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395B1 - 폴더 휴대 tv 전화 - Google Patents

폴더 휴대 tv 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395B1
KR100712395B1 KR1020057012245A KR20057012245A KR100712395B1 KR 100712395 B1 KR100712395 B1 KR 100712395B1 KR 1020057012245 A KR1020057012245 A KR 1020057012245A KR 20057012245 A KR20057012245 A KR 20057012245A KR 100712395 B1 KR100712395 B1 KR 100712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vision
signal
cellular phone
telephon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3634A (ko
Inventor
아키라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V 수신부(200)의 수단에 의하여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는 휴대전화에서, 휴대전화는 접힌 상태를 유지한 채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는 중에 착신 전화를 검출한 후 휴대전화는 열린 상태로 이행될 때, 텔레비젼 수신 작동은 전화에 의한 통신을 위하여 자동적으로 중단되고, 그리하여 사용자는 텔레비젼 신호 수신을 중지하는 성가신 작동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휴대전화의 제어부(22)는 사용자가 전화로 통화하는 중에 텔레비젼 신호 수신을 중단하지 않고 텔레비젼 음향 대신에 전화 통화 음향을 출력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전화 통화하는 중에 텔레비젼 영상 시청을 즐길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는 표시부(13, 16)에 텔레비젼 영상 및 발신자의 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휴대전화, 폴더, 텔레비젼, 통화, 발신자표시

Description

폴더 휴대 TV 전화{FOLDABLE CELLULAR TV PHONE}
본 발명은 휴대전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진 휴대전화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에 내장된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는 기능은 제안되었다. 제안된 휴대전화는, 부호화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지상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 및 부호화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또는 내장 메모리가 제공된다. 이러한 휴대전화에서, 메모리 카드 또는 내장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부호화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 또는 튜너로부터 공급된 부호화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영상을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음향을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하여 복호화된다.
텔레비젼 방송파 수신 기능을 갖춘 휴대전화는 새로운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TV 프로그램을 시청 중 착신 전화가 있고, 휴대전화의 사용자가 통화를 우선할 때, 사용자는 전화 통화를 하는 동안 TV 프로그램의 일부 시청을 놓치는 것이 강제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종료한 후 TV 프로그램의 해당 부분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 기술에 의하 면, 사용자가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동안 착신 전화가 올 때,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하는 동안 수신된 TV 프로그램의 복호화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는 내장 메모리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였을 때, 부호화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는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TV 프로그램을 재생하기 위하여 판독된다(지연 회복 재생). 이러한 기술은 일본 특허 공개공보 2003-111004호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서, 사용자가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동안 착신 전화가 있을 때, 사용자는 TV 프로그램 시청을 포기해야 하고, 휴대전화를 전화통화 모드와 같은 것으로 전환하게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 사용자가 매 착신 전화마다 휴대전화를 전화통화 모드로 조정하는 것은 성가신 일이며, 사용자는 조작을 놓칠 수 있다.
한편, 이동전화가 전화통화 모드로 조정되면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남아있다. 이동전화가 통화를 위해 사용되는 동안 TV 프로그램을 표시하도록 만드는 것이 고려될 것이며, 그러나 TV 방송파 수신은 전화 상의 대화를 방해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전술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만들어졌고, 사용자가 TV 프로그램을 휴대전화로 시청하는 동안 착신 전화가 있을 때 전화통화 모드로 자동적으로 조정되고, 사용자가 전화 통화가 방해받지 않는 한도에서 TV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며, 심지어 전화 통화 모드에서도 이와 같이 조정되도록 하는 휴대전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의 휴대전화는 폴더로 설계된다. 휴대전화는 서로 힌지에 의하여 연결된 커버부 및 본체부를 포함하고,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로 있을 수 있다. 표시부는 커버부에 위치하고,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은 휴대전화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만 보일 수 있다. 착신 전화 표시가 있을 때, 사용자는 휴대전화를 통화 목적으로 열린 상태에서 사용한다.
휴대전화의 장치에 초점을 맞추어서, 본 발명은 만들어졌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가 TV 방송파를 수신하는 동안 닫힌 상태로 있는 휴대전화에 착신 전화가 검출되는 경우, 휴대전화는 열린 상태에서와 동일하게 TV 방송파 수신을 중지하도록 만들어졌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전화의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만을 사용하여 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전화로 대화하는 동안 사용자가 TV 수신 작동을 끌 필요가 없고, 휴대전화는 표시부에 비디오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된 장치에 초점이 맞추어져 만들어졌고, 휴대전화가 TV 프로그램의 비디오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TV 음향을 출력하는 동안에 접혀진 상태에 있는 휴대전화로 착신 전화가 검출되는 경우, 휴대전화는 열린 상태에서와 동일하게 TV 음향 대신 전화 대화 출력을 시작하도록 만들어졌다.
전술한 장치에서, 휴대전화가 착신신호를 수신하고 전화 통화 모드로 조정된 때에도, 사용자는 휴대전화에서 적어도 비디오 영상 시청을 계속할 수 있고, 휴대전화는 TV 음향 대신에 전화 대화를 출력하기 때문에 전화 대화에서 방해를 받지 않는다.
착신 전화가 있을 때, 사용자가 TV 프로그램의 비디오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면 보다 편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에 초점을 맞추어 만들어졌고, 휴대전화가 TV 신호를 수신하고 표시부에 TV 프로그램의 비디오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 접혀진 상태에 있는 휴대전화로 착신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스위치가 휴대전화가 열린 상태라고 검출하였을 때, 휴대전화가 표시부의 빈 영역에 발신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전화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만들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전술한 장치에서,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하고 전화통화 모드로 조정되었을 때라도, 사용자는 휴대전화로 적어도 비디오 영상 시청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화 대화에서 방해받지 않으며, 또한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린 상태에 있는 휴대전화를 도시하는 전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린 상태에 있는 휴대전화를 도시하는 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서 수행되는 과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서 수행되는 과정의 흐름 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서 수행되는 과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서 수행되는 과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서 수행되는 과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서 수행되는 착신 전화 검출 과정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서 수행되는 착신 전화 검출 과정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서 수행되는 과정의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서 수행되는 과정의 흐름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표시 화면(TV 프로그램 및 발신자 데이터가 동시에 표시됨)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동반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서술될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린 상태에 있는 휴대전화(1)의 외관을 도시하는 전면도 및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1)는, 힌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연결되고, 도 1A 및 1B에서 도시되는 열린 위치 및 닫힌 즉 접힌 위치의 두 위치를 가질 수 있는, 본체부(1b) 및 커버부(1a)를 포함한다. 즉, 본체부(1b) 및 힌지에 의하여 이에 연결된 커버부(1a)는 다른 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열리거나 접힌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커버부(1a)는, 휴대전화(1)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본체부(1b)의 전면을 마주보는 커버부 전면에 표시부(13)를 가진다. 한편, 본체부(1b)는 그 전면에 키 입력부(14)를 가진다. 휴대전화(1)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표시부(13) 및 키 입력부(14)는 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내부에 숨겨지며, 보조 표시부(16) 및 스피커(19)가 표면에 노출된다.
확장 가능한 안테나(11)은 커버부(11a)의 후면에 위치한다.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2)는 커버부(1a)의 전면에 위치한다. 표시부(주 표시부)(13)는 120도트(폭) × 160도트(높이)의 컬러 액정 표시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표시부(13)는, 동시에 이-메일 및 메일 본문에 첨부된 사진을 표시할 수 있는, QVGA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수준의 해상도를 가진다.
키 입력부(14)는, 다양한 기능 키(메일 키(141), 전화번호부 키(142), 기능 키(143)와 같은), 숫자 키(144), 및 셔터 키(145)를 포함하며, 본체부(1b)의 전면에 위치한다. 메일 키(141)는 메일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메일 기능을 시작하기 위하여 작동된다.
전화번호부 키(142)는 메일이 보내질 주소를 검색하기 위한 전화번호부를 열기 위하여 작동된다.
기능 키(143)는, 동영상을 가지는 메일이 작성되거나 동영상을 가지는 메일이 확인되었을 때, 동영상의 재생 및/또는 재생의 일시 중지를 지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숫자 키(144)는 전화 번호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셔터 키(145)는, 사진 촬영 모드에서 특정한 주기의 시간(약 2초) 동안 눌린 상태일 때, 동영상 촬영을 시작한다.
보조 표시부(16)는 커버부(1a)의 후면에 위치한다. 착신 메일을 통보하는 빛을 발산하는 LED(17)는 커버부(1a)의 후면에 위치한다.
대물렌즈(18)는 도 1B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이, 커버부(1a)에서 보조 표시부(16)의 하측에 장치된다. 대물렌즈(18)에 의해 만들어진 데이터는, 동영상 촬영 작동이 종료하거나 저장된 데이터가 특정한 메모리 용량(최대 100K 바이트)을 초과하기 전까지, 예를 들면 RAM(29)(도 2 참조)에 위치하는 영상-데이터 버퍼 영역에 저장된다. 데이터가 특정한 용량까지 저장되거나, 셔터-스위치 누름이 풀린 것이 검출되었을 때,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는 압축 파일을 만들기 위하여 압축되고, 압축 파일은 영상 메모리(23)(도 2 참조)에 저장된다.
알람 스피커(19)는 착신 전화를 알리는데 사용되고, 본체(1b)의 후면에 배열되어 휴대전화(1)가 닫힌 또는 접힌 상태에 있을 때에도 들릴 수 있게 한다.
도 2는 휴대전화(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전파 신호 송수신부(20)는, 내장 안테나(210)를 통하여 전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신호(메일 데이터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데, 그리고 신호를 변조 및/또는 복조하는데 사용된다. 안테나는 TV 신호를 수신하기 위함이다.
전파 신호 처리부(21)는, 전파 신호 송수신부(20)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 처리, 및 전파 신호 송수신부(20)으로 보내질 음성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처리를 포함하는, 전파 통신을 위해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제어부(22)는 다양한 작동 및 휴대전화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안테나(11) 및 안테나(210)는 기능에서 서로 대체될 수 있으며, 또는 안테나(11) 또는 (210) 중 하나가 안테나 (11, 210)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배열될 수 있다.
영상 메모리(23)는, 사진촬영부(대물 렌즈(18), 영상 촬영 모듈(181), 및 DSP(182)를 포함)에 의해 촬영되고, 영상 처리 프로그램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압축되고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영상 파일, 및 WWW를 통해 다운로드된 영상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ROM(24)은 재기록 가능 플래쉬 ROM을 포함하고, 후술될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인,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동부(25)는 표시부(13)의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버퍼를 가지고, 표시부(13)를 구동한다. 구동부(26)는 보조 표시부(16)를 구동한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27)는 다른 휴대전화에 전화하기 위한 전화 번호 및 가입자의 식별 데이터(ID)를 포함하는 프로필 데이터를 저장한다.
ROM(28)은 제어부(22)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29)은 메일 데이터와 동시에 통신 단말기로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RAM(29)은 촬영 작동 하에서 동영상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메모리 영역을 가진다.
개폐 스위치(30)는, 예를 들면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즉 접힌 상태인 휴대전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힌지 근처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스위치이다. 휴대전화가 접힌 상태일 때 개폐 스위치(30)는 꺼지고, 휴대전화가 사용을 위하여 열리게 된 것으로 검출되었을 때 켜진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201)는 마이크로폰(15)으로 들어온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는데, 그리고 스피커(12)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하여 전파 신호 처리부(21)로부터의 신호를 복호화하는데 사용된다.
영상 촬영 모듈(181)은 컬러 영상 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CCD 또는 CMOS를 포함한다.
DSP(182)는 영상 촬영 모듈(181)에 의해 형성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사용된다.
통보 장치(192)는 알람 스피커(19), 진동기(191) 및 LED(17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이다.
튜너(202), 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복조기(203), 비디오 신호 복조기(204) 및 오디오 신호 복조기(205)는 TV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TV 신호 수신부(TV 수신기)를 구성한다.
튜너(202)는 지상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고, OFDM 복조기(203)는 OFDM 신호를 복조하고, 그리고 비디오 신호 복호기(204) 및 오디오 신호 복호기(205)는 OFDM 복조기(203)으로부터 복조된 신호(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 및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비디오 신호 복호기(204)는 비디오 영상을 표시부(13) 또는 보조 표시부(16)에 표시하기 위하여 복조된 신호를 복호하고, 오디오 신호 복호기(205)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12)로 출력하기 위하여 복호하며, 그래서 휴대전화의 사용자는 휴대전화에 표시되는 TV 방송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제어부(22)는 통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오디오 신호 처리부(201)를 통하여 전파 신호 송수신부(20)를 제어하고, 또한 TV 신호 수신부(200)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는 후술할 흐름도에 따라 수행된다.
전술한 구성의 휴대전화의 작동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서 수행되는 주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휴대전화에서, 전원이 켜졌을 때, 도 3의 단계(301)에서 초기화 처리가 수행된다. 그리고, 전파 신호 송수신부(20)를 포함하는 FR부의 전원이 단계(302)에서 켜지고, 보조 표시부(16)(제 2 표시부)를 위한 전원이 단계(303)에서 켜진다.
제어부(22)는 단계(304)에서 TV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켜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TV 스위치는 휴대전화에 장치되어 있고, TV 시청을 위하여 작동된다. TV 스위치는 TV 시청을 위하여 특화된 것일 수 있고, 또는 키 입력부(14) 내의 스 위치 중 하나가 TV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단계(304)에서 TV 스위치가 켜졌다고 판단될 때(단계(304)에서 YES), 제어부(22)는 단계(305)에서 보조 표시부(16)(제 2 표시부)에 TV 신호 수신부(200)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영상을 표시하고, 단계(306)에서 스피커(12)를 통하여 TV 신호 수신부(200)로부터 보내진 음향을 출력한다.
단계(304)에서 TV 스위치가 켜지지 않았다고 판단될 때(단계(304)에서 NO), 제어부(22)는 단계(311)에서 보조 표시부(16)에 전원 소비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한다.
단계(306)의 처리가 실행된 후, 제어부(22)는 단계(307)에서 개폐 스위치(30)가 켜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307)에서 걔폐 스위치(30)가 켜지지 않았다고 판단될 때(단계(307)에서 NO), 제어부(20)는 보조 표시부(16)에 비디오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지속한다. 단계(307)에서 개폐 스위치(30)가 켜졌다고 판단될 때(단계(307)에서 YES), 제어부(22)는 표시부(13)에 비디오 영상을 표시하거나 휴대전화를 전화 통화 모드로 이행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면서 TV 스위치가 켜진 동안에 사용자가 휴대전화를 열지 않는 경우, 제어부(22)는 보조 표시부(16)(제 2 표시부)에 TV 신호 수신부(200)로부터의 비디오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유지한다.
단계(307)에서 개폐 스위치가 켜졌다고 판단될 때(단계(307)에서 YES), 표시부(14)는 단계(308)에서 켜진다. 그리고 단계(309)에서 TV 스위치가 켜졌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309)에서 TV 스위치가 켜졌다고 판단될 때(단계(309)에서 YES), 단계(310)에서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309)에서 TV 스위치가 켜지지 않았다고 판단될 때(단계(309)에서 NO), 단계(312)에서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310)에서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하고 있다고 판단될 때(단계(310)에서 YES), 휴대전화는 전화 통화 모드로 이행된다(도 4). 단계(310)에서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하고 있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단계(310)에서 NO), 비디오 영상은 표시부(13)에 표시된다(도 5).
단계(312)에서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하고 있다고 판단될 때(단계(312)에서 YES), 휴대전화는 전화 통화 모드로 이동된다(도 4). 단계(312)에서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하고 있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단계(312)에서 NO), 비디오 영상은 표시부(13)에 표시된다(도 5).
전화 통화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처리는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휴대전화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TV 스위치는 켜진 상태를 유지하고 휴대전화는 착신 전화를 수신할 때(도 3의 단계(310)에서 YES), (또는 휴대전화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착신 전화가 있을 때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위하여 휴대전화를 열었을 때), 제어부(22)는 도 4의 단계(401)에서 TV 신호 처리를 중지하고, 전화 통화 모드가 되게 한다.
휴대전화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TV 스위치는 꺼진 상태를 유지하고 휴대전화는 착신 신호를 수신할 때(도 3의 단계(312)에서 YES), (또는 휴대전화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착신 전화가 있을 때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위하여 휴 대전화를 열었을 때), 휴대전화는 전화 통화 모드로 이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2)는 단계(402)에서 표시부(13)에 착신 전화 화면을 표시하고, 단계(403)에서 오프-후크 작동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403)에서 오프-후크 작동이 수행된다고 판단될 때(단계(403)에서 YES), 제어부(22)는 단계(404)에서 착신 전화 통지를 중지하고, 단계(405)에서 착신 전화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406)에서 온-후크 작동이 수행된다고 판단될 때(단계(406)에서 YES), 제어부(22)는 단계(407)에서 전화 통화 종료 처리를 수행한다. TV 스위치가 그 순간에 켜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단계(408)에서 YES), 제어부(22)는 TV 신호 처리를 활성화시키고 도 3의 단계(309)에서의 처리로 리턴한다. 즉, TV 스위치가 켜진 상태이고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하지 않을 때, TV 영상은 표시부(13)(제 1 표시부)에 표시된다.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열렸을 때 TV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처리가 도 5에 도시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휴대전화가 TV 스위치가 켜진 채로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착신 전화를 수신하고 있지 않을 때(도 3의 단계(310)에서 NO), 대기 화면이 단계(501)에서 보조 표시부(16)에 표시된다.
제어부(22)는 단계(503)에서 TV 신호 수신부(200)로부터 전송된 TV 영상을 표시부(13)에 표시하고, 단계(503)에서 TV 신호 수신부(200)로부터 보내진 음향을 스피커(12)를 통하여 출력한다. 제어부(22)는 단계(601)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휴대전화가 열린 상태에 있는 중에 TV 스위치는 꺼진 상태이고 휴대전화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고 있지 않을 때(도 3의 단계(312)에서 YES), 대기 화면은 단계(504)에서 보조 표시부(16)에 표시되고, 또한 단계(505)에서 표시부(13)에 표시된다.
단계(506)에서 개폐 스위치(30)이 꺼진 상태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506)에서 개폐 스위치(30)가 꺼진 상태이라고 판단될 때(단계(506)에서 YES), 제어부(22)는 단계(306)의 처리로 리턴한다(도 3). 단계(506)에서 개폐 스위치(30)가 켜진 상태라고 판단될 때(단계(506)에서 NO), 제어부(22)는 도 6의 단계(601)의 처리로 진행한다.
도 6의 단계(601)에서 오프-후크 작동이 실행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오프-후크 작동이 실행되지 않을 때(단계(601)에서 NO), 제어부(22)는 단계(701)로 진행한다. 오프-후크 작동이 실행될 때(단계(601)에서 YES), 단계(602)에서 TV 스위치가 켜졌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602)에서 TV 스위치가 켜졌을 때, 제어부(22)는 단계(603)에서 다른 처리 이전에 전화 통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TV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처리 및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중지한다.
제어부(22)는 단계(604)에서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13)에 표시하고, 단계(605)에서 전화 번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605)에서 전화 번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단계(605)에서 NO), 단계(613)에서 온-후크 작동이 실행되었는지 여부가 더 판정된다. 단계(613)에서 온-후크 작동이 실행되었을 때(단계(613)에서 YES), 제어부는 단계(614)의 처리로 진행 한다. 단계(613)에서 온-후크 작동이 실행되지 않았을 때(단계(613)에서 NO), 제어부는 단계(604)의 처리로 리턴한다.
단계(605)에서 전화 번호가 입력되었을 때(단계(605)에서 YES), 제어부(22)는 단계(606)에서 입력된 전화 번호에 따라 발신 전화 처리를 수행하고, 단계(607)에서 발신 전화 화면을 표시하며, 그리고 단계(608)에서 전화걸기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609)에서 접속이 성립되었는지가 판정된다. 단계(609)에서 접속이 성립되지 않았을 때(단계(609)에서 NO), 접속이 성립될 때까지 단계(607, 608)의 처리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단계(609)에서 접속이 성립되었을 때, 전화 통화 처리가 단계(610)에서 수행된다. 이후, 단계(611)에서 온-후크 작동이 실행되었는지가 판정된다. 단계(611)에서 온-후크 작동이 실행되었을 때(단계(611)에서 YES), 제어부(22)는 단계(612)에서 전화 통화 종료 처리를 수행하고, 단계(614)의 처리로 진행한다.
제어부(22)는 단계(614)에서 TV 스위치가 켜진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614)에서 TV 스위치가 켜진 상태일 때(단계(614)에서 YES), 제어부(22)는 TV 신호 수신부(200)를 활성화시키고, 단계(614)에서 TV 스위치가 켜진 상태가 아닐 때(단계(614)에서 NO), 제어부(22)는 도 3의 단계(309)의 처리로 리턴한다.
제어부(22)는 단계(701)에서, 착신 전화를 수신하지 않고 오프-후크 작동이 실행되면서 열린 상태의 휴대전화에서 TV 스위치가 켜진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701)에서 TV 스위치가 켜졌을 때(단계(701)에서 YES), 제어부(22)는 TV 신호 수신부(200)를 활성화시키고, 도 3의 단계(309)의 처리로 리턴한다.
단계(701)에서 TV 스위치가 켜지지 않았을 때(단계(701)에서 NO), 제어부(22)는 단계(703)에서 TV 스위치가 꺼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703)에서 TV 스위치가 꺼졌을 때(단계(703)에서 YES), 제어부(22)는 TV 신호 수신부(200)를 비활성으로 하고, 도 3의 단계(309)의 처리로 리턴한다.
단계(703)에서 TV 스위치가 꺼지지 않았을 때(단계(703)에서 NO), 제어부(22)는 단계(705)에서 개폐 스위치(30)가 꺼진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705)에서 개폐 스위치(30)가 꺼진 상태가 아닐 때(단계(705)에서 NO), 제어부(22)는 도 3의 단계(309)의 처리로 리턴한다. 단계(705)에서 개폐 스위치(30)가 꺼진 상태일 때(단계(705)에서 YES), 제어부(22)는 표시부(13)를 비활성화하고, 도 3의 단계(309)의 처리로 리턴한다.
이하에서, 착신 전화 검출 처리가 도 8에서 도시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착신 전화를 받기 위해, 제어 처리부(22)는 단계(801)에서 착신 전화를 통보하고, 단계(802)에서 보조 표시부(16)에 발신자 데이터를 표시하며, 주 처리로 리턴한다.
착신 전화 종료 처리는 도 9에서 도시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착신 전화가 종료되었을 때, 제어부(22)는 단계(901)에서 착신 전화 통지를 중지하고, 단계(902)에서 휴대전화가 접힌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며, 또한 단계(903) 및 (907)에서 TV 스위치가 켜진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휴대전화가 접힌 상태이고 TV 스위치가 켜진 상태일 때(단계(902)에서 YES, 단계(903)에서 YES), 제어부(22)는 단계(904)에서 보조 표시부(16)(제 2 표시부)에 TV 영상을 표시하고, 단계(905)에서 스피커(12)를 통하여 TV 음향을 출력한다.
휴대전화가 접힌 상태이고 TV 스위치가 꺼진 상태일 때(단계(902)에서 YES, 단계(903)에서 NO), 소비 전력 절전 화면이 단계(906)에서 보조 표시부(16)에 표시된다.
휴대전화가 열린 상태이고 TV 스위치가 켜진 상태일 때(단계(902)에서 NO, 단계(903)에서 YES), 제어부(22)는 단계(908)에서 표시부(13)에 TV 영상을 표시하고, 단계(909)에서 스피커(12)를 통하여 TV 음향을 출력한다.
휴대전화가 열린 상태이고 TV 스위치가 꺼진 상태일 때(단계(902)에서 NO, 단계(903)에서 NO), 제어부(22)는 단계(910)에서 표시부(13)에 대기 화면을 표시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휴대전화가 TV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동안 착신 전화가 있을 때, 휴대전화는 자동적으로 전화 통화 모드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휴대전화의 사용자는, 심지어 휴대전화가 TV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동안에도, TV 스위치 작동 없이 전화를 통하여 즉시 통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심지어 접힌 상태이고 TV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동안에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할 때에도, 사용자는 TV 신호 수신 기능이 없는 휴대전화를 사용할 때와 비슷한 방식으로 전화를 열고 오프-후크 작동을 수행함으로서 즉시 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휴대전화의 사용자는 착신 전화 수신시에 수행되는 성가신 TV 스위치 작동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한편, 휴대전화가 전화 대화 동안 수신되는 TV 신호(영상 및 음향)를 저장하고 이후에 같은 것을 재생하기 위한 메모리를 가지는 경우, 사용자는 전체 TV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서, 다른 처리 이전에 전화 통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화는 전화 통화 모드로 이행하고 착신 전화 화면을 표시하게 되어 있다. 단지 휴대전화의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만이 전화를 통한 대화에 필요할 것이고, 따라서 휴대전화가 통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동안 표시부는 TV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TV 음향은 이러한 휴대전화에서는 들릴 수 없다. 휴대전화에서 수행되는 처리가 도 10의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0의 흐름도는 도 4의 것에 해당한다. 도 3에서 도시되는 처리가 수행된 후, 도 10의 처리가 수행될 것이고, 그리고 단계(309)의 처리가 수행된다.
개폐 스위치(30) 및 TV 스위치가 켜지고(도 3의 단계(307)에서 YES, 단계(308)에서 YES)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할 때(도 3의 단계(310)에서 YES), 제어부(22)는 도 10의 단계(1001)에서 오디오 신호 복조기를 비활성화시키고, 단계(1002)에서 표시부(13)(제 1 표시부)에서 TV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비디오 신호 복조기를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개폐 스위치(30)은 켜지고 TV 스위치는 꺼지며(단계(307)에서 YES, 단계(309)에서 NO) 휴대전화가 착신 신호를 수신할 때(단계(312)에서 YES), 제어부(22)는 단계(1003)에서 표시부(13)에 착신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22)는 단계(1004)에서 오프-후크 작동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오프-후크 작동이 수행될 때(단계(1004)에서 YES), 제어부(22)는 단계(1005)에서 착신 전화 통지를 중지하고 단계(1006)에서 전화 통화 처리를 수행한다.
온-후크 작동이 수행될 때(단계(1007)에서 YES), 전화 통화 종료 처리는 단계(1008)에서 실행된다. TV 스위치가 켜진 상태일 때(단계(1009)에서 YES), 제어부(22)는 단계(1010)에서 오디오 신호 복조기(205)를 활성화시키고, 도 3의 단계(309)의 처리로 리턴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서, 제어부(22)는 표시부(13)에 TV 영상을 표시하고, 착신 전화를 수신하지 않는 한 TV 음향을 출력한다. 휴대전화의 사용자는,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하거나 통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어도 TV 영상을 즐길 수 있다. 도 8의 흐름도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휴대전화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는 동안 보조 표시부(16)에 발신자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휴대전화의 변경은 사용자가 대화하는 상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서, TV 영상은 전화 통화 모드일 때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남아있지만, 표시부의 표시 영역이 두 영역으로 나뉘고, 하나는 TV 영상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는 발신자 데이터를 표시하는 변경이 휴대전화에 만들어질 수 있다.
변경된 휴대전화에서 수행되는 처리는 도 11에서 도시되는 흐름도를 참조하 여 설명될 것이다. 표시 화면의 예는 도 12에서 도해된다.
도 2에서, 표시부(13)의 표시 영역은 두 영역 (13a, 13b)로 나뉜다. 영역 (13a)은 TV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13)의 전체 표시 영역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다른 하부 영역은 착신 전화 표시 및 발신자의 번호를 표시하기 위하여 전체 표시 영역의 3분의 1 이하를 차지한다.
도 11은 제 3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처리의 부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의 흐름도는 도 4에서 도시되는 것에 해당한다. 도 3에서 도시되는 처리가 수행된 후에, 도 10의 처리가 수행되고, 그리고 단계(309)의 처리가 수행된다.
개폐 스위치(30) 및 TV 스위치가 켜지고(도 3의 단계(307)에서 YES, 단계(308)에서 YES)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할 때(도 3의 단계(310)에서 YES), 제어부(22)는 도 11의 단계(1101)에서 오디오 신호 복조기(205)를 비활성화시키고, 단계(1102)에서 TV 영상을 표시부(13)에 표시하기 위하여 비디오 신호 복조기(204)를 활성화로 유지한다.
제어부(22)는 도 11의 단계(1103)에서 표시부(13)의 표시 영역 (13a)에 발신자의 데이터를 표시한다. 개폐 스위치(30)는 켜지고 TV 스위치는 꺼지며(단계(307)에서 YES, 단계(309)에서 NO)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할 때(단계(312)에서 YES), 제어부(22)는 단계(1104)에서 표시부(13)에 착신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22)는 단계(1105)에서 오프-후크 작동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오프-후크 작동이 수행될 때(단계(1105)에서 YES), 제어부(22)는 단계(1106)에서 착신 전화 통보를 중지하고 단계(1107)에서 전화 통화 처리를 수행한다.
온-후크 작동이 수행될 때(단계(1108)에서 YES), 단계(1109)에서 전화 통화 종료 처리가 실행된다. TV 스위치가 켜진 상태를 유지할 때(단계(1110)에서 YES), 제어부(22)는 단계(1111)에서 오디오 신호 복조기(205)를 활성화시키고, 단계(1111)에서 표시부(13)의 표시 영역의 분할을 해제하며, 그리고 도 3의 단계(309)로 리턴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서, 착신 전화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부(22)는 TV 영상을 표시부(13)에 표시하고 TV 음향을 출력한다.
휴대전화의 사용자는, 심지어 휴대전화가 착신 전화를 수신하거나 통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어도 TV 영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 표시부(13)의 표시 영역이 발신자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부분을 확보하기 위하여 분할되었기 때문에, 사용자는 착신 전화 수신시 통상적인 휴대전화에서 제공되는 편리를 즐길 수 있다.
사용자가 사전에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실행되는 처리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변경이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 우선 기능, TV 영상 표시 기능, 또는 TV 영상 및 발신자 데이터 표시 기능처럼, 착신 전화 수신시 기능 중 하나에 사용자는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고, 우선권이 주어진 기능에 따라 반응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적시된 실시예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하며, 그 모든 것이 여기에서 설명되고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커버부 및 본체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는 서로 힌지에 의하여 연결되며, 그리고 열린 상태 또는 접힌 상태 중 하나로 유지될 수 있는 휴대전화에 있어서: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기 위한 텔레비젼-신호 수신부;
    전화-통화 처리를 제어하기 위하여 착신 전화를 검출하기 위한 전화-통화 제어부;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가 작동 중일 때,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텔레비젼 방송파의 비디오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신호-수신 제어부;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접힌 상태 또는 상기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스위치;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가 작동 중에, 상기 전화-통화 제어부가 착신 전화를 검출한 후 상기 스위치가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열린 상태로 이행된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신호-수신 제어부가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 작동을 중지시키게 하기 위한 오프-제어부; 및
    상기 커버부의 다른 면에 설치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접힌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고 검출하고 상기 신호-수신 제어부는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를 작동 상태에 둘 때,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의 상기 비디오 영상이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3. 커버부 및 본체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는 서로 힌지에 의하여 연결되며, 그리고 열린 상태 또는 접힌 상태 중 하나로 유지될 수 있는 휴대전화에 있어서:
    텔레비젼 방송파를 수신하기 위한 텔레비젼-신호 수신부;
    전화-통화 처리를 제어하기 위하여 착신 전화를 검출하기 위한 전화-통화 제어부;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가 작동 중일 때,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텔레비젼 방송파의 비디오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신호-수신 제어부;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접힌 상태 또는 상기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스위치;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가 작동 중에, 상기 전화-통화 제어부가 착신 전화를 검출한 후 상기 스위치가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열린 상태로 이행된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신호-수신 제어부가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 작동을 중지시키게 하기 위한 오프-제어부; 및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접힌 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본체부 표면에 접하는 면인, 상기 커버부의 면에 설치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신 제어부는, 상기 신호-수신 제어부가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를 작동 상태에 두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열린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며, 그리고 상기 전화-통화 제어부는 착신 전화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의 상기 비디오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4. 커버부 및 본체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는 서로 힌지에 의하여 연결되며, 그리고 열린 상태 또는 접힌 상태 중 하나로 유지될 수 있는 휴대전화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접힌 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본체부 표면에 접하는 면인, 상기 커버부의 면에 설치되는 표시부;
    텔레비젼 방송파의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텔레비젼-신호 수신부;
    전화-통화 처리를 제어하기 위해 착신 전화를 검출하기 위한 전화-통화 제어부;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가 작동 중일 때,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의 상기 비디오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수신 제어부;
    상기 전화-통화 제어부에 의하여 전화-통화 처리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 제어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의 상기 오디오 신호 중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부;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접힌 상태 또는 상기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가 작동 중이며 그리고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의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전화-통화 제어부가 착신 전화를 검출한 후 상기 스위치가 상기 휴대전화가 열린 상태로 이행된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의 상기 오디오 신호를 대신하여 상기 전화-통화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전화-통화 처리에서 처리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음향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 제어부는,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가 작동하는 중에, 상기 전화-통화 제어부가 착신 전화를 검출한 후 상기 스위치가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열린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의 상기 비디오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다른 면에 장치된 제 2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신호-수신 제어부는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를 작동 상태로 둘 때,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 제어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의 상기 비디오 영상은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7. 커버부 및 본체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는 서로 힌지에 의하여 연결되며, 그리고 열린 상태 또는 접힌 상태 중 하나로 유지될 수 있는 휴대전화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접힌 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본체부 표면에 접하는 면인, 상기 커버부의 면에 설치되는 표시부;
    텔레비젼 방송파의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텔레비젼-신호 수신부;
    전화-통화 처리를 제어하기 위해 착신 전화를 검출하기 위한 전화-통화 제어부;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가 작동 중일 때,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의 상기 비디오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수신 제어부;
    상기 전화-통화 제어부에 의하여 전화-통화 처리에서 처리된 상기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 제어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의 상기 오디오 신호 중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부;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접힌 상태 또는 상기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휴대전화는 상기 접힌 상태이고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는 작동하는 중에, 상기 전화-통화 제어부가 착신 전화를 검출한 후 상기 스위치가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열린 상태로 이행된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착신 전화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의 공백 표시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착신-전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전화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의 상기 공백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상 기 정보는 발신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는 상기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 제어부는 작동 중이며 그리고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 제어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의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전화-통화 제어부가 착신 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스위치는 상기 휴대전화가 상기 열린 상태로 이행된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텔레비젼-신호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텔레비젼 방송파의 상기 오디오 신호 대신에 상기 전화-통화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전화-통화 처리에서 처리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부로 출력하기 위한 음향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KR1020057012245A 2003-09-30 2004-09-16 폴더 휴대 tv 전화 KR100712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39861A JP4622223B2 (ja) 2003-09-30 2003-09-30 携帯電話機
JPJP-P-2003-00339861 2003-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634A KR20060013634A (ko) 2006-02-13
KR100712395B1 true KR100712395B1 (ko) 2007-05-02

Family

ID=3437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245A KR100712395B1 (ko) 2003-09-30 2004-09-16 폴더 휴대 tv 전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070327A1 (ko)
EP (1) EP1685693A1 (ko)
JP (1) JP4622223B2 (ko)
KR (1) KR100712395B1 (ko)
CN (1) CN1723682A (ko)
WO (1) WO20050344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728B1 (ko) * 2013-09-06 2014-05-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통화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9157A1 (ja) * 2003-10-22 2005-04-28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31237B2 (ja) * 2003-12-24 2008-08-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EP1765007B1 (en) * 2004-06-02 2015-07-01 Panasonic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
EP1605673B1 (en) * 2004-06-08 2016-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function during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utput
KR20050044837A (ko) * 2004-06-08 200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95708B1 (ko) * 2004-12-30 200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브로드캐스팅 스트리밍의 일시 정지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060154693A1 (en) * 2005-01-13 2006-07-13 Mr. Ilya Kogan Wireless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based on cellular phone
JP4794209B2 (ja) * 2005-05-12 2011-10-1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放送受信装置
EP1724955A3 (en) * 2005-05-17 2007-01-03 Samsung Electronics Co.,Ltd. Method for taking a telephone call while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using this method
KR100557185B1 (ko) 2005-05-17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KR100677463B1 (ko) * 2005-06-24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 구성 방법
JP4781735B2 (ja) * 2005-06-29 2011-09-2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EP1750421B1 (en) * 2005-08-04 2017-11-08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plugging on cradle for charging
KR100744338B1 (ko) 2005-08-19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자외선정보 제어방법
WO2007029805A1 (ja) * 2005-09-09 2007-03-15 Nikon Corporation プロジェクタ付き電子機器
JP4867243B2 (ja) * 2005-09-09 2012-02-01 株式会社ニコン プロジェクタ付き携帯電話機
US7844301B2 (en) * 2005-10-14 2010-1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KR100663447B1 (ko) * 2005-10-2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채널 정보 표시 방법
KR100703486B1 (ko) 2005-11-2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수행 방법
KR100663532B1 (ko) * 2006-01-2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상태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US8424048B1 (en) 2006-02-18 2013-04-16 Philip Scott Lyr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and playing feature length movies
KR100753040B1 (ko) * 2006-02-23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
JP2007228504A (ja) * 2006-02-27 2007-09-06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5151976B2 (ja) 2006-03-10 2013-02-2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CN101375580A (zh) * 2006-03-28 2009-02-25 夏普株式会社 便携通信终端
CN101375583B (zh) * 2006-03-29 2011-08-03 夏普株式会社 便携电话机
US8521601B1 (en) 2006-04-08 2013-08-27 Philip Scott Lyren Marketing and selling feature length movies over networks
KR100757231B1 (ko) * 2006-06-08 2007-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Dmb 휴대단말기에 있어 복수의 채널 동시 다중화면시청 방법 및 장치
WO2008001147A1 (en) 2006-06-23 2008-01-03 Nokia Corporation Resource-limite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eans for prioritizing services
US8479230B2 (en) 2006-12-19 2013-07-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dia content
KR101448616B1 (ko) * 2007-04-05 2014-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출력 제어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TW200843482A (en) * 2007-04-20 2008-11-01 Asustek Comp Inc Portable media player
US8683527B2 (en) 2007-04-20 2014-03-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lying media content to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90133091A1 (en) * 2007-11-20 2009-05-21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s with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8413892B2 (en) * 2007-12-24 2013-04-09 Dynamics Inc. Payment cards and devices with displays, chips, RFIDs, magnetic emulators, magnetic encoders, and other components
JP5084704B2 (ja) * 2008-11-28 2012-11-28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871373B2 (ja) * 2009-06-19 2012-02-08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5674296B2 (ja) 2009-09-09 2015-02-25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1834923B (zh) * 2010-03-26 2014-10-22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移动终端声音播放的方法和移动终端
JP2011250874A (ja) 2010-05-31 2011-12-15 Nintendo Co Ltd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5593566B2 (ja) 2010-06-10 2014-09-24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2018657A (ja) 2010-06-11 2012-01-26 Nintendo Co Ltd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677811B2 (ja) 2010-06-11 2015-02-25 任天堂株式会社 携帯型情報端末、携帯情報システム、携帯型情報端末制御プログラム
JP4999213B2 (ja) * 2010-09-17 2012-08-15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4882022B1 (ja) 2010-12-28 2012-02-22 任天堂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
CN102098382A (zh) * 2010-12-29 2011-06-15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接收有线电视信号的移动电话
US20130101140A1 (en) * 2011-10-25 2013-04-25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2675147B1 (en) 2012-06-11 2022-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ice providing system in a vehicle including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KR102017845B1 (ko) * 2012-09-20 2019-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부재중 통화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078916A1 (en) * 2012-11-23 2014-05-30 Ventzislav Stoyanov Ivanov Method and device for integration of communication and television multimedia services
US9503302B2 (en) * 2013-08-26 2016-11-22 Mediatek Inc. Communication circuit and associated method for calibrating communication circuit
JP2014057347A (ja) * 2013-11-06 2014-03-27 Kyocera Corp 携帯電話機
GB2554259B (en) * 2015-04-22 2021-04-07 Harman Int Ind Multi-source wireless headphone and audio switching device
CN107105187A (zh) * 2017-05-18 2017-08-2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的处理方法及装置、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4565A (en) * 1997-06-30 2000-07-25 Motorola, Inc. Close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310346B1 (ko) 1998-12-19 2001-11-05 윤종용 텔레비전과 휴대폰이 일체화된 텔레비전 휴대폰
KR100547841B1 (ko) * 1998-12-26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JP2001268187A (ja) * 2000-03-14 2001-09-28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の呼出音の鳴動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212437Y1 (ko) * 2000-08-16 2001-02-15 주식회사스탠더드텔레콤 탑뷰용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 전화 단말기
KR20030068684A (ko) * 2002-02-15 200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JP3910112B2 (ja) * 2002-06-21 2007-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付携帯電話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7012245 - 73083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728B1 (ko) * 2013-09-06 2014-05-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통화를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34491A1 (en) 2005-04-14
JP4622223B2 (ja) 2011-02-02
US20050070327A1 (en) 2005-03-31
JP2005109819A (ja) 2005-04-21
CN1723682A (zh) 2006-01-18
EP1685693A1 (en) 2006-08-02
KR20060013634A (ko) 2006-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395B1 (ko) 폴더 휴대 tv 전화
JP3787760B2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CN101401395A (zh) 移动电话
US7119827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323958B2 (ja) 携帯電話機
US77689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ata in a wireless terminal with normal video communication mode and image mute mode
EP1033876B1 (en) Radio mobile terminal with a mountable and removable camera
US20060274039A1 (en)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JP2003009104A (ja) テレビ電話機能付き電話機
JP4449869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40054484A (ko) 휴대 텔레비전 수상기
WO2003092250A1 (en) Mobile terminal device
US20060277266A1 (en) Wireless terminal having switching function for image attach mode and method thereof
JP4858874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処理プログラム
JP3763995B2 (ja) 携帯電話機
KR100605996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JP2000059483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3632462B2 (ja) 音声応答機能付電話装置
JP2000332916A (ja) 携帯テレビ電話端末
JP3754305B2 (ja) 携帯通信装置
KR100605869B1 (ko) 슬라이드용 휴대 단말기의 자동동작 방법
JP4272332B2 (ja) 画像伝送通信端末
JP2006020250A (ja) 通信装置、電話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5217594A (ja) 携帯通信端末及びその着信処理方法
JP2006074430A (ja) 外部スイッチ機能付き情報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