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947B1 -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947B1
KR100676947B1 KR1020040094959A KR20040094959A KR100676947B1 KR 100676947 B1 KR100676947 B1 KR 100676947B1 KR 1020040094959 A KR1020040094959 A KR 1020040094959A KR 20040094959 A KR20040094959 A KR 20040094959A KR 100676947 B1 KR100676947 B1 KR 100676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fuel injection
passage
fuel
injec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387A (ko
Inventor
마시키젠이치로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9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8Controlling each cylinder individu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94Controlling fuel injection the fuel injection being effected by at least two different injectors, e.g. one in the intake manifold and one in th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04Injectors peculiar thereto
    • F02M69/042Positioning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 e.g. in the air intake conduit
    • F02M69/046Positioning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 e.g. in the air intake conduit for injecting into both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intake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8Controlling each cylinder individually
    • F02D41/0087Selective cylinder activation, i.e. partial cylind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연료를 할당하여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기관에서, 연료분사 제어장치는 각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통로 분사장치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하나의 연료분사량이 보정값으로의 보정으로 인해 연료분사량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미만으로 떨어질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 이하가 되는 경우, 통로 분사장치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다른 하나의 연료분사량만이 보정값으로 보정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제어장치{FUEL INJECTION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분사 제어장치가 구비된 기관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통로 분사 피드백 보정값 및 실린더내 분사 피드백 보정값을 설정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3은 통로 분사 지령값이 허용가능한 하한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리 및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이 허용가능한 하한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a 내지 도 4d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리가 실행될 때, 통로 분사 지령값, 통로 분사 피드백 보정값,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 및 실린더내 분사 피드백 보정값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임 챠트;
도 5a 내지 도 5d는 통로 분사 지령값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리가 실행될 때, 통로 분사 지령값, 통로 분사 피드백 보정값,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 및 실린더내 분사 피드백 보정값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임 챠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통로 분사 지령값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리 및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7a 내지 도 7d는 통로 분사 지령값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리가 실행될 때, 통로 분사 지령값, 통로 분사 피드백 보정값,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 및 실린더내 분사 피드백 보정값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임 챠트; 및
도 8a 내지 도 8d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리가 실행될 때, 통로 분사 지령값, 통로 분사 피드백 보정값,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 및 실린더내 분사 피드백 보정값의 추이를 나타내는 타임 챠트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passage injector) 및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in-cylinder injector)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허 제 3060960호(일본국 특개평 공보 제 10-103118호)는 흡기통로(예를 들어, 흡기포트)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 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가 구비된 내연기관을 개시한다. 통로 분사장치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는 필요에 따라 연료를 할당하여 분사한다.
이 내연기관에서도, 단일 분사장치가 구비된 종래의 내연기관과 유사하게 공연비 피드백 제어(air-fuel ratio feedback control)가 행해진다. 공연비 피드백 제어시, 공연비에 따라 변하는 피드백 보정값을 이용하여 공연비를 목표값에 근접시키도록 분사된 연료량이 보정된다. 즉, 통로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된 연료량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된 연료량은, 내연기관에서의 공연비가 목표값에 도달하도록 피드백 보정값에 의해 보정된다.
연료가 통로 분사장치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에 의해 할당되어 분사되면, 단일 분사장치에 의해 연료가 분사되는 경우보다, 하나의 분사장치에 의해 적은 연료가 분사된다. 따라서, 각각의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된 연료량은 피드백 보정값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보정으로 인해 허용가능한 하한(lower limit)보다 낮아질 수 있다. 허용가능한 하한값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는 연료분사량의 최소값을 나타내며 분사장치에 따라 판정된다.
본 발명은, 통로 분사장치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가 연료를 할당하여 분사할 경우, 각각의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이 허용가능한 하한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연료분사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기관내의 연료분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통로 분사장치와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가 연료를 할당하여 분사하도록 상기 통로 분사장치와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보정수단은 상기 기관내의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으로 상기 기관의 연료분사량을 보정한다. 상기 보정수단은,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단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보정값으로의 보정으로 인해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보정값으로 보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기관내의 연료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기관의 연료분사량은 상기 기관내의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으로 보정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단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보정값으로의 보정으로 인해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보정값으로 보정하는 보정수단을 포함한다. 기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1이상의 센서가 상기 보정수단과 연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기관내의 연료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기관의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으로 상기 기관의 연료분사량을 보정하는 보정수단을 포함한다. 제어수단은,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고정시키고,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기관내의 연료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엔진의 연료분사량은 상기 기관의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으로 보정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고정시키고,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감소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기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1이상의 센서가 상기 제어수단과 연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기관내의 연료분사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가 연료를 할당하여 분사하도록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기관내의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으로 상기 기관의 연료분사량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단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보정값으로의 보정으로 인해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보정값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기관내의 연료분사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관내의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으로 기관의 연료분사량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고정시키고,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기관내의 연료분사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한다.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은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각각에 대해 설정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보정값으로 상기 기관의 연료분사량을 보정하는 단계, 상기 통 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둘 모두가 연료를 분사하는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사정설정된 값 미만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사전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사전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기관내의 연료분사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한다.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은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 각각에 대해 설정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보정값으로 상기 기관의 연료분사량을 보정하는 단계,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둘 모두가 연료를 분사하는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미만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허용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허용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현재로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몇가지 목적 및 장점을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 번호들은 전부 동일 요소들에 사용된다.
[제1실시예]
이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엔진용 연료분사 제어장치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엔진(1)은 흡기통로(2), 배기통로(15), 및 흡기통로(2) 및 배기통로(15)에 연결된 연소실(3) 을 포함한다. 흡기통로(2)에는 연료 연소실(3)에 도입되는 공기량(흡입 공기량)을 조정하도록 개방 및 폐쇄되는 스로틀 밸브(4)가 제공된다. 스로틀 밸브(4)의 개방량(스로틀의 개방도)은 액셀러레이터 페달(5)의 밟음양(depressed amount)에 따라 제어된다. 엔진(1)에는 흡기통로(2)를 향해(예를 들어, 연소실(3)의 흡기포트(2a)를 향해)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6), 및 연소실(3)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7)가 마련된다. 스파크 플러그(12)는 연소실(3)내에 배치된다.
엔진(1)에서, 분사장치(6, 7)로부터 분사된 연료와 흡기통로(2)로부터 흐르는 공기로 형성된 기체혼합물(gaseous mixture)이 연소실(3)에 충전되고 스파크 플러그(12)에 의해 점화된다. 이는 기체혼합물을 연소시키고 그 연소 에너지로 피스톤(13)을 왕복운동시켜, 크랭크샤프트(14)를 회전시킨다. 연소된 기체혼합물은 배기통로(15)를 통해 배출된다.
차량내에는 엔진(1)의 각종 운전 제어를 행하는 전자제어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제어장치(16)는 분사장치(6, 7)의 전환 제어를 실행하고 분사장치(6, 7)를 구동시킴으로써 엔진(1)의 연료 분사 제어를 실행한다. 전자제어장치(16)는 하기에 언급된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 즉,
- 엑셀러레이터 페달의 밟음양을 검출하는 엑셀러레이터 위치 센서(17),
- 스로틀의 개방량을 검출하는 스로틀 위치 센서(18),
- 흡기통로(2)내의 스로틀 밸브(4)로부터의 하류쪽의 압력을 검출하는 진공 센서(19),
- 크랭크샤프트(14)의 회전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크랭크 위치 센서(20), 및
배기통로(15)를 통해 흐르는 배기가스내의 산소 농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산소(O2) 센서(22)로부터 검출신호를 수신한다.
이하, 전자제어장치(16)에 의해 행해진 분사장치(6, 7)의 전환 제어 및 엔진(1)의 연료분사제어를 설명한다.
분사장치 전환 제어
연료는 엔진(1)의 운전상태에 따라 통로 분사장치(6)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7)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분사장치 모두로부터 분사된다.
예를 들어, 엔진(1)의 냉각수 온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는, 통로 분사장치(6)만이 연료를 분사한다. 통로 분사장치(6)로부터 연료가 분사되는 경우는, 연료의 분사부터 연료의 점화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길다. 다시 말해, 연료가 기화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가 비교적 용이하다. 따라서, 낮은 엔진 온도 상태 하에서 도, 분사된 연료가 충분히 기화되므로, 그 결과로 액화 연료를 연소시킬 경우 생성될 수 있는 유독가스(fume)를 억제할 수 있다.
엔진(1)의 냉각수 온도가 비교적 높고 엔진(1)이 소량의 분사연료를 필요로 하는 운전 범위내에 있는 경우, 실린더내 분사장치(7)만이 연료를 분사한다. 엔진(1)의 냉각수 온도가 비교적 높고 엔진(1)이 대량의 분사연료를 필요로 하는 운전 범위내에 있는 경우, 통로 분사장치(6)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7) 둘 모두가 연료를 분사한다. 실린더내 분사장치(7)가 연료를 분사하는 경우, 분사된 연료는 피스톤(13)의 헤드부 및 실린더의 내벽에 부딪히고 기화된다. 연료가 피스톤(13) 및 실린더의 기화열을 빼앗기 때문에, 연소실(3)내의 온도가 내려간다. 그 결과로, 흡입 공기 충전 효율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는 엔진 출력을 증가시킨다. 소량의 분사연료를 필요로 하는 운전 범위에서, 2개의 분사장치(6, 7)가 연료를 할당하여 분사하는 경우, 각 분사장치(6, 7)는 소량의 연료를 분사한다. 이 경우, 연료분사량은 허용가능한 하한 미만, 즉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는 최소 연료분사량 미만이 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엔진(1)의 냉각수 온도가 어느 정도까지 높아지면, 소량의 연료분사량을 필요로 하는 운전 범위에서는 실린더내 분사장치(7)만이 연료를 분사한다.
통로 분사장치(6)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7) 둘 모두는 연료를 할당하여 분사하고, 전자제어장치(16)는 엔진 속도 및 엔진 부하와 같은 엔진 운전 상태에 따라 통로 분사장치(6)에 의해 분사된 연료량 대 실린더내 분사장치(7)에 의해 분사된 연료량의 비율을 변동시킨다. 즉, 전자제어장치(16)는 엔진 운전 상태에 따라 각각 의 분사장치(6, 7)에 의해 분사된 연료량을 최적으로 제어한다.
엔진(1)의 연료분사제어
전자제어장치(16)는 엔진(1)에 분사된 연료량을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제어장치(16)는 엔진(1)의 운전 상태 하에서 요구되는 총 연료분사량(Qfin)을 얻도록 통로 분사장치(6)에 의해 분사된 연료량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7)에 의해 분사된 연료량을 제어한다.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지령값(Q1)에 기초하여 통로 분사장치(6)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분사장치(6)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를 제어한다.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에 기초하여 실린더내 분사장치(7)를 구동함으로써 실린더내 분사장치(7)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를 제어한다.
통로 분사 지령값(Q1) 및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 대 총 연료분사량(Qfin)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으로 표현된다.
Qfin = Q1 + Q2
상기 수학식에서, Qfin은 총 연료분사량을 나타내고, Q1은 통로 분사 지령값을 나타내며, Q2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을 나타낸다.
통로 분사 지령값(Q1)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으로 계산된다.
Q1 = QbseㆍkㆍFAF1ㆍA
상기 수학식에서, Q1은 통로 분사 지령값을 나타내고, Qbse는 기본 연료분사량을 나타내며, FAF1은 통로 분사 피드백 보정값을 나타내고, A는 또 다른 보정 계 수를 나타낸다.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으로 계산된다.
Q2 = Qbseㆍ(1-k)ㆍFAF2ㆍB
상기 수학식에서, Q2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을 나타내고, Qbse는 기본 연료분사량을 나타내며, FAF2는 실린더내 분사 피드백 보정값을 나타내고, B는 또 다른 보정 계수를 나타낸다.
수학식 1 및 수학식 2의 기본 연료분사량은 엔진 속도 및 엔진 부하를 포함하는 파라미터(엔진 운전 상태)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또한, 기본 연료분사량(Qbse)은 엔진 운전 상태 하에서 요구되는 이론적 총 연료분사량을 나타낸다. 기본 연료분사량(Qbse)은 엔진 속도 및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전자제어장치(16)는 크랭크 위치 센서(2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엔진 속도를 판정한다. 전자제어장치(16)는 엔진(1)의 흡입 공기량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및 엔진 속도에 기초하여 엔진 부하를 계산한다. 흡입 공기량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의 예로는 진공 센서(19)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엔진(1)의 흡기 압력, 스로틀 위치 센서(18)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스로틀 개방량, 및 액셀러레이터 위치 센서(17)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밟음량이 있다.
수학식 1에서의 할당 계수 k는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0 내지 1의 범위내에서 가변된다. 할당 계수 k는 통로 분사장치(6)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의 비율을 판정한다. 따라서,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 통로 분사 지령값(Q1)은 총 연료분사량(Qfin)을 얻는데 필요한 통로 분사장치(6)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의 지령값이다. 수학식 2에서, 할당 계수 k를 이용하는 팩터 [1-k]는 실린더내 분사장치(7)에 할당된 연료분사량의 비율을 판정한다. 따라서,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된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은 총 연료분사량(Qfin)을 얻는데 필요한 실린더내 분사장치(7)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의 지령값이다.
엔진(1)의 냉각수 온도가 비교적 낮은 때와 같이 통로 분사장치(6)만이 연료를 분사하는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할당 계수 k를 [1]로 설정한다. 이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을 [0]으로 설정한다. 총 연료분사량(Qfin)은 통로 분사장치(6)만이 연료를 분사시킴으로써 확보되고, 통로 분사 지령값(Q1)은 총 연료분사량(Qfin)과 같다. 엔진(1)의 냉각수 온도가 비교적 높고 엔진 운전 상태가 비교적 소량의 분사연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할당 계수 k를 [0]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지령값(Q1)을 [0]으로 설정한다. 총 연료분사량(Qfin)은 실린더내 분사장치(7)만이 연료를 분사시킴으로써 확보되고,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은 총 연료분사량(Qfin)과 같다.
엔진(1)의 냉각수 온도가 비교적 높고 엔진 운전 속도가 비교적 소량의 분사연료를 필요로 하는 범위 밖에(즉, 비교적 대량의 분사연료를 필요로 하는 범위내에) 있는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엔진 부하 및 엔진 속도에 따라 [0]보다는 크고 [1]보다는 작은 값으로 할당 계수 k를 가변 설정한다. 전자제어장치(16)는 할당 계수 k에 따라 통로 분사 지령값(Q1) 및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을 계산한다. 이 경우, 총 연료분사량(Qfin)은 통로 분사장치(6)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7) 둘 모두에 의해 분사된 연료에 의해 확보된다.
수학식 1의 통로 분사 피드백 보정값(FAF1)(이후,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이라 칭함) 및 수학식 2의 실린더내 분사 피드백 보정값(FAF2)(이후, 실린더내 분사 피드백 보정값(FAF2)이라 칭함)은 피드백 제어시 엔진(1)의 공연비가 화학양론적 공연비(stoichiometric air-fuel ratio)에 근접하도록 연료분사량을 보정하는데 사용된다. 전자제어장치(16)는, 산소 센서(2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1.0]을 중심으로 변하는 피드백 보정값(FAF)(이후, 보정값(FAF)라 칭함)에 기초하여 통로 분사 보정값(FAF1) 및 실린더내 분사 피드백 보정값(FAF2)을 설정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산소 센서(22)는 배기통로(15)내의 배기가스의 산소 농도에 대응하는 신호(검출 신호)를 발생한다. 즉, 산소 센서(22)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배기가스의 공연비를 나타낸다. 산소 센서(2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나타내어진 공연비가 화학양론적 공연비보다 리치(rich)한 경우(연료가 리치한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연료분사량을 감소시키도록 보정값(FAF)을 증가시킨다. 이와 반대로, 산소 센서(2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나타내어진 공연비가 화학양론적 공연비 보다 린(lean)한 경우, 연료분사량을 증가시키도록 보정값(FAF)을 감소시킨다.
통로 분사 보정값(FAF1) 및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설정하는 순서는, 이후 공연비 피드백 제어 루틴을 도시하는 도 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서술된다. 공연비 피드백 제어 루틴에서, 전자제어장치(16)는 엔진(1)의 공연비를 화학양 론적 공연비에 근접시키도록 보정값(FAF)(FAF1 및 FAF2)을 이용하여 연료분사량을 보정한다. 전자제어장치(16)는 사전설정된 크랭크 각도 인터럽트(predetermined crank angle interrupt)로 공연비 피드백 제어 루틴을 실행한다.
먼저, 전자제어장치(16)는 공연비 피드백 제어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들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1). 피드백 조건의 예는, 엔진 웜 업(engine warm up)의 완료, 산소 센서(22)의 활성화, 엔진(1)이 과도하게 높은 속도 및 부하 상태에 있지 않을 것을 포함한다. 전자제어장치(16)는 이들 조건 모두를 만족하는 경우 피드백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피드백 조건을 만족하고 단계 S101에서의 판단이 긍정적인 경우, 상기 처리는 단계 S102 및 이후의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 S102 및 이후 단계의 처리시, 전자제어장치(16)는, (1) 실린더내 분사장치(7)만이 연료를 분사하는지, (2) 통로 분사장치(6)만이 연료를 분사하는지, ㄸ노는 (3) 통로 분사장치(6)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7) 둘 모두가 연료를 분사하는지에 따라 공연비 피드백 제어를 실행한다. 이하, 다양한 조건 (1) 내지 (3)하에서의 공연비 피드백 제어를 설명한다.
(1) 실린더내 분사장치(7)만이 연료를 분사하는 경우(S102: YES)
이 경우, 통로 분사장치(6)는 연료를 분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장치(7)에 의해서만 연료가 분사되도록 피드백 제어를 수행한다(S103). 전자제어장치(16)는 엔진(1)의 공연비가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하도록 연료분사량을 보정한다. 상세하게는, 전자제어장치(17)는 통로 분사 보정값 (FAF1)으로서 [1.0]을 이용하고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으로서 보정값(FAF)을 이용한다. 따라서,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이용하여 실린더내 분사장치(7)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을 보정함으로써, 엔진(1)의 공연비는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한다.
(2) 통로 분사장치(6)만이 연료를 분사하는 경우(S104: YES)
이 경우, 실린더내 분사장치(7)는 연료를 분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장치(6)에 의해서만 연료를 분사하도록 피드백 제어를 실행한다. 전자제어장치(16)는 엔진(1)의 공연비가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하도록 연료분사량을 보정한다. 상세하게는,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으로서 [1.0]을 이용하고 통로 분사 보정값(FAF1)으로서 보정값(FAF)을 이용한다. 따라서,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이용하여 통로 분사장치(6)에 의해 분사된 연료량을 보정함으로써, 엔진(1)의 공연비는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한다.
(3) 통로 분사장치(6)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7) 둘 모두가 연료를 분사하는 경우(S102: NO, S104: NO)
이 경우, 통로 분사장치(6)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7) 둘 모두가 연로를 분사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장치(6)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7) 둘 모두에 의해 연료를 분사하도록 피드백 제어를 실행한다(S106). 전자제어장치(16)는 엔진(1)의 공연비가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하도록 연료분사량을 보정한다. 상세하게는,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보정값(FAF1) 및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 둘 모두에 대해 보정값(FAF)을 이용한다. 따라서, 통로 분사 보정값(FAF1) 을 이용하여 통로 분사장치(6)에 의해 분사된 연료량을 보정하고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이용하여 실린더내 분사장치(7)에 의해 분사된 연료량을 보정함으로써, 엔진(1)의 공연비는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한다.
조건 (3) 하에서, 연료는 총 연료분사량(Qfin)을 얻기 위해 통로 분사장치(6)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7)에 의해 할당되어 분사된다. 따라서, 이 경우, 분사장치(6, 7)의 각각으로부터 분사된 연료량은 총 연료분사량(Qfin)이 분사장치(6, 7) 중 하나만을 이용하여 연료를 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경우에 비해 작다. 그러므로, 보정값(FAF)(FAF1, FAF2)으로의 연료분사량의 보정으로 인해,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허용가능한 하한(min1) 미만이거나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허용가능한 하한(min2) 미만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허용가능한 하한(min1)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는 통로 분사장치(6)로부터 분사되는 최소 연료량이다. 상기 허용가능한 하한(min2)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는 실린더내 분사장치(7)로부터 분사되는 최소 연료량이다.
그러므로, 조건 (3) 하에서,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허용가능한 하한(min1)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리 및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허용가능한 하한(min2)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들 처리는 이중 분사 제어 루틴을 도시하는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하기에 서술된다. 전자제어장치(16)는 상기 처리가 공연비 피드백 제어 루틴의 단계 S106으로 진행할 때마다 이중 분사 제어 루틴을 실행한다.
먼저,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사전설정된 값(A) 미 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1).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사전설정된 값(A) 보다 큰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사전설정된 값(B)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3). 사전설정된 값(A)은,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값(Q2)의 보정에 의해 허용가능한 하한(min2) 미만으로 감소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기에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사전설정된 값(A)은, 예를 들어 허용가능한 하한(min2)보다 사전설정된 양만큼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사전설정된 값(B)은,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이용하여 상기 지령값(Q1)의 보정에 의해 허용가능한 하한(min1) 미만으로 감소되었을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에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사전설정된 값(B)은, 예를 들어 허용가능한 하한(min1)보다 사전설정된 양만큼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201과 S203 둘 모두의 판단이 부정적인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연료분사량이 통로분사장치(6)와 실린더내 분사장치(7) 중 어느 쪽도 허용가능한 하한 밑으로 감소될 우려는 없다고 판단함에 따라 단계 S205로 진행한다. 단계 S205에서, 전자제어장치(16)는 상기 조건 (3)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통로 분사장치(6)와 실린더내 분사장치(7) 둘 모두의 연료분사량을 보정한다. 이 때,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보정값(FAF1)과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 둘 모두에 대해 보정값(FAF)을 이용한다.
단계 S201에서 판단이 긍정적인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지령값(Q2)이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이용한 보정에 의해 허용가능한 하한(min2) 밑으로 감소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허용가능한 하한(min2)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계 S202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202의 처리는 도 4a 내지 도 4d의 타임 차트를 참조하여 하기에 서술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통로 분사 지령값(Q1), 통로 분사 보정값(FAF1),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 및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의 추이를 나타낸다.
엔진(1)의 공연비가 화학양론적 공연비보다 리치일 경우, 통로 분사 보정값(FAF1)과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 둘 모두는 [1.0]으로부터 감소된다. 이 감소와 연계하여, 통로 분사 지령값(Q1) 및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 또한 감소된다. 그 후, 예를 들어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설정된 값(A) 밑으로 감소된다. 그러면, 전자제어장치(16)는 도 4d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1.0]으로 설정(고정)하고, 상기 보정값(FAF2)을 이용하여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의 보정을 정지한다.
예를 들어,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이 도 4d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고정되지 않고 계속 감소한다고 가정하면,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은 도 4c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허용가능한 하한(min2) 미만으로 감소된다. 전자제어장치(16)가 허용가능한 하한(min) 미만이 된 상기 지령값(Q2)에 기초하여 실린더내 분사장치(7)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분사장치(7)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은 적절한 양으로부터 크게 벗어나며, 연료분사량은 정확히 제어될 수 없다.
하지만, 제1실시예의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사전 설정된 값(A) 밑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이용하여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의 보정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은 도 4c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추이를 보임에 따라, 상기 지령값(Q2)이 허용가능한 하한(min2)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16)는 분사장치(7)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을 높은 정확성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이 [1.0]으로 고정되는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이용하여 통로 분사 지령값(Q1)을 보정함으로써 엔진(1)의 공연비를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시킬 수 있다. 하지만, 화학양론적 공연비로의 엔진(1)의 공연비의 수렴(convergence)에는 딜레이(delay)가 있으며, 이 딜레이는 [1.0]으로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에 의해 야기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전자제어장치(16)는 엔진으로 분사되는 전체 연료량에 대해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1.0]으로 고정함으로써 생기는 영향을 보상하도록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설정한다.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은, 예를 들어 하기의 수학식 4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FAF1 = (Qfin/Q1)ㆍ(FAF-1) + 1
상기 수학식에서, FAF1은 통로 분사 보정값을 나타내고, Qfin은 총 연료분사량을 나타내며, Q1은 통로 분사 지령값을 나타내고, FAF는 보정값을 나타낸다.
수학식 4에서, [FAF-1] 항은 [1.0]의 FAF 기준값으로부터의 FAF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즉, [FAF-1] 항은 통로 분사장치(6)와 실린더내 분사장치(7) 둘 모두가 연료를 분사하는 경우 엔진(1)의 공연비를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시키는데 필요한 분사연료량으로부터의 변화량에 대응한다. [Qfin/Q1] 항은 총 연료분사량 대 통로 분사 지령값(Q1)의 비율이다. 즉, [Qfin/Q1] 항은 통로 분사장치(6)에 의해서만 분사된 연료량의 변화로 두 분사장치(6, 7)에 의해 분사된 연료와 동등한 연료분사량의 변화를 실현하는데 필요한 [FAF-1] 변화율을 나타낸다. 이 방식으로,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1.0]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엔진 전체의 연료분사량에 관한 영향을 보상하도록 수학식 4에 따라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설정한다.
그 결과로,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연비가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하도록 크게 감소된다(시간 T1). 상기 보정값(FAF1)의 감소와 연계하여,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로 분사 지령값(Q1)도 크게 감소(보정)된다. 이는,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이용한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의 보정이 정지된 경우(즉,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이 [1.0]으로 고정된 경우), 화학양론적 공연비로의 엔진(1)의 공연비의 수렴이 딜레이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계 S203(도 3)의 이중 분사 제어 루틴의 판단이 긍정적인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이용한 보정에 의해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허용가능한 하한(min1) 밑으로 감소될 우려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허용가능한 하한(min1)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하도록 단계 S204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204의 처리는 도 5의 타임 차트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통로 분사 지령값(Q1), 통로 분사 보정값(FAF1),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 및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의 추이를 나타낸다.
엔진(1)의 공연비가 화학양론적 공연비보다 리치한 경우, 통로 분사 보정값(FAF1)과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 둘 모두는 [1.0]으로부터 감소된다. 이 감소와 연계하여, 통로 분사 지령값(Q1) 및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 또한 감소된다. 그 후, 예를 들어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설정된 값(B) 밑으로 감소된다. 그러면, 전자제어장치(16)는 도 5b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1.0]으로 설정하고 상기 보정값(FAF1)을 이용하여 통로 분사 지령값(Q1)의 보정을 정지한다.
예를 들어,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이 도 5b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되지 않고 계속 감소한다고 가정하면, 통로 분사 지령값(Q1)은 도 5a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허용가능한 하한(min1) 미만으로 감소된다. 전자제어장치(16)가 허용가능한 하한(min1) 미만이 된 보정값(Q1)에 기초하여 통로 분사장치(6)를 제어하는 경우, 분사장치(6)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은 적절한 양으로부터 크게 벗어나며, 연료분사량은 정확히 제어될 수 없다.
하지만, 제1실시예의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사전설정된 값(B) 밑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이용하여 통로 분사 지령값(Q1)의 보정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통로 분사 지령값(Q1)은 도 5a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추이를 보임에 따라, 상기 지령값(Q1)이 허용가능한 하한(min1)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전자제어장치(16)는 분사장치(6)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을 높은 정확성으로 제어할 수 있다.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이 [1.0]으로 고정되는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이용하여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을 보정함으로써 엔진(1)의 공연비를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시킬 수 있다. 하지만, 화학양론적 공연비로의 엔진(1)의 공연비의 수렴에는 딜레이가 있으며, 이 딜레이는 [1.0]으로 고정되어 있는 통로 분사 보정값(FAF1)에 의해 야기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전자제어장치(16)는 엔진으로 분사되는 전체 연료량에 대해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1.0]으로 고정함으로써 생기는 영향을 보상하도록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설정한다.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은, 예를 들어 하기의 수학식 5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FAF2 = (Qfin/Q2)ㆍ(FAF-1) + 1
상기 수학식에서, FAF2은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을 나타내고, Qfin은 총 연료분사량을 나타내며, Q1은 통로 분사 지령값을 나타내고, FAF는 보정값을 나타낸다.
수학식 5에서, [FAF-1] 항은 [1.0]의 FAF 기준값으로부터의 FAF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즉, [FAF-1] 항은 통로 분사장치(6)와 실린더내 분사장치(7) 둘 모두가 연료를 분사하는 경우 엔진(1)의 공연비를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시키는데 필요한 분사연료량으로부터의 변화량에 대응한다. [Qfin/Q2] 항은 총 연료분사량 대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의 비율이다. 즉, [Qfin/Q2] 항은 실린더내 분사장치(7)에 의해서만 분사된 연료량의 변화로 두 분사장치(6, 7)에 의해 분사된 연료와 동등한 연료분사량의 변화를 실현하는데 필요한 [FAF-1]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이 방식으로,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1.0]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엔진 전체의 연료분사량에 관한 영향을 보상하도록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설정한다.
그 결과로,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연비가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하도록 크게 감소된다(시간 T2). 상기 보정값(FAF2)의 감소와 연계하여,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도 크게 감소(보정)된다. 이는,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이용한 통로 분사 지령값(Q1)의 보정이 정지된 경우(즉,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이 [1.0]으로 고정된 경우), 화학양론적 공연비로의 엔진(1)의 공연비의 수렴이 딜레이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실시예의 전자제어장치(16)는 하기에 서술된 몇가지 장점을 가진다.
(1) 조건 (3) 하에서, 전자제어장치(16)는 보정값(FAF)(FAF1, FAF2)을 이용하여 연료분사량을 보정한다.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사전설정된 값(B) 밑으로 감소된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상기 지령값(Q1)을 보정하는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1.0]으로 설정(고정)한다. 그 결과로, 통로 분사 지령값(Q1)을 감소시키는 보정이 정지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허용가 능한 하한(min1)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통로 분사장치(6)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을 정확히 제어한다. 더욱이, 조건 (3) 하에서,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사전설정된 값(A) 밑으로 감소되는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상기 지령값(Q2)을 보정하는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1.0]으로 설정(고정)한다. 그 결과로,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을 감소시키는 보정이 정지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허용가능한 하한(min2)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실린더내 분사장치(7)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을 정확히 제어한다.
(2)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사전설정된 값(B) 미만이 되는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지령값(Q1)을 감소시키는 보정을 정지한다. 이 때, 전자제어장치(16)는 수학식 5에 기초하여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설정한다. 상기 보정값(FAF2)은, 엔진 전체의 연료분사량에 대해 통로 분사 지령값(Q1)을 감소시키는 보정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영향을 보상하도록 설정된다.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을 이용하여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을 보정한다. 이 방식으로,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지령값(Q1)의 보정을 정지시킴으로 인해 야기되는 화학양론적 공연비로의 엔진(1)의 공연비의 딜레이된 수렴을 억제한다.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사전설정된 값(A) 미만이 되는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을 감소시키는 보정을 정지한다. 이 때, 전자제어장치(16)는 수학식 4에 기초하여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설정한다. 상기 보정값(FAF1)은, 엔진 전체의 연료분사량에 대해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을 감소시키는 보정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영향을 보상하도록 설정된다. 전자제어장치 (16)는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이용하여 통로 분사 지령값(Q1)을 보정한다. 이 방식으로,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의 보정을 정지시킴으로 인해 야기되는 화학양론적 공연비로의 엔진(1)의 공연비의 딜레이된 수렴을 억제한다.
제2실시예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16)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의 조건 (3) 하에서(통로 분사장치(6)와 실린더내 분사장치(7) 둘 모두에 의해 연료가 분사되는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보정값(FAF1) 및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에 대해 항상 보정값(FAF)을 이용한다.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허용가능한 하한(min1)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허용가능한 하한(min2)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실시예의 처리들과는 다른 처리들을 실행한다. 이들 처리는 분사량 제어 루틴을 나타낸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전자제어장치(16)는 사전설정된 크랭크 각도의 각도 인터럽트로 분사량 제어 루틴을 실행한다.
분사량 제어 루틴에서, 전자제어장치(16)는 먼저 통로 분사장치(6)와 실린더내 분사장치(7) 둘 모두에 의해 연료가 분사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1). 단계 S301에서의 판단이 부정적인 경우, 통로 분사장치(6)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7) 중 하나만에 의해 연료가 분사된다(S308). 단계 S301에서의 판단이 긍정적인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단계 S302 내지 S307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S302 내지 S307의 처리는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허용가능한 하한(min1)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단계 S302 내지 S307의 처리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허용가능한 하한(min2)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d의 타임 차트를 참조하여 단계 S302 내지 S304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통로 분사 지령값(Q1), 통로 분사 보정값(FAF1),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 및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의 추이를 나타낸다.
엔진(1)의 공연비가 화학양론적 공연비보다 리치한 경우, 통로 분사 보정값(FAF1) 및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은 도 7b 및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으로 감소된다. 이 감소와 연계하여, 통로 분사 지령값(Q1) 및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 또한 감소된다. 그 후, 예를 들어 통로 분사 지령값(Q1)은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T3에서 허용가능한 하한(min1) 밑으로 감소된다(단계 S302: YES). 그러면, 전자제어장치(16)는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허용가능한 하한(min1)으로 상기 지령값(Q1)을 고정시킴에 따라(단계 S303), 상기 지령값(Q1)이 허용가능한 하한(min1)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강제적으로 허용가능한 하한(min1)으로 고정되는 경우, 통로 분사장치(7)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이 최적의 양보다 많아진다. 따라서, 과도한 연료가 엔진(1) 전체에 분사되며, 엔진(1)의 공연비를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 결과로, 상기 공연비의 화학양론적 공 연비로의 수렴이 딜레이되거나 상기 공연비가 리치 상태로 유지되며 린 상태로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지령값(Q1)을 허용가능한 하한(min1)으로 고정하는 것과 연계하여 생기는 과도한 연료 분사를 상쇄하도록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을 감소시킨다(S304).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수학식 6에 기초하여 감소될 수 있다.
Q2←Q2 + (QbseㆍkㆍFAF1ㆍA - min1)
상기 수학식에서, Q2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을 나타내고, Qbse는 기본 연료분사량을 나타내며, FAF1은 통로 분사 보정값을 나타내고, k는 할당 계수를 나타내며, A는 또 다른 보정 계수를 나타내고, min1은 통로 분사 지령값의 허용가능한 하한을 나타낸다.
수학식 6에서, [QbseㆍkㆍFAF1ㆍA] 항은 Q1이 허용가능한 하한(min1)으로 고정되지 않은 때의 통로 분사 지령값(Q1)이다. 따라서, [QbseㆍkㆍFAF1ㆍA] 항은 음의 값이며 Q1이 하한(min1)으로 고정된 때의 통로 분사 지령값(Q1)과 Q1이 고정되지 않은 때의 통로 분사 지령값(Q1)간의 차이 S1(도 7a 참조)를 나타낸다.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상기 차이 S1에 의해, 즉 [QbseㆍkㆍFAF1ㆍA] 항에 의해 감소된다. 전자제어장치(16)는 이러한 방식으로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을 감소시켜, 통로 분사 지령값(Q1)을 허용가능한 하한(min1)으로 고정시키는 것과 연계하여 발생하는 엔진 전체의 과도한 연료분사량을 상쇄한다. 이 방식으로, 전자제어장치(16)는 화학양론적 공연비로의 엔진(1)의 공연비의 수렴이 딜레이되는 것을 방지하 며 상기 공연비가 리치 상태로부터 린 상태로 변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도 8a 내지 도 8d의 타임 차트를 참조하여 단계 S305 내지 단계 S307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통로 분사 지령값(Q1), 통로 분사 보정값(FAF1),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 및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의 추이를 나타낸다.
엔진(1)의 공연비가 화학양론적 공연비보다 리치한 경우, 통로 분사 보정값(FAF1) 및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은 도 8b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으로 감소된다. 이 감소와 연계하여, 통로 분사 지령값(Q1) 및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 또한 감소된다. 그 후, 예를 들어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4에서 허용가능한 하한(min2) 밑으로 감소된다(S305: YES). 그러면, 전자제어장치(16)는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허용가능한 하한(min2)으로 상기 지령값(Q2)을 고정함에 따라(S306), 지령값(Q20의 감소가 허용가능한 하한(min2)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강제적으로 허용가능한 하한(min2)으로 고정되는 경우, 실린더내 분사장치(7)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은 최적의 양보다 많다. 따라서, 과도한 연료가 엔진(1) 전체에 분사되며, 엔진(1)의 공연비를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 결과로, 상기 공연비의 화학양론적 공연비로의 수렴이 딜레이되거나 상기 공연비가 리치 상태로 유지되며 린 상태로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허용가능한 하한(min2)으로 고정하는 것과 연계하여 생기는 과도한 연 료 분사를 상쇄하도록 통로 분사 지령값(Q1)을 감소시킨다(S307). 통로 분사 지령값(Q1)은 예를 들어 수학식 7에 기초하여 감소될 수 있다.
Q1←Q1 + (Qbseㆍ(1-k)ㆍFAF2ㆍB - min2)
상기 수학식에서, Q1는 통로 분사 지령값을 나타내고, Qbse는 기본 연료분사량을 나타내며, FAF2은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을 나타내고, k는 할당 계수를 나타내며, B는 또 다른 보정 계수를 나타내고, min2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의 허용가능한 하한을 나타낸다.
수학식 7에서, [Qbseㆍ(1-k)ㆍFAF2ㆍB] 항은 Q2가 허용가능한 하한(min2)으로 고정되지 않은 때의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다. 따라서, [Qbseㆍ(1-k)ㆍFAF2ㆍB] 항은 음의 값이며 Q2가 하한(min2)으로 고정된 때의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과 Q2가 고정되지 않은 때의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간의 차이 S1(도 8 참조)를 나타낸다. 통로 분사 지령값(Q1)은 상기 차이 S1에 의해, 즉 [Qbseㆍ(1-k)ㆍFAF2ㆍB] 항에 의해 감소된다. 전자제어장치(16)는 이러한 방식으로 통로 분사 지령값(Q1)을 감소시켜,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을 허용가능한 하한(min2)으로 고정시키는 것과 연계하여 발생하는 엔진 전체의 과도한 연료분사량을 상쇄한다. 이 방식으로, 전자제어장치(16)는 화학양론적 공연비로의 엔진(1)의 공연비의 수렴이 딜레이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공연비가 리치 상태로부터 린 상태로 변할 수 있게 한다.
제2실시예의 전자제어장치(16)는 하기에 서술되는 몇가지 장점을 가진다.
(3) 조건 (3) 하에서, 전자제어장치(16)는 보정값(FAF)(FAF1, FAF2)을 이용하여 연료분사량을 보정한다.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허용가능한 하한(min1) 밑으로 감소된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상기 지령값(Q1)을 상기 허용가능한 하한(min1)으로 고정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16)는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허용가능한 하한(min1)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통로 분사장치(6)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을 정확히 제어한다. 더욱이, 조건 (3) 하에서,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사전설정된 값(A)으로 감소되는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상기 지령값(Q2)을 허용가능한 하한(min2)으로 고정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허용가능한 하한(min2)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실린더내 분사장치(7)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량을 정확히 제어한다.
(4) 통로 분사 지령값(Q1)이 허용가능한 하한(min1)으로 고정되는 경우, 통로 분사 지령값(Q2)은 최적의 값보다 크다. 이 경우, 과도한 연료가 분산되며, 엔진(1)의 공연비를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 결과로, 상기 공연비의 화학양론적 공연비로의 수렴이 딜레이되거나 상기 공연비는 리치 상태로 유지되며 린 상태로 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제2실시예의 전자제어장치(16)는 수학식 6에 기초하여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을 감소시켜, 통로 분사 지령값(Q1)에 따라 분사된 과도한 연료량을 상쇄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16)는 이전에 서술된 몇가지 문제점을 예방한다.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이 허용가능한 하한(min2)으로 고정되는 경우,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은 최적의 값보다 크다. 이 경우, 과도한 연료가 분사되며, 엔진(1)의 공연비를 화학양론적 공연비에 근접시키 는 것이 어렵다. 그 결과로, 상기 공연비의 화학양론적 공연비로의 수렴이 딜레이되거나 상기 공연비는 리치 상태로 유지되며 린 상태로 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제2실시예의 전자제어장치(16)는 수학식 7에 기초하여 통로 분사 지령값(Q1)을 감소시켜,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에 따라 분사된 과도한 연료량을 상쇄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16)는 이전에 서술된 몇가지 문제점을 예방한다.
그 밖의 실시예
당업자라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다양한 특정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형식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에서,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이 [1.0]으로 고정된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엔진 전체에 분사되는 연료량에 대해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을 보정함으로써 생기는 영향을 보상하도록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을 설정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제어장치(16)는 전술한 영향을 감소시키도록 통로 분사 보정값(FAF1)로부터 일정값을 감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로 분사 보정값(FAF1)이 [1.0]으로 고정된 경우, 전자제어장치(16)는 실린더내 분사 보정값(FAF2)으로부터 일정값을 감산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에서, 전자제어장치(16)가 통로 분사 지령값(Q1)을 허용가능한 하한(min2)으로 고정하는 경우,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은 통로 분사 지령값(Q1)에 따라 분사된 과도한 연료량을 상쇄하도록 감소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제어장치(16)는 연료분사량이 과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으로부터 일정값을 감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제어장치(16)가 실린더내 분사 지령값(Q2)을 허용가능한 하한(min)으로 고정하는 경우, 통로 분사 지령값(Q1)으로부터 일정값이 감산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통로 분사장치(6)는 흡기포트(2a)에 연료를 분사한다. 대안적으로, 흡기포트(2a)로부터 상류에 있는 흡기통로(2)에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장치가 엔진(1)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2실시예는 조합될 수 있다.
본 예시들 및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지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주어진 세부사항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균등론 및 범위내에서 수정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20)

  1. 기관내의 연료분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가 연료를 할당하여 분사하도록 상기 통로 분사장치와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기관내의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으로 상기 기관의 연료분사량을 보정하는 보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정수단은,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단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보정값으로의 보정으로 인해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보정값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은 상기 통로 분사장치에 대해 설정된 보정값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에 대해 설정된 보정값을 포함하는 복수의 보정값 중 하나이고,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보정수단은,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보정되지 않는 경우에 과도하게 되는 연료분사량을 보상하도록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수단은 상기 기관의 총 연료분사량과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수단은,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5. 기관내의 연료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관의 연료분사량은 상기 기관내의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으로 보정되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단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 료분사량을,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보정값으로의 보정으로 인해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보정값으로 보정하는 보정수단; 및
    기관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보정수단과 연통하는 1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6. 기관내의 연료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관의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으로 상기 기관의 연료분사량을 보정하는 보정수단; 및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고정시키고,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감소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허용가능한 하한값으로 고정되는 경우에 과도하게 되는 연료분사량을 상쇄하도록 상기 나머지 다 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가능한 하한으로 고정되는 경우의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과 상기 허용가능한 하한으로 고정되지 않은 경우의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간의 차이만큼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9. 기관내의 연료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관의 연료분사량은 상기 기관내의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으로 보정되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고정시키고,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감소시키는 제어수단; 및
    기관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수단과 연통하는 1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0. 기관내의 연료분사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가 연료를 할당하여 분사하도록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기관내의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으로 상기 기관의 연료분사량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단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보정값으로의 보정으로 인해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보정값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은 상기 통로 분사장치에 대해 설정된 보정값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에 대해 설정된 보정값을 포함하는 복수의 보정값 중 하나이고, 및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보정되지 않는 경우에 과도하게 되는 연료분사량을 보상하도록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관의 총 연료분사량과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기관내의 연료분사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관내의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으로 기관의 연료분사량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고정시키고,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감소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허용가능한 하한으로 고정되는 경우에 과도하게 되는 연료분사량을 상쇄하도록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감소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허용가능한 하한으로 고정되는 경우의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과 상기 허용가능한 하한으로 고정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간의 차이만큼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기관내의 연료분사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하고,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은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각각에 대해 설정되며,
    상기 보정값으로 상기 기관의 연료분사량을 보정하는 단계;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둘 모두가 연료를 분사하는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사정설정된 값 미만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사전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사전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변경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관의 연료분사량에 대해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고정시킴으로써 생기는 영향을 보상하도록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기관내의 연료분사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관은 흡기통로, 연소실, 상기 흡기통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실린더내 분사장치를 포함하고,
    공연비에 기초한 보정값은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 각각에 대해 설정되며,
    상기 보정값으로 상기 기관의 연료분사량을 보정하는 단계;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둘 모두가 연료를 분사하는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허용가능한 하한값 미만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허용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상기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허용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통로 분사장치 및 실린더내 분사장치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보정값을 변경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하나의 연료분사량이 상기 허용가능한 하한으로 고정되는 경우에 과도하게 되는 연료분사량을 상쇄하도록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사장치의 연료분사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94959A 2003-11-21 2004-11-19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제어장치 KR100676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92356A JP4089601B2 (ja) 2003-11-21 2003-11-21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JP-P-2003-00392356 2003-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387A KR20050049387A (ko) 2005-05-25
KR100676947B1 true KR100676947B1 (ko) 2007-01-31

Family

ID=3443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959A KR100676947B1 (ko) 2003-11-21 2004-11-19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28983B2 (ko)
EP (2) EP1835160B1 (ko)
JP (1) JP4089601B2 (ko)
KR (1) KR100676947B1 (ko)
CN (2) CN100335767C (ko)
DE (2) DE60200402867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9601B2 (ja) 2003-11-21 2008-05-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4100346B2 (ja) * 2004-01-13 2008-06-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4135642B2 (ja) * 2004-01-13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噴射制御装置
JP4134910B2 (ja) * 2004-01-16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4123161B2 (ja) * 2004-02-12 2008-07-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EP2148069A1 (en) * 2004-08-23 2010-01-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80060627A1 (en) 2004-11-18 2008-03-1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Optimized fuel management system for direct injection ethanol enhancement of gasoline engines
US7314033B2 (en) 2004-11-18 2008-01-0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Fuel management system for variable ethanol octane enhancement of gasoline engines
JP4470772B2 (ja) * 2005-03-18 2010-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状態判定装置
JP4508011B2 (ja) * 2005-06-30 2010-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453625B2 (ja) * 2005-07-25 2010-04-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7032328A (ja) * 2005-07-25 2007-02-0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349344B2 (ja) 2005-08-23 2009-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装置
US7877189B2 (en) * 2005-11-30 2011-01-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mass control for ethanol direct injection plus gasoline port fuel injection
US7395786B2 (en) * 2005-11-30 2008-07-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arm up strategy for ethanol direct injection plus gasoline port fuel injection
US7594498B2 (en) * 2005-11-30 2009-09-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on of fuel injector limits
US7406947B2 (en) 2005-11-30 2008-08-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tip-in knock compensation
US7293552B2 (en) 2005-11-30 2007-11-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urge system for ethanol direct injection plus gas port fuel injection
US8132555B2 (en) 2005-11-30 2012-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vent based eng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647916B2 (en) * 2005-11-30 2010-0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 with two port fuel injectors
US7730872B2 (en) 2005-11-30 2010-06-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 with water and/or ethanol direct injection plus gas port fuel injectors
US8434431B2 (en) 2005-11-30 2013-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for alcohol/water/gasoline injection
US7640912B2 (en) * 2005-11-30 2010-0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engine air-fuel ratio control
US7302933B2 (en) * 2005-11-30 2007-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engine with fuel vapor purging
US7412966B2 (en) * 2005-11-30 2008-08-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 output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357101B2 (en) * 2005-11-30 2008-04-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 system for multi-fluid operation
US7311084B2 (en) * 2006-01-27 2007-12-25 Angus Barry Begg Fuel injection system
US7533651B2 (en) 2006-03-17 2009-05-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knock and preigni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665428B2 (en) 2006-03-17 2010-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with mixed fuel separator and method of separating a mixed fuel
US7647899B2 (en) * 2006-03-17 2010-0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with mixed fuel separator and method of separating a mixed fuel
US8015951B2 (en) * 2006-03-17 2011-09-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with mixed fuel separator and method of separating a mixed fuel
US7578281B2 (en) * 2006-03-17 2009-08-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irst and second spark plugs for improved combustion control
US7933713B2 (en) 2006-03-17 2011-04-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of peak engine output in an engine with a knock suppression fluid
US8267074B2 (en) 2006-03-17 2012-09-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for knock suppression fluid separator in a motor vehicle
US7581528B2 (en) 2006-03-17 2009-09-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strategy for engine employng multiple injection types
US7665452B2 (en) * 2006-03-17 2010-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irst and second spark plugs for improved combustion control
US7389751B2 (en) * 2006-03-17 2008-06-24 Ford Global Technology, Llc Control for knock suppression fluid separator in a motor vehicle
US7779813B2 (en) * 2006-03-17 2010-08-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bustion control system for an engine utilizing a first fuel and a second fuel
US7740009B2 (en) * 2006-03-17 2010-06-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ark control for improved engine operation
US7681554B2 (en) * 2006-07-24 2010-03-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roach for reducing injector fouling and thermal degradation for a multi-injector engine system
US7909019B2 (en) 2006-08-11 2011-03-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 injection alcohol engine with boost and spark control
US7287509B1 (en) 2006-08-11 2007-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 injection alcohol engine with variable injection timing
JP4449967B2 (ja) * 2006-10-06 2010-04-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7461628B2 (en) 2006-12-01 2008-1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le combustion mode engine using direct alcohol injection
US7676321B2 (en) * 2007-08-10 2010-03-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 vehicle propulsion system utilizing knock suppression
US8214130B2 (en) 2007-08-10 2012-07-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 vehicle propulsion system utilizing knock suppression
US7971567B2 (en) 2007-10-12 2011-07-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ly injec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system
US8118009B2 (en) 2007-12-12 2012-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n-board fuel vapor separation for multi-fuel vehicle
US8550058B2 (en) 2007-12-21 2013-10-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rail assembly including fuel separation membrane
US8141356B2 (en) 2008-01-16 2012-03-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thanol separation using air from turbo compressor
US7845315B2 (en) 2008-05-08 2010-1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n-board water addition for fuel separation system
JP5637222B2 (ja) * 2011-01-20 2014-1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723201B2 (ja) * 2011-04-18 2015-05-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燃料噴射制御装置
JP5737262B2 (ja) * 2012-10-16 2015-06-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918702B2 (ja) * 2013-01-18 2016-05-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装置
US9726106B2 (en) * 2014-12-15 2017-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high pressure port fuel injection
WO2016193902A2 (en) 2015-05-29 2016-12-08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two fuel injectors per cylind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DE102015211688A1 (de) * 2015-06-24 2016-12-2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5213894A1 (de) * 2015-07-23 2017-01-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Einbringen von Kraftstoff in einen Brennraum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Saugrohreinspritzung und Direkteinspritzung
US10066570B2 (en) * 2016-11-28 2018-09-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fuel injection control
CN111219235A (zh) * 2018-11-23 2020-06-02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辆排气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车辆
CN113047974B (zh) * 2021-04-07 2023-01-03 天津轩云科技有限公司 一种高燃油效率低排放内燃机及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118A (ja) 1996-09-25 1998-04-21 Toyota Motor Corp 筒内噴射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0008912A (ja) 1998-06-26 2000-01-11 Unisia Jecs Corp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1020837A (ja) 1999-07-07 2001-01-23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1336439A (ja) 2000-05-24 2001-12-07 Fuji Heavy Ind Ltd 筒内燃料噴射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6928983B2 (en) 2003-11-21 2005-08-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injection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4224A (en) 1982-06-30 1984-08-07 Cip Inc. Process for manufacture of high bulk paper
JP3047594B2 (ja) 1992-02-18 2000-05-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噴射式内燃機関
US5438967A (en) * 1992-10-21 1995-08-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nternal combustion device
US5875743A (en) * 1997-07-28 1999-03-02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emissions in a dual combustion mode diesel engine
JP4214586B2 (ja) * 1998-12-11 2009-01-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ガソリン内燃機関の燃料供給方法
JP4197791B2 (ja) * 1999-03-15 2008-12-17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直噴エンジン
JP4510173B2 (ja) * 1999-04-06 2010-07-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改質装置付き内燃機関
US6463907B1 (en) * 1999-09-15 2002-10-15 Caterpillar Inc Homogeneous charge compression ignition dual fuel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on
JP2002048035A (ja) * 2000-08-02 2002-02-15 Yamaha Motor Co Ltd 過給機付筒内噴射エンジン
JP2002047973A (ja) 2000-08-03 2002-02-15 Denso Corp 直噴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6679224B2 (en) * 2001-11-06 2004-01-20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iesel engine under stoichiometric or slightly fuel-rich conditions
DE10158872B4 (de) * 2001-11-30 2006-03-16 Daimlerchrysler Ag Brennkraft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US6666185B1 (en) * 2002-05-30 2003-12-23 Caterpillar Inc Distributed igni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mbustion engine
JP3741087B2 (ja) * 2002-07-12 2006-0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筒内噴射式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4308510A (ja) * 2003-04-04 2004-11-04 Toyota Motor Corp 圧縮比変更機構の故障を検知して制御を行う内燃機関
US6866016B2 (en) * 2003-07-14 2005-03-1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05194965A (ja) * 2004-01-08 2005-07-21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EP2148069A1 (en) * 2004-08-23 2010-01-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118A (ja) 1996-09-25 1998-04-21 Toyota Motor Corp 筒内噴射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0008912A (ja) 1998-06-26 2000-01-11 Unisia Jecs Corp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1020837A (ja) 1999-07-07 2001-01-23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1336439A (ja) 2000-05-24 2001-12-07 Fuji Heavy Ind Ltd 筒内燃料噴射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6928983B2 (en) 2003-11-21 2005-08-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injection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55367A (ja) 2005-06-16
EP1533507B1 (en) 2010-08-11
EP1533507A3 (en) 2006-10-18
EP1533507A2 (en) 2005-05-25
KR20050049387A (ko) 2005-05-25
EP1835160A1 (en) 2007-09-19
EP1835160A8 (en) 2007-11-14
JP4089601B2 (ja) 2008-05-28
EP1835160B1 (en) 2010-08-11
CN101025121A (zh) 2007-08-29
CN1619127A (zh) 2005-05-25
DE602004028671D1 (de) 2010-09-23
DE602004028559D1 (de) 2010-09-23
CN101025121B (zh) 2010-05-19
US20050109320A1 (en) 2005-05-26
US6928983B2 (en) 2005-08-16
CN100335767C (zh)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947B1 (ko)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제어장치
US9222449B2 (en) Spark ignition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1997033082A1 (fr) Dispositif de commande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e type a injection de carburant dans les cylindres
JP4664395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9115025A (ja) 圧縮自己着火式内燃機関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WO2012093659A1 (en) Combus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diesel engine
JP3744328B2 (ja) 筒内燃料噴射式火花点火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KR19990014156A (ko) 성층 연소를 행하는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JP2007285195A (ja) 内燃機関の着火時期制御システム
JP5240385B2 (ja) 多気筒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7270772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5110119B2 (ja) 多気筒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4108231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3902589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644342B2 (ja) 多気筒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8115804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0168931A (ja) 火花点火式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JP5240384B2 (ja) 多気筒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6322464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62730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dle rotation spee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899772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H11218036A (ja) 筒内直噴式内燃機関
JPH03194153A (ja) ノッキング制御機能付内燃機関の燃料供給制御装置
JP4642718B2 (ja) 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
JP3633355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