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4837A -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837A
KR20050044837A KR1020040041647A KR20040041647A KR20050044837A KR 20050044837 A KR20050044837 A KR 20050044837A KR 1020040041647 A KR1020040041647 A KR 1020040041647A KR 20040041647 A KR20040041647 A KR 20040041647A KR 20050044837 A KR20050044837 A KR 20050044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broadcast
broadcast data
output
cal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혜정
유훈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1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4837A/ko
Priority to US11/109,998 priority patent/US20050270995A1/en
Publication of KR20050044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837A/ko
Priority to KR1020050047518A priority patent/KR100651380B1/ko
Priority to EP05012378.5A priority patent/EP1605673B1/en
Priority to CNA2005100761126A priority patent/CN1716990A/zh
Priority to JP2005168759A priority patent/JP2005354700A/ja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3Processing operations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 또는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통화상태 감지부와, 상기 통화상태 감지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요청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통화요청이 발생되면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하고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DMB 시청 중 전화통화를 했을 때 통화로 인해 보지 못한 부분을 저장해 놓았다가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MUNICATION_FUNCTION DURING THE OUTPUTTING OF DIGITAL_BROADCASTING_DATA}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특히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함)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DMB란 무지향성 수신안테나를 장착한 개인 휴대용 또는 차량용 수신기를 통해 이동 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다채널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서비스를 말한다.
도 1은 DMB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MB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은 데이터 송출센터(10)와, 위성(20)과, 수신 장치들(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30), 차량용 수신기(40) 및 가정용 수신기(50)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송출센터(10)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데이터(예컨대, 화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 등)를 압축한 후 변조하여 위성(20)으로 송출한다. 위성(20)은 데이터 송출센터(1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주파수 변환하여 다시 지상으로 재전송한다. 수신 장치들(30, 40, 50)은 위성(20)으로부터 재전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복조한 후 압축을 풀고 본래의 신호들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때 수신 장치들(30, 40, 50) 중 이동통신단말기(30)를 이용하여 DMB 시청하는 중에 통화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는 DMB 출력 기능 및 통화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DMB 시청 중 전화 통화를 수행한 경우 사용자는 그 전화 통화 시간만큼 DMB를 시청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손실 없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이용자들이 디지털 방송 시청 및 통화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 또는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통화상태 감지부와, 상기 통화상태 감지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처리 방법은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요청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통화요청이 발생되면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하고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처리 방법은 통화가 종료된 후 상기 저장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그 저장된 순서대로 추출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저장 이전에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스크램블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중 DMB의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될 것이나, 다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휴대전화기능을 제어하는 휴대전화기능모듈(일명, 폰-모듈)(A)과, 방송수신기능을 제어하는 방송기능모듈(일명, DMB 모듈)(B)을 포함한다.
폰-모듈(A)은 휴대전화기능을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도 3의 예에서는 MSM(Mobile Station Modem) 칩으로 구현됨, 이하 'MSM'이라 칭함)(110)와, 상기 휴대전화기능을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LCD(120)와, 오디오(audio)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Mic.)(130)와, MSM(110)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키패드(140)와, 휴대전화기능 수행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150)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스피커(150)는 수화기(receiver)로서 동작하는 장치이다.
한편 DMB 모듈(B)은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DMB 수신부(160)와, 상기 DMB 데이터를 해독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로 출력하는 DMB 제어부(170)와, 상기 DMB 제어부(170)에서 출력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LCD(180)와, 상기 DMB 제어부(170)에서 출력된 오디오(audio)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190)를 포함한다. 이 때, 제2 스피커(190)는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음향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테레오(stereo) 기능이 구현된다. 또한 제2 LCD(180)는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영상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2 스피커(190)와 제2 LCD(180)는 디지털 방송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한다.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는 디지털 방송의 형태에 따라 스피커와 LCD 중 어느 하나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의 경우에는 스피커만으로 출력 인터페이스부가 구성된다.
한편, 제2 스피커(190)와 제1 스피커(150), 제2 LCD(180)와 제1 LCD(120)는 각각 하드웨어적으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스피커와 하나의 LCD 자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DMB 제어부(170)는 이동통신단말기(110)가 통화기능 수행 중에 DMB 수신부(160)로부터 수신된 DMB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통화기능이 종료된 후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DMB 제어부(170)는 MSM(110)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통화상태정보를 전달받고 그 통화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수신된 DMB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DMB 제어부(170)의 구성 예가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DMB 제어부(17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MB 제어부(170)는 DMB 데이터 해독부(171), DMB 데이터 저장부(173), DMB 데이터 출력부(175) 및 통화상태 감지부(1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화상태 감지부(177)는 MSM(110)으로부터 폰-모듈(A)의 통화기능 수행 여부에 따른 '통화상태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DMB 데이터 해독부(171), DMB 데이터 저장부(173) 및 DMB 데이터 출력부(175)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MSM(110)이 통화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통화상태 감지부(177)는 DMB 데이터 출력부(175)에게 '출력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DMB 데이터의 출력을 중단한다. 또한 DMB 데이터 해독부(171) 및 DMB 데이터 저장부(173)에게 '데이터 저장신호'를 출력하여, DMB 데이터 해독부(171)가 해독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저장부(173)로 전달하고, DMB 데이터 저장부(173)가 그 DMB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MSM(110)이 통화기능을 종료한 것으로 감지되면, 통화상태 감지부(177)는 DMB 데이터 저장부(173) 및 DMB 데이터 출력부(175)로 '출력 개시신호'를 출력하여 DMB 데이터 저장부(173)에 저장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출력부(175)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방송신호 해독부(171)는 DMB 수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DMB 데이터를 해독하여 출력한다. 이 때, DMB 데이터는 영상(video) 데이터와 음향(audio) 데이터를 포함하므로, 방송신호 해독부(171)는 이들을 분리한 후 디먹싱(demuxing) 및 디코딩(decoding) 한다. 그리고 통화상태 감지부(177)의 제어에 의해 그 결과물을 방송신호 출력부(175) 또는 방송신호 저장부(173) 중 하나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 해독부(171)는 DMB 동작 초기에는 해독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출력부(175)로 전달하고, 통화상태감지부(177)로부터 '데이터 저장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해독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저장부(173)로 전달한다. 특히 방송신호 해독부(171)는 상기 '데이터 저장신호'를 수신한 이후에는 해당 DMB 프로그램이 종료할 때까지 상기 해독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저장부(173)에 저장한다.
DMB 데이터 저장부(173)는 통화상태감지부(177)의 제어에 의해 DMB 데이터 해독부(171)에서 전달된 DMB 데이터의 저장 또는 상기 저장된 DMB 데이터의 출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화상태감지부(177)로부터 '데이터 저장신호'가 전달되면 DMB 데이터 해독부(171)에서 전달된 DMB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통화상태감지부(177)로부터 '출력 개시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저장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출력부(175)로 전달한다. 이 때 DMB 데이터 저장부(173)는 기 저장된 DMB 데이터들의 저장 순서에 의거하여 저장 시간이 오래된 순서대로 DMB 데이터를 추출하여 DMB 데이터 출력부(175)로 전달한다. 또한 DMB 데이터 저장부(173)는 상기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출력부(175)로 전달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해독부(171)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DMB 데이터 출력부(175)는 DMB 데이터 해독부(171) 또는 DMB 데이터 저장부(173)로부터 전달된 DMB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DMB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는 제2 LCD(도 3의 '180')로 전달하고 오디오 데이터는 제2 스피커(도 3의 '190')로 전달한다.
이 때, DMB 데이터 저장부(173)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장형 메모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DMB 데이터 저장부(173)가 외장형 메모리인 경우 DMB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저장부(173)에 저장하기 전에 그 DMB 데이터를 스크램블링(scrambling)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DMB 모듈(170)은 스크램블링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MB 출력 중 통화기능 처리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DMB 시청 중(예컨대, DMB 모드 수행 중) 통화 기능이 요청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독한 후 그 DMB 데이터를 출력하는 일련의 과정들(S111 및 S113)을 반복 수행하는 중에 통화요청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S117).
상기 통화요청은 이동통신단말기로 호가 수신되거나 사용자가 호를 발신하기 위해 통화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발생된다. 예를 들어 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서 사용자가 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를 발생시킨 발신번호를 DMB 방송 화면에 겹쳐서(overlay) 디스플레이(display)한 후 사용자 옵션(user option)을 두어 상기 통화요청을 무시할 것인지 해당 전화를 받을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 과정(S117)에서 사용자가 DMB 출력 기능을 선택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과정들(S111 및 S113)을 반복 수행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통화 기능을 선택하여 해당 통화가 개시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DMB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하고 통화모드를 수행한다(S119). 이 때, DMB 데이터의 수신 및 해독 과정은 유지한다(S121). 즉 사용자의 통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DMB 데이터의 출력은 중지하지만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적으로 수행되는 실시간 DMB 데이터의 수신 및 해독 과정(S121)은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S121)을 거친 DMB 데이터를 저장한다(S123). 상기 과정들(S121 및 S123)은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
상기 과정(S123)에서 DMB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통화 시간만큼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없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즉, 통화가 종료되었을 때 상기 과정(S121 및 S123)을 거쳐 저장된 DMB 데이터를 이용하여 DMB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과정(S123)에서 저장된 DMB 데이터를 출력한다(S129). 그리고 DMB 모드가 종료되지 않으면 DMB 데이터의 수신 및 해독 과정(S133)과 해독된 DMB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S135) 및 저장된 DMB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S129)을 반복 수행한다.
이 때, DMB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DMB 데이터의 저장 과정 및 출력 과정(S123, S129)에서 DMB 데이터를 스크램블(scramble)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DMB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저장할 경우, 상기 과정(S123)은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기기번호를 DMB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정(S129)은 DMB 데이터를 출력하고자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기기번호와 그 DMB 데이터에 포함된 기기번호를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정당한 이동통신단말기(예컨대, 사전에 DMB 데이터의 이용이 승인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DMB 데이터 이용에 상응한 비용을 지불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등)에서만 상기 DMB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해당 DMB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과정(S117)의 통화 요청은 상기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에게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서 사용자가 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방법에 의해 발생될 수 있지만 그 방법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호 수신 시 통화 요청이 발생된 것으로 보고 바로 통화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DMB 데이터의 수신 개시 이전에, 사용자가 DMB 시청 중 호가 수신될 경우에 대한 처리 정보를 미리 설정하도록 하고, 이동통신단말기는 그 설정정보에 의해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DMB 시청 중에 호가 수신된 경우 '① 그 호를 무시할 것'인지, '② 전화를 받되 전화 통화 중 수신된 DMB 데이터를 녹화할 것'인지, '③ 전화를 받되 전화 통화 중 수신된 DMB 데이터를 녹화하지 않을 것'인지를 DMB 데이터의 수신 개시 이전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과정(S117)에서는 그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모드를 결정한다.
상기 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처리정보를'①'로 설정한 경우 상기 과정(S117)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통화를 거부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과정(S111) 이후의 과정들을 수행한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처리정보를'②'로 설정한 경우 상기 과정(S117)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통화를 승인하고 통화 중 수신된 DMB 데이터의 녹화를 요청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과정(S119) 이후의 과정들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처리정보를 '③'으로 선택한 경우 종래의 방법과 같이 DMB 데이터의 수신을 중단하고 전화만 받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화요청은 호 수신 시 뿐만 아니라 호 발신 시에도 발생하는데, 통화 요청은 사용자로부터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입력될 때, 호 발신 시, 또는 호 발신 후 상대방과의 통화가 성립될 때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처리정보를 '②'로 설정한 경우 수신된 DMB 데이터의 녹화를 위한 최대 녹화시간 및 녹화용량 정보를 별도로 설정하도록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 공간을 참조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통화 시간에 비례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될 DMB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게 되는데, 상기 저장될 DMB 데이터의 양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 용량을 초과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중 DMB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DMB 서비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예컨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DAR(Digital Audio Radio), DRB(Digital Radio Broadcasting) 및 DSB(Digital Sound Broadcasting) 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DMB 시청 중 사용자가 통화기능을 수행할 경우 상기 통화기능 개시 이후에 수신된 DMB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통화가 종료된 시점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통화로 인한 DMB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DMB 시청 중 전화통화를 했을 때 통화로 인해 미처 보지 못한 부분을 저장해 놓았다가 못 본 부분부터 다시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DMB 제어부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MB 출력 중 통화기능 처리방법에 대한 순서도.

Claims (11)

  1.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 또는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통화상태 감지부와,
    상기 통화상태 감지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가시적 형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가청적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전에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스크램블링(scrambling)하고, 상기 저장부로부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읽어올 때 상기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해석하는 스크램블링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상태 감지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개시가 감지되면 상기 출력부의 출력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저장부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상태 감지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종료가 감지되면 상기 출력부의 출력동작을 재개하고 상기 저장부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기 저장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그 저장된 시간이 오래된 순서대로 추출하여 상기 출력부로 전달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기능 처리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요청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통화요청이 발생되면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하고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통화가 종료된 후 상기 저장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그 저장된 순서대로 추출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통화요청이 발생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모드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과정은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저장 이전에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스크램블링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과정은
    상기 스크램블링되어 저장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출력 이전에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해석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41647A 2004-06-08 2004-06-08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50044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647A KR20050044837A (ko) 2004-06-08 2004-06-08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US11/109,998 US20050270995A1 (en) 2004-06-08 2005-04-2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function during DMB output
KR1020050047518A KR100651380B1 (ko) 2004-06-08 2005-06-03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EP05012378.5A EP1605673B1 (en) 2004-06-08 2005-06-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function during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utput
CNA2005100761126A CN1716990A (zh) 2004-06-08 2005-06-08 用于在dmb输出期间,处理通信功能的移动通信终端和方法
JP2005168759A JP2005354700A (ja) 2004-06-08 2005-06-08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データの出力中に通話機能を処理する移動通信端末機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647A KR20050044837A (ko) 2004-06-08 2004-06-08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837A true KR20050044837A (ko) 2005-05-13

Family

ID=354488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647A KR20050044837A (ko) 2004-06-08 2004-06-08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20050047518A KR100651380B1 (ko) 2004-06-08 2005-06-03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518A KR100651380B1 (ko) 2004-06-08 2005-06-03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270995A1 (ko)
JP (1) JP2005354700A (ko)
KR (2) KR20050044837A (ko)
CN (1) CN17169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950B1 (ko) * 2005-07-26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출력 방법
KR100762613B1 (ko) * 2006-03-17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출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188B1 (ko) * 2005-07-21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장치
US20070076614A1 (en) * 2005-09-01 2007-04-05 Pantech Co., Ltd. Method for changing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ent service system
US8738103B2 (en) 2006-07-18 2014-05-27 Fractus, S.A. Multiple-body-configuration multimedia and smartphone multifunction wireless devices
KR100842522B1 (ko) 2006-11-27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복합단말기에서 간섭 제거 방법 및 장치와 그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7475A (en) * 1994-11-18 1997-04-0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G.I. Communications Division Scrambling and descrambling of video signals using horizontal line combinations
WO1999046933A1 (en) * 1998-03-09 1999-09-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US6504826B1 (en) * 1998-08-24 2003-01-07 Hitachi, Ltd.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0547841B1 (ko) * 1998-12-26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IL129947A (en) * 1999-05-13 2003-06-24 Tadiran Telecom Business Syste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software into an embedded system
US7006787B1 (en) * 2000-02-14 2006-02-28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e to mobile digital wireless connection having enhanced voice quality
SE0102849D0 (sv) * 2001-08-22 2001-08-22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telecommunicaton system
JP3688678B2 (ja) * 2002-11-29 2005-08-31 株式会社東芝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JP4622223B2 (ja) * 2003-09-30 2011-02-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950B1 (ko) * 2005-07-26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출력 방법
KR100762613B1 (ko) * 2006-03-17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출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70995A1 (en) 2005-12-08
CN1716990A (zh) 2006-01-04
JP2005354700A (ja) 2005-12-22
KR20060049550A (ko) 2006-05-19
KR100651380B1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380B1 (ko)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JP3905509B2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受信用移動端末における音声通話時のオーディオ信号を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800889B1 (ko) 음악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90003809A (ko) 복수개의 망을 이용한 방송 정보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651380B1 (ko)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90125976A (ko) 송신장치, 수신장치, 이를 결합한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193944A (ja) 携帯通信装置及び携帯通信装置によるテレビ放送の記録/再生方法
US20090013373A1 (en) Televisio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Receiving Television Broadcast
KR100640374B1 (ko)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
WO2012111059A1 (ja) テレビ電話機能付き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テレビ電話音声処理方法
KR20050031891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KR100678025B1 (ko)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EP160567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function during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utput
KR10085844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075464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전송 방법
KR10063022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티브이 시청 방법
CN102447872A (zh) 一种视频电话与手机电视共享信息处理方法及装置
JP4372677B2 (ja) 通話装置
KR20040022724A (ko)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주문형비디오 서비스방법
US20090310786A1 (en) Systems for Channel Coordination of Audio and Data Transmission in a Broadcast Band
KR100330850B1 (ko) 티브이시청중에 폴더를 닫을 시 티브 음성신호를 청취하는티브이폰 및 그 방법
KR10077199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KR100652494B1 (ko) Dmb지원 ip영상 전화
KR0166874B1 (ko) 무선전화기능을 내장한 위성방송수신기
KR20020028437A (ko) 화상전화기의 영상표시 텔레비젼 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