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909B1 - 차량에서의 상태 및 조작 통지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차량에서의 상태 및 조작 통지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909B1
KR100689909B1 KR1020057013044A KR20057013044A KR100689909B1 KR 100689909 B1 KR100689909 B1 KR 100689909B1 KR 1020057013044 A KR1020057013044 A KR 1020057013044A KR 20057013044 A KR20057013044 A KR 20057013044A KR 100689909 B1 KR100689909 B1 KR 100689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ound
state
display
proced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410A (ko
Inventor
기요시 야마끼
아끼히로 요시자와
마사미쯔 야마무라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587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686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58727A external-priority patent/JP4185384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6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18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varying the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8Instrument input by vo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고, 그 검출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소정의 악음을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악음 발생과 함께, 악음 발생 주기에 동기한 표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표시 양태의 표시를 행한다. 이렇게 하여,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인 것을 탑승자에 대하여 시각 및 청각의 양쪽에서 통지함으로써, 탑승자는 직감적으로 해당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인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작한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마다, 각 내부 동작 상황에 대응한 악음을 소정의 음악 발생 시간만큼 발생한다. 악음 발생과 함께, 소정 시간내에서 서서히 광량이 증/감하여 가도록 하여 발광 수단을 등화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마치 「차량이 눈뜨다」 혹은 「차량이 잠들다」와 같은 친근감이 있는 탑승자에게 이해하기 쉬운 통지가 가능하다.
차량 상태 통지, 차량 조작 통지, 시각적·청각적 통지, 악음 발생, 주행 대기 상태

Description

차량에서의 상태 및 조작 통지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VEHICLE STATE, OPERATION ANNUNCIATOR, AND PROGRAM}
본 발명은 탑승자에 대하여 차량의 상태를 통지하는 상태 통지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인 것, 혹은 조작에 응답하여 차량에 비치된 각종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인 것을, 탑승자가 직감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에서의 상태 통지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에 의한 소정의 기동 조작 또는 정지 조작에 기초하여 차량을 기동 또는 정지할 때에, 탑승자에 대하여 해당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를 시각적·청각적인 통지 양태로 통지하는 조작 통지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특히, 친근감이 있는 탑승자에게 이해하기 쉬운 통지 양태로 해당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를 통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에서의 조작 통지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을 구동원으로 하여 주행하는 차량(예를 들면,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에서는, 엔진의 회전수에 부합하는 엔진음이 엔진 자체로부터 발생됨과 함께, 그 엔진 회전수를 표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메인 스위치의 온 조작에 기초하는 차량의 기동시(아이들링 상태시 포함), 혹 은 메인 스위치의 오프 조작에 기초하는 차량의 정지시에, 연속한 단일의 비프음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고음을 발하거나 혹은 라이트류(예를 들면, 헤드 램프나 테일 램프 등)를 점등함으로써, 탑승자에 대하여 그 조작에 기초하는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를 통지하는 것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동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주행하는 전동 차량(예를 들면, 전동식 스쿠터나 전기 자동차 등)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동 차량에 있어서는 전동 모터의 정숙성을 감안하여, 일부러 엔진음을 모방한 의사음(擬似音) 등을 발생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07-032948호 공보에 개시되는 발명에서는,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액셀 개도(開度)에 부합한 음량, 모터 회전수에 부합한 피치로 악음(樂音)을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 및 전동 차량에 관계없이, 탑승자에 의한 조작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각종 기기의 작동에 맞추어 악음을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0-272414호 공보에 개시되는 발명에서는, 플래셔 또는 윙커 등으로 불리는 방향 지시기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차속에 부합한 클릭음을 방향 지시기의 점멸 주기에 맞추어 발생한다. 일본 실용공개 평04-070784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2533770호 공보에 개시되는 발명에서는, 전동 이륜차에 있어서 탑승자의 조작에 응답한 각종 기기의 기동·정지를, 청각 혹은 시각에 의해 탑승자에 대하여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해당 차량의 주행 상태나 조작 상태를 탑승자에 대하여 통지하기 위해, 청각에 호소하는 악음을 발생하거나 시각에 호소하는 표시를 행하는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그런데, 전동 차량에 있어서, 액셀을 조작함으로써 언제라도 발진 가능한 상 태인 주행 대기중은, 액셀이 개방된 상태가 아니며 모터도 회전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의사적인 아이들링음을 발생시킬 수 없었다. 즉, 전동 차량에 있어서는,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을 갖는 차량의 주행 대기중과는 상이하여 아이들링음이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을 갖는 차량이라도, 최근의 엔진은 조용한 엔진음을 발생하고 있고, 또한 차내에 엔진음이 극력 도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궁리가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탑승자에게 있어서 아이들링음은 대단히 들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단순히 아이들링음에 의한 통지만으로는 탑승자(특히 운전자)가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급발진 등의 오조작이 행해지기 쉬워 위험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탑승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각종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을 탑승자가 직감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는 탑승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각종 기기가 기동했는지 정지했는지 등을 통지할 뿐이고, 탑승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각종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을 탑승자에 대하여 통지하는 것은 없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에 있어서는 라이트류를 점등하거나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하는 등의 통지 양태로, 해당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를 탑승자에 대하여 통지하도록 하고 있었다. 즉, 종래에 있어서는 단순히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를 탑승자에 대하여 통지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무미건조한 기계적인 청각적 통지 양태와 시각적 통지 양태를 각각 독립적으로 이용하여 통지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히 기계적인 통지 양태를 각각 독립적으로 이용한 통지 는, 탑승자에게 있어서 매우 이해하기 어려운 통지로서 불편하다. 또한, 재미가 없고 시시한 단일한 통지 양태로의 통지이기 때문에, 탑승자가 그러한 통지 양태에 매우 빨리 싫증이 나거나 익숙해져 버리는 일이 발생하여, 해당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에 대한 탑승자의 주의를 촉구하는 효과가 약해져 버려, 유효하게 주의를 촉구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인 것, 혹은 탑승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각종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을, 시각적 통지 양태와 청각적 통지 양태를 대응지어 통지함으로써, 탑승자가 차량에서의 상기 각 상태를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종래에 없는 차량에서의 상태 통지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 통지를 행하는 경우에 시각적 통지 양태와 청각적 통지 양태를 동기시켜, 마치 「차량이 눈뜨다」 혹은 「차량이 잠들다」와 같은 친근감이 있는 탑승자에게 이해하기 쉬운 통지 양태로, 해당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를 통지할 수 있도록 한, 종래에 없는 차량에서의 조작 통지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차량에서의 상태 통지 장치는, 차량의 동작 상태를 통지하는 상태 통지 장치로서,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 소정의 악음을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악음 발생 수단과, 상기 악음의 발 생 주기에 동기한 표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표시 양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여,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악음을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악음을 발생함과 함께, 상기 악음의 발생 주기에 동기한 표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표시 양태의 표시를 행한다. 즉,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인 것을 청각적 통지 양태와 시각적 통지 양태를 대응지어 통지하는, 종래에 없는 차량에서의 상태 통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인 것을 탑승자에 대하여 시각 및 청각의 양쪽으로 통지하기 때문에, 탑승자는 직감적으로 해당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음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차량에서의 상태 통지 장치는, 차량의 동작 상태를 통지하는 상태 통지 장치로서,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표시 양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의 표시 주기에 동기한 발생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악음을 발생하는 악음 발생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서도,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탑승자가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차량에서의 상태 통지 장치는, 차량의 동작 상태를 통지하는 상태 통지 장치로서,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 된 경우에, 소정의 악음을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악음 발생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표시 양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악음과 상기 표시 양태의 변화를 동기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도,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탑승자가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차량에서의 상태 통지 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기기의 작동 상태를 통지하는 상태 통지 장치로서, 조작에 응답하여 작동되는 대상 기기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한 작동 상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정상 작동 상태와 이상 작동 상태에 있어서 상이한 표시 주기로 각각의 상태에 부합한 표시 양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의 표시 주기에 동기한 발생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악음을 발생하는 악음 발생 수단을 구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에 비치된 각종 기기가 조작에 응답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탑승자가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서의 조작 통지 장치는, 광량을 제어하여 점등 가능한 발광 수단과, 적어도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작한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마다, 각 내부 동작 상황에 대응한 악음을 소정의 악음 발생 시간만큼 발생하는 발음 수단과, 상기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마다, 소정 시간내에 있어서 서서히 광량이 증가 또는 감소해 가도록 하여 상기 발광 수단을 등화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마다, 상기 악음 발생 시간과 상기 소정 시간을 동기하여 악음의 발생과 발광 수단의 등화 제어를 각각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적어도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작한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마다, 각 내부 동작 상황에 대응한 악음을 소정의 악음 발생 시간만큼 발생하고, 또한, 이 악음 발생과 함께, 상기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마다, 소정 시간내에 있어서 서서히 광량이 증가 또는 감소해 가도록 하여 발광 수단을 등화 제어한다.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을 청각적 통지 양태와 시각적 통지 양태를 대응지어 통지하기 위해, 상기 악음 발생 시간과 상기 소정 시간을 동기하여 악음의 발생과 발광 수단의 등화 제어를 각각 행한다. 즉,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을 청각적 통지 양태와 시각적 통지 양태에 의해 통지할 때에, 악음의 발생에 맞추어 서서히 광량이 증가 또는 감소해 가도록 하여 발광 수단을 등화 제어하여 통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마치 「차량이 눈뜨다」 혹은 「차량이 잠들다」와 같은 친근감이 있는 탑승자에게 이해하기 쉬운 통지 양태로 해당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를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장치의 발명으로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법의 발명으로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또는 DSP 등의 프로세서의 프로그램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그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의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태 통지 장치 또는 조작 통지 장치를 적용한 차량에서의 시스템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표시 패널의 패널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3은 인디케이터부에서의 각 셀을 이용하여 표현 가능한 표시 패턴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메인 처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주행 대기 상태를 통지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로서, 도 5(a)는 대기 상태 통지 처리, 도 5(b)는 인터럽트 처리 A, 도 5(c)는 인터럽트 처리 B의 일 실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플래셔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인 것을 통지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로서, 도 6(a)는 작동 상태 통지 처리, 도 6(b)는 인터럽트 처리 C의 일 실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통지 양태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메인 처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통지 처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차량의 기동·정지가 행하여진 경우에 있어서의 통지 양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
도 11은 차량의 기동·정지가 행하여진 경우에 있어서의 통지 양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태 통지 장치 또는 조작 통지 장치를 적용한 차량에서의 시스템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차량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CPU), 리드 온리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제어 클럭 발생용의 타이머 등을 포함하는 원 칩 구성의 마이크로컴퓨터인 제어 수단(1)에 의한 제어하에, 해당 차량 전체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즉, 차량 전체의 동작 제어는, 제어 수단(1)이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동작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한 제어 수단(1)에 대하여서는, 조작 수단(2), 표시 수단(3), 발동기(4), 발음 수단(5)이 각각 접속된다. 조작 수단(2)은, 예를 들면, 해당 차량의 각종 기기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공급의 개시 또는 정지(즉 전원 온 또는 전원 오프)를 지시하는, 예를 들면 키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메인 스위치, 차량의 구동원인 발동기(4)를 기동하는 시동 스위치, 차량 전후에 있어서 좌우에 배치되어 있는 플래셔 또는 윙커 등으로 불리는 방향 지시기의 점멸 개시/점멸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방향 지시 스위치, 및 도시하지 않은 핸들이나 액셀이나 브레이크 등, 탑승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작되는 각종 조작자이다. 이 조작 수단(2)이 조작된 경우, 제어 수단(1)에서는 조작된 조작 수단(2)마다 발생하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대응하는 각종 기기를 작동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표시 수단(3)은 플래셔나 헤드 램프 혹은 테일 램프 등의 라이트류 그 자체, 이들 라이트류의 점등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 각종 기기의 이상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경고등, 스피드나 모터 회전수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 패널(LCD)이나 CRT 등의 표시 패널, 패널 라이트 등의 발광 기기 등이다. 이들 표시 수단(2)에서는, 제어 수단(1)으로부터의 표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플래셔를 점멸하거나, 테일 램프나 헤드 라이트나 패널 라이트 등을 광량 조절하면서 점등·소등하거나, 표시등이나 경고등을 점등·소등하거나, 표시 패널상에 스피드를 표시하는 등의 제어를 행한다. 발동기(4)는 전동 모터나 내연 기관(엔진) 등의 차량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제어 수단(1)으로부터의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그 발동기(4)의 출력 제어가 행해지고, 발동기(4)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차량을 주행시키거나 정지시키거나 할 수 있다. 이러한 발동기(4)에 있어서 회전수가 변화하는 경우, 즉 액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거나 하는 등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발동기(4)로부터는 회전수 등의 상태 신호가 발생된다. 제어 수단(1)에서는 그 상태 신호를 취득하면, 취득한 상태 신호에 따른 작동 상태를 표시하도록 표시 수단(3)을 제어한다. 발음 수단(5)은 예를 들면 FM 음원이나 PCM 음원 등의 여러가지의 음원 방식이 채용 가능한 음원 모듈로서, 복수의 채널에서 악음 신호의 동시 발생이 가능하다. 그 발음 수단(5)에서는 제어 수단(1)으로부터의 발음 제어 신호(악음의 발음/소음 지시 등)에 따라, 미리 ROM 등에 기억 완료된 소정의 효과음이나 음성 등의 악음을 읽어 내어 발음 처리한다. 또한, 발음 수단(5)은 전용의 회로 장치로서 실현해도 되고, DSP(Digital Signal Processor)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실현하여도 된다.
이 실시예에 나타내는 차량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어 수단(1)이 해당 차량의 전기 제어에 관련하는 제어 프로그램인 「메인 처리」(후술하는 도 4 참조)를 실행함으로써, 해당 차량이 주행 대기 중의 상태인지의 여부, 탑승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각종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지하고, 검지한 각 상태에 부합하여 소정의 효과음이나 음성 등의 악음을 탑승자를 향해 발생시킴과 함께, 그 발생시킨 악음에 맞춘 표시 동작을 행하도록 해당 차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수단(1)은 항상 발동기(4)의 회전수에 부합한 차량의 주행 상태, 혹은 조작 수단(2)의 조작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각종 기기의 작동 상태 등을 검지하고 있고, 그 검지한 상기 각 상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발음 제어 신호나 표시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표시 수단(3)이나 발음 수단(5)을 제어함으로써, 탑승자에 대하여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차량의 상태를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메인 처리」 등의 제어 수단(1)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 소정의 효과음이나 음성 등의 악음의 기초로 되는 악음 데이터, 혹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대응하여 발생시킬 악음의 발생 시간(발생 주기 또는 발생 간격)을 정의한 주기 테이블 등의 각종 데이터는 미리 ROM이나 RAM 등에 기억된다. 이와 같이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주행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나 흔들림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상기 ROM 혹은 RAM 등의 반도체 기억 소자인 것이 좋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에 생기는 진동이나 흔들림에 견뎌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라면 하드디스크라도 되며, 혹은 플렉시블 디스크(FD), 컴팩트 디스크(CD-R0M, CD-RAM), 광자기 디스크(M0),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착탈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외부 기억 매체를 이용하는 외부 기억 수단이라도 된다.
또한, 차량 전체의 동작 제어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태로 한정하지 않고, DSP에 의해 처리되는 마이크로프로그램의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며, 또한, 이 종류의 프로그램의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디스크리트 회로 또는 집적 회로 혹은 대규모 집적 회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용 하드웨어 장치의 형태로 실시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표시 패널의 패널 구성 및 표시 패턴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각각 도면을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2는 표시 패널의 패널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인디케이터부(I)에 있어서의 각 셀(I1∼I11)을 이용하여 표현 가능한 표시 패턴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실시예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P)은 수치 표시부(S)와, 인디케이터부(I)와, 주행 상태 표시부(C)와, 연료 표시부(E)를 포함한다. 수치 표시부(S)는 수치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으로서, 예를 들면 차량의 주행 스피드나 발동기(4)의 회전수 등을 수치로 표시한다. 인디케이터부(I)는 각 기기의 작동 상태를 시각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으로서, 표시 에리어인 타원 형상으로 배치된 11개의 셀(I1∼I11)의 각각이 적절한 순으로 점등(혹은 소등)을 반복함으로써, 해당 차량에서의 각 상태에 맞춘 다양한 표시 패턴을 표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행 상태 표시부(C)는 차량의 주행 상태, 즉 차량이 현재 주행 상태인지 주행 대기 상태(즉 액셀을 조작함으로써 언제라도 발진 가능한 상태)인지를 통지하기 위한 표시 영역으로서,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RUN」 표시가 점등되고,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IDLE」 표시 가 점등된다. 연료 표시부(E)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나 연료 탱크 내의 연료의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이다. 이상과 같은 표시 패널(P)에 있어서의 각 표시 영역에서의 표시에 의해, 탑승자에 대하여 차량의 동작 상태나 각 기기의 작동 상태를, 악음을 발하여 청각적으로 통지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인디케이터부(I)에서의 각 셀(I1∼I11)을 각각 점등·소등함으로써 표현 가능한 표시 패턴에 대하여 나타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도 3(a)는 각 셀(I1∼I11)을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등함으로써 표현되는 표시 패턴이다. 즉, 전체 소등 상태로부터 1번째의 셀(I1)을 점등, 1번째의 셀(I1)에 더하여 2번째의 셀(I2)을 점등,…, 1∼10번째의 셀(I1∼I10)에 더하여 11번째의 셀(I11)을 점등, 전체 소등,…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표현되는 표시 패턴이다. 셀(I1∼I11)의 전부가 1주 하도록 하여 점등할 때까지 주기(이하, 표시 주기라고 한다)를 악음의 발생 주기와 동기시킴으로써, 청각적 통지 양태와 시각적 통지 양태를 대응시키고 있다. 이러한 표시 패턴은 상기 외에 다양한 표시 패턴이 있어도 된다. 그 밖의 표시 패턴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3(b)에 도시하는 것 같은 반시계 방향으로 각 셀(I11∼I1)을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것,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셀(I1)∼셀(I11) 사이에서 왕복하도록 각 셀을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것, 도 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셀(I1)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셀(I11)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동시에 점등을 개시하는 것, 도 3(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셀(I6)로부터 동시에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점등을 개시하는 것, 도 3(f)에 도시하는 바 와 같은 셀(I1∼I6)까지와 셀(I11∼I6)까지의 사이를 각각 왕복하도록 각 셀을 점등하는 것, 등 다양한 표시 패턴이 있어도 된다. 전술한 표시 패턴에서는, 점등하는 셀을 순차적으로 누산하여 증가시키는 형태로 표시를 행하고 있었지만, 반대로, 전체 점등 상태로부터, 점등하는 셀을 순차적으로 감소시켜 가는 형태로 표시를 행하여도 된다. 또한, 점등하는 셀을 소등시킨 후에, 다음 셀을 점등시키는 형태(점등하는 셀 수를 1 혹은 소정 수로 고정하고, 점등하는 셀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형태)로 표시를 행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표시 패턴을 도시하지 않은 패널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탑승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차량에 있어서는 해당 차량이 주행 대기 중인 상태인지의 여부, 탑승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플래셔 등의 각종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지하고, 검지한 각 상태에 부합하는 양태로 탑승자에 대하여 청각적 및 시각적으로 차량의 상태를 통지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 통지를 행하는 「메인 처리」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어 수단(1)이 실행하는 「메인 처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어 수단(1)에서는 메인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어 차량에 대하여 전력 공급이 개시(즉 전원 온)됨과 함께 해당 메인 처리를 개시하고, 메인 스위치가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즉 전원 오프)될 때까지 해당 메인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탑승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대상을 방향 지시기(플래셔)로 한 경우를 예 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차량의 주행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워킹 메모리로서 이용되는 내부 상태 메모리(도면에서는 STATE라 표시하였다)에 대하여, 초기치로서 「CHK」를 설정해 둔다(단계 S1). 그리고, 셀프 체크를 실행한다(단계 S2). 셀프 체크에서는, 예를 들면 엔진 오일이나 머플러의 온도 체크, 혹은 전압 상태의 확인이나 각종 전기 기기·부품에의 통전 상태 등의 확인 등을 행하여, 필요에 따라 경고등을 점등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셀프 체크가 종료하면, 「그 밖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 그 「그 밖의 처리」의 일례를 몇가지 들면, 발동기(4)의 출력 제어, 조작 수단(2)의 각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한 일반적인 각종 기기의 작동 제어(예를 들면, 헤드 라이트나 플래셔의 점등·소등 제어 등), 차량의 내부 상태(예를 들면, 발동기(4)의 회전수 혹은 차량의 현재의 주행 스피드나 지금까지의 주행 거리 등)를 표시 패널(P)(도 2 참조)상에 표시하는 제어 등을 행하는 처리 등이 있다. 단계 S4에서는, 탑승자(특히 운전자)에 의해 조작 수단(2)에 포함되는 조작자 중, 액셀이 조작되어 액셀이 개방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액셀이 조작되어 액셀이 개방된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4의 예), 해당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다고 하여 내부 상태 메모리(STATE)를 「RUN(주행중)」으로 설정한다(단계 S5). 한편, 액셀이 아직 조작되지 않아 액셀이 개방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4의 아니오), 해당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다고 하여 내부 상태 메모리(STATE)를 「IDLE(주행 대기(아이들링)중)」으로 설정한다(단계 S10).
단계 S6에서는, 「대기 상태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대기 상태 통지 처리」는 서브루틴 프로그램으로서, 해당 「메인 처리」로부터 내부 상태 메모리(STATE)에 설정된 값을 인수로서 수취하여 처리를 개시한다. 「대기 상태 통지 처리」에서는, 인수(STATE)에 부합한, 즉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 경우(인수가 RUN인 경우)와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인수가 IDLE인 경우)에 따라, 각각 상이한 발음 시간 길이에서의 악음의 발생 제어와 상이한 표시 양태에서의 패널 표시 제어를 행하는 처리이다. 이러한 「대기 상태 통지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서는 후술한다(도 5 참조). 단계 S7에서는, 플래셔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워킹 메모리로서 이용되는 조작 상태 메모리(도면에서는 DIR이라 표시하였다)를, 탑승자(특히 운전자)에 의한 방향 지시 스위치의 조작에 응답하여 「LEFT」, 「NUTRAL」, 「RIGHT」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한다. 즉, 차량 좌측의 전후에 배치된 복수의 플래셔를 작동하기 위해 방향 지시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LEFT」를, 차량에 배치된 모든 플래셔의 작동을 정지하기 위해 방향 지시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는「NUTRAL」을, 차량 우측의 전후에 배치된 복수의 플래셔를 작동하기 위해 방향 지시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RIGHT」를, 조작 상태 메모리(DIR)에 각각 설정한다.
단계 S8에서는, 「작동 상태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작동 상태 통지 처리」는 서브 루틴 프로그램으로서, 해당 「메인 처리」로부터 조작 상태 메모리(DIR)에 설정된 값을 인수로서 수취하여 처리를 개시한다. 「작동 상태 통지 처리」에서는, 플래셔가 작동하도록 방향 지시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인수가 LEFT 또 는 RIGHT인 경우) 있어서 플래셔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각각 상이한 발음 시간 길이에서의 악음의 발생 제어와 상이한 표시 양태에서의 패널 표시 제어를 행하는 처리이다. 이러한 「작동 상태 통지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서는 후술한다(도 6 참조). 단계 S9에서는, 메인 스위치가 조작되어 해당 차량이 전원 오프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원 오프로 된 경우에는(단계 S9의 예), 해당 「메인 처리」를 종료한다. 전원 오프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9의 아니오), 상기 단계 S3의 처리로 되돌아가 상기 단계 S3 내지 단계 S10까지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다음으로, 해당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탑승자에 대하여 통지하는 「대기 상태 통지 처리」(도 4의 단계 S6 참조)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대기 상태 통지 처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b)는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A마다 상기 「대기 상태 통지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되어, 상기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A마다 악음을 발생하도록 음원 모듈을 제어하는 「인터럽트 처리 A」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c)는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B마다 상기 「대기 상태 통지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되어, 상기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B마다 표시 패턴을 변화하도록 표시 패널을 제어하는 「인터럽트 처리 B」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단계 S11에서는, 메인 처리로부터 건네받은 인수(STATE)를 현재의 주행 상태로서 현재 상태 메모리(도면에서는 ST라 표시하였다)에 세트한다. 단계 S12에서는, 전술한 「메인 처리」(도 4 참조)로부터 건네받은 인수(STATE)가, 전회의 「대기 상태 통지 처리」를 종료한 시점에서의 상태(도면에서는 LAST_STATE라 표시하였다)로부터 변화하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인수(STATE)가 전회의 처리 종료 시점에서의 상태(LAST-STATE)로부터 변화하지 않은 경우, 즉 주행 상태 또는 주행 대기 상태를 유지한 채의 상태인 경우에는(단계 S12의 아니오), 해당 「대기 상태 통지 처리」를 종료하여 「메인 처리」로 처리를 되돌린다. 즉, 이 경우에는, 현재의 발음 주기를 변경하는 일없이 악음의 발음 처리를 속행하고, 또한 현재의 표시 주기를 변경하는 일없이 표시 패널의 표시 처리를 속행한다. 한편, 인수(STATE)가 전회의 처리 종료 시점에서의 상태(LAST_STATE)로부터 변화해 있는 경우에는(단계 S12의 예), 음원 모듈의 리셋 및 표시 패널의 리셋을 행한다(단계 S13). 즉, 현재 발생 중인 악음을 강제적으로 소음하기 위해, 음원 모듈을 리셋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인디케이터부(I)의 각 셀(I1∼I11)의 전부를 소등함과 함께, 주행 상태 표시부(C)에서의 문자열 표시(RUN 표시 또는 IDLE 표시) 중, 현재의 주행 상태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문자열 표시를 점등하고 다른쪽을 소등하도록 절환하기 위해서, 표시 패널(P)상의 각 표시를 리셋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14에서는, 전회의 처리 종료 시점에서의 상태(LAST_STATE)에 「메인 처리」로부터 건네받은 인수(STATE)를 세트한다. 또한, 주기 테이블에 정의된 차량의 주행 상태(STATE=RUN) 또는 주행 대기 상태(STATE=IDLE)마다의 악음의 발생 시간(발생 주기 또는 발생 간격) 중, 인수(STATE)에 대응한 발생 주기를 읽어 내고, 그 읽어낸 발생 주기를 주기 C로 세트한다. 단계 S15에서는, 인터럽트 처리 A를 실행하는 타이밍인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A에, 상기 산출한 주기 C를 세트한다. 이에 따라, 인터럽트 처리 A는 주기 C마다 기동하게 된다. 단계 S16에서는, 인터럽트 처리 B를 실행하는 타이밍인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B로서, 상기 산출한 주기 C를 1/N배하여 산출한 주기, 즉 악음의 발생 주기의 1/N배의 주기를 세트한다. 이와 같이, 「대기 상태 통지 처리」에서는 차량이 주행중인지 주행 대기중인지에 따라,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A 및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B를 각각 설정한다.
도 5(b)에 나타낸 인터럽트 처리 A는, 상기 「대기 상태 통지 처리」에 있어서 설정된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A에 따라서 실행되는 처리이다. 단계 S21에서는, 음원 모듈(발음 수단(5))에 대하여 발음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음원 모듈에 대하여 발음 제어 신호로서 노트 온(악음 발음 지시) 신호와 노트 오프(악음 소음 지시) 신호를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A마다 교대로 송신한다. 음원 모듈에서는 노트 온 신호를 수신하면 악음을 발음시키고, 노트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악음을 소음한다. 따라서, 악음은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A마다 발음·소음이 반복된다. 예를 들면, 산출된 주기 C(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A)가 5초이도록 한 경우에는, 5초 간격으로 노트 온 신호·노트 오프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발음 시간 길이 5초의 악음의 발음 시간과 무음 시간이 5초 간격으로 반복하여 발생되게 된다. 또한, 상기 단계 S21의 처리에서, 악음으로서 감쇠계의 악음이나 펄스적인 악음을 이용한 경우에는 노트 오프 신호를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도 5(c)에 나타낸 인터럽트 처리 B는, 상기 「대기 상태 통지 처리」에 있어서 설정된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B에 따라서 실행되는 처리이다. 단계 S31에서는, 변수(i)(정수 값)가 0보다도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변수(i)가 0 이상인 경우에 는(단계 S31의 예), 인디케이터부(I)의 i번째의 셀(Ii)을 점등하도록 표시 패널(표시 수단(2))에 대하여 표시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32). 또한, 점등하는 셀을 순차적으로 줄여 가는 형태의 표시 패턴인 경우는, 인디케이터부(I)의 i번째 셀(Ii)을 소등시키는 표시 제어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단계 S33에서는, 변수(i)에 1을 가산한다. 단계 S34에서는, 변수(i)가 12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변수(i)가 12와 동일한 경우에는(단계 S34의 예), 변수(i)에 0을 세트한다(단계 S35). 또한, 변수(i)가 0으로 세트된 경우의 인터럽트 처리 B는, 단계 S31에 있어서 변수(i)가 0보다 크지 않다고 판정되고, 단계 S31→단계 S33→단계 S34→종료라는 흐름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인디케이터부(I)의 어떤 셀도 점등되지 않는, 전체 소등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인디케이터부(I)에서의 각 셀(I1∼I11)을 주기 C의 1/N배의 주기로, 즉 악음의 발음 시간 주기 C의 1/N배로 각 셀(I1∼I11)을 순차적으로 점등하도록 하여 주행 상태 또는 주행 가능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인디케이터부가, 도 3(a), (b)와 같은 12종류의 점등 상태(점등 상태수가 12종류)로 구성되는 표시 패턴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N의 변수 값을 이 점등 상태수와 동수인 12로 설정하면, 1회의 악음의 발생마다 표시 패널(P)상의 셀(I1∼I11)의 각 점등이 정확히 1주하도록 표시시켜, 악음 발생과 인디케이터부의 표시 양태를 동기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디케이터부가, 도 3(c)와 같은 24종류의 점등 상태로부터 구성되는 표시 패턴으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상기 N의 변수 값을 점등 상태수와 동수인 24로 설정하고, 인디케이터부가, 도 3(d), (e)와 같은 6종류의 점등 상태로 구성되는 표시 패턴으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상기 N의 변 수 값을 점등 상태수와 동수인 6으로 설정하면, 악음 발생과 인디케이터부의 표시 양태를 동기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행 상태 또는 주행 가능 상태를 통지하기 위한 표시 양태로서, 악음의 발음 시간의 주기 C의 1/N배의 주기로 표시를 행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N배의 주기라도 된다(N은 임의의 정수). 또한, 발음 시간의 장단에 따라, N배로 할지 1/N배로 할지를 사용자가 적절히 절환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주행 상태 또는 주행 가능 상태에 부합하여 발생시키는 악음의 발음 주기에 맞추어 표시 주기를 변경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 주기에 맞추어 악음의 발음 주기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표시 패턴으로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어떠한 표시 패턴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주행 상태 또는 주행 가능 상태에서 표시 패턴을 상이하게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방향 지시 스위치의 조작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플래셔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인 것을 탑승자에 대하여 통지하는 「작동 상태 통지 처리」(도 4의 단계 S8 참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작동 상태 통지 처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b)는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C마다 상기 「작동 상태 통지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되어, 상기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C마다 플래셔의 점등 및 악음의 발생을 제어하는 「인터럽트 처리 C」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41에서는, 메인 처리로부터 건네받은 조작 상태(DIR)가 「NUTRAL」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조작 상태(DIR)가 「NUTRAL」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41의 아니오), 현재 점멸 작동중인 플래셔 전부를 소등하고(단계 S45), 인터럽트 처리 C를 실행하는 타이밍인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C의 설정을 해제한다(단계 S46). 이 경우, 인터럽트 처리 C는 실행되지 않는다. 한편, 조작 상태(DIR)가 「NUTRAL」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LEFT」 또는 「RIGHT」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41의 예), 해당하는 복수의 플래셔 전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2). 해당하는 복수의 플래셔 전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단계 S42의 예),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C에 주기 M을 세트한다(단계 S43). 이 주기(M)는 플래셔 정상 작동시에서의 플래셔의 점등 주기 및 대응하는 악음의 발음 주기에 상당한다. 플래셔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차량 전후에 배치된 복수의 플래셔의 한쪽이 벌브 끊김을 일으키고 있어 플래셔의 온 조작이 행해졌음에도 불구하고 한쪽의 플래셔가 점멸을 행하지 않은 것과 같은 경우에는(단계 S42의 아니오),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C에 주기 M/2을 세트한다(단계 S44). 이와 같이, 「작동 상태 통지 처리」에서는 방향 지시 스위치의 조작에 응답한 플래셔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C에 상이한 주기를 각각 설정한다.
도 6(b)에 도시한 인터럽트 처리 C는, 상기 「작동 상태 통지 처리」에 있어서 설정된 타이머 인터럽트 주기 C에 따라서 실행되는 처리이다. 단계 S51에서는, 조작 상태(DIR)에 대응하는 플래셔의 점등/소등을 반전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51). 즉, 방향 지시 스위치의 조작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플래셔가 점멸하도록 플래셔를 제어한다. 단계 S52에서는, 해당하는 플래셔가 점등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점등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단계 S52의 예), 음원 모듈(발음 수단(5))에 대하여 발음 제어 신호(예를 들면, 노트 온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53). 소등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단계 S52의 아니오), 음원 모듈에 대하여 발음 제어 신호(노트 오프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54). 이렇게 함으로써, 플래셔의 점멸 주기에 맞추어 악음을 발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플래셔 정상 작동시에 있어서는 악음의 발음 주기 및 플래셔의 점멸 주기를 주기 M으로, 플래셔 이상 작동시에 있어서는 악음의 발음 주기 및 플래셔의 점멸 주기를 주기 M/2의 주기로 압축하여, 각각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상기 단계 S54의 처리는, 악음으로서 감쇠계의 악음이나 펄스적인 악음을 이용한 경우에는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응답하여 작동 상태를 검지하는 대상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향 지시기(플래셔) 이외의 다른 기기라도 무방하며, 예를 들면 발동기나 배터리 등의 각종 기기의 이상을 검지하여 플래셔의 점멸에 의해 통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단, 예를 들면 발동기에 적용한 경우, 발동기의 이상 작동시에 있어서는 아이들링/주행 통지가 정상시의 1/2배의 주기로 행해지도록 한다. 즉, 각종 기기마다 이상 작동시의 통지 양태를 상이하게 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주행시에 있어서는 차속 등에 따라 표시 주기 혹은 발음 주기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악음의 발음 주기를 검지한 각 상태에 부합 하여 변경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악곡 데이터의 읽어내기 주기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상태에 부합하여 발생하는 악음의 피치를 상이하게 하여 통지함으로써, 탑승자는 보다 명확하게 각 상태를 이해하기 쉽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수단이 집중적으로 악음과 표시와의 동기를 제어·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악음 신호의 발생 상태 등에 부합한 신호를 적절하게 출력하도록 구성한 발음 수단(음원 장치)과의 협동에 의해 악음과 표시의 동기를 제어·관리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수단은 상기 신호를 표시 제어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수단의 처리 부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각 실시예에 관련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인 것, 혹은 탑승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각종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을, 시각적 통지 양태와 청각적 통지 양태를 대응지어 통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탑승자가 차량의 상태를 시각 및 청각을 통하여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조작 통지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및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나타내는 차량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제어 수단(1)이 해당 차량의 전기 제어에 관련하는 제어 프로그램인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메인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탑승자에 의한 메인 스위치의 조작이 해당 차량의 기동·정지를 지시하는 것인 경우에, 소정의 효과음이나 음성 등의 악음을 탑승자를 향하여 발생시킴과 함께, 그 발생시킨 악음에 맞추어 서서히 상태 천이하도록 라이트류의 점등·소등 동작을 행하도록 해당 차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수단(1)은 항상 메인 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검지하고 있고, 그 검지한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발음 제어 신호나 표시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표시 수단(3)이나 발음 수단(5)을 제어함으로써, 탑승자에 대하여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차량의 기동·정지를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표시 수단(3)을 제어하는 경우, 차량의 기동시에는 서서히 라이트류의 광량을 올리도록 하여 점등함으로써 마치 「차량이 눈뜨다」와 같이, 차량의 정지시에는 서서히 라이트류의 광량을 낮추도록 하여 소등함으로써 마치 「차량이 잠들다」와 같이 하여, 차량의 기동·정지를 탑승자에 대하여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도, 「메인 처리」 등의 제어 수단(1)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 소정의 효과음이나 음성 등의 악음의 기초로 되는 악음 데이터, 차량의 내부 상태에 부합하여 각종 제어 파라미터를 정의한 통지 양태 테이블(자세하게는 후술한다) 등의 각종 데이터는 미리 ROM이나 RAM 등에 기억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서는, 적합하게는 차량의 주행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나 흔들림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상기 ROM 혹은 RAM 등의 반도체 기억 소자인 것이 좋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흔들림에 견뎌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라면 하드디스크라도 되며, 혹은 플렉시블 디스크(FD), 컴팩트 디스크(CD-R0M, CD-RAM), 광자기 디스크(M0),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착탈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외부 기억 매체를 이용하는 외부 기억 수단이어도 되고, 혹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여도 무방하다.
여기에서, ROM이나 RAM 혹은 외부 기억 장치 등에 기억되는 통지 양태 테이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통지 양태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통지 양태 테이블은 차량의 기동시부터 정지시까지의 사이에서의 차량의 내부 상태마다에 부합하여 표시 수단(3)이나 발음 수단(5)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파라미터를 정의한 데이터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수평 방향에 차량의 내부 상태에 대응하는 내부 상태 플래그를, 수직 방향에 각종 제어 파라미터를 정의한 예를 나타내었다.
내부 상태 플래그 「CHECK」는 차량의 내부 상태로서, 탑승자에 의한 메인 스위치의 온 조작으로부터, 예를 들면 차량에서의 전압 상태의 확인이나 각종 전기 기기·부품에의 통전 상태 등의 확인 처리 등을 행하는 셀프 체크 종료까지의 상태, 즉 차량이 기동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내부 상태 플래그 「STANDBY」는 상기 셀프 체크가 정상 종료한 상태, 즉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내부 상태 플래그 「SHUTDOWN」은 탑승자에 의한 메인 스위치의 오프 조작으로부터 차량이 완전 정지하기까지의 상태, 즉 차량이 정지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내부 상태 플래그 「RUN」은 탑승자에 의한 액셀레이터 조작에 의해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 즉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각 내부 상태 플래그는 탑승자에 의한 조작 등에 응답하여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내부 상태 메모리(STATE)에 대응한다(후술의 도 8에 나타내는 메인 처리 참조).
통지 양태 테이블에서는 상기한 내부 상태 플래그의 각각에 부합하여, 복수의 제어 파라미터가 정의된다. 제어 파라미터로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악음 지시 정보(TONE), 악음 발생 시간 정보(TONE_T), 광량 지시 정보(LIGHT), 플래셔 제어 정보(FLASHER) 등이 있다. 악음 지시 정보(TONE)는 차량의 내부 상태에 대응하여 발생시키는 악음을 지정하기 위한, 예를 들면 악음 데이터마다 미리 부여되어 있는 고유의 ID 번호 등의 정보이다. 악음 발생 시간 정보(TONE_T)는 차량의 내부 상태에 대응하여 발생시키는 악음의 발생 시간(발생 주기 또는 발생 간격)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밀리초 단위에서의 발생 시간이 정의된다. 광량 지시 정보(LIGHT)는 등화할 각종 램프류(예를 들면, 헤드 램프, 테일 램프, 패널 라이트 등)의 광량을 지정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0.0∼1.0까지의 적절한 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해당 값이 0.0인 경우가 각종 램프류를 소등한 상태를 정의하고, 해당 값이 1.0인 경우가 각종 램프류를 최대 광량으로 점등한 상태를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그 광량 지시 정보(LIGHT)의 값에 따라, 소등 상태로부터 최대 광량에서의 점등 상태까지의 사이에서 광량을 제어하여 각종 라이트류를 점등한다. 플래셔 제어 정보(FLASHER)는 플래셔를 점멸 제어할지의 여부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해당 값이 1인 경우에는 플래셔를 점멸 제어하고, 0인 경우에는 플래셔를 점멸 제어하는 일 없이 소등 상태로 하여 두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통지 양태 테이블은 탑승자에 의한 차량의 기동·정지 조작에 기초하여 상태 변위할 수 있는 차량의 내부 상태(즉 차량에서의 내부 동작 상황)에 대응하여, 발생시킬 악음, 그 악음의 발생 시간(발생 주기 또는 발생 간격), 등화 제어 대상의 램프류의 광량, 플래셔의 점멸 유무 등을 제어 파라미터로서 정의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차량에서는, 탑승자에 의한 메인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 등에 응답하여 차량의 내부 상태(기동 상태(CHECK), 주행 대기 상태(STANDBY), 주행 상태(RUN), 정지 대기 상태(SHUTDOWN) 등)가 상태 변위할 때마다, 상기 통지 양태 테이블에 정의 완료된 각종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악음의 발음 제어가 행하여짐과 함께, 서서히 광량을 천이시키면서 점등·소등을 행하도록 소정 라이트류의 등화 제어가 행해진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탑승자에 대하여 청각적 및 시각적으로 차량의 기동·정지를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통지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메인 처리」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제어 수단(1)이 실행하는 「메인 처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어 수단(1)에서는 메인 스위치가 온 조작되어 차량에 대하여 전력 공급이 개시(즉 전원 온)됨과 함께 해당 메인 처리를 개시하고, 메인 스위치가 오프 조작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즉 전원 오프)될 때까지 해당 메인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우선, 차량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워킹 메모리로서 이용되는 내부 상태 메모리(도면에서는 STATE라 표시했다)에 대하여, 초기치로서 「CHECK」를 설정한다(단계 S61). 그리고, 셀프 체크를 실행한다(단계 S62). 셀프 체크에서는, 예를 들면 엔진 오일이나 머플러의 온도 체크, 혹은 전압 상태의 확인이나 각종 전기 기기·부품에의 통전 상태 등의 확인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63에서는 상기 셀프 체크의 결과, 차량에 이상이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셀프 체크에 있어서 이상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63의 예), 내부 상태 메모리(STATE)를 「STANDBY(주행 대기 상태)」로 설정한다(단계 S64). 한편, 셀프 체크에 있어서 이상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63의 아니오), 내부 상태 메모리(STATE)를「NG(이상 상태)」로 설정한다(단계 S66). 상기 단계 S64 혹은 단계 S66의 종료 후, 각각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65 또는 단계 S67). 「통지 처리」는 서브루틴 프로그램으로서, 해당 「메인 처리」로부터 내부 상태 메모리(STATE)에 설정된 값을 인수로서 수취하여 처리를 개시한다. 「통지 처리」에서는 인수(STATE)에 부합한, 즉 차량이 기동 상태에 있는 경우(인수가 CHECK인 경우),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인수가 STANDBY인 경우), 해당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 경우(인수가 RUN인 경우), 해당 차량이 「정지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인수가 SHUTDOWN인 경우), 혹은 해당 차량이 셀프 체크 이상 상태에 있는 경우(인수가 NG인 경우) 등에 따라, 각각 악음의 발음 제어와 라이트류의 등화 제어를 행하는 처리이다. 이러한 「통지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서는 후술한다(도 9 참조).
단계 S68에서는, 「그 밖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 「그 밖의 처리」의 일례를 몇 개 들면, 발동기(4)의 출력 제어, 조작 수단(2)의 각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한 일반적인 각종 기기의 작동 제어(예를 들면, 통상의 조작에 기초하는 헤드 라이트나 플래셔의 등화 제어 등), 차량 주행시에 있어서의 발동기(4)의 회전수나 주행 스피드 혹은 주행 거리 등을 액정 표시 패널상에 표시하는 제어 등을 행하는 처 리 등이 있다. 단계 S69에서는, 탑승자(특히 운전자)에 의해 조작 수단(2)에 포함되는 조작자 중, 액셀이 조작되어 액셀이 개방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액셀이 아직 조작되지 않아 액셀이 개방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69의 아니오), 해당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다고 하여 내부 상태 메모리(STATE)를 「STANDBY(주행 대기 상태)」로 설정한다(단계 S70). 한편, 액셀이 조작되어 액셀이 개방된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69의 예), 내부 상태 메모리(STATE)가 이미 「RUN(주행중)」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1). 아직 「RUN(주행중)」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71의 아니오), 해당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다고 하여 내부 상태 메모리(STATE)를 「RUN(주행중)」으로 설정하고(단계 S72), 이것을 인수로서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73).
단계 S74에서는, 메인 스위치가 오프 조작되어 해당 차량이 전원 오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원 오프된 경우에는(단계 S74의 예), 해당 차량이 「정지 대기 상태」에 있다고 하여 내부 상태 메모리(STATE)를 「SHUTDOWN(정지 대기 상태)」로 설정하고(단계 S75), 이것을 인수로서 「통지 처리」를 실행하고 나서(단계 S76), 해당 「메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전원 오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74의 아니오), 상기 단계 S68의 처리로 되돌아가 상기 단계 S68 내지 단계 S74까지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처리」로부터 건네받은 인수에 기초하여, 차량의 내부 상태에 부합하여 악음의 발음 제어와 라이트류의 등화 제어를 행하는 서브 루틴 프로그램 「통지 처리」(도 8의 단계 S65, 단계 S67, 단계 S73, 단계 S76 참조)에 대하여,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통지 처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 이 실시예에서는, 라이트의 광량 제어를 행하는 루프 처리(후술하는 단계 S88 내지 단계 S90의 처리)를 1밀리초당 1회 처리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우선, 단계 S81에서는, 메인 처리로부터 건네받은 인수(내부 상태 메모리(STATE)와 동일한 내용)에 기초하여, 전술한 통지 양태 테이블로부터 해당하는 악음 발생 시간 정보(TONE_T[STATE]) 및 광량 지시 정보(LIGHT[STATE])를 읽어낸다. 단계 S82에서는, 현재의 라이트 광량을 취득한다. 즉, 현시점에서의 각종 라이트류마다의 점등 상황을 조사하여, 특히 점등중인 라이트의 광량을 취득한다. 단계 S83에서는, 음원 모듈에 대하여 인수(STATE)에 대응하는 악음 발생 지시를 부여한다. 즉, 통지 양태 테이블의 대응하는 악음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파형 데이터 등을 읽어 내고, 그 읽어낸 파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음 처리를 행하도록 음원 모듈에 지시한다. 단계 S84에서는, 광량을 제어하는 시간을 지정하기 위한 시간 파라미터(T)(단위: 밀리초)를 0으로 세트한다. 단계 S85에서는, 통지 양태 테이블의 대응하는 플래셔 제어 정보(FLASHER[STATE])가 1 및 0 중 어느 것으로 정의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플래셔 제어 정보(FLASHER[STATE])가 1로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85의 예), 플래셔를 ON(점멸) 상태로 한다(단계 S86). 한편, 플래셔 제어 정보(FLASHER[STATE])가 0으로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85의 아니오), 플래셔를 OFF(소등) 상태로 한다(단계 S87).
단계 S88에서는, 악음 발생 시간 정보(TONE_T[STATE])에 정의된 시간내에 광량이 광량 지시 정보(LIGHT[STATE])에 정의된 광량까지 서서히 변화하도록 각 라이트류에의 공급 전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LIGHT[STATE]-현 라이트 광량)/TONE_T[STATE]”의 변화율로 선형적으로 라이트의 광량이 변화하도록 라이트에의 공급 전력이 제어된다. 단계 S89에서는, 시간 파라미터(T)에 1을 가산한다. 단계 S90에서는, 그 시간 파라미터(T)가 악음 발생 시간 정보(TONE_T[STATE])에 정의된 시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시간 파라미터(T)가 정의된 시간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단계 S90의 아니오), 단계 S88의 처리로 되돌아가 상기 단계 S88 내지 단계 S90까지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즉, 라이트류의 광량 제어는 루프 처리에 의해 실행되고, 악음의 발생 시간내에, 상기 단계 S82에 있어서 취득한 현재의 광량으로부터 광량 지시 정보(LIGHT[STATE])에 정의된 광량까지 서서히 광량이 변화해 가도록 라이트류의 등화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통지 양태 테이블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인수(STANDBY)에 의해 그 통지 처리가 읽어내진 경우에는 소등 상태(전원 온 직후이기 때문에 라이트는 소등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로부터 최대 광량(광량 지시 정보가 1.0으로 정의되어 있다)에서의 점등 상태로 하기까지 t1밀리초 걸려 서서히 변화하도록 제어하고, 인수(RUN)에 의해 그 통지 처리가 읽어내진 경우에는 바로 최대 광량에서의 점등 상태로 하도록 제어하고(악음 발생 시간 정보가 1(밀리초)로 정의되어 있다), 인수(SHUTDOWN)에 의해 그 통지 처리가 읽어 내어진 경우에는 현재의 점등 상태로부터 소등 상태로 하기까지 t2밀리초 걸려 서서히 변화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31에서는, 플래셔 제어 정보(FLASHER[STATE])가 1 및 0 중의 어느 쪽으로 정의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플래셔 제어 정보(FLASHER[STATE])가 1로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31의 예), 플래셔를 OFF(소등) 상태로 한다(단계 S92). 즉, 해당 단계 S92의 처리와 상기 단계 S86의 처리를 조합하여 실행함으로써, 악음 발생 시간내에 있어서 점멸 상태로 되도록 플래셔를 제어한다. 또한, 음원 모듈에 대하여 악음 종료 지시를 부여한다(단계 S93).
여기에서, 전술한 「메인 처리」의 실행에 수반하는 통지 양태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메인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에 응답하여 차량의 기동·정지가 행하여진 경우에서의 통지 양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위로부터 차례로, 메인 스위치, 내부 상태 메모리, 악음(사운드) 발생, 램프류의 광량, 플래셔의 각 상태 천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낸 데이터 내용의 통지 양태 테이블을 이용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우선, 탑승자에 의해 메인 스위치가 「ON」 위치로 회동되거나 하여 전원 온 조작되면, 제어 수단(1)은 셀프 체크를 실행함과 함께 내부 상태 메모리를 기동 상태(CHECK)로 설정한다. 셀프 체크가 정상 종료한 경우에는, 내부 상태 메모리를 기동 상태(CHECK)로부터 주행 대기 상태(STANDBY)로 설정하여,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통지 처리에서는 내부 상태 메모리(STANDBY)에 대응하는 악음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패턴 1(PTN1)에 상당하는 악음 데이터를 읽어내고, 그 읽어낸 악음 데이터를 악음 발생 시간(t1)만큼 재생하도록 악음을 발음 제어한다. 또한, 그 악음 발생 시간(t1)에 동기하도록 하여, 서서히 라이트류의 광량을 광량 지시 정보에 따른 광량(여기서는 최대 광량인 1.0)까지 높이도록 등화 제어한다. 또한, 플래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플래셔를 악음 발생 시간(t1)만큼 소정 주기마다 명멸을 반복하도록 점멸 제어한다. 악음 발생 시간(t1)이 지나면 패턴 1(PTN1)의 악음을 소음, 라이트류를 최대 광량으로 점등, 플래셔를 소등하도록 각각 제어한다. 이와 같이, 차량이 기동 상태로부터 주행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것에 부합하여, 소정 시간만큼 악곡을 발생시키거나, 광량을 천이시키면서 라이트류를 점등하거나, 플래셔를 점멸시키거나 함으로써, 차량이 탑승자에 의한 액셀레이터 조작에 응답하여 주행할 수 있는 「스탠바이 상태(주행 대기 상태)」로 이행한 것을 탑승자에 대하여 통지한다. 이렇게 하면, 마치 「차량이 눈뜨다」와 같은 통지 양태로 차량의 기동을 통지하므로, 탑승자는 차량이 기동하여 주행 대기 상태로 된 것을 이해하기 쉽다.
한편,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STANDBY)에 있는 경우에, 탑승자에 의해 메인 스위치가 「OFF」 위치로 회동되거나 하여 전원 오프 조작되면, 제어 수단(1)은 내부 상태 메모리를 정지 대기 상태(SHUTDOWN)로 설정하고,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통지 처리에서는 내부 상태 메모리(SHUTDOWN)에 대응하는 악음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패턴 2(PTN2)에 상당하는 악음 데이터를 읽어내고, 그 읽어낸 악음 데이터를 악음 발생 시간(t2)만큼 재생하도록 악음을 발음 제어한다. 또한, 그 악음 발생 시간(t2)에 동기하도록 하여, 서서히 라이트류의 광량을 광량 지시 정보에 따른 광량(여기서는 최저 광량인 0.0)까지 내리도록 등화 제어한다. 또한, 플래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플래셔를 악음 발생 시간(t2)만큼 소정 주기마다 명멸을 반복하도록 점멸 제어한다. 악음 발생 시간(t2)이 지나면 패턴 2(PTN2)의 악음을 소음, 라이트류 및 플래셔를 함께 소등하도록 각각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로부터 정지 대기 상태로 천이한 것에 부합하여, 소정 시간만큼 악곡을 발생하거나, 광량을 천이시키면서 라이트류를 소등하거나, 플래셔를 점멸시킴으로써, 차량이 「정지 대기 상태」로 이행한 것을 탑승자에 대하여 통지한다. 이렇게 하면, 마치 「차량이 잠들다」와 같은 통지 양태로 차량의 정지를 통지하므로, 탑승자는 차량이 정지 상태로 된 것을 이해하기 쉽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차량이 「스탠바이 상태(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탑승자에 의한 액셀레이터 조작이나 브레이크 조작 혹은 발동기(4)로부터의 상태 신호에 따라, 소정의 「주행 통지음」 등의 악음(PTNR)을 발생함으로써, 그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 것을 통지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스탠바이 상태=주행 대기 상태, 즉 탑승자에 의한 액셀레이터 조작만으로 차량을 주행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와는 달리 탑승자에 의한 액셀레이터 조작에 기초하여 차량을 주행 상태로 이행하기 위해, 미리 탑승자가 액셀레이터와는 별도의 기동 스위치를 조작해 두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엔진을 스타트하기 위한 보조 동력인 셀 스타터를 시동하기 위한 시동 스위치, 혹은 오조작 방지를 위한 시동 버튼(전동 차량에 있어서 시동 버튼을 누를 때까지는 모터에 대하여 전력 공급을 행하지 않는다) 등을 미리 조작하여 둘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차량의 내부 상태로서 상 기 「주행 대기 상태」와 상이한 「아이들링 상태」를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고, 주행 대기 상태로부터 이러한 아이들링 상태로 차량의 내부 상태가 이행한 경우에도, 악음의 발음 제어나 라이트류의 등화 제어나 플래셔의 점멸 제어 등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아이들링 상태」를 정의한 경우의 통지 양태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메인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에 응답하여 차량의 기동·정지가 행해진 경우에서의 통지 양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위로부터 차례로, 메인 스위치, 기동 스위치, 내부 상태 메모리, 악음(사운드) 발생, 램프류의 광량, 플래셔의 각 상태 천이를 나타내었다.
우선, 탑승자에 의해 메인 스위치가 「ON」 위치로 회동되거나 하여 전원 온 조작되면 셀프 체크가 실행되고, 셀프 체크가 정상 종료한 경우에는 내부 상태 메모리를 주행 대기 상태(STANDBY)로 설정하여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통지 처리에서는, 패턴 1(PTN1)에 상당하는 악음 데이터를 악음 발생 시간(t1)만큼 재생하도록 악음을 발음 제어한다. 또한, 해당 악음 발생 시간(t1)에 동기하도록 하여, 서서히 라이트류의 광량을 광량 지시 정보에 따른 광량(여기서는 0.6 정도)까지 높이도록 등화 제어한다. 또한, 플래셔를 악음 발생 시간(t1)만큼 소정 주기마다 명멸을 반복하도록 점멸 제어한다.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탑승자에 의해 기동 스위치가 온 조작되면, 내부 상태 메모리를 아이들링 상태(IDLE)로 설정하여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통지 처리에서는 패턴 3(PTN3)에 상당하는 악음 데이터를 악음 발생 시간(t3)만큼 재생하도록 악음을 발음 제어한다. 또한, 그 악음 발생 시간(t3)에 동기하도록 하여, 서서히 라이트류의 광량을 광량 지시 정보에 따른 광량(여기서는 최대 광량인 1.0)까지 높이도록 등화 제어한다. 또한, 플래셔를 악음 발생 시간(t3)만큼 소정 주기마다 명멸을 반복하도록 점멸 제어한다. 차량이 「아이들링 상태」에 있는 경우에, 탑승자에 의해 메인 스위치가 「OFF」 위치로 회동되거나 하여 전원 오프 조작되면, 제어 수단은 내부 상태 메모리를 정지 대기 상태(SHUTDOWN)로 설정하여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이 통지 처리는, 도 1O에 나타낸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부터 아이들링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도, 악음의 발음 제어나 라이트류의 등화 제어나 플래셔의 점멸 제어 등을 행함으로써, 차량이 각 상태로 이행한 것을 탑승자에게 대하여 통지한다.
또한, 차량의 내부 상태에 대응하여 발음시키는 악음의 발음 시간을 미리 통지 양태 테이블에 악음 발생 시간 정보로서 정의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발음 수단(5)(음원 유닛)으로부터 발음 지시를 행하고 있는 악음의 악음 데이터로부터 발음 시간 등을 취득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실제의 악음의 발음 시간과 제어 수단(1)이 계수하는 악음의 발음 시간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 경우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발음 수단(5)으로부터 발음 상태(발음중· 발음 종료 등)를 취득함으로써, 실제의 발음 종료 시점, 즉 발음 수단(5)으로부터의 발음 종료 신호를 제어 수단(1)이 수취한 시점에서 악음을 강제적으로 소음하거나, 라이트류의 광량을 강제적으로 지정 값(광량 지시 정보)으로 하는 등의 제어를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차량의 내부 상태에 부합하여 발생시키는 악음의 음량이 서서히 상태 천이하도록 악음의 발음 제어를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내부 상태에 부합하여 발생하는 악음 그 자체를 변경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동일한 악음 데이터의 읽어내기 주기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상태에 부합하여 발생하는 악음의 템포를 상이하게 하여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래셔는 차량의 내부 상태에 부합하여 점멸 주기나 점멸 패턴을 바꾸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통지 양태 테이블에서의 플래셔 제어 정보를 이들을 지정하는 정보로 바꾸면 된다.
또한, 라이트류의 광량 변화는 선형적인 변화 특성이 아니라도 되며, 발음 종료 시점에서 지정된 광량으로 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변화 특성이라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악음 발생 시간내에 라이트류의 광량을 변화하도록 하였지만, 반대로 라이트류의 광량을 변화하는 시간을 정의해 두고, 이에 맞추어 악음의 발생 시간을 결정하고 악음을 발생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통지 양태 테이블에는 제어 파라미터로서 악음 발생 시간 대신에 광량 변화 시간을 정의해 두고, 그 광량 변화 시간에 기초하여 라이트류의 등화 제어 및 악음의 발음 제어를 행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차량의 내부 상태로서는 상기 예시한 이외의 것을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차량에 의해서는 암증 키를 정의해 두고, 암증 로크의 세트/해제를 행하도록 한 것이 있다. 이러한 로크 설정/해제와 함께, 마찬가지로 동기한 악음 및 발광 통지를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관련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 통지를 행할 때에, 마치 「차량이 눈뜨다」 또는 「차량이 잠들다」와 같은 친근감이 있는 탑승자에게 이해하기 쉬운 통지 양태로 통지를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해당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에 대한 탑승자의 주의를 재촉하는 효과를 길게 지속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실제로 주행할 수 있는 차량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실제로는 주행하지 않는 차량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운전 시뮬레이터나 게임 기기에 이용되는 차량(또는 차량의 일부)이라도 된다. 물론, 차량은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에 한정되지 않고, 트랙터, 비행기, 배 혹은 전철 등,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을 차량에 내장된 장치 혹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구성의 일부 혹은 전부를 후장착의 장치 혹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차량의 기동·정지 통지 제어에 관한 제어 수단, 조작 수단, 표시 수단, 발음 수단을 한 세트로 한 것을 장치 혹은 기억 매체 등으로서 차량에 후장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을 실현하도록 하여도 된다.

Claims (26)

  1. 차량이 대기 상태와 주행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이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발음 주기 및 그 발음 주기의 N배(N은 임의의 정수) 또는 1/N배(N은 임의의 정수)에 상당하는 표시 주기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발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악음을 발생하는 악음 발생 수단과,
    복수의 표시 요소를 갖는 표시 수단과,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발음 주기에 따라서 상기 악음 발생 수단에 발음 제어 신호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표시 주기에 따라서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복수의 표시 요소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상기 복수의 표시 요소의 표시 양태의 변화 타이밍과, 상기 악음 발생 수단에서의 악음의 발생 타이밍이 서로 동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작 상태를 통지하는 상태 통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차량에 구비된 기기의 작동 상태를 통지하는 상태 통지 장치로서,
    조작에 응답하여 작동되는 대상 기기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대상 기기의 작동 상태가 정상이라고 검출하였을 경우, 제1 표시 주기에서 표시 요소의 표시 양태가 변화하도록 해당 표시 요소의 표시를 행하고, 상기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대상 기기의 작동 상태가 이상이라고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제1 표시 주기와 다른 제2 표시 주기에서 상기 표시 요소의 표시 양태가 변화하도록 해당 표시 요소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제1 표시 주기 또는 상기 제2 표시 주기에 동기한 발생 주기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악음을 발생하는 악음 발생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 발생 수단은 악음의 재생 시간 길이를 신축함으로써 상기 발생 주기를 상기 제1 표시 주기 또는 상기 제2 표시 주기에 동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표시 주기로 플래셔를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 제어 신호는 발음 지시 신호 및 소음 지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 발생 수단은 발음 지시 신호 및 소음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악음을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작동 상태가 검출되는 상기 대상 기기는 방향 지시기, 발동기,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장치.
  12. 차량에 구비된 컴퓨터에 그 차량의 동작 상태를 통지하는 상태 통지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차량은, 복수의 표시 요소를 갖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상태 통지 처리는,
    상기 차량이 대기 상태와 주행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순과,
    상기 검출 수순에 의해 상기 차량이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발음 주기 및 그 발음 주기의 N배(N은 임의의 정수) 또는 1/N배(N은 임의의 정수)에 상당하는 표시 주기를 설정하는 설정 수순과,
    상기 설정 수순에 의해 설정된 발음 주기에 따라서 발음 제어 신호를 발생함과 함께, 상기 설정 수순에 의해 설정된 표시 주기에 따라서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복수의 표시 요소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는 제어 수순과,
    상기 제어 수순에서 발생된 상기 발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악음을 발생하는 악음 발생 수순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순은,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상기 복수의 표시 요소의 표시 양태의 변화 타이밍과, 상기 악음 발생 수순에서의 악음의 발생 타이밍이 서로 동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13. 삭제
  14. 삭제
  15. 차량에 구비된 컴퓨터에 그 차량의 동작 상태를 통지하는 상태 통지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상태 통지 처리는,
    조작에 응답하여 작동되는 대상 기기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수순과,
    상기 검출하는 수순에서 상기 대상 기기의 동작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제1 표시 주기에서 표시 요소의 표시 양태가 변화하도록 소정의 표시 요소의 표시를 행하고, 상기 검출하는 수순에서 상기 대상 기기의 동작 상태가 이상인 것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제1 표시 주기와는 다른 제2 표시 주기에서 상기 표시 요소의 표시 양태가 변화하도록 해당 표시 요소의 표시를 행하게 하는 수순과,
    상기 제1 표시 주기 또는 상기 제2 표시 주기에 동기한 발생 주기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악음을 발생하는 수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16. 차량의 동작 상태를 통지하는 상태 통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복수의 표시 요소를 갖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상태 통지 방법은,
    상기 차량이 대기 상태와 주행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순과,
    상기 검출 수순에 의해 상기 차량이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발음 주기 및 그 발음 주기의 N배(N은 임의의 정수) 또는 1/N배(N은 임의의 정수)에 상당하는 표시 주기를 설정하는 설정 수순과,
    상기 설정 수순에 의해 설정된 발음 주기에 따라서 발음 제어 신호를 발생함과 함께, 상기 설정 수순에 의해 설정된 표시 주기에 따라서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복수의 표시 요소의 표시 양태를 변화시키는 제어 수순과,
    상기 제어 수순에서 발생된 상기 발음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악음을 발생하는 악음 발생 수순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순은,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상기 복수의 표시 요소의 표시 양태의 변화 타이밍과, 상기 악음 발생 수순에서의 악음의 발생 타이밍이 서로 동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차량의 작동 상태를 통지하는 상태 통지 방법으로서,
    조작에 응답하여 작동되는 대상 기기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수순과,
    상기 검출하는 수순에서 상기 대상 기기의 작동 상태가 정상이라고 검출하였을 경우, 제1 표시 주기에서 표시 요소의 표시 양태가 변화하도록 소정의 표시 요소의 표시를 행하고, 상기 검출하는 수순에서 상기 대상 기기의 작동 상태가 이상이라고 검출하였을 경우, 상기 제1 표시 주기와는 다른 제2 표시 주기에서 상기 표시 요소의 표시 양태가 변화하도록 해당 표시 요소의 표시를 행하게 하는 수순과,
    상기 제1 표시 주기 또는 상기 제2 표시 주기에 동기한 발생 주기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악음을 발생하는 수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통지 방법.
  20. 광량을 제어하여 점등 가능한 발광 수단과,
    적어도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작한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마다, 각 내부 동작 상황에 대응한 악음을 소정의 악음 발생 시간만큼 발생하는 발음 수단과,
    상기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마다, 소정 시간 내에서 서서히 광량이 증가 또는 감소해 가도록 하여 상기 발광 수단을 등화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조작 통지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마다, 상기 악음 발생 시간과 상기 소정 시간을 동기하여 악음의 발생과 발광 수단의 등화 제어를 각각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조작 통지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서 등화 제어되는 상기 발광 수단에 있어서의 광량의 증감율은, 광량 지시 정보 및 현재의 상기 발광 수단의 광량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조작 통지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발광 수단이 등화 제어되고 있을 때, 상기 차량에 구비된 방향 지시기의 점멸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조작 통지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 수단은, 기억 수단에 기억된 내부 동작 상황마다 미리 대응지어진 악음 데이터를 해당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내어, 상기 각 내부 동작 상황에 대응한 악음을 소정의 악음 발생 시간만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조작 통지 장치.
  25. 차량에 구비된 컴퓨터에 그 차량에서의 조작을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조작을 통지하는 처리는,
    적어도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수순과,
    상기 지시에 따라 동작한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마다, 각 내부 동작 상황에 대응한 악음을 소정의 악음 발생 시간만큼 발생하는 수순과,
    상기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마다, 소정 시간 내에서 서서히 광량이 증가 또는 감소해 가도록 하여 소정의 발광 장치를 등화 제어하는 수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26. 차량에서의 조작 통지 방법으로서,
    적어도 차량의 기동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수순과,
    상기 지시에 따라 동작한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마다, 각 내부 동작 상황에 대응한 악음을 소정의 악음 발생 시간만큼 발생하는 수순과,
    상기 차량의 내부 동작 상황마다, 소정 시간 내에서 서서히 광량이 증가 또는 감소해 가도록 하여 소정의 발광 장치를 등화 제어하는 수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통지 방법.
KR1020057013044A 2003-03-05 2004-03-02 차량에서의 상태 및 조작 통지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KR100689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58727 2003-03-05
JPJP-P-2003-00058726 2003-03-05
JP2003058726A JP2004268625A (ja) 2003-03-05 2003-03-05 車両における状態報知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3058727A JP4185384B2 (ja) 2003-03-05 2003-03-05 車両における操作報知装置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410A KR20050092410A (ko) 2005-09-21
KR100689909B1 true KR100689909B1 (ko) 2007-03-12

Family

ID=3296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044A KR100689909B1 (ko) 2003-03-05 2004-03-02 차량에서의 상태 및 조작 통지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3) EP1920975A1 (ko)
KR (1) KR100689909B1 (ko)
TW (1) TWI241962B (ko)
WO (1) WO2004078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7485B1 (de) 2010-01-28 2012-12-15 Avl Lis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hybridfahrzeuges
DE102011056688A1 (de) 2011-12-20 2013-06-20 Dr. Ing. H.C. F. Porsche Ag Kraftfahrzeug, insbesondere ein Hybrid- oder Elektrofahrzeug
US9527440B2 (en) 2014-12-29 2016-12-27 Volkswagen Ag Technologies for vehicle turn blinker audio and display processing
TWI577981B (zh) 2015-08-27 2017-04-11 久朝企業有限公司 交通工具的即時監測系統
ES2561729B1 (es) * 2015-11-10 2016-10-10 Seat, S.A. Procedimiento de señalización selectiva de un sistema de arranque de un motor de un vehículo
CN109263551A (zh) * 2018-09-07 2019-01-25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无需车载蜂鸣器和车载扬声器的语音提示系统及提示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6502A (ja) * 1998-03-17 1999-09-28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自動車の電源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1974A (en) 1981-02-04 1985-04-16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Load condition indic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orklift truck
JP2533770B2 (ja) 1987-04-15 1996-09-11 日立照明株式会社 負荷電力制御装置
JPH0470784A (ja) 1990-07-12 1992-03-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転写分離装置
JPH0470784U (ko) 1990-10-30 1992-06-23
JP2580037Y2 (ja) * 1991-09-13 1998-09-03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H05185883A (ja) * 1992-01-13 1993-07-27 Nippondenso Co Ltd 車両用警告表示装置
JPH0732948A (ja) 1993-07-20 1995-02-03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用疑似走行音発生装置
JPH0736504U (ja) * 1993-11-30 1995-07-04 株式会社三ツ葉電機製作所 疑似エンジン音発生装置
JPH07182587A (ja) * 1993-12-21 1995-07-21 Honda Motor Co Ltd 電気車両用擬似音発生装置
JPH07215128A (ja) * 1994-02-04 1995-08-15 Tokai Rika Co Ltd 異常報知装置
JP3110375B2 (ja) * 1994-03-29 2000-11-2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ルーフ昇降装置
US5808545A (en) 1994-05-20 1998-09-15 Brueggemann; Douglas C. Integrated vehicular electronic signalling system
DE19701801C2 (de) * 1996-12-20 1998-10-29 Aarcon Prauss Arminius Gmbh Vorrichtung zur Imitation von Motor- und Fahrzeuggeräuschen
JP4058803B2 (ja) * 1998-05-13 2008-03-12 マツダ株式会社 車外音情報導入支援装置
JPH11338486A (ja) * 1998-05-29 1999-12-10 Honda Access Corp 車両用エンジン音発生装置
JP2000020888A (ja) * 1998-07-07 2000-01-21 Aqueous Reserch:Kk エージェント装置
DE19854051C2 (de) * 1998-11-24 2001-05-23 Temic Semiconductor Gmbh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Vergleich eines Eingangssignals mit unterschiedlichen Spannungsschwellen in einem elektronischen Blinkgeber
JP2000272414A (ja) 1999-03-24 2000-10-03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ウインカ音発生装置
GB9917784D0 (en) * 1999-07-30 1999-09-29 Video Tech Designs Plc Noise simulator
US6515584B2 (en) * 2000-03-21 2003-02-04 Deyoung John W. Distinctive hazard flash patterns for motor vehicles and for portable emergency warning devices with pulse generators to produce such patterns
JP4852801B2 (ja) * 2001-07-03 2012-0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走行支援装置
JP2004051081A (ja) * 2002-05-27 2004-02-19 Yamaha Corp 車両及びその音響発生方法
JP2004268625A (ja) * 2003-03-05 2004-09-30 Yamaha Corp 車両における状態報知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6502A (ja) * 1998-03-17 1999-09-28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自動車の電源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1372A4 (en) 2007-07-11
TW200500238A (en) 2005-01-01
WO2004078526A1 (ja) 2004-09-16
TWI241962B (en) 2005-10-21
EP1918160A1 (en) 2008-05-07
KR20050092410A (ko) 2005-09-21
EP1920975A1 (en) 2008-05-14
EP1731372A1 (en) 200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7560B1 (en) Vehicle capable of giving information acoustically on its state, and method for giving information acoustically on the state of the vehicle
KR100689909B1 (ko) 차량에서의 상태 및 조작 통지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US6933838B2 (en) Informing sound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CN100364813C (zh) 车辆状态和操作告知设备及方法
JP5329132B2 (ja) シートベルト警報発生装置
JP4185384B2 (ja) 車両における操作報知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143475A (ja) バッテリ状態報知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状態報知方法
JP2004264196A (ja) 車両用計器および車両用計器の演出システム
JP4170847B2 (ja) 車載用楽音発生装置
KR100418689B1 (ko) 자동차의 연료절약 유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107044B2 (ja) 車両のエンジン自動停止・自動再始動装置
JP5652661B2 (ja) 警光灯制御システム、警光灯、警光灯の操作機、および緊急車両
JP2007161145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5437733B2 (ja) 発音体駆動装置
JPH10208886A (ja) 照明制御装置
CN217496375U (zh) 车辆控制系统
JP6774028B2 (ja) 制御装置
KR200415698Y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환 통보장치
JP2000085454A (ja) 自動車のライト消し忘れ通知装置及びその方法
JP3845337B2 (ja) シートベルトリマインダ方法及びシートベルトリマインダ装置
CN114852234A (zh) 车辆控制系统
JP2004268873A (ja) シートベルト未装着警報装置
JP2004161180A (ja) 鞍乗型電動車両
JPH11193741A (ja) 船外機の警報装置
JP2002029313A (ja) 車載照明灯装置における消し忘れ報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