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228B1 - 화장실 장치 및 화장실 장치의 인체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실 장치 및 화장실 장치의 인체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228B1
KR100701228B1 KR1020057008521A KR20057008521A KR100701228B1 KR 100701228 B1 KR100701228 B1 KR 100701228B1 KR 1020057008521 A KR1020057008521 A KR 1020057008521A KR 20057008521 A KR20057008521 A KR 20057008521A KR 100701228 B1 KR100701228 B1 KR 100701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oilet
unit
detection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825A (ko
Inventor
모토미치 가토
히데히코 니타
도모코 이시다
겐지 요시나가
노부오 겐지
기요시 이자키
마사노리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2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장실 장치는 장해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부와 판정부를 갖는다. 판정부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측거부의 측정값을 비교하고, 측거부의 측정값이 임계값보다 작을 때는 인체 있음이라 판단한다. 이 임계값은 변경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해 넓은 화장실에 화장실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판정부의 임계값을 변경하여 크게 하면, 화장실에 들어온 사람을 바로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실 장치 및 화장실 장치의 인체 검출 방법{TOILET DEVICE THAT DETECTS HUMAN BODY, AND HUMAN BODY DETECTING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존재 위치를 바로 검지하는 화장실 장치와 인체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화장실 장치는 광센서에 의해 인체를 검출하였다.
도 19는 종래의 화장실 장치의 제 1 예를 나타낸다. 이 화장실 장치는 본체(81)와 본체(81)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변기 시트(82)와 커버(83)를 갖는다. 본체(81)내에는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와 커버(83)의 개폐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센서 유닛(84)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83)와 변기 시트(82)에는 센서 유닛(84)의 투광/수광하는 적외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85)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 유닛(84)은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면, 제어 회로에 신호를 보내고, 커버(83)의 개폐 장치를 동작시켜서 커버(83)를 자동적으로 개방한다. 또한, 센서 유닛(84)은 사람이 없다는 것을 검출하면, 제어 회로에 신호를 보내고, 개폐 장치를 동작시켜서 커버(83)를 자동적으로 폐쇄한다. 이러한 화장실 장치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299644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화장실 장치를 설치하는 화장실의 구조나 넓이는 여러 가지이다. 그에 반하여,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검출 거리가 일정하다. 이 때문에, 모든 사용자에게 기분 좋은 사용감을 부여할 수 없다. 이것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다.
화장실은 건축상의 이유 등으로 구조나 넓이가 다양하고, 본체로부터 벽이나 도어까지의 거리는 변기 시트 선단 방향에 대하여, 좁은 경우에 40㎝ 이하, 넓은 경우에는 2m 이상이 상정된다. 한편, 센서의 검출 거리는 벽이나 도어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경우를 상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왜냐하면 검출 거리가 벽이나 도어보다 멀면, 벽이나 도어를 인체라고 판단해 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출 거리는 본체로부터 30㎝ 부근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설정에서는 넓은 화장실의 경우에 화장실 장치에 꽤 가까이 가지 않으면 인체는 검출되지 않는다.
인체를 검출하여 작동하는 기능 중 하나로 커버(83)의 자동 개폐 기능이 있다. 이 기능에 의해, 인체를 검출하면 커버(83)가 개방되고, 또한 일정 시간, 인체를 검출하지 않으면 커버(83)가 폐쇄된다. 커버(83)가 자동으로 개방됨으로써, 허리를 굽혀서 커버(83)를 여는 신체적 부담이 경감된다. 혹은, 위생상의 이유로 커버(83)에 접촉하고 싶지 않은 사람의 정신적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커버(83)가 자동으로 폐쇄됨으로써, 비사용시의 외관이 안정적이고, 난방 변기 시트의 방열이 억제되어 소비 전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장실에 들어갔을 때에 커버(83)가 개방되기를 바란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실 장치에서는, 화장실 장치 꽤 가까이 가지 않으면 인체를 검출하여 커버(83)가 개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특히 넓은 화장실에 있어서는 기분 좋은 사용감을 얻을 수 없다.
도 20은 종래의 화장실 장치의 제 2 예를 나타낸다. 이 화장실 장치에서는 광 센서(91)에 의해 인체를 검출하고, 광 센서(96A, 96B)에 의해 커버(93)의 개폐 상태를 검출한다. 이 양자의 검출값에 의해 변기 시트(92)로의 인체의 착좌/비착좌를 판정한다. 이러한 화장실 장치는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93-7128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변기 시트(92)를 개폐 동작하는 도중에 변기 시트(92)가 센서(91)의 전방을 통과하면, 센서(91)는 변기 시트(92)에 사용자가 착좌하고 있다고 오판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남성의 소변시나 청소 등의 때에 변기 시트(92)를 개방 혹은 폐쇄 동작시키는 경우에 이러한 오판정이 발생한다.
변기 시트(92)에 사용자가 착좌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이렇게 오판정하면, 예컨대 화장실내의 청소 중에 화장실 장치의 조작부(97)에 접촉하여 세정 노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되는 등의 각 기능의 동작이 실행된다. 이로써 세정수가 얼굴에 묻거나, 세정수가 주위로 날리거나 한다. 또한, 착좌 검지에 의한 탈취 기능의 자동 개시나 절전 모드의 해제 등이 실행되어, 전력을 낭비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오판정해도, 사용자가 존재할 때 오판정해도 문제가 생긴다. 즉, 사용자의 존재 위치와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으면, 화장실 장치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화장실 장치는 장해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부와 판정부를 갖는다. 판정부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측거부의 측정값을 비교하고, 측거부의 측정값이 임계값보다 작을 때는 사람 있음이라 판단한다. 이 임계값은 변경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제어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폐쇄 상태에서의 변기 시트 상태 인식부의 전기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개방 상태에서의 변기 시트 상태 인식부의 전기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화장실 장치의 변기 시트로의 사용자의 착좌/비착좌 상태에 있어서의 착좌 검출부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변기 시트를 개폐시켰을 때의 착좌 검출부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다른 변기 시트의 상태 인식부의 전기 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종래의 화장실 장치의 사시도,
도 20은 종래의 다른 화장실 장치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행하는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이루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일 제어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체(1)는 인체 국부에 온수를 분출하는 세정수 분출부(2)를 갖는다. 본체(1)에는 변기 시트(3)와 커버(4)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또한 장해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부(5)가 장착되어 있다. 리모콘 장치(6)는 화장실 장치의 본래 기능(예컨대, 세정 기능, 건조 기능, 탈취 기능, 변기 시트 난방 기능)에 대응하는 조작부나 표시부를 갖고 본체(1)에 신호를 보낸다. 판정부(7)는 측거부(5)에 의해 측정한 장해물까지의 거리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이하의 경우에 화장실에 사람이 입실했다고 판정한다.
(장해물까지의 거리) ≤(임계값) …①
또한, 판정부(7)의 임계값은 변경 가능하다.
본체(1)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박스체이고, 세정수 분출부(2)는 수지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노즐이다. 변기 시트(3)와 커버(4)는 수지, 금속,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측거부(5)는 예컨대 적외선 등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그 반사광을 수광하는 광 센서로 이루어지고, 판정부(7)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3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장실에 사람이 입실하면, 측거부(5)로부터 발생된 광이 사람에게 반사되어 측거부(5)에 입사한다. 이 발광에서부터 수광까지의 시간으로부터 측거부(5)는 사람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S1). 측거부(5)는 그 측정값을 판정부(7)에 보낸다. 판정부(7)는 그 측정값과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식 ①에 기초하여, 화장실에 사람이 입실하였는지를 판정한다(S2). 또한, 사람이 입실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측거부(5)로부터 발생된 광은 화장실의 벽 등에 반사되어, 식 ①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 경우, 처리는 S1로 돌아가고, 측거부(5)는 계속해서 거리를 측정한다.
화장실에 사람이 입실했다고 판정부(7)가 판정하면(S3), 커버 구동부(21)가 동작하여 커버(4)를 개방한다(S4).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허리를 굽혀서 손으로 커버(4)를 개방할 필요가 없고, 그대로 화장실 장치에 걸터앉을 수 있다. 즉, 허리를 굽혀서 커버(4)를 개방하는 신체적 부담이 경감된다. 한편, 화장실로 들어가는 것 만으로 자동적으로 커버(4)가 개방되면, 위생상의 걱정때문에 커버 (4)에 접촉하고 싶지 않은 사람의 정신적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판정부(7)가 일정 시간 사람을 검출하지 않으면, 사람이 없다고 판정하고, 커버 구동부(21)를 동작시켜서 커버(4)를 폐쇄하면 좋다. 커버(4)를 자동으로 폐쇄함으로서, 비사용시의 외관이 안정적이고, 난방 변기 시트[변기 시트(3)의 표면을 데우는 기능]의 방열이 억제되어 소비 전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커버 구동부(21)는 예컨대 모터와 기어의 조합이나, 모터에 의한 다이렉트 구동, 펌프와 댐퍼의 조합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에 사람이 입실했다고 판정부(7)가 판정하면 탈취부(22)나 난방부(23) 등 외에 사용자를 쾌적하게 하는 기능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판정부(7)의 임계값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 임계값은 가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실의 크기나 구조는 여러 가지로, 예컨대 화장실 장치로부터 도어까지가 먼 화장실(즉 넓은 화장실)이면, 사용자가 화장실로 들어가고, 화장실 장치에 꽤 가까이 가지 않으면 판정부(7)는 인체를 검출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화장실에 들어가서 바로 커버(4)가 개방되면 좋지만, 화장실 장치에 꽤 가까이 가지 않으면 커버(4)가 자동으로 개방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기분 좋은 사용감을 부여받지 않는다. 따라서, 화장실 장치로부터 벽이나 도어까지가 먼 화장실에 설치하는 경우는, 임계값을 변경하여 크게 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화장실로 들어가 바로 커버(4)가 열리고 기분 좋은 사용감이 얻어진다. 역으로 벽이나 도어가 가까운 경우나 측거부(5)에 반응하는 장해물이 있는 화장실에서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임계값을 작게 하면 좋다.
또한, 측거부(5)는 적외선 등의 광을 조사하여 물체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거리를 검출하는 광 센서로 구성함으로써 저가로 구성된다. 또한, 초음파의 반사를 이용하는 초음파 센서로 구성함으로써, 의복에 의한 반사율의 차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양호한 검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거무스름한 의복에서는 광의 반사율이 낮고, 검출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지만, 이러한 오류 검출이 방지된다. 초전도 센서로 구성함으로써, 실온보다 온도가 높은 물체에만 반응하기 때문에, 인체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측거부(5)는 화장실 장치에 대향하여 우측방에 설치하도록 도시하고 있지만, 좌측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특히 화장실의 도어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하면 검출 정밀도가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측거부(5) 자체를 화장실에 따라 위치 변경할 수 있으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실의 도어는 화장실 장치의 정면에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측거부(5)는 화장실 장치의 본체(1)의 대략 중앙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커버(4)를 폐쇄한 상태에서 측거부(5)가 커버(4)를 사용자로 오검지하지 않도록, 커버(4)에 노치를 설치하여, 커버(4)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측거부(5)로부터의 빛 등이 커버(4)에서 반사되지 않도록 한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리모콘 장치의 구성도이다. 판정부(7)는 표시부(8), 전환부(9), 캘리브레이션부(10), 기억부(11)를 갖는다. 또한, 화장실 장치의 본래 기능(예컨대, 세정 기능, 건조 기능, 탈취 기능, 변기 시트 난방 기능)에 대응하는 조작부나 표시부는 생략하고 있다.
다음으로,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판정부(7)는 복수의 임계값을 갖고, 전환부(9)의 조작에 의해 그것들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공장 출하시에 임계값은 가장 작은(가까운)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초기 상태에서는 가장 좁은 화장실에서도 벽이나 도어를 사람으로 오검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화장실 장치를 넓은 화장실에 설치한 경우 등, 사람이 화장실에 들어왔을 때에 좀 더 앞에서 자동적으로 커버(4)를 개방하고 싶은 경우에는, 전환부(9)에 의해 임계값을 더 큰(먼) 값으로 변경한다. 이로써, 인체를 검출하는 거리가 멀어지고, 이른 단계에서 커버(4)가 개방된다. 이렇게 하여 화장실의 넓이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간단히 커버(4)가 개방되는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다.
표시부(8)는 복수의 임계값 중에서 현재 유효한 임계값을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현재의 설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새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근」 「중」 「원」이라는 3단계의 임계값이 LED 등의 표시 소자를 이용하여 표현되어 있다. 여기서, 임계값을 더 많게 하면 세밀한 설정이 가능해지고, LED 등의 표시 소자가 아니고, 액정 등의 인디케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전환부(9)로의 전환을 지시하기 위해서는, 누를 때마다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버튼이나 스위치의 복수 가압 방식을 설치하거나, 회전 손잡이(회전 볼륨)나 슬라이드 볼륨을 설치해도 좋다. 이것들에 의해 임계값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볼륨식의 경우는, 볼륨 손잡이의 위치로부터, 현재 유효한 임계값이 대략 짐작되는 점에서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임계값을 많이 하여 체감상 무단계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캘리브레이션부(10)를 이용한 임계값의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장실에 화장실 장치를 설치한 시점에서 캘리브레이션부(10)를 동작시키면, 그 시점에서 측거부(5)가 측정한 장해물까지의 거리를 기초로 임계값을 설정한다. 통상은 화장실의 벽 혹은 도어까지의 거리를 기초로 임계값이 설정된다. 장해물까지의 거리[측거부(5)가 측정한 거리]와 임계값의 관계는
(임계값)=(장해물까지의 거리)-(여유값)으로 해야 하고, 구체적으로는 여유값은 10㎝ 정도가 적절하지만, 이것은 측거부(5)의 측정 정밀도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계값으로는 판정부(7)가 갖는 복수의 값중에서 상기 측정값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부(10)의 동작 방법으로는 전용의 버튼이나 스위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래는 다른 용도로 이용하는 버튼이나 스위치에 대하여 특수한 조작을 설정하여도 좋다. 예컨대 버튼이나 스위치의 복수 동시 조작 등에 의해 캘리브레이션부(10)를 동작시킨다. 이상과 같이, 캘리브레이션부(10)에 의해 실제의 화장실에 맞추어 적절한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밀하고 사용감이 좋은 검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현재 유효한 임계값은 비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 기억부(11)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모콘 장치(6)측에 임계값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는 전지 소모시나 전지 교환시에, 본체(1)측에 임계값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는 정전시나 콘센트 인발시에 임계값이 초기화된다. 기억부(11)에 의해 현재 유효한 임계값을 유지하면, 사용자가 하나하나 임계값을 설정해 고치지 않으면 안되는 번잡함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표시부(8), 전환부(9), 캘리브레이션부(10), 기억부(11)는 판정부(7)에 설치하고, 리모콘 장치(6)에 배치한다. 이것은 임계값을 설정할 때에 작업자 자신이 장해물로 검출되지 않도록 측거부(5)의 검출 영역으로부터 떨어질 필요가 있고, 그러한 경우에도 원격으로 설정 조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판정부(7)를 화장실 장치에 설치하고, 표시부(8), 전환부(9), 캘리브레이션부(10), 기억부(11)는 판정부(7)와 함께 화장실 장치에 설치하여도 좋다. 표시부(8), 전환부(9), 캘리브레이션부(10), 기억부(11)의 전부 혹은 일부를 별도의 장소[예컨대 화장실 장치에서 판정부(7)와는 별도의 장소나, 리모콘 장치(6)]에 설치해도 좋다. 특히, 표시부(8), 전환부(9), 캘리브레이션부(10)는 사람에 의한 시인이나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리모콘 장치(6)에 설치하면 취급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화장실의 상황이 변화되는 것은 통상은 리폼이나 이사를 할 때뿐이며, 그 빈도가 적기 때문에, 화장실 장치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보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해도 좋다. 혹은 리모콘 장치(6)에 있어서 보기 어려운 장소, 예컨대 이면이나 커버 구조를 설치한 내부에 설치하면 외관이 깔끔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전환부(9)와 캘리브레이션부(10)는 동시에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고, 필요한 쪽만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판정부(7)의 인체 검출에 의한 커버(4)의 자동 개폐에 부가하여, 리모콘 장치(6)에 수동 지시에 의해 커버(4)를 전동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 개폐 스위치(12)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동일하게 수동 지시에 의해 변기 시트(3)를 전동 개폐시키기 위한 변기 시트 개폐 스위치(13)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는, 커버 개폐 스위치(12)에 의해 커버(4)의 폐지 지시가 있었던 경우는, 판정부(7)가 인체를 검출하고 있어도, 커버(4)는 자동 개방하지 않고, 커버 개폐 스위치(12)로부터의 커버 폐지 지시를 우선시키면 된다. 이것은 예컨대, 화장실 장치의 청소나 손질을 실행할 때에, 마음대로 커버(4)가 개방되는 것을 억제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한번 있었던 커버 폐지 지시는 영구히 유효로 하지는 않고, 일정 시간 후(예컨대 5분후)에는 커버 폐지 지시를 무효로 하며, 판정부(7)의 인체 검출 대기 상태로 한다. 이로써 다음 사람이 용변 때문에 화장실에 들어와도 통상대로 커버(4)가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또한, 커버 폐지 지시의 무효화는 일정 시간 경과후에 실행하는 방법 이외에, 커버 폐지 지시후의 인체의 비검출시에 실행하는 방법이어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착좌 제어에 관한 동작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는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부가하여, 본체(1)에 착좌 검출부(이하, 검출부)(33), 착좌 판정부(이하, 판정부)(34), 변기 시트 상태 인식부(이하, 인식부)(35), 착좌 판정 설정부(이하, 설정부)(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박스(37)가 본체(1)에 접하도록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박스(37)상에는 설정 전환 버튼이 배치되고, 세정수 분출부(2)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온도 설정 등의 각종 설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광 센서나 초음파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검출부(33)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측거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착좌/비착좌를 검출한다. 즉, 비착좌시는 소정 거리내에 장해물이 없으므로 비착좌라고 검출한다. 착좌시는 소정 거리내에 인체가 가까이 가므로 착좌라고 검출한다.
도 7, 도 8은 인식부(35)의 구성을 도시한다. 인식부(35)는 스위치(38), 전원(39), 개폐 검지 제어부(이하, 제어부)(40)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변기 시트(3)가 폐쇄 상태일 때를 나타내고 있고, 이 때 스위치(38)는 폐쇄되어 있으며, 전원(39)에 의해 전류가 회로상을 흐르고 있는 것을 제어부(40)가 검지한다. 한편,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시트(3)가 개방된 상태가 되었을 때, 스위치(38)가 열려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제어부(40)가 검지한다.
판정부(34)는 검출부(33)와 인식부(35)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착좌/비착좌를 판정한다. 설정부(36)에서는 판정부(34)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만 착좌/비착좌의 판정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설정한다.
도 9는 변기 시트(3)로의 사용자의 착좌/비착좌 상태에 의한 검출부(33)의 특성도이다. 도 10은 변기 시트(3)를 개폐 상태로 했을 때의 검출부(33)의 특성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제어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부(33)에 물체가 가까이 가면, 검출부(33)의 검출값이 커지고, 검출부(33)로부터 물체가 떨어지면, 검출부(33)의 검출값은 작아진다. 사용자가 변기 시트(3)에 착좌하는 경우, 검출부(33)는 사용자를 검출하고, 근접물이 있다는 것을 검지한다(S11, S12). 이 경우, 변기 시트(3)는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인식부(35)는 변기 시트가 폐쇄되어 있다는 것을 검지한다(S13, S14). 따라서 판정부(34)는 착좌라고 판정한다(S15).
이에 반하여, 예컨대 남성의 소변시나 청소를 위해 변기 시트(3)가 개방되는 경우, 검출부(33)는 변기 시트(3)를 검출함으로써 근접물이 있다는 것을 검지한다(S11, S12). 이 모양을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변기 시트(3)가 검출부(33)의 전방을 가로지를 때에 검출부(33)의 근방을 차단한다. 이 때문에 검출값이 커지고, 검출부(33)는 근접물 있음으로 검지한다. 한편, 인식부(35)는 변기 시트(3)가 폐쇄 상태가 아닌 것을 확인하기 때문에, 변기 시트 개방이라고 검지한다(S13, 14). 그리고 검출부(33)와 인식부(35)의 판정 결과는 곧 판정부(34)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검출부(33)와 인식부(35)의 검지 결과가 다른 경우, 판정부(34)는 2개의 검지 결과로부터 비착좌라고 판정한다(S16). 이로써, 오판정을 해소한다.
또한, 인식부(35)의 다른 구성을, 도 12의 전기 회로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인식부(35)는 변기 시트(3)의 개폐에 의해 연동하여 동작하는 자석(41)과 코일(42)과 제어부(40)를 갖는다. 자석(41)은 코일(42)의 원형상부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코일(42)의 양단과 접속되어, 전류의 흐름과 방향을 검지한다.
변기 시트(3)의 개폐 동작 중에는, 자석(41)이 코일(42)내를 통과하여, 전자 유도에 의해 전류가 발생한다. 발생된 전류는 제어부(40)에 의해 검출되고, 개폐 동작을 인식함으로써, 변기 시트(3)의 개폐를 검지한다.
제어부(40)는 전류의 방향에 의해 개방 동작인지 폐쇄 동작인지의 판별도 실행할 수 있다. 개방 혹은 폐쇄 동작의 인식이 가능하면, 각각의 상황에 적절한 서비스를 위생 세정 장치가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개방 동작을 검출했을 때, 남성의 소변시나 청소를 상정하고, 변기에 오물이 부착되는 것을 예방하는 약품 등을 흘리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폐쇄 동작을 검출했을 때, 변기내의 탈취를 위해 탈취부(22) 등을 동작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인식부(35)는 상기 이외에 변기 시트(3)의 회전을 인식하는 각도 검출 센서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변기 시트(3)가 전동에 의해 자동 개폐 동작하는 경우, 자동 개폐 동작을 위한 구동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변기 시트(3)의 개폐를 검지한다. 이와 같이 인식부를 구성해도 동일하게 착좌의 오검지를 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설정부(36)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정부(36)에 의해, 검출부(33)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만 착좌/비착좌의 판정을 실행할지 여부가 설정된다. 설정부(36)의 설정은 조작 박스(37)상의 설정 전환 버튼 등에 의해 실행된다.
검출부(33)와 인식부(35)에 의해 착좌 판정하는 경우, 변기 시트(3)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판정부(34)는 비착좌라고 판정하므로, 청소나 착좌 판정시에만 작동하는 기능의 동작 확인을 실행할 수 없다. 예컨대, 판정부(34)가 착좌라고 판정했을 때만 세정수 분출부(2)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되지만, 변기 시트(3)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경우, 판정부(34)는 비착좌라고 판정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수 분출부(2)의 동작 확인을 실행할 수 없다.
그러나, 설정부(36)를 이용하여, 인식부(35)의 검지 결과에 관계없이 검출부(33)의 검지 결과만으로 착좌 판정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변기 시트(3)를 개방 상태로 했을 때, 판정부(34)가 착좌라고 판정한다. 즉, 도 11에 있어서 S14를 스킵한다. 이 때문에, 세정수 분출부(2)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되어, 동작 확인을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가 변기 시트(3)에 착좌하지 않는 경우에도 착좌라고 판정하는 경우가 있는 검출부(33)에 대하여, 변기 시트(3)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인식부(35)를 이용하고 있다. 그 결과, 착좌/비착좌의 오판정이 방지된다. 이로써, 화장실의 청소중에 위생 세정 장치의 조작부에 닿아서 세정수 분출부(2)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되는 등의 각 기능의 동작이 실행되어 청소를 방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비사용시에 오동작에 의한 전력 낭비가 방지된다. 또한, 설정부(36)를 설치함으로써, 수리나 동작 확인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착좌 판정에 관련하여, 비착좌 상태에 있어서 착좌를 오판정하며, 그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도 겸하여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실 즉시, 사용자를 쾌적하게 하는 다른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판정부(7), 판정부(34), 설정부(36)는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검출부(33)와 측거부(5)를 1개의 센서로 겸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양쪽 기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센서의 설치 위치, 방향을 적절하게 한다. 즉, 센서를 도 5와 같이 설치하는 경우는, 도어가 변기 시트(3)의 전방으로 되도록 한다. 또한, 센서를 변기 시트(3)의 측부에 설치할 수도 있고, 그 경우는, 변기 시트(3)에 대하여, 도어가 센서를 설치한 반대측으로 되도록 한다.
또한, 실시 형태 1 고유의 구성없이,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작용·효과를 발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 형태 4)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동일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는,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부가하여, 본체(1)에 착좌 검출부(이하, 검출부)(33), 착좌 판정부(이하, 판정부)(52), 커버 폐쇄 동작 검출부(이하, 검출부)(5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검출부(33)는 실시 형태 3과 동일한 구성으로 본체(1)의 전방에 설치되고, 본체(1) 전방의 인체의 유무를 값으로서 검출한다. 검출부(54)는, 예컨대 실시 형태 3과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 변기 시트 상태 인식부와 동일한 구성에 의해, 변기 시트(3)를 대신하여 커버(4)로 자석(41)을 이동시키며, 커버(4)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한다. 검출부(54)는 커버(4)가 폐쇄 동작 중인지 여부를 검지하는 커버 상태 검출부이다. 판정부(52)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검출부(33)와 검출부(54)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변기 시트(3)상의 인체의 유무, 즉 착좌/비착좌를 판정한다. 커버 구동부(21)는 판정부(52)에 의해 사람 없음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커버(4)를 닫고, 사람 있음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커버(4)를 개방한다. 또한, 커버(4)를 폐쇄하는 동작은, 판정부(7)가 입실자 있음이라고 판정하고 나서 소정 시간(사용자가 입실하고 나서 착좌하는 시간에 상당) 금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화장실 장치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화장실 장치의 사용자가 커버(4)를 개방한다(S21). 커버(4)의 개방 동작은 수동이어도 좋고, 스위치 등으로 커버 구동부(21)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실시 형태 1에 설명한 사용자의 입실을 검지하여 커버 구동부(21)에 의해 커버(4)를 개방할 수도 있다. 변기 시트(3)에 사용자가 걸터앉으면, 검출부(33)는 본체(1)의 전방의 인체를 값으로 하여 검출한다(S22). 이 모양은 실시 형태 3에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즉, 검출 영역에 존재하는 물체와의 거리에 의해 검출부(33)에 의한 검출값이 변화되고, 거리가 가까워지면 값은 크고, 거리가 멀어지면 검출값이 작아진다. 검출부(33)의 검출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면 근접물 있음이라고 검출된다(S23). 이 때 커버(4)는 개방된 상태이므로, 검출부(54)는 폐쇄 동작 없음을 검출한다(S24). 이것들에 의해, 판정부(52)는 인체 있음(착좌)이라고 판정한다. 판정부(52)가 착좌라 판단하면, 세정수 분출부(2)나 탈취부(22) 등, 사용자를 쾌적하게 하는 기능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화장실 장치의 사용을 마치고, 변기 시트(3)로부터 일어섰을 때, 커버(4)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 있다. 이 때 검출부(33)의 검출 영역에는 어떤 물체도 없기 때문에, 검출부(33)의 검출값은 작고 임계값 이하이다. 이 때의 검출부(33)의 검출값이 변화되는 모양은 실시 형태 3에서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즉, 커버(4)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검출부(33)의 검출 영역에 어떠한 물체도 없기 때문에 검출부(33)의 검출값은 작다. 커버(4)가 폐쇄 동작을 하여 검출부(33)의 검출 영역 위치에 없는 경우도 동일하게 검출부(33)의 검출값은 작다.
그러나, 커버(4)가 폐쇄 동작에 의해 검출부(33)의 검출 영역으로 들어가면, 검출부(33)는 커버(4)를 장해물로서 인식하기 때문에, 검출부(33)의 검출값이 커진다. 그리고, 계속해서 커버(4)가 폐쇄 동작하여 검출부(33)의 검출 영역 밖의 위치에 있는 경우는 검출부(33)의 검출 영역에 어떠한 물체도 없기 때문에 검출부(33)의 검출값은 작아진다. 커버(4)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동일하게 검출부(33)의 검출값은 작다.
이와 같이, 커버(4)가 폐쇄 동작을 계속하여 검출부(33)의 검출 영역으로 들어가면, 검출부(33)는 커버(4)를 검지하여 검출부(33)의 검출값이 커진다. 그리고 판정부(52)가 검출부(33)의 검출값만으로 비착좌를 판정하는 경우, 검출값이 임계값에 이르면, 판정부(52)는 착좌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커버 구동부(21)가 커버(4)를 폐쇄 동작하면, 커버(4)는 완전히 닫히지 않고 개방 동작이 시작된다. 즉, 사용자가 사용을 마치고 인체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판정부(52)는 인체 있음이라고 오판정하여, 커버(4)의 개방 동작이 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부(54)가 커버(4)의 폐쇄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는, 검출부(33)의 검출값이 임계값을 넘어도 검출부(33)의 검출값에 관계없이 판정부(52)는 인체 없음이라고 판정한다.
즉, 도 15에 있어서, 사용자가 일어서면, 검출부(33)는 비착좌를 검지한다(S22, S23). 이로써 판정부(52)는 비착좌라고 판정하고(S26), 커버(4)를 폐쇄하는 동작을 개시한다(S27). 여기서 검출부(33)가 커버(4)를 인식해도 (S22, 23), 검출부(54)가 커버(4)의 폐쇄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 판정부(52)는 비착좌라고 판정한다(S24, 26). 이 때문에 커버 구동부(21)는 커버(4)를 계속해서 폐쇄한다. 즉, 검출부(54)에서 커버(4)가 개폐 동작중임을 검지하면, 판정부(52)는 검출부(33)의 검출값에 관계없이 커버(4)의 개폐 동작을 그대로 계속한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가 화장실 장치의 사용을 마치고 판정부(52)에 의해 인체 없음이라고 판정되면 커버(4)는 폐쇄 동작을 개시한다. 그리고 검출부(54)가 커버(4)의 폐쇄 동작을 검출하고, 판정부(52)는 인체 없음이라고 판정하므로, 검출부(33)의 검출값은 변화되었다고 해도, 커버(4)는 폐쇄 동작을 계속하여 완전히 폐쇄된다. 이와 같이, 커버(4)의 오동작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부(54)에 의해 커버(4)의 폐쇄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는, 검출부(33)에 의해 커버(4)의 존재를 값으로서 검출한 다음 판정부(52)가 비착좌라고 판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검출부(54)에 의해 커버(4)의 폐쇄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는, 검출부(33)가 임계값 이상을 검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판정부(52)가 비착좌라고 판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검출부(33)가 값을 검출했다고 해도 그 값을 임계값 이하의 값으로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판정부(52)가 비착좌라고 판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어느 구성을 이용하여 검출부(33)가 물체를 검출하지 않으면, 판정부(52)가 비착좌라고 판정하도록 구성해도, 커버(4)는 폐쇄 동작을 계속하여 완전히 폐쇄될 수 있고, 커버(4)의 오동작이 방지된다.
또한, 화장실 장치가 탈취부(22)를 갖고, 커버(4)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은, 탈취부(22)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구성에 의해 커버(4)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탈취부(22)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소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커버(4)를 폐쇄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커버(4)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청소시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화장실 장치는 인체가 없는 상태에서, 커버(4)가 폐쇄 동작하여도 판정부(52)는 커버(4)를 인체로 오판정하는 일이 없이 커버(4)를 확실하게 폐쇄한다. 이로써, 커버(4)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 형태 4의 화장실 장치와 동일하지만, 커버 폐쇄 동작 검출부(54) 대신에 커버위치 검출부(이하, 검출부)(51)를 갖는 점이 상이하다.
검출부(51)는 커버(4)의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부(51)는 커버(4)가 폐쇄 동작중인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커버 상태 검출부이다. 이로써 커버(4)가 착좌 검출부(이하, 검출부)(33)의 검출 영역내에 있는지 아닌지가 확인된다. 커버(4)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내에 있을 경우, 검출부(33)의 검출값이 임계값을 넘어도 검출부(33)의 검출값에 관계없이, 착좌 판정부(이하, 판정부)(52)는 인체 없음(비착좌)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검출부(51)로는 광센서, 초음파 센서나 적외선 센서, 각도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검출부(51)를 각도 센서로 구성하고, 커버(4)의 본체(1)로의 설치 부분에 설치하고 있다. 검출부(51)를 광센서 등으로 구성하는 경우, 변기 시트(3)의 옆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화장실 장치의 사용을 마치고 판정부(52)에 의해 인체 없음이라고 판정되면 커버(4)는 폐쇄 동작을 개시한다. 그리고 검출부(51)에 의해 커버(4)의 위치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내에 있는 것을 인식하면, 판정부(52)는 인체 없음이라고 판정한다. 이 때문에, 검출부(33)의 검출값이 변화되어도, 커버(4)는 폐쇄 동작을 계속하여 완전히 폐쇄되고, 커버(4)의 오동작이 방지된다. 즉, 실시 형태 4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탈취부(22)의 연동에 의한 전력 낭비 방지나 청소시의 불편 해소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부(51)에 의해 커버(4)의 폐쇄 위치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내에 있는 경우는, 검출부(33)가 커버(4)를 값으로서 검출할 뿐만 아니라, 판정부(52)가 비착좌라고 판정한다. 또한, 커버(4)의 폐쇄 위치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에 있을 경우, 검출부(51)에 의해 검출부(33)가 임계값 이상을 검출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4)의 폐쇄 위치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에 있는 경우, 검출부(33)가 값을 검출하여도 그 값을 임계값 이하로 되도록 제어하거나, 검출부(33)가 물체를 검출하지 않도록 제어해도 좋다. 어느 구성에서도, 커버(4)는 폐쇄 동작을 계속하여 완전히 폐쇄할 수 있고, 커버(4)의 오동작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4)의 개방 동작 중에는 개방 동작을 우선시킨다. 이로써, 커버(4)의 개방 동작 중에 판정부(52)가 비착좌라고 판정하여 커버(4)가 폐쇄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검출부(51)에서 커버(4)가 개폐 동작중임을 검지하면, 판정부(52)는 검출부(33)의 검출값에 관계없이 커버(4)의 개폐 동작을 그대로 계속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화장실 장치는 인체가 없는 상태에서 커버(4)가 폐쇄 동작하여도 판정부(52)는 커버(4)를 인체라고 판정하지 않고 커버(4)를 확실하게 폐쇄한다. 이로써, 커버(4)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 형태 4의 화장실 장치와 동일하지만, 커버 폐쇄 동작 검출부(54)를 대신하여 커버 구동부(21)를 이용하는 점이 상이하다.
커버 구동부(21)는 통전됨으로써 커버(4)를 자동으로 개폐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구동부(21)에 통전되고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커버(4)가 착좌 검출부(이하, 검출부)(33)의 검출 영역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커버 구동부(21)는 커버(4)가 폐쇄 동작 중인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커버 상태 검출부로도 기능한다. 커버(4)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내에 있는 경우, 검출부(33)의 검출값이 임계값을 넘어도 검출부(33)의 검출값에 관계없이, 착좌 판정부(이하, 판정부)(52)는 인체 없음(비착좌)이라고 판정한다. 커버 구동부(21)는 커버(4)와 본체(1)를 연결하는 축(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동부(도시하지 않음)이다. 판정부(52)는 커버 구동부에 통전되고 있는지와, 그 전류의 방향으로부터 커버(4)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커버(4)가 폐쇄 동작 중인지를 검출한다.
이 구성에 의해, 실시 형태 4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탈취부(22)의 연동에 의한 전력 낭비 방지나 청소시의 불편 해소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구동부(21)에 통전되고 있지를 판단함으로써, 커버(4)의 폐쇄 위치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내에 있는 경우는, 검출부(33)가 커버(4)를 값으로서 검출한 뿐만 아니라, 판정부(52)가 비착좌라고 판정한다. 또한, 커버(4)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내에 있는 경우는, 검출부(33)가 임계값 이상을 검출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검출부(33)가 값을 검출하여도 그 값을 임계값 이하로 되도록 제어하거나, 검출부(33)가 물체를 검출하지 않도록 제어해도 좋다. 어느 구성으로도, 커버(4)는 폐쇄 동작을 계속하여 완전히 폐쇄할 수 있고, 커버(4)의 오동작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화장실 장치는 인체가 없는 상태에서 커버(4)가 폐쇄 동작하여도 판정부(52)는 커버(4)를 인체라고 판정하지 않고 커버(4)를 확실하게 폐쇄한다. 이로써, 커버(4)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7)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있어서의 화장실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 형태 4의 화장실 장치와 동일하지만, 커버 폐쇄 동작 검출부(54)를 대신하여 커버 폐쇄 동작 시간 계측부(이하, 시간 계측부)(71)를 이용하는 점이 상이하다.
시간 계측부(71)는 커버(4)의 폐쇄 동작을 검지하는 동시에, 폐쇄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의 시간을 측정한다. 커버 (4)의 폐쇄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커버(4)가 착좌 검출부(이하, 검출부)(33)의 검출 영역내에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시간 계측부(71)는 커버(4)가 폐쇄 동작 중인지 여부를 검지하는 커버 상태 검출부로서 기능한다.
미리 커버(4)의 폐쇄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 커버(4)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해 둔다(소정 시간이라 함). 그리고, 시간 계측부(71)에 의해 측정된 시간이, 커버(4)의 폐쇄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을 넘지 않을 때는 커버(4)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 밖에 있다. 시간 계측부(71)에 의해 측정된 커버(4)의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할 때는 커버(4)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내에 있다. 커버(4)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내에 있을 경우, 검출부(33)의 검출값이 임계값을 넘어도 검출부(33)의 검출값에 관계없이, 착좌 판정부(이하, 판정부)(52)는 인체 없음(비착좌)이라고 판정한다.
시간 계측부(71)는 예컨대, 각도 센서를 트리거로 하여 시간 측정을 개시하는 타이머 회로로 구성된다. 도 13에서는 커버(4)의 본체(1)로의 설치 부분에 설치하고 있다. 트리거로서 광센서 등을 이용하여 커버(4)의 폐쇄 동작 개시를 검지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실시 형태 4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탈취부(22)의 연동에 의한 전력 낭비 방지나 청소시의 불편 해소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간 계측부(71)에 의해 커버(4)의 폐쇄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의 시간을 측정한다. 이로써 커버(4)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내에 있는 경우는 검출부(33)에 의해 커버(4)를 값으로서 검출한 뿐만 아니라 판정부(52)가 인체 없음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커버(4)가 검출부(33)의 검출 영역내에 있는 경우는, 검출부(33)가 임계값 이상을 검출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검출부(33)가 값을 검출하여도 그 값을 임계값 이하로 되도록 제어하거나, 검출부(33)가 물체를 검출하지 않도록 제어해도 좋다. 어느 구성으로도, 커버(4)는 폐쇄 동작을 계속하여 완전히 폐쇄할 수 있고, 커버(4)의 오동작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화장실 장치는 인체가 없는 상태에서 커버(4)가 폐쇄 동작하여도 판정부(52)는 커버(4)를 인체라고 판정하지 않고 커버(4)를 확실하게 폐쇄한다. 이로써, 커버(4)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4 내지 7에서는, 착좌 판정에 관련하여, 비착좌 상태에 있어서 착좌를 오판정하고, 그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도 겸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실 즉시, 사용자를 쾌적하게 하는 다른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판정부(7), 판정부(52)는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검출부(33)와 측거부(5)를 1개의 센서로 겸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양쪽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센서의 설치 위치, 방향을 적절하게 한다. 즉, 센서를 도 13과 같이 설치하는 경우는, 도어가 변기 시트(3)의 전방으로 되도록 한다. 또한, 센서를 변기 시트(3)의 측부에 설치할 수도 있고, 그 경우는 변기 시트(3)에 대하여 도어가 센서를 설치한 반대측으로 되도록 한다.
또한, 실시 형태 3의 구성에 실시 형태 4 내지 7에 추가 설명한 구성을 부가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장실에 입실할 때, 변기 시트(3)에 앉을 때, 변기 시트(3)로부터 일어서서 커버(4)를 폐쇄할 때 중 어느 경우에도 사용자는 쾌적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은 가능한 범위에서 조합할 수 있다.
그 밖에, 실시 형태 1 고유의 구성없이, 실시 형태 4 내지 7에서 설명한 작용·효과를 발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실에 사람이 들어간 것을 검출하여 커버의 개폐 등의 조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측거부에 의한 측정 거리와 비교하는 임계값이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넓이의 화장실에 대하여 인체의 검출 거리를 최적화할 수 있다.

Claims (20)

  1. 인체를 재치하는 변기 시트와,
    장해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부와,
    상기 측거부가 측정한 거리에 의해 인체의 유무를 판정하는 제 1 판정부와,
    상기 제 1 판정부가 비교하는 임계값을, 설치한 화장실에 맞게 조절하여 설정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판정부는 상기 측거부가 측정한 당해 장해물까지의 거리와, 상기 캘리브레이션부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측거부가 측정한 당해 장해물까지의 거리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을 때는 인체 있음이라 판단하는
    화장실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정부가 비교하는 상기 임계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한
    화장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부와 상기 표시부를 갖는 리모콘 장치를 더 포함하는
    화장실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을 비통전시에도 유지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한
    화장실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트 상부를 피복하는 커버와, 상기 제 1 판정부가 인체 있음이라 판단하면 상기 커버를 자동적으로 개방하는 커버 구동부를 더 구비한
    화장실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트로의 당해 장해물의 근접 상태를 검지하는 제 1 검출부와,
    상기 변기 시트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인식부와,
    상기 제 1 검출부와 상기 인식부에 의해 상기 변기 시트로의 인체의 착좌를 판정하는 제 2 판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인식부에서 상기 변기 시트가 개방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판정부는 상기 제 1 검출부의 검지에 관계없이 비착좌라고 판정하는
    화장실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의 검지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검출부의 검지만으로 상기 제 2 판정부의 판정을 착좌로 하도록 설정하는 착좌 판정 설정부를 더 구비한
    화장실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트에 착좌한 당해 인체를 세정하는 세정수 분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판정부가 착좌라고 판정할 때에 상기 세정수 분출부를 작동시키는
    화장실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트 상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변기 시트에 당해 장해물의 근접 상태를 검지하는 제 1 검출부와,
    상기 커버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제 2 검출부와,
    상기 제 1 검출부와 상기 제 2 검출부에 의해 상기 변기 시트로의 인체의 착좌를 판정하는 제 3 판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검출부가 상기 커버의 폐쇄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3 판정부는 상기 제 1 검출부의 검지에 관계없이 비착좌라고 판정하는
    화장실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출부는 상기 커버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커버의 폐쇄 동작을 검출하는
    화장실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출부는 상기 커버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커버의 폐쇄 동 작을 검출하는
    화장실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통전됨으로써 상기 커버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커버 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검출부는 상기 커버 구동부로의 통전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커버의 폐쇄 동작을 검출하는
    화장실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출부는 커버가 폐쇄 동작을 개시하고 나서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변기 커버의 폐쇄 동작을 검출하는
    화장실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통전됨으로써 상기 커버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커버 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판정부가 비착좌라고 판정할 때에 상기 커버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화장실 장치.
  18. 화장실에 설치된 화장실 장치의 인체 검지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화장실의 소정의 위치에 있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B) 측정한 거리를 기초로 임계값을 설정하는 캘리브레이션 단계와,
    C) 장해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D) 측정한 당해 장해물까지의 거리와, B 단계에서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E) 측정한 당해 장해물까지의 거리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을 때에는 인체 있음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는 상기 화장실 장치를 상기 화장실 내에 설치한 시점에서 동작시키는
    화장실 장치의 인체 검지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F) 변기 시트로의 당해 장해물의 근접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G) 상기 변기 시트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단계와,
    H) 상기 F 단계와 G 단계의 검출 결과에 의해 상기 변기 시트로의 인체의 착좌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변기 시트가 개방 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F 단계의 검지에 관계없이 상기 H 단계에 있어서 당해 인체는 비착좌라고 판정하는
    화장실 장치의 인체 검지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F) 변기 시트에 당해 장해물의 근접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G) 상기 변기 시트를 덮는 커버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단계와,
    H) 상기 F 단계와 G 단계의 검출 결과에 의해 상기 변기 시트로의 인체의 착좌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커버의 폐쇄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F 단계의 검지에 관계없이 상기 H 단계에 있어서 당해 인체는 비착좌라고 판정하는
    화장실 장치의 인체 검지 방법.
KR1020057008521A 2002-12-03 2003-11-27 화장실 장치 및 화장실 장치의 인체 검출 방법 KR100701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51071 2002-12-03
JP2002351071 2002-12-03
JP2003015867 2003-01-24
JPJP-P-2003-00015868 2003-01-24
JPJP-P-2003-00015867 2003-01-24
JP2003015868 2003-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825A KR20050072825A (ko) 2005-07-12
KR100701228B1 true KR100701228B1 (ko) 2007-03-29

Family

ID=3247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521A KR100701228B1 (ko) 2002-12-03 2003-11-27 화장실 장치 및 화장실 장치의 인체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07881B2 (ko)
KR (1) KR100701228B1 (ko)
AU (1) AU2003302584A1 (ko)
WO (1) WO20040498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927B1 (ko) * 2007-10-18 2009-04-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개폐시트를 갖는 양변기
US8966676B2 (en) 2011-03-30 2015-03-03 Toto Ltd Toile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2560B2 (ja) * 2006-07-12 2012-02-22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CN101912244B (zh) * 2010-08-05 2011-11-09 宁波志岳电子有限公司 感应自动座便器坐圈与摇盖
EP2447426B1 (de) * 2010-09-27 2013-03-06 Geberit International AG Dusch-WC
EP2447427A1 (de) * 2010-09-27 2012-05-02 Geberit International AG Wc
EP2713586B1 (en) 2011-06-24 2017-05-03 Huawei Devic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detecting threshold of infrared proximity sensor
JP5854201B2 (ja) * 2011-09-29 2016-02-09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JP2012005907A (ja) * 2011-10-14 2012-01-12 Sanyo Product Co Ltd 遊技機
CN102565805B (zh) * 2011-12-26 2015-02-25 吉林省明普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避免池外便溺的宽束激光定位装置和定位方法
JP2013017844A (ja) * 2012-10-29 2013-01-31 Sanyo Product Co Ltd 遊技機
JP2015006464A (ja) * 2014-09-29 2015-01-15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6620786B2 (ja) * 2017-06-02 2019-12-1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515A (ja) * 2000-08-31 2002-03-05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02173970A (ja) * 2000-09-27 2002-06-21 Toto Ltd 便器装置
JP2003050120A (ja) * 2001-08-06 2003-02-21 Seiko Precision Inc 測距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便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224Y2 (ja) * 1992-02-21 1997-11-17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シャワートイレの操作制御装置
JP2779474B2 (ja) * 1993-09-10 1998-07-23 株式会社イナックス 便座・便蓋開閉装置
JP3762954B2 (ja) * 1996-04-25 2006-04-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安全走行支援装置
JP3632525B2 (ja) * 1999-09-30 2005-03-23 東陶機器株式会社 便座装置
JP2001311773A (ja) * 2000-02-21 2001-11-09 Toto Ltd 動体検知装置
JP2001299644A (ja) * 2000-04-18 2001-10-30 Toto Ltd トイレ装置
JP2002051941A (ja) * 2000-05-31 2002-02-19 Toto Ltd 便座装置
JP3852558B2 (ja) * 2000-12-25 2006-11-29 松下電工株式会社 局部洗浄装置
JP2002201698A (ja) * 2000-12-27 2002-07-19 Toto Ltd 衛生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515A (ja) * 2000-08-31 2002-03-05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02173970A (ja) * 2000-09-27 2002-06-21 Toto Ltd 便器装置
JP2003050120A (ja) * 2001-08-06 2003-02-21 Seiko Precision Inc 測距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便座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927B1 (ko) * 2007-10-18 2009-04-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개폐시트를 갖는 양변기
US8966676B2 (en) 2011-03-30 2015-03-03 Toto Ltd Toile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07881B2 (ja) 2010-07-21
WO2004049883A1 (ja) 2004-06-17
JPWO2004049883A1 (ja) 2006-03-30
KR20050072825A (ko) 2005-07-12
AU2003302584A1 (en)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228B1 (ko) 화장실 장치 및 화장실 장치의 인체 검출 방법
US5829072A (en) Automatic shower control
CN100496367C (zh) 检测人体的马桶装置以及人体检测方法
US8910320B2 (en) Automated seat and/or lid assembly for a toilet
US20070056084A1 (en) Powered toilet & seat assembly
JP5532628B2 (ja) リモコン装置及びトイレ設備
JP2003038389A (ja) 衛生洗浄便座装置
CN108420354B (zh) 马桶座装置
JP2016520743A (ja) 隠蔽された壁掛型折畳式小便器
US20190366374A1 (en) Smart shower head
KR200423761Y1 (ko) 인체감지거리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비데
EP1648276A1 (en) Powered toilet seat assembly
JP2005168719A (ja) トイレ装置
JP2013066581A (ja) トイレ装置
US6880180B2 (en) Sanitary washing toilet seat device
GB2457141A (en) Automatic faucet
CN113445594A (zh) 卫生设备
JP2006112163A (ja) トイレ装置
JP2006115985A (ja) トイレ装置
JP2005195467A (ja) 人体検知装置
JP2003024225A (ja) 洗面器装置
KR200454436Y1 (ko) 싱크대용 수도밸브 자동개폐장치
JP2002051941A (ja) 便座装置
WO2013001896A1 (ja) 検知距離設定装置及びこの検知距離設定装置を備えた自動水栓装置
JP4432445B2 (ja) 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