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180A -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180A
KR20150089180A KR1020140009475A KR20140009475A KR20150089180A KR 20150089180 A KR20150089180 A KR 20150089180A KR 1020140009475 A KR1020140009475 A KR 1020140009475A KR 20140009475 A KR20140009475 A KR 20140009475A KR 20150089180 A KR20150089180 A KR 20150089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drying
discharge cylinder
grain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래
곽동렬
안정일
Original Assignee
신흥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흥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9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9180A/ko
Publication of KR2015008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 F26B17/1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using impinging streams of entrained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의도하지 않은 곡물의 배출을 방지하고 건조된 곡물을 일정한 양만큼 주기적으로 배출시키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는, 중력방향으로 상부에 위치되며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서 내려오는 곡물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로서, 속이 빈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곡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개구가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되고, 중심선을 축으로 회전되는 배출통; 및 상기 건조부에서 내려오는 곡물을 상기 배출통의 양측으로 안내하는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로서, 상기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의 말단은 상기 개구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때 하부에 향하는 개구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DISCHARGING APPARATUS FOR GRAIN DRYER}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도하지 않은 곡물의 배출을 방지하고 건조된 곡물을 일정한 양만큼 주기적으로 배출시키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곡물은 수확 후 품질의 변화없이 저장, 가공 등을 위하여 적절한 방식으로 목표 수분까지 건조하여야 한다. 적절한 건조는 곡물의 장기 저장 및 가공성 , 포장 및 수송의 효율성, 상품성 등의 증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곡물건조기는 곡물과 공기의 상대적인 유동방향, 열원의 종류, 건조온도의 고저, 곡물의 취급 방법 등에 따라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곡물건조기는 곡물과 열풍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여 흐르는 횡류형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열원의 종류는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높은 온도로 건조하므로 고온건조기의 곡물 취급 방법은 일정량의 곡물을 건조기에 투입하여 목표수분까지 건조가 완료된 후에 배출하는 형식인 순환식 횡류형 곡물건조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벼 외에 다양한 곡물 및 종자의 건조가 가능한 다목적 건조기에 사용되고 있는 건조형식은 곡물의 흐름과 열풍의 흐름이 동일한 병류형인 순환식 병류형 곡물건조기가 사용되고 있다.
순환식 횡류형 곡물건조기와 순환식 병류형 곡물건조기는 모두 순환식 건조기로써 중력방향으로 상부에 위치되며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저장부에서 내려오는 곡물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부 및 건조부에서 내려오는 곡물을 모아서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배출된 곡물을 최상부의 저장부로 승강 이송시키는 순환부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며, 곡물이 저장부, 건조부, 배출부 및 순환부를 순차로 거치며 건조된다.
이러한 곡물건조기의 경우, 순환과정에서 곡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한데, 곡물의 손상은 많은 양의 곡물이 배출부에 의해 이송되는 경우에 많이 발생 된다. 나아가 많은 양의 곡물에 의해 배출부의 동작이 멈춰버리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배출부의 경우, 곡물을 순환부로 수평 이송시키는 스크류와, 건조부를 지나온 곡물을 스크류에 공급하는 셔터드럼을 포함하는데, 곡물의 손상 방지 및 배출부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셔터드럼으로부터 곡물이 의도하지 않게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하며, 스크류에 공급되는 곡물의 양이 주기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는 건조부를 통과하는 곡물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곡물의 건조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건조 품질의 향상시키기 위함이기도 하다.
본 개시는 셔터드럼으로부터 곡물이 의도하지 않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출되는 곡물의 양이 주기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건조부는 지나는 곡물의 이동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는, 중력방향으로 상부에 위치되며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서 내려오는 곡물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로서, 속이 빈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곡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개구가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되고, 중심선을 축으로 회전되는 배출통; 및 상기 건조부에서 내려오는 곡물을 상기 배출통의 양측으로 안내하는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로서, 상기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의 말단은 상기 개구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때 하부에 향하는 개구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는, 상기 배출통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건조부의 출구로부터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두 개의 경사부재; 및 상기 두 개의 경사부재 각각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개구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때 하부에 배치되는 개구의 일 측까지 연장되는 두 개의 곡물 배출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곡물 배출 방지 부재는, 상기 두 개의 경사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곡물이 지나며 건조되는 2n(n>1인 자연수)개의 곡물건조통로;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는, 상기 2n(n>1인 자연수)개의 곡물건조통로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곡물건조통로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하나의 배출통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 각각의 일 측에서 상기 배출통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개구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때 상기 개구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곡물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배출통에 장입되도록 안내하는 장입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입 가이드돌기는 상기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 각각의 일 측에서 상기 개구의 하측 단부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곡물 배출 방지 부재의 말단과 상기 배출통 사이의 간격은 2cm 이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통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의하면, 상기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와 배출통에 의해 배출통의 개구가 상하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만 곡물이 배출되므로, 의도하지 않은 곡물의 배출을 방지하는 이점을 가진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의하면, 배출통으로부터 곡물이 배출되는 동안 배출통으로 곡물이 장입되지 않으므로, 곡물의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의하면, 두 개의 곡물 배출 방지 부재가 두 개의 경사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므로, 두 개의 곡물 배출 방지 부재의 말단과 배출통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의하면, 장입 가이드돌기에 의해 곡물이 배출통으로 장입되지 못하고 곡물 배출 방지 부재와 배출통의 외면 사이에 끼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가 구비되는 곡물건조기의 일 단면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다른 단면을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본 개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및
도 5는 도 4의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의 배출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먼저 본 개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가 적용되는 곡물건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가 구비되는 곡물건조기의 일 단면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다른 단면을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본 개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100)가 적용되는 곡물건조기(10)는 저장부(17)와 건조부(18)를 가지며, 승강기(13), 상부이송장치(14) 및 균분기(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는 곡물이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곡물을 저장시킬 수 있는 적당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조부(18)에는 곡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이 구비된다. 건조수단은 건조열풍 및 원적외선이 이용될 수 있다.
건조부(18)는 저장부(17)의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중앙송풍실(12)과, 각각의 중앙송풍실(12)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곡물건조통로(11)와, 곡물건조통로(11)의 외측에 형성되는 배풍실(15)과, 원적외선 방사체(12a), 외부열풍공급부(15b) 및 송풍기(15a)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중앙송풍실(12)은 저장부(17)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밀폐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중앙송풍실(12)은 상하로 길쭉한 다이아몬드 형상를 갖는 것으로, 사방의 벽이 타공망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중앙송풍실(12)의 양측면에 저장부(17)과 연통되는 곡물건조통로(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송풍실(12)의 반대편인 곡물건조통로(11)의 외측에는 배풍실(15)이 형성된다. 즉, 중앙송풍실(12)로 공급된 열풍이 곡물건조통로(11)내의 곡물을 건조시키면서 통과하여 배풍실(15)로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배풍실(15)은 일측이 밀폐되고, 타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곡물건조통로(11)를 통과한 건조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배풍실(15)의 개방된 타측에는 곡물건조통로(11)의 외측으로 각각 형성된 두 군데의 배풍실(15)의 건조열풍을 모아 송풍기(15a)에 의해 배출시킨다.
이때, 송풍기(15a)에 의해 배출되는 건조열풍에는 먼지나 곡물찌꺼기 등 비산되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그냥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면 대기가 오염되는 폐단이 발생된다. 따라서 송풍기(15a)의 외부에는 비산 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집진수단(19)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100)는 건조부(18)의 하부에 위치되며, 배출통(110)과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120)를 포함한다.
배출통(110)은 속이 빈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곡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개구(111,113)가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되고, 중심선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배출통(110)의 회전을 위한 동력 전달을 위해 배출통(110)에 스프로켓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체인, 벨트 등과 같은 동력 전달 부재에 의해 모터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120)는 각각 곡물건조통로(11)를 지나온 곡물을 배출통(110)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곡물건조통로(11)를 지나온 곡물은 하나의 배출통(110)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곡물건조통로(11)는 2n(n>1인 자연수)로 구비되고, 곡물 가이드부(120)도 2n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120)는 배출통(110)을 중심으로 배출통(11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건조부의 출구로부터 하향경사지게 구비된다.
또한,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120)는, 배출통(110)의 개구가 상하방향으로 위치될 때, 하부를 향하는 개구(111,113)의 양측에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120)의 말단이 각각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해, 배출통(110)이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에만 곡물이 배출되게 되며, 그 이외의 경우에 곡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120)는, 각각 경사부재(121)와 곡물 배출 방지 부재(123)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사부재(121)는 건조부(18)의 출구, 즉 곡물건조통로(11)의 출구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곡물 배출 방지 부재(123)는 경사부재(121)의 말단에 결합 되고, 그 말단이 배출통(110)의 개구(111,113)가 상하방향으로 위치될 때, 하부를 향하는 개구(113)의 일 측에 이르도록 구비된다.
한편, 경사부재(121)와 곡물 배출 방지 부재(123)는 힌지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곡물 배출 방지 부재(123)를 회동시켜 곡물 배출 방지 부재(123)의 말단과 개구(113)의 일 측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곡물이 의도하지 않게 그 사이의 간격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두 개의 곡물 배출 방지 부재(123)의 말단과 배출통(110) 사이의 간격은 2cm 이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100)는 배출통(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배출통(1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켜 승강기(13)로 공급하는 이송스크류(160)를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3의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의 배출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와 같이 배출통(110)의 개구(111,113)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배출통(110) 내부에 장입된 곡물이 배출되게 되며, (b)와 같이 배출통(110)이 회전되면, 곡물 배출 방지 부재(123)에 의해 하부의 개구(113)가 차폐되고, 상부의 개구(111)를 통해 곡물건조통로(11)에서 배출되는 곡물이 장입 되며, (c)와 같이 배출통(110)이 더 회전되면, 두 개의 개구(111,113)가 각각 두 개의 곡물건조통로(11)와 연통 되어 두 개의 개구(111,113)를 통하여 곡물이 장입 되며, (d)와 같이 배출통(110)이 더 회전되면, (b)에서 곡물이 배출되지 못한 나머지 하나의 곡물건조통로(11)와 연통되는 개구(113)를 통하여 배출통(110)으로 곡물이 장입 된다.
한편, (d)에서 배출통(110)이 더 회전되면, (a)와 같은 상태에 이르게 되며 곡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그 상태에서 배출통(110)의 상부의 개구(111)는 차폐되게 된다.
결국, 배출통(110)이 특정한 상태에 있을 때에만 곡물을 배출하고, 이때 곡물건조통로(11)로부터 배출통(110)으로의 곡물 장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배출되는 곡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100)는 곡물건조통로(11)로부터 배출통(110)으로의 안정적인 곡물 장입을 위한 장입 가이드돌기(123a)가 더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입 가이드돌기(123a)는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120) 각각의 일 측에서 배출통(110)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되되, 개구(111,113)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때 개구(111,113)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곡물이 개구(111,113)를 통해 배출통(110)에 장입되도록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장입 가이드돌기(123a)는 효과적인 곡물 장입을 위해,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120) 각각의 일 측에서 개구(111,113)의 하측 단부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시로 설명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용이하게 변경, 변형 또는 치환할 수 있는 범위까지 포함됨을 밝혀둔다.

Claims (8)

  1. 중력방향으로 상부에 위치되며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서 내려오는 곡물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에 있어서,
    속이 빈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곡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개구가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되고, 중심선을 축으로 회전되는 배출통; 및
    상기 건조부에서 내려오는 곡물을 상기 배출통의 양측으로 안내하는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로서, 상기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의 말단은 상기 개구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때 하부에 향하는 개구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는,
    상기 배출통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건조부의 출구로부터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두 개의 경사부재; 및
    상기 두 개의 경사부재 각각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개구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때 하부에 배치되는 개구의 일 측까지 연장되는 두 개의 곡물 배출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곡물 배출 방지 부재는, 상기 두 개의 경사부재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곡물이 지나며 건조되는 2n(n>1인 자연수)개의 곡물건조통로;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는, 상기 2n(n>1인 자연수)개의 곡물건조통로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곡물건조통로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하나의 배출통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 각각의 일 측에서 상기 배출통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개구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때 상기 개구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곡물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배출통에 장입되도록 안내하는 장입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장입 가이드돌기는 상기 두 개의 곡물 가이드부 각각의 일 측에서 상기 개구의 하측 단부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곡물 배출 방지 부재의 말단과 상기 배출통 사이의 간격은 2cm 이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통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KR1020140009475A 2014-01-27 2014-01-27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KR20150089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475A KR20150089180A (ko) 2014-01-27 2014-01-27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475A KR20150089180A (ko) 2014-01-27 2014-01-27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180A true KR20150089180A (ko) 2015-08-05

Family

ID=5388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475A KR20150089180A (ko) 2014-01-27 2014-01-27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91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0380A (zh) * 2017-09-29 2018-01-09 无锡科安自动化装备有限公司 谷物用干燥机构
CN109051866A (zh) * 2018-07-13 2018-12-21 盐城亿之诺机械有限公司 一种粉料加工用下料均匀的进料装置
CN112197526A (zh) * 2020-09-22 2021-01-08 陈敏敏 一种农业技术开发用球体式大颗粒培育种子干燥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0380A (zh) * 2017-09-29 2018-01-09 无锡科安自动化装备有限公司 谷物用干燥机构
CN109051866A (zh) * 2018-07-13 2018-12-21 盐城亿之诺机械有限公司 一种粉料加工用下料均匀的进料装置
CN112197526A (zh) * 2020-09-22 2021-01-08 陈敏敏 一种农业技术开发用球体式大颗粒培育种子干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4634A (en) Modular column dryer for particulate material
KR100968966B1 (ko) 순환식 병류형 곡물 건조기
TWI781957B (zh) 穀物乾燥機及該穀物乾燥機之使用方法
CN106839730A (zh) 一种带式干燥冷却机
KR20150089180A (ko)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RU2367868C2 (ru) Конвейерная сушилка многоярусного тип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плитообразных изделий
PT2587203E (pt) Secador de tela de transporte
US4398356A (en) Multi-stage dryer for particulate material
US20020139006A1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drying unpackaged food products, in particular vegetables
CN107300316A (zh) 一种稻谷热风循环利用干燥除糠一体装置的使用方法
CN107238270A (zh) 一种热风循环利用的稻谷干燥装置
ES2901533T3 (es) Aparato para secar material de madera suelto
CN106035641A (zh) 一种谷物自动干燥系统
EP0068734B1 (en) Multi-stage particulate material dryer having channelized discharge
KR100673587B1 (ko) 회전타입 연속 건조장치
CN107367160A (zh) 一种热风循环利用的稻谷干燥装置的使用方法
KR102407456B1 (ko) 간접 가열 건조장치 및 저품위탄의 건조방법
JP2001300594A (ja) 汚泥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KR101549688B1 (ko) 곡물 건조 장치
KR101408198B1 (ko) 다단계 회전식 열풍건조기
KR101549488B1 (ko) 인라인형 숯 건조장치
RU2589894C1 (ru) Шахтная аэрожёлобная сушилка
CN217979700U (zh) 一种绿肥种子除湿装置
JP6206147B2 (ja) 穀物乾燥機
KR101149613B1 (ko)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