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843B1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843B1
KR100605843B1 KR1020047012547A KR20047012547A KR100605843B1 KR 100605843 B1 KR100605843 B1 KR 100605843B1 KR 1020047012547 A KR1020047012547 A KR 1020047012547A KR 20047012547 A KR20047012547 A KR 20047012547A KR 100605843 B1 KR100605843 B1 KR 100605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unit
indoor
air conditione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376A (ko
Inventor
테라다유이치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는,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실내 열교환기(50)와, 지지 유닛(70)을 구비한다. 실내 열교환기(50)는, 대략 역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냉매가 흐르는 보조 배관이 접속되어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상방을 덮도록 배치된다. 지지 유닛(70)은, 크로스 플로우 팬(71)을 지지한다. 그리고, 지지 유닛(70)의 각부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있다.
공기 조화기, 실내기, 크로스 플로우 팬, 지지 유닛, 실내 열교환기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조립 방법{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열교환기와 송풍 팬(fan)을 구비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보내는 것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는 것이 있다. 열교환기에는, 냉매가 흐르는 배관이 접속되고, 이 배관으로부터 열교환기로 흐르는 냉매와 실내 공기 간에 열교환이 행해진다. 열교환기와 송풍 팬은, 열교환기가 송풍 팬의 상방을 덮도록 지지 유닛에 배치되는 것이 많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 팬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 이 지지 유닛 (바닥 프레임 조립체)은, 송풍 팬의 상방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많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2-195595호 공보 참조).
상기와 같이 지지 유닛이 송풍 팬의 상방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경우, 열교환기의 장착이 행해지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즉, 지지 유닛이 송풍 팬의 상방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열교환기를 송풍 팬의 상방을 덮도록 장착할 때에, 열교환기에 접속되어 있는 배관과 지지 유닛이 접촉하 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열교환기를 지지 유닛에 장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 팬과, 열교환기와, 지지 유닛을 구비한다. 열교환기는, 대략 역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냉매가 흐르는 배관이 접속되어 있고, 송풍 팬의 상방을 덮도록 배치된다. 지지 유닛은, 송풍 팬을 지지한다. 그리고, 지지 유닛의 각부는, 송풍 팬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있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지지 유닛의 각부는, 송풍 팬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는, 송풍 팬의 상방을 덮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열교환기의 장착시에, 지지 유닛의 각부가 열교환기에 접속되어 있는 배관의 방해로 될 우려가 적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열교환기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송풍 팬의 전방, 상방 및 후방을 덮도록 배치된다.
열교환기가, 송풍 팬의 전방, 상방 및 후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면 열교환기와 송풍 팬과의 거리가 짧아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열교환기와 송풍 팬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송풍 팬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이 열교환기에 접속되는 배관의 방해로 되기 쉽다.
그러나,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지지 유닛의 각부는, 송풍 팬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열교환기가 송풍 팬의 전방, 상방 및 후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도, 열교환기의 장착시에 지지 유닛의 각부가 열교환기에 접속되는 배관의 방해로 될 우려가 적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소형화가 가능함과 함께 열교환기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송풍 팬이 장착된 상태의 지지 유닛에 장착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열교환기는, 송풍 팬이 장착된 상태의 지지 유닛에 장착되기 때문에, 열교환기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송풍 팬이 지지 유닛에 장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 팬이 지지 유닛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지지 유닛의 각부가 송풍 팬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이다. 따라서, 송풍 팬과 지지 유닛을 합한 유닛이 소형화되어 있고, 그 반송이 행하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송풍 팬과 지지 유닛을 합한 유닛의 반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3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전장품(電裝品) 상자를 더 구비한다. 전장품 상자는, 전장품이 수용되고, 송풍 팬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로 되도록 지지 유닛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전장품 상자는, 지지 유닛에 장착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지지 유닛과 송풍 팬과 전장품 상자를 유닛 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장품 상자가 지지 유닛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지지 유닛의 각부와 전장품 상자가 송풍 팬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 유닛과 송풍 팬과 전장품 상자를 합한 유닛이 소형화되어 있어, 그 반송이 행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송풍 팬과 전장품 상자와 지지 유닛을 합한 유닛의 반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4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송풍 팬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중심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구동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다. 구동 장치는, 송풍 팬을 회전 구동하고, 송풍 팬과 같은 축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장품 상자는, 전장품 중 강전(强電) 부품이 구동 장치와 축 방향에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전장품 상자에 수용되는 전장품 중 강전 부품은 비교적 큰 부품이다. 이 때문에, 전장 상자가 송풍 팬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로 되도록 하는 컴팩트한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 강전 부품의 배치가 문제로 된다.
그러나,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송풍 팬과 구동 장치와 강전 부품이 축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즉, 송풍 팬과 구동 장치와 강전 부품은 수평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장품 상자가 연직 방향으로 커지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전장 상자가 송풍 팬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로 되도록 하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청구항 4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송풍 팬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지지 유닛은, 송풍 팬, 전장품 상자 및 구동 장치를 정면에서 볼 때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하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지지 유닛은, 송풍 팬, 전장품 상자 및 구동 장치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따라서, 지지 유닛 위에 송풍 팬, 전장품 상자 및 구동 장치를 얹은 상태로 각 구성 부품을 함께 반송할 수 있다. 또한, 하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 팬, 전장품 상자 및 구동 장치를 얹은 상태에서도 안정감이 있어, 반송이 행하기 쉬워진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조립 방법은, 제1 스텝과 제2 스텝과 제3 스텝을 구비한다. 제1 스텝은, 송풍 팬을 지지한 상태에서 그 각부가 송풍 팬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있는 지지 유닛에, 송풍 팬을 장착한다. 제2 스텝은, 제1 스텝의 후에, 냉매가 흐르는 배관이 접속되어 있고 송풍 팬의 상방을 덮도록 배치되는 열교환기를 장착한다. 제3 스텝은, 제2 스텝의 후에, 열교환기의 배면측을 덮어 배면측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배면 부재를 장착한다.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조립 방법에서는, 지지 유닛의 각부가 송풍 팬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를 장착할 때에 지지 유닛의 각부가 열교환기에 접속되는 배관의 방해가 될 우려가 적다. 또한, 먼저 열교환기가 장착되고 나서 배면 부재가 장착되기 때문에, 배면 부재가 열교환기에 접속되는 배관의 방해로 될 우려도 적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조립 방법에서는, 열교환기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공기 조화기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냉매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실내기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실내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상부 케이싱이 떼어진 실내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실내기의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상부 케이싱이 떼어진 실내기의 우측 부분의 상면도이다.
도 7은, 하부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하부 유닛의 우측 부분의 상면도이다.
도 9는, 하부 유닛의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내기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11a는, 실내기의 우측면의 개략도이다.
도 11b는,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내기의 우측면의 개략도이다.
〔공기 조화기의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 조화기(1)의 외관을 도 1에 도시한다.
이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벽면 등에 장착되는 실내기(2)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3)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기(2) 내에는 실내 열교환기(50)가 수납되고, 실외기(3) 내에는 실외 열교환기(30)가 수납되어 있고, 각 열교환기(30, 50)가 냉매 배관(4)에 의하여 접속 되는 것에 의하여 냉매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의 구성 개략〕
공기 조화기(1)의 냉매 회로의 구성을 도 2에 도시한다. 이 냉매 회로는, 주로 실내 열교환기(50), 어큐뮬레이터(31, accumulator), 압축기(32), 사방 전환 밸브(33), 실외 열교환기(30) 및 전동 팽창 밸브(34)로 구성된다.
실내기(2)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열교환기(50)는, 접촉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또한, 실내기(2)에는, 실내 공기를 빨아들여 실내 열교환기(50)로 통과시켜 열교환이 행해진 후의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크로스 플로우 팬(7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크로스 플로우 팬(71)은, 길고 가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심축이 수평 방향에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크로스 플로우 팬(71)은, 실내기(2) 내에 설치되는 실내 팬 모터(72)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실내기(2)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실외기(3)에는, 압축기(32)와, 압축기(32)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사방 전환 밸브(33)와, 압축기(32)의 흡입측에 접속되는 어큐뮬레이터(31)와, 사방 전환 밸브(33)에 접속된 실외 열교환기(30)와, 실외 열교환기(30)에 접속된 전동 팽창 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팽창 밸브(34)는, 필터(35) 및 액폐쇄 밸브(36)를 통하여 배관(41)에 접속되어 있고, 이 배관(41)을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50)의 일단과 접속된다. 또한, 사방 전환 밸브(33)는, 가스 폐쇄 밸브(37)를 통하여 배관(42)에 접속되어 있고, 이 배관(42)을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50)의 타단과 접속되어 있다. 이 배관(41, 42)은, 도 1의 냉매 배관(4)에 상당한다. 또한, 실외기(3) 에는, 실외 열교환기(30)에서의 열교환 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프로펠러 팬(38)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로펠러 팬(38)은, 실외 팬 모터(39)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실내기의 구성〕
도 3a에 실내기(2)의 정면도, 도 3b에 실내기(2)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실내기(2)는, 정면에서 볼 때 가로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정면에서 볼 때 및 측면에서 볼 때 상하로 색채가 나뉘어진 투 톤 컬러로 되어 있다.
실내기(2)는, 주로, 상부 케이싱(6), 하부 유닛(7) 및 실내기(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실내 열교환기 유닛(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싱(6)은, 실내기(2)의 상부를 덮고 있다. 하부 유닛(7)은 실내기(2)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부 케이싱(6)과 하부 유닛(7)은 별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케이싱(6)과 하부 유닛(7)의 일부와의 경계가 실내기(2)의 외관에 있어서 수평선으로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상부 케이싱(6)과 하부 유닛(7)의 일부는 다른 색으로 되어 있고, 상부 케이싱(6)과 하부 유닛(7)의 경계인 수평선을 경계로 하여 상하로 다른 색의 투 톤 컬러로 되어 있다.
이하, 실내기(2)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내 열교환기 유닛〉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50), 보조 배관(51), 보조 지지 부재(52)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도 4는, 상부 케이싱(6)이 떼어내진 상태의 실내기(2)의 우측면도이다.
도 5에 실내기(2)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실내 열교환기(50)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전방, 상방 및 후방을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흡입구(601, 611)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를 크로스 플로우 팬(71)측으로 통과시키고, 전열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게 한다. 실내 열교환기(50)는, 제1 실내 열교환기(50a), 제2 실내 열교환기(50b), 제3 실내 열교환기(50c), 제4 실내 열교환기(50d)의 4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50)는, 각 실내 열교환기(50a, 50b, 50c, 50d)가 각각 접합되는 것에 의하여, 측면에서 볼 때 양단이 하방을 향하여 굴곡하는 대체로 역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실내 열교환기(50a, 50b, 50c, 50d)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긴 판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각 실내 열교환기(50a, 50b, 50c, 50d)는, 양 측단에서 복수 회 되접어 꺾여 이루어지는 전열관과, 전열관이 관통되는 단책상(短冊狀)의 복수의 핀(fin)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열관은, 각 실내 열교환기(50a, 50b, 50c, 50d)의 양 측단에 있어서 U자형 전열관에 의하여 되접어 꺾여 있다.
제1 실내 열교환기(50a)는, 상단이 실내기(2)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앙 상방으로부터 후측 상방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실내 열교환기(50b)는, 상단이 실내기(2)의 후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고, 제1 실내 열교환기(50a)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실내 열교환기(50b)의 상단은, 제1 실내 열교환기(50a)의 상단과 접합되어 있고, 제1 실내 열교환기(50a)와 제2 실내 열교환기(50b)는, 측면에서 볼 때 역V자형이 되도록 조합되어 있다. 제2 실내 열교환기(50b)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앙 상방으로부터 전측 상방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실내 열교환기(50c)는, 제2 실내 열교환기(50b)의 하방에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전방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실내 열교환기(50c)의 상단은 제2 실내 열교환기(50b)의 하단에 각도를 두고 접합되어 있고, 제3 실내 열교환기(50c)와 제2 실내 열교환기(50b)에 의하여 둔각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실내 열교환기(50c)는, 높이 방향, 즉 연직 방향으로 평행이 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하방의 수평면을 덮는 하부 유닛(7)에 대해서 수직이 되어 있다. 또한, 제3 실내 열교환기(50c)의 하단은 실내 열교환기(50)의 하단으로 되어 있고, 제3 실내 열교환기(50c)의 하단, 즉 실내 열교환기(50)의 전측의 하단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심축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4 실내 열교환기(50d)는, 제1 실내 열교환기(50a)의 하방에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후방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4 실내 열교환기(50d)의 상단은, 제1 실내 열교환기(50a)의 하단에 각도를 두고 접합되어 있고, 제4 실내 열교환기(50d)와 제1 실내 열교환기(50a)에 의하여 둔각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실내 열교환기(50d)는, 높이 방향으로 평행이 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하방의 수평면을 덮는 하부 유닛(7)에 대해서 수직이 되어 있다. 또한, 제4 실내 열교환기(50d)의 하단은, 실내 열교환기(50)의 후측의 하단으로 되어 있고, 제4 실내 열교환기(50d)의 하단, 즉 실내 열교환기(50)의 후측의 하단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심축 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3 실내 열교환기(50c)와 제4 실내 열교환기(50d)는 높이 방향으로 같은 길이를 가지고 있고, 제3 실내 열교환기(50c)와 제4 실내 열교환기(50d)의 상단 및 하단은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실내 열교환기(50)의 전측의 하단과 후측의 하단은 같은 높이가 되어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심축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50)의 전측 하단과 후측 하단은, 역V자형 부분의 전후 하단으로부터 연직 방향 아래 방향으로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심축과 대략 같은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실내 열교환기(50a), 제2 실내 열교환기(50b), 제3 실내 열교환기(50c) 및 제4 실내 열교환기(50d)는, 각각 양 측단 (정면에서 볼 때의 좌우 방향의 단)에 설치된 고정판에 의하여 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접합되어 실내 열교환기(50)를 형성하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50)는, 제1 실내 열교환기(50a)와 제2 실내 열교환기(50b)에 의하여 형성되는 역V자형의 부분과, 제1 실내 열교환기(50a)와 제2 실내 열교환기(50b)의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연직 방향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부분이 조합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50)는, 역V자형의 정점을 지나는 연직 방향에 평행한 직선에 대해서 전후로 선대칭인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1 실내 열교환기(50a)와 제2 실내 열교환기(50b)가, 또한, 제3 실내 열교환기(50c)와 제4 실내 열교환기(50d)가 전후로 대칭으로 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50)는, 측면에서 볼 때는 상기와 같이 전후 대칭인 역V자형을 포함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정면에서 볼 때는 가로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보조 배관(51)은, 실내 열교환기(50)와, 실내기(2)의 외부에 있는 냉매 배관(4)을 연결하고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와 실외 열교환기(30) 간을 왕래하는 냉매가 흐른다. 보조 배관(51)은,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50)의 전열관에 접속되어 있다. 덧붙여, 도 6은, 상부 케이싱(6)이 떼어내진 실내기(2)의 우측 부분의 상면도이다. 보조 배관(51)은, 실내 열교환기(50)의 우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우측의 공간으로 둘러싸여져 있다. 보조 배관(51)은, 실내 열교환기(50)의 우측면으로부터 돌출한 후에 실내기(2)의 배면측으로 향하여 굴곡되어 있고, 복수의 보조 배관(51)이 한데 모아져 보호 튜브(53)에 의하여 덮여 있다. 한데 모아진 보조 배관(51)은, 실내 열교환기(50)의 우측의 공간을 실내기(2)의 배면측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실내기(2)의 후측 하부의 공간에서 실내기(2)의 좌측면을 향하여 한층 굴곡되어, 냉매 배관(4)에 접속되어 있다.
보조 지지 부재(52)는, 실내 열교환기(50)의 양 측면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50)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은, 역V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하방이 개구(開口)하고 있기 때문에, 크로스 플로우 팬(71)이나 실내 팬 모터(72)가 장착된 상태의 하부 유닛(7)에 상방으로부터 씌워져 있고, 보조 지지 부재(52)를 통하여 하부 유닛(7)에 지지된다.
〈상부 케이싱〉
상부 케이싱(6)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기(2)의 상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전면부(60), 상면부(61) 및 상측면부(62, 63)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전면부(60)는, 실내기(2)의 전측 상부를 덮고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전방을 덮고 있다. 상전면부(60)는, 대체로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일부에 단차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차의 상면에는 실내기(2)의 긴쪽 방향으로 긴 슬릿상의 개구로 이루어지는 전면 흡입구(601)가 설치되어 있다. 전면 흡입구(601)는 실내기(2)의 상방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면부(61)는, 실내기(2)의 상면을 덮고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상방을 덮고 있다. 상면부(61)에는, 복수의 슬릿상의 개구로부터 이루어지는 상면 흡입구(6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면 흡입구(611)는, 상면부(61)의 전측으로부터 후측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전면 흡입구(601)보다도 흡입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내기(2)의 상면 후측으로부터도 충분히 공기가 빨아 들여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측면부(62, 63)는, 실내기(2)의 측면 상부를 덮고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측방을 덮고 있다. 상측면부(62, 63)에는, 오른쪽 상측면부(62)와 왼쪽 상측면부(63)가 있고, 오른쪽 상측면부(62)는 정면에서 볼 때 실내 열교환기(50)의 우측방에 배치되고, 왼쪽 상측면부(63)는 실내 열교환기(50)의 좌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싱(6)의 하단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케이싱(6)이 하부 유닛(7)에 씌워지는 것에 의하여, 상부 케이싱(6)과 하부 유닛(7)의 경계가 수평선으로 되어 실내기(2)의 정면에서 볼 때 및 측면에서 볼 때에서의 외관으로 나타난다.
〈하부 유닛〉
하부 유닛(7)은, 실내기(2)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고,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유닛(70), 크로스 플로우 팬(71), 실내 팬 모터(72), 전장품 상자(73) 등이 모듈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지지 유닛]
지지 유닛(70)은, 하전면부(74), 저면부(75), 하측면부(76, 77), 지지부(78)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부 케이싱(6)과는 다른 색으로 되어 있다.
하전면부(74)는, 정면에서 볼 때 실내기(2)의 전면 하부로서 시야에 나타나는 부분이고, 상단이 실내기(2)의 전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전면부(74)의 상단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케이싱(6)의 하단과 함께 수평인 경계선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전면부(74)에는, 실내기(2)의 긴 쪽 방향을 따르는 개구로 이루어지는 취출구(7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취출구(74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 팬(71)이 수납되어 있는 지지부(78)의 내부의 공간에 통하여 연결하고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류는 취출구(741)를 통하여 실내로 불어낸다. 또한, 취출구(741)에는, 실내로 불어내는 공기가 안내되는 수평 플랩(74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수평 플랩(742)은, 실내기(2)의 긴 쪽 방향으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回 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플랩 모터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하여, 취출구(741)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저면부(75)는, 실내기(2)의 저면을 덮고 있고,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저면부(75)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위에 지지부(78)가 배치되어 있다.
하측면부(76, 77)는, 측면에서 볼 때 실내기(2)의 측면 하부로서 시야에 나타나는 부분이고, 실내기(2)의 측면 하부를 덮고 있다. 하측면부(76, 77)에는, 오른쪽 하측면부(76)와 왼쪽 하측면부(77)가 있고, 오른쪽 하측면부(76)는 정면에서 볼 때 실내기(2)의 우측에 배치되고, 왼쪽 하측면부(77)는 실내 열교환기(50)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면부(76, 77)의 상단은, 하전면부(74)와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싱(6)이 하부 유닛(7)에 씌워진 상태에서는, 상부 케이싱(6)의 하단과, 하부 유닛(7)의 하전면부(74) 및 하측면부(76, 77)의 상단이 합치하여, 수평한 경계선이 구성된다.
지지부(78)는, 하전면부(74), 저면부(75), 하측면부(76, 77)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고, 지지부(78)의 상면은, 하전면부(74) 및 하측면부(76, 77)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부(78)에는, 상방으로부터 크로스 플로우 팬(71), 실내 팬 모터(72), 전장품 상자(73), 실내 열교환기 유닛(5) 등이 장착되고, 크로스 플로우 팬(71), 실내 팬 모터(72), 전장품 상자(73), 실내 열교환기 유닛(5) 등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부(78)는,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의 보조 지지 부재(52)를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50)를 지지한다. 지지부(78)의 상면은, 크로스 플로우 팬의 중심축과 대 략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지지부(78)의 상면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레인팬(781, 782, pan)과 팬(fan) 수용부(787)가 설치되어 있다.
드레인팬(781, 782)은, 열교환시에 실내 열교환기(50)의 표면에 발생하는 물방울을 받는 부분이고, 지지부(78)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움푹 패인 오목상의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드레인팬(781, 782)에는 전드레인팬(781)과 후드레인팬(782)이 있고, 전드레인팬(781)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실내 열교환기(50c)의 하방에, 즉 실내 열교환기(50)의 전측 하단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후드레인팬(782)은, 제4 실내 열교환기(50d), 즉 실내 열교환기(50)의 후측 하단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전드레인팬(781)과 후드레인팬(782)은, 크로스 플로우 팬(71)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배치되어 있다. 전드레인팬(781)과 후드레인팬(782)은,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고, 전드레인팬(781)과 후드레인팬(782)의 저면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심축의 높이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지만, 실내 열교환기(50)의 하단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전드레인팬(781)과 후드레인팬(782)은, 각각 드레인 수(水)를 받는 저면이 실내기(2)의 우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그리고, 지지부(78)의 우측 부분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드레인팬(781)과 후드레인팬(782)을 연결하는 연통 부분(783)이 설치되어 있고, 이 연통 부분(783)에는 하방으로 관통하고 있는 발수 구멍(78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발수 구멍(784)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레인 수를 드레인팬(781, 782)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호스(785)의 내부와 통하여 연결하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50)로부터 적하한 드레인 수는, 전드레인팬(781)과 후드레인팬(782) 에 의하여 받아지고, 연통 부분(783)에서 모아져, 발수 구멍(784)으로부터 드레인 호스(785)를 경유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팬 수용부(787)는,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실내 팬 모터(72)가 수용되는 부분이고, 지지부(78)의 상면의 중앙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팬 수용부(787)는 지지부(78)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반원통 형상으로 움푹 패인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실내 팬 모터(72)의 하반분을 수용한다. 또한, 지지부(78)의 내부에는, 수용된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취출구(741)를 통하여 연결하는 공기 경로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78)는, 후드레인팬(782)과 크로스 플로우 팬(71) 간에, 지지부(78)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설부(786, 舌部)를 가지고 있다. 이 설부(786)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후방을 덮고 있고, 설부(786)의 상단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보다 약간 낮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78)의 상면에는, 전드레인팬(781), 후드레인팬(782) 및 팬 수용부(787)가 설치되고, 설부(786)가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지만, 지지부(78)의 상면의 다른 부분은 대체로 평탄하고 또한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중심선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78)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부분은 설부(786)이지만, 설부(786)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78)의 상면은, 하전면부(74) 및 하측면부(76, 77)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지부(78)를 포함한 지지 유닛(70)의 각 부분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78)의 상면의 배면측도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높이 이하로 되어 있지만, 상부 케이싱(6)의 상면부(61)와 지지부(78) 상면의 배면측 간의 부분은, 실내의 벽면에 장착되는 설치판(8)에 의하여 막힌다 (도 5 참조). 설치판(8)은, 실내기(2)의 긴 쪽 방향에는 실내 열교환기(50)와 대략 같은 길이를 가지고 있고, 실내 열교환기(50)의 배면측을 덮고 있다. 설치판(8)은, 실내기(2)의 배면측을 덮는 것에 의하여, 실내 열교환기(50)에서 열교환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유로를 상부 케이싱(6)과 함께 형성하고 있고, 특히 배면측 공기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크로스 플로우 팬]
크로스 플로우 팬(71)은, 길고 가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심축이 수평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둘레면에는 날개가 설치되어 있고, 크로스 플로우 팬(71)이 중심축 둘레에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류를 생성한다. 이 공기류는, 전면 흡입구(601) 및 상면 흡입구(611)로부터 받아들여지고 실내 열교환기(50)를 통과하여 취출구(741)로부터 실내로 불어내는 공기의 흐름이다. 크로스 플로우 팬(71)은, 측면에서 볼 때 실내기(2)의 대체로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크로스 플로우 팬(71)은, 지지부(78)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된 상태의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상반분은 지지부(78)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실내 팬 모터]
실내 팬 모터(72)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을 중심축 둘레에 회전 구동한다. 실내 팬 모터(72)는,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대략 같은 직경을 가지는 얇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실내 팬 모터(7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우측방에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같은 축에 배치되어 있고, 실내 팬 모터(72)가 지지부(78)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실내 팬 모터(72)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는 대략 같게 되어 있다 (도 7 참조).
[전장품 상자]
전장품 상자(73)는,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기(2)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731)을 수용한다. 전장품 상자(73)는, 직방체의 상자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지지 유닛(70)의 오른쪽 하측면부(76)와 지지부(78) 간에 배치되어,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의 우측방에 위치한다. 전장품 상자(73)는, 실내 팬 모터(72)의 우측방에 있어서 지지부(78)의 우측면에 장착되어 지지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이 하부 유닛(7)에 장착되기 전에 지지부(78)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전장품 상자(73)는 전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전장품 상자(73)의 후방의 공간은 전술한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의 보조 배관(51)이 통과하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전장품 상자(73)는, 제어 기판(731)에 장착된 제어 부품 중 용량이 큰 콘덴서나 파워트랜지스터 등의 강전 부품(732)이 실내 팬 모터(72)와 축방향에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측면에서 볼 때 실내 팬 모터(72)와 전장품 상자(73)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장품 상자(73)의 상면은, 지지 유닛(70)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실내 팬 모터(72)의 정상 부분, 즉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내 팬 모터(72), 전장품 상자(73), 지지 유닛(70)의 모든 부분이, 지지 유닛(70)에 지지된 상태의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에 위치하고 있고, 하부 유닛(7)은, 전체로서 높이 방향으로 비교적 치수가 작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실내기의 조립 방법〕
다음으로, 실내기(2)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실내기(2)의 조립은, 주로, 하부 유닛(7)의 조립 S1,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의 장착 S2, 상부 케이싱(6)의 장착 S3, 설치판(8)의 장착 S4에 의하여 구성된다.
하부 유닛(7)의 조립 S1에서는,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실내 팬 모터(72)와 전장품 상자(73)가 지지 유닛(70)에 장착된다. 지지 유닛(70)에는, 양산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 대해서 공통화된 색의 재료가 사용되고 있고, 지지 유닛(70)의 색은 공통화되어 있다. 또한, 지지 유닛(70)의 저면부(75)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립 작업에서는, 지지 유닛(70)을 기초로 해서, 그 위에 다른 구성부품이 장착된다.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실내 팬 모터(72)는, 지지 유닛(70)의 지지부(78)의 중앙 부근의 팬 수용부(787)에 상방으로부터 장착되고,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실내 팬 모터(72)의 하반분이 팬 수용부(787)에 수용된 상태로 된다. 전장품 상자(73)는, 지지부(78)의 우측면에 장착된다.
덧붙여, 이 하부 유닛(7)은 모듈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하부 유닛(7)의 조 립 S1은, 다른 공정과는 별도로 양산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의 장착 S2에서는, 상기와 같이 조립된 하부 유닛(7)에,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이 장착된다.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은 하방이 개방되어 있고, 지지부(78)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상반분을 덮도록 하부 유닛(7)의 상방으로부터 씌워져 장착된다.
상부 케이싱(6)의 장착 S3에서는, 상부 케이싱(6)이, 하부 유닛(7)의 상방으로부터 씌워져 장착된다. 이 상부 케이싱(6)은, 색이 다른 복수 종류의 것이 준비되어 있고, 그 중에서 선택된 상부 케이싱(6)이 하부 유닛(7)에 장착된다. 상부 케이싱(6)이 하부 유닛(7)에 장착되면, 상부 케이싱(6)의 하단과, 지지 유닛(70)의 하전면부(74) 및 하측면부(76, 77)의 상단이 합치한 상태로 된다. 선택된 상부 케이싱(6)의 색이 지지 유닛(70)의 색과 다른 경우는, 상기와 같은 상하로 색이 나뉘어진 투 톤 컬러의 의장이 실내기(2)에 나타난다.
설치판(8)의 장착 S4에서는, 설치판(8)이 실내기(2)의 배면에 장착된다. 설치판(8)은 실내의 벽면에 미리 장착되어 있고, 상기와 같이 조립된 실내기(2)를 벽면에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기(2)의 배면에 설치판(8)이 장착된다. 설치판(8)은, 실내 열교환기(50)의 배면측을 덮고, 지지부(78)의 상면의 배면측으로부터 상면부(61)까지의 부분을 덮는다.
〔특징〕
[1]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지지 유닛(70)이,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을 하부 유닛(7)에 장착할 때에, 지지 유닛(70)이 실내 열교환기(50)에 접속되어 있는 보조 배관(51)의 방해가 되지 않아,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2]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가 구비하는 실내 열교환기(50)는,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전방, 상방 및 후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실내 열교환기(50)의 위치가 비교적 낮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내기(2)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소형화되어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소형화되면, 실내기의 다른 구성 부품이 보조 배관의 방해가 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는 본 발명이 특히 유효하다.
[3]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하부 유닛(7)이 모듈화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유닛(7)의 조립 S1을 실내기(2)의 최종 조립과는 별도의 장소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경우, 미리 조립된 하부 유닛(7)을 실내기(2)의 조립 장소까지 반송할 필요가 있다.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크로스 플로우 팬(71), 실내 팬 모터(72), 전장품 상자(73)가 지지 유닛(70)에 적재된 상태로 합쳐져 반송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유닛(7)의 각부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이고, 하부 유닛(7)은, 전체로서 비교적 높이 방향으로 치수가 작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송시의 공간 절약화가 실현되어, 하부 유닛(7)의 반송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하부 유닛(7)이 모듈화되어 있고, 하부 유닛(7)에는 제어 기판(731) 등의 전장품이나, 실내 팬 모터(72), 플랩 모터 (도시하지 않음) 등의 액츄에이터(actuator)가 포함되기 때문에, 하부 유닛(7)의 조립 S1 종료 후에, 전기 계통의 검사가 가능하다.
[4]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크로스 플로우 팬(71)과 실내 팬 모터(72)와 강전 부품(732)이 수평 방향으로 평행한 축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강전 부품(732)을 수용하기 위해서 전장품 상자(73)가 연직 방향으로 커지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전장상자(73)가 직방체 형상이라고 하는 심플한 형상임에도 불구하고,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로 되도록 하는 구성이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5]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에서는, 지지 유닛(70)은, 크로스 플로우 팬(71), 실내 팬 모터(72), 전장품 상자(73) 등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따라서, 지지 유닛 위에 크로스 플로우 팬(71), 실내 팬 모터(72), 전장품 상자(73)를 얹은 상태로 합쳐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유닛(70)의 하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유닛(70)에 크로스 플로우 팬(71), 실내 팬 모터(72), 전장품 상자(73)가 얹어진 상태에서도 안정감이 있어, 반송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6]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의 조립 방법에서는, 하부 유닛(7)의 각부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이 장착될 때에, 하부 유닛(7)의 각부가 실내 열교환기(50)에 접속되는 보조 배관(51)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먼저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이 장착되고 나서 실내기(2)의 배면측에 설치판(8)이 장착되기 때문에,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이 장착될 때에는, 실내기(2)의 배면측에 장착의 방해로 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의 조립 방법에서는,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
[1]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유닛(7)의 지지부(78)의 상면이 대체로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지지부(78)의 상면은 반드시 평탄하지 않아도 무방하고, 지지부(78)의 각 부분의 높이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높이 이하이면 무방하다. 또한, 지지부(78)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 유닛(70) 등의 하부 유닛(7)의 타 부분의 높이도,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이면 무방하다.
[2]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전장품 상자(73)는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이 하부 유닛(7)에 장착되기 전에 지지부(78)에 장착되어 있지만, 전장품 상자(73)가 하부 유닛(7)의 모듈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전장품 상자(73)는,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이 장착된 후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3]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실내 열교환기(50)의 배면측은 실내의 벽면에 장착된 설치판(8)에 의하여 덮여 있지만, 설치판(8)과는 다른 부재가,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의 장착 S2의 후에 실내 열교환기(50)의 배면측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4]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실내 열교환기(50)는, 역V자형의 부분과 그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선 부분을 가지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역V자형의 부분만의 단면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도, 실내 열교환기(50)가 크로스 플로우 팬(71)의 전방, 상방 및 후방을 덮도록 비교적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기(2)의 소형화는 가능하다.
[5]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부 케이싱(6)과 지지 유닛(70)과의 색이 다르고 실내기(2)는 투 톤 컬러로 되어 있지만, 상부 케이싱(6)과 지지 유닛(70)이 같은 색으로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6]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실내기(2)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관상, 상부 케이싱(6)과 하부 유닛(7)으로 상하로 나뉘어 있지만, 도 11b에 도시하는 실내기(2b)와 같이, 상부 케이싱(6b)이 하부 유닛(7)을 덮도록 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 실내기(2b)에서는, 상부 케이싱(6b)은, 실내기(2b)의 전면,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을 덮고 있고, 하부 유닛(7)의 전면, 하면 및 양 측면을 덮고 있다. 이러한 실내기(2b)이어도, 실내 열교환기 유닛(5)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나 하부 유닛(7)의 반송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 등은 마찬가지로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싱(6b)은, 하부 유닛(7)의 양 측면을 덮지 않고, 하부 유닛(7)의 전면 및 하면만을 덮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이용하면, 열교환기의 장착시에, 지지 유닛의 각부가 열교환기에 접속되어 있는 배관의 방해로 될 우려가 적기 때문에, 열교환기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송풍 팬(71, fan)과,
    대략 역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냉매가 흐르는 배관(51)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송풍 팬(71)의 상방을 덮도록 배치되는 열교환기(50)와,
    상기 송풍 팬(71)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70)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유닛(70)의 각부는, 상기 송풍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있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송풍 팬(71)의 전방, 상방 및 후방을 덮도록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송풍 팬(71)이 장착된 상태의 상기 지지 유닛(70)에 장착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4. 제3항에 있어서,
    전장품(電裝品)이 수용되고, 상기 송풍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로 되도록 상기 지지 유닛(70)에 지지되는 전장품 상자(7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장품 상자(73)는, 상기 지지 유닛(70)에 장착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71)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중심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 팬(71)을 회전 구동하고, 상기 송풍 팬(71)과 동축에 배치되는 구동 장치(72)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전장품 상자(73)는, 상기 전장품 중 강전(强電) 부품(732)이 상기 구동 장치(72)와 축 방향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71)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장치(7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 유닛(70)은, 상기 송풍 팬(71), 상기 전장품 상자(73) 및 상기 구동 장치(72)를 정면에서 볼 때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하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
  7. 송풍 팬(71)을 지지한 상태에 있어서 그 각부가 상기 송풍 팬(71)의 정상 부분의 높이 이하의 위치에 있는 지지 유닛(70)에, 상기 송풍 팬(71)을 장착하는 제1 스텝(S1)과,
    상기 제 1 스텝(S1)의 후에, 냉매가 흐르는 배관(51)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송풍 팬(71)의 상방을 덮도록 배치되는 열교환기(50)를 장착하는 제2 스텝(S2)과,
    상기 제 2 스텝(S2)의 후에, 상기 열교환기(50)의 배면측을 덮어 배면측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배면 부재(8)를 장착하는 제3 스텝(S4)
    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의 조립 방법.
KR1020047012547A 2002-11-14 2003-11-07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조립 방법 KR100605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30328 2002-11-14
JP2002330328A JP3731070B2 (ja) 2002-11-14 2002-11-14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組立方法
PCT/JP2003/014232 WO2004044496A1 (ja) 2002-11-14 2003-11-07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組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376A KR20040086376A (ko) 2004-10-08
KR100605843B1 true KR100605843B1 (ko) 2006-08-01

Family

ID=3231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547A KR100605843B1 (ko) 2002-11-14 2003-11-07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115264A1 (ko)
EP (1) EP1568945A4 (ko)
JP (1) JP3731070B2 (ko)
KR (1) KR100605843B1 (ko)
CN (1) CN100368734C (ko)
AU (1) AU2003277626B2 (ko)
WO (1) WO20040444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9192B1 (en) * 2009-09-10 2017-10-04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5091088B (zh) * 2014-04-30 2018-07-2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具有送风装置的空调室内机
CN105222423B (zh) * 2015-10-20 2017-06-27 徐州天一红点车用空调有限公司 一种挖掘机空调室内机的组装方法
CN105823324A (zh) * 2016-05-18 2016-08-03 广州能之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密闭内循环式烟草烘干装置
CN113048573B (zh) * 2017-01-25 2022-04-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07101278B (zh) * 2017-06-21 2019-06-0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4623502B (zh) * 2020-12-11 2023-12-22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1927A (en) * 1969-08-19 1972-02-15 Wesley D Ballard Multiple-blade junked metal shear
US3699808A (en) * 1971-10-13 1972-10-24 Gen Tire & Rubber Co Dynamic testing device for visco-elastic materials
US4027213A (en) * 1974-03-28 1977-05-31 Valroger Pierre Albert Marie D Electronic switching arrangement for energizing electric motors
JPS5438652A (en) * 1977-09-02 1979-03-23 Toshiba Corp Room unit of air conditioner
CH643397A5 (de) * 1979-09-20 1984-05-30 Ibm Raster-tunnelmikroskop.
US4506154A (en) * 1982-10-22 1985-03-19 Scire Fredric E Planar biaxial micropositioning stage
US4618938A (en) * 1984-02-22 1986-10-21 Kla Instrument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wafer inspection
US4902944A (en) * 1986-11-20 1990-02-20 Staubli International Ag. Digital robot control having an improved current sensing system for power amplifiers in a digital robot control
US5103095A (en) * 1990-05-23 1992-04-07 Digital Instruments, Inc. Scanning probe microscope employing adjustable tilt and unitary head
JPH0752485Y2 (ja) * 1991-01-21 1995-11-2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US5319960A (en) * 1992-03-06 1994-06-14 Topometrix Scanning force microscope
JPH06165567A (ja) * 1992-11-17 1994-06-10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213539B1 (ko) * 1997-07-31 1999-08-02 전주범 분리형 에어컨의 브로우팬 고정장치
JP3842889B2 (ja) * 1998-01-30 2006-1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壁掛式室内ユニット
JPH11270874A (ja) * 1998-03-23 1999-10-05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US6091215A (en) * 1998-06-02 2000-07-18 Switched Reluctance Drives Limited Trajectory controller
US6199393B1 (en) * 1998-06-22 2001-03-13 Carrier Corporation Compact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JP2000074477A (ja) * 1998-09-01 2000-03-14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3436899B2 (ja) * 1999-09-10 2003-08-18 義昭 垣野 工具異常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数値制御装置
JP4507408B2 (ja) * 2001-01-16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2206770A (ja) * 2002-01-15 2002-07-26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4110375B2 (ja) * 2002-06-27 2008-07-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77626B2 (en) 2005-12-08
US20050115264A1 (en) 2005-06-02
CN1692253A (zh) 2005-11-02
JP3731070B2 (ja) 2006-01-05
EP1568945A1 (en) 2005-08-31
EP1568945A4 (en) 2008-12-10
CN100368734C (zh) 2008-02-13
AU2003277626A1 (en) 2004-06-03
WO2004044496A1 (ja) 2004-05-27
KR20040086376A (ko) 2004-10-08
JP2004163018A (ja) 200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7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682845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64155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60584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조립 방법
WO2006001323A1 (ja) 空気調和機
JPH09145149A (ja) 空気調和装置
KR10077071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부 공기 토출 플랩 구동장치
KR100605923B1 (ko)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77369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토출 플랩 구조
JP422867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34123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388577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熱交換器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506957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08114336A (ja) 壁一体空気調和機
JP2004163016A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33312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8119715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99196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417003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製造方法
JP2018119714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0636415Y2 (ja) 空気調和機
JP2005226973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6878909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417003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8119717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