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64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649B1
KR100659649B1 KR1020050015613A KR20050015613A KR100659649B1 KR 100659649 B1 KR100659649 B1 KR 100659649B1 KR 1020050015613 A KR1020050015613 A KR 1020050015613A KR 20050015613 A KR20050015613 A KR 20050015613A KR 100659649 B1 KR100659649 B1 KR 100659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tube
cooler
heater
heat dissipat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186A (ko
Inventor
마사까즈 가노오
요시떼루 기꾸찌
아끼히사 히로따
겐이찌 아라까와
Original Assignee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가연성 냉매를 사용한 냉장고의 서리 제거 운전시에도 안전성과 효율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도 우수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리관 내에 코일 형상으로 권취된 히터선을 갖는 서리 제거 히터(11)를 냉각기(10)의 하방에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유리관의 외주에 방열 부재(16)를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또한, 이 방열 부재(16)는 히터선의 코일부와 대향하는 유리관의 외주에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동 사이클의 냉장고에 부착된 서리를 제거하는 서리 제거 히터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서리 제거 히터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본 예에서는 냉각기의 하방에, 니크롬선을 코일 형상으로 한 것을 유리관으로 덮은 서리 제거용 관 히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냉각기와 서리 제거용 관 히터의 사이에는 지붕을 설치하여, 냉각기로부터 적하하는 서리 제거수가 서리 제거용 관 히터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서리 제거용 관 히터와 그 하부의 홈통 사이에는 홈통을 보호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절연 보유 지지된 바닥판이 설치되어 있고, 서리 제거용 히터가 깨진 경우에 히터선이 홈통까지 현수되어 홈통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서리 제거수를 통한 누전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서리 제거 히터 온도를 냉매의 이소부탄 발화 온도 이하로 하기 위해, 절연재로 충전 밀봉된 시스관 내에 히터선을 설치하고, 시스관의 외주에 전열 촉진용 핀을 구비한 서리 제거 히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5417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83635호 공보
이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과제에 대해 서술한다.
도11은 종래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에 있어서, 부호 51은 냉장고 본체이며, 이 냉장고 본체(51)는 내부에 냉동실(52)과 냉장실(53)을 갖고 이들 사이를 구획하는 중간 구획벽(56)이 구비되어 있다. 냉동실(52)의 전방면 개구부에는 이 개구부를 폐색하는 냉동실 도어(54)가 구비되고, 냉장실(53)의 전방면 개구부에는 이 개구부를 폐색하는 냉장실 도어(55)가 구비되어 있다.
중간 구획벽(56)에는 냉동실(52) 내의 식품과 열 교환한 냉기를 후술하는 냉각기로 복귀시키는 통로(57)와, 냉장실(53) 내의 식품과 열 교환한 냉기를 냉각기로 복귀시키는 통로(58)가 설치되어 있다. 통로(57)와 통로(58)를 거쳐서 냉동실(52) 및 냉장실(53)과 연통하는 냉각기실(59)이 냉동실(52)의 배면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냉각기실(59) 내에는 냉각기(60), 서리 제거 히터(61), 냉기 순환 팬(62)이 구비된다. 냉각기실(59)과 냉동실의 사이에는, 이들 실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 간막이(63)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획 간막이(63)에는 냉기 취출구(6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구성에 의해, 냉각기(60)와 열 교환하여 냉각된 냉기는 냉기 순환 팬(62)에 의해 냉기 취출구(64)로부터 냉동실(52)로 취출된다.
서리 제거 히터(61)와 냉각기(60)의 사이에는 알루미늄제 지붕(65)이 설치되고, 이 지붕(65)은 냉각기(60)에 부착된 서리를 서리 제거 히터의 열로 융해하였을 때에, 냉각기(60)로부터 적하하는 서리 제거수가 직접 서리 제거 히터에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통상, 서리 제거 히터의 유리관(61a)은 서리 제거 히터선(61b) 발열시 표면 온도가 500 ℃ 부근의 온도가 된다. 이 유리관에 물방울이 직접 적하하면 수증기 폭발 상태를 이루어, 큰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수증기 폭발 상태에 가까운 상태이면, 발생되는 소리는 냉장고의 외부에까지 들려 버릴 정도의 소리가 되어,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부여해 버리게 되어 버린다. 이를 방지하는 것이 지붕(65)의 역할이다.
서리 제거 히터(61)의 하부에는 알루미늄제 보호판(66)이 설치되어 있고, 이 보호판(66)은 유리관(61a)이 충격 등에 의해 깨졌을 때에 홈통(67)을 보호하는 것이다. 도12는 유리관(61a)이 충격 등에 의해 깨진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히터선(61b)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로 현수되어, 상기 히터선(61b)이 냉각기(60)로부터 적하되는 서리 제거수를 받아 고 밖으로 배수하는 것을 돕는 수지제의 홈통(67)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알루미늄제 보호판(66)은 절연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만약 히터선(61b)이 이 보호판(66)에 현수되어 있었어도 냉장고 본체(51)의 금속부에 전기가 누설되는 등의 일은 없는 것이다.
냉동실(52)이나 냉장실(53)을 냉각시키는 경우에는, 냉각기(60)에 냉매를 흐르게 하여 냉각기(60)를 냉각시킨다. 이와 동시에 운전되는 냉기 순환 팬(62)의 작용에 의해 냉각기(60)와 열 교환하여 냉각된 냉기가 냉기 취출구(64)로부터 냉동실(52)로 취출된다. 냉동실(52)에 취출된 냉기는 냉동실(52) 내의 냉동 식품을 냉각시키고, 통로(57)를 거쳐서 다시 냉각기(60) 및 서리 제거 히터부(61)로 복귀된다. 한편, 냉장실(53)측은 냉각기(60)에서 냉각된 냉기를 냉기 순환 팬(62)으로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냉장고 전용 냉각 통로를 사용하여 냉장실(53)로 취출한다. 여기서도 냉장 식품과 열 교환하여 냉장 식품을 냉각한다. 그리고 냉각 후의 냉기는, 통로(58)를 통해 냉각기(60) 및 서리 제거 히터부(61)로 복귀되는 것이다.
냉각기(60)와 열 교환하는 공기는 냉동실 도어(54) 및 냉장실 도어(55)의 개폐에 의한 외기의 유입이나 냉동실(52) 및 냉장실(53)의 식품에 포함되는 수분의 증발 등에 의해 고습화된 공기이므로, 냉각기(60)에 그 습기는 서리가 되어 서리 부착 및 퇴적된다. 퇴적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냉각기(60) 표면과 열 교환하는 공기와의 전열이 저해되는 동시에 통풍 저항이 되어 풍량이 저하된다. 이 결과, 열 통과율이 저하되어 냉각 부족이 발생한다.
그래서, 이 냉각 부족이 일어나기 전에 서리 제거 히터(61)에 통전을 개시한다. 히터선(61b)에 통전이 개시되면, 히터선(61b)으로부터 유리관(61a)을 거쳐서 냉각기(60)나 주변 부품에 열선이 방사된다. 이 때, 보호판(66)에 방사된 열선은 보호판(66)의 형상으로부터 일부가 유리관(61a)을 거쳐서 히터선(61b)에 반사된다. 또한, 서리 제거 히터로부터 나오는 열에 의해 융해된 서리 제거수는 일부가 직접홈통(67)으로 떨어지고, 그 외에는 지붕(65)에 떨어진다. 또한, 이 지붕(65)은 유리관(61a)과 비교하여 저온이므로, 여기서는 수증기 폭발에는 이르지 않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리 제거 히터(61)의 히터선(61b) 표면은 물론이고, 유리관(61a) 표면 온도는 매우 고온이 된다. 이는 보호판(66)이 서리 제거 히터(61)의 근방에 있고, 일단 유리관을 거쳐서 방사된 열선이 보호판(66)으로 복귀되어 유리관(61a)은 물론 히터선(61b)을 이상 가열시킨다. 이 결과로서, 서리 제거 히터(61)의 양단부를 밀봉하는 고무 마개를 열에 의해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고무 마개의 손상 보호를 위해 히터선 단부에 만들어지는 코일 엔드부[코일 형상이 아닌 히터선(61b)을 소정의 길이로 되접어 꼰 직선부]를 길게 취하면, 유리관 등을 일정하게 하였을 때 코일 엔드부 상부의 냉각기(60)에 부착된 서리의 융해가 지연되어, 서리 제거 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의 서리 제거 히터(61)에서는 냉각기(60)의 내부 길이 치수(D1)에 대해 1/4 내지 1/5로 작으므로 열선이 냉각기(60)의 전체 내부 길이(D1)에 고루 미치지 않아(도13과 같음), 서리 제거 시간을 지연시켜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히터선을 절연재로 덮는 구조로 한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히터선이 통전되면, 히터선이 발열하기 위해 시스관뿐만 아니라 히터선을 덮는 절연재 자체도 가열된다. 상기한 특허 문헌 2에서는, 시스관의 양단부를 캡으로 밀폐하고 있으므로, 히터선 주위를 절연재로 덮고 있으면 절연재를 거쳐서 캡으로 열이 전달되게 된다. 이 때, 캡에 실리콘 고무와 같이 내열 특성이 높은 것을 사용하였다고 해도 그 내열 온도는 약 145 ℃ 정도이며, 이 내열 온도보다도 고온이면 캡이 손상되게 된다. 그 경우, 절연재와 캡의 사이에 단열 부재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해져 버린다.
또한, 히터선의 발열 온도를 낮게 설정하면, 서리 제거 히터로서의 출력이 저하되게 되어 서리 제거 히터로서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한편, 절연재 자체에 단열 특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면 히터선의 온도를 외부에 전달할 수 없어, 이 경우도 서리 제거 히터로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서리 제거 히터로서의 출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히터선을 길게 할 수밖에 없어, 고내의 유효 용적의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서리 제거 히터 자체는 냉각기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냉장고의 통상 운전시에는 주위의 온도는 - 30 ℃ 이하가 된다. 서리 제거 운전시에는, 히터선은 통전시에는 수백도가 되는 것이지만, 이들의 온도 변화에 대한 절연재의 팽창 수축에 대해 고려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절연재로 덮인 히터선 그 자체의 온도를 고려한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가연성 냉매를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안전성과 효율성의 향상을 도모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리관 내에 코일 형상으로 권취된 히터선을 갖는 서리 제거 히터를 냉각기의 하방에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방열 부재를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히터선은 코일 형상으로 권취된 코일부와 이 코일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직선부를 갖고, 상기 유리관의 양측에는 상기 유리관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갖고,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코일부와 대향하는 유리관의 외주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가연성 냉매를 봉입한 냉동 사이클에 접속된 냉각기를 단열 상자 부재 내에 구비하고, 상기 냉각기의 하방에 서리 제거 히터가 배치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리 제거 히터는 유리관 내에 코일 형상으로 권취된 코일부와 이 코일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직선부를 구비한 히터선과, 상기 유리관의 양단부를 밀봉하여 상기 히터선 또는 상기 히터선과 접속되는 리드선을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유리관의 내외를 연통하는 구멍부를 갖는 밀봉 부재와, 상기 코일부에 대향하는 유리관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방열 부재를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한 것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와 상기 유리관 사이에 지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유리관에 권취되는 박판형의 방열 핀으로, 상기 방열 핀 폭은 상기 지붕 부재의 폭보다는 크고 상기 냉각기의 내측 폭보다는 작으며, 상기 방열 핀의 상기 지붕 부재의 하방 투영면의 외측 부분은 연직 방향으로 연신한 형상으로 하였다. 또한, 동일하게 상기한 것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와 상기 유리관 사이에 지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방열 부재를 상기 지붕 부재에 연속 접촉하는 보조 부재를 방열 핀으로 한 서리 제거 히터를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코일부의 권취 피치를 2.0 ㎜ 이하로 하여 상기 코일부의 권취 피치보다도 상기 방열 부재의 피치를 크게 하고, 상기 코일부와 상기 유리관과의 거리를 1 ㎜ 이하로 함으로써 상기 히터선의 발열 온도를 400 ℃ 이하로 하고, 가연성 냉매의 발화점 온도 이하로 억제한 것으로 하였다.
또한, 유리관 내에 코일 형상으로 권취된 히터선을 내장하여 양단부를 고무 마개로 밀봉한 서리 제거 히터를 냉각기 하부에 설치하고, 냉매로서 탄화수소계의 이소부탄을 이용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서리 제거 히터를 구성하는 유리관의 표면 온도 및 히터선 온도를 방열 부재를 이용하여 설정 온도 이하로 억제하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1 내지 도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을 구비한 냉장고의 종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주요부 확대도이고, 도3은 도2의 서리 제거 히터 횡단면 설명도이고, 도4는 도3 중의 방열 핀 설명도이고, 도5는 도3과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서리 제거 히터 횡단면 설명도이고, 도6은 도5 중의 방열 핀 설명도이고, 도7은 도5와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방열 핀의 경사도이고, 도8은 도7의 P 화살표 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을 구비한 서리 제거 히터의 횡단면 설명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을 구비한 냉동 사이클의 설명도이다.
<제1 실시예>
우선 「도1 내지 도4」를 이용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냉장고 본체(1)는 내부에 냉동실(2)과 냉장실(3)을 갖고 있다. 냉동실(2)의 전방면에는 개구부를 폐색하는 냉동실 도어(4)가 구비되고, 냉장실(3)의 전방면에는 개구부를 폐색하는 냉장실 도어(5)가 구비되어 있다. 냉동실(2)과 냉장실(3) 사이에는 양 실의 사이를 구획하는 중간 구획벽(6)이 설치되고, 중간 구획벽(6)에는 냉동실(2) 내의 식품과 열 교환된 냉기를 후술하는 냉각기로 복귀시키는 통로(7)와 냉장실(3) 내의 식품과 열 교환된 냉기를 냉각기로 복귀시키는 통로(8)가 형성되어 있다.
냉동실(2)의 후방부에는 구획 간막이(13)에 의해 구획된 냉각기실(9)이 배치되고, 이 냉각기실(9) 내에는 냉각기(10), 서리 제거 히터(11), 냉기 순환 팬(12)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리 제거 히터(11)는 냉각기(11)의 하방에 배치되고, 냉각기의 상방에 배치된 냉기 순환 팬(14)에 의해 냉각기실(9) 내의 하방으로부터 유입된 복귀 냉기가 상방으로 보내진다. 상방으로 보내진 냉기는 냉각기(10)에 의해 냉각되고, 구획 간막이(13)에 설치된 냉기 취출구(14)로부터 냉동실(2)로 취출된다.
서리 제거 히터(11)와 냉각기(10) 사이에는 알루미늄제 지붕(15)이 설치된다. 이 지붕(15)은 냉각기(10)에 부착된 서리를 서리 제거 히터(11)의 열로 융해하였을 때에, 냉각기(10)로부터 적하되는 서리 제거수가 직접 서리 제거 히터(11)에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통상, 서리 제거 히터(11)의 유리관(11a)은 서리 제거 히터(11) 발열시 표면 온도가 500 ℃ 부근의 온도가 된다. 이 유리관(11a)에 물방울이 직접 적하되면 수증기 폭발 상태를 일으켜 냉장고의 외부에까지 들려 버릴 정도의 큰 소리가 되어,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준다. 이를 방지하는 것이 지붕(15)의 역할이다.
서리 제거 히터(11)의 유리관(11a)의 외주에는 방열 부재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핀 형상의 방열 핀이 유리관(11a)의 외주에 권취되어 있다. 이 방열 핀(16)은 띠 형상 박판을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일 형상으로 권취한 것이다. 이 띠 형상 박판은 유리관(11a)과 거의 동일한 외경, 혹은 그보다도 약간 큰 외경을 갖는 코어에 코일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권취하고, 이를 소정 치수로 컷트한 것이다. 또한, 띠 형상 박판을 코일 형상으로 권취하는 경우에는, 외주측에 슬릿을 넣거나 혹은 내측을 교축하는 등에 의해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띠 형상 박판의 일측단부를 교축함으로써, 중심 구멍(16a)측이 파형이 되도록 코일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외주측에 슬릿을 넣은 경우와 비교하여, 방열 핀(16) 전체로서의 방열 면적이 커지고, 또한 유리관(11a)과의 접촉 면적도 커지므로 보다 효율적인 방열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리관(11a)의 직경은 10.5 ㎜로 하고 있으므로, 띠 형상 박판을 권취하는 코어의 직경을 11.0 내지 11.5 ㎜ 정도로 해 둔다. 이 결과, 코일 형상으로 권취한 방열 핀(16)을 유리관(11a)에 부착할 때에는 11.0 내지 11.5 ㎜로 형성된 중심 구멍(16a)을 10.5 ㎜의 유리관(11a)에 삽입 관통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방열 핀(16)은 종래의 보호판을 대신하는 것이다. 즉, 상기 유리관(11a)이 어떠한 충격으로 깨질 경우가 있어도, 유리관(11a)의 길이 방향에 걸쳐 권취된 형태로 되어 있는 방열 핀(16)이, 유리관(11a)이 무너져도 히터선(11b)을 보유 지지하므로 종래와 같이 유리관(11a)이 파손되어도 히터선(11b)이 현수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열 핀(16)을 알루미늄으로 형성하고 있다. 유리관(11a)보다도 열전도율이 높은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히터선(11b)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관(11a)의 주위에 방열 핀(16)을 권취하는 구조를 채용한 본 실시예에서는, 방열 핀(16)의 중량이 커지면 유리관(11a)에 대한 중량 부하가 되어 유리관(11a)의 파손으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열전도성이 좋은 부재 중에서도, 예를 들어 구리와 비교하여 경량이며 성형성도 좋고, 비용적으로도 우수한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즉, 방열 핀을 띠 형상 박판으로 하여 유리관과 동일한 직경의 코어에 연속적으로 권취하고, 이를 소정 치수로 컷트하여 방열 핀으로 한 것이므로 생산성이 좋은 것은 물론, 유리관에의 부착도 코어로 만든 구멍에 유리관을 삽입 관통시키면 되므로 쉽게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원가적으로는 매우 유리한 것이 된다.
다음에 도3에 있어서, 상기 서리 제거 히터(11)에 대해 설명한다. 이 서리 제거 히터(11)는 외경 10.5 ㎜, 내경 8.5 ㎜의 유리관(11a) 내에 히터선(11b)을 배치하고, 이 유리관의 양단부를 덮는 밀봉 부재(17)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 18로 나타낸 부재는 위치 결정 부재이며, 이 위치 결정 부재(18)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히터선(11b)의 양단부는 리드선(19)에 접속되고, 그 접속부에는 히터선(11b)의 직선부(11c)와 리드선(19)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21)가 배치된다. 이 서리 제거 히터(11)는 직경 10.5 ㎜, 두께 1 ㎜의 유리관 내에 선 직경 0.5 ㎜의 니크롬선을 외경 7.0 ㎜의 코일 형상으로 권취한 히터선(11b)을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획판(18)으로 내재시키고, 또한 유리관(11a)의 양단부를 밀봉 부재(17)로 밀봉한 것이다. 이 밀봉 부재(17)로서 본 예에서는 고무 마개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코일 형상으로 권취한 히터선(11b)의 코일부의 양측에는 도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직선부(11c)를 갖고 있다. 이는 히터선(11b)이 발열하는 열에 의해 고무 마개(17)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고무 마개(17)는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 특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이 고무 마개(17)의 내열 온도도 통상 145 ℃ 이하이다. 그런데 히터선(11b)의 코일부의 온도는 500 ℃로, 고무 마개(17)의 내열 온도보다도 훨씬 높은 온도가 된다. 이는, 유리관(11a)의 내부에는 발열하고 있는 히터선(11b)을 구비하고 있거나, 또는 상방의 지붕이나 하방의 보호판 등으로부터의 열의 반사에 의해 온도가 상승적으로 상승하기 때문이다. 이 열이 그 상태의 온도로 고무 마개(17)에 전달되면 고무 마개(17)는 고열에 의해 손상되어 버리게 된다.
그러나, 직선부(11c)는 원래 발열량이 적으므로 500 ℃로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히터선(11b)의 코일부 양측에는 직선부(11c)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히터선(11b) 및 유리관(11a)의 열이 고무 마개(17)에 전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 직선부(11c)의 거리가 길수록 고무 마개(17)에의 열전도를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지만, 거리를 지나치게 길게 하면 서리 제거 히터의 능력 저하로 이어지므로, 고무 마개(17)의 내열 온도와 히터선(11b)의 발열 온도를 고려한 거리(예를 들어 15 ㎜ 내지 20 ㎜)로 하고 있다. 즉, 이 직선부(11c)를 길게 취하면 열에 의한 고무 마개(17)의 손상을 저지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제한된 치수 중에서 이 직선부(11c)를 길게 취한다고 하는 것은 와트 밀도(단위 길이당 발열량)를 점점 높게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히터선(11b)의 코일부의 온도를 높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해 버린다. 따라서, 통상은 15 ㎜ 내지 20 ㎜로 설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코일부가 유리관(11a)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환언하면 양측의 직선부(11c)의 길이가 같은 정도가 되도록 고무 마개(17)와 유리관(11c) 그 사이에 구비되는 위치 결정 부재(18)에 의해 코일부의 위치를 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양측에서 위치가 정해진 상태에서 히터선(11b)은 발열하여 고무 마개(17)에의 열의 지나친 전달을 방지하고, 코일부에서의 발열을 방열 핀(16)에 의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시켜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방열 핀(16)이 유리관(11a)보다도 열전도율이 높고, 유리관(11a) 내부에 코일부를 갖는 부분에는 방열 핀(16)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500 ℃ 전후로도 상승할 수 있는 유리관(11a) 내의 온도를, 예를 들어 350 ℃ 부근까지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고 있다. 방열 핀(16)의 외주 방향의 길이를 충분히 취하면 방열성도 좋아, 팬 피치를 코일부보다도 크게 해도 충분히 방열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 같이, 방열 핀(16)이 유리관(11a)과 열 교환하여 유리관(11a)의 표면 온도를 350 ℃로부터 300 ℃까지 저하시킬 수 있는 방열 면적 및 열전도율이 좋은 방열 핀(16)을 사용함으로써, 히터선(11b) 온도 자체도 350 ℃ 부근까지 저하되는 것이다.
한편, 유리관(11a)과 열 교환한 방열 핀(16)은 도2에도 도시한 바와 같은 냉각기(10)의 내측 치수(D2) 전역에 열을 방사한다. 환언하면, 상기 방열 핀(16)의 크기는 지붕(15) 치수(L1)보다 크게 해 두는 것으로, 냉각기(10)의 내측 치수(D2)에 가능한 한 접근시켜 두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 방열 핀(16)의 지붕(15)의 하방 투영면으로부터 외측의 위치 부분은 냉각기(10)로부터의 서리 제거수가 적하하는 경우가 있지만, 방열 핀(16)의 해당 부분은 거의 연직으로 신장된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적하된 서리 제거수를 저장하는 일은 없다.
이 크기의 방열 핀(16)으로 함으로써 서리 제거수를 받는 홈통(20), 혹은 통로(7, 8)에 부착된 서리를 서리 제거시에 융해하는 데 적합한 것은 물론 냉각기(10)의 서리 제거를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냉각기(10)에의 서리의 퇴적량이 증가하면, 냉각기(10) 표면과 열 교환하는 공기와의 전열이 저해되어 통풍 저항이 저하된다. 이를 검지한 냉장고는 서리 제거 히터(10)에의 통전을 개시한다.
히터선(11b)에 통전이 개시되면, 히터선(11b)으로부터 유리관(11a) 및 방열 핀(16)을 거쳐서 냉각기(10)나 주변 부품에 열선을 방사한다. 이에 의해 냉각기(10)나 홈통(20) 등에 부착된 서리를 서리 제거수로 융해한다.
이 때에 방열 핀(16)을 가진 본 발명의 서리 제거 히터는, 가는 유리관(11a)을 지붕(L1)보다 큰 방열 핀으로 하였으므로 냉각기(10) 하단부를 광범위한 면으로 가열한다. 이에 의해, 서리 제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유리관(11a)이 깨진다고 하는 사고가 있었던 경우라도 상기 방열 핀(16)이 유리관(11a) 외주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유리관(11a)이 붕괴되어 히터선(11b)이 유리관(11a) 밖으로 현수되어 주위 부품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일이 없는 것이다.
또는, 유리관(11a) 파열시 냉장고 본체(1)의 금속부에 종래와 같이 전기가 누설된다고 하는 등의 문제가 없어지는 것이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5 및 도6을 갖고 제1 실시예와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서리 제거 히터(11)는 유리관(11a), 히터선(11b), 고무 마개(1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히터선(11b)은 양측에 직선부(11c)를 갖고 있다. 직선부(11c)는 고무 마개(17) 내에 위치하는 접속 부재(21)에 의해 리드선(19)과 접속되어 있다. 유리관(11a)의 외주에는 방열 부재(22)가 권취되어 있다. 이 방열 핀(22)은 막대 형상(철사 형상) 부재를 코일 형상으로 권취한 것이다. 이 방열 핀(22)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열 핀(16)과 비교하면 방열 면적을 취할 수 없으므로 권취 피치를 좁게 하고 있다. 이 방열 핀(22)은 방열원으로서 히터선(11b)을, 제1 실시예 정도로 출력을 크게 할 수는 없지만 전체 발열량을 예를 들어 160 W를 140 W 등으로 낮추는 것과 조합함으로써 유리관(11a) 및 히터선(11b) 온도를 원하는 온도까지 낮출 수 있다. 즉, 가열된 유리관(11a)의 열은 방열 핀(22)에 전달되고 방열 핀(22)을 거쳐서 서리 제거를 촉진시킨다. 이에 의해, 유리관(11a) 및 히터선(11b)의 온도는 대폭 저감되는 것이다. 또한, 유리관(11a)이 깨지는 사고가 있었던 경우라도, 유리관(11a)은 방열 핀(22)에 의해 붕괴를 방지하므로, 히터선(11b)의 현수는 없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7 및 도8을 갖고 제1 및 제2 실시예와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방열 부재(23)는 방열 부재(방열 핀)가 달린 문형 형상의 지붕으로 하고 있다. 이 지붕(23)의 수평 부재, 즉 천정면(23a)은 냉각기로부터의 서리 제거수의 적하를 받는 것이다. 지붕(23)은 보조 부재인 양측의 수직 부재(23b)를 갖고 있다. 이 양측의 수직 부재(23b)는 서리 제거 히터(11)(도2)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 핀(24)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양측의 보조 부재인 수직 부재(23b)에 미리 서리 제거 히터(11)를 삽입 관통시킬 수 있는 구멍(25)을 개방시켜 두고, 이를 도7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갈아 내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구멍(25)을 일치시키고, 여기에 서리 제거 히터(11)를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지붕(23)과 방열 핀(24)은 일체가 되므로, 지붕(23)을 방열핀(24)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방열 핀(24)을 절곡하여 형성한 후에 생기는 창문(26)은 가열된 공기의 출구가 되기도 하므로, 문형 형상의 지붕(23) 내에 가열 공기가 머무는 일 없이 냉각기측으로 송입되는 것이다.
이 때, 구멍(25)의 구멍 직경은 서리 제거 히터(11)가 직경 10.5 ㎜였던 경우에는 11.0 내지 11.5 ㎜ 정도로 형성하여, 서리 제거 히터(11)의 유리관(11a)이 상기 구멍(25)으로 원활하게 들어가도록 구성해 두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문형 형상의 지붕(23)의 보조 부재인 수직 부재(23b)의 양방에 절입 슬릿을 넣고, 그 슬릿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하여 방열 핀을 형성하였지만, 문형이 아닌 방열 면적과의 관계에서 이것은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는 지붕(23)을 방열 핀(24)의 일부로서 활용하는 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리관(11a)의 방열 면적은 방열 핀(24)만큼 확대된다. 이에 의해 유리관(11a) 온도는 대폭으로 저감된다. 환언하면, 히터선(11b) 온도도 저하되는 결과가 되어, 고무 마개(17)(도3)가 열로 인해 손상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또한, 유리관(11a)이 깨지는 경우가 있어도, 유리관(11a)은 방열 핀(24)에 의해 지지되므로, 유리관이 붕괴되어 내부의 히터선(11b)이 홈통(20)(도2)측으로 현수된다고 하는 일이 없다.
<제4 실시예>
다음에 도9 및 도10을 갖고, 탄화수소계의 이소부탄을 냉매로서 사용한 냉장고에 서리 제거 히터를 사용한 예로 설명한다.
도10은 냉동 사이클을 도시한 것으로, 압축기(26), 응축기(27), 모세관 튜브(28), 냉각기(29)가 직렬로, 게다가 환상으로 접속되어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종래, 이 냉동 사이클 내에 봉입되는 냉매에는 물성이 안정되어 취급이 쉬운 점으로부터 프레온계 냉매가 사용되어 왔다. 이 프레온계 냉매는 오존층 파괴나 지구 온난화에의 영향이 매우 적은 탄화수소계 냉매, 예를 들어 프로판(R-290a)이나 이소부탄(R600a)에의 전개가 도모되어 왔다. 이하, 이 탄화수소계 냉매를 HC 냉매라 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의 냉동 사이클에는 이 HC 냉매가 봉입되어 있다. 이 HC 냉매는 냉각기(29)의 용접부 등에 파손이 있었던 경우, 서리 제거 운전시에 냉장고 내로 누설된다.
이 HC 냉매가 냉장고 내에 가득 차 있으면, 서리 제거 히터 발열시 HC 냉매에 인화될 위험성을 갖고 있다.
즉, 서리 제거 운전시에는 서리 제거 히터로부터 냉각기가 가열되기 때문에, 냉각기(29) 내의 이소부탄은 대기압보다도 높은 압력(약 3 Kg/㎠)이 되어 냉장고 내로 누설된다. 또한, 냉각 운전시에는 냉각기 내의 이소부탄은 대기압에 대해 부압이 되어 있어, 이소부탄이 냉장고 내로 누설되는 일은 없다. 또한 통상 압축기가 정지해도 냉각기의 이소부탄은 대기압과 거의 동일하므로, 냉장고 내로 누설되는 일은 거의 없는 것이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기(29)의 근방에는 냉기 순환 팬(30) 및 서리 제거 히터(31)가 배치되어 있다. 통상, 냉각기(29) 및 서리 제거 히터(31)는 냉각기실에 구비되고, 냉각기의 상방에 배치된 냉기 순환 팬(30)이 운전함으로써 냉각기(29)에서 냉각된 냉기가 냉장실 및 냉동실 내로 보내져 실내의 식품을 냉각시킨다. 또한, 동일하게 상기 냉기 순환 팬(30)에 의해, 냉장실 혹은 냉동실로부터의 복귀 냉기를 냉각기의 하방으로부터 냉각기실로 보내고, 이 복귀 냉기는 다시 냉각기(29)에서 냉각되어 이 냉기를 냉동실 혹은 냉장실로 보낸다. 이와 같이 냉기 순환 팬(30)은 강제적으로 냉기를 순환시킨다.
또한, 서리 제거 히터(31)는 냉각기(29)에 서리가 퇴적되었을 때 그 서리를 융해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 구성은 도9와 같다. 서리 제거 히터(31)는 유리관(31a)에 의해 히터선(31b)을 덮고, 이 히터선(31b)은 코일부(a)와 직선부(b)로 이루어지고, 코일부(a)는 유리관(31a)의 내경이 8.5 ㎜일 때에는 외경 7.5 ㎜의 코일 형상으로 권취되어 구성된다. 이 경우, 코일부의 외주와 유리관(31a)의 내주 사이의 거리는 0.5 ㎜ 정도이며, 즉 유리관(31a) 내에는 유리관 내 표면과 근접하여 히터선(31b)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코일부(a)의 권취 피치는 2.0 ㎜ 이하로 권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권취 피치를 2.0 ㎜ 이하로 하면 인접하는 히터선끼리의 영향을 받아, 히터선(31b)의 코일부(a) 자신의 발열량 이상으로 온도 상승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또는, 코일부(a)와 유리관(31a)의 내주와의 거리가 1 ㎜ 이하로 근접하고 있으므로, 이 발열량 이상으로 온도 상승한 열이 유리관(31a)으로 전달되기 쉽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서리 제거 히터(31)는, 코일부(a)에 대향하는 유리관(31a) 온도는 히터선(31b) 온도 부근까지 상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부(a)는 외경 7.5 ㎜로 권취되어 있고 유리관(31a)의 내경을 8.5 ㎜로 하고 있으므로, 유리관(31a) 중 코일부(a)에 대향하는 부분의 온도가 히터선(31b) 온도와 가까워지므로, 이 열로 양단부의 고무 마개(32)는 그 열에 의해 손상되어 버리게 된다.
히터선(31b)의 직선부(b)는, 양단부의 고무 마개(3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선(31b)을 직선 형상으로 한 부분을 가리키고 있다. 이 부분의 발열량은 당연히 적으므로, 이 직선부(b)에 대향하는 유리관(31a) 부분의 온도는 코일부(a)에 상당하는 유리관(31a) 온도까지는 도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직선부(b)의 치수가 짧을 때에는 코일부(a)의 열 영향을 받아 유리관 내의 공기 온도 및 유리관(31a)도 당연히 가열된다. 이로 인해, 통상은 L2 치수를 15 ㎜ 이상 확보해 둘 필요가 있다.
고무 마개(32)는 유리관(31a)의 양단부를 밀봉하는 것으로, 내열성(예를 들어 145 ℃)의 실리콘 고무 등으로 만들어져 있다. 히터선의 위치 결정 부재(33)는 유리관(31a)의 단부를 구성하고, 유리관(31a)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부재(33)에 의해, 히터선(31b)의 코일부(a)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즉, 코일부(a)가 유리관(31a)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위치 결정 부재(33)가 구비되어 있다.
직선부(b)와 리드선(35)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34)의 위치는, 앞의 위치 결정 부재(33)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이에 의해, 코일부(a)의 위치 결정과 함께 고무 마개(32)와 직선부(b)의 L2 치수는 소정 치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서리 제거 히터(31)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냉각기(29)에 서리가 퇴적되어 서리 제거를 필요로 하였을 때에는 서리 제거 히터(31)로의 통전이 개시된다. 이 서리 제거 히터로의 통전이 개시되었을 때, 만약 냉각기(29)에 파손부가 있었던 경우에는, 그 파손부로부터 HC 냉매가 누설되어 버리게 된다. 이 HC 냉매, 예를 들어 이소부탄의 발화 온도는 494 ℃이므로, 이 발화 온도보다도 히터선(31b)의 온도를 낮게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안전을 고려하여 400 ℃ 이하, 즉 394 ℃로 설정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앞의 서리 제거 히터(31)[유리관(31a), 히터선(31b)]에 방열 핀(36)을 설치하여 394 ℃ 이하로 하는 것이다. 이 방열 핀(36)은 제1, 제2 및 제3 실시예 등으로 나타낸 형상 및 형태로 임의로 선택하면 된다. 필요한 것은 서리 제거 히터(31)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방열 부재(방열 핀), 예를 들어 유리관(31a)보다도 열전도율이 높은 부재인 방열 부재이다. 따라서, 코일부(a)에 대향하는 유리관(31a)에는 유리관(31a)보다도 열전도율이 좋은 코일 형상의 방열 핀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유리관(31a)과 근접하여 설치된 히터선(31b)의 코일부(a)의 열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열된다. 이로 인해, 가령 코일부(a)의 권취 피치가 2.0 ㎜ 이하라도, HC 냉매의 발화점 온도에 도달하는 일은 없다. 또한, 코일부(a)의 발열량 중 유리관(31a)을 전달하여 양단부의 고무 마개(32)로 전달되는 열량은 방열 핀으로부터 방열되는 열량을 뺀 것이 되기 때문에, 고무 마개(3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연성 냉매에 대해 방폭성을 고려하여 사용되는 2중 유리관 히터가 아닌 1중 유리관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1중 유리관에 있어서는, 방열 핀(36)에 의해 유리관(31a)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이 작용에 의해 유리관(31a) 내의 공기 온도도 낮출 수 있으므로, 유리관 내에 설치되는 히터선(31b)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여 히터선(31b)의 온도까지도 394 ℃ 이하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2중 유리관을 이용한 경우에는 내측의 유리관과 외측의 유리관 사이의 공기가 단열재의 역할을 해 버려, 가령 방열 핀을 부착해도 즉시 히터선 온도를 394 ℃ 이하로 할 수는 없으며, 그 외에 권취선의 피치를 바꾸는 등의 방법이 필요해져 버린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내외부 유리관 사이의 단열 공기층을 생기게 하여 열 효율에 문제가 남는 2중 유리관과는 다른 구성이며, 히터선(31b)의 열이 유리관을 경유하여 방열 핀에 빼앗기기 때문에, 유리관 및 히터선의 온도를 394 ℃ 이하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히터선(31b)의 권취 피치를 2.0 ㎜ 이하로 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히터선(31b)의 열이 방열 핀(36)에 의해 주위로 전달되므로, 냉각기(29)의 서리 제거를 작은 소비 전력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 것이다.
즉, 유리관 내에 코일 형상으로 권취된 히터선을 내장하고, 양단부를 고무 마개로 밀봉한 서리 제거용 히터를 냉각기 하부에 설치한 냉장고에 있어서, 내주가 상기 유리관 외주에 접하거나 혹은 근접하도록 부착된 방열 부재(방열 핀)를 고무 마개 사이에 설치한 것이므로, 히터선으로부터 나온 열선이 다시 서리 제거 히터로 복귀되는 일 없이 유리관 파열시의 유리관 붕괴를 없애어 히터선의 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리관 온도는 물론, 히터선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고무 마개의 손상 등을 없앨 수 있는 냉장고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방열 부재를 띠 형상 박판 혹은 막대 형상 방열 부재로 하여 유리관과 동일한 직경의 코어에 연속적으로 권취하고, 이를 소정 치수로 컷트하여 방열 부재(방열 핀)로 한 것이므로 생산성이 좋은 것은 물론, 유리관으로의 부착도 코어로 만든 구멍에 유리관을 삽입 관통시키면 되므로 쉽게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원가적으로는 매우 유리한 것이 된다.
또한, 방열 부재를 서리 제거 히터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에 연속 접촉하는 보조 부재를 방열 핀으로 한 것이므로, 지붕까지도 방열 핀으로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관에 부착되는 방열 핀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리관에 부착되는 방열 부재의 외형을 서리 제거 히터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 치수(Ll)보다 크게 한 것이므로, 종래와 달리 냉각기의 내측 치수 전역을 가열할 수 있어, 서리 제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리관 내에 코일 형상으로 권취된 히터선을 내장하고, 양단부를 고무 마개로 밀봉한 서리 제거 히터를 냉각기 하부에 설치하여 냉매로서 탄화수소계의 이소부탄를 이용한 냉장고에 있어서, 서리 제거 히터를 구성하는 유리관의 표면 온도 및 히터선 온도를 방열 부재(방열 핀)를 이용하여 설정 온도 이하로 억제하도록 한 것이므로, 냉각기의 파손부 등으로부터 HC 냉매가 누설되는 일이 있어도 그 HC 냉매의 발화원이 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또한, 서리 제거 히터의 발열시의 온도를 탄화수소계의 이소부탄의 발화점 온도 494 ℃에서 - 100 ℃ 인 394 ℃로 하기 위해 방열 부재(방열 핀)를 유리관에 권취한 서리 제거 히터로 한 것이므로, 냉장고 사용 상태에 있어서는 방열 부재(방열 핀)가 서리 제거 히터를 구성하는 유리관 및 히터선 온도 모두 안전율을 본 394 ℃ 이하로 할 수 있으므로, 서리 제거 히터가 HC 냉매의 인화원이 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연성 냉매를 사용한 냉장고의 서리 제거 운전시에도 안전성과 효율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도 우수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을 구비한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주요부 확대도.
도3은 도2의 서리 제거 히터 횡단면 설명도.
도4는 도3 중의 방열 핀 설명도.
도5는 도3과는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서리 제거 히터 횡단면 설명도.
도6은 도5 중의 방열 핀 설명도.
도7은 도5와는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방열 핀의 경사도.
도8은 도7의 P 화살표도.
도9는 본 발명을 구비한 서리 제거 히터의 횡단면 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을 구비한 냉동 사이클의 설명도.
도11은 종래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12는 도11의 횡단면 설명도.
도13은 도11의 종단면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중간 구획벽
7, 8 : 통로
9 : 냉각기실
10 : 냉각기
11 : 서리 제거 히터
11a : 유리관
11b : 히터선
11c : 직선부
12 : 냉기 순환 팬
13 : 구획 간막이
15 : 지붕
16 : 방열 핀
18 : 위치 결정 부재
19 : 리드선
20 : 홈통
21 : 접속 부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가연성 냉매를 밀봉한 냉동 사이클에 접속된 냉각기를 단열 상자 부재 내에 구비하고, 상기 냉각기의 하방에 서리 제거 히터가 배치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서리 제거 히터는 유리관 내에 코일 형상으로 권취된 코일부와 이 코일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직선부를 구비한 히터선과, 상기 유리관의 양단부를 밀봉하여 상기 히터선 또는 상기 히터선과 접속되는 리드선을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유리관의 내외를 연통하는 구멍부를 갖는 밀봉 부재와, 상기 코일부에 대향하는 유리관의 길이 방향의 외주부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유리관의 직경과 거의 동일 내경 혹은 그보다도 약간 큰 내경으로 코일형으로 권취된 상기 유리관보다도 열전도율이 높은 박판형의 방열 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와 상기 유리관 사이에 지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유리관에 권취되는 박판상의 방열 핀이고, 상기 방열 핀 폭은 상기 지붕 부재의 폭보다도 크고 상기 냉각기의 내부 길이 폭보다도 작으며, 상기 방열 핀의 상기 지붕 부재의 하방 투영면의 외측 부분은 연직 방향으로 연신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가연성 냉매를 봉입한 냉동 사이클에 접속된 냉각기를 단열 상자 부재 내에 구비하고, 상기 냉각기의 하방에 서리 제거 히터가 배치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서리 제거 히터는 유리관 내에 코일형으로 권취된 코일부와 이 코일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직선부를 구비한 히터선과, 상기 유리관의 양단부를 밀봉하여 상기 히터선 또는 상기 히터선과 접속되는 리드선을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유리관의 내외를 연통하는 구멍부를 갖는 밀봉 부재와, 상기 코일부에 대향하는 유리관의 길이 방향의 외주부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유리관의 직경과 거의 동일 내경 혹은 그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갖고 상기 유리관보다도 열전도율이 높은 박판형의 방열 부재와, 상기 냉각기와 상기 유리관 사이에 지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지붕 부재에 연접하는 보조 부재를 방열핀으로 한 냉장고.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의 권취 피치를 2.0 ㎜ 이하로 하여 상기 코일부의 권취 피치보다도 상기 방열 부재의 피치를 크게 하고, 상기 코일부와 상기 유리관과의 거리를 1 ㎜ 이하로 함으로써, 상기 히터선의 발열 온도를 400 ℃ 이하로 하여 가연성 냉매의 발화점 온도 이하로 억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삭제
KR1020050015613A 2004-08-25 2005-02-25 냉장고 KR100659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44554A JP3944498B2 (ja) 2004-08-25 2004-08-25 冷蔵庫
JPJP-P-2004-00244554 2004-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186A KR20060042186A (ko) 2006-05-12
KR100659649B1 true KR100659649B1 (ko) 2006-12-21

Family

ID=3609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613A KR100659649B1 (ko) 2004-08-25 2005-02-25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44498B2 (ko)
KR (1) KR100659649B1 (ko)
CN (1) CN100362297C (ko)
TW (1) TWI2857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9608B (zh) * 2007-11-22 2012-07-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带除霜加热器的冷却器及物品储藏装置
JP2012255602A (ja) * 2011-06-09 2012-12-27 Sharp Corp 冷蔵庫
JP2013245885A (ja) * 2012-05-28 2013-12-09 Panasonic Corp 冷蔵庫
WO2017138109A1 (ja) * 2016-02-10 2017-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101919336B1 (ko) * 2018-07-27 2018-11-19 (주)삼공사 이소부탄 냉매를 사용하는 선박용 냉동장치
GB2578758B (en) * 2018-11-07 2021-03-24 B Medical Systems Sarl Cold storage device
CN114776747B (zh) * 2022-03-15 2023-09-22 东北大学 用于抑制航空发动机滑油箱振动的复材双曲波纹夹芯结构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165A (ja) * 1993-06-29 1995-01-24 Sanyo Electric Co Ltd ガラス管ヒータ
JPH07146056A (ja) * 1993-11-25 1995-06-06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2818382B2 (ja) * 1995-01-27 1998-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
JP3955412B2 (ja) * 1999-03-30 2007-08-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
JP2002267331A (ja) * 2001-03-13 2002-09-1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2004044899A (ja) * 2002-07-11 2004-02-12 Kobayashi Seisakusho:Kk 家庭用冷蔵庫の除霜ヒ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07966A (en) 2006-03-01
CN100362297C (zh) 2008-01-16
TWI285724B (en) 2007-08-21
CN1740710A (zh) 2006-03-01
JP3944498B2 (ja) 2007-07-11
KR20060042186A (ko) 2006-05-12
JP2006064209A (ja)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649B1 (ko) 냉장고
KR20020011409A (ko) 냉장고 및 서리 제거용 히이터
JP2008089231A (ja) 除霜ヒータ付き冷却器と除霜ヒータ付き冷却器を備えた冷蔵庫
JP2002267331A (ja) 冷蔵庫
KR100706726B1 (ko) 냉장고
JP2004190959A (ja) 冷蔵庫
KR100761183B1 (ko) 냉장고
JP2007155200A (ja) 冷却器およびこの冷却器を備えた冷蔵庫
JPH0854172A (ja) 冷蔵庫
JP3955412B2 (ja) 冷蔵庫
JP2005257267A (ja) 除霜手段を備えた蒸発器
JP2008215786A (ja) 除霜ヒータ付き冷却器と除霜ヒータ付き冷却器を備えた冷蔵庫
JP2001091141A (ja) 冷蔵庫
JP2010025358A (ja) 除霜ヒータ付き冷却器および物品貯蔵装置
JP4945600B2 (ja) 冷蔵庫
JP2006112657A (ja) 冷蔵庫
JP2003042637A (ja) 冷蔵庫
JP3482406B2 (ja) 冷凍冷蔵庫
JP2015031438A (ja) 冷蔵庫
JP2004190960A (ja) 冷蔵庫
JP2008215787A (ja) 除霜ヒータ付き冷却器と除霜ヒータ付き冷却器を備えた冷蔵庫
JP2007147089A (ja) 冷蔵庫
JP2006023036A (ja) 冷蔵庫
JP2019203639A (ja) 除霜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JP2002206849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