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359B1 - 휴대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359B1
KR100698359B1 KR1020040076748A KR20040076748A KR100698359B1 KR 100698359 B1 KR100698359 B1 KR 100698359B1 KR 1020040076748 A KR1020040076748 A KR 1020040076748A KR 20040076748 A KR20040076748 A KR 20040076748A KR 100698359 B1 KR100698359 B1 KR 100698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uel
window
fuel container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404A (ko
Inventor
오구라나오츠구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1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18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liquid-charged or electrolyte-charged react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01M8/04208Cartridges, cryogenic media or cryogenic reservo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연료용기내의 액체연료의 잔존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고,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는 연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한 창을 갖는 케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카메라, 휴대전화, 노트형 퍼스컴, 연료전지, 액체연료, 휴대형 전자기기

Description

휴대형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디지털카메라를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디지털카메라를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디지털카메라를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디지털카메라를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디지털카메라를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연료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개질형 연료전지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직접형 연료전지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연료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휴대전화를 적용한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전화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휴대전화를 적용한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전화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노트형 퍼스컴를 적용한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노트형 퍼스컴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2: 표시부
3: 조작키 4: 창
5: 화상데이터취득부 6: 스트로보부
7: 촬영버튼 8: 덮개부
9: 연료용기 10: 액체연료
11: 발전모듈 12: 발광부재
13: 확산판 14: 역지밸브
15: 기화기 16: 개질기
17: 일산화탄소제거기 18: 연료전지
19: 펌프 20A: 주표시부
20B: 부표시부 21: 스피커부
22A: 제 1 창 22B: 제 2 창
23: 덮개부 24: 제 1 케이스
25: 키입력부 26: 마이크부
27: 안테나 28: 제 2 케이스
29: 연료용기 30: 액체연료
31: 발전모듈 32: 역지밸브
33: 표시부 34A: 제 1 창
34B: 제 2 창 35: 덮개부
36: 제 1 케이스 37: 입력부
38: 제 2 케이스 39: 발전모듈
40: 스위치 41: 침관
42: 갈라진 곳 43: 연료공급구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기기에 관련되고, 특히 연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창이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노트형 퍼스널컴퓨터, 디지털카메라, 손목시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전자수첩 등에 대표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전원으로서 알칼리건전지, 망간건전지라고 하는 1차전지, 또는 니켈-카드뮴축전지, 니켈-수소축전지, 리튬이온전지라고 하는 2차전지가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1997-147896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탄올 등의 액체연료와 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서 화학적 에너지로부터 전기적 에너지를 직접 빼내는 연료전지가 대용되고 있다.
근래 개발되고 있는 1차 및 2차전지를 이용한 전자기기는 기기 성능의 향상에 동반하여 전력이 대량으로 소비되어 전지용량이 충분하지 않아 구동시간이 짧아지고 있다. 또한 연료전지의 경우는 액체연료를 전력원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액체연료의 부족에 의해 전자기기의 동작에 영향을 받기 전에 액체연료의 보충 또는 충분한 양의 액체연료가 저류된 새로운 연료용기로의 교환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연료용기를 효율적으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연료의 잔존량을 순서대로 확인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전기적인 센서 등을 탑재하면, 기기 본체의 대형화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높아지며, 또 정확한 잔량을 검출하는 제어가 곤란하여 고장의 원인으로도 되는 등의 폐해가 발생하여 버린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연료용기내의 액체연료의 잔존량을 간소한 구조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이점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전자기기는 연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한 창을 갖는 케이스를 갖는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전자기기는 연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한 창을 갖는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전자기기는 연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한 창과, 통화수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케이스를 갖는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전자기기는 연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한 창과, 상기 창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된 표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휴대형 전자기기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외측으로부터 연료용기내의 액체연료의 잔존량을 직접 시인함으로써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액체연료의 보충 또는 충분한 양의 액체연료가 저류된 새로운 연료용기로의 교환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 잔량을 검지하는 전기적 센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기기 본체를 소형화하고, 제조비용을 억제하며, 또는 고장의 원인을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형태에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가지의 한정이 지어져 있는데, 발명의 범위를 이하의 실시형태 및 도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로서 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형의 케이스(1)를 갖고 있고, 이 케이스(1)의 배면측에 표시부(2)와, 조작키(3)와, 창(4)을, 도 3에 나타내는 정면측에 화상데이터취득부(5)와, 스트로보부(6)를, 도 1에 나타내는 상면측에 촬영버튼(7)을, 도 4에 나타내는 하면측에 덮개부(8)를 구비한다.
표시부(2)는 백라이트형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되고,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의거하여 백라이트로부터의 빛을 액정이 조광하여 화상데이터취득부(5)에 의해 프리뷰 촬영된 화상이나,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촬영된 화상 등을 표시한다.
조작키(3)는 좌우 상하의 선택이 용이하게 실행되도록 원형상 버튼의 표면상의 十자방향으로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고, 메뉴화면에 있어서, 각 조작의 선택, 실행 혹은 취소 또는 프리뷰화상 혹은 촬영된 화상의 선택을 실행할 때에 사용한다.
창(4)은 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연료용기(9)와 대향하는 위치에 덮개부(8)를 구비하는 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을 긴쪽측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창(4)은 투명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데, 바람직한 투명한 재료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수지, 메타크릴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유리등을 들 수 있다. 또 창(4)의 표면에 연료용기(9)내의 액체연료(10)의 양의 지표로 되는 눈금 등이 새겨져 있어도 좋다.
화상데이터취득부(5)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촬영렌즈와, CCD(Charge Coupled Diod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영소자를 구비하고, 촬영렌즈를 통하여 입력되는 화상을 촬영소자로 전기신호 로 변환해서 화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데이터는 표시부에 표시된다.
스트로보부(6)는 피사체에 발광타이밍이나 발광량이 조절된 스트로보광을 발광한다. 스트로보부(6)는 스트로보광을 발광시키기 위한 전하를 축적하는 콘덴서와, 콘덴서를 충전하는 충전회로와, 크세논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부(어느 것도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스트로보부(6)는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이 컨버터회로에서 고전압으로 변환되고, 충전회로에 전류가 공급되어 콘덴서에 발광에너지로 되는 전하가 축적된다. 스트로보부(6)의 전원으로서 스트로보 전용의 니켈수소전지 등의 각종 전지를 이용해도 좋다.
덮개부(8)는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구조에 의해 케이스(1)와 연결되어 있다. 덮개부(8)를 열면 내부에 연료용기(9)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노출되고, 그 공간으로의 연료용기(9)의 출납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케이스(1) 내부에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액체연료(10)가 충전된 연료용기(9)의 주위 근처에는 연료용기(9)로부터의 액체연료 (10)에서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 발전장치를 갖는 발전모듈(11)과, 발광부재(12)와, 확산판(13)이 설치되어 있다.
연료용기(9)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상 또는 대략 원주상이고, 케이스(1)에 설치된 창(4)과 평행방향을 긴쪽측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연료공급구(43)에 역지밸브(14)를 구비하고 있다. 액체연료(10)는 연료용기(9)의 하부에 저류되어 있고, 소비됨에 따라서 계면(액체연료(10)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의 경계)이 아래로 이동한다. 연료공급구(43)는 연료용기(9)가 케이스(1) 내부에 수납되었을 때에 발전모듈(11)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역지밸브(14)의 갈라진 곳(42)은 연료용기(9)가 케이스(1)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닫혀 있으므로, 갈라진 곳(42)으로부터 액체연료(10)가 누설되는 일은 없는데, 연료용기(9)가 덮개부(8)로부터 케이스(1)내의 공간으로 장전되면, 케이스(1)에 설치된 침관(41)이 갈라진 곳(42)으로부터 연료용기(9) 내부로 진입해서 침관(41)의 선단이 액체연료(10)에 접촉하게 되고, 액체연료(10)가 침관(41)으로부터 발전모듈(11)에 송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연료용기(9)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고, 이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부분이 케이스(1)에 설치된 창(4)과 대향했을 때에 케이스(1)의 밖으로부터 연료용기(9)내의 액체연료(10)를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연료용기(9)의 투명부가 창(4)에 적정하게 대향하도록 연료용기(9)와 케이스(1)에 설치된 연료용기(9)를 수납하는 내부공간을 위요하는 벽면의 양쪽에 서로 끼워 맞추면서 연료용기(9)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각각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과 가이드돌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도 좋다. 또 연료용기(9)에 가이드돌기, 벽면에 가이드홈을 설치해도 좋다.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는 창(4)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는 쪽이 액체연료(10)의 잔량을 보기 쉬어 바람직하다.
또한 연료용기(9)의 투명부의 바람직한 투명한 재료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수지, 메타크릴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연료용기(9)의 표면에 액체연료의 잔량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눈금 등이 새겨져 있어도 좋다. 또 액체연료의 소비에 의한 잔량의 변위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세로로 긴 구조가 바람직하고, 그것에 맞추어서 창(4)도 세로로 긴 쪽이 바람직하다.
발광부재(12)는 주위가 어두워서 창(4)으로부터 연료용기(9)내의 액체연료(10)가 보이기 어려울 때에 조작자가 조작키(3)을 조작함으로써 케이스(1)내의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발광신호에 따라 케이스(1)에 수납된 연료용기(9)에 빛을 조사한다. 본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발광부재(12)로서 LED 또는 형광관을 들 수 있고, 케이스(1) 내부에 수납된 연료용기(9)의 주위 근처에 설치된다. 바람직한 설치장소로서 수납된 연료용기(9)에 대해 창(4)과 반대측을 들 수 있다. 이 때 확산판(13)은 발광부재(12)의 아래쪽으로 연재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재(12)는 조작키(3) 등의 조작에 의해서 발광, 비발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확산판(13)은 발광부재(12)가 조사하는 빛을 균등하게 연료용기(9)에 입사하도록 밝은 색채를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데, 바람직한 재료로서 예를 들면 백색, 형광색 등의 아크릴판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발전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발전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에서 도 7은 연료개질형 발전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8은 직접연료형 발전장치의 블록도이며, 어느 쪽의 발전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어느 쪽의 발전장치도 액체연료(10, 도 1 등에 도시)를 저류하는 연료용기(9)와, 연료용기(9)에 저류된 액체연료(1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모듈(11)을 구비하고, 연료용기(9)는 발전모듈(11)에 대해서 착탈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이 발전장치에는 연료용기(9)와 발전모듈(11) 외에 연료용기(9)를 발전모듈(11)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가 설비되어 있다.
액체연료(10)는 액상의 화학연료와 물의 혼합액이고, 화학연료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나 가솔린이라고 하는 수소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연료(10)로서 메탄올과 물의 혼합액을 이용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개질식 발전장치에 있어서는 발전모듈(11)이 기화기(15)와, 개질기(16)와, 일산화탄소제거기(17)와, 연료전지(18)를 구비한다.
연료용기(9)에 저류된 액체연료(10)는 우선 기화기(15)에 공급된다. 기화기(15)에서는 공급된 액체연료(10)가 가열되어 기화해서 메탄올 및 물(수증기)의 혼합기로 된다. 기화기(15)에 있어서 생성된 혼합기는 개질기(16)에 공급된다.
개질기(16)에서는 기화기(15)에서 기화한 액체연료(10)로부터 수소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화학반응식 (1)과 같이 기화기(15)에서 혼합기로 된 메탄올과 수증기가 촉매에 의해 반응해서 수소 및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CH3OH+H2O→3H2+CO2 ··· (1)
개질기(16)에서는 기화기(15)에서 혼합기로 된 메탄올과 수증기가 완전하게 이산화탄소 및 수소로 개질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이 경우 화학반응식 (2)와 같이 메탄올과 수증기가 반응해서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가 생성된다.
2CH3OH+H2O→5H2+CO+CO2 ··· (2)
개질기(16)에서 생성된 혼합기는 일산화탄소제거기(17)에 공급된다.
일산화탄소제거기(17)에서는 개질기(16)로부터 공급된 혼합기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산화시켜서 혼합기 속으로부터 일산화탄소가 제거된다. 구체적으로는 개질기(16)로부터 공급된 혼합기 속으로부터 특이적으로 선택된 일산화탄소와, 받아 들인 공기중의 산소가 촉매에 의해 반응해서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2CO+O2→2CO2 ··· (3)
일산화탄소제거기(17)로부터 혼합기가 연료전지(18)의 연료극에 공급된다.
연료전지(18)의 연료극에서는 전기화학반응식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산화탄소제거기(17)로부터 공급된 혼합기 중 수소가스를 연료극의 촉매의 작용을 받아서 수소이온과 전자로 분리한다. 수소이온은 이온전도막을 통해서 공기극에 전도하고, 전자는 연료극에 의해 꺼내어진다.
3H2→6H++6e- ··· (4)
연료전지(18)의 공기극에는 공기가 받아들여져 공급된다. 그리고 전기화학 반응식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중의 산소와 이온전도막을 통과한 수소이온과, 연료극에 의해 꺼내어진 전자가 반응하여 물이 부생성물로서 생성된다.
6H++3/2O2+6e-→3H2O ··· (5)
이상과 같이 연료전지(18)에서 상기 (4), (5)에 나타내는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생성된다. 생성된 부생성물로서의 물, 이산화탄소, 공기 등의 혼합기는 연료용기(9)에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액체연료(10)나 생성물의 흐름을 일으키고 있는 것은 펌프(19)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접연료형 발전장치에 있어서는 발전모듈(11)이 기화기(15)와 연료전지(18)를 구비한다.
연료용기(9)로부터 기화기(15)에 공급된 액체연료(10)는 기화기(15)에 있어서 기화되어 메탄올 및 수증기의 혼합기로 된다. 기화기(15)에 있어서 생성된 혼합기는 연료전지(18)의 연료극에 공급된다.
연료전지(18)의 연료극에서는 전기화학반응식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화기(15)로부터 공급된 혼합기를 연료극의 촉매의 작용을 받아서 수소이온과 전자와 이산화탄소로 분리한다. 수소이온은 이온전도막을 통해서 공기극에 전도하고, 전자는 연료극에 의해 꺼내어 진다.
CH3OH+H2O→CO2+6H++6e- ··· (6)
연료전지(18)의 공기극에는 공기가 받아들여져 공급된다. 그리고 전기화학반응식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중의 산소와 이온전도막을 통과한 수소이온과, 연료극에 의해 꺼내어진 전자가 반응하여 물이 부생성물로서 생성된다.
6H++3/2O2+6e-→3H2O ··· (7)
이상과 같이 연료전지(18)에서 상기 (6), (7)에 나타내는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생성된다. 생성된 부생성물로서의 물, 이산화탄소, 공기 등의 혼합기는 연료용기(9)에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연료용기(9)에 받아들여진 액체연료(10)는 케이스(1)내에 설치된 펌프(19)에 의해 기계적으로 기화기(15)에 보내지고, 이 후 기화된 연료나 연료를 개질하여 이루어진 수소 등의 기상유체의 압력차 및 제어회로로 동작되는 밸브에 의해서 유체의 흐름을 일으키고 있는 것은 펌프(19)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연료용기(9)를 케이스(1)의 하단부에 설치된 덮개부(8)을 열어 케이스(1) 내부로 삽입하고, 연료용기(9)에 설치된 역지밸브(14)를 발전모듈(11)에 설치된 유입구(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넣으며, 덮개부(8)를 닫음으로써 발전모듈(11)에 연료용기(9)를 장착시킨다. 이 때 케이스(1) 내부에 수납된 연료용기(9)와, 표시부(2)와 동일면에 설치된 창(4)은 투명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위치가 합치하도록 장착되고, 펌프(19)에 의해서 장착된 연료용기(9)로부터 발전모듈(11)로 액체연료(10)가 공급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생성한 전기에너지 를 전력으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화상데이터취득부(5)로부터 받아들여진 화상이 촬영소자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표시부(2)에 표시된다.
이 때 특정의 메뉴를 선택하는 일 없이 조작키(3)을 밀어누름 조작할 때마다 발광부재(12)로부터 연료용기(9)로 빛이 소정의 시간 조사되고, 조사된 빛은 확산판(13)에 의해 균일하게 확산하여 연료용기(9)를 투과해서 케이스(1) 외부로 방사되도록 해도 좋다.
표시부(2)와 동일면측에 연료용기(9)내의 액체연료(10)를 시인할 수 있는 투명한 창(4)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조작자는 표시부(2)를 보면서, 즉 디지털카메라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 액체연료(10)의 액면의 상하위치를 시인함으로써 연료용기(9)내의 액체연료(10)의 잔존량을 용이하고 신속 또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료용기(9)에 빛이 일정기간 조사되도록 설정해서 야간이나 어두운 곳 등과 같은 빛의 조사량이 적은 상황에서도 직접 시인할 뿐만 아니라, 조작키(3) 쪽까지 빛이 닿도록 하는 것으로 조작키를 조작하기 쉽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연료용기(9)내의 액체연료(10)를 본체의 방향이나 자세를 바꾸는 일없이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종래와 같이 표시부(2)에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잔량을 확인하기 위해 일부러 디지털카메라를 기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액체연료(10)의 보충 또는 충분한 양의 액체연료(10)가 저류된 새로운 연료용기(9)로의 교환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지잔량을 전기적으로 검지하는 센서보다도 정확하게 연료잔량, 즉 사용 가능한 발전량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 본체의 소형화를 실현시켜 제조비용을 억제할 수 도 있다. 또한 고장의 원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유지보수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또 전기적인 센서 등으로 연료잔량이나 전지잔량을 검지하는 경우에는 상시 센서를 구동함으로써 전력을 소비하여 버리기 때문에 연료용기(9)의 연료의 소비가 격렬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형 전자기기에서는 밝을 때에 있어서 잔량을 확인하는데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저소비 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으므로 연료용기(9)의 교환시기를 연장시켜 장시간의 연속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9∼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로서 휴대전화를 적용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료용기(29)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상 또는 대략 원주상이고, 연료공급구(43)에 역지밸브(32)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용기(29)의 하부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연료(30)는 소비됨에 따라 계면(액체연료(30)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의 경계)이 아래로 이동한다. 역지밸브(32)의 갈라진 곳(42)은 연료용기(29)가 휴대전화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닫혀 있으므로 갈라진 곳(42)으로부터 액체연료(30)가 누설되는 일은 없는데, 연료용기(29)가 휴대전화내의 공간에 장전되면, 휴대전화내에 설치된 침관(41)이 갈라진 곳(42)으로부터 연료용기(29) 내부로 진입해서 침관(41)의 선단이 액체연료(30)에 접촉하게 되고, 액체연료(30)가 침관(41)으로부터 발전모듈(31)에 송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료용기(29)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고, 이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부분이 휴대전화내에 설치된 창과 대향했을 때에 휴대전화의 밖으로부터 연료용기(29)내의 액체연료(30)를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연료용기(29)의 투명부가 창에 적정히 대향하도록 연료용기(29)와 휴대전화에 설치된 연료용기(29)를 수납하는 내부공간을 위요하는 벽면의 양쪽에 서로 끼워 맞추면서 연료용기(29)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각각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과 가이드돌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도 좋다. 또 연료용기(29)에 가이드돌기, 벽면에 가이드홈을 설치해도 좋다.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는 창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는 쪽이 액체연료(30)의 잔량을 보기 쉬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는 접이식의 것이고,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부(43)로 연결된 제 1 케이스(24) 및 제 2 케이스(28)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24)는 접을 때의 내면측에 백라이트형 액정표시장치나 EL표시장치 등의 주표시부(20A),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21) 및 주표시부(20A)의 세로방향에 장척인 한변을 따라서 주표시부(20A)의 이웃에 배치된 투명한 제 1 창(22A)이 설치되고, 접을 때의 외면측에 백라이트형 액정표시장치나 EL표시장치 등의 부표시부(20B), 부표시부(20B)의 세로방향에 장척인 한변을 따라서 부표시부(20B)의 이웃에 배치된 투명한 제 2 창(22B) 및 외면측의 끝가장자리에 연료용기(29)를 수납하기 위한 덮개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28)는 제 1 케이스(24)와의 대향면에 키입력부(25)와,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26)와, 안테나부(27)가 설치되고, 내부에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 케이스(24) 내부에는 연료용기(29)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 고, 덮개부(23)를 개구하면, 내부공간이 노출되어 연료용기(29)를 출납할 수 있다. 내부공간에 수납된 연료용기(29)로부터의 액체연료(30)를 받아들여 발전하는 발전장치를 갖는 발전모듈(31)이 제 1 케이스(24)의 내부공간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다.
주표시부(20A)는 예를 들면 백라이트형 LCD(Liquid Crystal Display)패널 등에 의해 구성되고,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의거하여 정지화상, 동화상 등의 화상이나 문자에 의한 화면표시를 실행하며, 전화 미사용시에는 시각정보데이터 등이, 전화 사용시에는 키입력부(25)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데이터 등이 표시된다.
부표시부(20B)는 주표시부(20A)보다도 작고, 일시나 요일, 메일수신의 유무 등의 정보를 간이 표시하는 것이다.
스피커부(21)는 스피커구멍을 구비하고, 제어부와 접속되어 있다. 접속된 제어부에 의해 입력된 전기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구멍을 통해서 출력된다.
투명한 창(22A)은 아크릴 등의 단층 또는 복수층의 투명한 판을 갖고, 또한 주표시부(20A)의 옆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시인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24)를 열은 상태에서 주표시부(20A) 및 투명한 창(22A)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다.
투명한 창(22B)은 아크릴 등의 단층 또는 복수층의 투명한 판을 갖고, 또한 부표시부(20B)의 옆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시인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24)가 닫힌 상태에서 부표시부(20B) 및 투명한 창(22B)을 동시에 시인 할 수 있다.
덮개부(23)는 제 1 케이스(24)의 끝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제 1 케이스(24)를 제 2 케이스(28)에 일정한 장소까지 근접시키는 동시에 로크되며, 제 2 케이스(28)로부터 열어서 일정한 장소에 이르렀을 때에 로크가 해제되어 덮개부(23)가 열리는 기구를 갖고 있고, 오작동에 의해 덮개부(23)가 열려 내부에 수납되어 있었던 연료용기(29)의 튀어나옴을 방지한다.
키입력부(25)는 통화버튼 혹은 숫자키, 또는 모드전환버튼 등의 각종의 버튼을 구비하고, 제 2 케이스(28)의 외부로 돌출한 버튼을 밀어누름 조작하면, 버튼이 탄성 변형해서 버튼내부의 가동접점을 기반상의 고정접점에 접리(接離) 가능하게 접촉시킴으로써 전기신호가 출력된다.
마이크부(26)는 마이크구멍을 구비하고, 제어부와 접속되어 있다. 접속된 제어부에 의해 마이크구멍을 통해서 입력된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연료용기(29)는 액체연료(30)가 외측으로부터 보이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고, 대략 직육면체상 또는 대략 원주상이며, 제 1 케이스(24)에 수납될 때에 있어서, 발전모듈(31)과 연결하는 위치에 역지밸브(32)를 구비한다.
연료용기(29)에 있어서의 액체연료(30)의 주위를 덮는 벽 중, 부분적으로 불투명한 재료로 구성된 곳이 있는 경우, 창(22A), 창(22B)의 어느 쪽으로부터도 연료용기(29)내의 액체연료(30)가 보이도록, 즉 연료용기(29)에 있어서의 액체연료(30)의 주위를 덮는 벽 중, 연료용기(29)의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부분이 제 1 케이스(24)에 설치된 창(22A), 창(22B)과 대향하도록 연료용기(29)와 제 1 케이스 (24)에 설치된 연료용기(29)를 수납하는 내부공간을 위요하는 벽면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고, 다른쪽에 가이드돌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가이드돌기를 가이드홈에 슬라이드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발전장치, 발광부재 및 확산판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케이스(24)의 끝가장자리에 설치된 덮개부(23)을 열고, 연료용기(29)를 내부공간으로 삽입하며, 연료용기(29)에 설치된 역지밸브(32)에 발전모듈(31)에 설치된 유입구(도시하지 않음)를 끼워넣고, 덮개부(23)를 닫음으로써 발전모듈(31)에 연료용기(29)를 장착시킨다.
이 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24)를 열어서 주표시부(20A)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주표시부(20A)와 동일면상에 설치된 창(22A)으로부터 제 1 케이스(24) 내부에 수납된 연료용기(29)내의 액체연료(30)의 잔량을 볼 수 있다. 즉 주표시부(20A)의 표시내용을 보면서 동시에 액체연료(30)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주표시부(20A)의 표시내용을 보고 있을 때 갑자기 액체연료(30)가 없어져 전력을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표시할 수 없게 된다고 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24)와 제 2 케이스(28)가 서로 접혀져서 주표시부(20A) 및 창(22A)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는 부표시부(20B)와 동일면상에 설치된 창(22B)으로부터 제 1 케이스(24) 내부에 수납된 연료용기(29) 내의 액체연료(30)의 잔량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케이스(24)를 열지 않아도 액체연료(30)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고, 또 부표시부(20B)를 보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액체연료(30)가 들어간 연료용기(29)가 제 1 케이스(24)내의 내부공간에 장착되면, 휴대전화내의 제어부가 필요에 따라서 제 1 케이스(24)에 설치된 펌프(19)를 구동하여 연료용기(29)내의 액체연료(30)을 발전모듈(31)에 공급해서 전기적 에너지를 생성한다. 생성한 에너지를 전력으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제어부에 의해 음성을 전기신호로 또는 전기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안테나부(27)에 의해서 발신 또는 수신하여 제3자와 통화하는 것이나, 메일의 송수신, 주표시부(20A)나 부표시부(20B)에서의 표시 등의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또 주위가 어두운 환경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키입력부(25)를 조작하던지, 혹은 제 2 케이스(28)에 대해서 제 1 케이스(24)를 일정한 장소까지 열면 자동적으로 주표시부(20A)의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를 발광하던지 EL표시장치를 발광시켜 그 빛에 의해서 창(22A)으로부터 연료용기(29)내의 액체연료(30)의 잔량을 보도록 해도 좋다. 이 때의 빛은 주표시부(20A)내에 이용하는 광원으로부터 제 1 케이스(24)내를 전파하여 연료용기(29)에 도달하는 광로를 취해도 좋고, 혹은 표시광으로서 주표시부(20A)로부터 나오고 나서 창(22A)으로 들어가도록 광로를 취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제 1 케이스(24)의 옆쪽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40)를 눌러서 부표시부(20B)의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를 발 광하던지, EL표시장치를 발광시켜 그 빛에 의해서 창(22B)으로부터 연료용기(29)내의 액체연료(30)의 잔량을 보도록 해도 좋다. 이 때의 빛은 부표시부(20B)내에 이용하는 광원으로부터 제 1 케이스(24)내를 전파하여 연료용기(29)에 도달하는 광로를 취해도 좋고, 혹은 표시광으로서 부표시부(20B)로부터 나오고 나서 창(22B)으로 들어가도록 광로를 취해도 좋다.
그로 인해 연료용기(29)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연료(30)의 액면이 긴쪽방향의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 시인 가능한 것으로부터 전기적인 센서 등을 탑재하는 일없이 연료용기(29)내의 액체연료(30)의 잔존량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 표시부와 반대면측에 창(22)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케이스(24) 및 제 2 케이스(28)의 개폐를 실행하지 않고 연료용기(29)내의 액체연료(30)의 잔존량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접은 상태에서는 덮개부(23)가 로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정하면, 제 1 케이스(24) 내부에 수납된 연료용기(29)가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에 따르면, 접혀진 상태에서 연료용기(29)내의 액체연료(30)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고, 제 1 케이스(24) 및 제 2 케이스(28)의 개폐를 실행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또 제 1 케이스(24)를 열은 상태에서도 휴대전화의 주표시부(20A)의 표시를 보면서 액체연료(30)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적인 잔량검지센서를 이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기기 본체의 소형화를 실현시켜 제조비용을 억제할 수 도 있고, 덧붙여서 센서와 같은 전 자제어의 고장의 원인도 없으므로 유지보수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접을 때에 연료용기(29)의 외부로의 튀어나옴이 방지되는 기구를 가지면, 휴대전화의 방향에 주위를 기울이는 일 없이 포켓 등에 수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를 적용해도 좋다. 도 1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주표시부(20A)나 부표시부(20B)의 상하 어느 쪽의 위치에 설치된 덮개부(23)를 열어서 가로방향으로부터 연료용기(29)를 제 1 케이스(24)에 삽입 또는 떼어냄을 실행하므로, 주표시부(20A)나 부표시부(20B)의 가로방향의 표시영역을 넓게 취할 수 있다. 접을 때에 연료용기(29)의 외부로의 튀어나옴이 방지되는 기구 등의 효과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똑같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어느 것이나 제 1 케이스(24)에 연료용기(29)를 삽입하는 내부공간 및 덮개부(23)를 설치했는데, 제 2 케이스(28)에 이들을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주위가 어두울 때에 연료용기(29)내의 액체연료(30)를 조사하는 광원으로서는 키입력부(25)를 발광하기 위해 제 2 케이스(28)내에 설치된 LED를 이용해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접이형의 휴대전화였는데, 제 1 케이스(24)와 제 2 케이스(28)의 겹침부분을 갖고, 제 1 케이스(24)와 제2 케이스(28)의 어느 쪽인가를 슬라이드하여 주표시부(20A)를 노출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를 노트형 퍼스컴에 적용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노트형 퍼스컴은 표시부(33), 표시부(33)와 동일면상에 위치하는 제 1 창(34A), 끝가장자리에 연료용기(29)가 출납되는 덮개부(35), 표시부(33)와 반대측의 면에 설치된 제 2 창(34B)을 갖는 제 1 케이스(36)와, 입력부(37)를 갖는 제 2 케이스(38)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스(36) 및 제 2 케이스(38)는 힌지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제 1 케이스(36) 내부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내부공간에 수납된 액체연료(30)를 저류하는 연료용기(29)의 주위 근처에는 연료용기(29)와 함께 발전장치를 형성하는 발전모듈(39)과,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발광부재(도시하지 않음)와 확산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며, 제 2 케이스(38) 내부에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33)는 백라이트형 액정표시패널이나 EL표시패널 등에 의해 구성되고,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의거하여 화면표시를 실행하며, 문자정보 또는 화상 등이 표시된다.
덮개부(35)는 제 1 케이스(36)의 끝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제 1 케이스(36)를 제 2 케이스(38)에 일정한 장소까지 근접시키는 동시에 로크되며, 제 1 케이스(36)를 제 2 케이스(38)로부터 열어서 일정한 장소에 이르렀을 때에 로크가 해제되어 덮개부(35)가 열리는 기구를 갖고 있고, 오작동에 의해 덮개부(35)가 열려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연료용기(29)의 튀어나옴을 방지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전자 기기를 닫은 상태로 가방 등에 넣고 있으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36)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연료용기(29)에서는 잘못해서 덮개부(35)가 열리는 일이 없으므로 액체연료(30)가 누설되는 일이 없다.
입력부(37)는 기능키 혹은 숫자키 또는 문자입력키 등의 각종의 버튼을 구비하고, 제 2 케이스(38)의 외부로 돌출한 버튼을 밀어누름 조작하면, 버튼이 탄성변형하여 버튼내부의 가동접점을 기반상의 고정접점에 접리 가능하게 접촉시킴으로써 전기신호가 출력된다.
제어부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수단과,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으로 구성되고, 컴퓨터에 판독된 소프트웨어와 협동해서 입력된 전기신호의 가공 또는 연산을 실행한다.
또한 연료용기(29), 발전장치, 발광부재 및 확산판의 구성은 제 2 실시형태와 똑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컴을 열어서 표시부(33)가 노출되고 나서 덮개부(35)를 열고, 연료용기(29)를 퍼스컴의 내부공간에 삽입하며, 연료용기(29)에 설치된 역지밸브(32)에 발전모듈(39)에 설치된 유입구(도시하지 않음)를 끼워넣고, 덮개부(35)를 닫음으로써 발전모듈(39)에 연료용기(29)를 장착시킨다. 이 때 연료용기(29)의 투명부분은 표시부(33)와 동일면측에 설치된 아크릴 등의 투명한 제 1 창(34A)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액체연료(30)가 들어간 연료용기(29)가 제 1 케이스(24)내의 내부공간에 장 착되면, 휴대전화내의 제어부가 필요에 따라서 제 1 케이스(24)에 설치된 펌프(19)를 구동하여 연료용기(29)내의 액체연료(30)를 발전모듈(31)에 공급해서 전기적 에너지를 생성한다. 퍼스컴은 생성한 전기에너지를 전력으로서 입력부(37)에서의 조작 혹은 외부로부터의 수신한 신호에 따라서 제어부에서 처리하여 그 결과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
또 전원이 넣어진 상태에서는 표시부(33)의 광원으로부터 연료용기(29)로 빛이 조사되고, 조사된 빛은 확산판에 의해 균일하게 확산하여 연료용기(29)를 투과 해서 제 1 케이스(36) 외부로 방사되도록 해도 좋다.
그로 인해 데스크 등의 수평한 장소에서 퍼스컴을 배치하는 것만으로 연료용기(29)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연료(30)의 액면의 상하이동이 시인 가능하고, 전기적인 센서 등을 탑재하는 일 없이 연료용기(29)내의 액체연료(30)의 잔존량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 표시부(33)와 동일면상에 제 1 창(34A)이 설치됨으로써 사용 중은 항상 연료용기(29)내의 액체연료(30)가 시계에 들어가게 되어 용이 또한 정확하게 잔량을 알 수 있다.
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은상태에서도 제 2 창(34B)으로부터 연료용기(29)내의 액체연료(30)의 잔량을 볼 수 있으므로, 퍼스컴을 일부러 열거나 혹은 전기적으로 기동하지 않아도 잔량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접은 상태에서는 덮개부(35)가 로크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제 1 케이스(36) 내부에 수납된 연료용기(29)가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37)에 구비된 특정의 버튼을 밀어누름 조작하는 일 없이 표시부 (33)의 광원으로부터 연료용기(29)로 빛이 조사됨으로써 야간이나 어두운 곳 등과 같은 빛의 조사량이 적은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액체연료(30)를 직접 시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표시부(33)와 동일면상에 제 1 창(34A)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33)를 보는 자세로 퍼스컴을 배치하는 것만으로 정확하게 잔량을 시인할 수 있다. 또 기기 본체의 소형화를 실현시켜 제조비용을 억제할 수 도 있고, 덧붙여서 고장의 원인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유지보수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연료용기(29)의 외부로의 튀어나옴이 방지되는 기구를 갖기 때문에 노트형 퍼스컴의 방향에 주위를 기울이는 일 없이 백 등에 수납할 수 있다. 또 배터리잔량을 전기적으로 판독하고 있지 않으므로 잔량센서나 잔량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회로가 불필요하게 되어 제조비용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창(34B)측에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데, 부표시부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Claims (27)

  1. 연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한 창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창측의 면에 위치하는 표시부와, 상기 연료용기 내의 연료에 의거하여 발전하는 연료전지와, 상기 내부공간을 조사하는 광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케이스의 소정의 면측에 설치된 제 1 표시부와, 상기 소정의 면과 반대의 면측에 설치된 제 2 표시부를 갖고,
    상기 창은 상기 소정의 면측에 설치된 제 1 창과, 상기 반대의 면측에 설치된 제 2창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조작키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7. 연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한 창과,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소자와,
    상기 창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연료용기 내의 연료에 의거하여 발전하는 연료전지와,
    상기 내부공간을 조사하는 광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8. 삭제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촬영소자로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1. 삭제
  12. 연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한 창과,
    통화수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케이스와,
    상기 창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연료용기 내의 연료에 의거하여 발전하는 연료전지와,
    상기 내부공간을 조사하는 광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갖고,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의 한쪽의 면이 열렸을 때에 노출되는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창은 상기 한쪽의 면이 열렸을 때에 노출되는 제 1 창과, 상기 제 1 창 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과 반대측의 면에 설치된 제 2 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갖고,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의 한쪽의 면이 열렸을 때에 노출되는 제 1 표시부와, 상기 한쪽의 면측과 반대측의 면에 설치된 제 2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창은 상기 한쪽의 면이 열렸을 때에 노출되는 제 1 창과, 상기 제 1 창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과 반대측의 면에 설치된 제 2 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갖고,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끼리는 접음 자유로운 구조로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연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한 창과,
    상기 창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설치된 표시부와,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갖고 있는 케이스와,
    상기 연료용기 내의 연료에 의거하여 발전하는 연료전지와,
    상기 내부공간을 조사하는 광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1. 삭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한쪽의 면이 열렸을 때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한쪽의 면이 열렸을 때에 노출되며,
    상기 창은 상기 한쪽의 면이 열렸을 때에 노출되는 제 1 창과, 상기 제 1 창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과 반대측의 면에 설치된 제 2 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끼리는 접음 자유로운 구조로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040076748A 2003-09-29 2004-09-24 휴대형 전자기기 KR100698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38385 2003-09-29
JP2003338385A JP4337490B2 (ja) 2003-09-29 2003-09-29 携帯型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404A KR20050031404A (ko) 2005-04-06
KR100698359B1 true KR100698359B1 (ko) 2007-03-23

Family

ID=3437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748A KR100698359B1 (ko) 2003-09-29 2004-09-24 휴대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59739B2 (ko)
JP (1) JP4337490B2 (ko)
KR (1) KR100698359B1 (ko)
CN (1) CN132756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7490B2 (ja) * 2003-09-29 2009-09-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4855743B2 (ja) * 2004-09-30 2012-0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電池を用いた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027806A (ja) * 2005-07-12 2007-02-01 Hitachi Ltd 携帯端末機
US8430851B2 (en) * 2005-10-14 2013-04-30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port
US20070164050A1 (en) * 2006-01-19 2007-07-19 Timothy Delaine Knight Personal Antimicrobial Dispenser
JPWO2008020562A1 (ja) * 2006-08-17 2010-01-0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5245262B2 (ja) * 2007-03-05 2013-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US20100065295A1 (en) * 2007-03-20 2010-03-18 Hitachi Koki Co., Ltd. Cordless power tool and accomodation case
CN101325052B (zh) * 2007-06-15 2010-12-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1354880B (zh) * 2007-07-27 2011-12-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7815432B2 (en) * 2007-09-12 2010-10-19 Andrew Smith Cigarette lighter with replaceable fuel cartridge
US20090236434A1 (en) * 2008-03-18 2009-09-24 Volker Hohensee Modular vehicle heater
EP2129085B1 (en) * 2008-05-29 2011-03-30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0277977A (ja) * 2009-06-01 2010-12-09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及び燃料電池の残量確認方法
JP5431975B2 (ja) * 2010-01-07 2014-03-05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1301A (ko) * 1997-10-23 2001-04-16 무네유키 가코우 전자 스틸카메라, 인스턴트 프린터 및 인스턴트 필름
KR20020084250A (ko) * 2001-01-24 2002-11-04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원시스템,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료 팩 및 발전기와전원시스템으로 구동되는 장치
KR100358241B1 (ko) * 1994-11-21 2003-01-24 미쯔비시엔피츠가부시키가이샤 카트리지식액체도포기
KR20030037126A (ko) * 2001-11-02 2003-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액정 표시 장치를 가지는 폴더형 휴대폰과 그휴대폰의 윈도우 화면 표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0905A (en) * 1991-09-24 1993-10-05 Duracell Inc. Battery with electrochemical tester
JPH09147896A (ja) 1995-11-21 1997-06-06 Mitsubishi Heavy Ind Ltd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システム
US5794125A (en) * 1996-04-16 1998-08-11 Shure Brothers Incorporated Transmitter battery like ind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5759712A (en) * 1997-01-06 1998-06-02 Hockaday; Robert G. Surface replica fuel cell for micro fuel cell electrical power pack
US5936380A (en) * 1997-09-12 1999-08-10 Micron Electronics, Inc. Alternative power for a portable computer via solar cells
US6326097B1 (en) * 1998-12-10 2001-12-04 Manhattan Scientifics, Inc. Micro-fuel cell power devices
US6625030B1 (en) * 2000-04-07 2003-09-23 Mobicom Corporation Wireless terminal assembly
JP2002290793A (ja) * 2001-03-28 2002-10-04 Mitsubishi Electric Corp 撮像装置付携帯電話器
US20030010115A1 (en) * 2001-07-16 2003-01-16 Kelley Ronald J. Means for measuring the liquid level in a reservoir for a fuel cell
US6998185B2 (en) * 2002-01-11 2006-02-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ye-based fuel indicator system for fuel cells
JP3715608B2 (ja) * 2002-09-30 2005-11-0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電池ユニット
JP2004128827A (ja) * 2002-10-02 2004-04-22 Hitachi Ltd 携帯電子機器および電源供給装置、電源供給方法
US6955863B2 (en) * 2002-10-25 2005-10-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ual-purpose compartment for a hybrid battery and fuel cell powered device
US20040086755A1 (en) * 2002-10-30 2004-05-06 Corning Incorporated Portable fuel cell system
US7128106B2 (en) * 2003-04-15 2006-10-31 The Gillette Company Apparatus for refueling a direct oxidation fuel cell
US7099689B2 (en) * 2003-06-30 2006-08-29 Microsoft Corporation Energy-aware communications for a multi-radio system
JP2005061671A (ja) 2003-08-08 2005-03-10 Nec Corp ライター内蔵の携帯電子機器
JP4337490B2 (ja) * 2003-09-29 2009-09-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241B1 (ko) * 1994-11-21 2003-01-24 미쯔비시엔피츠가부시키가이샤 카트리지식액체도포기
KR20010031301A (ko) * 1997-10-23 2001-04-16 무네유키 가코우 전자 스틸카메라, 인스턴트 프린터 및 인스턴트 필름
KR20020084250A (ko) * 2001-01-24 2002-11-04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원시스템,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료 팩 및 발전기와전원시스템으로 구동되는 장치
KR20030037126A (ko) * 2001-11-02 2003-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액정 표시 장치를 가지는 폴더형 휴대폰과 그휴대폰의 윈도우 화면 표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9873A (zh) 2005-05-25
US7359739B2 (en) 2008-04-15
JP2005107717A (ja) 2005-04-21
US20050070347A1 (en) 2005-03-31
CN1327562C (zh) 2007-07-18
KR20050031404A (ko) 2005-04-06
JP4337490B2 (ja)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359B1 (ko) 휴대형 전자기기
KR100548679B1 (ko) 교환가능한 연료팩을 갖는 전자장치의 발전모듈
US7906245B2 (en) Fuel cell cartridge and electric apparatus having built-in fuel cell
US7824789B2 (en) Power generation device, fuel package, and remaining fuel amount measuring device
US20060154132A1 (en) Fuel-cell-equipped apparatus and fuel cartridge
JP4532924B2 (ja) 携帯機器
JP4179453B2 (ja) 発電モジュール及び燃料パック
EP1825550B1 (en) Fuel container, fuel residual amount measurement device, and fuel residual amount measurement method
JP4718201B2 (ja) 燃料容器及び燃料残量測定装置
CN220324651U (zh) 电池模组及终端设备
JP2004119247A (ja) 電子機器の燃料電池格納構造及び携帯型電子機器
JP5003137B2 (ja) 発電モジュール
JP4858180B2 (ja) 発電型電源及び電子機器
JP2009080956A (ja) 電子機器
JP2005019016A (ja) 燃料電池安全システムおよび携帯機器
JP5194824B2 (ja) 発電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070615A (ja) 燃料電池搭載機器、及びカメラ
JP2007012334A (ja) 燃料電池内蔵型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055642A (ja) カメラ
JP2007066756A (ja) 燃料カートリッジ、燃料電池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