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095B1 - 규격에 따른 프탈산 무수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규격에 따른 프탈산 무수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095B1
KR100716095B1 KR1020027002121A KR20027002121A KR100716095B1 KR 100716095 B1 KR100716095 B1 KR 100716095B1 KR 1020027002121 A KR1020027002121 A KR 1020027002121A KR 20027002121 A KR20027002121 A KR 20027002121A KR 100716095 B1 KR100716095 B1 KR 100716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hthalic anhydride
trays
tower
dist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2815A (ko
Inventor
베르너 페쉘
베른트 베쓸링
페터 로이터
페터 미카엘 로르츠
베른하르트 울리히
예안 베르너 나프
마티아스 쿠머
토마스 륄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20022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54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nhydrides
    • C07C51/573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87Benzo [c] furans; Hydrogenated benzo [c] furans
    • C07D307/89Benzo [c] furans; Hydrogenated benzo [c] furans with two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1 and 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Furan Compound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 프탈산 무수물을 증류 정제하여 규격에 따른 프탈산 무수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조 프탈산 무수물을 감압하에 운전되는 증류탑에 공급하고, 이어서 저비점 성분들을 증류탑의 탑정 또는 그 부근에서 제거하고, 규격에 부합되는 프탈산 무수물을 측면 배출구를 통해 탑으로부터 회수한다.
프탈산 무수물, 증류 정제, 용융 색수, 트레이 탑

Description

규격에 따른 프탈산 무수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hthalic Anhydride According to Specifications}
본 발명은 조 프탈산 무수물의 증류 정제에 의한 규격(on-spec) 프탈산 무수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탈산 무수물은 화학 공업분야에서 중요한 화학물질이다. 프탈산 무수물은 PVC와 같은 플라스틱용 가소제로서 다량 사용되는 디알킬 프탈레이트를 위한 출발 물질로서 상당량 사용된다. 조 프탈산 무수물은 나프탈렌 및(또는) o-크실렌으로부터 기상 촉매접촉 산화에 의해 공업적으로 제조된다. o-크실렌으로부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조 프탈산 무수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공정에서 나온 배출물은 통상, 배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프탈산 무수물을 99.5 중량% 이상 함유한다. 프탈산 무수물은 일반적으로 분리기 상에서 액상 형태로 또는 고상물로서 단리된 후, 일반적으로 증류 정제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프탈산 무수물은 액상 형태로 또는 증발 후에 증류탑에 공급된다.
선택된 제조 방법, 및 특히 출발 물질 및 촉매에 따라, 각 경우의 생성물은 특정 범위의 불순물 및 부산물을 함유한다 [예를 들어, 슈터 (H. Suter): "Wissenschaftliche Forschungsberichte: II. Anwendungstechnik und angewandte Wissenschaft", Dr. Dietrich Steinkopff Verlag, Darmstadt, 1972, page 39 등 참조; 이하, "슈터"로 약칭함).
시판되는 프탈산 무수물은 품질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규격 한도를 갖는 것으로 예상된다:
응고점: 최소 130.8 ℃
질량 분획
- 프탈산 무수물: 최소 99.8 중량%
- 말레산 무수물: 최대 0.05 중량%
- 벤조산: 최대 0.10 중량% 또는
최대 0.01 중량% (식료 품질의 경우)
- 프탈산: 최대 0.1 중량%
용융 색수: 최대 20 (Hazen)
가열 색수: 최대 40 (Hazen)
대부분의 의도되는 용도의 경우 변색 불순물이 없는 프탈산이 요구되기 때문에, 색수 (주로 용융 색수 및 가열 색수) 특징이 특히 중요하다. 가열하의 프탈산 무수물의 색상 변화가 특히 중요한데, 이는 프탈산 무수물이 일반적으로 약 160 ℃에서 용융 상태로 저장 및 이송되기 때문이다.
공업적으로는, 장기간 (프탈산 무수물이 공업 규모로 생산됨)에 걸쳐 증류를 이용한 부산물의 제거가 수립된 바 있다 [예를 들어,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5th. Edition, Vol. A20, VCH Verlagsgesellschaft mbH, Weinheim, 1992, pages 181 to 189 (이하, "울만(Ullmann)"으로 약칭);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4th. Edition, Vol. 18,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6, pages 997 to 1006 (이하, "키르크-오트머(Kirk-Othmer)"로 약칭) 참조]. 저비점 및(또는) 공비 불순물 (이들 중 몇몇은 짙은 자연 색상을 지님)은 비교적 소량임에도 불구하고 당업자에게 적지 않은 문제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실제로 공업용으로 채택되는 방법은 예비 열처리 및 증류를 포함하는 조 프탈산 무수물의 정제 수순과 조합된다.
예비 열처리는 220 내지 280 ℃에서 수 시간 내지 1 일의 반응기내 체류 시간 동안 수행된다. 예비 열처리의 다른 한계 조건은 일반적으로 조 프탈산 무수물의 공급원 및 조성에 따라 좌우된다. 상기 공급원 및 조성은 당업자에게 친숙한 각종 목적을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부산물인 프탈산이 명백히 탈수되어 목적하는 생성물인 프탈산 무수물을 제공하며, 이 때 프탈산의 함량이 소량일지라도 공업적으로 대량 생산되는 프탈산 무수물의 양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프탈산의 탈수는 경제적으로 상당히 중요하다. 형성된 물 또는 다른 물은 예비 열처리시 제거되는데, 이는 물이 후속 증류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합성 반응의 특정 부산물도 예비 열처리에 의해 수지로 전환되며, 이는 프탈산 무수물의 후속 증류 정제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슈터", page 41-45 참조). 예비 열처리시, 증류 단계 전에 부산물의 범위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특정 화학 물질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증류 (특히, 종종 경제적인 관점에서 특히 중요한 연속 방법에 의해 증류가 수행될 때)는 일반적으로 충분히 순수한 프탈산 무수물을 얻기 위해 2 개의 탑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제1 단계에서는, 대개 저비점 물질 (예를 들어, 벤조산, 말레산 무수물 및 시트라콘산 무수물), 즉 프탈산 무수물의 비점보다 낮은 비점을 갖는 물질들을 분리제거하고, 이어서 제2 단계에서는 고비점 물질 (예를 들어, 프탈산, 특정 색상을 부여하는 성분들, 조 프탈산 무수물 성분들의 응축물), 즉 프탈산 무수물 또는 증류되지 않은 성분들의 비점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비등하는 물질들로부터 프탈산 무수물을 증류해 낸다.
"슈터" (loc. cit., page 45)에는 이미 프탈산 무수물의 1 단계 연속 증류에 대해 인용되어 있지만 (Ruhroel, Europa-Chemie 21, 7 (1965)), 추가의 상세한 내용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요약하면, 조 프탈산 무수물의 정제는, 특히 여러 실용 분야에 요구되는 생성물 품질을 얻는 것이 현안인 경우에는 플랜트 및 운전 비용과 관련하여 매우 고비용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마는, 예비 열처리 단계는 관련 비용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공업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 프탈산 무수물이 시중에서 요구되는 규격품을 획득하도록 정제될 수 있는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이, 조 프탈산 무수물을 감압하에 운전되는 증류탑에 공급하고, 저비점 물질을 증류탑의 탑정 또는 그 부근에서 제거하고, 규격 프탈산 무수물을 측면 배출구를 통해 증류탑으로부터 회수하는, 조 프탈산 무수물의 증 류 정제에 의한 규격 프탈산 무수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됨을 밝혀내었다.
신규한 방법을 사용하면, 공업적으로 통상 사용되어 왔던 예비 열처리 없이도 프탈산 무수물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규격을 특히 색수 (대체로, 프탈산 무수물은 용융 색수가 10 APHA 미만이고, 가열 색수가 20 APHA 미만임) 면에서 충족시키거나 또는 이를 초과하는 고순도의 프탈산 무수물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적합한 증류탑 (이하, "탑"으로 약칭함)으로는 트레이(tray) 탑, 불규칙(dumped) 충전물을 함유하는 탑 및 규칙(stacked) 충전물을 함유하는 탑, 뿐만 아니라 이들 탑 유형의 기술적 특징들을 조합한 탑이 있다. 트레이 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용 트레이, 패킹, 예를 들어 버블 트레이, 터널 트레이, 밸브 트레이, 시브(sieve) 트레이, 이중 유동(dual-flow) 트레이 및 격자 트레이, 팔-링게(Pall-Ringe(등록상표)), 베를(Berl(등록상표)) 새들(saddle), 와이어 메쉬 링, 라쉬크-링게(Raschig-Ringe(등록상표)), 인탈록스(Intalox(등록상표)) 새들, 인터팩(Interpak(등록상표)) 패킹 및 인토스(Intos(등록상표)), 뿐만 아니라 규칙 패킹, 예를 들어 슐처-멜라팩(Sulzer-Mellapak(등록상표)), 슐처-옵티플로우(Sulzer-Optiflow(등록상표)), 퀴니-롬보팩(Kuehni-Rombopak(등록상표)) 및 몬츠-팩(Montz-Pak(등록상표)), 및 직물 패킹과 같은 통상의 내장품을 상기 탑 유형에 사용할 수 있다. 탑 공급부 아래의 영역에는, 고상물용으로 또한 적합한 내장품, 특히 이중 유동 트레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설계의 트레이 및 패킹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다.
탑에는 일반적으로 탑저 증발기 및 또한 탑정 응축기가 장착되어 있다.
탑의 직경은 각각의 경우에 처리되는 통과량에 따라 좌우되며, 통상적인 공업 규칙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탑의 높이 및 공급부와 측면 배출구의 위치는 선택된 내장품과 함께 탑의 이론단 수의 개념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론단은 열역학 평형에 따라 쉽게 휘발성인 성분들을 농축시키는 탑 유닛인 것으로 정의되며, 이 때 이상적인 혼합은 두 상이 평형 상태에 있고, 액적의 비말동반이 없는 경우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Vauck, Mueller: Grundoperationen chemischer Verfahrenstechnik, VCH Verlagsgesellschaft mbH, Weinheim, 1988 참조).
일반적으로, 신규 탑은 공급부, 측면 배출구, 탑정 및 탑저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3개의 구획으로 나뉜다. 탑의 상부 2개 구획 및 환류부에 대한 이론단 수는 조 프탈산 무수물 중의 저비점 물질 분획 및 정제된 프탈산 무수물 중의 저비점 물질의 원하는 잔류 함량에 따라 통상의 방법 및 공학적 고려사항에 따라 결정된다. 신규 탑의 하부 구획에 대한 이론단 수는 일반적으로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특히 3 내지 7이다.
본 발명의 신규 방법은 o-크실렌의 촉매접촉 기상 산화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 특히 98 중량% 이상의 프탈산 무수물을 함유하는 조 프탈산 무수물을 얻는 데 특히 적합하다.
탑은 일반적으로 0.05 내지 0.5 바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바아,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25 바아,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2 바아의 탑 정 절대압에서 운전된다. 탑내 온도는 일반적으로 탑정에서 약 160 내지 230 ℃이고, 탑저에서 180 내지 270 ℃이다. 측면 배출구에서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170 내지 260 ℃,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40 ℃이다.
증류는 회분식 또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조 프탈산 무수물은 바람직하게는 액상 또는 기상 형태, 특히 액상 형태로 탑에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탑의 공급부 위에서는 액상 형태의 제거가 수행되며, 일반적으로 공급부 아래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기상 형태의 제거가 수행된다.
트레이 탑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신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적하(drop) 분리기와 같은 기술적 수단을 측면 배출구에서 탑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할 수 있다.
측면 배출구가 위치하는 지점 아래의 트레이와 이 지점 위의 트레이는 탑내 트레이들 사이의 통상 간격보다 더 긴, 바람직하게는 1 배 내지 5 배, 특히 2 배 내지 3 배 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이 때 측면 배출구는 상기 두 트레이들 중 상부 트레이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변형법에서, 탑의 트레이들은 탑내에서의 통상 위치와 비교하여, 최하부 트레이가 탑내 트레이들 사이의 간격보다 1 내지 6 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배 만큼 더 높게 배치되는 방식으로 배치한다. 이 변형 방법으로, 플랜트의 이용가능성 및 신뢰성과 같은 품질이 더욱 개선된다.
일반적으로, 탑의 최하부 트레이는 탑저 증발기의 증기 파이프로부터 특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반적인 위치에 설치된 탑 트레이의 경우, 본 발명의 신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운전 동안, 최하부로부터 6 개의 트레이, 특히 3 개의 트레이 상에는 상당한 피각(encrustation)이 발생하며, 이것은 어렵게만이 기계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최하부 트레이들의 하향파이프에는 상당한 피각이 발생할 수 있고, 탑저 증발기의 증기 파이프에는 상이한 크기의 상당량의 침착물 및 성긴 코크형 단편이 생성될 수 있다. 크게 오염된 최하부 트레이상에는 130 밀리바아에 달하는 현저한 압력 강하가 발견될 수 있는데, 이 때 압력 강하는 운전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대된다. 놀랍게도, 탑의 운전 동안 상기 현저한 오염 및 그와 관련하여 야기되는 문제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최하부 트레이를 적절하게 높게 배치함으로써 추가로 피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특히, 오염 문제와 관련된 본 발명의 신규 방법의 추가 개선점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최하부로부터 1 내지 6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개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 개 이상의 트레이가 이중 유동 트레이 형태인 경우에 달성될 수 있다. 적어도 측면 배출구 아래의 트레이들이 이중 유동 트레이 형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조 프탈산 무수물의 공급부 아래의 모든 트레이들이 이중 유동 트레이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탑저 증발기가 강하 경막(falling-film) 증발기로서 설계되는 것이 본 발명의 신규 방법의 추가 개선점으로 예상된다. 대개는, 강제 순환 플래쉬 증발기가 프탈산 무수물의 증류탑용 탑저 증발기로 사용된다. 한편, 당업자들은 고상물을 함유하는 액상물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 (본 발명의 경우)에는 강하 경막 증발기를 사용하지 않는데, 이는 파이프의 봉쇄 위험 가능성 때문이다. 놀랍게도, 이와 같 은 공지된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았고, 상기 장치에서 침착물이 전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냉각 파이프에서는 응축된 프탈산 무수물을 주성분으로 하며 두드려서 파이프 벽으로부터 용이하게 떨어낼 수 있는 회색의 침상(針狀) 결정만이 발견되었다. 경하 강막 증발기는 일반적으로 공정 공학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증발기 영역에서 액상물의 평균 체류 시간이 짧아, 강제 순환 플래쉬 증발기에 비해 온화한 증발을 초래하는 이점을 갖는다. 보다 온화한 처리로 인해, 고상물이 형성되려는 경향을 줄일 수 있고, 짧은 체류 시간은 원치않는 제2 반응을 저감시켜서 탑저에서의 수율을 개선시키고, 운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규격 프탈산 무수물은 일반적으로 탑으로부터 회수한 직후에 냉각시켜 액상물로서 얻거나 또는 응고 후에 고상물로서 얻는다. 원하는 경우에 프탈산 무수물을, 예를 들어 측면 컬럼을 경유하여 정밀 증류시키거나 또는 탑의 특정 영역 위에 축방향으로 분할 벽을 장착 (즉, 페틀리우크(Petlyuk) 배치)하여 보다 고순도로 획득할 수 있다. 재결정화도 본 발명에 적합하다. 규격 프탈산 무수물은 일반적으로 측면 배출구를 통해 공급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97 중량% 이상의 양으로 회수한다. 탑을 연속 운전시 회수량은 공급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이다.
프탈산 무수물의 회수율은 대개, 탑에 공급되는 공급 스트림의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98% 이상이다.
증류하에 수득되는 저비점 물질, 및 고비점 물질은 일반적으로 회화(灰化)시킨다.
원하는 경우, 일반적인 기술 지식에 따라 원치 않는 불순물, 특히 증류시 물질 분리를 복잡하게 하는 불순물의 비율을 저감시킬 수 있는 1 종 이상의 화학 물질을 증류 전 또는 증류 동안 조 프탈산 무수물에 첨가할 수도 있다. 그 예로는 예를 들어, 프탈라이드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US-A 제4,165,324호), 중탄산나트륨, 황산, 붕산, 또는 황산과 붕산의 혼합물이 있다. 이러한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부분이 아니다.
물론, 본 발명의 신규 방법은 개별적인 분리 문제에 최적으로 순응될 수 있다. 이러한 순응은 당업자가 개시된 기술들을 따른다면 일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수득된 프탈산 무수물의 순도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분석 방법, 예컨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UV 분광법 및 산-염기 적정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용융 색수 (APHA/Hazen color scale, W. Liekmeier, D. Thybusch: Charakterisierung der Farbe von klaren Fluessigkeiten, Editor: Bodenseewerk Perkin-Elmer GmbH, Ueberlingen, 1991 참조)는 일반적으로, 프탈산 무수물을 160 ℃에서 샘플링한 직후에 그 색수를 측정함으로써 결정한다. 또한, 가열 색수는 일반적으로 프탈산 무수물을 250 ℃에서 90 분 동안 유지한 후에 색수를 측정함으로써 결정한다.
<실시예 1>
도 1에 따른 트레이 탑을 사용하였다. 이 탑은 30 개의 버블 트레이 (대략, 이론단 수는 18)를 구비하였으며, 직경이 50 mm이었다. 측면 배출구는 탑저로부터 위로 제10 트레이와 제11 트레이 사이 (대략, 제5 이론단과 제6 이론단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였으며, 공급부는 탑저로부터 위로 제20 트레이와 제21 트레이 사이 (대략, 제11 이론단의 영역)에 위치하였다. 도 1에서, 제1 및 제2 트레이가 또한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트레이들은 수직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증류된 조 프탈산 무수물은 촉매 활성 금속 산화물인 산화세슘 (세슘 0.4 중량%로 계산됨), 산화바나듐 (4 중량%) 및 이산화티타늄 (95.6 중량%)로 코팅된 지지체로 이루어진 촉매의 존재하에 o-크실렌을 고정층상에서 기상 산화시켜 제조된 것이었다 (선행 독일 특허 출원 제198 24 532호 참조). 반응기 내의 공기 부하량은 공기 1 m3 (S.T.P.) 당 o-크실렌 86 g이었다. 반응기의 온도는 350 내지 450 ℃이었다.
이렇게 수득된 조 프탈산 무수물의 조성은 다음과 같았다:
프탈산 무수물 99.24 중량%,
벤조산 0.2 중량%,
말레산 무수물 200 중량ppm,
시트라콘산 무수물 20 중량ppm,
프탈산 0.5 중량%, 및
기타 물질 100 중량%를 이루는 데 요구되는 나머지량.
상기 조 프탈산 무수물 1000 g/h를 컬럼에 연속 공급하였다 (a). 환류(b)량 을 600 g으로, 탑정의 절대압을 0.2 바아로, 탑정 온도를 200 ℃로, 탑저 온도를 228 ℃로 하여, 224 ℃의 측면 배출구를 통해 정제된 프탈산 무수물 980 g을 동시에 회수하여 응축 및 단리시켰다 (c). (d)를 통해 탑정 배출물을 냉각 트랩에서 응축시키고 그 양은 약 5 g이었으며, (e)를 통과한 탑저 배출물은 그 양이 약 15 g이고 고비점 물질 및 증류불가한 물질을 함유하였다. 측면 배출구를 통해 (c)에서 단리시킨 프탈산 무수물의 분석 결과, 조성은 다음과 같았다:
프탈산 무수물 99.97 중량%,
벤조산 30 중량ppm,
말레산 무수물 10 중량ppm 미만,
시트라콘산 무수물 10 중량ppm 미만,
프탈산 0.025 중량%, 및
기타 물질 100 중량%를 이루는 데 요구되는 나머지량.
용융 색수는 회수 직후에 측정하였으며 5 내지 10 APHA이었다. 가열 색수는 프탈산 무수물 샘플을 250 ℃의 오븐에서 1.5 시간 동안 가열하여 측정하였다. 이어서 측정된 색수는 10 내지 20 APHA이었다.
<실시예 2>
조 생성물 및 순수 생성물에 대해 다음과 같은 규격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신규 증류 방법에 의해 정제되는 프탈산 무수물 중의 벤조산이 0.3 중량%이고,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조 프탈산 무수물의 조성이 달리 변경되지 않은 순수한 생성물 중 벤조산은 10 ppm이고, 사용되는 트레이 탑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 로 조절하였다.
- 기상 측면 배출물의 배출구 (스트림 c)와 탑정 사이의 트레이 개수: 이론단 수 19에 해당,
- 공급부 (스트림 a)와 탑정 사이의 트레이 개수: 이론단 수 8에 해당,
- 탑저와 기상 측면 배출물의 배출구 (스트림 c) 사이의 트레이 개수: 10 개의 이중 유동 트레이,
- 탑정의 절대압: 약 70 밀리바아,
- 탑저 온도: 230 내지 240 ℃,
- 탑저 증발기 설계: 강하 경막 증발기,
- 측면 배출구 (스트림 c)와 그 아래의 가장 근접한 트레이 사이의 거리: 통상 탑내 트레이 간격의 3 배.
- 탑저 증발기의 증기 파이프로부터 그 위에 배치된 제1 트레이까지의 거리: 최하부 트레이와 탑저 증발기의 증발 파이프 사이의 통상 거리 및 탑내 통상의 트레이 간격의 3 배.

Claims (16)

  1. o-크실렌의 촉매접촉 기상 산화에 의해 수득한 조(crude) 프탈산 무수물을 감압하에 운전되는 증류탑에 공급하고, 저비점 물질을 증류탑의 탑정 또는 그 부근에서 제거하고, 규격(on-spec) 프탈산 무수물을 측면 배출구를 통해 증류탑으로부터 회수하는, 조 프탈산 무수물의 증류 정제에 의한 규격 프탈산 무수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증류가 0.05 내지 0.5 바아의 탑정 압력에서 수행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증류가 트레이(tray) 탑에서 수행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측면 배출구가 위치하는 지점 아래의 트레이와 이 지점 위의 트레이가 탑내 트레이들 사이의 통상 간격보다 최대 5 배까지 더 긴 거리 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측면 배출구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트레이들 중 상부 트레이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규격 프탈산 무수물이 측면 배출 구를 통해 기상 형태로 탑으로부터 회수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최하부 트레이가 탑내에서의 통상 위치와 비교하여 탑내 트레이들 사이의 간격보다 최대 6 배 만큼 더 높게 배치되는 것인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최하부로부터 1 내지 6 개 이상의 트레이들이 이중 유동(dual-flow) 트레이 형태인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측면 배출구 아래의 트레이들이 이중 유동 트레이 형태인 것인 방법.
  10. 삭제
  11. 제3항에 있어서, 최하부 트레이가 탑내에서의 통상 위치와 비교하여 탑내 트레이들 사이의 간격보다 2 내지 4 배 만큼 더 높게 배치되는 것인 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최하부 트레이가 탑내에서의 통상 위치와 비교하여 탑내 트레이들 사이의 간격보다 3 배 만큼 더 높게 배치되는 것인 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최하부로부터 2 내지 4 개 이상의 트레이들이 이중 유동 트레이 형태인 것인 방법.
  14. 제3항에 있어서, 최하부로부터 3 개 이상의 트레이들이 이중 유동 트레이 형태인 것인 방법.
  15.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 및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하 경막 (falling-film) 증발기가 증류탑용 탑저 증발기로 사용되는 방법.
  16. 제6항에 있어서, 강하 경막 증발기가 증류탑용 탑저 증발기로 사용되는 방법.
KR1020027002121A 1999-08-20 2000-08-10 규격에 따른 프탈산 무수물의 제조 방법 KR100716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9629.9 1999-08-20
DE19939629A DE19939629A1 (de) 1999-08-20 1999-08-20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pezifikationsgerechtem Phthalsäureanhydr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815A KR20020022815A (ko) 2002-03-27
KR100716095B1 true KR100716095B1 (ko) 2007-05-09

Family

ID=791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121A KR100716095B1 (ko) 1999-08-20 2000-08-10 규격에 따른 프탈산 무수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570026B1 (ko)
EP (1) EP1204628B1 (ko)
JP (1) JP4791666B2 (ko)
KR (1) KR100716095B1 (ko)
CN (1) CN1176058C (ko)
AT (1) ATE302178T1 (ko)
AU (1) AU6994300A (ko)
DE (2) DE19939629A1 (ko)
ES (1) ES2246249T3 (ko)
MX (1) MXPA02001532A (ko)
MY (1) MY122327A (ko)
TW (1) TW499418B (ko)
WO (1) WO20010143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6664A1 (de) * 2001-02-12 2002-08-1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pezifikationsgerechtem Phthalsäureanhydrid
PT1233012E (pt) * 2001-02-12 2003-10-31 Basf Ag Processo para o fabrico de anidrido do acido ftalico de acordo com as especificacoes
DE10207460C1 (de) * 2002-01-22 2003-06-05 Lurgi Ag Kolonne zur Aufkonzentration von Phthalsäureanhydrid
DE102005000957A1 (de) * 2005-01-07 2006-07-2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pezifikationsgerechtem Phthalsäureanhydrid
CN106519534B (zh) * 2016-12-05 2018-09-28 罗定市星光化工有限公司 一种食品级萜烯树脂的生产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0750A (en) 1966-05-21 1969-01-07 Basf Ag Distilling phthalic anhydride
US4008255A (en) 1973-03-17 1977-02-15 Basf Aktiengesellschaft Recovery of phthalic anhydride
US4547578A (en) 1983-03-16 1985-10-15 Chemische Werke Huls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removing naphthoquinone from phthalic anhydride produced through air oxidation of naphthale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13306A1 (de) * 1973-03-17 1974-09-26 Basf Ag Verfahren zur gewinnung von phthalsaeureanhydrid
JPS5845435B2 (ja) * 1977-05-06 1983-10-08 新日鐵化学株式会社 無水フタル酸蒸留残渣の処理方法
US4165324A (en) 1978-04-24 1979-08-21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Removal of phthalide from impure phthalic anhydride
DE3309310A1 (de) * 1983-03-16 1984-09-20 Chemische Werke Hüls AG, 4370 Marl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naphthochinon aus durch luftoxidation von naphthalin hergestelltem phthalsaeureanhydrid
DE19707943C2 (de) * 1997-02-27 1999-07-08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hthalsäureanhydrid und Katalysator hierfür
DE19824532A1 (de) 1998-06-03 1999-12-09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lenkatalysatoren für die katalytische Gasphasenoxidation von aromatischen Kohlenwasserstoffen und so erhältliche Katalysatoren
MY122671A (en) 1999-03-06 2006-04-29 Basf Ag Fractional condensation of a product gas mixture containing acrylic aci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0750A (en) 1966-05-21 1969-01-07 Basf Ag Distilling phthalic anhydride
US4008255A (en) 1973-03-17 1977-02-15 Basf Aktiengesellschaft Recovery of phthalic anhydride
US4547578A (en) 1983-03-16 1985-10-15 Chemische Werke Huls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removing naphthoquinone from phthalic anhydride produced through air oxidation of naphthal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994300A (en) 2001-03-19
EP1204628A1 (de) 2002-05-15
WO2001014308A1 (de) 2001-03-01
TW499418B (en) 2002-08-21
US6570026B1 (en) 2003-05-27
JP4791666B2 (ja) 2011-10-12
MY122327A (en) 2006-04-29
JP2003507447A (ja) 2003-02-25
DE19939629A1 (de) 2001-02-22
EP1204628B1 (de) 2005-08-17
KR20020022815A (ko) 2002-03-27
CN1370139A (zh) 2002-09-18
CN1176058C (zh) 2004-11-17
ES2246249T3 (es) 2006-02-16
ATE302178T1 (de) 2005-09-15
MXPA02001532A (es) 2002-07-02
DE50010982D1 (de)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1124A (en) Purification of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US6448439B1 (en) Method for producing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KR100690034B1 (ko) 아크릴산의 제조 방법
US6433222B1 (en) Method for producing acrylic acid
US20010007043A1 (en) Continuous recovery of (meth)acrylic acid
CZ6397A3 (cs) Způsob přípravy kyseliny akrylové a esterů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JPH09208519A (ja) (メタ)アクリル酸アルキルエステルの連続的製法
JPH101454A (ja) (メタ)アクリル酸のアルキルエステルの連続的製造方法
GB1593117A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catalyst and solvent from the mother lquor of a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therephthalic acid
US9975839B2 (en) Paraxylene extraction of purification mother liquor with heat integration
US20010056204A1 (en) Continuous recovery of (meth)acrylic acid
JP5065048B2 (ja) 規格に適合した無水フタル酸の製造方法
KR100716095B1 (ko) 규격에 따른 프탈산 무수물의 제조 방법
US6921830B2 (en) Method for purifying an organic solvent for the purposes of absorption of maleic acid anhydride
US4788296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and recovery of trimellitic anhydride
EP3406587A1 (en) Recovery method for (meth)acrylic acid
KR20030078907A (ko) 규격에 따른 프탈산 무수물의 제조 방법
US4440960A (en) Continuous preparation of 3-alkyl-buten-1-als
JP2002326001A (ja) 共沸蒸留方法
WO2002068375A1 (fr) Procede de distillation azeotropique
ES2199903T3 (es)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anhidrido del acido ftalico que cumple las especificaciones establecidas.
JP2002326972A (ja) 共沸蒸留方法
JPH032447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