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087B1 -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087B1
KR100657087B1 KR1020040102882A KR20040102882A KR100657087B1 KR 100657087 B1 KR100657087 B1 KR 100657087B1 KR 1020040102882 A KR1020040102882 A KR 1020040102882A KR 20040102882 A KR20040102882 A KR 20040102882A KR 100657087 B1 KR100657087 B1 KR 100657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mask
active region
device isolatio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177A (ko
Inventor
배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4010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087B1/ko
Priority to US11/165,179 priority patent/US7755149B2/en
Priority to JP2005195111A priority patent/JP4832814B2/ja
Publication of KR20060064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이트의 채널 길이 증가를 위해 형성된 STAR-셀 구조(STep gated Asymmetry Recess Cell Scheme)의 게이트가 쓰러지는 리닝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활성영역을 정의하는 소자분리막을 반도체기판에 형성하고 STR ( STep gated Asymmetry Recess ) 마스크를 이용하여 반도체기판을 식각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되, 상기 활성영역의 에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소자분리영역과 최대한 중첩되도록 상기 활성영역의 중앙부로 뾰족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한 다음, 후속 공정으로 소자분리막 상에서 평탄화되고 활성영역에서 상기 돌출부에 걸쳐진 형태의 게이트를 형성함으로써 게이트의 채널 길이를 증가시키고 소자분리막 상의 게이트를 평탄하게 형성함으로써 리닝현상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DEVICES}
도 1 내지 도 3 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이트의 채널 길이 증가를 위한 STAR-셀 구조 ( STep gated Asymmetry Recess Cell Scheme, 이하에서 “스타셀” 이라 함 ) 의 게이트가 쓰러지는 리닝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소자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일반적인 적층구조의 게이트는 숏채널 효과(Short Channel Effect)와 같은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MOSFET 제조 공정의 리프레쉬 특성을 향상시키고 채널 길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비트라인 접합 부분의 반도체기판과 소자분리막을 리세스하는 스타셀 게이트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스타셀 게이트는 기판과 소자분리막을 포함하는 라인/스페이스 형태의 노광마스크를 사용하여 리세스 하는 셀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라인/스페이스 패턴 상에 게이트 물질이 도포될 때 단차진 부분을 경계로 증착 두께 차이가 발생된다.
특히, 게이트 물질인 비정질 실리콘의 증착공정후 열처리하는 경우 두껍게 증착된 부분에서 더 많은 응축 현상이 유발되거나 리닝 ( leaning )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게이트 물질이 저장전극 콘택 영역 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나타내게 되어 저장전극 콘택 접합의 취약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 은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은 석영기판(11) 상에 크롬패턴(13)이 형성된 노광마스크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스타셀 게이트의 형성공정시 돌출부를 구성하는 부분에 차광패턴인 크롬패턴(13)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활성영역을 교차하며 통과하는 두 개의 게이트 저부에 걸쳐 형성된 것이다.
상기 도 2 는 상기 도 1 의 STR ( STep gated Asymmetry Recess ) 마스크를 이용하여 반도체기판 상에 돌출부 및 게이트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상기 도 3 은 상기 도 2 의 ⓐ-ⓐ 절단면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기판(21) 상에 활성영역(24)을 정의하는 트 렌치형 소자분리막(2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트렌치형 소자분리막(23)은 반도체 기판(21) 상에 패드 절연막(미도시)을 형성하고 소자분리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식각공정으로 상기 패드 절연막 및 소정 두께의 반도체 기판을 식각한 다음, 이를 매립하는 필드산화막을 형성하고 상기 패드 절연막을 제거함으로써 형성한 것이다.
그 다음, 상기 도 1 의 STR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식각공정으로 활성영역(24) 및 소자분리영역을 지나가는 돌출부(25)를 형성한다.
전체표면상부에 게이트산화막(27), 게이트용 실리콘(29), 고융점 금속층(31) 및 하드마스크층(33)을 적층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용 실리콘(29)은 비정질 형태로 형성한 후 열처리하여 형성하고, 상기 고융점 금속층(31)은 텅스텐 실리사이드층으로 형성한 것이며, 상기 하드마스크층(33)은 실리콘질화막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 다음, 게이트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사진식각공정으로 패터닝하여 게이트(3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35)는 상기 돌출부(25)에 걸쳐진 형태로 형성되되, 활성영역(24)의 장축 방향으로 소자분리막이 형성된 소자분리영역 및 활성영역(24)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돌출부(25)에 두 개의 게이트(35) 저부가 걸쳐진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게이트(35)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37)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37)는 전체표면상부에 질화막을 증착하고 이를 이방성식각하여 형성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은, 스타셀 게이 트를 형성하여 채널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숏채널효과를 극복할 수 있으나, 게이트용 실리콘의 결정화 공정시 돌출부의 단차로 인하여 단차가 낮은 부분의 축소가 심하게 되므로 이웃하는 게이트와의 리닝 ( leaning ) 현상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STR 마스크의 평면구조상에 지그재그 형태를 갖는 돌출부를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스타셀 구조의 게이트를 형성하되, 리닝현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은,
활성영역을 정의하는 소자분리막을 반도체기판에 형성하는 공정과,
STR ( STep gated Asymmetry Recess ) 마스크를 이용하여 반도체기판을 식각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되, 상기 활성영역의 에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소자분리영역과 최대한 중첩되도록 상기 활성영역의 중앙부로 뾰족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하는 공정과,
후속 공정으로 소자분리막 상에서 평탄화되고 활성영역에서 상기 돌출부에 걸쳐진 형태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STR 마스크는 0 퍼센트의 투과율을 갖는 바이너리 마스크나 4 ∼ 10 퍼센트의 투과율을 갖는 하프톤 위상반전마스크인 것과,
상기 STR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공정은 40 ∼ 90°각도로 경사지게 실시하는 것과,
상기 STR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공정은 400 ∼ 700 Å 깊이만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 는 석영기판(100) 상에 크롬패턴(110)이 형성된 STR 마스크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노출된 부분이 스타셀 게이트의 형성공정시 돌출부를 구성하는 부분이 된다.
여기서, 상기 크롬패턴(110)은 게이트의 장축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게이트와 중첩되도록 게이트 영역과 게이트 영역 사이에 돌출부가 구비되도록 설계되되, 활성영역(미도시)의 중앙부 쪽으로 뾰족한 부분이 위치하도록 상기 활성영역(80)의 에지부를 연결하며 지그재그 형태로 설계된 것이다.
또한, 상기 STR 마스크는 0 퍼센트의 투과율을 갖는 바이너리 마스크나 4 ∼ 10 퍼센트의 투과율을 갖는 하프톤 위상반전마스크로 형성한 것이다.
도 5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 는 상기 도 5 의 ⓑ-ⓑ 절단면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반도체기판(51) 상에 활성영역(80)을 정의하는 트렌치형 소자분리막(5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트렌치형 소자분리막(53)은 반도체 기판(51) 상에 패드 절연막(미도시)을 형성하고 소자분리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식각공정으로 상기 패드 절연막 및 소정 두께의 반도체 기판을 식각한 다음, 이를 매 립하는 필드산화막을 형성하고 상기 패드 절연막을 제거함으로써 형성한 것이다.
그 다음, STR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 공정으로 감광막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감광막패턴은 네가티브 감광막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감광막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반도체기판(51) 및 소자분리막(53)을 소정두께, 예를 들면 400 ∼ 700 Å 만큼 식각하여 상기 활성영역(80)의 중앙부 및 소자분리영역에 돌출부(55)를 형성하되, 저장전극 콘택 영역에 인접한 게이트 영역은 상기 돌출부(55) 상에 소자분리막(53)과 중첩된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식각공정시 40 ∼ 90 도로 경사진 경사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돌출부(55)의 측벽이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전체표면상부에 게이트산화막(57), 게이트용 실리콘(59), 고융점 금속층(61) 및 하드마스크층(63)을 적층한다. 이때, 상기 고융점 금속층(61)은 텅스텐 실리사이드층으로 형성한 것이며, 상기 하드마스크층(63)은 실리콘질화막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 다음, 게이트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사진식각공정으로 패터닝하여 게이트(6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65)는 지그재그 형태의 돌출부(55) 중에서 뾰족한 부분의 돌출부(55)와 소정폭 중첩되어 걸쳐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게이트의 채널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도 4의 STR 마스크에 형성된 차광패턴의 극성 을 반대로 형성하고 반도체소자의 제조 공정시 포지티브형 감광막을 이용하여 스타셀 구조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은, 지그재그 형태로 돌출부가 설계된 STR 마스크를 이용하여 반도체기판 상에 돌출부를 설계하고 후속 공정으로 활성영역의 에지부에 위치한 저장전극 콘택 영역에 인접된 소자분리막 상에 게이트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소자분리막 상에 구비되는 게이트의 축소 현상이나 쓰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웃하는 활성영역 상에 형성된 게이트와의 리닝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반도체소자의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활성영역을 정의하는 소자분리막을 반도체기판에 형성하는 공정과,
    STR ( STep gated Asymmetry Recess ) 마스크를 이용하여 반도체기판을 식각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되, 상기 활성영역의 에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소자분리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활성영역의 중앙부로 뾰족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하는 공정과,
    후속 공정으로 소자분리막 상에서 평탄화되고 활성영역에서 상기 돌출부에 걸쳐진 형태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TR 마스크는 0 퍼센트의 투과율을 갖는 바이너리 마스크나 4 ∼ 10 퍼센트의 투과율을 갖는 하프톤 위상반전마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TR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공정은 40 ∼ 90°각도로 경사지게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TR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공정은 400 ∼ 700 Å 깊이만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KR1020040102882A 2004-12-08 2004-12-08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100657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882A KR100657087B1 (ko) 2004-12-08 2004-12-08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US11/165,179 US7755149B2 (en) 2004-12-08 2005-06-24 Photo mask and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ed using the same
JP2005195111A JP4832814B2 (ja) 2004-12-08 2005-07-04 フォトマスク及びこれを利用して製造された半導体素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882A KR100657087B1 (ko) 2004-12-08 2004-12-08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177A KR20060064177A (ko) 2006-06-13
KR100657087B1 true KR100657087B1 (ko) 2006-12-12

Family

ID=3657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882A KR100657087B1 (ko) 2004-12-08 2004-12-08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55149B2 (ko)
JP (1) JP4832814B2 (ko)
KR (1) KR100657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88B1 (ko) * 2004-12-30 2006-12-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49186B1 (ko) * 2006-04-28 2008-07-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엘에스오아이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81731B1 (ko) 2007-03-31 2009-02-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004940B1 (en) * 2020-07-31 2021-05-11 Genesic Semiconductor Inc. Manufacture of power devices having increased cross over curr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9341A (en) * 1993-02-12 1995-10-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361377B2 (ja) * 1993-02-12 2003-0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20719A (ja) * 2004-10-19 2006-05-11 Fujitsu Ltd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63349A (ja) 2006-06-22
KR20060064177A (ko) 2006-06-13
US20060118838A1 (en) 2006-06-08
US7755149B2 (en) 2010-07-13
JP4832814B2 (ja)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0240B2 (ja)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63337B1 (ko) 매립 게이트 라인을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46378B1 (ko) 리세스 채널을 가지는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US20080081420A1 (en) Method for fabricating fin transistor
KR100688056B1 (ko) 오메가 게이트를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2019184A (ja) 半導体素子のパターン形成方法
JP5690489B2 (ja) 半導体素子の形成方法
KR100657087B1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100609524B1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KR100753125B1 (ko) 새들형 핀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20060112853A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KR100685599B1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20060064175A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US8928040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line-type active reg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66721B1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20060064891A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100636921B1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100673125B1 (ko) 포토 마스크
JP2000269465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及び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0533394B1 (ko)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0685621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20230386843A1 (en)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structure
KR20070070922A (ko) 새들형 핀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20060040288A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20090032401A (ko) 반도체소자의 게이트 및 그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