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656B1 - 기억 매체, 데이터 기억 장치, 데이터 편집 장치, 데이터 기억 방법 및 데이터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기억 매체, 데이터 기억 장치, 데이터 편집 장치, 데이터 기억 방법 및 데이터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656B1
KR100717656B1 KR1020000062130A KR20000062130A KR100717656B1 KR 100717656 B1 KR100717656 B1 KR 100717656B1 KR 1020000062130 A KR1020000062130 A KR 1020000062130A KR 20000062130 A KR20000062130 A KR 20000062130A KR 100717656 B1 KR100717656 B1 KR 100717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urce
edit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182A (ko
Inventor
요꼬따데뻬이
기하라노부유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06F12/0246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in block erasable memory, e.g. flash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6Storage of analogue signals in digital stores using an arrangement comprising analogue/digital [A/D] converters, digital memories and digital/analogue [D/A] conver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6Solid state aud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트의 편집을 그 공급원에 따라 제어하는 편집 장치를 개시한다. 콘텐트 공급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는 콘텐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트에 대응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콘텐트의 편집이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면, 그 콘텐트에 대응하는 식별정보가 점검된다.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콘텐트 공급원에 따라, 콘텐트의 편집이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된다.
콘텐트, 편집, 식별 정보, 인에이블, 디스에이블, 공급원, 레코더, 오디오 엔코더/디코더, 오디오 인터페이스, 엔코더/디코더 블럭, 라인 입력 선택기, A/D 변환기, 샘플링 속도 변환기, 디지털 입력 선택기, 디지털 입력 수신기, 보안 IC, DES 암호화 회로, DSP, 메모리 카드

Description

기억 매체, 데이터 기억 장치, 데이터 편집 장치, 데이터 기억 방법 및 데이터 편집 방법{STORAGE MEDIUM, APPARATUS FOR STORING DATA, APPARATUS FOR EDITING DATA, METHOD FOR STORING DATA AND METHOD FOR EDITING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실시되는 레코더(recorder)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도시한 레코더의 DSP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도시한 메모리 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메모리 카드에 의해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 처리 계층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메모리 카드에 사용되는 데이터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메모리 카드에 사용되는 디렉토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한 메모리 카드에 사용되는 재생 관리 파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ATRAC3 음악 데이터 파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데이터 파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한 데이터 파일을 사용하는 결합 편집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한 데이터 파일을 사용한 분할 편집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7에 도시한 재생 관리 파일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재생 관리 파일의 부수적인 정보 영역 INF-S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부수적인 정보 영역에 사용되는 부수적인 정보 키 코드를 도시하는 표.
도 15는 부수적인 정보 영역에 사용되는 다른 부수적인 정보 키 코드를 도시하는 표.
도 16은 부수적인 정보 영역에 사용되는 다른 부수적인 정보 키 코드를 도시하는 표.
도 17a 내지 도 1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수적인 정보의 특정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데이터 파일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 내의 위치 "A"의 세부사항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도 18에 도시한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 내의 위치 "CC"의 세부사항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메모리 카드로의 기록 루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메모리 카드로의 기록 루트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메모리 카드로의 기록 루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데이터 파일을 분할하기 위한 편집 처리의 순서도.
도 25는 데이터 파일을 결합하기 위한 편집 처리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코더
10 : 오디오 엔코더/디코더 IC
11 : 오디오 인터페이스
12 : 엔코더/디코더 블럭
13 : 라인 입력 선택기
14 : A/D 변환기
15 : 샘플링 속도 변환기
16 : 디지털 입력 선택기
17 : 디지털 입력 수신기
20 : 보안 IC
21, 37 : 인터페이스
22 : DES 암호화 회로
30 : DSP(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32 : 단자
40 : 메모리 카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와 같은 콘텐트(content)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 기록된 콘텐트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장치, 및 기록 매체에 콘텐트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이라고 하는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에서, 한 비트의 데이터는 2개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기억된다. 이러한 2개의 트랜지스터 구성은, EEPROM 회로가 집적 밀도를 제한하는 비교적 큰 집적 회로 표면적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메모리 밀도 제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비트는 단지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기억되며 모든 비트가 동시에 소거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가 개발되고 있다. 플래시 메모리는 자기 디스크 및 광 디스크와 같은 기록 매체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양한 전자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착탈식 플래시 메모리 카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는 CD(Compact Disc) 및 MD(Mini Disc)와 같은 종래의 디스크 매체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 카드 기술을 사용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기록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FAT(File Allocation Table)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록된 콘텐트를 트랙(track)한다. FAT 시스템은 기억된 콘텐트를 트랙하고 편집하기 위해 퍼스널 컴퓨터에서 흔히 사용되는 파일 관리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단일 악곡(musical composition)이 오디오 데이터 콘텐트의 단일 조각(piece)으로서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FAT 시스템은, 그 조각을 2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할하거나 또는 다른 조각들과 결합하여 결합된 단일 조각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그 조각이 편집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FAT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콘텐트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는 기록 시스템은, 다양한 데이터 전송 루트를 사용하여 다양한 소스에 및 소스로부터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는 CD, MD 또는 HDD(Hard Disc Drive)와 같은 기록 매체로부터 메모리 카드에 복사 또는 이동될 수 있거나 인터넷과 같은 통신 시스템을 통해 콘텐트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콘텐트는 메모리 카드로부터 이들 시스템 중의 임의의 시스템에 복사 또는 이동될 수 있다. 메모리 카드에 및 메모리 카드로부터의 다른 다양한 전송 루트가 가능하다. 콘텐트를 "이동(moving)한다"라는 것은, 데이터를 한 메모리에서 다른 메모리로 전송하여 콘텐트가 더 이상 소스(source)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에 의해 생기는 문제는, 콘텐트 공급원(supply source)에 무관하게,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콘텐트가 제한 없이 편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콘텐트 제공자 또는 콘텐트 저작권 보유자가 그 콘텐트가 편집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콘텐트가 편집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콘텐트를 편집하지 못하게 하거나 콘텐트 편집 능력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당 콘텐트의 소스에 따라 메모리 카드 또는 다른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트의 편집을 인에이블(enable)하거나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콘텐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콘텐트를 기록하기 위한 콘텐트 기록 영역, 및 콘텐트 공급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기록될 수 있는 관리 영역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콘텐트 공급원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는 콘텐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기록된 콘텐트와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사용자가 기록된 콘텐트의 편집을 희망하는 경우, 식별 정보가 판독되고,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콘텐트 공급원에 따라, 편집이 인에이블되거나 또는 디스에이블된다. 예를 들어, 식별된 콘텐트 공급원이 인터넷 서버 사이트인 경우, 콘텐트를 편집하는 능력이 디스에이블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기록 매체의 전술한 콘텐트 기록 영역에 기록된 콘텐트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장치이다. 이 편집 장치는, 사용자가 콘텐트 기록 영역에 기록된 콘텐트의 편집을 지정하는 운영 수단, 운영 수단에 의해 편집 처리가 지정된 콘텐트에 관한 식별 정보에 의해 콘텐트 공급원을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및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콘텐트 공급원에 따라 운영 수단으로부터 지정된 콘텐트 편집 처리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시스템이고, 이 기록 시스템은 콘텐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콘텐트를 기록 매체의 콘텐트 기록 영역에 기록하기 위한 콘텐트 기록 수단, 콘텐트 공급원에 따라 콘텐트 공급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발생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발생 수단, 및 콘텐트 기록 영역에 기록된 콘텐트에 따라 식별 정보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식별 정보를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에 기록하기 위한 식별 정보 기록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집 장치 및 기록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비휘발성 메모리(또는 플래시 메모리)에 기초한 메모리 카드를 기록 매체로서 사용한다. 편집 장치의 예로서, 레코더 또는 레코더에 기초한 시스템 및 전술한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가 사용된다. 다음 실시예들에 의해 취급될 수 있는 콘텐트 데이터는 디지털 오디오, 비디오, 정지화상, 텍스트, 및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설명을 위해, 오디오(즉, 음악)가 콘텐트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오디오가 사용되고 있더라도 본 발명은 또한 부수적인 데이터로서 이미지 및 문자를 기록/재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음 순서로 설명될 것이다.
1. 레코더의 구성
2. 메모리 카드의 구성
3. 파일 시스템
3-1. 처리 구조 및 데이터 구조
3-2. 디렉토리 구조
3-3. 관리 구조 및 편집 방법
3-4. 재생 관리 파일
3-5. 데이터 파일
4. 콘텐트 소스 식별 정보
5. 편집의 인에이블링 및 디스에이블링
1. 레코더의 구성
도 1은 메모리 카드에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콘텐트를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기록/재생 장치(이하, 레코더(1)로 지칭됨)의 구성을 도시한다. 레코더(1)는 그 기록 매체로서 착탈식 메모리 카드를 사용한다. 레코더(1)는 스탠드 얼론 오디오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거나 퍼스널 컴퓨터 또는 오디오/비주얼 장치에 일체화될 수 있다. 스탠드 얼론 장치로서, 레코더는 풀사이즈의 랙 컴포넌트(full-size rack component) 또는 포터블 유닛(portable unit)일 수 있다. 또한, 레코더는 증폭기, 스피커, CD 플레이어, MD 레코더, 튜너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오디오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되는 경우, 레코더는 퍼스널 컴퓨터 내의 CD-ROM 드라이브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와 유사한 위치를 점유하는 메모리 카드 드라이브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레코더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용 기록 매체로서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는 비디오 카메라 또는 게임 머신에 일체화될 수 있다. 구성에 무관하게, 레코더는 위성에 기초한 시스템, 디지털 방송 또는 인터넷을 통해 분산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전술한 응용들 중 임의의 것에 실현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기록/재생 장치로서의 레코더(1)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레코더(1)는 단일 IC 칩을 이용하여 각각 구현되는, 오디오 엔코더/디코더 IC(10), 보안 IC(20), DSP(Digital Signal Processor)(30)를 갖는다. 메모리 카드(40)가 레코더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메모리 카드는, 모두 하나의 IC 칩에 구현되는, 플래시 메모리(비휘발성 메모리), 메모리 제어 블럭, 및 DES(Data Encryption Standard) 암호화 회로를 포함하는 보안 블럭에 의해 형성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그 등가물이 DSP(30)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오디오 엔코더/디코더 IC는 오디오 인터페이스(11) 및 엔코더/디코더 블럭(12)을 갖는다. 엔코더/디코더 블럭은 디지털 신호를 효율적으로 엔코드하여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될 수 있도록 하고,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디코드한다. 고효율의 엔코딩을 위하여, MD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개선된 ATRAC(ATRAC3으로 지칭되는 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이 사용된다. ATRAC3에서는, 44.1㎑로 샘플링된 16 비트 폭의 오디오 데이터가 처리된다. ATRAC3에 의해 처리되는 최소 오디오 데이터 유닛은 사운드 유닛(SU)이다. SU는 수백 바이트로 압축되며, 재생 시간의 약 23㎳를 커버하는 데이터 (1,024 x 16비트 x 2 채널)의 1,024 샘플이다. 오디오 데이터는 ATRAC3에 의해 초기 데이터 크기의 약 1/10로 압축된다. ATRAC3의 신호 처리는 압축 및 압축해제(decompression) 처리의 개선(refinement)으로 인해 톤 품질의 열화를 최소화한다.
라인 입력 선택기(13)는 A/D 변환기(14)에 MD 재생 출력, 튜너 출력 또는 테이프 재생 출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A/D 변환기(14)는 선택된 라인 입력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샘플링 주파수 = 44.1㎑, 1 샘플 = 16 비트)로 변환한다.
디지털 입력 선택기(16)는 MD, CD 또는 CS(위성 디지털 방송)을 디지털 입력 수신기(17)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디지털 입력은 전형적으로 광 케이블을 통해 송신된다. 디지털 입력 수신기의 출력은, 디지털 입력의 샘플링 주파수를 44.1㎑로 변환하는 샘플링 속도 변환기(15)에 공급된다.
오디오 엔코더/디코더 IC(10)의 엔코더/디코더 블럭(12) 내의 엔코딩에 의해 얻어진 엔코딩된 데이터는 보안 IC(20)의 인터페이스(21)를 통해 DES 암호화 회로(22)에 공급된다. DES 암호화 회로는 FIFO(23)를 갖는다. DES 암호화 회로는 콘텐트의 저작원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된다. 메모리 카드(40)는 또한 나중에 설명될 DES 암호화 회로를 일체로 하고 있다. 레코더(1)의 DES 암호화 회로(22)는 두개 이상의 마스터 키 및 장치에 고유한 기억 키(device-unique storage key)를 갖는다. 또한, DES 암호화 회로는 인증(authentication) 및 세션 키를 메모리 카드와 공유하기 위해 난수(random number) 발생기를 갖는다. DES 암호화 회로는 기억 키를 사용하여 키를 턴 온(turn on)할 수 있다.
DES 암호화 회로로부터의 암호화 오디오 데이터는 DSP(30)에 공급된다. DSP(30)는 부착된 적응 메커니즘(adapting mechanism)(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메모리 카드(40)와 통신하고, 암호화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한다. DSP와 메모리 카드 간에는 직렬 통신이 수행된다. 메모리 카드를 제어하기에 충분한 메모리 크기를 할당하기 위해, 외부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31)이 DSP에 접속된다.
DSP는 또한 외부 장치 또는 외부 회로 블럭(도시되지 않음)으로 콘텐트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자(32)에 접속되어 있다. DSP는 도 2에 도시된 인터페이스(37)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통신한다. 인터페이스(37) 및 단자(32)는 USB, IEEE 1394, IEC 958, 직렬 포트 및 병렬 포트와 같은 많은 통신 표준들 중 임의의 것에 부합한다. 이는 레코더가 퍼스널 컴퓨터 및 오디오/비주얼 장비와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레코더(1)가 퍼스널 컴퓨터 또는 오디오/비주얼 장치에 일체화된 경우, 인터페이스(37) 및 단자(32)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오디오/비주얼 장치 내의 시스템 제어기에 접속된 내부 버스로서 구성된다.
단자(32)에 접속된 장치 또는 블럭으로부터 다양한 데이터가 DSP(30)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레코더가 오디오 시스템 또는 컴퓨터 시스템의 부분인 경우, 오디오 시스템 또는 컴퓨터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외부 시스템 제어기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기록(record) 및 재생(playback) 명령을 제공한다. 이미지 정보 및 텍스트 정보와 같은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가 또한 단자를 통해 DSP에 공급된다.
또한, DSP(30)는 메모리 카드(40)로부터 판독된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시스템 제어기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다양한 제어를 갖는 동작 블럭(39), 및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블럭(33)을 도시한다. 이들 블럭은 레코더가 스탠드 얼론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요구된다. 레코더가 퍼스널 컴퓨터에 일체화된 경우, 동작 블럭(39) 및 디스플레이 블럭(33)은 DSP에 직접 접속될 필요가 없다. 즉, 스탠드 얼론 구성에서, DSP는 동작 블럭으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고 디스플레이 블럭을 제어한다. 일체화된 구성에서, 호스트 장치의 시스템 제어기는 이들 제어 동작을 실행하며, DSP에 동작 정보를 공급하여, 디스플레이될 콘텐트를 표시하는 정보를 필요에 따라 DSP로부터 수신한다.
메모리 카드(40)로부터 DSP(30)에 의해 판독된 콘텐트로서의 암호화 오디오 데이터는 보안 IC(20)에 의해 암호해독된 다음, 암호해독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엔코더/디코더 IC(10)에 의해 ATRAC3 디코드된다. 오디오 엔코더/디코더 IC의 디코드된 출력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될 D/A 변환기(18)에 공급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라인 출력 단자(19)에 출력된다. 라인 출력은 증폭기(도시되지 않음)로 전송되어, 스피커 또는 헤드폰을 통해 재생된다.
뮤팅 신호(muting signal)가 외부 제어기로부터 D/A 변환기로 공급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뮤팅 신호가 뮤팅이 온(on)이라는 것을 가리키면, 라인 출력 단자(19)로부터의 오디오 출력이 억제된다. 도 1은 라인 출력 단자(19)를 도시한다. 디지털 출력 단자, 헤드폰 단자 등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질 것이다. 콘텐트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32)를 통해 외부 장치에 출력될 수 있다.
도 2는 DSP(3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DSP(30)는 코어(34), 플래시 메모리(35), SRAM(36), 인터페이스(37),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38), 버스, 및 버스간 브리지(inter-bus bridge)로 구성된다. DSP는 마이크로컴퓨터와 같이 기능하며, 코어(34)는 CPU와 등가이다. 플래시 메모리는 DSP 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SRAM(36) 및 SRAM(31)은 다양한 처리 동작에 필요한 작업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DSP(30)는 인터페이스(37)를 통해 수신되거나 또는 동작 블럭(39)으로부터 입력되는 기록 명령과 같은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암호화 오디오 데이터 및 소정의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40)에 기록하고 이 데이터의 처리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DSP(30)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해석하여 메모리 카드를 제어한다.
메모리 카드에 대한 파일 관리는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상에서 사용되는 FAT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 파일 시스템 이외에, 본 실시예는 또한 재생 관리 파일을 사용한다. 재생 관리 파일은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데이터 파일을 관리한다. 재생 관리 파일은 모든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다루는 제1 파일 관리자로서 작용한다. FAT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과 재생 관리 파일을 포함한,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된 모든 파일을 다루는 제2 파일 관리자로서 작용한다. 재생 관리 파일은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다. FAT는 공장에서 출하하기 전에 루트 디렉토리와 함께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된다.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ATRAC3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그러나, 관리 파일들은 저작권으로 보호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암호화되지 않는다. 또한, 메모리 카드(40)의 일부 버전만이 암호화 자격을 갖는다. 저작권으로 보호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레코더들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암호화 성능을 갖는 메모리 카드만을 사용할 수 있다.
2. 메모리 카드의 구성
도 3은 메모리 카드(40)의 구성을 도시한다. 메모리 카드는 하나의 IC 칩 상의 제어 블럭(41)과 플래시 메모리(42)로 구성된다.
DSP(30)와 메모리 카드 간의 양방향 직렬 인터페이스는 10개의 라인으로 구성된다. 4개의 주요 라인은 클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클럭 라인(SCK), 상태 라인(SBS),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DIO), 및 인터럽트 라인(INT)이다. 또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2개의 접지 라인(GND)과 2개의 전원 라인(VCC)이 배치된다. 2개의 예비 라인은 정의되어 있지 않다.
클럭 라인(SCK)은 데이터와 동기화되는 클럭 신호를 송신한다. 상태 라인(SBS)은 메모리 카드의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데이터 라인(DIO)은 명령 및 암호화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한다. 인터럽트 라인(INT)은 메모리 카드에 의한 인터럽트 요청에 응답하여 DSP(30)에 인터럽트 신호를 송신한다. 인터럽트 신호는 또한 메모리 카드가 레코더에 로드될 때 발생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인터럽트 라인(INT)이 접지되어 있어 인터럽트 신호가 데이터 라인(DIO)을 통해 송신된다.
직렬/병렬 변환 및 병렬/직렬 변환 인터페이스 블럭(S/P & P/S IF 블럭)(43)은, 전술한 라인들을 통해 상호접속되는, DSP와 제어 블럭(41)간의 인터페이스로서 작용한다. S/P & P/S IF 블럭은 DSP로부터 수신된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제어 블럭에 공급한다. 또한, S/P & P/S IF 블럭은 제어 블럭으로부터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DSP에 공급한다. 또한, S/P & P/S IF 블럭은 데이터 라인(DIO)을 통해 명령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 및 데이터를 정상적인 액세스를 위한 것과 암호화를 위한 것으로 구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라인에 의해 사용되는 포맷에서, 명령이 먼저 송신된 다음에 데이터가 송신된다. S/P & P/S IF 블럭은, 명령 코드를 검사하여, 송신된 명령과 데이터가 정상적인 액세스를 위한 것인지 또는 암호화를 위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코드에 따르면, 정상적인 액세스 명령은 명령 레지스터(44)에 보유되고, 정상적인 액세스 데이터는 페이지 버퍼(45) 및 기입 레지스터(46)에 보유된다. 에러 교정 엔코딩 회로(ECC)(47)는 기입 레지스터와 연관되어 있다. 페이지 버퍼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데이터의 경우, 에러 교정 엔코딩 회로는 에러 교정 코드를 발생한다.
명령 레지스터, 페이지 버퍼, 기입 레지스터, 및 에러 교정 엔코딩 회로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플래시 메모리 인터페이스 및 시퀀서(sequencer)(메모리 IF 시퀀서)(51)에 공급된다. 메모리 IF 시퀀서는 제어 블럭과 플래시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로서 작용한다. 메모리 IF 시퀀서를 통해, 데이터가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된다.
저작권 보호 목적으로,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될 콘텐트(이하, ATRAC3 데이터로 지칭되는, ATRAC3에 의해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의 보안 IC(20) 및 보안 블럭(52)에 의해 암호화된다. 보안 블럭은 버퍼 메모리(53), DES 암호화 회로(54), 및 비휘발성 메모리(55)를 갖는다. 보안 블럭은 각각의 메모리 카드에 대해 고유한 복수의 인증 키 및 기억 키를 갖는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암호화에 필요한 키를 기억하고, 외부로부터 액세스할 수 없다. 기억 키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다.
또한, 보안 블럭(52)은, 다른 레코더와의 인증을 수행하고 세션 키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난수 발생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인증은 메모리 카드가 먼저 레코더에 로드되면 수행된다. 이 인증은 메모리 카드의 보안 IC 및 보안 블럭에 의해 수행된다. 레코더가 로드된 메모리 카드를 인식하고 메모리 카드가 레코더를 인식하면, 교차 인증이 수립된다.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레코더 및 메모리 카드는 각각 세션 키를 생성한다. 세션 키는 인증이 수행될 때마다 생성된다.
콘텐트가 메모리 카드에 기입되면, 레코더는 세션 키를 사용하여 콘텐트 키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콘텐트 키를 메모리 카드에 전달한다. 그 다음, 메모리 카드는 수신된 콘텐트 키를 암호해독하고, 암호해독된 콘텐트 키를 기억 키에 의해 재-암호화(re-encrypt)하며, 재-암호화된 콘텐트 키를 레코더에 전달한다. 기억 키는 각각의 메모리 카드에 대해 고유하다. 재-암호화된 콘텐트 키를 수신하면, 레코더는 포맷 처리를 수행하여 재-암호화된 콘텐트 키 및 암호화된 콘텐트를 메모리 카드에 기입한다.
플래시 메모리(42)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때, 판독 데이터는 메모리 IF 시퀀서(51)를 통해 페이지 버퍼(45), 판독 레지스터(48) 및 에러 교정 회로(49)에 공급된다. 페이지 버퍼에 보유된 데이터는 에러 교정 회로에 의해 교정된다. 페이지 버퍼로부터의 에러 교정된 출력 및 판독 레지스터의 출력은, 전술한 직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S/P & P/S IF 블럭(43)에 공급된 다음에 DSP(30)에 공급된다.
데이터가 판독될 때, 기억 키에 의해 암호화된 콘텐트 키 및 블럭 키에 의해 암호화된 콘텐트가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판독된다. 그 다음, 콘텐트 키는 기억 키를 사용하여 보안 블럭에 의해 암호해독된다. 암호해독된 콘텐트 키는 레코더에 보내질 세션 키에 의해 암호화된다. 레코더는 수신된 세션 키를 사용하여 콘텐트 키를 암호해독한다. 다음에 레코더는 암호해독된 콘텐트 키를 사용하여 블럭 키를 발생한다. 이 블럭 키에 의해, 암호화된 ATRAC3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암호해독된다.
구성 ROM(50)은 메모리 카드의 버전 정보 및 다양한 속성 정보를 기억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메모리 카드는 메모리를 잘못된 삭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한 스위치(60)를 갖는다. 스위치가 삭제 디스에이블된 위치에 있을 때, 삭제 명령이 레코더로부터 나오더라도 플래시 메모리는 삭제될 수 없다.
오실레이터(61)는 메모리 카드에 의한 처리를 위해 타이밍 기준으로서 작용하는 클럭 신호를 발생한다.
3. 파일 시스템
3-1 처리 구조 및 데이터 구조
도 4는 메모리 카드(40)를 사용하는 기록 매체용의 파일 시스템 처리 계층을 도시한다. 상부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처리 층, 파일 관리 처리 층, 논리적 어드레스 관리층, 물리적 어드레스 관리층, 및 플래시 메모리 액세스층이 존재한다. 이 계층 구조 내에서, 파일 관리 처리 층은 FAT 파일 시스템이다. 물리적 어드레스가 플래시 메모리의 각 블럭에 지정된다. 블럭과 그 물리적 어드레스 간의 관계는 고정된다. 또한, 논리적 어드레스가 다양한 블럭에 할당될 수 있고, 파일 관리 처리층에 의해 처리된다.
도 5는 메모리 카드(40)의 플래시 메모리(42) 내의 데이터의 물리적 구성예를 도시한다. 플래시 메모리에서, 데이터는 소정수의 고정 길이 블럭으로 분할된 세그먼트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블럭은 소정수의 고정 길이 페이지로 더 분할된다. 플래시 메모리에서, 데이터는 블럭 단위로 삭제되고 페이지 단위로 판독 또는 기입된다.
한 블럭은 페이지 0 내지 m으로 구성된다. 블럭은 8 또는 16 KB 폭이다. 한 페이지는 512 바이트 폭이다. 따라서, 전체 플래시 메모리는 크기가 어디에서나 4 MB(512 블럭) 내지 64 MB(4,096 블럭)일 수 있다.
각각의 페이지는 512 바이트 데이터부와 16 바이트 용장부로 구성된다. 용장부의 첫번째 세개의 바이트는 블럭 상태, 페이지 상태, 및 갱신 상태가 기입되는 3 바이트 오버라이트 부분을 형성한다. 용장부의 나머지 13 바이트는 데이터부의 콘텐트에 따라 정해진다. 이들 13 바이트는 관리 플래그(1 바이트), 논리적 어드레스(2 바이트), 포맷 예비 영역(5 바이트), 이산 정보 ECC(2 바이트), 및 데이터 ECC(3 바이트)를 포함한다. 이산 정보 ECC는 관리 플래그, 논리적 어드레스 및 포맷 예비용 에러 교정 데이터이다. 데이터 ECC는 는 512 바이트 데이터용 에러 교정 데이터이다.
관리 플래그 바이트에서, 시스템 플래그(1= 사용자 블럭, 0=부트 블럭), 변환표 플래그(1=무효, 0=표 블럭), 복사 금지 명세(1=금지되지 않음, 1=금지됨), 및 액세스 허가(1=자유, 0= 판독 보호)가 기록된다.
각 세그먼트의 처음 2개의 블럭, 즉 블럭 0과 블럭 1은, 부트 블럭을 형성한다. 블럭 1은 블럭 0과 동일한 데이터를 갖는 백업이다. 부트 블럭은 메모리 카드 내의 첫번째 유효 블럭이고, 이로써 메모리 카드가 장치에 로드될 때 모든 다른 블럭 이전에 액세스된다. 나머지 블럭은 사용자 블럭이다. 부트 블럭의 첫번째 페이지(페이지 0)는 헤더, 시스템 엔트리, 그리고 부트 및 속성 정보를 기억한다. 페이지 1은 사용불가능한 블럭에 대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페이지 2는 CIS(Card Information Structure)/IDI(Identity Drive Information)를 기억한다. 부트 블럭의 헤더는, 부트 블럭 ID와 부트 블럭 내의 유효 엔트리의 수를 기록한다. 시스템 엔트리는 사용 금지 블럭 데이터의 시작 위치, 그 크기, 그 형태, CIS/IDI의 데이터 시작 위치, 그 크기 및 그 형태를 기록한다. 부트 및 속성 정보는 메모리 카드(40)(판독 전용, 판독가능 및 기입가능, 또는 그 조합)의 형태, 블럭 크기, 블럭의 총 개수, 보안 호환성, 및 카드의 제조에 연관된 데이터(제조 일자 등)를 기록한다.
플래시 메모리는 데이터가 기입될 때마다 절연막이 열화 되어, 데이터가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기억 영역(블럭)을 반복해서 그리고 집중적으로 액세스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논리적 어드레스를 가지며 물리적 어드레스에 기억된 데이터를 재기입할 때,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가 동일한 블럭에 기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일 시스템은 사용되지 않은 블럭에 갱신된 데이터를 기입한다. 그 결과로서, 논리적 어드레스와 물리적 어드레스 간의 상관이 각각의 갱신 이후에 변한다. 이와 같은 처리(스왑(swap) 처리라고 지칭함)는 동일한 블럭에 대한 반복적이고 집중적인 액세스를 방지하여,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가능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논리적 어드레스가 데이터와 연관되어 보유되므로, 데이터는 갱신 동안 블럭을 변경시키고, 동일한 어드레스가 FAT에 의해 관찰되어, 그후에 적당한 액세스를 보장한다. 스왑 처리는 논리적 어드레스와 물리적 어드레스 간의 상관의 변화를 유발하여, 논리적-물리적 어드레스 변환표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변환표를 관찰하면, FAT에 의해 지정된 논리적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물리적 어드레스를 식별할 수 있어, 식별된 물리적 블럭에 의해 표시된 블럭에의 액세스를 인에이블시킨다.
논리적-물리적 어드레스 변환표는 DSP(30)에 의해 SRAM(31 및 36)에 기억된다. 이들 SRAM이 표를 기억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표는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될 수 있다. 이 표는 그 대응하는 물리적 어드레스와 함께 오름차순으로 논리적 어드레스(각각 2 바이트씩)를 열거한다. 플래시 메모리의 최대 크기가 128 MB(8,192 블럭)이기 때문에, 9,192개의 어드레스가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논리적-물리적 어드레스 변환표는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해 관리되므로, 표의 크기는 플래시 메모리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예를 들어, 만일 플래시 메모리의 크기가 8MB (2 세그먼트)이면, 각 세그먼트의 2 페이지가 논리적-물리적 어드레스 변환표에 사용된다.
논리적-물리적 어드레스 변환표를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시키면, 각 페이지의 용장부 내의 관리 플래그의 소정 비트가, 표가 기억되어 있는 블럭을 나타낸다.
전술한 메모리 카드는 퍼스널 컴퓨터 및 디스크 기억 매체에 사용되는 FAT 시스템에 의해 사용가능하다.
비록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메모리 카드는 플래시 메모리에 정렬되어 있는, IPL 영역, FAT 영역, 및 루트 디렉토리 영역을 포함한다. IPL 영역은 메모리에 최초로 로드된 프로그램의 어드레스, 및 메모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기억한다. FAT 영역은 블럭(클러스터)과 연관된 정보를 기억한다. FAT는 사용되지 않은 블럭, 다음 블럭 번호, 결함있는 블럭, 및 마지막 블럭을 표시하는 값을 특정한다. 루트 디렉토리 영역은 디렉토리 엔트리(파일 속성, 갱신 일자, 시작 클러스터, 및 파일 크기)를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메모리 카드의 포맷에 의해 특정된 파일 관리 시스템과는 별도로, 음악 파일의 트랙, 및 각 트랙을 구성하는 파트(part)를 관리하기 위해 재생 관리 파일이 제공된다. 이 재생 관리 파일은 메모리 카드의 사용자 블럭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된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FAT가 손상된 경우, 파일 복구가 보장된다.
재생 관리 파일은 DSP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어, 처음에 레코더에 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 카드가 로드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메모리 카드가 로드되면, 인증이 실행된다. 만일 메모리 카드가 컴플라이언트 메모리 카드(compliant memory card)인 것으로 확인되면, 플래시 메모리의 부트 블럭이 DSP로 판독된다. 다음에, 논리적-물리적 어드레스 변환표가 판독된다. 판독된 데이터는 SRAM에 기억된다. 만일 메모리 카드가 사용자에게 처음(virgin)이면, FAT 및 루트 디렉토리는 선적 이전에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된다.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기록되면 재생 관리 파일이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 명령이 사용자에 의해 DSP에 주어지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는 엔코더/디코더 IC에 의해 압축되고, 그 결과로서 생긴 ATRAC3 데이터가 보안 IC에 의해 암호화된다. DSP는 암호화된 ATRAC3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하고, 그후 FAT 및 재생 관리 파일이 갱신된다.
파일 갱신 동작이 실행될 때마다(즉,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이 시작되고 종료할 때마다), FAT 및 재생 관리 파일이 SRAM에 재기입된다. 다음에, 메모리 카드가 레코더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전원이 오프되면, 최종 FAT 및 재생 관리 파일이 SRAM으로부터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된다. 이 경우에, FAT 및 재생 관리 파일은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이 시작되고 종료될 때마다 오버라이트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가 편집되었다면, 재생 관리 파일의 콘텐트가 갱신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플래시 메모리에 부수적인 정보 파일을 생성한다. 이 부수적인 정보 파일은 재생 관리 파일의 일부 또는 그와 별개일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부수적인 정보는 버스 및 버스 인터페이스(32)를 통해 외부 제어기로부터 DSP에 주어진다. DSP는 수신된 부수적인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한다. 부수적인 정보는 보안 IC를 거치지 않으므로 암호화되지 않는다. 메모리 카드가 레코더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전원이 오프된 경우, 부수적인 정보는 DSP의 SRAM으로부터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된다.
3-2 디렉토리 구조
도 6은 메모리 카드(40)의 디렉토리 구조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루트 디렉토리 다음에는 정지화상 디렉토리, 동화상 디렉토리, 음성 디렉토리, 제어 디렉토리, 및 음악 디렉토리(HIFI)가 온다. 예시적인 목적으로, 다음 설명은 음악 디렉토리를 사용한 음악의 기록/재생을 설명한다.
음악 디렉토리는 두가지 유형의 파일을 갖는다. 하나는 재생 관리 파일 PBLIST.MSF(이하, 간단히 PBLIST라고 함)이다. 다른 하나는 암호화된 음악 데이터를 기억하는 ATRAC3 데이터 파일 A3Dnnnn.MSA(이하, 간단히 A3Dnnn이라고 함)이다.
최대 400개의 ATRAC3 데이터 파일이 존재할 수 있다. 각각의 ATRAC3 데이터 파일이 생성된 다음에 재생 관리 파일에 등록된다.
3-3 관리 구조 및 편집 스킴
도 7은 재생 관리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다. 재생 관리 파일은 16 KB의 고정 길이를 가지며, 헤더, 1 바이트 메모리 카드명 HM1-S, 2 바이트 코드 메모리 카드명 NM2-S, 음악들이 정렬되어 있는 순서를 열거한 재생 표 TRKTBL, 및 전체 메모리 카드를 위한 부수적인 정보 INF-S로 구성된다.
도 8은 ATRAC3 데이터 파일(한곡의 음악을 위한)의 구조를 도시한다. ATRAC3 데이터 파일(이하, 간단히 데이터 파일이라고 함)은 모든 음악마다 제공되며, 속성 헤더 다음에, 암호화 음악 데이터로 구성된다. 속성 헤더는 16 KB의 고정 길이를 가지며, 재생 관리 파일의 구성과 유사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파일의 시작부에 있는 속성 헤더는 헤더, 1 바이트 코드 음악명 NM1, 2바이트 코드 음악명 NM2, 트랙 키 정보와 같은 트랙 정보 TRKINF, 파트 정보 PRTINF, 및 트랙 부수적인 정보 INF로 구성된다. 헤더는 전체 파트 수, 명칭 속성, 부수적인 정보 크기 등을 포함한다. 이 데이터 파일에서, 속성 헤더 다음에는 ATRAC3 음악 데이터가 온다. 음악 데이터는 16 KB 블럭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블럭은 헤더로 시작한다. 헤더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암호해독하기 위한 초기값을 포함한다. 암호화는 음악 데이터에 대해서만 수행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음악(트랙)과 ATRAC3 데이터 파일간의 관계가 설명된다. 하나의 트랙은 한 곡의 음악을 가리키고, 하나의 ATRAC3 데이터 파일로 구성된다(도 8을 참조). ATRAC3 데이터 파일은 ATRAC3 스킴에 의해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한다.
데이터는 클러스터(cluster) 기준으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다. 각각의 클러스터는 16 KB이다. 어떠한 클러스터도 한 파일 이상을 갖지 않는다. 플래시 메모리가 소거되는 최소 단위는 한 블럭이다. 음악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의 경우에, 블럭과 클러스터는 같은 것을 나타내고 하나의 클러스터는 섹터로서 정의된다.
한 곡의 음악은 기본적으로 한 파트(part)를 구성한다. 한 곡의 음악이 편집되면, 이는 두개 이상의 파트를 구성할 수 있다. 한 파트는 기록의 시작부에서 그 종료까지의 연속하는 시간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단위를 지칭한다. 정상적으로, 한 트랙은 한 파트를 구성한다.
파트들 간의 접합(joint)은 한 곡의 음악의 속성 헤더 내의 (나중에 설명될) 파트 정보 PRTINF에 의해 관리된다. 보다 상세히 하면, 파트 크기는 PRTINF 내의 파트 크기 PRTSIZE라고 하는 4 바이트 데이터에 의해 표시된다. 파트 크기 PRTSIZE의 첫번째 2 바이트는, 해당 파트에 대한 전체 클러스터 수를 나타낸다. 후속 바이트들은 시작 및 종료 클러스터들에 시작 사운드 단위(sound unit)(SU라고 약칭함)의 위치 및 종료 SU를 나타낸다.
이러한 파트 설명 스킴은 음악 데이터를 편집할 때 많은 양의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필요성을 없앤다. 만일 음악 데이터가 블럭 기준으로만 편집된다면, 데이터의 불필요한 이동을 피할 수 있지만, 블럭들이 너무 커서 편집함에 있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SU는, 오디오 데이터가 ATRAC3를 사용하여 압축될 때 사용되는 파트의 최소 단위 및 최소 데이터 단위이다. 각각의 SU는 오디오 데이터(44.1㎑에서 1,024 x 16 비트 x 2 채널)를 그 본래 크기의 1/10로 압축하는 것에 의해 취득된 수백 바이트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하나의 SU는 약 23ms와 같다. 즉, 한 파트는 수천 SU로 구성된다. 하나의 클러스터가 42개의 SU로 구성되면, 해당 클러스터는 약 1초의 음악을 나타낸다. 트랙을 구성하는 파트의 수는 부수적인 정보의 크기에 의존한다. 파트의 수는 헤더, 음악명, 및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를 블럭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의해 취득된 수에 의해 결정되므로, 파트의 최대 수(645)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CD로부터 연속적으로 기록된 두곡의 음악에 대한 파일 구성을 도시한다. 도 9a는 1개의 곡(데이터 파일 #1)이 5개의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9c는 2개의 곡(데이터 파일 #2)이 6개의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하나의 파일만이 클러스터에 기억되기 때문에, 데이터 파일 #2는 다음 클러스터의 시작부로부터 생성된다. 그 결과, 데이터 파일 #1의 끝(음악 1의 끝)이 클러스터의 중간에 위치한 경우,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떠한 데이터도 해당 클러스터의 나머지 부분에 기록되지 않는다. 전술한 예에서, 데이터 파일 #1 및 #2 각각은 한 파트를 구성한다.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데이터 파일의 경우, 4가지 유형의 편집 처리 즉, 분할, 결합, 소거, 및 이동이 특정된다. 분할 처리는 파일 시스템 내의 하나의 파일을 두개로 분할하고, 재생 관리 파일을 갱신한다. 결합 처리는 파일 시스템 내의 두개의 파일을 하나로 결합하고, 재생 관리 파일을 갱신한다. 소거 처리는 트랙을 소거한다. 이동 처리는 트랙의 순서를 변경하고, 재생 관리 파일이 갱신된다.
"이동" 처리는 데이터의 이동을 수반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편집에서의 "이동"은 하나의 기록 매체에서 다른 기록 매체로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것과는 다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 간의 데이터의 "이동"은 데이터를 복사한 다음에, 이를 소스 기록 매체로부터 삭제함으로써 달성된다.
2개의 파일(도 9a, 도 9b 및 도 9c에 도시한 데이터 파일 #1 및 #2)을 결합한 결과가 도 10에 도시된다. 2개의 데이터 파일 #1 및 #2는 새로운 데이터 파일 #1로 결합된다. 새로운 데이터 파일 #1은 2개의 파트로 구성된다.
도 11은 클러스터 2의 중간에서 한 곡의 음악(도 9a에 도시한 데이터 파일 #1)을 분할한 결과를 도시한다. 분할 처리의 결과, 클러스터 0과 1 및 클러스터 2의 전면부로 구성된 데이터 파일 #1, 및 클러스터 2의 후부 및 클러스터 3과 4로 구성된 데이터 파일 #2가 생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파트 설명 스킴이 제공되어, 파트 1의 시작 및 끝 위치와 파트 2의 시작 및 끝 위치가 SU 유닛에 의해 특정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결합 처리의 결과로 나타나는 접합부(joint)를 채우기 위해 파트 2의 음악 데이터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파트 설명 스킴은, 분할 처리(도 11)의 결과로 나타나는 데이터 파일 #2의 시작부에서의 공간이 채워지도록 데이터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게 한다.
3-4 재생 관리 파일
도 12는 재생 관리 파일 PBLIST의 세부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다. 재생 관리 파일 PBLIST는 하나의 클러스터(1 블럭=16 KB) 크기이다. 처음 32 바이트는 헤더이다.
나머지 부분은 전체 메모리 카드용의 명칭 NM1-S(256 바이트), 명칭 NM2-S(512 바이트), CONTENTS KEY, MAC, S-YMDhms, 재생 순서를 관리하기 위한 표 TRKTBL(800 바이트), 및 전체 메모리 카드용의 부수적인 정보 INF-S(14,720 바이트)를 포함한다. 이 파일의 끝에서, 헤더 내의 정보의 파트가 다시 기록된다. 다른 데이터가 재생 관리 파일 내의 소정 위치에 위치된다.
재생 관리 파일에서, (0x0000) 및 (0x0010)으로 표현된 처음 32 바이트는 헤더이다. 파일의 시작부로부터 매 16 바이트는 슬롯(slot)이라는 것에 유의한다.
"예비"는 정의되지 않은 데이터를 지칭하고, 흔히 널(0x00)로 표시된다. 예비 데이터는 무시된다. 예비 데이터의 위치가 또한 기입-보호된다. "옵션"으로 표시된 데이터는 예비 데이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취급된다. 헤더는 첫번째 및 두번째 슬롯에 정렬되고, 다음 데이터를 포함한다.
BLKID-TL0(4 바이트)
의미 : 블럭 파일 ID.
기능 : 재생 관리 파일의 시작을 식별하기 위한 값.
값 : "TL=0" (예를 들어, 0x544C2D30)
MCode(2 바이트)
의미 : 메이커 코드(maker code).
기능 : 기록이 이루어지는 장치의 메이커 및 모델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값 : 상위 10 비트(메이커 코드) 및 하위 6 비트(모델 코드)
REVISION(4 바이트)
의미 : 재생 관리 파일(PBLIST)이 재기입된 횟수
기능 : 재생 관리 파일이 재기입될 때마다 REVISION이 증분함.
값 : 0에서 시작하여 1씩 증분함.
SN1C+L(2 바이트)
의미 : NM1-S 영역에 기입될 메모리 카드의 명칭(1 바이트)의 속성.
기능 : SN1C+L은 한 바이트씩 사용될 문자 코드 및 언어 코드를 표현함.
값: 문자 코드(C)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 바이트에 의해 문자들을 식별함.
00: 어떠한 문자 코드도 설정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이진수로 처리됨.
01: ACCII 02: ASCII+KANA 03: 수정된 8859-1
81: MS-JIS 82: KS C 5601-1989 83: GB2312-80 90: S-JIS(음성용)
언어 코드(L)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EBU Tech 3258마다 하위 1 바이트에 의해 언어들을 식별함.
00: 설정되지 않음 08: 독일어 09: 영어 0A: 스페인어 0F: 프랑스어
15: 이탈리아어 ID: 네덜란드어 65: 한국어 69: 일본어 75: 중국어
만일 어떠한 데이터도 존재하지 않으면, 제로가 채워진다.
SN2C+L(2 바이트)
의미 : NM2-S 영역에 기입될 메모리 카드의 명칭(2 바이트)의 속성.
기능 : SN2C+L은 한 바이트 각각에 사용될 문자 코드 및 언어 코드를 표현함.
값 : 전술한 SN1C+L과 동일.
SINFSIZE(2 바이트)
의미 : INF-S 영역에 기입될 전체 메모리 카드와 연관된 모든 부수적인 정보를 부가함으로서 얻어지는 크기
기능 : SINFSIZE는 16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 크기를 기술하며, 만일 어떠한 데이터도 없으면 제로가 채워짐.
값 : 크기는 0x0001 내지 0x39C(924)임.
T-TRK(2 바이트)
의미 : 총 트랙 수.
기능 : 총 트랙의 수
값 : 1 내지 0x0190(400 트랙까지). 만일 어떠한 데이터도 없으면, 제로가 채워짐.
VerNo(2 바이트)
의미 : 포맷의 버전 번호.
기능 : 상위는 주요(major) 버전 번호를 가리키고, 하위는 중요치 않은(minor) 버전 번호를 가리킴.
값 : 예 0x0100(Ver 1.0), 0x0203(Ver 2.3)
전술한 헤더를 뒤따르는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NM1-S
의미 : 전체 메모리 카드와 연관된 한 바이트의 명칭.
기능 : 1 바이트 문자 코드로 표현된 가변 길이 명칭 데이터(256까지). 이 명칭 데이터는 항상 종료 코드(0x00)로 끝난다. 그 크기는 이 종료 코드에서부터 카운트된다. 만일 어떠한 데이터도 존재하지 않으면, 시작부(0x0020)에서부터 적어도 1 바이트로 널(0x00)이 기록된다.
값 : 다양한 문자 코드.
NM2-S
의미 : 전체 메모리 카드와 연관된 2 바이트의 명칭.
기능 : 2 바이트 문자 코드로 표현된 가변 길이 명칭 데이터(512까지). 이 명칭 데이터는 항상 종료 코드(0x00)로 끝난다. 그 크기는 이 종료 코드에서부터 카운트된다. 만일 어떠한 데이터도 존재하지 않으면, 시작부(0x0120)에서부터 적어도 2 바이트로 널(0x00)이 기록된다.
값 : 다양한 문자 코드.
CONTENTS KEY
의미 : 각 음악 곡을 위해 준비된 값. 이 값은 MG(M)에 의해 보호된 다음에 기억된다. 이 값은 여기서 첫번째 곡의 음악에 부착된 CONTENTS KEY와 동일하다.
기능 : S-YMDhms의 MAC의 연산에 필요한 키.
값 : 0 내지 0xFFFFFFFFFFFFFFFF.
MAC
의미 : 저작권 정보의 변경(tamper)을 점검하기 위한 값
기능 : S-YMDhms 및 CONTENTS KEY의 콘텐트로부터 생성된 값.
값 : 0 내지 0xFFFFFFFFFFFFFFFF.
TRK-nnn
의미 : 재생될 ATRAC3 데이터 파일의 SQN(시퀀스) 번호.
기능 : TRK-nnn은 TRKINF 내의 FNo를 설명.
값 : 1 내지 400 (0x190). 만일 어떠한 데이터도 없다면, 제로가 채워진다.
INF-S
의미 : 전체 메모리 카드에 연관된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예를 들어, 사진, 서정시(lyrics) 및 설명에 대한 정보).
기능 : 헤더를 수반하는 가변 길이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 두개 이상의 서로 다른 부수적인 정보가 정렬될 수 있는데, 각각의 정보는 ID와 데이터 크기가 부착되어 있다. 헤더를 포함하는 각각의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는 4 바이트의 정수배로 적어도 16 바이트임. 이에 대한 상세한 것은 나중에 설명된다.
값 :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의 구성을 참조.
S-YMDhms(4 바이트)(선택적)
의미 : 신뢰성있는 클럭을 갖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록의 년, 월, 일, 시간, 분 및 초.
기능 : EMD에 필수적인 최종 기록 일자 및 시간을 식별하는 값.
값 : 비트 25 내지 31 : 년 0 내지 99(1980 내지 2079)
비트 21 내지 24 : 월 0 내지 12
비트 16 내지 20 : 일 0 내지 31
비트 11 내지 15 : 시간 0 내지 23
비트 05 내지 10 : 분 0 내지 59
비트 00 내지 04 : 초 0 내지 29(2초의 단위로)
재생 관리 파일의 최종 슬롯에서, 헤더에서의 것과 동일한 BLKID-TL0, MCode 및 REVISION이 기입된다.
예로서, 소비재 오디오 시스템에서, 메모리 카드는 기록 동안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부주의하게 시스템 전원이 나갈 수 있어, 시스템의 복구시 비정상적인 상태의 검출을 필요로 하게 된다. 설명한 바와 같이, REVISION는 각 블럭의 시작과 끝에 기입되며, REVISION이 기입될 때마다 재기입 카운트가 1씩 증분된다. 그 결과, 블럭을 기록하는 동안 비정상적인 상태가 발생하면, 시작 REVISION과 끝 REVISION의 값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비정상적인 상태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두개의 REVISION은 비정상적인 상태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비정상적인 상태가 검출되면, 에러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다.
고정된 값 BLKID-TL0가 각 블럭의 시작에 삽입되기 때문에, 이 고정된 값이 손상된 FAT의 복구를 위한 안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블럭의 시작부에서 고정된 값을 점검함으로써, 파일의 유형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 고정된 값 BLKID-TL0이 헤더와 각 블럭의 끝 모두에 기입되기 때문에, 그 신뢰성이 점검될 수 있다.
재생 관리 파일과 비교하여, ATRAC3 데이터 파일은 상당히 많은 양의 데이터(즉, 때때로 수천개의 축약된 블럭)을 포함한다. 각각의 ATRAC3 데이터 파일에는 블럭 번호 BLOCK SERIAL가 부착되어 있다. 보통, 각각의 ATRAC3 데이터 파일은 메모리 카드 상에 두개 이상의 블럭을 점유한다. 따라서, 콘텐트가 CUNNUM0 및 BLOCK SERIAL에 의해 식별되지 않는 한, 복제가 발생할 수 있어, FAT의 손상시 복구가 어렵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파일이 논리적 에러를 발생하는 경우, 기록이 이루어지는 장치의 모델을 식별하기 위해 각 블럭의 시작과 끝에 메이커 코드(MCode)가 기록된다.
도 13은 재생 관리 파일에 기록된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INF-S)의 구성을 도시한다. 부수적인 정보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헤더로 시작하고 가변 길이 데이터가 뒤따른다.
INF
의미 : 필드 ID
기능 :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의 시작를 표시하는 고정된 값.
값 : 0x69
ID
의미 : 부수적인 정보 키 코드
기능 : 부수적인 정보의 분류를 가리키는 ID
값 : 0 내지 0xFF
SIZE
의미 : 개별적인 부수적인 정보의 크기
기능 : 데이터 크기는 자유지만, 항상 4 바이트의 정수배이어야 하고, 적어도 16 바이트여야 한다. 만일 데이터가 스페이스(space)로 끝나면, 널(0x00)로 채워진다.
값 : 16 내지 14784(0x39C0)
MCode
의미 : 메이커 코드
기능 : 기록이 이루어지고 있는 장치의 메이커 및 모델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값 : 상위 10 비트(메이커 코드) 및 하위 6 비트(모델 코드)
C+L
의미 : 바이트 12에서 시작하는 데이터 영역에 기입될 문자의 속성.
기능 : 사용될 문자 코드 및 언어 코드가 각각 1바이트로 표현됨.
값 : 전술한 SN1C+L과 동일.
DATA
의미 : 개별적인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
기능 : DATA는 가변 길이 데이터로 표현. 실제의 데이터는 항상 바이트 12에서 시작하고, 길이(크기)가 적어도 4 바이트이어야 하며, 항상 4 바이트의 정수배이어야 한다. 만일 데이터가 스페이스로 끝나면, 널(0x00)로 채워진다.
값 : 콘텐트에 따라 개별적으로 정의됨.
도 14는 부수적인 정보 키 코드 값 0 내지 63과 부수적인 정보 유형 간의 상관의 예를 도시한다. 키 코드 값 0 내지 31은 음악에 연관된 정보(문자 정보)에 할당되고, 키 코드 값 32 내지 63은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 연관 정보에 할당된다. 앨범 제목, 아티스트 이름, 및 CM과 같은 문자 정보는 부수적인 정보로서 기록된다.
도 15는 부수적인 정보 키 코드 값(64 내지 127)과 부수적인 정보 유형 간의 상관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키 코드 값 64 내지 95은 경로/다른 정보로서 할당되고, 키 코드 값 96 내지 127은 제어/수치 데이터에 할당된다. 예를 들어, ID 98의 경우에, 부수적인 정보는 TOC-ID이다. TOC-ID는 CD(콤팩트 디스크)로부터의 TOC 정보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음악 번호, 마지막 음악 번호, 현재 음악 번호, 총 재생 시간 및 현재 음악의 재생 시간을 나타낸다.
도 16은 부수적인 정보 키 코드 값(128 내지 159)과 부수적인 정보 유형 간의 상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키 코드 값 128 내지 159는 동기 재생에 연관된 정보에 할당된다. 도 16에서, EMD는 전자 음악 분포(electronic music distribution)를 지칭한다.
도 17a, 도 17b, 도 17c, 도 17d 및 도 17e를 참조하면,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의 특정 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7a는 도 13과 일치하는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도 17b는 부수적인 정보가 아티스트의 이름, 즉, 키 코드 ID=3인 예를 도시한다. SIZE는 0x1C(28 바이트)이다. 헤더를 포함하는 이 부수적인 정보의 데이터 길이는 28 바이트이다. C+L 내에서, 문자 코드 C는 0x01이고 언어 코드 L은 0x09이다. 이 값은 상기 도시한 명세에 따라 언어가 영어라는 것을 가리키는 ASCII 문자 코드이다. 아티스트 이름 데이터, 예를 들어 "SIMON&ABCDEFGHI"는 바이트 12에서 시작하는 한 바이트로 기입된다. 부수적인 정보의 크기가 4 바이트의 정수배로서 특정되기 때문에, 나머지 한 바이트는 (0x00)이다.
도 17c는 부수적인 정보가 ISRC(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저작권 코드) 즉, 키 코드 ID=97인 예를 도시한다. SIZE는 0x14(20 바이트)이고, 부수적인 정보의 데이터 길이가 20 바이트라는 것을 가리킨다. C+L의 경우, C=0x00 및 L=0x00이고, 문자 또는 언어 어느 것도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 즉, 데이터가 이진수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8 바이트 ISRC 코드가 데이터로서 기입된다. ISRC는 저작권 정보(국가, 저작원 소유자, 기록 일자, 및 일련번호)를 가리킨다.
도 17d는 부수적인 정보가 기록 일자, 즉 키 코드 ID=97인 예를 도시한다. SIZE는 이 부수적인 정보의 데이터 길이가 16 바이트라는 것을 가리키는 0x10(16 바이트)이다. C+L의 경우, 문자 또는 언어 어느 것도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가리키는 C=0x00 및 L=0x00이다. 이때, 4 바이트(32 비트) 코드가 기록 일자(년, 월, 일, 시간, 분, 초)를 가리키는 데이터로서 기입된다.
도 17e는 부수적인 정보가 재생 로그, 즉 키 코드 ID=107인 예를 도시한다. SIZE는 부수적인 정보의 데이터 길이가 16 바이트라는 것을 가리키는 0x10(16 바이트)이다. C+L의 경우, 문자 또는 언어 어느 것도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가리키는 C=0x00 및 L=0x00이다. 이때, 4 바이트(32 비트) 코드가 재생 로그(년, 월, 일, 시간, 분, 초)를 가리키는 데이터로서 기입된다. 재생 로그는 재생이 수행될 때마다 데이터의 16 바이트를 기록한다.
3-5 데이터 파일
도 18은 하나의 SU가 N 바이트(예를 들어, N=384 바이트)인 ATRAC3 데이터 파일(A3Dnnnn)용 데이터 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8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데이터 파일을 세부적으로 도시한다. 특히, 이 도면은 첫번째 2개 블럭(16x2=32K 바이트)의 슬롯의 시작 바이트(0x0000 내지 0x7FF0)를 도시한다.
속성 헤더의 첫번째 32 바이트는 헤더, 그리고 다음에 음악 명 영역 NM1(256바이트)용의 256 바이트 및 음악 명 영역 NM2(512 바이트)용의 512 바이트가 온다. 속성 헤더의 헤더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한다.
BLKID-HD0(4 바이트)
의미 : 블럭 파일 ID.
기능 : ATRAC3 데이터 파일의 시작을 식별하기 위한 값.
값 : 고정 값 ="HD=0" (예를 들어, 0x48442D30)
MCode(2 바이트)
의미 : 메이커 코드.
기능 : 기록이 이루어지는 장치의 메이커 및 모델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값 : 상위 10 비트(메이커 코드) 및 하위 6 비트(모델 코드)
BLOCK SERIAL (4 바이트)
의미 : 각각의 트랙에 부착되는 일련 번호
기능 : 첫번째 블럭은 0으로 시작하고, 다음 블럭들은 일련 번호들이 1씩 증가함. 이들 번호들은 편집 처리 후에도 변하지 않음.
값 : 0 내지 0xFFFFFFFF.
N1C+L(2 바이트)
의미 : 트랙(음악명) 데이터(NM1)의 속성
기능 : NM1에 사용하기 위한 언어 코드 및 문자 코드가 각각 1 바이트씩 표현됨.
값 : SN1C+L과 동일.
N2C+L(2 바이트)
의미 : 트랙(음악명) 데이터(NM2)의 속성.
기능 :NM2에 사용하기 위한 문자 코드 및 언어 코드가 각가 1 바이트로 표현됨.
값 : SN1C+L과 동일.
INFSIZE(2 바이트)
의미 : 트랙과 연관된 부수적인 모든 정보를 총합산하여 얻어지는 크기
기능 : INFSIZE는 16 바이트 단위로의 데이터 크기를 설명; 만일 어떠한 데이터도 없으면 제로가 채워짐.
값 : 크기는 0x0000 내지 0x3C6(966)임.
T-PRT(2 바이트)
의미 : 총 파트의 수.
기능 : T-PRT는 트랙을 구성하는 파트의 수, 보통, 1을 나타낸다.
값 : 1 내지 0x285(645 dec).
T-SU(4 바이트)
의미 : 총 SU 수.
기능 : T-SU는 한 트랙 내의 실제의 총 SU 수를 나타내며, 음악 재생 시간과 등가임.
값 : 0x01 내지 0x001FFFFF.
INX(2 바이트) (선택적)
의미 : INDEX의 상대적 위치.
기능 : 음악의 특징적인 부분의 시작을 표시하며, SU의 수를 4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값에 의해 음악의 시작으로부터의 위치를 특정하는 포인터(pointer). 정상적인 SU의 4배의 시간 기간(약 93㎳)과 등가임.
값 : 0 내지 0xFFFF(약 6084 초까지)
XT(2 바이트)(선택적)
의미 : INDEX의 재생 시간
기능 : XT는 SU의 수를 4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값만큼 INX-nnn에 의해 명시된 시작으로부터 재생될 시간을 특정하고, 정상적인 SU의 4배의 시간 기간(약 93㎳)과 등가임.
값 : 0x0000: 어떠한 설정도 없음; 0x01 내지 0xFFFF(약 6084 초까지)
0xFFFF: 음악의 끝까지
다음은 속성 헤더 내의 음악 명칭 영역 NM1 및 NM2을 설명한다.
NM1
의미 : 음악 명을 표시하는 문자 스트링.
기능 : 1 바이트 문자 코드로 표현된 가변 길이 음악명(256까지). 이 명칭 데이터는 항상 종료 코드(0x00)로 끝난다. 크기는 이 종료 코드로부터 계산된다. 만일 어떠한 데이터도 없으면, 하나 이상의 널 바이트(0x00)가 적어도 시작(0x0020)으로부터 기록된다.
값 : 문자 코드의 각 유형
NM2
의미 : 음악 명을 표시하는 문자 스트링.
기능 : 2 바이트 문자 코드로 표현된 가변 길이 명칭 데이터(512까지). 이 명칭 데이터는 항상 종료 코드(0x00)로 끝난다. 크기는 이 종료 코드로부터 계산된다. 만일 어떠한 데이터도 없으면, 두개 이상의 널 바이트(0x00)가 적어도 시작(0x0120)으로부터 기록된다.
값 : 문자 코드의 각 유형
속성 헤더의 고정된 위치 0x0320에서 시작하는 80 바이트 데이터는, 보안 및 복사 제어에 연관된 정보를 관리하는 트랙 정보 영역 TRKINF로 불리운다. 다음은 TRKINF 내의 데이터를 설명한다.
CONTENTS KEY(8 바이트)
의미 : 메모리 카드의 보안 블럭에 의해 보호된 다음 기억되는 각 곡의 음악을 위해 준비된 값
기능 : 음악을 재생하는데 필요하고 계산 C-MAC[n]에 사용되는 첫번째 키
값 : 0 내지 0xFFFFFFFFFFFFFFFF.
C-MAC[n] (8 바이트)
의미 : 저작권 정보의 변경(tamper)을 점검하기 위한 값
기능 : 콘텐트 누적 숫자 및 감춰진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TRKINF의 콘텐트로부터 생성된 값. 감춰진 시퀀스 번호는 메모리 카드의 감춰진 영역에 기록된 시퀀스 번호를 지칭한다. 저작권과 호환하지 않는 임의의 레코더는 감춰진 영역을 판독할 수 없다. 저작권과 호환하는 전용 레코더 또는 메모리 카드를 판독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는 감춰진 영역을 액세스할 수 있다.
A(1 바이트)
의미 : 파트의 속성
기능 : 파트에서의 압축 모드와 같은 정보
값 : 도 19를 참조. 모노럴 모드(Monaural mode)(N=0,1)는 비트 7이 1이고 서브 신호가 0인 특수한 결합 모드이다. 주 신호(L+R)만이 모노럴로서 명시될 수 있다. 정상적인 재생 장치는 비트 2와 비트 1의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A의 비트 0은 강조 온/오프의 정보를 형성한다. 비트 1은 재생 SKIP 또는 정상적인 재생에 대한 정보를 형성한다. 비트 2는 데이터 분할에 대한 정보를 형성하고,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또는 FAX와 같은 다른 데이터가 있다. 비트 3은 정의되어 있지 않다. 비트 4, 5 및 6을 조합함으로써, 속도 정보가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정된다.
보다 상세히, N는 3개 비트로 표현되며, 기록 시간(64 MB 메모리 카드의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 한 블럭 내의 SU의 수, 및 5가지 종류의 모드에 대한 한 SU의 바이트 수(모노럴(N=0), LP(N=2), SP(N=4), EX(N=5,6), 및 HQ(n=7))를 가리키는 속도 값. 비트 7은 ATRAC3의 모드(0: 이중, 1: 결합)를 가리킨다.
다음은 64-MB 메모리 카드의 사용에 의한 SP 모드의 경우를 설명한다. 64-MB 메모리 카드는 3968개의 블럭을 갖는다. SP 모드에서, 하나의 SU는 304 바이트를 가지므로, 한 블럭은 53개의 SU를 갖게 된다. 한 SU는 (1,024/44,100) 초와 등가이다. 따라서, 한 블럭은 (1,024/44,100) x 53 x (3,968-16)=4,863 초 = 81 분이다. 전송 속도는 (44,100/1,024) x 304 x 8 = 104,737bps이다.
LT(1 바이트)
의미 : 재생 한계 플래그(비트 7 및 비트 6), 및 보안 버전(비트 5 내지 비트 0)
기능 : LT는 이 트랙에 대해 제한사항이 존재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값 : 비트 7 : 0= 제한이 없음; 1=제한있음
비트 6 : 0= 시간 제한 내; 1=시간 제한을 벗어남.
비트 5 내지 비트 0 : 보안 버전 0 (만일 보안 버전이 0 이외이면, 재 생이 금지됨)
FNo(2 바이트)
의미 :파일 번호
기능 : 첫번째 기록에서의 트랙 번호이고, 이 번호는 메모리 카드의 감춰진 영역에 기록된 MAC 연산에 대한 값의 위치를 식별한다.
값 : 1 내지 0x190 (400).
MG(D) SERIAL-nnn(16 바이트)
의미 : 기록 장치의 보안 블럭(보안 IC(20))의 일련번호.
기능 : 기록 장치 간에 서로 다른 고유한 값
값 : 0 내지 0xFFFFFFFFFFFFFFFFFFFFFFFFFFFFFFFF.
CONNUM(4 바이트)
의미 : 콘텐트 누산 번호
기능 : 각각의 음악에 대해 누적되고 기록 장치의 보안 블럭에 의해 관리되는 고유한 값. 이 번호는 2 내지 32번째 제곱 또는 4.2백만 곡의 음악을 위해 준비되고 기록된 음악을 식별하는데 사용됨.
값 : 0 내지 0xFFFFFFFF.
YMDhms-S(4 바이트)(선택적)
의미 : 재생 한계에 속하는 트랙을 위한 재생 시작 날짜
기능 : EMD에 의해 명시된 재생 시작이 허용되는 날짜.
값 : 전술한 날짜의 주석과 동일함.
YMDhms-E(4 바이트)(선택적)
의미 : 재생 한계에 속하는 트랙을 위한 재생 종료 날짜
기능 : EMD에 의해 명시된 재생 허가가 종료되는 날짜.
값 : 전술한 날짜의 주석과 동일함.
MT(1 바이트)(선택적)
의미 : 재생이 허가되는 최대 횟수
기능 : EMD에 의해 명시된 최대 재생 횟수
값 :1 내지 0xFF; 이것이 사용되지 않을 때는 0x00; 만일 LT의 비트 7이 0이면, MT의 값은 00임
CT(1 바이트)(선택적)
의미 : 재생이 이루어지는 횟수
기능 : 음악이 실제로 재생의 허용된 횟수 내에서 재생될 수 있는 횟수. 이 값은 재생이 이루어질 때마다 감분된다.
값 :0x00 내지 0xFF; 이것이 사용되지 않을 때는 0x00; 만일 LT의 비트 7이 1이고, CT의 값이 00이면, 재생은 금지됨.
CC(1 바이트)
의미 :COPY CONTROL
기능 : 복사 제어
값: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 6 및 비트 7은 복사 제어 정보를 표현하고, 비트 4 및 5는 고속 디지털 복사에 연관된 복사 제어 정보를 표현하고, 비트 1, 비트 2 및 비트 3은 복사 속성을 나타내고, 비트 0은 정의되어 있지 않음.
CC의 예:
비트 7: 0: 복사 보호, 1: 복사 인에이블
비트 6: 0: 본래, 1: 첫번째 생성 이상
비트 5, 4: 00: 복사 보호, 01: 복사 첫번째 생성, 10: 복사 인에이블
비트 3, 2, 1:
001 : 본래 소스로부터 기록된 콘텐트
010 : LCM으로부터 복사된 콘텐트
011 : LCM으로부터 이동된 콘텐트
100 이상 : 정의되지 않음.
LCM은 퍼스널 컴퓨터 또는 소비재 장치 내의 HDD에 상당하는 Licensed Compliant Module를 가리킨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CD로부터의 디지털 기록에서, (비트 7,6)은 01이고, (비트 5,4)는 00이고 (비트 3,2,1)은 001 또는 010이다.
CN(1 바이트)(선택적)
의미 : 고속 디지털 복사 HSCMS(High Speed Serial Copy Management System)에서 복사가 허용되는 횟수.
기능 : CN은 한번의 복사와 복사가 없는 것 간의 구별을 확장하고, 횟수에 의해 명시된다. CN은 첫번째 생성 복사에 대해서만 유효하고, 복사가 이루어질 때마다 감소한다.
값: 00: 복사 보호, 01 내지 0xFE: 횟수, 0xFF; 유한 횟수
데이터 파일 내의 속성 헤더에서, 전술한 트랙 정보 영역 TRKINF 다음에는 파트 관리를 위한 파트 정보 영역 PRTINF라고 하는 0x0370에서 시작하는 24 바이트 데이터가 온다. 한 트랙이 복수의 파트들로 구성될 때, PRTINF는 시간 축에 따라 정렬된다. 다음은 PRTINF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술한다.
PRTSIZE(4 바이트)
의미 : 파트 크기
기능 : PRTSIZE는 파트의 크기를 가리킨다. 클러스터: 2 바이트(상부), 시작 SU:1 바이트(중간), 종료 SU: 1 바이트(바닥)
값: 클러스터: 1 내지 0x1F40(8000), 시작 SU: 0 내지 0xA0(160), 종료 SU: 0 내지 0xA0(160)(SU는 0으로부터 번호가 매겨진다)
PRTKEY(8 바이트)
의미 : 파트를 암호화하기 위한 값
기능 : 초기값 = 0; 편집시에, PRTKEY는 편집 규칙을 따른다.
값 : 0 내지 0xFFFFFFFFFFFFFFFF.
CONNUM0 (4 바이트)
의미 : 첫번째 생성된 콘텐트 누산 번호 키
기능 : CONNUM0은 콘텐트를 고유하게 하기 위한 ID로서의 역할을 한다.
값 : 콘텐트 누산 번호 초기값 키와 동일.
ATRAC3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수적인 정보 INF를 포함한다. 이 정보는 일반적으로, 시작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재생 관리 파일 내의 부수적인 정보 INF-S(도 12를 참조)와 동일하다. 부수적인 정보 INF는 하나 이상의 파트들의 최종 바이트 부분(4 바이트의 단위) 다음의 위치에서 시작한다.
INF
의미 : 트랙에 연관된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
기능 : 헤더를 갖는 가변 길이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 복수의 서로 다른 종류의 부수적인 정보가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헤더에는 ID 및 데이터 크기가 부착되어 있다. 개별 헤더들을 포함하는 부수적인 정보 데이터는 적어도 16 바이트 길이이고, 4 바이트의 정수배로 증분한다.
값 : 재생 관리 파일 내의 부수적인 정보 INF-S와 동일
전술한 속성 헤더 다음에는 ATRAC3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블럭들이 온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가 각각의 블럭에 부가된다. 다음은 도 18을 참조하여 블럭 데이터를 기술한다.
BLKID-A3D(4 바이트)
의미 : BLOCK ID FILE ID.
기능 : BLKID-A3D는 ATRAC3 데이터의 시작을 식별한다.
값 : 고정값="A3D"(예를 들어, 0x41334420).
MCode(2 바이트)
의미 : MAKER CODE.
기능 : MCode는 기록이 이루어지는 장치의 메이커 및 모델을 식별한다.
값 : 상위 10 비트(메이커 코드) 및 하위 6 비트(모델 코드)
CONNUM0(4 바이트)
의미 : 첫번째 생성된 콘텐트 누산 번호.
기능 : CONNUM0는 콘텐트를 고유하게 하는 ID로서 작용하며, 편집후에 어떠한 값 변경도 허용하지 않는다.
값 : 콘텐트 누산 번호 초기 값 키와 동일.
BLOCK SERIAL (4 바이트)
의미 : 각각의 트랙에 부착되는 일련 번호
기능 : 첫번째 블럭은 0으로 시작하고, 다음 블럭들은 1씩 증분하는 일련 번호들을 갖는다. 이들 번호들은 편집 처리 후에도 변하지 않는다.
값 : 0 내지 0xFFFFFFFF.
BLOCK_SEED (8 바이트)
의미 : 한 블럭을 암호화하기 위한 하나의 키
기능 : 시작 블럭은 기록 장치용 보안 블럭이고, 난수(random number)를 발생한다. 다음 블럭들은 1씩 증분하여 번호가 부여된다. 만일 이 값이 없어지면, 한 블럭에 상당하는 약 1초 동안 어떠한 소리도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동일한 값이 두번 헤더 및 블럭 끝에 기입된다. 이 값은 편집 후에도 변하지 않는다.
값 : 처음, 8 바이트 난수
INITIALIZATION VECTOR (8 바이트)
의미 : 이는 각각의 블럭에 대한 ATRAC3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암호해독하는데 필요한 초기 값이다.
기능 : 첫번째 블럭은 0에서 시작하고 다음 블럭은 최종 SU의 최종 암호화 8 바이트 값을 갖는다. 분할된 블럭의 중간에서 시작할 때, 시작 SU 바로 앞의 최종 8 바이트가 사용된다. 이 값은 편집 후에도 변하지 않는다.
값 : 0 내지 0xFFFFFFFFFFFFFFFF.
SU_nnn
의미 : 음성 단위 데이터
기능 : 1,024개의 샘플들을 압축하여 취득된 데이터. 데이터의 바이트 수는 사용된 압축 모드에 따른다. 이 값은 편집 후에도 변하지 않는다(예를 들어, SP 모드에서 N=384 바이트).
값 : ATRAC3 데이터 값
도 18에서, N=384이고, 따라서 42개의 SU가 한 블럭에 기입된다. 각 블럭의 첫번째 두개의 슬롯(4 바이트)은 헤더를 형성한다. BLKID-A3D, MCode, CONNUM0, 및 BLOCK SERIAL은 복사 방식(duplicate manner)으로 최종 슬롯(2 바이트)에 기입된다. 따라서, 각 블럭의 나머지 영역 M은 16,384-384x42-16x3=208 바이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8 바이트 BLOCK SEED가 이 영역 M에 기입된다.
4. 콘텐트 소스 식별 정보
다음은 콘텐트 소스 식별 정보, 예를 들면, 도 21,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메모리 카드(40)에 콘텐트가 기록되는 기록 루트를 설명한다. 콘텐트 공급원 식별 정보는 전술한 데이터 파일(도 18 및 도 20을 참조)의 속성 헤더의 CC 비트 1, 2 및 3에 위치한다. 각각의 예에서, 레코더(1A 및 1B)는 도 1에 도시한 레코더(1)와 등가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점선은 콘텐트의 흐름을 나타내고, 실선은 식별 정보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21은 음악 데이터와 같은 콘텐트가 CD 플레이어와 같은 재생 장치(200)에 의해 재생되고,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기 위해 송신될 때의 데이터 루트를 도시한다. 루트 1은 레코더 1B가 재생 장치에 접속되어 있을 때 형성된다. 이러한 설정에서, 재생 장치는 레코더(도 1에 도시됨)의 디지털 입력 선택기(16) 또는 라인 입력 선택기(13)에 접속되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장치에서 레코더로 공급한다.
재생 장치로부터 공급된 콘텐트로서의 데이터는 레코더(1B)(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함)에서 부호화 및 암호화되어 메모리 카드에 기억된다. 각 곡의 음악 또는 콘텐트는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서 기록된다.
이 예의 경우, 재생 전용 기록 매체인 CD로부터 콘텐트가 재생되기 때문에, 레코더(1B)의 DSP는 콘텐트 공급원 식별 정보로서 "001"("CC"의 비트 1,2 및 3의 값으로서)을 발생한다. 이 값은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에 기록된다. 콘텐트가 레코드됨에 따라, 데이터 파일 및 재생 관리 파일 내의 제어 정보가 또한 기록 및/또는 갱신된다.
도 21에 도시한 루트 2는 장치(100)(즉, 퍼스널 컴퓨터 또는 오디오/비주얼 장치)에 일체화된 레코더(1A)가 재생 장치에 접속될 때 형성된다. 이때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가 레코더(1A)에 직접 공급된다. 재생 장치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기 위해 레코더(1A)에서 부호화되어 암호화된다. 이 경우에, CPU(101)는 콘텐트 공급원의 식별 정보로서 "001"("CC"의 비트 1, 2 및 3의 값으로서)을 발생하고, 발생된 값을 레코더에 공급한다. "CC" 및 다른 공급된 정보를 사용하여, 레코더는 데이터 파일에 관리 정보를 기록하고/거나 재생 관리 파일을 갱신한다.
도 22는 퍼스널 컴퓨터(100)에 일체화된 CD-ROM 드라이브(103)로부터의 콘텐트가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되는 경우의 데이터 루트를 도시한다. 레코더(1B)는 스탠드 얼론 구성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자(32)를 통해 USB 포트 또는 다른 통신 스킴에 의해 컴퓨터(100)에 접속된다.
루트 3은 CD-ROM 드라이브에 의해 재생된 콘텐트가 먼저 HDD(201)에 기억된 다음 HDD에서 레코더로 공급될 때 형성된다. HDD로부터 공급된 콘텐트는 메모리 카드에 복사되거나 이동된다. 이 경우, 데이터가 HDD로부터 복사되거나 이동되기 때문에, 컴퓨터의 CPU(101)는 레코더에 대해 "CC"의 비트 1, 2 및 3의 값으로 "010" 또는 "011"을 발생하고, 이 값을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에 기록한다.
도 22에 도시한 루트 4는 CD-ROM 드라이브(103)에 의해 재생된 콘텐트가 레코더에 직접 공급될 때 형성된다. CD-ROM 드라이브로부터 공급된 콘텐트는 레코더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다. 이 경우, 데이터가 CD로부터 직접 기록되기 때문에, CPU(101)는 레코더에 대해 "CC"의 비트 1, 2 및 3의 값으로서 "001"을 발생하고, 이 값을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에 기록한다.
도 23은 퍼스널 컴퓨터가 서버(300)에 의해 제공된 콘텐트를 ISDN, 위성 통신 라인 또는 임의의 다른 전송 경로와 같은 일반적인 통신 라인을 통해 HDD에 다운로드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레코더(1B)는 USB 포트 또는 다른 통신 스킴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단자(32)를 통해 컴퓨터에 접속된다. 서버에 의해 제공되어 HDD에 기억된 콘텐트는 레코더에 공급된다. 이 경우, HDD(102)로부터 공급된 콘텐트는 메모리 카드에 복사되거나 이동된다. 데이터가 HDD로부터 복사되거나 이동되기 때문에, CPU(101)는 레코더에 대해 "CC"의 비트 1, 2 및 3의 값으로서 "010"또는 "011"을 발생하고, 이 값을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에 기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100" 상위의 값은 정의되어 있지 않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한 예는 다양한 콘텐트 기록 루트들중의 단지 전형적인 예들이므로, 많은 다른 루트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각각의 예에서, 콘텐트 공급원에 대해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CC"의 비트 1, 2 및 3의 값은, 콘텐트를 공급하는 장치로부터 레코더에 전송되거나 레코더내의 DSP에 의해 발생된다.
5. 인에이블링 및 디스에이블링 편집
다음은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콘텐트에 대한 편집 처리를 설명한다. 데이터 파일 편집은 파일 결합과 분할 동작 모두를 포함한다.
이들 편집 동작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콘텐트(예를 들면, 음악)를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콘텐트 제공자들의 관점에 비추어, 이들에 의해 공급된 콘텐트의 자유 조작은 때때로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콘텐트 결합 및 분할 동작들에 제한을 두고 있다.
도 24는 사용자가 레코더에 대해 데이터 파일 분할 동작을 실행할 때 DSP(3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한다. 데이터 파일을 분할할 때, 사용자는 먼저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데이터 파일을 특정하고, 다음에 분할 점의 특정 및 분할의 실행을 포함하는 소정의 분할 동작들을 특정한다. 사용자는 이들 동작을 동작 블럭(39)(도 1에 도시됨) 또는 단자(32)에 접속된 마스터 장치의 동작 블럭으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분할될 데이터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었다면, DSP는 단계(F101)에서 지정된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 내의 트랙 정보 영역 TRKINF를 점검한다. 특히, DSP는 CC 값, 즉 이 데이터 파일의 콘텐트 공급원을 점검한다. 만일 CC 값 비트 1, 2 및 3이 "011" 이상이 아니면, 즉 만일 이들이 "001" 또는 "010"이면, 시스템은 단계(F102)에서 단계(F103)로 진행하여, 데이터 파일을 분할한다. 데이터 파일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분할점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두개의 데이터 파일로 분할된다. 실제로, 분할은 재생 관리 파일을 갱신하고, 두개의 분할된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를 설정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시점에서, 단계(F10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된 파일들의 속성 헤더들의 CC 값들은 분할 전의 데이터 파일의 CC 값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한편, 단계(F102)에서 CC 비트 값 1, 2 및 3이 "011" 이상이면, 시스템은 단계(F105)로 진행하여, 편집 처리가 디스에이블되어 실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와 같은 통지를 위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33)(도 1에 도시됨) 또는 단자(32)를 통해 접속된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메시지를 발행한다. 대안적으로,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알람 소리 또는 알람 메시지의 형태로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CD와 같은 본래의 소스로부터 기록된 콘텐트 또는 HDD로부터 복사된 콘텐트가 분할될 수 있다. 그러나, HDD로부터 이동된 콘텐트는 분할을 위해 디스에이블된다.
HDD로부터 이동된 콘텐트 - 즉, CC 비트 1, 2 및 3이 "011" 이상인 콘텐트 -는, 서버 또는 다른 소스로부터 HDD에 기록되어 메모리 카드에 이동되었던 콘텐트이다. 서버 및 콘텐트 저작권 소유자의 관점에 비추어, 이와 같은 콘텐트의 편집은 제한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콘텐트의 조작이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경우에는 분할이 디스에이블된다.
도 25는 데이터 파일 결합 동작이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었을 때 실행될, DSP에 의한 처리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먼저 결합될,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2개의 데이터 파일을 지정하고, 두개의 데이터 파일을 결합하기 위한 명령을 한다.
결합될 두개의 데이터 파일이 지정되었다면, DSP는 단계(F201)에서 이들 파일의 속성 헤더 내의 트랙 정보 영역 TRKINF를 점검한다. 즉, DSP는 두 데이터 파일들의 CC 값으로부터 콘텐트 공급원을 점검한다. 만일 이들 데이터 파일 모두의 CC 비트 1, 2 및 3이 "011" 이상이 아니면, 즉, CC 값이 "001" 또는 "010"이면, 시스템은 단계(F202)에서 단계(F203)으로 진행하여, 데이터 파일 결합을 실행한다. 이 결합은 재생 관리 파일을 갱신하는 것과 같이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결합된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를 설정함으로써 실현된다.
결합된 데이터 파일의 속성 헤더의 CC 값은 단계(F20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되기 전에 두개의 데이터 파일들의 CC 값들과 동일하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2개의 데이터 파일들 중 임의의 데이터 파일의 CC 비트들 1, 2 및 3이 "011" 이상이면, 시스템은 단계(F205)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편집 처리가 디스에이블되어 결합 처리를 실행할 수 없다는 것을 통지한다.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전술한 분할 처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를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25에 도시한 처리는 CD와 같은 본래의 소스로부터 기록된 콘텐트 또는 HDD로부터 복사된 콘텐트에 대한 결합 처리를 인에이블시키지만, HDD로부터 이동된 콘텐트에 대한 결합 처리를 디스에이블시킨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의 예들은 단지 예시적이다. 다양한 다른 시스템 구성, 레코더 구성, 및 처리 스킴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예들에서, 편집 처리는 CC="001" 및 "010"일 때 인에이블된다.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면, 편집 처리는 또한 CC="011"일 때도 인에이블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장래의 콘텐트 제공자를 가리키기 위해 CC="100" 이상의 값이 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트 제공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허가/금지 조건들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경로를 통해 공급된 콘텐트의 경우, CC가 "100"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CC="100"일 때에만 편집 처리가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상기 예들에서는, 콘텐트가 오디오 데이터라고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면, 본 발명이 비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것을 알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트 공급원을 가리키는 식별 정보는 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기록된 콘텐트에 따라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기록된 콘텐트의 편집이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면, 편집될 콘텐트의 식별 정보가 점검되고,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콘텐트 공급원에 따라 콘텐트 편집이 인에이블되거나 디스에이블된다. 결국, 본 발명은 콘텐트 공급원에 따라 콘텐트 편집의 허가 및 금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콘텐트 공급원에 따라 콘텐트 편집의 허가 및 금지의 적당한 제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만일 콘텐트 공급원이 통신 라인을 통해 접속된 서버인 것으로 확인되면, 콘텐트 편집의 실행이 디스에이블됨으로써, 콘텐트 서버들 및 콘텐트 저작권 소유자들의 의도를 반영하는 실제적인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동시에, 만일 편집을 위해 인에이블되는 재생 전용 디스크 매체가 콘텐트 공급원이면, 사용자들에게는 이들 매체로부터 공급된 콘텐트를 편집하는 것이 허용된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또는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34)

  1. 기억 매체에 있어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 및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관리 영역 - 상기 관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에 대한 공급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함-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상기 공급원이 본래의 소스인지의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가 상기 본래의 소스로부터 직접 기록되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기억 매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이 판독 전용 기억 매체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기억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이 재생 전용 매체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기억 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이 허가된 컴플라이언트 모듈(licensed compliant module)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기억 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가 상기 허가된 컴플라이언트 모듈로부터 확인되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기억 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기억 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이 통신 라인을 통해 접속된 서버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기억 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이 원격 서버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기억 매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기억 매체.
  12.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데이터 기억 수단; 및
    상기 관리 영역에 식별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식별 정보 기억 수단 -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의 공급원을 식별함-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상기 공급원이 본래의 소스인지의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가 상기 본래의 소스로부터 직접 기록되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기억된 데이터의 편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이 통신 라인을 통해 접속된 서버라는 것을 상기 식별 정보가 식별할 때 상기 기억된 데이터의 편집을 금지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은 상기 기억된 데이터의 분할을 포함하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은 상기 기억된 데이터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이 판독 전용 기억 매체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이 재생 전용 매체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이 허가된 컴플라이언트 모듈(licensed compliant module)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가 상기 허가된 컴플라이언트 모듈로부터 확인되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장치.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장치.
  2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이 통신 라인을 통해 접속된 서버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이 원격 서버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장치.
  2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장치.
  2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인 장치.
  2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인 장치.
  29.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장치로서,
    편집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지정하기 위한 지정 수단;
    상기 관리 영역에 기억된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지정된 데이터의 공급원을 구분하기 위한 구분 수단; 및
    상기 구분 수단에 의해 구분된 상기 공급원에 따라 상기 지정된 데이터의 상기 편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편집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이 통신 라인을 통해 접속된 서버라는 것을 상기 식별 정보가 식별한 경우에 상기 기억된 데이터의 편집을 금지하는 편집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은 상기 기억된 데이터의 분할을 포함하는 편집 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은 상기 기억된 데이터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편집 장치.
  33.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의 공급원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영역에 기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상기 공급원이 본래의 소스인지의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가 상기 본래의 소스로부터 직접 기록되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방법.
  34.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에 대한 관리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관리 영역을 갖는 기억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편집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 영역에 기억된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지정된 데이터의 공급원을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상기 공급원에 따라 상기 지정된 데이터의 상기 편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00062130A 1999-10-22 2000-10-21 기억 매체, 데이터 기억 장치, 데이터 편집 장치, 데이터 기억 방법 및 데이터 편집 방법 KR100717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00734 1999-10-22
JP30073499A JP2001117821A (ja) 1999-10-22 1999-10-22 記録媒体、編集装置、記録システ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377A Division KR100726905B1 (ko) 1999-10-22 2007-02-14 데이터 기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182A KR20010051182A (ko) 2001-06-25
KR100717656B1 true KR100717656B1 (ko) 2007-05-15

Family

ID=1788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130A KR100717656B1 (ko) 1999-10-22 2000-10-21 기억 매체, 데이터 기억 장치, 데이터 편집 장치, 데이터 기억 방법 및 데이터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6) US6907184B1 (ko)
EP (3) EP1684301B1 (ko)
JP (1) JP2001117821A (ko)
KR (1) KR100717656B1 (ko)
CN (2) CN101118769B (ko)
AU (1) AU769501B2 (ko)
CA (1) CA2323993C (ko)
MY (1) MY128002A (ko)
RU (1) RU2239244C2 (ko)
SG (1) SG979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7993B2 (en) * 2001-01-29 2006-06-06 Eastman Kodak Company Copy protection using multiple security levels on a programmable CD-ROM
JP4665318B2 (ja) * 2001-02-14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3861625B2 (ja) 2001-06-13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記録装置、データ転送方法
FR2826141B1 (fr) * 2001-06-15 2003-09-19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et dispositif de gestion de l'espace memoire d'un disque dur, en particulier pour un recepteur de signaux de television numerique par satellite
DE10135888A1 (de) * 2001-07-24 2003-03-13 Scm Microsystems Gmbh Verfahren zur lokalen Aufzeichnung digitaler Daten für das digitale Fernsehen
JP4934923B2 (ja) * 2001-08-09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363540B2 (en) * 2002-10-22 2008-04-22 Microsoft Corporation Transaction-safe FAT file system improvements
US7174420B2 (en) * 2002-10-22 2007-02-06 Microsoft Corporation Transaction-safe FAT file system
US7353299B2 (en) * 2003-05-29 2008-04-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utonomous third party data transfers
JP4843208B2 (ja) * 2004-09-30 2011-12-21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コンテンツ編集装置、デジタルコンテンツ編集方法、デジタルコンテンツ編集プログラム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編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873596B2 (en) 2006-05-23 2011-01-18 Microsoft Corporation Extending cluster allocations in an extensible file system
US8606830B2 (en) 2004-12-17 2013-12-10 Microsoft Corporation Contiguous file allocation in an extensible file system
US8321439B2 (en) 2004-12-17 2012-11-27 Microsoft Corporation Quick filename lookup using name hash
US9639554B2 (en) 2004-12-17 2017-05-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tensible file system
KR100823256B1 (ko) * 2005-04-13 200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콘텐츠 패키징 방법
JP4736593B2 (ja) * 2005-07-25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憶装置、データ記録方法、記録及び/又は再生システム、並びに、電子機器
CN100435217C (zh) * 2005-12-30 2008-11-19 上海乐金广电电子有限公司 可一次记录光盘控制信息记录方法以及光盘记录播放方法和装置
JP4564464B2 (ja) 2006-01-05 2010-10-20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コンテンツ再生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7080846A1 (ja) * 2006-01-16 2007-07-1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4945236B2 (ja) * 2006-12-27 2012-06-06 株式会社東芝 映像コンテンツ表示装置、映像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613738B2 (en) * 2007-01-16 2009-11-03 Microsoft Corporation FAT directory structure for use in transaction safe file system
US7747664B2 (en) 2007-01-16 2010-06-29 Microsoft Corporation Storage system format for transaction safe file system
US20080235763A1 (en) * 2007-03-20 2008-09-25 At&T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curity for a multimedia timeline
US20080235590A1 (en) * 2007-03-20 2008-09-25 At&T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of accessing a multimedia timeline
US8745501B2 (en) * 2007-03-20 2014-06-03 At&T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a multimedia timeline
JP5083010B2 (ja) * 2008-04-16 2012-11-28 凸版印刷株式会社 不揮発性メモリ装置及びlsi装置
US8478104B2 (en) * 2009-12-30 2013-07-02 Nxp B.V. Copy secure multimedia RFID with analog transmitter
CN102541965B (zh) * 2010-12-30 2015-05-20 国际商业机器公司 自动获得音乐文件中的特征片断的方法和系统
RU2517717C1 (ru) * 2012-11-15 2014-05-27 Ярослав Афанасьевич Хетагуров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нарушений и исправления нарушенных кодов разрядов числа при кодировании "1 из 4"
CN104994423A (zh) * 2015-07-06 2015-10-21 无锡天脉聚源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记录的处理方法及装置
JP6852337B2 (ja) * 2016-09-29 2021-03-31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6953947B2 (ja) * 2017-09-22 2021-10-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ファームウェア更新プログラム
JP7065306B2 (ja) * 2018-02-05 2022-05-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記録システム
US11475148B2 (en) 2019-05-22 2022-10-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imited utilization run time application control as a service in microcontrollers
CN111147083B (zh) * 2019-12-10 2023-06-27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成都飞机设计研究所 一种时间信息压缩传输的方法
US11693993B2 (en) 2021-02-22 2023-07-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ocessor and memory system to selectively enable commun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944A (ja) * 1990-05-11 1992-01-21 Brother Ind Ltd 圧力現像装置
WO1992016944A1 (de) * 1991-03-18 1992-10-0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Aufnahme- und/oder kopiersystem
JPH1128897A (ja) * 1997-05-12 1999-02-02 Canon Inc 写し絵転写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ナー像転写方法
WO1999028897A1 (en) * 1997-12-04 1999-06-10 Voquette Networks, Ltd. A personal audio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5390A (en) 1987-08-26 1989-03-02 Nihon Parkerizing Lubricating treatment of steel material before cold working
US4885632A (en) * 1988-02-29 1989-12-05 Agb Television Research System and methods for monitoring TV viewing system including a VCR and/or a cable converter
JP2949747B2 (ja) * 1990-01-21 1999-09-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JPH06282965A (ja) * 1993-03-26 1994-10-07 Sony Corp ビデオ編集装置
US5541738A (en) * 1994-04-12 1996-07-30 E. Guide,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JPH10126730A (ja) * 1996-10-14 1998-05-15 Sony Corp 高速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US6081897A (en) * 1997-01-13 2000-06-27 Recording Industry Of America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preventing unauthorized copying of digital data
KR19980084908A (ko) * 1997-05-27 1998-12-05 윤종용 비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광 디스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광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한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117412A (ja) * 1997-06-18 1999-01-12 Oputoromu:Kk 電子回路を有する記憶媒体とその管理方法
JP4313873B2 (ja) 1998-01-30 2009-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データ処理方法
EP0933909A1 (fr) * 1998-01-30 1999-08-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quipement téléphonique comportant un clavier à touches générateur de sons
JPH11219320A (ja) 1998-02-03 1999-08-10 Toshiba Corp データ記録再生システム
JP4207335B2 (ja) * 1999-10-26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再生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944A (ja) * 1990-05-11 1992-01-21 Brother Ind Ltd 圧力現像装置
WO1992016944A1 (de) * 1991-03-18 1992-10-0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Aufnahme- und/oder kopiersystem
JPH1128897A (ja) * 1997-05-12 1999-02-02 Canon Inc 写し絵転写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ナー像転写方法
WO1999028897A1 (en) * 1997-12-04 1999-06-10 Voquette Networks, Ltd. A personal audio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992016944
199902889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23993C (en) 2009-06-16
EP1094466A1 (en) 2001-04-25
CA2323993A1 (en) 2001-04-22
US20050158036A1 (en) 2005-07-21
JP2001117821A (ja) 2001-04-27
KR20010051182A (ko) 2001-06-25
US20050158033A1 (en) 2005-07-21
US20070009225A1 (en) 2007-01-11
EP1684301B1 (en) 2016-04-20
CN1300076A (zh) 2001-06-20
SG97956A1 (en) 2003-08-20
US7155108B2 (en) 2006-12-26
US7082256B2 (en) 2006-07-25
US7099558B2 (en) 2006-08-29
AU6665800A (en) 2001-04-26
EP1684301A2 (en) 2006-07-26
CN101118769A (zh) 2008-02-06
AU769501B2 (en) 2004-01-29
US8139918B2 (en) 2012-03-20
EP1094466B1 (en) 2011-07-27
US20050158035A1 (en) 2005-07-21
EP1684301A3 (en) 2007-08-15
EP1684302A3 (en) 2007-08-15
CN101118769B (zh) 2011-07-13
US7058285B2 (en) 2006-06-06
US6907184B1 (en) 2005-06-14
MY128002A (en) 2007-01-31
EP1684302A2 (en) 2006-07-26
RU2239244C2 (ru) 2004-10-27
US20050158034A1 (en)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656B1 (ko) 기억 매체, 데이터 기억 장치, 데이터 편집 장치, 데이터 기억 방법 및 데이터 편집 방법
KR100718620B1 (ko) 기록 재생 장치
KR100595800B1 (ko) 기록 매체, 기록 장치 및 기록/재생 시스템
JP4543554B2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4749522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4897138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4293196B2 (ja) 再生装置、編集方法
KR100726905B1 (ko) 데이터 기억 장치 및 방법
AU2007202015B2 (en) Recording medium editing apparatus based on content supply source
AU2004200714A1 (en) Recording Medium Editing Apparatus Based on Content Supply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