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곡물이 투입되는 저장실과, 저장실내의 곡물을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건조시키는 건조수단과, 1차건조된 곡물을 다시 저장실로 끌어올려 재건조시키는 통상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건조수단은;
일측이 개방되면서 사방면이 타공망으로 형성된 적어도 4개 이상의 중앙송풍실과, 각각의 중앙송풍실의 양옆에 사방면이 타공망으로 형성되면서 저장실내의 곡물이 하부로 통과되는 곡물이동통로와, 곡물이동통로의 외측에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배풍실과, 배풍실의 개방된 타측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중앙송풍실에 내장되어 양옆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면서 열풍을 배출시키는 원적외선 방사체와, 원적외선 방사체 중 두개당 하나씩으로 외부에 구비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버너 및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제공한다.
이때, 송풍기에는 건조열풍속의 먼지나 곡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걸러서 배출시키는 집진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체는 중앙송풍실의 개방된 입구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방사체와, 제1방사체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만곡되게 굴곡되는 "ㄷ"자형상의 방열판과, 방열판의 타단에서 다시 제1방사체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방사체와, 제2방사체의 일단에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지며, 제1방사체 및 제2방사체는 상하로 길쭉한 다이아몬드 형상을 가지면서 표면에 세라믹 도료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교환기는 그 하부에 버너가 장착되는 화구목이 형성되고, 상부면상에는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방사항 좁아지는 연소로갓이 형성되며, 연소로갓에는 상 측으로 연장되는 연소로통이 장착되고, 연소로통의 상단에는 연소열을 양옆으로 균일하게 분배시키는 분배통이 장착되며, 각각의 분배통이 원적외선 방사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연소로통의 하단에는 열교환기속으로 더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형성되고, 연소로통의 상단에는 분배통으로 더 연장되는 제2연장부가 형성되며, 연소로통의 상단과 맞닿는 분배통의 내측 상부면상에는 갓형상을 갖는 반사판이 형성되어 공급되는 열풍을 균일하게 양쪽으로 분배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다수의 산지에서 수확된 각기 함수율이 다른 곡물들이 투입되는 저장실과, 저장실내의 곡물을 끌어내리면서 건조시키는 건조실과, 건조실내의 곡물을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 및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는 셔터드럼과, 1차건조된 곡물을 다시 저장실로 끌어올려 재건조시키는 통상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일측의 셔터드럼을 단독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1구동모터와, 타측의 셔터드럼을 단독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2구동모터와, 저장실밖에 설치된 수분센서와, 수분센서의 편차가 5%이상일때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의 동작주기를 각각 변경하면서 회전시키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제공한다.
또는, 본 발명은,
다수의 산지에서 수확된 각기 함수율이 다른 곡물들을 건조기의 저장실에 투 입하는 단계(S1); 저장실내의 최하층 곡물부터 건조기의 일측 및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된 셔터드럼에 의해 동시에 끌어내리면서 1차 건조시키는 단계(S2); 1차 건조된 곡물을 다시 저장실로 끌어올려 순환시키는 단계(S3); 단계(S3)에서 건조된 곡물의 수분을 체크하여 원하는 함수율이 얻어질때, 배출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하는 통상의 순환식 곡물 건조 방법에 있어서,
저장실내에 있는 곡물들의 상하층간 함수율을 프로세서에 의해 체크하는 단계(S5);
단계(S5)에서 각 층간 함수율 편차가 5%이상일때 일측의 셔터드럼이나 또는, 타측의 셔터드럼을 프로세서에 의해 랜덤하게 구동시키는 단계(S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곡물 건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단계(S6)에서 프로그램에 의한 정해진 패턴에 의해 각각의 셔터드럼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패턴은;
ⅰ) 일측의 셔터드럼이 저속으로 구동,
ⅱ) 타측의 셔터드럼이 고속으로 구동,
ⅲ) 양측의 셔터드럼 동작주기를 반대로 구동,
3가지의 구동을 일정시간동안 순차적으로 반복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나타낸 측면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요부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이용한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100)의 기본 구성은 곡물 투입호퍼를 통해서 투입된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112), 승강기(113), 상부이송장치(114) 및 균분기(116),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초대형 저장실(117), 저장실(117)내의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118) 및 건조열풍 및 원적외선에 의해 곡물을 건조하기 위한 초대형 건조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초대형 저장실(117)은 최소 20ton이상의 곡물을 저장시킬 수 있는 곡물 저장장소이다.
상기 초대형 건조수단은 저장실(118)내에 최소 4개 이상의 중앙송풍실(120)과, 각각의 중앙송풍실(12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곡물이동통로(121)와, 곡물이동통로(121)의 외측에 형성되는 배풍실(122)과, 원적외선 방사체(130), 외부열풍공급부(150) 및 송풍기(123)를 포함한다.
이때, 건조기(100)의 용량에 따라 저장실(117)의 크기가 20~30ton일 경우에는 중앙송풍실(120)이 4개가 형성되고, 저장실(117)의 크기가 30~40ton일 경우에는 중앙송풍실(120)이 8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저장실(117)의 크기가 40ton 이상일 경우에는 중앙송풍실(120)을 8개 이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각각의 중앙송풍실(120)은 저장실(117)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밀폐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중앙송풍실(120)은 상하로 길쭉한 다이아몬드 형상를 갖는 것으로, 사방의 벽이 타공망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중앙송풍실(120)의 양측면에 저장실(117)과 연통되는 곡물이동통로(121)가 형성된다.
곡물이동통로(121)는 중앙송풍실(120)과 마찬가지로 사방면이 타공망으로 형성된다. 이때, 중앙송풍실(120)과 겹쳐지는 사이의 타공망은 하나로 사용되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중앙송풍실(120)의 반대편인 곡물이동통로(121)의 외측에는 배풍실(122)이 형성된다. 즉, 중앙송풍실(120)로 공급된 열풍이 곡물이동통로(121)내의 곡물을 건조시키면서 통과하여 배풍실(122)로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배풍실(122)은 일측이 밀폐되고, 타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곡물이동통로(121)를 통과한 건조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배풍실(122)의 개방된 타측에는 곡물이동통로(121)의 외측으로 각각 형성된 두 군데의 배풍실(122)의 건조열풍들을 모아 송풍기(123)에 의해 배출시킨다.
이때, 송풍기(123)에 의해 배출되는 건조열풍속에는 먼지나 곡물찌꺼기 등 비산되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그냥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면 대기가 오염되는 폐단이 발생된다.
따라서 송풍기(123)의 외부에는 비산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집진수단(17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집진수단(170)은 하기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중앙송풍실(120)에 원적외선 방사체(130)가 내장된다.
도 8 및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원적외선 방사체 및 열풍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원적외선 방사체(130)는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을 갖는 것으로, 외부열풍공급부(150)에서 공급되는 열풍으로 가열되면서 곡물이동통로(121)측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함과 함께 공급된 열풍을 다시 배출하면서 마찬가지로 열풍이 곡물이동통로(121)를 통과하여 배풍되도록 함으로써, 곡물들을 건조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원적외선 방사체(130)는 내부가 중공되면서 상하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방사체(132) 및 제2방사체(134)와, 제1방사체(132) 및 제2방사체(134)의 타측을 연결하는 "U"자형상의 방열판(135)과, 제2방사체(134)의 일측에 다수의 배기공(137)이 형성된 커버(136)로 이루어지며, 제1방사체(132) 및 제2방사체(134)의 표면에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세라믹 도료(138)가 도포된다.
이때, 제1방사체(132) 및 제2방사체(134)는 중앙송풍실(120)의 개방된 일측에서부터 밀폐된 타측까지 길게 연장된다. 그리고 제1방사체(132)의 일측에는 결합용 플랜지(131)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방사체(132) 및 제2방사체(134)는 중앙송풍실(120)의 형상과 비슷하게 상하로 길쭉한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하부보다는 측면측으로 많은 원적외선이 조사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방열판(135)은 제1방사체(132)의 타측에서 제2방사체(134)의 타측으로 만곡되게 구부러져 제1방사체(132)로 유입된 열풍을 제2방사체(134)로 순회시켜주 는 곳으로, 만약 방열판(재질:STS 430)(135)을 설치하지 않고 일반 "ㄷ" 자형 관을 사용하게 되면 "ㄷ"관 뒷부분에 열원이 일부 정체되는 현상으로 국부 과열현상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열풍공급부(150)는 버너(151), 열교환기(152) 및 열풍공급로(160)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이때, 열풍공급부(150)는 2개의 중앙송풍실(120)당 하나로 구비된다. 즉, 하나의 열풍공급부(150)에 의해 두개의 원적외선 방사체(130)가 동시에 사용되는 것이다.
먼저, 버너(151)는 열교환기(152)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료로는 등유가 사용된다.
열교환기(152)는 내부가 밀폐된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열교환기(152)의 하부측에 버너(151)가 장착되는 화구목(153)이 형성된다. 그리고 열교환기(152)의 상부면상에는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방사상 좁아지게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연소로갓(155)이 형성된다. 이때, 연소로갓(155)에는 버너(151)의 점화시 안정적인 착화를 위한 다수의 관통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열풍공급로(160)는 열교환기(152)에서 원적외선 방사체(130)로 열풍을 공급해주기 위한 연결통로로서, 하나의 입구와 두개의 출구를 가지며, 하나의 입구로 공급되는 열풍을 균일하게 분배하여 두개의 출구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열풍공급로(160)는 "T"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연소로갓(155)에 장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소로통(162)과, 연소로통(162)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갈라지는 분배통(16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소로통(162)의 하단부 및 상단부는 열풍의 균일한 분배를 위해 상하방향으로 더 돌출형성된다. 즉, 연소로통(162)의 하단부에는 연소로갓(155)의 상단에서부터 그 하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제1연장부(161)가 형성되고, 연소로통(162)의 상단부에는 연결된 분배통(164)의 하단부에서부터 그 상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제2연장부(163)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1연장부(161)는 200~250mm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는 연구 및 실험결과 제1연장부(161)의 길이가 200mm 미만으로 형성시키면, 충분한 와류가 발생되지 않아 열풍량이 분배통(164)에서 균일하게 분배되지 않게 되고, 제1연장부(161)의 길이가 250mm를 초과하게 되면, 너무 많은 와류가 발생되어 또한, 균일하게 분배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때, 제1연장부(161)의 길이와 연소로갓(165)의 높이를 일치시키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연소로통(162)으로 들어가는 열풍은 테이퍼진 연소로갓(155)과 돌출된 제1연장부(161)에 의해서 활발한 와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제1연장부(161)를 연소로갓(155)의 하단보다 더 높게 형성시키면, 와류가 활발히 발생되지 않게 되고, 제1연장부(161)를 연소로갓(155)의 하단보다 더 낮게 형성시키면, 발생된 와류가 연소로통(162)으로 원활히 빨려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제2연장부(163)는 15~30mm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는 제2연장부(163)의 길이를 15mm 미만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열풍이 좌우로 잘 분배되지 않게 되고, 30mm를 초과하여 형성시키면, 연소로통(162)을 통과하던 열풍이 분배통(164)의 상단부와 너무 밀접하게 되어 역배출 및 국부적 과열현상이 발생될 수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2연장부(163)의 상측에는 보다 확실한 열분배를 위해 갓 형상을 갖는 반사판(165)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열풍공급로(160)의 분배통(164)의 양단부에는 원적외선 방사체(130)의 플랜지(131)와 결합되기 위한 대응되는 한짝의 플랜지(167)가 일체로 형성된다.
하기에는, 위에서 설명하다 중단한 집진수단(170)에 대해 설명한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집진수단(170)은 상측으로 길게 연장된 연통형상을 갖는 배출관(171)과, 배출관(171)의 하단부 입구측에 형성되는 회오리발생날개(172)와, 배출관(171)의 상단부 출구측에 형성되는 걸림판(173)과, 걸림판(173)의 측면에 형성되는 집진관(174)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회오리발생날개(172)는 말 그대로 송풍기(123)에서 배출되는 건조열풍을 통과시키면서 회오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회오리발생날개(172)는 프로펠러 형상을 갖는 것으로, 쉽게 설명하면 선풍기에서 바람을 일으키는 회전날개와 유사한 형상이다. 이러한 회오리발생날개(172)가 배출관(171)의 입구 내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회오리발생날개(172)를 통과하는 열풍은 통과후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건조열풍내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들은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 즉, 배출관(171)의 내벽에 붙어서 상측으로 돌면서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배출관(171)의 상부 출구측에 형성된 걸림판(173)은 배출관(17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것으로, 전술한 열교환기(152)내의 제1연장부(161)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회오리처럼 상승하던 건조열풍 중 바깥쪽의 이물질들은 이 걸림판(173)에 걸리게 된다.
또한, 집진관(174)은 걸림판(173)의 어느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판(173)에서 걸린 이물질들이 배출관(171)의 내벽을 타고 맴돌다가 집진관(174)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집진관(174)은 배출관(171)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유인즉은, 배출관(171)과 걸림판(173)의 사이에 걸린 이물질들은 하부에서부터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계속해서 빙글빙글 돌게 되는데 이 회전방향으로 계속해서 돌면서 집진관(174)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집진관(174)을 접선방향으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집진관(174)으로 배출되는 이물질들은 일부의 건조열풍과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집진관(174)의 끝부분에는 이물질만을 걸러내기 위해 걸름망(도시되지 않음)같은 것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기에는, 저장실(117)내의 상하 곡물층간 함수율의 편차를 평균화시키기 위한 셔터드럼(180)의 구조 및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셔터드럼의 작동구조를 보인 개략도면이고, 도 11은 셔터드럼의 제어에 의해 저장실내의 곡물이 하부로 배출되는 모습을 일시적으로 보인 개략도면이며,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곡물 건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셔터드럼(180)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송풍실(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곡물이동통로(121)를 통과하는 곡물들을 그 하부의 이송장치(112)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셔터드럼(180)은 중앙송풍실(120)의 개수만큼 형성되므로 좌우 대칭으로 최소 두개 이상이 설치된다. 이때, 각 셔터드럼(180)의 일단에는 스프로켓(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된다.
이때, 각각의 스프로켓은 구동모터(182)와 연결되는데, 구동모터(182)는 양쪽으로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의 구동모터(182)에는 셔터드럼(180)과 마찬가지로 스프로켓(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어 셔터드럼(180)의 스프로켓(181)과 체인(183)결합된다.
만약, 셔터드럼(180)이 네 개가 형성될 때에는 하나의 제1구동모터(182a)와 제1구동모터(182a)에 인접한 제1셔터드럼(180a)이 체인(183a)으로 연결되면서 다시 제1셔터드럼(180a)과 제2셔터드럼(180b)이 체인(184a)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제2구동모터(182b)와 제2구동모터(182b)에 인접한 제4셔터드럼(180d)이 체인(183b)으로 연결되면서 제4셔터드럼(180d)과 제3셔터드럼(180c)이 체인(184b)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182a)와 제2구동모터(180b)의 작동을 달리하게 되면, 저장실(117)내의 상부층 및 하부층간 곡물들을 서로 섞어 줄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층간 곡물들을 서로 섞어주기 위한 제어방법은 정해진 패턴에 의한 프로세서의 프로그램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저장실(117)을 통과한 곡물들의 함수율을 체크하기 위한 수분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즉, 각각의 수분센서에서 얻어진 함수율을 대비하여 함수율의 편차가 클 경우에는 편차의 폭에 따른 정해진 여러 가지의 패턴 중 하나가 실행되면서 제1구동모터(182a)가 저속으로 구동되고 제2구동모터(182b)는 고속으로 구동되며 일정시간 경과후, 1구동모터(182a)는 고속으로 구동되고 제2구동모터(182b)는 저속으로 구동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층간 함수율의 편차가 최소 5%이상일때, 패턴이 작동된다.
이처럼 제1구동모터(182a), 제2구동모터(182b)가 다른 속도로 작동되게 되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실(117)내의 곡물들은 사선방향으로 배출되면서 한번 내지 두 번의 순환을 거치면서 층별 함수율의 편차가 줄어들게 된다.
여기에서, 프로세서에 입력되는 패턴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가 다른속도로 반복해서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구동되는 패턴은,
1번 패턴 : 제1구동모터 조출속도 2.0회/분으로 1시간 구동, 제2구동모터 조출속도 4.0회/분으로 1시간 구동 ==> 제1구동모터 조출속도 4.0회/분으로 1시간 구동, 제2구동모터 조출속도 2.0회/분으로 1시간 구동 ==> 제1 및 제2구동모터 동시회전.
위와 같은 패턴은 제1구동모터나, 제2구동모터나, 또는 제1 및 제2구동모터 중 어떤 것을 우선으로 하면서 다음 순번이나 그 다음 순번 등의 작동순서에서 나올 수 있는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미리 입력해 놓아 층간 함수율의 편차에 따라 패턴의 종류를 선택하여 제어 할 수 있다.
하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이용한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100)의 전체적인 흐름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도 12를 참고하면, 먼저, 다수의 산지에서 수확된 각기 함수율이 다른 곡물들을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한다.
투입구(110)로 투입된 곡물들은 이송장치(112)를 거쳐 승강기(113)를 타고 건조기(100) 상부로 올라가고 다시 상부이송장치(114)에 의해 건조기(100)의 상부 중앙으로 이동된다.
상부이송장치(114)에 의해 이송된 곡물들은 저장실(117)내로 낙하되는데, 이때, 균분기(116)에 의해 사방으로 펼쳐지면서 좌우가 뒤섞이도록 낙하된다.
저장실(117)내에 쌓인 곡물들은 저장실(117) 하부에 형성된 곡물이동통로(121)로 진입되고, 곡물이동통로(121)를 통과하면서 원적외선 및 열풍에 의해 시간당 0.8~1.0%씩 건감율을 보이면서 건조된다.
곡물이동통로(121)를 통과한 곡물들은 각각의 셔터드럼(180)에 의해 하부로 떨어진다.
이때, 셔터드럼(180)은 관형상을 갖는 것으로, 어느 일측에는 셔터드럼(18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셔터드럼(180)이 회전되면서 절개홈과 맞닿는 곡물이동통로(121)의 곡물들을 선택적으로 받아서 하부로 떨어뜨려주는 것이다.
셔터드럼(180)에 의해 하부로 떨어진 곡물들은 이송장치(112)에 의해 다시 승강기(113)측으로 이동되면서 승강기(113)를 타고 건조기(100)상부로 올라가 순환된다.
여기에서, 건조곡물들이 승강기(113)를 타고 올라가면서 현재의 함수율을 체크하게 되는데, 건조곡물들이 적당한 함수율을 갖게 되면, 승강기(113)를 타고 올라간 후, 상부이송장치(114)로 이동되지 않고 다른 출구(115)가 열리면서 배출된다.
한편, 건조수단의 작동은 먼저, 버너(151)가 착화되어 불꽃이 열교환기(152)내부로 분사된다.
분사된 불꽃은 열교환기(152)내 상부의 연소로갓(155)으로 올라가고, 연소로갓(155)과 제1연장부(161)사이에서 와류가 발생되면서 발생된 와류열풍이 연소로통(162)으로 집입된다.
연소로통(162)을 통과하던 열풍은 다시 제2연장부(163)를 통해 배출되다가 분배통(164)에서 양측으로 분배된다. 이때, 열풍은 반사판(165)에 의해 양분되고, 양분된 열풍은 분배통(164)을 타고 원적외선 방사체(130)로 들어간다.
원적외선 방사체(130)로 들어간 열풍은 제1방사체(132) 및 제2방사체(134)를 통과하면서 제1방사체(132) 및 제2방사체(134)를 가열하여 그 표면에 도포된 세라믹 도료(138)가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한다. 이 원적외선은 중앙송풍실(120)의 양측벽을 형성하고 있는 타공망을 뚫고 그 외부의 곡물이동통로(121)로 조사되면서 하강하는 곡물들을 건조시킨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체(130)로 들어간 열풍은 제2방사체(134)의 끝단에 형성 된 커버(136)의 배기공(137)을 통해 중앙송풍실(120)내로 유입되고, 중앙송풍실(120)내로 진입한 열풍은 곡물이동통로(121)로 재진입하면서 하강하는 곡물들을 건조시키고 다시 배풍실(122)로 빠져나간다.
배풍실(122)로 빠져나간 건조열풍은 다시 송풍기(12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고, 송풍기(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건조열풍은 다시 집진수단(170)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낸 후, 대기중으로 날려보낸다.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100)는 저장실(117)내의 곡물들이 한번 순환되는 싸이클이 대략 1시간 정도 소요되게 되는데, 순환되는 과정에서 저장실(117)내의 층간 함수율을 비교하여 셔터드럼(180)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저장실(117)내에 층별로 여러개가 설치된 수분센서에 의해 층간 함수율을 체크하고, 프로세서에 의해 이 함수율의 편차를 연산하며, 함수율의 편차가 3%이상일때에 입력된 패턴에 의해 제1구동모터(182a) 및 제2구동모터(182b)를 제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