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885B1 -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885B1
KR102524885B1 KR1020200132904A KR20200132904A KR102524885B1 KR 102524885 B1 KR102524885 B1 KR 102524885B1 KR 1020200132904 A KR1020200132904 A KR 1020200132904A KR 20200132904 A KR20200132904 A KR 20200132904A KR 102524885 B1 KR102524885 B1 KR 102524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haft
lower chamber
load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9365A (ko
Inventor
배순석
김상철
이용규
이상동
임대철
심진욱
공현철
박범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00132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8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1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가압 살균장치는, 상호간 접촉 가압 또는 이격 가능하며, 내부에서 용기에 대한 스팀(steam) 가압 살균이 진행되는 복수 개의 상부 및 하부 챔버; 및 하부 챔버에 결합하고 하부 챔버를 상부 챔버에 대해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되 상부 챔버에 대한 하부 챔버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컨트롤하는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STEAM STERILIZATION DEVICE AND COOKED RICE MANUFACTURING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챔버에 대한 하부 챔버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효과적으로 정밀하게 컨트롤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 대비 상부 및 하부 챔버 간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어서 챔버 또는 부속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편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밥(RICE)은 쌀에 일정량의 물을 가하여 100℃ 내외의 온도에서 30분에서 1시간 정도 가열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밥을 지어서 바로 먹지 않고 보관하게 되면 밥에 있는 수분이 날아가면서 밥이 딱딱해지며, 색이 누렇게 변색하여 먹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쌀 표면에는 미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밥을 짓는 과정에서 일반적인 미생물은 사멸되지만, 내열성 포자는 완전히 사멸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하루 이내에 밥을 먹는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상온에서 밥을 하루 이상 보관하거나 유통하는 경우 문제가 된다. 실제로 반찬과 함께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는 도시락의 경우 제조 시각으로부터 7시간 이내에 먹게 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쌀의 미생물 수를 줄이고, 내열성 포자를 사멸시킴으로써 장기간 보존 가능한 포장된 즉석밥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이렇게 포장된 즉석밥은 데우기만 하면 방금 한 밥처럼 맛이 좋아서 여행이나 출장을 갈 때뿐만 아니라 직장인, 맞벌이 부부 또는 노인층 등 제때 밥을 해 먹기 힘든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즉석밥 제조공정은 용기에 쌀을 정량 충전하는 전처리 공정, 용기에 담긴 쌀을 살균하는 살균(Sterilization) 공정, 쌀을 가열하여 익히는 취반(cooking) 공정, 용기에 뚜껑을 덮는 실링 공정, 용기에 대한 살균 및 냉각 등이 이루어지는 후처리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정 중 살균 공정은 용기에 담긴 쌀을 스팀(steam)을 이용해서 가압 살균한다. 따라서, 살균 공정에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가 적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종래 스팀 가압 살균장치는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를 구비하며, 상부 챔버가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 챔버가 업/다운(up/down) 구동하는 방식을 갖는다.
하부 챔버의 업/다운(up/down) 구동은 하부 챔버와 직결하는 유압실린더의 작용으로 이루어지며, 유압실린더의 주변에 하부 챔버의 업/다운(up/down)을 위한 한 쌍의 가이드가 부속된다.
종래 스팀 가압 살균장치에 대한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용기가 진입한다. 그러면, 하부 챔버에 연결된 유압실린더의 작용으로 하부 챔버가 업(up) 동작하여 상부 챔버와 밀착한다. 이어, 상부 및 하부 챔버 내로 고온의 스팀(steam)이 공급되며, 스팀에 의한 살균 공정이 진행된다.
살균 공정이 완료되면 상부 및 하부 챔버 내의 스팀이 배기된 후, 다시 유압실린더의 작용으로 하부 챔버가 다운(down) 동작하여 원위치로 돌아간다. 이어 살균이 완료된 용기가 후공정으로 이동한다. 이때, 용기는 2 스텝(step)씩 이동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면서 용기를 살균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종래 스팀 가압 살균장치는 구조적인 혹은 방법적인 한계로 인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한다.
첫째, 하부 챔버가 예컨대 70mm 상승하는데 0.5sec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하부 챔버의 가,감속 여유가 없어 상부 및 하부 챔버 간 잦은 접촉, 충돌로 인한 상부 및 하부 챔버에 적접적인 파손 혹은 내부 스프링 등의 부품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유압실린더의 컨트롤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 전술한 이유로 인해 상부 및 하부 챔버 간의 평탄도가 제대로 맞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부 및 하부 챔버 사이에 개재된 패킹이 삐져나올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이 반복됨으로써 결국 패킹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셋째, 전술한 것처럼 패킹이 손상되면 스팀 리크(steam leak)가 발생할 수 있고, 심하면 목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해 제대로 된 살균 효과를 끌어낼 수 없어 제품의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넷째, 유압실린더로 인한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챔버에 스팀 가압할 때 챔버가 벌어지는 힘이 하나당 약 5ton의 하중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유압실린더 1개가 복수 개의 챔버, 예컨대 8개의 챔버 하중을 모두 지지하는 형태라서 결과적으로 약 40ton을 지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유압실린더가 풀 파워(Full power)로 작동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매우 심한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특히, 컨트롤(제어)이 쉽지 않은 유압실린더에 의한 하부 챔버의 직접적인 업/다운(up/down) 구동 방식을 적용하고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챔버의 파손 문제, 부품 손상 문제, 소음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신개념의 스팀 가압 살균장치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제10-0726155호, (2007.06.0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부 챔버에 대한 하부 챔버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효과적으로 정밀하게 컨트롤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 대비 상부 및 하부 챔버 간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어서 챔버 또는 부속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편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간 접촉 가압 또는 이격 가능하며, 내부에서 용기에 대한 스팀(steam) 가압 살균이 진행되는 복수 개의 상부 및 하부 챔버; 및 상기 하부 챔버에 결합하고 상기 하부 챔버를 상기 상부 챔버에 대해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되 상기 상부 챔버에 대한 상기 하부 챔버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컨트롤하는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챔버를 일체로 지지하는 하부 챔버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가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에 직결할 수 있다.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는, 상기 상부 챔버에 대한 상기 하부 챔버의 업/다운(up/down) 동작 컨트롤이 가능한 구동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 모듈의 동작 시 상하로 구동되면서 상기 하부 챔버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샤프트를 구비하는 챔버 업/다운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는, 상기 업/다운 샤프트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에 배치되는 제1 샤프트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는,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 방향 또는 토크(torque)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챔버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는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가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를 기준으로 해서 그 외측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는,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를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하중 분산 샤프트;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외측에서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를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하우징; 상기 샤프트 하우징의 하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하단부가 배치되며,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터널이 형성되는 하우징 받침대; 및 상기 하우징 받침대에 연결되며,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가 동작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 챔버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 지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 지지기는, 상기 터널로 인입할 때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가 업(up)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하단부에 경사지게 접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터널로 출입하는 복수 개의 쐐기 블록; 상기 복수 개의 쐐기 블록에 일체로 연결되는 블록 연결바; 및 상기 블록 연결바에 연결되며,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의 동작에 연동해서 동작하면서 상기 블록 연결바를 전후진 구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는, 실린더 본체; 및 상기 실린더 본체에서 길이 연장 또는 축소되는 실린더 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블록 연결바 사이에 링크형 힌지모듈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는,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에 배치되는 제2 샤프트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가 접하는 벽체에 마련되어 해당 부위를 실링(sealing) 처리하되 해당 위치에서 에어(air)의 압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변형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가변형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의 벽체에는 상기 가변형 실링부재의 이동을 위한 이동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홀의 단부에는 상기 가변형 실링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시스템 본체; 상기 시스템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트레이(tray) 상에 배치된 용기에 쌀알을 충전하는 쌀알 충전장치;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서 상기 쌀알 충전장치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쌀알이 충전된 용기를 스팀(steam)으로 가압 살균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서 상기 스팀 가압 살균장치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살균 공정이 완료된 용기 내의 쌀알을 이용해서 밥을 짓는 취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가압 살균장치는, 상호간 접촉 가압 또는 이격 가능하며, 내부에서 용기에 대한 스팀(steam) 가압 살균이 진행되는 복수 개의 상부 및 하부 챔버; 및 상기 하부 챔버에 결합하고 상기 하부 챔버를 상기 상부 챔버에 대해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되 상기 상부 챔버에 대한 상기 하부 챔버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컨트롤하는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챔버를 일체로 지지하는 하부 챔버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가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에 직결할 수 있다.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는, 상기 상부 챔버에 대한 상기 하부 챔버의 업/다운(up/down) 동작 컨트롤이 가능한 구동 모듈; 상기 구동 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 모듈의 동작 시 상하로 구동되면서 상기 하부 챔버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샤프트를 구비하는 챔버 업/다운 구동기; 상기 업/다운 샤프트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에 배치되는 제1 샤프트 지지대; 및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 방향 또는 토크(torque)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챔버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는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가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를 기준으로 해서 그 외측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는,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를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하중 분산 샤프트;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외측에서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를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하우징; 상기 샤프트 하우징의 하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하단부가 배치되며,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터널이 형성되는 하우징 받침대; 및 상기 하우징 받침대에 연결되며,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가 동작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 챔버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 지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 지지기는, 상기 터널로 인입할 때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가 업(up)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하단부에 경사지게 접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터널로 출입하는 복수 개의 쐐기 블록; 상기 복수 개의 쐐기 블록에 일체로 연결되는 블록 연결바; 상기 블록 연결바에 연결되며,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의 동작에 연동해서 동작하면서 상기 블록 연결바를 전후진 구동시키는 실린더; 및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에 배치되는 제2 샤프트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가 접하는 벽체에 마련되어 해당 부위를 실링(sealing) 처리하되 해당 위치에서 에어(air)의 압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변형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가변형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의 벽체에는 상기 가변형 실링부재의 이동을 위한 이동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홀의 단부에는 상기 가변형 실링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챔버에 대한 하부 챔버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효과적으로 정밀하게 컨트롤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 대비 상부 및 하부 챔버 간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어서 챔버 또는 부속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편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장치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부분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 영역이 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의 동작도들이다.
도 11은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의 배치 구조도이다.
도 12의 (a)는 도 11의 A 영역의 확대도이고, (b)는 (a)의 동작도이다.
도 13은 도 2의 스팀 가압 살균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시스템은 트레이(10) 상에 배치된 용기(20)에 쌀알을 충전하는 쌀알 충전장치(2)와, 쌀알이 충전된 용기(20)를 스팀으로 가압 살균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가압 살균장치(100)와, 밥을 짓는 취반장치(4)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취반장치(4) 이후의 공정에 마련되되 용기(20)에 뚜껑(미도시)을 덮는 실링장치(5)와, 용기(20)를 살균하고 냉각하는 처리장치(6)와, 포장하는 포장장치(미도시) 등 역시,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시스템의 한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에 의한 연속 자동공정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시스템의 시스템 본체(1)에는 레일(7)과 이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장치가 탑재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시스템에 대한 극히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1개의 스팀 가압 살균장치(100)가 적용된 것을 도시했다. 하지만, 스팀 가압 살균장치(100)의 개수는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스팀 가압 살균장치(100)를 복수 개로 배치할 경우, 살균 공정을 효율적으로 또한 더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취반장치(4) 역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취반장치(4)를 비롯한 다른 장치들도 복수 개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트레이(10) 상에 빈 용기(20)가 배치된 후, 트레이(10)가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시스템으로 투입되면, 쌀알 충전장치(2)를 통해 용기(20) 내에 쌀알이 충전된 후,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가압 살균장치(100)에 의해 용기(20)가 스팀으로 가압 살균되며, 취반장치(4)에 의해 밥이 지어질 수 있다. 이후에는 용기(20)에 뚜껑이 덮인 후, 살균 및 냉각된 다음, 포장되어 제품으로 출시된다.
한편, 이러한 각 공정 중에서 특히, 살균 공정에서는 스팀을 이용해서 살균을 진행하는데, 앞서 기술한 것처럼 종래의 스팀 가압 살균장치(미도시)는 컨트롤가 어려운 유압실린더(미도시)를 적용해서 하부 챔버(120)를 직접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방식을 적용하는 한편 고중량의 하부 챔버(120) 하중이 분산되지 않고 유압실린더에 그대로 전부 부가되는 방식이라서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의 파손 문제, 부품 손상 문제, 소음 문제 등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13과 같은 구조의 스팀 가압 살균장치(100)를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장치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부분 저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 영역이 확대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의 동작도들이며, 도 11은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의 배치 구조도이고, 도 12의 (a)는 도 11의 A 영역의 확대도이고, (b)는 (a)의 동작도이며, 도 13은 도 2의 스팀 가압 살균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가압 살균장치(100)를 적용할 경우, 상부 챔버(110)에 대한 하부 챔버(120)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효과적으로 정밀하게 컨트롤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 대비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 간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어서 챔버(110,120) 또는 부속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편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가압 살균장치(100)는 장치 프레임(101)과, 장치 프레임(101)에 위치별로 마련되는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150) 및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프레임(10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가압 살균장치(100)의 외관 구조를 이룬다.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150) 및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170) 등의 구조물이 장치 프레임(101) 내에 위치별로 탑재된다. 장치 프레임(101)의 하부에는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게끔 하는 복수의 푸트(102)가 마련된다.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는 상호간 접촉 가압 또는 이격 가능하며, 내부에서 용기(20)에 대한 스팀(steam) 가압 살균이 진행되는 장소를 이룬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에는 용기(20)의 살균 처리를 위한 제1 및 제2 살균 공간부(111,121)가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가 닫혀 용기(20)가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의 제1 및 제2 살균 공간부(111,121)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팀(steam)에 의한 용기(20)의 스팀 가압 살균이 진행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 중 하나에는 제1 및 제2 살균 공간부(111,121)로 스팀을 공급하는 라인고, 스팀을 배기하는 라인이 형성된다.
한편,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가 닫혀 용기(20)가 살균될 때는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 사이가 새지 않고 완벽하게 실링되어야 한다.
물론, 종전의 장치에도 실링을 위한 패킹(미도시)이 적용된 바 있으나, 종전 패킹은 해당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식이었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가 닫히는 과정에서 특히, 평탄도가 맞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가 닫힐 때,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의 벽체에 개재된 패킹이 삐져나올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이 반복됨으로써 결국 패킹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처럼 패킹이 손상되면 스팀 리크(steam leak)가 발생할 수 있고, 심하면 목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해 제대로 된 용기(20)의 살균 효과를 끌어낼 수 없어 제품의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가변형 실링부재(130)를 적용하고 있다.
가변형 실링부재(13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챔버(110)와 하부 챔버(120)가 접하는 벽체에 마련되어 해당 부위를 실링(sealing) 처리하되 해당 위치에서 에어(air)의 압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변형으로 마련된다.
가변형 실링부재(130)가 배치되는 상부 챔버(110)와 하부 챔버(120)의 벽체에는 가변형 실링부재(130)의 이동을 위한 이동홀(1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홀(131)의 단부에는 가변형 실링부재(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132)가 마련된다. 따라서, 도 12의 (a)에서 (b)처럼 에어압에 의해 가변형 실링부재(130)가 이동홀(131)에서 약간 돌출되더라도 스토퍼(132)로 인해 완전히 빠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스토퍼(132)의 망실로 인한 공정 에러 발생을 없앨 수 있다.
특히, 가변형 실링부재(130)는 종전과 달리 움직일 수 있는 패킹이라서 챔버(110,120)와의 직접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사 챔버(110,120)가 약간 기울어지더라도 챔버(110,120) 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종전처럼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소모품인 가변형 실링부재(130)에 대한 교체 또는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는 용기(20)에 대한 스팀 가압 살균이 진행되는 장소를 이루는데,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는 복수 개로 마련된다.
이때, 복수 개의 상부 챔버(110)는 상부 챔버 서포터(141)에 의해, 그리고 복수 개의 하부 챔버(120)는 하부 챔버 서포터(142)에 의해 일체로 지지된다. 따라서,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에 의해 하부 챔버 서포터(142)가 업/다운(up/down) 동작하면 복수 개의 하부 챔버(120)가 한 번에 업/다운(up/down)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150)는 복수 개의 하부 챔버(120)를 지지하는 하부 챔버 서포터(142)에 결합하고 하부 챔버(120)를 상부 챔버(110)에 대해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150)는 종전 구조와는 달리, 상부 챔버(110)에 대한 하부 챔버(120)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게끔 한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종전에는 컨트롤(제어)이 쉽지 않은 유압실린더(미도시)에 의한 하부 챔버(120)의 직접적인 업/다운(up/down) 구동 방식을 적용하고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의 파손 문제, 부품 손상 문제, 소음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부 챔버(120)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는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150)가 적용되기 때문에 종래 문제점을 말끔히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150)는 하부 챔버 서포터(142)의 중앙 영역에 직결하는 형태로 마련되며, 구동 모듈(151), 챔버 업/다운 구동기(152), 제1 샤프트 지지대(154) 및 컨트롤러(160)를 포함한다.
구동 모듈(151)은 하부 챔버(120)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151)은 서보모터(151)로 적용된다. 서보모터(151)는 상부 챔버(110)에 대한 하부 챔버(120)의 업/다운(up/down) 동작 컨트롤이 가능한 모터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서보모터(151) 외의 다른 구동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챔버 업/다운 구동기(152)는 구동 모듈(151)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구동 모듈(151)의 동작 시 상하로 구동되면서 하부 챔버(120)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챔버 업/다운 구동기(152)는 업/다운 샤프트(153)를 포함할 수 있다. 볼 스크루 구조로서 챔버 업/다운 구동기(152)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샤프트 지지대(154)는 업/다운 샤프트(153)의 단부에 마련되고 하부 챔버 서포터(142)에 배치된다. 제1 샤프트 지지대(154)는 업/다운 샤프트(153)의 단면적보다 넓게 하부 챔버 서포터(142)에 배치됨으로써 안정적인 업/다운(up/down) 동작이 가능토록 한다.
컨트롤러(160)는 구동 모듈(151)의 회전 방향 또는 토크(torque)를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60)는 중앙처리장치(161, CPU), 메모리(16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61)는 본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151)의 회전 방향 또는 토크(torque)를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6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61)와 연결된다. 메모리(16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6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6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60)는 구동 모듈(151)의 회전 방향 또는 토크(torque)를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구동 모듈(151)의 컨트롤에 의해 예컨대, 구동 모듈(151), 예컨대 서보모터(15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와 기어맞물림된 챔버 업/다운 구동기(152)의 작용으로 업/다운 샤프트(153)가 업(up) 동작하면서 하부 챔버(120)를 상승시켜 상부 챔버(110)와 접하게 할 수 있다. 이때는 구동 모듈(151), 예컨대 서보모터(151)의 적용으로 인한 정밀 컨트롤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사 하부 챔버(120)의 가,감속 여유가 없더라도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 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에 적접적인 파손 혹은 내부 스프링 등의 부품 파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170)는 하부 챔버 서포터(142)에 연결되며, 하부 챔버(120)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170)가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150)를 기준으로 해서 그 외측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열된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살균을 위해 챔버(110,120)에 스팀 가압할 때 챔버(110,120)가 벌어지는 힘이 하나당 약 5ton의 하중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유압실린더 1개가 복수 개의 챔버(110,120), 예컨대 8개의 챔버(110,120) 하중을 모두 지지하는 형태라서 결과적으로 약 40ton을 지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유압실린더가 풀 파워(Full power)로 작동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매우 심한 소음을 유발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170)가 적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말끔히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170)는 하중 분산 샤프트(171), 샤프트 하우징(172), 하우징 받침대(173) 및 하중 지지기(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중 분산 샤프트(171)는 하부 챔버 서포터(142)를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이다. 복수 개로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하중 분산 샤프트(171)가 한 쌍으로 적용된다.
하중 분산 샤프트(171)의 상단부에는 제2 샤프트 지지대(175)가 결합한다. 하중 분산 샤프트(171)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는 제2 샤프트 지지대(175)가 하부 챔버 서포터(142)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부 챔버 서포터(142) 측의 하중을 지지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하중 분산 샤프트(171)의 하단부는 둥글게 가공된 라운드부(171a)를 형성한다. 하중 분산 샤프트(171)의 하단부에 라운드부(171a)가 형성되기 때문에, 도 9에서 도 10처럼 쐐기 블록(181)의 경사면(181a)이 가압할 때,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하중 분산 샤프트(171)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끔 한다.
샤프트 하우징(172)은 하중 분산 샤프트(171)의 외측에서 하중 분산 샤프트(171)를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중 분산 샤프트(171)는 샤프트 하우징(172)의 상부와 하부 영역으로 일정 부분 돌출된 형태를 취한다.
하우징 받침대(173)는 샤프트 하우징(172)의 하단부에 연결되되 하중 분산 샤프트(171)의 하단부가 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또한, 하우징 받침대(173)에는 도 9에서 도 10처럼 쐐기 블록(181)이 출입할 수 있도록 터널(173a)이 형성된다. 터널(173a)은 하중 분산 샤프트(17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하중 지지기(180)는 하우징 받침대(173)에 연결되며, 하중 분산 샤프트(171)가 동작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부 챔버(12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중 지지기(180)는 터널(173a)로 인입할 때 하중 분산 샤프트(171)가 업(up) 동작할 수 있도록 하중 분산 샤프트(171)의 하단부에 경사지게 접하는 경사면(181a)을 구비하며, 터널(173a)로 출입하는 복수 개의 쐐기 블록(181)과, 복수 개의 쐐기 블록(181)에 일체로 연결되는 블록 연결바(182)와, 블록 연결바(182)에 연결되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150)의 구동 모듈(151) 동작에 연동해서 동작하면서 블록 연결바(182)를 전후진 구동시키는 실린더(18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83)는 실린더 본체(183a)와, 실린더 본체(183a)에서 길이 연장 또는 축소되는 실린더 로드(183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실린더 로드(183b)와 블록 연결바(182) 사이에는 링크형 힌지모듈(184)이 결합한다. 따라서, 실린더(183)의 작용으로 블록 연결바(182)가 전후진 구동할 때, 그 동작이 안정적이면서도 유연해질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가압 살균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용기(20)가 진입한다. 그러면,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150)의 작용으로 하부 챔버(120)가 업(up) 동작하여 상부 챔버(100)와 밀착한다. 즉 구동 모듈(151)의 컨트롤에 의해 예컨대, 구동 모듈(151)로서의 서보모터(15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와 기어맞물림된 챔버 업/다운 구동기(152)의 작용으로 업/다운 샤프트(153)가 업(up) 동작하면서 하부 챔버(120)를 상승시켜 상부 챔버(110)와 접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동작이 진행될 때는 구동 모듈(151)로서의 서보모터(151)의 적용으로 인한 정밀 컨트롤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사 하부 챔버(120)의 가,감속 여유가 없더라도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 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에 적접적인 파손 혹은 내부 스프링 등의 부품 파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어, 서로 밀착된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 내로 고온의 스팀(steam)이 공급되며, 스팀에 의한 용기(20)의 살균 공정이 진행된다.
이처럼 용기(20)의 살균을 위해 챔버(110,120)에 스팀 가압할 때 챔버(110,120)가 벌어지는 힘이 하나당 약 5ton의 하중을 받을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러한 하중을 분산해서 지지하는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170)가 적용되기 때문에 소음 없이 살균 공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다음, 살균 공정이 완료되면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 내의 스팀이 배기된 후, 다시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150)의 작용으로 하부 챔버가 다운(down) 동작하여 원위치로 돌아간다. 이어 살균이 완료된 용기(20)가 후공정으로 이동한다. 이때, 용기는 2 스텝(step)씩 이동하는데, 이의 방식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챔버(110)에 대한 하부 챔버(120)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효과적으로 정밀하게 컨트롤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 대비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 간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어서 챔버(110,120) 또는 부속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편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부 챔버(120)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및 하부 챔버(110,120) 간의 평탄도 개선에 유리하고, 이로 인해 부품의 파손 문제, 소음 문제 등을 적절하게 해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 시스템 본체 2 : 쌀알 충전장치
4 : 취반장치 10 : 트레이
20 : 용기 100 : 스팀 가압 살균장치
110 : 상부 챔버 120 : 하부 챔버
130 : 가변형 실링부재 131 : 이동홀
132 : 스토퍼 141 : 상부 챔버 서포터
142 : 하부 챔버 서포터 150 :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
151 : 구동 모듈 152 : 챔버 업/다운 구동기
153 : 업/다운 샤프트 154 : 제1 샤프트 지지대
160 : 컨트롤러 170 :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
171 : 하중 분산 샤프트 171a : 라운드부
172 : 샤프트 하우징 173 : 하우징 받침대
173a : 터널 175 : 제2 샤프트 지지대
180 : 하중 지지기 181 : 쐐기 블록
181a : 경사면 182 : 블록 연결바
183 : 실린더 183a : 실린더 본체
183b : 실린더 로드 184 : 링크형 힌지모듈

Claims (22)

  1. 상호간 접촉 가압 또는 이격 가능하며, 내부에서 용기에 대한 스팀(steam) 가압 살균이 진행되는 복수 개의 상부 및 하부 챔버;
    상기 하부 챔버에 결합하고 상기 하부 챔버를 상기 상부 챔버에 대해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되 상기 상부 챔버에 대한 상기 하부 챔버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컨트롤하는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가 직결하되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챔버를 일체로 지지하는 하부 챔버 서포터; 및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챔버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는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는,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를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하중 분산 샤프트;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외측에서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를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하우징;
    상기 샤프트 하우징의 하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하단부가 배치되며,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터널이 형성되는 하우징 받침대; 및
    상기 하우징 받침대에 연결되며,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가 동작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 챔버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 지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는,
    상기 상부 챔버에 대한 상기 하부 챔버의 업/다운(up/down) 동작 컨트롤이 가능한 구동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 모듈의 동작 시 상하로 구동되면서 상기 하부 챔버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샤프트를 구비하는 챔버 업/다운 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는,
    상기 업/다운 샤프트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에 배치되는 제1 샤프트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는,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 방향 또는 토크(torque)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가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를 기준으로 해서 그 외측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기는,
    상기 터널로 인입할 때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가 업(up)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하단부에 경사지게 접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터널로 출입하는 복수 개의 쐐기 블록;
    상기 복수 개의 쐐기 블록에 일체로 연결되는 블록 연결바; 및
    상기 블록 연결바에 연결되며,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의 동작에 연동해서 동작하면서 상기 블록 연결바를 전후진 구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실린더 본체; 및
    상기 실린더 본체에서 길이 연장 또는 축소되는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블록 연결바 사이에 링크형 힌지모듈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는,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에 배치되는 제2 샤프트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가 접하는 벽체에 마련되어 해당 부위를 실링(sealing) 처리하되 해당 위치에서 에어(air)의 압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변형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가변형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의 벽체에는 상기 가변형 실링부재의 이동을 위한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홀의 단부에는 상기 가변형 실링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
  14. 시스템 본체;
    상기 시스템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트레이(tray) 상에 배치된 용기에 쌀알을 충전하는 쌀알 충전장치;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서 상기 쌀알 충전장치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쌀알이 충전된 용기를 스팀(steam)으로 가압 살균하는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서 상기 스팀 가압 살균장치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살균 공정이 완료된 용기 내의 쌀알을 이용해서 밥을 짓는 취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가압 살균장치는,
    상호간 접촉 가압 또는 이격 가능하며, 내부에서 용기에 대한 스팀(steam) 가압 살균이 진행되는 복수 개의 상부 및 하부 챔버;
    상기 하부 챔버에 결합하고 상기 하부 챔버를 상기 상부 챔버에 대해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되 상기 상부 챔버에 대한 상기 하부 챔버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컨트롤하는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가 직결하되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챔버를 일체로 지지하는 하부 챔버 서포터; 및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챔버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는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는,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를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하중 분산 샤프트;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외측에서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를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하우징;
    상기 샤프트 하우징의 하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하단부가 배치되며,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터널이 형성되는 하우징 받침대; 및
    상기 하우징 받침대에 연결되며,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가 동작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 챔버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 지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는,
    상기 상부 챔버에 대한 상기 하부 챔버의 업/다운(up/down) 동작 컨트롤이 가능한 구동 모듈;
    상기 구동 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 모듈의 동작 시 상하로 구동되면서 상기 하부 챔버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샤프트를 구비하는 챔버 업/다운 구동기;
    상기 업/다운 샤프트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에 배치되는 제1 샤프트 지지대; 및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 방향 또는 토크(torque)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17. 삭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하중 분산 지지부가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를 기준으로 해서 그 외측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19. 삭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기는,
    상기 터널로 인입할 때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가 업(up)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하단부에 경사지게 접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터널로 출입하는 복수 개의 쐐기 블록;
    상기 복수 개의 쐐기 블록에 일체로 연결되는 블록 연결바;
    상기 블록 연결바에 연결되며, 상기 챔버 업/다운 컨트롤 구동부의 동작에 연동해서 동작하면서 상기 블록 연결바를 전후진 구동시키는 실린더; 및
    상기 하중 분산 샤프트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챔버 서포터에 배치되는 제2 샤프트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가 접하는 벽체에 마련되어 해당 부위를 실링(sealing) 처리하되 해당 위치에서 에어(air)의 압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변형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가변형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의 벽체에는 상기 가변형 실링부재의 이동을 위한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홀의 단부에는 상기 가변형 실링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1020200132904A 2020-10-14 2020-10-14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102524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904A KR102524885B1 (ko) 2020-10-14 2020-10-14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904A KR102524885B1 (ko) 2020-10-14 2020-10-14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365A KR20220049365A (ko) 2022-04-21
KR102524885B1 true KR102524885B1 (ko) 2023-04-21

Family

ID=8143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904A KR102524885B1 (ko) 2020-10-14 2020-10-14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8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7575A (ja) * 2009-09-24 2011-05-06 Shinwa Kikai:Kk 食品殺菌装置および食品殺菌方法
KR102094699B1 (ko) *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KR102094698B1 (ko) *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155B1 (ko) 2007-02-12 2007-06-13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7575A (ja) * 2009-09-24 2011-05-06 Shinwa Kikai:Kk 食品殺菌装置および食品殺菌方法
KR102094699B1 (ko) *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KR102094698B1 (ko) *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365A (ko)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2366B2 (ja) 液状の食品の充填のための装置
JP6148678B2 (ja) ボトル詰めライン及び方法
KR100322941B1 (ko) 불활성가스충전조리방법
KR20090036550A (ko) 레토르트 제품의 살균 방법 및 살균 장치
KR102524885B1 (ko)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US8337752B2 (en) Sterilization method of container-packaged food and filling system
NO20015706L (no) Emballasje for et farmasöytisk produkt og fremgangsmåte for å sterilisere emballasjen
US20080003135A1 (en) Pasteurization or Sterilization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me
JP3977568B2 (ja) 揺動型スプレー式レトルト殺菌装置
US5304041A (en) Method and device for dosing pumping
WO2001023258A3 (en) Aseptic food packaging system
US10752394B2 (en) Packaging apparatus comprising actuator and method of operating packaging apparatus
US20230084998A1 (en) Retort agitation system and method
AU2007341655A1 (en) Decoupled pressurised retort
US10155600B2 (en) Apparatus for vacuum sealing products
KR102470514B1 (ko)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US4331633A (en) Batch sterilizing unit
CN102673860B (zh) 输送容器
JPS61142128A (ja) 搬送式アンプル連続滅菌装置
US20040020558A1 (en) Filling apparatus
KR102606434B1 (ko) 세미 정량 공급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102151772B1 (ko) 스팀살균기용 레토르트살균식품의 쉐이킹장치
JPH08332037A (ja) 無菌パック米飯の製造法
KR20230102631A (ko) 즉석밥 용기 분리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JP3176571B2 (ja) 無菌食品充填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