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241B1 - 카트리지식액체도포기 - Google Patents

카트리지식액체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241B1
KR100358241B1 KR1019950042422A KR19950042422A KR100358241B1 KR 100358241 B1 KR100358241 B1 KR 100358241B1 KR 1019950042422 A KR1019950042422 A KR 1019950042422A KR 19950042422 A KR19950042422 A KR 19950042422A KR 100358241 B1 KR100358241 B1 KR 100358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knocking rod
applicator
shaped groov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2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974A (ko
Inventor
나카지마노부유키
나가이도루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엔피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엔피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엔피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1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2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카트리지 타입의 탱크가 이용가능하며,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노킹 막대의 부주의한 억압을 저지할 수 있는 잠금 기구를 설치한 액체 도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통형태로 이루어진 도포기 본체(10)의 내부에, 액체를 봉입한 카트리지식 탱크(20)가 수납되는 동시에, 도포기 본체(10)의 전단부에 상기 탱크(20)에 봉입된 액체를 도포하기 위한 함침체 12a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포기 본체(10)의 후단부에는 착탈가능하도록 통형태의 뒷마개(30)가 끼워맞추어져 있고, 이 뒷마개(30)에는 그 내측 방향을 향하여 계합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형태의 뒷마개(30)의 내측부에는 노킹 막대(40)가 동축형으로 배치되고, 노킹 막대(40)의 주면에 설치한 L 형 홈에, 상기 뒷마개(30)에 내측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볼록부가 계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
본 발명은 카트리지식 탱크에 봉입되어 있는 필기용 잉크, 수정액, 액체 화장품, 도료, 접착제, 액체 의약품 또는 액체 구두약 등을 도포하는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액체 도포기로는, 예컨대 제8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액체 도포기가 제안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된 액체 도포기는 본원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이미 출원(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평성 제2-91681호)된 액체 도포기로서, 원통형의 도포기 본체(50) 내에 저장 탱크(60)가 수납되어 있고, 도포기 본체(50)의 선단에는 저장 탱크(60)에 봉입되어 있는 액체를 도포하기 위한 브러시형의 함침체(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포기 본체(50)의 후단부에는 원통형 뒷마개(70)가 도포기 본체(50)에 대하여 끼워맞춤 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뒷마개(70)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노킹 봉(knocking rod;80)이 뒷마개(70)에 대하여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노킹 봉(80)의 저부와 저장 탱크(60)의 후단부 사이에는 노킹 봉(80)을 저장 탱크의 후단부를 향해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90)이 배치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된 액체 도포기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이미 출원(일본 실용실안 공개 공보 평성 제10-99475호)된 액체 도포기로서, 이 제9도에 도시된 구성은 제8도에 도시된 구성, 특히 노킹 봉(80)에 잠금 기구(lock mechanism)가 부가된 것이다.
즉, 노킹 봉(80)에는 축방향과 원주방향으로 L자형의 홈(81)이 형성되어 있고 도포기 본체(50)에는 L자형의 홈(81)에 맞물리는 볼록부(51)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 노킹 봉(80)은 그 내부에 수납된 코일 스프링(도시 생략)의 신장 작용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기 본체(50)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배치되어있다. 이 상태에서, 도포기 본체(50)에 형성된 볼록부(51)가 노킹 봉(80)의 원주방향 홈(81a)을 따라 회전하도록 노킹 봉(80)을 회전시키면, 노킹 봉(80)은 잠금상태(노킹 불가능 상태)로 된다.
노킹 봉(80)의 원주방향 홈(81a)의 축방향 단부면에는 볼록부(81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81b)를 도포기 본체(50)에 형성된 볼록부(51)가 타고 넘어감으로써, 노킹 봉(80)에 대한 잠금 조작 시에 클릭감(clicking feel;딸깍거리는 느낌)이 부여된다.
또한, 제10도에 도시된 종래의 액체 도포기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평성 제5-68684호)된 액체 도포기로서, 특히 액체가 담긴 탱크는 카트리지식의 교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원통형의 도포기 본체(50)의 내부에 액체가 봉입되어 있는 카트리지식 탱크(60)가 수납되고, 도포기 본체(50)의 선단에는 카트리지식 탱크(60)에 봉입되어 있는 액체를 도포하기 위한 브러시형의 함침체(5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포기 본체(50)의 후단부에는 착탈 가능한 원통형 뒷마개(70)가 끼워져 있고, 그 내부에 카트리지식 탱크(60)가 삽입되어 있다.
카트리지식 탱크(60)에는 후방을 향해 숄더부(61)가 형성되며, 이 숄더부(61)가 뒷마개(70)의 선단부(71)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포기 본체(50)로부터 뒷마개(70)를 분리시키면 카트리지식 탱크(60)를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식 탱크(60)는 도포기 본체(50)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뒷마개(70)의 후단부에 마련된 개구(70a)를 통해 노출되므로, 이 노출된 카트리지식 탱크(60)의 단부를 직접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탱크 내에 봉입되어 있는 적량의 액체를 브러시형 함침체(51)에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예컨대, 제8도에 도시된 종래의 액체 도포기의 경우에는, 원통형의 도포기 본체(50) 내의 저장 탱크(60)와 노킹 봉(80) 사이에 코일 스프링(90)이 끼워져 있어, 코일 스프링의 신장 작용에 의해 노킹 봉(80)이 도포기 본체(50)의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의 팽창 작용 때문에, 노킹 봉(80)을 유지하는 원통형 뒷마개(70)를 도포기 본체(50)에 대하여 가압 끼워맞춤 또는 접착제에 의해 어느 정도 강력하게 부착시켜야만 하므로, 즉석에서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식 탱크(60)를 채용할 수가 없다.
또한, 제8도에 도시된 예의 경우에는, 노킹 봉(80)이 의도하지 않게 가압되어 저장 탱크(60) 내에 봉입되어 있는 액체가 브러시형 함침체(51)에 과잉 공급되어 의복 등을 더럽히게 되는 등의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9도에 도시된 종래의 액체 도포기에 있어서는, 도포기 본체(50)에 형성된 볼록부(51)와 노킹 봉(80)에 형성된 L자형 홈(81)이 조합되어 노킹 봉(80)에 잠금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노킹 봉(80)이 실수로 눌려 저장 탱크 속의 액체가 함침체에 과잉 공급될 수 있다는 상기 문제점은 해결되었다.
그러나,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시 코일 스프링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즉석에서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식 탱크를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노킹 봉(80)에 대하여 클릭감이 부여되기는 하지만, 클릭감을 부여하기 위해 L자형 홈에 설치되는 볼록부(81b)가 노킹 봉(80)의 원주방향 홈(81a)의 축방향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코일 스프링이 팽창 상태인 경우에만 클릭감이 부여된다.
따라서, 이러한 액체 도포기는 코일 스프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며, 또한 노킹 봉(80)을 누른 채로 잠그고자 할 경우에는 클릭감이 부여되지 않는 등 클릭감이 일정치 않게 된다는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0도에 도시된 종래의 액체 도포기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코일 스프링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또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도포기 본체(50)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한 원통형 뒷마개(70)를 사용할 수 있어,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 타입의 탱크(6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탱크(60)의 후단부를 실수로 누르고 놓쳐서 탱크(60)의 액체가 브러시형의 함침체(51)에 과잉 공급되어 의복 등을 더럽히게 될 염려가 있다는 점 등의 기술적인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카트리지식 탱크가 이용될 수 있으며, 노킹 봉이 실수로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기구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 잠금 시에 양호한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는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액체 도포기에서는, 원통형 도포기 본체의 내부에 액체가 봉입되어 있는 카트리지식 탱크가 수납되고 원통형 도포기 본체는 내주면을 구비하며, 원통형 도포기 본체의 전단부에는 상기 카트리지식 탱크에 봉입되어 있는 액체를 도포하는 함침체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는, 도포기 본체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내측을 향하여 맞물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뒷마개와; 이 원통형 뒷마개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 부분과 축방향 부분으로 이루어진 L자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맞물림 볼록부와 맞물려 원주방향의 미끄러짐 운동 및 축방향 누름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뒷마개의 잠금뿐만 아니라 도포기 본체에 수납된카트리지식 탱크가 전방으로 힘을 받는 것을 가능케 하는 노킹 봉을 구비한다.
또한, 원통형 뒷마개의 외주면에는 제1 맞물림 수단이 형성되고, 도포기 본체 내주면의 상기 뒷마개에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맞물림 수단과 맞물리는 제2 맞물림 수단이 형성되며, 또한 원통형 뒷마개에는 그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킹 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L자형 홈의 원주방향 부분에는 홈의 축방향 부분에 인접한 부분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타고 넘어갈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원주방향 부분의 거의 중앙부에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타고 넘어갈 수 있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킹 봉의 외주면에는 상기 L자형 홈 영역을 피해, 도포기 본체에 수납된 카트리지식 탱크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는, 도포기 본체의 후단부에 원통형 뒷마개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뒷마개의 내주면에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 볼록부가 노킹 봉 표면의 L자형 홈에 맞물릴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서, 노킹 봉의 축방향 전진 동작을 방지하는 잠금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뒷마개의 외주면에 제1 맞물림 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도포기 본체의 뒷마개와의 접촉부에 제2 맞물림 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원통형 뒷마개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뒷마개의 맞물림 볼록부와 도포기 본체의 홈에 기계적인 유연성이 부여된다.
또한, 노킹 봉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의 원주방향 부분과 축방향 부분이 인접하는 부분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타고 넘어갈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므로, 노킹 봉의 잠금 조작을 위한 클릭 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킹 봉의 외주면에 창이 형성되므로, 도포기 본체에 수납된 카트리지식 탱크를 들여다 볼 수 있다.
이하, 제1도 내지 제7도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 형태의 머리 염색 기구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1도는 각 구성 부품이 분해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파단 단면도이고, 제2도는 이들 구성 부품이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액체 도포기는 도포기 본체(10), 카트리지식 탱크(20), 뒷마개(30) 및 노킹 봉(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포기 본체(10)는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후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선단부의 내면에는 원통형의 선단 축(11)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원통형의 선단 축(11)의 내주면에는 축받이(12)가 배치되며, 이 축받이(12)에는 카트리지식 탱크(20)에 봉입되어 있는 액체(머리 염색제)를 도포하기 위한 함침체로서 브러시(12a)가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박혀 있다. 브러시(12a)는 그 선단이 약간 중심축을 향해 몰리는 수렴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12a)에 액체를 공급하는 파이프(13)는 도포기 본체(10)의 선단부에서, 도포기 본체(10) 내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도록 선단 축(11)의 중앙에 고정되어있다.
선단 축(11)의 전단부 외주면(11a)에는 플라스틱 빗살체(14)가 장착되어 있고, 이 빗살체(14)의 선단은 약간 중심축을 향해 수렴하는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브러시(12a)와 거의 평행한 자세로 연장되어 있다.
말폐 단부가 있는 원통형 캡(15)이 본체(10)에 가까운 위치에서 선단 축(1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며, 밀폐 단부가 있는 원통형 캡(15)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밀봉용 연속 돌기(15a)가 본체(10)에 가까운 위치에서 선단 축(11)에 밀착 접촉되도록 제공된다.
도포기 본체(10)의 후단 개구의 내측에는 끝이 소정 각도로 형성된 화살표형태의 복수 개의 안내 돌기(16)가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 돌기(16)의 전방에는 소형 돌기(17)가 불연속적으로 환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한편, 카트리지식 탱크(20)의 탱크 본체(21)는 반투명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내부에는 액체(머리 염색제)가 봉입되어 있다. 탱크 본체(21)의 전단 개구에는 코일 스프링(22)에 의하여 폐색 방향으로 밀리는 밸브체(23)가 배치되어 있는 데, 이 밸브체(23)는 고무 재질의 환형 패킹(24)을 통해 탱크 본체(21)의 전단 개구에 나사 결합되어, 중앙에 파이프(13) 수납용 공급 개구(25a)를 구비한 캡(25)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뒷마개(30)가 제3도의 (A)에 정면도로서, (B)에 배면도로서, 그리고 (C)에 우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4도의 (A) 및 (B)에 사시도 및 중앙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뒷마개는 플라스틱으로 대체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뒷마개의 외경은 도포기 본체(10)의 후단 개구에 약간의 마찰을 일으키면서 끼워 넣어질 수 있는 정도의 치수로 결정되며, 또한 뒷마개(30)의 후단부 단면에는 플랜지부(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31)는 도포기 본체(10)와의 결합시에 도포기 본체(10)의 후단부에 맞닿도록 설계되어 있다.
뒷마개(30)의 외주면 상에는 180°정반대쪽 표면에 오각형의 안내 돌기(32, 33)가 그 뾰족한 부분(32a, 33a)이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뒷마개(30)의 외주면의 전단부 부근에는 외주면을 따라 홈 형태의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안내 돌기(32, 33)로부터 원주방향으로 90°떨어진 위치에는 전단부로부터 거의 중앙까지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슬릿(35)이 형성되어 있다.
뒷마개(30)의 내주면의 후단부 부근에는 맞물림 볼록부(36)가 내측(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전단부 부근에는 소형 돌기(37)가 단속적으로 환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노킹 봉(40)은 제5도에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폐쇄 단부가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개구의 테두리에는 플랜지부(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41)의 외경은 뒷마개(30)의 내경보다 약간 작으며, 윈통형 본체부(42)의 외경은 뒷마개(30)의 후단부의 외경보다 약간 작다.
원통형 본체부(42)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 부분(43a)과 축방향 부분(43b)으로 이루어지는 L자형의 홈(43)이 형성되어, 노킹 봉(40)이 원주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과 뒷마개(30)에 대해 눌리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타고 넘어갈 수 있는 형상의 돌출부(44)가 마련되어, 원주방향 부분(43a)과 축방향부분(43b)이 접하는 부분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L자형 홈(43)의 영역을 피해 한 쌍의 정방형 창(45)이 노킹 봉의 외주면 상의 180°정반대쪽 양측 표면에 천공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노킹 봉(40)의 바닥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마개(30)의 전단 개구 내로 삽입된다. 이 때, 뒷마개(30)의 내주면에 설치된 맞물림 볼록부(36)가 노킹 봉(40)에 형성된 홈의 축방향 부분(43b)에 맞물려진다. 노킹 봉(40)을 뒷마개(30) 내로 약간 힘을 가하여 밀어 넣으면, 노킹 봉(40)의 플랜지부(41)가 뒷마개(30)의 내주면에 단속적으로 환형으로 배열된 소형 돌기(37)를 타고 넘어감으로써 노킹 봉(40)이 뒷마개(30)에 맞물려진다.
카트리지식 탱크(20)를 도포기 본체(10)에 삽입한 후, 노킹 봉(40)에 맞물려있는 뒷마개(30)의 전단부를 도포기 본체(10)의 후단 개구 내로 밀어 넣으면, 뒷마개(30)의 외주면에 설치된 안내 돌기(32, 33)가 도포기 본체(10)의 후단 개구의 내면에 설치된 안내 돌기(16)를 피해 지나간다. 뒷마개(30)에 설치된 플랜지부(31)가 도포기 본체(10)의 후단 개구 테두리에 닿을 때까지 뒷마개를 도포기 본체 내로 끼워 넣으면, 뒷마개(3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 형태의 오목부(34)에 도포기 본체(10)의 내주면에 설치된 소형 돌기(17)가 안착되어 액체 도포기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 때, 뒷마개(30)에 형성된 슬릿(35)이 뒷마개(30)에 유연성을 부여하므로, 뒷마개(30)는 비교적 원활하게 도포기 본체(10)의 후단 개구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노킹 봉(40)을 전방으로 누르면, 노킹 봉(40)이카트리지식 탱크(20)의 후단부를 눌러 카트리지식 탱크(20)가 도포기 본체(10) 내에서 전진하게 된다.
이 때, 도포기 본체(10)의 중앙에 배치된 파이프(13)가 카트리지식 탱크(20)의 밸브(23)를 코일 스프링(22)을 향해 눌러, 밸브(23)가 개방되어 카트리지식 탱크(20) 내의 액체가 파이프(13)를 통해 브러시(12a)로 안내된다.
노킹 봉(40)을 전방으로 누르는 것을 중지하면, 카트리지식 탱크(20) 내에서 코일 스프링(22)이 신장되어 밸브체(23)가 파이프(13)를 밀어, 카트리지식 탱크(20)가 도포기 본체(10) 내에서 후진하게 된다. 이 때, 밸브(23)가 폐쇄되고, 카트리지식 탱크(20)의 후진에 의해 노킹 봉(40)이 도포기 본체(10)의 후방을 향하여 원래 위치로 돌출된다.
도포기를 사용한 후, 노킹 봉(40)을 도포기 본체(10)에 대하여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노킹 봉(40)의 L자형 홈(43)에 맞물려 있는 뒷마개(30)의 맞물림 볼록부(36)가 홈(43)의 원주방향 부분(43a) 내에 설치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4)와 가볍게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노킹 봉(40)을 좌측으로 보다 더 회전시키면, 뒷마개(30)와 노킹 봉(40)이 모두 약간씩 변형되어 맞물림 볼록부(36)가 돌출부(44)를 타고 넘어가, 노킹 봉(40)에 형성된 홈(43)의 원주방향 부분(43a)에 맞물려진다. 맞물림 볼록부(36)가 돌출부(44)를 타고 넘어갈 때, 적당한 클릭감이 발생한다.
이상과 같이 노킹 봉(40)에 형성된 홈(43)의 원주방향 부분(43a)과 뒷마개(30)의 맞물림 볼록부(36)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노킹 봉(40)을 전방으로 눌러도, 노킹 봉(40)에 형성된 원주방향 부분(43a)과 뒷마개(30)의 맞물림 볼록부(36)가 맞닿아 있기 때문에 노킹 봉(40)이 그 전방으로 눌리지 않는 잠금 상태가 된다.
또한, 노킹 봉(40)에는 그 외주면의 180°정반대쪽 양측 표면에 한 쌍의 정방형 창(45)이 천공되어 있으므로, 이 창(45)을 통하여 반투명의 플라스틱으로 된 카트리지식 탱크(20)를 들여다보아 탱크 내부의 잔류 액체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카트리지식 탱크(20)를 교체하려 하는 경우에는, 노킹 봉(40)을 쥐고 적당한 힘으로 도포기 본체(10)의 후방으로 잡아 빼면, 노킹 봉(40)의 플랜지부(41)가 뒷마개(30)를 후방으로 잡아 빼므로, 뒷마개(3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 형태의 오목부(34)로부터 도포기 본체(10)의 내주면에 설치된 소형 돌기(17)가 분리되어, 뒷마개(30)가 노킹 봉(40)과 함께 도포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카트리지식 탱크(20)를 교체한 후, 다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하여 뒷마개(30)를 도포기 본체(10)에 장착하면, 카트리지식 탱크(20)의 교체가 완료된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뒷마개(30)의 외주면을 따라 홈 형태의 오목부(34)가 형성되고 또한 도포기 본체(10)의 내주면에는 상기 홈 형태의 오목부(34)에 맞물리는 소형 돌기(17)가 단속적으로 환형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예컨대 뒷마개(30)의 외주면을 따라 볼록부가 형성되고 도포기 본체(10)의 내주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도는 노킹 봉(4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제5도와 일치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어져 있으며,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6도를 참조하면, 노킹 봉(40)의 외주면에 형성된 L자형 홈(43)의 원주방향 부분(43a)과 축방향 부분(43b)이 만나는 부분에, 제5도에서와 마찬가지로 원주방향 부분(43a)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44)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원주방향 부분(43a)의 거의 중앙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된 이 실시예에 의하면, 노킹 봉(40)의 잠금 조작 시에, 2회의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노킹 봉(40)이 잠금 상태로 된 것을 보다 감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46)의 적당한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뒷마개(30)의 맞물림 볼록부(36)가 노킹 봉(40)의 홈(47)에 맞물려지는 때에 횡방향 반동이 거의 방지된다.
또한, 노킹 봉(40)의 홈(47)의 저면을 홈(43)의 원주방향 부분(43a)의 저면보다 높게 하고 뒷마개의 맞물림 볼록부(36)를 홈(47)의 저면에 가볍게 접촉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노킹 봉(40)의 반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7도는 노킹 봉(40)의 잠금 상태 및 비(非)잠금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7도의 (A), (B), (C)는 모두 액체 도포기의 후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뒷마개(30)의 플랜지부(31)에는 양방향 화살표를 중심으로 "닫힘" 및 "열림"이 표시되어 있으며 L자형 홈(43)의 축방향 부분(43b)이 지표로서 사용되고 있다.
즉, (A)의 경우 지표로서의 축방향 부분(43b)이 "닫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노킹 봉(40)이 잠금 상태임을 알 수 있고, (B)의 경우 지표로서의 축방향 부분(43b)이 "닫힘"과 "열림"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C)의 경우 지표로서의 축방향 부분(43b)이 "열림"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노킹 봉(40)이 비(非)잠금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재된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에 의하면, 도포기 본체의 후단부에 원통형 뒷마개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뒷마개에 설치된 맞물림 볼록부가 노킹 봉의 외주면에 축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L자형 홈에 맞물려지므로, 노킹 봉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노킹 봉의 축방향 전진을 방지하는 잠금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포기 본체의 후단부에 끼워진 뒷마개를 분리함으로써 탱크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탱크를 교체할 수 있는 교체용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에 의하면, 원통형 뒷마개의 외주면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도포기 본체에는 이것이 뒷마개와 접촉하는 부분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또한 원통형 뒷마개에 그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뒷마개와 도포기 본체의 볼록부-오목부 맞물림 부분에 기계적인 유연성이 부여되어, 뒷마개를 도포기 본체에 장착하거나 분리시킬때에 양호한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따른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에 의하면, 노킹 봉의 외주면에형성된 홈의 원주방향 부분과 축방향 부분이 인접하는 부분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맞물림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킹 봉의 잠금 조작 시에 양호한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따른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에 의하면, 홈의 원주방향 부분의 거의 중간 부분에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킹 봉의 잠금 조작 시에 2회의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어, 잠금 상태로 된 것을 보다 감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따른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에 의하면, 노킹 봉의 외주면에 창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포기 본체에 수납된 카트리지식 탱크를 투시하여 탱크내부의 잔류 액체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액체 도포기에 의하면, 예시한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코일 스프링으로 노킹 봉을 후방으로 밀 필요가 없기 때문에, 뒷마개를 도포기 본체에 단단히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식 탱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킹 봉이 우발적으로 눌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기구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잠금 시에 양호한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는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의 실시예의 각 구성 부품을 분해되어 있는 상태로 보여주는 부분 파단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각 구성 부품을 조립되어 있는 상태로 보여주는 부분 종단면도.
제3도의 (A), (B) 및 (C)는 제1도에 도시된 뒷마개의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제4도의 (A) 및 (B)는 뒷마개의 사시도 및 중앙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노킹 봉의 외관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제6도는 노킹 봉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7도는 노킹 봉의 잠금 기능을 설명하는 정면도.
제8도는 종래의 액체 도포기의 예를 보여주는 중앙 단면도.
제9도는 종래의 다른 액체 도포기의 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제10도는 종래의 또 다른 액체 도포기의 예를 보여주는 부분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포기 본체
20 : 카트리지식 탱크
12a : 브러시
30 : 뒷마개
32, 33 : 안내 돌기
36 : 맞물림 볼록부
40 : 노킹 봉
43 : L자형 홈
43a : 원주방향 부분
43b : 축방향 부분

Claims (5)

  1.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로서,
    내주면이 있고, 후방 단부에 개구가 있는 원통형 도포기 본체와;
    상기 원통형 도포기 본체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액체가 담긴 카트리지식 탱크와;
    상기 원통형 도포기 본체의 전방 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식 탱크에 담긴 액체를 도포하는 함침체와;
    상기 원통형 도포기 본체의 후방 단부 개구에서, 상기 원통형 도포기 본체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는 원통형 뒷마개로서,
    원통형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와,
    플랜지측 단부 개구와 반대쪽 단부 개구를 구비하는 내부 관통공과,
    안내부 및, 돌출부와 오목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스냅식 맞물림을 위한 제1 맞물림 수단과,
    상기 원통형 도포기 본체가 상기 원통형 뒷마개에 접촉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맞물림 수단과 맞물림 가능한 제2 맞물림 수단과,
    상기 원통형 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뒷마개의 축에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대측 단부 개구로부터 상기 원통형 본체부의 중앙부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슬릿과,
    상기 원통형 뒷마개의 상기 내부 관통공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 볼록부
    를 포함하는 것인 원통형 뒷마개와;
    상기 원통형 뒷마개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 부분과 축방향 부분으로 되어 있는 L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L자형 홈은 상기 뒷마개의 상기 맞물림 볼록부와 맞물림 가능하여, 상기 원통형 뒷마개를 잠그기 위해서 및, 상기 원통형 도포기 본체를 통해 전방으로 상기 원통형 도포기 본체 내부에 수납된 상기 액체가 담긴 카트리지식 탱크에 힘을 가하기 위해서, 원주방향 미끄럼 운동 및 축방향 누름 동작을 허용하는 것인 노킹 봉
    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봉은 상기 L자형 홈의 상기 원주방향 부분의 상기 L자형 홈의 상기 축방향 부분에 인접한 영역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타고 넘어갈 수 있는 볼록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봉은 상기 L자형 홈의 상기 원주방향 부분의 상기 L자형 홈의 상기 축방향 부분에 인접한 영역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타고 넘어갈 수 있는 제1 볼록부와, 상기 L자형 홈의 상기 원주방향 부분의 중앙부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타고 넘어갈 수 있는 제2 볼록부를 구비하도록형성되어 있는 것인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봉은 상기 원통형 도포기 본체 내에 수납되어 있는 카트리지식 탱크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상기 L자형 홈의 영역을 피해 상기 노킹 봉의 외주면에 창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킹 봉은 상기 원통형 도포기 본체 내에 수납되어 있는 카트리지식 탱크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상기 L자형 홈의 영역을 피해 상기 노킹 봉의 외주면에 창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창은 창에 대면하고 있는 상기 카트리지식 탱크가 손가락에 의해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 부분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카트리지식 액체 도포기.
KR1019950042422A 1994-11-21 1995-11-21 카트리지식액체도포기 KR100358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279294 1994-11-21
JP94-312792 1994-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974A KR960016974A (ko) 1996-06-17
KR100358241B1 true KR100358241B1 (ko) 2003-01-24

Family

ID=4938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2422A KR100358241B1 (ko) 1994-11-21 1995-11-21 카트리지식액체도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58241B1 (ko)
TW (1) TW31532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81B1 (ko) * 1995-12-19 2004-11-16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도료공급방법및자동차차체의상도도장방법
KR100698359B1 (ko) * 2003-09-29 2007-03-23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전자기기
CN107263241A (zh) * 2017-06-28 2017-10-20 昆山特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脑机箱打磨喷漆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1681A (ja) * 1988-09-28 1990-03-30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1681A (ja) * 1988-09-28 1990-03-30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81B1 (ko) * 1995-12-19 2004-11-16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도료공급방법및자동차차체의상도도장방법
KR100698359B1 (ko) * 2003-09-29 2007-03-23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전자기기
US7359739B2 (en) 2003-09-29 2008-04-15 Casio Computer Co., Ltd. Portable electronics device
CN107263241A (zh) * 2017-06-28 2017-10-20 昆山特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脑机箱打磨喷漆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15321B (ko) 1997-09-11
KR960016974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590B1 (ko) 액상 화장료 용기
JP3732112B2 (ja) 収容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JP6175678B2 (ja) 化粧料容器
KR100346022B1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US4911570A (en) Enclosure means for liquid applicators
KR100358241B1 (ko) 카트리지식액체도포기
US5851080A (en) Cartridge-type liquid applicator
EP1295543B1 (en) Liquid applicator
US5549404A (en) Stick-shaped material drive container and supply cassette
US7044673B2 (en) Cartridge type applicator
JP2006271551A (ja) エアゾール一体型ブラシ
JP3594267B2 (ja) カートリッジ式液体塗布具
KR900006963Y1 (ko) 액체도포구
JP6746053B2 (ja) 液状化粧料容器
KR100238717B1 (ko) 화장재료용 용기
JPH0440576Y2 (ko)
CN210026791U (zh) 揿动式笔
JP2015006235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塗布具
JP3110135U (ja) 化粧品用容器の構造
JP4244209B2 (ja) 筆記具及びその筆記具用の筒状部材
JPH064844Y2 (ja) 化粧料容器
JP2570242Y2 (ja) ペ ン
JP3981194B2 (ja) 棒状物補充カセット及び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S5939965Y2 (ja) カ−トリツジ式化粧料容器
JP3611366B2 (ja) 筆記具、化粧具等の液体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