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608B1 - 의류 - Google Patents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608B1
KR100678608B1 KR20057006290A KR20057006290A KR100678608B1 KR 100678608 B1 KR100678608 B1 KR 100678608B1 KR 20057006290 A KR20057006290 A KR 20057006290A KR 20057006290 A KR20057006290 A KR 20057006290A KR 100678608 B1 KR100678608 B1 KR 100678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yarn
edge
region
knitted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700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7179A (ko
Inventor
케이 오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ublication of KR20050067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03Panty-gir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8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elastic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Abstract

신축성 경편지로 이루어지며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12,13)를 갖는 부편(11)을 적어도 일부에 이용한 의류이며, 부편(11)은 제1 및 제2 비탄성사와 탄성사로 편성되고, 지편조직이 제2 비탄성사와 탄성사를 동행시킨 1×1 트리콧 조직이며 또한 각 편침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이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고, 부편(11)중에는, 제1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부분(23)을 갖고 있으며,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12,13)의 부분은, 제1 비탄성사도 상기 제2 비탄성사와 탄성사와 동행시킨 1×1 트리콧 조직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하는 의류. 가장자리부분이 두꺼워지지 않고,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변화되는 영역의 패턴과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 라인의 방향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GARMENT}
본 발명은,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가지며 또한 신축 파워 또는 신축 방향이 부분적으로 다른 부편을 사용한 의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의류의 옷단부 등의 가장자리는,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가장자리부가 풀려져 버리므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어떠한 가장자리 처리를 할 필요가 있었다. 이 처리를, 가장자리 처리를 한다, 헤밍 등이라고 부르고, 그 방법은 부위나 소재에 따라 다양하며, 예를 들면, 천끝을 접어서 2중으로 하여 봉합하거나, 별도의 천이나 테이프형상물을 단면이 대략 U자상으로 생지의 가장자리부에 씌워서 봉합하는 등, 가장자리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작업은 의류의 봉제에 있어서 상당한 부담이며, 또한 이렇게 가장자리 처리를 실시하면, 그 부분이 두꺼워져서 타이트한 겉옷을 그 위에 착용한 경우 등, 속옷의 가장자리 라인이 볼록하게 되어서 겉옷에 나타나서 외관을 손상시키거나, 그만큼 두꺼워진 가장자리부가 착용감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로 되고 있다.
그래서, 최근, 예를 들면 가장자리 처리가 불필요한 옷단을 갖는 거들 등, 가장자리 처리가 불필요한 생지의 상기 가장자리부가 거들 옷단부로 되도록, 가장자리 처리가 불필요한 생지로 이루어지는 부편을 적어도 상기 의류를 구성하는 생지의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 의류가 사용되어 오고 있다. 또, 신체에 밀착해서 착용하고,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한 의류에 대해서도, 신축 파워를 강하게 하고 싶은 부분에, 다른 덧대기천을 붙이지 않고, 신축 파워를 강하게 하고 싶은 부분에, 삽입되는 탄성사의 굵기를 굵게 하거나, 같은 웨일에 삽입되는 탄성사의 개수를 많게 하거나, 상기 탄성사가 삽입되는 영역의 폭을 크게 함으로써, 덧대기천을 이용한 경우와 같이 단차가 생기지 않고, 힙업 기능 등의, 체형보정기능을 부여하는 방법도 채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삽입하는 탄성사의 굵기나 탄성사의 개수를 많게 함으로써 신축 파워를 강하게 한 영역 등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영역은, 편성 방향, 즉, 실의 공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향한 영역으로 되지 않을 수 없다. 바꿔 말하면, 신축 파워가 다른 영역의 경계 라인의 방향은 편성 방향, 즉, 실의 공급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따라서, 삽입하는 탄성사의 굵기나 탄성사의 개수를 많게 함으로써 신축 파워가 다른 영역을 형성할 경우에는, 그 영역의 경계 라인은 직선상으로 되고, 띠형상의 패턴의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을 형성한 경우에는, 커브된 띠형상 패턴과 같은 영역은, 형성할 수는 없고, 직선의 띠형상의 패턴영역 밖에 형성할 수 없다.
그래서, 신축 파워가 다른 영역의 경계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곡선상으로 하기 위해서, 바꿔 말하면, 신축 파워가 강해지거나, 또는 약해진 커브된 띠형상의 패턴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비탄성사의 편성조직 변화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하거나, 또는 신축 파워가 약한, 커브된 형상의 패턴도 포함하는 임의의 패턴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1, 그 대응 미국 특허의 하기 특허문헌2참조.)
상기 특허문헌1, 2에 나타내어진 방법은, 비탄성사의 편성조직 변화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하거나, 또는 신축 파워가 약한, 커브된 형상의 패턴도 포함하는 임의의 패턴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이들 영역과,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해지거나, 또는 약해진 직선의 띠형상의 패턴영역과 병용해서, 여러가지 신축 파워의 강약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부위에, 필요한 신축 파워의 영역을 어느 정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또, 이후 「신축 파워가 강한, 또는 약한 영역」을 통합해서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이라고 약칭하는 일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1, 2에 나타내어진 방법에 있어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형성할 경우에는, 통상, 소위 실뽑기 등의 방법이 이용된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3참조). 따라서, 편성삽입된 실을 뽑는 것에 의해, 그 부분을 경계로 해서, 편지를 2분하고, 상기 2분된 대향하는 각각의 가장자리의 부분이, 풀림이 생기지 않는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가 된다. 그 때문에,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는, 실의 공급 방향, 즉, 편성 방향과 실질상 평행한 라인의 가장자리로 되지 않을 수 없다. 상기 생지의 상하의 가장자리를 모두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할 경우도, 모두 편성 방향과 평행한 라인의 가장자리로 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비탄성사의 편성조직 변화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하거나, 또는, 신축 파워가 약한, 커브된 형상의 패턴도 포함하는 임의의 패턴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방법과 상기 실뽑기에 의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형성 방법을 조합해서 채용해도,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라인의 방향은, 편성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것을, 이하, 편성 방향으로 동일 방향이라고 나타내는 일도 있다.)으로 되지 않을 수 없고,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라인의 방향이나 형상을 소정의 방향으로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없으므로, 커브된 형상의 패턴도 포함하는 임의의 패턴의 신축 파워가 다른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과 조합해도, 의류설계의 자유도가 아직 상당히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신축 파워를 강하게 하고 싶은 부분에, 보다 굵은 탄성사를 삽입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탄성사에 의해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을 형성할 경우도, 보다 굵은 탄성사의 삽입 등의 수단으로 상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의 방향은, 실의 공급 방향, 즉, 편성 방향과 대략 평행한 실질상 직선 라인을 따른 방향으로 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통상이다.
따라서, 1장의 편지중에,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을 형성함과 아울러 1장의 같은 편지중에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형성할 경우에는,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의 방향과,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라인의 방향이, 실질상 평행한 방향을 향한 생지로 되지 않을 수 없다. 바꿔 말하면,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방향은, 편성 방향에 한정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도16에, 1개의 모델 샘플로서, 상술한, 종래법(상기 특허문헌1, 2에 나타내어진 방법)에 의해, 1장의 편지중에, 비탄성사의 편성조직 변화에 의한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과, 탄성사에 의해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과, 소위 실뽑기 등의 방법에 의해, 풀림이 생기지 않는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이 경우, 옷단부분이 이것에 해당됨)를 형성한 것을, 적당한 형상으로 재단한, 의류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편의 모식적 평면도를 나타냈다. 또 이 부편의 형상은, 단지, 설명을 위해 예로 든 형상이며, 어떤 특정의 의류의 부편에 적용하는 엄밀한 형상은 아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어떤 종류의 쇼트 거들의 앞옆에서부터 옆을 커버하여 배부의 힙부를 커버하기 위한 좌측의 부편에 가까운 형상의 부편을 설명용의 모델로서 채용한 것이다. 도면의 우측부분이, 뒤중심측이 되고, 상측이 웨이스트 라인, 좌하측이 옷단 라인이 된다. 후술하는 도17이나 도14, 도15도 같은 취지의 도면이다.
도16에 나타낸 편지(300)는, 301의 가장자리가,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예를 들면 옷단 라인)이며, 303이 비탄성사의 편성조직 변화에 의해 형성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이며 커브된 띠형상 패턴영역, 304가 탄성사에 의해 형성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예를 들면, 다른 부분보다 굵은 탄성사가 삽입되어서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 302가 상측 가장자리(예를 들면 웨이스트 라인)이며, 탄성사에 의해 형성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304)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304a,304b)(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양자를 통합해서 간단히 304ab라고 약칭함)의 방향과,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301)의 방향(306)은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후, 이러한 편성조직 또는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의 「전환 라인」을 「경계 라인」이라고 하는 일도 있다. 이 편지의 편성 방향은, 305의 화살표로 나타내어진 방향이며,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304ab)의 방향과 같다. 그리고,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301)의 방향(306)은, 편성 방향(305)과 동일방향(평행한 방향)에 한정되어 버린다. 또한, 가령 상측 가장자리(302)라인의 방향(307)을,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304)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의 방향(304ab)이나,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301)의 방향(306)과는 다른 도시한 바와 같은 307의 방향의 형상으로 하고자 하면, 상측 가장자리(302)는,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할 수 없고, 2중으로 접어서 봉합하는 등, 가장자리처리(헤밍)을 필요로 하는 가장자리로 된다.
도17에, 다른 1개의 모델 샘플로서, 종래법에 의해, 1장의 편지중에, 비탄성사의 편성조직 변화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과,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을 형성함과 아울러, 동시에 1장의 같은 편지중에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형성한 것을, 적당한 형상으로 재단한, 의류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편의 다른 모식적 평면도를 나타냈다.
도17에 나타낸 편지(300)는, 301의 가장자리가,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이며, 또한, 스캘롭(scallop)상으로 파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스캘롭상의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3099085호 등의 방법에 의해 실현가능하다.
그리고 이 경우도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304)(예를 들면, 굵은 탄성사가 삽입되어서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을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304)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의 방향(304ab)과,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301)의 방향(306)은 실질상 평행하게 되어 있다.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301)의 스캘롭상 부분은 파형상의 곡선이지만, 그 파(波)의 진행 방향에 상당하는 전체로서의 가장자리(301)의 방향은, 화살표(306)의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빛은 파동이지만, 전체적으로 직선으로 진행 방향을 그리고 있는 것과 같은 취급법이다. 화살표(306)는,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301)의 스캘롭상의 파의 정점을 잇는 접선 라인을 가지고 전체로서의 방향으로 했지만, 파를 상하로 분할하는 중앙선을 가지고 전체로서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즉,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301)를 스캘롭상으로 해도, 그 전체로서의 방향(306)과,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304)의 경계 라인(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304ab)의 방향은 실질상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이 편지의 편성 방향은, 305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이며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의 방향과 동일방향이다. 그리고,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301)의 방향(306)은, 편성 방향(305)에 한정되어 버린다. 또한 가령 상측 가장자리(302)라인의 방향(307)을,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304)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304ab)의 방향이나,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301)의 방향(306)과 다른 도시한 바와 같은 307의 방향의 형태로 하고자 하면, 상측 가장자리(302)는,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할 수는 없고, 2중에 접어서 봉합하는 등, 가장자리처리를 필요로 하는 가장자리로 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304)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304ab)의 방향과,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301)의 방향(306)을 비평행하게 하고자 하면, 가장자리(301)를 원하는 방향으로 되도록 재단하지 않을 수 없고, 재단한 재단끝은, 그 상태에서는 풀림이 생기므로, 가장자리처리를 실시한 가장자리로 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즉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할 수는 없게 된다. 또한, 가령 상측 가장자리(302)를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할 경우에도, 상측 가장자리(302)의 라인의 방향(307)을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304)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304ab)의 방향이나 편성 방향(305)과 평행한 방향에 한정되어 버린다. 즉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방향은, 편성 방향이나,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의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실상이다.
따라서, 종래는, 의류의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방향을 예를 들면 거의 수평방향 등, 특정의 방향으로 정해 버리면,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의 방향(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의 방향)을 원하는 체형보정을 행하기에 바람직한 각도로 하는 등 자유롭게 설정할 수는 없고, 옷단 라인이나 웨이스트 라인의 가장자리 등을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할 경우에는,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의 방향이 그것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한되어, 옷단 라인이나 웨이스트 라인의 방향과는 관계없이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의 방향을 상기 의류의 최적의 방향으로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라고 하는 문제도 있다.
즉,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이루어지는 옷단 라인 또는 웨이스트 라인의 방향은, 편성 방향으로 한정되고, 이들 가장자리의 방향을 목적으로 하는 의류에 최적인 방향으로 설계하면,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의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없어, 원하는 체형보정을 행하기에 바람직한 각도로 배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의류에 있어서는,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의 방향을, 원하는 체형보정을 행하기에 바람직한 각도로 배치하고, 또한 옷단 라인 등의 의류의 하측 가장자리부 또는 웨이스트 라인 등의 의류 상측 가장자리부 등의 방향도,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의 방향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바꿀 경우에는, 가장자리부의 형상은, 원하는 형태로 재단해서, 가장자리처리를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즉, 종래의 의류에 있어서는,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의 방향은,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설계의 자유도가 상당히 제한되어 있었다. 도16이나 도17에서 나타낸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의 방향을,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14나 도15에서 나타낸 방향 등,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방향에 구속되지 않는, 비교적 자유로운 방향으로 설정할 수도 없었다.
바꿔 말하면,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변화되는 영역을 갖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도 갖고, 또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재단에 의해 비교적 자유로운 방향 또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부편을 이용한, 비교적 설계의 자유도가 높은 의류는 얻어지지 못했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 제3023354호공보.
특허문헌2:미국 특허 제6,401,497호공보.
특허문헌3:일본 특허공개 2000-303331호([0020]의 설명 및 도2참조).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해서,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부분의 영역의 경계 라인이 직선상 또는 그 적어도 일부가 곡선상인,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부분(이것을,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변화되는 영역이라고 하는 일도 있음)의 패턴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고, 또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 라인의 방향이 편성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기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변화되는 영역의 패턴을 바람직한 부위에 배치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재단에 의해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여기에서,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부분(즉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변화되는 영역)은,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을 적당히 바꾸는 것에 의해, 신축 파워나 신축 방향 등을 적당히 다르게 한 것이다.
또한,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의 방향과,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방향을, 평행하게 하지 않고, 각각의 라인을 필요에 따른 바람직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고, 또한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변화되는 영역의 경계 라인이 직선상 또는 그 적어도 일부가 곡선상인 신축 파워 또는 신축 방향이 변화되는 영역도 아울러 갖고, 여러가지 단계의 신축 파워의 변화를 갖는 영역이나 신축 방향 등의 변화를 갖는 영역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고, 또한 재단한 상태에서 풀림이 생기기 어려운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적어도 일부에 갖는 체형보정기능 또는 피트성 향상 등의 기능을 추가한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의류는, 신축성의 경편지로 이루어지며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갖는 부편(P)을, 의류를 구성하는 생지의 적어도 일부에 이용한 의류로서, 상기 부편(P)은, 제1비탄성사와, 지편조직을 형성하는 제2비탄성사 및 탄성사로 편성되고, 상기 지편조직이 상기 제2비탄성사와 상기 탄성사를 동행시킨 1×1의 트리콧 조직이며 또한 각 편침에 있어서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 중 적어도 한쪽이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편(P)중에는,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부분을 갖고 있으며,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부분은, 제1비탄성사도 상기 지편의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와 함께 동행한 1×1의 트리콧 조직(S)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의류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의류의 일실시형태예의 세미롱타입의 거들의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세미롱타입의 거들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의류의 일실시형태예의 세미롱타입의 거들의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낸 세미롱타입의 거들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5는, 신축성 경편지의 부편(P)중에서 사용되는 편성조직의 일형태이다.
도6은, 신축성 경편지의 부편(P)중에서 사용되는 편성조직의 다른 일태양이다.
도7은, 신축성 경편지의 부편(P)중에서 사용되는 편성조직의 또 다른 일형태이다.
도8은, 부편(P)의 지편조직의 일형태이다.
도9는, 부편(P)의 지편조직의 다른 일형태이다.
도10은, 부편(P)의 지편조직의 또 다른 일형태이다.
도11은,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영역(H)을 갖는 경편지의 일례의 평면도이다.
도12는,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의 2종류의 다른 영역(H)을 갖는 경편지의 일례의 평면도이다.
도13은,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의 3종류의 다른 영역(H)을 갖는 경편지의 일례의 평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의류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편(P)의 일형태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의류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편(P)의 다른 일형태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16은, 종래 기술을 적용한 경우의 의류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편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17은, 종래 기술을 적용한 경우의 의류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편의 다른 모식적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의류는,
(1)신축성의 경편지로 이루어지며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갖는 부편(P)을, 의류를 구성하는 생지의 적어도 일부에 이용한 의류로서, 상기 부편(P)은, 제1비탄성사와, 지편조직을 형성하는 제2비탄성사 및 탄성사로 편성되고, 상기 지편조직이 상기 제2비탄성사와 상기 탄성사를 동행시킨 1×1의 트리콧 조직이며 또한 각 편침에 있어서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 중 적어도 한쪽이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고, 상기 부편(P)중에는,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부분을 갖고 있으며,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부분은, 제1비탄성사도 상기 지편의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와 함께 동행시킨 1×1의 트리콧 조직(S)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의류이다.
본 발명의 의류에 있어서는, 의류를 구성하는 생지의 적어도 일부에 이용하는 부편(P)은, 제1비탄성사와, 지편조직을 형성하는 제2비탄성사 및 탄성사로 편성되며, 상기 지편조직이 상기 제2비탄성사와 상기 탄성사를 동행시킨 1×1의 트리콧 조직이며 또한 각 편침에 있어서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 중 적어도 한쪽이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으며,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부분은, 제1비탄성사도 상기 지편의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와함께 동행시킨 1×1의 트리콧 조직(S)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의류이므로, 편성 방향에 상관없이, 비교적 자유로운 방향으로, 또는, 비교적 자유로운 형상으로 의류의 가장자리가 되는 부분을, 재단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재단된 상태의 가장자리는, 제1비탄성사도 상기 지편의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와 함께 동행한 1×1의 트리콧 조직(S)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포함하므로,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편(P)중에는,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부분을 갖고 있어,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형상의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을 다르게 한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신축 파워 또는 신축 방향 등을 적당히 변화시킨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적당한 위치에 적당한 체형보정기능 또는 피트성 향상 등의 기능을 추가한 의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상기 가장자리의 부분이 두꺼워지지 않고, 의류의 상기 가장자리의 부분이 겉옷에 반영되어 요철이 되어서 나타내어지는 일이 없고, 본 의류의 착용자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갖는 의류의 이점을 발휘할 수 있다.
(2)상기 (1)항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길이의 2/3이상이, 제1비탄성사도 상기 지편의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와 함께 동행한 1×1의 트리콧 조직(S)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3)상기 (1)항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길이의 전부가, 제1비탄성사도 상기 지편의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와 함께 동행시킨 1×1의 트리콧 조직(S)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4)또, 상기 (1)∼(3)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상기 부편(P)중의 (S)로 이루어지는 영역 이외의 영역(H)이, 하기 (H1)∼(H4)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H1)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하프 편성인 영역
(H2)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사슬 편성인 영역
(H3)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인 1×1의 트리콧인 영역
(H4)제1비탄성사와 또한 제3비탄성사가 겹쳐서 편성삽입된 영역이며,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하프 편성, 사슬 편성 및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에서 선택된 1종이며, 제3비탄성사가 하프 편성, 사슬 편성 및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에서 선택된 1종이며 상기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과는 다른 편성조직인 영역.
(5)또, 상기 (4)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길이의 2/3보다 작은 범위가, (H3)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6)또, 상기 (1)∼(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신축성의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부편(P)에 있어서,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영역 중 적어도 1개의 경계 라인의 적어도 일부가 곡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7)또, 상기 (4)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부편(P)으로서, 신축 파워를 비교적 약하게 하고 싶은 영역에 (S)로 이루어지는 영역을 배치하고, 신축 파워를 비교적 강화하고 싶은 영역에 (H)로 이루어지는 영역을 배치한 부편(P)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또, 상기 (1)∼(7)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상기 부편(P)이, 신축 파워의 강약의 요구에 따라, 이용하는 탄성사의 굵기, 편성삽입 개수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꾼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다른 영역이 더 형성되어 있는 부편(P)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의 방향과,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방향을, 평행하게 하지 않고, 각각의 라인을 필요에 따른 바람직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고, 또한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변화되는 영역도 아울러 갖고, 여러가지 단계의 신축 파워를 갖는 영역 또는 신축 방향 등을 특정의 방향으로 제어한 영역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고, 또한 재단한 상태에서 풀림이 생기지 않는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적어도 일부에 갖는 의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9)또, 상기 (1)∼(8)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상기 부편(P)의 지편의, 제2비탄성사가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탄성사가 오픈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0)또, 상기 (1)∼(8)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상기 부편(P)의 지편의,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 모두가,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1)또, 상기 (4)∼(1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영역(H1)의 제1비탄성사에 의한 하프 편성이,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는 하프 편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12)또, 상기 (4)∼(1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영역(H2)의 제1비탄성사에 의한 사슬 편성이, 오픈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는 사슬 편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13)또, 상기 (4)∼(1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영역(H3)의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클로즈드 루프의 1×1의 트리콧인 것이 바람직하다.
(14)또, 상기 (1)∼(13)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의류가 거들, 쇼츠, 보디 슈츠, 수영복, 레오타드,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즈, 브래지어에서 선택된 의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15)또, 상기 (1)∼(8)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의류가, 의류전체가 신체에 밀착되는 힙부를 갖는 의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16)또, 상기 (1)∼(1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상기 신축성의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부편(P)에 있어서,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영역 중 적어도 1개가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17)또, 상기 (16)항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영역이, (H1), (H2), (H3) 및 (H4)에서 선택된 영역(H)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18)또, 상기 (17)항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의류가, 쇼츠 또는 거들이며, 상기 쇼츠 또는 거들 옷단부 및 웨이스트 라인부가 상기 부편(P)의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이루어지며,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영역이 영역(H)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쇼츠 또는 거들의 좌우의 힙부의 볼록부의 아래에서부터 옆에 걸친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19)또, 상기 (8)∼(18)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의류가, 쇼츠 또는 거들이며, 상기 쇼츠 또는 거들의 옷단부 및 웨이스트 라인부의 적어도 한쪽이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옷단부 및 웨이스트 라인부의 가장자리의 라인의 방향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부편(P)의 상기 탄성사에 의해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의 방향과 비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20)또, 상기 (1)∼(13)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의류가, 브래지어이며, 브래지어의 등천이 상기 부편(P)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등천의 상하의 가장자리가,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1)또, 상기 (1)∼(2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비탄성사로서, 브라이트사(明絲)와 덜사(暗絲)를 사용하고, 브라이트사를 편성삽입한 부분과 덜사를 편성삽입한 부분을 분할편성에 의해 형성하고, 소정 개소에 브라이트사와 덜사의 광택의 차이에 의한, 선상 또는 띠형상의 육안확인 가능한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2)또, 상기 (1)∼(21)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류에 있어서는, 지편조직이, 상기 (1)항에 기재된 지편조직 대신에, 탄성사만으로 편성된 1×1의 트리콧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조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류에 있어서는,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는, 상술한 실뽑기 등의 방법으로 형성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가 아니고,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풀림이 생기지 않는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가 되는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부편(P)을 이용한 재단된 그대로의 가장자리이다.
이렇게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도, 그 재단끝(재단된 그대로의 가장자리)을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할 수 있고, 또한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부분을 갖고 있는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부편(P)을 설명하기 위해서, 각각의 영역을 구성하는 것에 바람직하게 채용되는 편성조직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부편(P)의 경편지의 편성조직을, 도5, 도6, 도7 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5, 도6, 도7에 있어서는, 모두 화살표(R)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이, 편성 방향(바꿔 말하면, 실의 공급 방향, 웨일 방향, 편지의 세로방향)이며, 그것과 직각의 방향이 경편지의 코스 방향(편지의 가로방향)이 된다. 100이 쟈카드 바디(L1)에 통사되어서 편성되는 제1비탄성사이며, 도면은 그 편성조직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101이 편지 바디(L2)에 통사되어서 편성되는 제2비탄성사이며, 도면은 그 편성조직을 나타내고 있다. 102가 또 하나의 편지 바디(L3)에 통사되어서 편성되는 탄성사이며, 도면은 그 편성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도5, 도6, 도7에 있어서 공통적인 것은, 제2비탄성사(101)와 탄성사(102)로 이루어지는 지편조직이며,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를 동행시킨 1×1트리콧이며, 또한 각 편침에 있어서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 중 적어도 한쪽이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다. 도5, 도6, 도7에 있어서 도시한 것은, 각 편침에 있어서 제2비탄성사가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탄성사가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다. 이렇게 지편의 편사로서 비탄성사와 탄성사를 이용해서 적당한 신축성을 부여하고 있다. 지편을 1×1트리콧의 편성조직으로 하고, 또한, 각 편침에 있어서 비탄성사와 탄성사 중 적어도 한쪽을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함으로써, 편성 루프의 안정, 재단된 그대로의 가장자리의 풀림의 방지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1×1의 트리콧 편성으로서는, 쟈카드 싱글러셀 편기나 쟈카드 트리콧 편기로 편성된 1×1의 트리콧 편성이지만, 쟈카드 싱글러셀 편기로 편성된 1×1의 트리콧 편성인 것이 텐션을 가하기 쉽고 편성 밀도가 높은 편지로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변화된 영역을, 편성 방향과 같은, 직선의 띠형상의 영역으로 할 경우에는, 쟈카드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싱글러셀 편기나 트리콧 편기, 바람직하게는, 싱글러셀 편기를 사용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신축성 경편지의 지편조직의 형태만을 별도로, 도8, 도9, 도10에 나타냈다. 도8은, 제2비탄성사(101)가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탄성사(102)가 오픈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는 지편조직(A), 도9는, 제2비탄성사(101)와 탄성사(102) 모두가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는 지편조직(B),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편조직(A)과는 반대의 조합, 즉, 제2비탄성사(101)가 오픈 루프에 의해, 탄성사(102)가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는 지편조직(C), 및 도10에 나타낸 지편조직(D)과 같이 , 제2비탄성사(101)와 탄성사(102)가 모두 오픈 루프와 클로즈드 루프를 교대로, 단, 같은 편침에 있어서 제2비탄성사(101)의 오픈 루프에 대하여 탄성사(102)는 클로즈드 루프, 마찬가지로 제2비탄성사(101)의 클로즈드 루프에 대하여 탄성사(102)는 오픈 루프가 조합되어 편성되어 있는 신축성 경편지(D)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중, 지편조직(A)이, 신축 파워의 강약차가 명확히 발휘되기 쉽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지편조직(B)은, 웨일 방향의 편성 밀도를 고밀도로 하기 쉽고, 재단된 그대로의 가장자리의 풀림이 특히 적다고 하는 점에서 우수하다. 지편조직(C)이나 지편조직(D)은, 신도가 높은 지편조직으로 할 수 있지만, 신축 파워의 강약차가 부여되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된다. 지편조직으로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A)가 가장 바람직하고, 그 다음에 바람직한 것이 (B)이다.
도5의 쟈카드 바디(L1)에 통사되어서 편성되는 제1비탄성사(100)는, 105로 나타낸 코스의 부분이, 제1비탄성사와 상기 지편의 상기 제2비탄성사와 상기 탄성사를 동행시킨 1×1의 트리콧이며, 상기 영역(S)을 형성할 때에 적용되는 편성조직이다. 이 조직은, 특히 풀림이 생기기 어려우므로, 상기 부편(P)의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이 조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며, 바람직하게는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길이의 2/3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길이의 전부가 이 조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조직은 비교적 신축 파워가 약한 영역을 형성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상기 편성조직에 있어서, 제1비탄성사에 의한 1×1의 트리콧은,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는 것이, 재단된 그대로의 가장자리의 풀림이 보다 한층 생기기 어려워져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비탄성사(100)에 있어서 106으로 나타낸 코스의 부분은, 하프 편성이며, 편지의 신축 파워를 비교적 강화하거나, 또는 신축 방향을 주로 특정의 방향으로 규제하는 영역(H)의 하나로서 이용된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주로 편지의 가로방향의 신축 방향을 늘어나기 어렵게 하거나, 주로 편지의 가로방향의 신축 파워를 강화한 영역(H1)을 형성하기 쉬운 경향의 편성조직이다. 또, 도5에 나타낸 106의 하프 편성은, 클로즈드 루프로 하는 것이, 신축 파워를 비교적 강화하거나 신축 방향을 규제하는 기능을 보다 발휘하기 쉽게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하프 편성은, 바꿔 말하면, 1×1의 트리콧에 비해서 스티치를 가로방향으로 많이 틀은 조직이며, 신장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 하프 편성의 싱커 루프의 방향은,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동일 방향이 된다. 즉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이 좌측아래에서 우측으로 비스듬히 위를 향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하프 편성의 싱커 루프의 방향도 마찬가지로 좌측 아래에서 우측으로 비스듬이 위를 향하고,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이 우측 아래에서 좌측으로 비스듬히 위를 향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하프 편성의 싱커 루프의 방향도 마찬가지로 우측 아래에서 좌측으로 비스듬히 위를 향하고 있다.
또, 여기에서 편지의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의 기준으로서, 경편지에 있어서 세로방향이란, 편지의 편성 방향(화살표(R)로 나타내어지는 방향), 즉 웨일 방향이 세로방향이며, 따라서, 여기에서 말하는 가로방향이란, 편지의 편성 방향과 직각의 방향, 즉, 코스 방향이며, 완성된 의류의, 세로방향, 가로방향과는 무관한 점을 주의해야 할 것이다. 가령, 이 경편지의 세로방향, 즉 편지의 편성 방향(화살표(R)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이 의류의 가로방향이 되도록 사용한 경우, 그 의류에 있어서는, 이 경편지의 세로방향은 의류의 가로방향을 향하고 있게 된다.
도6의 쟈카드 바디(L1)에 통사되어서 편성되는 제1비탄성사(100)는, 105로 나타낸 코스는, 도5의 105로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지편의 상기 제2비탄성사와 상기 탄성사와 제1비탄성사를 동행시킨 1×1의 트리콧이며, 영역(S)을 형성할 때에 적용되는 편성조직이다. 그리고, 도6에 있어서 제1비탄성사(100)에 있어서 107로 나타낸 코스는, 사슬 편성이며, 편지의 신축 파워를 비교적 강화하거나, 또는 신축 방향을 주로 특정의 방향으로 규제하는 영역(H)의 하나로서 이용된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주로 편지의 세로방향의 신축 방향을 늘어나기 어렵게 하거나, 주로 편지의 세로방향의 신축 파워를 강화한 영역(H2)을 형성하기 쉬운 경향의 편성조직이다. 또, 도6에 나타낸 107의 사슬 편성은, 오픈 루프로 하는 쪽이, 실끊김 등이 발생하기 어렵고, 편성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클로즈드 루프로 한 경우에는, 편지의 세로방향의 신축 파워가 다소 강해지지만, 편성성의 점에서 떨어지는 경향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말하는 세로방향이란, 편지의 편성 방향(화살표(R)로 나타내어지는 방향), 즉, 웨일 방향이며, 완성된 의류의, 세로방향, 가로방향과는 무관한 점은 상기한 바와 같다.
다음에 도7의 쟈카드 바디(L1)에 통사되어서 편성되는 제1비탄성사(100)는, 105로 나타낸 코스는, 도5의 105로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지편의 상기 제2비탄성사와 상기 탄성사와 제1비탄성사를 동행시킨 1×1의 트리콧이며, 영역(S)을 형성할 때에 적용되는 편성조직이다. 그리고, 도7의 제1비탄성사(100)에 있어서 108로 나타낸 코스는,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은,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반대 방향의 1×1의 트리콧(이것을, 「역행 1×1의 트리콧」이라고 약칭하는 일이 있다.)이며, 편지의 신축 파워를 다소 강하게 하거나, 또는 신축성을 바꾸는 영역(H)의 하나로서 이용된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H1) 이나 (H2)에 비해서 재단한 그대로의 가장자리가 풀리기 어려운 경향을 가지므로,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편성조직의 일부로서 이용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 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길이의 2/3보다 작은 범위가, (H3)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싱커 루프의 방향을 105의 부분으로부터, 108의 부분과 마찬가지로 역방향으로 변경할 때는, 예를 들면 109로 나타낸 코스에 사슬 편성 등의 조직을 통해 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제1비탄성사(100)의 소정 코스를 따른 부분의 싱커 루프(100a)에 주목하면, 도7에서는, 싱커 루프(100a)의 방향은, 좌측 아래에서 우측으로 비스듬히 위를 향하고 있다. 같은 코스를 따른 부분의 제2비탄성사(101)의 싱커 루프(101a)와, 탄성사(102)의 싱커 루프(102a)의 방향은, 모두 우측 아래에서 좌측으로 비스듬히 위를 향하고 있다. 따라서 싱커 루프(100a)의 방향이 상기 지편의 싱커 루프(10la,102a)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도7에 나타낸 108의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은, 클로즈드 루프로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오픈 루프로 해도 좋다.
이상으로 설명한 것은,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영역의 편성조직 등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도5의 106의 하프 편성, 도6의 107의 사슬 편성, 도7의 108의 싱커 루프의 방향이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을 따로따로 설명했지만, 동일 웨일에, 이들을 혼재시켜서, 어떤 소정의 코스까지는, 하프 편성, 계속해서 다음 코스로부터 일정 코스는 사슬 편성을 채용하고, 더 계속해서, 그 후의 코스는 역행 1×1의 트리콧으로 하는 등 연속해서 변화시켜도 좋다.
도시하지 않지만, 또한, 영역(H)의 하나로서, 제1비탄성사와 또한 제3비탄성 사가 겹쳐서 편성삽입된 영역이며,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하프 편성, 사슬 편성 및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에서 선택된 1종이며, 제3비탄성사가 하프 편성, 사슬 편성 및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에서 선택된 1종이며 상기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과는 다른 편성조직인 영역(H4)도 이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로 편지의 세로방향의 신장을 저하시켜서 편지의 가로방향의 신장은 그다지 저하시키지 않고, 주로 편지의 세로방향의 신축 파워를 더욱 강화한 영역(H4)을 형성하는데에 바람직한 편성조직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경편지는, 실제로는 피에조 변환 소자 등에 의한 쟈카드 제어장치를 갖는 경편기(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390,512호, 대응 일본 특허공개 평6-166934호 등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쟈카드 제어장치를 갖는 싱글 러셀 편기, 쟈카드 제어장치를 갖는 트리콧 편기 등을 이용해서, 쟈카드 바디(L1)에 제1비탄성사, 지편 바디(L2)에 제2비탄성사, 지편 바디(L3)에 탄성사를 공급해서 동시에 편성되는 것이지만, 신축 파워의 변화나 신축 방향의 변화의 요구에 따라,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편성조직이 변화되는 영역의 경계 라인을 요구에 따라, 직선상으로 하거나, 그 적어도 일부가 곡선상인 것도 포함해서, 임의의 패턴의 상술한 제1비탄성사에 의한, 영역(S), 및 임의의 패턴의 (H1)∼(H3)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영역(H)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 쟈카드 제어장치를 갖는 싱글 러셀 편기로 편성된 것이, 텐션을 가하기 쉽고, 편성 밀도가 높고, 평균적으로 신도가 큰 경편지로 할 수 있어 바람직 하다. 그러나,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변화된 영역이, 편성 방향과 같은, 직선의 띠형상의 영역으로 할 경우에는, 쟈카드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싱글 러셀 편기나 트리콧 편기, 바람직하게는, 싱글 러셀 편기를 사용해도 좋다. 상술한 제1비탄성사와 또한 제3비탄성사가 겹쳐서 편성삽입된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쟈카드 바디(L1)에 통사되어서 편성되는 제1비탄성사의 편성조직의 변화에 의해, 소정부분에 영역(H)과 영역(S)을 패턴상으로 형성할 경우에, 영역(H)의 패턴이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11에 상술한 바와 같은 영역(H)의 패턴이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을 갖는 경편지(1)의 일례의 평면도를 나타냈다. 여기에서 가령 2가 영역(H), 3이 영역(S), 4도 영역(S)으로 한다. 이 경편 생지를 형성하기 위한 실의 공급 방향은 화살표(R)의 방향이다. 즉, 쟈카드 경편기에 의해 편성되어 경편기로부터 배출되는 생지의 배출 방향(편성 방향)이 화살표(R)의 방향이다.
도11의 Wn번째의 웨일을 편성하는 경우는, m0번째의 코스로부터 m1번째의 코스까지는, 영역(S)에서 채용하는 조직, 즉 지편과 같은 1×1의 트리콧(도5의 제1비탄성사(100)의 105의 부분의 편성조직 참조)로 편성하고, m1번째의 코스와 m2번째의 코스의 사이는 예를 들면 하프 편성(도5의 제1비탄성사(100)의 106의 부분의 편성조직 참조)으로 편성하고, m2번째의 코스로부터 m3번째의 코스는 지편과 같은 1×1 의 트리콧으로 편성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1의 Wn+x번째의 웨일을 편성할 경우는, m0번째의 코스로부터 q1번째의 코스까지는, 지편과 같은 1×1의 트리콧으로 편성하고, q1번째의 코스와 q2번째의 코스의 사이는 하프 편성으로 편성하고, q2번째의 코스부터 m3번째의 코스는 지편과 같은 1×1의 트리콧으로 편성하게 된다. 이러한 편성 방법은, 상술한 쟈카드 제어장치를 갖는 경편기의 컴퓨터에 각 웨일 과 각 코스에 대해서 상술과 같은 지령을 입력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의 하프 편성의 부분을 사슬 편성(도6의 제1비탄성사(100)의 107의 부분의 편성조직 참조)으로 하거나,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도7의 제1비탄성사(100)의 108의 부분의 편성조직 참조)으로 하거나, 적당히, 요구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영역(H)을 2종류 이상[상기 (H1), (H2), (H3)에서 선택된 2종류 이상] 형성할 경우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12에 영역(H)의 패턴이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을 갖는 경편지(1)이며, 2종류의 다른 영역(H)이 형성되어 있는 경편지(1)의 일례의 평면도를 나타냈다. 여기서 2가 영역(H), 3이 영역(S), 4도 영역(S)이며, 도11의 경우와 다른 것은, 영역{H(2)}이 2종류의 영역(2a)과, 영역(2b)으로 이루어지는 점이다.
이러한 영역(S)과 2종류의 영역(H)의 패턴을 갖는 경편지를 형성하기 위한 실의 공급 방향은 화살표(R)의 방향이다. 즉, 쟈카드 경편기에 의해 편성되어 경편 기로부터 배출되는 생지의 배출 방향(편성 방향)이 화살표(R)의 방향이다.
여기에서 가령 영역{H(2)} 중 2a로 나타내어지는 영역이 하프 편성(도5의 제1비탄성사(100)의 106의 부분의 편성조직 참조)으로 편성된 영역(H1), 2b로 나타내어지는 영역이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도7의 제1비탄성사(100)의 108의 부분의 편성조직 참조)으로 편성된 영역(H3)이라고 가정하면, 이 지편 생지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또, 영역(S)의 3과 4의 영역의 형성 방법은, 도11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도12에서는 주로 영역(2a)과 영역(2b)을 소정의 패턴상으로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3, 4의 영역의 설명은 생략해서 2a와 2b의 영역만 주목해서 설명한다.
도12의 Wn번째의 웨일을 편성하는 경우는, m10번째의 코스부터 m11번째의 코스까지는, 하프 편성으로 편성하고, m11번째의 코스와 m12번째의 코스의 사이는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으로 편성한다. 마찬가지로 도12의 Wn+x번째의 웨일을 편성하는 경우는, q10번째의 코스부터 q11번째의 코스까지는, 하프 편성으로 편성하고, q11번째의 코스와 q12번째의 코스의 사이는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으로 편성한다. 이러한 편성 방법은, 상술한 쟈카드 제어장치를 갖는 경편기의 컴퓨터에 각 웨일과 각 코스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지령을 입력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영역(2a)과 영역(2b)을 하프 편성, 및 싱커 루프의 방향이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의 조합의 예를 나타냈지만, 하프 편성, 사슬 편성, 및 싱커 루프의 방향이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의 조합 중 어느 2개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도13에, 또한, 영역(H)의 패턴이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을 갖는 경편지(1)이며, 영역(H)이 3종류 형성되어 있는 경편지(1)의 일례의 평면도를 나타냈다. 여기서 2가 영역(H), 3이 영역(S), 4도 영역(S)이며, 도11의 경우와 다른 것은, 영역(H)인 영역(2)이 3종류의 영역(2c, 2d, 2e)으로 이루어지는 점이다.
여기에서 가령 영역(2) 중 2c로 나타내어지는 영역이 하프 편성(H1), 2d로 나타내어지는 영역이 사슬 편성(H2), 2e로 나타내어지는 영역이 싱커 루프의 방향이 지편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H3)으로 형성한다고 가정하면, 상기와 같이, W0부터 Wn번째의 웨일의 사이의 2c의 영역은, 하프 편성으로 편성되고, Wn부터 Wn+x번째의 웨일 사이의 2d의 영역은, 사슬 편성으로 편성되고, Wn+x부터 Wn+z번째의 웨일 사이의 2e의 영역은, 상기 지편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으로 편성되고, 영역(3)과 영역(4)은, 영역(S)에서 채용하는 조직, 즉 지편과 같은 1×1의 트리콧으로 편성되게 된다.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을 변화시킨 영역을 형성할 경우에,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편성조직이 변화되는 영역의 경계 라인의 적어도 일부가 곡선상인 패턴, 예를 들면 영역(H)이, 커브된 띠형상과 같은 패턴영역이나 직선상 의 띠형상 패턴영역 등, 그 밖에 임의의 패턴의 편성조직이 변화되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풀림이 생기기 어려운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은, 제1비탄성사의 편성조직의 변화에 의해, 소정부분에 영역(H)과 영역(S)을 패턴상으로 형성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다음에, 상기 제1비탄성사의 편성조직의 변화와 함께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다른 복수의 영역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풀림이 생기지 않는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갖는 부편(P)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4에, 하나의 모델 샘플로서, 상기 제1비탄성사의 편성조직의 변화와 함께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다른 복수의 영역이 더 형성되어 적당한 형상으로 재단되고,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갖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의류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편(P)의 일형태의 모식적 평면도를 나타냈다.
또, 이 부편(P)의 형상은, 단지, 설명을 위해서 예로 든 형상이며, 어떤 특정의 의류의 부편에 적용하는 엄밀한 형상은 아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어느 종류의 쇼트 거들의 앞옆에서 옆을 커버하여 배부의 힙부를 커버하기 위한 좌측의 부편에 가까운 형상의 부편을 설명용의 모델로서 채용한 것이다. 도면의 우측부분이, 뒤중심측이 되고, 상측이 웨이스트 라인, 좌하측이 옷단 라인이 된다. 후술하는 도15 등도 같은 취지의 도면이다.
도14에 나타낸 부편(P)(200)은, 하측 가장자리(201)(예를 들면 옷단 라인) 및 상측 가장자리(202)(예를 들면 웨이스트 라인)의 가장자리가,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풀림이 생기지 않는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이며, 203이 제1비탄성사의 편성조직 변화에 의해 형성된 영역(H)이며 커브된 띠형상 패턴영역, 204가 탄성사에 의해 형성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예를 들면, 다른 부분보다 굵은 탄성사가 편성삽입되어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이며, 탄성사에 의해 형성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204)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204a,204b)(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양자를 정리해서 간단히 204ab라고 약칭함)의 방향과,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201)의 방향(206)이나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202)의 방향(207)과는 비평행으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다. 또, 이 편지의 편성 방향은, 205의 화살표로 나타내어진 방향이며, 따라서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204ab)의 방향은 편성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된다. 그러나, 도16이나 도17에서 나타낸 종래예와 달리,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201 이나 202)의 방향(206 이나 207)이, 편성 방향(205)의 방향과 동일방향(평행 방향)에 한정되어 버리는 일은 없다.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201 이나 202)는, 재단에 의해, 비교적 자유로운 방향이나 형상으로 재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변화되는 영역(H)의 경계 라인의 적어도 일부가 곡선상인 신축 파워 또는 신축 방향이 변화되는 영역과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도 아울러 갖고, 여러가지 단계의 신축 파워를 갖는 영역 또는 신축 방향이 변화되는 영역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고, 또한 재단된 상태에서 풀어짐이 발생하기 어려운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적어 도 일부에 갖는 부편(P)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의 변화에 의한 영역(203)과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화된 영역(204)이 겹쳐진 영역이 가장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이 된다. 또, 이 태양에서는, 영역(203) 이외의 영역은, 영역(S)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도15에, 상기 도14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비탄성사의 편성조직의 변화와 함께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다른 복수의 영역이 더 형성되어 적당한 형상으로 재단되고,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풀림이 생기지 않는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갖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의류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편(P)의 다른 일형태의 모식적 평면도를 나타냈다.
도15에 나타낸 편지(200)는, 202와 201의 상하의 가장자리가, 재단에 의해 형성된 가장자리이며,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이며, 이하, 도1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 설명은 생략했다. 하측의 가장자리(201)가 파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이, 도14에 나타낸 부편(P)과 다를 뿐이다.
그리고 이 경우도 탄성사에 의해 형성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204)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204a,204b)의 방향과,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201)의 방향(206)이나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202)의 방향(207)은 비평행하게 되어 있다. 가장자리(201)는 파형상의 곡선이지만, 그 파의 진행 방향에 상당하는 전체로서의 가장자리(201)의 방향은, 화살표(206)의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빛은 파동이지만, 전체로서 직선으로 진행 방향을 그리고 있는 것과 같은 취급법이다. 화살표(206)는,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201)의 파형의 파를 상하로 분할하는 중앙선을 전체로서의 방향으로 했지만, 도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형의 파의 정점을 잇는 접선 라인을 가지고 전체로서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201 이나 202)의 방향(206 이나 207)이, 편성 방향(205)의 방향과 동일방향(평행 방향)으로 한정되어 버린다는 일은 없다.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201 이나 202)는, 재단에 의해, 비교적 자유로운 방향이나 형상으로 재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도시한 것은, 파형상의 파의 형태가 균등한 파의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파형상은 파의 형태가 균등하게 되어 있는 형상이라도 불균등하게 되어 있는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에서 이용하는 상기 부편(P)의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이루어지는 의류 상단 또는 하단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한쪽의 가장자리가, 상기 편지의 편성 방향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8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도,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40∼50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45도 전후(구체적으로는 43∼47도)의 각도로 재단된 가장자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각도는, 도14나 도15에 있어서는, 각(α)으로 나타냈다. 이들 도면에서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의류 상단(특히 웨이스트 라인)의 방향(207)이, 상기 편지의 편성 방향에 대하여, 상기 범위의 각도로 재단되어 있는 것도 마찬가지로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함으로써,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신체에의 피트성이 향상되고, 상기 가장자리부분이, 착용자의 신체 외측으로 말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의류의 상단 또는 하단, 예를 들면, 웨이스트나 옷단 등에 갖는 의류는, 상기 가장자리부분이, 착용자의 신체 외측으로 말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말림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가 되는 부분의 재단 라인을, 상기 편지의 편성 방향에 대하여 상술한 각도가 되도록 재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지의 편성 방향이란, 편지를 편성하는 경우의 실의 공급 방향에 상당한다. 상기에 있어서 편성 방향에 대하여 20∼80도란, 편성 방향의 라인을 가정한 경우에 그 좌우의 어느 한측에 20∼80도의 각도인 것, 바꿔 말하면 편성 방향의 진행 방향측으로 각의 정점측이 향하고 있는 각도로, 편성 방향의 진행 방향 라인에 대하여 ±20∼80도의 각도이다.
한편, 재단된 상태에서의 가장자리의 풀림이 두드러지기 어렵다는 다른 관점에서는,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라인의 방향은, 편성 방향에 대하여, 45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의 각도로 재단되어 있는 가장자리인 것도 바람직하다. 또, 재단된 그대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신체 외측으로 말리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적은 부위에 사용할 경우에는, 45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재단한 가장자리를 갖는 부편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재단 가장자리를 직선상이 아닌, 파형 등으로 재단한 부편을 사용하면, 가장자리부가 신체외측으로 말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의류의 부편(P)을 재단할 때에, 복수의 가장자리부를 재단한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할 경우, 어느 한쪽의 개소는, 편성 방향에 대하 여 20∼80도에서는 재단할 수 없고, 편성 방향으로 20도 미만의 각도로 재단하지 않을 수 없는 개소가 있다. 그와 같은 가장자리부는 파형으로 재단하면, 파형의 커브로 된 가장자리부의 재단 각도를 20∼80도로 할 수도 있고, 가장자리부 전체를 실질적으로 20∼80도로 재단한 효과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쇼트 거들의 웨이스트 라인과 옷단을 모두 재단한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할 경우 등, 양쪽의 끝부를 20∼80도로 재단할 수 없는 일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한쪽의 가장자리를 파상의 가장자리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재단된 상태에서의 가장자리의 부분의 편성조직은, 상기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제1비탄성사와 상기 지편의 상기 제2비탄성사와 상기 탄성사를 동행시킨 1×1의 트리콧의 조직, 즉 상술한 영역(S)에서 채용하고 있는 조직인 것이 필요하며, 바람직하게는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길이의 2/3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길이의 전부가 이 조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장자리의 풀림을 보다 한층 적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길이의 일부가 영역(S)이 아닌 경우에는,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길이의 일부는, 역행 1×1의 트리콧인 (H3)에서 채용되는 편성조직으로 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길이의 2/3보다 작은 범위가, (H3)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부편(P)용의 경편지를 제조하는데에 사용하는 제1 및 제2비탄성사 또는 제3비탄성사로서는, 신축성 의류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나일 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 등의 반합성섬유, 견이나 면 등의 천연섬유 중 어느 것이라도, 또 필라멘트사, 방적사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흡수성이 풍부한 나일론은 이너웨어용 편지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탄성사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탄성사나 상기 탄성사를 비탄성사로 커버한 커버링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축성 경편지에 있어서는, 편성 루프의 안정성, 재단된 상태에서의 가장자리의 풀림 방지 효과 등을 얻을 목적으로 프리셋처리 또는/및 히트셋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 온도는, 장치의 형상, 프리셋 처리시간, 히트셋 처리시간, 소재의 종류, 편지의 두께 등에도 따르지만, 180℃ 이상, 바람직하게는 185℃ 이상의 온도에서, 더욱 확실하게 상기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190℃∼195℃의 범위에서 상기 처리가 시행되어 있으면, 편지의 일부가 연화되어 편성 루프가 가볍게 융착되어 편지의 형태가 안정되고, 재단된 상태에서의 가장자리의 풀림이 특히 생기기 어려워져서 바람직하다. 히트셋 처리시간은, 예를 들면 6∼8챔버 구성(챔버의 합계 길이가 약 15∼30m)의 장치를 이용한 경우, 15∼40m/분 정도, 바람직하게는 15∼24m/분 정도가 좋다.
또, 일반적인 편지에서는 완성폭을 160cm 전후로 하지만, 이 신축성 경편지에서는 가능한 범위에서 완성폭을 짧게 하여(예를 들면, 110∼130cm 정도), 고밀도로 편성한 것이, 신축성 의류에 있어서 편성 루프의 아름다움을 유지하면서, 그 안정성을 향상시키므로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편사의 섬도 등에도 따르지만, 2.54cm(1인치)당 55웨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60웨일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5웨 일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웨일 전후의 고밀도로 편지를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비탄성사로서 셀룰로오스사나 면사가 편성삽입되어 있는 경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에 비해서 비탄성사의 사용 실량을 늘리고, 길게 하고, 또한 탄성사는 짧게 해서, 비탄성사의 러너길이를 탄성사의 러너길이에 비해서 상당히 길게 한 신축성 경편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80cm/랙 이하의 비탄성사의 러너를 85∼120cm/랙, 바람직하게는 95∼115cm/랙으로 하고, 통상 60cm/랙 이하의 탄성사의 러너를 70∼110cm/랙, 바람직하게는 75∼105cm/랙으로 해서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기에서, 「러너」란, 일정 코스수(이것을 「랙」이라고 하며, 통상, 480코스를 1랙으로 함)를 편성하는 데에 사용하는 실의 길이(cm)를 말한다.
또,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는 부편(P)의 경편지는 레이스 생지는 아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는 생지에, 탄성사에 의해 부분적으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 등, 신축 파워가 변화되어 있는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a)편성삽입하는 탄성사의 굵기가 다른 복수의 영역을 형성하는 방식, (b)편성삽입하는 탄성사의 개수가 다른 복수의 영역을 형성하는 방식, (c)상기 (a) 또는 (b)의 각 영역의 폭을 변화시키는 방식, (d) 상기 (a), (b), (c)의 방식 중 적어도 2개이상을 조합시킨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과 상기 영역보다 신축 파워가 약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경편지에 편성삽입되는 탄성사 중,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에는 다른 부분보다 섬도가 큰 탄성사를 편사로 이용하거나, 또는, 같은 웨일에 편성삽입되는 탄성사의 개수를 많게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사에 의해 조임 파워를 강화한 영역이 일체적으로 편성된 신축성 경편지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편지 전체에 편성삽입되어 있는 탄성사를 섬도가 비교적 작은 탄성사로 하고, 신축 파워를 강하게 하고 싶은 영역에는, 섬도가 큰 탄성사를 더 편성삽입하여,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의 폭을 가는 폭으로 한 영역과 신축 파워가 약한 영역의 폭을 넓은 폭으로 한 영역을 교대로 형성하고, 한편,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의 폭을 넓은 폭으로 한 영역과 신축 파워가 약한 영역의 폭을 가는 폭으로 한 영역을 교대로 형성하는 등, 신축 파워가 다른 영역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신축 파워의 강약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의 강약의 단계를 3단계 이상으로 해도 좋고, 그 경우에는, 상술한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3단계 이상이 되도록 조정하면 좋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신축성의 경편지 전체에 편성삽입되어 있는 비탄성사의 섬도는, 22∼132dtex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3∼55dtex이다. 비탄성사는, 가는 쪽이 편성 루프를 고밀도로 하기 쉽다. 한편, 너무 가늘면 강도가 약해져 버린다. 따라서, 33∼55dtex가 편지를 고밀도로 하기 쉽고, 또한 안정되며 강도가 있는 편성조직으로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사에 의해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의 신축 파워가 약한 영역에 편성삽입되어 있는 탄성사의 섬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33∼77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44∼55dtex의 것이며,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에 편성삽입되어 있는 탄성사의 섬도는, 바람직하게는 66∼231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88∼154dtex의 것이다.
부편(P)의 신축성의 경편지에 있어서, 상기 경편지 전체에 편성삽입되어 있는 탄성사의 섬도를, 바람직하게는 33∼77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44∼55dtex의 탄성사로 하고,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에는, 바람직하게는 66∼231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88∼154dtex의 굵기의 탄성사가 더 편성삽입되어 있는 형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신축 파워의 강약의 영역의 형성과는 무관하게, 또는 신축 파워의 강약의 영역의 형성(예를 들면 탄성사에 의해 신축 파워의 강약의 영역의 형성)과 연동시켜서, 비탄성사로서, 브라이트사와 덜사를 사용하고, 브라이트사를 편성삽입한 부분과 덜사를 편성삽입한 부분을 분할편성에 의해 형성하고, 원하는 개소에 브라이트사와 덜사의 광택의 차이에 의한, 선형상 내지 띠형상의 육안확인 가능한 모양을 형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브라이트사는 광택을 갖고, 덜사는 광택이 없는 실이므로, 브라이트사를 편성삽입한 영역과 덜사를 편성삽입한 영역이, 광택의 차이에 의해, 육안확인 가능하게 구별되고, 선형상 또는 띠형상의 육안확인 가능한 모양이 형성되어, 디자인상, 의류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부편(P)은, 제1비탄성사 또는 제1비탄성사 및 제3비탄성사와, 지편조직을 형성하는 제2비탄성사 및 탄성사로 편성되어 있는 3종류 또는 4종류의 실을 이용하는 경편지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지편조직을 형성하는 제2비탄성사는 반드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즉, 보다 얇은 경편지로 하고 싶은 경우 등, 상기에서 설명한 지편조직은 제2비탄성사와 상기 탄성사를 동행시킨 1×1의 트리콧 조직으로 했지만, 제2비탄성사를 이용하지 않고, 탄성사만으로 편성된 1×1의 트리콧 조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부편(P)은, 제1비탄성사와 탄성사로 편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부편(P)을 의류를 구성하는 생지의 적어도 일부에 이용한 본 발명의 의류를 표현하면, 부편(P)은, (제1)비탄성사와 탄성사로 편성되고, 상기 탄성사는 1×1의 트리콧 조직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편(P)중에는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부분을 갖고 있으며,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부분은, 상기 비탄성사와 상기 탄성사가 동행한 1×1의 트리콧이며 또한 각 편침에 있어서 비탄성사와 탄성사 중 적어도 한쪽이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는 트리콧 조직(S)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의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부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2비탄성사를 이용하지 않는 것 뿐이며, 그 밖의 점은 제2비탄성사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물론 상술한 제3비탄성사가 제1비탄성사와 함께 겹쳐서 편성삽입되어 있는 영역을 갖는 부편(P)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제2비탄성사를 이용하지 않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류에 있어서, 이상과 같은 부편(P)에 있어서의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는, 목적으로 하는 의류의 종류나 디자인에 따라, 상술한 경편지를 적당히 재단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에 있어서, 이상과 같은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갖고, 또한 탄성사에 의해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이 적어도 1개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은 편성 방향과 동일방향을 향한 직선상이지만, 상기 부편(P)은 그 상기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의 방향과,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의 가장자리의 라인 중 의류 상단(웨이스트 라인부 등) 또는 하단(옷단부 등)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한쪽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라인의 방향을 서로 비평행으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의복 상단 또는 하단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한쪽의 가장자리를 목적으로 하는 디자인에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목적으로 하는 방향으로 재단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반드시 의류를 구성하는 부편 전체를 이러한 생지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의류의 부위에 따라서는, 의류 상단(웨이스트 라인부) 또는 하단(옷단부)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한쪽의 가장자리의 라인 방향과, 그 상기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의 방향이, 평행인 부편이 이용되고 있는 부분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의류의 일부 부위에 가장자리처리가 필요한 생지(이하, 이 생지를, 「본 발명과는 다른 생지」라고 약칭함)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이상, 설명한 부편(P)의 형태는,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양(무늬)을 부여하는 것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발현할 수 있는 한, 적당히, 편조직을 변경해서, 예를 들면 여성용 의류에 자주 이 용되는 작은 꽃무늬 모양이나 그 밖의 적당한 무늬를 넣는 것은 임의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층 미관이 향상된 의류로 완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도11이나 도12에 나타낸 영역(H)으로 이루어지는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의 부분을, 복수의 꽃무늬 모양 등 그 밖의 적당한 복수의 작은 무늬의 모양이 밀집되어 각각의 작은 무늬 모양과 작은 무늬 모양 사이가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밀집되어 있는 작은 무늬의 연속 모양 또는 밀집 모양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작은 무늬의 연속 모양이나 또는 밀집 모양은 도11이나 도12의 띠형상 패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변화되는 영역의 경계라인의 적어도 일부가 곡선상인 신축성의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부편(P)의 편성조직이 변화되는 영역의 경계 라인이 곡선상인 부분의 해당 곡선의 길이는, 의류의 종류나 적용 부위, 사이즈에 따라 다르므로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5cm이상, 10cm이상, 15cm이상, 20cm이상 등,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가능하다.
또한, 상기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의 부분의 폭도 의류의 종류나 적용 부위, 사이즈에 따라 적당한 폭으로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폭이, 거의 전역에 걸쳐 2c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거의 전역에 걸쳐 2cm이상이란, 적은 부분에서 그 이하의 폭의 부분이 있어도 상관없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평균 폭으로 3∼7cm의 폭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의 부분의 모양이, 식물의 꽃과 잎의 무늬 모양 등인 경우, 줄기부분뿐인 곳은 폭이 1cm정도로 되는 일도 있으며, 큰 꽃무늬나, 꽃이 다수 모여진 꽃무늬의 집합체 모양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12∼13cm의 폭이 되는 곳도 존재하는 경우가 있지만, 부분적이면 아무런 지장이 없다.
또한, 탄성사에 의해 형성된 신축 파워가 강화된 영역을 갖는 경우의, 해당 영역의 폭에 대해서도, 의류의 종류나 적용 부위, 사이즈에 따라 적당한 폭으로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2cm이상 15cm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이들 폭의 수치는, 64사이즈(M사이즈)에 있어서의 수치를 목표로 한 수치이다.
제1비탄성사에 의한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의 부분이 영역(H)이며, 이 영역이, 탄성사에 의해 형성된 신축 파워가 강화된 영역과 부분적으로 겹치는 경우에는, 겹쳐진 부분의 신축 파워가 보다 한층 강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의 부분의 폭과, 탄성사에 의해 형성된 신축 파워가 강화된 영역의 폭이 대략 동등의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영역(H)은 직선의 띠형상의 연속 패턴이어도 좋고, 또한, 이 영역(H)을, 제1비탄성사와 또한 제3비탄성사가 겹쳐져서 편성삽입된 영역이며,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하프 편성, 사슬 편성 및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인 1×1의 트리콧에서 선택된 1종이며, 제3비탄성사가 하프 편성, 사슬 편성 및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에서 선택된 1종이며 상기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과는 다른 편성조직인 영역(H4)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영역(H4)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3비탄성사를 공급하기 위한 바디를 또 하나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H4)의 영역을, 예를 들면 편지의 세로방향(편성 방향)으로 직선의 상당히 광폭의 영역으로 한 부편의 경우 등은, 이 부편의 편성 방향이 의류의 가로방향으로 향하도록 해서, 복부 충당부편 등에 사용한 경우에는, 복부의 팽출을 형태좋게 누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복부 충당부편의 웨이스트부는,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형성하므로 상술한 영역(S)으로 해 둔다.
본 발명의 의류로서는, 거들, 쇼츠, 보디 슈츠, 수영복(보톰부분 만의 것도, 세퍼레이트 타입의 것도 포함된다), 레오타드,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즈 등의 가랑이부를 갖는 의류나, 브래지어 등을 들 수 있다.
의류전체가 신체에 밀착되고 힙부를 갖는 의류는, 체형보정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고, 또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부 등을 가지며 가장자리부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고,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에도 단차가 없고, 착용해도 단차에 의한 볼록형상부 등이 생기기 어려우므로, 타이트한 겉옷을 착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속옷의 요철 라인이, 겉옷에 반영되어, 겉옷의 외측에서도 속옷의 단차가 보이게 된다라는 문제도 없어 바람직하다.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의 변화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H)의 적어도 1개가,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영역이며, 또한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인 형태는, 거들, 쇼츠, 보디 슈츠, 수영복(보톰부분 만의 것도, 세퍼레이트 타입의 것도 포함), 레오타드,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즈 등의 가랑이부를 갖는 의류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고, 이들 의류의 좌우의 힙부의 볼록부의 아래에서 옆에 걸친 부분에, 이 신축 파워가 강해진 커브된 띠형상의 연속 패턴영역이 충당되도록 배치함으로써, 힙의 형상을 아름답게 보정하는 체형보정기능을 갖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부편(P)을 브래지어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브래지어의 등천을, 상기 부편(P)으로 구성하고, 상기 등천의 상하의 가장자리가,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이루어져 있는 브래지어 등으로 함으로써, 등천의 상하의 가장자리부가, 겉옷에 반영되어 버려, 겉옷의 외측에서도 속옷의 단차가 보이게 된다라는 문제도 없어 바람직하다. 또한, 등천의 예를 들면 신체 옆측에 접촉되는 부분의, 신축 파워를 강화하는 등, 원하는 부분의 신축 파워를 원하는 파워로 조정한 설계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가슴옆부의 군살의 팽출을 눌러 깔끔하게 한 슬림한 흉부 실루엣을 실현할 수 있는 등 보정기능이 발휘되어 바람직하다. 또, 브래지어의 등천에 강도를 부여하므로, 2장의 상기 부편(P)을 수지 등으로 접착해서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2장의 상기 부편(P)을 수지 등으로 접착해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2장의 부편(P)의 편성 방향이 같게 되도록 겹쳐서 접착하면, 접착하기 쉽다.
또한, 거들로서는, 숏타입의 거들, 세미롱타입의 거들, 롱타입의 거들 등, 어느 것에나 적용할 수 있고, 스패츠 등에 있어서는, 다리부가 무릎위 길이의 것으로부터, 긴 것에서는 발목 길이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의류에 있어서는, 의류의 가장자리부(보텀 의류의 경우의 옷단 또는 웨이스트부, 브래지어의 등천의 상측 가장자리 또는 하측 가장자리)의 전체길이가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텐션이 작용하기 쉬운 부분을, 각각의 가장자리부 전체길이의 10%이하의 길이에서 부분적으로, 가장자리부 처리, 또는 봉제선을 넣는 것에 의해 가장자리부의 강화를 꾀해도 좋다. 예를 들면, 브래지어의 컵과 등천의 봉합부분 부근이나, 좌우의 등천의 선단부에 설치된 훅앤아이 등을 갖는 좌우의 등천 상호의 개폐용 연결부와의 봉합부분 부근, 쇼츠나 숏거들 등의 숏보텀 의류의 클로치와의 봉합부분 부근 등은, 착용시에 텐션이 작용하기 쉬우므로, 가장자리부를 재단한 그대로가 아니라, 길이 5∼20mm정도는, 봉합선을 넣고, 강화해도 지장이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의류의 구체적 실시형태예에 대해서, 도면을 인용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부편(P)으로 이루어지는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과 동시에 1장의 같은 편지중에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기 재단된 가장자리가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형성한 부편을 간단히 「헤밍리스 부편」이나, 「부편(P)」이라고 약칭해서 기술하는 일이 있다.
또, 비교적 신축 파워가 강한 부분과 비교적 신축 파워가 약한 부분 등의 신축 파워는, 의류의 종류, 의류의 부위, 착용자의 기호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므로, 특별히 제한은 없다. 최근은, 비교적 여성의 체형도 슬림하게 되어 오고 있으므로, 평균적으로 다소 신축 파워가 약한 것이 요구되는 경향이 있다.
제1실시형태예
도1은 본 발명의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갖는 의류의 제1실시형태예의 세미롱타입의 거들의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2는 도1에 나타낸 세미롱타입의 거들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도2에 있어서, 11이 앞옆-옆-힙부-다리부를 커버하는 앞옆-옆-힙부-다리부 충당부편, 16은 복부를 커버하는 복부 충당부편이다. 좌우의 앞옆-옆-힙부-다리부 충당부편(11)은, 다리부를 제외하고 뒤중심의 봉합 라인(14)에 의해 서로 봉합되어 있으며, 앞옆-옆-힙부-다리부 충당부편(11) 앞측의 측가장자리는, 복부 충당부편(16)의 측가장자리와 봉합 라인(15)에 의해 서로 봉합되어 있다.
앞옆-옆-힙부-다리부 충당부편(11)은, 상술한 부편(P)을 이용했다. 그 외의, 복부 충당부편(16)이나 클로치부편(도시생략)의 생지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부편(P)과 같은 생지를 이용해도 좋지만, 다른 생지를 이용해도 좋고,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부편(P)과는 다른 생지를 이용했다. 클로치부편의 소재는, 종래부터 거들의 클로치부편에 이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1∼도2에 나타낸 거들에 있어서는, 앞옆-옆-힙부-다리부 충당부편(11)으로서, 헤밍리스 부편이 이용되고 있다. 이 앞옆-옆-힙부-다리부 충당부편(11)은, 좌우의 힙의 볼록부의 밑에서 옆측에 걸친 띠형상으로 커브된 영역(23)을, 비교적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H1)(제1비탄성사가, 도5의 106으로 나타낸 하프 편성, 지편조직은 제2비탄성사(101)와 탄성사(102)를 동행시킨 1×1의 트리콧이며, 제2비탄성사(101)는 클로즈드 루프, 탄성사(102)는 오픈 루프), 후부로부터 옆측의 웨이스트 부분 및 힙부의 볼록부분(22)과 다리부(24)를 영역(S)(제1비탄성사(100)가, 도5의 105로 나타낸 부분과 같은 제2비탄성사(101)와 탄성사(102)와 함께 동행시킨 1×1의 트리콧이며 제2비탄성사(101)는 클로즈드 루프, 탄성사(102)는 오픈 루프)으로 구성했다.
앞옆-옆-힙부-다리부 충당부편(1)을 구성하는 경편지의 편성 방향은, 화살표(R)로 나타내는 방향이다.
제1 및 제2비탄성사에는, 44dtex의 나일론사, 탄성사로서 77dtex의 폴리우레탄사를 이용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옆-옆-힙부-다리부 충당부편(1)의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는, 12의 옷단 라인의 가장자리와 13의 웨이스트 라인의 가장자리 부분이다. 옷단 라인(12)의 방향은 편성 방향(R)과는 비평행으로 되어 있다. 웨이스트 라인(13)의 방향도 편성 방향(R)의 방향에 대해서 약 20도의 각도로 재단되어 있다. 옷단 라인(12)의 방향과 웨이스트 라인(13)의 방향도 서로 비평행이다(도1, 도2의 도면상에서는 이해하기 힘들지만, 그렇게 설계했다.)
복부 충당부편(16)은, 이 예에서는 16a의 부분이 도9에 나타낸 비탄성사와 탄성사가 모두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된 1×1의 트리콧 조직이며, 따라서 상측의 가장자리의 웨이스트 라인(17)은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되어 있다(상술한 조직으로,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16b의 부분이 16a의 부분의 비탄성사와 탄성사가 모두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된 1×1의 트리콧 조직에 또한 비탄성사로 이루어지는 사슬 편성이 겹쳐져서 편성삽입되어 있는 소위 도6의 107의 코스로 나타낸 조직으로 했다. 복부 충당부편(16)은 필요에 따라, 다른 가장자리처리가 필요한 생지를 이용해도 좋다. 복부 충당부편(16)은 어느 부위의 비탄성사나 44dtex의 나일론사를 이용하고, 탄성사로서 44dtex와 132dtex의 폴리우레탄사를 2개 합쳐서 이용했다. 나일론사와 폴리우레탄사의 혼합율은, 나일론사 73중량%, 폴리우레탄사 27중량%였다. 또, 복부 충당부편(16)의 편성 방향은, 그 웨이스트 라인(17)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복부 충당부편의 16b의 부분은 가로방향으로는 신도가 낮고(즉 신축 파워가 크고), 복부의 팽출을 형태좋게 누를 수 있고, 한편, 복부 세로방향으로는 신도를 가지므로(즉 신축 파워가 비교적 작음), 운동 추종성이 있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복부는 신체를 앞으로 굽히거나, 뒤쪽으로 신체를 젖힌 경우에는, 복부의 피부의 신축이 크게 되고, 복부 세로방향으로는 신도를 갖는(즉 신축 파워가 비교적 작음) 부편으로 함으로써, 운동 추종성이 있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복부 충당부편의 16a의 부분은 종횡방향으로 신도를 가지므로, 웨이스트를 압박하지 않고 착용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후부로부터 옆측의 웨이스트 부분 및 힙부의 볼록부분(22)에, 신축 파워가 비교적 약한 영역(S)을 충당하고, 또한 그 주위의 좌우의 힙의 볼록부의 아래에서 옆측에 걸친 띠형상으로 커브된 영역(23)으로서, 비교적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H1)을 충당했으므로, 영역(23)이 힙업 기능을 발휘하여, 22의 부분에 의해, 힙의 둥근 볼록부를 눌러버리지 않는 것에 의해 보다 자연스러운 아름다운 형태로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옷단 라인(12)이나 웨이스트 라인(13)은,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되어 있고,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하고, 또 고무 테이프 등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고무 테이프와 같이 선형상으로 웨이스트를 강하게 조르는 일이 없고, 두께가 증대하지 않으므로 착용시의 웨이스트 둘레의 실루엣을 갈끔하게 한 실루엣으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무 테이프의 조임흔적이 피부에 남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옷단 둘레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웨이스트 라인부나 옷단부는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되어 있어, 요철의 단차가 겉옷에 반영되어 보기 흉해지는 일없이 깔끔한 실루엣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거들은, 웨이스트 라인(13)의 가장자리가 착용자의 신체 외측으로 말리는 일이 없는, 피트성이 양호한 거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예
제1실시형태예의 세미롱타입의 거들에 있어서, 띠형상으로 커브된 영역(23)을,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사슬 편성인 영역(H2)으로 바꾼 이외는, 제1실시형태예와 같은 세미롱타입의 거들을 제작했다. 거의 동일한 거들이 얻어졌다.
제3실시형태예
제1실시형태예의 세미롱타입의 거들에 있어서, 띠형상으로 커브된 영역(23)을,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인 영역(H3)으로 바꾼 이외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세미롱타입의 거들을 제작했다. 거의 동일한 얻어졌다.
제4실시형태예
도3은 본 발명의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가지며 또한 체형보정기능을 갖는 의류의 다른 제1실시형태예의 세미롱타입의 거들의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4는 도3에 나타낸 세미롱타입의 거들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3, 도4에 나타낸 거들은, 도1, 도2에 나타낸 거들과, 헤밍리스 부편을 이용한 앞옆-옆-힙부-다리부 충당부편(1)에 있어서의, 상기 부편(P)이,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의 변화에 의해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 뿐만 아니라, 이용하는 탄성사의 굵기, 편성삽입된 개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꾼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다른 영역이 더 형성되어 있는 부편(P)인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1, 도2에서 설명한 세미롱타입의 거들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도1, 도2에 나타낸 세미롱타입의 거들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동일부분의 중복 설명을 생략했다.
즉, 앞옆-옆-힙부-다리부 충당부편(11)은, 좌우의 힙의 볼록부의 밑에서 옆측에 걸친 띠형상으로 커브된 영역(23)을,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의 변화에 의해 비교적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영역(H1)(제1비탄성사가, 도5의 106으로 나타낸 하프 편성, 지편조직을 제2비탄성사(101)와 탄성사(102)를 동행시킨 1×1의 트리콧이며, 제2비탄성사(101)는 클로즈드 루프, 탄성사(102)는 오픈 루프), 후부로부터 옆측의 웨이스트 부분 및 힙부의 볼록부분(22)과 다리부(24)를, 영역(S)(제1비탄성사(100)가, 도5의 105로 나타낸 부분과 같은 제2비탄성사(101)와 탄성사(102)와 함께 동행한 1×1의 트리콧이며, 제2비탄성사(101)는 클로즈드 루프, 탄성사(102)는 오픈 루프)으로 구성했다. 제1 및 제2비탄성사에는, 44dtex의 나일론사, 탄성사에 의한 비교적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31과 32)의 부분을 제외하고 탄성사로서 77dtex의 폴리우레탄사를 이용한 점은 상기 제1실시형태예에서 나타낸 거들과 거의 같다.
도3, 4에 나타내어진 거들에 있어서는, 탄성사에 의한 비교적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31)은, 상기 22의 부분의 일부에, 뒤쪽의 웨이스트부를 저변으로 하는 역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역삼각형의 정점의 위치가 뒤중심의 봉합 라인(14)상에서 웨이스트 라인으로부터 아래로 7cm의 부분에 있다. 이 비교적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31)이 접촉되는 부분은, 신체 후측에서 신체가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있는 영역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의 선골부위 근방은, 신체가 오목하게 들어가 있지만, 이들 신체 후측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부위에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교적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31)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을 31a로서 나타냈다. 또한, 탄성사에 의한 비교적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32)은, 뒤중심의 힙의 볼록부의 밑에서 옆측에 걸친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32a,32b)이 직선상으로 비스듬히 상승하는 띠형상의 영역이며, 좌우의 힙의 볼록부의 밑에서 옆측에 걸친 띠형상으로 커브된 비교적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H1(23)}과 일부 겹치도록 형성되어, 힙을 하부에서 들어 올리는 기능을 보다 한층 강화하고 있다. 탄성사에 의한 비교적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31과 32)에 이용되고 있는 탄성사는 143dtex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탄성사에 의한 비교적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31과 32)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31a, 32a, 32b)의 방향은, 편성 방향(R)과 같은 방향이다. 따라서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31a, 32a, 32b)은 봉제전의 생지의 상태에서는 서로 평행한 방향으 로 되어 있다(거들과 같은 입체형상으로 완성된 후는, 이것을 도면에 그리면, 반드시 평행한 방향으로는 그릴 수 없다)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의 변화에 의해 비교적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23)과 탄성사에 의한 비교적 신축 파워가 강해진 영역(32)이 일부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양자가 겹쳐진 영역이 가장 신축 파워가 강한 영역으로 되고, 그 외(23)만의 영역의 부분과, 32만의 영역의 부분 등, 여러 단계의 신축 파워를 갖는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신축 파워 변화의 그라이데이션도 달성할 수 있다.
도3, 도4에서 설명한 거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체 후측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부위에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힙을 하부로부터 들어 올리는 기능을 보다 한층 강화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실시형태예의 거들이 갖는 효과를 마찬가지로 달성할 수 있다.
제5실시형태예
제4실시형태의 세미롱타입의 거들에 있어서, 띠형상으로 커브된 영역(23)을,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사슬 편성인 영역(H2)으로 바꾼 이외는, 제4실시형태예와 같은 세미롱타입의 거들을 제작했다. 거의 같은 거들이 얻어졌다.
제6실시형태예
제4실시형태예의 세미롱타입의 거들에 있어서, 띠형상으로 커브된 영역(23)을,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인 영역(H3)으로 바꾼 이외는, 실시형태예4와 같은 세미롱타입의 거들을 제작했다. 거의 같은 거들이 얻어졌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예에서 이용한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갖는 신축성의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부편용의 경편지는, 히트셋처리를 7챔버 구성(챔버의 합계 길이가 약 21m)의 장치를 이영하여, 온도 190℃에서 18m/분으로 행했다.
본 발명의 체형보정기능을 갖는 의류는, 의류의 가장자리의 부분이 두껍게 되지 않고, 의류의 가장자리가 겉옷에 반영되어 요철로 되어 나타내어지는 것 등이 없는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갖는 의류의 이점을 가지며,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의 변화에 의해 편성조직이 다른 부분을 갖고 있으며,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형상의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을 다르게 한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신축 파워 또는 신축 방향 등을 적당히 변화시킨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적당한 위치에 적당한 체형보정기능 또는 피트성 향상 등의 기능을 추가한 의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신축 파워 또는 신축 방향 등이 변화되는 영역의 패턴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고, 또한,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라인의 방향이나 형상을 편성 방향에 상관없이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요구하는 체형보정기능이나 피트성 등에 따라, 여러 특성영역을 적당히 조합시킬 수 있고, 목적에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는,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의 방향과,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방향을 평행하게 하지 않고, 각각의 라인을 필요에 따른 바람직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설계할 수도 있고, 또한 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변화되는 영역도 아울러 가지며, 여러 단계의 신축 파워나 신축 방향을 갖는 영역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고, 또한 재단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풀림이 생기기 어려운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적어도 일부에 갖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부위에 필요한 신축 파워 또는 신축 방향 등을 특정한 영역을 배치한 체형보정기능, 또는, 피트성이 개선된 의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류는, 거들, 쇼츠, 보디슈츠, 수영복, 레오타드,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즈, 브래지어, 그외의 의류에 바람직하다.

Claims (22)

  1. 신축성의 경편지로 이루어지며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를 갖는 부편(P)을, 의류를 구성하는 생지의 적어도 일부에 이용한 의류로서,
    상기 부편(P)은, 제1비탄성사와, 지편조직을 형성하는 제2비탄성사 및 탄성사로 편성되고, 상기 지편조직이 상기 제2비탄성사와 상기 탄성사를 동행시킨 1×1의 트리콧 조직이며 또한 각 편침에 있어서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 중 하나이상이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편(P)중에는,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부분을 갖고 있으며,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부분은, 제1비탄성사도 상기 지편의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와 함께 동행시킨 1×1의 트리콧 조직(S)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길이의 2/3이상이, 제1비탄성사도 상기 지편의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와 함께 동행시킨 1×1의 트리콧 조직(S)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3. 제1항에 있어서,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길이의 전부가, 제1비탄성사도 상기 지편의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와 함께 동행시킨 1×1의 트리콧 조직(S)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편(P)중의 (S)로 이루어지는 영역 이외의 영역(H)이 하기 (H1)∼(H4)에서 선택된 1개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H1)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하프 편성인 영역
    (H2)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사슬 편성인 영역
    (H3)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인 영역
    (H4)제1비탄성사와 또한 제3비탄성사가 겹쳐져서 편성된 영역이며,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하프 편성, 사슬 편성 및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에서 선택된 1종이며, 제3비탄성사가 하프 편성, 사슬 편성 및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의 1×1의 트리콧에서 선택된 1종이며, 상기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과는 다른 편성조직인 영역.
  5. 제4항에 있어서,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의 길이의 2/3보다 작은 범위가 (H3)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축성의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부편(P)에 있어서,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영역 중, 1개이상의 경계 라인의 적어도 일부가 곡선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7. 제4항에 있어서, 부편(P)으로서, 신축 파워를 비교적 약하게 하고 싶은 영역에 (S)로 이루어지는 영역을 배치하고, 신축 파워를 비교적 강하게 하고 싶은 영역에 (H)로 이루어지는 영역을 배치한 부편(P)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편(P)이, 신축 파워의 강약의 요구에 따라, 이용하는 탄성사의 굵기, 편성삽입 개수 중 하나이상을 바꾼 탄성사에 의한 신축 파워가 다른 영역이 더 형성되어 있는 부편(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편(P)의 지편의, 제2비탄성사가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탄성사가 오픈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편(P)의 지편의, 제2비탄성사와 탄성사 모두가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11. 제4항에 있어서, 영역(H1)의 제1비탄성사에 의한 하프 편성이 클로즈드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는 하프 편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12. 제4항에 있어서, 영역(H2)의 제1비탄성사에 의한 사슬 편성이 오픈 루프에 의해 편성되어 있는 사슬 편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13. 제4항에 있어서, 영역(H3)의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싱커 루프의 방향이 상기 지편조직의 싱커 루프의 방향과 역방향인 클로즈드 루프의 1×1의 트리콧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류가 거들, 쇼츠, 보디 슈츠, 수영복, 레오타드, 스패츠, 스포츠용 타이즈, 브래지어에서 선택된 의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류전체가 신체에 밀착되고 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축성의 경편지로 이루어지는 부편(P)에 있어서, 제1비탄성사에 의한 편성조직이 다른 영역 중 1개이상이,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17. 제16항에 있어서,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영역이, (H1), (H2), (H3) 및 (H4)에서 선택된 영역(H)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18. 제17항에 있어서, 의류가, 쇼츠 또는 거들이며, 상기 쇼츠 또는 거들 옷단부 및 웨이스트 라인부가 상기 부편(P)의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이루어지고, 띠형상이며 또한 커브된 연속 패턴영역이 영역(H)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쇼츠 또는 거들의 좌우의 힙부의 볼록부의 밑에서 옆에 걸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19. 제8항에 있어서, 의류가, 쇼츠 또는 거들이며, 상기 쇼츠 또는 거들 옷단부 및 웨이스트 라인부 중 하나이상이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옷단부 및 웨이스트 라인부의 가장자리의 라인의 방향 중 하나이상이, 상기 부편(P)의 상기 탄성사에 의해 신축 파워가 변화되는 영역의 신축 파워의 전환 라인의 방향과 비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류가, 브래지어이며, 브래지어의 등천이, 상기 부편(P)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천의 상하의 가장자리가, 재단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장자리처리가 불필요한 가장자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탄성사로서, 브라이트사와 덜사를 사용하고, 브라이트사를 편성삽입한 부분과 덜사를 편성삽입한 부분을 분할편성에 의해 형성하고, 원하는 개소에 브라이트사와 덜사의 광택의 차이에 의한, 선형상 또는 띠형상의 육안확인 가능한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2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편조직을, 제1항에 기재된 지편조직으로 바꾸고, 탄성사만으로 편성된 1×1의 트리콧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지편조직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KR20057006290A 2003-04-23 2004-04-19 의류 KR100678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8775A JP3607274B2 (ja) 2003-04-23 2003-04-23 衣料
JPJP-P-2003-00118775 2003-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179A KR20050067179A (ko) 2005-06-30
KR100678608B1 true KR100678608B1 (ko) 2007-02-02

Family

ID=3330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06290A KR100678608B1 (ko) 2003-04-23 2004-04-19 의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07274B2 (ko)
KR (1) KR100678608B1 (ko)
CN (1) CN100444757C (ko)
WO (1) WO20040935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7587A (ja) * 2005-03-17 2006-09-28 Asahi Kasei Fibers Corp 伸縮性経編地
JP4673182B2 (ja) * 2005-10-18 2011-04-20 アサヒマカム株式会社 衣類
JP2008013854A (ja) * 2006-06-30 2008-01-24 Maruten Tenmaya:Kk 女性用下着
JP2008223154A (ja) * 2007-03-08 2008-09-25 Maruten Tenmaya:Kk 骨盤サポート用下衣
JP5095274B2 (ja) * 2007-06-26 2012-12-12 株式会社タケダレース 伸縮性経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5545154B2 (ja) 2010-09-29 2014-07-09 株式会社ワコール ボトム衣類
JP5715711B2 (ja) * 2011-12-27 2015-05-13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スポーツ用ウエア
JP2013234399A (ja) * 2012-05-07 2013-11-21 Wacoal Corp 伸縮性経編地
JP6192920B2 (ja) * 2012-11-02 2017-09-06 株式会社ワコール ボトム衣類
JP6179156B2 (ja) * 2013-03-27 2017-08-16 株式会社ワコール 股付き衣類
CN107709644B (zh) * 2015-05-22 2020-04-2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预配置压缩区段和一体式结构图案的训练紧身衣
JP6851746B2 (ja) * 2016-08-12 2021-03-31 旭化成株式会社 セルロース繊維交編経編地
CA3135677A1 (en) * 2019-05-08 2020-11-12 Delta Galil Industries Ltd. Garment and clothes that are unravel-free and roll-fre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950B2 (ja) * 1996-03-04 2000-09-18 株式会社ワコール ヒップアップ機能を有する衣類
JP3023354B2 (ja) * 1998-04-22 2000-03-21 株式会社ワコール 体型補整機能または筋肉サポート機能を有する衣類
JP4187348B2 (ja) * 1999-04-12 2008-11-26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異なる弾性力を有する複数の編地片から成る弾性経編地
JP4067444B2 (ja) * 2002-05-01 2008-03-26 株式会社ワコール 経編地とそれを用いた衣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93576A1 (ja) 2004-11-04
KR20050067179A (ko) 2005-06-30
CN1764394A (zh) 2006-04-26
JP2004324003A (ja) 2004-11-18
JP3607274B2 (ja) 2005-01-05
CN100444757C (zh)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350B1 (ko) 체형보정기능 또는 근육서포트기능을 갖는 의류
US7051556B2 (en) Stretchable warp-knitted fabric,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tretchable clothing using the same
KR100589501B1 (ko) 의료
KR100678608B1 (ko) 의류
KR100540739B1 (ko) 체형 보정 기능을 갖는 의료
KR20040038879A (ko) 신체에 밀착하는 의류
JP2012136813A (ja) 伸縮パワー強化部ないし非伸縮性付与部からなる補強部を有する経編衣料
JP4261791B2 (ja) 伸縮性衣類
JP2003201654A (ja) 伸縮性たて編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17690B2 (ja) 衣料用の伸縮性経編地
JP2004027465A (ja) 経編地とそれを用いた衣料
JP4063517B2 (ja) 縁始末不要な裾を有する衣料
JP2000303209A (ja) 体型補整機能を有する衣類
KR100528763B1 (ko) 체형보정기능이 있는 의류
KR100474855B1 (ko) 경편지를 사용한 신축성을 갖는 의류
JP3796619B2 (ja) レース編地とその製造方法
JP4225536B2 (ja) 体形補整機能を有する衣料
CN111676587A (zh) 一种一片式功能分区经编弹性织物
JP2003119653A (ja) レース編地
JP4206295B2 (ja) 身体に密着する衣料
JP2003138403A (ja) ショーツ又はガードル
JP2002327359A (ja) レース編地とその製造方法
JP2005054347A (ja) 衣料
KR20040012778A (ko) 경편 직물과 그것을 이용한 의료
JPH0796721B2 (ja) ヒップアップショーツ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