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620B1 -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620B1
KR100718620B1 KR1020000076914A KR20000076914A KR100718620B1 KR 100718620 B1 KR100718620 B1 KR 100718620B1 KR 1020000076914 A KR1020000076914 A KR 1020000076914A KR 20000076914 A KR20000076914 A KR 20000076914A KR 100718620 B1 KR100718620 B1 KR 100718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ent
recording
delete delete
memory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579A (ko
Inventor
요꼬따뎁페이
기하라노부유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6Storage of analogue signals in digital stores using an arrangement comprising analogue/digital [A/D] converters, digital memories and digital/analogue [D/A]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1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콘텐츠에 있어서, 콘텐츠 소거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록 장치가 개시된다.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콘텐츠 각각은 복구가능한지 아닌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조사될 수 있다. 콘텐츠 소거가 요청될 때, 소거 처리는 판정의 결과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예컨데, 마이크로폰 또는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데이터에 기초한 원 콘텐츠(original content; 즉, 기록가능하지 않은 콘텐츠)는 (사용자에 의한 특별한 승인없이는) 소거될 수 없다. 이와 반대로, CD와 같은 다른 기록 매체로부터 카피된 기록 가능한 콘텐츠는 소거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장치, 소거 처리, 기억 매체, 식별 정보, 관리 정보, 비휘발성 메모리

Description

기록 재생 장치{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실시된 기록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기록 장치의 DSP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메모리 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모리 카드에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 처리 계층구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메모리 카드에 사용되는 데이터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메모리 카드에 사용되는 디렉토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메모리 카드에 사용되는 재생 관리 파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ATRAC3 음악 데이터 파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a)∼(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 파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a)∼(c)에 도시된 데이터 파일을 사용하는 결합 편집 공정 (combine edit process)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a)∼(c)에 도시된 데이터 파일을 사용하는 분리 편집 공정(divide edit process)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재생 관리 파일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재생 관리 파일의 부가 정보 영역 INF-S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부가 정보 영역 내에 사용된 부가 정보 키 코드를 도시하는 표이다.
도 15는 부가 정보 영역 내에 사용된 부가적인 부가 정보 키 코드를 도시하는 표이다.
도 16은 부가 정보 영역 내에 사용된 부가적인 부가 정보 키 코드를 도시하는 표이다.
도 17a∼1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가 정보의 지정된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데이터 파일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attribute header) 내의 위치 "A"의 세부항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 내의 위치 "CC"의 세부항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HDD를 구비한 장치의 도면이다.
도 22는 메모리 카드로의 기록 경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메모리 카드로의 기록 경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메모리 카드로의 기록 경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콘텐츠 소거 처리를 설명하는데 참조가 될 순서도이다.
도 26은 소거 콘텐츠 ID 파일(erase content ID file)의 도면이다.
도 27은 다른 소거 콘텐츠 ID 파일의 도면이다.
도 28은 모든 소거 처리를 설명하는데 참조될 순서도이다.
도 29는 콘텐츠 기록 처리를 설명하는데 참조될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록 장치
10 : 오디오 인코더/디코더 IC
20 : 보안 IC
30 : DSP
40 : 메모리 카드
42 : 플래시 메모리
52 : 보안 블럭
201 : HDD
202 : CPU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와 같은 콘텐츠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에 사용하기 위한 처리 기술 또는 기록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EEPROM이라고 하는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에서, 데이터의 1비트는 2개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기억된다. 이 2개의 트랜지스터 구성은 EEPROM 회로가 그들의 집적 밀도를 제한하는 비교적 큰 집적 회로 표면 영역을 요청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메모리 밀도 제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비트가 하나의 트랜지스터만을 사용하여 기억되고 모든 비트가 동시에 소거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가 개발되었다. 이 플래시 메모리는 자기 디스크 및 광 디스크와 같은 그러한 기록 매체와 대체되는 것으로 기대된다.
탈착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카드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메모리 카드는 CD(콤팩트 디스크) 및 MD(미니 디스크)와 같은 종래의 디스크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에 부가하여 다양한 파트 또는 형태의 콘텐츠가 기록 장치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 카드와 같은 하나의 기록 매체 상에 함께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록 장치는 하나의 콘텐츠로서 CD 또는 MD로부터 재생되거나 또는 통신 또는 방송 수단에 의해 배포된 음악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서, 기록 장치는 하나의 콘텐츠로서 마이크로폰을 통해 캡쳐된 음성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음성 데이터 기록 용량은 오디오 메모를 취하고, 회의 등을 기록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는 하나의 콘텐츠로서, 정지 카메라 및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정지 영상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게다가, 기록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사용될 콘텐츠로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가 하나의 메모리 카드 상에 기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메모리 카드가 꽉 차거나 또는 많은 형태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어떤 콘텐츠가 소거되는지를 판정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콘텐츠를 소거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소거될 콘텐츠를 체크해야 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비교적 쉽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콘텐츠를 소거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 기록 또는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제1 기억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가 복원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장치, 및 판정 결과에 따라 기억된 데이터에 대한 소거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지정된 부분의 콘텐츠를 소거하라는 요청을 수신할 때, 위에 언급된 제어 장치는 이러한 부분의 콘텐츠가 판별 장치에 의해 복원가능하거나 재기록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지정된 부분의 콘텐츠에 대해 소거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판별 장치에 의해 복원가능하거나 재기록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소거 불 능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지정된 부분의 콘텐츠가 소거 불능된 경우, 제어 장치는 지정된 콘텐츠가 소거 불능되었다는 통지를 제공하도록 통지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지정된 부분의 콘텐츠를 소거하기 위한 명령이 통지 처리후에 수신된 경우, 지정된 부분의 콘텐츠에 소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지정하지 않은 부분의 콘텐츠를 소거하라는 요청을 수신할 때, 제어 장치는 판별 장치에 의해 복원가능하거나 또는 재기록 가능한 것으로 판별된 콘텐츠에 대해 소거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판별 장치에 의해 복원가능하거나 또는 재기록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소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다.
위에 언급된 기억 또는 기록 매체의 기억 용량이 콘텐츠를 기록하는데 있어서 낮아지는 경우, 제어 장치는 판별 장치에 의해 복원가능한 또는 재기록 가능한 것으로 판별된 콘텐츠에 대해 소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재기록가능하지 않은 형태의 콘텐츠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쳐된 오디오 데이터 및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비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재기록가능하지 않은 형태의 콘텐츠는 다른 기록 매체로부터 해당 기록 매체에 카피되는 데이터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일 수 있다.
재기록 가능한 또는 재기록가능하지 않은 형태의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는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될 수 있다. 재기록 가능한 형태의 콘텐츠가 얻어진 기록 매체를 식별하는 식별자는 부가 정보로서 해당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국제 기준 기록 코드(ISRC)일 수 있다. 부가 정보는 콘텐츠가 기록된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발생된 식별자일 수 있다. 또한, 재기록 가능한 형태의 콘텐츠에 소거 처리를 실행할 때, 제어 장치는 부가 정보가 기록 매체 상에 남도록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폰 또는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원 콘텐츠(original content)일 수 있는 재기록가능하지 않은 형태의 콘텐츠는 소거에 대해 보호될 수 있다. 반대로, 다른 디스크로부터 카피될 수 있는 재기록 가능한 형태의 콘텐츠는 우선적으로 소거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보다 쉽게 소거하도록 하고 번거로운 또는 시간 소모적인 조작을 줄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재기록 가능한 형태의 콘텐츠가 소거될 때, 그 콘텐츠의 부가 정보는 소거되지 않고 기록 매체 상에 남아 그 콘텐츠에 대한 후속적인 기록 처리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대응하는 부분이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는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기록 매체로서 비휘발성 메모리(또는 플래시 메모리)에 기초한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기록 장치는 상기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실시예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데이터 콘텐츠는 (음악 데이터와 같은)오디오 데이터, (구술 음성과 같은)음성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및/또는 정지 영상 데이터와 같은)비디오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재기록 가능한 형태의 콘텐츠는 (음악 데이터와 같은)오디오 데이터)이고, 재기록이 가능하지 않은 형태의 콘텐츠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쳐된 구술 음성 데이터와 같은)음성 데이터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재기록 가능한 형태 및 재기록 가능하지 않은 형태의 콘텐츠에 한정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다음의 순서로 설명될 것이다.
1. 기록 장치의 구성
2. 메모리 카드의 구성
3. 파일 시스템
3-1. 처리 구조 및 데이터 구조
3-2. 디렉토리 구조
3-3. 관리 구조 및 편집 구성
3-4. 재생 관리 파일
3-5. 데이터 파일
4. HDD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구성
5. 메모리 카드로의 다양한 기록 경로 및 콘텐츠 공급원의 식별 정보
6. 콘텐츠 소거 처리
7. 모든 소거 처리
8. 기록하기 위한 콘텐츠 소거 처리
1. 기록 장치의 구성
도 1은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콘텐츠를 메모리 카드에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기록/재생 장치(이후부터는 기록 장치 1로 나타냄)의 구성을 도시한다. 기록 장치(1)는 기록 매체로서 분리 가능한(detachable) 메모리 카드를 사용한다. 기록 장치(1)는 독립형(stand-alone) 오디오 디바이스로 구성되거나 퍼스널 컴퓨터 또는 오디오/시각 디바이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기록 장치는 풀-크기 랙 구성요소(full-size rack component) 또는 휴대 가능한 유닛일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는 증폭기, 스피커, CD 플레이어, MD 기록 장치, 튜너 등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들과 함께 오디오 시스템으로 집적될 수 있다. 집적될 경우, 기록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내의 플로피 디스크 구동 및 CD-ROM 구동과 유사한 위치를 갖는 메모리 카드 구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위해 기록 매체로서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는 비디오 카메라 또는 게임 기계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에 관계없이, 기록 장치는 위성 시스템, 디지털 방송, 또는 인터넷을 통해 공급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중 임의의 것에서도 실현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기록/재생 장치로서 기록 장치(1)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기록 장치(1)는 오디오 인코더/디코더 IC(10), 보안 IC(20),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30)를 구비하며, 각각은 단일 IC 칩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메모리 카드(40)는 기록 장치 상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메모리 카드는 플래시 메모리(비휘발성 메모리), 메모리 제어 블럭, 및 DES(Data Encryption Standard) 암호화 회로를 포함하는 보안 블럭으로 구성되며, 모두 하나의 IC 칩 내에 구현된다. 이전의 설명으로부터, DSP(30) 대신에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동등물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오디오 인코더/디코더 IC는 오디오 인터페이스(11) 및 인코더/디코더 블럭 (12)을 가진다. 인코더/디코더 블럭은 디지털 신호를 효율적으로 암호화하여 메모리 카드(40)에 기록하고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해독한다. 미니 디스크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고효율을 위해 개선된 ATRAC(ATRAC3으로 표시되는 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가 사용된다. ATRAC3에서, 44.1 KHz로 샘플되는 16 비트 폭의 오디오 데이터가 처리된다. ATRAC3에 의해 처리되는 최소한의 오디오 데이터 유닛은 음성 유닛 SU이다. SU는 약 23ms의 플레이 시간을 커버하면서 수백 바이트로 압축된 1,024 샘플 데이터(1,024 x 16 비트 x 2 채널)이다. 오디오 데이터는 ATRAC3에 의해 초기 데이터 크기의 약 1/10로 압축된다. ATRAC3의 신호 처리는 압축 및 압축해제 처리에서의 개선에 의해 톤 품질(tone quality)의 저하를 최소화한다.
라인 입력 선택기(13)는 MD 재생 출력, 튜너 출력, 또는 데이프 재생 출력을 A/D 변환기(14)로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A/D 변환기(14)는 선택된 라인 입력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샘플링 주파수 = 44.1 KHz, 1 샘플 = 16 비트)로 변환한다.
디지털 입력 선택기(16)는 디지털 입력 수신기(17)에게 MD, CD, 또는 CS(위성 디지털 방송)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디지털 입력들은 보통은 광 케이블을 통해서 전송된다. 디지털 입력 수신기의 출력은 샘플링 레이트 변환기(15)에 공급되 는데, 여기서 디지털 입력의 샘플링 주파수가 44.1 KHz로 변환된다.
오디오 인코더/디코더 IC(20)의 인코더/디코더 블럭(12)에서 암호화되어 획득된 데이터가 보안 IC(20)의 인터페이스(21)를 통해서 DES 암호화 회로(22)로 공급된다. DES 암호화 회로는 FIFO(23)를 구비하였다. DES 암호화 회로(22)는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메모리 카드(40)는 또한 DES 암호화 회로를 포함하는데 이는 다음에 설명한다. 기록 장치(1)의 DES 암호화 회로(22)는 둘 이상의 마스터 키 및 디바이스 고유의 기억키(device-unique storage key)를 구비하였다. 또한, DES 암호화 회로는 메모리 카드와 인증(authentication) 및 세션 키를 공유하기 위해 난수 발생기(random number generator)를 구비하였다. DES 암호화 회로는 기억키를 사용해서 키를 턴온할 수 있다.
DES 암호화 회로에 의해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30)에 공급된다. DSP(30)는 부착된 어댑팅용 메커니즘(도시 안됨)을 통해서 메모리 카드(40)와 통신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한다. 직렬 통신이 DSP 및 메모리 카드 사이에서 수행된다. 메모리 카드를 제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메모리 크기를 할당하기 위해 외부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31)이 DSP에 접속된다.
DSP는 또한 터미널(32)에 접속되는 데, 이 터미널을 통해서 콘텐츠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외부 회로 블럭(도시 안됨)으로 전달된다. DSP 는 도 2에 도시된 인터페이스(37)를 통해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인터페이스(37) 및 터미널(32)은 수 많은 통신 표준들과 호환되는데, 이런 것에는 USB, IEEE1394, IEC958, 직렬 포트 및 병렬 포트 등이 있다. 이는 기록 장치가 퍼스널 컴퓨터 및 오디오/시각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만약 기록 장치(1)가 퍼스널 컴퓨터 또는 오디오/시각 디바이스 내에 포함되었다면, 인터페이스(37) 및 터미널(32)이 퍼스널 컴퓨터 또는 오디오/시각 디바이스 내의 시스템 제어기에 접속되는 내부 버스로서 구성된다.
터미널(32)에 접속된 디바이스 또는 블럭으로부터 여러가지의 데이터가 DSP (30)로 공급된다. 예를 들어, 기록 장치가 오디오 시스템 또는 컴퓨터 시스템의 일부분이라면 오디오 시스템 또는 컴퓨터 시스템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외부 시스템 제어기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기록 및 플레이 백 명령을 제공한다. 이미지 정보 및 텍스트 정보와 같은 부가 정보 데이터가 터미널을 통해서 DSP로 또한 공급된다.
또한, DSP(30)는 메모리 카드(40)에서 판독된 부가 정보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시스템 제어기에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 여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조작 블럭(39) 및 여러 종류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 표시 블럭(33)을 보여준다. 이런 블럭들은 기록 장치가 독립형 유닛으로 구성되었을 때 필요하다. 기록 장치가 퍼스널 컴퓨터에 포함되었다면 조작 블럭(39)과 표시 블럭(33)은 DSP 에 직접 접속될 필요는 없다. 즉, 독립형 구성예에서 DSP는 조작 블럭으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고 표시 블럭을 제어한다. 내장된 구성에서는 호스트 디바이스의 시스템 제어기가 이런 제어 조작을 실행하여, 요청하는 바에 따라 조작 정보를 DSP에 공급하고 DSP로부터 표시될 콘텐츠를 표시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40)로부터 DSP에 의해 판독된 정보로써, 보안 IC(20)에 의해 해독되고 해독된 오디오 데이터는 그후 오디오 인코더/디코더 IC(10)에 의해 ATRAC3 방식으로 해독된다. 오디오 인코더/디코더 IC의 해독된 출력은 D/A 변환기(18)에 공급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라인 출력 터미널(19)로 출력된다. 라인 출력은 증폭기(도시안됨)로 전송되어 스피커 또는 헤드폰을 통해서 재생된다.
뮤팅 신호가 외부 제어기로부터 D/A 변환기로 공급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뮤팅 신호가 뮤팅이 온(on)되는 상태를 표시하면 라인 출력 터미널(19)로부터의 오디오 출력은 억제된다. 도 1은 라인 출력 터미널(19)을 도시하였다. 디지털 출력 터미널, 헤드폰 터미널 등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콘텐츠 데이터는 또한 상기 설명한 대로 터미널(32)를 통해서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될 수 있다.
도 2는 DSP(3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였다. DSP(30)는 코어(34), 플래시 메모리(35), SRAM(36), 인터페이스(37),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38), 버스들, 및 인터-버스 브리지로 구성된다. DSP는 코어(34)가 CPU에 해당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처럼 기능한다. 플래시 메모리는 DSP 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SRAM(36) 및 SRAM(31)은 여러가지의 처리 조작에 필요한 작업 메모리로 사용된다.
DSP(30)는 인터페이스(37)를 통해서 수신된 기록 명령 또는 조작 블럭(39)으로부터의 입력과 같은 조작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판정되고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 터 및 미리 판정된 부가 정보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40)에 기입하고 이런 데이터의 처리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DSP(30)는 메모리 카드를 제어하기 위해 기록/재생 오디오 데이터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해석한다.
메모리 카드의 파일 관리는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에 쓰이는 FAT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 파일 시스템에 부가하여 본 실시예는 또한 재생 관리 파일을 사용한다. 이 재생 관리 파일은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데이터 파일을 관리한다. 재생 관리 파일은 모든 오디오 데이터 파일들을 조정하는 제1 파일 관리자로서 작용한다. FAT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과 재생 관리 파일을 포함한,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된 모든 파일들을 조정하는 제2 파일 관리자로서 작용한다. 재생 관리 파일은 메모리 카드 상에 기록된다. FAT는 루트 디렉토리와 함께, 팩토리 (factory)로부터의 적하 전에 플래시 메모리 상에 기입된다.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한 ATRAC3를 암호화한다. 그러나, 관리 파일들은 저작권으로 보호될 것으로 생각되지 않기 때문에 암호화하지 않는다. 더욱이, 메모리 카드(40)의 소정의 버전들만이 암호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저작권 보호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들은 암호화 기능들을 갖는 이러한 메모리 카드 만을 이용할 수 있다.
2. 메모리 카드의 구성
도 3은 메모리 카드(4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메모리 카드는 하나의 IC 칩 상에서 제어 블럭(41)과 플래시 메모리(42)로 이루어진다.
DSP(30)와 메모리 카드 사이의 양방향 직렬 인터페이스는 10개의 라인들로 구성된다. 4개의 메인 라인들은 클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클럭 라인 SCK, 상태 라인 SBS,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 DIO, 및 인터럽트 라인 INT이다. 또한, 2개의 접지 라인들 GND과 2개의 공급 라인들 VCC이 전원에 배열된다. 2개의 보류 라인들은 정의되지 않는다.
클럭 라인 SCK은 데이터와 동기화되는 클럭 신호를 전송한다. 상태 라인 SBS은 메모리 카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한다. 데이터 라인 DIO은 명령을 입출력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인터럽트 라인 INT은 메모리 카드에 의한 인터럽트 요청에 응답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DSP(30)로 전송한다. 인터럽트 신호는 또한 메모리 카드가 기록 장치 내에 장착될 때 발생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럽트 라인 INT을 접지하여 인터럽트 신호가 데이터 라인 DIO을 통해 전송되도록 한다.
직렬/병렬 변환 및 병렬/직렬 변환 인터페이스 블럭(S/P & P/S IF 블럭; 43)은, 상술한 라인들을 통해 상호접속하는, DSP와 제어 블럭(41)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조작한다. S/P & P/S IF 블럭은 DSP로부터 수신된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제어 블럭에 제공한다. 또한, 이는 제어 블럭으로부터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DSP로 제공한다. 또한, S/P & P/S IF 블럭은 데이터 라인 DIO을 통해 명령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수신된 명령과 데이터를 표준(normal) 액세스용 및 암호용으로 분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라인에 의해 사용된 포맷에서는, 명령들이 먼저 전송되고, 이어서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 S/P & P/S IF 블럭은 명령 코드를 검사하 여 전송된 명령이나 데이터가 표준 액세스용인지 또는 암호화용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코드에 따라, 표준 액세스 명령은 명령 레지스터(44)에 기억되고 표준 액세스 데이터는 페이지 버퍼(45)와 기입 레지스터(46)에 기억된다. 오류 정정 인코딩 회로(47)는 기입 레지스터와 연관되어 있다. 데이터를 페이지 버퍼에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해, 오류 정정 인코딩 회로는 오류 정정 코드를 발생한다.
명령 레지스터, 페이지 버퍼, 기입 레지스터 및 오류 정정 인코딩 회로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플래시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시퀀서(메모리 IF 시퀀서; 51)에 공급된다. 메모리 IF 시퀀서는 제어 블럭과 플래시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로서 작용한다. 메모리 IF 시퀀서를 통해, 데이터는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된다.
저작권 보호를 목적으로,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하고자 하는 콘텐츠(ATRAC3에 의해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이후 ATRAC3 데이터라 함)는 보안 IC(20) 및 메모리 카드의 보안 블럭(52)에 의해 암호화된다. 보안 블럭은 버퍼 메모리(53), DES 암호화 회로(54) 및 비휘발성 메모리(55)를 포함한다. 보안 블럭은 다수의 인증키들과 각각의 메모리 카드에 대해 유일한 기억키를 갖는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암호화에 필요한 키들을 기억하며 외부로부터 액세스할 수 없다. 기억키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다.
또한, 보안 블럭(52)은, 다른 기록 장치와의 인증을 수행하게 하고 섹션 키들을 분할가능하게 하는 난수 발생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먼저 메모리 카드가 기록 장치 안에 장착될 때 인증이 수행된다. 이러한 인증은 보안 IC와 메모리 카 드의 보안 블럭에 의해 행해진다. 기록 장치가 장착된 메모리 카드를 인식하고 이 메모리 카드가 기록 장치를 인식할 때 상호 인증이 수행된다. 인증이 성공적으로 행해지면, 기록 장치와 메모리 카드는 각각 섹션 키를 발생한다. 섹션 키들은 인증이 행해지는 모든 시간에 발생된다.
메모리 카드에 콘텐츠가 기입될 때, 기록 장치는 이 섹션 키를 사용하여 콘텐츠 키를 암호화하고, 이 암호화된 콘텐츠 키를 메모리 카드에 전달한다. 그 다음 메모리 카드는 수신된 콘텐츠 키를 암호화하고, 이를 기억키에 의해 재암호화하여, 이 재암호화된 콘텐츠를 기록 장치에 전달한다. 기억키는 각각의 메모리 카드에 유일한 것이다. 재암호화된 콘텐츠 키를 수신하면, 기록 장치는 재암호화된 콘텐츠 키와 암호화된 콘텐츠를 메모리 카드에 기입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포맷을 실행한다.
플래시 메모리(42)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때, 판독 데이터는 메모리 IF 시퀀서(51)를 통해 페이지 버퍼(45), 판독 레지스터(48), 및 오류 정정 회로(49)로 제공된다. 페이지 버퍼 내에 기억된 데이터는 오류 정정 회로에 의해 정정된다. 페이지 버퍼로부터의 오류-정정된 출력과 판독 레지스터의 출력은 S/P & P/S IF 블럭(43)으로 제공된 다음 상술한 직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DSP(30)로 제공된다.
데이터가 판독될 때, 기억키에 의해 암호화된 콘텐츠 키와, 블럭키에 의해 암호화된 콘텐츠가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판독된다. 그 후, 콘텐츠 키는 기억키를 사용하여 보안 블럭에 의해 해독된다. 해독된 콘텐츠 키는 기록 장치로 전송되기 위해 세션(session) 키에 의해 암호화된다. 기록 장치는 수신된 세션 키를 사용하 여 콘텐츠를 해독한다. 그 후, 기록 장치는 해독된 콘텐츠 키를 사용하여 블럭키를 생성한다. 이 블럭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ATRAC3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해독된다.
구성 ROM(50)은 메모리 카드의 버전 정보 및 여러 속성 정보를 기억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메모리 카드는 또한, 잘못된 삭제로부터 메모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스위치(60)를 갖는다. 스위치가 삭제될 수 없는 위치에 있을 때, 플래시 메모리는 삭제 명령이 기록 장치로부터 오더라도 삭제될 수 없다.
발진기(61)는 메모리 카드에 의한 처리를 위한 타이밍 기준의 역할을 하는 클럭 신호를 발생한다.
3. 파일 시스템
3-1. 처리 구조 및 데이터 구조
도 4는 메모리 카드(40)를 사용한 기록 매체에 대한 파일 시스템 처리 계층 구조를 도시한다. 상부부터 시작하자면, 어플리케이션 처리층, 파일 관리 처리층, 논리 어드레스 관리층, 물리 어드레스 관리층, 및 플래시 메모리 액세스 층이 있다. 이러한 계층 구조 내에서, 파일 관리 처리층은 FAT 파일 시스템이다. 물리 어드레스가 플래시 메모리의 캐시 블럭에 주어진다. 블럭과 블럭의 물리 어드레스 간의 관계는 고정되어 있다. 또한, 논리 어드레스가 여러 블럭들에 지정될 수 있으며, 파일 관리 처리층에 의해 다루어진다.
도 5는 메모리 카드(40)의 플래시 메모리(42) 내의 데이터의 물리적 구조 예 를 도시한다. 플래시 메모리에서, 데이터는 소정 갯수의 고정된 길이 블럭들로 분할되는 세그먼트들로 구성되며, 각 블럭은 소정 갯수의 고정된 길이 페이지(page)들로 분할된다. 플래시 메모리에서, 블럭 베이시스 상에서 데이터가 삭제되고 페이지 베이시스 상에서 판독되거나 기입된다.
하나의 블럭은 페이지 0 부터 m까지로 구성된다. 블럭은 8 또는 16 KB 폭을 갖는다. 하나의 페이지는 512 바이트 폭을 갖는다. 따라서, 전체 플래시 메모리는 대체로 그 크기가 4MB(512 블럭들) 내지 64MB(4,096 블럭들)이다.
각 페이지는 512-바이트 데이터 부분과 16-바이트 여분(redundant) 부분으로 구성된다. 여분 부분의 첫 번째 3 바이트는 블럭 상태, 페이지 상태, 및 갱신 상태가 기입된 3-바이트의 오버라이트된 부분을 형성한다. 여분 부분의 나머지 13 바이트들은 데이터 부분의 콘텐츠에 따라 정해진다. 이들 13 바이트들은 관리 플래그(1 바이트), 논리 어드레스(2 바이트), 포맷 보류 영역(5 바이트), 및 이산 정보 ECC(2 바이트)를 포함한다. 이산 정보 ECC는 관리 플래그, 논리 어드레스, 및 포맷 보류에 대한 에러 정정 데이터이다. 데이터 ECC는 512-바이트 데이터용 에러 정정 데이터이다.
관리 플래그 바이트에서, 시스템 플래그(1=사용자 블럭, 0=부트(boot) 블럭), 변환 표 플래그(1=무효, 0=표 블럭), 카피 금지 명세(1=금지되지 않음, 1=금지됨), 및 액세스 허가(1=프리(free), 0=보호되어 판독됨)이 기록된다.
각 세그먼트의 첫 번째 2 블럭들, 즉 블럭 0 및 블럭 1은 부트 블럭을 형성한다. 블럭 1은 동일한 데이터를 갖고 블럭 0으로 백업된다. 부트 블럭은 메모리 카드에서 첫 번째로 유효한 블럭이고, 따라서 메모리 카드가 장치에 로딩될 때 모든 다른 블럭들에 앞서 액세싱된다. 잔류 블럭들은 사용자 블럭들이다. 부트 블럭의 제1 페이지(페이지 0)는 헤더, 시스템 엔트리, 및 부트/속성 정보를 기억한다. 페이지 1은 사용 불가 블럭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페이지 2는 CIS(Card Information Structure)/IDI(Identity Drive Information)를 기억한다. 부트 블럭의 헤더는 부트 블럭 ID 및 부트 블럭 내의 유효 엔트리의 개수를 기록한다. 시스템 엔트리는 사용 금지 블럭 데이터의 개시 위치, 크기 및 형태와, CIS/IDI의 데이터 개시 위치, 크기 및 형태를 기록한다.
부트 및 엔트리 정보는 메모리 카드(40)의 형태(판독 전용, 판독 및 기록 가능, 하이브리드), 블럭 크기, 블럭의 총 개수, 보안 컴플라이언스 및 카드의 생산과 관련된 데이터(제조일 등)를 기록한다.
플래시 메모리는 데이터가 기입될 때마다 절연막이 열화되기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기입될 수 있는 회수는 제한된다. 따라서, 동일한 기억 영역(블럭)을 반복적, 집중적으로 액세스하는 것은 금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논리 어드레스를 가지며 물리 어드레스에 기억된 데이터를 재기입할 때,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가 동일한 블럭에 기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갱신된 데이터를 미사용 블럭에 기입한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갱신 이후에 논리 어드레스와 물리 어드레스 간의 상관 관계가 변한다. 이러한 처리(교환 처리로 칭함)는 동일한 블럭으로의 반복적, 집중적인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의 유효 수명이 증가한다.
논리 어드레스는, 데이터가 갱신 동안 블럭을 변경하고, FAT에 의해 동일한 어드레스로 보여지도록 데이터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그 후에 적절한 액세스를 보장한다. 교환 처리는 논리와 물리 어드레스 간의 상관 관계에 변화를 유발하므로, 논리-물리 어드레스 변환표가 요구된다. 이러한 변환표를 보면, FAT에 의해 지정된 논리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물리 어드레스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식별된 물리 블럭에 의해 지정된 블럭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논리-물리 어드레스 변환표는 DSP(30)에 의해 SRAM(31 내지 36)에 기억된다. 이들 SRAM이 표를 기억할만큼 충분한 공간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될 수 있다. 이 변환표는, 논리 어드레스를 그 물리 어드레스에 따라 오름 차순으로 나열한다. 플래시 메모리의 최대 크기는 128MB(8,192 블럭)이므로, 8,192 어드레스가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논리-물리 어드레스 변환표는 각 세그먼트별로 관리되므로, 플래시 메모리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변환표의 크기도 증가한다.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의 크기가 8MB(2 세그먼트)인 경우, 각 세그먼트의 2 페이지가 논리-물리 어드레스 변환표에 이용된다.
논리-물리 어드레스 변환표를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경우, 각 페이지의 여분 부분에 있는 관리 플래그의 선정된 비트는 그 표가 기억되어 있는 블럭을 나타낸다.
상술한 메모리 카드는 퍼스널 컴퓨터 및 디스크 기억 매체에서 이용되는 FAT 시스템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메모리 카드는 플래시 메모리 상에 배열되 어 있는 IPL 영역, FAT 영역 및 루트 디렉토리 영역을 포함한다. IPL 영역은 메모리에 최초로 로딩되는 프로그램의 어드레스와, 메모리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기억한다. FAT 영역은 블럭(클러스터)과 관련된 정보를 기억한다. FAT는 미사용 블럭, 다음 블럭 번호, 결함 블럭 및 최종 블럭을 나타내는 값들을 지정한다. 루트 디렉토리 영역은 디렉토리 엔트리(파일 속성, 갱신 날짜, 개시 클러스터 및 파일 크기)를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메모리 카드의 포맷에 의해 지정된 파일 관리 시스템과는 별도로, 음악 파일의 트랙과 각 트랙을 구성하는 파트들을 관리하기 위한 재생 관리 파일이 제공된다. 이 재생 관리 파일은 메모리 카드의 사용자 블럭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된다. 결과적으로, 메모리 카드 내에 기억된 FAT가 손상되면, 파일 복구가 보장된다.
재생 관리 파일은 DSP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어, 기록 장치에 최초로 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 카드가 로드되는지가 판정된다. 메모리 카드가 로드된 경우 인증이 실행된다. 메모리 카드가 컴플라이언트 메모리 카드인 것이 발견되면, 플래시 메모리의 부트 블럭이 DSP로 판독된다. 그 다음, 논리-물리 어드레스 변환표가 판독된다. 판독된 데이터는 SRAM 내에 기억된다. 메모리 카드가 사용자에게 최초의 것인 경우, FAT 및 루트 디렉토리가 탑재 이전에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된다.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기록되면, 재생 관리 파일이 생성된다.
특히, 사용자에 의해 기록 명령이 DSP에 주어지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는 인코더/디코더 IC에 의해 압축되고, 그 결과 생성된 ATRAC3 데이터는 보안 IC에 의 해 암호화된다. DSP는 암호화된 ATRAC3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하고, 그 다음 FAT 및 재생 관리 파일이 갱신된다.
파일 갱신 조작이 실행될 때마다(즉,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이 개시 및 종료될 때마다), FAT 및 재생 관리 파일이 SRAM 상에 재기입된다. 그 다음, 메모리 카드가 기록 장치로부터 분리되거나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최종 FAT와 재생 관리 파일은 SRAM으로부터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된다. 이 경우, FAT 및 재생 관리 파일은,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이 개시 및 종료될 때마다 오버라이트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가 편집되어 있는 경우, 재생 관리 파일의 콘텐츠는 갱신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플래시 메모리에서 부가 정보 파일을 생성한다. 이 부가 정보 파일이 재생 관리 파일의 부분이거나 그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만 한다.
부가 정보는 외부 제어기로부터 버스와 버스 인터페이스(32)를 통하여 DSP에 주어진다. DSP는 수신된 부가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한다. 부가 정보는 보안 IC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암호화되지 않는다. 부가 정보는 메모리 카드가 기록 장치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혹은 전원 오프되었을 때, DSP의 SRAM으로부터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된다.
3-2. 디렉토리 구조
도 6은 디렉토리 구성 또는 메모리 카드(40)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시된 것처럼, 루트 디렉토리의 뒤로 정지 영상 디렉토리, 동영상 디렉토리, 음성 디렉토리, 제어 디렉토리, 및 음악 디렉토리(HIFI)가 따른다. 이 디렉코리들 각각은 콘 텐츠 데이터 파일과, 그 콘텐츠 데이터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파일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파일을 갖는 폴더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의 목적으로, 다음의 기술은 음악 디렉토리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재생하는 것을 설명할 것이다.
음악 디렉토리는 두 가지 유형의 파일을 가진다. 하나는 재생 관리 파일 PBLIST.MSF(이하에서는 간단히 PBLIST로써 언급됨)이다. 다른 것은 암호화된 음악 데이터를 기억하는 ATRAC3 데이터 파일 A3Dnnn.MSA(이하에서는 간단히 A3Dnnn로써 언급됨)이다.
400 ATRAC3 까지의 데이터 파일이 가능하다. 각 ATRAC3 데이터 파일이 생성되고, 그후 재생 관리 파일에 등록된다.
정지 영상 디렉토리(DCIM)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파일과, 이 데이터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재생 관리 파일을 기억할 수 있다. 동영상 디렉토리 (Moxxxxnn)는 동적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파일과, 이 데이터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재생 관리 파일을 기억할 수 있다. 이 디렉토리들은 정지 카메라와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캡쳐되고 DVD와 같은 디스크 매체로부터 카피되는 정지 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의 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음성 디렉토리(VOICE)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쳐된 음성 신호를 갖는 데이터 파일과, 이 데이터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재생 관리 파일을 기억할 수 있다.
3-3. 관리 구조 및 편집 구성(scheme)
재생 관리 파일 PBLIST와, 음악 디렉토리(HIFI)에서 형성되는 ATRAC3 데이터 파일 A3Dnnnn을 지금부터 설명한다.
도 7은 재생 관리 파일의 구조 또는 구성을 보여준다. 재생 관리 파일은 16KB의 고정된 길이를 가지고, 헤더, 1-바이트 메모리 카드명(HM1-S), 2-바이트 코드 메모리 카드명(NM2-S), 음악의 곡들이 배열되어 있는 순서를 나열하는 재생 테이블(TRKTBL), 및 전체 메모리 카드에 대한 부가 정보(INF-S)로 구성된다.
도 8은 ATRAC3 데이터 파일(음악 한 곡에 대하여)의 구조 또는 구성을 보여준다. ATRAC3 데이터 파일(이하에서는 간단히 데이터 파일로써 언급됨)은 각 음악 곡을 위해 제공되며, 암호화된 음악 데이터가 뒤따르는 속성 헤더로 구성된다. 속성 헤더는 16KB의 고정된 길이를 가지고, 재생 관리 파일의 것과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도 8에 도시된바와 같이, 데이터 파일의 개시부에서 속성 헤더는 헤더, 1-바이트 코드 음악명(NM1), 2-바이트 코드 음악명(NM2), 트랙 키 정보와 같은 트랙 정보(TRKINF), 파트 정보(PRTINF), 및 트랙 부가 정보(INF)로 구성된다. 헤더는 파트, 이름 속성, 부가 정보의 크기, 등의 총수를 포함한다. 이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 속성 헤더의 뒤로 ATRAC3 음악 데이터가 따른다. 음악 데이터는 16-KB 블럭으로 분리되며, 각 블럭은 헤더에서 개시한다. 헤더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한 초기값을 포함한다. 암호화는 오직 음악 데이터에서만 수행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만 한다.
도 9의 (a)∼(c)를 참조로 하여, 음악(트랙)과 ATRAC3 데이터 파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것이다. 하나의 트랙은 음악 한 곡을 나타내고, ATRAC3 데이터 파 일로 구성된다(도 8 참조). ATRAC3 데이터 파일은 ATRAC3 구성에 의해 압축된 ATRAC3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한다.
데이터는 클러스터 베이시스 위의 메모리 카드 상에 기록된다. 각 클러스터는 16KB이다. 단일 파일 이상을 갖는 클러스터는 없다. 플래시 메모리를 소거하는 최소 단위는 하나의 블럭이다. 음악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의 경우에, 블럭과 클러스터는 동의어이며, 하나의 클러스터는 섹터로서 정의된다.
음악 한 곡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파트로 구성된다. 음악 곡이 편집될 때, 그것은 둘 이상의 파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파트는 기록의 개시로부터 그의 끝까지 연속되는 시간에서 기록되는 데이터의 단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트랙은 하나의 파트로 구성된다.
한 개의 콘텐츠가 둘 이상의 파트들을 가질 때, 파트들 사이의 연결은 음악의 각 곡의 속성 헤더에서 파트 정보 PRTINF(이후에 기술됨)에 의해 관리된다. 즉, 파트 크기는 PRTINF에서 파트 크기 PRTSIZE로 칭해지는 4-바이트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파트 크기 PRTSIZE의 최초 2 바이트는 그 파트를 위한 총 수를 나타낸다. 후속하는 바이트는 개시 및 종료 클러스터에서 개시 음성 단위(SU로써 축약됨)와 끝 SU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파트 기술 구성은 음악 데이터를 편집할 때 대량의 데이터를 이동하는 필요성을 제거한다. 음악 데이터가 블럭 단위로만 편집되면 불필요한 데이터 이동이 회피될 수 있다. 그러나, 블럭들은 효율적으로 편집되기에는 너무 크다.
SU는 ATRAC3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압축될 때 사용되는 최소 파트 단위 및 최소 데이터 단위이다. 각 SU는 오디오 데이터(1.024 x 16 비트 x 44.1 KHz의 2 채널)를 원래 크기의 1/10로 압축함으로써 얻어진 수백 바이트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하나의 SU는 약 23 ms와 동등하다. 통상, 하나의 파트는 수천개의 SU로 구성된다. 하나의 클러스터가 42개의 SU로 구성되면, 클러스터는 약 1/2 음악을 나타낸다. 트랙을 구성하는 파트의 수는 부가 정보의 크기에 좌우된다. 파트의 수는 블럭으로부터 헤더, 음악명 및 부가 정보 데이터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진 수에 의해 판정되어, 파트의 최대수(645)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의 (a)∼(c)는 CD로부터 연속적으로 기록된 2개의 음악 곡들의 파일 구성을 도시한다. 도 9의 (a)는 하나의 곡(데이터 파일 #1)이 5개의 클러스터(CL0 내지 CL4)를 구성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9의 (c)는 2개의 곡(데이터 파일 #2)이 6개의 클러스터 (CL5 내지 CL10)를 구성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하나의 파일만이 클러스터에 기억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파일 #2은 다음 클러스터(CL5)의 개시부로부터 생성된다. 결국, 데이터 파일 #1의 종료부(음악 1의 종료부)가 클러스터 중간에 배치되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스터의 잔류 부분에는 데이터가 전혀 기록되지 않는다. 상술된 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파일 #1 및 #2는 하나의 파트를 구성한다.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데이터 파일의 경우, 4가지 종류의 편집 처리, 즉 분할, 결합, 소거 및 이동의 처리가 지정된다. 분할 처리는 파일 시스템 내의 하나의 파일을 2개로 분할하고 재생 관리 파일을 갱신한다. 결합 처리는 2개의 파일을 하나로 결합하고 재생 관리 파일을 갱신한다. 소거 처리는 트랙을 소거한다. 이동 처리는 트랙의 순서를 변화시키고 재생 관리 파일이 갱신된다.
"이동" 처리에는 데이터의 이동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편집시의 "이동"은 하나의 기록 매체로부터 다른 기록 매체로의 데이터 이동과는 다르다. 기술된 바와 같이, 기록 매체들 간의 데이터의 "이동"은 데이터를 복사한 후 그 데이터를 소스 기록 매체로부터 삭제함으로써 달성된다.
2개의 파일(도 9의 (a)∼(c)에 도시된 데이터 파일 #1 및 #2)을 결합한 결과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2개의 데이터 파일 #1 및 #2은 새로운 데이터 파일 #1로 결합된다. 새로운 데이터 파일 #1은 2 파트로 구성된다.
도 11은 클러스터 2의 중간에 1곡의 음악(도 9의 (a)에 도시된 데이터 파일 #1)을 분할한 결과를 도시한다. 분할 처리로 인해 클러스터 0 및 1 및 클러스터 2의 전단부로 구성된 데이터 파일 #1 및 클러스터 2의 후미부 및 클러스터 3 및 4로 구성된 데이터 파일 #2이 생성된다.
2개의 파일은 분할점이 되는 클러스터의 소정 위치에서의 분할 편집시 클러스터 CL2의 데이터가 먼저 클러스터 CL11로 카피될 수도 있다. 데이터 파일 #2에서, 클러스터 CL11의 분할점과 등가인 위치는 개시점이며 클러스터 CL11 이후에 클러스터 CL3 및 CL4가 후속된다. 그 결과, 분할 편집의 경우에 재생 관리 파일을 갱신하는 것 외에 새로운 클러스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파트 기술 구조가 제공되어, 파트 1의 개시부 및 종료부와 파트 2의 개시부 및 종료부가 SU 유닛으로 지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결합 처리로부터 발생된 연결을 만족시키도록 파트 2의 음악 데이터를 이동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 파트 기술의 구성에 의해 분할 처리(도 11)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파일 #2의 개시부에서의 공간이 채워지도록 데이터를 이동시킬 필요성도 없게 된다.
3-4. 재생 관리 파일
도 12에서는 재생 관리 파일 PBLIST의 상세화된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재생 관리 파일 PBLIST의 크기는 1 클러스터(1 블럭=16KB)이다. 제1의 32- 바이트는 헤더이다.
잔류 부분은 전체 메모리 카드의 이름 NM1-S (256-바이트), 이름 NM2-S (512-바이트), CONTENTS KEY, MAC, SYMDhms, 재생 시퀀스를 관리하는 테이블 TRKTBL (800-바이트), 및 전체 메모리 카드의 부가 정보 INP-S (14,720-바이트)를 포함한다. 이 파일의 종단에서, 헤더의 정보 파트가 다시 기록된다. 재생 관리 파일의 소정 위치에는 서로 다른 데이터가 배열된다.
재생 관리 파일에서는, (0×0000) 및 (0×0010)으로 표현되는 제 1의 32-바이트가 헤더이다. 파일의 개시부로부터 매 16-바이트마다를 슬롯이라 칭하는 것에 주목하자.
"보류(reserved)"이란 정의되지 않은 데이터로서, 통상적으로 널(0×00)로 표시된다. 보류 데이터는 무시된다. 보류 데이터의 위치 역시 기록-보호된다. "옵션(Option)"으로 표시된 데이터는 보류 데이터와 동일하게 처리된다. 헤더는 제1 및 제2 슬롯에 배열되며 다음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BLKID-TI,0(4-바이트)
의미 : 블럭 파일 ID.
기능 : 재생 관리 파일의 개시부를 식별하기 위한 값.
값 : "TL=0" (예를 들어, 0×544C2D30).
MC코드(2-바이트)
의미 : 메이커 코드.
기능 : 기록이 행해진 장치의 메이커 및 모델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값 : 상위 10-비트 (메이커 코드) 및 하위 6-비트(모델 코드).
REVISION(4-바이트)
의미 : 재생 관리 파일(PBLIST)이 재기입되어진 횟수.
기능 : REVISION은 재생 관리 파일이 재기입될 때마다 증분.
값 : 0에서 개시하여 1씩 증분.
SN1C+L(2-바이트)
의미 : NM1-S 영역에 기입될 메모리 카드의 이름(1-바이트)의 속성.
기능 : SN1C+L은 각각 1-바이트 길이로 사용될 문자 코드와 언어 코드.
값 : 문자 코드(C)는 아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바이트에 의해 문자를 식별.
00 : 문자 코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 2진수로서 간단히 처리
01 : ASCII 02: ASCII+KANA 03: 수정된 8859-1
81 : MS-JIS 82: KSC 5601-1989 83: GB2312-80 90: S-JIS
(음성용)
언어 코드(L) :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EBU Tech 3258마다 하위 1 바이트로 언어를 식별.
00 : 설정되어 있지 않음 08: 독어 09: 영어 0A: 스페인어, 0F: 프랑스어 15: 이탈리아어 1D: 네델란드어 65: 한국어 69:일본어 75: 중국어
데이터가 없다면, 0으로 채워짐
SN2C+L(2 바이트)
의미 : NM2-S 영역에 기록될 메모리 카드의 이름(2-바이트)의 속성.
기능 : SN2C+L은 각각 1-바이트 길이로 사용될 문자 코드와 언어 코드.
값 : 상기 SN1C+L과 동일.
SINFSIZE(2-바이트)
의미 : INF-S 영역에 기록될 전체 메모리 카드에 관련된 모든 부가 정보를 가산하여 얻어진 크기.
기능 : SINFSIZE는 16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 크기를 기술하고, 데이터가 없 으면 0으로 채움.
값 : 크기는 0×0001 내지 0×39C(924).
T-TRK(2 바이트)
의미 : 전체 트랙 번호
기능 : 전체 트랙들의 수
값 : 1 내지 0×0190(400 트랙까지); 데이터가 없으면 0으로 채움.
VerNo(2 바이트)
의미 : 포맷의 버전 번호
기능 : 상위 비트는 메이저 버전 번호를 나타내고 하위 비트는 마이너 버전 번호를 나타냄.
값 : 예 0×0100(Ver 1.0), 0×0203(Ver 2,3).
상기 헤더에 뒤따르는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NM1-S
의미 : 전체 메모리 카드에 관련된 1-바이트의 이름.
기능 : 1-바이트 문자 코드로 표현되는 가변-길이 이름 데이터(256까지). 이름 데이터는 항상 종료 코드(0×00)로 끝난다. 크기는 이 종료 코 드로부터 카운트된다. 데이터가 없으면, 개시부(0×0020)에서 적어 도 1 바이트로 널(0×00)이 기록된다.
값 : 각종 문자 코드.
NM2-S
의미 : 전체 메모리 카드에 관련된 2-바이트의 이름.
기능 : 2바이트의 문자 코드로 표현된 가변 길이 이름 데이터(512 까지). 이름 데이터는 항상 종단 코드(0×00)로 종료한다. 크기는 이러한
종단 코드로부터 계산된다. 데이터가 없는 경우, 적어도 개시부(0× 0120) 로부터 2바이트에 널(null)(0×00)이 기록된다.
값 : 각종 문자 코드
CONTENTS KEY
의미 : 곡 마다 준비된 값. 이 값은 MG(M)에 의해 보호되고 그 다음에 기억 된다. 여기에서 이 값은 제1곡에 붙여진 CONTENTS KEY와 동일하다.
기능 : S-YMDhms의 MAC의 계산에 필요한 키
값 : 0 에서 0×FFFFFFFFFFFFFFFF까지
MAC
의미 : 저작권 정보의 변경에 대한 체크값
기능 : S-YMDhms의 콘텐츠와 CONTENTS KEY로부터 작성된 값
값 : 0에서 0×FFFFFFFFFFFFFFFF까지
TRK-nnn
의미 : 재생되는 ATRAC3 데이터 파일의 SQN(시퀀스) 번호
기능 : TRK-nnn은 TRKINF 내의 FNo를 기술한다.
값 : 1에서 400(0×190)까지. 만약 데이터가 없다면 0이 채워진다.
INF-S
의미 : 전체 메모리 카드와 관련된 부가 정보 데이터(예를 들어, 사진, 가 사, 해설 등에 대한 정보).
기능 : 헤더를 수반한 가변 길이 부가 정보 데이터. 2개 이상의 다른 부가 정보가 배열될 수 있고 각각에는 ID와 데이터 크기가 붙여진다. 헤더 를 포함하는 각 부가 정보 데이터는 4바이트의 정수배로 적어도 16바 이트이다. 이것의 상세는 후술한다.
값 : 부가 정보 데이터의 구성에 따른다.
S-YMDhms(4바이트)(선택사항)
의미 : 신뢰할 수 있는 클럭을 갖는 디바이스에 의해 행해진 기록의 연, 월, 일, 시, 분, 초
기능 : 최종 기록 일시를 식별하기 위한 값; EMD를 위해 필수적
값 : 25 ~ 31비트 : 연 0 ~ 99(1980 내지 2079)
21 ~ 24비트 : 월 0 ~ 12
16 ~ 20비트 : 일 0 ~ 31
11 ~ 15비트 : 시 0 ~ 23
05 ~ 10비트 : 분 0 ~ 59
00 ~ 04비트 : 초 0 ~ 29(2초 단위)
재생 관리 파일의 최후 슬롯에는, 헤더 내의 것과 동일한 BLKID-TL0, M코드 및 REVISION이 기입된다.
일예로서, 소비자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메모리 카드가 기록 중에 분리될 수도 있고 또는 시스템의 전원이 부주의하게 오프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시스템의 회복시에 비정상 상태의 검출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REVISION은 각 블럭의 선두 및 말미에 기입되고 REVISION이 기입될 때마다 재기입 카운트는 1씩 증분된다. 결과적으로, 만약 블럭 기록 중에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면, 선두 REVISION 및 말미 REVISION의 값이 일치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비정상 상태의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2개의 REVISION이 비정상 상태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비정상 상태가 검출될 때, 에러 메시지가 표시된다.
고정 값 VLKID-TL0가 각 블럭의 선두에 삽입되기 때문에, 이 고정값은 손상된 FAT의 복구를 위한 가이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블럭의 선두에 있는 고정값을 체크함으로써 파일의 유형이 판정될 수 있다. 또한, 이 고정 값 BLKID-TL0는 각 블럭의 헤더 및 말미 모두에 기입되기 때문에, 그 신뢰성이 체크될 수 있다.
재생 관리 파일과 비교하여, ATRAC3 데이터 파일은 상당히 많은 양의 데이터 (예컨데, 때때로 수천의 연결된 블럭들)를 포함한다. 각 ATRAC3 데이터 파일은 블럭 번호 BLOCK SERIAL이 붙여진다. 보통, 각 ATRAC3 데이터 파일은 메모리 카드 상에 2개 이상의 블럭을 차지한다. 따라서, 그 콘텐츠가 CONNUM0 및 BLOCK SERIAL에 의해 식별되지 않으면 중복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FAT에 손상시에 회복이 어렵게 된다.
마찬가지로, 파일이 논리 에러를 나타내는 경우에, 메이커 코드(M코드)가 기록이 행해진 디바이스 모델의 식별을 위해 각 블럭의 선두 및 말미에 기록된다.
도 13은 재생 관리 파일에 기록된 부가 정보 데이터(INF-S)의 구성을 나타낸다. 부가 정보는 헤더로 개시하고, 이하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변 길이 데이터가 이어진다.
INF
의미 : field ID
기능 : 부가 정보 데이터의 선두를 나타내는 고정값
값 : 0×69
ID
의미 : 부가 정보 키 코드
기능 : ID는 부가 정보의 분류를 나타낸다.
값 : 0에서 0×FF까지
SIZE
의미 : 개별 부가 정보의 크기
기능 : 데이터 크기는 자유지만 항상 4의 정수배이며 적어도 16바이트이어야 한다. 만약 데이터가 공백으로 종료하면 널(null)(0×00)로 채워진 다.
값 : 16에서 14784까지(0×39C0)
M코드
의미 : 메이커 코드
기능 : 메이커와, 기록이 행해진 디바이스의 모델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값 : 상위 10비트(메이커 코드)와 하위 6비트(모델 코드).
C + L
의미 : 바이트 12로 개시하는 데이터 영역에 기록될 문자의 속성.
기능 : 사용될 문자 코드 및 언어 코드가 각각 1바이트로 표현됨.
값 : 상기한 SN1C + L과 동일.
DATA
의미 : 개별 부가 정보 데이터.
기능 : DATA는 가변 길이 데이터를 나타낸다. 실제 데이터는 항상 바이트 12에서 개시되고 적어도 4바이트 길이(크기)로서 4바이트의 정수배여 야 한다. 만일 데이터가 공간으로 끝난다면, 데이터는 널(0×00)로 채워진다.
값 : 콘텐츠에 따라 개별적으로 규정됨.
도 14는 부가 정보 키 코드값(0 내지 63)과 부가 정보 유형간의 상관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키 코드값(0 내지 31)은 음악 관련 정보(문자 정보)에 할당되는 값이며, 키 코드값(32 내지 63)은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 관련 정보에 할당되는 값이다. 앨범 제목, 아티스트의 이름, CM 등의 문자 정보가 부가 정보로서 기록된다.
도 15는 부가 정보 키 코드값(64 내지 127)과 부가 정보 유형간의 상관에 대한 더 많은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키 코드값(64 내지 95)은 경로/기타 정보로서 할당되고, 키 코드값(96 내지 127)은 제어/수치 데이터로 할당된다. 예를 들어, 만일 키 코드 ID=90이면, 부가 정보는 DISC-ID가 되며, 이 DISC-ID는 콤팩트 디스크(CD)의 TOC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즉, 제1 트랙 번호, 마지막 트랙 번호, 각 트랙의 개시시간(혹은 어드레스) 그리고 판독 트랙의 개시시간(어드레스)을 포함하는 정보를 갖는다. 더욱이, 만일 키 코드 ID=98이라면, 부가 정보는 TOC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TOC-ID가 된다. 예를 들어, TOC 정보로부터 알려진 단편 음악의 전체 개수에 대한 정보와 재생 시간으로 형성된 값은 TOC-ID 값을 제공한다. DISC-TOC와 TOC-ID는 콘텐츠가 기록되는 디스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키 코드 ID=97이라면, 부가 정보는 ISRC(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저작권 코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것은 또한 콘텐츠가 기록된 기록 매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6은 부가 정보 키 코드값(128 내지 159)과 부가 정보 유형간의 상관에 대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키 코드값(128 내지 159)은 동기 재생과 관련된 정보에 할당된다. 도 16에서 EMD는 전자 음악 배포를 의미한다.
도 17a 내지 도 17e를 참조하여, 부가 정보 데이터의 특정예를 설명한다. 도 17a는 도 13과 일치하는 부가 정보 데이터로 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b는 부가 정보가 아티스트의 이름, 즉 키 코드 ID=3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SIZE는 0×1C (28바이트)이다. 헤더를 포함하는 이 부가 정보의 데이터 길이는 28바이트이다. C+L 내에서, 문자 코드 C는 0×01이고, 언어 코드 L은 0×09이다. 이 값은 그 언어가 상술한 상세에 따라 영어임을 나타내는 ASCII 문자 코드이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 명 데이터 "SIMON&ABCDEFGHI"는 바이트 12에서 개시되어 1바이트로 기입된다. 부가 정보의 크기는 4 바이트의 정수배로 지정되므로 나머지 1 바이트는 (0×00)이다.
도 17c는 부가 정보가 ISRC(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저작권 코드) 즉, 키 코드 ID-97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SIZE는 0×14(20 바이트)이고, 이 부가 정보의 데이터 길이가 20 바이트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C+L, C=0×00이고, L=0×00인 경우는 어느 문자 또는 언어도 설정되지 않은 상태 즉, 데이터가 2진수임을 나타낸다. 그러면, 8바이트 ISRC 코드가 데이터로서 기입된다. ISRC는 저작권 정보(국가, 저작권 보유자, 녹음일, 일련 번호)를 나타낸다.
도 17d는 부가 정보가 녹음일 즉, 키 코드 ID=97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SIZE는 0×10(16 바이트)이고, 이 부가 정보의 데이터 길이가 16 바이트임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C+L, C=0×00이고, L=0×00인 경우, 문자 또는 언어는 전혀 설정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어서, 4바이트(32비트) 코드가 데이터로 기입되며, 기록 일시(년, 월, 일, 시, 분, 초) 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e는 부가 정보가 재생 로그 즉, 키 코드 ID=107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SIZE는 0×10(16 바이트)이고, 이 부가 정보의 데이터 길이가 16 바이트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C+L, C=0×00이고, L=0×00인 경우는 어느 문자 또는 언어도 설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어서, 4바이트(32 비트) 코드가 데이터로 기입되며, 재생 로그(년, 월, 일, 시간, 분, 초)를 나타낸다. 재생이 행해질 때마다 재생 로그는 16 바이트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3-5. 데이터 파일
도 18은 하나의 SU가 N바이트(예를 들어 N=384 바이트)인 ATRAC3 데이터 파일(A3Dnnnn)에 대한 데이터 어레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데이터 파일을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도면은 첫 번째 두 블럭(16×2 = 32 Kbytes)의 슬롯의 개시 바이트(0×0000 내지 0×7FF0)를 나타내고 있다.
속성 헤더의 첫 번째 32바이트는 헤더이며, 음악명 영역 NM1(256바이트)의 256 바이트와 음악명 영역 NM2(512바이트)의 512 바이트가 이어진다. 속성 헤더의 헤더는 다음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BLKID-HD0 (4 바이트)
의미 : 블럭 파일 ID
기능 : ATRAC3 데이터 파일의 개시부를 식별하기 위한 값
값 : 고정값 = "HD = 0"(예를 들어, 0×48442D30).
M코드(2바이트)
의미 : 메이커 코드
기능 : 메이커와 기록이 행해진 디바이스의 모델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값 : 상위 10비트(메이커 코드)와 하위 6비트(모델 코드).
BLOCK SERIAL(4 바이트)
의미 : 각 트랙에 첨부된 일련 번호
기능 : 제1 블럭은 0으로 개시하고, 이어지는 블럭은 1 증분된 일련 번호 를 가지며; 이들 번호는 편집 처리후 변경되지 않은 채 남아 있음.
값 : 0에서 0×FFFFFFFF까지
N1C+L(2 바이트)
의미 : 트랙(음악명) 데이터(NM1)의 속성.
기능 : NM1에 사용하기 위한 기호 코드 및 언어 코드가 각각 1 바이트로 표 현됨.
값 : SN1C+L과 동일.
N2C+L(2 바이트)
의미 : 트랙(음악명) 데이터(NM2)의 속성.
기능 : NM2에 사용하기 위한 기호 코드 및 언어 코드가 각각 1바이트로 표현
값 : SN1C+L과 동일.
INFSIZE(2 바이트)
의미 : 트랙과 관련된 모든 부가 정보들을 총계함으로써 얻어진 크기.
기능 : INFSIZE는 16바이트 단위의 데이터 크기를 나타냄. 만약 데이터가 없으면, 0이 채워짐.
값 : 크기는 0×0000에서 0×3C6(966)까지.
T-PRT(2바이트)
의미 : 총 파트(parts)의 수.
기능 : T-PRT는 트랙을 구성하는 파트의 수, 통상적으로는 1.
값 : 1에서 0×285(645dec)까지.
T-SU(4바이트)
의미 : SU의 총수.
기능 : T-SU는 하나의 트랙내의 실제 총 SU의 수를 나타냄;
음악 재생 시간과 동일함.
값 : 0×01에서 0×001FFFFF까지.
INX(2바이트)(선택사항)
의미 : INDEX의 상대적 위치.
기능 : SU의 수를 4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값에 의해 곡의 선두로부터 위치를 지정하는, 음악의 특징부의 선두를 나타내는 포인터;
통상적인 SU의 4배 길이의 시간(약 93ms)과 동일함.
값 : 0에서 0×FFFF까지(약 6084초까지).
XT(2바이트)(선택사항)
의미 : INDEX의 재생 시간.
기능 : XT는 INX-nnn로 지정된 선두로부터 재생될 시간을 SU의 개수를 4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값에 의해 지정하며; 정상적인 SU의 4배 길이의 시 간(약 93ms)과 동일함.
값 : 0×0000 : 무설정 ; 0×01에서 0×FFFF까지(6084초까지).
0×FFFF : 곡의 종료까지.
다음은 속성 헤더에서의 음악명 영역 NM1 및 NM2를 설명한다.
NM1
의미 : 음악명을 나타내는 문자열.
기능 : 1바이트 문자 코드로 표현된 가변-길이 음악명(256까지). 상기 이름 데이터는 항상 종단 코드(0×00)로 종료한다. 크기는 이 종단 코드로 부터 계산된다. 만약 데이터가 없으면, 하나 이상의 널(null) 바이트 (0×00)가 적어도 선두(0×0020)로부터 기록된다.
값 : 각종 문자 코드.
NM2
의미 : 음악명을 나타내는 문자열.
기능 : 2바이트 문자 코드로 표현된 가변-길이 음악명(512까지). 상기 이름 데이터는 항상 종단 코드(0×00)로 종료한다. 크기는 이 종단 코드로 부터 계산된다. 만약 데이터가 없으면, 둘 이상의 눌 바이트(0×00) 가 적어도 선두(0×0120)로부터 기록된다.
값 : 각종 문자 코드.
속성 헤더의 고정 위치 0×0320으로부터 개시하는 80바이트 데이터는 트랙 정보 영역 TRKINF로 불리는데, 이는 보안 및 카피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한다. 다음은 TRKINF의 데이터를 설명한다.
CONTENTS KEY(8 바이트)
의미 : 메모리 카드의 보안 블럭에 의해 보호되면서 보호되는, 곡마다 준비 된 값.
기능 : 곡의 재생에 필요하고 C-MAC[n]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제1 키.
값 : 0에서 0×FFFFFFFFFFFFFFFF까지.
C-MAC[n](8 바이트)
의미 : 저작권 정보의 변경을 체크하기 위한 값.
기능 : 콘텐츠 누적 번호 및 숨겨진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TRKINF 의 콘텐츠로부터 생성된 값. 숨겨진 시퀀스 번호는 메모리 카드의 숨 겨진 영역에 기록된 시퀀스 번호를 나타낸다. 저작권에 대응하지 않 는 어떤 기록 장치도 숨겨진 영역을 판독할 수 없다. 저작권에 대응 하는 전용 기록 장치 또는 메모리 카드를 판독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가 설치된 개인용 컴퓨터는 숨겨진 영역을 액세스할 수 있다.
A(1 바이트)
의미 : 파트의 속성
기능 : 파트 내의 압축 모드 등의 정보
값 : 도 19 참조. 모노럴(monaural) 모드 (N=0, 1)는 비트 7이 1이고 서브 신호가 0인 특별한 연결 모드이다. 주요 신호 (L+R)만이 모노럴으로 서 규정될 수 있다. 통상의 재생 장치는 비트 2 및 1의 정보를 무시 하여도 좋다.
A의 비트 0은 강조(emphasis) 온/오프의 정보를 형성한다. 비트 1은 재생 SKIP 또는 통상 재생에 대한 정보를 형성한다. 비트 2는, 데이터 분할,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인지 FAX 등의 다른 데이터인지의 정보를 형성한다. 비트 3은 정의되지 않는다. 비트 4, 5 및 6을 조합함으로써, 레이트 정보가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N은 3비트로 표현된 레이트 값이고, 모노(N=0), LP(N=2), SP(N=4), EX(N=5, 6), 및 HQ(N=7)의 5종류의 모드에 대해서, 기록 시간 (64MB 메모리 카드의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 1블럭 내의 SU의 수 및 1SU의 바이트수를 나타낸다. 비트 7은 ATRAC3의 모드 (0 : 듀얼, 1 : 연결)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64MB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여 SP 모드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64MB 메모리 카드는 3968개의 블럭을 갖는다. SP 모드에서는, 1개의 SU가 304 바이트를 가지므로, 1개의 블럭은 53SU를 갖는다. 1개의 SU는 (1,024/44,100) 초와 동일하다. 따라서, 1개의 블럭은 (1,024/44,100)×53×(3,968-16)=4,863초=81분이다. 전송 속도는 (44,100/1,024)×304×8=104,737bps이다.
LT(1 바이트)
의미 : 재생 제한 플래그 (비트 7 및 비트 6) 및 보안 버전 (비트 5 내지 비트 0).
기능 : LT는 이 트랙에 제한사항이 있음을 나타냄.
값 : 비트 7: 0 = 제한없음; 1 = 제한 있음.
비트 6: 0 =시간 제한 내; 1 = 시간 제한없음.
비트 0 내지 비트 5 : 보안 버전 0 (보안 버전이 0이 아니면, 재생 이 금지된다).
FNo (2 바이트)
의미 : 파일 번호.
기능 : 최초 기록시의 트랙 번호, 이 번호는 메모리 카드의 숨겨진 영역에 기록된 MAC 계산값의 위치를 나타냄.
값 : 1 내지 0×190(400).
MG(D) SERIAL-nnn(16 바이트)
의미 : 기록 장치의 보안 블럭(보안 IC 20)의 일련 번호.
기능 : 기록 장치마다 서로 다른 고유의 값.
값 : 0 내지 0xFFFFFFFFFFFFFFFFFFFFFFFFFFFFFFFF.
CONNUM (4 바이트)
의미 : 콘텐츠 누적 번호.
기능 : 곡마다 누적되는 고유 값으로 기록 장치의 보안 블럭에 의해 관리된 다. 이 번호는 2의 32승, 즉 42억곡 분량으로 준비되며 기록된 곡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값 : 0 내지 0xFFFFFFFF.
YMDhms-S (4바이트)(선택사항)
의미 : 재생 제한되는 트랙의 재생 개시일.
기능 : EMD에 의해 지정된 재생 개시가 허용되는 일시.
값 : 상술한 일시의 표기와 동일함.
YMDhms-E (4 바이트)(선택사항)
의미 : 재생 제한되는 트랙의 재생 종료 일시.
기능 : EMD에 의해 지정된 재생 허용이 종료되는 일시.
값 : 상술한 일시의 표기와 동일함.
MT(1 바이트)(선택사항)
의미 : 재생 허가 회수의 최대치
기능 : EMD에 의해 지정된 최대의 재생 회수.
값 : 1 내지 O ×FF 미사용시는, 0×OO이다.
LT의 비트 7의 값이 0인 경우는 MT의 값은 00이 된다.
CT (1 바이트) (선택사항)
의미 : 재생 회수
기능 : 재생이 허가된 회수 내에서, 실제로 재생될 수 있는 곡의 회수. 이 값은 재생이 이루어질 때마다 감소된다.
값 : O ×OO 내지 O ×FF; 미사용시에는 O ×OO이다. LT의 비트 7이 이고, CT의 값이 00이면, 재생은 금지된다.
CC(1 바이트)
의미 : COPY CONTROL.
기능 : 카피 제어.
값 :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6 및 비트 7은 카피 제어 정보를 나 타내고, 비트 4 및 비트 5는 고속 디지털 카피와 관련된 카피 제어 정 보를 나타내며, 비트 1, 비트 2, 및 비트 3은 카피 속성을 나타내며, 비트 0은 정의되지 않음.
CC의 예:
비트 7 : 0; 카피 방지, 1 : 카피 가능
비트 6 : 0; 원본; 제1 세대 또는 그 이상.
비트 5, 4 : 00; 카피 방지, 01; 카피 제1 세대, 10 ; 카피 가능.
비트 3, 2, 1 :
001; 원본으로부터 기록된 콘텐츠.
010; LCM으로부터 카피된 콘텐츠.
011; LCM으로부터 이동된 콘텐츠.
100 또는 그 이상; 미정
LCM은 허가된 컴플리언트 모듈(Licensed Comliant Module)이고, 퍼스널 컴퓨터나 소비자 기기에서의 HDD에 상당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CD로부터의 디지털 기록시에는, (비트 7, 6)가 01이고, (비트 5, 4)가 00이며, 비트 (3, 2, 1)가 001 또는 010이다.
CN(1 바이트)(선택사항)
의미 : 고속 디지털 카피 HSCMS(High Speed Serial Copy Management System; 고속 직렬 카피 관리 시스템)에서 수회의 카피가 허용된다.
기능 : CN은 1회 카피(copy once)와 무카피(copy free) 간의 구별 및 횟수에 의해 규정된다. CN은 제1 세대 카피에 대해서만 유효하며 카피가 될 때마다 감소된다.
값: 00 : 카피 보호, 01 내지 0xFE: 횟수, 0xFF: 무한 횟수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에서는 상술한 트랙 정보 영역(TRKINF) 다음에 파트 관리를 위한 파트 정보 영역(PRTINF)라 불리는 0x0370에서부터 개시하는 24-바이트 데이터가 이어진다. 하나의 트랙이 다수의 파트로 구성된 경우에는 PRTINF는 시간축을 따라 배열된다. 다음은 PRTINF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술한 것이다.
PRTSIZE(4 바이트)
의미 : 파트 크기
기능 : PRTSIZE는 파트의 크기; 클러스터: 2 바이트(상부), 개시 SU: 1 바이트(중간), 종료 SU: 1 바이트(하부)
값 : 클러스터: 1부터 0x1F40(8000), 개시 SU: 0부터 0xA0(160), 종 료 SU: 0부터 0xA0(160)(SU는 0부터 번호가 매겨짐)
PRTKEY(8 바이트)
의미 : 파트를 암호화하기 위한 값
기능 : 초기값 = 0; 편집시에는 PRTKEY는 편집 규칙을 따른다.
값 : 0부터 0xFFFFFFFFFFFFFFFF
CONNUM0(4 바이트)
의미 : 첫 번째 생성된 콘텐츠 누적 숫자 키
기능 : CONNUM0은 고유의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ID로서 기능한다.
값 : 콘텐츠 누적 숫자 초기값 키와 동일함
ATRAC3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는 도 18에 도시된 부가 정보 INT를 포함한다. 이 정보는 개시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재생 관리 파일 내의 부가 정보 INF-S(도 12 참조)와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부가 정보 INT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트의 (4 바이트 단위의) 마지막 바이트부 다음의 위치에서 개시한다.
INF
의미 : 트랙과 관련된 부가 정보 데이터
기능 : 헤더를 갖는 가변장 부가 정보 데이터. 다수의 서로 다른 종류의 부 가가 정보가 배열될 수 있다. 각 헤더에는 ID 및 데이터 크기가 부착 된다. 각자의 헤더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데이터들은 적어도 16 바이 트이며 4 바이트의 정수배로 증분된다.
값 : 재생 관리 파일 내의 부가 정보 INF-S와 동일함
ATRAC3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블럭이 위에서 언급된 속성 헤더 다음에 온다. 도 8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헤더가 각 블럭에 붙여진다. 다음은 도 18을 참조하여 블럭 데이터를 설명한다.
BLKID-A3D (4 바이트)
의미 : 블럭 ID 파일 ID.
기능 : BLKID-A3D는 ATRAC3 데이터의 개시를 식별하게 한다.
값 : 고정 값="A3D"(예를 들면, 0x41334420)
M코드 (2 바이트)
의미 : 메이커 코드.
기능 : M코드는 기록이 만들어지는 장치의 모델과 메이커를 식별하게 한다.
값 : 상위 10 비트(메이커 코드); 하위 6 비트(모델 코드).
CONNUM0 (4 바이트)
의미 : 제1 생성된 콘텐츠 축적 번호.
기능 : CONNUM0는 콘텐츠를 고유하게 만들기 위한 ID로서 역할을 하며 편집 후 값 변화를 허용하지 않는다.
값 : 콘텐츠 축적 번호 초기 값 키와 같음.
BLOCK SERIAL (4 바이트)
의미 : 각 트랙에 붙여진 일련 번호.
기능 : 제1 블럭은 0으로 개시하고, 다음 블럭들은 일련 번호가 1의 증분을 갖는다.; 이들 번호들은 편집 처리후 변화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값 : 0부터 0xFFFFFFFF.
BLOCK-SEED (8 바이트)
의미: 1 블럭 암호화를 위한 1 키.
기능: 개시 블럭은 기록 장치를 위한 보안 블럭이며 난수를 발생시킨 다. 그 다음 블럭들은 1의 증분을 가지고 번호가 매겨진다. 이 값을 잃으면, 소리는 1 블럭에 등가로 약 1초 동안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 므로, 같은 값이 헤더에 쓰여지고 그 블럭은 이중 방식으로 종료한다. 그 값은 편집후 변하지 않는다.
값 : 초기에, 8 바이트 난수.
INITIALIZATION VECTOR(8 바이트)
의미 : 이것은 각 블럭에 대한 ATRAC3 데이터 암호화 및 해독을 위한 필수적 인 초기 값이다.
기능 : 제1 블럭은 0부터 개시하고 그 다음 블럭은 마지막 SU의 마지막으로 암호화된 8바이트 값을 가진다. 분할된 블럭의 도중에서 개시할때, 개시 SU 전에 즉각적으로 마지막 8 바이트가 사용된다. 이 값은 편집 후 변하지 않는다.
값 : 0부터 0xFFFFFFFFFFFFFFFF.
SU-nnn
의미 : 소리 유닛 데이터.
기능 : 1,024 샘플을 압축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데이터의 바이트 수는 사용된 압축 모드에 의존한다. 그 값은 편집후 변하지 않는다.(예를 들면, SP 모드에서 N=384 바이트)
값 : ATRAC3 데이터 값.
도 18에서, N=384, 따라서, 42개의 SU가 한 블럭에 기입된다. 각 블럭의 제1 두 개의 슬롯(4 바이트)이 헤더를 형성한다. BLKID-A3D, M코드, CONNUM0, 및 BLOCK SERIAL은 이중 방식에서 마지막 슬롯(2 바이트)에 쓰여진다. 그러므로, 각 블럭의 남은 영역 M은 16,384-384×42-16×3=208 바이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8 바이트 BLOCK SEED는 이 영역 M에 쓰여진다.
4. HDD를 갖는 장치의 구성.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메모리(40)를 가지고 사용 가능한 기록 장치(1)는 독립형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 모리 카드(40)를 위한 기록 장치는 HDD(Hard Disc Drive)를 갖는 개인용 컴퓨터의 주 몸체에서 배열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도 1에서 보여진 구성은 개인용 컴퓨터의 주 몸체 내에서의 변화 없이 배열될 수 있다. 양자 택일적으로, 도 21에서 보여진 구성은 중앙 처리 장치(CPU:202)가 직접 HDD(201)와 메모리 카드(40)를 제어하는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 카드(40)를 위한 콘텐츠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및 암호화 처리는 도 1에서 보여진 기록 장치(1)에 대한 것과 유사한 방식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21에서 보여진 구성은 지금 한층 더 설명될 것이다.
도 21의 구성에서, CD 플레이어로부터의 재생 디지털 신호는, 하드 디스크 상에 기억될 수 있으며, 이것은 오디오 서버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디지털 신호는 하드디스크로부터 상기 언급된 포맷을 갖는 메모리 카드(40)로 카피되거나 또는 공급된다.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된 신호는 도 1에 도시된 것 같은 (고정형 또는 휴대용 기록 장치 같은) 기록 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HDD를 갖고 있는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는 독립형(stand-alone) 기록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1의 구성 또는 장치는 CPU(202)에 의해 조작되고 제어되는 HDD(201)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200)를 포함한다. CPU(202)는 외부 비휘발성 메모리(외부 NVRAM)(203), 조작 버튼(204), 및 표시 디바이스(205)에 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21 구성은 ATRAC3 오디오 인코더/디코더(206), 디지털 입력 수신기 (211), 및 보안 블럭(security block; 212)을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입력(207)은 아날로그 디지털(A/D) 변환기(208)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될 수 있으며 오디오 인코더/디코더(206)로 공급될 수 있어 ATRAC3 스킴(scheme)에 따라 압축된다. 부가적으로, CD 플레이어(209)로부터의 디지털 입력(210)은 디지털 입력 수신기(211)를 통하여 오디오 인코더/디코더(206)로 공급될 수 있어서 ATRAC3 스킴에 따라 압축된다. CD 플레이어(209)는 외부 장착된 CD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상에 장착된 CD-ROM 구동 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오디오 인코더/디코더(206)로부터의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는 보안 블럭(212)에 공급되어 암호화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200)는 HDD(201)에 기억된 콘텐츠(오디오 데이터)를 해독하고, 오디오 인코더/디코더(206)를 사용하여 상기 해독된 콘텐츠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해독하고, 디지털 아날로그(D/A) 변환기(213)를 사용하여 그러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214)으로 변환할 수 있다.
암호화(encryption)는 기록 장치 1에 의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콘텐츠 키를 사용함으로써 실행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암호화된 ATRAC3 데이터는 CPU(202)의 제어에 의해 HDD(201) 내에 기억될 수 있다. 디지털 입력의 경우, 음성 데이터가 아닌 소위 ISRC 및 TOC_ID 같은 음악 식별 정보가 얻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보안 블럭(212)은 콘텐츠 키 및 각 콘텐츠에 대한(각 데이터 파일(또는 트랙)에 대한) 콘텐츠 누적 번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각 호스트에 고유한 일련 번호를 갖는다. 이러한 값들은 HDD(201) 및/또는 외부 비휘발성 메모리(203)에 기억될 수도 있다.
퍼스널 컴퓨터(200) 이외의 디바이스에 의해 HDD(201)에 기억된 암호화된 ATRAC3 데이터 파일을 재생하거나 얻기 위해, ATRAC3 데이터 파일은 메모리 카드 (40)로 카피되거나 또는 이동될 수 있다. 파일의 이동 및 카피는 다르다. 즉, 카피와는 달리, 이동이 이루어진 경우 파일은 HDD(201) 내에 남아있지 않을 것이다.
ATRAC3 데이터가 콘텐츠 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가 (불법적인 방식으로) 카피되는 경우, 카피된 데이터가 해독되지 않는 한 상응하는 음성이 얻어지거나 재생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콘텐츠 키가 도실(盜失)된 경우, 암호화는 무의미하게 되어버린다. 이러한 문제점을 관점에서, 콘텐츠 키는 암호화될 수 있으며, 그 값은 외부로 제공되거나 노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콘텐츠를 HDD(201)로부터 메모리 카드(40)로 이동할 시에, 콘텐츠 키는 세션 키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으며, 암호화된 콘텐츠 키는 HDD로부터 메모리 카드로 전송된다. 메모리 카드(40)은 세션 키에 의해 콘텐츠 키를 해독하고 메모리 카드의 기억키에 의해 콘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으며, 암호화된 콘텐츠 키를 메모리 카드 내에 기억한다. 유사하게, 메모리 카드(40)로부터 HDD(201)로의 데이터를 카피 또는 이동할 시에, 콘텐츠 키는 세션 키에 의해 암호화되고, 암호화된 콘텐츠 키는 전송될 수 있다. HDD(201) 내에 기록된 콘텐츠 키는 메모리 카드(40) 내에 기록된 콘텐츠 키와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데이터 및 그 콘텐츠 키는 카피 또는 이동의 도착지 내에 한 쌍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키 및 콘텐츠 누적 번호(CONNUM)는 각 콘텐츠에 대하여 발생될 수 있다. 콘텐츠 키 및 콘텐츠 누적 번호를 조합함으로써 획득된 값은 후술된 바와 같이 각 콘텐츠에 고유한 콘텐츠 ID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콘텐츠 키 및 콘텐츠 누적 번호(CONNUM)는 도 18에 도시된 트랙 정보 영역 (TRKINF) 내에 포함된 콘텐츠 키 및 콘텐츠 누적 번호(CONNUM)와 등가일 수 있다.
5. 메모리 카드로의 다양한 기록 경로 및 콘텐츠 공급원의 식별 정보
콘텐츠가 도 1의 기록 장치(1) 또는 도 21의 퍼스널 컴퓨터(200)에 의해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된 각 기록 경로의 예 및 이들 각 예에서의 콘텐츠 공급원(및 공급 모드)에 대한 식별 정보가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로 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식별 정보는 상기 언급된 데이터 파일 속성 헤더(도 18 및 도 20)에서 "CC"의 비트 1, 2, 및 3으로 기록된 값이다. 각 예에서, 기록 장치(1A) 및 기록 장치(1B)는 도 1의 기록 장치(1)에 대하여 동등할 수 있다. 또한, 도 22 내지 도 24에서, 파선은 콘텐츠 데이터의 경로를 표시하고, 실선은 식별 정보의 경로를 표시한다.
도 22는 콘텐츠(음악 데이터)가 CD 플레이어 등과 같은 재생 장치(300)에 의해 CD로부터 재생되고 그로부터 전송되고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되는 상황에 대한 데이터 루트를 도시한다.
기록 장치 1B(독립형의 기록 장치일 수도 있음)가 재생 장치(300)에 접속되면 루트 ①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재생 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입력 선택자(16) 또는 기록 장치1(1B)의 라인 입력 선택자에 접속됨으로써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 장치로부터 기록 장치로 입력될 수 있게 된다. 재생 장치(300)로부터 제공된 콘텐츠 데이터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기록 장치(1B)에서 부호화되고 암호화되어 메모리 카드(40)에 기억된다. 그 결과, (음악 악보 등의) 콘텐츠가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서 기록 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콘텐츠가 (재생 전용 기록 매체인) CD로부터 재생되어 디지털 입력 선택자(16) 또는 라인 입력 선택자(13)로 입력될 수 있기 때문에, 기록 장치 (1B)의 DSP(30)는 "CC"의 비트 1,2, 및 3에 대해 "001"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에 기록될 수 있다. 콘텐츠가 기록되면 데이터 파일 및 재생 관리 파일 내의 다른 제어 정보가 기록 및/또는 갱신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다음의 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가 재생 장치(300)로부터 기록 장치(1)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서 제공되거나 기록 장치(1)가 제어 정보 통신용으로 기능한다면, 기록 장치(1B)의 DSP(30)는 콘텐츠가 기록된 CD 등으로부터 TOC 정보 및 ISRC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재생 관리 파일이 갱신되면, 상술한 DISC_TOC, TOC_ID 및 ISRC가 부가 정보로서 기록될 수 있다.
장치(200) (퍼스널 컴퓨터 또는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포함된 기록 장치 (1A) (도 1 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짐)가 재생 장치(300)에 접속되면 도 22에 도시된 루트 ②가 형성된다. 재생 장치(300)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를 직접 기록 장치(1A)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재생 장치(300)로부터 제공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장치(1A)에서 부호화 및 암호화할 수 있으며 메모리 카드(4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악보 등의) 콘텐츠를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서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CPU(202)는 "CC"의 1,2,3 비트에 대해 "001"를 콘텐츠 공급원의 식별 정보로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값을 기록 장치(1A)에 공급할 수 있다. 제공된 "CC" 및 다른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기록 장치(1A)는 데이터 파일 내에 관리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재생 관리 파일을 기록 및/또는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장치(300) 측에서 CD 등의 TOC 정보 및 ISRC 정보를 구할 수 있다면, 재생 관리 파일이 갱신될 때 DISC-TOC, TOC-ID 및 ISRC을 부가 정보로서 기록할 수 있다.
도 23은 장치(200) 내에 포함된 CD-ROM 구동(209)에 의해 CD로부터 재생된(음악 데이터 등의) 콘텐츠가 제공되고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되는 상황에 대한 데이터 루트를 도시한다. 도 23에서, 기록 장치(1B)는 독립형 구성이고 USB 또는 다른 통신 스킴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터미널(32)을 통해 장치(200)에 접속될 수 있다.
루트 ③은 CD-ROM 구동(209)에 의해 재생된 콘텐츠가 HDD(21)에 기억된 다음 이 HDD로부터 기록 장치(1B)에 제공될 때 형성될 수 있다. HDD(201)로부터 제공된 콘텐츠 데이터는 기록 장치(1B)에서 카피되거나 메모리 카드(40)로 이동될 수 있다. 데이터가 HDD(201)로부터 카피되거나 이동되기 때문에,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장치(200)의 CPU(202)는 기록 장치(1B)에 대한 1,2, 3비트에 대해 "001" 또는 "011"를 생성하고 이 값을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CPU(202)는 CD-ROM 구동(209)으로부터 TOC 정보 및 ISRC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들을 기록 장치(1B)에 제공함으로써 재생 관리 파일이 갱신될 때 DISC_TOC, TOC_ID 및 ISRC가 기록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루트 ④는 CD-ROM 구동(209)에 의해 재생된 콘텐츠가 기록 장치(1B)로 바로 공급된 다음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되는 경우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가 CD로부터 기록되기 때문에, CPU(202)는 기록 장치(1B)에 대해 기록 장치(1B)에 대해 "CC" 의 1,2,3 비트에 대해 "001"을 생성할 수 있고 이 값을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CPU(202)는 CD-ROM 구동(209)으로부터 CD의 ISRC 정보 및 TOC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를 기록 장치(1B)에 제공함으로써, 재생 관리 파일이 갱신되면 DISC_TOC, TOC_ID 및 ISRC가 기록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에서, 기록 장치(1B)는 독립형 디바이스이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구성에서, 콘텐츠가 루트 ③ 및 ④와 유사한 루트를 따라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될 수 있다.
도 24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장치(200)가 서버(400)에 의해 제공된 콘텐츠를 ISDN 등의 범용의 통신 라인, 위성 통신 라인 또는 임의의 다른 전송 경로를 통해 HDD(201)로 다운로드시키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고, 상기 장치(200)는 USB 또는 다른 통신 구성에 의해 (도 1의) 터미널(32)을 통해 기록 장치(1B)에 접속된다. 서버에 의해 제공되고 HDD(201)에 기억된 콘텐츠가 기록 장치(1B)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는 기록 장치(1B)에서 카피되거나 메모리 카드(40)로 이동할 수 있다.
데이터가 HDD(20)로부터 카피 또는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CPU(202)는 기록 장치(1B)에 대해 "CC"의 비트 1, 2 및 3에 대해 "010" 또는 "011"을 발생하여 이들 값을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에 기록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100" 및 그 이상의 값은 정의되어 있지 않다. 전송 선로 등을 통해 캡쳐된 콘텐츠에 관해서는, "100" 또는 그 이상의 값을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CC는 "100" 또는 그 이상이 된다.
이상의 경우에, 도 21에 도시한 구성에서와 유사한 경로를 따라 콘텐츠는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기록 경로는 단지 콘텐츠 기록 경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다수의 다른 경로도 이용가능하다는 것이다. 게다가, 각 예에서, 콘텐츠 공급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CC"의 비트 1,2 및 3의 값은 콘텐츠를 공급하는 장치로부터 기록 장치(1)로 전송되거나 기록 장치 내의 DSP(3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실행가능한 경우, 그로부터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CD의 TOC 정보 및 ISRC 정보 등은 기록 장치(1)로 전송하여 부가 정보 DISC-TOC, TOC-ID 및 ISRC로서 기록될 수 있다.
상기한 예들은 도 6에 도시된 음악 디렉토리에 배치된 데이터 파일과 같은 콘텐츠 등의 오디오 데이터 콘텐츠에 대한 기록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마이크 등이 기록 장치에 접속 또는 내장되어 있을 때는, 마이크에 의해 획득된 음성 신호는 콘텐츠의 하나로서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는 음악 디렉토리에 배치된 데이터 파일일 수 있으며, 이 데이터 파일은 기록원을 가지고 있지 않다.
6. 콘텐츠 소거 처리
이상의 상황에서, 주로 음악 디렉토리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여러가지 콘텐츠들 이 도 6에 도시한 여러가지 디렉토리의 제어 하에서 메모리 카드(40)에 함께 기록될 수도 있다. 즉, 메모리 카드(40)는 그 위에 음악 데이터, 음성 데이터, 정지 영상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을 수도 있다.
여러가지 콘텐츠들을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 카드(40)로부터 어떤 콘텐츠를 소거할 것을 요청받은 경우 DSP(3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에 대해서는 도 25를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 있어서, 음악 디렉토리 및 음성 디렉토리 (즉, 음악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메모리 카드(40)에 (2개의 콘텐츠가 함께)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DSP(30)는 음악 디렉토리에 기록 가능한 유형의 콘텐츠(CD 등으로부터 복사한 콘텐츠 등)로서 포함된 콘텐츠 및 음성 디렉토리에 재기록 불가능한 유형의 콘텐츠로서 포함된 콘텐츠(회의, 메모랜덤, 또는 인터뷰에 관련한 콘텐츠 등)를 처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메모리 카드(40)의 기억 용량이, 사용자가 새로운 콘텐츠를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기 개시할 때 불충분한 경우에 사용자는 기존의 콘텐츠를 메모리 카드로부터 소거할 수도 있다. 그를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소거할 콘텐츠를 지정하여 소거 명령을 내리기 위해 조작 블럭(39)를 조작할 수 있다.
콘텐츠 소거 명령이 내려지면, DSP(3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단계 F101에서 단계 F102로 진행하여 지정된 콘텐츠가 음악 디렉토리(HIFI)에 있는 데이터 파일인지 여부에 관해 판정을 하게 된다. 이 판정에서 "예"인 경우에는, 즉, 소거할 콘텐츠가 음악 디렉토리(HIFI)에 포함된 데이터 파일인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F103으로 진행하여 DSP(30)는 기록원 식별자를 제공하는 ISRC, TOC-ID, 및 DISC- TOC의 일부 또는 전부가 그 콘텐츠의 부가 정보로서 제공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중 어느 것이라도 발견되면, 처리는 단계 F104로 진행하여 DSP(30)는 기존의 ID(즉, ISRC, TOC-ID, 및 DISC-TOC의 모두 또는 일부에 의해 이루어진 소거 콘텐츠 ID 파일)를 발생하여 발생된 파일을 메모리 카드(40)에 기억시킬 수 있다. 그 후에, 처리는 단계 F105로 진행하여, DSP(30)는 지정된 콘텐츠를 소거할 수 있다. 특히, DSP(30)는 음악 디렉토리(HIFI)에 있는 재생 관리 파일을 갱신함으로써 그 콘텐츠를 소거할 수도 있다.
소거 콘텐츠 ID 파일(HIFIEL)은 도 26에 도시된 루트 디렉토리에 형성된 파일이거나 도 27에 도시한 음악 디렉토리(HIFI)안에 있는 파일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소거 콘텐츠 ID 파일(HIFIEL)은 그것이 소거될 때마다 각 콘텐츠에 대해 생성될 수도 있다. 그렇지 않고, 콘텐츠 소거가 일어날 때마다, 상기한 식별자와 관련된 정보가 소거 콘텐츠 ID 파일에 부가될 수도 있다.
소거할 각 콘텐츠에 대한 기록원 식별자를 제공하는 정보를 기억해 두면 나중에 소거된 콘텐츠의 기록원을 식별할 수 있다. 이것은 소거된 콘텐츠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더빙할 수 있게 한다.
단계 F103으로 돌아가서, ISRC, TOC-ID 및 DISC-TOC 중 어느 것도 지정된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로서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록원 식별자가 없고 소거 콘텐츠 ID 파일을 발생할 수 없게 된다. 소거 콘텐츠 ID 파일의 정보에 근거하여 소거된 콘텐츠 자체는 나중에 다시 더빙될 수 없다.
단계 F109에서, DSP(30)는 표시(33)에 확인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에 대해 지정된 콘텐츠가 회복할 수 없게 소거해도 되는지 여부를 묻는다. 단계 F110에서 "아니오"로 표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그 콘텐츠가 소거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DSP(30)는 처리를 종료하여 소거 절차를 취소하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콘텐츠가 소거되기를 원하고 소거 조작의 실행을 특정화(단계 F110에 나타난 바와 같이)하면, 처리는 그 지정된 콘텐츠가 소거되는 단계 F111로 진행한다. 즉, DSP(30)는 메모리 카드(40)상의 재생 관리 파일을 갱신할 것이다.
단계 F102로 돌아가서, 지정된 콘텐츠가 음악(HIFI) 디렉토리에 존재하지 않으면(예를 들어, 지정된 콘텐츠가 음성(VOICE)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경우), DSP(30)에 의한 처리는, 사용자에게 지정된 콘텐츠가 원칙적으로 소거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알려주는 표시(33) 상에 메시지가 표시되는 단계 F106으로 진행한다. 즉, 지정된 콘텐츠는 다른 기록 매체로부터 더빙된 것이 아닐 것이고, 이러한 지정된 콘텐츠는 이하 소거-불가능(erase-disabled) 콘텐츠로서 고려된다.
단계 F107에서는, 콘텐츠가 소거될 것인지 여부에 관하여 판정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콘텐츠를 소거하기를 원하지 않으면('아니오'라고 표시됨), DSP(30)는 처리를 종료하고 콘텐츠를 소거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콘텐츠를 소거하기를 원하고,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콘텐츠가 소거-불가능하게 된 것이라는 것을 알려줌에도 불구하고 콘텐츠의 소거가 실행될 것이라고 사용자가 지정하면, 처리는 DSP(30)가 지정된 콘텐츠를 소거하는 단계 F108로 진행한다. 즉, DSP(30)는 메모리 카드(40) 상의 음성 디렉토리(VOICE) 내의 재생 관리 파일을 갱신하여, 콘텐츠를 소거할 것이다.
따라서, 음악 디렉토리(HIFI)의 재기록 가능한 콘텐츠를 소거하는 것이 지정 되고, 지정된 콘텐츠의 기록원 식별자가 부가적인 정보로서 발견되며, DSP (30)는 그 식별자를 보유하고 지정된 콘텐츠를 소거할 것이다. 식별자가 발견되지 않으면, DSP(30)는 지정된 콘텐츠가 소거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의도를 점검한다. 음성 디렉토리(VOICE)의 재기록 불가능한 콘텐츠의 소거가 지정되는 경우, 지정된 콘텐츠가 재기록 불가능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된 후 이러한 콘텐츠가 소거될 것이라는 것을 사용자가 지정하지 않으면 DSP(30)는 콘텐츠를 소거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콘텐츠가 재기록 가능한지 여부에 의존하여 콘텐츠는 다르게 소거될 것이다. 따라서, 소거 처리는 콘텐츠 데이터 및/또는 그 특성에 따라서 수행될 것이다. 더욱이, 상술된 바와 같이, 재기록 불가능한 콘텐츠가 소거되기 전에, 콘텐츠가 재기록 불가능한 것이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이러한 콘텐츠를 소거하는 것에 사용자가 주의하도록 경고한다.
7. 전체 소거 처리(All Erase Processing)
지정되지 않은 콘텐츠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그 내부에 기억된 다양한 콘텐츠를 갖는 메모리 카드(40)에 대한 전체 소거 조작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래의 기록을 위해 메모리 카드(40)의 비교적 큰 공간을 할당하기를 사용자가 원한다면, 사용자는 전체 소거 조작을 실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전체 소거 조작과 관련된 처리가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전체 소거 조작이 지정될 때, 처리는 단계 F201로부터, 음악 디렉토리 (HIFI)의 데이터 파일이 메모리 카드(4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DSP(30)가 판정하는 단계 F202로 진행한다. 이러한 판정이 긍정적이면(즉, 음악 디렉토리(HIFI)의 데이터 파일로서 하나 이상의 콘텐츠가 발견되면), 음악 디렉토리(HIFI)의 콘텐츠의 부가적인 정보로서 기록원 식별자를 제공하는 ISRC, TOC-ID, 및 DISC-TOC 중 임의의 것에 대하여 DSP(30)가 점검하는 단계 F203으로 처리가 진행한다. ISRC, TOC-ID, 및 DISC-TOC 중 임의의 것을 갖는 콘텐츠가 발견되지 않으면, 처리는 단계 F206으로 진행한다. 한편, ISRC, TOC-ID, 및 DISC-TOC 중 임의의 것을 갖는 콘텐츠가 발견되면, DSP(30)가, 현존하는 ID(즉, ISRC, TOC-ID, DISC-TOC의 전체 또는 일부의 데이터)에 의해 형성된 소거 콘텐츠 ID 파일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파일을 메모리 카드(40)에 기록하는 단계 F204로 처리가 진행한다.
음악 디렉토리(HIFI)의 모든 콘텐츠에 대하여, 그들의 기록원 식별자들이 부가적인 정보로서 발견되면, DSP(30)는 각 콘텐츠의 식별자를 기록하기 위해 소거 콘텐츠 ID 파일을 기록할 것이다. 그러나, 음악 디렉토리(HIFI)의 한 콘텐츠가 기록원 식별자를 가지면, DSP(30)는 그 콘텐츠의 식별자를 기록하기 위해 소거 콘텐츠 ID 파일을 기록할 것이다.
단계 F204 후, 처리는 DSP(30)가 지정된 콘텐츠 소거 조작을 실행하는 단계 F206으로 진행한다. 특히, DSP(30)는 음악 디렉토리(HIFI)의 재생 관리 파일을 갱신하여, 음악 디렉토리(HIFI)의 모든 콘텐츠를 소거할 것이다.
본 경우에, 소거 콘텐츠 ID 파일(HIFIEL)은 도 26 또는 27 중 하나에 나타낸바와 같이 관리되거나 또는 정리된다. 또한, 소거 콘텐츠 ID 파일(HIFIEL)이 각각의 소거된 콘텐츠에 대해새 생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소거 콘텐츠 ID 파일은 소거된 콘텐츠의 식별자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기도 한다.
단계 F202로 돌아가서, 판정이 부정적이면(즉, 메모리 카드(40) 상에 기록된 음악 디렉토리(HIFI)에 데이터 파일이 발견되지 않으면), 기록된 콘텐츠는 음성 디렉토리(VOICE)와 같은 다른 디렉토리의 데이터 파일이다. 이와 같이, DSP(30)가 사용자에게 소거가능한 콘텐츠가 없다는 것을 알리는 표시(33) 상에 표시될 메시지를 초래하고 콘텐츠 생성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단계 F205로 처리가 진행한다.
따라서, 상술한 모든 소거 처리에서, 기록 가능한 음악 디렉토리(HIFI) 내의 콘텐츠만이 소거되고 기록가능하지 않은 음성 디렉토리(VOICE) 내의 콘텐츠는 소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든 소거 조작을 수행할 경우, 기록가능하지 않은 콘텐츠는 소거되지 않을 수도 있다.
기록 가능한 모든 콘텐츠들을 소거함으로써, 메모리 카드(40)에 기록 가능한 빈 공간이 생겨서 새로운 콘텐츠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때때로 사용자는 음성 데이터 파일과 같은 기록가능하지 않은 콘텐츠를 포함하여 메모리 카드 (40)로부터 모든 콘텐츠들을 소거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모든 콘텐츠들을 소거하기 위한 처리 구성이 포맷 처리로서 설정될 수도 있다.
8. 기록을 위한 콘텐츠 소거 처리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40)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록할 때 수행될 수 있는 처리에 대해 도 29를 참조하여 이하 기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처리는, 메모리 카드(40)에 상응하는 기록 장치가 HDD(Hard Disk Drive)가 구비된 퍼스널 컴퓨터 내에 내장될 때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 처리는, 메모리 카드(40)를 통해 기록 제어를 행하는 섹션이 기록될 콘텐츠의 크기를 미리 알 때 바람직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에 기술하는 콘텐츠는, HDD(201)에 기록되는 콘텐츠가 CPU(202)에 의해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될 수도 있는 도 21의 구성에 적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HDD(201)에 기록되는 콘텐츠가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될 것으로 지정할 경우, 단계 F301에서 단계 F302(도 29)로 처리가 진행될 수 있는데, 여기서 CPU(202)는 메모리 카드(40)가 충분한 기억 공간(즉, 남아있는 기억 공간)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CPU(202)는 메모리 카드(40)의 이용가능한 기억 공간의 크기와,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될 HDD(201)에 기록된 콘텐츠의 크기를 체크하고 이러한 크기들을 비교한다.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한 충분한 기억 공간이 메모리 카드(40)에 존재할 경우, 단계 F302에서 "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F311로 진행되는데, 여기서 CPU(202)는 지정된 콘텐츠가 기록될 수 있게 해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CPU(202)는 HDD(201)로부터 지정된 콘텐츠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와 같은 사전설정된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40)에 기록할 수도 있다. 콘텐츠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40)에 기록하는 것이 완료되면, 단계 F311로 진행하여 CPU(202)가 관리 정보(재생 관리 파일 등)를 갱신할 수도 있다. 이후, 처리가 종료된다.
그러나, 단계 F302에서의 판단이 "아니오"일 경우(즉, 충분한 공간이 메모리 카드(40)에 발견되지 않을 경우), 단계 F303으로 진행하여, CPU(202)는 음악 디렉토리(HIFI) 내에 데이터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메모리 카드(40) 를 체크한다. 메모리 카드(40)의 음악 디렉토리(HIFI) 내에 데이터 파일을 발견하지 못할 경우, 이는, 모든 기록된 콘텐츠가 다른 디렉토리 혹은 음성 디렉토리 (VOICE)와 같은 디렉토리 내의 데이터 파일임을 나타낸다. 단계 F303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일 경우, 단계 F310으로 진행하여, CPU(202)는, 새로운 공간에 대해 소거될 수 있는 콘텐츠가 없어서 이 때 기록되는 콘텐츠가 실행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표시 디바이스(205) 상에 사용자를 위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후, CPU(202)는 처리를 종료한다. 즉, 메모리 카드(40) 내에 충분한 기록 가능한 공간이 없기 때문에, 콘텐츠 기록이 이때 중단될 수 있다.
반면에, 단계 F303에서 음악 디렉토리(HIFI) 내에 데이터 파일이 발견될 경우("예"로 나타냄), 단계 F304로 진행하여, CPU(202)가 메모리 카드(40) 내의 자유 공간에 대한 처리를 개시하게 된다. 즉, 단계 F304에서, CPU(202)는 메모리 카드(40) 내의 음악 디렉토리(HIFI) 내의 하나의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콘텐츠가 표시 디바이스(205) 상에 표시되도록 하여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콘텐츠가 소거될 수 있는지 여부를 물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선택된 콘텐츠가 소거되기를 원하지 않을 경우(단계 F305에서 "아니오"로 표시됨), 단계 F305에서 단계 F306으로 진행하여, CPU(202)가 음악 디렉토리(HIFI)를 체크하여 다른 데이터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다른 데이터 파일이 발견될 경우(단계 F306에서 "예"로 나타냄), 단계 F304로 진행하여 CPU(202)가 음악 디렉토리(HIFI)로부터 다른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고 사용자에게 선택된 데이터 파일을 소거할지 여부를 질문하기 위해 표시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음악 디렉토리(HIFI) 내의 모든 데이터 파일이 소거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경우, CPU(202)는 소정의 시점에서 단계 F306에서 다른 데이터 파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F310으로 진행한다. 단계 F310에서, CPU(202)는 표시 디바이스(205) 상에 메세지가 표시되도록 하여서 사용자에게 새로운 공간을 위해 소거될 콘텐츠가 없어서 이 시점에서 콘텐츠 기록이 실행될 수 없음을 알려준다. 이에 따라, CPU(202)는 처리를 종료한다. 즉, 메모리 카드(40) 내에 충분한 기억 공간이 없기 때문에 콘텐츠 기록이 중단된다.
단계 F305로 되돌아가서, 사용자가 음악 디렉토리(HIFI)로부터 단계 F304에서 선택된 데이터 파일이 소거되기를 원할 경우(그 단계에서 "예"로 나타낼 경우), 단계 F307로 진행하여, CPU(202)는, 선택된 콘텐츠의 부가적인 정보로서 기록원 식별자를 제공하는 ISRC, TOC-ID 및 DISC-TOC의 모두 혹은 일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들 중 어느 것이라도 발견될 경우("예"로 나타냄), 단계 F308로 진행하여, CPU(202)는 존재하는 ID(즉, ISRC, TOC-ID, 및 DISC-TOC 모두 혹은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소거 콘텐츠 ID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을 메모리 카드(40)에 기록한다. 그 후, 단계 F309로 진행된다. 한편,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단계 F307에서 "아니오"로 표시됨), CPU(202)가 소거 콘텐츠 ID 파일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단계 F309로 진행된다. 이러한 소거 콘텐츠 ID 파일 처리는 도 25 및 28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F309에서, CPU(202)는 선택된 콘텐츠를 소거할 수 있다. 즉, CPU(202)는 콘텐츠를 소거하기 위해 메모리 카드(40) 상의 음악 디렉토리(HIFI) 내의 재생 관리 파일을 갱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처리는 단계 F302로 복귀되어, CPU(202)가 메모리 카드(40)의 현재 자유 공간의 크기와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될 콘텐츠의 크기를 비교하고 콘텐츠의 소거로 인해 메모리 카드(40) 내에 충분한 자유 공간이 있게 되는지를 판정한다. 메모리 카드(40) 내의 현재의 자유 공간이 새로운 콘텐츠를 기록하기에 충분하다고 판정되면 (단계 F302에서 "예"로 지시된 바대로), 처리는 단계 F311로 진행하여 CPU(202)가 콘텐츠를 기록할 수 있다. 반면에, 현재의 자유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정되면 (단계 F302에서 "아니오"로 지시된 바대로), 처리는 CPU(202)가 상술한 조작들의 단계들 F303 내지 F310을 반복하도록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지정된 콘텐츠를 기록할 때, 메모리 카드(40)가 그 콘텐츠를 기록하기에 충분한 자유 공간을 갖지 않는다면, 콘텐츠의 일부들이 재기록 가능 음악 디렉토리(HIFI)로부터 선택되고, 선택된 콘텐츠 들이 제거되어 새로운 콘텐츠가 기록되기에 충분히 큰 메모리 카드 내의 자유 공간을 확보하거나 제공한다. 음악 디렉토리(HIFI)중에서 지정된 콘텐츠를 소거할 때, 그 콘텐츠에 대한 기록원 식별자가 부가 정보로서 존재한다면, 이 식별자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재기록하도록 그 콘텐츠가 소거되기 전에 기억될 수 있다. 또한, 재기록 불가능한 음성 디렉토리(VOICE) 내의 콘텐츠는 소거되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어서, 소거되면 복원될 수 없는 원래의 콘텐츠를 보호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그 대신,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양한 시스템 구조, 기록 장치 구조, 처리 구조들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예들에서, 음악 디렉토리(HIFI) 내의 콘텐츠는 재기록 가능하고 음성 디렉토리(VOICE) 내의 콘텐츠는 재기록 불가능하다. 또한, 다른 구성들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나 정지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데이터에 따른 콘텐츠(즉, 동영상 디렉토리나 정지 영상 디렉토리 내에 포함된 콘텐츠)는 재기록 불가능한 콘텐츠로서 처리될 수 있고, 제어 디렉토리에 포함된 콘텐츠도 재기록 불가능한 콘텐츠로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는 콘텐츠에 따라 재기록 가능할 수도 있고 재기록 불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록원 매체 식별자가 존재하는 콘텐츠는 재기록 가능한 것으로서 처리될 수 있는 반면에, 이러한 식별자들이 존재하지 않는 다른 콘텐츠는 재기록 불가능한 것으로서 처리될 수 있다.
동영상 데이터나 정지 영상 데이터에 따른 콘텐츠는 DVD와 같은 기록 매체로부터 더빙되었다면 재기록 가능한 콘텐츠로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예들에서, 메모리 카드는 기록 매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광 디스크, 자기-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다른 유형들의 기록 매체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가 재기록 가능한지 재기록 불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의 소거가 요청되면,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소거 처리를 제어 및/또는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거 제어는 소거될 콘텐츠가 재기록 가능한지 또는 재기록 불 가능한지의 여부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즉, 지정된 콘텐츠의 소거가 요청되면, 이 콘텐츠는 재기록 가능한 경우에 소거될 수 있고, 재기록 불가능한 경우에는 소거되지 않을 수 있어서, 재기록 불가능한 콘텐츠가 의도하지 않게 소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재기록 불가능한 콘텐츠의 소거를 수반하는 상황에서도, 사용자는 이 콘텐츠가 재기록 불가능하다는 것이 통지된 후에 이 콘텐츠의 소거를 지정할 수 있어서, 의도하지 않게 소거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지정되지 않은 콘텐츠의 소거가 요청되면, 재기록 가능한 콘텐츠가 소거될 수 있고, 재기록 불가능한 콘텐츠들은 소거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재기록 콘텐츠(필요에 따라 다시 기록될 수 있음)는 우선적으로 소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기록 매체 내의 기록 공간을 할당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다. 즉, 기록 매체가 새로운 콘텐츠를 기록하기에 충분한 자유 공간을 갖지 않은 경우, 재기록 가능한 콘텐츠가 소거될 수 있어서, 기록 매체 내의 자유 공간의 할당을 용이하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사용자의 확인이 없이는 마이크로폰이나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데이터에 따른 원시 콘텐츠(즉, 재기록 불가능한 콘텐츠)를 소거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장치와 함께, CD로부터 카피된 콘텐츠(즉, 기록 가능한 콘텐츠)는 우선적으로 소거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소거될 콘텐츠를 지정하고 이러한 조작들을 확인할 필요를 제거한다.
또한, 기록 가능한 콘텐츠가 소거되면, 이 콘텐츠의 부가 정보가 기록 매체 상에 소거되지 않고 남을 수 있어서, 다음에 이 콘텐츠를 재기록하는 것을 용이하 게 한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그 변형례들이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과 변형들로만 제한되지 않고, 다른 변형들과 변경들이 첨부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당업자들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3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기록 재생 장치로서,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 수단;
    상기 기록 매체의 잔여 용량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
    상기 기록 매체에 새롭게 기록을 행하려고 하는 데이터의 용량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
    상기 제1 취득 수단의 취득 결과와 상기 제2 취득 수단의 취득 결과를 비교 하는 비교 수단;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가 다시 취득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 및
    상기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별 수단에서 다시 취득 가능하다고 판별된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축차 소거되도록 상기 기록 재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기록 재생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에 새롭게 기록을 행하려고 하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잔여 용량이 상기 기록 매체에 생길 때까지 상기 다시 취득 가능한 데이터를 축차 소거하는 기록 재생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데이터의 소거 가부의 입력 요구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 및
    사용자로부터의 지시가 입력되는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되는 상기 다시 취득 가능한 데이터는,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한 출력에 대하여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소거의 확인이 된 데이터인 기록 재생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각각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다시 취득 가능한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록 재생 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계층에 기초하여, 다시 취득 가능한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록 재생 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소거되는 상기 다시 취득 가능한 데이터의 판별 정보가 보존되는 기록 재생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소거되는 상기 다시 취득 가능한 데이터의 판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가 소거된 기록 매체에 보존되는 기록 재생 장치.
  32. 제25항에 있어서,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되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판별 수단은, 다시 취득이 불가능한 데이터로 판별하는 기록 재생 장치.
KR1020000076914A 1999-12-16 2000-12-15 기록 재생 장치 KR100718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711099A JP4842417B2 (ja) 1999-12-16 1999-12-16 記録装置
JP1999-357110 1999-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579A KR20010082579A (ko) 2001-08-30
KR100718620B1 true KR100718620B1 (ko) 2007-05-16

Family

ID=1845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914A KR100718620B1 (ko) 1999-12-16 2000-12-15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6788604B2 (ko)
EP (1) EP1111617A3 (ko)
JP (1) JP4842417B2 (ko)
KR (1) KR100718620B1 (ko)
CN (1) CN126416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23388A (en) * 1999-03-15 2006-05-31 Sony Corp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ed data transfer
US6978377B1 (en) * 1999-04-16 2005-12-20 Sony Corporation Copy protection using detailed copy control information
JP2003051179A (ja) * 2001-08-03 2003-02-21 Sony Corp 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
US6678785B2 (en) * 2001-09-28 2004-01-13 M-Systems Flash Disk Pioneers Ltd. Flash management system using only sequential write
US7594041B2 (en) * 2001-11-16 2009-09-22 Sharp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content recording/reproducing system,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recording apparatus, and content recoding apparatus
JP4434539B2 (ja) * 2001-12-26 2010-03-17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プロセッサおよびそのブート方法
DE60332091D1 (de) * 2002-01-31 2010-05-27 Panasonic Corp Informationsverarbeitungsvorrichtung, speicherverwaltungsvorrichtung, speicherverwaltungsverfahren und informationsverarbeitungsverfahren
US7562208B1 (en) * 2002-02-07 2009-07-14 Network Appliance, Inc. Method and system to quarantine system software and configuration
US6778419B2 (en) * 2002-03-29 2004-08-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lementary two transistor ROM cell
US7634171B2 (en) * 2002-05-20 2009-12-15 Microsoft Corporation PC-based personal video recorder
AUPS333502A0 (en) * 2002-07-03 2002-07-25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Gaming machine power fail enhancement
US7698502B2 (en) * 2002-07-24 2010-04-13 Seagate Technology Llc File recovery system for a removable portable memory device
WO2004015740A2 (en) * 2002-08-08 2004-02-19 M-Systems Flash Disk Pioneers Ltd. Integrated circuit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JP3894435B2 (ja) * 2002-08-19 2007-03-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CN100431016C (zh) * 2002-12-12 2008-11-0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在媒体中创建数据/逻辑格式的方法、及媒体读取装置/方法
US6941397B2 (en) * 2003-05-30 2005-09-06 Tom Learmonth Quick save system and protocol, monitor program and smart button firmware of the same
US7352601B1 (en) * 2003-11-24 2008-04-01 Michael Paul Minneman USB flash memory device
US7567981B2 (en) * 2004-01-08 2009-07-28 Uvarta, Inc. Storage medium
KR100546403B1 (ko) * 2004-02-19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소된 메모리 버스 점유 시간을 가지는 시리얼 플레쉬메모리 컨트롤러
JP2005346824A (ja) * 2004-06-02 2005-12-15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処理装置、その方法、その方法を実施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情報記憶装置
US8656185B2 (en) * 2004-07-30 2014-02-18 Safenet, Inc. High-assurance processor active memory content protection
US20070005625A1 (en) * 2005-07-01 2007-01-04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Storage architecture for embedded systems
TW200705180A (en) * 2005-07-29 2007-02-01 Genesys Logic Inc Adjustable flash mem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70023941A1 (en) * 2005-07-29 2007-02-01 Duncan John E Method for making polarizing beam splitters
JP4586684B2 (ja) * 2005-08-31 2010-11-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087498A (ja) * 2005-09-22 2007-04-05 Hitachi Ltd 記憶システム
US7512864B2 (en) * 2005-09-30 2009-03-31 Josef Zeevi System and method of accessing non-volatile computer memory
KR101143716B1 (ko) 2006-01-11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디바이스 및 그의 사용자명령 방법
US20070283095A1 (en) * 2006-06-06 2007-12-06 Alcor Micro, Corp. Method to access storage device through universal serial bus
KR101324187B1 (ko) * 2006-08-24 201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정보갱신방법
US20080063197A1 (en) * 2006-09-07 2008-03-13 Jaquette Glen A Storing encrypted data keys to a tape to allow a transport mechanism
US20080063209A1 (en) * 2006-09-07 2008-03-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key store
US20080063198A1 (en) * 2006-09-07 2008-03-13 Jaquette Glen A Storing EEDKS to tape outside of user data area
US8464073B2 (en) * 2006-09-13 2013-06-11 Stec, Inc.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data storage
JP4863072B2 (ja) * 2006-11-08 2012-01-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とデータ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0936149B1 (ko) * 2006-12-29 2010-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메모리 시스템 그것의 메모리 억세스 방법
JP5019209B2 (ja) * 2007-05-31 2012-09-05 株式会社東芝 記憶番組制御装置及び記憶番組制御方法
JP4392845B2 (ja) * 2007-06-04 2010-01-06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処理装置
US8682470B2 (en) * 2008-01-08 2014-03-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orage drive with target of opportunity recognition
US8195618B2 (en) * 2008-07-23 2012-06-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sclosure booth
FR2935058A1 (fr) * 2008-08-13 2010-02-19 Inst Nat Rech Inf Automat Outil de verification informatique
JP2010108281A (ja) * 2008-10-30 2010-05-13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464066B2 (ja) * 2010-06-10 2014-04-0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9141538B2 (en) 2010-07-07 2015-09-22 Marvell World Trad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escriptors to transfer data to and from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of a storage drive
US9135168B2 (en) 2010-07-07 2015-09-15 Marvell World Trad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escriptors to reaccess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of a storage drive due to an error
US8868852B2 (en) 2010-07-07 2014-10-21 Marvell World Trade Ltd. Interface management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CN102541965B (zh) * 2010-12-30 2015-05-20 国际商业机器公司 自动获得音乐文件中的特征片断的方法和系统
US9459955B2 (en) * 2012-05-24 2016-10-04 Sandisk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to scramble data based on a scramble key
US20170371741A1 (en) * 2016-06-27 2017-12-28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providing file-based resiliency
CN107273234B (zh) * 2017-05-26 2020-02-14 中国航天系统科学与工程研究院 一种基于eemd的时间序列数据异常值检测和校正方法
CN109921981A (zh) * 2019-01-31 2019-06-21 沈阳工程学院 一种基于通讯接口的信息传递方法及系统
JP7248237B2 (ja) * 2019-03-28 2023-03-29 株式会社Scu システム半導体チップ、システム半導体チップの情報漏洩検出方法及びシステム半導体チップの情報漏洩抑止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4863A (en) * 1994-10-13 1998-06-30 Olympus Optical Co., Ltd. Speech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0662A (ja) * 1985-11-20 1987-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書換え可能光デイスクの書込み禁止方法
US4939713A (en) * 1987-02-27 1990-07-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rasable optical disk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H0743676B2 (ja) * 1988-03-11 1995-05-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バツクアツプデータダンプ制御方法及び装置
US5276860A (en) * 1989-12-19 1994-01-04 Epoch Systems, Inc. Digital data processor with improved backup storage
US5273294A (en) * 1991-02-04 1993-12-28 Tengen Ltd. Game memory
JPH0546993A (ja) * 1991-08-20 1993-02-26 Hitachi Ltd 光デイスクライブラリ装置
JPH06223483A (ja) 1993-01-22 1994-08-12 Alpine Electron Inc ディスク録音方法
US5388083A (en) * 1993-03-26 1995-02-07 Cirrus Logic, Inc. Flash memory mass storage architecture
JPH07105210A (ja) * 1993-10-06 1995-04-21 Nec Corp 消去範囲制限装置
JPH08255099A (ja) * 1995-03-16 1996-10-01 Fujitsu Ltd メモリダンプ消去装置およびメモリダンプ消去方法
JP3598330B2 (ja) 1995-09-13 2004-12-08 株式会社デノン 記録媒体管理方法および再生装置並びに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並びに再生方法
US5787445A (en) * 1996-03-07 1998-07-28 Norris Communications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including improved file management for use in devices utilizing flash memory as main memory
JPH09244961A (ja) * 1996-03-08 1997-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ラッシュata−pcカード
US5745425A (en) * 1996-08-29 1998-04-28 Lucent Technologies Inc. Reliable backup memory
US5740178A (en) * 1996-08-29 1998-04-14 Lucent Technologies Inc. Software for controlling a reliable backup memory
JPH10178611A (ja) * 1996-12-17 1998-06-30 Canon Inc 電子カメラと記録制御装置
FR2757978B1 (fr) * 1996-12-27 1999-01-29 Schlumberger Ind Sa Procede de securisation d'une donnee dans une memoire reinscriptible
JP3903538B2 (ja) * 1997-07-14 2007-04-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DE19839680B4 (de) * 1998-09-01 2005-04-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änderung des Speicherinhalts von Steuergeräten
US6625809B1 (en) * 2000-03-31 2003-09-23 Delphi Technologies, Inc. Versatile boot method for a microcontroller's application software
JP3751206B2 (ja) * 2001-02-20 2006-03-0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4863A (en) * 1994-10-13 1998-06-30 Olympus Optical Co., Ltd. Speech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88604B2 (en) 2004-09-07
US7193916B2 (en) 2007-03-20
US20010021965A1 (en) 2001-09-13
US20040225827A1 (en) 2004-11-11
JP4842417B2 (ja) 2011-12-21
CN1264168C (zh) 2006-07-12
EP1111617A2 (en) 2001-06-27
JP2001175517A (ja) 2001-06-29
US7600085B2 (en) 2009-10-06
EP1111617A3 (en) 2004-06-16
KR20010082579A (ko) 2001-08-30
US20050210183A1 (en) 2005-09-22
CN1310450A (zh) 200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620B1 (ko) 기록 재생 장치
KR100717656B1 (ko) 기억 매체, 데이터 기억 장치, 데이터 편집 장치, 데이터 기억 방법 및 데이터 편집 방법
KR100595800B1 (ko) 기록 매체, 기록 장치 및 기록/재생 시스템
JP4749522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4897138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4293196B2 (ja) 再生装置、編集方法
JP4284797B2 (ja) 記録装置
KR100726905B1 (ko) 데이터 기억 장치 및 방법
AU2007202015B2 (en) Recording medium editing apparatus based on content supply source
AU2004200714A1 (en) Recording Medium Editing Apparatus Based on Content Supply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