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960B1 -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960B1
KR102330960B1 KR1020200058781A KR20200058781A KR102330960B1 KR 102330960 B1 KR102330960 B1 KR 102330960B1 KR 1020200058781 A KR1020200058781 A KR 1020200058781A KR 20200058781 A KR20200058781 A KR 20200058781A KR 102330960 B1 KR102330960 B1 KR 102330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elt
tray
timing belt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문호
김상철
배순석
임대철
심진욱
공현철
박범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00058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20Arrangements of rollers attached to mov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326Chains, c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외관 구조물로서의 장치 프레임; 및 폐루프 형상을 갖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와, 장치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roller)를 구비하며, 타이밍 벨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소정의 용기가 배치되는 트레이(tray)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어태치먼트(roller attachment)를 구비하는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ROLLER ATTACHMENT BELT CONVEYOR APPARATUS AND COOKED RICE MANUFACTURING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와 단순화를 꾀할 수 있어서 저비용임에도 높은 가성비를 추구할 수 있는,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밥(RICE)은 쌀에 일정량의 물을 가하여 100℃ 내외의 온도에서 30분에서 1시간 정도 가열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밥을 지어서 바로 먹지 않고 보관하게 되면 밥에 있는 수분이 날아가면서 밥이 딱딱해지며, 색이 누렇게 변색하여 먹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쌀 표면에는 미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밥을 짓는 과정에서 일반적인 미생물은 사멸되지만, 내열성 포자는 완전히 사멸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하루 이내에 밥을 먹는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상온에서 밥을 하루 이상 보관하거나 유통하는 경우 문제가 된다. 실제로 반찬과 함께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는 도시락의 경우 제조 시각으로부터 7시간 이내에 먹게 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쌀의 미생물 수를 줄이고, 내열성 포자를 사멸시킴으로써 장기간 보존 가능한 포장된 즉석밥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이렇게 포장된 즉석밥은 데우기만 하면 방금 한 밥처럼 맛이 좋아서 여행이나 출장을 갈 때뿐만 아니라 직장인, 맞벌이 부부 또는 노인층 등 제때 밥을 해 먹기 힘든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즉석밥 제조공정은 용기에 쌀을 정량 충전하는 전처리 공정, 용기에 담긴 쌀을 살균하는 살균(Sterilization) 공정, 쌀을 가열하여 익히는 취반(cooking) 공정, 용기에 뚜껑을 덮는 실링공정, 용기에 대한 살균 및 냉각 등이 이루어지는 후처리 공정을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각 공정이 자동으로 진행되기 위해, 특히 전술한 살균 공정을 진행하는 살균라인에서 쌀알이 담긴 용기들을 이송하기 위해 즉석밥 제조시스템에는 컨베이어 장치가 탑재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장치는 그 기능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 방식과 롤러 체인 컨베이어 방식으로 구분되며, 이들은 각기 그 목적에 맞게 컨베이어 장치의 해당 공정에 탑재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는 그 구조적 혹은 기능적인 한계로 인해 아래의 여러 문제점을 야기한다.
우선, 벨트 컨베이어 방식의 경우, 벨트의 특성상 장거리 반송구간에서 벨트 처짐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행방지를 위한 벨트 가이드가 필요한데, 이러한 벨트 가이드와 벨트가 지속해서 마찰하는 구조라서 필연적인 문진이 발생하여 즉석밥 제조와 같은 클린 공정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벨트는 재질적인 한계가 있어 어태치먼트 등의 구조물 적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당한 피치 오차를 가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벨트는 어느 한 곳에 크랙이 발생하면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는 로스(loss)를 유발시킨다.
이에, 벨트 컨베이어 방식보다는 롤러 체인 컨베이어 방식을 선호한다. 하지만, 롤러 체인 컨베이어 방식의 경우, 체인 구조상 링크마다 마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롤러 체인 컨베이어 방식은 수백 개의 링크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데, 이러한 링크들에 걸친 틈새 누적으로 인한 반송정밀도가 감소할 소지가 매우 크다. 특히, 구동축과 멀리 있는 지점은 제어부에서 지령한 만큼 반송되지 않는 현상 발생한다.
따라서, 롤러 체인 컨베이어 방식을 적용하고자 할 때는 설비 허용오차범위를 넘어설 때마다 단위 설비를 재조정해야 한다. 하지만, 수 회 조정이 완료되면 작업이 어렵고 불편하지만 불가피하게 체인 전체를 교체해야 해서 큰 로스(loss)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롤러 체인 컨베이어 방식의 경우에는 체인이 적용된다는 점에서 고하중에 고비용을 발생시키는 한편, 작동 소음이 크고 무급유로 인한 빠른 마모가 발생하면서 빠른 교체 주기로 인해 매우 어려운 교체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또한 그 성질상 정밀반송이 불가하고, 반송 자유도의 한계성이 있는 여러 문제점을 발생한다.
그뿐만 아니라 롤러 체인 컨베이어 방식을 적용할 때는 보통 물류의 단속운반을 체인과 인덱싱으로 구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고전적인 방식은 한 가지 방식 이외의 구동 제어가 불가하고, 센서의 적용이 어려워서 육안 확인의 여러 단점을 초래한다. 특히, 이러한 방식은 모터, 클러치, 브레이크, 감속기, 인덱스 드라이브, 토크리미터, 엔코더, 벨트 등의 여러 복잡한 부품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구조가 복잡하고 고비용임에도 가성비가 낮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제10-0726155호, (2007.06.0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와 단순화를 꾀할 수 있어서 저비용임에도 높은 가성비를 추구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효율적이라서 조립 또는 분해가 편리하고 센서의 적용 등 다양한 설계 및 자유로운 제어가 가능하며, 특히 소음과 분진 발생이 적고 무급유 방식이라 유지보수가 편리할뿐더러 벨트의 탄성 범위 이내에서 영구적인 반송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는,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관 구조물로서의 장치 프레임; 및 폐루프 형상을 갖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와, 상기 장치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roller)를 구비하며, 상기 타이밍 벨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소정의 용기가 배치되는 트레이(tray)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어태치먼트(roller attachment)를 구비하는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러 어태치먼트는 상기 폐루프 형상을 갖는 타이밍 벨트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는, 상기 타이밍 벨트의 벨트부에 배치되되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롤러 샤프트가 일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어태치먼트 바디; 및 상기 타이밍 벨트와 한 몸체를 이루도록 상기 타이밍 벨트의 치형부에 걸리는 벨트 치형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어태치먼트 바디에 결합하는 바디 결합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결합블록은 상기 어태치먼트 바디의 양단부에 한 쌍으로 배치되고 볼트로 고정되며, 한 쌍의 상기 바디 결합블록에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 샤프트에는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링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는, 일단부는 상기 어태치먼트 바디의 센터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트레이의 로딩홀(loading hole)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트레이가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에 고정되게 하는 착탈식 트레이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로딩홀이 양단부에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는 트레이 바디; 상기 트레이 바디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바디 지지대; 및 상기 트레이 바디 상에 고정되고 상기 용기가 배치되는 용기 배치구를 구비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에 이웃하게 상기 타이밍 벨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롤러가 없는 무롤러 어태치먼트(roller attachm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타이밍 벨트와 연결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벨트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 회전 구동부는, 상기 타이밍 벨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의 회전 구동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력 발생부; 및 상기 타이밍 벨트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 구동력 발생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타이밍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벨트 회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력 발생부는, 상기 타이밍 벨트와 치합하는 복수의 구동 스프로켓; 상기 구동 스프로켓들을 연결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에 결합하고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벨트 회전 지지부는 상기 타이밍 벨트와 치합하되 상기 구동 스프로켓과 동기회전하는 피동 스프로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프레임은, 단위 프레임의 용접 또는 볼팅 결합으로 제작되며,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을 지지하는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 상기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와 연결되며, 상기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푸트부재; 및 상기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 상에 마련되되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의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용 레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 지지용 레일의 일측에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벽체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시스템 본체; 상기 시스템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트레이(tray) 상에 배치된 용기에 쌀알을 충전하는 쌀알 충전장치;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서 상기 쌀알 충전장치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쌀알이 충전된 용기를 살균하는 용기 살균장치;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서 상기 용기 살균장치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살균 공정이 완료된 용기 내의 쌀알을 이용해서 밥을 짓는 취반장치; 및 상기 시스템 본체, 상기 용기 살균장치 또는 상기 취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라인 상에 마련되되 상기 트레이를 이송하는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외관 구조물로서의 장치 프레임; 및 폐루프 형상을 갖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와, 상기 장치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roller)를 구비하며, 상기 타이밍 벨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소정의 용기가 배치되는 트레이(tray)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어태치먼트(roller attachment)를 구비하는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러 어태치먼트는 상기 폐루프 형상을 갖는 타이밍 벨트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는, 상기 타이밍 벨트의 벨트부에 배치되되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롤러 샤프트가 일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어태치먼트 바디; 및 상기 타이밍 벨트와 한 몸체를 이루도록 상기 타이밍 벨트의 치형부에 걸리는 벨트 치형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어태치먼트 바디에 결합하는 바디 결합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는,
일단부는 상기 어태치먼트 바디의 센터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트레이의 로딩홀(loading hole)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트레이가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에 고정되게 하는 착탈식 트레이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에 이웃하게 상기 타이밍 벨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롤러가 없는 무롤러 어태치먼트(roller attachm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타이밍 벨트와 연결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벨트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 회전 구동부는, 상기 타이밍 벨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의 회전 구동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력 발생부; 및 상기 타이밍 벨트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 구동력 발생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타이밍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벨트 회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력 발생부는, 상기 타이밍 벨트와 치합하는 복수의 구동 스프로켓; 상기 구동 스프로켓들을 연결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에 결합하고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벨트 회전 지지부는 상기 타이밍 벨트와 치합하되 상기 구동 스프로켓과 동기회전하는 피동 스프로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프레임은, 단위 프레임의 용접 또는 볼팅 결합으로 제작되며,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을 지지하는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 상기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와 연결되며, 상기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푸트부재; 및 상기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 상에 마련되되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의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용 레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 지지용 레일의 일측에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벽체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와 단순화를 꾀할 수 있어서 저비용임에도 높은 가성비를 추구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효율적이라서 조립 또는 분해가 편리하고 센서의 적용 등 다양한 설계 및 자유로운 제어가 가능하며, 특히 소음과 분진 발생이 적고 무급유 방식이라 유지보수가 편리할뿐더러 벨트의 탄성 범위 이내에서 영구적인 반송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트레이 일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5는 트레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장치 프레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타이밍 벨트, 롤러 어태치먼트 및 무롤러 어태치먼트의 발췌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롤러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롤러 어태치먼트의 적용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시스템은 트레이(10) 상에 배치된 용기(20)에 쌀알을 충전하는 쌀알 충전장치(2)와, 쌀알이 충전된 용기(20)를 살균하는 용기 살균장치(3)와, 밥을 짓는 취반장치(4)를 포함한다.
물론, 취반장치(4) 이후의 공정에 마련되되 용기(20)에 뚜껑(미도시)을 덮는 실링장치(5)와, 용기(20)를 살균하고 냉각하는 처리장치(6)와, 포장하는 포장장치(미도시) 등 역시,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시스템의 한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에 의한 연속 자동공정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시스템의 시스템 본체(1)에는 레일(7)과 자세히 후술할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가 탑재된다.
도 1에는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가 용기 살균장치(3) 쪽에만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는 시스템 본체(1) 상의 모든 위치, 특히 용기 살균장치(3) 이외의 나머지 위치에 적용되어 트레이(10)를 후공정을 이송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도 1에서는 다른 장치와 달리 용기 살균장치(3)를 복수 개로 도시했는데, 이럴 경우, 살균공정을 효율적으로 또한 더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취반장치(4) 역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취반장치(4)를 비롯한 다른 장치들도 복수 개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트레이(10) 상에 빈 용기(20)가 배치된 후, 트레이(10)가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시스템으로 투입되면, 쌀알 충전장치(2)를 통해 용기(20) 내에 쌀알이 충전된 후, 용기 살균장치(3)에 의해 용기(20)가 살균되며, 취반장치(4)에 의해 밥지 져질 수 있다. 이후에는 용기(20)에 뚜껑이 덮인 후, 살균 및 냉각된 다음, 포장되어 제품으로 출시된다.
한편, 이러한 공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려면 용기(20)가 탑재된 트레이(10)를 효과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이송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는 전술한 종래기술, 예컨대 벨트 컨베이어 방식과 롤러 체인 컨베이어 방식의 장치와 달리 구조와 단순화를 꾀할 수 있어서 저비용임에도 높은 가성비를 추구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효율적이라서 조립 또는 분해가 편리하고 센서의 적용 등 다양한 설계 및 자유로운 제어가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소음과 분진 발생이 적고 무급유 방식이라 유지보수가 편리할뿐더러 벨트의 탄성 범위 이내에서 영구적인 반송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의 구조에 대해 이하의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트레이 일부를 분해한 도면이고, 도 5는 트레이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장치 프레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8은 타이밍 벨트, 롤러 어태치먼트 및 무롤러 어태치먼트의 발췌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10은 롤러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롤러 어태치먼트의 적용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는 장치 프레임(110)과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장치 프레임(110)과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130)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는 단독 장비로 사용될 수도 있고, 혹은 도 1의 즉석밥 제조시스템의 한 부분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장치 프레임(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100)의 외관 구조를 이룬다.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130)이 장치 프레임(110) 상에 탑재될 수 있다.
장치 프레임(110)은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130)을 지지하는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111)를 포함한다.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111)은 단위 프레임, 예컨대 강성을 갖는 각 파이프의 용접 또는 볼팅 결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111)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또한 수평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의 푸트부재(112)가 마련된다. 복수의 푸트부재(112)는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111)와 연결되며,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111)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푸트부재(112)에는 높이 조절 기능이 부속될 수 있다.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111) 상에는 롤러 지지용 레일(113)이 마련된다. 복수의 롤러 어태치먼트(150)를 구비하는 타이밍 벨트(140)가 한 쌍으로 적용되므로 롤러 지지용 레일(113) 역시,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111) 상에서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롤러 지지용 레일(113)은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111) 상에 마련되되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130)의 롤러(1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롤러 어태치먼트(150)들의 안정적인 동작이 끌어낼 수 있다.
롤러 지지용 레일(113)의 일측에는 롤러(15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벽체(114)가 마련된다. 이러한 이탈 방지용 벽체(114)로 인해 롤러 어태치먼트(150)의 롤러(151)가 자리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130)은 폐루프 형상을 갖는 타이밍 벨트(140, timing belt)와, 타이밍 벨트(140)에 결합하는 복수의 롤러 어태치먼트(150, roller attachment)를 포함한다.
이처럼 타이밍 벨트(140)와 롤러 어태치먼트(150)의 조합을 적용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벨트의 탄성 범위 이내에서 영구적 반송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소화되어 분해가 쉬우며, 이로 인해 다양한 설계에 대응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 어태치먼트(150)는 폐루프 형상을 갖는 타이밍 벨트(140)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트레이(10)를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롤러 어태치먼트(150)들 사이사이에는 롤러(151)가 없는 무롤러 어태치먼트(17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무롤러 어태치먼트(170)는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무롤러 어태치먼트(170)가 적용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따라서, 무롤러 어태치먼트(170)가 없는 구조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무롤러 어태치먼트(170)가 적용되면 트레이(10)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 다른 형상의 트레이(미도시)를 무롤러 어태치먼트(170)에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무롤러 어태치먼트(170)가 적용되면 무롤러 어태치먼트(170) 상에 센서 등을 탑재하여 장치를 제어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트레이(1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로딩홀(12,13)이 양단부에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는 트레이 바디(11)와, 트레이 바디(11)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바디 지지대(14)와, 트레이 바디(11) 상에 고정되고 용기(20, 도 1 참조)가 배치되는 용기 배치구(16)를 구비하는 바디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벨트(140)는 폐루프 형상의 벨트이다. 기어와 맞물리는 톱니(cog)가 있어 이붙임벨트 또는 코그벨트라고도 한다.
이러한 타이밍 벨트(140)는 평평한 벨트부(141)와, 벨트부(141)의 내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치형부(142)를 포함한다. 통상, 치형부(142)가 있는 쪽으 안쪽을 향하게 배치된다.
폐루프 형상의 타이밍 벨트(140)가 연속해서 회전하면서 트레이(10)를 이송할 수 있도록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130)에 벨트 회전 구동부(180)가 탑재된다. 이러한 벨트 회전 구동부(180)는 타이밍 벨트(140)와 연결되고 타이밍 벨트(140)를 회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벨트 회전 구동부(180)는 타이밍 벨트(140)의 일측에 마련되며, 타이밍 벨트(140)의 회전 구동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력 발생부(181)와, 타이밍 벨트(140)의 타측에 마련되며, 회전 구동력 발생부(181)에 의해 회전하는 타이밍 벨트(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벨트 회전 지지부(187)를 포함한다.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력 발생부(181)는 타이밍 벨트(140)와 치합하는 복수의 구동 스프로켓(182)과, 구동 스프로켓(182)들을 연결하는 구동 샤프트(183)와, 구동 샤프트(183)와 연결되고 구동 샤프트(183)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184)와, 서보모터(184)에 결합하고 서보모터(184)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185)를 포함할 수 있다.
긴 축 형상을 갖는 구동 샤프트(18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동 샤프트(183)는 복수의 샤프트 지지블록(18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서보모터(184)의 반대편 구동 샤프트(183)에는 수동 핸들(189)이 마련된다. 수동 핸들(189)은 구동 샤프트(183)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때 사용할 수 있다.
회전 구동력 발생부(181)가 동력원인 반면, 벨트 회전 지지부(187)은 무동력으로 타이밍 벨트(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벨트 회전 지지부(187)는 타이밍 벨트(140)와 치합하되 구동 스프로켓(182)과 동기회전하는 피동 스프로켓(188)을 포함한다. 피동 스프로켓(188) 역시, 구동 스프로켓(182)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적용되고 샤프트(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나 편의상 도면에는 생략했다.
이에,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서보모터(184)가 동작하면 감속기(185)를 통해 그 구동력이 감속된 후, 구동 샤프트(183)로 전달되어 구동 샤프트(183)가 회전하며, 이로 인해 구동 스프로켓(182), 타이밍 벨트(140) 및 피동 스프로켓(188)으로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폐루프 형태로 회전하는 타이밍 벨트(140)를 따라 트레이(10)가 이송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서보모터(184)와 감속기(185)의 조합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비 간소화를 구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비용이 절감되며, 또한, 자유로운 제어가 가능해질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위치 확인용 센서(미도시)를 사용할 경우, 정밀제어가 가능해질 수 있다.
롤러 어태치먼트(150)는 타이밍 벨트(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도 1의 용기(20)가 배치되는 트레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롤러 어태치먼트(150)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롤러(151, roller), 어태치먼트 바디(153) 및 바디 결합블록(161)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151)는 장치 프레임(110)의 롤러 지지용 레일(113)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벨트 회전 구동부(180)의 작용으로 타이밍 벨트(140)가 회전할 때, 롤러 어태치먼트(150)의 롤러(151)가 장치 프레임(110)의 롤러 지지용 레일(113) 상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안정적인 이송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롤러(151)의 구름 반송을 통해 실질적으로 트레이(10)의 이송 동작이 구현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경우, 벨트의 마찰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분진감소, 소음감소, 무급유 유지보수 등의 효과를 끌어낼 수 있다.
어태치먼트 바디(153)는 타이밍 벨트(140)의 벨트부(141)에 배치되는 구조물이다. 어태치먼트 바디(153)의 일측에는 롤러(15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롤러 샤프트(154)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롤러 샤프트(154)에 결합한 롤러(151)가 이탈하지 않게 롤러 샤프트(154)에는 롤러(15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링(155)이 결합한다.
어태치먼트 바디(153)에는 착탈식 트레이 체결부재(15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착탈식 트레이 체결부재(157)는 일단부는 어태치먼트 바디(153)의 센터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트레이(10)의 제1 및 제2 로딩홀(12,13, loading hole)에 삽입 체결되어 트레이(10)가 롤러 어태치먼트(150)에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착탈식 트레이 체결부재(157)로 인해 트레이(10)가 뒤집어 배치되더라도 롤러 어태치먼트(15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로딩홀(12,13) 중 하나는 원형이고 다른 하나는 장공인데, 이의 구조로 인해 트레이(10)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어태치먼트 바디(153) 상에 결합할 수 있다.
바디 결합블록(161)은 어태치먼트 바디(153)에 결합하는 구조물이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 결합블록(161)은 어태치먼트 바디(153)의 양단부에 한 쌍으로 배치되고 볼트(164)로 고정된다. 볼트(164)의 강한 결속을 위해 볼트(164)에 와셔(165)가 끼워진다. 바디 결합블록(161)에는 공간부(163)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간부(163)에 어태치먼트 바디(153) 측의 돌출 부위가 배치된다.
바디 결합블록(161)에는 타이밍 벨트(140)와 한 몸체를 이루도록 타이밍 벨트(140)의 치형부(142)에 걸리는 벨트 치형 걸림부(162)가 형성된다.
이때, 벨트 치형 걸림부(162)는 타이밍 벨트(140)의 폭과는 일치시키되, 타이밍 벨트(140)의 두께보다는 약간 작은 높이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조건을 통해 롤러 어태치먼트(150)가 타이밍 벨트(140)와 강하게 협착 결속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벨트 치형 걸림부(162)는 타이밍 벨트(140) 치형이 음각을 유사 재현함으로써 반송정확성과 피치 정밀도, 그리고, 반송동력을 증가시키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타이밍 벨트(140)와 롤러 어태치먼트(150)의 조합을 적용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벨트의 탄성범위 이내에서 영구적 반송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소화되어 분해가 쉬우며, 이로 인해 다양한 설계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롤러 어태치먼트(150)에 마련되는 롤러(151)의 구름 반송을 통해 트레이(10)의 이송 동작이 구현되기 때문에, 벨트의 마찰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분진감소, 소음감소, 무급유 유지보수 등의 효과를 끌어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와 단순화를 꾀할 수 있어서 저비용임에도 높은 가성비를 추구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효율적이라서 조립 또는 분해가 편리하고 센서의 적용 등 다양한 설계 및 자유로운 제어가 가능하며, 특히 소음과 분진 발생이 적고 무급유 방식이라 유지보수가 편리할뿐더러 벨트의 탄성 범위 이내에서 영구적인 반송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누적오차 모니터링이 가능해서 사이클 원점 검출에 유리하며, 실시간 위치확인이 가능해서 각 트레이의 위치검출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 시스템 본체 2 : 쌀알 충전장치
3 : 용기 살균장치 4 : 취반장치
10 : 트레이 11 : 트레이 바디
12 : 제1 로딩홀 13 : 제2 로딩홀
14 : 바디 지지대 15 : 바디 커버
16 : 용기 배치구 20 : 용기
100 : 벨트 컨베이어 장치 110 : 장치 프레임
111 :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 112 : 푸트부재
113 : 롤러 지지용 레일 114 : 이탈 방지용 벽체
130 :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 140 : 타이밍 벨트
141 : 벨트부 142 : 치형부
150 : 롤러 어태치먼트 151 : 롤러
153 : 어태치먼트 바디 154 : 롤러 샤프트
155 : 이탈 방지링 157 : 착탈식 트레이 체결부재
161 : 바디 결합블록 162 : 벨트 치형 걸림부
163 : 공간부 164 : 볼트
170 : 무롤러 어태치먼트 180 : 벨트 회전 구동부
181 : 회전 구동력 발생부 182 : 구동 스프로켓
183 : 구동 샤프트 184 : 서보모터
185 : 감속기 187 : 벨트 회전 지지부
188 : 피동 스프로켓

Claims (19)

  1. 외관 구조물로서의 장치 프레임; 및
    폐루프 형상을 갖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와, 상기 장치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roller)를 구비하며, 상기 타이밍 벨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소정의 용기가 배치되는 트레이(tray)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어태치먼트(roller attachment)를 구비하는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는,
    상기 타이밍 벨트의 벨트부에 배치되되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롤러 샤프트가 일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어태치먼트 바디;
    상기 타이밍 벨트와 한 몸체를 이루도록 상기 타이밍 벨트의 치형부에 걸리는 벨트 치형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어태치먼트 바디에 결합하는 바디 결합블록; 및
    일단부는 상기 어태치먼트 바디의 센터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트레이의 로딩홀(loading hole)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트레이가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에 고정되게 하는 착탈식 트레이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상기 로딩홀이 양단부에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는 트레이 바디;
    상기 트레이 바디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바디 지지대; 및
    상기 트레이 바디 상에 고정되고 상기 용기가 배치되는 용기 배치구를 구비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 어태치먼트는 상기 폐루프 형상을 갖는 타이밍 벨트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결합블록은 상기 어태치먼트 바디의 양단부에 한 쌍으로 배치되고 볼트로 고정되며, 한 쌍의 상기 바디 결합블록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 샤프트에는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링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에 이웃하게 상기 타이밍 벨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롤러가 없는 무롤러 어태치먼트(roller attachmen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타이밍 벨트와 연결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벨트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회전 구동부는,
    상기 타이밍 벨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의 회전 구동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력 발생부; 및
    상기 타이밍 벨트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 구동력 발생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타이밍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벨트 회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력 발생부는,
    상기 타이밍 벨트와 치합하는 복수의 구동 스프로켓;
    상기 구동 스프로켓들을 연결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에 결합하고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 회전 지지부는 상기 타이밍 벨트와 치합하되 상기 구동 스프로켓과 동기회전하는 피동 스프로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레임은,
    단위 프레임의 용접 또는 볼팅 결합으로 제작되며,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을 지지하는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
    상기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와 연결되며, 상기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푸트부재; 및
    상기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 상에 마련되되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의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용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 지지용 레일의 일측에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벽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12. 시스템 본체;
    상기 시스템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트레이(tray) 상에 배치된 용기에 쌀알을 충전하는 쌀알 충전장치;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서 상기 쌀알 충전장치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쌀알이 충전된 용기를 살균하는 용기 살균장치; 및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서 상기 용기 살균장치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살균 공정이 완료된 용기 내의 쌀알을 이용해서 밥을 짓는 취반장치; 및
    상기 시스템 본체, 상기 용기 살균장치 또는 상기 취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라인 상에 마련되되 상기 트레이를 이송하는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외관 구조물로서의 장치 프레임; 및
    폐루프 형상을 갖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와, 상기 장치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roller)를 구비하며, 상기 타이밍 벨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소정의 용기가 배치되는 트레이(tray)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어태치먼트(roller attachment)를 구비하는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는,
    상기 타이밍 벨트의 벨트부에 배치되되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롤러 샤프트가 일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어태치먼트 바디;
    상기 타이밍 벨트와 한 몸체를 이루도록 상기 타이밍 벨트의 치형부에 걸리는 벨트 치형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어태치먼트 바디에 결합하는 바디 결합블록; 및
    일단부는 상기 어태치먼트 바디의 센터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트레이의 로딩홀(loading hole)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트레이가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에 고정되게 하는 착탈식 트레이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상기 로딩홀이 양단부에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는 트레이 바디;
    상기 트레이 바디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바디 지지대; 및
    상기 트레이 바디 상에 고정되고 상기 용기가 배치되는 용기 배치구를 구비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 어태치먼트는 상기 폐루프 형상을 갖는 타이밍 벨트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태치먼트에 이웃하게 상기 타이밍 벨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롤러가 없는 무롤러 어태치먼트(roller attachmen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타이밍 벨트와 연결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벨트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회전 구동부는,
    상기 타이밍 벨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의 회전 구동을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력 발생부; 및
    상기 타이밍 벨트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 구동력 발생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타이밍 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벨트 회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력 발생부는,
    상기 타이밍 벨트와 치합하는 복수의 구동 스프로켓;
    상기 구동 스프로켓들을 연결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에 결합하고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 회전 지지부는 상기 타이밍 벨트와 치합하되 상기 구동 스프로켓과 동기회전하는 피동 스프로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레임은,
    단위 프레임의 용접 또는 볼팅 결합으로 제작되며,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을 지지하는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
    상기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와 연결되며, 상기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푸트부재; 및
    상기 유닛 지지용 프레임 구조체 상에 마련되되 상기 트레이 컨베이어 유닛의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용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 지지용 레일의 일측에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벽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1020200058781A 2020-05-18 2020-05-18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102330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781A KR102330960B1 (ko) 2020-05-18 2020-05-18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781A KR102330960B1 (ko) 2020-05-18 2020-05-18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960B1 true KR102330960B1 (ko) 2021-11-25

Family

ID=7874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781A KR102330960B1 (ko) 2020-05-18 2020-05-18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9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156B1 (ko) 2022-07-28 2023-02-07 (주)글로코 간격 조절이 용이한 어태치먼트 벨트
KR102523630B1 (ko) 2022-07-14 2023-04-19 황희주 센서 모듈 기반 롤러 컨베이어 시스템
CN116553077A (zh) * 2023-06-13 2023-08-08 东莞市食滋源食品有限公司 一种蛋黄酥输送装置
KR102646544B1 (ko) 2023-04-13 2024-03-14 황희주 설치와 변형이 자유로운 기능성 스마트 컨베이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095Y1 (ko) * 1992-04-11 1995-08-28 박재용 자동봉함기의 용기 가이드장치
KR100726155B1 (ko) 2007-02-12 2007-06-13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5068143B2 (ja) * 2007-11-05 2012-11-07 株式会社オシキリ パン生地搬送装置及びプルーファー
JP5870331B2 (ja) * 2012-01-25 2016-02-24 旭精工株式会社 物搬送ベルト及び硬貨選別装置
KR102094698B1 (ko) *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095Y1 (ko) * 1992-04-11 1995-08-28 박재용 자동봉함기의 용기 가이드장치
KR100726155B1 (ko) 2007-02-12 2007-06-13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5068143B2 (ja) * 2007-11-05 2012-11-07 株式会社オシキリ パン生地搬送装置及びプルーファー
JP5870331B2 (ja) * 2012-01-25 2016-02-24 旭精工株式会社 物搬送ベルト及び硬貨選別装置
KR102094698B1 (ko) *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630B1 (ko) 2022-07-14 2023-04-19 황희주 센서 모듈 기반 롤러 컨베이어 시스템
KR102496156B1 (ko) 2022-07-28 2023-02-07 (주)글로코 간격 조절이 용이한 어태치먼트 벨트
KR102646544B1 (ko) 2023-04-13 2024-03-14 황희주 설치와 변형이 자유로운 기능성 스마트 컨베이어 시스템
CN116553077A (zh) * 2023-06-13 2023-08-08 东莞市食滋源食品有限公司 一种蛋黄酥输送装置
CN116553077B (zh) * 2023-06-13 2023-10-31 东莞市食滋源食品有限公司 一种蛋黄酥输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960B1 (ko)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US3240311A (en) Conveyer for articles such as confections
NL8902114A (nl) Champignon oogstmachine.
KR100958875B1 (ko) 포기김치 양념 속 넣기 혼합 자동화 장치
JP4853812B2 (ja) 青果物表皮の殺菌装置
CN104176429A (zh) 输送带式给料装置
US8028618B2 (en) Cooker apparatus and method
KR102009118B1 (ko) 농산물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US448857A (en) Fodder-carrier
JPS60161819A (ja) コンベア駆動機構
US10322894B2 (en) Cleanable sheet feeder
US293383A (en) Endless carrier for harvesters
JP2008150188A (ja) 金網ベルト並びに食品製造装置用搬送機械
KR20100035514A (ko) 식재료 절단 장치
CN218490057U (zh) 速食品包装袋封口装置
CN220536838U (zh) 一种食品转运输送设备
US1245380A (en) Apparatus for preparing fruit for shipment.
JPH0447141Y2 (ko)
EP0863093B1 (en) Handling-switching machine with devices for keeping the conveyor tables in a horizontal plane
JP5941619B2 (ja) 搬送装置および方法
US591388A (en) Segmental conveyer for potato-harvesters
KR101470797B1 (ko) 식품 포장 장치
JP2021127191A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CN212711073U (zh) 一种辐照装箱用的送料机构
CN212125641U (zh) 一种食品加工用分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