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932B1 -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화 통역 시스템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화 통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932B1
KR100698932B1 KR1020057003448A KR20057003448A KR100698932B1 KR 100698932 B1 KR100698932 B1 KR 100698932B1 KR 1020057003448 A KR1020057003448 A KR 1020057003448A KR 20057003448 A KR20057003448 A KR 20057003448A KR 100698932 B1 KR100698932 B1 KR 100698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language
language interpreter
terminal
deaf
television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7032A (ko
Inventor
노조무 사루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깅가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깅가네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깅가네트
Publication of KR20050057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04M3/567Multimedia 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61Language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102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 H04M3/4211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where the identifier is used to access a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농아자가 자유롭게 시선을 이동하여 외계(外界)를 시인(視認)하면서 수화에 의한 설명을 받을 수 있는 수화 영상 제시 장치, 수화 영상 입출력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화 통역 시스템을 제공한다. 수화 영상 제시 장치는, 수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12)와 표시장치(12)를 농아자의 눈앞에 고정하는 눈앞 고정구(13)와 텔레비젼 전화 단말(10)로 수신 중인 수화 영상을 표시장치(12)에 공급하는 텔레비젼 전화 접속 장치(16)로 구성된다. 수화 영상 입출력 장치는, 수화 영상 제시 장치에 농아자의 수화를 촬상하는 수화 촬상 카메라(14)와 수화 촬상 카메라(14)를 농아자의 요부(腰部)에 고정하는 요부(腰部) 고정구(15)를 더욱 갖추고, 수화 촬상 카메라(14)로 촬상된 농아자의 수화를 텔레비젼 전화 단말(10)에 공급한다. 수화 통역 시스템(100)은, 수화 영상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여 농아자와 비농아자가 면담할 때의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한다.
수화영상, 수화통역

Description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화 통역 시스템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ystem By Using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Video Telephone And Its supplementary Device}
본원 발명은, 농아자가 텔레비젼 전화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수화 통역자에 의한 수화 통역을 받을 때에 사용하는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화 통역 시스템에 관하고, 특히 농아자가 외출시에 수화를 할 수 없는 비농아자와 면담하는 경우에 적합한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화 통역 시스템에 관한다.
귀나 입이 부자유스러운 농아자가 외출지에서 수화를 할 수 없는 비농아자와 면담하기 위해서는, 필담에 의하거나, 수화 통역을 할 수 있는 사람을 찾을 필요가 있지만, 필담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유창한 회화는 곤란하고, 수화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수화를 사용할 수 있는 비농아자가 지극히 적은 것이기 때문에, 농아자가 사회 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서의 큰 장벽의 하나로 되고 있다.
한편, 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텔레비젼 전화를 사용한 수화에 의한 대담이 실용적 레벨로 행할 수 있게 되어 오고 있어, 텔레비전 전화를 개재하여 원격에서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농아자가 외출지에서 수화를 할 수 없는 비농아자와 면담할 때에, 종래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예를 들면, 텔레비젼 전화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 등)을 사용하여 수화 통역 서비스를 받는 경우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와 같이, 농아자 (A)는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의 영상 표시부 (10 a)를 보면서 촬상부 (10 b)에 자신의 수화가 나타나도록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을 세트함과 함께, 면담의 상대방인 비농아자 (B)에는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의 음성 입출력용의 헤드 세트 (10 c)를 장착하여주어, 수화 통역 서비스를 하고 있는 수화 통역자 (C)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 (20)에 전화한다. 수화 통역자 (C)는, 수화 통역을 할 때는 텔레비젼 전화 단말 (20)의 영상 표시부 (10 a)를 보면서 촬상부 (20 b)에 자신의 수화가 나타나도록 텔레비젼 전화 단말 (20)을 세트 하고, 음성 입출력용의 헤드 세트 (20 c)를 장착한다.
여기서, 농아자 (A)의 수화는, 비농아자 (B)는 직접적으로는 이해할 수 없지만, 그 영상이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의 촬상부 (10 b)로 촬상되어 텔레비젼 전화 단말 (20)에 전송되어 영상 표시부 (20 a)에 표시되기 때문에, 수화 통역자 (C)는 그 영상을 보고 농아자 (A)의 수화를 음성으로 번역할 수 있고, 수화 통역자 (C)의 음성이 헤드 세트 (20 c)의 마이크로 집음되고,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에 전송되어 헤드 세트 (10 c)의 이어폰부에 출력되기 때문에, 비농아자 (B)는 수화 통역자 (C)의 음성을 듣는 것에 의해 농아자 (A)의 수화를 이해할 수 있다.
또, 비농아자 (B)의 음성은, 농아자 (A)는 직접은 들을 수 없지만, 그 음성이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의 헤드 세트 (10 c)의 마이크로 집음(集音) 되고, 텔레비젼 전화 단말 (20)에 전송되어 헤드 세트 (20 c)의 이어폰부에 출력되기 때문에, 수화 통역자 (C)는 그 음성을 듣고 비농아자 (B)의 음성을 수화로 번역할 수 있고, 수화 통역자의 수화가 촬상부 (20 b)로 촬상되고,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에 전송되어 표시부 (10 a)에 표시되기 때문에, 농아자 (A)는 수화 통역자 (C)의 수화를 보는 것에 의해 비농아자의 음성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텔레비젼 전화를 사용하는 것으로써, 농아자 (A)와 비농아자 (B)는 외출지라도, 수화 통역자 (C)에 전화하는 것에 의해 수화 통역을 받아 의사소통을 꾀할 수 있다.
여기서, 수화 통역자에 대하여서도 농자자와 비농아자가 사용하는 텔레비젼 전화 단말과 같은 휴대형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사용하여 수화 통역을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화 통역 센터를 설치하고, 데스크탑형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이용해 수화 통역 서비스를 행하도록 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렇지만, 이처럼 1개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농아자와 비농아자가 사용하여 수화 통역 서비스를 받으려고 하면, 농아자는 수화 통역자가 비농아자의 음성을 수화로 번역하고 있는 동안은, 텔레비젼 전화 단말의 표시부를 계속 주시하지 않으면 안되고, 면담의 상대인 비농아자의 표정이나 행동 등을 동시에 볼 수가 없다. 따라서, 신속한 회화가 곤란할 뿐 아니라, 비농아자의 의도나 감정을 농아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농아자의 시선의 문제는, 상기와 같은 수화 통역을 받았을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농아자가 수화에 의해 설명을 받는 많은 장면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면, 농아자가 관광 버스를 탔을 경우를 생각해 보면, 버스 가이드에 의한 수화의 설명이 있어도, 버스 가이드가 명소 고적이 있는 곳에서 '오른쪽(왼쪽)을 봐 주세요'라고 수화로 설명한 순간, 농아자는 수화로부터 눈을 떼어 놓게 되어, 해당 명소 고적의 수화 설명을 받을 수가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관광지나 전시회에 있어서, 수화에 의한 설명이 있어도, 농아자는 설명을 받으면서 현물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충분히 이해할 수 없는 경우나 받아야 할 감동을 얻을 수 없는 경우 등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정상인이면 상대방의 설명을 귀로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시선을 이동할 수 있지만, 농아자는 수화를 행하고 있는 사람을 계속 주시하지 않으면 안되어, 이와 같은 면에서 큰 핸디캡을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원 발명의 주된 목적은, 농아자가 자유롭게 시선을 이동하여 외계(外界)를 시인(視認)하면서, 텔레비젼 전화를 이용하여 수화 통역자에 의한 수화 통역을 받을 수 있는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화 통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농아자가 비농아자와의 면담에 있어서 텔레비젼 전화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수화 통역자에 의한 수화 통역을 받을 때에 사용하는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이며, 농아자의 두부(頭部)에 고정되고, 텔레비젼 전화 단말에 의해 수신된 수화 통역자의 영상을 눈앞에 표시하고, 동시에 면담상대의 표정 등을 포함한 외계를 시인 가능하도록 한 눈앞 표시 수단과, 상기 농아자의 요부에 고정되고, 주변을 촬상하여 수화 영상을 취득하는 주변 촬상 수단과, 상기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눈앞 표시 수단에 공급하는 것과 함께 상기 주변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영상신호를 상기 텔레비젼 전화 단말에 송신하는 제1의 통신수단과, 비농아자의 음성의 입출력을 행하는 비농아자 음성 입출력 수단과, 상기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비농아자 음성입출력 수단에 공급하는 것과 함께 상기 비농아자 음성 입출력 수단에 의해 취득된 음성 신호를 상기 텔레비젼 전화 단말에 송신하는 제2의 통신수단을 갖추고, 농아자는 상기 눈앞 표시장치와 상기 주변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시선이나 몸의 방향과 위치를 바꾸면서, 수화 통역자에 의한 수화 통역을 받을 수 있고, 비농아자는 상기 음성입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수화통역자의 음성통역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이다.
삭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수단과 상기 제2의 통신수단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텔레비젼 전화 단말과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수단을 포함하고, 농아자와 비농아자는 서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수화 통역자에 의한 수화 통역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이다.
삭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농아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농아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과 수화 통역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접속하고, 농아자가 비농아자와 면담하는 때의 수화 통역을 제공하는 수화통역 시스템이며, 수화 통역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의 단말번호가 등록되는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을 갖추고, 농아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의 호출을 접수하는 기능과, 상기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로부터 수화통역자의 텔레비젼 전화단말의 단말번호를 취출하는 기능과, 상기 취출된 단말번호에 의해 수화 통역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호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 접속 수단을 가지고, 농아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 접속 수단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화 통역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통역 시스템이다.
삭제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화통역자 등록 테이블에는, 수화 통역자를 선택하는 선택정보가 등록되고, 상기 단말 접속 수단은, 농아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 수화통역자의 선택조건을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로부터 상기 취득된 수화 통역자의 선택조건에 해당하는 수화 통역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의 단말번호를 취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농아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 희망하는 수화 통역자를 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통역 시스템이다.
삭제
삭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수화 통역 중에 사용하는 용어를 등록하는 용어등록 테이블을 갖추고, 상기 단말 접속 수단은,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용어 등록 테이블에 용어를 등록하는 기능과,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의 조작에 의한 상기 용어등록 테이블에 등록된 용어로부터 사용하는 용어를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선택된 용어의 텔롭을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된 텔롭을 통신의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영상에 합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수화 통역 중에 수화로는 설명이 곤란한 용어나 발음이 곤란한 언어 등을 상대방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에 텔롭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통역 시스템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은 등록되어 있는 수화 통역자가 접수 가능한지 아닌지를 등록하는 접수 플래그를 가지고, 접속 수단은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의 접수 플래그를 참조해 접수 가능한 수화 통역자의 단말 번호를 취출하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접수 가능한 수화 통역자를 자동적으로 선택해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필요없는 호출을 배제하여,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인 수화 통역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술의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발명의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관계된 수화 영상 입출력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관계된 수화 통역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관계된 수화 통역 시스템의 제어장치의 처리 플로우도이다.
도 4는,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수화 통역자 선정 조건의 입력을 독촉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수화 통역자의 후보자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계된 수화 통역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8은, 접속처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계된 수화 통역 시스템의 제어장치의 처리 플로우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사용하여 수화 통역 서비스를 받는 경우의 개념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에 본원 발명의 1실시 형태에 관계된 수화 영상 입출력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는, 농아자 (A)가 외출지에서 수화를 할 수 없는 비농아자 (B)와 면담하기 위해서, 텔레비젼 전화를 사용하여 수화 통역자 (C)를 호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에 있어서, (10)은 농아자 (A)와 비농아자 (B)가 수화 통역을 받기 위해서 사용하는 피수화 통역자용 텔레비젼 전화 단말(이하, 피수화 통역자 단말이라고 칭한다)이며, (20)은 수화 통역자가 사용하는 수화 통역자용 텔레비젼 전화 단말(이하, 수화 통역자 단말이라고 칭한다)이다.
피수화 통역자 단말 (10)에는, 농아자 (A)를 위한 장비로서, 수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12)와, 표시장치 (12)를 농아자의 눈앞에 세트하기 위한 눈앞 고정구 (13)과, 농아자의 수화를 촬상하는 수화 촬상용 카메라 (14)와, 수화 촬상용 카메라 (14)를 농아자의 요부(腰部)에 고정하는 요부 고정구 (15)와, 표시장치 (12)와 수화 촬상용 카메라 (14)를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에 접속하기 위한 텔레비젼 전화 접속 장치 (16)으로부터 구성되는 수화 영상 입출력 장치를 가지고, 피농아자 (B)를 위한 장비로서 음성 입출력용 헤드 세트 (18)을 가진다.
또, 수화 통역자 단말 (20)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20 a)와, 수화 통역자의 수화를 촬상하는 촬상 장치 (20 b)와, 음성 입출력용 헤드 세트 (20 c)를 갖춘다.
표시장치 (12)는, 예를 들면 수화 영상을 표시하기에 충분한 해상도를 가지는 소형의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고, 농아자가 눈앞 고정구 (13)을 장착한 상태로 표시되는 수화를 확실히 인식할 수 있도록 영상을 확대하는 것과 동시에, 농아자가 면담 상대나 경치 등의 외계를 시인 중에 동시에 표시장치 (12)에 표시되는 수화에 대하여서 거의 초점이 맞도록 하기 위해서, 표면에는 볼록 렌즈를 마련한다. 이것에 의해, 농아자는 외계를 시인하면서, 위화감 없이 동시에 표시장치 (12)에 표시되는 수화를 인식할 수 있다.
눈앞 고정구 (13)은, 귀와 코에 걸린 안경 프레임 상의 구조를 가지고, 외계의 시야를 해치는 일 없이 수화를 시인할 수 있도록, 눈앞의 프레임 근방에 표시장치 (12)가 부착된다. 여기에서는, 농아자의 눈앞의 좌하(左下)에 표시장치 (12)를 마련했지만, 외계의 시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어디에 설치해도 좋다.
또, 여기에서는 표시되는 수화를 보다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눈앞 고정구 (13)의 좌우 같은 위치에 표시장치 (12)를 마련하도록 했지만, 농아자가 표시되는 수화를 인식할 수 있는 한, 눈앞 고정구 (13)의 어느쪽이든 한쪽 편에 표시장치 (12)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눈앞 고정구 (13)은, 표시장치 (12)를 농아자의 눈앞에 세트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중공(中空)의 프레임에 표시장치 (12)를 고정해도 좋지만, 프레임 내에 투명판을 마련해, 그 투명판에 표시장치 (12)를 첩부하도록 해도 좋다. 또, 농아자가 근시·원시·난시·노안 등이며 교정 렌즈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프레임 내에 교정 렌즈를 마련해 그 교정 렌즈에 표시장치 (12)를 첩부하도록 해도 좋다.
수화 촬상용 카메라 (14)는, 예를 들면 소형의 CCD 카메라를 사용하여, 이것을 요부 고정구 (15)에 고정한다. 이 경우, 수화 촬상용 카메라 (14)는 요부 고정구 (15)에 고정한 상태로 농아자가 행하는 수화를 촬상할 수 있는, 필요 충분한 화각(畵角)으로 설정한다.
요부 고정구 (15)는, 예를 들면 농아자의 요부에 장착하는 벨트이며, 그 버클부에 수화 촬상용 카메라 (14)를 고정하는 암(arm)을 가지고, 농아자의 수화가 촬상 가능한 방향으로 수화 촬상용 카메라 (14)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농아자가 몸의 방향이나 위치를 바꾸어도, 수화 촬상용 카메라 (14)에 의해 농아자의 수화를 안정되게 촬상할 수 있다.
텔레비젼 전화 접속 장치 (16)은,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의 외부 기기 접속 단자와 표시장치 (12) 및 수화 촬상 장치 (14)를 접속하는 장치이며,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이 수신하는 영상 신호를 표시장치 (12)에 공급함과 함께, 수화 촬상 카메라 (13)으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표시장치 (12)는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의 외부영상 표시장치가 되고, 수화 촬상 카메라 (14)는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의 외부영상 입력장치가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은 수화 영상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여, 농아자 (A)와 비농아자 (B)가 수화 통역자 (C) 을 개재하여 면담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농아자 (A)는, 눈앞 고정구 (13)과, 요부(腰部) 고정구 (15)를 장착하고, 텔레비젼 전화 접속 장치 (16)을 피수화 통역자 단말 (10)의 외부 기기 접속 단자에 접속한다.
또, 비농아자 (B)는, 헤드 세트 (18)을 장착하여, 피수화 통역자 단말 (10)의 음성 입출력 단자에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피수화 통역자 단말 (10)으로부터 수화 통역자가 사용하는 수화 통역자 단말 (20)에 전화한다.
수화 통역자 (C)는, 수화 통역의 의뢰를 접수하면, 영상 표시부 (20 a)를 보면서 촬상부 (20 b)에 자신의 수화가 촬상되도록 수화 통역자 텔레비젼 전화 단말 (20)을 세트 하고, 헤드 세트 (20 c)를 장착하여 수화 통역자 텔레비젼 전화 단말 (20)의 음성 입출력 단자에 접속한다.
여기서, 농아자 (A)가 수화를 하면, 그 영상이 수화 촬상 카메라 (14)로 촬상되어 피수화 통역자 단말 (10)으로부터 수화 통역자 단말 (20)에 전송되어 영상 표시부 (20 a)에 표시되기 때문에, 수화 통역자 (C)는 영상 표시부 (20 a)에 표시되는 농아자 (A)의 수화를 보고 음성으로 번역할 수 있다. 수화 통역자 (C)가 번역한 음성은, 헤드 세트 (20 c)의 마이크로 집음 되고, 수화 통역자 텔레비젼 전화 단말 (20)으로부터 피통역자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에 전송되고, 헤드 세트 (18) 의 이어폰부에 출력되기 때문에, 비농아자 (B)는 수화 통역자 (C)가 번역한 음성을 듣는 것으로, 농아자 (A)의 수화를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비농아자 (B)의 음성은 헤드 세트 (18)의 마이크부에서 집음 되고, 피수화 통역자 단말 (10)으로부터 수화 통역자 단말 (20)에 전송되고, 헤드 세트 (20 c)의 이어폰부에 출력되기 때문에, 수화 통역자 (C)는 비농아자 (B)의 음성을 들어 수화로 번역할 수 있다. 수화 통역자 (C)가 번역한 수화는, 촬상부 (20 b)에서 촬상되고, 수화 통역자 텔레비젼 전화 단말 (20)으로부터 피수화 통역자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에 전송되고, 표시장치 (12)에 표시되기 때문에, 농아자 (A)는 수화 통역자 (C)가 번역한 수화를 보는 것으로, 비농아자 (B)의 음성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수화 통역자 (C)가 번역한 수화는, 눈앞 고정구 (13)에 의해 농아자 (A)의 눈앞에 고정된 표시장치 (12)에 표시되기 때문에, 농아자 (A)는 시야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비농아자 (B)와 면담할 수 있고, 비농아자 (B)의 표정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수화 통역자 (C)가 번역한 수화를 보거나 회화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을 비농아자 (B)와 함께 확인하면서 동시에 수화 통역자 (C)의 번역한 수화를 보거나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신속한 면담이 가능해져, 상대방의 발언 내용을 보다 깊게 이해할 수 있다.
또, 농아자 (A)의 수화는, 요부(腰部) 고정구 (15)에 의해 고정된 수화 촬상 카메라 (14)에 의해 촬상되기 때문에, 농아자 (A)가 몸의 방향이나 위치를 바꾸어도 항상 안정되게 파악할 수 있어 농아자 (A)는 지극히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장치 (12)를 농아자의 눈앞에 고정하는 눈앞 고정구 (13)은 안경 프레임 상의 것을 사용한다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머리 부분에 고정하는 헤어 밴드에, 표시장치 (12)를 부착하는 암을 갖춘 것 이라도 좋고, 표시장치 (12)를 농아자의 눈앞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화 촬상 카메라 (14)는 농아자의 요부에 고정하는 요부 고정구 (15)를 갖추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수화 촬상 카메라 (14)가 농아자의 수화를 촬상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어떠한 고정 수단을 이용해도 좋고, 본원 발명의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텔레비젼 전화 접속 장치 (16)은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의 외부 기기 접속 단자와 표시장치 (12) 및 수화 촬상 카메라 (14)를 유선으로 접속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의 외부 기기 접속 단자와, 눈앞 고정구 (13) 및 요부(腰部) 고정구 (15)의 각각, 영상 신호를 무선 통신 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과, 눈앞 고정구 (13) 및 요부(腰部) 고정구 (15)를 케이블 접속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취급이 지극히 용이하게 된다.
또한,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이,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와 같은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 하는 표준 규격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는 것인 경우는, 눈앞 고정구 (13) 및 요부(腰部) 고정구 (15)에 동일 규격의 통신 장치를 마련하도록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눈앞 고정구 (13) 및 요부(腰部) 고정구 (15)에 마련한 통신 장치가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통신 범위내에 있는 한,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 측에는 물리적으로 아무것도 접속하지 않아도 영상 신호의 통신을 행할 수 있어 더욱 취급이 용이해진다.
비농아자용의 헤드 세트 (18)에 대하여서도, 음성 신호를 무선 통신 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마련해 피수화 통역자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과, 케이블없이 통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텔레비젼 전화 접속 장치 (16)에, 음성 입출력 채널을 마련해, 영상 신호의 통신과 겸용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비농아자 (B)도 무선 통신 장치의 통신 범위내에 있는 한, 자유롭게 장소를 이동할 수 있다.
또, 전술과 같이,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이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와 같은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 하는 표준 규격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는 것인 경우에는, 헤드 세트 (18)에 동일 규격의 통신 장치를 갖추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비농아자 (B)에 대하여서도 음성 입출력은 헤드 세트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비농아자 (B)는 수화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용 마이크와 외부에 부착하는 스피커를 사용하도록 해도 좋고, 휴대전화식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의 경우에는 본체를 직접 손으로 잡고 수화 통역자 (C)와 음성 통화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텔레비젼 전화 단말은 전화형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 특히 휴대전화형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이용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IP형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이용했을 경우에서도 완전히 똑같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12)와, 수화를 촬상하는 수화 촬상 카메라 (14)의 양쪽 모두를 갖춘 수화 영상 입출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수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12)와 표시장치 (12)를 농아자의 눈앞에 고정하는 눈앞 고정구 (13)과, 텔레비젼 전화 단말 (10)으로 수신되는 수화 영상을 표시장치 (12)에 공급하는 텔레비젼 전화 접속 장치 (16)을 갖춘 수화 영상 제시 장치에 의해도, 농아자는 자유롭게 시선을 이동하여 외계를 시인하면서, 텔레비전 전화를 개재하여 수화에 의한 설명을 받을 수 있고, 본원 발명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 수화 영상의 수신은 반드시 텔레비젼 전화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전용의 영상 신호 수신장치를 사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관광지에 있어서의 관광 안내나 전시회 등에서의 설명을 수화 영상으로서 발신하는 발신 장치를 설치하고, 그것을 수화 영상 제시 장치에 의해 수신하도록 하면, 비농아자에 대한 음성에 의한 안내나 설명과 마찬가지로, 농아자는 자유롭게 장소나 시선을 이동하면서 수화에 의한 안내나 설명을 받을 수 있게 되어, 농아 장애자도 비농아자와 같이 관광이나 시찰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농아자가 본원 발명의 수화 영상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여 비농아자와 면담하는 경우에, 면담의 목적에 합치하는 수화 통역자를 선택할 수 있는 수화 통역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2에 본원 발명의 1실시 형태에 관계된 수화 통역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농아자와 비농아자가 전술의 수화 영상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여 1개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 수화 통역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한다.
도에 있어서, 100은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화 통역 센터에 설치되는 수화 통역 시스템이며, 공중 전화 회선 (30)을 개재하고, 수화 통역을 받는 농아자 (A) 및 비농아자 (B)가 사용하는 피수화 통역자 단말 (10)과, 수화 통역자 (C)가 사용하는 수화 통역자 단말 (20)을 접속하고, 농아자와 비농아자와의 면담에 있어서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수화 통역자 단말 (10)과, 수화 통역자 단말 (20)은 모두 공중 전화 회선에 접속하는 전화형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이며, 특히 외출지로 가지고 다니며 사용할 수 있는 무선식의 휴대전화형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이용했을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다.
또한, 공중 전화 회선에 접속하는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서는, 예를 들면 ITU-T 권고(勸告)의 H. 320에 준거한 ISDN 텔레비젼 전화 단말 등이 있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사용하여도 좋다.
수화 통역 시스템 100은, 피수화 통역자 단말과 접속하기 위한 피수화 통역자 단말용 회선 인터페이스(이하, 인터페이스는 I/F라고 생략한다) 120과, 수화 통역자 단말과 접속하기 위한 수화 통역자 단말용 회선 I/F 140를 갖추고, 각각 영상 신호·음성 신호·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거나 분리하거나 하는 다중·분리 장치 122, 142와, 영상 신호의 압축·신장을 행하는 영상 코덱 124, 144와, 음성 신호의 압축·신장을 행하는 음성 코덱 126, 146이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각 회선I/F, 각 다중·분리 장치, 각 영상 코덱, 각 음성 코덱은, 각 단말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대응해 호(呼)제어나 스트리밍 제어,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의 압축·신장을 한다.
피수화 통역자 단말용의 영상 코덱 124의 영상 입력에는, 수화 통역자 단말용의 영상 코덱 144의 영상 출력과 피수화 통역자 단말용 텔롭 메모리 130의 출력을 합성하는 영상 합성 장치 128이 접속되어 있다.
피수화 통역자 단말용의 음성 코덱 126의 음성 입력에는, 수화 통역자 단말용의 음성 코덱 146의 음성 출력이 접속되어 있다.
수화 통역자 단말용의 영상 코덱 144의 영상 입력에는, 피수화 통역자 단말용의 영상 코덱 124의 영상 출력과 수화 통역자 단말용 텔롭 메모리 150의 출력을 합성하는 영상 합성 장치 148이 접속되어 있다.
수화 통역자 단말용의 음성 코덱 146의 음성 입력에는, 피수화 통역자 단말용의 음성 코덱 126의 음성 출력이 접속되어 있다.
또, 수화 통역 시스템 100은, 수화 통역자가 사용하는 수화 통역자용 단말의 단말 번호가 등록되는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 182를 갖추고, 각 회선I/F120, 140, 각 다중·분리 장치 122, 142, 각 영상 합성 장치 128, 148, 각 텔롭 메모리 132, 152의 각각 접속되는 제어장치 180을 가지고, 피수화 통역자 단말로부터의 호출을 접수하는 기능과,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 182로부터 수화 통역자의 단말 번호를 취출하는 기능과, 해당 취출한 단말 번호를 호출하는 기능에 의한 피수화 통역자 단말과 수화 통역자 단말을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 외에, 각 영상 합성 장치에 있어서의 영상 합성 방법의 전환 기능이나, 텔롭을 생성해 텔롭 메모리에 송출하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
각 텔롭 메모리 132, 152의 내용은 제어장치 180으로부터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텔레비젼 전화에 의한 수화 통역 서비스를 설정할 때에, 각 단말에 대한 메세지를 각 텔롭 메모리 132, 152로 설정하고, 각 영상 합성 장치 128, 148에 대하여서 각 텔롭 메모리 132, 152의 신호를 선택하는 지령을 내리는 것으로, 각 단말에 대하여서 필요한 메세지를 전달해 수화 통역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또, 텔레비젼 전화에 의한 수화 통역 서비스에 있어서 수화에서는 설명이 곤란한 용어나 발음이 곤란한 말 등이 있는 경우에, 그 용어를 미리 각 단말의 다이얼 패드의 번호에 대응시켜 제어장치 180의 용어 등록 테이블 184에 등록해 두고, 수화 통역 서비스 중에 각 단말의 다이얼 패드가 눌러진 것을 검출하고, 눌러진 다이얼 패드의 번호에 대응하는 용어를 용어 등록 테이블에서 취출하여 문자 텔롭을 생성하고, 각 텔롭 메모리로 설정하는 것으로 각 단말에 그 용어를 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화에서는 설명이 곤란한 용어나 발음이 곤란한 말을 문자 텔롭에 의해 상대방에게 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수화 통역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장치 180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리에 앞서, 제어장치 180의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 182에는, 적당한 단 말(도시 생략)로부터, 수화 통역자의 선정 정보와 각 수화 통역자가 사용하는 단말의 단말 번호를 등록해 둔다. 도 4에,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 182에 등록되는 등록 항목의 예를 나타낸다. 수화 통역자의 선정 정보는, 이용자가 희망하는 수화 통역자를 선정하기 위한 정보이며, 성별·연령·거주지·전문 분야·수화 통역의 레벨 등을 등록한다. 거주지는, 이용자가 특정의 지역에 대한 지리적 지식을 가지는 사람을 희망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우편 번호에 의해 지역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 전문 분야는, 면담의 내용이 전문적인 것이 되는 경우에 이용자가 그 분야의 전문 지식을 가지는 사람이나 그 분야의 화제에 밝은 사람을 희망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수화 통역자가 자신있는 분야를 정치·법률·비지니스·교육·과학기술·의료·어학·스포츠·취미 등으로 나누어 등록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전문 분야는 다방면에 걸치기 때문에, 계층적으로 등록해 두고, 선택시에 이용자가 희망하는 레벨로 서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밖에, 각 통역자가 보유하는 자격을 등록해 두고, 이용자가 희망하는 자격 보유자를 수화 통역자로서 선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단말 번호는, 여기에서는 공중 전화 회선에 접속하는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단말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게 된다.
또,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 182에는, 수화 통역을 접수 가능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접수 플래그가 설치되어 있고, 등록된 수화 통역자가 자기의 단말로부터 이 수화 통역 센터를 호출하고, 다이얼 패드를 사용하여 커멘드 입력하는 것으로, 접수 플래그를 세트 하거나 리셋트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에 등록된 수화 통역자는, 수화 통역을 접수 가능한 때에만 접수 플래그를 세트 하는 것으로써 필요없는 호출을 배제할 수 있고, 이용자도 대응 가능한 수화 통역자를 신속히 선택할 수 있다.
도 3에, 제어장치 180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다. 이 수화 통역 시스템 100은, 피수화 통역자 단말로부터 피수화 통역자 단말용 회선 I/F측의 전화번호에 가전(架電) 하는 것으로, 수화 통역자 단말이 호출 되고, 수화 통역을 개입시킨 텔레비젼 전화 접속이 확립된다.
도와 같이, 우선 최초로 피수화 통역자 단말용 회선 I/F120에 호출이 있던 것을 검출한다(S100). 다음에, 호출원단말에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수화 통역자의 선정 조건의 입력을 독촉하는 화면을 표시하고(S102), 이것에 대하여서 호출원이 입력한 수화 통역자 선정 조건을 취득한다(S104). 여기서, 호출원이 입력하는 수화 통역자의 선정 조건은, 성별·연령 구분·지역·전문 분야·수화의 레벨이며,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에 등록된 성별·연령·거주지·전문 분야·레벨을 기초로 해당하는 수화 통역자를 선정한다. 또한, 지역은 우편 번호를 이용해 지정하는 것으로 해, 수화 통역자는 거주지가 지정된 지역에 가까운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선정되도록 했다. 어느 선정 항목에 대하여서도, 특히 지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불문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 182를 참조해 취득된 선정 조건에 해당하는 수화 통역자 중 접수 플래그가 세트 되어 있는 수화 통역자를 선정하고, 호출원단말에 도 6에 나타낸 것 처럼 수화 통역자의 후보자 리스트를 표시해 희망하는 수 화 통역자의 선택 번호의 입력을 독촉한다(S106). 이것에 대하여서 호출원이 입력한 수화 통역자의 선택 번호를 취득하고(S108),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에서 해당 선택된 수화 통역자의 단말 번호를 취출하여 호출한다(S110). 해당 수화 통역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있었을 때는(S112), 수화 통역 서비스가 개시된다(S114).
S112에 선택된 수화 통역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는, 다음 후보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해(S116), 다음 후보가 있는 경우는 S110으로 돌아와 반복하고, 다음 후보가 없는 경우는 호출원단말에 그 취지를 통지해 절단 한다(S11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선택된 수화 통역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는, 단지 호출원에서 그 취지를 통지해 절단 한다고하여 설명하였지만, 수화 통역 예약 테이블을 마련해 호출원의 단말 번호를 등록하고, 해당 선택된 수화 통역자로부터의 응답이 있었을 때에 호출원으로 통지해 수화 통역 서비스를 개시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화 통역 시스템 100은 회선 I/F, 다중·분리 조치, 영상 코덱, 음성 코덱, 영상 합성 장치, 제어장치 등으로부터 구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것들은 반드시 개별의 하드웨어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컴퓨터를 이용해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각 장치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화 통역자 단말 (20)은 피수화 통역자 단말 (10)과 마찬가지로 수화 통역 센터의 밖에 있고, 수화 통역 센터로부터 공중 전화 회선을 개재하여 호출되어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화 통역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화 통역 센터 내에 마련해, 수화 통역 센터로부터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화 통역자는 공중 전화 회선에 접속 가능한 단말을 가지는 한 어디에 있어도 수화 통역 서비스에 참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접수 플래그를 이용해 시간이 비었을 때를 유효하게 활용해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였기 때문에, 인원 확보가 어려운 수화 통역 서비스를 효율적인 한편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요즈음에는 수화 통역의 자원봉사가 증가해 오고 있지만, 시간적으로 불규칙한 자원봉사자라도, 한정된 시간을 유효하게 활용해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계된 수화 통역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수화 통역자 단말 및 수화 통역자 단말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IP(Internet Protocol) 형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이며, Web 브라우저 기능을 갖춘 것인 경우의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에 있어서, 200은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화 통역 센터에 설치되는 수화 통역 시스템이며, 인터넷 50을 개재하여 농아자 및 피농아자가 사용하는 피수화 통역자 단말 (40)과 수화 통역자가 사용하는 수화 통역자 단말 231, 232,…의 어느쪽을 접속해, 농아자와 비농아자가 행하는 면담의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한다.
피수화 통역자 단말 (40), 수화 통역자 단말 231, 232,…는, 여기에서는 영상 입력 I/F기능과 음성 입출력 I/F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퍼스널 컴 퓨터 등의 범용의 처리 장치(a)에, 정보 입력을 위한 키보드(b) 및 마우스(c)와 Web 서버 410으로부터 제시되는 Web 페이지 화면과 통신 서버 420으로부터 공급되는 텔레비젼 전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와 수화 통역자의 수화를 촬상하는 텔레비젼 카메라(e)와 수화 통역자에 대한 음성의 입출력을 행하는 헤드 세트(f)를 갖추고, IP텔레비젼 전화 소프트와 Web 브라우저를 인스톨 한 것을 사용했지만, 전용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인터넷에 접속하는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서는, 예를 들면 ITU-T권고의 H. 323에 준거한 IP 텔레비젼 전화 단말 등이 있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인터넷에는 무선 LAN식의 것이 포함되어 텔레비젼 전화 단말에는 텔레비젼 전화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나 휴대단말이며 Web 액세스 기능이 제공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수화 통역 시스템 200은, 접속하는 피수화 통역자 단말과 수화 통역자 단말의 각 단말 주소를 설정하는 접속처 테이블 222를 가지고, 접속처 테이블 222에 등록된 단말간을 접속해 각 단말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 음성을 합성해 각 단말에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통신 서버 220과 전술과 같이 수화 통역자의 선정 정보와 단말 주소와 접수 플래그를 등록하는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 212를 가지고, 호출원단말로부터 Web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액세스 하는 것에 의해 희망하는 수화 통역자를 선택하고, 접속 조치 220의 접속처 테이블 222에 호출원단말과 수화 통역자 단말을 설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Web 서버 210과 Web 서버 210 및 통신 서버 220을 인 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루터 250과 통신 서버 220과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복수의 수화 통역자 단말 231, 232,…, 23 N으로부터 구성된다.
도 8에, 접속처 테이블 222의 예를 나타낸다. 도와 같이, 접속처 테이블 222에는 호출원의 단말 주소와 수화 통역자 단말의 단말 주소가 세트로서 등록되어 이것에 의해 1개의 수화 통역 서비스가 설정된다. 접속처 테이블 222는, 통신 서버 220의 처리 능력에 응해 이러한 단말 주소세트를 복수 등록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동시에 복수의 수화 통역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한, 접속처 테이블 222에 등록되는 단말 주소는, 인터넷상의 주소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IP주소가 사용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디렉토리 서버에 의해 부여된 명칭 등을 사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통신 서버 220은, 접속처 테이블 222로 설정된 피수화 통역자 단말과 수화 통역자 단말과에 대하여서,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패킷 통신을 행해, 전술의 수화 통역 시스템 100에 있어서의 다중·분리 장치 122, 142와 영상 코덱 124, 144와 음성 코덱 126, 146과 영상 합성 장치 128, 148등과 동등한 기능을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제공한다.
이것에 의해, 전술의 수화 통역 시스템 100과 같이 피수화 통역자 단말과 수화 통역자 단말과의 사이에 영상 및 음성의 통신을 행하여 농아자와 피농아자의 면담에 있어서 수화 통역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한, 전술한 수화 통역 시스템 100에서는, 제어장치 180과, 텔롭 메모리 132, 152를 이용하여, 용어 등록 테이블 184에 등록된 용어를 수화 통역 서비스 중에 단말로부터의 지령에 근거해 취출하고, 단말에 문자 텔롭으로서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통신 서버 220의 소프트 처리에 의해 같은 기능을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또, Web 서버 210에 의해 각 단말로부터 지정된 용어를 다른 단말에 대하여서 pop-up 메세지로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고, 통신 서버 220에 텔롭 메모리를 설치하고, 각 단말로부터 Web 브라우저에 의해 지정된 용어를 Web 서버 210 경유하여 해당 텔롭 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에 의해 각 단말에 문자 텔롭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전술한 수화 통역 시스템 100에서는, 피수화 통역자 단말과 수화 통역자 단말을 접속하는 접속 처리는 제어장치 180에 의해 실현되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단말이 Web 액세스 기능을 가지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Web 서버 210에 의해 접속 처리를 행한다.
도 9에, Web 서버 210에 의한 접속 처리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다. 수화 통역을 신청하는 피수화 통역자는, 피수화 통역자 단말로부터 Web 브라우저를 이용해 수화 통역 센터의 Web 서버 210에 액세스하여 로그인하는 것으로써, 수화 통역 서비스의 접수 처리가 개시된다.
도와 같이, Web 서버 210은, 최초로 호출원의 단말 주소를 취득하고(S200), 접속처 테이블 222로 설정한다(S202). 다음에, 호출원단말에 전술한 도 5와 같은 수화 통역자 선정 조건의 입력을 독촉하는 화면을 배신하고(S204), 이것에 대하여서 호출원이 입력한 수화 통역자 선정 조건을 취득한다(S206).
다음에,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 212로부터 취득된 선정 조건에 해당하는 수화 통역자 중 접수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수화 통역자를 선정하고, 호출원단말에 전술한 도 6과 같은 후보자 리스트를 배신하여 희망하는 수화 통역자의 선택 번호의 입력을 독촉한다(S208). 이것에 대하여서 호출원이 입력한 수화 통역자의 선택 번호를 취득하고,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 212로부터 해당 선택된 수화 통역자의 단말 주소를 취득한다(S210). 취득한 수화 통역자의 단말 주소에 기초로 하여 수화 통역자 단말에 호출 화면을 배신하고(S212), 호출을 접수하는 취지의 회답이 있었을 때는(S214), 해당 수화 통역자의 단말 주소를 접속처 테이블 222로 설정하고(S216), 수화 통역 서비스가 개시된다(S218).
S214에서 수화 통역자 단말로부터 호출을 접수하는 취지의 회답이 없는 경우는, 다음 후보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고(S220), 다음 후보가 있는 경우는 호출원단말에 다른 후보를 선택하도록 독촉하는 메세지를 배신하고(S222), (S210)에 되돌아온다. 또, 다음 후보가 없는 경우는, 호출원단말에 그 취지를 통지하고(S224), 종료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선택된 수화 통역자 단말로부터 호출을 접수하는 취지의 회답이 없는 경우는, 단지 호출원으로 그 취지를 통지해 종료한다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수화 통역 예약 테이블을 마련해 호출원의 단말 주소를 등록하고, 해당 선택된 수화 통역자로부터의 응답이 있었을 때에 호출원으로 통지해 수화 통역 서비스를 개시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화 통역자 단말은 수화 통역 센터의 수화 통역 시스템 200내에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화 통역자 단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화 통역 센터외에 있어 인터넷을 개재하여 접속되는 것이어도, 전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피수화 통역자나 수화 통역자가 사용하는 텔레비젼 전화 단말이 공중 전화 회선에 접속하는 전화형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인 경우와, 인터넷에 접속하는 IP형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인 경우로 나누어 수화 통역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전화형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과 IP형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과는 프로토콜 변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를 마련하는 것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고, 몇 개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수화 통역 시스템을 설치해, 게이트웨이를 개재하여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텔레비젼 전화 단말에 대응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수화 통역 시스템은, 공중 전화 회선 또는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단말을 가지는 한 어디에 있어도 수화 통역 서비스의 제공을 받거나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할 수 있다. 수화 통역자는, 반드시 수화 통역 센터에 찾아갈 필요는 없고, 자택이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이 있는 시설이나 거점으로부터 참가할 수 있어 텔레비젼 전화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나 휴대단말을 사용하여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도 가능하다.
또, 수화를 할 수 있는 사람이 수화 통역 센터의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에 등록해 두면, 언제라도 형편의 좋을 때에 서비스할 수 있다. 따라서, 수화 통역 센터를 운용하는 측에서 봐도, 수화 통역자를 센터에 모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간적으로도 비용적으로도 효율적인 수화 통역 센터의 운용이 가능해진다. 특히, 최근에는 수화 통역을 자원봉사로 해 보고 싶다고 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어 자택으로 부터에서도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수화 통역자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상술한 것처럼, 본원 발명에 의하면, 농아자는 자유롭게 시선을 이동하여 외계(外界)를 시인(視認)하면서 수화에 의한 설명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농아자가 비농아자와의 면담에 있어서 텔레비젼 전화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수화통역자에 의한 수화 통역을 받을 때에 사용하는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이며,
    농아자의 두부에 고정되고, 텔레비젼 전화 단말에 의해 수신된 수화 통역자의 영상을 눈앞에 표시하고, 동시에 면담상대의 표정 등을 포함하는 외계를 시인 가능하도록 한 눈앞 표시 수단과, 상기 농아자의 요부에 고정되고, 주변을 촬상하여 수화 영상을 취득하는 주변 촬상 수단과, 상기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눈앞 표시 수단에 공급하는 것과 함께 상기 주변 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영상신호를 상기 텔레비젼 전화단말에 송신하는 제1의 통신수단과, 비농아자의 음성 입출력을 행하는 비농아자 음성 입출력 수단과, 상기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비농아자 음성 입출력 수단에 공급하는 것과 함께 상기 비농아자 음성 입출력 수단에 의해 취득된 음성신호를 상기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 송신하는 제2의 통신수단을 갖추고,
    농아자는 상기 눈앞 표시 장치와 상기 주변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시선이나 몸의 방향이나 위치를 바꾸면서 수화통역자에 의한 수화통역을 받을 수 있고, 비농아자는 상기 음성 입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수화 통역자의 음성통역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수단과 상기 제2의 통신수단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텔레비젼 전화 단말과 무선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농아자와 비농아자는 서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수화 통역자에 의한 수화 통역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
  3. 농아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농아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과 수화 통역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접속하고, 농아자가 비농아자와 면담하는 때의 수화 통역을 제공하는 수화 통역 시스템이며,
    수화 통역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의 단말번호가 등록되는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을 갖추고, 농아자의 테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의 호출을 접수하는 기능과, 상기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로부터 수화 통역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의 단말 번호를 취출하는 기능과, 상기 취출된 단말번호에 의해 수화통역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을 호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 접속 수단을 가지고,
    농아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접속 수단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화 통역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통역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에는, 수화 통역자를 선택하는 선택정보가 등록되고, 상기 단말 접속 수단은, 농아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 수화 통역자의 선택 조건을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수화 통역자 등록 테이블로부터 상기 취득된 수화 통역자의 선택조건에 해당하는 수화 통역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의 단말 번호를 취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농아자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 희망하는 수화 통역자를 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통역 시스템.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수화 통역 중에 사용하는 용어를 등록하는 용어 등록테이블을 갖추고,
    상기 단말 접속 수단은,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용어 등록 테이블에 용어를 등록하는 기능과, 텔레비젼 전화 단말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용어등록 테이블에 등록된 용어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선택된 용어의 텔롭을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된 텔롭을 통신의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영상으로 합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수화 통역 중에 수화로는 설명이 곤란한 용어나 발음이 곤란한 언어 등을 상대방의 텔레비젼 전화 단말에 텔롭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통역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57003448A 2002-09-17 2003-09-16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화 통역 시스템 KR100698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9851 2002-09-17
JPJP-P-2002-00269851 2002-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032A KR20050057032A (ko) 2005-06-16
KR100698932B1 true KR100698932B1 (ko) 2007-03-23

Family

ID=3202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448A KR100698932B1 (ko) 2002-09-17 2003-09-16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화 통역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60074624A1 (ko)
EP (1) EP1542466A4 (ko)
JP (1) JPWO2004028162A1 (ko)
KR (1) KR100698932B1 (ko)
CN (1) CN100358358C (ko)
AU (1) AU2003264435B2 (ko)
CA (1) CA2499127A1 (ko)
HK (1) HK1077688A1 (ko)
RU (1) RU2300848C2 (ko)
TW (1) TW200417228A (ko)
WO (1) WO2004028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00999A1 (en) * 2002-09-27 2004-04-08 Ginganet Corporation A videophone interpretation system and a videophone interpretation method
US8874445B2 (en) * 2007-03-30 2014-10-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format of information
DE202008003015U1 (de) 2007-05-10 2008-07-10 Baron, Norbert Mobile Telekommunikationseinrichtung zum Übertragen und Übersetzen von Informationen
US20080300860A1 (en) * 2007-06-01 2008-12-04 Rgb Translation, Llc Language translation for customers at retail locations or branches
US9886231B2 (en) 2008-03-28 2018-02-06 Kopin Corporation Head worn wireless computer having high-resolution display suitable for use as a mobile internet device
US10013976B2 (en) 2010-09-20 2018-07-03 Kopin Corporation Context sensitive overlays in voice controlled headset computer displays
BE1019552A3 (nl) * 2010-10-25 2012-08-07 Mastervoice In Het Kort Mtv Nv Werkwijze voor het vertalen van een bericht.
WO2012154938A1 (en) 2011-05-10 2012-11-15 Kopin Corporation Headset computer that uses motion and voice commands to control information display and remote devices
TWI484450B (zh) * 2011-08-23 2015-05-11 Hon Hai Prec Ind Co Ltd 手語翻譯系統、手語翻譯裝置及手語翻譯方法
US9507772B2 (en) * 2012-04-25 2016-11-29 Kopin Corporation Instant translation system
CN102821259B (zh) * 2012-07-20 2016-12-21 冠捷显示科技(厦门)有限公司 具有多国语言语音翻译的tv系统及其实现方法
US9536453B2 (en) * 2013-05-03 2017-01-03 Brigham Young University Computer-implemented communication assistant for the hearing-impaired
TWI501206B (zh) * 2013-12-09 2015-09-21 Univ Southern Taiwan Sci & Tec 供聾啞人士使用之手錶及供聾啞人士使用之語言系統
JP5871088B1 (ja) * 2014-07-29 2016-03-01 ヤマハ株式会社 端末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87446B1 (ja) * 2014-07-29 2016-03-16 ヤマハ株式会社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28889A (ko) 2014-09-04 2016-03-14 이대휘 쌍방향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립모션 기반 수화 번역 장치
US9283138B1 (en) 2014-10-24 2016-03-15 Keith Rosenblum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devices for massage therapy
KR102450803B1 (ko) 2016-02-11 2022-10-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방향 수화 번역 장치 및 장치가 수행하는 양방향 수화 번역 방법
US10129505B2 (en) 2016-10-27 2018-11-13 Chris Talbot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that a video relay service call originates from an inmate at a corrections facility
US10122968B1 (en) * 2017-08-30 2018-11-06 Chris Talbot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video relay service with deaf, hearing-impaired or speech-impaired called parties
KR102554934B1 (ko) * 2018-04-17 202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제어방법
US10984229B2 (en) 2018-10-11 2021-04-20 Chris Talbot Interactive sign language response system and method
US10708419B1 (en) 2019-06-17 2020-07-07 Chris Talbot Method and system for rating multiple call destination types from a single video relay kiosk in a corrections facility
CN110826441B (zh) * 2019-10-25 2022-10-28 深圳追一科技有限公司 交互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32392A (en) * 1978-05-19 1982-09-28 Felipe Navarro Body-mounted support for low elevation camera
US5047952A (en) * 1988-10-14 1991-09-10 The Board Of Trustee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deaf-blind, or non-vocal individuals using instrumented glove
JP2779448B2 (ja) * 1988-11-25 1998-07-23 株式会社エイ・ティ・アール通信システム研究所 手話言語変換装置
JP3045321B2 (ja) * 1991-01-22 2000-05-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ハンドセット形テレビ装置とそれを用いたテレビ電話装置
JP3289304B2 (ja) * 1992-03-10 2002-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手話変換装置および方法
US5360196A (en) * 1992-09-15 1994-11-01 Garrett W. Brown Adjustable, iso-elastic support apparatus
US5392343A (en) * 1992-11-10 1995-02-21 At&T Corp. On demand language interpret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H06337631A (ja) * 1993-05-27 1994-12-06 Hitachi Ltd 手話対話における対話制御装置
US5982853A (en) * 1995-03-01 1999-11-09 Liebermann; Raanan Telephone for the deaf and method of using same
US6477239B1 (en) * 1995-08-30 2002-11-05 Hitachi, Ltd. Sign language telephone device
EP0848552B1 (en) * 1995-08-30 2002-05-29 Hitachi, Ltd. Sign language telephone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persons with or without hearing impairment
JPH09185330A (ja) * 1995-12-28 1997-07-15 Shimadzu Corp 情報表示装置
US5815196A (en) * 1995-12-29 1998-09-29 Lucent Technologies Inc. Videophone with continuous speech-to-subtitles translation
JPH10141588A (ja) * 1996-11-08 1998-05-29 Zenkoku Asahi Hoso Kk 小型カメラ用クレーン
RU2143135C1 (ru) * 1999-04-22 1999-12-20 Ким Дарья Сергеевна Способ сотовой радио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с синхронным переводом
DE19941529A1 (de) * 1999-09-01 2001-03-08 Alcatel Sa Verfahren und Diensterechner zum Einbeziehen eines Übersetzers in ein Telefongespräch
JP2001197221A (ja) * 2000-01-11 2001-07-19 Hitachi Ltd 画像通信用電話機、画像通信用端末装置及び画像通信システム
AU2000243158A1 (en) * 2000-04-28 2001-11-12 Yoji Abe Interpretation management system, interpretation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medium in which interpretation management program is recorded
JP2002064634A (ja) * 2000-08-22 2002-02-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訳サービス方法及び通訳サービスシステム
US6980953B1 (en) * 2000-10-31 2005-1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Real-time remote transcription or translation service
JP2002169988A (ja) * 2000-12-04 2002-06-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手話通訳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2244842A (ja) * 2001-02-21 2002-08-30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音声通訳システム及び音声通訳プログラム
JP2002262249A (ja) * 2001-02-27 2002-09-13 Up Coming:Kk 対話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2490773Y (zh) * 2001-07-09 2002-05-08 王小光 穿戴式多功能可视大屏幕移动通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64435A1 (en) 2004-04-08
EP1542466A1 (en) 2005-06-15
AU2003264435B2 (en) 2007-04-19
WO2004028162A1 (ja) 2004-04-01
US20060074624A1 (en) 2006-04-06
JPWO2004028162A1 (ja) 2006-01-19
CA2499127A1 (en) 2004-04-01
RU2005111240A (ru) 2005-10-10
CN100358358C (zh) 2007-12-26
KR20050057032A (ko) 2005-06-16
RU2300848C2 (ru) 2007-06-10
CN1682536A (zh) 2005-10-12
HK1077688A1 (zh) 2006-02-17
EP1542466A4 (en) 2007-01-03
TW200417228A (en) 200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932B1 (ko) 텔레비젼 전화 수화 통역 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화 통역 시스템
KR100698942B1 (ko) 텔레비젼 전화 수화 대담 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화 통역 시스템
KR100679871B1 (ko) 수화 통역 시스템 및 수화 통역 방법
KR100695926B1 (ko) 텔레비전 전화 통역 시스템 및 텔레비전 전화 통역 방법
US58481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information processing in a multi-media system
US20060165225A1 (en) Telephone interpretation system
KR100711286B1 (ko) 전화 통역 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화 통역 시스템
US9502037B2 (en) Wireless caption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JP2006139138A (ja) 情報端末及び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