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038B1 -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 Google Patents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038B1
KR100700038B1 KR1020060038346A KR20060038346A KR100700038B1 KR 100700038 B1 KR100700038 B1 KR 100700038B1 KR 1020060038346 A KR1020060038346 A KR 1020060038346A KR 20060038346 A KR20060038346 A KR 20060038346A KR 100700038 B1 KR100700038 B1 KR 100700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ain body
road surface
ejector
uneven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060038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4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나치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규칙적이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양한 문양의 요철형 노면표지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상.하부에 투입구(11) 및 토출구(12)를 갖는 토출기 본체(1)와; 상기 토출기 본체(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표면에 다수의 천공부(23)을 갖는 속이 빈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과;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회전시키는 실린더 구동부(6)와;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하조절부(4);로 구성됨으로써 차량 주행에 의한 충격과 동절기 제설작업 차량의 날개에 의한 도료의 이탈 방지 및 소음을 제거할 수 있고, 주야간 및 우천시 노면표지에 대한 시인성의 증대를 가져오게 되며, 신속한 배수효과로 인하여 수막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노면표지의 수명연장 및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토출기 본체,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 천공부, 상.하조절부, 토출구

Description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The painting device for a concavo convex type the road surfac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도색차량의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외관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는 우측면도.
도 2b는 좌측면도.
도 2c는 배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c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정단면도.
도 3b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서 도색되어진 노면표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도색차량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6의 문양조성용 드럼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에 의해서 도색되어진 노면표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토출기 본체 2: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
3:개폐기 4:상.하조절부
5:조성물 투입부 6:실린더 구동부
11:투입구 12:토출구
21:지지대 22:회전축
23:천공부 31:공압실린더
32:슬라이드 개폐판 33:연결로드
41:고정 지지구 42:가동 지지브라켓트
42a:장공 43:나선축
44:핸들 50:이송스크류
61:이동바퀴 61a:연동수단
62:원동스프로킷 63:종동스프로킷
본 발명은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나치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규칙적이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양한 문양의 요철형 노면표지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노면표지는 요철없이 일정폭으로 전면도포하는 식으로 도색이 이루어져 왔으나, 우천시 수막현상에 의한 미끄러짐으로 차량 주행의 안전성이 결여되고, 내구성이 떨어져 차량 통행에 의해서 쉽게 마모됨으로써 조기의 수명 단축과 주야간 및 우천시 수막현상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가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색차량(100)의 일측 하부에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200)가 장착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200)는 표면에 다수의 침봉(210a)을 갖는 문양조성용 롤러(210)을 가지며, 상기 문양조성용 롤러(210)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100)는 동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문양조성용 드럼(210)에 도색차량(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노면표지의 원료, 즉 아크릴수지 및 경화제를 주재료로 한 2액형 조성물이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가열성 조성물을 자유 낙하시켜 상기 침봉(210a)에 의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흩트려 살포하는 방식의 차선 도색에 국한된 요철형 노면표지의 도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는, 전기한 바와같이 표면에 다수의 침봉을 갖는 문양조성용 롤러에 의해서 자유 낙하식으로 공급되는 조성물을 흩트려 살포하여 요철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문양의 요철형 노면표지의 시공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돌출부분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지나친 돌출부분으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시 충격에 의한 도료의 이탈을 초래하게 되는데, 특히 동절기 제설작업 차량의 날개에 의해서 도료의 이탈현상이 현저하게 발생하게 됨으로써 노면표지의 수명이 단축되고, 진동에 의한 소음으로 불쾌감을 조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는 비록 요철형태를 이루고는 있으나, 단위 면적당 불규칙적인 전면도포로 인하여 우천시 빗물이 배수되지 못하고 정체되는 부분이 많아 여전히 수막현상에 의한 차량 운전의 안전성이 떨어지며, 주야간 및 우천시의 시인성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항상 정해진 폭으로 한줄씩 노면표지의 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한번에 여러개의 노면표지를 시공한다거나 노면표지의 폭을 증감하는 등과 같은 노면표지의 다양성을 기할 수 없어 차색 도색에만 적용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나치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규칙적이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양한 문양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주행에 의한 충격과 동절기 제설작업 차량의 날개에 의한 도료의 이탈 방지 및 소음을 제거하고, 주야간 및 우천시 노면표지에 대한 시인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신속한 배수효과로 인하여 수막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번의 시공에 의해서 여러개의 노면표지에 대한 시공과 노면표지의 폭을 증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종전 차선에만 적용하던 사용목적을 도로에 착색하는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부에 투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토출기 본체와; 상기 토출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표면에 다수의 천공부을 갖는 속이 빈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과;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실린더 구동부와;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하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토출기 본체는 투입구와 연결되어 조성물을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서 강제로 투입하는 조성물 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 구동부는 토출기 본체의 전방측에 프레임으로 연결되고, 도색 차량의 이동시 지면과 접촉되어 구동하는 이동바퀴와; 상기 이동바퀴와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가 서로 연동되게 하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조절부는 토출기 본체의 양측면에,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 지지브라켓트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지지브라켓트는 상부측 고정 지지구에 나선 결합된 수직의 나선축을 연결하여 핸들의 조작에 의해서 가동 지지브라켓트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가동 지지브라켓트는 수개소에 수직 방향의 장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기 본체는, 토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개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기는, 공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토출구의 외측에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개폐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토출구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기 본체는 내.외측 본체로 분리 구성되고, 이들의 사이에 순환통로가 형성되어 가열기에 의해서 고온으로 가열된 열매체가 펌프의 작동에 의해서 강제로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도색차량의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도색차량(100)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어 도색차량(100)으로부터 조성물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으나, 반드시 상기 도색차량(100)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조성물을 공급할 수 있는 이동수단이면 무방하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외관을 나타낸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 배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c의 단면을 나타낸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수평방향의 원통형으로 토출기 본체(1)를 구성하고, 상기 토출기 본체(1)는 상부측 중간에 투입구(11)가 형성되며, 하부측에는 토출기 본체(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자형의 토출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기 본체(1)의 내부에는 역시 수평방향의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은 양측으로 개방된 속이 빈 원통형을 이루고, 표면에는 다수의 구멍, 즉 천공부(23)이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을 회전축(22)이 관통하여 지지대(21)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22)에 고정 및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22)은 상.하조절부(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하조절부(4)는 토출기 본체(1)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회전축(22)을 내부의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 지지브라켓트(42)와, 상기 가동 지지브라켓트(42)를 핸들(44)의 조작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의 나선축(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의 나선축(43)은 가동 지지브라켓트(42)의 상부측 토출기 본체(1)에 고정된 고정 지지구(41)에 나선 결합되고, 하단부는 가동 지지브라켓트(4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지지브라켓트(42)는 양측의 상.하부에 수직의 장공(42a)이 형성되는 것이며, 토출기 본체(1)의 양측면부에는 체결공(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상.하 높이조절후, 그 위치가 볼트의 체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함께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는 실린더 구동부(6)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 구동부(6)는 토출기 본체(1)의 전방측에 프레임으로 연결되는 이동바퀴(61)와, 상기 이동바퀴(61)와 문양조성용 천공 실린더(2)가 서로 연동되게 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동수단은 이동바퀴(61)의 축상에 원동스프로킷(62)을 형성하고,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회전축(22) 상에는 종동스프로킷(63)을 형성하여 체인(64)으로 서로 연결한 것으로서, 상기 이동바퀴(61)는 도색차량의 속도와 비례하고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6)는 이동바퀴(61)의 속도에 비례한다.
즉, 도색차량에 의해서 이동바퀴(61)의 속도가 빨라지게 되면,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6)의 속도 역시 빨라지게 되고, 이동바퀴(61)의 속도가 느려지게 되면,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6)의 속도 또한 느려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토출기 본체(1)의 투입구(11)는 동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이송스크류(50)가 내장된 조성물 투입부(5)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50)에 의해서 조성물을 강제로 토출기 본체(1)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토출기 본체(1)는 직선형태를 이루는 토출구(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개폐기(3)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기(3)는 원통형의 토출기 본체(1)를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드 개폐판(32)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개폐판(32)은 공압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해서 토출기 본체(1)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토출구(12)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압실린더(31)는 토출기 본체(1)의 외측에 토출구(12)를 따라 횡방향으로 정렬 고정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실린더 구동부(6)에 의해서 토출기 본체(1) 내부의 문양조 성용 천공실린더(2)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토출기 본체(1)의 투입구(11)를 통한 조성물의 투입이 상기 투입구(11)와 연통하는 조성물 투입부(5)의 이송스크류(50)의 구동에 의해서 강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천공부(23)와 토출기 본체(1)의 토출구(12)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조성물의 토출에 의한 문양 조성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천공부(23)와 토출구(12) 사이의 간격이 노면표지의 두께를 결정하게 된다.(도 4 참조.)
즉, 천공부(23)와 토출구(12) 사이의 간격이 크면, 그 만큼 노면표지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고, 작게 되면 두께가 얇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노면표지의 각 문양은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회전속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회전속도가 빠르면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천공부(23)를 통해 배출되는 조성물의 양이 작아져 천공부(23)의 원형 형상에 가깝게 문양의 조성이 이루어지고,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회전속도가 느리면 상기 천공부(23)로부터 배출되는 조성물의 양이 많아져 그 길이가 길어지게 됨으로써 문양을 달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한 바와같은 회전속도에 의한 문양의 길이는 차량에 의해서 토출기 본체(1)가 노면을 따라 이동하는 속도와 상기 토출기 본체(1)의 내부로 투입되는 조성물의 압력이 일정한 조건하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구동은 실린더 구동부(6)를 구성하는 이동바퀴(61)의 축상에 설치된 원동스프로킷(62)과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회전축(22)에 축설된 종동스프로킷(63) 사이의 체인(64) 전동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상.하 이동은 토출기 본체(1)의 양외측에 구비된 상.하조절부(4)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작업자는 가동 지지브라켓트(42) 양측의 장공(42)에 체결된 볼트를 풀어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그런 다음 고정 지지구(41)에 나선 결합된 나선축(43)의 핸들(44)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나선축(43)이 고정 지지구(41)에서 상.하 일측 방향으로 나선 이동하게 되어 가동 지지브라켓트(42)를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가동 지지브라켓트(42)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문양조성용 실린더(2)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함께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상.하조절부(4)에 의해서 최상단에 위치시킨 후, 정지시킨 상태에서 토출기 본체(1)의 토출구(12)를 통하여 조성물을 토출시키게 되면, 요철이 없는 통상의 노면표지에 대한 시공도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토출기 본체(1)의 좌측 또는 우측 끝에 위치하는 1개의 개폐기(3) 또는 전체의 개폐기(3)를 작동시켜 개방함으로써 노면표지의 폭을 조절하거나 중간에 위치한 개폐기(3)들은 그대로 폐쇄상태로 두고 양측에 위치한 개폐기(3)들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서 한번 복수개의 노면표지를 시공하는 것과 도로에 착색이 가능하고, 이러한 각각의 개폐기(3)에 대한 작동은 통상에서와 같이 차량의 제어부에 이미 프로그래밍된 순서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기(3)는 공압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해서 실린더의 연결로드(33)가 토출구(12)를 항상 폐쇄시키는 슬라이드 개폐판(32)을 당겨 개방위치로 상기 슬라이드 개폐판(32)을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토출기 본체(1)의 토출구(12)에 대한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다시 상기 공압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해서 슬라이드 개폐판(32)을 폐쇄위치로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토출기 본체(1)의 토출구(12)를 폐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토출기 본체(1)의 내부에 투입된 원료가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토출기 본체(1)를 내.외측 본체(1a)(1b)로 분리 구성하여 이들의 사이에 열매체가 순환할 수 있는 공간, 즉 순환통로(11)를 갖는 이중관 구조로 형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기 본체(1)는 순환통로(11)와 연통하는 유입구(12) 및 배출구(13)를 가지며, 열매체, 여기서 오일은 가열기(15)에 의해서 고온으로 가열되어 펌프(14)의 작동에 의해서 강제로 순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표면에 다수의 천공부를 가지며 회전속도의 조절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한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를 이용하여 노면표지에 대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나치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규칙적이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양한 문양의 요철형 노면표지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차량 주행에 의한 충격과 동절기 제설작업 차량의 날개에 의한 도료의 이탈 방지 및 소음을 제거할 수 있고, 주야간 및 우천시 노면표지에 대한 시인성의 증대를 가져오게 되며, 신속한 배수효과로 인하여 수막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노면표지의 수명연장 및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개폐기에 의해서 토출구의 개방 범위와 위치의 선택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면표지의 폭 조절이 가능하고, 한번의 시공에 의해서 여러 형태의 노면표지에 대한 시공은 물론 차선 도색에만 국한됨이 없이 도로의 착색도 가능하며, 시공의 신속성과 간편성은 물론 보다 효과적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Claims (7)

  1. 상.하부에 투입구(11) 및 토출구(12)를 갖는 토출기 본체(1)와;
    상기 토출기 본체(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표면에 다수의 천공부(23)을 갖는 속이 빈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과;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회전시키는 실린더 구동부(6)와;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하조절부(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기 본체(1)는 투입구(11)와 연결되어 조성물을 이송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서 강제로 투입하는 조성물 투입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구동부(6)는 토출기 본체(1)의 전방측에 프레임으로 연결되고, 도색 차량의 이동시 지면과 접촉되어 구동하는 이동바퀴(61)와;
    상기 이동바퀴(61)와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가 서로 연동되게 하는 연동수단(61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조절부(4)는 토출기 본체(1)의 양측면에,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회전축(2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 지지브라켓트(42)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지지브라켓트(42)는 상부측 고정 지지구(41)에 나선 결합된 수직의 나선축(43)을 연결하여 핸들(44)의 조작에 의해서 가동 지지브라켓트(4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가동 지지브라켓트(42)는 수개소에 수직 방향의 장공(42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기 본체(1)는, 토출구(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개폐기(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3)는, 공압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해서 토출구(12)의 외측에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개폐판(32)으로 구성되어 상기 토출구(12)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기 본체(1)는 내.외측 본체(10a)(10b)로 분리 구성되고, 이들의 사 이에 순환통로(11)가 형성되어 가열기(15)에 의해서 고온으로 가열된 열매체가 펌프(14)의 작동에 의해서 강제로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KR1020060038346A 2006-04-27 2006-04-27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KR100700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346A KR100700038B1 (ko) 2006-04-27 2006-04-27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346A KR100700038B1 (ko) 2006-04-27 2006-04-27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038B1 true KR100700038B1 (ko) 2007-03-26

Family

ID=4156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346A KR100700038B1 (ko) 2006-04-27 2006-04-27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0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356B1 (ko) 2007-11-30 2008-04-01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도로표시용 원료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194667B1 (ko) 2010-03-29 2012-10-29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KR101252655B1 (ko) * 2012-12-11 2013-04-09 (주)라인테크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KR20220108662A (ko) 2021-01-27 2022-08-03 최원호 노면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55533A2 (en) * 1993-11-30 1995-05-31 Prismo Limited Profiled road markings
JPH11247132A (ja) * 1997-12-17 1999-09-14 Prismo Ltd プロファイリングローラ及びプロファイル付与方法
KR100501992B1 (ko) * 2001-12-31 2005-07-25 최장선 차선도색차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55533A2 (en) * 1993-11-30 1995-05-31 Prismo Limited Profiled road markings
JPH11247132A (ja) * 1997-12-17 1999-09-14 Prismo Ltd プロファイリングローラ及びプロファイル付与方法
KR100501992B1 (ko) * 2001-12-31 2005-07-25 최장선 차선도색차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356B1 (ko) 2007-11-30 2008-04-01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도로표시용 원료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194667B1 (ko) 2010-03-29 2012-10-29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KR101252655B1 (ko) * 2012-12-11 2013-04-09 (주)라인테크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KR20220108662A (ko) 2021-01-27 2022-08-03 최원호 노면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0038B1 (ko)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KR101565002B1 (ko) 스프레드 노즐 선택이 가능한 복합식 차선 시공장치
DE2801259C2 (ko)
KR101709545B1 (ko)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KR20080112694A (ko) 차선과 차선 도색 방법 및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DE60303394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von fahrbahnmarkierungen
KR100501992B1 (ko) 차선도색차량
JPH11131435A (ja) 車輌走行テストコース用の散水装置及びその散水方法
JP2005046838A (ja) 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US6227454B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night-visible road markings
KR101194667B1 (ko)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KR101138005B1 (ko) 제설제 살포방향 제어장치
KR100465480B1 (ko) 제설재 살포장치
US9382677B2 (en) Markings of highly viscous material on a surface
KR101259927B1 (ko) 노면 표식 형성장치
DE3907827C2 (de) Markierungsstreifen für Fahrbahnen od. dgl. sowie Vorrichtung zu dessen Herstellung
KR100330281B1 (ko) 도로경계턱의 성형보수장치
DE3806920A1 (de) Aquaplaning-verhinderer mit drei stufenaggregaten in einem schmaler als die reifenspur bauendem gehaeuse
JPH0816322B2 (ja) 道路区画線施工装置
CN221029551U (zh) 一种绘画路面指示线的设备
KR102539513B1 (ko) 자동화된 차선 도색 장치
JP2005307711A (ja) 凸型リブ付道路標示施工法
KR102321826B1 (ko) 스프레드 노즐바 진동 노즐 구동식 돌출차선 시공장치
JPH10159015A (ja) 噴射式道路標示塗布装置
KR102444818B1 (ko) 노면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