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155B1 -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155B1
KR100726155B1 KR1020070014189A KR20070014189A KR100726155B1 KR 100726155 B1 KR100726155 B1 KR 100726155B1 KR 1020070014189 A KR1020070014189 A KR 1020070014189A KR 20070014189 A KR20070014189 A KR 20070014189A KR 100726155 B1 KR100726155 B1 KR 10072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oking
instant rice
rice
coo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1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10Securing foodstuffs on a non-edible support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즉석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즉석밥을 밀봉한 후 마이크로파 및 압력을 가해 즉석밥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즉석밥 제조장치는 내부에 즉석밥 용기를 수용하며, 상기 즉석밥 용기와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가 형성된 취반용기; 상기 취반용기를 봉하기 위한 취반덮개; 및 상기 취반용기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기 위한 마이크로파조사부를 포함한다.
즉석밥, 인스턴트, 취사, 마이크로파, 압력

Description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of instant boiled rice}
도 1은 종래의 즉석밥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취반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즉석밥 용기가 안착된 취반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밥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취반용기 215: 요철부 220: 취반덮개
230: 고정수단 240: 실링 250: 즉석밥 용기
255: 즉석밥 덮개 410: 컨베이어 420:마이크로파조사부
430: 챔버
본 발명은 즉석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즉석밥을 밀봉한 후 마이크로파 및 압력을 가해 즉석밥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밥은 쌀에 일정량의 물을 가하여 100℃ 내외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1시간 정도 가열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밥을 지어서 바로 먹지 않고 보관하게 되면 밥에 있는 수분이 날아가면서 밥이 딱딱해지며, 색이 누렇게 변색되어 먹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쌀 표면에는 미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밥을 짓는 과정에서 생세포는 사멸되지만 내열성의 포자는 완전히 사멸되지 않아, 하루 이내에 밥을 먹는 경우는 문제되지 않으나 상온에서 밥을 하루 이상 보관하거나 유통시키는 경우 문제가 된다. 실제로 반찬과 함께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는 도시락의 경우 제조시각으로부터 7시간 이내에 먹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쌀의 미생물 수를 줄이고, 내열성 포자를 사멸시킴으로써 장기간 보존 가능한 포장된 즉석밥을 제조하는 연구를 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이렇게 포장된 즉석밥은 데우기만 하면 방금 한 밥처럼 맛이 좋아서 여행이나 출장을 갈 때 뿐만 아니라 직장인, 맞벌이부부 또는 노인층 등 제때에 밥을 해먹기 힘든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즉석밥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종래의 즉석밥 제조방법은 선별(S110)된 쌀을 세정한 후 침지과정을 거쳐 쌀을 불리고(S120), 특정 용기에 담아 뚜껑을 덮지 않은 채 밥을 짓는다(S130). 이후 뚜껑을 덮어 밀봉처리(S140)한 후 냉각(S150)하여 하나의 즉석밥을 제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즉석밥은 밥을 지은 후 밀봉하기 때문에 일부 세균이 취사된 즉석밥에 포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밥을 찌듯이 짓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 압력밥솥으로 밥을 지을 때와 달리 밥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즉석밥 제조시 별도의 살균공정 없이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밥을 지음과 동시에 밀봉된 즉석밥 용기 내외를 살균처리할 수 있는 즉석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압력제공장치 없이 마이크로파를 사용한 취사와 동시에 즉석밥 용기 외부에 압력을 가할 수 있어 압력밥솥에서 밥을 지은 것과 같은 밥맛을 얻을 수 있으며, 즉석밥 제조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즉석밥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내부에 즉석밥 용기를 수용하며, 상기 즉석밥 용기와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가 형성된 취반용기; 상기 취반용기를 봉하기 위한 취반덮개; 및 상기 취반용기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기 위한 마이크로파조사부 를 포함하는 즉석밥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즉석밥 용기를 수용하며, 수용공간의 크기가 상기 즉석밥 용기의 크기보다 큰 취반용기; 상기 취반용기를 봉하기 위한 취반덮개; 및 상기 취반용기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기 위한 마이크로파조사부를 포함하는 즉석밥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취반용기에 물을 충진하는 제1단계; 물이 충진된 상기 취반용기에 쌀 및 취사물을 포함하여 밀봉된 즉석밥 용기를 안착시키는 제2단계; 취반덮개를 이용하여 상기 즉석밥 용기가 안착된 상기 취반용기를 밀폐시키는 제3단계; 및 밀폐된 상기 취반용기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취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즉석밥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취반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즉석밥 용기가 안착된 취반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는 먼저, 즉석밥 용기(250)를 수용하여 취사하기 위한 취반용기(210) 및 취반덮개(220)를 포함하고, 취반덮개(220)로 덮혀진 취반용기(210)의 내부와 외부간 공간 차단을 위한 실링(240), 취반덮개(220)와 취반용기(210)의 밀착 및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수단(23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즉석밥 용기(250)는 단순히 용기만을 의미하지 않고, 쌀과 밥을 짓기 위한 취사물이 포함되어 즉석밥 덮개(255)로 밀봉처리된 상태를 말한다. 즉, 즉석밥 용기(250)는 소정 크기의 용기에 쌀과 취사물을 충진하여 즉석밥 덮개(255)를 이용하여 밀봉처리한 것이다.
즉석밥 용기(250)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온저장소인 쌀저장소에서 필요한 만큼의 쌀을 일정량씩 운반하여 이를 즉석밥의 제조원으로서 이용한다.
운반된 쌀은 쌀 선별과정을 통해 쌀에 섞여 있는 이물질들이 제거된다. 즉, 쌀에 섞여 있을 수 있는 철이나 돌 등의 이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해 전자동 석발기, 기타 미세한 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풍력선별기, 변색된 쌀을 걸러내는 색채선별기 및 철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자석봉제거기 등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과정을 통해 질 좋은 쌀만을 선별한다.
이후 선별된 쌀은 세정과정을 통해 씻겨진다. 세정과정에서 쌀은 정제된 물로 2회 이상 씻겨져 즉석밥 원재료로서의 청결성을 유지하게 된다.
세정과정을 거친 쌀을 취사를 위한 취사물과 함께 용기에 담아 밀봉한다. 이때, 취사물 대신 쌀을 물에 침지시켜 불려진 쌀만을 용기에 담아 밀봉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oly prophylene) 재질의 직경 80㎜ 내지 150㎜, 높이 20㎜ 내지 130㎜의 용기에 80g 내지 150g의 쌀과 80g 내지 100g의 물을 담아 압축 밀봉한다. 쌀과 물의 양에 따라 용기는 직경 50㎜ 내지 200㎜ 및 높이 20㎜ 내지 300㎜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 시 압축을 하는 이유는 추후 취사가 끝난 후 즉석밥 용기(250) 내의 압력 증가로 인해 밀봉한 덮개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일부 방지하기 위함이다.
밀봉시 사용되는 덮개 또한 용기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덮개를 용기에 접착시키는 것은 열융착밀봉기나 초음파융착기 등을 사용하여 밀봉함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용기 및 덮개를 사용하는 이유는 취사시 용기에 가해지는 고온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마이크로파 조사에 대한 반응으로 용기 및 덮개가 녹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취반용기(210)는 즉석밥 용기(25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이 수용공간은 그 크기가 즉석밥 용기(250)의 크기보다 크게 마련된다. 이는 즉석 밥 용기(250)를 수용하여 취사할 때, 즉석밥 용기(250) 내의 취사물이 기화하면서 즉석밥 용기(250)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내부 압력으로 인해 즉석밥 용기(250) 외부로 가해지는 압력에 반하여 즉석밥 용기(250)의 외부 사방에서 즉석밥 용기(250)로 압력을 가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즉, 즉석밥 용기(250)를 수용하여 취사할 때, 밀폐된 취반용기(210) 내부에 미리 물을 충진시켜 취사시 취반용기(210) 내의 물도 즉석밥 용기(250) 내의 취사물이 기화됨과 동시에 기화되게 함으로써, 이 취반용기(210) 내의 기화 압력이 즉석밥 용기(250)의 사방으로 미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증기와 같은 물질의 이동을 통해 압력이 즉석밥의 사방으로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수용공간의 마련을 위해 즉석밥 용기(250)가 취반용기(210)에 안착될 때, 취반용기(210)의 안착면 중 즉석밥 용기(250)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요철(凹凸)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철부만으로 이루어지는 공간크기가 즉석밥 용기(250)의 크기와 같을 경우, 즉석밥 용기(250)의 안착시 상기 철부와 즉석밥 용기(250)가 밀착될 수 있어 철부와 맞닿는 즉석밥 용기(250)의 외부면으로는 취반용기(210) 내의 기화 압력이 미치지 않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요부와 상부로만 취반용기(210) 내의 기화 압력이 미치게 된다. 또한, 상부 즉, 취반덮개(220)의 안쪽면에 요철부(215)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도 취반용기(210)에 요철부(215)가 구비된 경우와 같은 이치로서 압력전달이 이루어짐은 자명하다.
취반덮개(220)는 즉석밥 용기(250)가 안착된 취반용기(210)를 밀폐시키기 위 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수단(230)을 통해 취반용기(210)에 밀착고정된다. 또한 취반덮개(220)와 취반용기(210) 사이에 실링(240)을 포함함으로써 밀폐된 취반용기(210) 내부와 외부 공간의 차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취반용기(210)의 내부가 외부와 연결되어 취반용기(210) 내부의 압력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고정수단(230)은 취반덮개(220)를 취반용기(210)에 밀착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볼트너트, 나사, 접착제, 클립형 고정수단,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는 수단 등 취반덮개(220)와 취반용기(210)를 밀착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취반덮개(220) 및 취반용기(210)의 재질은 마이크로파가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밥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즉석밥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취반용기(210)를 준비한다. 취반용기(210)는 자동화 공정을 위한 컨베이어(410)와 같은 것에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는 하나의 취반용기(210)를 통해 즉석밥 제조방법을 살펴본다.
준비된 취반용기(210)에 소정량 물을 충진한다. 여기서 충진되는 물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취사시 증기압을 발생시켜 즉석밥 용기(250)의 외부 사방에서 즉석밥 용기(250)로 압력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즉석밥 용기(250)로의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물이 충진된 취반용기(210)에 쌀과 취사물이 포함되어 밀봉된 즉석밥 용기(250)를 안착시키고, 즉석밥 용기(250)가 안착된 취반용기(210)를 취반덮개(220)를 이용하여 봉한다. 이때, 취반덮개(220)는 소정의 고정수단(230)을 통해 취반용기(210)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또한, 취반용기(210)와 취반덮개(220) 사이에는 실링(240)이 구비되어 밀폐된 취반용기(210)의 내부와 외부간 공간을 차단한다.
이어 마이크로파조사부(420)를 통해 밀폐된 취반용기(210)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취사한다. 여기서 마이크로파 조사는 마이크로파 챔버(430) 내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취사가 끝나고 나면, 취반덮개(220)를 제거하여 즉석밥 용기(250)를 취반용기(210)로부터 분리하여 취사된 즉석밥 용기(250)를 확보한다.
확보된 즉석밥 용기(250)를 냉각시켜 즉석밥을 제조완료한다.
한편, 취반용기(210)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함으로써 취반용기(210) 내의 압력제공을 위한 물은 물론, 취반용기(210) 내에 수용된 즉석밥 용기(250) 내부의 취사물에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마이크로파는 2.45㎓ 내지 5.8㎓의 주파수로 8분 내지 10분간 조사함이 바람직하다. 발생된 열은 즉석밥의 취사는 물론 즉석밥 용기(250) 내 살균처리까지 돕는다.
이렇게 마이크로파 처리를 통해 종래의 열처리 후 추가적으로 실시되는 건조처리과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는 마이크로파 처리를 통해 쌀이 미생물학적으로 안정한 값을 초과하는 물질을 포함하지 않으며, 이로써 쌀 그레인의 내부에 장력이 생길 가능성이 더욱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밀봉된 즉석밥을 취반용기(210) 내에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열을 가해 취사함으로써 즉석밥 용기(250) 내외부의 미생물이 제거되어 살균처리된 밀봉 즉석밥을 얻을 수 있다.
취사시 즉석밥 용기(250) 내부의 적정온도는 100℃ 내지 150℃이며, 예를 들어 120℃일 수 있고, 내부의 압력은 1.5㎏/㎠g 내지 2㎏/㎠g이다.
그리고, 마이크로파를 사용하는 것은 종래의 스팀이나 전기를 이용한 취사에서의 전력소비에 비해 낮은 전력을 소비하는 것으로서 전력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취사시 즉석밥은 내부에 취사를 위한 취사물을 포함하여 밀봉된 상태로서, 취사시 즉석밥에 가해지는 마이크로파로 인해 밀봉된 즉석밥 내에 열이 발생하고, 이 열로 인해 즉석밥 용기(250) 내부에 압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취반용기(210) 내에서 밀봉된 즉석밥 용기(250)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된 즉석밥 용기(250)의 사방으로 압력을 가해 주어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즉석밥 용기(250)의 사방에 압력을 가하는 방법으로 취반용기(210)를 밀폐시키기 전 압력제공을 위한 물을 충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즉석밥 용기(250) 내부로부터의 압력은 1.5㎏/㎠g 내지 2㎏/㎠g가 되고, 이에 반하는 즉석밥 용기(250) 외부 사방에 가해지는 압력 또한 1.5㎏/㎠g 내지 2㎏/㎠g가 되게 하여 즉석밥 용기(250) 내외부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게 한다.
상기와 같이 취사시 즉석밥 용기(250)의 사방에 압력을 가해줌으로써 압력밥 솥으로 취사한 것 같은 취사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용기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취사시의 끓는점을 높일 수 있어 취사시간을 종래의 약 30분에서 약 8분 내지 10분 내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즉석밥 용기(250) 외부 사방으로의 압력제공을 위해 제공된 물은 마이크로파 조사로 인해 즉석밥 용기(250) 외부 사방으로 압력을 제공함은 물론 그에 대응되는 열 또한 발생시킨다. 이러한 압력제공을 위한 물의 충진과 마이크로파의 조사는 취반용기(210) 내부의 온도와 즉석밥 용기(250) 내부의 온도가 차이가 날 경우 즉석밥 용기(250) 내부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여 즉석밥 용기(250) 내 중앙부에는 된밥이 되고, 즉석밥 용기(250) 내 주변부에는 진밥이 되어 취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취반용기(210)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히팅(heating)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취사가 끝난 즉석밥은 용기 내외부의 미생물이 제거되어 살균처리된 상태로 된다. 이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즉석밥을 쌀과 취사물을 용기에 담은 후 이를 밀봉한 뒤, 밀봉된 상태로 취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즉, 취사된 즉석밥은 여전히 밀봉된 상태이므로 미생물 등이 즉석밥 용기(250) 내부에 침투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취사가 끝난 즉석밥은 용기 내부의 온도가 식지 않아 고압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부가 고압인 상태의 즉석밥을 그대로 취반용기(210)에서 분리하였을 경우에는 즉석밥 용기(250)의 덮개가 즉석밥 용기(250) 내부의 압력에 의해 터질 수 있으므로 즉석밥 용기(250)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즉석밥을 냉각시켜 즉석밥 용기(250)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취사된 즉석밥 용기(250)를 냉각수에 10분 내지 30분간 냉각시켜 용기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주어 실온에서 장기간 유통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여기서 냉각수의 온도가 15℃일 경우 약 25분간 냉각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즉석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취사시 즉석밥 용기의 외부 사방으로 압력을 가해줌으로써 압력밥솥으로 취사한 것 같은 취사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끓는점을 높일 수 있어 취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즉석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밀봉된 즉석밥 용기를 취반용기 내에 안착시키고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열을 가해 취사함으로써 별도의 살균처리공정 없이 즉석밥 용기 내외부의 미생물이 제거하여 살균처리된 밀봉 즉석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내부에 즉석밥 용기를 수용하며, 상기 즉석밥 용기와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가 형성된 취반용기;
    상기 취반용기를 봉하기 위한 취반덮개; 및
    상기 취반용기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기 위한 마이크로파조사부
    를 포함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2. 내부에 즉석밥 용기를 수용하며, 수용공간의 크기가 상기 즉석밥 용기의 크기보다 큰 취반용기;
    상기 취반용기를 봉하기 위한 취반덮개; 및
    상기 취반용기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기 위한 마이크로파조사부
    를 포함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취반용기와 상기 취반덮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취반용기의 내부와 외부간 공간 차단을 위한 실링
    을 더 포함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취반덮개를 상기 취반용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5. 취반용기에 물을 충진하는 제1단계;
    물이 충진된 상기 취반용기에 쌀 및 취사물을 포함하여 밀봉된 즉석밥 용기를 안착시키는 제2단계;
    취반덮개를 이용하여 상기 즉석밥 용기가 안착된 상기 취반용기를 밀폐시키는 제3단계; 및
    밀폐된 상기 취반용기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취사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즉석밥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취반용기 또는 상기 취반덮개는 상기 즉석밥 용기와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가 형성된 즉석밥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취반용기의 수용공간의 크기는 상기 즉석밥 용기의 크기보다 큰 즉석밥 제조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취반용기와 상기 취반덮개 사이에 실링을 구비시켜 상기 취반용기의 내부와 외부간 공간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취반용기에 상기 취반덮개를 밀착고정시키는 것인 즉석밥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즉석밥 용기를 상기 취반용기로부터 분리하여 냉각시키는 제5단계
    를 더 포함하는 즉석밥 제조방법.
KR1020070014189A 2007-02-12 2007-02-12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72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189A KR100726155B1 (ko) 2007-02-12 2007-02-12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189A KR100726155B1 (ko) 2007-02-12 2007-02-12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6155B1 true KR100726155B1 (ko) 2007-06-13

Family

ID=3835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189A KR100726155B1 (ko) 2007-02-12 2007-02-12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155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536B1 (ko) * 2014-09-05 2015-07-09 이재운 녹차가 코팅된 즉석밥의 제조방법
KR20170086262A (ko) 2016-01-18 2017-07-26 (주)에이치티에스 즉석밥 용기 이송 그리퍼
KR102094697B1 (ko)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KR102094699B1 (ko)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KR102094698B1 (ko)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KR102094700B1 (ko)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KR102330960B1 (ko)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20220049100A (ko)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20220049365A (ko)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20220051089A (ko) 2020-10-16 2022-04-2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20220091010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20220091009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20230102630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세미 정량 공급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20230102631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용기 분리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5744A (ja) * 1993-02-05 1994-08-16 Chiba Seifun Kk 即席乾燥食品の製造方法
JP2002101855A (ja) * 2000-09-29 2002-04-09 Fuji Oil Co Ltd 凍結又は凍結乾燥卵食品の製造法
KR20040092833A (ko) * 2003-04-29 2004-11-04 씨제이 주식회사 무균화 포장 공정에서의 영양밥 제조 방법
KR20050050200A (ko) * 2003-11-25 2005-05-31 주식회사농심 현미 연속살균과 백미 혼합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5744A (ja) * 1993-02-05 1994-08-16 Chiba Seifun Kk 即席乾燥食品の製造方法
JP2002101855A (ja) * 2000-09-29 2002-04-09 Fuji Oil Co Ltd 凍結又は凍結乾燥卵食品の製造法
KR20040092833A (ko) * 2003-04-29 2004-11-04 씨제이 주식회사 무균화 포장 공정에서의 영양밥 제조 방법
KR20050050200A (ko) * 2003-11-25 2005-05-31 주식회사농심 현미 연속살균과 백미 혼합 장치 및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536B1 (ko) * 2014-09-05 2015-07-09 이재운 녹차가 코팅된 즉석밥의 제조방법
KR20170086262A (ko) 2016-01-18 2017-07-26 (주)에이치티에스 즉석밥 용기 이송 그리퍼
KR102094697B1 (ko)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KR102094699B1 (ko)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KR102094698B1 (ko)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KR102094700B1 (ko)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KR102330960B1 (ko)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20220049100A (ko)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20220049365A (ko)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20220051089A (ko) 2020-10-16 2022-04-2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20220091010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20220091009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20230102630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세미 정량 공급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20230102631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용기 분리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155B1 (ko)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3153655A (ja) 電子レンジによる食品の真空調理法とそれに用いる真空密閉容器
CN101341917B (zh) 牛蒡果脯和牛蒡茶的制备方法
TWI666147B (zh) 無菌罐裝的製程方法
JP2912876B2 (ja) 無菌パック米飯の製造方法
US9427005B2 (en) Process for preparing rice gruel in aseptic package
JP6254313B1 (ja) 米飯の製造方法、かやく御飯の製造方法、及びおにぎりの製造方法
JP2006525008A (ja) 保存した後に蒸す生鮮食品の準備と包装の方法および対応する包装容器
JP3881782B2 (ja) 容器封入食品の殺菌処理方法
JPH1156270A (ja) レトルト食品及び温熱食品の製造方法
JP2006314265A (ja) 電子レンジによる食品の真空調理法とそれに用いる真空密閉容器
KR101141235B1 (ko) 생강즙 제조방법
JP3020837B2 (ja) 容器入り食品の製造方法
JPH099937A (ja) 食材の殺菌方法
JP3604188B2 (ja) 惣菜類の短時間殺菌製造方法
JP2008278817A (ja) 加熱調理食品の無菌的製造方法
US20180127125A1 (en) Oven canning method
KR101227184B1 (ko) 유통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식혜의 제조방법
JP2017139986A (ja) 米飯の製造方法、成形した米飯の製造方法及びおにぎり
JP2583808B2 (ja) 加圧処理米の製造方法及び調理用容器
JP2004248538A (ja) 容器又は袋入り吸水米の製法
JP2002211511A (ja) 袋詰め食品の製造方法
JP3658918B2 (ja) 電子レンジ炊飯器とこの炊飯器を用いた電子レンジによる炊飯方法
JP2000102368A (ja) 固形状食品のレトルト滅菌方法
KR101739447B1 (ko) 저수분 저온 데침 분말식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