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710B1 -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 및 저장실내의곡물층간 함수율 편차를 줄이기 위한 곡물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 및 저장실내의곡물층간 함수율 편차를 줄이기 위한 곡물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710B1
KR100705710B1 KR1020060078588A KR20060078588A KR100705710B1 KR 100705710 B1 KR100705710 B1 KR 100705710B1 KR 1020060078588 A KR1020060078588 A KR 1020060078588A KR 20060078588 A KR20060078588 A KR 20060078588A KR 100705710 B1 KR100705710 B1 KR 100705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far
grains
radiato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만
장병래
곽동렬
안정일
황종구
Original Assignee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filed Critical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Priority to KR1020060078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710B1/ko
Priority to JP2007214191A priority patent/JP2008051491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2Preserving by heating
    • A23B9/04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2Preserving by heating
    • A23B9/025Preserving by heating with use of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원적외선을 이용한 최소 20ton급 이상의 초대형 순환식 곡물건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건조실에 적어도 4개 이상의 중앙송풍실을 구비하여 원적외선이 방사되면서 열풍이 배출되도록 하는 원적외선 방사체를 내장하고, 건조기 외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열교환기에서 열풍을 균일하게 분배하여 각각의 원적외선 방사체에 공급되도록 하며, 원적외선 방사체는 상하부측보다는 측면방향으로 많은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상하로 길쭉한 다이아몬드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셔터드럼의 구동을 개별작동시키면서 정해진 프로세서의 패턴에 의해 각각의 셔터드럼을 구동시킴으로서, 초대형 건조기내에서 순환되는 곡물들의 상하층간 함수율 편차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 및 저장실내의 곡물층간 함수율 편차를 줄이기 위한 곡물 건조방법{Tower Circulating Far-Infrared Grain Dryer and Method of Grain Drying for induction of Grain moisture Content Declination}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체가 장착된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적외선 방사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 건조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 건조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요부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원적외선 방사체 및 열풍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셔터드럼의 작동구조를 보인 개략도면이고,
도 11은 셔터드럼의 제어에 의해 저장실내의 곡물이 하부로 배출되는 모습을 일시적으로 보인 개략도면이며,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 건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 건조기 110 : 투입문
112 : 이송장치 113 : 승강기
114 : 상부이송장치 115 : 포장라인
116 : 균분기 117 : 저장실
118 : 건조실 120 : 중앙송풍실
121 : 곡물이동통로 122 : 배풍실
123 : 송풍기 130 : 원적외선 방사체
132, 134 : 방사체 137 : 배기공
138 : 세라믹 도료 150 : 열풍공급부
151 : 버너 152 : 열교환기
155 : 연소로갓 160 : 열풍공급로
162 : 연소로통 161 : 제1연장부
163 : 제2연장부 164 : 분배통
165 : 반사판 170 : 집진수단
171 : 배출관 172 : 회오리발생부
173 : 걸림판 174 : 집진관
180 : 셔터드럼 182 : 구동모터
185 : 체인
본 발명은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적외선에 의한 건조방식을 채택한 초대형 순환식 곡물건조기 및 이 건조기내의 곡물층간 함수율 편차를 줄일 수 있는 곡물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 반드시 건조가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산지에서 수확한 곡물류는 통상 20~30%의 고함수율이기 때문에 쉽게 변질되거나 부패되어 곡물의 품질저하와 양적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곡물류는 수확직후 안전한 저장과 운송 및 식미의 보존을 위해서 약 15%의 수분 함유량을 갖도록 건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예전에는 순환식 곡물건조기가 널리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벼나 보리 등의 곡물에 건조열풍을 강제로 순환시킴으로써 벼나 보리의 함수율을 일정수준까지 건조시켜 주는 장치이다.
그러나 전술한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흡입되는 공기를 버너로 가열하고, 그 가열된 공기가 곡물층을 통과하며 곡물을 건조하기 때문에, 많은 열이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소실되어 에너지 효율이 낮고 연료소비량이 많으며, 건조속도를 유지하 기 위하여 건조열풍의 온도를 높게 설정함으로서 고온 건조로 인한 곡물의 식미가 저하되고 동할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건조효율을 높이면서 고품질의 곡물을 얻기 위해 원적외선을 이용한 곡물건조기가 주류를 이루는 추세이다.
원적외선 방사체를 이용한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일예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등록실용신안 제 261058호(원적외선 방사체가 장착된 순환식 곡물건조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체가 장착된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곡물 투입문(12)을 통해서 투입된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하부 이송장치(14), 승강기(16), 상부 이송장치(18) 및 균분기(20),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22) 및 열풍에 의해 곡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24)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실(24)내에는 중앙 배풍실(26), 곡물층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 타공망(28), 사각 타공망(30)과 좌, 우 타공망(32) 및 수분이 제거된 곡물을 하부로 이송시키는 셔터드럼(34)을 가지는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24)의 내부에는 원적외선 방사체(50)가 배치되며, 상기 원적외선 방사체(50)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앙 배풍실(26)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외주면 상에는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세라믹 도료(53)가 도포되며 일단에는 버너(56)가 부착된 연소로(52)를 구비하고, 상기 연소로(52)의 타단에는 외주면 상에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세라믹 도료(68)가 도포되어 상기 연소로(52)의 상측으로 만곡되어 상기 연소로(52)의 상부를 지나 상기 중앙 배풍실(26)의 일단까지 연장되는 배기파이프(60) 및 상기 버너(56) 맞은편에 배치되어 건조열풍을 강제 배출하는 송풍기(66)가 상기 중앙 배풍실(26)의 타단에 부착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원적외선 방사체가 장착된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중소형 건조기로 제작되어 고품질의 곡물을 얻는데 일조를 하였다.
그러나 산업이 발달되면서 곡물건조기의 규모가 대형으로 바뀌게 되고, 이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체의 구조가 변화하게 이르렀다.
이처럼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규모가 대형 및 초대형으로 변화하는 추세로, 중소형이나 초대형에 이르기까지 규정된 건조기의 조건에 부합되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
먼저, 건조기의 조건은 정해진 시간내에 즉 0.8~1.0%의 건감율로 약 15%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시켜야 된다. 이는 너무 빠른시간에 곡물이 건조되면, 급격한 탈수현상으로 인해 곡물이 부서지는 결과가 발생되고, 반대로 너무 늦은 시간동안 곡물이 건조되면 제한된 수확기간내에 기계가동으로 건조기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적외선 건조방식으로 건조성능을 시간당 0.8~1.0%의 건감율을 갖는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개발하고자 연구 개발하였다.
상기 조건에 부합되는 초대형 건조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버너의 연료소비량이 기존에 비해 상당한 수준으로 높아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의 버너의 연료소비량을 상기 건조성능에 부합되도록 고려해 본 결과 4.0G/H의 성능을 갖는 버너 2대가 적당하다고 결론되었다.
이와 같이 4.0G/H의 성능을 갖는 버너는 그 규모가 커지기 때문에 기존처럼 중앙 배풍실 내에 설치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버너 및 열교환기를 건조기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하여 열풍공급관으로 연결하여 중앙 배풍실내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하나 또는 두개의 중앙배풍실이 형성되면서 그 양옆으로 건조될 곡물층이 하강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네 개의 중앙송풍실을 형성하면서 그 양옆으로 총 8개의 곡물 건조층을 형성하고, 두 대의 버너 및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각각의 열교환기에서 두갈래의 열풍을 분배시켜 각각의 중앙송풍실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개발에서 문제로 대두되었던 것은, 하나의 열교환기에서 열풍을 두갈래로 분배하여 각각의 중앙송풍실로 공급하는 것이었다.
즉, 분배되는 열풍을 서로가 균일한 온도로 공급되어야 하는데, 시험 결과 분배되는 열풍의 유입량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기가 힘들게 되었다.
물론, 건조능력에 합당한 열풍을 공급하여 정해진 시간내에 곡물을 건조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정부시책에 부합되도록 하기는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정부고시에 따르면, 곡물건조기내로 투입된 후, 실질적으로 곡물에 가해지는 열풍의 온도를 평균 55~60℃를 유지하도록 고시되어 있는데, 개발단계에서의 본 발명 건조기는 열교환기에서 열풍이 두갈래의 열풍공급관으로 랜덤(random)하게 배출됨으로 인해 정부고시인 평균온도 55~60℃를 항상 유지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앙송풍실의 형상은 양옆으로 곡물들이 하강하도록 상하로 길쭉한 다이아몬드형태로 설계되는데, 기존의 원적외선 방사체는 단순한 원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원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조사되는 원적외선이 상부와 하부 및 양옆으로 균일하게 조사되므로, 상부와 하부에 불필요한 원적외선이 조사되는가 하면 더 많이 조사되어야 하는 측면으로는 실질적으로 많은 양의 원적외선이 조사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수반되었다.
한편,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상부에서 투입되는 곡물을 중앙배풍실의 양옆에서 건조시키면서 하강시키고, 다시 끌어올려 건조시키는 반복 순환식 건조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순환식 곡물건조기가 초대형으로 변경되면서 순환되는 곡물들의 상하층간 함수율의 편차가 줄어들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산지에서 수확되는 곡물들은 각 수확지마다 각기 다른 함수율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A농가에서 수확한 곡물은 함수율이 35%를 가지며, B농가에서 수확한 곡물은 20%의 함수율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산지에서 수확된 곡물들을 농가별로 초대형 곡물건조기에 투입시켜 건조시키게 된다.
이처럼 투입되는 곡물들은 건조기내에서 최하층에 함수율 35%의 A농가 곡물이 저장되고, 그 상층에 20%함수율의 B농가 곡물이 저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곡물을 건조시키게 되면, 먼저, A농가의 곡물이 중앙배풍실 옆의 곡물층을 통과하면서 0.8~1.0%의 건감율을 보이면서 건조되어 셔터드럼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고 다시 상부로 이송되어 다시 저장실로 투입된다.
이때, 셔터드럼을 통과한 곡물들은 수분센서에 의해 체크되면서 적정한 함수율인 15%가 체크되면 내부의 곡물들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센서에 의해 체크된 곡물은 최초의 함수율이 낮은 B농가의 곡물로 인한 것으로, 막상 A농가의 곡물은 함수율이 20%이상이 되기 때문에 제대로 건조된 곡물이라고 볼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는 소형이나 중형에서는 쉽게 찾아 볼 수 없던 문제점으로, 중소형 건조기에서는 건조성능이 수ton 미만이기 때문에 대부분 한 농가에서 수확한 곡물을 건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형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하나의 셔터드럼으로 곡물들이 배출되는 시스템이고, 중형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두개 이상의 셔터드럼으로 곡물들이 배출되는 시스템이다.
여기에서 두개 이상의 셔터드럼을 갖는 중형 이상의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건조기의 제작 단가를 낮추기 위해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두개의 셔터드럼을 구동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두개 이상의 셔터드럼이 동일하게 회전되며, 이에 따라 배출되는 곡물들도 같은 층의 곡물들만이 배출되면서 순환되어 상하층간의 곡물들의 함수율 편차가 줄어들지 않게 되는 것이다.
물론 순환되는 곡물들은 건조기의 상부에 구비된 균분기에 의해 넓게 퍼지면서 투입되지만, 이러한 작용은 좌우층간의 함수율 편차를 평균화시키는 작업에 불과할 뿐 상하층간의 함수율 편차를 평균화시키는데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실정 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곡물들의 상하층간의 함수율 편차를 줄이기 위한 셔터드럼의 구조개선과 이들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개발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교환기에서 분배되는 열풍의 양을 균일하게 하여 평균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중앙송풍실내에 구비되는 원적외선 방사체를 양측면으로 많이 조사되도록 형성시킨 원적외선을 이용한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내에서 순환되는 곡물들의 상하층간 함수율 편차를 줄이기 위해 셔터드럼의 구동을 개별작동시키면서 정해진 프로세서에 의해 작동시키는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구조개선 및 곡물 건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곡물이 투입되는 저장실과, 저장실내의 곡물을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건조시키는 건조수단과, 1차건조된 곡물을 다시 저장실로 끌어올려 재건조시키는 통상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건조수단은;
일측이 개방되면서 사방면이 타공망으로 형성된 적어도 4개 이상의 중앙송풍실과, 각각의 중앙송풍실의 양옆에 사방면이 타공망으로 형성되면서 저장실내의 곡물이 하부로 통과되는 곡물이동통로와, 곡물이동통로의 외측에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배풍실과, 배풍실의 개방된 타측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중앙송풍실에 내장되어 양옆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면서 열풍을 배출시키는 원적외선 방사체와, 원적외선 방사체 중 두개당 하나씩으로 외부에 구비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버너 및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제공한다.
이때, 송풍기에는 건조열풍속의 먼지나 곡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걸러서 배출시키는 집진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체는 중앙송풍실의 개방된 입구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방사체와, 제1방사체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만곡되게 굴곡되는 "ㄷ"자형상의 방열판과, 방열판의 타단에서 다시 제1방사체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방사체와, 제2방사체의 일단에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지며, 제1방사체 및 제2방사체는 상하로 길쭉한 다이아몬드 형상을 가지면서 표면에 세라믹 도료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교환기는 그 하부에 버너가 장착되는 화구목이 형성되고, 상부면상에는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방사항 좁아지는 연소로갓이 형성되며, 연소로갓에는 상 측으로 연장되는 연소로통이 장착되고, 연소로통의 상단에는 연소열을 양옆으로 균일하게 분배시키는 분배통이 장착되며, 각각의 분배통이 원적외선 방사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연소로통의 하단에는 열교환기속으로 더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형성되고, 연소로통의 상단에는 분배통으로 더 연장되는 제2연장부가 형성되며, 연소로통의 상단과 맞닿는 분배통의 내측 상부면상에는 갓형상을 갖는 반사판이 형성되어 공급되는 열풍을 균일하게 양쪽으로 분배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다수의 산지에서 수확된 각기 함수율이 다른 곡물들이 투입되는 저장실과, 저장실내의 곡물을 끌어내리면서 건조시키는 건조실과, 건조실내의 곡물을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 및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는 셔터드럼과, 1차건조된 곡물을 다시 저장실로 끌어올려 재건조시키는 통상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일측의 셔터드럼을 단독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1구동모터와, 타측의 셔터드럼을 단독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2구동모터와, 저장실밖에 설치된 수분센서와, 수분센서의 편차가 5%이상일때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의 동작주기를 각각 변경하면서 회전시키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제공한다.
또는, 본 발명은,
다수의 산지에서 수확된 각기 함수율이 다른 곡물들을 건조기의 저장실에 투 입하는 단계(S1); 저장실내의 최하층 곡물부터 건조기의 일측 및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된 셔터드럼에 의해 동시에 끌어내리면서 1차 건조시키는 단계(S2); 1차 건조된 곡물을 다시 저장실로 끌어올려 순환시키는 단계(S3); 단계(S3)에서 건조된 곡물의 수분을 체크하여 원하는 함수율이 얻어질때, 배출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하는 통상의 순환식 곡물 건조 방법에 있어서,
저장실내에 있는 곡물들의 상하층간 함수율을 프로세서에 의해 체크하는 단계(S5);
단계(S5)에서 각 층간 함수율 편차가 5%이상일때 일측의 셔터드럼이나 또는, 타측의 셔터드럼을 프로세서에 의해 랜덤하게 구동시키는 단계(S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곡물 건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단계(S6)에서 프로그램에 의한 정해진 패턴에 의해 각각의 셔터드럼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패턴은;
ⅰ) 일측의 셔터드럼이 저속으로 구동,
ⅱ) 타측의 셔터드럼이 고속으로 구동,
ⅲ) 양측의 셔터드럼 동작주기를 반대로 구동,
3가지의 구동을 일정시간동안 순차적으로 반복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나타낸 측면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요부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이용한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100)의 기본 구성은 곡물 투입호퍼를 통해서 투입된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112), 승강기(113), 상부이송장치(114) 및 균분기(116),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초대형 저장실(117), 저장실(117)내의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118) 및 건조열풍 및 원적외선에 의해 곡물을 건조하기 위한 초대형 건조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초대형 저장실(117)은 최소 20ton이상의 곡물을 저장시킬 수 있는 곡물 저장장소이다.
상기 초대형 건조수단은 저장실(118)내에 최소 4개 이상의 중앙송풍실(120)과, 각각의 중앙송풍실(12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곡물이동통로(121)와, 곡물이동통로(121)의 외측에 형성되는 배풍실(122)과, 원적외선 방사체(130), 외부열풍공급부(150) 및 송풍기(123)를 포함한다.
이때, 건조기(100)의 용량에 따라 저장실(117)의 크기가 20~30ton일 경우에는 중앙송풍실(120)이 4개가 형성되고, 저장실(117)의 크기가 30~40ton일 경우에는 중앙송풍실(120)이 8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저장실(117)의 크기가 40ton 이상일 경우에는 중앙송풍실(120)을 8개 이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각각의 중앙송풍실(120)은 저장실(117)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밀폐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중앙송풍실(120)은 상하로 길쭉한 다이아몬드 형상를 갖는 것으로, 사방의 벽이 타공망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중앙송풍실(120)의 양측면에 저장실(117)과 연통되는 곡물이동통로(121)가 형성된다.
곡물이동통로(121)는 중앙송풍실(120)과 마찬가지로 사방면이 타공망으로 형성된다. 이때, 중앙송풍실(120)과 겹쳐지는 사이의 타공망은 하나로 사용되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중앙송풍실(120)의 반대편인 곡물이동통로(121)의 외측에는 배풍실(122)이 형성된다. 즉, 중앙송풍실(120)로 공급된 열풍이 곡물이동통로(121)내의 곡물을 건조시키면서 통과하여 배풍실(122)로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배풍실(122)은 일측이 밀폐되고, 타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곡물이동통로(121)를 통과한 건조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배풍실(122)의 개방된 타측에는 곡물이동통로(121)의 외측으로 각각 형성된 두 군데의 배풍실(122)의 건조열풍들을 모아 송풍기(123)에 의해 배출시킨다.
이때, 송풍기(123)에 의해 배출되는 건조열풍속에는 먼지나 곡물찌꺼기 등 비산되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그냥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면 대기가 오염되는 폐단이 발생된다.
따라서 송풍기(123)의 외부에는 비산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집진수단(17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집진수단(170)은 하기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중앙송풍실(120)에 원적외선 방사체(130)가 내장된다.
도 8 및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원적외선 방사체 및 열풍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원적외선 방사체(130)는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을 갖는 것으로, 외부열풍공급부(150)에서 공급되는 열풍으로 가열되면서 곡물이동통로(121)측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함과 함께 공급된 열풍을 다시 배출하면서 마찬가지로 열풍이 곡물이동통로(121)를 통과하여 배풍되도록 함으로써, 곡물들을 건조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원적외선 방사체(130)는 내부가 중공되면서 상하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방사체(132) 및 제2방사체(134)와, 제1방사체(132) 및 제2방사체(134)의 타측을 연결하는 "U"자형상의 방열판(135)과, 제2방사체(134)의 일측에 다수의 배기공(137)이 형성된 커버(136)로 이루어지며, 제1방사체(132) 및 제2방사체(134)의 표면에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세라믹 도료(138)가 도포된다.
이때, 제1방사체(132) 및 제2방사체(134)는 중앙송풍실(120)의 개방된 일측에서부터 밀폐된 타측까지 길게 연장된다. 그리고 제1방사체(132)의 일측에는 결합용 플랜지(131)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방사체(132) 및 제2방사체(134)는 중앙송풍실(120)의 형상과 비슷하게 상하로 길쭉한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하부보다는 측면측으로 많은 원적외선이 조사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방열판(135)은 제1방사체(132)의 타측에서 제2방사체(134)의 타측으로 만곡되게 구부러져 제1방사체(132)로 유입된 열풍을 제2방사체(134)로 순회시켜주 는 곳으로, 만약 방열판(재질:STS 430)(135)을 설치하지 않고 일반 "ㄷ" 자형 관을 사용하게 되면 "ㄷ"관 뒷부분에 열원이 일부 정체되는 현상으로 국부 과열현상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열풍공급부(150)는 버너(151), 열교환기(152) 및 열풍공급로(160)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이때, 열풍공급부(150)는 2개의 중앙송풍실(120)당 하나로 구비된다. 즉, 하나의 열풍공급부(150)에 의해 두개의 원적외선 방사체(130)가 동시에 사용되는 것이다.
먼저, 버너(151)는 열교환기(152)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료로는 등유가 사용된다.
열교환기(152)는 내부가 밀폐된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열교환기(152)의 하부측에 버너(151)가 장착되는 화구목(153)이 형성된다. 그리고 열교환기(152)의 상부면상에는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방사상 좁아지게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연소로갓(155)이 형성된다. 이때, 연소로갓(155)에는 버너(151)의 점화시 안정적인 착화를 위한 다수의 관통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열풍공급로(160)는 열교환기(152)에서 원적외선 방사체(130)로 열풍을 공급해주기 위한 연결통로로서, 하나의 입구와 두개의 출구를 가지며, 하나의 입구로 공급되는 열풍을 균일하게 분배하여 두개의 출구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열풍공급로(160)는 "T"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연소로갓(155)에 장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소로통(162)과, 연소로통(162)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갈라지는 분배통(16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소로통(162)의 하단부 및 상단부는 열풍의 균일한 분배를 위해 상하방향으로 더 돌출형성된다. 즉, 연소로통(162)의 하단부에는 연소로갓(155)의 상단에서부터 그 하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제1연장부(161)가 형성되고, 연소로통(162)의 상단부에는 연결된 분배통(164)의 하단부에서부터 그 상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제2연장부(163)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1연장부(161)는 200~250mm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는 연구 및 실험결과 제1연장부(161)의 길이가 200mm 미만으로 형성시키면, 충분한 와류가 발생되지 않아 열풍량이 분배통(164)에서 균일하게 분배되지 않게 되고, 제1연장부(161)의 길이가 250mm를 초과하게 되면, 너무 많은 와류가 발생되어 또한, 균일하게 분배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때, 제1연장부(161)의 길이와 연소로갓(165)의 높이를 일치시키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연소로통(162)으로 들어가는 열풍은 테이퍼진 연소로갓(155)과 돌출된 제1연장부(161)에 의해서 활발한 와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제1연장부(161)를 연소로갓(155)의 하단보다 더 높게 형성시키면, 와류가 활발히 발생되지 않게 되고, 제1연장부(161)를 연소로갓(155)의 하단보다 더 낮게 형성시키면, 발생된 와류가 연소로통(162)으로 원활히 빨려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제2연장부(163)는 15~30mm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는 제2연장부(163)의 길이를 15mm 미만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열풍이 좌우로 잘 분배되지 않게 되고, 30mm를 초과하여 형성시키면, 연소로통(162)을 통과하던 열풍이 분배통(164)의 상단부와 너무 밀접하게 되어 역배출 및 국부적 과열현상이 발생될 수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2연장부(163)의 상측에는 보다 확실한 열분배를 위해 갓 형상을 갖는 반사판(165)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열풍공급로(160)의 분배통(164)의 양단부에는 원적외선 방사체(130)의 플랜지(131)와 결합되기 위한 대응되는 한짝의 플랜지(167)가 일체로 형성된다.
하기에는, 위에서 설명하다 중단한 집진수단(170)에 대해 설명한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집진수단(170)은 상측으로 길게 연장된 연통형상을 갖는 배출관(171)과, 배출관(171)의 하단부 입구측에 형성되는 회오리발생날개(172)와, 배출관(171)의 상단부 출구측에 형성되는 걸림판(173)과, 걸림판(173)의 측면에 형성되는 집진관(174)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회오리발생날개(172)는 말 그대로 송풍기(123)에서 배출되는 건조열풍을 통과시키면서 회오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회오리발생날개(172)는 프로펠러 형상을 갖는 것으로, 쉽게 설명하면 선풍기에서 바람을 일으키는 회전날개와 유사한 형상이다. 이러한 회오리발생날개(172)가 배출관(171)의 입구 내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회오리발생날개(172)를 통과하는 열풍은 통과후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건조열풍내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들은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 즉, 배출관(171)의 내벽에 붙어서 상측으로 돌면서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배출관(171)의 상부 출구측에 형성된 걸림판(173)은 배출관(17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것으로, 전술한 열교환기(152)내의 제1연장부(161)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회오리처럼 상승하던 건조열풍 중 바깥쪽의 이물질들은 이 걸림판(173)에 걸리게 된다.
또한, 집진관(174)은 걸림판(173)의 어느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판(173)에서 걸린 이물질들이 배출관(171)의 내벽을 타고 맴돌다가 집진관(174)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집진관(174)은 배출관(171)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유인즉은, 배출관(171)과 걸림판(173)의 사이에 걸린 이물질들은 하부에서부터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계속해서 빙글빙글 돌게 되는데 이 회전방향으로 계속해서 돌면서 집진관(174)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집진관(174)을 접선방향으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집진관(174)으로 배출되는 이물질들은 일부의 건조열풍과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집진관(174)의 끝부분에는 이물질만을 걸러내기 위해 걸름망(도시되지 않음)같은 것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기에는, 저장실(117)내의 상하 곡물층간 함수율의 편차를 평균화시키기 위한 셔터드럼(180)의 구조 및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셔터드럼의 작동구조를 보인 개략도면이고, 도 11은 셔터드럼의 제어에 의해 저장실내의 곡물이 하부로 배출되는 모습을 일시적으로 보인 개략도면이며,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셔터드럼(180)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송풍실(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곡물이동통로(121)를 통과하는 곡물들을 그 하부의 이송장치(112)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셔터드럼(180)은 중앙송풍실(120)의 개수만큼 형성되므로 좌우 대칭으로 최소 두개 이상이 설치된다. 이때, 각 셔터드럼(180)의 일단에는 스프로켓(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된다.
이때, 각각의 스프로켓은 구동모터(182)와 연결되는데, 구동모터(182)는 양쪽으로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의 구동모터(182)에는 셔터드럼(180)과 마찬가지로 스프로켓(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어 셔터드럼(180)의 스프로켓(181)과 체인(183)결합된다.
만약, 셔터드럼(180)이 네 개가 형성될 때에는 하나의 제1구동모터(182a)와 제1구동모터(182a)에 인접한 제1셔터드럼(180a)이 체인(183a)으로 연결되면서 다시 제1셔터드럼(180a)과 제2셔터드럼(180b)이 체인(184a)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제2구동모터(182b)와 제2구동모터(182b)에 인접한 제4셔터드럼(180d)이 체인(183b)으로 연결되면서 제4셔터드럼(180d)과 제3셔터드럼(180c)이 체인(184b)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182a)와 제2구동모터(180b)의 작동을 달리하게 되면, 저장실(117)내의 상부층 및 하부층간 곡물들을 서로 섞어 줄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층간 곡물들을 서로 섞어주기 위한 제어방법은 정해진 패턴에 의한 프로세서의 프로그램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저장실(117)을 통과한 곡물들의 함수율을 체크하기 위한 수분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즉, 각각의 수분센서에서 얻어진 함수율을 대비하여 함수율의 편차가 클 경우에는 편차의 폭에 따른 정해진 여러 가지의 패턴 중 하나가 실행되면서 제1구동모터(182a)가 저속으로 구동되고 제2구동모터(182b)는 고속으로 구동되며 일정시간 경과후, 1구동모터(182a)는 고속으로 구동되고 제2구동모터(182b)는 저속으로 구동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층간 함수율의 편차가 최소 5%이상일때, 패턴이 작동된다.
이처럼 제1구동모터(182a), 제2구동모터(182b)가 다른 속도로 작동되게 되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실(117)내의 곡물들은 사선방향으로 배출되면서 한번 내지 두 번의 순환을 거치면서 층별 함수율의 편차가 줄어들게 된다.
여기에서, 프로세서에 입력되는 패턴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가 다른속도로 반복해서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구동되는 패턴은,
1번 패턴 : 제1구동모터 조출속도 2.0회/분으로 1시간 구동, 제2구동모터 조출속도 4.0회/분으로 1시간 구동 ==> 제1구동모터 조출속도 4.0회/분으로 1시간 구동, 제2구동모터 조출속도 2.0회/분으로 1시간 구동 ==> 제1 및 제2구동모터 동시회전.
위와 같은 패턴은 제1구동모터나, 제2구동모터나, 또는 제1 및 제2구동모터 중 어떤 것을 우선으로 하면서 다음 순번이나 그 다음 순번 등의 작동순서에서 나올 수 있는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미리 입력해 놓아 층간 함수율의 편차에 따라 패턴의 종류를 선택하여 제어 할 수 있다.
하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이용한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100)의 전체적인 흐름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도 12를 참고하면, 먼저, 다수의 산지에서 수확된 각기 함수율이 다른 곡물들을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한다.
투입구(110)로 투입된 곡물들은 이송장치(112)를 거쳐 승강기(113)를 타고 건조기(100) 상부로 올라가고 다시 상부이송장치(114)에 의해 건조기(100)의 상부 중앙으로 이동된다.
상부이송장치(114)에 의해 이송된 곡물들은 저장실(117)내로 낙하되는데, 이때, 균분기(116)에 의해 사방으로 펼쳐지면서 좌우가 뒤섞이도록 낙하된다.
저장실(117)내에 쌓인 곡물들은 저장실(117) 하부에 형성된 곡물이동통로(121)로 진입되고, 곡물이동통로(121)를 통과하면서 원적외선 및 열풍에 의해 시간당 0.8~1.0%씩 건감율을 보이면서 건조된다.
곡물이동통로(121)를 통과한 곡물들은 각각의 셔터드럼(180)에 의해 하부로 떨어진다.
이때, 셔터드럼(180)은 관형상을 갖는 것으로, 어느 일측에는 셔터드럼(18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셔터드럼(180)이 회전되면서 절개홈과 맞닿는 곡물이동통로(121)의 곡물들을 선택적으로 받아서 하부로 떨어뜨려주는 것이다.
셔터드럼(180)에 의해 하부로 떨어진 곡물들은 이송장치(112)에 의해 다시 승강기(113)측으로 이동되면서 승강기(113)를 타고 건조기(100)상부로 올라가 순환된다.
여기에서, 건조곡물들이 승강기(113)를 타고 올라가면서 현재의 함수율을 체크하게 되는데, 건조곡물들이 적당한 함수율을 갖게 되면, 승강기(113)를 타고 올라간 후, 상부이송장치(114)로 이동되지 않고 다른 출구(115)가 열리면서 배출된다.
한편, 건조수단의 작동은 먼저, 버너(151)가 착화되어 불꽃이 열교환기(152)내부로 분사된다.
분사된 불꽃은 열교환기(152)내 상부의 연소로갓(155)으로 올라가고, 연소로갓(155)과 제1연장부(161)사이에서 와류가 발생되면서 발생된 와류열풍이 연소로통(162)으로 집입된다.
연소로통(162)을 통과하던 열풍은 다시 제2연장부(163)를 통해 배출되다가 분배통(164)에서 양측으로 분배된다. 이때, 열풍은 반사판(165)에 의해 양분되고, 양분된 열풍은 분배통(164)을 타고 원적외선 방사체(130)로 들어간다.
원적외선 방사체(130)로 들어간 열풍은 제1방사체(132) 및 제2방사체(134)를 통과하면서 제1방사체(132) 및 제2방사체(134)를 가열하여 그 표면에 도포된 세라믹 도료(138)가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한다. 이 원적외선은 중앙송풍실(120)의 양측벽을 형성하고 있는 타공망을 뚫고 그 외부의 곡물이동통로(121)로 조사되면서 하강하는 곡물들을 건조시킨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체(130)로 들어간 열풍은 제2방사체(134)의 끝단에 형성 된 커버(136)의 배기공(137)을 통해 중앙송풍실(120)내로 유입되고, 중앙송풍실(120)내로 진입한 열풍은 곡물이동통로(121)로 재진입하면서 하강하는 곡물들을 건조시키고 다시 배풍실(122)로 빠져나간다.
배풍실(122)로 빠져나간 건조열풍은 다시 송풍기(12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고, 송풍기(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건조열풍은 다시 집진수단(170)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낸 후, 대기중으로 날려보낸다.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100)는 저장실(117)내의 곡물들이 한번 순환되는 싸이클이 대략 1시간 정도 소요되게 되는데, 순환되는 과정에서 저장실(117)내의 층간 함수율을 비교하여 셔터드럼(180)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저장실(117)내에 층별로 여러개가 설치된 수분센서에 의해 층간 함수율을 체크하고, 프로세서에 의해 이 함수율의 편차를 연산하며, 함수율의 편차가 3%이상일때에 입력된 패턴에 의해 제1구동모터(182a) 및 제2구동모터(182b)를 제어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이용한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기본적으로 원적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최상품의 곡물품질을 얻을 수 있으면서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초대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단시간내에 많은 양의 곡물들을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열풍의 분배를 균일하게 해 줌으로써, 이어지 는 원적외선 방사체의 평균온도를 규정된 온도로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셔터드럼의 제어를 통해 상하 곡물층간의 함수율의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곡물이 투입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내의 곡물을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건조시키는 건조수단과, 1차건조된 상기 곡물을 다시 상기 저장실로 끌어올려 재건조시키는 통상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은;
    일측이 개방되면서 사방면이 타공망으로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중앙송풍실과, 상기 각각의 중앙송풍실의 양옆에 사방면이 타공망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저장실내의 곡물이 하부로 통과되는 곡물이동통로와, 상기 곡물이동통로의 외측에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배풍실과, 상기 배풍실의 개방된 타측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중앙송풍실에 내장되어 양옆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면서 열풍을 배출시키는 원적외선 방사체와, 상기 원적외선 방사체 중 두개당 하나씩으로 외부에 구비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버너 및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원적외선 방사체는 상기 중앙송풍실의 개방된 입구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방사체와, 상기 제1방사체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만곡되게 굴곡되는 "U"자형상의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타단에서 다시 상기 제1방사체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방사체와, 상기 제2방사체의 일단에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방사체 및 제2방사체는 상하로 길쭉한 다이아몬드 형상을 가지면서 표면에 세라믹 도료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그 하부에 버너가 장착되는 화구목이 형성되고, 상부면상에는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방사항 좁아지는 연소로갓()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로갓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소로통이 장착되고, 상기 연소로통의 상단에는 연소열을 양옆으로 균일하게 분배시키는 분배통이 장착되며, 상기 각각의 분배통이 상기 원적외선 방사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통의 하단에는 상기 열교환기속으로 더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소로통의 상단에는 상기 분배통으로 더 연장되는 제2연장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 식 곡물건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통의 상단과 맞닿는 상기 분배통의 내측 상부면상에는 갓형상을 갖는 반사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갓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
  8. 다수의 산지에서 수확된 각기 함수율이 다른 곡물들이 투입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내의 곡물을 끌어내리면서 건조시키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내의 곡물을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 및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는 셔터드럼과, 건조된 상기 곡물을 다시 상기 저장실로 끌어올려 재건조시키는 통상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셔터드럼을 저속과 고속으로 구분하여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저장실내에 상하 간격을 두고 층별로 설치된 다수의 수분센서와, 상기 수분센서의 편차가 5%이상일때에 상기 제1구동모터, 상기 제2구동모터를 서로다른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
  9. 다수의 산지에서 수확된 각기 함수율이 다른 곡물들을 건조기의 저장실에 투입하는 단계(S1); 상기 저장실내의 최하층 곡물부터 건조기의 일측 및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된 셔터드럼에 의해 동시에 끌어내리면서 1차 건조시키는 단계(S2); 상기 1차 건조된 곡물을 다시 상기 저장실로 끌어올려 순환시키는 단계(S3); 상기 단계(S3)에서 건조된 곡물의 수분을 체크하여 원하는 함수율이 얻어질때, 배출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하는 통상의 순환식 곡물 건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내에 있는 곡물들의 상하층간 함수율을 프로세서에 의해 체크하는 단계(S5);
    상기 단계(S5)에서 각 층간 함수율 편차가 5%이상일때에 상기 일측의 셔터드럼이나 또는, 상기 타측의 셔터드럼을 프로세서에 의해 랜덤하게 구동시키는 단계(S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곡물 건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6)에서 상기 프로세서에 미리 입력해둔 패턴에 의해 각각의 셔터드럼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곡물 건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ⅰ) 상기 일측의 셔터드럼을 저속으로 구동,
    ⅱ) 상기 타측의 셔터드럼이 고속으로 구동,
    ⅲ) 상기 양측의 셔터드럼 속도를 반대로 구동,
    ⅲ) 상기 양측의 셔터드럼이 동시에 구동,
    상기 3가지의 구동 방법을 일정시간동안 순차적으로 반복하도록 할 수 있는 경우의 수 중 한 가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곡물 건조방법.
KR1020060078588A 2006-08-21 2006-08-21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 및 저장실내의곡물층간 함수율 편차를 줄이기 위한 곡물 건조방법 KR100705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588A KR100705710B1 (ko) 2006-08-21 2006-08-21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 및 저장실내의곡물층간 함수율 편차를 줄이기 위한 곡물 건조방법
JP2007214191A JP2008051491A (ja) 2006-08-21 2007-08-20 超大型遠赤外線循環式穀物乾燥機及び貯蔵室内の穀物層間の含水率偏差を減らすための穀物乾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588A KR100705710B1 (ko) 2006-08-21 2006-08-21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 및 저장실내의곡물층간 함수율 편차를 줄이기 위한 곡물 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710B1 true KR100705710B1 (ko) 2007-04-09

Family

ID=3816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588A KR100705710B1 (ko) 2006-08-21 2006-08-21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 및 저장실내의곡물층간 함수율 편차를 줄이기 위한 곡물 건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051491A (ko)
KR (1) KR10070571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966B1 (ko) 2008-04-23 2010-07-14 한성공업 주식회사 순환식 병류형 곡물 건조기
KR101328486B1 (ko) * 2012-05-02 2013-11-13 한국식품연구원 다목적 곡물 건조기 운영 방법
KR101549688B1 (ko) * 2015-03-31 2015-09-03 (주)혜성기업 곡물 건조 장치
KR101588864B1 (ko) 2014-09-03 2016-01-26 현대기계공업(주) 왕겨 연소장치
KR101651238B1 (ko) 2015-07-08 2016-08-2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녹색 통곡물 증숙장치와 그 방법
KR101682238B1 (ko) 2016-07-07 2016-12-05 정창선 쌀눈이쌀 가공 방법
KR101789889B1 (ko) 2015-12-15 2017-10-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사료 종자의 수확 후 처리 시스템
KR102317817B1 (ko) 2021-04-05 2021-10-27 신흥기업 주식회사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곡물층간 수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건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52894B (zh) * 2010-05-20 2013-05-15 国贸工程设计院 一种可控制烘干终点样品水分含量的快速节能粮食烘箱
JP5348236B2 (ja) * 2011-12-26 2013-11-20 井関農機株式会社 穀粒乾燥機
CN104132524B (zh) * 2014-07-28 2016-08-17 德清龙溪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稻谷烘干设备
CN106403566B (zh) * 2016-11-18 2018-12-07 绍兴上虞国风风机制造有限公司 一种环保节能型谷物烘干冷却除尘装置
CN107323495B (zh) * 2017-06-29 2019-01-29 重庆仁稳生态农业有限公司 谷物粮食颗粒晾晒用多功能手推车
KR102381878B1 (ko) * 2020-11-23 2022-04-01 주식회사 정진하이테크 내압 방폭 구조형 원적외선 방열판 건조 히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0665A (ja) 1999-08-10 2001-02-23 Shizuoka Seiki Co Ltd 遠赤外線穀物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8594U (ja) * 1983-05-18 1984-11-29 静岡製機株式会社 穀物乾燥機の乾燥風発生装置
JPS6325482A (ja) * 1986-06-20 1988-02-02 井関農機株式会社 穀物乾燥機の穀粒流下速度制御装置
JPS6458980A (en) * 1987-08-28 1989-03-06 Iseki Agricult Mach Cereal grain drier
JPH09113140A (ja) * 1995-10-20 1997-05-02 Seibutsukei Tokutei Sangyo Gijutsu Kenkyu Suishin Kiko 穀粒乾燥機
JP3833750B2 (ja) * 1996-09-05 2006-10-18 金子農機株式会社 遠赤外線利用穀物乾燥装置
JPH10206016A (ja) * 1997-01-23 1998-08-07 Shizuoka Seiki Co Ltd 穀物乾燥方法及び穀物乾燥装置
JP2005009732A (ja) * 2003-06-18 2005-01-13 Yamamoto Co Ltd 穀物遠赤外線乾燥装置
JP3811694B2 (ja) * 2003-10-30 2006-08-23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穀物乾燥機
JP2006038407A (ja) * 2004-07-30 2006-02-09 Iseki & Co Ltd 穀粒乾燥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0665A (ja) 1999-08-10 2001-02-23 Shizuoka Seiki Co Ltd 遠赤外線穀物乾燥機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966B1 (ko) 2008-04-23 2010-07-14 한성공업 주식회사 순환식 병류형 곡물 건조기
KR101328486B1 (ko) * 2012-05-02 2013-11-13 한국식품연구원 다목적 곡물 건조기 운영 방법
KR101588864B1 (ko) 2014-09-03 2016-01-26 현대기계공업(주) 왕겨 연소장치
KR101549688B1 (ko) * 2015-03-31 2015-09-03 (주)혜성기업 곡물 건조 장치
KR101651238B1 (ko) 2015-07-08 2016-08-2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녹색 통곡물 증숙장치와 그 방법
KR101789889B1 (ko) 2015-12-15 2017-10-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사료 종자의 수확 후 처리 시스템
KR101682238B1 (ko) 2016-07-07 2016-12-05 정창선 쌀눈이쌀 가공 방법
KR102317817B1 (ko) 2021-04-05 2021-10-27 신흥기업 주식회사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곡물층간 수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건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51491A (ja)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5710B1 (ko)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 및 저장실내의곡물층간 함수율 편차를 줄이기 위한 곡물 건조방법
WO2015055025A1 (zh) 一种谷物循环干燥机
KR101408744B1 (ko) 왕겨 연소를 통한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곡물 건조 장치
KR100968966B1 (ko) 순환식 병류형 곡물 건조기
KR101795343B1 (ko) 농수산물 건조기
CN203857763U (zh) 滚筒式茶叶烘干机
KR101080002B1 (ko) 순환식 곡물건조기
RU2679698C1 (ru) Способ сушки зерна в бункерах активного вентилирования пневмопотоком
KR101888312B1 (ko) 농수산물 건조기
JP5211856B2 (ja) 排風循環型穀粒乾燥機
US8863402B2 (en) Method for drying objects of organic material and a dryer
JP4480157B2 (ja) 穀物の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80089531A (ko) 농수산물 건조기
KR20150089180A (ko)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JP5292924B2 (ja) 排風循環式穀粒乾燥機の排風循環量制御方法
CN106766730A (zh) 一种具有排湿功能的双循环节能干燥设备
KR100523439B1 (ko)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방사체
JP3811694B2 (ja) 穀物乾燥機
JP4010556B2 (ja) 穀物乾燥機
JP2006300385A (ja) 循環式穀物乾燥機
JP3870817B2 (ja) 穀粒乾燥機
JP5348236B2 (ja) 穀粒乾燥機
JP7267529B2 (ja) 穀物乾燥装置
JP2003247778A (ja) 穀粒乾燥機の集穀室構造
JP2004177002A (ja) 穀物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