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557B1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557B1
KR100641557B1 KR1020057005176A KR20057005176A KR100641557B1 KR 100641557 B1 KR100641557 B1 KR 100641557B1 KR 1020057005176 A KR1020057005176 A KR 1020057005176A KR 20057005176 A KR20057005176 A KR 20057005176A KR 100641557 B1 KR100641557 B1 KR 100641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communication path
fan
motor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4461A (ko
Inventor
유이치 테라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5002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286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50028A external-priority patent/JP4341233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실내 열교환기(50)와, 보조 배관(51)과, 실내 팬 모터(72)와, 모터 커버부(55)와, 전드레인 팬(781) 및 후드레인 팬(782)과 연통로(783)를 구비하며, 당해 연통로(783)는 모터 커버부(55)와 평면에서 볼 때 회전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전드레인 팬(781)과 후드레인 팬(782)을 연통시키며,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실내 팬 모터(72)와 연통로(783)는, 평면에서 볼 때 회전축 방향으로, 크로스 플로우 팬(71), 실내 팬 모터(72), 연통로(783)의 순으로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 열교환기, 보조 배관, 크로스 플로우 팬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 팬(fan)과 모터와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로 보낸다. 모터는 송풍 팬을 회전 구동하는 것이고, 송풍 팬과 모터는 송풍 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많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열교환기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적하 하는(滴下) 드레인수를 받는 제1 드레인 팬 및 제2 드레인 팬과, 연통로(連通路)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연통로는 제1 드레인 팬과 제2 드레인 팬을 연통시키는 경로이다. 이와 같은 연통로가 구비되는 것에 의하여, 제1 드레인 팬과 제2 드레인 팬에 받아진 드레인수를 어느 하나의 드레인 팬으로, 혹은 연통로로 모아 기외(機外)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연통로는, 종래, 평면에서 볼 때에 송풍 팬과 모터 간에 배치되는 것이 많다. 즉, 송풍 팬, 연통로 및 모터는, 평면에서 볼 때 송풍 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송풍 팬, 연통로, 모터의 순으로 배치되는 것이 많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1-221497호 공보 참조).
한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열교환기뿐만 아니라, 열교환기의 측면 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배관으로부터도 드레인수가 적하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모터를 덮는 모터 커버가 보조 배관의 하방에 배치되어 모터를 드레인수로부터 보호한다. 그러나 모터 커버 상에 적하한 드레인수의 처리가 문제로 되는 일이 있다. 상기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송풍 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송풍 팬, 연통로, 모터의 순으로 배치되는 경우, 모터 커버가 받은 드레인수가 외측으로, 즉, 송풍 팬이 배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드레인수가 외측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하한 드레인수가 외측으로 흐르지 않도록 안내하는 리브(rib) 등을 모터 커버 상에 설치하는 것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모터 커버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
이 발명의 목적은, 간이한 구성으로 드레인수를 처리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 팬과, 열교환기와, 보조 배관과, 모터와, 모터 커버와, 제1 드레인 팬 및 제2 드레인 팬과, 연통로를 구비한다. 송풍 팬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회전축이 대략 수평이 되도록 배치된다. 열교환기는 송풍 팬의 상방을 덮도록 배치되어 송풍 팬의 원주면에 대향한다. 보조 배관은 열교환기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모터는 송풍 팬과 회전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송풍 팬을 회전 구동한다. 모터 커버는 보조 배관의 하방에 배치되어 모터를 덮는다. 제1 드레인 팬 및 제2 드레인 팬은 송풍 팬을 사이에 두도록 전후로 배치되어, 열교환기로부터 적하하는 드레인수를 받는다. 연통로는 모터 커버와 평면에서 볼 때 회전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제1 드레인 팬과 제2 드레인 팬을 연통시킨다. 그리고 송풍 팬과 모터와 연통로는, 평면에서 볼 때 회전축 방향으로 송풍 팬, 모터, 연통로의 순으로 배치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송풍 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송풍 팬, 모터 및 연통로의 순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모터를 덮는 모터 커버 상에 적하한 드레인수가 외측으로 흘러도 연통로가 드레인수를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간이한 구성으로 드레인수를 처리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전장품(電裝品)이 수용되는 전장품 상자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송풍 팬과 모터와 연통로와 전장품 상자는, 평면에서 볼 때 회전축 방향으로, 송풍 팬, 모터, 연통로, 전장품 상자의 순으로 배치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전장품 상자와 모터 간에 연통로가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 커버 상에 적하한 드레인수가 연통로에 의하여 받아지는 것에 의하여 전장품 상자로 드레인수가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간이한 구성으로 드레인수가 전장품 상자로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모터 커버 상에 적하한 드레인수를 연통로로 유도하는 도수로(導水路)를 더 구비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도수로에 의하여 모터 커버 상에 적하한 드레인수가 연통로로 유도된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드레인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보조 배관은 연통로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보조 배관은 연통로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보조 배관은 모터 커버 상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모터 커버를 넘어 연통로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보조 배관의 설치 공간이 확대되어 있어 보조 배관의 설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연통로는 송풍 팬의 회전축의 높이 이하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연통로가 송풍 팬의 회전축의 높이 이하에 위치하고 있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중에서 비교적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드레인 팬 및 제2 드레인 팬의 위치도 낮게 할 수 있고, 나아가, 열교환기의 위치도 낮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제1 드레인 팬, 연통로 및 제2 드레인 팬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드레인수를 받는 제1 드레인 팬, 연통로 및 제2 드레인 팬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만약, 이들이 별체로 형성되어 접합되는 경우에는, 접합 부분으로부터 드레인수가 샐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6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발수부를 더 구비한다. 발수부에는, 제1 드레인 팬, 연통로 및 제2 드레인 팬으로부터 외부로 드레인수를 배출하는 발수 구멍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드레인 팬, 연통로, 제2 드레인 팬 및 발수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드레인 팬, 연통로, 제2 드레인 팬에 한하지 않고, 이들로부터 드레인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발수부에도 드레인수가 흐른다. 따라서 이 발수부가 연통로 등과 별체로 형성되어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접합 부분으로부터도 드레인수가 샐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제1 드레인 팬, 연통로, 제2 드레인 팬 및 발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누수가 발생할 우려를 한층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보조 배관은 회전축 방향으로 모터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송풍 팬과, 송풍 팬의 원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회전축 방향으로 송풍 팬과 나란히 배치되어 송풍 팬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에는 냉매가 흐르는 보조 배관이 접속된다. 이 보조 배관은 열교환기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열교환기의 측방의 공간으로 돌려져 실내기 외의 냉매 배관으로 접속되는 것이 많다. (일본국 특허 공개 평 11-173591호 공보 참조).
그런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내부에는, 실내기의 소형화 등을 위하여 복수의 구성 부품이 밀집하여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모터는 열교환기의 측방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많으며, 열교환기의 측방의 공간 일부를 점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열교환기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배관의 설치 공간은 한정되어 있고, 보조 배관의 돌림의 자유도도 한정되어 있다. 그 한편으로, 설계의 용이성 등의 관점으로부터는 보조 배관의 돌림의 자유도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열교환기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보조 배관이 모터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만일, 보조 배관이 모터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고, 보조 배관의 하방에 모터가 위치하고 있다고 하면, 보조 배관의 하방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는 모터가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 배관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제한된다. 그러나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보조 배관은 모터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보조 배관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모터에 의하여 제한될 우려가 적다. 따라서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보조 배관이 모터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도, 보조 배관의 돌림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보조 배관의 돌림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8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보조 배관은 회전축 방향으로 모터 커버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보조 배관이 회전축 방향으로 모터 커버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배관의 돌림이 모터 커버에 의하여 제한될 우려가 적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보조 배관의 돌림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9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연통로는 회전축 방향으로 모터 커버를 넘어가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연통로가 모터 커버를 넘어가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모터 커버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보조 배관으로부터 드레인수가 적하한 경우에도, 연통로가 적하한 드레인수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보조 배관이 모터 커버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된 경우에도, 보조 배관으로부터 적하하는 드레인수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공기 조화기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냉매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실내기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실내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상부 케이싱이 떼어내진 실내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상부 케이싱이 떼어내진 실내기의 우측 부분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실내 열교환기 유닛의 우측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내기의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하부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하부 유닛의 우측 부분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하부 유닛의 우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 조화기(1)의 외관을 도 1에 도시한다.
이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벽면 등에 장착되는 실내기(2)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3)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기(2) 내에는 실내 열교환기(50, 열교환기)가 수납되고, 실외기(3) 내에는 실외 열교환기(30)가 수납되어 있으며, 각 열교환기(30, 50)가 냉매 배관(4)에 의하여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 냉매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의 구성 개략〕
공기 조화기(1)의 냉매 회로의 구성을 도 2에 도시한다. 이 냉매 회로는, 주로 실내 열교환기(50), 어큐뮬레이터(31, accumulator), 압축기(32), 사방 전환 밸브(33), 실외 열교환기(30) 및 전동 팽창 밸브(34)로 구성된다.
실내기(2)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열교환기(50)는, 접촉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또한 실내기(2)에는, 실내 공기를 빨아들여 실내 열교환기(50)에 통과시켜 열교환이 행해진 후의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크로스 플로우 팬(71, 송풍 팬)이 설치되어 있다. 이 크로스 플로우 팬(71)은 길고 가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중심축이 수평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크로스 플로우 팬(71)은 실내기(2) 내에 설치되는 실내 팬 모터(72, 모터)에 의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된다. 실내기(2)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실외기(3)에는 압축기(32)와, 압축기(32)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사방 전환 밸브(33)와, 압축기(32)의 흡입측에 접속되는 어큐뮬레이터(31)와, 사방 전환 밸브(33)에 접속된 실외 열교환기(30)와, 실외 열교환기(30)에 접속된 전동 팽창 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팽창 밸브(34)는 필터(35) 및 액폐쇄 밸브(36)를 통하여 배관(41)에 접속되어 있고, 이 배관(41)을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50)의 일단과 접속된다. 또한 사방 전환 밸브(33)는 가스 폐쇄 밸브(37)를 통하여 배관(42)에 접속되어 있고, 이 배관(42)을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50)의 타단과 접속되어 있다. 이 배관(41, 42)은 도 1의 냉매 배관(4)에 상당한다. 또한 실외기(3)에는 실외 열교환기(30)에서의 열교환 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프로펠러 팬(38)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로펠러 팬(38)은 실외 팬 모터(39)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실내기의 구성〕
도 3a에 실내기(2)의 정면도, 도 3b에 실내기(2)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실내기(2)는 정면에서 볼 때 가로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정면에서 볼 때 및 측면에서 볼 때 상하로 색채가 나뉘어진 투 톤 컬러로 되어 있다.
실내기(2)는 주로, 상부 케이싱(6), 하부 유닛(7) 및 실내기(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실내 열교환기 유닛(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싱(6)은 실내기(2)의 상부를 덮고 있다. 하부 유닛(7)은 실내기(2)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부 케이싱(6)과 하부 유닛(7)은 별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케이싱(6)과 하부 유닛(7)의 일부와의 경계가 실내기(2)의 외관에 있어서 수평선으로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상부 케이싱(6)과 하부 유닛(7)의 일부와는 다른 색으로 되어 있고, 상부 케이싱(6)과 하부 유닛(7)의 경계인 수평선을 경계로 하여 상하로 다른 색의 투 톤 컬러로 되어 있다.
이하, 실내기(2)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내 열교환기 유닛>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50), 보조 배관(51), 열교환기 지지 부재(52)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도 4는 상부 케이싱(6)이 떼어내진 상태의 실내기(2)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상부 케이싱(6)이 떼어내진 상태의 실내기(2)의 상면도이며, 도 6은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의 우측 부분의 사시도이다.
[실내 열교환기]
실내 열교환기(5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원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전방, 상방 및 후방을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있다. 덧붙여, 도 7은 실내기(2)의 측면 단면도이다. 실내 열교환기(50)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흡입구(601, 611)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를 크로스 플로우 팬(71)측으로 통과시키고, 전열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게 한다. 실내 열교환기(50)는 제1 실내 열교환기(50a), 제2 실내 열교환기(50b), 제3 실내 열교환기(50c), 제4 실내 열교환기(50d)의 4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50)는 각 실내 열교환기(50a, 50b, 50c, 50d)가 각각 접합되는 것에 의하여, 측면에서 볼 때 양단이 하방을 향하여 굴곡하는 대체로 역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실내 열교환기(50a, 50b, 50c, 50d)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긴 판상(板狀)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각 실내 열교환기(50a, 50b, 50c, 50d)는, 양 측단에서 복수 회 되접어 꺾여 이루어지는 전열관과, 전열관이 관통되는 단책상(短冊狀)의 복수의 핀(fin)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열관은 각 실내 열교환기(50a, 50b, 50c, 50d)의 양 측단에서 U자형 전열관에 의하여 되접어 꺾여 있다.
제1 실내 열교환기(50a)는 상단이 실내기(2)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앙 상방으로부터 후측 상방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실내 열교환기(50b)는 상단이 실내기(2)의 후방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고, 제1 실내 열교환기(50a)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실내 열교환기(50b)의 상단은 제1 실내 열교환기(50a)의 상단과 접합되어 있고, 제1 실내 열교환기(50a) 와 제2 실내 열교환기(50b)는 측면에서 볼 때 역V자형이 되도록 조합되어 있다. 제2 실내 열교환기(50b)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앙 상방으로부터 전측 상방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실내 열교환기(50c)는, 제2 실내 열교환기(50b)의 하방에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전방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실내 열교환기(50c)의 상단은 제2 실내 열교환기(50b)의 하단에 각도를 두고 접합되어 있고, 제3 실내 열교환기(50c)와 제2 실내 열교환기(50b)에 의하여 둔각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실내 열교환기(50c)는 높이 방향, 즉, 연직 방향으로 평행이 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하방의 수평면을 덮는 하부 유닛(7)에 대해서 수직이 되어 있다. 또한 제3 실내 열교환기(50c)의 하단은 실내 열교환기(50)의 하단으로 되어 있고, 제3 실내 열교환기(50c)의 하단, 즉, 실내 열교환기(50)의 전측의 하단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심축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4 실내 열교환기(50d)는 제1 실내 열교환기(50a)의 하방에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후방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4 실내 열교환기(50d)의 상단은 제1 실내 열교환기(50a)의 하단에 각도를 두고 접합되어 있고, 제4 실내 열교환기(50d)와 제1 실내 열교환기(50a)에 의하여 둔각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실내 열교환기(50d)는 높이 방향으로 평행이 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하방의 수평면을 덮는 하부 유닛(7)에 대해서 수직이 되어 있다. 또한 제4 실내 열교환기(50d)의 하단은 실내 열교환기(50)의 후측의 하단으로 되어 있고, 제4 실내 열교환기(50d)의 하단, 즉 실내 열교환기(50)의 후측의 하단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심축과 대략 같 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3 실내 열교환기(50c)와 제4 실내 열교환기(50d)는 높이 방향으로 같은 길이를 가지고 있고, 제3 실내 열교환기(50c)와 제4 실내 열교환기(50d)의 상단 및 하단은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실내 열교환기(50)의 전측의 하단과 후측의 하단은 같은 높이가 되어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심축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50)의 전측 하단과 후측 하단은, 역V자형 부분의 전후 하단으로부터 연직 방향 하향으로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심축과 대략 같은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실내 열교환기(50a), 제2 실내 열교환기(50b), 제3 실내 열교환기(50c) 및 제4 실내 열교환기(50d)는, 각각 양 측단 (정면에서 볼 때의 좌우 방향의 단)에 설치된 고정판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접합되어 실내 열교환기(50)를 형성하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50)는 제1 실내 열교환기(50a)와 제2 실내 열교환기(50b)에 의하여 형성되는 역V자형의 부분과, 제1 실내 열교환기(50a)와 제2 실내 열교환기(50b)의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연직 방향 하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부분이 조합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50)는 역V자형의 정점을 넘어가는 연직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에 대해서 전후로 선대칭인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1 실내 열교환기(50a)와 제2 실내 열교환기(50b)가, 또한 제3 실내 열교환기(50c)와 제4 실내 열교환기(50d)가 전후 대칭으로 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50)는 측면에서 볼 때는 상기와 같이 전후 대칭인 역V자형을 포함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정면에서 볼 때는 가로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50)의 긴 쪽 방향의 길이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긴 쪽 방향의 길이와 대략 같게 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측단과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측단은 대략 일치하고 있다.
[보조 배관]
보조 배관(51)은, 실내 열교환기(50)와 실내기(2)의 외부에 있는 냉매 배관(4)을 연결하고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와 실외 열교환기(30) 간을 왕래하는 냉매가 흐른다. 보조 배관(51)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50)의 전열관에 접속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조 배관(51)은 실내 열교환기(50)의 우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측방의 공간으로 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배관(51)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50)의 우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실내 팬 모터(72) 및 실내 팬 모터(72)를 덮는 모터 커버부(55, 모터 커버, 후술)의 상방을 통하여, 실내 팬 모터(72) 및 모터 커버부(55)를 넘어 연통로(783, 후술)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 후, 보조 배관(51)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기(2)의 배면측을 향하고 또한 약간 하향으로 굴곡되어, 실내 팬 모터(72)를 덮는 모터 커버부(55)의 외측을 지나, 실내기(2)의 배면측에서 한층 상방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보조 배관(51)이 한데로 모여 보호 튜브(53)에 의하여 덮여 있다. 한데로 모인 보조 배관(51)은,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50)의 우측방의 공간을 실내기(2)의 배면측을 따라 하방으로 신장되고, 실내기(2)의 후측 하부의 공간에서 실내기(2)의 좌측면을 향하 여 한층 더 굴곡되어, 냉매 배관(4)에 접속되어 있다.
열교환기 지지 부재(52)는 실내 열교환기(50)의 우측면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50)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과 함께, 실내 팬 모터(72)를 덮고 있다. 열교환기 지지 부재(52)는 실내 팬 모터(72)를 드레인수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이 열교환기 지지 부재(52)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상부 케이싱>
상부 케이싱(6)은, 도 3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기(2)의 상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전면부(60), 상면부(61) 및 상측면부(62, 63)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전면부(60)는 실내기(2)의 전측 상부를 덮고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전방을 덮고 있다. 상전면부(60)는 대체로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일부에 단차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차의 상면에는 실내기(2)의 긴 쪽 방향으로 긴 슬릿상의 개구(開口)로 이루어지는 전면 흡입구(601)가 설치되어 있다. 전면 흡입구(601)는 실내기(2)의 상방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면부(61)는 실내기(2)의 상면을 덮고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상방을 덮고 있다. 상면부(61)에는 복수의 슬릿상의 개구로 이루어지는 상면 흡입구(6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면 흡입구(611)는 상면부(61)의 전측으로부터 후측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전면 흡입구(601)보다도 흡입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내기(2)의 상면 후측으로부터도 충분히 공기가 빨아들여지도록 되어 있다.
상측면부(62, 63)는 실내기(2)의 측면 상부를 덮고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측방을 덮고 있다. 상측면부(62, 63)에는 우상측면부(62)와 좌상측면부(63)가 있으며, 우상측면부(62)는 정면에서 볼 때 실내 열교환기(50)의 우측방에 배치되고, 좌상측면부(63)는 실내 열교환기(50)의 좌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싱(6)의 하단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케이싱(6)이 하부 유닛(7)에 씌워지는 것에 의하여, 상부 케이싱(6)과 하부 유닛(7)의 경계가 수평선으로 되어 실내기(2)의 정면에서 볼 때 및 측면에서 볼 때에서의 외관으로 나타난다.
<하부 유닛>
하부 유닛(7)은 실내기(2)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고,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70), 크로스 플로우 팬(71), 실내 팬 모터(72), 전장품 상자(73) 등이 모듈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싱]
하부 케이싱(70)은 하전면부(74), 저면부(75), 하측면부(76, 77), 지지부(78)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부 케이싱(6)과는 다른 색으로 되어 있다.
하전면부(74)는 정면에서 볼 때 실내기(2)의 전면 하부로서 시야에 나타나는 부분이고, 상단이 실내기(2)의 전측으로 경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전면부(74)의 상단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케이싱(6)의 하단과 함께 수평인 경계선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전면부(74)에는 실내기(2)의 긴 쪽 방향을 따르는 개구로 이루어지는 취출구(7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취출구(74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 팬(71)이 수납되어 있는 지지부(78)의 내부의 공간으로 연통하고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류는 취출구(741)를 통하여 실내로 불어나온다. 또한 취출구(741)에는 실내로 불어내는 공기가 안내되는 수평 플랩(74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수평 플랩(742)은 실내기(2)의 긴 쪽 방향으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 하는 것)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플랩 모터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하여 취출구(741)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저면부(75)는 실내기(2)의 저면을 덮고 있고,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저면부(75)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위에 지지부(78)가 배치되어 있다.
하측면부(76, 77)는 측면에서 볼 때 실내기(2)의 측면 하부로서 시야에 나타나는 부분이고, 실내기(2)의 측면 하부를 덮고 있다. 하측면부(76, 77)에는 우하측면부(76)와 좌하측면부(77)가 있으며, 우하측면부(76)는 정면에서 볼 때 실내기(2)의 우측에 배치되고, 좌하측면부(77)는 실내 열교환기(50)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면부(76, 77)의 상단은 하전면부(74)와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싱(6)이 하부 유닛(7)에 씌워진 상태에서는, 상부 케이싱(6)의 하단과, 하부 유닛(7)의 하전면부(74) 및 하측면부(76, 77)의 상단이 합치하여 수평한 경계선이 구성된다.
지지부(78)는 하전면부(74), 저면부(75), 하측면부(76, 77)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고, 지지부(78)의 상면은 하전면부(74) 및 하측면부(76, 77)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부(78)에는 상방으로부터 크로스 플로우 팬(71), 실내 팬 모터(72), 전장품 상자(73), 실내 열교환기 유닛(5) 등이 장착되고, 크로스 플로우 팬(71), 실내 팬 모터(72), 전장품 상자(73), 실내 열교환기 유닛(5) 등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부(78)는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의 열교환기 지지 부재(52)를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50)를 지지한다. 지지부(78)의 상면은 크로스 플로우 팬의 중심축과 대략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지지부(78)의 상면에는 드레인팬(781, 782)과 팬 수용부(787)가 설치되어 있다.
드레인팬(781, 782)은 열교환 시에 실내 열교환기(50)의 표면에 발생하는 물방울을 받는 부분이고, 지지부(78)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패인 오목상의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드레인팬(781, 782)에는 전드레인 팬(781, 제1 드레인팬)과 후드레인 팬(782, 제2 드레인팬)이 있고, 전드레인 팬(781)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실내 열교환기(50c)의 하방에, 즉 실내 열교환기(50)의 전측 하단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후드레인 팬(782)은, 제4 실내 열교환기(50d), 즉 실내 열교환기(50)의 후측 하단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전드레인 팬(781)과 후드레인 팬(782)은 크로스 플로우 팬(71)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배치되어 있다. 전드레인 팬(781)과 후드레인 팬(782)은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고, 전드레인 팬(781)과 후드레인 팬(782)의 저면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심축의 높이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지만, 실내 열교환기(50)의 하단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전드레인 팬(781)과 후드레인 팬(782)은, 각각 드레인수를 받는 저면이 실내기(2)의 우측으로 약간 경사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부(78)의 우측 부분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드레인 팬(781)과 후드레인 팬(782)을 연결하는 연통로(783)가 설치되어 있다. 연통로(783)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실내 팬 모터(72)와 전장품 상자(73) 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연통로(783)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회전축의 높이 이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연통로(783)에는 발수부(789)가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발수부(789)에는 연통로(783)로부터 하방으로 관통하고 있는 발수 구멍(78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발수 구멍(784)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레인수를 드레인 팬(781, 782)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호스(785)의 내부와 연통하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50)나 보조 배관(51)으로부터 적하한 드레인수는, 전드레인 팬(781)과 후드레인 팬(782)에 의하여 받아지고, 연통로(783)에서 모아져 발수 구멍(784)으로부터 드레인 호스(785)를 경유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들 전드레인 팬(781), 후드레인 팬(782), 연통로(783) 및 발수 구멍(784)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음매가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드레인 팬(781)의 우측 단부와 연통로(783)의 전측 단부가 일체로 되어 있다. 후드레인 팬(782)의 우측 단부와 연통로(783)의 후측 단부가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연통로(783)와 발수부(789)가 일체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드레인수가 받아지는 연통로(783)의 저면과, 발수부(789)의 발수 구멍(784)이 일체로 되어 있어 이음매 없이 연속하고 있다.
팬 수용부(787)는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실내 팬 모터(72)가 수용되는 부분이고, 지지부(78)의 상면의 중앙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팬 수용부(787)는 지지 부(78)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반원통 형상으로 패인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실내 팬 모터(72)의 하반분을 수용한다. 또한 지지부(78)의 내부에는 수용된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취출구(741)를 연통하는 공기 경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78)는 후드레인 팬(782)과 크로스 플로우 팬(71) 간에, 지지부(78)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설부(786, 舌部)를 가지고 있다. 이 설부(786)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후방을 덮고 있고, 설부(786)의 상단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보다 약간 낮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78)의 상면에는, 전드레인 팬(781), 후드레인 팬(782) 및 팬 수용부(787)가 설치되고, 설부(786)가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지만, 지지부(78)의 상면의 다른 부분은 대체로 평탄하고 또한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심선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78)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부분은 설부(786)이지만, 설부(786)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78)의 상면은, 하전면부(74) 및 하측면부(76, 77)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지부(78)를 포함한 하부 케이싱(70)의 각 부분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로 되어 있다.
덧붙여, 지지부(78)의 상면의 배면측도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높이 이하로 되어 있는데, 상부 케이싱(6)의 상면부(61)와 지지부(78) 상면의 배면측 간의 부분은, 실내의 벽면에 장착되는 설치판(8)에 의하여 막힌다 (도 7 참조). 설치판(8) 은 실내기(2)의 긴 쪽 방향으로는 실내 열교환기(50)와 대략 같은 길이를 가지고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배면측을 덮고 있다. 설치판(8)은 실내기(2)의 배면측을 덮는 것에 의하여, 실내 열교환기(50)에서 열교환되는 공기가 통하는 공기 유로를 상부 케이싱(6)과 함께 형성하고 있고, 특히 배면측 공기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크로스 플로우 팬]
크로스 플로우 팬(71)은 길고 가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심축 즉, 회전축이 수평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둘레면에는 날개가 설치되어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이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류를 생성한다. 이 공기류는 전면 흡입구(601) 및 상면 흡입구(611)로부터 받아들여지고 실내 열교환기(50)를 통하여 취출구(741)로부터 실내로 불어나오는 공기의 흐름이다. 크로스 플로우 팬(71)은 측면에서 볼 때 실내기(2)의 대체로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크로스 플로우 팬(71)은 지지부(78)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된 상태의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상반분은 지지부(78)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실내 팬 모터]
실내 팬 모터(72)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을 회전축 주위로 회전 구동한다. 실내 팬 모터(7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대략 같은 직경을 가지는 얇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실내 팬 모터(72)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우측방에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동축(同軸)에 배치되어 있 고, 평면에서 볼 때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회전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실내 팬 모터(72)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우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실내 팬 모터(72)의 우측에는 연통로(783)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 팬 모터(72)와 크로스 플로우 팬(71)은, 평면에서 볼 때, 전드레인 팬(781), 연통로(783) 및 후드레인 팬(782)에 의하여 주위를 둘러싸여 있다. 또한 실내 팬 모터(72)가 지지부(78)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실내 팬 모터(72)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는 대략 같게 되어 있다 (도 8 참조).
[전장품 상자]
전장품 상자(73)는, 도 5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기(2)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731)을 수용한다. 전장품 상자(73)는 직방체의 상자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하부 케이싱(70)의 우하측면부(76)와 지지부(78) 간에 배치되어,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의 우측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장품 상자(73)는 지지부(78)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통로(783)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크로스 플로우 팬(71), 실내 팬 모터(72), 연통로(783) 및 전장품 상자(73)는, 평면에서 볼 때 회전축 방향으로 순차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장품 상자(73)는 실내 팬 모터(72)의 우측방에서 지지부(78)의 우측면에 장착되어 지지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이 하부 유닛(7)에 장착되기 전에 지지부(78)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전장품 상자(73)는 전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전장품 상자(73)의 후방의 공간은 전술한 보호 튜브(53)로 덮힌 보조 배관(51)이 통하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전장품 상자(73)는 제어 기판(731)에 장착된 제어 부품 중 용량이 큰 콘덴서나 파워트랜지스터 등의 강전(强電) 부품(732)이 실내 팬 모터(72)와 축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측면에서 볼 때 실내 팬 모터(72)와 전장품 상자(73)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장품 상자(73)의 상면은, 하부 케이싱(70)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실내 팬 모터(72)의 정상 부분, 즉,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내 팬 모터(72), 전장품 상자(73), 하부 케이싱(70)의 모든 부분이, 하부 케이싱(70)에 지지된 상태의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에 위치하고 있어, 하부 유닛(7)은 전체로서 높이 방향으로 비교적 치수가 작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열교환기 지지 부재]
다음으로, 열교환기 지지 부재(52)의 구성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열교환기 지지 부재(52)는 실내 열교환기(50)의 우측 부근에 설치되며, 열교환기 지지부(54)와 모터 커버부(55)와 드레인수 가이드부(56, 도수로)를 가지고 있다.
열교환기 지지부(54)는 실내 열교환기(50)의 역V자형을 따른 형상을 가지는 판상의 부분이고, 실내 열교환기(50)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모터 커버부(55)는 실내 팬 모터(72)의 상반분을 덮고 있고, 주로, 상면 커버부(551), 측면 커버부(552), 전면 커버부(553) 및 후면 커버부(55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면 커버부(551)는 원호상(圓弧狀)으로 만곡하는 곡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열교환기 지지부(54)로부터 실내 열교환기(50)의 측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면 커버부(551)는 실내 팬 모터(72)의 원주면의 상반분과 대향하고 있고, 실내 팬 모터(72)의 상방을 덮고 있다.
측면 커버부(552)는 대체로 반원형의 판상의 부분이고, 상면 커버부(551)에 대해서 수직이 되어 있다. 측면 커버부(552)는 실내 팬 모터(72)의 우측의 단면을 구성하는 원형면의 상반분에 대향하고 있고, 실내 팬 모터(72)의 우측방을 덮고 있다.
전면 커버부(553) 및 후면 커버부(554)는 각각 실내 팬 모터(72)의 전방과 후방을 덮고 있다.
덧붙여,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50)의 측면으로부터는 보조 배관(51)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 커버부(55)는 보조 배관(51)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모터 커버부(55)는 보조 배관(51)으로부터 적하한 드레인수가 드레인수 가이드부(56)로 흐르도록 형성되어 있어, 드레인수로부터 실내 팬 모터(72)를 보호하고 있다.
드레인수 가이드부(56)는 모터 커버부(55)의 전방, 우측방 및 후방을 둘러싸고 있고, 모터 커버부(55) 상에 적하하여 흐르는 드레인수를 드레인 팬(781, 782)이나 연통로(783)로 안내한다. 드레인수 가이드부(56)는 평면에서 볼 때, 모터 커버부(55)의 전측, 우측 및 후측에 따른 コ자형의 형상을 가지는 저면부(561) 및 측벽부(562)를 가지고 있다.
저면부(561)는 측면 커버부(552), 전면 커버부(553) 및 후면 커버부(554)의 하단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다. 모터 커버부(55)의 전측에 위치하는 저면부(561)의 좌측단은 제3 실내 열교환기(50c)의 측면의 하단과 근접하고 있고, 전드레인 팬(781)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모터 커버부(55)의 후측에 위치하는 저면부(561)의 좌측단은 제4 실내 열교환기(50d)의 측면의 하단에 근접하고 있고, 후드레인 팬(782)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측벽부(562)는 저면부(561)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하고 있고 드레인수를 안내한다.
제3 실내 열교환기(50c)의 측면의 하단과 저면부(561)의 전측의 좌측단 간에는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4 실내 열교환기(50d)의 측면의 하단과 저면부(561)의 후측의 좌측단 간에도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드레인수 가이드부(56)에 의하여 받아지는 드레인수는, 이들 간극으로부터 전드레인 팬(781)이나 후드레인 팬(782)으로 흘러, 기외로 배출된다 (도 6의 흰색 화살표 A1 참조). 또한 측벽부(562) 중 모터 커버부(55)의 우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일부에 노치(563, notch)가 설치되어 있어, 모터 커버부(55) 상에 적하한 드레인수는 이 노치(563)로부터도 배출된다. 측벽부(562) 중 모터 커버부(55)의 우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평면에서 볼 때 연통로(783)의 일부에 걸쳐지도록 연통로(783)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노치(563)로부터 배출된 드레인수는 연통로(783)에서 받아져 기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연통로(783)는 모터 커버부(55)를 넘어간 외측에, 평면에서 볼 때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회전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보조 배관(51)으로부터 적하한 드레인수를 받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배관(51)으로부터 적하한 드레인수는, 상면 커버부(551), 드레인수 가이드부(56) 또는 연통로에 의하여 받아진다.
상면 커버부(551) 상에 적하한 드레인수는, 곡면 상을 전방, 후방 또는 측방으로 흘러 드레인수 가이드부(56)로 흐른다. 드레인수는 드레인수 가이드부(56)의 좌측단으로부터 전드레인 팬(781) 또는 후드레인 팬(782)으로 흘러 기외로 배출된다. 또한 측방으로 흐른 드레인수는, 드레인수 가이드부(56)의 노치(563)로부터도 배출되어 연통로(783)에서 받아져 기외로 배출된다.
드레인수 가이드부(56)로 직접 적하한 드레인수도 마찬가지로, 드레인수 가이드부(56)의 좌측단으로부터 전드레인 팬(781) 또는 후드레인 팬(782)으로 흐르고, 혹은 노치(563)로부터 연통로(783)로 흘러 기외로 배출된다.
또한, 보조 배관(51)은 모터 커버부(55)를 넘어 연통로(783)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배관(51)으로부터 연통로(783)로 직접 드레인수가 적하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드레인수는 연통로(783)에서 받아져 기외로 배출된다.
〔특징〕
[1]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회전축 방향으로, 크로스 플로우 팬(71), 실내 팬 모터(72), 연통로(783)의 순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실내 팬 모터(72)를 덮는 모터 커버부(55) 상에 적하한 드레인수가 모터 커버부(55)의 외측으로 흘러도 연통로(783)가 드레인수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모터 커버부(55) 상에 적하한 드레인수는, 모터 커버부(55)의 전후로 흘러 전드레인 팬(781) 및 후드레인 팬(782)에 의하여 받아져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드레인수가 외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 등을 모터 커버 상에 설치할 필요 없이, 연통로(783)에 의하여 모터 커버부(55)의 외측으로 흐르는 드레인수를 처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간이한 구성으로 드레인수를 처리할 수 있다.
[2]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전장품 상자(73)와 실내 팬 모터(72)간에 연통로(78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 커버부(55) 상에 적하한 드레인수는 전장품 상자(73)에 이르기 전에 연통로(783)에 의하여 받아져 처리된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전장품 상자(73)로 드레인수가 흘러 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3]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모터 커버부(55) 상에 적하한 드레인수가 드레인수 가이드부(56)에 의하여, 전드레인 팬(781), 후드레인 팬(782) 또는 연통로(783)로 유도된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모터 커버(55) 상에 적하한 드레인수가 전드레인 팬(781), 후드레인 팬(782) 또는 연통로(783)로 흐르기 쉽게 되어 있어, 드레인수의 처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4]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보조 배관(51)은 연통로(783)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보조 배관(51)은 모터 커버부(55)의 상방뿐만 아니라, 모터 커버부(55)를 넘어 연통로(783)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보조 배관(51)의 설치 공간이 확대하고 있어, 보조 배관(51)의 돌림의 자유도가 향상하고 있다.
나아가, 보조 배관(51)으로부터 드레인수가 적하한 경우도, 연통로(783)가 드레인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보조 배관(51)으로부터 적하한 드레인수도 적절히 처리되어 배출된다.
[5]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연통로(783)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회전축의 높이 이하에 위치하고 있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중에서 비교적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드레인 팬(781) 및 후드레인 팬(782)의 위치도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실내 열교환기(50)의 위치도 낮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소형화되어 있다.
[6]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전드레인 팬(781), 후드레인 팬(782), 연통로(783) 및 발수 구멍(78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이음매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이 별체로 형성되어 접합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접합 부분에 미소한 간극이 생겨, 이 간극으부터 누수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전드레인 팬(781), 후드레인 팬(782), 연통로(783) 및 발수 구멍(784)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간극이 생길 우려가 없어 누수가 생길 우려가 적게 되어 있다.
[7]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실내 열교환기(5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배관(51)이, 실내 팬 모터(72) 및 모터 커버부(55)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조 배관(51)은 모터 커버부(55)의 외측을 지나도록 돌려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보조 배관(51)과 모터 커버부(55)가 겹쳐져 있는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만약, 보조 배관(51)이 실내 팬 모터(72) 및 모터 커버부(55)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보조 배관(51)의 하방에는 실내 팬 모터(72) 및 모터 커버부(55)가 위치하기 때문에, 보조 배관(51)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제한된다.
그러나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배관(51)이 실내 팬 모터(72) 및 모터 커버부(55)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어, 모터 커버부(55)와 측면에서 볼 때 겹치는 높이까지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보조 배관(51)을 돌릴 수 있는 공간이 확대하고 있어, 보조 배관(51)의 돌림의 자유도가 향상하고 있다.
[8]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연통로(783)가 열교환기 지지 부재(52)의 모터 커버부(55)를 넘어가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모터 커버부(55)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보조 배관(51)으로부터 드레인수가 적하한 경우에도, 연통로(783)가 적하한 드레인수를 연통로(783)에 의하여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보조 배관(51)으로부터 적하하는 드레인수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실내 팬 모터(72)와 연통로(783)는, 적어도 평면에서 볼 때, 회전축 방향으로 순차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면 무방하며, 모든 것이 같은 높이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전장품 상자도 평면에서 볼 때 회전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데, 반드시 회전축과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이용하면, 평면에서 볼 때 송풍 팬의 회전축 방향으로, 송풍 팬, 모터 및 연통로의 순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모터를 덮는 모터 커버 상에 적하한 드레인수가 외측으로 흘러도 연통로가 드레인수를 받을 수 있어 간이한 구성으로 드레인수를 처리할 수 있다.

Claims (10)

  1. 원통 형상을 가지고 회전축이 대략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는 송풍 팬(71, fan)과,
    상기 송풍 팬(71)의 상방을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송풍 팬(71)의 원주면에 대향하는 열교환기(50)와,
    상기 열교환기(5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배관(51)과,
    상기 송풍 팬(71)과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송풍 팬(71)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72)와,
    상기 보조 배관(51)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72)를 덮는 모터 커버(55)와,
    상기 송풍 팬(71)을 사이에 두도록 전후로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기(50)로부터 적하(滴下)하는 드레인수를 받는 제1 드레인 팬(781) 및 제2 드레인 팬(782)과,
    상기 모터 커버(55)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1 드레인 팬(781)과 상기 제2 드레인 팬(782)을 연통(連通)시키는 연통로(783)
    를 구비하며,
    상기 송풍 팬(71)과 상기 모터(72)와 상기 연통로(783)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송풍 팬(71), 상기 모터(72), 상기 연통로(783)의 순으로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2. 제1항에 있어서,
    전장품(731, 732, 電裝品)이 수용되는 전장품 상자(73)를 더 구비하며,
    상기 송풍 팬(71)과 상기 모터(72)와 상기 연통로(783)와 상기 전장품 상자(73)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송풍 팬(71), 상기 모터(72), 상기 연통로(783), 상기 전장품 상자(73)의 순으로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커버(55) 상에 적하한 드레인수를 상기 연통로(783)로 유도하는 도수로(56, 導水路)를 더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관(51)은, 상기 연통로(783)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783)는, 상기 송풍 팬(71)의 상기 회전축의 높이 이하에 위치하고 있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레인 팬(781), 상기 연통로(783) 및 상기 제2 드레인 팬(782)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레인 팬(781), 상기 연통로(783) 및 상기 제2 드레인 팬(782)으로부터 외부로 드레인수를 배출하는 발수 구멍(784)이 설치된 발수부(789)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드레인 팬(781), 상기 연통로(783), 상기 제2 드레인 팬(782) 및 상기 발수부(789)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관(51)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모터(72)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관(51)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모터 커버(55)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783)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모터 커버(55)를 넘어가는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KR1020057005176A 2002-12-02 2003-11-20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641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50028 2002-12-02
JP2002350029A JP4228672B2 (ja) 2002-12-02 2002-12-02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JP-P-2002-00350029 2002-12-02
JP2002350028A JP4341233B2 (ja) 2002-12-02 2002-12-02 空気調和機の室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461A KR20050074461A (ko) 2005-07-18
KR100641557B1 true KR100641557B1 (ko) 2006-11-01

Family

ID=3268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176A KR100641557B1 (ko) 2002-12-02 2003-11-20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16501B2 (ko)
EP (1) EP1568944A4 (ko)
KR (1) KR100641557B1 (ko)
CN (1) CN2702218Y (ko)
AU (1) AU2003284611B2 (ko)
WO (1) WO2004057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77652B2 (en) * 2002-11-14 2006-04-27 Daikin Industries, Ltd.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4341233B2 (ja) * 2002-12-02 2009-10-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734364B1 (ko) * 2005-12-28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EP1950503A1 (en) 2007-01-26 2008-07-30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air inlet via movable front panel and air outlet via bottom/top towards rearside
JP2009257655A (ja) * 2008-03-04 2009-11-05 Daikin Ind Ltd 冷凍装置
JP5425106B2 (ja) * 2009-02-05 2014-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US20120097367A1 (en) * 2009-07-10 2012-04-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5409544B2 (ja) * 2010-08-04 2014-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WO2014109970A1 (en) 2013-01-11 2014-07-17 Carrier Corporation Fan coil unit with shrouded fan
JP6248486B2 (ja) * 2013-09-11 2017-12-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ダクト型室内機
JP6311427B2 (ja) * 2014-04-18 2018-04-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AU2017408472B2 (en) * 2017-04-05 2020-04-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1290A (en) * 1971-08-09 1973-06-26 Premix Inc Enclosure for air conditioners and the like
JPS6029531A (ja) * 1983-07-26 1985-02-14 Sanyo Electric Co Ltd 空気清浄機
JPH02172545A (ja) * 1988-12-23 1990-07-04 Hiroaki Kanazawa 空気清浄機
US5341650A (en) * 1992-03-13 1994-08-30 Kabushiki Kaisha Toshiba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inlets for taking in indoor air at a plurality of portions of main body thereof
US5445214A (en) * 1992-05-07 1995-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ling/heating air conditioner and control circuit thereof
US5332425A (en) * 1993-02-22 1994-07-26 Hung Hsing Electric Co., Ltd. Air purifier
JP3038135B2 (ja) * 1995-05-22 2000-05-08 東芝エー・ブイ・イー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US5678417A (en) * 1995-06-28 1997-10-21 Kabushiki Kaisha Toshiba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dehumidifying operation function
TW320264U (en) 1995-07-05 1997-11-11 Toshiba Co Ltd Kk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3218276B2 (ja) * 1995-09-29 2001-10-15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235948B2 (ja) * 1995-07-05 2001-12-0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H1137491A (ja) * 1997-07-18 1999-02-12 Noritz Corp 浴室暖房乾燥装置
JP2000028156A (ja) * 1998-07-08 2000-01-25 Hitachi Ltd 空気調和機室内ユニットの部品構造及び部品の組立方法
JP2001221497A (ja) * 2000-02-04 2001-08-1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4418095B2 (ja) * 2000-08-30 2010-02-1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6477854B2 (en) * 2000-09-08 2002-11-12 Lg Electronics Inc. Small air conditioner and dehumidifying device by using the same
JP2002106953A (ja) * 2000-09-28 2002-04-10 Toyo Radiator Co Ltd クロスフローファンを有する空調用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07408B2 (ja) 2001-01-16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797262B2 (ja) * 2001-03-19 2011-10-1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2002310448A (ja) * 2001-04-05 2002-10-23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8944A1 (en) 2005-08-31
AU2003284611B2 (en) 2006-11-23
KR20050074461A (ko) 2005-07-18
AU2003284611A1 (en) 2004-07-14
US20060112710A1 (en) 2006-06-01
EP1568944A4 (en) 2012-10-10
CN2702218Y (zh) 2005-05-25
WO2004057242A1 (ja) 2004-07-08
US7216501B2 (en) 200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55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238513B1 (ko) 공기조화기
KR10060584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조립 방법
JP422867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605923B1 (ko)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434123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399196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4163016A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33312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388577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熱交換器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4361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903970B2 (ja) シール構造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818050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724014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291872B1 (ko) 룸에어콘용실내기의배수장치
JP200417003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417003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製造方法
JP2005226973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00008757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501684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5024217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050112237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50102908A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차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