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927B1 - 노면 표식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노면 표식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927B1
KR101259927B1 KR1020120050071A KR20120050071A KR101259927B1 KR 101259927 B1 KR101259927 B1 KR 101259927B1 KR 1020120050071 A KR1020120050071 A KR 1020120050071A KR 20120050071 A KR20120050071 A KR 20120050071A KR 101259927 B1 KR101259927 B1 KR 101259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ressure
paint
pipe
pressur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철
Original Assignee
박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철 filed Critical 박상철
Priority to KR102012005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 표식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항시 페인트의 배출압력이 적정수준으로 쉽게 형성됨과 동시에 적정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페인트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도색불량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압력형성장치의 마모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압력형성장치 전체를 교체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없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도색작업 후 압력형성장치 내 페인트의 회수효율을 높임으로써 잔존 페인트에 의한 도색 불량 및 압력형성장치 고장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면 표식 형성장치{APPARATUS FOR ROAD MARKING}
본 발명은 도로 등의 노면에 페인트를 도포하여 차선 등의 교통 표식을 형성시키는 노면 표식 형성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차선이나 횡단보도선, 주차구획선 등 다양한 교통관련 표식이 그려져 있다.
이러한 교통 표식은 페인트 탱크를 싣고 있는 도색장치가 이동하면서 탱크 내 페인트를 분사하여 노면 상에 도포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때 페인트의 분사방식은, 수용탱크와 연결된 압력형성장치 내 스크류(에어압력으로 강제이송되는 타입)가 회전하면서 수용탱크 내 페인트를 배출관 쪽으로 강제 이송시킴에 따라, 페인트가 일정압력으로 분사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노면표식용 페인트는 기본적으로 표식의 융착력 향상 및 야간식별력을 높이기 위한 석분가루와 유리가루 등의 기능성 분말이 함유되는데, 이러한 유리가루 등이 스크류날개와 접촉되면 스크류날개가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 된다.
또한 이렇게 에어압력으로 강제이동되는 방식은 일정압력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어, 결국 페인트 분사압력이 수시로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용탱크 내 페인트의 강제이송이 어려워 적정배출압력이 형성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페인트 분사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어, 결국 표식의 도색불량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도색불량이 발생될 경우 스크류날개를 교체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 및 번거로움 등의 문제점이 수반된다.
또한 도색작업 후 압력형성장치 내에 존재하는 페인트를 다시 수용탱크 안으로 회수시켜야 하는데, 이때 페인트의 회수효율이 높지 못해 압력형성장치 내 잔존 페인트가 굳어 도색불량 및 스크류 작동불량 현상이 초래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95652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항시 페인트의 배출압력이 적정수준으로 쉽게 형성됨과 동시에 적정압력이 유지되면서 페인트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도색불량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노면 표식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압력형성장치의 마모 현상을 최소화 함으로써 압력형성장치 전체를 교체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없는 노면 표식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도색작업 후 압력형성장치 내 페인트의 회수효율을 높임으로써 잔존 페인트에 의한 도색 불량 및 압력형성장치 고장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노면 표식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구동바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페인트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탱크, 상기 수용탱크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압력저하유도부, 일단부가 상기 수용탱크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압력저하유도부와 연결되어 있는 수집관, 상기 수용탱크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내부에는 충진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배관을 통해 상기 수집관 내부와 충진공간이 연결되어 있는 압력형성탱크, 상기 페인트 압력탱크 내부와 연결되어 있고 페인트를 노면 상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저하유도부는 상기 수용탱크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방향 직선이동이 가능하되, 여기서의 직선운동은 유압식 에어리스 펌프를 통하여 구현이 가능하며 일단부가 상기 수집관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있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양방향 직선이동 중 상기 실린더를 향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집관 내부의 압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관의 내부 중 상기 연결배관의 연결부위와 상기 수용탱크와의 연결부위 사이 지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탱크에서부터 빠져나와 수집관을 통해 이동되는 페인트가 상기 피스톤로드쪽 방향을 향해서만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집관은 상단부에 상기 피스톤로드의 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연결배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제1수집관, 상기 제1수집관의 내부와 상기 수용탱크 내부를 연결하는 제2수집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형성탱크 내부와 상기 수용탱크 내부를 차단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있는 드레인밸브, 상기 압력형성탱크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압력형성탱크 내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유입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형성탱크 및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있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압력저하유도부를 통해 수집관의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켜 수용탱크 내 페인트가 수집관으로 유도된 후 압력형성탱크로 이동시키는 방식이므로,
수용탱크 내 페인트의 유도과정에서 압력저하유도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압력저하유도부의 마모 등의 현상이 방지되어 유지 보수 등에 따른 문제점이 해결된다.
그리고 이렇게 압력저하유도부의 마모가 방지됨에 따라 항시 적정양의 페인트이송이 이루어짐으로, 압력형성탱크 내부압력이 항시 적정 수준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결국 분사노즐을 통한 페인트의 분사량이 항시 일정하므로 표식형성 불량 발생 가능성이 최소화되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압력저하부의 피스톤로드가 유압력에 의해 상하 직선이동됨으로 실린더 내에서 항시 일정한 압력 형성이 가능하여, 결국 일정량의 페인트가 일정한 압력으로 이동 및 분사되므로 페인트 분사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색작업이 완료된 후 압력형성탱크 내부의 페인트가 드레인밸브를 통해 수용탱크 내부로 회수되되, 이 과정에서 공기제어부에 의해 외부공기를 압력형성탱크 내부로 유입시켜 내부압력을 높임에 따라 페인트의 회수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측면 개략도
도2는 수용탱크와 압력저하유도부, 압력형성탱크 및 분사노즐 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일부 확대 사시도
도3은 도2의 일부 단면도로 피스톤로드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페인트가 이동되는 경로를 나타낸 일부확대 단면도
도4는 응고방지장치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5는 도2의 일부 단면도로 피스톤로드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확대 단면도
도6은 도2의 일부 단면도로 압력형성탱크 내부의 페인트가 수용탱크로 회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노면 표식형성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와 수용탱크(300)와 압력저하유도부(400), 수집관(500), 압력형성탱크(600) 및 분사노즐(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본 발명의 이동 및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 전측에는 후술하는 엔진(210)의 설치를 위한 제1공간부가 형성되고 제1공간부 상측에는 주행조작을 위한 운전석(101)이 형성되며, 상부 후측에는 후술하는 수용탱크(300) 등의 설치를 위한 제2공간부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100)의 하부 전후측에는 본체(100)의 이동을 위한 구동바퀴(110)가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100)는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타 구성요소의 설치기능 및 이동 기능을 갖는다면 얼마든지 다양한 구조 및 크기 등으로 변형제작될 수 있다.
본체(100)에는 구동부(200)가 설치된다.
구동부(200)는 본체(100)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 및 후술하는 압력저하유도부(400)의 작동에 필요한 구동력 발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엔진(210)과 유압펌프(220) 및 구동모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엔진(210)은 유압펌프(220)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최초로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연료분사형 엔진구조로 이루어지며 본체(100)의 제1공간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유압펌프(220)는 본체(100)의 주행력 및 페인트의 펌핑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유압펌프가 사용되며 벨트(미도시) 및 벨트풀리(미도시) 등을 통해 엔진(210)과 연결된 상태에서 본체 상부 중간 지점에 설치된다.
구동모터(230)는 유압펌프(220)의 유압력을 본체(100)의 구동바퀴(110)에 전달하여 구동바퀴의 실제 구동역할을 하는 것으로, 오일압력에 의해 내부의 모터축이 회전되는 유압모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구동모터(230)는 유압펌프(220)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바퀴의 바퀴축과 연결됨에 따라 구동바퀴가 유압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유압모터를 구동바퀴의 구동원으로 사용함에 따라 본체가 일정한 속도로 저속운행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특성 상 저속으로 운행되면서 페인트가 분사되어야 노면상에 표식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는데, 만약 본체가 일반적인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여 주행할 경우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워 표식두께가 불균하게 형성될 우려가 큰 반면, 본 발명처럼 유압모터를 사용할 경우 일정한 속도의 유지가 가능하므로 표식두께의 불량 현상이 최소화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참고로 만약 유압펌프의 유압력 외의 구동원으로도 본체의 일정한 저속운행이 가능하다면 본체의 주행에 필요한 구동원은 유압펌프외 타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동부(200)까지 설치된 본체(100)에는 수용탱크(300)가 설치된다.
수용탱크(300)는 표식형성에 사용될 페인트(1)의 수용 및 교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탱크본체(310)와 탱크덮개(320) 및 교반스크류(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탱크본체(310)는 전체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312)이 형성된 원통 형태이고 본체(100)의 후측 제2공간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탱크본체(310)의 하부 일측에는 후술하는 수집관(500)과의 연결 및 페인트의 배출 통로 역할을 하는 배출공(31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페인트의 회수통로 역할을 하는 회수유입공(316)이 형성된다.
또한 탱크본체(310)의 상단 테두리 일측에는 후술하는 압력저하유도부(400)의 설치를 위한 설치프레임(318)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탱크본체(310)의 상단에 설치되는 탱크덮개(320)는 탱크본체(310)의 개폐 및 후술하는 교반스크류(330)의 설치 기능을 하는 것으로, 탱크본체(310)의 상단부를 개방 가능하도록 덮은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탱크본체(310) 및 탱크덮개(320)와 함께 수용탱크(300)를 구성하는 교반스크류(330)는 탱크본체(310)에 수용된 페인트를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응고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크류날개가 스크류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형성된 구조이고 스크류축의 상단부가 탱크덮개(320)에 연결되어 전체가 탱크본체(310)의 수용공간(312)에 위치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교반스크류(330)는 구동부(200)의 유압펌프(220)와 연결되어 유압력에 의해 회전되는데, 교반스크류(330)의 구동원은 유압펌프로 한정되지 않고 별도 전동모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참고로 수용탱크(300)의 크기 및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페인트의 수용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렇게 설치된 수용탱크(300)에는 압력저하유도부(400)가 설치된다.
압력저하유도부(400)는 수용탱크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유도하여 수용탱크(300) 내 페인트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실린더(410) 및 피스톤로드(420)를 갖는 피스톤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실린더 및 피스톤로드(420)의 동작은 유압펌프(220)와 연결되어 유압식 에러리스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때 실린더(410)는 탱크본체(310)의 설치프레임(318)에 고정설치되고 피스톤로드(420)가 실린더(410)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돌출되어 설치프레임(318)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피스톤로드(420)는 실린더(410)의 하단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 직선왕복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410)의 상단부에는 별도의 고정프레임(430)이 위치되고 연결바아(440)가 실린더(410)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고정프레임(430)과 설치프레임(318)을 상호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실린더(410)는 고정프레임(430)과 설치프레임(318)사이에 물려진 상태가 되어 흔들림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이렇게 설치된 압력저하유도부(400)는 별도의 수집관(500)을 통해 수용탱크(300)와 연결된다.
수집관(500)은 압력저하유도부(400)에 의한 압력저하 분위가가 형성되는 부분으로 이와 동시에 페인트가 후술하는 압력형성탱크(600)로 이동될 때 이동 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수집관(510) 및 제2수집관(520)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제2수집관(520)은 수용탱크(300)내 페인트의 최초 인출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배관 형태이고 일단부가 수용탱크(300)의 배출공(314)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1수집관(510)은 압력저하유도부에 의한 압력저하 형성공간 기능 및 제2수집관(520)을 통해 이동된 페인트(1)의 이동방향을 후술하는 압력형성탱크(600)쪽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수집관(520)보다 직경이 큰 중공관 형태이고 하단부가 제2수집관(520)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단의 중공부 입구에는 압력저하유도부(400)의 피스톤로드(420)의 하단에 형성된 피스톤헤드(422)가 삽입된 상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피스톤로드(420)의 피스톤헤드(422)가 제1수집관(510)의 상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수집관(510)내부 구간에서 상하 왕복직선 이동된다.
이렇게 설치된 제1수집관(510)의 일측부에는 후술하는 압력형성탱크(600)와의 연결 및 페인트의 배출을 위한 연결공(5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2수집관(510)에는 체크밸브(514)가 설치되는데,
체크밸브(514)는 피스톤로드에 의해 제1수집관 내부에서 펌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수용탱크(300)로부터 배출된 페인트가 항시 의해 피스톤로드쪽 방향을 향해서만 이동되도록 하고 수용탱크쪽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유류관이 등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적용된다.
이때 체크밸브(514)는 제1수집관(510)의 연결공(512)의 아래쪽 지점에 형성됨에 따라 체크밸브를 통과한 페인트가 체크밸브 위쪽 공간에 머무는 상태에서 연결공(512)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렇게 수집관(500)을 통해 수용탱크(300)와 연결된 압력저하유도부(400) 일측에는 압력형성탱크(600)가 설치된다.
압력형성탱크(600)는 페인트가 후술하는 분사노즐로 공급될 때 적정압력으로 공급된 후 분사될 수 있는 환경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 압력형성공간(610)이 형성된 원통 형태이고 하부 일측에는 제1수집관(510)과의 연결 및 페인트의 유입을 위한 유입공(66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후술하는 분사노즐(700)과의 연결 및 페인트 배출을 위한 토출공(62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토출공(620)에는 별도의 필터(F)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페인트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압력형성탱크(600)는 별도의 연결배관(640)을 통해 수집관(500)과 연결되는데, 연결배관(640)의 일단부는 제1수집관(510)의 연결공(51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압력형성탱크(600)의 유입공(660)과 연결된다.
이와 동시에 압력형성탱크(600)는 드레인밸브(800)를 통해 수용탱크(300)와도 연결되는데,
드레인밸브(800)는 압력형성탱크(600) 내 페인트(1)의 회수여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전자밸브처럼 수처리배관이나 유류배관에서의 드레인 밸브가 사용된다.
드레인밸브(800)는 일단부가 압력형성탱크(600)의 회수배출공(63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수용탱크(300)의 회수유입공(316)에 연결되고, 드레인밸브(800)에 의해 압력형성탱크(600)와 수용탱크(300)간의 연결이 제어된다.
이때 압력형성탱크(600)에는 별도의 공기유입제어부(810)가 설치되는데,
공기유입제어부(810)는 페인트의 회수 과정에서 외부공기 유입을 통해 압력형성탱크(600)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켜 페인트의 배출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압력형성탱크(600) 상단의 통공(601)을 개폐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압력형성탱크(600)까지 설치된 본체(100)에는 분사노즐(700)이 설치된다.
분사노즐(700)은 페인트를 노면 상에 최종적으로 분사하여 도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분사건 형태이고 본체 양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토출배관(650)을 통해 압력형성탱크(600)의 토출공(620)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구조에 의해 수용탱크(300) 안에 수용된 페인트(1)는 수집관(500)과 압력형성탱크(600)를 거친 후 분사노즐(700)을 통해 노면상에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서 페인트 응고방지장치(900)가 더 설치된다.
응고방지장치(900)는 수용탱크(300)로부터 배출된 페인트를 적정온도로 가열하여 항상 적정 점도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 및 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열매체탱크(910)와 열매체이송관(920) 및 가열부(9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매체탱크(910)는 내부에 열매체유의 수용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열매체이송관(920)은 열매체탱크(910) 내 열매체의 순환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열매체탱크(9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압력형성탱크(600)와 연결되어 수집관(500)과 연결배관(640) 및 토출배관(650)을 따라 배설된다.
따라서 열매체이송관(920)을 따라 이송되는 열매체는 이송과정에서 수집관(500)과 연결배관(640) 및 토출배관(650) 내 페인트와 간접적으로 열교환된후 열매체탱크(910)로 회수되는 형태로 순환된다.
그리고 가열부(930)는 열매체탱크(910)에 수용된 열매체유를 일정온도로 가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전기히터나 열풍공급장치 형태로 구현되어 열매체탱크내 열매체유를 항시 일정안 온도로 가열시킨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엔진(210)에 의해 유압펌프(220)가 작동되고 유압력에 의해 구동모터(230)의 모터축이 회전함에 따라 구동바퀴(110)가 회전하여, 결국 본체(100)를 비롯해 노면 표식장치 전체가 노면상에서 주행하게 된다.
이와 별개로 페인트(1)가 수용탱크(300)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교반스크류(330)가 유압펌프(220)의 유압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페인트를 교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용탱크(300) 내 페인트는 응고되지 않고 일정 점도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노면상에 페인트를 분사하여 표식을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 [도 5] 및 [도 3]과 같이 유압펌프(220)의 유압력이 압력저하유도부(400)의 실린더 내 외부로 순환되고, 이러한 유압력에 의해 피스톤로드(420)가 상하 직선왕복이동된다.
이때 피스톤로드(420)의 피스톤헤드(422)가 제1수집관의 상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왕복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 5]처럼 피스톤헤드(422)가 하강되는 과정에서는 체크밸브에 의해 압력이 수용탱크까지 전달되지 않는 반면, 피스톤헤드(422)가 상승되는 과정에서는 보조 체크밸브가 개방됨에 따라 제1수집관(510) 내부의 압력이 하강됨과 동시에 이러한 압력변화가 체크밸브와 제2수집관을 통해 수용탱크가지 전달된다.
이렇게 제1수집관 내부의 압력이 하강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수용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페인트는 제2수집관(520)을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제1수집관(510) 내부로 이동된다.
이처럼 피스톤로드(420)가 유압력에 의해 작동됨에 따라 실린더 내에서는 항시 일정한 압력변화가 형성되며 이로 인해 수용탱크내 페인트가 일정한 속도 및 양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페인트는 체크밸브(514)를 통과한 뒤 제1수집관(510) 내부에 채워지는데, 이 상태에서 피스톤헤드가 하강되더라도 제1수집관(510) 내부의 페인트는 제2수집관(520)쪽으로 역류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압력저하유도부(400)에 의한 펌핑작용에 의해 수집관(500)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한 압력차이로 인해 수용탱크(300) 내 페인트가 배출되는구조이다.
이렇게 따라서 피스톤로드의 펌핑에 의해 수용탱크(300)내 페인트가 연속적으로 배출된 후 제1수집관(510)내부에 채워지는 과정이 반복되고 피스톤로드의 상승과정에서 제1수집관(510) 내부에 채워진 페인트는 연결공(512)을 통해 배출됨고 동시에 연결배관(640)을 따라 이동한 뒤 압력형성탱크(600)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페인트가 압력형성탱크(600) 내부에 적정수준까지 채워지면 내부에 적정압력이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추가로 페인트가 연속 유입되면 압력형성탱크(600) 내부에 있던 페인트가 내부 압력에 의해 토출배관(650)을 따라 배출된 후 분사노즐(700)을 통해 노면 상에 분사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압력저하유도부(400)에 의한 펌핑작용에 의한 압력차에 의해 수용탱크(300) 내 페인트가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기존 스크류 타입의 기술과 달리 페인트와 압력저하유도부 간에 전혀 접촉되지 않으므로, 접촉과정에서 페인트 성분에 의한 마모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피스톤로드의 교체나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최소화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마모현상이 방지된 상태로 펌핑이 이루어짐에 따라 항시 일정량의 페인트가 배출 및 이송될 수 있으므로 분사노즐에서의 분사압력도 항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결국 노면상에 형성된 페인트 표식의 두께 등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페인트 이송 및 분사 과정에서 응고방지장치(900)로부터 배출된 열매체유는 열매체이송관(920)을 따라 이송되면서 수집관(500)과 연결배관(640), 압력형성탱크(600) 및 토출배관(650)내 페인트와 간접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페인트는 항시 응고되지 않고 적정 점도를 유지한 상태가 됨으로 배관의 막힘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노면상에 균일한 두께 등으로 도포된다.
이러한 표식형성과정이 완료되면 유압펌프(220)도 작동중지되어 페인트의 이송 및 분사가 중단된다.
이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드레인밸브(800)가 개방되면 압력형성탱크(600)내에 존재하는 페인트가 수용탱크(100) 내부로 회수되는데, 이때 페인트배출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압력형성탱크(600) 내부는 압력이 매우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드레인밸브(800)만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내부의 페인트가 수용탱크 쪽으로 쉽게 이동되지 못한다.
따라서 이 경우 공기유입제어부(810)를 작동시키면 외부공기가 압력형성탱크(600)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압력형성탱크(600) 내부 압력이 상승되고, 이로 인해 내부의 페인트가 수용탱크(300) 내부로 쉽게 이동되어 회수효율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압력저하유도부를 통해 수집관 내부 압력을 저하시켜 압력차이로 인해 수용탱크 내부의 페인트가 강제로 이송된 후 압력형성탱크 내부에 채워진 뒤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압력저하유도부와 페인트의 접촉을 차단하여 마모 현상을 방지하고 페인트가 항시 적정압력으로 분사되도록 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100 : 본체 110 : 구동바퀴
200 : 구동부 210 : 엔진
220 : 유압펌프 230 : 구동모터
300 : 수용탱크 310 : 탱크본체
312 : 수용공간 314 : 배출공
316 : 회수유입공 318 : 설치프레임
320 : 탱크덮개 330 : 교반스크류
400 : 압력저하유도부 410 : 실린더
420 : 피스톤로드 422 : 피스톤헤드
422a : 보조체크밸브 540 : 배출관
430 : 고정프레임 440 : 연결바아
500 : 수집관 510 : 제1수집관
512 : 연결공 514 : 체크밸브
520 : 제2수집관 600 : 압력형성탱크
610 : 압력형성공간 620 ; 토출공
630 : 회수배출공 640 : 연결배관
650 : 토출배관 660 : 유입공
700 : 분사노즐
800 : 드레인밸브
810 : 공기유입제어부 900 : 응고방지장치
910 : 열매체탱크 920 : 열매체이송관
930 : 가열부 1 : 페인트

Claims (6)

  1. 구동바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페인트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탱크,
    상기 수용탱크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압력저하유도부,
    일단부가 상기 수용탱크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압력저하유도부와 연결되어 있는 수집관,
    상기 수용탱크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내부에는 압력형성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배관을 통해 상기 수집관 내부와 압력형성공간이 연결되어 있는 압력형성탱크,
    상기 페인트 압력탱크 내부와 연결되어 있고 페인트를 노면 상에 분사하는 분사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관은,
    일측에 상기 연결배관이 연결되어 있는 제1수집관,
    상기 제1수집관의 내부와 상기 수용탱크 내부를 연결하는 제2수집관
    을 포함하는 노면 표식형성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압력저하유도부는,
    상기 수용탱크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방향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단부가 상기 제1수집관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있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양방향 직선이동 중 상기 실린더를 향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집관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는
    노면 표식형성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수집관의 내부 중 상기 연결배관의 연결부위와 상기 수용탱크와의 연결부위 사이 지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탱크에서부터 빠져나와 수집관을 통해 이동되는 페인트가 상기 피스톤로드쪽 방향을 향해서만 이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수집관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
    를 더 포함하는 노면 표식형성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압력형성탱크 내부와 상기 수용탱크 내부를 차단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있는 드레인밸브,
    상기 압력형성탱크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압력형성탱크 내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유입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노면 표식형성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압력형성탱크 및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있는 필터부
    를 더 포함하는 노면 표식형성장치.





KR1020120050071A 2012-05-11 2012-05-11 노면 표식 형성장치 KR101259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071A KR101259927B1 (ko) 2012-05-11 2012-05-11 노면 표식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071A KR101259927B1 (ko) 2012-05-11 2012-05-11 노면 표식 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927B1 true KR101259927B1 (ko) 2013-05-02

Family

ID=4866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071A KR101259927B1 (ko) 2012-05-11 2012-05-11 노면 표식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9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259B1 (ko) * 2014-04-23 2014-11-27 박상철 도색제 압력탱크 세척장치
KR20200121962A (ko) * 2019-04-16 2020-10-27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노즐의 막힘이 방지된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89B1 (ko) * 2007-11-30 2008-03-31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저압 분사식 노면표시 시공방법 및 장치
KR100930075B1 (ko) * 2008-10-01 2009-12-08 (주)선광라인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89B1 (ko) * 2007-11-30 2008-03-31 주식회사 알에스테크 저압 분사식 노면표시 시공방법 및 장치
KR100930075B1 (ko) * 2008-10-01 2009-12-08 (주)선광라인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259B1 (ko) * 2014-04-23 2014-11-27 박상철 도색제 압력탱크 세척장치
KR20200121962A (ko) * 2019-04-16 2020-10-27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노즐의 막힘이 방지된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KR102236986B1 (ko) * 2019-04-16 2021-04-08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노즐의 막힘이 방지된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361B1 (ko) 미세 각도로 정역회전이 가능한 융설액 분사장치
CN110359350B (zh) 一种道路桥梁沥青路面裂缝检测修复装置
CN205420989U (zh) 一种沥青路面坑槽智能化修补车
KR101259927B1 (ko) 노면 표식 형성장치
KR100501992B1 (ko) 차선도색차량
CN106522148A (zh) 一种用于跨座式单轨高架上的除冰雪车辆
CN102493320B (zh) 液态沥青洒布装置、摊铺机及施工方法
JP3999770B2 (ja) 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CN210177335U (zh) 一种公路用小裂缝修补压平装置
KR101011998B1 (ko) 액상 제설재 살포장치
CN105642505A (zh) 一种新型双组分混合轮胎自动喷胶机
KR20100110492A (ko) 제설장치
CN209336685U (zh) 全自动工地洗车设备
KR100700038B1 (ko)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KR101245297B1 (ko) 열교환기를 이용한 제설용액 가온장치
CN215714523U (zh) 一种用于道路工程技术的道路裂缝维护装置
CN206396698U (zh) 一种用于跨座式单轨高架上的除冰雪车辆
KR200396225Y1 (ko) 눈을 사용하여 제설액을 제조 후 살포하는 장치
CN210826985U (zh) 一种散热性能好的路面结构
CN203999009U (zh) 一种移动式浮渣清除装置
CN208830108U (zh) 一种用于公路养护施工的公路养护施工工程车
CN209775691U (zh) 一种纸箱加工用自动上胶装置
CN209854643U (zh) 一种道路除雪车
CN113832824A (zh) 一种桥梁道路喷涂装置
RU2693256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ылеобразования пр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и горной масс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