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672B1 -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672B1
KR100686672B1 KR1020000037876A KR20000037876A KR100686672B1 KR 100686672 B1 KR100686672 B1 KR 100686672B1 KR 1020000037876 A KR1020000037876 A KR 1020000037876A KR 20000037876 A KR20000037876 A KR 20000037876A KR 100686672 B1 KR100686672 B1 KR 100686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s
refractive index
polymer
optical fiber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048A (ko
Inventor
베르나르 뻬렝
알렝 빠스뚜레
도미니끄 모르쉐르
쟈비에 앙드리에
Original Assignee
넥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쌍 filed Critical 넥쌍
Publication of KR20010021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 G02B6/02038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with core or cladding having graded refractive inde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5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 B01F25/451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ving the materials to be mixed or the 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5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 B01F25/452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 B01F25/4521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the components being pressed through orifices in elements, e.g. flat plates or cylinders, which obstruct the whole diameter of th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5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 B01F25/452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 B01F25/4524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the components being pressed through foam-like inserts or through a bed of loose bodies, e.g.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5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 B01F25/452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 B01F25/4524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the components being pressed through foam-like inserts or through a bed of loose bodies, e.g. balls
    • B01F25/45241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the components being pressed through foam-like inserts or through a bed of loose bodies, e.g. balls through a bed of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ir rotating shafts
    • B01F27/2122Hollow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2Heating or cooling systems for heat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e.g. heated jackets or bu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non-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25Static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4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Storing of extruded material, e.g. by winding up 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4Cross-head annular extrusion nozzles, i.e.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moulding material and the preform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62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tatic mix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63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non-actuated dynamic mix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이 적어도 중합체 (P)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조성물 (13, 14) 중 하나는 또한 화합물 (M1)을 포함하며 조성물 (13, 14) 중 하나에 또한 경화 광개시제가 존재하는 상이한 굴절률의 두 조성물 (13, 14)을 제조하고,
조성물 (13, 14)을 서로 중에 확산시키고,
조성물 (13, 14)을 방사하여 섬유 (6)를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며,
방사 전에, 두 조성물 (13, 14)을 하나 이상의 혼합 수단 (2, 16, 17, 26)으로 능동적으로 함께 혼합하고,
섬유 (6)의 방사 후, 경화 (7)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중합체 (P) 및 특정 화합물 (M1)로부터 출발하는 연속적으로 변하는 굴절률 프로파일이 있는 경사형(graded-index) 플라스틱 광섬유 (6)의 제조 방법, 및 사용된 혼합기가 정적 혼합기 (1) 또는 동적 혼합기 (24)인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 굴절률, 굴절률 구배, 정적 혼합기, 동적 혼합기, 점도, 비닐계, 아크릴레이트계, 할로겐화 중합체, 광개시제

Description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 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Graded-Index Plastics Optical Fiber}
도 1은 정적 혼합 수단을 사용한, 본 발명의 방법의 실행을 실시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일부분의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를 사용하여 수득된 광섬유에서 수득된 굴절률 프로파일의 도표이다.
도 4는 정적 혼합 수단을 사용한, 본 발명의 방법의 실행을 실시하는 또다른 장치의 단편적인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정적 혼합 수단이 있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행을 실시하는 또다른 장치의 단편적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의 실행을 동적 혼합 수단으로 실시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장치에 대한 변형 부분의 단면에 대한 절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정적 혼합기, 2: 판,
3: 중앙 저장소, 4: 주변 저장소,
5: 혼합물, 6: 광섬유,
7: 광원, 8: 케이스,
9: 광섬유, 10: 캡스탄,
11: 릴, 12: 구멍,
13, 14: 조성물, 15: 다이,
16: 배플, 17: 카트리지,
18: 비드, 19: 샤프트,
20a, 20b: 블레이드, 24: 동적 혼합기
X: 중심축
본 발명은 경사형(graded-index)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의 스펙트럼 범위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는 그들이 광대역 액세스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는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다른 화합물을 포함하며, 중합체 함량은 실질적으로 섬유 전반에서 동일하며, 다른 화합물의 농도는 목적하는 굴절률 구배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섬유의 코어에서 주변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펀트(dopant)" 또는 "희석제(diluant)"로 불리울 수 있는 상기 화합물은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코어에서 주변으로 변하는 상기 화합물의 분포를 수득할 필요가 있으므로 어렵다. 섬유는 섬유의 중심과 주변 사이의 굴절률의 전체 편차가 0.01 내지 0.03으로, 가능한 매끄러운 경사형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가질 필요가 있다.
상기 굴절률 구배를 이루기 위한 두가지 주요 기법이 있다.
제1 기법에서는, 광섬유를 다이를 통해 방사하기 전에 1종 이상의 소정의 중합체에 화합물(들)을 확산시킴으로써 굴절률 구배를 적어도 일부 형성시킨다. 상기 화합물은 자체가 적어도 얼마큼의 또다른 중합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 기법의 제1 실행에서, 이러한 확산은 용융된 상태의 상기 소정의 중합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US-A 제5 593 621호에는 제1 용융 중합체의 원통을 형성시킨 후, 상기 원통의 중심부에 확산성이며 비중합성이고, 굴절률이 제1 중합체의 굴절률과 상이하고 투명한 제2 용융 중합체와 혼합될 수 있는 투명한 물질을 사출함으로써 굴절률 구배가 있는 플라스틱 광섬유를 제조하는 것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상기 비중합성 물질이 제1 중합체에 확산된 후, 원통을 광섬유로 방사한다. 이러한 실행에서, 상기 물질의 확산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서로 포개어진 다수의 노즐을 설치할 수 있다.
제1 기법의 제2 실행에서, 이러한 확산은 상기 희석된 중합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JP-A 제9 243 835호에는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투명한 중합체, 굴절률이 투명한 중합체의 굴절률보다 큰 비중합성 제2 화합물, 및 굴절률이 투명한 중합체의 굴절률보다 작은 비중합성 제3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제2 화합물은 섬유의 코어에 보다 집중되어 있다. 제3 화합물은 섬유의 주변에 보다 집중되어 있다. 제조는 멀티 오리피스를 통해 이송되는, 투명한 중합체의 구성 원료를 이루는 단량체와 제2와 제3의 화합물들의 다양한 조성물의 층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층 사이의 확산 및 방사 후 (확산이 방사 전 그리고 방사 동안에 발생할 수 있음), 단량체가 중합체로 전환되도록 상기 층을 중합함으로써 섬유 제조는 완성된다.
경사형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제2 기법에서는, 굴절률 구배는 광섬유를 다이를 통해 방사한 후 하나 이상의 코팅 층을 도포함으로써 거의 완전히 형성된다. 코팅 층은 용융 상태의 1종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JP-A 제9 133 819호에는 플라스틱 섬유를 이루는 섬유의 고굴절률의 코어 둘레에 굴절률이 낮은 2종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용융 플라스틱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연속적으로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를 제조하는 것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별법으로, 코팅 층은 또한 1종 이상의 일부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JP-A 제9 138 313호에는 높은 굴절률의 플라스틱 코어 둘레에 저굴절률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단량체로 희석함으로써 수득되는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중합된 단량체는 코어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의 중합체의 제1 층을 구성한다. 추가의 층을 동일한 방식으로 부착시켜 굴절률을 중심에서 주변으로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도포 후, 각 층을 자외선 (UV) 처리하여 중합시킨다. 실시예에서, 코어에 도포된 용액의 점도는 5000 포이즈 내지 10,000 포이즈, 즉 500 Pa.s 내지 1000 Pa.s로 조정한다. 상기 발명을 실행하기 위하여, 저굴절률의 화합물은 중합성이 아니다.
일본 특허 출원 JP-A 제6 003 533호에는 연속적으로 상이한 굴절률의 물질을 제조한 후, 개별 층들을 도포하고, 층들 사이에 확산이 일아나게 한 후, 상기 층들을 경화시킴으로써 다층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를 제조하는 것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모두 인접 층 사이에서 확산되는 화합물에 의존하며, 이는 상기 방법이 느리고 높은 재현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산업적 규모로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를 제조시 커다란 문제들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주로 속도 및 재현성의 측면에서 가능한 한 효과적인 방식으로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두 조성물 각각은 적어도 중합체 (P)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성물 중 제1 조성물은 또한 적어도 화합물 (M1)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 중 하나 이상에 가교화 광개시제가 존재하는, 두 조성물 사이의 굴절률 차이가 5 x 10-3 이상인 상이한 굴절률의 두 조성물을 제조하고,
두 조성물을 서로 중에 확산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방사하여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를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며,
중합체 (P) 및 화합물 (M1)은 상기 중합체 (P)의 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이고 상기 화합물 (M1)의 분자량은 100 내지 1000이며, 상기 화합물 (M1)은 비닐계 및 아크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며, 중합체 (P)는 비닐계 및 아크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고, 두 화합물 (P 및 M1) 중 하나 이상이 1 관능성 이상이고, 두 화합물 (P 및 M1) 중 다른 하나가 2 관능성 이상이 되도록 선택되며,
방사 전에, 광섬유의 굴절률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두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혼합 수단을 사용하여 능동적으로 혼합하고,
광섬유의 방사 후, 경화하여 가교된 3차원 격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률이 그의 중심과 주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하며 1종 이상의 중합체 (P) 및 굴절률이 변하게 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M1)로부터 제조된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비록 두 용어가 특히 문서를 번역시에 종종 혼동되어 사용되지만, "압출(extrusion)"이라는 용어 대신에 "방사(spinning)"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적절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압출은 일반적으로 고상 물질에 적용되는 반면, 방사는 일반적으로 고상물이 아닌 물질 및 종종 액상 물질에 적용된다. 액체를 압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능동적 혼합은 조력하에 발생하는 혼합, 즉 단지 확산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닌 혼합이며, 여기서 조력은 정적으로 정적 확산 수단, 일반적으로는 강제 유동 수단을 사용하여 두 조성물을 강제적으로 혼합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동적으로 능동적으로 혼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빠르다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조성물 사이의 확산에만 의존할 때보다 훨씬 빠르고, 농도 구배가 가능하여 연속적이며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굴절률 구배를 수득할 수 있다.
가교화의 반응 동력학은 일반적으로 최대 일광 및 광개시제의 완전 변환 하에서 겔화 시간이 10초 미만, 바람직하게는 2초 미만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를 방사한 후 중합하여 가교화시킨다. 이러한 가교화는 유리하게 플라스틱 광섬유의 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제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로서 생성된 플라스틱 광섬유는 시간 및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갖는다. 이러한 상황 하에, 일반적으로 두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이 단량체를 포함하며, 또한 두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이 1종 이상의 가교화 개시제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두 조성물 각각이 1종 이상의 가교화 개시제를 포함한다. 가교화 개시제, 예를 들면 광개시제는 예를 들어 온도 또는 방사선에 반응하여 목적하는 가교 반응을 개시할 수 있게 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가교화는 가교된 3차원 격자를 유발한다. 이러한 가교화는 유리하게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광섬유의 성분 모두가 제위치에 있게 하여, 생성된 플라스틱 광섬유에게 그리고 그의 굴절률 구배를 위해 보다 양호한 물리적 그리고 온도 안정성을 제공한다.
실행시, 상기 조성물의 제2 조성물은 굴절률을 또한 변화시킬 수 있는 1종 이상의 화합물 (M2)을 포함하고, 이 화합물 (M2)은 굴절률이 M1의 굴절률과 상당히 상이하며, 분자량은 100 내지 1000이고, 비닐계 및 아크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화합물 (M1 및 M2)은 실질적으로 점도가 동일하고 조성물의 구성성분에 대한 상기 중합체 (P)의 질량비는 실질적으로 상기 각 조성물에 대해 일정하다. 이는 주로 굴절률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들) (M1 및(또는) M2)의 비율이 변화하여도 조성물의 점도는 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방법을 실행하기가 보다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실시양태에서, 두 조성물은 두 조성물 각각의 점도가 1 Pa.s 내지 25 Pa.s, 바람직하게는 5 Pa.s 내지 15 Pa.s되는 온도에서 혼합된다. 이는 유리하게 이러한 점도는 조성물이 비교적 유동성일 때 조성물이 혼합되게 하므로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행시, 두 조성물 각각의 점도가 50 Pa.s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Pa.s 이상인 온도에서 방사를 실시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이는 유리하게 이러한 점도는 조성물이 비교적 강성인 상태에서 방사되게 하므로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용이하게 한다.
성분 (M1 및 M2) 및 중합체 (P)에 포함되는 반응성 관능기는 비닐계 및 아크 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즉, 이들은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및 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기는 임의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할로겐되며, 일반적으로는 불소화 및(또는) 염소화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행시, 상기 조성물의 모든 성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할로겐화된, 일반적으로는 불소화 및(또는) 염소화된 물질이다.
본 발명의 변형 방법에서, 화합물 (M2)이 상기 조성물의 제2 조성물에 존재할 경우, 두 화합물 중 하나(M1 또는 M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소화되고 두 화합물 중 다른 하나(M2 또는 M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염소화되거나 또는 염소-불소화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소화된 중합체의 굴절률보다 상당히 큰 굴절률을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실시양태에서, 장치는 사용되는 혼합 수단이 정적 혼합기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혼합기에서, 혼합은 주로 가압 하에 조성물의 흐름을 변경하는 고정 시스템의 도움으로 일어난다. 혼합기의 형상은 구배의 형상을 유발한다. 조성물 사이의 자연적인 확산은 일반적으로 혼합을 원활하게 한다.
혼합기의 제1 실시양태에서, 혼합기는 서로 상하로 적층되는 2개 이상의 판을 포함하며, 각 판은 다수의 구멍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은 한 판과 인접 판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정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혼합기의 제2 실시양태에서, 혼합기는 비드의 카트리지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카트리지 내의 비드는 실질적으로 직경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내의 적어도 일부의 비드의 직경이 카트리지 내의 적어도 일부의 다른 비드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드 카트리지는 비드의 직경이 카트리지의 한 말단에서 다른 말단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비드 직경 분포를 가질 수 있다. 혼합기의 제3 실시양태에서, 혼합기는 다수의 배플을 포함한다.
장치의 제2 실시양태에서, 장치는 사용되는 혼합 수단이 동적 혼합기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혼합기에서, 혼합은 조성물 사이의 자연적인 확산 및 가압 하의 흐름 이외에, 주로 외부 구동, 일반적으로는 기계적 혼합에 의해 일어난다. 실행시, 혼합기는 그 근처에 하나 이상의 혼합기 블레이드가 고정된 샤프트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또한 두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을 분배하기 위한 수단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기는 혼합기의 존재가 조성물 내에 난류의 대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페어링(fairing)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플라스틱 광섬유는 전체 범위에 대해 킬로미터 당 수 10 데시벨(dB/km)의 낮은 감쇠를 가지면서 가시광선 내지 근적외선의 스펙트럼 범위에서 사용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광섬유의 또다른 이점은 플라스틱 광섬유가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어 왔던 온도와 비교하여 높은 온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적어도 125℃까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광섬유의 가교 특성에 의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득된 섬유는 섬유의 중심과 주변 사이의 굴절률의 편차가 일반적으로 0.01 내지 0.03인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경사형의 굴절룰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득된 섬유의 직경은 100 ㎛ 내지 1 mm 범위이다.
비제한적 방식으로 제공되고 도 1 내지 7을 참조한 하기 설명을 읽으면 본 발명이 더욱 이해가 될 것이며 다른 특징 및 이점이 나타날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공통적인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줄곧 부여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각각 중합체 (P)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 중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인 1종 이상의 화합물 (M1)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조성물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인 1종 이상의 화합물 (M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M1의 농도는 두 조성물 각각에서 상이하여, 이로 인해 상기 조성물 각각의 상이한 굴절률을 유발한다. 상기 방식으로 수득된 굴절률의 두 값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플라스틱 광섬유에서 목적하는 포물선의 굴절률 곡선의 최대 및 최소값이다. 두 초기 조성물을 능동적으로 혼합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상기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것이 착상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정적 또는 동적 혼합기일 수 있는 혼합 수단을 사용하여 실행된다.
도 1은 중심축 (X)을 포함한 면상의 정적 혼합기 (1)의 고도의 개략 단면도이다. 혼합기 (1)에는 조성물 (13 및 14)의 저장소로서 역할을 하는 2개의 동심 원통 (3 및 4)이 있다. 혼합기 (1)의 원통 케이스 (8)는 조성물 (14)의 저장소 (4) 역할을 한다. 굴절률이 보다 높은 조성물 (13)은 중앙 저장소 (3)에 둔다. 예로서, 이는 염소화된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화합물 (M1) 이외에, 중합체 (P), 바람직하게는 불소화 중합체를 단지 포함한다. 보다 낮은 굴절률의 조성물 (14)은 주변 저장소 (4)에 둔다. 예로서, 이는 불소화된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M2) 이외에, 바람직하게는 불소화된 중합체 (P)를 단지 포함한다.
케이스 (8)에는 예를 들어 2개의 정변위 펌프(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각각의 저장소 (3 및 4) 각각에서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각각의 유입구 (8g 및 8f)와 누출방지 상부 폐쇄부 (8d)가 있다. 따라서, 두 조성물 (13 및 14)이 동일한 점도일 경우 동일한 흐름을 수득하기 위하여 제어된 압력을 두 조성물 (13 및 14) 각각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두 조성물 (13 및 14)의 점도가 상이할 때 상이한 흐름을 조성물 (13 또는 14) 각각에 대해 원할 경우, 개구 (8f 및 8g)를 통해 상이하게 제어된 압력을 적용할 수 있다. 케이스 (8)에는 또한 두 저장소 (3 및 4)가 동심이며 서로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대역 (8e)이 있고, 그 밑에 그의 상부 말단이 중앙 저장소 (3)의 바닥 말단이고 그의 바닥 말단이 주변 저장소 (4)의 바닥인 대역 (8a)이 있다. 대역 (8a)은 두 조성물 (13 및 14)이 혼합기 (1), 즉 구멍 (12)으로 천공되어 있는 중첩된 판 (2a, 2b)의 세트 (2)에 의해 서로 혼합되는 대역에 해당된다. 케이스 (8)는 또한 그의 단면이 형상의 변화없이 좁아지는 원뿔형 대역 (8b)이 있고 마지막으로 생성되는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 (6)의 직경에 목적하는 수치를 제공하는 다이 (15)를 포함하는 보정 대역 (8c)이 있다. 다이 (15)는 맞춤 부분으로, 이로 인해 혼합기 (1)를 변경시킬 필요없이 그의 구경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변형법에서, 다이 (15)를 케이스 (8)의 통합 부분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적 혼합기 (1)는 그의 대역 (8a)에서 2개 이상의 중첩된 판 (2a, 2b)을 가지며, 여기서는 이러한 판이 7개가 있다. 판 (2a, 2b)의 상기 세트 (2)는 중앙 저장소 (3)의 바닥 말단에 놓여 조성물 (13 및 14) 사이의 방사상 혼합을 제공한다. 조성물 (13 및 14)의 농도 구배를 제공하는 혼합 (5)은 대역 (8a)에서 수득된다. 중첩된 판 (2a, 2b)에 의해 혼합이 발생한다. 원근법으로 도 2에 나타낸 각 판 (2a 또는 2b)은 구멍 (12)이 있으며, 상기 구멍 (12)은 일반적으로 한 판 (2a)에서 인접 판 (2b)으로 (그리고 유사하게 한 판 (2b)에서 인접 판 (2a)으로) 서로 정합되지 않게 위치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두 유형의 판, 즉 4개의 판 (2a) 및 3개의 판 (2b)이 있으며, 판 (2a 또는 2b) 각각은 대략 동일한 수의 구멍 (12)이 있다. 나타내지 않은 변형에서, 판 (2a, 2b)의 세트 (2)는 모두 다른 판과 대략 동일한 수의 구멍 (12)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닌 판들로 이루어진다.
변형에서, 조성물 (13 및 14)의 목적하는 점도를 수득하기 위하여, 두 조성물 (13 및 14)은 케이스 (8)의 대역 (8a) 둘레 그리고 또한 케이스 (8)의 상부 부분 둘레에도 가능한 래깅 (lagging)(나타내지 않음)을 배치하여 가열할 수 있다. 목적하는 점도는 상기 조성물 (13 및 14)의 혼합이 용이한 점도이다. 사용된 판 (2a, 2b)의 세트 (2)의 유형이 무엇이든지 간에, 생성되는 굴절률 구배와 관련이 있는 혼합 (5)에서의 농도 구배는 판 (2a, 2b)의 수와 각 판 (2a, 2b)의 구멍 (12)의 수 및 직경에서의 방사상 변동과 직접 관련이 있다. 따라서, 혼합 대역 (8a)에서 조성물 (13 및 14)의 점도는 상기 조성물 (13 및 14)의 서로로의 추가 확산의 조력과 함께 조성물 (13 및 14)의 혼합 및 농도 구배의 프로파일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1 Pa.s 내지 25 Pa.s 범위의 값을 갖도록 조정된다.
생성되는 혼합물 (5)은 그의 상부 말단이 마지막 판 (2a)의 바닥 말단인 원뿔형 대역 (8b)을 통해 케이스 (8)의 대역 (8c)에서 보정 다이 (15)로 보내진다. 이는 조성물 (13 및 14) 사이의 농도 변동의 상태가 단면이 감소하는 동안 유지되도록 한다.
혼합물이 다이 (15)를 향해 흐르는 동안, 변형법(나타내지 않음)에서 극저온 냉각 시스템을 케이스 (8)의 대역 (8b 및(또는) 8c) 둘레 일부 이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혼합물 (5)의 점도가 다이 (15)를 통한 혼합물 (5)의 방사에 적합한 50 Pa.s를 초과하는 값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한다.
다이 (15)로부터의 배출구에서, 생성되는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 (6)는 캡스탄 (10)에 의해 당겨진다. 일 실시양태에서, 플라스틱 광섬유 (6)는 자외선 (UV)의 광원 (7)을 사용한 광유도 가교화로 경화되어 중합된 플라스틱 광섬유 (9)를 생성한다. 이후, 캡스탄 (10)을 사용하여 플라스틱 광섬유 (9)를 릴 (11)에 감는다. 섬유 (9)의 직경은 다이 (15)에 의해 결정되나, 캡스탄 (10)에 의해 발현되는 당기는 힘에 따라 가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최종 생성물은 동일하게 만족스러운 플라스틱 광섬유 (6) 또는 가교된 플라스틱 광섬유 (9)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장치에 의해 제조된 광섬유의 수득된 굴절률 프로파일의 도표이다. 도 1의 광섬유 (6)의 굴절률 (n)의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매끄러원 축 (X) 상에 놓인 섬유 (6)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r)의 함수로서 포물선의 구배를 형성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실시양태에서, 정적 혼합기 (1')는 도 1의 혼합기 (1)와 같은 판 (2a, 2b)의 세트 (2)는 없으나, 대신 도 4에서 X형 기호로 나타낸 고정된 배플의 세트 (16)를 포함한다. 이들 배플은 지그재그 통로이어서 조성물 (13 및 14)이 따르도록 속박하여, 그로 인해 점진적인 혼합 (5')을 달성하게 한다. 배플의 세트 (16)의 형상 및 크기는 이러한 방식으로 수득되는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 (6')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직접적으로 유발한다. 프로파일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유형과 동일하다.
제3 실시양태에서, 정적 혼합기 (1")는 도 1의 혼합기 (1)의 판 (2a, 2b)의 세트 (2)는 없으나, 대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드 (18)의 카트리지 (17)가 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5"로 나타낸다. 비드 (18)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이 모두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그들은 인접 개별 비드 또는 비드의 군과 비교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군으로 직경이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 이러한 방식으로 수득되는 혼합물 (5")의 구배는 카트리지 (17) 내의 비드 (18)의 직경 및 배치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 (6")가 수득되고 광원 (7)에 의해 광경화되어 중합된 광섬유 (9")가 된다. 플라스틱 광섬유 (6" 및 9")의 프로파일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유형이 동일하다.
도 6은 동적 혼합기 (24)의 중심축 (X)을 포함한 면 상에 대한 고도의 개략 단면도이다. 혼합 (5"')은 샤프트 (19)의 바닥 말단에 자체가 고정된 부분 (25)을 통해 사프트 (19)에 고정된 2개의 블레이드 (20a 및 20b)를 구동하는, 축 (X) 상의 고체 샤프트 (19)를 포함하는 혼합 수단 (26)에 의해 제공된다. 블레이드 (20a 및 20b)는 형상이 동일하며 그들은 중심축 (X)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샤프트 (19) 하부에 조성물 (13 및 14) 및 혼합물 (5"')에서 난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페어링 (23)이 있다. 도 1의 요소와 동일한 부재를 볼 수 있으나, 이 경우에서는 중앙 저장소 (3)의 개구는 샤프트 (19)가 통과하는 개구 (3a)이고, 저장소 (3)의 바닥은 블레이드 (20a 및 20b)를 향하여 조성물 (13)이 흐르도록 하는 원형 개구 (21)이다. 샤프트 (19)에 대한 블레이드 (20a 및 20b)의 회전은 혼합 (5"')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샤프트 (19)의 회전 속도 및 블레이드 (20a 및 20b)의 수 및 배치는 모두 혼합물 (5"')의 구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생성되는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 (6"')는 UV 광원 (7)을 사용한 광경화에 의해 경화되어 중합된 플라스틱 프레임 (9"')을 제공한다.
도 7에 절반으로 나타낸, 도 5의 동적 혼합기 (24)의 변형에서, 조성물 (13)의 흐름은 더이상 원형 개구 (21)를 통해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변형에서, 블레이드 (20a 및 20b)는 중공이며 구멍, 예를 들어 원형 구멍 (22a, 22b, 22c 및 22d)에 의해 천공되며, 상기 구멍은 조성물 (13)을 분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역할을 하며 조성물 (13)이 조성물 (14)과 혼합되도록 흐르게 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역할을 하나,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A. 물질 합성
<실시예 1>
폴리(α-플루오로) (메트)아크릴레이트계의 반응성 중합체의 제조
하기 화학식 1의 광반응성 중합체 (P1)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0013849997-pat00001
상기 식에서,
GRET는 광경화성 기인 -CH2-CH(OH)-CH2-O-CO-C(CH3)=CH2이고,
Rf는 굴절률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CH(CF3)2이다.
먼저 전구체 중합체를 합성한 후, 전구체 중합체 상에 광반응성 기를 도입하였다.
전구체 중합체를 합성하기 위하여, 하기 원료, 즉 두 단량체로서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α,β-디플루오로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 α-트리플루오로메틸산, 이동제로서 티오글리콜산, 및 개시제로서 4,4'-아조비스(4-시아노) 펜탄산 (ACPA)을 단량체 20몰 당 이동제 1몰, 단량체 20몰 당 개시제 0.2몰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약 60℃의 온도에서 열적으로 공중합하였다. 변형에서, 또다른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개시제에 따라 좌우되는 온도는 일반적으로 60℃ 내지 120℃일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라디칼 공중합을 벌크로 수행하였다. 변형에서, 용매의 존재 하에 동일하게 만족스럽게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20개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전구체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중합체 (P1)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3몰을 크롬 기재 촉매 디이소프로필 살리실레이트 (DIPS) 크롬의 존재 하에 상기 중합체 1몰과 반응시켜 수득하였다. 생성된 중합체 (P1)는 메타크릴레이트계의 3종의 반응성 기를 가졌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폴리(α-플루오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반응성 중합체 (P1)로부터의 혼합물 제조
각각 상업용 광개시제 이르가큐어(IRGACURE) 651, 실시예 1의 화학식의 반응성 중합체 (P1), 및 혼합물에 따라 농도가 상이한, (M1) 그의 단독 중합체의 20℃에서의 굴절률이 1.3502인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α-플루오로아크릴레이트 및 (M2) 그의 단독 중합체의 20℃에서의 굴절률이 1.5063에 해당하는 트리클로로에틸 α,β-디플루오로아크릴레이트의 두 단량체로 이루어진 반응성 희석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 상이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변형에서, 이르가큐어 부류의 임의의 다른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하기 표 1에 혼합물의 중량 700 그램을 기준으로 하여 정량한 혼합물의 다양한 조성물 및 특성을 요약하였다.
혼합물 번호 M1의 정량 (그램) M2의 정량 (그램) 반응성 중합체의 정량(그램) 혼합물의 점도 (20℃에서의 Pa.s) 20℃에서의 혼합물의 굴절률
1 35 315 350 8.2 1.4271
2 140 210 350 6.9 1.4037
상기와 같이, 혼합물 중의 전체 성분에 대한 중합체의 중량% 비율은 일정한 반면, 반응성 희석제 내의 M1 + M2의 합에 대한 M1의 중량% 상대 비율은 한 혼합물과 다른 혼합물에 대해 다양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 이들 혼합물의 굴절률을 변화시키면서 두 혼합물의 점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3>
염소화 폴리에테르계 반응성 중합체 (P2)의 제조
반응성 중합체에 대한 전구체 중합체로서, 1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인 m에 해당하는 단량체 단위의 수를 가지며 주쇄의 화학식이 하기와 같은불소화 폴리에테르, 디올 등 유형의 다양한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 -(-OCF2-CF2-)x-(-OCF2-)y-(여기서, x+y = m임), 오시몬트(Ausimont)에서 시판되는 시판 제품, 포븜린(FOBMLIN) Z임.
● -(-OCF2-CF(CF3)-)m-, 듀폰 디 네모아(Du Pont de Nemours)에서 시판되는 시판 제품, 크리톡스(KRYTOX)임.
● -(-OCF2-CF2-CF2-)m-, 다이킨(Daikin)에서 시판되는 시판 제품, 뎀넘(DEMNUM)임.
● -(-OCF2-CF2-CH2-)m-, 다이킨에서 시판되는 시판 제품, 뎀넘 H임.
따라서, 다양한 중합체 (P2)를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 2몰을 상기 전구체 중합체 중 하나 1 몰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하였다. 변형에서, 많은 동일한 결과물을 지르코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와 같은 촉매의 존재 하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의 트랜스에스테르화를 실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득된 중합체 (P2)는 두 아크릴레이트계 반응성 기를 가졌다.
<실시예 4>
비불소화 반응성 중합체 (P3)의 제조
하기 화학식 2의 광반응성 중합체 (P3)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0013849997-pat00002
이를 위하여, 전구체 공중합체를 합성한 후 이에 메타크릴레이트 기를 도입하였다.
전구체 중합체는 하기 원료, 즉 90/10의 각각의 몰 농도의 두 단량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HEMA), 단량체 전체 양의 몰에 대해 3.3 몰%의 티올 옥탄인 이동제, 1% 몰/몰의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AIBN)인 열개시제로부터 합성하였다. 반응은 65℃의 온도에서 용매로서 테트라히드로푸란 (THF)에서 수행하였다.
생성된 중합체는 분자량이 약 6500이고 평균 중합도는 약 60이었으며, 중합체 주쇄 당 아크릴레이트 관능기가 잠재적으로 치환된 6개의 히드록실 관능기가 있 었다.
이어서 상기 중합체를 30℃ 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 (CH2Cl2) 중에 아크릴레이트 관능기가 잠재적으로 치환된 전체 관능기 양에 대해 메타크릴산 무수물 2 당량과 반응시킴으로써 중합체 (P3)를 수득하였다. 반응을 4-디메틸아미노 피리딘 (DMAP)으로 촉매하였다.
이 후, 단량체를 수지의 굴절률을 변화시키기 위한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즉, 트리클로로에탄올을 DMAP의 존재 하에 메타크릴산 무수물과 반응시킴으로써 트리클로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D = 1.4878)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며 각각 광개시제로서 이르가큐어 184(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아세톤) 1%를 함유하는 두 혼합물 또는 광반응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1 혼합물은 점도가 20℃에서 5 Pa.s이었고 중합체 (P1) 50 중량%, 및 트리클로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0 중량%와 MMA 80 중량%로 이루어진 반응성 희석제 50%를 포함하며, 그의 굴절률은 1.46이었다.
제2 혼합물은 점도가 20℃에서 5 Pa.s이었고 중합체 (P1) 52%, 및 트리클로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80 중량%와 MMA 20 중량%로 이루어진 반응성 희석제 48%를 포함하며, 그의 굴절률은 1.482이었다.
B.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
<실시예 5>
폴리-α,(β)-플루오로(메트)아크릴레이트계의 광반응성 중합체 (P1)를 기재로 한 실시예 2의 무정형 수지로부터 경사형 중합 플라스틱 광섬유 (9)의 제조
본 발명의 상기 경사형 중합 플라스틱 광섬유 (9)의 제조 방법을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내었고, 사용된 두 수지는 굴절률이 1.427 및 1.403(△n = 0.024)이었고 점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20℃에서 각각 8.2 Pa.s 및 6.9 Pa.s이었다. 기부 (8)의 직경은 약 10cm이었다. 대역 (8a)을 약 30℃의 온도로 가열하는 반면, 대역 (8b 및 8c)은 약 0℃의 온도로 냉각하였으며, 래깅이 있는 대역 (8a, 8b 및 8c)의 전체 높이는 약 30 cm이었다. 판 (2a 및 2b)의 직경은 약 10 cm이었고, 각 구멍 (12)의 직경은 약 1 mm이었다. 적용 압력은 약 105 Pa이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득된 중합된 섬유 (9)의 굴절률 프로파일은 도 3에 나타낸 유형으로, 섬유 (9)의 길이에 대해 균일하고 실질적으로 중합체 격자 내에서 매끄럽게 조정된 실질적으로 포물선형의 굴절률 구배를 나타내었다. 섬유의 중심과 주변 사이의 굴절률 편차는 약 0.024이었다. 섬유 (9)의 직경은 약 300㎛이었다. 경사형 중합 플라스틱 광섬유 (9)는 양호한 고온 성능을 가졌음을 발견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3의 불소화 폴리에테르계 반응성 중합체 (P2)로 제조된 수지를 사용하고 정적 혼합기 장치를 사용한 경사형 중합 플라스틱 광섬유 (9)의 제조
중합 플라스틱 광섬유 (9)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4의 불소화 폴리에테르계 반응성 중합체 (P3)로 제조된 수지를 사용하고 정적 혼합기 장치를 사용한 경사형 중합 플라스틱 광섬유 (9)의 제조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 (9)를 실시예 5에서 사용한 실시양태를 사용하여 동일한 점도에서 상이한 굴절률 (△n = 0.022)의 이들 두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생성된 중합 섬유 (9)의 굴절률 프로파일은 섬유 (9)의 길이에 대해 균일하였으며, 중합체 격자에서 실질적으로 매끄럽게 조정된 실질적으로 포물선형인 경사형이었다. 코어와 주변 사이의 굴절률 편차는 약 0.022이었고, 섬유(9)는 직경이 약 300㎛이었으며, 섬유는 양호한 고온 성능을 나타내었다.
물론,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섬유는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변형에서, 플라스틱 광섬유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그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미리 수득한 중합 플라스틱 광섬유 상에 한 층 이상의 코팅물을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플라스틱 광섬유는 전체 범위에 대해 킬로미터 당 수 10 데시벨(dB/km)의 낮은 감쇠를 가지면서 가시광선 내지 근적외선의 스펙트럼 범위에서 사용가능하고, 플라스틱 광섬유가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어 왔던 온도와 비교하여 높은 온도에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두 조성물 (13, 14) 각각은 적어도 중합체 (P)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성물 중 제1 조성물은 또한 적어도 화합물 (M1)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 중 하나 이상에 가교화 광개시제가 존재하는, 두 조성물 사이의 굴절률 차이가 5 x 10-3 이상인 상이한 굴절률의 두 조성물 (13, 14)을 제조하고,
    두 조성물 (13, 14)을 서로 중에 확산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방사하여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 (6)를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며,
    중합체 (P) 및 화합물 (M1)은 상기 중합체 (P)의 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이고 상기 화합물 (M1)의 분자량은 100 내지 1000이며, 상기 화합물 (M1)은 비닐계 및 아크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며, 중합체 (P)는 비닐계 및 아크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고, 두 화합물 (P 및 M1) 중 하나 이상이 1 관능성 이상이고, 두 화합물 (P 및 M1) 중 다른 하나가 2 관능성 이상이 되도록 선택되며,
    방사 전에, 광섬유 (6)의 굴절률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두 조성물 (13, 14)을 하나 이상의 혼합 수단 (2, 16, 17, 26)을 사용하여 능동적으로 혼합하고,
    광섬유 (6)의 방사 후, 경화 (6)하여 가교된 3차원 격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률이 그의 중심과 주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하며 1종 이상의 중합체 (P) 및 굴절률이 변하게 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M1)로부터 제조되는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 (6)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가교화 동력학이 최대 일광 및 광개시제의 완전 변환 하에 겔화 시간이 10초 미만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겔화 시간이 2초 미만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3, 14) 중 제2 조성물이 굴절률을 또한 변하도록 하며, 굴절률이 M1의 굴절률과 상당히 상이하고 분자량이 100 내지 1000이며 비닐계 및 아크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M2)을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화합물 (M1 및 M2)이 실질적으로 점도가 동일하고 조성물의 성분에 대한 상기 중합체 (P)의 질량 비율이 각 상기 조성물 (13, 14)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조성물 (13, 14)을 각각의 점도가 1 Pa.s 내지 25 Pa.s인 온도에서 혼합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조성물 (13, 14) 각각의 점도가 50 Pa.s 초과인 온도에서 방사를 수행하는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3, 14)의 각 성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할로겐화된 물질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화합물 (M2)이 상기 조성물 (13, 14) 중 제2 조성물에 존재할 경우, 화합물 중 하나 (M1 및 M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소화되고 화합물 중 다른 화합물 (M2 및 M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염소화 또는 염소-불소화된 것인 방법.
  10. 사용된 혼합 수단 (2, 16, 17, 26)이 정적 혼합기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혼합기 (1)가 서로 상하로 적층되는 2개 이상의 판 (2a, 2b)을 포함하며, 각 판 (2a, 2b)에는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구멍 (12)은 한 판 (2a, 2b)에서 인접 판 (2b, 2a)으로 서로에 대해 정합되지 않게 배치되어 있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혼합기 (1)가 비드 (18)의 카트리지 (17)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17) 중의 비드 (18)의 직경이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동일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17) 중의 비드 (18)의 적어도 일부의 직경이 카트리지 (17) 중의 다른 비드 (18)의 적어도 일부의 직경과 상당히 상이한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혼합기 (1)가 다수의 배플 (16)을 포함하는 장치.
  16. 사용된 혼합 수단 (2, 16, 17, 26)이 동적 혼합기 (24)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혼합기 (24)가 그 근처에 하나 이상의 혼합기 블레이드 (20a, 20b)가 고정된 샤프트 (19)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20a, 20b)가 두 조성물 (13, 14) 중 하나 이상을 분배시키기 위한 분배 수단 (22a, 22b, 22c, 22d)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장치.
KR1020000037876A 1999-07-05 2000-07-04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 방법 KR100686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8617A FR2795997B1 (fr) 1999-07-05 1999-07-05 Procede de fabrication d'une fibre optique plastique a gradient d'indice
FR9908617 1999-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048A KR20010021048A (ko) 2001-03-15
KR100686672B1 true KR100686672B1 (ko) 2007-02-26

Family

ID=954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876A KR100686672B1 (ko) 1999-07-05 2000-07-04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76166B1 (ko)
EP (1) EP1067222A1 (ko)
JP (1) JP2001059912A (ko)
KR (1) KR100686672B1 (ko)
CN (1) CN1231618C (ko)
FR (1) FR27959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2515B1 (fr) * 2001-11-19 2004-01-30 Nexans Procede de fabrication d'une fibre optique plastique a gradient d'indice et fibre optique a gradient d'indice obtenue par ce procede
FR2832514B1 (fr) * 2001-11-19 2004-01-30 Nexans Procede de fabrication d'une fibre optique plastique a gradient d'indice et fibre optique a gradient d'indice obtenue par ce procede
US7042618B2 (en) * 2002-02-26 2006-05-09 Uni-Pixel Displays, Inc. Enhancements to optical flat panel displays
FR2855188B1 (fr) * 2002-08-30 2005-08-19 Nexans Procede de fabrication d'une fibre optique plastique a gradient d'indice et dispositif de formation de preforme pour la mise en oeuvre d'un tel procede
WO2004072697A1 (en) * 2003-02-10 2004-08-26 Nanoptic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lastic optical transmission medium
FR2854956B1 (fr) * 2003-05-16 2005-11-04 Nexans Composition liquide photoreticulaire pour fibre plastique
EP1479702A1 (fr) * 2003-05-19 2004-11-24 Atofina Polymères à base de chlorotrifluoroéthylène/carbonate de vinylène/hexafluoropropène ou tétrafluoroéthylène/carbonate de vinylène/hexafluoropropène
US7379642B2 (en) 2005-01-18 2008-05-27 Adc Telecommunications, Inc. Low shrink telecommunications cabl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212723B2 (en) * 2005-02-19 2007-05-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Monolithic waveguide arrays
US7848604B2 (en) 2007-08-31 2010-12-07 Tensolite, Llc Fiber-optic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391658B2 (en) 2008-05-28 2013-03-05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able with jacket embedded with reinforcing members
IT1394153B1 (it) 2008-10-21 2012-05-25 Fein Elast Italia S P A Impianto 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estrusi continui in materiale siliconico ed estruso continuo in materiale siliconico cosi' ottenuto
WO2011004785A1 (ja) * 2009-07-10 2011-01-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EP2502107A4 (en) 2009-11-20 2017-12-20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able
US8915659B2 (en) 2010-05-14 2014-12-23 Adc Telecommunications, Inc. Splice enclosure arrangement for fiber optic cables
US9052486B2 (en) 2010-10-21 2015-06-09 Carlisle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Fiber optic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885998B2 (en) 2010-12-09 2014-11-11 Adc Telecommunications, Inc. Splice enclosure arrangement for fiber optic cables
US11009662B2 (en) * 2017-09-05 2021-05-18 Facebook Technologies, Llc Manufacturing a graded index profile for waveguide display applications
JP2020173390A (ja) * 2019-04-12 2020-10-22 日東電工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7281328B2 (ja) * 2019-04-12 2023-05-25 日東電工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ー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5207A (ja) * 1988-04-15 1989-10-23 Mitsubishi Rayon Co Ltd 光伝送体の製造方法
JPH01265208A (ja) * 1988-04-15 1989-10-23 Mitsubishi Rayon Co Ltd 光伝送体の製造方法
JPH0836478A (ja) * 1994-03-04 1996-02-06 Microsoft Corp コンピュータカーソル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WO1996036478A1 (en) * 1995-05-15 1996-11-21 Akzo Nobel N.V. Method of making graded index polymeric optical fibres
JPH0920240A (ja) * 1995-06-29 1997-01-21 Hagenuk Fahrzeugklima Gmbh 圧力防護された換気システム
WO1997020240A1 (en) * 1995-11-30 1997-06-05 Akzo Nobel N.V. Method of making graded index polymeric optical fibr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33A (ja) 1992-06-18 1994-01-14 Mitsubishi Rayon Co Ltd 屈折率分布型プラスチック光伝送体の製法
US5593621A (en) 1992-08-17 1997-01-14 Koike; Yasuhiro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optical transmission medium
JPH09133819A (ja) 1995-11-09 1997-05-20 Sumitomo Wiring Syst Ltd 屈折率分布型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H09138313A (ja) 1995-11-16 1997-05-27 Sumitomo Wiring Syst Ltd 屈折率分布型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H09243835A (ja) 1996-03-06 1997-09-19 Mitsubishi Rayon Co Ltd 屈折率分布型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5207A (ja) * 1988-04-15 1989-10-23 Mitsubishi Rayon Co Ltd 光伝送体の製造方法
JPH01265208A (ja) * 1988-04-15 1989-10-23 Mitsubishi Rayon Co Ltd 光伝送体の製造方法
JPH0836478A (ja) * 1994-03-04 1996-02-06 Microsoft Corp コンピュータカーソル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WO1996036478A1 (en) * 1995-05-15 1996-11-21 Akzo Nobel N.V. Method of making graded index polymeric optical fibres
JPH0920240A (ja) * 1995-06-29 1997-01-21 Hagenuk Fahrzeugklima Gmbh 圧力防護された換気システム
WO1997020240A1 (en) * 1995-11-30 1997-06-05 Akzo Nobel N.V. Method of making graded index polymeric optical fibres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1265207
01265208
일본 평01-265207
일본 평01-2652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95997B1 (fr) 2001-10-19
CN1283713A (zh) 2001-02-14
US6576166B1 (en) 2003-06-10
FR2795997A1 (fr) 2001-01-12
JP2001059912A (ja) 2001-03-06
EP1067222A1 (fr) 2001-01-10
CN1231618C (zh) 2005-12-14
KR20010021048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672B1 (ko) 경사형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 방법
US5390274A (en) Distributed graded index type optical transmission plastic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4276342B2 (ja) グレーデッドインデックス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およびグレーデッドインデックス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を連続的に製造する方法
JP3387061B2 (ja) 特性が半径方向に変わる物質とその製造装置及び調製方法
US5175786A (en) Distributed refractive index type optical transmission plastic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287222A (en) Graded index type plastic optical transmission medium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762417B2 (ja) 光伝送体の製造方法
JP3005808B2 (ja) 合成樹脂光伝送体の製造方法
KR100460720B1 (ko) 플라스틱 광섬유 모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50151286A1 (en) Gradient refrective-index plastic ro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430389B1 (ko) 중공 방지형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광섬유용모재의 제조방법
KR20040066812A (ko)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플라스틱 광섬유
JP3002656B2 (ja) 屈折率分布型光伝送体の製法
US6984345B2 (en) Cavity-preventing type reactor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a preform for a plastic optical fiber using the same
JP3504064B2 (ja) 屈折率分布型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43531B1 (ko) 굴절률 분포형 고분자 광섬유 모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3444317B2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
KR100498189B1 (ko) 고속 회전을 이용한, 굴절률 구배를 가진 플라스틱 광섬유모재의 제조방법
JP3419711B2 (ja) 光伝送体の製法及び紡糸口金装置
JP3008361B2 (ja) 屈折率分布型プラスチック光伝送体の製法
Oh Method for preparing plastic optical fiber preform
JPH034036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