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456B1 -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및 양면표시형의 모니터를 구비한 디지털카메라 - Google Patents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및 양면표시형의 모니터를 구비한 디지털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456B1
KR100695456B1 KR1020040109152A KR20040109152A KR100695456B1 KR 100695456 B1 KR100695456 B1 KR 100695456B1 KR 1020040109152 A KR1020040109152 A KR 1020040109152A KR 20040109152 A KR20040109152 A KR 20040109152A KR 100695456 B1 KR100695456 B1 KR 10069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liquid crystal
image
display window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339A (ko
Inventor
니시노도시하루
고바야시군페이
아라이노리히로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화상을 피사체와는 반대측으로부터도, 상기 피사체측으로부터도 볼 수 있고, 게다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모니터부착 촬상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카메라본체의 촬상렌즈가 설치된 전면과는 반대측의 상기 카메라본체(1)의 후면에 제 2 표시창(3)을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에 상기 제 2 표시창(3)에 대응시켜 제 1 표시창(4)을 설치하며, 상기 카메라본체(1)내에 양면표시형의 모니터화상표시소자(12)를 그 한쪽의 면을 상기 제 2 표시창(3)에 대향시키고, 다른쪽의 면을 상기 제 1 표시창(4)에 대향시켜 배치하며, 상기 모니터화상을 피사체와는 반대측으로부터도, 상기 피사체측으로부터도 볼 수 있고, 게다가 구조가 간단하며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모니터, 촬상기기, 표시창, 액정표시소자, 편광판, 차폐판, 면광원, 도광판, 고체발광소자, 반사표시부, 투과표시부

Description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및 양면표시형의 모니터를 구비한 디지털카메라{An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device and a digital camera equipped with a double-sided display typ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니터부착 디지털카메라의 전면 후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2는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후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3은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차폐판 닫힘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차폐판 열림상태의 단면도.
도 5는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니터부착 디지털카메라의 차폐판 닫힘상태의 단면도.
도 7은 제 2 실시예의 디지털카메라의 차폐판 닫힘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니터부착 디지털카메라의 차폐판 닫힘상태의 단면도.
도 9는 제 3 실시예의 디지털카메라의 차폐판 닫힘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메라본체(기기본체) 2: 촬상렌즈
3: 제 2 표시창 4: 제 1 표시창
12: 투과형 액정표시소자 또는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
(양면표시형 모니터화상표시소자)
13: 액정층 14, 15: 기판
16, 17: 전극 18: TFT
19R, 19G, 19B: 컬러필터 22, 23: 편광판
24: 표시창차폐판(산란반사판) 26: 면광원
27: 도광판 28: 고체발광소자
30: 액정층 31, 32: 기판
33, 34: 전극 35: TFT
36: 요철면막 37: 반사막
38: 평탄화절연막 39R, 39G, 39B: 컬러필터
42, 43: 편광판 44: 빛확산층
45: 표시창차폐판(비반사성 차폐판) 116: 화소
117: 화소 117a: 반사표시부
117b: 투과표시부
본 발명은 표시소자의 양면으로부터 관찰이 가능한 모니터와 촬상수단을 구 비한 촬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카메라 등의 모니터부착 촬상기기로서 모니터화상을 피사체와는 반대측으로부터도, 상기 피사체측으로부터도 볼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모니터부착 촬상기기는 후면에 표시창을 설치하고, 내부에 상기 표시창에 대향시켜서 액정표시소자 등의 모니터화상표시소자를 배치한 기기본체와, 촬상렌즈를 갖는 전자촬상수단을 상기 촬상렌즈의 대물렌즈측을 외부로 노출시켜서 내장한 촬상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촬상유닛을 상기 기기본체의 일측에, 상기 대물렌즈측을 상기 기기본체의 앞쪽으로 향한 자세와 상기 대물렌즈측을 상기 기기본체의 뒤쪽으로 향한 자세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추축 지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0-92367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모니터부착 촬상기기는 풍경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도,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도 그 모니터화상을 기기본체의 후면의 표시창에 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풍경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는 상기 촬상유닛을 그 대물렌즈측을 상기 기기본체의 앞쪽으로 향한 자세로 회전운동시키고,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는 상기 촬상유닛을 그 대물렌즈측을 상기 기기본체의 뒤쪽으로 향한 자세로 회전운동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조작이 귀찮다.
게다가 종래의 모니터부착 촬상기기는 기기본체내에 모니터화상표시소자를 설치하고, 상기 기기본체와는 별체의 촬상유닛에 촬상렌즈를 갖는 전자촬상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촬상유닛을 상기 기기본체의 일측에 추축 지지한 것이기 때문에 구 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높아져 버린다.
본 발명은 모니터화상을 피사체와는 반대측으로부터도, 상기 피사체측으로부터도 볼 수 있고, 게다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모니터부착 촬상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는 적어도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전자회로를 수납하고, 기기본체의 한쪽의 면에 제 1 표시창과, 이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다른쪽의 면에 상기 제 1 표시창에 대응하는 제 2 표시창이 형성된 기기본체와,
한쪽의 면을 상기 제 1 표시창에 대향시키며, 이 한쪽의 면의 이면측의 다른쪽의 면을 상기 제 2 표시창에 대향시켜서 상기 기기본체내에 배치되고, 전자회로에 의해 구동되어 복수의 화상을 표시하며, 상기 한쪽의 면측과 다른쪽의 면측으로부터 각각 화상을 관찰 가능한 표시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는 그 한쪽의 표면에 전자촬상소자상에 화상을 결상시키기 위한 촬상렌즈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표시소자는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투과를 제어하여서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에 의해 제 1 화상을 표시하며, 또한 상기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투과를 제어하여서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에 의해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투과형의 액정표시소자라도 좋다.
이 경우, 기기본체의 한쪽 또는 다른쪽의 면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상기 제 1 표시창 또는 제 2 표시창으로부터 입사하여 상기 액정표시소자를 투과한 빛을 반사하는 표시창차폐판이 상기 표시창으로부터 퇴피 가능하게 추가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 제 1 표시창과 제 2 표시창의 적어도 한쪽과 액정표시소자의 사이에 이 액정표시소자를 향하여 조명광을 출사하며, 또한 상기 한쪽의 표시창에 대향하는 측의 면과 상기 액정표시소자에 대향하는 측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각각 투과시키는 면광원을 추가로 배치하여도 좋다.
상기 표시소자는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일부의 투과를 제어하여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에 의해 제 1 화상을 투과표시하고, 상기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일부의 투과를 제어하여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에 의해 제 2 화상을 투과표시하며, 또한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다른 일부를 반사하여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의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면측으로부터 반사광에 의해 제 1 화상을 반사표시하는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의 모니터부착 촬상기기는 적어도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전자회로와 전자촬상수단을 수납하고, 기기본체의 전면에 촬상렌즈와 제 1 표시창이 형성되며, 이 기기본체의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에 상기 제 1 표시창에 대응하는 제 2 표시창이 형성된 기기본체와,
한쪽의 면을 상기 제 1 표시창에 대향시키고, 이 한쪽의 면의 이면측의 다른쪽의 면을 상기 제 2 표시창에 대향시켜서 상기 기기본체내에 배치되며, 상기 한쪽의 면과 다른쪽의 면에 상기 전자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여 상기 기 기본체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상기 화상을 관찰 가능한 양면표시형의 모니터화상표시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모니터화상표시소자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의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는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기판의 외면에 각각 편광판이 배치된 투과형 액정표시소자라도 좋으며, 추가로 기기본체의 후면에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에 제 2 표시창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하여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를 투과한 빛을 반사하는 표시창차폐판을 제 1 표시창으로부터 퇴피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창차폐판은 제 1 표시창에 대응하는 닫힘상태와 상기 제 1 표시창의 옆쪽으로 퇴피시킨 열림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표시창차폐판은 상기 액정표시소자를 투과한 빛을 확산하여 반사하는 확산반사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제 2 표시창과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사이에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를 향하여 조명광을 출사하고, 또한 상기 제 2 표시창에 대향하는 면 및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키는 면광원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니터부착 촬상기기에 있어서, 모니터화상표시소자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의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는 전극과, 이 모니터화상표시소자에 입사하는 빛의 일부를 반사하는 반사막 및 상기 한쌍의 기판의 외면에 각각 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일부의 투과를 제어하여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에 의해 제 1 화상을 투과표시하며, 상기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일부의 투과를 제어하여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에 의해 제 2 화상을 투과표시하고, 또한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다른 일부를 반사하여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의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면측에 반사광에 의한 제 1 화상을 반사표시하는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라도 좋다.
이 경우, 모니터화상표시소자는 한쪽의 기판의 기판면과 이 기판 내면의 상기 전극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화소에 각각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반사막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내의 상기 반사막에 대응하는 영역에 의해 다른쪽의 기판의 외면측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상기 반사막에 의해 반사하여 상기 다른쪽의 기판의 외면측으로 출사하는 반사표시부를 형성하며, 상기 반사막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영역에 의해 상기 한쪽의 기판의 외면측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켜서 상기 다른쪽의 기판의 외면측으로 출사하는 투과표시부를 형성하는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로서, 상기 반사막이 설치된 측의 기판을 제 1 표시창에 대향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표시창측에 위치하는 상기 기판과 편광판의 사이에 투과광을 확산시키는 확산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제 2 표시창과 상기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의 사이에 상기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를 향하여 조명광을 출사하며, 상기 제 2 표시창에 대향하는 면 및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키는 면광원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니터부착 촬상기기의 기기본체에는 상기 모니터화상표시소자에 한쪽의 면측으로부터 관찰하는 표면표시와, 상기 한쪽의 면의 이면측의 다른쪽의 면측으로부터 관찰하는 이면표시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전자회로는 상기 전환수단의 동작에 따라 화상의 좌우를 반전시킨 좌우반전화상을 표시시키는 화상반전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니터부착디지털카메라는 적어도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전자회로와 전자촬상수단을 수납하고, 기기본체의 전면에 촬상렌즈와 제 1 표시창과, 이 기기본체의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에 상기 제 1 표시창에 대응하는 제 2 표시창이 형성된 기기본체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의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매트릭스상으로 배열시킨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는 전극과, 이 모니터화상표시소자에 입사하는 빛의 일부를 반사하는 반사막 및 상기 한쌍의 기판의 외면에 각각 편광판을 구비하며, 한쪽의 면을 상기 제 1 표시창에 대향 시키고, 이 한쪽의 면의 이면측의 다른쪽의 면을 상기 제 2 표시창에 대향시켜서 상기 기기본체내에 배치되며,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일부의 투과를 제어하여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에 의해 제 1 화상을 투과표시하고, 상기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일부의 투과를 제어하여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에 의해 제 2 화상을 투과표시하며, 또한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다른 일부를 반사하여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의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면측에 반사광에 의한 제 1 화상을 반사표시하는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와,
제 2 표시창과 상기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의 사이에 상기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를 향하여 조명광을 출사하고, 상기 제 2 표시창에 대향하는 면 및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키는 면광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도 5는 본 발명을 모니터부착 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 및 도 2는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3 및 도 4는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차폐판 닫힘상태 및 열림상태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모니터부착 디지털카메라는 도 1∼도 4와 같이 서로 평행한 전면(1a)과 후면(1b)을 갖는 박형의 기기본체(이하 카메라본체라 한다, 1)와, 촬상렌즈(2)를 갖고,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1a)에 상기 촬상렌즈(2)가 설치된 전자촬상수단과, 상기 카메라본체(1)의 후면(1b)에 설치된 제 2 표시창(3)과,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1a)에 상기 제 2 표시창(3)에 대응시켜서 설치된 제 1 표시창(4)과, 한쪽의 면을 상기 제 2 표시창(3)에 대향시키고, 다른쪽의 면을 상기 제 1 표시창(4)에 대향시켜서 상기 카메라본체(1)내에 배치된 양면표시형의 모니터화상표시소자(12)와,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에 설치된 표시창차폐판(24)을 구비하 고 있다.
또한 상기 전자촬상수단은 상기 촬상렌즈(2)와, 이 촬상렌즈(2)에 의한 결상면에 대향시켜서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CCD(고체촬상소자) 및, 전자회로로 이루어져 있고, 이 전자촬상수단은 상기 촬상렌즈(2)의 대물렌즈측을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의 일측의 상단부에 노출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표시창(4)과 제 2 표시창(3)은 실질적으로 같은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상창이고, 이들 표시창(4, 3)은 상기 촬상렌즈(2)의 아래쪽에 위치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생략하고 있는데, 상기 제 1 표시창(4)과 제 2 표시창(3)에는 각각 투명한 유리판이 끼워 붙여져 있다.
또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에는 스트로보발광부(5), 광학파인더(6) 등이 설치되고, 후면에는 상기 광학파인더(6)의 접안부(7), 촬상/리플레이전환스위치(8), 촬상모드선택키(9) 등이 설치되며, 상면에는 셔터버튼(10) 등이 설치되고, 하면에는 퍼스널컴퓨터나 프린터 등의 외부기기와의 접속부 및 메모리카드삽입부(어느 것도 도시하지 않음)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본체(1)에는 그 전후면과 상면의 어느 쪽인가가, 예를 들면 상면에 상기 모니터화상표시소자(12)에 좌우를 반전시킨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반전키(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면표시형의 모니터화상표시소자(12)는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창(4, 3) 대략 전역에 대응하는 표시영역을 갖는 것이고, 이 실시예에서는 투과형 액정표시소자를 이용하고 있다. 이하 이 모니터화상표시소자(12)를 투과형 액정표시소자 로 한다.
도 5는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의 일부분의 단면도이고, 이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는 액정층(13)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투명기판(14, 15)의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행방향(화면의 좌우방향) 및 열방향(화면의 상하방향)에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116)를 형성하는 투명전극(16, 17)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기판(14, 15)의 외면에 각각 편광판(22, 23)이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는 한쪽의 기판, 예를 들면 도면에 있어서 하측의 기판(이하 뒤기판이라 한다, 14)의 내면에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전극(16)과, 이들 화소전극(16)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TFT(18)와,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을 설치하고, 다른쪽의 기판, 즉 도면에 있어서 상측의 기판(이하 앞기판이라 한다, 15)의 내면에 한장막 형상의 대향전극(17)을 설치한 액티브매트릭스액정표시소자이며, 상기 대향전극(17)은 상기 앞기판(15)의 내면에 상기 복수의 화소(116)에 각각 대응시켜서 설치된 적색, 녹색, 청색의 3색의 컬러필터(19R, 19G, 19B)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상기 TFT(18)를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이 TFT(18)는 상기 뒤기판(14)의 기판면상에 형성된 게이트전극과, 이 게이트전극을 덮어 설치된 게이트절연막과, 상기 게이트절연막의 위에 상기 게이트전극과 대향시켜서 형성된 i형 반도체막과, 상기 i형 반도체막의 양측부 위에 n형 반도체막을 통하여 형성된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과, 이들을 덮는 오버코트절연막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게이트전극은 상기 게이트배선에 일체로 형성되며, 드레인전극은 상기 데이터배선에 접속되고, 소스전극은 상기 화소전극(1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기판(14, 15)의 내면에는 각각 상기 전극(16, 17)을 덮어서 배향막(20, 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기판(14, 15)은 상기 복수의 화소(116)가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고 있는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테두리상의 시일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접합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기판(14, 15)간의 상기 시일재로 둘러싸인 영역에 액정층(1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는 예를 들면 노멀화이트모드의 TN(트위스트네마틱)형 액정표시소자이고, 상기 액정층(13)의 액정분자는 상기 한쌍의 기판(14, 15)간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90도의 트위스트각으로 트위스트배향하며, 상기 한쌍의 기판(14, 15)의 외면의 편광판(22, 23)은 각각의 투과축을 실질적으로 직교 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이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는 그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투과를 복수의 화소(116)의 액정층(13)으로의 인가전계에 따라 제어하여 다른쪽의 면에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투과를 상기 복수의 화소(116)의 액정층(13)으로의 인가전계에 따라 제어하여 상기 한쪽의 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며, 어느 쪽의 면에 표시되는 화상도 상기 복수의 화소(116)에 각각 대응하는 컬러필터(19R, 19G, 19B)에 의해 착색된 적색, 녹색, 청색의 3색의 빛에 의한 풀컬러화상이다.
그리고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는 그 한쪽의 면, 예를 들면 전면(전측편광판(23)의 외면)을 상기 제 1 표시창(4)에 대향시키고, 다른쪽의 면, 즉 후면(후측편광판(22)의 외면)을 상기 제 2 표시창(3)에 대향시켜서 상기 카메라본체(1)내에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본체(1)내에 설치된 표시소자구동회로(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본체(1)내에는 상기 전자촬상수단의 CCD를 구동하는 CCD구동부, 상기 CCD로부터의 촬상데이터를 내장메모리 및 착탈형 화상메모리에 기입하는 데이터기입부, 상기 촬상데이터의 출력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촬상데이터처리회로(C)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표시소자구동회로(B)는 이 촬상데이터처리회로(C)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에 설치된 표시창차폐판(24)은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에 상기 제 2 표시창(3)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하여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투과한 빛을 산란시켜서 반사하는 산란반사판, 예를 들면 고반사율 금속판의 표면에 산란반사처리를 시행한 반사판, 또는, 광산란입자를 분산시킨 투명수지판의 한쪽의 면에 반사막을 설치한 반사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표시창차폐판(24)은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을 상기 표시창차폐판(24)의 판두께와 동일정도의 깊이에 요입(凹入)시켜 형성된 가로로 긴 차폐판안내부(25)에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에 설치된 제 1 표시창(4)에 대응하는 닫힘상태(도 1 및 도 3의 상태)와, 상기 제 1 표시창(4)의 옆쪽으로 퇴피시킨 열림상태(도 4의 상태)로 수동에 의 해 슬라이드 이동된다.
또한 상기 표시창차폐판(24)은 상기 제 1 표시창(4)보다도 약간 큰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판이고, 그 외면, 즉 외부로 노출하는 면에는 화장도장이 시행되어 있다.
상기 디지털카메라는 카메라본체(1)내에 전자촬상수단을 그 촬상렌즈(2)의 입사단을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시켜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본체(1)의 후면에 제 2 표시창(3)을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에 상기 제 2 표시창(3)에 대응시켜서 제 1 표시창(4)을 설치하며, 상기 카메라본체(1)내에 양면표시형의 모니터화상표시소자로서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그 한쪽의 면을 상기 제 2 표시창(3)에 대향시키고, 다른쪽의 면을 상기 제 1 표시창(4)에 대향시켜서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모니터화상을 피사체와는 반대측으로부터도, 상기 피사체측으로부터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디지털카메라는 카메라본체(1)의 후면과 전면 양쪽의 표시창(3, 4)에 각각 모니터화상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풍경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는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 즉 촬상렌즈(2)의 대물렌즈측의 면을 상기 풍경 등의 피사체측으로 향하고, 상기 카메라본체(1)의 후면의 제 2 표시창(3)에 표시된 모니터화상을 보고 촬상하며,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는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촬상렌즈(2)의 대물렌즈측)을 상기 촬상자측으로 향하고, 이 카메라본체(1)의 전면의 제 1 표시창(4)에 표시된 모니터화상을 보고 촬상하면 좋다.
그로 인해 이 디지털카메라는 풍경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도,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도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 즉 촬상렌즈(2)의 대물렌즈측의 면을 피사체를 향하는 것만으로 상기 피사체를 그 모니터화상을 보고 촬상할 수 있고, 따라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표시창(3)에 표시되는 화상은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의 표시를 그 한쪽의 면측으로부터 본 화상이고, 상기 제 1 표시창(4)에 표시되는 화상은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의 표시를 그 다른쪽의 면측으로부터 본 화상이기 때문에 상기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의 표시시에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의 표시시와 같은 기입방법으로 구동하면, 상기 제 1 표시창(4)에 표시되는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이 좌우가 반전된 화상이 된다.
그로 인해 이 디지털카메라에서는 카메라본체(1)에 화상반전키(11)를 설치하고, 표시소자구동회로(B)를 상기 화상반전키(11)의 조작에 따라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에 좌우를 반전시킨 화상데이터를 기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 표시창(4)에, 좌우 반전이 없는 정상인 모니터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다.
게다가 이 디지털카메라는 촬상렌즈(2)를 갖는 전자촬상수단과, 모니터화상을 표시하는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의 양쪽을 카메라본체(1)내에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디지털카메라는 상기 모니터화상표시소자(12)로서 액정층(13)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14, 15)의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는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기판(14, 15)의 외면에 각각 편광판(22, 23)이 배치된 투과형 액정표시소자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표시창(3)에 표시하는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제 1 표시창(4)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에 의해 표시하고, 상기 제 1 표시창(4)에 표시하는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디지털카메라는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에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에 상기 제 2 표시창(3)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하여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투과한 빛을 반사하는 표시창차폐판(24)을 상기 제 1 표시창(4)에 대응하는 닫힘상태와 상기 제 1 표시창의 옆쪽으로 퇴피시킨 열림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표시창(3)에 표시하는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제 1 표시창(4)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와,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투과한 빛을 표시창차폐판(24)에 의해 반사시키는 표시)의 어느 쪽인가를 임의로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표시창(3)에 표시하는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은 표시창차폐판(24)을 닫은상태에서도, 또는 상기 표시창차폐판(24)을 연상태에서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표시창차폐판(24)을 닫은상태에서 상기 제 2 표시창(3)에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표시할 때는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입사하여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투과한 빛이 도 3에 화살선(10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창차폐판(24)에 의해 반사되며, 그 반사광이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재차 투과하여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출사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창차폐판(24)을 산란반사판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입사하여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투과한 빛을 상기 표시창차폐판(24)에 의해 산란시켜 반사해서 상기 제 2 표시창(3)에 휘도분포가 균일하고, 시야각이 넓은 모니터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표시창차폐판(24)을 연상태에서 상기 제 2 표시창(3)에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표시할 때는 상기 제 1 표시창(4)으로부터 입사하여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투과한 빛이 도 4에 화살선(10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출사한다.
한편 상기 제 1 표시창(4)에 표시하는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은 상기 표시창차폐판(24)을 연상태에서 표시되고, 그 때는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입사하여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투과한 빛이 도 4에 파단 화살선(10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출사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카메라는 상기 표시창차폐판(24)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표시창(3)에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반사표시에 의해 표시할 때에 상기 제 1 표시창(4)을 상기 표시창차폐판(24)에 의해 덮어 가릴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을 모니터부착 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차폐판 닫힘상태 및 열림상태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모니터부착 디지털카메라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디지털카메라에 카메라본체(1)의 후면의 제 2 표시창(3)과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향하여 조명광을 출사하며, 상기 제 2 표시창(3)에 대향하는 면 및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키는 면광원(26)을 추가로 배치한 것이고,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상기 면광원(26)은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의 적어도 표시영역의 전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상의 투명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면에 빛을 입사시키는 입사단면이 형성되며, 2개의 판면의 한쪽에 빛을 출사시키는 출사면이 형성되고, 다른쪽의 판면에 상기 입사단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반사면을 형성한 도광판(27)과, 상기 도광판(27)의 입사단면에 대향시켜서 상기 입사단면의 길이방향에 적당 간격으로 배치되며, 백색광을 상기 도광판(27)의 단면을 향하여 출사하는 복수의 고체발광소자(28)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생략하고 있는데, 상기 도광판(27)의 반사면에는 그 전역에 걸쳐서 상기 입사단면의 길이방향(도광판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가늘고 긴 홈부가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의 화소(116)의 배열피치(100∼200㎛)와 동일정도 또는 그것보다도 작은 피치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고체발광소자(28)는, 예를 들면 적색광을 발하는 적색LED(발광다이오드)와, 녹색광을 발하는 녹색LED와, 청색광을 발하는 청색LED를 투명수지에 의해 몰드한 것이고, 이들 LED가 발하는 적색, 녹색, 청색의 3색의 빛을 혼색시킨 백색 광을 출사한다.
이 면광원(26)은 상기 고체발광소자(28)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도광판(27)에 의해 인도하여 그 출사면의 전역으로부터 균일한 강도분포로 출사하는 것이고, 상기 고체발광소자(28)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27)에 그 입사단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상기 도광판(27)의 출사면 및 반사면에서 내면반사와 바깥 공기인 공기층의 계면에서의 전체반사에 의해 내면반사하면서 상기 도광판(27)내를 인도하며, 그 과정에서 상기 반사면의 복수의 가늘고 긴 홈부에 의해 상기 출사면의 법선에 대한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내면반사된 빛을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한다.
또 상기 도광판(27)은 그 출사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켜서 반사면으로부터 출사하고,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켜서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한다.
상기 면광원(26)은 상기 제 2 표시창(3)과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의 사이에 상기 도광판(27)의 출사면을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에 대향시키고, 상기 도광판(27)의 반사면을 상기 제 2 표시창(3)에 대향시켜서 배치되어 카메라본체(1)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광원구동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원구동회로를 전자촬상수단의 CCD의 수광강도가 미리 정한 설정강도 이하가 되었을 때에 상기 면광원(26)의 고체발광소자(28)를 점등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한 외광을 이용하는 표시에서는 충분한 휘도의 표시가 얻어지지 않는 밝기일 때에 자동적으로 상기 면광원(26)으로부터 조명광을 출사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디지털카메라는 상기 제 2 표시창(3)과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의 사이에 상기 면광원(26)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표시창(3)에 표시하는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표시창(4)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 및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에 덧붙여서 상기 면광원(26)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에 의해서도 표시하고, 상기 제 1 표시창(4)에 표시하는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에 덧붙여서 상기 면광원(26)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에 의해서도 표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디지털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의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는 표시창차폐판(24)을 닫은상태, 즉 제 1 표시창(4)을 상기 표시창차폐판(24)에 의해 덮어 가린 상태에서 실행되고, 이 때는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입사한 빛이 도 6에 화살선(104)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면광원(26)의 도광판(27)을 투과하여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에 입사하며, 이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투과하여 표시창차폐판(24)에 의해 반사된 빛이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와 면광원(26)의 도광판(27)을 재차 투과하여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출사한다.
또 상기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의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는 상기 표시창차폐판(24)을 연상태에서 실행되고, 이 때는 상기 제 1 표시창(4)으로부터 입사하여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투과한 빛이 도 7에 화살선(105)으로 나 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면광원(26)의 도광판(27)을 투과하여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출사한다.
또한 상기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의 조명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는 상기 표시창차폐판(24)을 닫은상태(제 1 표시창(4)을 상기 표시창차폐판(24)에 의해 덮어 가린 상태)에서 실행되고, 이 때는 상기 면광원(26)의 도광판(27)의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한 조명광이 도 6에 화살선(10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에 입사하며, 이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투과하여 표시창차폐판(24)에 의해 반사된 빛이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재차 투과하고, 재차 면광원(26)의 도광판(27)을 투과하여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출사한다.
한편 제 1 표시창(4)에 표시하는 촬상자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의 표시는 외광을 이용할 때도, 상기 조명광을 이용할 때도 상기 표시창차폐판(24)을 연상태에서 투과표시에 의해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촬상자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외광을 이용하여 표시할 때는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입사한 빛이 도 7에 파단 화살선(10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면광원(26)의 도광판(27)을 투과하여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에 입사하고, 이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투과한 빛이 상기 제 1 표시창(4)으로부터 출사한다.
또 상기 촬상자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의 조명광을 이용하여 표시할 때는 상기 면광원(26)의 도광판(27)의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한 조명광이 도 7에 파단 화살선(107)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에 입사하고, 이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2)를 투과한 빛이 상기 제 1 표시창(4)으로부터 출사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을 모니터부착 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한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차폐판 닫힘상태 및 열림상태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모니터부착 디지털카메라는 양면표시형의 모니터화상표시소자로서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를 구비하고, 카메라본체(1)의 후면의 제 2 표시창(3)과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의 사이에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를 향하여 조명광을 출사하며, 상기 제 2 표시창(3)에 대향하는 면 및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키는 면광원(26)을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본체(1)의 전면에 비반사성의 표시창차폐판(45)을 설치한 것이고, 다른 구성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같다.
도 10은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의 일부분의 단면도이고, 이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는 액정층(3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투명기판(31, 32)의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행방향(화면의 좌우방향) 및 열방향(화면의 상하방향)에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117)를 형성하는 투명전극(33, 34)이 설치되는 동시에, 한쪽의 기판, 예를 들면 도면에 있어서 하측의 기판(이하 뒤기판이라 한다, 31)의 기판면과 이 기판 내면의 전극(33)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화소(117)에 각각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반사막(37)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기판(31, 32)의 외면에 각각 편광판(42, 43)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화소(117)내의 상기 반사막(37)에 대응하는 영역에 의해 다른쪽의 기판, 즉 앞기판(32)의 외면측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상기 반사막(37)에 의해 반 사하여 상기 앞기판(32)의 외면측으로 출사하는 반사표시부(117a)를 형성하고, 다른영역에 의해 상기 뒤기판(31)의 외면측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켜서 상기 앞기판(32)의 외면측으로 출사하는 투과표시부(117b)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37)은 상기 뒤기판(31)의 기판면에 적어도 상기 복수의 화소(117)의 배열영역에 걸쳐서 설치된 투명한 요철면막(36)의 막면상에 상기 복수의 오목부를 제외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면막(36)은 투명막의 막면에 상기 화소(117)의 폭(이하 화소폭이라 한다)의 1/10 이하, 예를 들면 상기 화소폭의 1/50∼1/10의 폭을 갖는 복수의 오목부를 상기 복수의 화소(117)에 각각 대응시켜서 이들 화소(117)내의 복수장소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한 것이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예를 들면 상기 화소(117)의 세로폭방향(화면의 상하방향)을 따르는 가늘고 긴 형상이며, 상기 화소(117)의 세로폭방향의 양단부를 제외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슬릿형상 오목부이고, 상기 복수의 화소(117)에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이 오목부의 폭과 동일정도의 간격으로 서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편의상 상기 요철면막(36)의 복수의 오목부의 폭과 간격을 크게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상기 화소폭은 100∼250㎛, 상기 요철면막(36)의 복수의 오목부의 폭과 간격은 각각 10㎛ 이하, 예를 들면 5∼10㎛의 범위이고, 따라서 1개의 화소(117)에 대응하는 상기 오목부의 수는 10 이상(예를 들면 10∼25)이다.
그리고 상기 반사막(37)은 상기 요철면막(36)의 막면상에 상기 복수의 오목 부를 제외하고 알루미늄계 합금 등의 고반사율 금속막을 증착 또는 도금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는 상기 뒤기판(31)의 내면에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전극(33)과, 이들 화소전극(33)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TFT(35)와,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을 설치하고, 상기 앞기판(32)의 내면에 한장막 형상의 대향전극(34)을 설치한 액티브매트릭스액정표시소자이며, 상기 복수의 화소전극(33)과 TFT(35)와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은 상기 요철면막(36) 및 반사막(37)을 덮어 설치된 투명한 평탄화절연막(38)의 위에 형성되고, 상기 대향전극(34)은 상기 앞기판(32)의 내면에 상기 복수의 화소(117)에 각각 대응시켜서 설치된 적색, 녹색, 청색의 3색의 컬러필터(39R, 39G, 39B)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기판(31, 32)의 내면에는 각각 상기 전극(33, 34)을 덮어 배향막(40, 4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기판(31, 32)은 상기 복수의 화소(117)가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고 있는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테두리상의 시일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접합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기판(31, 32)간의 상기 시일재로 둘러싸인 영역에 액정층(3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는, 예를 들면 노멀화이트모드의 TN 형 액정표시소자이고, 상기 액정층(30)의 액정분자는 상기 한쌍의 기판(31, 32)간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90도의 트위스트각으로 트위스트 배향하며, 상기 한쌍의 기판 (31, 32)의 외면의 편광판(42, 43)은 각각의 투과축을 실질적으로 직교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사막(37)이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앞기판(32)과, 이 앞기판(32)의 외면에 배치된 전측편광판(43)의 사이에는 빛확산입자를 분산시킨 투명점착재로 이루어지는 빛확산층(4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는 그 전면에 후면으로부터 입사한 빛 중, 상기 복수의 화소(117)의 투과표시부(117b)에 입사한 빛의 투과를 상기 복수의 화소(117)의 액정층(30)으로의 인가전계에 따라 제어하는 투과표시와, 상기 전면으로부터 입사한 빛 중, 상기 복수의 화소(117)의 반사표시부(117a)에 입사하여 액정층(30)을 투과한 빛을 뒤기판(31)의 내면의 반사막(37)에 의해 반사하고, 그 반사광의 전면으로의 출사를 상기 복수의 화소(117)의 액정층(30)으로의 인가전계에 따라 제어하는 반사표시의 어느 쪽인가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며, 후면에 전면으로부터 입사한 빛 중, 상기 복수의 화소(117)의 투과표시부(117b)에 입사한 빛의 투과를 상기 복수의 화소(117)의 액정층(30)으로의 인가전계에 따라 제어하는 투과표시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고, 어느 쪽의 면에 표시되는 화상도 상기 복수의 화소(117)에 각각 대응하는 컬러필터(39R, 39G, 39B)에 의해 착색된 적색, 녹색, 청색의 3색의 빛에 의한 풀컬러화상이다.
또한 이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의 전면에 표시하는 화상의 반사표시는 전측편광판(43)에 편광자와 검광자를 겸비시킨 한장 편광판에 의한 표시이다.
그리고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는 그 전면(전측편광판(43)의 외 면)을 상기 제 2 표시창(3)에 대향시키고, 다른쪽의 면, 즉 상기 반사막(37)이 설치된 측의 면(후측편광판(42)의 외면)을 상기 제 1 표시창(4)에 대향시켜서 카메라본체(1)내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본체(1)내에 설치된 표시소자구동회로(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표시소자구동회로(B)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상반전키(11)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에 좌우를 반전시킨 화상데이터를 기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면광원(26)은 상기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면광원(26)과 같은 구성의 것이고, 이 면광원(26)은 상기 제 2 표시창(3)과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의 사이에 도광판(27)의 출사면을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에 대향시키고, 상기 도광판(27)의 반사면을 상기 제 2 표시창(3)에 대향시켜서 배치되어 카메라본체(1)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광원구동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디지털카메라는 모니터화상표시소자로서 액정층(3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투명기판(31, 32)의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117)를 형성하는 투명전극(33, 34)이 설치되는 동시에, 뒤기판(31)의 기판면과 이 기판내면의 전극(33)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화소(117)에 각각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반사막(37)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기판(31, 32)의 외면에 각각 편광판(42, 43)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화소(117)내의 상기 반사막(37)에 대응하는 영역에 의해 앞기판(32)의 외면측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상기 반사막(37)에 의해 반사하여 상기 앞기판(32)의 외면측으 로 출사하는 반사표시부(117a)를 형성하고, 다른영역에 의해 상기 뒤기판(31)의 외면측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켜서 상기 앞기판(32)의 외면측으로 출사하는 투과표시부(117b)를 형성한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를 이용하며, 이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를 상기 반사막(37)이 설치된 측의 면(후측편광판(42)의 외면)을 상기 제 1 표시창(4)에 대향시켜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표시창(3)에 표시하는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제 1 표시창(4)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와,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 즉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에 제 2 표시창(3)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하여 액정층(30)을 투과한 빛을 반사막(37)에 의해 반사시키는 반사표시의 어느 쪽인가를 임의로 선택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 1 표시창(4)에 표시하는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의 뒤기판(3)의 기판면에 상기 화소(117)의 양단부를 제외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슬릿형상의 복수의 오목부를 그 폭과 동일정도의 간격으로 서로 평행으로 형성한 요철면막(36)을 설치하고, 이 요철면막(36)의 막면상에 상기 복수의 오목부를 제외하여 반사막(37)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화소(117)의 반사표시부(117a)의 총면적, 즉 반사표시의 개구율을 상기 복수의 화소(117)의 투과표시부(117b)의 총면적, 즉 투과표시의 개구율보다도 크게 하여 상기 반사표시의 밝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디지털카메라는 상기 제 2 표시창(3)과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의 사이에 상기 면광원(26)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표시창(3)에 표시하는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 및 반사표시에 덧붙여서 상기 면광원(26)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에 의해서도 표시하고, 상기 제 1 표시창(4)에 표시하는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에 덧붙여서 상기 면광원(26)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에 의해서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표시창(3)에 표시하는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의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는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입사하고, 상기 면광원(26)의 도광판(27)을 투과하여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에 입사한 빛 중, 이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의 복수의 화소(117)의 반사표시부(117a)의 액정층(30)을 투과하여 도 10에 화살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막(37)에 의해 반사된 빛을 도 8에 화살선(108)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27)을 투과시켜서 상기 제 1 표시창(3)으로부터 출사시켜 실행된다.
또 상기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의 조명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는 상기 면광원(26)의 도광판(27)의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고,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에 입사한 빛 중, 이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의 복수의 화소(117)의 반사표시부(117a)의 액정층(30)을 투과하여 도 10에 화살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막(37)에 의해 반사된 빛을 도 8에 화살선(109)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27)을 투과시켜서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출사시켜 실행된다.
상기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의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 및 조명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는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의 반사막(37)에 의해 입사광을 반사시켜 실행하기 때문에 이 반사표시는 상기 표시창차폐판(45)을 닫은상태에서도, 연상태에서도 실행할 수 있는데, 상기 표시창차폐판(45)을 도 8과 같이 닫음으로써 제 1 표시창(4)을 상기 표시창차폐판(45)에 의해 덮어 가릴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창차폐판(45)을 비반사성 차폐판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 표시창차폐판(45)을 닫은상태에서 상기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의 반사표시를 실행해도 상기 제 2 표시창(3) 또는 상기 면광원(26)으로부터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에 입사한 빛 중, 이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의 복수의 화소(117)의 투과표시부(117b)를 투과한 빛이 상기 표시창차폐판(45)에 의해 반사되는 일은 없고, 따라서 상기 제 1 표시창(3)에 양호한 품질의 모니터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표시창(3)에 표시하는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의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는 상기 표시창차폐판(45)을 연상태에서 실행되고, 이 때는 제 1 표시창(4)로부터 입사하여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의 복수의 화소(117)의 투과표시부(117b)를 도 10에 화살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투과한 빛을 상기 면광원(26)의 도광판(27)을 투과시켜서 도 9에 화살선(11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출사한다.
한편 제 1 표시창(4)에 표시하는 촬상자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의 표시는 외광을 이용할 때도, 상기 조명광을 이용할 때도 상기 표시창차폐판(24)을 연상태에서 투과표시에 의해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촬상자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외광을 이용하여 표시할 때는 제 2 표시창(3)으로부터 입사한 빛이, 도 9에 파단 화살선(11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면광원(26)의 도광판(27)을 투과하여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에 입사하고, 이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의 복수의 화소(117)의 투과표시부(117b)를 도 10에 파단 화살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투과한 빛이 상기 제 1 표시창(4)으로부터 출사한다.
또 상기 촬상자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의 조명광을 이용하여 표시할 때는 상기 면광원(26)의 도광판(27)의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여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에 입사하고, 이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의 복수의 화소(117)의 투과표시부(117b)를 도 10에 파단 화살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투과한 빛이 도 9에 파단 화살선(11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표시창(4)으로부터 출사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12)의 상기 반사막(37)이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기판(앞기판(32))과, 이 앞기판(32)의 외면에 배치된 전측편광판(43)의 사이에 빛확산층(44)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표시창(3)에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 조명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의 어느 것에 의해 표시할 때도, 또 상기 제 1 표시창(4)에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 조명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의 어느 것에 의해 표시할 때도 휘도분포가 균 일하고, 시야각이 넓은 모니터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 1∼제 3 실시예는 본 발명을 모니터부착 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한 예인데, 본 발명은 다른 모니터부착 촬상기기, 예를 들면 디지털카메라기능과 모니터화상표시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는 한쪽의 면의 표면과 다른쪽의 후면에 제 1 표시창과 제 2 표시창이 형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제 1 표시창과 제 2 표시창에 대응시켜서 양면표시형의 표시소자를 배치했으므로 모니터화상을 피사체와는 반대측으로부터도, 상기 피사체측으로부터도 양쪽에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에 있어서, 전자기기로서는 전자촬상수단을 구비한 촬상기기를 적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이 표시소자부착 촬상기기는 기기본체의 후면과 전면 양쪽의 표시창에 각각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풍경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는 상기 기기본체의 전면, 즉 촬상렌즈의 대물렌즈측을 노출시킨 면을 상기 풍경 등의 피사체측으로 향하고, 상기 기기본체의 후면의 제 2 표시창에 표시된 모니터화상을 보고 촬상하며.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는 상기 기기본체의 전면(촬상렌즈의 대물렌즈측)을 상기 촬상자측으로 향하고, 이 기기본체의 전면의 제 1 표시창에 표시된 모니터화상을 보고 촬상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소자로서는 투과형의 액정표시소자를 적용할 수 있고, 이 구성에 따르면, 각각의 표시창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소자로서 투과형의 액정표시소자를 이용하는 경우, 어느 쪽인가 한쪽의 표시창에 표 시창차폐판을 배치함으로써 반사표시로 할 수 있고, 또 면광원을 설치함으로써 외광이 약한 장소에서도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모니터부착 촬상기기는 전자촬상수단을 수납한 기기본체의 후면에 제 2 표시창을 설치하고, 상기 기기본체내에 상기 기기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한 제 1, 제 2 표시창에 대응시켜서 양면표시형의 모니터화상표시소자를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모니터화상을 피사체와는 반대측으로부터도, 상기 피사체측으로부터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니터부착 촬상기기에 있어서, 촬상기기는 전자촬상수단을 구비한 디지털전자카메라에 적합하여 있다.
그리고 이 모니터부착 촬상기기 및 디지털전자카메라에 따르면, 기기본체의 후면과 전면 양쪽의 표시창에 각각 모니터화상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풍경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는 상기 기기본체의 전면, 즉 촬상렌즈의 대물렌즈측을 노출시킨 면을 상기 풍경 등의 피사체측으로 향하고, 상기 기기본체의 후면의 제 2 표시창에 표시된 모니터화상을 보고 촬상하며,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는 상기 기기본체의 전면(촬상렌즈의 입사단의 노출면)을 상기 촬상자측으로 향하고, 이 기기본체의 전면의 제 1 표시창에 표시된 모니터화상을 보고 촬상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 모니터부착 촬상기기 및 디지털전자카메라는 풍경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도,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도 상기 기기본체의 전면, 즉 촬상렌즈의 입사단을 노출시킨 면을 피사체를 향하는 것만으로 상기 피사체를 그 모니터화상을 보고 촬상할 수 있고, 따라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모니터부착 촬상기기 및 디지털전자카메라는 촬상렌즈를 갖는 전자촬상수단과 모니터화상표시소자의 양쪽을 기기본체내에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니터부착 촬상기기 및 디지털전자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화상표시소자는, 예를 들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의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는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기판의 외면에 각각 편광판이 배치된 투과형 액정표시소자로 좋으며, 이 투과형 액정표시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 2 표시창에 표시하는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제 1 표시창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에 의해 표시하고, 상기 제 1 표시창에 표시하는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제 2 표시창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화상표시소자를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로 하는 경우는 상기 기기본체의 전면에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에 상기 제 2 표시창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하여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를 투과한 빛을 반사하는 표시창차폐판을 상기 제 1 표시창에 대응하는 닫힘상태와 상기 제 1 표시창의 옆쪽으로 퇴피시킨 열림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제 2 표시창에 표시하는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제 1 표시창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와, 상기 제 2 표시창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투과형 액정표시소자를 투과한 빛을 표시창차폐판에 의 해 반사시키는 표시)의 어느 쪽인가를 임의로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제 2 표시창에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반사표시에 의해 표시할 때에 상기 제 1 표시창을 상기 표시창차폐판에 의해 덮어 가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니터화상표시소자를 투과형 액정표시소자로 하고, 상기 기기본체의 전면에 상기 표시창차폐판을 설치하는 경우는 상기 제 2 표시창과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사이에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를 향하여 조명광을 출사 하며, 상기 제 2 표시창에 대향하는 면 및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키는 면광원을 추가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제 2 표시창에 표시하는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 및 반사표시에 덧붙여서 상기 면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에 의해서도 표시하며, 상기 제 1 표시창에 표시하는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제 2 표시창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에 덧붙여서 상기 면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에 의해서도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모니터부착 촬상기기 및 디지털전자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화상표시소자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의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는 전극이 설치되는 동시에, 한쪽의 기판의 기판면과 이 기판 내면의 상기 전극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화소에 각각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반사막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기판의 외면에 각각 편광판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화소내의 상기 반사막에 대응하는 영역에 의해 다른쪽의 기판의 외면측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상기 반사막에 의해 반사하여 상기 다른쪽의 기판의 외면측으로 출사하는 반사표시부를 형성하고, 다른영역에 의해 상기 한쪽의 기판의 외면측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켜서 상기 다른쪽의 기판의 외면측으로 출사하는 투과표시부를 형성하여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라도 좋다.
그 경우는 상기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를 상기 반사막이 설치된 측의 면을 상기 제 1 표시창에 대향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제 2 표시창에 표시하는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제 1 표시창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와, 상기 제 2 표시창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에 제 2 표시창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하여 액정층을 투과한 빛을 반사막에 의해 반사시키는 반사표시)의 어느 쪽인가를 임의로 선택하여 표시하며, 상기 제 1 표시창에 표시하는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제 2 표시창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상기 모니터화상표시소자를 상기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로 하고, 이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를 상기 반사막이 설치된 측의 면을 상기 제 1 표시창에 대향시켜서 배치하는 경우는 상기 제 2 표시창과 상기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의 사이에 상기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를 향하여 조명광을 출사하며, 상기 제 2 표시창에 대향하는 면 및 상기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키는 면광원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 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제 1 표시창에 표시하는 풍경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 및 반사표시에 덧붙여서 상기 면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이용하는 반사표시에 의해서도 표시하며, 상기 제 1 표시창에 표시하는 촬상자 자신 등의 피사체의 모니터화상을 상기 제 2 표시창으로부터 입사한 외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에 덧붙여서 상기 면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이용하는 투과표시에 의해서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니터부착 촬상기기 및 디지털전자카메라에 있어서, 한쪽의 면측으로부터 관찰하는 표면표시와, 상기 한쪽의 면의 이면측의 다른쪽의 면측으로부터 관찰하는 이면표시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설치하고, 추가로 상기 전환수단의 동작에 따라 화상의 좌우를 반전시킨 좌우반전화상을 표시시키는 화상반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구성에 의해서 촬상기기의 전후로부터 항상 올바른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Claims (20)

  1.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투과를 제어하여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빛에 의해 상기 다른쪽의 면측으로부터 관찰하기 위한 제 1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투과를 제어하여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빛에 의해 상기 한쪽의 면측으로부터 관찰하기 위한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형의 표시소자와,
    적어도 상기 표시소자와, 이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전자회로를 수납하며, 상기 표시소자의 한쪽의 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 2 화상을 관찰하기 위한 제 1 표시창과, 상기 표시소자의 다른쪽의 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 1 화상을 관찰하기 위한 제 2 표시창이 형성된 기기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는 그 한쪽의 표면에 전자촬상소자상에 화상을 결상시키기 위한 촬상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소자는 투과형의 액정표시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기기본체의 한쪽 또는 다른쪽의 면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상기 제 1 표시창 또는 제 2 표시창으로부터 입사하여 상기 액정표시소자를 투과한 빛을 반사하는 표시창차폐판이 상기 표시창으로부터 퇴피 가능하게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표시창과 제 2 표시창의 적어도 한쪽과 액정표시소자의 사이에 이 액정표시소자를 향하여 조명광을 출사하고, 또한 상기 한쪽의 표시창에 대향하는 측의 면과 상기 액정표시소자에 대향하는 측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각각 투과시키는 면광원이 추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소자는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일부의 투과를 제어하여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빛에 의해 제 1 화상을 투과표시하고, 상기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일부의 투과를 제어하여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빛에 의해 제 2 화상을 투과표시하며, 또한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일부를 반사하여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빛의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면측으로부터 반사광에 의해 제 2 화상을 반사표시하는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7.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촬상렌즈와,
    상기 촬상렌즈에 의해 결상된 상을 촬상데이터로 변환하여 기억하는 전자촬상수단과,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투과를 제어하여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빛에 의해 상기 다른쪽의 면측으로부터 관찰하기 위한 제 1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투과를 제어하여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빛에 의해 상기 한쪽의 면측으로부터 관찰하기 위한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형의 표시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자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화상이 표시되는 양면표시형의 모니터화상표시소자와,
    적어도 전자촬상수단과, 상기 모니터화상표시소자와, 이 모니터화상표시소자를 구동하는 전자회로를 수납하고, 전면에 촬상렌즈가 배치되며, 이 촬상렌즈가 배치된 전면의 상기 표시소자의 한쪽의 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 2 화상을 관찰하기 위한 제 1 표시창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의 상기 표시소자의 다른쪽의 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 1 화상을 관찰하기 위한 제 2 표시창이 형성된 기기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화상표시소자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의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는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기판의 외면에 각각 편광판이 배치된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기기본체의 후면에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에 상기 제 2 표시창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하여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를 투과한 빛을 반사하는 표시창차폐판이 제 1 표시창으로부터 퇴피 가능하게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차폐판은 상기 제 1 표시창에 대응하는 닫힘상태와 상기 제 1 표시창의 옆쪽으로 퇴피시킨 열림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차폐판은 상기 액정표시소자를 투과한 빛을 확산하여 반사하는 확산반사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표시창과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사이에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를 향하여 조명광을 출사하고, 또한 상기 제 2 표시창에 대향하는 면 및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키는 면광원이 추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13. 제 7 항에 있어서,
    모니터화상표시소자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의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는 전극과, 이 모니터화상표시소자에 입사하는 빛의 일부를 반사하는 반사막 및 상기 한쌍의 기판의 외면에 각각 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일부의 투과를 제어하여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빛에 의해 제 1 화상을 투과표시하며, 상기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일부의 투과를 제어하여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빛에 의해 제 2 화상을 투과표시하고, 또한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다른 일부를 반사하여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의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면측에 반사광에 의한 제 1 화상을 반사표시하는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모니터화상표시소자는 한쪽의 기판의 기판면과 이 기판 내면의 상기 전극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화소에 각각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반사막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내의 상기 반사막에 대응하는 영역에 의해 다른쪽의 기판의 외면측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상기 반사막에 의해 반사하여 상기 다른쪽의 기판의 외면측으로 출사하는 반사표시부를 형성하며, 상기 반사막에 대응하지 않는 다른영역에 의해 상기 한쪽의 기판의 외면측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켜서 상기 다른쪽의 기판의 외면측으로 출사하는 투과표시부를 형성하는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는 상기 반사막이 설치된 측의 기판을 제 1 표시창에 대향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반투과반사형 액정표시소자는 상기 제 2 표시창측에 위치하는 상기 기판과 편광판의 사이에 투과광을 확산시키는 확산층을 추가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제 2 표시창과 상기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의 사이에 상기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를 향하여 조명광을 출사하고, 상기 제 2 표시창에 대향하는 면 및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키는 면광원이 추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기기본체는 상기 모니터화상표시소자에 한쪽의 면측으로부터 관찰하는 표면 표시와, 상기 한쪽의 면의 이면측의 다른쪽의 면측으로부터 관찰하는 이면표시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전자회로는 상기 전환수단의 동작에 따라 화상의 좌우를 반전시킨 좌우반전화상을 표시시키는 화상반전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20.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촬상렌즈와,
    상기 촬상렌즈에 의해 결상된 상을 촬상데이터로 변환하여 기억하는 전자촬상수단과,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의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매트릭스상으로 배열시킨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는 전극과, 입사된 빛의 일부를 반사하는 반사막과, 상기 한쌍의 기판의 외면에 각각 편광판을 구비하며,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일부의 투과를 제어하여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빛에 의해 상기 다른쪽의 면측으로부터 관찰하기 위한 제 1 화상을 투과표시하고, 상기 다른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일부의 투과를 제어하여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빛에 의해 상기 한쪽의 면측으로부터 관찰하기 위한 제 2 화상을 투과표시하며, 또한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다른 일부를 반사하여 상기 한쪽의 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의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면측으로부터 관찰하기 위한 반사광에 의한 제 1 화상을 반사표시하는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와,
    적어도 전자촬상수단과, 상기 액정표시소자와, 이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전자회로를 수납하고, 전면에 촬상렌즈가 배치되며, 이 촬상렌즈가 배치된 전면의 상기 표시소자의 한쪽의 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 2 화상을 관찰하기 위한 제 1 표시창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의 상기 표시소자의 다른쪽의 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 1 화상을 관찰하기 위한 제 2 표시창이 형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제 2 표시창과 상기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의 사이에 상기 반투과반사형의 액정표시소자를 향하여 조명광을 출사하고, 상기 제 2 표시창에 대향하는 면 및 상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투과시키는 면광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부착 디지털카메라.
KR1020040109152A 2003-12-25 2004-12-21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및 양면표시형의 모니터를 구비한 디지털카메라 KR100695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29356A JP4254529B2 (ja) 2003-12-25 2003-12-25 モニタ付き撮像機器
JPJP-P-2003-00429356 2003-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339A KR20050065339A (ko) 2005-06-29
KR100695456B1 true KR100695456B1 (ko) 2007-03-15

Family

ID=3469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152A KR100695456B1 (ko) 2003-12-25 2004-12-21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및 양면표시형의 모니터를 구비한 디지털카메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15130B2 (ko)
JP (1) JP4254529B2 (ko)
KR (1) KR100695456B1 (ko)
CN (1) CN100531306C (ko)
HK (1) HK10802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7019B2 (ja) * 2006-08-02 2008-12-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表情評価装置
US7948547B2 (en) * 2008-08-05 2011-05-24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viewing images
JP4697289B2 (ja) * 2008-11-05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670939B2 (ja) * 2008-11-05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748204B2 (ja) 2008-11-05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US8953120B2 (en) * 2011-01-07 2015-02-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9357042B2 (en) 2012-09-06 2016-05-31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3197370B (zh) 2013-04-07 2015-05-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导光板制作方法
CN104950517A (zh) * 2015-07-15 2015-09-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双面显示器
CN108569989B (zh) * 2018-05-25 2020-06-02 中南大学 一种制备硫氨酯并联产2-巯基乙醇或o-烷硫基乙基黄原酸盐的方法
US11503189B2 (en) 2018-10-04 2022-11-15 Gopro, Inc. Camera and display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396A (ja) * 1999-12-24 2001-07-06 Nec Corp 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1257911A (ja) * 2000-03-10 2001-09-21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KR20020097420A (ko) * 2001-06-21 2002-12-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양면표시 기능을 가지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및 그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0233A (ja) 1991-12-02 1993-06-18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3078188B2 (ja) 1994-11-29 2000-08-2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3930968B2 (ja) 1998-06-29 2007-06-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3815083B2 (ja) 1998-09-16 2006-08-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カメラ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1311939A (ja) 2000-04-28 2001-11-09 Ricoh Co Ltd 液晶表示装置
US7173665B2 (en) 2001-03-30 2007-02-06 Sanyo Electric Co., Ltd.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320012A (ja) * 2001-04-20 2002-10-31 Nec Access Technica Ltd 液晶ディスプレイ付き電子機器
JP4313560B2 (ja) * 2001-10-31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話
US7292296B2 (en) * 2002-10-17 2007-11-0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and device includ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396A (ja) * 1999-12-24 2001-07-06 Nec Corp 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1257911A (ja) * 2000-03-10 2001-09-21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KR20020097420A (ko) * 2001-06-21 2002-12-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양면표시 기능을 가지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및 그 구동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974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38434A (zh) 2005-07-13
JP4254529B2 (ja) 2009-04-15
CN100531306C (zh) 2009-08-19
US20050141063A1 (en) 2005-06-30
KR20050065339A (ko) 2005-06-29
HK1080244B (zh) 2010-01-15
US7515130B2 (en) 2009-04-07
JP2005191818A (ja) 2005-07-14
HK1080244A1 (en) 200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8970B (en) Liquid crystal display observable from two sides and a portable machine in which the same is used
JP4508505B2 (ja) 液晶表示装置
JP4048844B2 (ja) 面光源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695456B1 (ko) 표시소자부착 전자기기 및 양면표시형의 모니터를 구비한 디지털카메라
JP201001501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7315329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撮像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
CN110488524A (zh) 显示装置、显示装置中摄像的方法
JP2008191261A (ja) 液晶表示装置
US20070274701A1 (en) Transparent display and camera
JP2006100182A (ja) 面光源及びその面光源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3060944A (ja) 電子カメラ
JPH10104752A (ja) プリンタ装置
US20080180602A1 (en) Semi-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333119B2 (ja) 液晶表示装置
US6347190B1 (en) Display device of an optical apparatus
JP4085778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1268404A (ja) 液晶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カメラ
JPH10111501A (ja) ホログラムを用いた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4089353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5024904A (ja) 携帯機器の液晶表示装置
JP3823750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151218A (ja) 液晶表示装置
JP2007219017A (ja) 一眼レフカメラ
JP2006343640A (ja) 表示装置
JP2000019583A (ja) ファインダー装置およびファインダー装置を有する光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