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667B1 -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 Google Patents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667B1
KR101194667B1 KR1020100027912A KR20100027912A KR101194667B1 KR 101194667 B1 KR101194667 B1 KR 101194667B1 KR 1020100027912 A KR1020100027912 A KR 1020100027912A KR 20100027912 A KR20100027912 A KR 20100027912A KR 101194667 B1 KR101194667 B1 KR 101194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painting
cylinder
road surface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623A (ko
Inventor
최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0002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66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6Mean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on to freshly applied markings or into the marking material after discharge thereof, e.g. reflective beads, grip-improving p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4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색차량을 전진시키면서 토출기 본체에 구비된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를 시계방향으로도 회전시켜 도색되는 노면표지의 각 문양에 후방 꼬리문양을 제거함으로써, 각 문양의 둘레를 진원으로 형성함에 따라 각 문양의 강도를 최대로 보강할 수 있는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는, 상.하부에 투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토출기 본체와, 토출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표면에 다수의 천공부를 갖는 속이 빈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와,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실린더 구동부를 포함하는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구동부는, 도색차량에 고정되고 토출기 본체의 전방측에 구비된 프레임과, 프레임 전방의 전,후방에 각각이 승강 조작수단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두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하강시켜 바퀴가 노면에 밀착 회전되게 하는 두개의 이동 바퀴부와, 상기 전,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를 구성하는 바퀴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하는 역방향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의 바퀴와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를 서로 동일방향으로 연동 회전시키는 연동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The painting device for a concavo convex type the roadsurface}
본 발명은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색차량을 전진시키면서 토출기 본체에 구비된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를 시계방향으로도 회전시켜 도색되는 노면표지의 각 문양에 후방 꼬리문양을 제거함으로써, 각 문양의 둘레를 진원으로 형성함에 따라 각 문양의 강도를 최대로 보강할 수 있는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노면표지는 요철 없이 일정폭으로 전면 도포하는 식으로 도색이 이루어져 왔으나, 우천시 수막현상에 의한 미끄러짐으로 차량 주행의 안전성이 결여되고, 내구성이 떨어져 차량 통행에 의해서 쉽게 마모됨으로써 노면표지 수명 단축과 주야간 및 우천시 수막현상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가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색차량(10)의 일측 하부에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20)가 장착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20)는 표면에 다수의 침봉(40)을 갖는 문양조성용 롤러(30)를 가지며, 상기 문양조성용 롤러(30)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20)는 동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문양조성용 롤러(30)에 도색차량(10)으로부터 공급되는 노면표지의 원료, 즉 아크릴수지 및 경화제를 주재료로 한 2액형 조성물이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가열성 조성물을 자유 낙하시켜 상기 침봉(40)에 의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흩트려 살포하는 방식의 차선 도색에 국한된 요철형 노면표지의 도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는, 전기한 바와같이 표면에 다수의 침봉을 갖는 문양조성용 롤러에 의해서 자유 낙하식으로 공급되는 조성물을 흩트려 살포하여 요철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문양의 요철형 노면표지의 시공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돌출부분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지나친 돌출부분으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시 충격에 의한 도료의 이탈을 초래하게 되는데, 특히 동절기 제설작업 차량의 날개에 의해서 도료의 이탈현상이 현저하게 발생하게 됨으로써 노면표지의 수명이 단축되고, 진동에 의한 소음으로 불쾌감을 조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00038호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이하,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라 한다.)가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은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종래의 도색장치가 적용된 도색차량의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3은 종래 도색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3a는 우측면도이며, 도 13b는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2b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14a는 정단면도이며, 도 14b는 측단면도이며, 도 15는 종래 도색장치에 의해서 도색되어진 노면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에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는 도색차량(10)이 전진되면서 노면에 노면표지(50)를 도색하는 것으로, 상.하부에 투입구(101) 및 토출구(102)를 갖는 토출기 본체(100)와, 상기 토출기 본체(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표면에 다수의 천공부(203)를 갖는 속이 빈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00)와,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00)를 회전시키는 실린더 구동부(600)와,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하조절부(4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기 본체(100)는 투입구(101)와 연결되어 조성물을 이송스크류(501)의 회전에 의해서 강제로 투입하는 조성물 투입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구동부(600)는 토출기 본체(100)의 전방측에 프레임으로 연결되고, 도색 차량의 이동시 지면과 접촉되어 구동하는 이동바퀴(601)와, 상기 이동바퀴(601)와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00)가 서로 연동되게 하는 연동수단(602)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상.하조절부(400)는 토출기 본체(100)의 양측면에,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00)의 회전축(20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 지지브라켓트(402)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지지브라켓트(402)는 상부측 고정 지지구(401)에 나선 결합된 수직의 나선축(403)을 연결하여 핸들(404)의 조작에 의해서 가동 지지브라켓트(40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가동 지지브라켓트(402)는 수개소에 수직 방향의 장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토출기 본체(100)는, 토출구(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개폐기(30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기(300)는, 공압실린더(301)의 작동에 의해서 토출구(102)의 외측에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 개폐판(302)으로 구성되어 상기 토출구(102)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는, 지나치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규칙적이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양한 문양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주행에 의한 충격과 동절기 제설작업 차량의 날개에 의한 도료의 이탈 방지 및 소음을 제거하고, 주야간 및 우천시 노면표지에 대한 시인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신속한 배수효과로 인하여 수막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를 사용하여 노면을 도색할 경우에는, 도색차량을 전진시킴에 따라 노면을 도색하게 된다.
따라서 도색차량이 전진하게 되면, 이동바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동바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실린더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으로 인하여 노면에 그려지는 노면표지(50)를 구성하는 각 문양(60)의 후방에 폭이 좁은 꼬리와 같은 문양(이하, "꼬리문양"이라 한다.)이 생기게 된다.
다시말해 토출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문양 조성용 천공실린더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면, 토출기 본체의 내부 둘레에 채워진 조성물에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조성물이 토출기 본체 하부의 토출구를 통과하는 순간에는 토출구의 후방에 위치된 조성물이 후방으로 낙하 이동되면서 노면에 도색됨에 따라, 각 문양(60)의 후방에 긴 꼬리문양(70)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를 이용하여 노면에 도면표지(50)를 도색할 경우에, 필요에 따라 각 문양(60)의 후방에 생기는 꼬리문양(70)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도색차량이 전진되면서 도색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토출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를 시계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의 회전에 따른 시계방향의 회전력으로 인하여 노면표지의 각 문양에 후방 꼬리문양을 제거할 수도 있는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부에 투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토출기 본체와, 토출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표면에 다수의 천공부를 갖는 속이 빈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와,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실린더 구동부를 포함하는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구동부는, 도색차량에 고정되고 토출기 본체의 전방측에 구비된 프레임과, 프레임 전방의 전,후방에 각각이 승강 지지수단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두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하강시켜 바퀴가 노면에 밀착 회전되게 하는 두개의 이동 바퀴부와, 상기 전,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를 구성하는 바퀴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하는 역방향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의 바퀴와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를 서로 동일방향으로 연동 회전시키는 연동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바퀴부는 양측에 바퀴가 구비된 회전축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지지수단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회전축의 양측을 회전되게 지지하고 조작을 통해 회전축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한 쌍의 높이 조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정부는, 회전축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베어링 브라켓과, 프레임에 고정되어 핸들의 조작을 통한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 상기 브라켓을 승강시키는 고정브라켓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방향 동력전달수단은, 후방의 이동 바퀴부의 회전축에 구비된 제 1기어와, 고정수단를 통해 회전축의 승강과 함께 승강되고 제 1기어와 맞물려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 제 2기어와, 제 2기어의 중심 회전축와 전방 이동 바퀴부의 회전축를 상호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베어링 브라켓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대와 수직대로 구성된 고정부재와, 베어링 브라켓의 상부와 상기 수직대에 구비되어 제기어의 중심 회전축를 관통 지지하는 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제 2기어의 중심 회전축와 전방 이동 바퀴부의 회전축에 구비된 스프로킷과, 스프로킷들을 상호 연결하는 체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색차량을 전진시키면서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를 시계방향으로도 회전시킴에 따라, 도색되는 노면표지의 각 문양에 후방 꼬리문양을 제거함으로써, 노면표지를 구성하는 각 문양의 심미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각 문양의 둘레를 진원으로 형성함에 따라 강도를 최대로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색장치가 도색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3a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동력전달수단을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가 비회전되어 도색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색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색작업을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색되어진 노면표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종래 통상적으로 알려진 도색장치가 장착된 도색차량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종래 통상적으로 알려진 도색장치의 롤러를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종래 통상적으로 알려진 도색장치를 통해 도색되어진 노면표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종래의 도색장치가 적용된 도색차량의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종래 도색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3a는 우측면도이며,
도 13b는 배면도.
도 14는 도 12b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14a는 정단면도이며,
도 14b는 측단면도.
도 15는 종래 도색장치에 의해서 도색되어진 노면표지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색장치가 도색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도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3a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는, 상.하부에 투입구(11) 및 토출구(12)를 갖는 토출기 본체(1)와, 토출기 본체(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표면에 다수의 천공부(21)를 갖는 속이 빈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와,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회전시키는 실린더 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는, 실린더 구동부를 개량한 함에 따라, 도색차량(10)의 전진 주행시 토출기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된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은 물론, 선택적으로 토출기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된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시계방향으로도 회전시킴으로써, 노면에 그려지는 각각의 문양에 후방 꼬리문양을 제거할 수도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린더 구동부는, 도색차량(10)에 고정되고 토출기 본체(1)의 전방측에 구비된 프레임(6)과, 프레임(6) 전방의 전,후방에 각각이 승강 지지수단(73)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두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하강시켜 바퀴(72)가 노면에 밀착 회전되게 하는 두개의 이동 바퀴부(7)와, 상기 전,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7)를 구성하는 바퀴(72)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하는 역방향 동력전달수단(8)과, 상기 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7)의 바퀴(72)와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서로 동일방향으로 연동 회전시키는 연동 동력전달수단(9)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방향 동력전달수단(8)은, 전,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7) 중 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7)가 승강 조작수단을 통해 하강되어 전방의 이동 바퀴부(7)의 바퀴(72)가 노면에 밀착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후방의 이동 바퀴부(7)의 바퀴(7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7)의 바퀴(72)와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서로 동일방향으로 연동 회전시키는 연동 동력전달수단(9)은, 풀리나 체인의 연결요소를 통해 상호 연결시킬 수 있으나, 첨부된 도면에서는 동력 전달을 정밀하게 할 수 있도록 체인의 연결요소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즉 상기 연동 동력전달수단(9)은 후방의 이동 바퀴부(7)를 구성하는 회전축(71)에 구비된 스프로킷(91)과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회전축(22) 외측에 구비된 스프로킷(92) 및 양 스프로킷(91)(92)을 상호 연결하는 체인(842)(9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토출기 본체(1)는 투입구(11)와 연결되어 조성물을 이송스크류(51)의 회전에 의해서 강제로 투입하는 조성물 투입부(5)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도색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투입구(11) 및 토출구(12)를 갖는 토출기 본체(1)와, 토출기 본체(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표면에 다수의 천공부(21)를 갖는 속이 빈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기술적 구성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00038호)의 기술적 구성과 동일함에 따라 그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색장치는,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상,하조절부(4)의 구성도 전술한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00038호)의 기술적 구성과 동일함에 따라 그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색장치는, 상기 토출기 본체(1)가 토출구(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개폐기(3)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개폐기(3)의 구성도 전술한 "종래의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00038호)의 기술적 구성과 동일함에 따라 그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색장치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동력전달수단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6)은 전,후방에 구비되는 이동 바퀴부(7)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 프레임(61)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 바퀴부(7)는 양측에 바퀴(72)가 구비된 회전축(71)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이동 바퀴부(7)를 승강시키는 승강 지지수단(73)은 상기 돌출 프레임(61)에 고정되어 회전축(71)의 양측을 회전되게 지지하고 조작을 통해 회전축(71)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한 쌍의 높이 조정부(74)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높이 조정부(74)는 프레임(6) 전방의 양측으로 구비된 돌출 프레임(61)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두 개의 이동 바퀴부(7) 중 하나의 이동 바퀴부(7)를 구성하는 회전축(71)을 선택적으로 하강시켜 선택된 이동 바퀴부(7)의 양측에 구비된 바퀴(72)가 노면에 밀착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 조정부(74)는, 회전축(71)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베어링 브라켓(741)과, 프레임(6)에 고정되어 핸들(746)의 조작을 통한 스크류(745)의 회전을 통해 상기 베어링 브라켓(741)을 승강시키는 고정브라켓(742)으로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742)의 하부에는 베어링 브라켓(741)이 승강되게 장착되는 승강 장착홀(743)이 형성되어 있고, 베어링 브라켓(741)과 승강 장착홀(743)의 전,후방 사이에는 가이드부(74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 장착홀(743)의 상부에는 베어링 브라켓(741)을 승강 시키는 핸들(746)이 포함된 상기 스크류(745)가 체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동력전달수단(8)은, 후방의 이동 바퀴부(7)의 회전축(71)에 구비되어 회전축(71)과 연동되게 회전되는 제1 기어(81)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71)의 승강과 함께 승강되고 제1 기어(81)와 맞물려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 제2 기어(8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82)의 중심 회전축(821)과 전방 이동 바퀴부(7)의 회전축(71)을 상호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부(84)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기어(81)는 회전축(71)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기어(82)는 일측의 승강 지지수단(73)을 구성하는 베어링 브라켓(741)에 별도의 고정수단(83)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제2 기어(82)는 승강이 되면서 제1 기어(81)와 맞물려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83)은, 베어링 브라켓(741)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대(832)와 수직대(833)로 구성된 고정부재(831)와, 베어링 브라켓(741)의 상부와 상기 수직대(833)에 구비되어 제 2기어(82)의 중심 회전축(821)을 관통 지지하는 베어링(834)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84)는, 제2 기어(82)의 중심 회전축(821)과 전방 이동 바퀴부(7)의 회전축(71)에 구비된 스프로킷(841)과, 스프로킷(841)들을 상호 연결하는 체인(84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동력 전달부(84)는, 체인(842)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도색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두개의 이동 바퀴부(7)가 동시에 상승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체인(842)은 동력을 전달하지 않고 중간이 처진 상태를 유지하며, 두개의 이동 바퀴부(7) 중 하나가 하강되어 하강된 이동 바퀴부(7)의 바퀴(72)가 지면에 밀착되면 체인(842)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동력을 전달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작동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미설명 부호, "32"는 개폐기(3)를 구성하는 것으로 토출기 본체(1)의 토출구(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토출구(12)의 외측에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개폐판"을 나타내고, "31"은 상기 슬라이드 개폐판(32)을 개폐시키는 "공압실린더(31)"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색작업을 진행하지 않아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가 비회전되는 상태와,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색작업을 진행하는 과정, 및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색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으로 나눠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가 비회전되어 도색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색장치가 도색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6) 전방의 전,후방에 구비된 두개의 이동 바퀴부(7)가 각각의 승강 지지수단(73)의 조작을 통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두개의 이동 바퀴부(7)를 구성하는 바퀴(72)가 노면에 밀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방에 구비된 이동 바퀴부(7)들의 바퀴(72)가 비회전됨으로써, 후방 이동 바퀴부(7)의 바퀴(72)와 연동 동력전달수단(9)으로 연결된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가 회전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후방에 구비된 이동 바퀴부(7)들의 바퀴(72)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전,후방 이동 바퀴부(7)를 연결하는 역방향 동력전달수단(8)의 체인(842)의 중간이 하부로 처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색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 측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및 도 6에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색작업을 진행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와 같이 전,후방의 두개의 이동 바퀴부(7)가 상승된 상태에서, 후방에 구비된 승강 지지수단(73)만을 조작하여 후방의 이동 바퀴부(7)만을 하강시킨다.
즉 상기 후방 승강 지지수단(73)을 구성하는 양 높이 조정부(74)의 핸들(746)을 회전시켜 베어링 브라켓(741)을 하강시킴에 따라, 양 베어링 브라켓(741)에 고정된 이동 바퀴부(7)의 회전축(71)을 하부로 하강시켜 양측의 바퀴(72)가 노면에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조성물 투입부(5)의 이송스크류(51)의 구동을 통해 토출기 본체(1)의 투입구(11)에 조성물을 투입한다.
다음 도색차량(10)을 전진 방향으로 주행시킴과 동시에 개폐부(3)의 슬라이드 개폐판(32)을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개방하게 되면, 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7)의 바퀴(7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바퀴(72)와 연동 동력전달수단(9)으로 연결되어 있는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의 이동 바퀴부(7)와 역방향 동력전달수단(8)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7)의 회전축(71)이 시계방향으로 공회전 됨에 따라, 전방 이동 바퀴부(7)의 회전축(71)의 양측에 고정된 바퀴(72)도 공회전 된다.
또한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천공부(23)와 토출기 본체(1)의 토출구(12)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조성물의 토출에 의한 노면표지(80)의 문양(90)들의 조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도색차량이 전진되면서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전술한 도 15와 같이 천공실린더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으로 인하여 노면에 그려지는 노면표지(80)를 구성하는 각 문양의 후방에 폭이 좁은 꼬리문양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후방에 꼬리문양이 형성된 다수의 문양으로 구성된 노면표지를 도포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색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상,하 조절부의 조절을 통해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높이를 가변시켜 노면표지(80)의 두께를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에 형성된 천공부(21)와 토출기 본체(1)에 형성된 토출구(12)의 사이 간격을 크게 또는 작게 함으로써, 노면표지의 두께를 높거나 낮게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색작업을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색되어진 노면표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색작업을 진행할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색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즉 전,후방의 두개의 이동 바퀴부(7)가 상승된 상태에서, 전방에 구비된 승강 지지수단(73)만을 조작하여 전방의 이동 바퀴부(7)만을 하강시킨다.
다시말해 상기 전방 승강 지지수단(73)을 구성하는 양 높이 조정부(74)의 핸들(746)을 회전시켜 베어링 브라켓(741)을 하강시킴에 따라, 양 베어링 브라켓(741)에 고정된 전방 이동 바퀴부(7)의 회전축(71)을 하부로 하강시켜 양측의 바퀴(72)가 노면에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조성물 투입부(5)의 이송스크류(51)의 구동을 통해 토출기 본체(1)의 투입구(11)에 조성물을 투입한다.
다음 도색차량(10)을 전진 방향으로 주행시킴과 동시에 개폐부의 슬라이드 개폐판(32)을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개방하게 되면, 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7)의 바퀴(72)가 노면에 밀착되어 전진됨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전방의 이동 바퀴부(7)와 역방향 동력전달수단(8)으로 연결되어 있는 후방에 상승되게 위치된 이동 바퀴부(7)의 회전축(71)이 시계 방향으로 공회전 됨에 따라, 후방 이동 바퀴부(7)의 회전축(71) 양측에 고정된 바퀴(72)도 시계 방향으로 공회전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7)의 바퀴(72)와 연동 동력전달수단(9)으로 연결되어 있는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천공부(23)와 토출기 본체(1)의 토출구(12)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조성물의 토출에 의한 노면표지(80)의 문양(90)들의 조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방의 이동 바퀴부(7)를 구성하는 바퀴(72)가 노면에 밀착 전진되어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8에 도시된 같이 천공실린더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으로 인하여 노면에 그려지는 노면표지(80)를 구성하는 각 문양(90)의 후방에 폭이 좁은 꼬리문양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토출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토출기 본체(1)의 둘레에 채워진 조성물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토출기 본체(1)의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12)에서 조성물이 배출되는 순간에는 토출구(12)의 후방에 위치된 조성물이 토출기 본체(1)의 둘레에 시계방향으로 생기는 회전력으로 인하여 전방으로 낙하 이동되면서 노면에 토출됨에 따라, 각 문양(90)의 후방에 꼬리문양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후방에 꼬리문양이 제거된 진원 형상의 다수의 문양(90)으로 구성된 노면표지(80)를 도색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노면표지(80)를 구성하는 각 문양(90)을 진원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각 문양의 심미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각 문양(90)의 둘레를 진원을 형성함에 따라 강도를 최대로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색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상,하 조절부(4)의 조절을 통해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의 높이를 가변시켜 노면표지(80)의 두께를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에 형성된 천공부(21)와 토출기 본체(1)에 형성된 토출구(12)의 사이 간격을 크게 또는 작게 함으로써, 노면표지(80)의 두께를 높거나 낮게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토출기 본체
11:투입구 12:토출구
2 :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
21 : 천공부, 22 : 회전축
3 : 개폐기
31 : 공압실린더
32 : 슬라이드 개폐판
4 : 상.하조절부
5 : 조성물 투입부
51 : 이송스크류
6 : 프레임
61 : 돌출 프레임
7 : 이동 바퀴부
71 : 회전축
72 : 바퀴
73 : 승강 지지수단
74 : 높이 조정부
741 : 베어링 브라켓, 742 : 고정브라켓, 743 : 승강 장착홀,
744 : 가이드부, 745 : 스크류, 746 : 핸들
8 : 역방향 동력전달수단
81 : 제1 기어
82 : 제2 기어
821 : 중심 회전축
83 : 고정수단
831 : 고정부재, 832 : 수평대, 833 : 수직대, 834 : 베어링
84 : 동력 전달부
841 : 스프로킷, 842 : 체인
9 : 연동 동력전달수단
91 : 스프로킷
92 : 스프로킷
93 : 체인
10 : 도색차량
80 : 도면표지
90 : 문양

Claims (6)

  1. 상.하부에 투입구(11) 및 토출구(12)를 갖는 토출기 본체(1)와, 토출기 본체(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표면에 다수의 천공부(21)를 갖는 속이 빈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와, 상기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회전시키는 실린더 구동부를 포함하는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구동부는,
    도색차량(10)에 고정되고 토출기 본체(1)의 전방측에 구비된 프레임(6)과,
    프레임(6) 전방의 전,후방에 각각이 승강 지지수단(73)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두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하강시켜 바퀴(72)가 노면에 밀착 회전되게 하는 두개의 이동 바퀴부(7)와,
    상기 전,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7)를 구성하는 바퀴(72)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하는 역방향 동력전달수단(8)과, 상기 후방에 위치된 이동 바퀴부(7)의 바퀴(72)와 문양조성용 천공실린더(2)를 서로 동일방향으로 연동 회전시키는 연동 동력전달수단(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바퀴부(7)는 양측에 바퀴(72)가 구비된 회전축(71)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지지수단(73)은 프레임(6)에 고정되어 회전축(71)의 양측을 회전되게 지지하고 조작을 통해 회전축(71)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한 쌍의 높이 조정부(7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정부(74)는,
    회전축(71)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베어링 브라켓(741)과,
    프레임(6)에 고정되어 핸들(746)의 조작을 통한 스크류(745)의 회전을 통해 상기 브라켓을 승강시키는 고정브라켓(7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동력전달수단(8)은,
    후방의 이동 바퀴부(7)의 회전축(71)에 구비된 제1 기어(81)와,
    고정수단(83)을 통해 회전축(71)의 승강과 함께 승강되고 제1 기어(81)와 맞물려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 제2 기어(82)와,
    제2 기어(82)의 중심 회전축(821)과 전방 이동 바퀴부(7)의 회전축(71)을 상호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부(8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83)은,
    베어링 브라켓(741)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대(832)와 수직대(833)로 구성된 고정부재(831)와,
    베어링 브라켓(741)의 상부와 상기 수직대(833)에 구비되어 제2기어(82)의 중심 회전축(821)을 관통 지지하는 베어링(83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84)는,
    제2 기어(82)의 중심 회전축(821)과 전방 이동 바퀴부(7)의 회전축(71)에 구비된 스프로킷(841)과,
    스프로킷(841)들을 상호 연결하는 체인(84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KR1020100027912A 2010-03-29 2010-03-29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KR101194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912A KR101194667B1 (ko) 2010-03-29 2010-03-29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912A KR101194667B1 (ko) 2010-03-29 2010-03-29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623A KR20110108623A (ko) 2011-10-06
KR101194667B1 true KR101194667B1 (ko) 2012-10-29

Family

ID=4502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912A KR101194667B1 (ko) 2010-03-29 2010-03-29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8976B (zh) * 2021-07-01 2022-07-22 江西华翔建筑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工程用路面划线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415B1 (en) 2001-09-20 2002-08-21 Gungyo Co Ltd Uneven traffic lane painting device and traffic lane painting method using same
KR100346416B1 (en) 2001-09-20 2002-08-21 Gungyo Co Ltd Manual uneven traffic lane painting device and traffic lane painting method using same
KR100501992B1 (ko) 2001-12-31 2005-07-25 최장선 차선도색차량
KR100700038B1 (ko) 2006-04-27 2007-03-26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415B1 (en) 2001-09-20 2002-08-21 Gungyo Co Ltd Uneven traffic lane painting device and traffic lane painting method using same
KR100346416B1 (en) 2001-09-20 2002-08-21 Gungyo Co Ltd Manual uneven traffic lane painting device and traffic lane painting method using same
KR100501992B1 (ko) 2001-12-31 2005-07-25 최장선 차선도색차량
KR100700038B1 (ko) 2006-04-27 2007-03-26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623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24279B (zh) 一种自动路面刨铣装置
EP2483138B1 (de) Kletterroboter für das befahren von haftoberflächen
KR101194667B1 (ko)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CN107432194A (zh) 一种全自动食用菌菌棒打孔装置
KR100700038B1 (ko)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DE2320220A1 (de) Bodenentwaesserungssystem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dafuer
CN106076586B (zh) 移动式碎石机
KR101138005B1 (ko) 제설제 살포방향 제어장치
DE2760337C2 (ko)
US20060013654A1 (en) Method, apparatus and template band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profiled road surfaces
CN213804816U (zh) 一种园林环保绿化施工划线车
KR100330281B1 (ko) 도로경계턱의 성형보수장치
EP3389357B1 (de) Anlage zur belichtung von grossen rasenflächen
PL1796893T3 (pl)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arzania opon pneumatycznych
US1269098A (en) Road-making machine.
DE102020109011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unter Verwendung eines formbaren und aushärtenden Baumaterials errichteten Streckenbauwerken
DE2820016A1 (de) Gleitschutzeinrichtung
EP3301223A1 (de) Vorrichtung zum sanieren und profilieren von beschädigten wassergebundenen wegdecken
CH683274A5 (de) Markierung für Oberfläch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zum Markieren von Strassenoberflächen und Vorrichtung hiefür sowie so hergestellte Strassenoberfläche.
KR100930663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문양 각인장치
KR102539513B1 (ko) 자동화된 차선 도색 장치
KR102444818B1 (ko) 노면의 돌출형 차선 도색장치
CN116771148B (zh) 一种沿海地区建筑用混凝土养护装置及其使用方法
CN215857050U (zh) 一种钢箱梁桥面沥青铺设设备
EP2738310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Markierungen aus hochviskosem Markierungsmaterial auf einer zu markierenden Oberfläc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