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025B1 -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025B1
KR100678025B1 KR1020060088505A KR20060088505A KR100678025B1 KR 100678025 B1 KR100678025 B1 KR 100678025B1 KR 1020060088505 A KR1020060088505 A KR 1020060088505A KR 20060088505 A KR20060088505 A KR 20060088505A KR 100678025 B1 KR100678025 B1 KR 100678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broadcast
call
output
dmb
broadcas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452A (ko
Inventor
변혜정
김학상
박석효
윤준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8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025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3Processing operations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요청에 대한 처리 정보를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설정된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요청에 대한 처리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요청에 대한 처리 정보가 통화 중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녹화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 및 통화모드를 수행하고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MB, 통화기능, DMB 데이터, 저장, 디지털 방송, 이동통신단말기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MUNICATION_FUNCTION DURING THE OUTPUTTING OF DIGITAL_BROADCASTING_DATA}
도 1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DMB 제어부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MB 출력 중 통화기능 처리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0)에 구현된 DMB 모듈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MB 출력 중 통화기능 처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0)에 구현된 DMB 모듈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MB 출력 중 통화기능 처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특히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함)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DMB란 무지향성 수신안테나를 장착한 개인 휴대용 또는 차량용 수신기를 통해 이동 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다채널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서비스를 말한다.
도 1은 DMB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MB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시스템은 데이터 송출센터(10)와, 위성(20)과, 수신 장치들(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30), 차량용 수신기(40) 및 가정용 수신기(50)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송출센터(10)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데이터(예컨대, 화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 등)를 압축한 후 변조하여 위성(20)으로 송출한다. 위 성(20)은 데이터 송출센터(1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주파수 변환하여 다시 지상으로 재전송한다. 수신 장치들(30, 40, 50)은 위성(20)으로부터 재전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복조한 후 압축을 풀고 본래의 신호들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때 수신 장치들(30, 40, 50) 중 이동통신단말기(30)를 이용하여 DMB 시청하는 중에 통화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는 DMB 출력 기능 및 통화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DMB 시청 중 전화 통화를 수행한 경우 사용자는 그 전화 통화 시간만큼 DMB를 시청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손실 없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이용자들이 디지털 방송 시청 및 통화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병렬로 배치된 제1 버퍼 및 제2 버퍼를 구비하며,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제1 버퍼 또는 제2 버퍼에 저장 및 출력하는 저장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정지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상기 제1 버퍼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버퍼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상기 제2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버퍼에 저장된 모든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면 상기 제2 버퍼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상기 제1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버퍼에 저장된 모든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면 상기 제1 버퍼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통화상태 감지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처리 방법은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요청에 대한 처리 정보를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설정된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요청에 대한 처리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요청에 대한 처리 정보가 통화 중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녹화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 및 통화모드를 수행하고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중 DMB의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될 것이나, 다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휴대전화기능을 제어하는 휴대전화기능모듈(일명, 폰-모듈)(A)과, 방송수신기능을 제어하는 방송기능모듈(일명, DMB 모듈)(B)을 포함한다.
폰-모듈(A)은 휴대전화기능을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도 2의 예에서는 MSM(Mobile Station Modem) 칩으로 구현됨, 이하 'MSM'이라 칭함)(110)와, 상기 휴대전화기능을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LCD(120)와, 오디오(audio)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Mic.)(130)와, MSM(110)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키패드(140)와, 휴대전화기능 수행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150)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스피커(150)는 수화기(receiver)로서 동작하는 장치이다.
한편 DMB 모듈(B)은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DMB 수신부(160)와, 상기 DMB 데이터를 해독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로 출력하는 DMB 제어부(170)와, 상기 DMB 제어부(170)에서 출력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LCD(180)와, 상기 DMB 제어부(170)에서 출력된 오디오(audio)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190)를 포함한다. 이 때, 제2 스피커(190)는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음향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테레오(stereo) 기능이 구현된다. 또한 제2 LCD(180)는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영상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2 스피커(190)와 제2 LCD(180)는 디지털 방송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한다.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는 디지털 방송의 형태에 따라 스피커와 LCD 중 어느 하나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의 경우에는 스피커만으로 출력 인터페이스부가 구성된다.
한편, 제2 스피커(190)와 제1 스피커(150), 제2 LCD(180)와 제1 LCD(120)는 각각 하드웨어적으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스피커와 하나의 LCD 자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DMB 제어부(170)는 이동통신단말기(110)가 통화기능 수행 중에 DMB 수신부(160)로부터 수신된 DMB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통화기능이 종료된 후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DMB 제어부(170)는 MSM(110)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통화상태정보를 전달받고 그 통화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수신된 DMB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DMB 제어부(170)의 구성 예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DMB 제어부(17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MB 제어부(170)는 DMB 데이터 해독부(171), DMB 데이터 저장부(173), DMB 데이터 출력부(175) 및 통화상태 감지부(1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화상태 감지부(177)는 MSM(110)으로부터 폰-모듈(A)의 통화기능 수행 여부에 따른 '통화상태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DMB 데이터 해독부(171), DMB 데이터 저장부(173) 및 DMB 데이터 출력부(175)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MSM(110)이 통화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통화상태 감지부(177)는 DMB 데이터 출력부(175)에게 '출력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DMB 데이터의 출력을 중단한다. 또한 DMB 데이터 해독부(171) 및 DMB 데이터 저장부(173)에게 '데이터 저장신호'를 출력하여, DMB 데이터 해독부(171)가 해독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저장부(173)로 전달하고, DMB 데이터 저장부(173)가 그 DMB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MSM(110)이 통화기능을 종료한 것으로 감지되면, 통화상태 감지부(177)는 DMB 데이터 저장부(173) 및 DMB 데이터 출력부(175)로 '출력 개시신호'를 출력하여 DMB 데이터 저장부(173)에 저장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출력부(175)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방송신호 해독부(171)는 DMB 수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DMB 데이터를 해독하여 출력한다. 이 때, DMB 데이터는 영상(video) 데이터와 음향(audio) 데이터를 포함하므로, 방송신호 해독부(171)는 이들을 분리한 후 디먹싱(demuxing) 및 디코딩(decoding) 한다. 그리고 통화상태 감지부(177)의 제어에 의해 그 결과물을 방송신호 출력부(175) 또는 방송신호 저장부(173) 중 하나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 해독부(171)는 DMB 동작 초기에는 해독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출력부(175)로 전달하고, 통화상태감지부(177)로부터 '데이터 저장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해독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저장부(173)로 전달한다. 특히 방송신호 해독 부(171)는 상기 '데이터 저장신호'를 수신한 이후에는 해당 DMB 프로그램이 종료할 때까지 상기 해독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저장부(173)에 저장한다.
DMB 데이터 저장부(173)는 통화상태감지부(177)의 제어에 의해 DMB 데이터 해독부(171)에서 전달된 DMB 데이터의 저장 또는 상기 저장된 DMB 데이터의 출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화상태감지부(177)로부터 '데이터 저장신호'가 전달되면 DMB 데이터 해독부(171)에서 전달된 DMB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통화상태감지부(177)로부터 '출력 개시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저장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출력부(175)로 전달한다. 이 때 DMB 데이터 저장부(173)는 기 저장된 DMB 데이터들의 저장 순서에 의거하여 저장 시간이 오래된 순서대로 DMB 데이터를 추출하여 DMB 데이터 출력부(175)로 전달한다. 또한 DMB 데이터 저장부(173)는 상기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출력부(175)로 전달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해독부(171)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DMB 데이터 출력부(175)는 DMB 데이터 해독부(171) 또는 DMB 데이터 저장부(173)로부터 전달된 DMB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DMB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는 제2 LCD(도 2의 '180')로 전달하고 오디오 데이터는 제2 스피커(도 2의 '190')로 전달한다.
이 때, DMB 데이터 저장부(173)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장형 메모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DMB 데이터 저장부(173)가 외장형 메모리인 경우 DMB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저장부(173)에 저장하기 전에 그 DMB 데이터를 스크 램블링(scrambling)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DMB 모듈(170)은 스크램블링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170)는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저장부(173)에 저장하는 중 메모리 용량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DMB 데이터 저장부의 메모리 용량이 풀(Full)되는 지를 체크한다. 제어부(170)는 DMB 데이터 저장부(173)에 더 이상 방송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게 되면, 상기 DMB 데이터의 저장을 멈추고 제2 LCD 즉, 표시부(180)에 메모리 용량이 초과되었다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상기 메시지 디스플레이와 함께 알람음을 동시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메모리 용량 Full 상태를 알린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MB 출력 중 통화기능 처리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DMB 시청 중(예컨대, DMB 모드 수행 중) 통화 기능이 요청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화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독한 후 그 DMB 데이터를 출력하는 일련의 과정들(S111 및 S113)을 반복 수행하는 중에 통화요청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S117).
상기 통화요청은 이동통신단말기로 호가 수신되거나 사용자가 호를 발신하기 위해 통화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발생된다. 예를 들어 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서 사용자가 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를 발생시킨 발신번호를 DMB 방송 화면에 겹쳐서(overlay) 디스플레이(display)한 후 사용자 옵션(user option)을 두어 상기 통화요청을 무시할 것인지 해당 전화를 받을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 과정(S117)에서 사용자가 DMB 출력 기능을 선택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과정들(S111 및 S113)을 반복 수행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통화 기능을 선택하여 해당 통화가 개시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DMB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하고 통화모드를 수행한다(S119). 이 때, DMB 데이터의 수신 및 해독 과정은 유지한다(S121). 즉 사용자의 통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DMB 데이터의 출력은 중지하지만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적으로 수행되는 실시간 DMB 데이터의 수신 및 해독 과정(S121)은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S121)을 거친 DMB 데이터를 저장한다(S123). 상기 과정들(S121 및 S123)은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
상기 과정(S123)에서 DMB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통화 시간만큼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없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즉, 통화가 종료되었을 때 상기 과정(S121 및 S123)을 거쳐 저장된 DMB 데이터를 이용하여 DMB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과정(S123)에서 저장된 DMB 데이터를 출력한다(S129). 그리고 DMB 모드가 종료되지 않으면 DMB 데이터의 수신 및 해독 과정(S133)과 해독된 DMB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S135) 및 저장된 DMB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S129)을 반복 수행한다.
이 때, DMB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DMB 데이터의 저장 과정 및 출력 과정(S123, S129)에서 DMB 데이터를 스크램블(scramble)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DMB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저장할 경우, 상기 과정(S123)은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기기번호를 DMB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정(S129)은 DMB 데이터를 출력하고자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기기번호와 그 DMB 데이터에 포함된 기기번호를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정당한 이동통신단말기(예컨대, 사전에 DMB 데이터의 이용이 승인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DMB 데이터 이용에 상응한 비용을 지불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등)에서만 상기 DMB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해당 DMB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과정(S117)의 통화 요청은 상기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에게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서 사용자가 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방법에 의해 발생될 수 있지만 그 방법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호 수신 시 통화 요청이 발생된 것으로 보고 바로 통화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DMB 데이터의 수신 개시 이전에, 사용자가 DMB 시청 중 호가 수신될 경우에 대한 처리 정보를 미리 설정하도록 하고, 이동통신단말기는 그 설정정보에 의해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DMB 시청 중에 호가 수신된 경우 '① 그 호를 무시할 것'인지, '② 전화를 받되 전화 통화 중 수신된 DMB 데이터를 녹화할 것'인지, '③ 전화를 받되 전화 통화 중 수신된 DMB 데이터를 녹화하지 않을 것'인지를 DMB 데이터의 수신 개시 이전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도록 하 고, 상기 과정(S117)에서는 그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모드를 결정한다.
상기 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처리정보를'①'로 설정한 경우 상기 과정(S117)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통화를 거부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과정(S111) 이후의 과정들을 수행한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처리정보를'②'로 설정한 경우 상기 과정(S117)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통화를 승인하고 통화 중 수신된 DMB 데이터의 녹화를 요청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과정(S119) 이후의 과정들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처리정보를 '③'으로 선택한 경우 종래의 방법과 같이 DMB 데이터의 수신을 중단하고 전화만 받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화요청은 호 수신 시 뿐만 아니라 호 발신 시에도 발생하는데, 통화 요청은 사용자로부터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입력될 때, 호 발신 시, 또는 호 발신 후 상대방과의 통화가 성립될 때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처리정보를 '②'로 설정한 경우 수신된 DMB 데이터의 녹화를 위한 최대 녹화시간 및 녹화용량 정보를 별도로 설정하도록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 공간을 참조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통화 시간에 비례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될 DMB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게 되는데, 상기 저장될 DMB 데이터의 양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 용량을 초과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DMB 데이터 저장부(173)에 DMB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을 기술하였다. 그런데, DMB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을 2 곳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0)에 구현된 DMB 모듈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DMB 모듈은 통화상태 감지부(200),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 메모리(230) 및 DMB 데이터 출력부(220)를 구비한다.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 DMB 데이터를 해독하여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DMB 데이터는 영상(video) 데이터와 음향(audio) 데이터를 포함하므로,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는 수신 DMB 데이터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를 분리한 후 디먹싱(demuxing) 및 디코딩(decoding)한다.
통화상태감지부(200)는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로부터 출력되는 DMB 데이터를 설정된 출력 지연 기간동안 메모리(230)에 저장한다. 도 5에 도시된 메모리(230)는 통화상태감지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DMB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직렬로 연결된 제1버퍼(232) 및 제2버퍼(234)를 포함하며, DMB 데이터는 설정된 출력 지연 시간 동안 제1버퍼(232)에 저장된다. 출력 지연 기간은 사용자가 DMB를 볼 수 없는 기간 예컨대, 통화 기간이 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에 의해 일정 기간 동안 DMB 출력이 정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DMB 출력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소정 키를 선택함으로써 DMB 보기를 잠시 멈출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소정 기간 동안 통화상태감지부(200)는 메모리(230)의 제1 버퍼(232)에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로부터 출력되는 DMB 데이터를 저장한 다.
이후 통화상태감지부(200)는 DMB 데이터의 출력 요청이 있는 경우 제1 버퍼(232)에 저장한 DMB 데이터를 선입선출(First-in First-out) 방식으로 제2 버퍼(234)로 이동시켜 DMB 데이터 출력부(220)로 출력되도록 한다. DMB 데이터의 출력 요청은 사용자가 통화 종료한 경우에는 통화 종료에 응답하여 발생되며, 사용자에 의한 키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키입력에 응답하여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DMB 출력이 중지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DMB 데이터 출력부(22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피커 및 표시부를 통해 DMB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때, 통화상태감지부(200)는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로부터 출력되는 DMB 데이터를 제1 버퍼(232)에 계속적으로 저장한다. 물론, 제1 버퍼(232)에서 제2 버퍼(234)로의 DMB 데이터의 이동도 계속적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통화상태감지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현재 보고 있는 방송 채널이 전환되거나 또는 현재 방송 채널을 통해 광고 등이 방송되면 제1 버퍼(232)에 DMB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은 당업자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MB 출력 중 통화기능 처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통화상태감지부(200)는 과정 S300 및 S302에서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독한 후 그 DMB 데이터를 출력하는 일련의 과정들(S300 및 S302)을 반복 수행하는 중에 통화 요청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S304). 이 통화 요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로 호가 수신되거나 사용자가 호를 발신하는 경우 발생된다. 즉, 사용자는 착신호에 대하여 응답하거나, 발신함으로써 통화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만약 통화 요청이 발생하면 통화상태감지부(200)는 과정 S306으로 진행하여 DMB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하고 중지된 시점부터의 DMB 데이터를 제1 버퍼(232)에 저장한다. 이와 동시에 통화상태감지부(200)는 과정 S308에서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S310에서 해당 통화가 종료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통화가 종료되었으면 통화상태감지부(200)는 과정 S312로 진행하여 제1 버퍼(232)에 저장된 DMB 데이터를 제2 버퍼(234)로 이동시키고 제2 버퍼(234)로부터 DMB 데이터가 DMB 데이터 출력부(220)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통화상태감지부(200)는 과정 S314에서 제1 버퍼(232)에 DMB 데이터를 계속 저장한다. 그리고 통화상태감지부(200)는 과정 S316에서 DMB 모드가 종료되는 지를 판단하고, DMB 모드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과정 S312로 되돌아가 과정 S312 및 S314를 계속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0)에 구현된 DMB 모듈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DMB 모듈은 통화상태감지부(200),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 메모리(240) 및 DMB 데이터 출력부(220)를 구비한다.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 DMB 데이터를 해독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통화상태감지부(200)는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 부(210)로부터 출력되는 DMB 데이터를 설정된 출력 지연 기간동안 메모리(240)에 저장한다. 도 7에 도시된 메모리(240)는 통화상태감지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DMB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병렬로 배치된 제1버퍼(242) 및 제2버퍼(244)를 포함하며, DMB 데이터는 설정된 출력 지연 시간 동안 제1버퍼(244)에 저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 지연 기간은 사용자가 DMB를 볼 수 없는 기간 예컨대, 통화 기간이 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에 의해 일정 기간 동안 DMB 출력이 정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DMB 출력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소정 키를 선택함으로써 DMB 보기를 잠시 멈출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소정 기간 동안 통화상태감지부(200)는 메모리(240)의 제1 버퍼(242)에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로부터 출력되는 DMB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후 통화상태감지부(200)는 DMB 데이터의 출력 요청이 있는 경우 즉, DMB 재생 요청시, 제1 버퍼(234)에 저장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출력부(220)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러면 DMB 데이터 출력부(220)는 자신과 연결된 스피커와 표시부(도시 생략)를 통해 DMB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1 버퍼(242)에 저장된 DMB 데이터가 DMB 데이터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될 때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로부터 출력되는 DMB 데이터는 제2 버퍼(244)에 저장된다. 즉, 통화상태감지부(200)는 DMB 재생 요청시, 제1 버퍼(234)에 저장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출력부(22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로부터 출력되는 DMB 데이터를 제2 버퍼(244)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통화상태감지부(200)는 제1버퍼(442)에 저장된 DMB 데이터가 모두 출 력되면 제2 버퍼(244)에 저장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출력부(220)로 출력한다. 이 경우 통화상태감지부(200)는 제2버퍼(244)에 저장된 DMB 데이터가 출력될 때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로부터 출력되는 DMB 데이터를 제1 버퍼(242)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MB 출력 중 통화기능 처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화상태감지부(200)는 과정 S400 및 S402에서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독한 후 그 DMB 데이터를 출력하는 일련의 과정들(S400 및 S402)을 반복 수행하는 중에 통화 요청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S404). 만약 통화 요청이 발생하면 통화상태감지부(200)는 과정 S406으로 진행하여 DMB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하고 중지된 시점부터의 DMB 데이터를 제1 버퍼(242)에 저장한다. 이와 동시에 통화상태감지부(200)는 과정 S408에서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S410에서 해당 통화가 종료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통화가 종료되었으면 통화상태감지부(200)는 과정 S412로 진행하여 제1 버퍼(242)에 저장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출력부(220)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통화상태감지부(200)는 제2 버퍼(244)에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로부터 출력되는 DMB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어서 통화상태감지부(200)는 과정 S414로 진행하여 제1 버퍼에 저장된 DMB 데이터가 모두 출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제1 버퍼에 저장된 DMB 데이터가 DMB 데이터 출력부(220)로 모두 출력되었으면 통화상태감지부(200)는 단계 S416에서 제2 버퍼(244)에 저장된 DMB 데이터 를 DMB 데이터 출력부(220)로 출력하고 제1 버퍼(242)에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로부터 출력되는 DMB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런 다음, 통화상태감지부(200)는 과정 S418로 진행하여 제2 버퍼(244)에 저장된 DMB 데이터가 모두 출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제2 버퍼(244)에 저장된 DMB 데이터가 DMB 데이터 출력부(220)로 모두 출력되었으면 통화상태감지부(200)는 단계 S412로 되돌아가 제1 버퍼(242)에 저장된 DMB 데이터를 DMB 데이터 출력부(220)로 출력하고 제2 버퍼(244)에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로부터 출력되는 DMB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메모리(240)의 제1 버퍼(242)와 제2 버퍼(244)는 번갈아 DMB 데이터 수신 및 해독부(210)로부터 출력되는 DMB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중 DMB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DMB 서비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예컨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DAR(Digital Audio Radio), DRB(Digital Radio Broadcasting) 및 DSB(Digital Sound Broadcasting) 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DMB 시청 중 사용자가 통화기능을 수행할 경우 상기 통화기능 개시 이후에 수신된 DMB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통화가 종료된 시점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통화로 인한 DMB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DMB 시청 중 전화통화를 했을 때 통화로 인해 미처 보지 못한 부분을 저장해 놓았다가 못 본 부분부터 다시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병렬로 배치된 제1 버퍼 및 제2 버퍼를 구비하며,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제1 버퍼 또는 제2 버퍼에 저장 및 출력하는 저장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정지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상기 제1 버퍼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버퍼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상기 제2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버퍼에 저장된 모든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면 상기 제2 버퍼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상기 제1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버퍼에 저장된 모든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면 상기 제1 버퍼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통화상태 감지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요청에 대한 처리 정보를 미리 설정하는 과정과,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설정된 디지털 방송 출력 중 통화요청에 대한 처리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요청에 대한 처리 정보가 통화 중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녹화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출력을 중지 및 통화모드를 수행하고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에 대한 처리 정보 설정 중 통화 중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녹화하도록 설정 시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녹화를 위한 최대 녹화시간 및 녹화용량 정보를 별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에 대한 처리 정보가 통화기능을 무시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계속하여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은 호 수신, 호 발신, 호 발신 후 통화성립 중 하나의 이벤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방법.
KR1020060088505A 2006-09-13 2006-09-13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78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505A KR100678025B1 (ko) 2006-09-13 2006-09-13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505A KR100678025B1 (ko) 2006-09-13 2006-09-13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518A Division KR100651380B1 (ko) 2004-06-08 2005-06-03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452A KR20060101452A (ko) 2006-09-25
KR100678025B1 true KR100678025B1 (ko) 2007-02-02

Family

ID=3763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505A KR100678025B1 (ko) 2006-09-13 2006-09-13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616B1 (ko) * 2007-04-05 2014-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출력 제어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452A (ko) 200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5509B2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受信用移動端末における音声通話時のオーディオ信号を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KR100744380B1 (ko)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JP4402677B2 (ja) 通信装置
KR100539884B1 (ko)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수신된 문자메시지를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방법
KR100651380B1 (ko)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US20080129888A1 (en) Television device with telephone function, and television system including such television device
KR100703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90013373A1 (en) Televisio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Receiving Television Broadcast
JP2004193944A (ja) 携帯通信装置及び携帯通信装置によるテレビ放送の記録/再生方法
KR100678025B1 (ko)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통화기능을 처리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40374B1 (ko)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
EP160567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function during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utput
JP3781744B2 (ja) 無線通信端末装置の音声出力方法、無線通信端末装置
KR10075464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전송 방법
KR200411644Y1 (ko) Dmb 수신기를 구비한 일반전화기
KR10063022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티브이 시청 방법
KR100325249B1 (ko) 차량용 티브이폰 시스템 및 티브이 방송 신호 출력방법
KR100330850B1 (ko) 티브이시청중에 폴더를 닫을 시 티브 음성신호를 청취하는티브이폰 및 그 방법
KR10077199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KR100330851B1 (ko) 티브이시청중에 통화하는 티브이폰 및 그 방법
KR20000013262A (ko) 자동 다이얼링을 위한 송수신 장치
KR100812329B1 (ko)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20028437A (ko) 화상전화기의 영상표시 텔레비젼 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KR100823209B1 (ko) 대체영상 전송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대체영상 전송 방법
KR0166874B1 (ko) 무선전화기능을 내장한 위성방송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