.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하기 화학식 V 의 하나 이상의 라디칼을 함유하는 분자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용 난연성 경화제 :
    [화학식 V]
    Figure 112006096843257-pct00010
    .
  14.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하기 화학식 VI 의 하나 이상의 라디칼을 함유하는 분자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용 난연성 경화제 :
    [화학식 VI]
    Figure 112006096843257-pct00011
    .
  15.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학식 N,N',N"-트리스-(10-옥소-1OH-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일메틸)-[1,3,5] 트리아진-2,4,6-트리아민을 갖는 에폭시 수지용 난연성 경화제.
  16.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화제로 에폭시를 경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난연성 에폭시의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화제가 또다른 통상의 에폭시 수지용의 경화제와 함께 이용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통상의 경화제가 아민 경화제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경화제가 디에틸렌 트리아민, 디메틸 아미노프로필아민, 이소포론디아민 또는 디시안 디아미드 (시아노구아니딘) 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화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화된 에폭시.
  21. 제 20 항에 있어서, 150℃ (DSC) 초과의 유리 전이 온도 (Tg) 를 갖는 경화된 에폭시.
  22. 제 20 항에 있어서, 165℃ (DSC) 초과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경화된 에폭시.
  23. 제 20 항에 있어서, 2.2 중량% 이상의 인 함량을 갖는 경화된 에폭시.
  24. 제 20 항에 있어서, 2.8 내지 3.2 중량% 의 인 함량을 갖는 경화된 에폭시.
  25. 제 20 항에 있어서, 에폭시-노볼락 (epoxy-Novolac)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된 에폭시.
  26. 제 20 항에 따른 에폭시 수지로부터 제조된 인쇄 회로 기판 기재.
KR1020057004297A 2002-09-11 2003-09-10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 이의 용도 및 이로 경화된 에폭시수지 KR100734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42017.3 2002-09-11
DE10242017A DE10242017B4 (de) 2002-09-11 2002-09-11 Härter für Epoxidharze, dessen Verwendung und damit gehärtetes Epoxidhar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773A KR20050046773A (ko) 2005-05-18
KR100734199B1 true KR100734199B1 (ko) 2007-07-02

Family

ID=3189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297A KR100734199B1 (ko) 2002-09-11 2003-09-10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 이의 용도 및 이로 경화된 에폭시수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50247908A1 (ko)
EP (1) EP1537160B1 (ko)
JP (1) JP2005538168A (ko)
KR (1) KR100734199B1 (ko)
CN (1) CN100365038C (ko)
AT (1) ATE312126T1 (ko)
AU (1) AU2003264289A1 (ko)
DE (2) DE10242017B4 (ko)
TW (1) TW200410997A (ko)
WO (1) WO2004024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5879A1 (de) 2005-02-09 2006-08-17 Schill + Seilacher "Struktol" Ag Stickstoffhaltige verbrückte Derivate von 6H-Dibenz[c,e][1,2]-oxaphosphorin-6-oxid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EP1760110B1 (en) 2005-09-03 2011-11-02 Samsung SDI Co., Ltd. Polybenzoxazine-based compound,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the same, and fuel cell employing the electrolyte membrane
DE102006015084A1 (de) * 2006-03-31 2007-10-04 Schill + Seilacher "Struktol" Ag Halogenfreie flammgeschützte Epoxidharz-Formulierungen
KR100818255B1 (ko) * 2006-05-29 2008-04-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벤조옥사진계 화합물, 이를 포함한 전해질막 및 이를채용한 연료전지
KR100745741B1 (ko) 2006-08-22 2007-08-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막 전극 접합체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EP2433947B1 (en) 2007-09-11 2014-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osphorous containing benzoxazine-based monomer
EP2036910B1 (en) 2007-09-11 2012-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nzoxazine-based monomer, polymer thereof, electrod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includind the same,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KR101366808B1 (ko) * 2007-10-11 2014-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벤즈이미다졸-염기 복합체, 이로부터 형성된폴리벤조옥사진계 화합물의 가교체 및 이를 이용한연료전지
US8188210B2 (en) 2007-11-02 2012-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phthoxazine benzoxazine-based monomer, polymer thereof, electrod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polymer, and fuel cell using the electrode
KR101537311B1 (ko) * 2007-11-02 2015-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US8227138B2 (en) * 2007-11-02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osphorus containing benzoxazine-based monomer, polymer thereof, electrod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polymer, and fuel cell using the electrode
EP2221302B1 (en) * 2007-11-06 2012-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yrido-oxazine-based monomer, polymer thereof, electrod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polymer, and fuel cell using the electrode
CN102391545B (zh) * 2011-08-05 2012-11-14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含氮磷的阻燃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2850520B (zh) * 2012-08-30 2015-06-17 西南石油大学 增韧-阻燃型环氧树脂及其制备方法
US10723747B2 (en) * 2015-09-29 2020-07-28 Nan Ya Plastics Corporation Low DK phosphorous containing hardener useful for halogen free, flame retardant polymers and use
WO2020228021A1 (zh) * 2019-05-16 2020-11-19 周崇福 一种含dopo的磷氮型阻燃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54624B (de) 1960-08-12 1963-09-19 Schering Ag Haerter fuer Epoxyharze
US20010014706A1 (en) * 2000-02-09 2001-08-16 Schill & Seilacher (Gmbh & Co.) Latent combination compounds and latent ammonium salts comprising epoxide resin curing agents and flame-protection agents as well as epoxide resin systems and products prepared from them
US6441067B1 (en) 2001-08-23 2002-08-27 Chung-Shan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and their use in flame retardan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3795A (en) * 1977-07-05 1978-09-12 Asahi-Dow Limited Flame-retardant poly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KR890002086B1 (ko) * 1986-09-12 1989-06-16 주식회사 코오롱 함인 질소계 난연제의 제조방법
DE19734667A1 (de) * 1997-08-11 1999-02-18 Bayer Ag Flammwidrige, verstärkte Polycarbonat-ABS-Formmassen
TW490474B (en) * 2000-01-04 2002-06-11 Nat Science Council Phosphorus group containing flame retardant hardener, advanced epoxy resins and cured epoxy resins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54624B (de) 1960-08-12 1963-09-19 Schering Ag Haerter fuer Epoxyharze
US20010014706A1 (en) * 2000-02-09 2001-08-16 Schill & Seilacher (Gmbh & Co.) Latent combination compounds and latent ammonium salts comprising epoxide resin curing agents and flame-protection agents as well as epoxide resin systems and products prepared from them
US6441067B1 (en) 2001-08-23 2002-08-27 Chung-Shan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and their use in flame retard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81865A (zh) 2005-10-12
DE10242017A1 (de) 2004-03-25
JP2005538168A (ja) 2005-12-15
EP1537160A1 (en) 2005-06-08
ATE312126T1 (de) 2005-12-15
US20050247908A1 (en) 2005-11-10
DE60302673T2 (de) 2006-08-03
KR20050046773A (ko) 2005-05-18
DE60302673D1 (de) 2006-01-12
TW200410997A (en) 2004-07-01
WO2004024791A1 (en) 2004-03-25
AU2003264289A1 (en) 2004-04-30
EP1537160B1 (en) 2005-12-07
CN100365038C (zh) 2008-01-30
DE10242017B4 (de)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199B1 (ko)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 이의 용도 및 이로 경화된 에폭시수지
JP3137202B2 (ja) エポキシ樹脂、その製造方法及び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5485487B2 (ja) 難燃性リン元素含有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3574803B2 (ja) リン及びシリコン変性の難燃性エポキシ樹脂
JP5559322B2 (ja) ヒドロキシフェニルホスフィンオキシド混合物及びエポキシ樹脂のための難燃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US5773533A (en) Epoxy resin reacted with carboxy-functional phosphinic or phosphonic acid and hardener
US3637591A (en) Epoxy resin compositions
US6809130B2 (en) Halogen-free, phosphorus-free flame-retardant advanced epoxy resin and an epoxy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S61247724A (ja) エポキシ樹脂混合物
JP2960898B2 (ja) エポキシ樹脂、リン含有化合物および硬化剤を含有するリン変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3484403B2 (ja) リン含有難燃性エポキシレジ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854361A (en) Process for preparing phosphorus-modified epoxy resins
JPH09194565A (ja) 環状カーボナ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5676008B2 (ja) 強靱化剤としてdvbdoの付加物を含むエポキシ樹脂
JP2003041001A (ja) ジヒドロベンゾキサジン環構造を有する熱硬化性樹脂、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KR100338789B1 (ko) 수용성 에폭시수지 수용액, 그것의 고형물 및 그것들의제조방법
JPH1095834A (ja) エポキシ樹脂及びリン含有化合物を含有するリン変性されたエポキシ樹脂
US20110065870A1 (en) Tris(Hydroxoxyphenyl) Phosphine Oxides and their Use as Flame Retardants for Epoxy Resins
JPH03221516A (ja) 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と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S6341526A (ja) 難燃化された半導体封止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
US20140221582A1 (en) Hydroxyphenyl Phosphine Oxide Mixtures and Their Use as Flame Retardants for Epoxy Resins
JPH07278264A (ja) 新規なポリグリシジルエーテル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難燃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2000026576A (ja) 改良された耐熱性及び難燃性を有する重合体ビスフェノ―ルスルホン酸エポキシ樹脂
JP2010159317A (ja) フェノール誘導型硬化剤、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S62177018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