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009A -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 Google Patents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009A
KR20220091009A KR1020200182092A KR20200182092A KR20220091009A KR 20220091009 A KR20220091009 A KR 20220091009A KR 1020200182092 A KR1020200182092 A KR 1020200182092A KR 20200182092 A KR20200182092 A KR 20200182092A KR 20220091009 A KR20220091009 A KR 2022009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container
hopper
filling
fill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514B1 (ko
Inventor
전문호
이상동
이용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00182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51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2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9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vertical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4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 B65G69/0425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with vibrating or sha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은 장치 프레임; 장치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되 용기에 충진될 세미(洗米)가 내부에 저장되며, 하부 영역에 세미가 배출되는 세미 배출덕트가 마련되는 세미 호퍼; 및 적어도 일부분이 세미 호퍼에 연결되며, 세미 호퍼에서 배출되는 세미를 정량만큼 용기로 충진하는 세미 정량 충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Washing rice supplying system}
본 발명은,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분해조립과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월등히 간편해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정량의 세미를 용기에 충진할 수 있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밥(RICE)은 쌀에 일정량의 물을 가하여 100℃ 내외의 온도에서 30분에서 1시간 정도 가열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밥을 지어서 바로 먹지 않고 보관하게 되면 밥에 있는 수분이 날아가면서 밥이 딱딱해지며, 색이 누렇게 변색하여 먹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쌀 표면에는 미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밥을 짓는 과정에서 일반적인 미생물은 사멸되지만, 내열성 포자는 완전히 사멸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하루 이내에 밥을 먹는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상온에서 밥을 하루 이상 보관하거나 유통하는 경우 문제가 된다. 실제로 반찬과 함께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는 도시락의 경우 제조 시각으로부터 7시간 이내에 먹게 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쌀의 미생물 수를 줄이고, 내열성 포자를 사멸시킴으로써 장기간 보존 가능한 포장된 즉석밥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이렇게 포장된 즉석밥은 데우기만 하면 방금 한 밥처럼 맛이 좋아서 여행이나 출장을 갈 때뿐만 아니라 직장인, 맞벌이 부부 또는 노인층 등 제때 밥을 해 먹기 힘든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즉석밥 제조공정은 전처리 공정으로서 용기에 씻은 쌀, 즉 세미(洗米)를 정량 충진하는 세미 충진 공정, 용기에 담긴 쌀을 살균하는 살균(Sterilization) 공정, 쌀을 가열하여 익히는 취반(cooking) 공정, 용기에 뚜껑을 덮는 실링 공정, 용기에 대한 살균 및 냉각 등이 이루어지는 후처리 공정을 포함한다.
한편, 이러한 공정들 중 세미 충진 공정은 전술한 것처럼 씻은 쌀인 세미를 용기에 정량으로 충진(공급)하는 공정이며, 이를 위해 세미 충진시스템이 마련된다.
종래의 세미 충진시스템은 세미를 공급받아 마스(홉 또는 되)에 담아둔 상태에서 장비가 전후진 이동하면서 용기에 공급, 즉 충진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구조가 너무 복잡하다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일일 세정 시 분해 항목이 너무 많아 분해 방법이 복잡하고 청소가 어려우며, 정량 편차가 큰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부연해서 설명한다. 즉석밥은 무엇보다도 청결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장비의 세정이 중요한데, 종전처럼 분해 방법이 복잡하고 청소가 어려우면 작업이 힘들어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미량이지만 정량 편차 1g을 절약할 경우, 한 라인당 연간 쌀 비용을 상당 부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량 편차의 관리는 매우 중요할 수 있지만, 종래 구조로는 세미 충진 시 정량 편차를 줄이기 어렵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에 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제10-0726155호, (2007.06.0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분해조립과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월등히 간편해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정량의 세미를 용기에 충진할 수 있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되 용기에 충진될 세미(洗米)가 내부에 저장되며, 하부 영역에 상기 세미가 배출되는 세미 배출덕트가 마련되는 세미 호퍼;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세미 호퍼에 연결되며, 상기 세미 호퍼에서 배출되는 세미를 정량만큼 상기 용기로 충진하는 세미 정량 충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세미 정량 충진부는, 공압 압력에 기초하여 개폐 동작하면서 세미를 상기 용기 쪽으로 공급하는 핀치 밸브; 및 상기 핀치 밸브의 세미 개폐량 조절을 위해 상기 핀치 밸브로 향하는 공압 압력을 컨트롤하는 전공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치 밸브는 상기 세미 배출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세미 배출덕트에는 공구 없이 상기 핀치 밸브를 착탈 가능하게 클램핑하기 위한 수동 클램프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핀치 밸브는, 밸브 바디; 상기 세미 호퍼에서 상기 용기로 세미가 충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밸브 바디의 중심부에 배치되되 세미가 이동되는 통로를 이루는 세미 이동로; 상기 밸브 바디에 마련되되 상기 전공 레귤레이터에서 공급되는 공압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세미 이동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탄성 튜브; 및 상기 밸브 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탄성 튜브의 단부를 고정하는 튜브 로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공 레귤레이터는 상기 장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공 레귤레이터와 상기 핀치 밸브가 공압 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트레이; 및 상기 용기 트레이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트레이를 공정위치로 순환시키는 트레이 컨베이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트레이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용기 트레이 상에서 상기 용기를 상기 세미 호퍼 측으로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용기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용 정반; 상기 용기의 업/다운(up/down)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업/다운 구동 액추에이터; 및 상기 업/다운 구동 액추에이터와 상기 용기 지지용 정반을 연결하는 정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용기 지지용 정반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에 충진되는 세미의 충진량을 감지하는 로드셀(load cel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셀의 정보와 상기 세미 정량 충진부의 작용으로 정량의 세미가 상기 용기에 충진되게 상기 용기 업/다운 구동부 및 상기 세미 정량 충진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미 호퍼 내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요동운동을 통해 상기 세미 호퍼 내의 세미를 평탄화시키면서 고르는 세미 고르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미 고르개는, 요동 샤프트; 상기 요동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게 상기 요동 샤프트에 결합하는 복수 개의 더미암; 및 상기 복수 개의 더미암의 단부를 연결하는 암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미 고르개와 연결되며, 상기 세미 고르개를 선택적으로 요동운동시키는 고르개 요동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르개 요동운동부는, 상기 세미 호퍼의 외측에서 상기 요동 샤프트와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일단부의 실린더 본체는 고정되고 타단부의 실린더 로드는 상기 링크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재를 통해 상기 요동 샤프트를 요동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미 호퍼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세미 호퍼 내의 세미 저장량을 감지하는 세미 저장량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분해조립과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월등히 간편해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정량의 세미를 용기에 충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용기 트레이와 용기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핀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핀치 밸브의 부분 단면도로서 세미가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핀치 밸브의 부분 단면도로서 세미의 공급이 정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세미 고르개의 설명을 위한 세미 호퍼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세미 충진공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용기 트레이와 용기를 제거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핀치 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8은 핀치 밸브의 부분 단면도로서 세미가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핀치 밸브의 부분 단면도로서 세미의 공급이 정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세미 고르개의 설명을 위한 세미 호퍼 영역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며, 도 13 내지 도 18은 세미 충진공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은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분해조립과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월등히 간편해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정량의 세미를 용기에 충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은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즉 트레이 컨베이어 장치(200)에 복수 개의 용기 트레이(210)가 마련되는 한편, 용기 트레이(210) 상에 복수 개의 용기가 배치되며, 트레이 컨베이어 장치(200)의 작용으로 용기가 이동하면서 용기 내에 정량의 세미가 충진되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트레이 컨베이어 장치(200)는 복수 개의 용기 트레이(210)를 순환 이동시키는 동력 수단이다. 도시된 것처럼 체인(chain)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물론, 체인 구조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 트레이(210)를 순환 이동을 위해 적용되는 트레이 컨베이어 장치(200)는 체인(201)과, 체인(201)을 구동시키는 구동 스프로켓(202)과, 구동 스프로켓(202)의 반대편에서 체인(201)을 지지하는 피동 스프로켓(203)과, 복수 개의 아이들(204)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들(204)은 체인(201)을 텐션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체인(201)의 경로상에 아이들(204)이 위치별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구동 스프로켓(202)이 모터(206)에 의해 동작하면 구동 스프로켓(202), 피동 스프로켓(203) 및 아이들(204)에 폐루프로 연결된 체인(201)이 회전하고, 이의 작용으로 체인(201)에 결합한 복수 개의 용기 트레이(210)가 순환하면서 용기 내의 세미 충진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용기 트레이(210)는 체인(201)에 결합한 상태에서 체인(201)의 회전에 따라 공정별, 단계별로 이동하면서 용기 내의 세미 충진 공정이 진행될 수 있게끔 한다. 이때, 하나의 용기 트레이(210)에는 복수 개, 예컨대, 5개의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 트레이(210)에 복수 개의 용기 배치구(211)가 형성된다.
따라서, 1회 동작 시 10개의 용기 내에 세미가 동시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용기 트레이(210)에 반드시 5개의 용기가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트레이 컨베이어 장치(200)의 일측에는 트레이 컨베이어 장치(200)와 협조해서 실질적으로 용기 내에 세미를 충진하는 세미 충진장치(100)가 마련된다.
도 1 및 도 2에서 트레이 컨베이어 장치(2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을 세미 충진장치(100)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세미 충진장치(100)는 장치 프레임(110)을 포함하며, 장치 프레임(110) 상에 세미 호퍼(120)와 세미 정량 충진부(130) 등의 구성이 위치별로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세미 호퍼(120)는 용기에 충진될 세미(洗米)가 내부에 저장되는 장소를 이룬다. 세미 호퍼(120)는 장치 프레임(110)에 결합한다. 따라서, 세미 호퍼(120)는 위치 고정된 상태를 취한다. 세미 호퍼(120) 내로 세미를 공급하는 공정은 별도의 수단이 담당한다.
세미 호퍼(120)는 그 내벽이 각지지 않게 둥근 라운딩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세미의 적체 현상을 없앨 수 있다. 즉 세미가 씻은 쌀이라는 점에서 세미가 세미 호퍼(120)의 내벽에 적체될 수도 있으나, 세미 호퍼(120)의 내벽이 둥근 라운딩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이러한 적체 현상을 없앨 수 있다.
세미 호퍼(120)의 일측에는 세미 호퍼(120) 내의 세미 저장량을 감지하는 세미 저장량 감지부(125)가 마련된다.
세미 저장량 감지부(125)를 통해 세미 호퍼(120) 내의 세미 저장량을 항시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세미 저장량이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소정의 알람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세미 호퍼(120) 내에 세미가 저장되기 때문에, 세미가 세미 호퍼(120) 내의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봉우리처럼 쌓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미 고르개(170)와 고르개 요동운동부(175)가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에 갖춰진다.
세미 고르개(170)는 세미 호퍼(120) 내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요동운동을 통해 세미 호퍼(120) 내의 세미를 평탄화시키면서 고르는 역할을 한다. 즉 봉우리처럼 솟을 수 있는 세미를 평탄화시키면서 고른다. 주기적으로 세미 고르개(170)를 흔들어주면, 즉 세미 고르개(170)를 요동시키면 세미가 세미 호퍼(120) 내의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봉우리처럼 쌓이는 현상을 없앨 수 있다.
세미 고르개(170)는 요동 샤프트(171)와, 요동 샤프트(171)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게 요동 샤프트(171)에 결합하는 복수 개의 더미암(172)과, 복수 개의 더미암(172)의 단부를 연결하는 암 연결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요동 샤프트(171)의 요동운동 시 암 연결대(173)가 세미를 훑는 방식으로 세미가 세미 호퍼(120) 내의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봉우리처럼 쌓이는 현상을 없앤다. 요동 샤프트(171)는 그 일단부가 세미 호퍼(12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고르개 요동운동부(175)와 연결된다.
고르개 요동운동부(175)는 세미 고르개(170)와 연결되고, 세미 고르개(170)를 요동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르개 요동운동부(175)는 세미 호퍼(120)의 외측에서 요동 샤프트(171)와 연결되는 링크부재(176)와, 일단부의 실린더 본체(177a)는 장치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고정 브래킷(B)에 위치 고정되고 타단부의 실린더 로드(177b)는 링크부재(176)와 연결되며, 링크부재(176)를 통해 요동 샤프트(171)를 요동운동시키는 실린더(177)를 포함한다. 이에, 실린더 로드(177b)가 전후진되면 이의 동작이 링크부재(176)를 통해 요동 샤프트(171)로 전달됨으로써 암 연결대(173)가 세미를 훑는 방식으로 세미가 세미 호퍼(120) 내의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봉우리처럼 쌓이는 현상을 없앨 수 있다.
세미 호퍼(120)의 하부 영역에 실질적으로 세미가 배출되는 세미 배출덕트(121)가 마련된다. 세미 배출덕트(121)를 통한 세미의 배출은 중력에 따른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세미 호퍼(120)에 여러 개의 세미 배출덕트(121)가 마련된다. 따라서, 단위 시간당 생산량이 증가할 수 있다. 도면에는 10개의 세미 배출덕트(121)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했으나, 세미 배출덕트(121)의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세미 배출덕트(121)들은 덕트 플레이트(126)로 함께 지지된다. 덕트 플레이트(126)는 하방으로 이물질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세미 배출덕트(121) 영역을 청소할 때는 덕트 플레이트(126)도 함께 분리되어 세척될 수 있다.
한편, 세미 정량 충진부(130)는 적어도 일부분이 세미 호퍼(120)에 연결되며, 세미 호퍼(120)에서 배출되는 세미를 정량만큼 용기로 충진하는 역할을 한다.
세미 정량 충진부(130)를 여러 구조 혹은 방식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핀치 밸브(140)와 전공 레귤레이터(150)라는 간단한 구성의 조합으로 세미 정량 충진부(130)를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비용 절감에 이바지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와 분해가 쉽고, 또한 유지보수도 쉽다.
핀치 밸브(140)는 공압 압력에 기초하여 개폐 동작하면서 세미를 용기 쪽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핀치 밸브(140)는 세미 호퍼(120)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덕트 구조의 세미 배출덕트(12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세미 배출덕트(121)에는 수동 클램프(127)가 마련된다.
특히, 수동 클램프(127)는 공구 없이 핀치 밸브(140)를 세미 배출덕트(121)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클램핑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수동 클램프(127)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127a)에 의해 링(ring) 형태로 마련되는 한 쌍의 클램프 바디(127b)와, 한 쌍의 클램프 바디(127b)의 입구를 조이는 수동 핸들(127c)을 포함한다. 수동 핸들(127c)은 나비 볼트 형태라서 공구 없이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이에, 수동 핸들(127c)을 역방향으로 풀면 한 쌍의 클램프 바디(127b)가 벌어지는데, 이 상태에서 핀치 밸브(140)를 분리해 내고, 세미 배출덕트(121) 등을 수시로 청소할 수 있다. 물론, 핀치 밸브(140)가 고장이라면 수동 클램프(127)를 통해 손쉽게 핀치 밸브(140)를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 역시 간편해질 수 있다.
핀치 밸브(140)는 밸브 바디(141)와, 세미 호퍼(120)에서 용기로 세미가 충진되는 방향을 따라 밸브 바디(141)의 중심부에 배치되되 세미가 이동되는 통로를 이루는 세미 이동로(142)와, 밸브 바디(141)에 마련되되 전공 레귤레이터(150)에서 공급되는 공압 압력에 기초하여 세미 이동로(14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탄성 튜브(143)와, 밸브 바디(141)에 마련되고 탄성 튜브(143)의 단부를 고정하는 튜브 로커(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공압 압력의 공급 또는 공급정지 동작에 기초하여 도 8의 진한 화살표처럼 탄성 튜브(143)가 동작하면 세미 이동로(142)가 열리기 때문에 세미 호퍼(120) 내의 세미가 정량만큼 용기로 충진될 수 있다.
하지만, 도 9의 진한 화살표처럼 탄성 튜브(143)가 동작하면 세미 이동로(142)가 막히기 때문에 세미의 충진공정은 정지된다. 이처럼 탄성 튜브(143)의 동작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다시 말해 탄성 튜브(143)를 동작시키는 공압 압력을 적절하게 컨트롤하면 적량의 세미를 용기에 충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전공 레귤레이터(150)가 마련된다.
전공 레귤레이터(150)는 핀치 밸브(140)의 세미 개폐량 조절을 위해, 즉 탄성 튜브(143)의 동작에 따른 세미 개폐량 조절을 위해 핀치 밸브(140)로 향하는 공압 압력을 컨트롤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공 레귤레이터(150)는 장치 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전공 레귤레이터(150)와 핀치 밸브(140)가 공압 라인(152)으로 연결된다.
한편, 세미 정량 충진부(130)의 하부 영역, 즉 용기 트레이(210)의 하부 영역에는 용기 트레이(210) 상에서 용기를 세미 호퍼(120) 측으로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용기 업/다운 구동부(180)가 마련된다.
용기 내에 세미가 충전될 때, 용기 업/다운 구동부(180)의 작용으로 용기가 정해진 위치까지 업(up)될 수 있다.
용기 업/다운 구동부(180)는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용 정반(181)과, 용기의 업/다운(up/down)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업/다운 구동 액추에이터(182)와, 업/다운 구동 액추에이터(182)와 용기 지지용 정반(181)을 연결하는 정반 연결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하나의 용기 트레이(210)에 여러 개의 용기가 마련되기 때문에, 하나의 용기 트레이(210)에 있는 모든 용기를 한 번에 업/다운 구동시키기 위해 용기 지지용 정반(181) 역시 복수 개가 마련된다.
그리고, 업/다운 구동 액추에이터(182)는 실린더로 적용되며, 액추에이터 케이싱(136)에 마련된다. 이때, 업/다운 구동 액추에이터(182)의 작용 시 정반 연결부(183)가 안정적으로 업/다운 구동시키기 위해 용기 업/다운 구동부(180)에는 복수 개의 업/다운 가이드(186)가 더 적용된다. 복수 개의 업/다운 가이드(186)는 업/다운 구동 액추에이터(182)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 업/다운 구동부(180)는 로드셀(184, load cell)을 더 포함한다. 로드셀(184)은 용기 지지용 정반(181)에 마련되며, 용기에 충진되는 세미의 충진량을 감지한다.
로드셀(184)의 감지 정보는 시스템 컨트롤러(190)로 전송되며,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이 정보를 토대로 세미 정량 충진부(13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에 마련되는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로드셀(184)의 정보와 세미 정량 충진부(130)의 작용으로 정량의 세미가 용기에 충진되게 용기 업/다운 구동부(180) 및 세미 정량 충진부(130)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한다. 즉 로드셀(184)의 정보에 기초하여 핀치 밸브(140)의 탄성 튜브(143)가 동작하게 컨트롤함으로써 용기에 충진되는 세미의 충진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구제적으로 살펴본다. 용기에 세미가 충진되는 세미의 충진량을 로드셀(184)이 감지한 후, 정량의 감지 정보를 시스템 컨트롤러(190)로 전송하면, 시스템 컨트롤러(190)가 도 9의 진한 화살표처럼 탄성 튜브(143)가 동작하게 전공 레귤레이터(150)를 컨트롤함으로써 항상 정해진 일정량의 세미가 용기에 충진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91, CPU), 메모리(19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91)는 본 실시예에서 로드셀(184)의 정보와 세미 정량 충진부(130)의 작용으로 정량의 세미가 용기에 충진되게 용기 업/다운 구동부(180) 및 세미 정량 충진부(130)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91)와 연결된다. 메모리(1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로드셀(184)의 정보와 세미 정량 충진부(130)의 작용으로 정량의 세미가 용기에 충진되게 용기 업/다운 구동부(180) 및 세미 정량 충진부(130)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트레이 컨베이어 장치(200)의 작용으로 도 13에서 도 14처럼 용기가 정위치로 진입한다. 이어, 도 15처럼 계량 준비를 위해 용기 업/다운 구동부(180)의 작용으로 로드셀(184)이 상승하여 용기에 접한다.
다음, 도 16처럼 세미 정량 충진부(130)의 동작으로 세미가 용기 내로 충진된다. 즉 전공 레귤레이터(150)에 의한 공압 압력의 공급 또는 공급정지 동작에 기초하여 도 8의 진한 화살표처럼 탄성 튜브(143)가 동작한다. 그러면 세미 이동로(142)가 열리게 됨으로써 세미 호퍼(120) 내의 세미가 정량만큼 용기로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용기에 세미가 충진되는 세미의 충진량을 로드셀(184)이 실시간 감지하는데, 정량의 감지 정보가 시스템 컨트롤러(190)로 전송되면, 시스템 컨트롤러(190)가 도 9의 진한 화살표처럼 탄성 튜브(143)가 동작하게 전공 레귤레이터(150)를 컨트롤함으로써 도 17처럼 세미의 충진공정이 정지되게 한다.
그런 다음, 도 18처럼 정량의 세미가 충진된 용기는 취출되고 다시 도 13 내지 도 17의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위의 방식으로 세미 충진 공정을 진행하다가 청소 시간이 도래하면, 장비의 가동을 멈춘 후, 수동 클램프(127)를 풀고 세미 배출덕트(121) 등을 청소한 다음, 혹은 유지보수한 다음, 다시 끼우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분해조립과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월등히 간편해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정량의 세미를 용기에 충진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장치 프레임 120 : 세미 호퍼
121 : 세미 배출덕트 125 : 세미 저장량 감지부
127 : 수동 클램프 130 : 세미 정량 충진부
140 : 핀치 밸브 141 : 밸브 바디
142 : 세미 이동로 143 : 탄성 튜브
144 : 튜브 로커 150 : 전공 레귤레이터
152 : 공압 라인 170 : 세미 고르개
171 : 요동 샤프트 172 : 더미암
173 : 암 연결대 175 : 고르개 요동운동부
176 : 링크부재 177 : 실린더
177a : 실린더 본체 177b : 실린더 로드
180 : 용기 업/다운 구동부 181 : 용기 지지용 정반
182 : 업/다운 구동 액추에이터 183 : 정반 연결부
184 : 로드셀 190 : 시스템 컨트롤러
200 : 트레이 컨베이어 장치 210 : 용기 트레이

Claims (16)

  1.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되 용기에 충진될 세미(洗米)가 내부에 저장되며, 하부 영역에 세미가 배출되는 세미 배출덕트가 마련되는 세미 호퍼;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세미 호퍼에 연결되며, 상기 세미 호퍼에서 배출되는 세미를 정량만큼 상기 용기로 충진하는 세미 정량 충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미 정량 충진부는,
    공압 압력에 기초하여 개폐 동작하면서 세미를 상기 용기 쪽으로 공급하는 핀치 밸브; 및
    상기 핀치 밸브의 세미 개폐량 조절을 위해 상기 핀치 밸브로 향하는 공압 압력을 컨트롤하는 전공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 밸브는 상기 세미 배출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미 배출덕트에는 공구 없이 상기 핀치 밸브를 착탈 가능하게 클램핑하기 위한 수동 클램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 밸브는,
    밸브 바디;
    상기 세미 호퍼에서 상기 용기로 세미가 충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밸브 바디의 중심부에 배치되되 세미가 이동되는 통로를 이루는 세미 이동로;
    상기 밸브 바디에 마련되되 상기 전공 레귤레이터에서 공급되는 공압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세미 이동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탄성 튜브; 및
    상기 밸브 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탄성 튜브의 단부를 고정하는 튜브 로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공 레귤레이터는 상기 장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공 레귤레이터와 상기 핀치 밸브가 공압 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트레이; 및
    상기 용기 트레이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트레이를 공정위치로 순환시키는 트레이 컨베이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트레이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용기 트레이 상에서 상기 용기를 상기 세미 호퍼 측으로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용기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용 정반;
    상기 용기의 업/다운(up/down)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업/다운 구동 액추에이터; 및
    상기 업/다운 구동 액추에이터와 상기 용기 지지용 정반을 연결하는 정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용기 지지용 정반에 마련되며, 상기 용기에 충진되는 세미의 충진량을 감지하는 로드셀(load cel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의 정보와 상기 세미 정량 충진부의 작용으로 정량의 세미가 상기 용기에 충진되게 상기 용기 업/다운 구동부 및 상기 세미 정량 충진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미 호퍼 내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요동운동을 통해 상기 세미 호퍼 내의 세미를 평탄화시키면서 고르는 세미 고르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미 고르개는,
    요동 샤프트;
    상기 요동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게 상기 요동 샤프트에 결합하는 복수 개의 더미암; 및
    상기 복수 개의 더미암의 단부를 연결하는 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미 고르개와 연결되며, 상기 세미 고르개를 선택적으로 요동운동시키는 고르개 요동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르개 요동운동부는,
    상기 세미 호퍼의 외측에서 상기 요동 샤프트와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일단부의 실린더 본체는 고정되고 타단부의 실린더 로드는 상기 링크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재를 통해 상기 요동 샤프트를 요동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미 호퍼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세미 호퍼 내의 세미 저장량을 감지하는 세미 저장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1020200182092A 2020-12-23 2020-12-23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102470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92A KR102470514B1 (ko) 2020-12-23 2020-12-23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92A KR102470514B1 (ko) 2020-12-23 2020-12-23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009A true KR20220091009A (ko) 2022-06-30
KR102470514B1 KR102470514B1 (ko) 2022-11-25

Family

ID=8221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092A KR102470514B1 (ko) 2020-12-23 2020-12-23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5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4683A (en) * 1994-09-23 1996-06-11 Osgood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KR100726155B1 (ko) 2007-02-12 2007-06-13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20132066A (ko) * 2011-05-27 2012-12-0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정량 공급장치
JP2014076833A (ja) * 2012-10-11 2014-05-01 Spectris Co Ltd 粉体定量分割装置並びに粉体定量分割方法
JP2018104010A (ja) * 2016-12-23 2018-07-05 三光機械株式会社 原料供給装置
KR102094698B1 (ko) *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4683A (en) * 1994-09-23 1996-06-11 Osgood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KR100726155B1 (ko) 2007-02-12 2007-06-13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즉석밥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20132066A (ko) * 2011-05-27 2012-12-0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정량 공급장치
JP2014076833A (ja) * 2012-10-11 2014-05-01 Spectris Co Ltd 粉体定量分割装置並びに粉体定量分割方法
JP2018104010A (ja) * 2016-12-23 2018-07-05 三光機械株式会社 原料供給装置
KR102094698B1 (ko) * 2018-10-15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즉석밥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514B1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393B1 (ko)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US3283695A (en) Doughnut frying machine
US3296954A (en) Deep fat fryer
US20090004346A1 (en) Continuous vacuum marin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91009A (ko)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US3915116A (en) Compact breading machine
KR102470515B1 (ko)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KR102424394B1 (ko) 즉석밥 제조용 세미 충진시스템
US3275122A (en) Plate inverting mechanism
EP0139104B1 (en) Combination measuring apparatus
KR102606434B1 (ko) 세미 정량 공급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JP2015165218A (ja) 食品計量装置
US361070A (en) Photographic-print washer
JP2004033831A (ja) せん断型の塵処理装置
KR102653806B1 (ko) 즉석밥 용기 분리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KR102524885B1 (ko) 스팀 가압 살균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US20240074467A1 (en) Immersion treatment tank unloading
US20200352197A1 (en) Tunnel pasteuris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tunnel pasteuriser
JP2020120645A (ja) 麺取り装置
CN217068659U (zh) 一种带有自动配料功能的膨化食品生产线
US3048259A (en) Vine feeding machine
CN219877446U (zh) 高效清洗的卤制装置
CN217509805U (zh) 一种鱼加工用杀菌设备
US2576781A (en) Dispensing machine
US20240009713A1 (en) Slat clea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