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698B1 - 즉석밥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즉석밥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698B1
KR102094698B1 KR1020180122788A KR20180122788A KR102094698B1 KR 102094698 B1 KR102094698 B1 KR 102094698B1 KR 1020180122788 A KR1020180122788 A KR 1020180122788A KR 20180122788 A KR20180122788 A KR 20180122788A KR 102094698 B1 KR102094698 B1 KR 102094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module
tray
unit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문호
김혁
김숙한
김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80122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3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terilisation or pasteuris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23L3/01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using microwaves or di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2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continuously or stepwise, through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2Microwa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즉석밥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는, 즉석밥을 제조하기 위한 쌀알이 담긴 용기가 배치된 트레이를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유닛; 트레이 이송유닛에 연결되며, 이송된 트레이가 배치되고 쌀알 및 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살균시키는 살균공간을 제공하는 챔버유닛; 및 챔버유닛의 일측에 연결되며, 살균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가열함으로써 살균하되, 살균공간으로 공급되는 스팀이 살균공간에서 순환한 뒤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스팀순환 살균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즉석밥 제조장치{A MANUFACTURING DEVICE OF COOKED RICE}
본 발명은, 즉석밥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즉석밥을 제조하기 위한 살균공정에서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대용량밥 또는 원물밥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즉석밥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밥은 쌀에 일정량의 물을 가하여 100℃ 내외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1시간 정도 가열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밥을 지어서 바로 먹지 않고 보관하게 되면 밥에 있는 수분이 날아가면서 밥이 딱딱해지며, 색이 누렇게 변색되어 먹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쌀 표면에는 미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밥을 짓는 과정에서 일반적인 미생물은 사멸되지만 내열성의 포자는 완전히 사멸되지 않아, 하루 이내에 밥을 먹는 경우는 문제되지 않으나 상온에서 밥을 하루 이상 보관하거나 유통시키는 경우 문제가 된다. 실제로 반찬과 함께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는 도시락의 경우 제조시각으로부터 7시간 이내에 먹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쌀의 미생물 수를 줄이고, 내열성 포자를 사멸시킴으로써 장기간 보존 가능한 포장된 즉석밥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이렇게 포장된 즉석밥은 데우기만 하면 방금 한 밥처럼 맛이 좋아서 여행이나 출장을 갈 때뿐만 아니라 직장인, 맞벌이부부 또는 노인층 등 제때에 밥을 해먹기 힘든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즉석밥 제조공정은, 용기에 쌀을 정량 충전하는 전처리 공정과, 용기에 담긴 쌀을 살균하는 살균(Sterilization) 공정과, 쌀을 가열하여 익히는 취반(cooking) 공정과, 용기에 뚜껑을 덮는 실링공정과, 용기에 대한 살균 및 냉각 등이 이루어지는 후처리 공정을 포함한다.
상술한 살균(Sterilization) 공정을 위해 종래기술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는 살균공정이 수행되는 살균라인을 구비한다. 이러한 살균라인에서 쌀알이 담기 용기들은 이송체인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며, 살균라인의 내부로 증기가 분사되어 살균작업이 수행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는, 살균라인의 내부 전체를 증기로 충밀시켜 살균을 수행하는 방식이므로, 증기 사용량이 많고 살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챔버의 상부에서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용기에 담긴 쌀알이 고압의 스팀에 의해 용기에서 튀어나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팀 분사구 앞에 별도의 배플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스팀의 기류를 방해하여 살균 취약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제10-0726155호, (2007.06.0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살균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가열함으로써 살균하는 방식을 사용하면서도, 용기에 담긴 쌀알이 고압의 스팀에 의해 용기에서 튀어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살균공간에서의 스팀의 순환을 최적화시켜 살균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즉석밥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즉석밥을 제조하기 위한 쌀알이 담긴 용기가 배치된 트레이를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유닛; 상기 트레이 이송유닛에 연결되며, 이송된 상기 트레이가 배치되고 상기 쌀알 및 상기 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살균시키는 살균공간을 제공하는 챔버유닛; 및 상기 챔버유닛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살균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가열함으로써 살균하되, 상기 살균공간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팀이 상기 살균공간에서 순환한 뒤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스팀순환 살균유닛을 포함하는 즉석밥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팀순환 살균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공간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적어도 한 쌍의 스팀 급기모듈; 및 상기 챔버유닛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공간을 순환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 배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팀 배기모듈은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스팀 급기모듈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순환 살균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공간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급기모듈; 상기 챔버유닛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공간을 순환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 배기모듈; 및 상기 살균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 급기모듈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스팀이 상기 살균공간에서 순환하도록 유도하는 스팀순환 유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 챔버모듈; 및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 챔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팀순환 살균유닛은 상기 상부 챔버모듈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팀 급기모듈은, 상기 트레이에서 상호 이격되어 사각으로 배치되는 네 개의 용기마다 하나씩 배치되어 상기 네 개의 용기의 중심을 연결하는 사각형의 중심부를 향해 스팀을 공급하는 다수의 단위 스팀 급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팀 배기모듈은, 상기 트레이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스팀 급기모듈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스팀 배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스팀 급기모듈은, 상기 네 개의 용기를 향해 상기 스팀을 방사형으로 방출하기 위한 풀콘형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순환 유도모듈은,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스팀순환 유도판; 및 상기 스팀순환 유도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순환 유도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순환 유도판은, 상기 스팀순환 유도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유도판 스팀 급기공; 상기 스팀순환 유도판의 중심선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유도판 스팀 배기공; 및 상기 트레이에 배치되는 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용기 하부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용기가 배치되는 다수의 용기 배치공; 상기 트레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트레이 스팀 급기공; 및 상기 트레이의 중심선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트레이 스팀 배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순환 유도모듈은, 상기 스팀순환 유도판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와 상기 스팀순환 유도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 스팀 배기공과 상기 유도판 스팀 배기공을 연결하는 스팀 배기공 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상부 챔버모듈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살균공간을 밀폐하는 상부 에어씰링모듈; 및 상기 하부 챔버모듈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밀착되어 상기 살균공간을 밀폐하는 하부 에어씰링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이송유닛은,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는 캐리어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상기 하부 챔버모듈이 관통하는 개구공이 마련된 캐리어 본체부; 상기 캐리어 본체부에 결합된 캐리어용 자성체; 및 상기 캐리어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캐리어 이송부에 연결되는 가이드용 회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용 회전 롤러가 지지되며, 상기 캐리어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캐리어용 자성체와의 전자기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캐리어 이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챔버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챔버모듈을 상기 상부 챔버모듈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챔버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이동유닛은, 상기 하부 챔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챔버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 챔버모듈용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하부 챔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챔버모듈을 이동시키는 하부 챔버모듈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챔버모듈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살균공간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여, 상기 쌀알 및 상기 용기에 존재하며 상기 스팀순환 살균유닛에 저항하는 내열균을 살균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의 외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모듈;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모듈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살균공간으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챔버유닛의 일측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웨이브 도파관; 및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도파관의 상기 살균공간 측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살균공간을 밀폐시키되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통과시키는 밀봉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유닛은, 상기 상부 챔버모듈 및 상기 하부 챔버모듈이 상기 트레이와 밀착되는 면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살균공간으로 전송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가 상기 살균공간에서 상기 상부 챔버모듈과 상기 하부 챔버모듈의 틈새를 통해 상기 살균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파 차폐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차폐모듈은, 상기 살균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챔버 몸체부 및 하부 챔버 몸체부에 상기 살균공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1차로 전자파를 차폐하는 제1 차폐부; 및 상기 제1 차폐부의 바깥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2차로 전자파를 차폐하는 제2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살균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가열함으로써 살균하되, 살균공간으로 공급되는 스팀이 살균공간에서 순환한 뒤 외부로 배출되도록 스팀의 순환을 유도함으로써, 용기에 담긴 쌀알이 고압의 스팀에 의해 용기에서 튀어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살균공간에서의 스팀의 순환을 최적화시키고 살균 취약부를 보완하여 살균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트레이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캐리어에서 트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챔버유닛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의 하부 챔버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의 상부 챔버모듈과 트레이와 스팀순환 유도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의 살균공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는 용기(20)가 배치된 트레이(10)를 레일(1)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쌀알 충전장치(2), 살균장치(3) 및 취반장치(4)를 거쳐가면서 즉석밥이 완성되고 그 이후에는 용기에 뚜껑을 덮는 실링공정과, 용기에 대한 살균 및 냉각 등이 이루어지는 후처리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살균장치(3)는 4개의 챔버유닛(200)을 일정하게 이격배치하여 마련되며, 각각의 챔버유닛(200)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살균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이러한 각각의 살균작업이 챔버유닛(200)의 수만큼 반복적으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살균공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트레이(10)에 배치된 용기(20)의 갯수, 챔버유닛(200)의 크기 및 살균시간 등을 고려하여 살균효과를 극대화 하고 즉석밥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챔버유닛(200)의 수량 및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챔버유닛(200)에서 이루어지는 살균공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트레이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캐리어에서 트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챔버유닛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의 하부 챔버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의 상부 챔버모듈과 트레이와 스팀순환 유도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의 살균공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는 트레이 이송유닛(100)과, 챔버유닛(200)과, 스팀순환 살균유닛(300)과,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유닛(400)과, 챔버 이동유닛(500)을 포함한다.
먼저, 트레이 이송유닛(100)은 즉석밥을 제조하기 위한 쌀알이 담긴 용기(20)가 배치된 트레이(10)를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도 4 내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0)를 지지하는 캐리어(110)와, 캐리어(110)를 이송하는 캐리어 이송부(130)를 포함한다.
트레이(10)는 즉석밥을 제조하기 위한 쌀알이 담긴 용기(20)가 배치되며, 추후 설명할 챔버유닛(200)이 제공하는 살균공간 내부에 배치되도록 챔버유닛(200) 측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트레이(10)는,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가 배치되는 다수의 용기 배치공(10c)과, 다수의 트레이 스팀 급기공(10a)과, 다수의 트레이 스팀 배기공(10b)을 포함한다.
다수의 용기 배치공(10c)은 즉석밥을 제조하기 위한 쌀알이 담긴 용기(20)가 배치되는 곳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4*5의 배열로 총 20개의 용기가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트레이(10) 및 챔버유닛(200)의 크기와 살균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수의 트레이 스팀 급기공(10a)은 트레이(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후술할 스팀 급기모듈(310)을 통해 살균공간으로 공급된 스팀이 살균공간에서 순환할 수 있도록 트레이(10)의 반대편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트레이 스팀 배기공(10b)은 트레이(10)의 중심선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살균공간으로 공급된 스팀이 살균공간에서 순환한 뒤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술할 스팀 배기모듈(330)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캐리어(110)는 트레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 4 내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챔버모듈(260)이 관통하는 개구공(111a)이 마련된 캐리어 본체부(111)와, 캐리어 본체부(111)에 결합된 캐리어용 자성체(112)와, 캐리어 본체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캐리어 이송부(130)에 연결되는 가이드용 회전 롤러(113)를 포함한다.
캐리어 본체부(111)는,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0)의 캐리어 결합턱(13)이 걸림결합되도록 개구공(111a)이 마련된 프레임의 형태로 제작된다.
캐리어용 자성체(1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본체부(111)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캐리어용 자성체(112)는 캐리어 이송부(13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캐리어 본체부(111)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캐리어용 자성체(112)는 영구자석으로 마련되며, 다수개로 마련되어 소정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가이드용 회전 롤러(113)는 캐리어 본체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용 회전 롤러(113)는 캐리어 이송부(130)에 연결되어 캐리어 본체부(111)의 이동을 안내한다.
캐리어 이송부(130)는 캐리어(110)를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용 회전 롤러(113)가 지지되며 캐리어(110)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31)과, 캐리어용 자성체(112)와의 전자기 상호작용을 통해 캐리어(110)를 이동시키는 캐리어 이동 구동부(132)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31)에는 가이드용 회전 롤러(113)가 지지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31)은 캐리어(110)의 이송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레일(131)은 캐리어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부재(135)에 의해 즉석밥 제조장치의 프레임(미도시)에 고정 결합된다.
캐리어 이동 구동부(132)는 캐리어용 자성체(112)와의 전자기 상호작용을 통해 캐리어(110)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캐리어 이동 구동부(132)는, 캐리어용 자성체(112)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캐리어용 자성체(112)에 대해 하측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본 실시예의 캐리어 이동 구동부(132)에는 다수개의 전자석(미도시)이 마련된다. 이러한 전자석(미도시)들의 극성은 개별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전자석(미도시)들과 캐리어용 자성체(112)들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캐리어용 자성체(112)와 캐리어 이동 구동부(132)가 비접촉된 상태에서 캐리어(110)가 이동된다.
종래의 즉석밥 제조장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용기가 배치되는 트레이를 체인으로 연결하여 이송시키는 방법을 사용해왔는데, 고온의 환경에서 공정이 이루어지는 즉석밥 제조의 환경적 특성에 의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체인의 늘어짐이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로 용기를 이송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늘어진 체인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기 위한 추가적인 교체비용이 발생하므로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늘어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접촉 상태에서 전자기 상호작용에 의해 트레이(10)를 적재한 캐리어(110)를 이송시키는 캐리어 이동 구동부(132)를 구비함으로써, 트레이(10)의 이동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추가적인 교체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에서 캐리어 본체부(111)에 결합되는 캐리어용 자성체(112)가 별도의 전원을 연결할 필요가 없는 영구자석으로 마련됨으로써, 캐리어(110)의 이동과정에서 캐리어(110)가 전력 공급용 전선들(미도시)에 간섭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한편, 챔버유닛(200)은 트레이 이송유닛(100)에 연결되며, 이송된 트레이(10)가 배치되고 쌀알 및 용기(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살균시키는 살균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도 7 내지 도 10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챔버모듈(210)과, 하부 챔버모듈(260)과, 상부 에어씰링모듈(230)과, 하부 에어씰링모듈(280)을 포함한다.
상부 챔버모듈(210)은 살균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 챔버 몸체부(211)를 포함하고, 하부 챔버모듈(260)은 살균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 챔버 몸체부(261)를 포함한다.
상부 챔버 몸체부(211)가 트레이(10)의 상부에 밀착되고, 하부 챔버 몸체부(261)가 트레이(10)의 하부에 밀착되어 트레이(10)의 상부 및 하부에 미리 정해진 크기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살균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하부 챔버모듈(260)의 하부 챔버 몸체부(261)에는, 도 10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공간을 둘러싸도록 3개의 안착홈(261a, 261b, 261c)이 마련된다.
이들 3개의 안착홈(261a, 261b, 261c)은 후술할 하부 에어씰링모듈(280)과 제1 차폐부(451) 및 제2 차폐부(452)가 마련되는 장소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챔버모듈(260)은 상부 챔버모듈(2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하부 챔버모듈(260)과 상부 챔버모듈(210)은, 하부 챔버모듈(260)의 상부 챔버모듈(210)에 대한 상대이동에 의해 분리 및 합체되며, 하부 챔버모듈(260)과 상부 챔버모듈(210)의 합체에 의해 챔버유닛(200)의 내부에 살균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종래의 즉석밥 제조장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상부챔버와 하부챔버가 직접 접촉하는 방식을 사용해왔는데, 상부챔버와 하부챔버가 합체될 때에 금속끼리 부딪힘이 발생하게 되므로 반복되는 충격에 의해 챔버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는, 하부 챔버모듈(260)과 상부 챔버모듈(210)의 합체를 위해 상부 챔버 몸체부(211)와 하부 챔버 몸체부(261)가 트레이(10)에 접근하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정지하도록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하부 챔버모듈(260)과 상부 챔버모듈(210)이 트레이(1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챔버유닛(20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부 에어씰링모듈(230)과 하부 에어씰링모듈(280)을 마련함으로써, 상부 챔버 몸체부(211)와 트레이(10) 사이 및 하부 챔버 몸체부(261)와 트레이(10)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격을 메꾸어 살균공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하부 에어씰링모듈(280)은, 도 8 및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챔버 몸체부(261)의 상단부에 마련된 살균공간으로부터 첫번째 안착홈(261a, 도 10 참조)에 마련되며, 트레이(10)의 하부에 밀착되어 살균공간을 밀폐한다.
상부 에어씰링모듈(230)은, 도 8 및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챔버 몸체부(211)의 하단부에 하부 에어씰링모듈(280)과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트레이(10)의 상부에 밀착되어 살균공간을 밀폐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부 챔버 몸체부(211)에는 안착홈에 연통되며, 상부 에어씰링모듈(230)을 트레이(10)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공압유로(미도시)가 마련된다. 이러한 공압유로(미도시)에 공압기구(미도시)가 연결되어 가압력이 상부 에어씰링모듈(230)로 공급된다.
상부 챔버 몸체부(211)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공압유로(미도시)는 하부 챔버 몸체부(261)에 마련된 안착홈(261a)과 공압유로(미도시)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대칭되게 마련된다.
하부 챔버모듈(260)과 상부 챔버모듈(210)의 합체를 위해 상부 챔버 몸체부(211)와 하부 챔버 몸체부(261)가 트레이(10)에 접근하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정지하게 되면, 공압기구(미도시)가 작동하여 상부 에어씰링모듈(230)과 하부 에어씰링모듈(280)에 가압력을 제공하게 되고, 상부 에어씰링모듈(230)과 하부 에어씰링모듈(280)이 트레이(10)에 밀착되어 수용공간을 밀폐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는, 상부 챔버 몸체부(211)와 하부 챔버 몸체부(261)가 트레이(10)에 접근하되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정지하도록 움직임을 제어하여 트레이(1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고, 트레이(10)에 밀착되어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상부 에어씰링모듈(230) 및 하부 에어씰링모듈(280)를 마련하여 함으로써, 충격의 발생을 방지하여 챔버유닛(20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수용공간의 밀폐 성능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한편, 스팀순환 살균유닛(300)은 챔버유닛(2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살균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가열함으로써 살균하되, 살균공간으로 공급되는 스팀이 살균공간에서 순환한 뒤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스팀순환 살균유닛(300)은, 도 7 및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급기모듈(310)과, 스팀 배기모듈(330)과, 스팀순환 유도모듈(350)을 포함하며, 스팀순환 살균유닛(300)은 상부 챔버모듈(210)의 상부에 연결된다.
이때, 스팀 급기모듈(310)은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고, 스팀 배기모듈(330)은 적어도 한 쌍의 스팀 급기모듈(310)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한 쌍의 스팀 급기모듈(310)을 통해 공급된 스팀이 살균공간에서 순환한 뒤 한 쌍의 스팀 급기모듈(310)의 사이에 배치된 스팀 배기모듈(330)을 통해 배출되도록 스팀의 순환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스팀 급기모듈(310)은 상부 챔버모듈(2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살균공간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트레이(10)에서 상호 이격되어 사각으로 배치되는 네 개의 용기(20)마다 하나씩 배치되어 네 개의 용기(20)의 중심을 연결하는 사각형의 중심부를 향해 스팀을 공급하는 다수의 단위 스팀 급기모듈(3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단위 스팀 급기모듈(310')이 마련되었는데, 이는 트레이(10)에 4*5의 배열로 총 20개의 용기가 배치되었으므로 네 개의 용기(20)의 중심을 연결하는 사각형의 중심부가 8개로 형성되기 때문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트레이(10)에 배치되는 용기(20)의 수와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스팀 급기모듈(310')은 네 개의 용기(20)를 향해 스팀을 방사형으로 방출하기 위한 풀콘형 노즐(311, 도 12 참조)을 포함한다.
종래의 즉석밥 제조장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챔버의 상부에서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용기에 담긴 쌀알이 고압의 스팀에 의해 용기에서 튀어나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팀 분사구 앞에 별도의 배플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스팀의 기류를 방해하여 살균 취약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는, 풀콘형 노즐(311, 도 12 참조)을 마련함으로써 스팀을 방사형으로 방출하되 스팀이 방출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기존의 배플을 제거하면서도 쌀알이 용기에서 튀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스팀의 기류를 방해하는 배플을 제거함으로써 스팀의 순환을 유도하여 살균 취약부를 보완하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스팀 배기모듈(330)은 상부 챔버모듈(2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살균공간을 순환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트레이(10)의 중앙 영역에서 스팀 급기모듈(310)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스팀 배기모듈(3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단위 스팀 배기모듈(330')이 마련되었는데, 이는 트레이(10)에 4*5의 배열로 총 20개의 용기가 배치되었으므로 트레이(10)의 중앙 영역에서 스팀 급기모듈(310)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기 위한 4개 위치가 형성되기 때문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트레이(10)에 배치되는 용기(20)의 수와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팀순환 유도모듈(350)은 살균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스팀 급기모듈(310)에 의해 공급되는 스팀이 살균공간에서 순환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도 11 및 도 1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순환 유도판(351)과, 다수의 지지부재(353)와, 스팀 배기공 연결관(355)을 포함한다.
스팀순환 유도판(351)은 트레이(10)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스팀이 살균공간에서 순환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다수의 유도판 스팀 급기공(351a)과, 다수의 유도판 스팀 배기공(351b)과, 다수의 용기 하부 관통공(351c)을 포함한다.
다수의 유도판 스팀 급기공(351a)은 스팀순환 유도판(351)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전술한 다수의 트레이 스팀 급기공(10a)을 통과한 스팀이 살균공간에서 계속 순환할 수 있도록 스팀순환 유도판(351)의 반대편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유도판 스팀 배기공(351b)은 스팀순환 유도판(351)의 중심선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살균공간에서 순환을 마친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전술한 다수의 트레이 스팀 배기공(10b)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용기 하부 관통공(351c)은 트레이(10)의 다수의 용기 배치공(10c)에 배치되는 용기(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살군공간을 순환하는 스팀이 용기(20)의 하부에 직접 접촉하여 가열 살균함으로써 살균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지지부재(353)는 스팀순환 유도판(351)의 하부에 연결되어 스팀순환 유도판(35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팀 배기공 연결관(355)은 스팀순환 유도판(351)에 결합되어 트레이(10)와 스팀순환 유도판(351) 사이에 배치되며, 트레이 스팀 배기공(10b)과 유도판 스팀 배기공(351b)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팀 배기공 연결관(355)을 마련함으로써, 살균공간에서 순환을 마친 스팀이 외부로 배출될 때, 다수의 유도판 스팀 배기공(351b)에서 다수의 트레이 스팀 배기공(10b)까지 곧바로 이송된 후 스팀 배기모듈(330)을 통해 배출되므로, 온도가 낮아진 스팀이 살균공간에서 계속 순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살균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스팀순환 유도모듈(350)에 의해 스팀이 순환하면서 살균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위 스팀 급기모듈(310')의 스팀 급기공(312)을 통해 상부 챔버 몸체부(211)와 트레이(10) 사이의 공간 S1으로 공급된 스팀은 방사형으로 방출됨으로써 살균공간의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이동하면서 쌀알에 직접 접촉하여 가열함으로써 살균이 이루어지게 되며, 살균공간의 가장자리에 도달한 스팀은 트레이 스팀 급기공(10a)을 통해 트레이(10)와 스팀순환 유도판(351) 사이의 공간 S2로 이동하게 된다.
공간 S2로 이동한 스팀의 일부는 살균공간의 가장자리로부터 살균공간의 중심부로 이동하면서 용기(20)의 외부를 가열함으로써 살균이 이루어지고, 스팀의 나머지 일부는 유도판 스팀 급기공(351a)을 통해 스팀순환 유도판(351)과 하부 챔버 몸체부(261) 사이의 공간 S3로 이동하게 된다.
공간 S3로 이동한 스팀은 살균공간의 가장자리로부터 살균공간의 중심부로 이동하면서 용기 하부 관통공(351c)을 통해 용기(20)의 하부에 접촉하여 가열함으로써 살균이 이루어지며, 살균공간의 중심부에 도달하여 유도판 스팀 배기공(351b)을 통해 공간 S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팀 배기공 연결관(355)을 통해 트레이 스팀 배기공(10b) 유도판 스팀 배기공(351b)에서 트레이 스팀 배기공(10b)까지 곧바로 이송되므로 온도가 낮아진 스팀은 공간 S2에서 머물지 않고 바로 공간 S1으로 이동하게 되며, 바로 스팀 배기공(332)을 통해 배출되므로, 온도가 낮아진 스팀이 살균공간에서 계속 순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살균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는, 스팀 급기모듈(310)과 스팀 배기모듈(330)을 용기(20)의 위치에 따라 배치하는 구조를 가지고 스팀을 방사형으로 방사하는 풀콘형 노즐(311, 도 12 참조)을 마련함으로써, 스팀을 방사형으로 방출하되 스팀이 방출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쌀알이 용기에서 튀어나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스팀의 기류를 방해하는 배플을 제거하고 살균공간에서의 스팀의 순환을 유도하는 스팀순환 유도모듈(350)을 마련함으로써, 스팀의 순환을 유도하여 살균공간에서의 스팀의 순환을 최적화시키고 살균 취약부를 보완하여 살균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유닛(400)은 챔버유닛(200)의 타측에 연결되며, 살균공간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여, 쌀알 및 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존재하며 가열 살균유닛(300)에 저항하는 내열균을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즉석밥 제조장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스팀을 이용하여 챔버의 내부를 가열하는 방식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용기 바닥에 깊숙이 놓여 증기에 노출되지 않은 쌀알 및 용기 바닥에 놓인 쌀알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증기에 노출되는 쌀알 사이의 열전달 차이로 인해 용기 바닥에 놓인 쌀알은 살균이 잘 되지 않아 살균 취약부가 존재할 수 있으며, 살균 취약부에 존재하는 내열성 미생물을 완전하게 살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는, 스팀순환 살균유닛(300)은 상부 챔버모듈(260)의 상부에 연결되고,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유닛(400)은 하부 챔버모듈(260)의 하부에 연결함으로써, 각각 다른 방향에서 두가지 방식으로 살균을 수행함으로써 살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유닛(400)은, 도 7 내지 도 10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 발생모듈(410)과, 마이크로웨이브 도파관(420)과, 밀봉판재(430)와, 누수방지 씰링(미도시)과, 전자파 차폐모듈(450)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웨이브 발생모듈(410)은 챔버유닛(200)의 외부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모듈(410)이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마련되었으나, 본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트레이(10)에 배치된 용기(20)의 수와 크기 및 살균공간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수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도파관(420)은 마이크로웨이브 발생모듈(410)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살균공간으로 전송하기 위해 챔버유닛(200)의 일측을 관통하여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챔버모듈(260)의 하부에 마련된다.
밀봉판재(430)는 마이크로웨이브 도파관(420)의 살균공간 측 개구에 결합되어 살균공간을 밀폐시키되 마이크로웨이브는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며, 살균공간의 진공압력을 견딜 수 있되 마이크로웨이브를 효과적으로 통과시키에 적절한 두께로 마련된다.
누수방지 씰링(미도시)은 챔버유닛(200)의 하부 챔버모듈(260)과 밀봉판재(430) 사이에 배치되어, 마이크로웨이브 도파관(420)으로 응축수가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파 차폐모듈(450)은 상부 챔버모듈(210) 및 하부 챔버모듈(260)이 트레이(10)와 밀착되는 면에 각각 마련되어 살균공간으로 전송된 마이크로웨이브가 살균공간에서 상부 챔버모듈(210)과 하부 챔버모듈(260)의 틈새를 통해 살균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자파 차폐모듈(450)은, 도 8 및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공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1차로 전자파를 차폐하는 제1 차폐부(451)와, 제1 차폐부(451)의 바깥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2차로 전자파를 차폐하는 제2 차폐부(452)를 포함한다.
즉, 살균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제1 차폐부(451)와 제2 차폐부(452)가 순서대로 마련됨으로써, 2단계의 전자파 차폐가 이루어져 전자파 차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제1 차폐부(451)와 제2 차폐부(452)는 살균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챔버 몸체부(211) 및 하부 챔버 몸체부(261)에 한 쌍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차폐부(451)는 상부 챔버 몸체부(211) 및 하부 챔버 몸체부(261)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는 전자파 차폐홈이며, 제2 차폐부(452)는 상부 챔버 몸체부(211) 및 하부 챔버 몸체부(261)에 형성되는 안착홈(261c)에 마련되는 전자파 차폐 가스켓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차폐부(451)가 전자파 차폐 가스켓이 사용되고 제2 차폐부(452)가 전자파 차폐홈이 사용될 수도 있고, 전자파 차폐홈이나 전자파 차폐 가스켓이 아닌 기타의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전자파 차폐모듈(450)은 전술한 상부 에어씰링모듈(230) 및 하부 에어씰링모듈(280)의 바깥쪽에 마련됨으로써, 살균공간 내부로 전자파 차폐 가스켓 등을 파편이 투입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장치는, 스팀순환 살균유닛(300)은 상부 챔버모듈(260)의 상부에 연결되고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유닛(400)은 하부 챔버모듈(260)의 하부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각각 다른 방향에서 두가지 방식으로 살균을 수행하여 살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차폐부(451)와 제2 차폐부(452)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모듈(450)을 마련함으로써, 살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면서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챔버 이동유닛(500)은 하부 챔버모듈(260)에 연결되어 하부 챔버모듈(260)을 상부 챔버모듈(2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하부 챔버용 이동 가이드부(510)와, 하부 챔버용 이동 구동부(520)를 포함한다.
하부 챔버용 이동 가이드부(510)는 하부 챔버모듈(260)에 연결되며 하부 챔버모듈(26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하부 챔버용 이동 구동부(520)는 하부 챔버모듈(260)에 연결되며 하부 챔버모듈(26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챔버용 이동 구동부(520)가 하부 챔버모듈(260)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하부 챔버모듈(260)을 이동시키며, 하부 챔버용 이동 가이드부(510)는 하부 챔버모듈(260)의 모서리부에 배치되어 하부 챔버모듈(26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챔버유닛(200)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마련되는 하부 챔버용 이동 가이드부(510)와 하부 챔버용 이동 구동부(520)의 수와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하부 챔버용 이동 구동부(520)는 챔버유닛(200)을 합체시키기 위해 하부 챔버모듈(260)을 이동시키는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동시에는 고속으로 이동시키되 정지시에는 저속으로 정지하여 챔버유닛(200)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력이 조절 가능한 유압 실린더를 사용함으로써, 저압으로 고속이동을 시키고 챔버유닛(200)이 합체된 후에는 스팀 살균이 시작되는 경우에 하부 챔버모듈(260)에 가해지는 하방 압력을 버틸 수 있도록 고압으로 하중을 지지하여 유압 펌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트레이 10a : 트레이 스팀 급기공
10b : 트레이 스팀 배기공 20 : 용기
100 : 트레이 이송유닛 110 : 캐리어
130 : 캐리어 이송부 200 : 챔버유닛
210 : 상부 챔버모듈 230 : 상부 에어씰링모듈
260 : 하부 챔버모듈 280 : 하부 에어씰링모듈
300 : 스팀순환 살균유닛 310 : 스팀 급기모듈
311 : 풀콘형 노즐 330 : 스팀 배기모듈
350 : 스팀순환 유도모듈 351 : 스팀순환 유도판
351a : 유도판 스팀 급기공 351b : 유도판 스팀 배기공
353 : 지지부재 355 : 스팀 배기공 연결관
400 :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유닛 410 : 마이크로웨이브 발생모듈
420 : 마이크로웨이브 도파관 430 : 밀봉판재
450 : 전자파 차폐모듈 451 : 제1 차폐부
452 : 제2 차폐부 500 : 챔버 이동유닛
510 : 하부 챔버용 이동 가이드부 520 : 하부 챔버용 이동 구동부

Claims (20)

  1. 즉석밥을 제조하기 위한 쌀알이 담긴 용기가 배치된 트레이를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유닛;
    상기 트레이 이송유닛에 연결되며, 이송된 상기 트레이가 배치되고 상기 쌀알 및 상기 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살균시키는 살균공간을 제공하는 챔버유닛; 및
    상기 챔버유닛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살균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가열함으로써 살균하되, 상기 살균공간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팀이 상기 살균공간에서 순환한 뒤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스팀순환 살균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팀순환 살균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공간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급기모듈; 상기 챔버유닛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공간을 순환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되,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스팀 급기모듈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팀 배기모듈; 및 상기 살균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 급기모듈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스팀이 상기 살균공간에서 순환하도록 유도하는 스팀순환 유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순환 유도모듈은,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스팀순환 유도판; 및 상기 스팀순환 유도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순환 유도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순환 유도판은,
    상기 스팀순환 유도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유도판 스팀 급기공; 상기 스팀순환 유도판의 중심선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유도판 스팀 배기공; 및 상기 트레이에 배치되는 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용기 하부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용기가 배치되는 다수의 용기 배치공; 상기 트레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트레이 스팀 급기공; 및 상기 트레이의 중심선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트레이 스팀 배기공을 포함하며,
    상기 스팀순환 유도모듈은,
    상기 스팀순환 유도판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와 상기 스팀순환 유도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 스팀 배기공과 상기 유도판 스팀 배기공을 연결하는 스팀 배기공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 챔버모듈; 및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 챔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팀순환 살균유닛은 상기 상부 챔버모듈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급기모듈은, 상기 트레이에서 상호 이격되어 사각으로 배치되는 네 개의 용기마다 하나씩 배치되어 상기 네 개의 용기의 중심을 연결하는 사각형의 중심부를 향해 스팀을 공급하는 다수의 단위 스팀 급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팀 배기모듈은, 상기 트레이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스팀 급기모듈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스팀 배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스팀 급기모듈은,
    상기 네 개의 용기를 향해 상기 스팀을 방사형으로 방출하기 위한 풀콘형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상부 챔버모듈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살균공간을 밀폐하는 상부 에어씰링모듈; 및
    상기 하부 챔버모듈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밀착되어 상기 살균공간을 밀폐하는 하부 에어씰링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이송유닛은,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를 이송하는 캐리어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하부 챔버모듈이 관통하는 개구공이 마련된 캐리어 본체부;
    상기 캐리어 본체부에 결합된 캐리어용 자성체; 및
    상기 캐리어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캐리어 이송부에 연결되는 가이드용 회전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용 회전 롤러가 지지되며, 상기 캐리어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캐리어용 자성체와의 전자기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캐리어 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챔버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챔버모듈을 상기 상부 챔버모듈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챔버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이동유닛은,
    상기 하부 챔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챔버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 챔버모듈용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하부 챔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챔버모듈을 이동시키는 하부 챔버모듈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챔버모듈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살균공간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여, 상기 쌀알 및 상기 용기에 존재하며 상기 스팀순환 살균유닛에 저항하는 내열균을 살균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의 외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생모듈;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모듈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살균공간으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챔버유닛의 일측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웨이브 도파관; 및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도파관의 상기 살균공간 측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살균공간을 밀폐시키되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통과시키는 밀봉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유닛은,
    상기 상부 챔버모듈 및 상기 하부 챔버모듈이 상기 트레이와 밀착되는 면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살균공간으로 전송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가 상기 살균공간에서 상기 상부 챔버모듈과 상기 하부 챔버모듈의 틈새를 통해 상기 살균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파 차폐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모듈은,
    상기 살균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챔버 몸체부 및 하부 챔버 몸체부에 상기 살균공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1차로 전자파를 차폐하는 제1 차폐부; 및
    상기 제1 차폐부의 바깥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2차로 전자파를 차폐하는 제2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장치.
KR1020180122788A 2018-10-15 2018-10-15 즉석밥 제조장치 KR102094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88A KR102094698B1 (ko) 2018-10-15 2018-10-15 즉석밥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88A KR102094698B1 (ko) 2018-10-15 2018-10-15 즉석밥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698B1 true KR102094698B1 (ko) 2020-03-30

Family

ID=7000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788A KR102094698B1 (ko) 2018-10-15 2018-10-15 즉석밥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6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960B1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20220049365A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20220091010A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20220091009A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640A (ja) * 2000-10-31 2002-05-08 House Foods Corp 固形物の連続処理装置
KR100726155B1 (ko) 2007-02-12 2007-06-13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80045125A (ko) * 2005-07-07 2008-05-22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용기 장입 음료의 제조 방법 및 장치
JP2011030449A (ja) * 2009-07-30 2011-02-17 Shinwa Kikai:Kk 食品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14097004A (ja) * 2012-11-14 2014-05-29 Shinwa Kikai:Kk 食品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20180025401A (ko) * 2016-08-30 2018-03-09 동서식품주식회사 열풍과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식품 살균방법 및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640A (ja) * 2000-10-31 2002-05-08 House Foods Corp 固形物の連続処理装置
KR20080045125A (ko) * 2005-07-07 2008-05-22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용기 장입 음료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726155B1 (ko) 2007-02-12 2007-06-13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1030449A (ja) * 2009-07-30 2011-02-17 Shinwa Kikai:Kk 食品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14097004A (ja) * 2012-11-14 2014-05-29 Shinwa Kikai:Kk 食品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20180025401A (ko) * 2016-08-30 2018-03-09 동서식품주식회사 열풍과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식품 살균방법 및 살균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960B1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롤러 어태치먼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20220049365A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102524885B1 (ko) * 2020-10-14 2023-04-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20220091010A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20220091009A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102470515B1 (ko) * 2020-12-23 2022-11-2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102470514B1 (ko) * 2020-12-23 2022-11-2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698B1 (ko) 즉석밥 제조장치
US64428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or heat-treating products
US5074200A (en) System for pasteurizing or sterilizing foodstuffs utilizing microwaves
EP23684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ss sterilization and pasteurization of food products
KR101462111B1 (ko) 즉석밥 제조 장치 및 즉석밥 제조 방법
US4346650A (en) Continuous-processing type hot-water sterilizer and food cooker
KR100315993B1 (ko) 식품살균장치및방법
JP6282366B2 (ja) 液状の食品の充填のための装置
EP1797758A3 (en) Continuous cooking oven system
KR102094697B1 (ko) 즉석밥 제조장치
JP4138861B1 (ja) 誘導加熱調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食品および無菌包装食品の製造方法
CN102696393A (zh) 一种食用菌培养料灭菌机
KR20190137811A (ko) 포장된 물품을 가열하는 개선된 마이크로파를 위한 에너지 제어 요소
JP3754368B2 (ja) 連続処理装置
KR20070058773A (ko) 버섯의 배지 연속식 마이크로파 살균장치
US20190373899A1 (en) Conveyor baking oven for continuous baking operation
KR950012436B1 (ko) 식료품용의 연속식 마이크로파 살균기
EP1898728B1 (en) Method and device for subjecting a food product to a heat treatment
JP3897148B2 (ja) 食品加熱殺菌装置
JPS62287833A (ja) フランジ付き容器の搬送装置
KR20170047872A (ko) 고추가루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추가루 살균기
JP2004065200A (ja) 食品加熱装置及び食品加熱方法
KR102606434B1 (ko) 세미 정량 공급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102653806B1 (ko) 즉석밥 용기 분리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102216054B1 (ko) 즉석밥 제조기의 곡물 용기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