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803B1 -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803B1
KR100688803B1 KR1020040096378A KR20040096378A KR100688803B1 KR 100688803 B1 KR100688803 B1 KR 100688803B1 KR 1020040096378 A KR1020040096378 A KR 1020040096378A KR 20040096378 A KR20040096378 A KR 20040096378A KR 100688803 B1 KR100688803 B1 KR 100688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s
current
data
output
rang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7281A (ko
Inventor
김양완
권오경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803B1/ko
Priority to JP2005278379A priority patent/JP4504894B2/ja
Priority to US11/282,313 priority patent/US7420492B2/en
Priority to CNB2005101248560A priority patent/CN100418126C/zh
Publication of KR20060057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83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current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 전류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클락신호 및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래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상기 래치 제어신호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병렬로 출력하는 데이터 래치, 상기 데이터 래치의 출력을 아날로그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변환기, 및 상기 D/A 변환기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D/A 변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아날로그 전류의 범위를 전류 범위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하여 데이터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범위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전류의 범위를 전류 범위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화소회로 또는 발광소자에 대하여 전류 범위 제어신호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고, 간단하게 전류 범위를 제어할 수 있으며, 미러 구조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 전압을 일치시킴으로써 정확한 전류값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CURRENT RANGE CONTROL CIRCUIT, DATA DRIVER AND LIGHT EMITTING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발광 표시장치에 채용된 데이터 구동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데이터 구동부에 채용된 전류 범위 제어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사구동부 200 : 데이터 구동부
300 : 화상 표시부 400 : 화소
500 : 타이밍 제어부
210 : 쉬프트 레지스터 220 : 데이터 래치
230 : D/A 변환기 240 : 전류 범위 제어회로
본 발명은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 전류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발광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평판 표시장치 중 발광 표시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형광물질을 발광시키는 자발광소자로서, 재료 및 구조에 따라 무기물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무기 발광 표시장치와 유기물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로 대별된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특히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라 칭하기도 하다. 이러한, 발광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장치와 같이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수동형 발광소자에 비하여 음극선관과 같은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는 장점을 갖고 있다.
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식으로는 수동 매트릭스 방식과 능동 매트릭스 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수동 매트릭스 방식은 양극과 음극을 직교하도록 형성하고 라인을 선택하여 구동하는 방식이다. 능동 매트릭스 방식은 능동 소자를 이용하여 발광 소자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능동 소자로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가 주로 사용된다. 능동 매트릭스 방식은 다소 복잡하나 전류 소모량이 적고 발광 시간이 길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발광 표시장치의 기입 방식으로는 전압 기입 방식(voltage programming method)과 전류 기입 방식(current programming method)이 있다. 이 중 전압 기입 방식은 데이터 구동부가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하고, 화소에 내장된 캐패시터가 상기 출력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저장하고, 발광 소자가 상기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여 발광하는 방식이다. 전압 기입 방식은 액정 표시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구동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능동소자로 사용되는 TFT의 문턱전압과 이동도 등의 편차로 인하여 균일한 화면을 표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전류 기입 방식은 데이터 구동부가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하고, 화소에 내장된 캐패시터가 상기 출력된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을 저장하고, 발광 소자가 상기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여 발광하는 방식이다. 전류 기입 방식은 TFT의 문턱전압과 이동도의 편차를 용이하게 보상하여 균일한 화면을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데이터 전류를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한편, 전류 기입 방식의 데이터 구동부에 있어서 데이터 전류의 범위는 화소회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령, 데이터 전류와 동일한 크기의 전류를 발광 소자에 전달하는 화소회로의 경우에는 그리 크지 않은 데이터 전류의 범위를 요구하 나, M:1 미러를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전류가 발광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M배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데이터 전류의 범위를 요구한다. 또한, 발광 소자의 종류에 따라 발광 효율이 다르므로, 서로 다른 데이터 전류의 범위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소회로의 종류 또는 발광소자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데이터 전류의 범위가 다르므로, 화소회로를 변경할때마다 또는 발광소자를 달리할 때마다 별도의 데이터 구동부를 설계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전류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클락신호 및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래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상기 래치 제어신호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병렬로 출력하는 데이터 래치, 상기 데이터 래치의 출력을 아날로그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변환기, 및 상기 D/A 변환기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D/A 변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아날로그 전류의 범위를 전류 범위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하여 데이터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범위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복수의 주사선으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주사 구동부, 복수의 데이터선에 데이터 전류를 인가하되, 상기 데이터 전류의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범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류의 범위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주사선에 인가된 주사 신호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류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미러형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미러 회로, 및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상기 전류 범위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전달된 전류를 합산하여 데이터 전류로써 출력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전류 범위 제어회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광 표시장치는 주사 구동부(100), 데이터 구동부(200), 화상 표시부(300) 및 타이밍 제어부(500)를 구비한다.
주사 구동부(100)는 주사선들(S1 내지 Sn)을 구동한다. 이러한, 주사 구동부(100)는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들(SCS)에 응답하여 주사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사신호를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200)는 데이터선들(D1 내지 Dm)을 구동한다. 이러한, 데이터 구동부(200)는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들(DCS) 및 비디오 데이터(Data)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류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전류들을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공급한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200)의 출력 전류의 범위는 전류 범위 제어신호(Ctrl)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화상 표시부(300)는 주사선들(S1 내지 Sn) 및 데이터선들(D1 내지 Dm)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들(400)을 포함한다. 또한, 화상 표시부(300)는 외부로부터 제 1 전원전압(VDD) 및 제 2 전원전압(VSS)을 인가받는다. 여기서, 제 1 전원전압(VDD) 및 제 2 전원전압(VSS)은 각각의 화소들(400)로 전달된다. 화소들(400) 각각은 자신에게 공급되는 데이터 전류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타이밍 제어부(500)는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를 주사 구동부(100)에 공급하며,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 및 비디오 데이터(Data)를 데이터 구동부에 공급한다.
도 2는 도 1의 발광 표시장치에 채용된 데이터 구동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구동부(200)는 쉬프트 레지스터(210), 데이터 래치(220), D/A 변환기(230) 및 전류 범위 제어회로(240)을 포함한다.
쉬프트 레지스터(210)는 수평 클락신호(HCLK) 및 수평 동기신호(HSYNC)에 대응하여 데이터 래치(220)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평 클락신호(HCLK) 및 수평 동기신호(HSYNC)는 도 1의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DCS)의 일종이다.
데이터 래치(220)는 비디오 데이터(Data)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병렬적으로 D/A 변환기(230)로 출력한다. 데이터 래치(220)는 쉬프트 레지스터(21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된다. 각 비디오 데이터(Data)는 청색, 녹색 및 적색 비디오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청색, 녹색, 적색 및 백색 비디오 데이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데이터 래치(220)은 쉬프트 레지스터(21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Data)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병렬적으로 출력하는 샘플링 래치(미도시) 및 상기 샘플링 래치에서 병렬적으로 출력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한 프레임 기간동안 유지하는 홀딩 래치(미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다.
D/A 변환기(230)는 상기 데이터 래치(220)에서 병력적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류 범위 제어회로(240)는 전류 범위 제어신호(Ctrl)에 따라 D/A 변환기(230)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범위를 조절한 데이터 전류를 데이터선(D1 내지 Dm)으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전류 범위 제어회로(240)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값은 D/A 변환기(230)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값에 비례하되, 그 비례 상수는 전류 범위 제어신호(Ctrl)에 의하여 결정된다. 일례로 전류 범위 제어신호(Ctrl)가 제 1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D/A 변환기(230)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2배에 해당하는 전류를 출력하고, 전류 범위 제어신호(Ctrl)가 제 2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D/A 변환기(230)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1.5배에 해당하는 전류를 출력하고, 전류 범위 제어신호(Ctrl)가 제 3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D/A 변환기(230)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1배에 해당하는 전류를 출력하고, 전류 범위 제어신호(Ctrl)가 제 4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D/A 변환기(230)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0.5배에 해당하는 전류를 출력하도록 전류 범위 제어회로(240)를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함으로써, 도 2에 표현된 데이터 구동부(200)는 비디오 데이터(Data)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류를 데이터선(D1 내지 Dm)으로 출력하되, 데이터 전류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데이터 구동부에 채용된 전류 범위 제어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류 범위 제어회로(240)는 미러 회로(241), 부궤환 회로(242) 및 스위칭 회로(243)를 포함한다.
미러 회로(241)는 제 1 트랜지스터(M1) 및 제 1 트랜지스터(M1)와 미러형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를 구비한다. 제 1 트랜지스터(M1)의 소오스에는 아날로그 제 1 전원전압(AVdd)이 인가되고, 드레인과 게이트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드레인에는 D/A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전류(Idac)가 인가된다.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의 각 소오스에는 아날로그 제 1 전원전압(AVdd)이 인가되고, 각 게이트는 제 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 각각은 제 1 트랜지스터(M1)와 함께 전류 미러를 형성한다. 따라서,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에 흐르는 전류(I1 내지 I4)는 제 1 트랜지스터(M1)에 흐르는 전류 (Idac)에 비례하며, 비례하는 정도는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의 채널의 너비 대 길이의 비와 제 1 트랜지스터(M1)의 채널의 너비 대 길이의 비에 의하여 정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여, 미러 회로(241)는 제 1 트랜지스터(M1)에 흐르는 전류(Idac)에 비례하는 복수의 전류(I1 내지 I4)를 스위칭 회로(243)에 전달한다.
부궤환 회로(242)는 복수의 제 3 트랜지스터(M3(1) 내지 M3(4)), 연산 증폭기(AMP) 및 캐패시터(C)를 구비한다. 연산 증폭기(AMP)의 양의 입력단(+)는 제 1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음의 입력단(-)은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 중 어느 한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며, 출력단은 복수의 제 3 트랜지스터(M3(1) 내지 M3(4))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복수의 제 3 트랜지스터(M3(1) 내지 M3(4))의 각 소오스는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의 각 드레인에 접속되며, 복수의 제 3 트랜지스터(M3(1) 내지 M3(4))의 각 드레인은 스위칭 회로(243)에 접속된다. 캐패시터(C)는 연산 증폭기(AMP)의 출력단과 음의 입력단에 접속하여, 연산 증폭기(AMP)의 출력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궤환 회로(242)는 부궤환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제 1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과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의 드레인의 전압을 일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령,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 중 한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이 제 1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 전압보다 커지는 경우에는 연산 증폭기(AMP)의 출력단의 전압이 낮아지고, 이로 인하여 게이트가 연산 증폭기(AMP)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 3 트랜지스터(M3(1) 내지 M3(4))의 전류 구동 능력이 떨어지므로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의 드레인 전압이 작아지게 되는 방식으로 부궤환이 이루어진다.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는 게이트 소스간 전압뿐만 아니라 드레인 소스간 전압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이와 같이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의 드레인 전압을 제 1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 전압과 일치시키면,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에 흐르는 전류를 제 1 트랜지스터(M1)에 흐르는 전류와 정확히 동일 또는 비례하게 할 수 있다. 부궤환 회로(242)는 부가적인 회로로써, 부궤환 회로(242)가 없이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가 바로 스위칭 회로(243)에 접속되는 경우에도 전류 범위 제어회로(240)는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스위칭 회로(243)는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M4(1) 내지 M4(4))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M4(1) 내지 M4(4))의 소오스는 부궤환 회로(242) 또는 미러 회로(241)에 접속하여, 미러 회로(241)에서 출력되는 전류(I(1) 내지 I(4))를 입력받는다.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M4(1) 내지 M4(4))의 게이트에는 전류 범위 제어신호(Ctrl(1) 내지 Ctrl(4))가 인가되어,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M4(1) 내지 M4(4))는 전류 범위 제어신호(Ctrl(1) 내지 Ctrl(4))에 따라 입력 받은 전류(I(1) 내지 I(4))를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M4(1) 내지 M4(4))의 드레인은 상호 연결되어 전달된 전류를 합산하여 데이터 전류(Idata)로써 출력한다. 따라서, 스위칭 회로(243)는 전류 범위 제어신호(Ctrl(1) 내지 Ctrl(4))에 따라 미러 회로(241)에서 출력된 전류를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전달된 전류를 합산하여 데이터 전류(Idata)로써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 다.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M4(1) 내지 M4(4)) 중 어느 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는 로우(low)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어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트랜지스터에만 전류 범위 제어신호(Ctrl)이 인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의 채널의 너비는 동일하고,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의 채널의 길이는 동일하다. 또한, 복수의 제 3 트랜지스터(M3(1) 내지 M3(4))의 채널의 너비는 동일하고, 복수의 제 3 트랜지스터(M3(1) 내지 M3(4))의 채널의 길이는 동일하다. 또한,
도면에 표현된 전류 범위 제어회로(240)는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간단하게 데이터 전류(Idata)의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와 직렬 연결된 복수의 제 3 트랜지스터(M3(1) 내지 M3(4)) 및 연산 증폭기(AMP)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M2(1) 내지 M2(4))의 드레인 전압을 제 1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 전압과 일치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전류값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는 데이터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전류의 범위를 전류 범위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화소회로 또는 발광소자에 대하여 전류 범위 제어신호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는 간단하게 전류 범위를 제어할 수 있으며, 미러 구조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 전압을 일치시킴으로써 정확한 전류값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1)

  1. 클락신호 및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래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상기 래치 제어신호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병렬로 출력하는 데이터 래치;
    상기 데이터 래치의 출력을 아날로그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변환기; 및
    상기 D/A 변환기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D/A 변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아날로그 전류의 범위를 전류 범위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하여 데이터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범위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류의 값은 상기 D/A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값에 비례하되, 그 비례 상수는 상기 전류 범위 제어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데이터 구동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범위 제어회로는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미러형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미러 회로; 및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상기 전류 범위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전달된 전류를 합산하여 데이터 전류로써 출력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범위 제어회로는
    부궤환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과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을 일치시키는 부궤환 회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궤환 회로는
    소오스는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에 각각 접속되고, 드레인은 상기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 3 트랜지스터; 및
    양의 입력단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음의 입력단은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한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출력단은 상기 복수의 제 3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 연산증폭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궤환 회로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음의 입력단에 접속된 캐패시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상기 D/A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게이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각 게이트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각 소오스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데이터 구동부.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부는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는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각각 인가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는 상기 전류 범위 제어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호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전류를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부는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는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각각 인가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 중 한 트랜지스터는 온 상태가 되도록 게이트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 중 나머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는 상기 전류 범위 제어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호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전류를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
  10. 복수의 주사선으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주사 구동부;
    복수의 데이터선에 데이터 전류를 인가하되, 상기 데이터 전류의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범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류의 범위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주사선에 인가된 주사 신호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류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를 상기 주사 구동부에 전달하며, 데이터 구동부 제어신호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전달하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전 달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제 1 내지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데이터 구동부인 발광 표시장치.
  13.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미러형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미러 회로; 및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상기 전류 범위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전달된 전류를 합산하여 데이터 전류로써 출력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전류 범위 제어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부궤환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과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을 일치시키는 부궤환 회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전류 범위 제어회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궤환 회로는
    소오스는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에 각각 접속되고, 드레인은 상기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 3 트랜지스터; 및
    양의 입력단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음의 입력단은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한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출력단은 상기 복수의 제 3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 연산증폭기를 포함하는 전류 범위 제어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부궤환 회로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음의 입력단에 접속된 캐패시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전류 범위 제어회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3 트랜지스터의 채널의 너비는 모두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제 3 트랜지스터의 채널의 길이는 모두 동일한 전류 범위 제어회로.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상기 D/A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게이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각 게이트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각 소오스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류 범위 제어회로.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채널의 너비는 모두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채널의 길이는 모두 동일한 전류 범위 제어회로.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부는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는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각각 인가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는 상기 전류 범위 제어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호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범위 제어회로.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부는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는 상기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각각 인가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 중 한 트랜지스터는 온 상태가 되도록 게이트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 중 나머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는 상기 전류 범위 제어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 4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호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범위 제어회로.
KR1020040096378A 2004-11-23 2004-11-23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 KR100688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378A KR100688803B1 (ko) 2004-11-23 2004-11-23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
JP2005278379A JP4504894B2 (ja) 2004-11-23 2005-09-26 データ駆動部,発光表示装置,及び電流範囲制御回路
US11/282,313 US7420492B2 (en) 2004-11-23 2005-11-18 Current range control circuit, data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NB2005101248560A CN100418126C (zh) 2004-11-23 2005-11-23 电流范围控制电路、数据驱动器和有机发光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378A KR100688803B1 (ko) 2004-11-23 2004-11-23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281A KR20060057281A (ko) 2006-05-26
KR100688803B1 true KR100688803B1 (ko) 2007-03-02

Family

ID=36583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378A KR100688803B1 (ko) 2004-11-23 2004-11-23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20492B2 (ko)
JP (1) JP4504894B2 (ko)
KR (1) KR100688803B1 (ko)
CN (1) CN10041812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431B1 (ko) * 2004-11-25 2006-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능동 구동 전압/전류형 유기 el 화소 회로 및 표시 장치
US7598800B2 (en) * 2007-05-22 2009-10-06 Msilica Inc Method and circuit for an efficient and scalable constant current source for an electronic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622A (ja) * 1982-07-29 1984-02-07 Fujitsu Ltd デイ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
FR2583941B1 (fr) * 1985-06-21 1990-04-27 Labo Electronique Physique Circuit de conversion numerique-analogique muni d'une reponse non-lineaire et dispositif de visualisation a balayage cathodique equipe d'un tel circuit
JP2708380B2 (ja) * 1994-09-05 1998-02-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ガンマ補正を行うディジタル・アナログ変換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H09307369A (ja) * 1996-05-15 1997-11-28 Denso Corp カレントミラー回路及び定電流駆動回路
JPH1093436A (ja) * 1996-09-19 1998-04-10 Oki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回路
JP2000114891A (ja) * 1998-10-01 2000-04-21 Sony Corp 電流源回路
JP4138102B2 (ja) * 1998-10-13 2008-08-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TWI238375B (en) * 2000-05-31 2005-08-21 Toshiba Corp Pumping circuit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JP4548562B2 (ja) * 2001-03-26 2010-09-2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カレントミラー回路及び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回路
JP3636698B2 (ja) * 2001-03-26 2005-04-06 ローム株式会社 有機el駆動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る有機el表示装置
US7012597B2 (en) 2001-08-02 2006-03-14 Seiko Epson Corporation Supply of a programming current to a pixel
JP2003150115A (ja) * 2001-08-29 2003-05-23 Seiko Epson Corp 電流生成回路、半導体集積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DE10163633A1 (de) * 2001-12-21 2003-07-10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Stromquellenschaltung
KR100442257B1 (ko) * 2002-01-09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류기입형 amoel 패널의 데이터 구동회로
JP2003249715A (ja) * 2002-02-25 2003-09-05 Asahi Kasei Microsystems Kk 半導体レーザの駆動回路
JP3868836B2 (ja) * 2002-03-27 2007-01-17 ローム株式会社 有機el駆動回路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4151882B2 (ja) * 2002-04-23 2008-09-17 ローム株式会社 有機el駆動回路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3706936B2 (ja) * 2002-06-20 2005-10-19 ローム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有機elパネルの駆動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る有機el表示装置
JP4039190B2 (ja) * 2002-09-17 2008-01-30 ソニー株式会社 電流出力型ディジタル/アナログ変換回路、電流出力型駆動回路及び画像表示装置
TW594634B (en) * 2003-02-21 2004-06-2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Data driver
JP4464062B2 (ja) * 2003-03-24 2010-05-19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流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CN1323379C (zh) * 2003-04-02 2007-06-2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数据驱动电路及由其驱动数据的方法
JP4720070B2 (ja) * 2003-06-02 2011-07-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100578793B1 (ko) * 2003-11-26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637458B1 (ko) * 2004-05-25 2006-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 표시 패널
KR100658616B1 (ko) * 2004-05-31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패널과 구동 방법
ATE484051T1 (de) * 2004-06-01 2010-10-15 Lg Display Co Ltd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anzeige und ansteuerverfahren dafür
JP4049140B2 (ja) * 2004-09-03 2008-02-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ピーダンス変換回路、駆動回路及び制御方法
KR100700846B1 (ko) * 2004-12-24 2007-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데이터 집적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장치
US8405579B2 (en) * 2004-12-24 2013-03-26 Samsung Display Co., Ltd. Data driver and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04894B2 (ja) 2010-07-14
KR20060057281A (ko) 2006-05-26
JP2006146170A (ja) 2006-06-08
US7420492B2 (en) 2008-09-02
CN1779762A (zh) 2006-05-31
US20060125808A1 (en) 2006-06-15
CN100418126C (zh)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8930B2 (ja) 発光表示装置
KR101089050B1 (ko) 반도체 장치
KR10076804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21529333A (ja) 駆動回路及びその駆動方法、表示装置
KR101245218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JP2005266346A (ja) 基準電圧発生回路、データドライバ、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90048942A (ko) 게이트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한 전계발광 표시장치
US7193592B2 (en) Display device
JP2003058106A (ja) 表示装置の駆動回路
US9093030B2 (en) Driving apparatus, OLED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OLED panel
US11398178B2 (en) Pixel driving circuit,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KR100700846B1 (ko) 데이터 집적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장치
US7362249B2 (en) Current range control circuit, data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20220101780A1 (en) Pixel drive circuit, pixel unit, driving method, arr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KR100613093B1 (ko) 데이터 집적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장치
KR100688803B1 (ko) 전류 범위 제어회로,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표시장치
US20210210001A1 (en) Pixel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KR100629177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707621B1 (ko) 단일/차동 변환 회로, 차동/단일 변환 회로 및 바이어스회로
KR100602355B1 (ko) 데이터 구동칩 및 발광 표시장치
KR100493970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패널의 구동 장치
KR20210061086A (ko) 발광 제어 신호 발생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KR20210061077A (ko) 발광 제어 신호 발생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KR20050064297A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12093778A (ja) 基準電圧発生回路、データドライバ、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