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613B1 -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613B1
KR101149613B1 KR1020100012624A KR20100012624A KR101149613B1 KR 101149613 B1 KR101149613 B1 KR 101149613B1 KR 1020100012624 A KR1020100012624 A KR 1020100012624A KR 20100012624 A KR20100012624 A KR 20100012624A KR 101149613 B1 KR101149613 B1 KR 101149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conveyor
discharged
drying
convey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919A (ko
Inventor
최윤혁
Original Assignee
신화파스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파스칼(주) filed Critical 신화파스칼(주)
Priority to KR102010001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6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10Special mounting grooves in the rim or on th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에서 생산되어 소금적재창고에 저장된 소금을 상품으로 출시하기 직전에 이루어지는 소금 건조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의 노고를 줄이고 짧은 시간에 다량의 소금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되, 일정량의 소금만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이송컨베이어로 공급할 수 있는 소금공급부를 구비하여 건조된 소금에 대한 품질의 일정성을 담보할 수 있고, 이송컨베이어 및 복사열을 이용하여 소금을 건조시킴으로써 외부 이물질 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소금을 건조시켜 건조된 소금의 품질을 담보할 수 있는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는, 상광하협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투입구로 투입되는 소금을 내부에 저장하였다가 하부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소금저장호퍼와; 상기 소금저장호퍼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배출구로 배출되는 소금을 받아 소정량씩 하부로 배출하는 소금공급부와; 상기 소금공급부의 하부로 배출되는 소금을 받아 일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소금을 향하여 소정 온도의 복사열을 방사할 수 있는 열원체가 구비된 소금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CONVEYOR TYPE SALT DRYING DEVICE}
본 발명은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전에서 생산되어 소금적재창고에 저장된 소금을 상품으로 출시하기 직전에 이루어지는 소금 건조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의 노고를 줄이고 짧은 시간에 다량의 소금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되, 일정량의 소금만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이송컨베이어로 공급할 수 있는 소금공급부를 구비하여 건조된 소금에 대한 품질의 일정성을 담보할 수 있고, 이송컨베이어 및 복사열을 이용하여 소금을 건조시킴으로써 외부 이물질 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소금을 건조시켜 건조된 소금의 품질을 담보할 수 있는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전에서 생산된 소금은 소금운반대차를 통해 수거하고, 염전지의 부근에 설치된 염전레일을 타고 운반하여 소금적재창고에 적재하며, 소금적재창고에 일정기간 보관하며 간수를 빼내게 되는데 이렇게 소금적재창고에 보관된 소금을 상품으로 출시하기 위해서는 소금에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소금 건조 공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소금은 흡습성이 강하기 때문에 상품으로 출시하기 위해서는 소금에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소금 건조 공정이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소금 건조 공정에 특화되어 사용될 수 있는 소금 건조 장치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단지, 적재된 소금에 열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 방식이 사용되곤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열풍 건조 방식은 통상 많은 양의 소금을 적재한 후 적재된 소금을 향하여 열풍을 가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적재된 소금에서 외측에 위치된 소금과 내측에 위치된 소금간 건조율이 달라 소금 건조 품질의 일정성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내측에 위치된 소금까지 충분히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건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함께 외측에 위치된 소금은 고온의 열풍으로 인하여 타버릴 염려가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열풍 건조 방식은 먼지 등 주변의 이물질이 열풍에 의해 날려 소금에 달라붙게 되고, 소금에 달라붙은 이물질이 고온의 열풍에 의해 타면서 소금이 함께 태워져 버리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금 건조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의 노고를 줄이고 짧은 시간에 다량의 소금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되, 일정량의 소금만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이송컨베이어로 공급할 수 있는 소금공급부를 구비하여 건조된 소금에 대한 품질의 일정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컨베이어 및 복사열을 이용하여 소금을 건조시킴으로써 외부 이물질 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소금을 건조하여 건조된 소금의 품질을 담보할 수 있는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는, 상광하협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투입구로 투입되는 소금을 내부에 저장하였다가 하부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소금저장호퍼와; 상기 소금저장호퍼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배출구로 배출되는 소금을 받아 소정량씩 하부로 배출하는 소금공급부와; 상기 소금공급부의 하부로 배출되는 소금을 받아 일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소금을 향하여 소정 온도의 복사열을 방사할 수 있는 열원체가 구비된 소금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는, 상기 소금공급부는, 상기 하부배출구에 외접하게 회전되며 상기 하부배출구를 밀폐하는 회전체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의 외측면에서 상기 하부배출구를 통과하는 회전궤적상에 소정의 형상으로 내측으로 패여진 정량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배출구로 배출되는 소금이 상기 정량수용홈에 수용되었다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은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는, 상기 소금건조부는, 상기 열원체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열원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있는 덕트가 더 구비되되, 상기 덕트는, 내부의 열기 및 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환풍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열원체는, 가열되는 경우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원적외선 세라믹체와, 상기 원적외선 세라믹체를 가열할 수 있는 열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는 소금 건조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의 노고를 줄이고 짧은 시간에 다량의 소금을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일정량의 소금만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이송컨베이어로 공급할 수 있는 소금공급부를 구비하여 건조된 소금에 대한 품질의 일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송컨베이어 및 복사열을 이용하여 소금을 순차적으로 건조시킴으로써 외부의 이물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소금을 건조시켜 건조된 소금의 품질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의 주요부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 주요부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의 주요부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 주요부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는 소금저장호퍼(10)와, 소금공급부(20)와, 이송컨베이어(30)와, 소금펼침막(40)과, 소금건조부(50)와, 제어부(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금저장호퍼(10)는 상부투입구(11)로 투입되는 소금(S)을 내부에 저장하였다가 하부배출구(12)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통상적인 호퍼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상광하협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배출구(12)는 상기 소금공급부(20)의 회전체(21)에 의해 밀폐되게 된다.
상기 소금공급부(20)는 소금(S)을 정해진 양만큼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이송컨베이어(30)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회전체(21)가 구비되고, 정량수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21)는 상기 소금저장호퍼(10)의 하부배출구(12)로 소금이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배출구(12)를 밀폐하는 구성으로 상기 하부배출구(12)에 외접하게 회전되며 상기 하부배출구(12)를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체(21)는 상기 하부배출구(12)를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배출구(12)에 외접하게 회전되는데 그 형상으로는 구형, 원통형 등을 고려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작의 편의상 원통형으로 형성하였고 원통형의 양면에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211)을 구비하였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체(21)를 상기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체구동수단(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고, 상기 회전체구동수단(미도시)은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되며 결국 후술할 정량수용홈(22)을 통한 상기 이송컨베이어(30)로의 소금(S) 배출 속도가 조절된다 할 것이다.
상기 정량수용홈(22)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로(30)로의 정해진 양의 소금(S)을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회전체(21)의 외측면에서 상기 하부배출구(12)를 통과하는 회전궤적상에 소정의 형상으로 내측으로 패여져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21) 및 상기 정량수용홈(22)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회전체(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정량수용홈(22)에 소금(S)이 수용되었다가 하부로 배출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30)로 소금(S)을 상기 정량수용홈(22)의 부피에 해당하는 양만큼 상기 회전체(21)의 회전속도에 비례하는 간격으로 소금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소금공급부(20)의 구성으로 인하여 많은 양의 소금(S)이 한꺼번에 건조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량씩 순차적으로 건조됨으로써 건조된 소금에 대한 품질의 일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컨베이어(30)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소금공급부(20)의 하부로 배출되는 소금을 받아 일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드럼(32)에 감긴 벨트(31)에 의해 상부에 위치한 물체를 일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3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벨트(31)의 재질은 상부에 소금(S)이 놓이고 그 상부에 위치되는 후술할 열원체(51)에 의해 소정 온도의 복사열을 받으므로 화학적 비활성 및 내열성의 특징을 동시에 갖는 불소와 탄소의 강력한 화학적 결합으로 인해 매우 안정된 화합물인 테프론(Teflon)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31)에는 상기 회전드럼(32)과 접촉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된 가이드돌기(311)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드럼(32)에는 외주연을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311)가 삽입 지지될 수 있는 형상으로 패여진 가이드홈(3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벨트(31)가 상기 회전드럼(32)에 의해 순환되는 경우 좌우방향으로 미끌리며 요동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벨트(31)에 돌출된 가이드돌기(311)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드럼(32)에 요입된 가이드홈(321)을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회전드럼(32)에 돌출된 가이드돌기(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31)에 요입된 가이드홈(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31)의 길이방향의 좌우측에는 상기 벨트(31) 상에 놓여지는 소금(S)이 상기 벨트(31)의 좌우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벨트(31)의 좌우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턱(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송컨베이어(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구동수단(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고, 상기 컨베이어구동수단(미도시)은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구동속도가 제어되며 상기 소금(S)의 이송 속도가 조절되게 된다.
상기 소금펼침막(4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30)로 이송되는 소금(S)이 상기 이송컨베이어(30) 상에 납작하게 펼쳐진 상태로 상기 소금건조부(50)를 통과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소금(S)이 상기 소금건조부(50)를 통과하기 전의 위치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30)의 상부에 소정 높이의 소금통과틈새(t)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소금펼침막(40)을 통과한 소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컨베이어(30) 상에 납작하게 펼쳐진 상태로 상기 소금건조부(50)를 통과됨으로써 상기 소금(S)의 균일한 건조 및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소금건조부(5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30)를 따라 이송되는 소금(S)을 건조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이송컨베이어(30)의 상부에 상기 이송컨베이어(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데 열원체(51)와, 덕트(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원체(51)는 상기 이송컨베이어(30)를 따라 이송되는 소금을 향하여 소정 온도의 복사열을 방사하여 복사열에 의해 소금을 건조시키는 구성으로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소금건조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데 각각의 상기 열원체(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되는 경우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원적외선 세라믹체(511)와, 상기 원적외선 세라믹체(511)를 가열할 수 있는 열선(5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열원체(51)는 내부에 열선(512)이 내장된 원적외선 세라믹체(511)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덕트(52)의 내부에 수용되는데, 상기 열선(512)을 통한 상기 원적외선 세라믹체(511)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소금(S)이 타버릴 염려가 있고, 반대로 상기 원적외선 세라믹체(511)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소금(S)의 건조가 충분히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에 100℃ 내외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열원체(51)의 온도는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열원체(51)가 복수개로 구비되기 때문에 처음부터 소금(S)에의 급격한 복사열의 방사를 방지하고자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열원체(51)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의 온도를 상기 열원체(51)의 배열순서에 따라 각각 순차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이송컨베이어(30)를 따라 이송되는 소금(S)의 본격적인 건조 전에 예열 단계를 거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덕트(52)는 상기 열원체(51)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환풍수단(521)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덕트(52)는 상기 열원체(51)가 상기 이송컨베이어(30)의 상부에 상기 이송컨베이어(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상기 열원체(51)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인 것으로, 고온을 갖는 상기 열원체(5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상기 열원체(51)가 외부공기와 직접 접촉되어 공냉됨으로써 상기 열원체(51)의 온도유지를 위해 소요되는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환풍수단(5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덕트(52)가 상기 열원체(51)를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상기 열원체(51)의 온도유지를 도모하는 역할을 하지만, 그와는 별개로 소금(S)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수증기가 상기 덕트(52)의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이러한 내부의 열기 및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환풍수단(521)으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덕트(52)의 일단부로 내부의 열기 및 습기를 강제로 배출할 수 있도록 환풍팬(521)을 구비하였고 상기 덕트(52) 소정 위치에 복수개의 통기공(521')을 형성하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강제 환풍을 하지 않더라도 자연 환풍을 할 수 있는 다른 개구부 또는 통기공을 형성함으로써도 상기 환풍수단(521)의 목적은 달성될 수 있다 할 것이고, 상기 환풍팬(521)에 있어서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52)의 일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덕트(52)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소금공급부(20)의 회전체(2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30)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소금건조부(50)의 열원체(51)의 온도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어부(60)는 소금(S)의 건조 품질을 고려하여 소금(S)의 양에 따른 소금(S)의 건조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소금공급부(20), 상기 이송컨베이어(30) 및 상기 소금건조부(50)가 상호 연동되며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소금건조부(50)의 열원체(51)에서 방사되는 복사열의 온도를 100℃로 셋팅하고, 1시간당 60kg으로 소금을 건조한다고 계획하였을 때 상기 소금공급부(20)의 상기 정량수용홈(22)의 소금수용부피에 따라 상기 회전체(21)의 회전속도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30)의 이송속도가 연관되어 제어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60)를 제어함으로써 그에 따라 건조되는 소금의 건조 품질을 살펴봄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의 최적의 작동 조건을 찾아낼 수 있다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 소금
10 소금저장호퍼
11 상부투입구
12 하부배출구
20 소금공급부
21 회전체
22 정량수용홈
30 이송컨베이어(벨트 컨베이어)
31 벨트
311 가이드돌기
32 회전드럼
321 가이드홈
40 소금펼침막
50 소금건조부
51 열원체
511 원적외선 세라믹체
512 열선
52 덕트
521 환풍수단(환풍팬)
521' 통기공
60 제어부

Claims (5)

  1. 삭제
  2. 상광하협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투입구로 투입되는 소금을 내부에 저장하였다가 하부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소금저장호퍼와; 상기 소금저장호퍼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배출구로 배출되는 소금을 받아 소정량씩 하부로 배출하는 소금공급부와; 상기 소금공급부의 하부로 배출되는 소금을 받아 일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소금을 향하여 소정 온도의 복사열을 방사할 수 있는 열원체가 구비된 소금건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금공급부는, 상기 하부배출구에 외접하게 회전되며 상기 하부배출구를 밀폐하는 회전체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의 외측면에서 상기 하부배출구를 통과하는 회전궤적상에 소정의 형상으로 내측으로 패여진 정량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배출구로 배출되는 소금이 상기 정량수용홈에 수용되었다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
  3. 상광하협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투입구로 투입되는 소금을 내부에 저장하였다가 하부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소금저장호퍼와; 상기 소금저장호퍼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배출구로 배출되는 소금을 받아 소정량씩 하부로 배출하는 소금공급부와; 상기 소금공급부의 하부로 배출되는 소금을 받아 일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소금을 향하여 소정 온도의 복사열을 방사할 수 있는 열원체가 구비된 소금건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소금이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에 납작하게 펼쳐진 상태로 상기 소금건조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소금이 상기 소금건조부를 통과하기 전의 위치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소정 높이의 소금통과틈새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소금펼침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건조부는, 상기 열원체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열원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있는 덕트가 더 구비되되,
    상기 덕트는, 내부의 열기 및 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환풍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열원체는, 가열되는 경우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원적외선 세라믹체와, 상기 원적외선 세라믹체를 가열할 수 있는 열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엔드리스 형태의 벨트와, 회전되며 상기 벨트를 순환시키는 한 쌍의 회전드럼이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되되,
    상기 벨트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드럼과 접촉되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벨트가 순환되는 경우 좌우방향으로 미끌리며 요동되지 않도록 외주연을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 지지될 수 있는 형상으로 패여진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
KR1020100012624A 2010-02-11 2010-02-11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 KR101149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624A KR101149613B1 (ko) 2010-02-11 2010-02-11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624A KR101149613B1 (ko) 2010-02-11 2010-02-11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19A KR20110092919A (ko) 2011-08-18
KR101149613B1 true KR101149613B1 (ko) 2012-05-29

Family

ID=4492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624A KR101149613B1 (ko) 2010-02-11 2010-02-11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6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392A (ko) 2014-06-12 2015-12-22 한규모 소금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금건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821A (ja) * 2002-01-30 2003-08-05 Hiwon Kan 食品,食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397755Y1 (ko) * 2005-04-15 2005-10-07 이상열 "원적외선"을 다목적 식품재료 및 사료에 투입, 발효·숙성 "마이크로파" 유전가열 고속건조 분말재료 및 사료생산 종합시스템
KR100842364B1 (ko) * 2007-03-09 2008-07-01 (주)미동이엔지 누룽지 제조장치
KR20100002937A (ko) * 2008-06-30 2010-01-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소금 분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821A (ja) * 2002-01-30 2003-08-05 Hiwon Kan 食品,食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397755Y1 (ko) * 2005-04-15 2005-10-07 이상열 "원적외선"을 다목적 식품재료 및 사료에 투입, 발효·숙성 "마이크로파" 유전가열 고속건조 분말재료 및 사료생산 종합시스템
KR100842364B1 (ko) * 2007-03-09 2008-07-01 (주)미동이엔지 누룽지 제조장치
KR20100002937A (ko) * 2008-06-30 2010-01-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소금 분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392A (ko) 2014-06-12 2015-12-22 한규모 소금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금건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19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433B1 (ko) 톱밥 건조 장치
GB2177187A (en) Infra-red web drier
PT2587203E (pt) Secador de tela de transporte
KR101149613B1 (ko) 컨베이어식 소금 건조 장치
JP4848549B2 (ja) 食品ゴミの乾燥方法及び装置
US6487790B2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drying unpackaged food products, in particular vegetables
JP4097094B2 (ja) 穀粒乾燥装置
KR101708481B1 (ko) 적외선 건조장치
KR20150089180A (ko)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JP2011223934A (ja) 穀物の害虫駆除方法
KR102407456B1 (ko) 간접 가열 건조장치 및 저품위탄의 건조방법
JP2006056188A (ja) 樹脂ペレット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CZ20031549A3 (cs) Zařízení pro čištění a/nebo dekontaminaci polyesteru
CN205419086U (zh) 一种皮带传送装置
CN204070344U (zh) 一种食品烘干设备
KR20180051040A (ko) 급기 건조 특성을 가지는 컨베이어 타입 건조기
US707384A (en) Hominy, meal, and grits drier.
CN107873065A (zh) 模块式空气干燥机
KR0132682B1 (ko) 분립체의 건조 장치
JP4804214B2 (ja) 穀物乾燥装置
JP6206147B2 (ja) 穀物乾燥機
CN211177845U (zh) 一种多孔、易碎颗粒状产品的干燥设备
CN208349804U (zh) 一种智能化纤维干燥机
JPS61190279A (ja) 除湿乾燥機
RU2247909C1 (ru) Термодинамическая сушильная каме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