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339B1 -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339B1
KR100676339B1 KR1020000014436A KR20000014436A KR100676339B1 KR 100676339 B1 KR100676339 B1 KR 100676339B1 KR 1020000014436 A KR1020000014436 A KR 1020000014436A KR 20000014436 A KR20000014436 A KR 20000014436A KR 100676339 B1 KR100676339 B1 KR 10067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roup
selection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975A (ko
Inventor
마하르트호르스트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하.체.에프.포르쉐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하.체.에프.포르쉐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하.체.에프.포르쉐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00062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2059/006Overriding autom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39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39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 F16H2059/0243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with push buttons, e.g. shift buttons arranged on steering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00/00Determining of new ratio
    • F16H2300/14Selecting a state of operation, e.g. depending on two wheel or four wheel drive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으로, 제1 자동 작동 방식을 위한 주행 단계 전환기 및 운전자로부터 영향을 받는 제2 작동 방식을 위한 전환 텀블러 스위치를 갖는 자동 변속기가 작동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달성된다. 필요시 운전자에 의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택 장치를 갖는 자동 변속기의 장치 및 방법을 달성하기 위해 조향 핸들에 배치된 제2 선택 장치(텀블러 스위치 또는 다른 신호 수단)를 작동 했을 때, (주행 단계 전환기의) 제1 선택 장치를 통한 선택없이 제1 선택 장치의 위치(D)에서 선택된 자동 작동 방식으로부터 운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작동 방식으로 전환되는 제어가 제안된다.
텀블러 스위치, 주행 단계 전환기, 판별 장치, 변속비 결정 장치.

Description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및 장치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선도.
도2는 제어 장치의 전환 장치의 선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수 상황에서 또는 자동 변속기에서, 차량 운전자가 선택된 변속비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자동 작동 방식에 부가적으로 수동 작동 방식이 제공되고, 운전자는 자동 변속단의 각각의 변속단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기술이 DE-Z "자동차 기술지" 1990/6호, 308쪽 내지 319쪽에 공지되어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변속단의 자동 작동을 위한 시프팅 채널에 대해 평행으로 변속단의 수동 작동을 위한 제2의 시프팅 채널이 제공되어, 운전자가 전환 레버를 텀블러 스위치 유형의 조작을 통해 변속비가 높은 단계로의 전환 또는 변속비가 낮은 단계로 변속단을 전환시킬 수 있다. 무단 변속기를 위한 이와 유사한 장치가 CH-Z "차량 평론지" 1992/51호, 23쪽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외력 작동식 변속기의 변속단 전환이 차량의 조향 핸들의 선택 장치를 통해 가능한 기술도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DE-Z "차량 엔진 스포츠" 1991/22호, 300쪽).
독일 특허 제43 11 886호에는, 주행단 전환기가 위치(M)로 조작되거나 또는 조향 핸들에 제공된 텀블러 스위치를 통해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0.7초의 전환 신호가 주어지면, 자동 작동 방식에서 수동 작동 방식으로 전환되도록 제어되는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주행단 전환기가 위치(M)로 다시 조작되거나 또는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1.5초 동안에 변속비가 높은 변속 단계로의 전환 신호가 주어지면 수동 작동 방식은 종료된다. 이런 작동 방식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여 활성이면, 운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작동 방식이 종료될 수 있다. 그러나, 자동 작동 방식으로부터 수동 작동 방식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항상 절환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독일 특허 제197 36 406호에는 변속단 선택 장치가 작동되면 자동 작동 방식이 종료될 수 있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가 공지되어 있다. 수동 작동 방식에서 자동 작동 방식으로의 복귀에 대해 다양한 조건들이 시험된다. 특히, 소정 시간 동안 절환 명령이 더 이상 주어지지 않으면 자동 작동 방식으로 복귀된다. 대안적으로, 수동 작동 방식에서 시간 주기가 절환 주파수에 따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선택 장치를 통해 짧은 시간 동안 자동 변속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조향 핸들에 배치된 제2 선택 장치(텀블러 스위치 또는 다른 신호 수단)가 작동되면, 제어부는 (주행단 전환기의) 제1 선택 장치를 통한 선택없이 제1 선택 장치의 위치(D)에서 통상 선택된 자동 작동 방식으로부터 필요시 운전자로부터 영향을 받는 작동 방식으로 전환한다. 이때, 이러한 전환이 자동 작동 방식의 영구적인 종료를 요구하지 않는 특별한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커브 이전에 또는 어느 마을로 진입할 때, 변속비가 낮은 단계로 변속하기 위해 특히 적합하다. 운전자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는 짧은 시간에 이어 변속단의 선택으로 자동 작동 방식은 다시 활성화된다. 지속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고정적으로 설정되고, 조향 핸들에 배치된 선택 장치를 각각 작동함으로써 다시 개시된다. 또한 주행 속도, 회전수 또는 변속단 같은 차량의 작동 변수에 따라 지속 시간이 선택되는 것도 가능하다. 주행 방식을 평가하는 변수가 작동 변수를 대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선택된 변속기 구성 방식과는 관계없이, 특히 단계 변속기 및 무단 변속기에도 사용 가능하다. 이는 또한 선택 장치 구성 및 공간적인 구조와는 관계없다.
본 발명의 유익한 다른 구성은 종속 청구항에서 설명된다.
판별 장치는 양 선택 장치의 신호를 평가함으로써, 변속기의 변속비 선택을 위한 두 개의 변속비 결정 장치 중 하나를 결정한다. 각각의 변속비 결정 장치에는 하나의 작동 방식이 할당된다. 두 개의 신호 평가 장치 및 전환 장치가 유익하게 또한 제공된다. 신호 평가 장치가 각각의 선택 장치에 배치되어 전송되는 신호를 평가하고, 변속비 선택 장치, 즉 신호 평가 장치의 신호에 따른 작동 방식의 선택을 전환 장치에 전송한다.
제2 선택 장치를 위한 신호 평가 장치와 전환 장치 사이에는 종료 지연 형태의 시간 함수 요소가 제공된다. 이런 시간 함수 요소는 제2 선택 장치의 신호를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시간 함수 요소가 킥-다운(kick down) 전환기의 신호를 통해 지연되면 유익하다. 킥 다운 작동을 통해 제1 자동 작동 방식이 다시 활성화될 수 있고, 이로써 운전자가 예를 들어 추월시에 필요한 변속비 변경의 개시가 유도되지 않는 위험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선택적, 또는 부가적으로 시간 함수 요소는 횡 방향 가속-한계값 전송기의 신호 및 트랙션-코스팅-검출기의 신호를 갖는다. 시간 함수 요소가 횡 방향 가속의 미리 조정된 값보다 작고, 동시에 견인 작동 상태이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만 복귀된다. 차량이 가속 페달의 작동 없이 정지되거나 또는 서행될 때 트랙션 작동이 아니라는 것이 인식된다. 이런 조치를 통해 예를 들어, 고속으로 커브를 주행할 때 수동 작동 방식에서 자동 작동 방식으로 변경되지 않고, 코스팅 작동에서 수동으로 선택된 변속비는 유지된다. 이는 산악 등판 운행시, 어느 마을로 진입할 때, 또는 적신호에서 제1 변속 단계에 일치하는 변속비를 선택할 때 특히 유익하다.
제2 선택 장치의 조작을 통해 작동 방식을 변경한 후에 제2 선택 장치의 작동은 변속비 변경을 위한 명령으로써 해석되지 않는다. 변속비 변경은 제2 선택 장치의 후속 작동에 의해서만 달성된다. 작동 방식의 변경 후에 변속비 변경을 위한 명령이 즉시 실행되는 것이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된다.
도1에 도시된 제어 장치(1)는 자동 변속기(2)를 제어하고, 주행단 전환기(3), 조향 핸들에 배치된 텀블러 스위치(4), 스로틀 밸브 센서(5), 엔진 회전수 센서(6), 차량 속도 센서(7)로부터 신호를 받는다. 자동 변속기(2)는 제어 장치(1)로부터 변속 신호(g)를 전송받고, 변속 신호(g)에 의해 요구된 변속단을 실행한다. 주행단 전환기(3)는 위치 및 주행단(P, R, N, D, 3, 2, 1)을 갖는 제1 작동 방식, 즉, 자동 작동 방식을 조작하기 위한 제1 시프팅 채널을 갖는다. 변속기는 위치(P)에서 차량의 주차를 위해 최종 위치에서 블록킹된다. 위치(R)에서 후진단이 실행된다. 위치(N)에서는 어떤 변속단도 실행되지 않는다. 위치(D)에서 실행되는 변속단(g)이 차량의 작동 변수로부터 결정된다. 위치(3, 2, 1)는 위치(D)에 상응하나, 변속비가 가장 높은 변속단(g)은 주행단 전환기(3)의 위치를 통해 결정된다. 위치(3, 2, 1)는 선택적이다.
제1 시프팅 채널로부터 주행단 위치(D)에 대향되어 놓인 슬릿(M)이 제공된다. 주행단 전환기(3)의 조작 요소로써 제공된 선택 레버는 모든 위치 내로 맞물린다. 텀블러 스위치(4)는 운전자의 조작 범위 내에 놓이고, 중립적인 중앙 위치 측면에 두 개의 전환 위치(HS, RS)가 제공되어 텀블러 스위치가 작동된 후 다시 자동적으로 중립 중심 위치로 복귀되도록 배열된다. 양 전환 위치는 상응되는 변속비가 높은 변속단으로의 전환 신호(HS) 또는 변속비가 낮은단으로의 전환 신호(RS)를 발생시킨다. 스로틀 밸브 센서(5)는 제어 장치(1)에 스로틀 밸브 신호(a)를, 엔진 회전수 센서(6)에 엔진 회전수 신호(n)를, 주행 속도 센서(7)에, 주행 속도 신호(v)를 전송한다.
제어 장치(1)는 제1 자동 작동 방식을 위한 제1 변속비 결정 장치(8), 운전자로부터 영향을 받는 작동 방식을 위한 제2 변속비 결정 장치(9) 및 판별 장치(10)를 갖는다. 제1 변속비 결정 장치(8)는 주행단 전환기(3)의 신호를 전송받고, 이로부터 스로틀 밸브 신호(a), 엔진 회전수 신호(n), 속도 신호(v)등의 작동 변수에 따라, 작동 변수를 변속단 신호(g)의 형태로 변속기(2)로 전송하는 변속단을 결정한다. 제2 변속비 결정 장치(9)는 텀블러 스위치(4)의 전환 신호(HS/RS)를 전송받아 그로부터 변속단 신호(g)를 발생시키고, 작동 변수는 오버 스피드(over speed) 방지, 스톨(stall) 방지 등과 같은 안전 조치 및 개연성 검사를 위해 스로틀 밸브 신호(a), 엔진 회전수 신호(n) 주행 속도 신호(v)를 처리한다. 변속단 신호(g)는 전환 신호(HS/RS)가 감소되는 임펄스의 플랭크를 가질 때, 즉 텀블러 스위치(4)의 해제시에 주어진다.
판별 장치(10)는 주행단 전환기(3)의 신호 및 텀블러 스위치(4)의 신호를 평가하고, 제1 변속비 결정 장치(8) 또는 제2 변속비 결정 장치(9)가 이에 따라 작동되는지를 결정한다.
도2에서 판별 장치(10)의 구조가 도시된다. 제1 신호 평가 장치(11)는 주행단 전환기(3)와 연결되고, 제2 신호 평가 장치(12)는 텀블러 스위치(4)와 연결된다. 신호 평가 장치(11, 12)의 출력 신호는 제1 변속비 결정 장치(8)이거나 또는 제2 변속비 결정 장치(9)인 전환 장치(13)로 전송되나, 동시에 작동되지는 않는다. 전환 장치(13)에는 입력부(AUT) 및 입력부(MAN)가 제공된다. 입력부(AUT)의 신호는 제1 변속비 결정 장치(8)를 작동시키는 전환 장치를 기동시키고, 이로써 자동 작동 방식은 선택된다. 입력부(MAN)의 신호는 제2 변속비 결정 장치(9)를 작동시키고 (텀블러 스위치(4)에 의해) 운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작동 방식을 선택한다. 상기 두 입력부(MAN, AUT)는 복수의 신호를 수용하고 경우에 따라서 이들을 서로 결합한다.
제1 신호 평가 장치(11)는 주행단 전환기(3)의 신호 평가로부터 주행단 전환기가 위치(M)에 있는지를 인식한다. 만일 그렇다면, 제1 신호 평가 장치는 전환 장치(13)의 입력부(MAN)로 신호를 전송하여 운전자로부터 영향을 받는 작동 방식을 선택한다. 제1 신호 평가 장치(11)가, 주행단 전환기(3)가 위치(M)에 더 이상 위치되지 않는 것을 인식하면, 신호 평가 장치는 신호를 전환 장치(13)의 입력부(AUT)로 전송하고, 이로써 자동 작동 방식이 선택된다. 전환 장치(13)를 통하여 주행단 전환기(3)가 위치(D)에 있는 동안에, 제1 변속비 결정 장치(8)는 작동되고, 주행 단계 전환기(3)가 위치(M)에 있는 동안에 제2 변속비 결정 장치(9)는 작동된다.
제2 신호 평가 장치(12)는 텀블러 스위치가 변속비가 높은 변속단으로의 전환 신호(HS) 또는 변속비가 낮은 변속단으로의 전환 신호(RS)를 갖는지를 시험하는 텀블러 스위치(4)의 신호를 평가한다. 만일 그렇다면, AND 게이트(14)에 신호가 주어진다. AND 게이트(14)의 다른 입력부는 주행단 전환기(3)가 위치(D)에 있을 때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신호 평가 장치(11)와 연결된다.
AND 게이트(14)의 출력부는 프로그램 가능한 지속 시간(t)에 의해 종료 지연을 유지하는 지연부(15)에 연결된다. 지연부(15)의 출력부는 전환 장치(13)의 입력부(MAN)와 연결된다. 지연부(15)는 킥-다운-전환기(16)의 신호(kd)를 또한 포함한다. 지연부(15)에 이런 신호(kd)가 있으면, 지연부(15)는 즉시 복귀되고 신호를 더 이상 전송하지 않는다.
지연부(15)는 내부 AND 게이트를 통해 연결된 두 개의 추가의 입력부를 통해 횡 방향 가속 한계값 센서(17)의 신호(aqg) 및 트랙션-코스팅-검출기(18)의 신호(zs)를 또한 포함한다. 횡 방향 가속 한계값 센서(17)는 횡 가속 값이 미리 조정된 값(aqmax)을 초과하면 신호(aqg)를 전송한다. 트랙션-코스팅-검출기(18)는 차량이 오버런 작동 상태이면 신호(zs)를 전송한다. 양 신호(aqg, zs)가 지연부(15)에 동시에 있으면, 지연부(15) 신호는 프로그램된 지속 시간(t)의 경과 후에도 계속된다.
전술된 전환 신호(HS/RS), 주행단 전환기(3) 신호(D) 및 전환 장치(13) 내의 신호(kd, aqg, zs)의 처리가 AND 게이트(14) 및 지연부(15) 대신에 같은 효과로 행해진다.
전술된 장치는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먼저, 차량은 자동 작동 방식으로 작동되고, 즉, 실행되는 변속단은 차량의 작동 변수로부터 자동적으로 결정되고 조정된다. 운전자가 운전자로부터 영향을 받는 제2 단계로 교체를 원하면, 운전자는 주행단 전환기(3)를 위치(D)에서 위치(M)로 이동시킨다.
운전자는 조향 핸들의 텀블러 스위치(4)를 조작함으로써, 운전자가 변속비가 높은 변속단 또는 변속비가 낮은 변속단으로 작동하기 위한 전환을 개시할 수 있다. 차량이 이전에 실행된 변속단을 위한 제어를 위해 인식 가능한 작동 한계(오버 스피드, 스톨)를 달성하면, 하나의 변속 단계는 운전자의 전환 명령 없이 차량을 허용된 작동 한계로 다시 작동시키기 위해 개시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운전자가 주행단 전환기(3)의 위치(D)에서 텀블러 스위치(4)를 통해 변속비가 높은 변속 단계로의 전환 또는 변속비가 낮은 단계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운전자로부터 영향을 받는 제2 작동 방식으로 짧은 시간에 달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텀블러 스위치(4)의 신호가 제2 변속비 결정 장치(9)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전환 신호(HS/RS)의 임펄스의 음의 플랭크에 의한 변속단 신호(g)의 개시), 제2 작동 방식으로의 전환에 추가로 요구된 변속단이 달성된다.
횡 방향 가속값이 소정의 한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차량이 코스팅 상태가 아니고, 전환 신호(HS/RS)에 따라 프로그램된 지속 시간(t)이 경과되면 제1 자동 작동 방식은 자동으로 다시 선택된다. 운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제2 작동 방식의 이런 짧은 호출 중에 킥-다운-전환기(16)의 신호(kd)가 주어지면, 즉시 다시 제1 자동 작동 방식이 선택된다.
제2 변속비 결정 장치(9)는, 제2 작동 방식으로 전환시키는 텀블러 스위치(4)로부터의 신호를 수용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텀블러 스위치(4)에 대해 새롭게 요구된 후에야 변속단 변경이 달성된다.
이에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겨울철 도로 상태에서 "빠져 나오기"를 위해, 운전자가 주행단 전환기(3)의 위치(R)에서 텀블러 스위치(4)의 작동을 통해 변속 단계의 선택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운전자는 제1 변속단 및 후진단으로 제한하여, 운전자가 변속비가 높은 변속단으로의 전환 조작을 통해 제1 변속 단계로, 그리고 변속비가 낮은 변속단으로의 전환 조작을 통해 후진을 실행시키고, 이로써 이 양 변속단을 신속히 전환시킬 수 있다.
제어 장치(1)는 마이크로 컴퓨터 형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런 마이크로 컴퓨터는 이하 설명되는 방법에 따라 제어된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된다. 제어 장치(1)는 먼저, 도시되지 않은 단계의 그룹으로 제1 자동 작동 방식에서 변속기(2)를 제어하고, 변속기는 작동 변수에 따라 스로틀 밸브 신호(a), 엔진 회전수 신호(n), 주행 속도 신호(v)를 저장된 특성 영역을 통해 실행 변속 단계를 결정하고, 변속단을 위한 요구를 변속기(2)에 전송한다. 이런 방법의 일 부분에서 텀블러 스위치(4)의 신호가 질문된다. 도3에 도시된 과정(20)은 이런 질문의 구성부이다. 과정(20)에서는 텀블러 스위치(4)에 의해 변속비가 높은 변속 단계로의 전환 또는 변속비가 낮은 변속 단계로의 전환 신호(HS/RS)가 질문되는지가 검토된다. 그렇지 않다면, 제어 장치(1)는 주행 단계(D)로 표시되는 자동 작동 방식에 유지된다. 변속비가 높은 변속단으로의 전환 또는 변속비가 낮은 변속단으로의 전환 신호(RS/RS)가 그와 반대이면, 수동의 짧은 시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프로그램(21)으로 분기된다.
프로그램(21)은 제1 과정(22)에서 변속비가 높은단으로의 전환 또는 변속비가 낮은단으로의 전환 신호(HS/RS)를 통해 요구된 변속단 실행으로 시작된다. 프로그램(21)이 즉각적인 변속단의 실행 없이 제1의 변속비가 높은 변속단으로의 전환 또는 변속비가 낮은 변속단으로의 전환 신호(HS/RS)를 통해 먼저 호출되야만 하면, 방법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1 과정(22)은 제공되지 않는다.
다음 과정(23)에서 시간 카운터는 0으로 리셋된다.
과정(24)에서 킥-다운 신호(kd)가 질문된다. 이런 신호가 주어지면, 상향 루트(25)로 분기된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과정(26)으로 계속되고, 카운터(t)가 (지속 시간 8초에 상응되는) 자체의 최대값을 달성하는지가 검토된다. 최대값이 달성되거나 또는 초과되면 상향 루트(25)는 분기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과정(27)으로 계속되어 시간 카운터(t)는 증가된 시간(dt)만큼 상승된다.
계속되는 과정(28)에서 변속비가 높은 단계로의 전환 또는 변속비가 낮은 단계로의 전환 신호(HS/RS)가 주어졌는지가 다시 검토된다. 만일 그렇다면, 프로그램의 흐름은 과정(22)으로 계속되고, 그렇지 않다면, 과정(24)으로 직접 분기된다.
상향 루트(25)는 세 개의 시험 과정(29 내지 31)으로 구성된다. 제1 시험 과정(29)에서는 차량의 횡 가속을 위한 신호(aqg)가 미리 조정된 최대값(aqgMAX)보다 작은지가 검토된다. 다음 단계에서는 신호(ZS)가 차량의 트랙션 작동을 나타내는지가 시험된다.
과정(31)에서 차량의 주행 속도(v)가 최소값인 5 km/h보다 큰 지가 시험된다. 과정(29 내지 31) 중의 한 과정에서 시험된 조건이 충족되지 못하면, 프로그램의 흐름은 과정(27)으로 계속된다. 그 반대로, 세 개의 모든 조건이 충족되면, 프로그램(21)은 종료된다.
차량이 정지되었거나 또는 (5km 이하) 속도로 주행하면, 트랙션-코스팅-검출(18)의 신호(zs)에 대해 앞선 실시예에서는 신호(zs)를 "코스팅"으로 수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신호(zs)는 평상의 주행 작동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스로틀 밸브(DK)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선택적인 방법을 결정한다.
이로써 과정(30, 31)에서는, 차량이 정지되었을 때 또는 주행중이나 가속 페달이 작동되지 않을 때는 프로그램(21)이 완료되지 않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로써, 예를들어, 텀블러 스위치(4)의 작동을 통해 출발 변속단으로써 제1 변속단이 선택될 수 있고, 자동 작동 방식의 주행단(D)에서는 통상 제2 변속단이 출발 변속 단으로써 사용된다.
프로그램(21)이 활성화인 동안에는 자동 변속단이 실행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로그램(21)이 실행되면, 주행단(D)에 제공될 수 있는 다른 특수 기능은 종료된다. 그러나, 이런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변속단 과정은 종료되지 않는다. 이로써, 프로그램(21)은 오버 스피드 방지나 스톨 방지같은 안전 조치의 수단을 갖는 다른 모든 전환 프로그램에 대해 우선적이다.
무단 변속기에서 미리 조정된 변속비에 상응되는 변속 단계 대신에, 운전자가 제2 작동 방식에서 텀블러 스위치(4)를 통해 변속기의 변속비의 상승 또는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무단 변속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변속기 선택 장치의 위치(D)에서 선택 장치의 조작없이 조향 핸들에 배치된 텀블러 스위치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영향을 받는 작동 방식으로 전환되는 자동 변속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6)

  1. 운전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제1 선택 장치(3) 및 운전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제2 선택 장치(4)를 갖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2)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는 선택 장치(3, 4)에 따라 두 개의 작동 방식으로 작동 가능하며,
    제1 선택 장치(3)에 의해 선택 가능한 제1 자동 작동 방식에서 제어 장치는 센서를 통해 결정된 작동 변수에 따라 변속기의 변속비를 자동으로 설정하며,
    운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제2 작동 방식에서 제어 장치는 제2 선택 장치(4)의 신호에 따라 변속기의 변속비를 설정하며,
    제2 작동 방식은 한편으로는 시간적으로 비제한적으로 제1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 가능하며, 다른 한편으로 제어 장치는 제1 선택 장치를 통한 선택없이 제1 작동 방식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제2 선택 장치의 작동을 통해 제2 작동 방식으로 전환 가능한 차량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횡 방향 가속-한계값 센서(17)의 신호(aqg)가 소정값 이하인 조건과,
    트랙션-코스팅-검출기(18)의 신호(zs)가 트랙션 작동을 나타내는 조건들 중 적어도 상기 조건들이 동시에 만족되는 경우에만 제1 작동 방식으로의 역절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1)가 상기 선택 장치(3, 4)의 신호를 평가하고, 제1 자동 작동 방식을 위한 제1 변속비 결정 장치(8) 또는 운전자로부터 영향을 받는 제2 작동 방식을 위한 변속비 결정 장치(9)를 활성화시키는 판별 장치(1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판별 장치(10)는 제1 및 제2 신호 평가 장치(11, 12) 및 전환 장치(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판별 장치(10)는 제2 신호 평가 장치(12)와 전환 장치(13) 사이에 제공된 시간 함수 요소(14)를 갖고, 제2 신호 평가 장치(12)의 출력 신호를 통해 소정의 지속 시간 신호를 전환 장치(13)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시간 함수 요소(14)는 킥-다운-전환기(16)의 신호(kd)를 포함하고 이런 신호를 통해 시간 함수 요소가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제어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시간 함수 요소(15)는 횡 방향 가속-한계값 센서(17)의 신호(aqg) 및 트랙션-코스팅-검출기(18)의 신호(zs)를 포함하고, 횡 방향가속-한계값 센서(17)의 신호(aqg)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고 동시에 트랙션-코스팅-검출기(18)의 신호(zs)가 코스팅 작동을 나타내면, 시간 함수 요소의 출력 신호는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제어 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2 신호 평가 장치(12)는 제2 선택 장치(4)의 조작을 통해 전환 장치(13)가 제2 변속비 결정 장치(9)를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제2 변속비 결정 장치(9)는 제2 선택 장치(4)의 신호를 변속비(g) 선택을 위해 고려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제어 장치.
  8. 변속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 운전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선택 가능한 두 개의 선택 장치(3, 4) 및 차량의 작동 변수를 위한 센서(5, 6, 7)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2)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제1 선택 장치(3)에 따라 제1 자동 작동 방식을 실행하기 위한 과정의 제1 그룹과, 제2 선택 장치(4)에 따라 운전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제2 작동 방식을 실행하기 위한 과정의 제2 그룹(21)을 포함하며,
    (b) 제1 선택 장치에 따라 과정의 제1 그룹으로부터 제2 그룹(21)으로의 시간적으로 비제한된 변경이 행해지며,
    (c) 제2 선택 장치(4)가 신호(HS/RS)를 전송하는지의 여부가 질문될 때, 과정의 제1 그룹으로부터 과정의 제2 그룹(21)으로의 일시적인 변경이 행해지는 방법에 있어서,
    횡 방향 가속-한계값 센서(17)의 신호(aqg)가 소정의 한계값(aqmax) 이하이고, 동시에 트랙션-코스팅-검출기(18)의 신호(zs)가 트랙션 작동을 나타내는 경우에, 과정의 제2 그룹(21)으로부터 과정의 제1 그룹으로의 변경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과정의 제2 그룹(21)에서 소정의 유지 시간이 경과되면 제2 그룹으로부터 제1 그룹으로의 변경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제2 그룹(21)으로부터 제1 그룹으로의 변경이 킥-다운-전환기(16) 신호(kd)가 주어질 때는 반드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차량 속도를 위한 신호(v)가 소정의 한계값(vmin)을 초과하는 동안에만 제2 그룹으로부터 제1 그룹으로의 변경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과정의 제2 그룹(21)으로 변경시키는 제2 선택 장치(4)의 신호(HS/RS)가 과정의 제2 그룹(21) 내에 저장되고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과정의 제2 그룹(21)으로 변경시키는 제2 선택 장치(4)의 신호(HS/RS)가 과정의 제2 그룹(21) 내에서 저장되지 않고 실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제1 선택 장치(3)가 제3 위치(R)에 위치되면, 과정(21)의 제2 그룹(21) 내에서는 제2 선택 장치(4)의 신호(HS/RS)를 통해서 제1 변속단 또는 후진 변속단이 입력되는 것만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16. 삭제
KR1020000014436A 1999-03-23 2000-03-22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676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12963.0 1999-03-23
DE19912963A DE19912963B4 (de) 1999-03-23 1999-03-23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selbsttätig schaltenden Getrieb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975A KR20000062975A (ko) 2000-10-25
KR100676339B1 true KR100676339B1 (ko) 2007-02-01

Family

ID=790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436A KR100676339B1 (ko) 1999-03-23 2000-03-22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63805B1 (ko)
EP (1) EP1039178B1 (ko)
JP (1) JP3745931B2 (ko)
KR (1) KR100676339B1 (ko)
AT (1) ATE301257T1 (ko)
DE (2) DE19912963B4 (ko)
ES (1) ES224315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2880C2 (de) 2000-10-20 2002-11-28 Porsche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selbsttätig schaltenden Getriebes
DE10209840B4 (de) * 2001-03-15 2014-02-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utomatisiertes Schaltgetriebe mit Bedienungsschnittstelle
DE10125698A1 (de) * 2001-05-25 2002-11-28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erfahren zum Steuern eines Automatgetriebes eines Kraftfahrzeuges
ITTO20011002A1 (it) * 2001-10-19 2003-04-19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Metodo di controllo di una trasmissione automatizzata di un veicolo amotore.
DE10157393B4 (de) 2001-11-23 2013-05-16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Schaltungen eines automatischen Getriebes eines Kraftfahrzeuges
DE10163401A1 (de) 2001-12-21 2003-07-03 Zf Sachs Ag Kraftfahrzeug mit einem Mehrfachkupplungs-Mehrganggetriebe
US20030150366A1 (en) * 2002-02-13 2003-08-14 Kaufmann Timothy W. Watercraft steer-by-wire system
DE10260480A1 (de) * 2002-12-21 2004-07-01 Deere & Company, Moline Antriebssystem einer selbstfahrenden Arbeitsmaschine
JP4661166B2 (ja) * 2004-10-27 2011-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減速度制御装置
DE102004042207B4 (de) * 2004-09-01 2015-03-05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fahrsteuerung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4051639A1 (de) 2004-10-23 2006-04-2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automatisch schaltenden Getriebes
JP4188359B2 (ja) 2005-10-31 2008-1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283264B2 (ja) 2005-10-31 2009-06-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188360B2 (ja) 2005-10-31 2008-1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740719B2 (ja) * 2005-11-08 2011-08-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486602B2 (ja) * 2006-03-01 2010-06-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5186742B2 (ja) * 2006-08-25 2013-04-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モード切り替え制御装置
JP4881106B2 (ja) * 2006-08-28 2012-02-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モード切り替え制御装置
JP4475281B2 (ja) 2007-02-14 2010-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432984B2 (ja) 2007-03-06 2010-03-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DE102007023267B4 (de) * 2007-05-18 2017-05-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automatisch schaltenden Getriebes
DE102007035297A1 (de) * 2007-07-27 2009-01-29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utomatgetriebes eines Kraftfahrzeuges
JP5087111B2 (ja) 2010-06-28 2012-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4074424A (ja) * 2012-10-03 2014-04-24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US9115803B2 (en) * 2013-08-28 2015-08-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transmission
WO2019067431A1 (en) * 2017-09-26 2019-04-04 Team Industries, Inc. MULTI-MODE CONTINUOUS VARIATION TRANSMISSION CONTROLLER
KR102063389B1 (ko) 2018-03-16 2020-02-11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캐릭터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US11592100B2 (en) * 2019-07-01 2023-02-28 Team Industries, Inc. Uniform clamp actuated shift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system
JP2021162108A (ja) * 2020-04-01 2021-10-1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システム
JP2023122865A (ja) * 2022-02-24 2023-09-05 株式会社Subaru 変速モード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1652A1 (de) * 1983-11-18 1985-06-05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kupplungs-getriebe-einheit
DE3626100C2 (de) * 1985-08-10 1995-12-1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Steuereinrichtung zum selbsttätigen Schalten von Stufenwechselgetrieben
DE4005588C2 (de) * 1990-02-22 1995-03-23 Porsche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automatisches Getriebe
DE4101672A1 (de) * 1991-01-22 1992-07-23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Schalt- und fahrbereichswaehleinrichtung fuer ein halb- oder vollautomatisch schaltbares zahnraederwechsel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DE4311886C2 (de) * 1993-04-10 2001-12-20 Porsche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selbsttätig schaltenden Getriebes
DE19533305A1 (de) * 1995-09-08 1997-03-1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lektronisch gesteuertes Automatikgetriebe in Kraftfahrzeugen
JPH09254676A (ja) * 1996-03-19 1997-09-30 Tokai Rika Co Ltd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JP3600382B2 (ja) * 1996-09-19 2004-12-15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411165B2 (ja) * 1996-11-07 2003-05-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DE19736406B4 (de) * 1997-08-21 2007-05-16 Siemens Ag 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automatischen Getriebes für ein Kraftfahrzeug
DE29923165U1 (de) * 1999-03-23 2000-05-11 Porsche Ag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selbsttätig schaltenden Getrieb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9178A2 (de) 2000-09-27
EP1039178B1 (de) 2005-08-03
US6363805B1 (en) 2002-04-02
DE50010858D1 (de) 2005-09-08
DE19912963A1 (de) 2000-09-28
JP3745931B2 (ja) 2006-02-15
JP2000283281A (ja) 2000-10-13
DE19912963B4 (de) 2005-05-19
ATE301257T1 (de) 2005-08-15
EP1039178A3 (de) 2003-03-12
KR20000062975A (ko) 2000-10-25
ES2243151T3 (es)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339B1 (ko)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930000572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KR0151513B1 (ko) 자동차 기어변환 변속기의 자동전환장치를 제어하는 배치와 방법
US5738607A (en)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0895945B1 (ko) 자동으로 절환되는 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910004374B1 (ko) 자동변속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제어장치
WO1999015814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JP2007500824A (ja) 自動車における自動変速機の運転方法
JP4575448B2 (ja) 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制御方法
CN103620193A (zh) 车辆的驱动控制装置
US60900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shift on an automatic transmission
JP4301962B2 (ja) 無段階調整可能な複数の変速比領域を有する出力分岐型伝動装置と駆動モータとを有する車両ドライブトレーンの作動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2004909A (ja) アイドルストップ制御装置
JP2000002325A (ja) 手動変速可能な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618981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S61153044A (ja) 自動変速機
KR100828910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장치 및 방법
CN107061725A (zh) 液力自动变速器控制方法和档位切换控制方法及系统
KR0142543B1 (ko) 퍼지 이론을 이용한 자동 변속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11351374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1137283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003025869A (ja) 追従走行制御装置付き車両の自動エンジンブレーキ制御装置
JPH01279149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H0572304B2 (ko)
JPH01193436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減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