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002B1 - 순환식 곡물건조기 - Google Patents

순환식 곡물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002B1
KR101080002B1 KR1020090023356A KR20090023356A KR101080002B1 KR 101080002 B1 KR101080002 B1 KR 101080002B1 KR 1020090023356 A KR1020090023356 A KR 1020090023356A KR 20090023356 A KR20090023356 A KR 20090023356A KR 101080002 B1 KR101080002 B1 KR 10108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grain
hot air
doubl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736A (ko
Inventor
김인수
유용진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102009002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002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2Preserv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eing moved by gra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식곡물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싸이로형의 곡물저장통의 하부에 설치된 곡물건조부는 다수개의 이중건조원통으로 구성하며, 상기의 이중건조원통내에는 각각의 통풍공이 형성된 건조외관과 건조내관 및 곡물통로를 형성하여 곡물을 수분을 방사상으로 확산 건조하여 곡물의 건조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순환식곡물건조기에 있다.
일반적으로 순환식 곡물건조장치들은 싸이로형의 곡물저장통의 하부에 사각형태의 곡물하강통로와 열풍통로 및 배출통로 다수개를 병열상으로 설치하여 열풍이 열풍통로에서 배출통로를 통과하면서 곡물을 여러차례 반복하여 건조하여 건조시간과 건조비용이 많이드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도록, 곡물저장통 하부에 설치되며 7개이상 다수개로 구성된 이중건조원통과, 상기의 이중건조원통은 각각의 통풍공이 천공된 건조외관 및 건조내관과 공물통로를 구성하여 상기의 건조내관으로 연결된 열풍공급지관과, 상기의 건조외관들과 이어지는 배기통로에 연결된 2개의 배기팬으로 구성하여 열푼을 방사상으로 송풍시켜 다량의 곡물을 짧은시간에 건조처리할 수있게 구성한 순환식곡물건조기 이다.
곡물건조부, 이중건조원통, 건조외관, 건조내관,곡물통로

Description

순환식 곡물건조기{CIRCULATING TYPE GRAIN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순환식곡물건조기 관한 것으로, 싸이로형의 곡물저장통의 하부에 설치된 곡물건조부는 다수개의 이중건조원통으로 구성하고 상기의 이중건조원통의 내부에는 통풍공이 각각으로 형성된 건조와관과 건조내관을 구성하여 이들 사이에 곡물통로가 형성된 이중건조원통을 구성하며, 상기의 건조내관들로 공급된 열풍은 곡물통로 및 건조외관을 통과하면서 곡물을 건조시킨후, 배기공간의 하부를 거쳐 배기통로 배출되는 순서로 다량의 곡물을 균일하게 건조처리할 수 있는 순환식곡물건조기에 있다.
(1),종래의 순환식 곡물건조기들은 싸이로저장통의 하부에 직사걱형건조부를 설치하여 건조된곡물을 승강기로 사이로저장통의 상부로 이송시켜 계속적으로 곡물을 건조하게 되는 것으로, 열풍곡물 건조부는 복수의 열풍통로와 복수의 배기통로를 평행상으로 다수열로 형성하여 배기통로 및 열풍통로의 측면은 각각 관통면으로 형성되어 열풍은 열풍통로와 배기통로를 통과하여 곡물을 건조시키며, 상기의 열풍통로와 배기통로 사이에 곡물하강통로가 별열상으로 구성되어 곡물을 순차적으로 건조시키는 순환식 곡물건조기로 대한민국 특허제10-0430446호(도면3)가 있는 것이다.
(2),종래의 싸이로형 이중외통체사이에 환상배기공간을 가지며 주면에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곡물건조용기의 중심선상에 다수 의 열풍공을 갖는 고정열풍공급관이 설치하고 그 상부에 다수의 열풍공을 가지며 중심의 스 크류에 의하여 승강조절되는 가동열풍공급관으로 구성된 곡물건조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48437호(도면 1)가 개시된바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곡물하강통로를 평행상으로 구성한 순환식곡물건조기들은 곡물하강통로의 양면 열풍통로와 배기통로가 평행상으로 구성되어 열풍이열풍통로에서 배기통로로 이송과정에 의해 곡물을 건조시킬때, 곡물하강통로로 하강되는 곡물량의 두께가 일정하고 열풍통로와 배기통로의 열풍이송경로가 일방향이이고 곡물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확산배출되지 못하고 곡물하강통로에서 배출된 수분이 대향의 배기통로측의 곡물로 흡수되는 경향에 의해 열풍공급량에 비해 곡물건조능률이 떨어지므로서, 건조비용 및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또한, 싸이로형 이중외통체사이에 환상배기공간을 가지며 주면에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곡물건조용기의 중심선상에 다수 의 열풍공을 갖는 고정열풍공급관이 설치하고 그 상부에 다수의 열풍공을 가지며 중심의 스크류에 의하여 승강조절되는 가동열풍공급관으로 구성된 곡물건조기에서는 이중외통체와 가동열풍공급관의 사이가 넓어 곡물에서 발산된 수분이 외측의 곡물로 다시 흡수되어 건조기능이 전연없어 실용화에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도록, 싸이로형의 곡물저장통의 하부의 곡물건조부는 7개이상 다수개의 이중건조원통으로 구성하고 상기의 이중건조원통의 내부에는 통풍공이 형성된 건조외관과 건조내관과 이의 사이에 곡물통로가 형성된 이중건조원통으로 구성하고, 상기의 각각의 건조내관으로 열풍을 송풍팬으로 공급하고, 상기의 곡물통로들에서 곡물을 방사상으로 건조하며, 상기에서 곡물을 건조시킨 공기는 배출팬 2개에 의해 배출시키어 곡물저장통내의 곡물을 순환식으로 가열건조하여 균일하게 다량의 곡물을 신속하게 건조처리할수 있는 구성한 순환식곡물건조기에 그특징이 있다.
본발명은 상기와 같이 곡물저장통의 하부에 구성되는 곡물건조부는 7개이상 다수개로 설치된 이중건조원통에서 곡물의 수분을 방사상으로 배출시켜 건조효율이 높고, 또한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팬과, 2개의 배기팬에 의해 곡물에서 배출된 수분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출하여 곡물을 균일하고 짧은시간에 건조처리하는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효가가 높은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순환식곡물건조기의 전체정면도로서, 본발명은 싸이로형의 곡물저장통(100)과 하부에 구성된 곡물건조부(200)및 곡물수집부(400)로 구성된다.
상기의 곡물건조부(200)는 7개 이상 다수개의 이중건조원통(300)이 구성되며, 상기의 이중건조원통의 하부는 곡물수집부(400)로 구성된다.
상기의 곡물저장통(100)의 곡물이 낙하되면서 곡물건조부(200)의 이중건조원통(300)들에서 건조되어 곡물수거부(400)로 하강되고 곡물수집부(400)로 수집된 곡물은 엘리베이터(110)에 의해 건조된 곡물을 곡물저장통의 상부로 이송하는 반복과정에 의해 곡물을 건조하는 순환식 곡물건조기이다.
이때,상기의 곡물저장통(100)의 하단에 구성된 곡물수집부(400)에서 엘리베이터(110)에 의해 건조된 곡물을 곡물저장통(100)의 상부로 이송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곡물을 순환식으로 건조하는 과정은 종전과 동일한 것이다.
도 2 는 본발명중 곡물건조부의 사시도로서, 상기의 곡물저장통(100)의 하부에 설치된 곡물건조부(200)는 벌집형상판(210)과 7개이상 다수개의 이중건조원통(300)으로 구성되고, 상기의 이중건조원통(300)은 다수개의 통풍공(310)이 각각으로 천공된 건조외관(320)과 건조내관(330)으로 형성하며, 상기의 다수개의 이중건조원통(300)에 각각으로 천공된 건조외관(320)과 건조내관(330)의 사이에 형성된 곡물통로(340)를 통하여 상기의 곡물저장통(100)의 곡물이 자연히 흘러내리면서 열풍에 의해 건조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상기의 건조내관(330)은 통상적인 열풍기가 연결되는 송풍관(500)과 열풍지관(510)과 연결되어 열풍이 건조내관(330)으로 공급되게 구성하였다.
이때,상기의 송풍팬에 의해 열풍이 공급되는 송풍관(500)의 열풍지관(510)을 통하여 건조내관(330)으로 공급된 열풍은 상기와 같이 건조내관(330)에 천공된 통풍공(310)을 통하여 상기의 공물통로(340)을 경유하여 상기의 건조내관(330)의 통풍공(310)을 통하여 상기의 건조외관(320)을 거쳐 상기의 배기공간(220)을 통하여 2개의 배기팬(620)에 연결된 배기통로(600)로 습기를 함유한 공기를 배출되어 곡물을 건조하는 것이다.
또, 상기의 이중건조원통(300)의 하단에는 곡물수집부(400)을 설치하여 상기의 이중건조원통(300)에서 건조된 곡물을 모아서 엘리베이터(110)에 의해 상기의 곡물저장통(100)의 상부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 순환식곡물건조기중의 곡물건조부의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 A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와 같이 싸이로형의 곡물저장통(100)의 하부에 설치된 곡물건조부(200)는 벌집형상판(210)과 7개이상 다수개의 이중건조원통(300)으로 구성되고, 상기의 이중건조원통(300)는 다수의 통풍공(310)이 각각으로 천공된 건조외관(320)과 건조내관(330)과, 상기의 건조외관(320)과 건조내관(330)의 사이에 형성된 곡물통로(340)를 구성하여 상기의 곡물저장통(100)에서 곡물이 흘러내리면서 건조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의 이중건조원통(300)들에서 건조과정을 거쳐 하강되는 곡물들은 상기의 곡물통로(340)하단에 설치된 통상의 노터리팬(410) 및 스크류(420)들에 의해 상기의 곡물수집부(400)에 모여지게 구성하며, 상기의 곡물수집부(400)의 스크류(430)에 의해 모여진 곡물은 상기의 엘리베이터측으로 이송된후, 엘리베이터(110)에 의해 상부의 곡물저장통(100)로 이송될수있게 구성 한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곡물건조부(200)의 벌집형상판(210)에 의해 형성된 배기공간(220)의 내부에는 구성된 이중건조원통(300)의 건조외관(320)과 건조내관(330)의 사이에 형성된 곡물통로(340)가 형성되며, 상기의 벌집형상판(210)에 의해 곡물저장통(100)의 곡물이 이중건조원통(300)에 형성된 곡물통로(340)내로 흘러내리는 곡물은 열풍지관(510)을 경유하여 상기의 건조내관(330)으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된다.
이때, 상기의 이중건조원통(300)의 건조외관(320)과 건조내관(330)에 천공된 통풍공(310)으로 열풍이 통과하면서 곡물통로(340)로 흘러내리는 곡물에 함유된 수분이 배기공간(220)으로 발산되는데,상기의 이중건조원통(300)의 건조외관(320)과 건조내관(330)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건조내관(330)으로 송풍되는 열풍에 의해 곡물에서 발산되는 수분이 방사상으로 확산 되어 배기공간(220)으로 포집된후 배기통로(610)들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중건조원통(300)의 곡물통로(340)로 하강되는 곡물을 건조내관(330)으로 공급되는 열풍이 통풍공(310)을 통과하여 상기의 곡물통로(340)로 하강되는 곡물중에 함유된 수분이 발산되고 수분이 포함된 공기는 건조외관(320)의 통풍공(310)을 통하여 배기공간(220)내로 방사상으로 확산되어 건조시키므로서 건조효율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에 벽체형의 건조통로 및 열풍통로가 병열로 배열된 곡물건조기에서 열풍에 의해 건조통로로 하강되는 곡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된 수분의 일부가 타측의 건조통로 하강되는 곡물로 다시 침투하여 건조효율이 저조하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는 도 2 B-B선의 단도로 열풍의 공급과정을 표시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송풍팬(520)에 의해 송풍되는 열풍이 송풍관(500)및 이에 연결된 열풍지관(510)으로 공급되는 열풍이 건조내관(330)으로 공급되게 구성되고 상기와 같이 건조외관(320)과 건조내관(330)에 각각으로 천공된 통풍공(310)들을 통하여 상기와 같이 상기의 건조내관(330)으로 공금된 열풍은 건조외관(320)을 경유하여 배기공간(220)으로 포집된후, 상기의 배기공간(220)의 하부의 배기통로(6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배기통로(610)에 연결된 2개의 배기관(600)에 배기팬(620)이 설치되어 곡물에서 발생된 수분을 함유한공기를 강력히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도 6 은 도2의 C-C선의 단면도로, 열풍에의해 곡물을 건조하는 과정을 표시한 것으로, 상기의 공굼저장통(100)의 하부에 일체로 구성된 곡물건조부(200)는 상기와 같이 이중건조원통(300)내에 설치된 건외내관(320)과 건조내관(330)에 각각으로 천공된 통풍공(310)을 통하여 열풍이 통과하면서 건조통로(340)로 흘러내리는 곡물에 함유된 수분을 상기의 이중건조원통(300)의 건조내관(330)에서 배기공간(220)내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같이 방사상으로 확산된후, 상기의 배기통로(610) 및 배기관(6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 므로서 곡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의 배출이 효과적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배기공간(220)으로 모여진 습기가 포함된 배출공기는 2개의 배기팬(600)이 설치된된 배기통로(6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2개의 배기관(600)에 각개로 2개의 배기팬(620)이 설치되어 수분을 강력히 외부로 배출시키어 곡물의 건조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게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곡물건조부(200)에 형성된 이중건조원통(300)내에 건조외관(320)과 건조내관(330)의 송풍공(310)을 통하여 곡물건조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을 방사상으로 확산시켜 건조하므로서, 곡물의 건조효율이 높아 건조시간과 건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높은 것이다.
도1은 본발명 순환식곡물건조기의 전체의정면도
도2는 본발명 순환식곡물건조기중의 곡물건조부의 사시도
도3은 본발명 순환식곡물건조기중의 곡물건조부의 단면도
도4는 도 3 A 부분의 확대단면도
도5는 도3의 B-B선의 단면도
도6은 도3의 C-C선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의 부호설명*
100; 곡물저장통 200; 곡물건조부
210; 벌집형상판 220; 배기공간
300; 이중건조원통 310; 통풍공
320; 건조외통 330; 건조내통
340; 곡물통로 400; 곡물수집부
500; 송풍관 510; 열풍지관
520; 송풍팬 600; 배기관
610; 배기통로 620; 배기팬

Claims (2)

  1. 곡물이 저장되는 싸이로형의 곡물저장통의 하부에 곡물을 건조하는 곡물건조부와 낙하된 곡물을 수집하는 곡물수집부와 엘리베이터가 일체로 구성하여 열풍으로 곡물을 건조하는 순환식곡물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의 곡물건조부(200)에는 다수의 통풍공(310)들이 천공된 건조외관(320) 및 건조내관(330)에 의해 곡물이 낙하되는 곡물통로(340)가 구성되는 다수개의 이중건조원통(300)의 상부에 벌집형상판(210)을 일체로 구성하여 주변에 배기공간(220)을 형성하고,
    상기의 이중건조원통(300)의 건조내관(330)에 상기의 열풍이 공급되는 송풍팬(520)이 설치된 송풍관(500)과 연결된 열풍지관(510)을 연결구성 하며,
    상기의 이중건조원통(300)의 주변에 형성되는 배기공간(220)의 하부에다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팬(620)이 설치된 2개의 배기관(600)과 연결된 배기통로(610)에 연결구성하고,
    상기의 곡물통로(340)하단에 설치된 노터리팬(410)과 스크류(420)가 설치되어 곡물이 수집되게한 곡물수집부(400)의 관련구성을 특징으로 한 순환식곡물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통풍공(310)들이 각각으로 천공된 건조외관(320)과 건조내관(330)의 사이에 곡물통로(340)로 구성된 다수개의 이중건조원통(300)의 상부에 벌집형상판(210)을 일체로 구성하며 상기의 이중건조원통(300)의 외부에 형성되는 배기공간(220)이 배기통로(610)에 연결되게 구성된 곡물건조부(200를 특징으로 한 순환식곡물건조기.
KR1020090023356A 2009-03-19 2009-03-19 순환식 곡물건조기 KR101080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356A KR101080002B1 (ko) 2009-03-19 2009-03-19 순환식 곡물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356A KR101080002B1 (ko) 2009-03-19 2009-03-19 순환식 곡물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736A KR20100104736A (ko) 2010-09-29
KR101080002B1 true KR101080002B1 (ko) 2011-11-07

Family

ID=4300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356A KR101080002B1 (ko) 2009-03-19 2009-03-19 순환식 곡물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0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7885A (zh) * 2015-03-25 2015-07-01 朱虹斐 筒式节能粮仓
CN105387693A (zh) * 2014-12-12 2016-03-09 李宏江 五谷自然干燥仓储装置
CN106766714A (zh) * 2016-12-08 2017-05-31 滁州源远纸制品有限公司 一种纸管生产用纸管干燥箱
KR101823598B1 (ko) 2015-06-17 2018-01-30 이지현 용량 가변형 열회수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2760A (zh) * 2011-11-30 2012-04-25 沈阳市神禾谷业有限公司 粮食低温绿色保鲜仓储装置
CN107525325A (zh) * 2017-09-27 2017-12-29 广西南宁荣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油茶果冷藏装置及冷藏方法
CN111504038B (zh) * 2020-04-29 2021-06-15 安徽盛康药业有限公司 一种医药中间体干燥设备
CN112414093A (zh) * 2020-10-23 2021-02-26 安徽公牛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稻米垂直烘干塔
CN112650333B (zh) * 2020-12-15 2022-02-11 天长市天鑫粮油贸易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温湿度监测功能的大米存储设备
KR102382281B1 (ko) * 2021-04-06 2022-04-01 송종혁 목재 건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437Y1 (ko) 1997-01-08 1999-06-15 정희도 곡물건조기
JP2000028266A (ja) 1998-07-07 2000-01-28 Iseki & Co Ltd 穀粒乾燥機の穀粒循環量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437Y1 (ko) 1997-01-08 1999-06-15 정희도 곡물건조기
JP2000028266A (ja) 1998-07-07 2000-01-28 Iseki & Co Ltd 穀粒乾燥機の穀粒循環量制御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7693A (zh) * 2014-12-12 2016-03-09 李宏江 五谷自然干燥仓储装置
CN105403004A (zh) * 2014-12-12 2016-03-16 李宏江 五谷自然干燥仓储装置
CN104737885A (zh) * 2015-03-25 2015-07-01 朱虹斐 筒式节能粮仓
KR101823598B1 (ko) 2015-06-17 2018-01-30 이지현 용량 가변형 열회수 건조기
CN106766714A (zh) * 2016-12-08 2017-05-31 滁州源远纸制品有限公司 一种纸管生产用纸管干燥箱
CN106766714B (zh) * 2016-12-08 2019-02-01 重庆新万合环保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纸管生产用纸管干燥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736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002B1 (ko) 순환식 곡물건조기
KR100968966B1 (ko) 순환식 병류형 곡물 건조기
US20170299263A1 (en) Mixed flow grain dryer with vacuum cool heat recovery system
CN116358277B (zh) 一种饲料加工在线烘干装置
US20060123657A1 (en) Drying device for powder material
CN110319681A (zh) 一种隧道式木皮烘干装置
CN102823925A (zh) 双层链板蔬菜脱水机
CN208646299U (zh) 桶体表面印刷烘干设备
CN110613152B (zh) 一种低温混流循环花生干燥机及其干燥方法
KR20160149031A (ko) 용량 가변형 열회수 건조기
CN211064982U (zh) 一种低温混流循环花生干燥机
CN106269431A (zh) 一种烘干固化设备
CN215893124U (zh) 一种对称式热源网带型烘干机
CN102823926A (zh) 加强杆链板蔬菜脱水机
CN211400707U (zh) 一种纯电能螺旋叶片循环式粮食烘干机
JP2001300594A (ja) 汚泥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CN210832950U (zh) 一种多功能层烘干固化设备
CN211120519U (zh) 一种六层风干机构
CN218821305U (zh) 一种自动洗涤烘干生产线
CN219146191U (zh) 一种带有风管通风的稻谷存放用稻谷仓
CN212692439U (zh) 一种肥料烘干机
CN218722950U (zh) 一种鸭绒脱水干燥设备
CN216080869U (zh) 一种石油化工固体物料干燥装置
CN216925070U (zh) 一种谷物烘干塔
CN208887327U (zh) 粮食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