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657B1 -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657B1
KR100724657B1 KR1020050109628A KR20050109628A KR100724657B1 KR 100724657 B1 KR100724657 B1 KR 100724657B1 KR 1020050109628 A KR1020050109628 A KR 1020050109628A KR 20050109628 A KR20050109628 A KR 20050109628A KR 100724657 B1 KR100724657 B1 KR 100724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5380A (ko
Inventor
유이치로 사노
토루 미야사카
신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5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2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laminating of indefinite length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5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coating or impregn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비용, 고신뢰성을 확보하고, 추가로 고에너지 밀도ㆍ고출력을 실현할 수 있는 고체 전해질을 이용한 이차 전지의 구조, 나아가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한층 더 소형 경량화를 실현하는 상기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저비용, 높은 안전성, 고에너지 밀도ㆍ고출력을 실현하는 고체 전해질 이차 전지 구조로서 표면이 평탄한 기판 상에 정극 집전체와 부극 집전체를 각각 대향시킨 빗살형 형상으로 패터닝하고, 이 정극 및 부극 집전체 상에 정전극 재료 및 부전극 재료의 입자를 집전체면의 수직 방향으로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 패터닝하여 종형의 전극을 형성하고, 정전극 및 부전극간에 형성되는 공극을 고체 전해질로 충전한 평면상(狀) 빗살형 형상의 이차 전지 구성으로 하였다.
정극 집전체, 정전극, 부극 집전체, 부전극, 고체 전해질, 이차 전지

Description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이차 전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이차 전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차 전지의 패터닝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표면에 도전성 재료를 내부 첨가한 결합제 수지층을 설치한 전극 재료 입자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전극 재료를 단핵이 아니라 클러스터로 한 전극 재료 입자의 개략도이다.
도 6은 결합제 수지 내에 도전성 재료 및 전극 재료 물질을 내부 첨가한 전극 재료 입자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전극 재료 입자 자체를 클러스터화한 전극 재료의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부전극, 2: 정전극,
3: 고체 전해질, 4: 부극 집전체,
5: 정극 집전체, 6: 기판,
7: 격리판(고체 전해질), 8: 정전극,
9: 부전극, 10: 정극 집전체,
11: 부극 집전체, 12: 결합제,
13: 도전성 재료, 14: 전극 재료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07-326372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58039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85862호 공보
본 발명은 고체 전해질을 이용한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차 전지에서의 전해액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비수계의 전해액이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 이러한 액체에 의한 전해액 대신에 전해액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고체 전해질 전지도 많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07-326372호 공보). 전해액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종래의 전지와 같이 유기 전해액을 함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액 누설이나 발화 등을 일으킬 위험성이 없고, 안정성이 높은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해액을 이용한 전지 구성에 있어서, 비용이높지만, 전해액 담지나 전극간의 물리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이었던 격리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저비용의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고체 전해질은 전해액의 경우와 비교하여, 이온 전도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구성되어 있는 정극, 부극 및 전해질이 모두 고체이기 때문에, 정극 또는 부극과 고체 전해질과의 계면이 고체끼리의 접촉, 부분적인 점에서의 접촉이 되기 때문에, 큰 계면 저항이 생겨 계면의 이온 전도 물질의 이동이 제한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한 과제의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옥시드에 특정한 알칼리 금속염을 함유시켜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제2002-158039호 공보), 고체 전해질층의 두께를 얇게 하여 고체 전해질을 끼워 직접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제2004-185862호 공보) 등이 검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이차 전지의 전해질로서 실용적으로 필요한 이온 전도도(1 mS/cm 이상, 25 ℃)는 얻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저비용, 고신뢰성을 유지하고, 고에너지 밀도ㆍ고출력을 실현할 수 있는 고체 전해질 이차 전지의 신규 구조의 제공, 및 상기 이차 전지 구조를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 대향한 빗살형 형상의 정극 및 부극 집전체를 평활한 동일 평면 상에 형성하고, 상기 정극 및 부극 집전체 상에 정극 및 부극 재료 입자를 전자 사진 공정에 의해, 집전체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패터닝함으로써 정극 및 부극을 형성하고, 또한 정극 및 부극 사이의 홈을 고체 전해질로 충전한 구성을 갖는 평면상(狀) 빗살형 형상의 고체 전해질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빗살형 고체 전해질 이차 전지를 나타낸다. 도 1a는 평면도를, 도 1b는 A-A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6) 상에 정극 집전체 (5)와 부극 집전체 (4)를 통해 각각에 정전극 재료로 형성된 정전극 (2)와, 부전극 재료로 형성된 부전극 (1)이 설치되고, 각 전극 사이에는 고체 전해질 (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정극 (2)와 부전극 (1)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빗살형으로 형성되며, 살 부분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전극ㆍ부전극을 종형 전극 구조로 하기 때문에, 종횡비(h/w)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고출력화를 도모하며, 또한 사용하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판 (6)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기판을 통해 적층함으로써 고전압의 전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종래의 평면층형 이차 전지 구조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체 전해질 또는 격리판 (7)을 끼워 부극 재료(부전극) (9)와 정극 재료(정전극) (8)이 배치되고, 각각 부전극 상에는 부극 집전체 (11)이, 정전극 상에는 정극 집전체 (10)이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전지 전극과 전해질 계면 면적을 확대하고자 하면,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이차 전지 구성에서는, 동일 부피 및 동일 집전체 면적에서의 전극 유효 면적의 확대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밀도를 유지한 상태로 전극의 내부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온 전도도가 전해액보다 부족한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도 충분히 이차 전지로서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 전지 구성에서는 종형의 전극 형상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평면층상 구성의 전극과 비교하여 종 방향의 힘이 강하기 때문에, 고체 전해질만으로 충분히 물리적인 단락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격리판 없이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정극 집전체 및 부극 집전체 (4, 5)는 평탄한 동일한 평면(기판)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집전체 (4, 5)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잉크젯 프린터나 리소그래피 기술, 나노 인 프린트 기술에 의해 집전체 재료가 되는 금속 입자 분산 적(滴)을 패터닝하여 배선화하는 방법이나, 금속 미립자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재료를 레이저 프린트와 같은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 패터닝하여 배선화할 수도 있다.
이 때, 집전체 재료로서는 이차 전지 작동 전위에 있어서 안정한 금속 등의 도전체라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극측 집전체 (5)의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부전극측 집전체 (4)의 재료로서는 구리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 패터닝된 집전체 표면은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리튬을 가역적으로 흡장 방출하는 정전극 (2)는, 정극 활성 물질로서 코발트산리튬(LiCoO2), 니켈산리튬(LiNiO2), 층상 망간산리튬(LiMnO2) 또 는 복수의 전이 금속 원소를 배합한 복합 산화물인 LiMnxNiyC0zO2(x+y+z=1, 0≤y<1, 0≤z<1, 0≤x<1) 등의 층상 화합물, 또는 1종 이상의 전이 금속을 치환한 것, 또는 망간산리튬(Li1+xMn2-xO4(단, x=0 내지 0.33), Li1 + xMn2 -x- yMyO4(단, M은 Ni, Co, Cr, Cu, Fe, Al, Mg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고, x=0 내지 0.33, y=0 내지 1.0, 2-x-y>0임), LiMnO3, LiMn2O3, LiMnO2, LiMn2 -xMxO2(단, M은 Co, Ni, Fe, Cr, Zn, Ta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고, x=0.01 내지 0.1임), Li2Mn3MO3(단, M은 Fe, Co, Ni, Cu, Zn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함), 구리-리튬 산화물(Li2CuO2), 또는 LiV3O3, LiFe3O4, V2O,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또는 디술피드 화합물, 또는 Fe2(MoO4)3 등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고분자 화합물의 저비점 용제 용액, 또는 중합 가능한 화합물과 혼합함으로써 슬러리를 얻고, 이 슬러리를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을 포함하는 정극 집전체 (5) 상에 도막 형성하여 소정의 밀도로 가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리튬을 가역적으로 흡장 방출하는 부극 (1)은, 부극 활성 물질로서 천연 흑연, 석유 코크스나 석탄 피치 코크스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이(易)흑연화 재료를 2500 ℃ 이상의 고온에서 열 처리한 것이다. 예를 들면, 메소상 카본 또는 비정질 탄소, 탄소 섬유, 리튬과 합금화하는 금속, 또는 탄소 입자 표면에 금속을 담지한 재료가 사용된다. 부극 활성 물질을 고분자 화합물의 저비점 용제 용액, 또는 중합 가능한 화합물과 혼합함으로써 슬러리를 얻는다. 또한, 그 슬러리를 동박 등의 금속박을 포함하는 집전체 상에 도막 형성하여 소정의 밀도로 가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리튬, 알루미늄, 주석, 규소, 인듐, 갈륨, 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또는 합금, 또는 금속의 산화물을 부극 활성 물질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이온 전도체의 가역적인 흡장 및 방출을 담당하는 정전극 및 부전극 재료의 전자 사진 공정에 의한 집전체 표면으로의 패터닝에서는, 이들 전극 재료는 모두 입자상으로 하며, 전자 사진 공정에 의해 집전체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패터닝한다.
전자 사진 공정을 이용하여 전극을 패터닝하는 방법으로서는 건식 방법과 습식 방법이 있다. 도 3에는 정전 현상 방식의 레이저 프린트와 같이 패터닝하는 건식 방법에 대하여 부전극의 형성을 예로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6) 상의 정(또는 부)으로 대전시킨 집전체 (4)에 대하여, 그것과는 반대의 극성으로 마찰 등에 의해 대전시킨 부전극(정전극) 재료 (1)의 입자 분체를 쿨롱력에 의해 패터닝하는 것이다. 즉, 전자 사진 공정에서의 토너 대신에 전극 재료를 도시하지 않은 전극 재료 용기 내에서 마찰 대전시키고, 이것을 전자 사진 장치의 현상 롤에 해당하는 롤 (100)에 부착시킨다. 이 전극 재료 (1)이 부착된 롤 (100)에 대하여 대전한 집전체 (4)를 설치한 기판 (6)을 대향시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3b와 같이 전극 재료 (1)이 롤 (100) 면으로부터 집전체 (4)로 이동하고, 도 3c와 같이 적층된다. 이 때, 부전극 재료 미립 분체 (1)을 적층하기 위해서는, 집전체 (4)의 대전력을 분체의 대전력보다 꽤 강하게 하여 분체끼리의 반발력에 의한 비산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습식 방법은 액체 현상 방식의 레이저 프린트와 같이 미리 정전극 또는 부전극 재료 입자를 캐리어가 되는 용매 중에 분산시킨다. 또한, 용매 중에서 전극 재료 입자를 대전시킨다. 대전된 전극 재료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 용매를 반송하여 현상하는 것을 담당하는 롤러와, 패터닝하고자 하는 집전체와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용매 중의 전극 재료 입자를 집전체 상에 전기 영동에 의해 이동시켜 패터닝을 행하는 것이다.
건식 방법의 경우에는 종래의 전극 재료 도포 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기 용매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건조 공정도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공정이 간소화되어 비용 삭감ㆍ환경 부하 감소에 유리하다.
습식 방식은 캐리어 용매에 전극 재료 입자를 분산시키기 때문에 입자의 비산이 방지된다. 따라서, 마이크론 이하의 입자의 사용이 가능해지고, 보다 미세한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의 소형화나 전지 전극의 표면적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습식 방식에서는 캐리어 용매로서 액상의 고체 전해질 전구체를 사용할 수 있다면, 용매 치환 공정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집전체 (4) 상에 적층된 전극 재료는 가열(150 내지 250 ℃ 정도의 온도), 또는 용제(메탄올,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등의 극성 용매)를 공급함으로써 용융하여 증발, 고화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체 전해질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프로필렌옥시드,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알킬렌옥시드; 폴리에틸 렌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붕산에스테르 화합물,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의 리튬염을 혼합함으로써 리튬 이온 전도성이 발현되는 수지 재료라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 재료에 가소제로서 저분자량 화합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첨가하는 저분자량 화합물로서는 전해질염이나 상기 수지 재료에 대하여 가용인 비수용매가 대표적인 가소제이다. 그러한 비수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메틸에틸카보네이트 등의 탄산 에스테르 화합물; γ-부티로락톤,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수용매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비닐렌카보네이트 등의 리튬 이차 전지 용도로서 공지된 첨가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해질에 사용하는 전해질염으로서는 겔 전해질 전구체 조성물 및 겔 전해질에 가용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하에 예로 드는 것들이 바람직하다. 즉, 금속 양 이온 및, 염소 이온, 브롬 이온, 요오드 이온, 과염소산 이온, 티오시안산 이온, 테트라플루오로붕소산 이온, 헥사플루오로인산 이온,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니드이미드산 이온,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니드이미드산 이온, 스테아릴술폰산 이온, 옥틸술폰산 이온, 도데실벤젠술폰산 이온, 나프탈렌술폰산 이온, 도데실나프탈렌술폰산 이온, 7,7,8,8-테트라시아노-p-퀴노디메탄 이온, 저급 지방족 카르복실산 이온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금속 양이온으로서는 Li이 있다. 전해질염의 농도는 겔 전해질에 요구되는 이온 전도도 등을 감안하여 결정되지만, 통상은 0.1 내지 4.0 몰/k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몰/kg의 범위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전극 또는 부전극 재료의 입경은 5 내지 20 ㎛ 이상인 것이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전자 사진 공정을 이용한 전극 재료 패터닝 기구에서의 전극 재료의 입경은 0.1 내지 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습식현상을 행할 때에는 0.1 내지 3 ㎛ 정도가 바람직하다. 단, 건식 현상을 행할 때에는 비산에 의한 진폐 등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그 입경은 3 ㎛ 이상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하의 입경인 경우에는 사람이 없는 밀폐된 공간이나 완전히 입자 비산이 방지된 기구 등의, 인체에의 영향이 없는 환경에서 행할 필요가 있다.
도 4에 전극 재료의 입자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정전극 및 부전극 재료의 입자는 전극 재료 (14)의 표면에 결합제 수지층 (12)를 갖고, 추가로 결합제 수지층 (12) 내부에 도전성을 담당하는 도전성 재료 (13)을 내부 첨가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전극 및 부전극 재료의 입자 중에 전극 재료 (14)를 단핵으로 결합제 수지 (12)층 내에 내부 첨가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결합제 수지층 내부의 전극 재료 (14)가 단핵이 아니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전극 재료 (14)의 미립자가 응집한 클러스터로 한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 재료 입자가 전극 재료 (14)와 도전성 재료 (13)을 결합제 수지 (12) 성분 내에 분산 내부 첨가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 6에 나타낸 정전극 및 부전극 재료 입자의 구성은 전극 재료 입자 중의 결합제 수지 (12)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극 재료 입자 중의 전극 재료 (14)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차 전지의 비용 감소 및 에너지 밀도 증가에 유효하다.
도 4와 같은 전극 재료 (14)를 단핵으로 내부 첨가한 정전극 및 부전극 재료 입자에 있어서, 정전극 및 부전극 재료 입자를 분산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 재료 입자 자체가 모여 클러스터화하고, 클러스터 자체를 전극 재료 입자로 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 때,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일차 입자는 도 4의 전극 재료 입자로 한정되지 않고, 도 5 및 도 6의 전극 재료 입자일 수도 있으며, 일차 입자가 되는 전극 재료 입자는 1종만인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이한 조성 또는 상이한 구성인 일차 입자를 2종 이상 혼재시킨 클러스터 구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결합제 수지는 상술한 고체 전해질로서 사용되고 있는 수지 성분 등, 여러가지의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다른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PHFP-AN),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메틸셀룰로오스(MC), 에틸셀룰로오스(EC),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에틸렌옥시드(PEO), 폴리에틸렌옥시드-폴리프로필렌옥시드 공중합체 (PEO-PPO), 상기 다른 중합 가능한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중합물 등의 고분자 물질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에틸렌옥시드-폴리프로필렌옥시드 공중합체, 상기 다른 중합 가능한 화합물 중 폴리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이온 전도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패터닝된 전극은 전극 면적의 증대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될 수 있는 한 높은 종횡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높은 종횡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1 단계의 전극 재료 패터닝 후, 고체 전해질에 의한 정전극-부전극간의 공극을 패터닝된 전극 재료의 높이까지 충전한다. 또한, 다시 전극 재료를 상기 패터닝한 전극 재료 윗면에 패터닝하고, 추가로 상기 전극 재료 패터닝에 의해 형성된 공극으로의 고체 전해질의 충전을 행하는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높이를 갖는 전지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때, 종횡비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터닝된 전극 재료의 정착 방법으로서는 가열에 의해 결합제 수지가 용해되고, 그 후 냉각함으로써 고화시키는 정착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때, 정착 온도는 될 수 있는 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착 방법으로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을 가하여 결합제 수지를 용해시키고, 그 후 고화시키는 방법, 또는 결합제 수지를 용해할 수 있는 용액에 의해 일시적으로 용해시키고, 그 후 건조하여 용해 용액을 증발시킴으로써 고화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 사용 방법으로서는 하나하나의 전지 시트 유닛을 적층함에 따른 사용 방법이 바람직하지만,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상(狀)의 이차 전지 유닛을 인쇄 전자 회로 기판 등의 기판 내부에 매립한 형태로 사용하는 방법 등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IC 카드, 개인용 컴퓨터, 대형 전자 계산기, 노트북형 컴퓨터, 펜 입력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형 워드 프로세서,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카드, 손목 시계, 카메라, 전기 면도기, 무선 전화, 팩시밀리, 비디오, 비디오 카메라, 전자 수첩, 탁상용 전자 계산기, 통신 기능 부여 전자 수첩, 휴대용 복사기, 액정 텔레비젼, 전동 공구, 청소기, 가상 현실 등의 기능을 갖는 게임 기기, 완구, 전동식 오토바이, 의료 간호용 보행 보조기, 의료 간호용 휠체어, 의료 간호용 이동식 베드,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포크리프트, 골프 카트, 비상용 전원, 로드 콘디셔너, 전력 저장 시스템 등의 전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민간용 외에 군수용, 우주용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급 아세토니트릴(와꼬 가가꾸 제조) 100 mL에 정극인 경우에는 셀 시드(닛본 가가꾸 고교사 제조의 코발트산리튬), 부극인 경우에는 인조 흑연 SP270(닛본 고꾸넨사 제조 흑연) 1.0 g을 투입하였다. 또한, 5 ㎛l의 트리에틸아민(와꼬 가가꾸 제조)을 첨가하고, 초음파 조사기를 이용하여 10 분간 현탁시켰다. 이 조작에 의해 피 영동 입자는 아세토니트릴욕 중에서 충분히 분산되기 때문에 이것을 전착욕에 사용하였다. 이어서, 미리 기판 상에 빗살형 고체 전해질 이차 전지의 집전 체로서 제조한 선폭 5 ㎛, 선간 3 ㎛의 빗살형 작용극(1 cm×1 cm) 및 빗살 전극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900 ㎛의 위치에 대향 전극으로서 스테인레스판을 평행하게 설치하여 전착욕에 침지하였다. 이어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8 V를 5 분간 인가하고 전원을 OFF하였다. 동박을 전착욕으로부터 꺼냈더니, 빗살형 전극 상에 정극인 경우에는 코발트산리튬층, 부극인 경우에는 인조 흑연층이 20 ㎛ 이상의 높이로 화려하게 전착 형성되어 있었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전극 사이에서 충방전을 행하는 전극 표면적은 동 부피(1 cm×1 cm×20 ㎛)의 도 2에 나타낸 종래의 평면층형 이차 전지 전극과 비교하면, 약 2배 이상이 된다. 그 후, 폴리에틸렌옥시드와 LiN(SO2CF3)을 아세토니트릴에 투입한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형성한 정극 및 부극 패턴 사이에 충전하고, 추가로 그 후 아세토니트릴 증류 제거에 의한 폴리에틸렌옥시드의 고화 및 수분 제거를 위해 약 150 ℃에서 12 시간 진공 건조하여 이차 전지를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료적으로나 제조적으로 저비용이고,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을 구비하며, 실용 수준의 성능을 유지한 고체 전해질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이온 전도 물질을 가역적으로 흡장ㆍ방출하는, 정극 집전체를 포함하고 정극 재료를 포함하는 정전극, 부극 집전체를 포함하고 부극 재료를 포함하는 부전극, 및 이온 전도 물질의 전도를 담당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며,
    기판의 한쪽 측면 상에 상기 정극 집전체와 부극 집전체를 교대로 형성하고, 상기 정극 집전체 상에 정극 재료를 포함하는 정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부극 집전체 상에 부극 재료를 포함하는 부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각 정극 집전체 및 정전극과 부극 집전체 및 부전극과의 사이에 전해질 이온의 전도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을 배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극과 부전극을 위에서 본 형상이 각각 빗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살 부분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이 전지 형성 전에는 그 고체 전해질 전구체가 액상이고, 상기 액상의 고체 전해질 전구체를 상기 정전극과 부전극 사이에 충전하여, 그 후 고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재료가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 ㎛인 재료를 사 용하여 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재료가 그 표면에 결합제 수지층을 갖고, 이 결합제 수지층 내에 도전 재료가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재료의 입자가 단핵이 아니라 클러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재료의 입자 및 도전성 재료를 결합제 수지 내에 내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기판의 한쪽 측면 상에 상기 정극 집전체와 부극 집전체를 교대로 형성하고, 상기 정극 집전체 상에 정극 재료를 적층 형성하고, 상기 부극 집전체 상에 부극 재료를 적층 형성하고, 상기 각 정극 집전체 및 정전극과 부극 집전체 및 부전극과의 사이에 고체 전해질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정극 재료 및 부극 재료를 마찰 대전시키고 각각의 재료를 상기 정극 집전체 및 부극 집전체에 전압을 인가하여 쿨롱력에 의해 적층하고, 그 후 가열 또는 용매에 의해 용융하여 정전극과 부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현상시에 캐리어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현상시에 캐리어 용매를 사용하는 습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극 및 부전극을 형성한 후, 상기 정전극과 부전극 사이에 고체 전해질의 충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050109628A 2004-11-17 2005-11-16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24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32585 2004-11-17
JP2004332585A JP2006147210A (ja) 2004-11-17 2004-11-17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380A KR20060055380A (ko) 2006-05-23
KR100724657B1 true KR100724657B1 (ko) 2007-06-04

Family

ID=3657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628A KR100724657B1 (ko) 2004-11-17 2005-11-16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121342A1 (ko)
JP (1) JP2006147210A (ko)
KR (1) KR100724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4510B1 (en) * 2004-11-12 2010-09-1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On chip battery
JP4970875B2 (ja) * 2006-08-25 2012-07-11 日本碍子株式会社 全固体蓄電素子
JP5099407B2 (ja) 2006-11-30 2012-12-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池
US8691450B1 (en) 2007-01-12 2014-04-08 Enovix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batter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216712B1 (en) 2008-01-11 2012-07-10 Enovix Corporation Anodized metallic battery separator having through-pores
CN101584065B (zh) 2007-01-12 2013-07-10 易诺维公司 三维电池及其制造方法
JP5104066B2 (ja) * 2007-06-29 2012-12-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池
US8053035B2 (en) * 2007-10-26 2011-11-08 Fuelcell Energy, Inc.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865337B2 (en) * 2008-03-24 2014-10-21 Lightening Energy Modular battery, an interconnector for such batteries and methods related to modular batteries
CN101290746A (zh) * 2008-06-18 2008-10-22 北京工业大学 电子纸屏幕的图像更新方法
US8173294B2 (en) 2009-04-28 2012-05-08 Lightening Energy High voltage modular battery with electrically-insulated cell module and interconnector peripheries
US8343642B2 (en) 2009-12-31 2013-01-01 Lightening Energy High voltage modular battery with compression bladder
US8822064B2 (en) * 2009-12-31 2014-09-02 Lightening Energy Modular battery with polymeric compression sealing
US20110177383A1 (en) * 2010-01-19 2011-07-21 Lightening Energy Battery cell module for modular battery with interleaving separator
US20110200867A1 (en) * 2010-02-16 2011-08-18 Lightening Energy Modular battery with battery cell having bimetallic end plates
JP5695928B2 (ja) * 2010-04-14 2015-04-08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櫛型電極の製造方法
JP5462741B2 (ja) * 2010-08-18 2014-04-02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電池、車両および電子機器
JP6138687B2 (ja) 2010-09-09 2017-05-31 カリフォルニ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電気化学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9843027B1 (en) * 2010-09-14 2017-12-12 Enovix Corporation Battery cell having package anode plate in contact with a plurality of dies
JP5462775B2 (ja) * 2010-12-02 2014-04-02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電池、車両、rf−idタグおよび電子機器
JP5698041B2 (ja) * 2011-03-15 2015-04-08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活物質層形成装置、活物質層形成方法及び電池製造方法
CN103650204B (zh) 2011-07-11 2016-11-16 加州理工学院 用于电化学系统的新颖分隔物
US9379368B2 (en) 2011-07-11 2016-06-2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chemical systems with electronically conductive layers
US8174235B2 (en) 2011-07-25 2012-05-08 Lightening Energy System and method for recharging electric vehicle batteries
US8350526B2 (en) 2011-07-25 2013-01-08 Lightening Energy Station for rapidly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battery
US9786961B2 (en) 2011-07-25 2017-10-10 Lightening Energy Rapid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charging
JP5141805B1 (ja) * 2011-08-02 2013-0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固体二次電池、および電池システム
JP5772533B2 (ja) * 2011-11-17 2015-09-02 富士通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60077074A1 (en) 2011-12-21 2016-03-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nterconnected corrugated carbon-based network
US10110056B2 (en) 2012-02-16 2018-10-23 Lightening Energy Energy banking system and method using rapidly rechargeable batteries
CN104541349A (zh) 2012-03-05 2015-04-22 加州大学评议会 具有由互连波纹状碳基网络制成的电极的电容器
KR102035618B1 (ko) 2012-03-26 2019-10-2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축전 소자 및 축전 소자의 제작 방법, 그리고 축전 장치
US9070950B2 (en) 2012-03-26 2015-06-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wer storage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wer storage device
WO2014011722A2 (en) * 2012-07-11 2014-01-16 Jme, Inc. Conductive material with charge-storage material in voids
KR102480368B1 (ko) * 2012-08-16 2022-12-23 에노빅스 코오퍼레이션 3차원 배터리들을 위한 전극 구조들
KR101454830B1 (ko) * 2012-09-24 2014-10-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4087895A1 (ja) * 2012-12-03 2014-06-12 永浦 敦子 蓄電装置、ハイブリッド車及び電動車両
JP5686130B2 (ja) * 2012-12-27 2015-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固体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16524276A (ja) * 2013-05-10 2016-08-12 ザ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オブ イリノイ マイクロ電池用の三次元(3d)電極アーキテクチャ
FR3007207B1 (fr) * 2013-06-12 2016-09-0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Batterie secondaire plane
EP3012897B1 (en) * 2013-06-21 2017-11-29 Tokyo Ohka Kogyo Co., Lt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601485B2 (ja) * 2013-10-31 2014-10-0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用電極の製造方法、電気化学素子用電極及び電気化学素子
US9991492B2 (en) 2013-11-18 2018-06-0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eparator enclosures for electrodes and electrochemical cells
US10714724B2 (en) 2013-11-18 2020-07-1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embranes for electrochemical cells
AU2015277264B2 (en) * 2014-06-16 2019-08-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ybrid electrochemical cell
CA2968139C (en) 2014-11-18 2023-01-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orous interconnected corrugated carbon-based network (iccn) composite
EP3224878B1 (en) 2014-11-26 2023-03-08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Battery park
KR20160111709A (ko) 2015-03-17 2016-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6969A (ko) 2015-03-31 2016-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102040240B1 (ko) 2015-06-04 2019-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US10340528B2 (en) 2015-12-02 2019-07-0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Three-dimensional ion transport networks and current collec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CA3006997A1 (en) 2015-12-22 2017-06-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ellular graphene films
IL260398B (en) 2016-01-22 2022-08-01 Univ California high voltage devices
MX2018006316A (es) * 2016-01-22 2018-09-18 California Inst Of Techn Sustancias químicas, artículos arqitecturas y fabricación de baterías de iones de litio y nanotubos de carbono verticales.
BR112018069339B1 (pt) 2016-03-23 2023-12-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istema eletroquímico, e, método para fabricar um sistema eletroquímico
BR112018068945B1 (pt) 2016-04-01 2023-11-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upercapacitor,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um eletrodo funcionalizado
US11097951B2 (en) 2016-06-24 2021-08-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oduction of carbon-based oxide and reduced carbon-based oxide on a large scale
EA201990587A1 (ru) 2016-08-31 2019-07-31 Дзе Риджентс Оф Дзе Юнивёрсити Оф Калифорния Устройства, содержащие материалы на основе углерода, и их производство
JP7016503B2 (ja) * 2016-09-28 2022-02-07 株式会社 東北テクノアーチ 二次電池
DE102017201233A1 (de) * 2017-01-26 2018-07-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denlaminats für eine Festkörperbatterie
CN110892572B (zh) 2017-07-14 2023-02-17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用碳纳米点制备高导电多孔石墨烯用于超级电容器应用的简单方法
CN110869450A (zh) 2017-10-12 2020-03-06 惠普印迪戈股份公司 电子照相墨水组合物
EP3614476A1 (de) * 2018-08-23 2020-02-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Lithium-ionen-akkumulator in sandwichbauweis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3644433A1 (en) * 2018-10-24 2020-04-29 Airbus Defence and Space Battery with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a battery
JP7035983B2 (ja) * 2018-11-26 2022-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シート製造装置
US10938032B1 (en) 2019-09-27 2021-03-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osite graphene energy storage methods, devices, and systems
CN110808405A (zh) * 2019-11-15 2020-02-18 五邑大学 一种基于叉指电极结构的锂电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3769A (ja) 1982-02-03 1983-08-09 Toppan Printing Co Ltd 平板状電池
JPS59228353A (ja) 1983-06-08 1984-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扁平形電池
JPH01217858A (ja) * 1988-02-26 1989-08-31 Toshiba Corp 燃料電池電解質マトリックス層の形成方法
KR920005187B1 (en) * 1987-08-07 1992-06-29 Nippon Telegraph & Telephone Mak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y
JPH0737606A (ja) * 1992-12-08 1995-02-07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薄形鉛蓄電池の製造方法
KR19990078427A (ko) * 1998-03-31 1999-10-25 미다라이 후지오 2차 전지 및 그의 제작방법
KR20040019570A (ko) * 2002-08-28 2004-03-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멀티 2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2637A (en) * 1984-10-23 2000-02-08 Wilson; John T. R. High temperature battery
JP2552352B2 (ja) * 1989-03-09 1996-11-13 新神戸電機株式会社 密閉形鉛蓄電池
JPH05129036A (ja) * 1991-11-06 1993-05-25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密閉形2次電池
JPH05129035A (ja) * 1991-11-06 1993-05-25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薄形2次電池
US6337156B1 (en) * 1997-12-23 2002-01-08 Sri International Ion battery using high aspect ratio electrodes
JP2001223142A (ja) * 2000-02-14 2001-08-17 Daido Steel Co Ltd 固体活性炭電極の製造方法
US7579112B2 (en) * 2001-07-27 2009-08-25 A123 Systems, Inc. Battery structures, self-organizing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JP4366101B2 (ja) * 2003-03-31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3769A (ja) 1982-02-03 1983-08-09 Toppan Printing Co Ltd 平板状電池
JPS59228353A (ja) 1983-06-08 1984-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扁平形電池
KR920005187B1 (en) * 1987-08-07 1992-06-29 Nippon Telegraph & Telephone Mak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y
JPH01217858A (ja) * 1988-02-26 1989-08-31 Toshiba Corp 燃料電池電解質マトリックス層の形成方法
JPH0737606A (ja) * 1992-12-08 1995-02-07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薄形鉛蓄電池の製造方法
KR19990078427A (ko) * 1998-03-31 1999-10-25 미다라이 후지오 2차 전지 및 그의 제작방법
KR20040019570A (ko) * 2002-08-28 2004-03-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멀티 2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47210A (ja) 2006-06-08
US20060121342A1 (en) 2006-06-08
KR20060055380A (ko)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657B1 (ko)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72468B1 (ko) 이차 전지, 복합 전해질, 전지 팩 및 차량
JP6288659B2 (ja) リチウム−硫黄電池用の正極(Cathode)、リチウム−硫黄電池、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リチウム−硫黄電池用の正極の製造方法
CN101320822B (zh) 非水电解质二次电池及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正极的制造方法
KR102015174B1 (ko) 이차 전지용 전극, 이차 전지, 전지 팩 및 차량
EP2535974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6659609B2 (ja) 電極構造体、二次電池、電池パック及び車両
JP5902034B2 (ja) 非水二次電池用電解液および非水二次電池
JP6184810B2 (ja) 非水二次電池
WO2017104583A1 (ja) 全固体二次電池、全固体二次電池用電極シート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WO2012161184A1 (ja) 非水二次電池用電解液及び二次電池
JP5810014B2 (ja) 非水二次電池用電解液及び二次電池
JP5677779B2 (ja) 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7059264A (ja) 電気化学デバイス
KR100462668B1 (ko) 폴리머 전지
JP2013062038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13767499A (zh) 固体电解质膜和包含其的固态电池
JP4430778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H10208748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12138290A (ja) リチウム二次電池システム、及び当該リチウム二次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052769B2 (ja) イオン伝導性側鎖型ポリマー電解質、その前駆体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5831426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負極活物質、リチウムイオン電池、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使用方法
JP5333658B2 (ja) 電池用活物質および電池
TWI836321B (zh) 前驅溶液及包含其之改質膜與鋰系電池
JP3534348B2 (ja) 扁平型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