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221B1 - 모터 구동 4륜 구동 차량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 4륜 구동 차량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221B1
KR100629221B1 KR1020040092787A KR20040092787A KR100629221B1 KR 100629221 B1 KR100629221 B1 KR 100629221B1 KR 1020040092787 A KR1020040092787 A KR 1020040092787A KR 20040092787 A KR20040092787 A KR 20040092787A KR 100629221 B1 KR100629221 B1 KR 100629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motor
battery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637A (ko
Inventor
이시카와야스키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6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4Series-parall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50Architecture of the drivelin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r kind of transmission units
    • B60K6/52Driving a plurality of drive axles, e.g. four-wheel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6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provision for separate direct mechanical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motors or the generators
    • B60K2006/268Electric drive motor starts the engine, i.e. used as starter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1Electric energy storages
    • B60Y2400/114Super-capaci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차량의 전륜을 구동시키는 엔진 및, 차량의 후륜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가진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제어 시스템은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제 1 전압의 3상 교류 전력을 발전시키는 모터 발전기, 이 3상 교류 전력을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인버터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 및 인버터에 접속되는 커패시터 장치를 포함한다. 차량의 모터에는 제 1 교류 전력으로부터 변환된 제 3 전압의 제 3 전력이 공급된다.

Description

모터 구동 4륜 구동 차량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MOTOR POWERED FOUR WHEEL DRIV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4WD(four wheel drive) 차량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엔진 시동 시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4WD 차량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은 14 V 배터리 충전 시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4WD 차량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4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충전할 시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4WD 차량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5는 모터 구동 시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4WD 차량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4WD 차량의 제어 시스템의 각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테이블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4WD 차량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4WD 차량의 제어 시스템의 각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테이블도.
본 발명은 한쌍의 전륜 또는 한쌍의 후륜 중 하나가 엔진에 의해 구동되고, 다른 쌍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4WD 차량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2-152911호 및 제2002-200932호에는, 차량의 전륜이 엔진에 의해 구동되고, 후륜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4WD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은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다.
상술한 차량에서는, 모터용 발전기가 차량의 전기 장치용 발전기와 개별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부품/장치의 수가 많아지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중량 및 단가가 증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 구성을 간소화한 모터 구동 4WD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태양으로서,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엔진, 및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의 나머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가진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이 있는데, 이 제어 시스템은, 엔진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제 1 전압의 제 1 교류 전력을 발전시키는 모터 발전기, 상 기 제 1 교류 전력을 상기 제 1 전압 보다 낮은 제 2 전압의 제 2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 2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배터리 및, 상기 인버터에 접속되는 커패시터 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모터에는 상기 제 1 교류 전력으로부터 변환된 제 3 전압의 제 3 전력이 공급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로 아래에서 설명되며, 동일 부재는 동일 참조 문자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CS1)은, 한쌍의 전륜 또는 한쌍의 후륜 중 하나가 엔진에 의해 구동되고, 다른 쌍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차량을 제어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CS1)는, 엔진(1), 벨트에 의해 엔진(1)에 연결되어, 엔진(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42V(제 1 정격 전압)의 3상 교류 전력을 발전시키는 42V 교류 발전기(모터 발전기)(2), 차량에 탑재되는 각종 전기 장치에 14V(제 2 정격 전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14V 배터리(E1)(제 1 배터리) 및, 엔진 시동 시에 42V 교류 발전기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커패시터(전기 이중층 커패시터(DLC); 커패시터 장치)(C1)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CS1)는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를 포함한다. 이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는 42V 교류 발전기(2)로부터 출력되는 3상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커패시터(C1)를 소정의 전압까지 충전하여, 14V 배터리(E1)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한다. 게다가,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는 커패시터(C1)로부터 방전 된 직류 전력을 3상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이의 전압을 증가시킨다. 3상 교류 전력은 42V 교류 발전기(2)에 공급된다. 42V 교류 발전기(2)는 42V 교류 발전기(2)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위치 센서(11)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CS1)는,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되는 3상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14)를 포함한다. 획득된 직류 전력은 모터(M1)에 공급된다.
모터(M1)의 출력축은 차동(differential) 장치(4)를 통해 후륜(5)에 연결된다. 여기서, 모터(M1)에 의해 후륜(5)을 구동하는 일례가 설명된다. 그러나, 엔진 동력에 의해 후륜(5)을 구동할 경우에는, 모터(M1)는 전륜을 구동한다.
게다가, 장치(CS1)는 엔진 콘트롤러(12), 모터(M1)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콘트롤러(9) 및 구동/충전 제어 회로(6)를 포함한다. 엔진 콘트롤러(12)는, 점화 신호를 엔진(1)으로 출력하여, 엔진(1)에 제공된 회전 센서(10)의 검출 신호 및 (도시되지 않은) 가속 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분사기를 제어한다. 구동/충전 제어 회로(6)는 승압 및 강압 인버터(3) 및 42V 교류 발전기(2)의 구동을 제어하고, 또한, 커패시터(C1) 및 14V 배터리(E1)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한다.
(도시되지 않은) 차륜 속도 센서의 검출 신호 및 가속 센서의 검출 신호는 모터 콘트롤러(9)로 입력된다. 각각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 콘트롤러(9)는, 정류 회로(14)와 모터(M1) 사이에 제공된 스위치(제 3 스위치)(SW3)를 개폐하고, 또한, 모터(M1)의 자계 전류(자계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자계 콘트롤러(13)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42V 교류 발전기(2)에는, 42V 교류 발전기(2)의 자계 전류를 제어하는 자계 콘트롤러(8)가 제공된다. 이 자계 콘트롤러(8)는 구동/충전 제어 회로(6) 및 엔진 콘트롤러(12)를, 제어 하에 동작된다.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 등의 6개의 스위칭 소자(Trl 내지 Tr6)를 포함한다. 승압 및 강압 인버터(3)의 접지측의 버스는 14 V 배터리(E1)의 음(negative) 단자에 접속된다. 14V 배터리(E1)의 양(positive) 단자는 스위치(제 1 스위치)(SW1)를 통해 42V 교류 발전기(2)의 3상 자계 코일의 중성점(neutral point)에 접속된다. 게다가, 전압 센서(7)는 14V 배터리(E1)의 충전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한편, 승압 및 강압 인버터(3)의 후속단에는, 구동/충전 제어 회로(6) 및 커패시터(C1)의 제어 하에 개폐되는 스위치(제 2 스위치)(SW2)의 직렬 접속 회로가 제공된다. 더욱이,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센서(15)는 커패시터(C1)와 병렬로 접속된다.
액셀 스위치(SW3)의 동작 신호, 전압 센서(7 및 15)의 검출 신호 및, 회전 위치 센서(11)의 검출 신호는 구동/충전 제어 회로(6)에 입력된다. 이들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구동/충전 제어 회로(6)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승압 및 강압 인버터(3) 내의 6개의 스위칭 소자(Trl 내지 Tr6)의 입력 단자를 제어한다. 또한, 구동/충전 제어 회로(6)는 제어 신호를 스위치(SW1) 및 스위치(SW2)로 출력하여 이들 스위치를 개폐한다.
장치(CS1)에서는, 구동/충전 제어 회로(6)의 제어 하에 스위치(SW1)를 턴 오프시키고, 스위치(SW2)를 턴 온시키면서, 승압 및 강압 인버터(3)가 구동 동작을 실행시키도록 함으로써, 커패시터(C1)로부터 방전된 직류 전력을 3상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이 3상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42V 교류 발전기(2)를 전기 모터로서 사용함으로써, 엔진(1)을 시동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치(SW1)를 턴 온시키고, 스위치(SW2) 및 스위치(SW3)를 턴 오프시키고, 42V 교류 발전기(2)를 발전기로서 이용하여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를 재생 동작시킴으로써,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3상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이 전압을 강압시켜, 강압 전압 및 정류 후에 직류 전력에 의해 14V 배터리(E1)를 충전할 수 있다.
게다가, 스위치(SW1)를 턴 오프하고, 스위치(SW2)를 턴 온하며, 스위치(SW3)를 턴 오프하고, 42V 교류 발전기(2)를 발전기로서 이용하여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를 재생 동작시킴으로써,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3상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이 직류 전력에 의해 커패시터(C1)를 충전할 수 있다.
게다가, 스위치(SW1) 및 스위치(SW2)를 턴 오프하고, 스위치(SW3)를 턴 온하면서,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를 정지시킴으로써, 정류 회로(14)를 이용하여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3상 교류 전력을 정류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정류 전력을 모터(M1)에 공급함으로써, 모터(M1)를 구동시켜, 차량을 4WD 구동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제어 시스템(CS1)의 동작이, 제각기 (1) 엔진 시동, (2) 14V 배터 리 충전, (3) 커패시터(C1) 충전, 및 (4) 4WD 모드 구동에 관하여 기술된다. 여기서, 각각의 동작에서, 42V 교류 발전기(2), 승압 및 강압 인버터(3), 14V 배터리(E1), 커패시터(C1), 스위치(SW1, SW2 및 SW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한다.
(1) 엔진 시동 시의 동작
도 2는 엔진을 시동할 시에 처리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첫째로, 단계(S1)에서,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28 V 내지 42 V)이 전압 센서(15)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전압(28 V)에 도달하는 지가 판단된다.
충전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도달하면, 단계(S2)에서, 액셀 스위치(SW4)가 온 상태인지 아닌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액셀 스위치(SW4)가 온 상태이면, 단계(S3)에서, 구동/충전 제어 회로(6)의 제어 하에, 스위치(SW2)는 턴 온된다.
이와 같이,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은 승압 및 강압 인버터(3)에 인가된다. 따라서, 단계(S4)에서,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는 구동 동작을 행하게 되어, 승압 및 강압 인버터(3)에 의해 발전된 대략 40Vrms(제곱 평균 제곱근 전압)의 3상 교류 전력(최대 약 1kw(킬로와트))가 42V 교류 발전기(2)에 인가된다. 그래서, 42V 교류 발전기(2)는 전기 모터로서 동작하여, 엔진(1)을 크랭크한다. 동시에, 엔진 콘트롤러(12)는 점화 신호를 엔진(1)으로 출력하여, 연료 분사 신호를 분사기로 출력한다. 따라서, 단계(S5)에서, 엔진(1)은 완전히 점화되어, 시동된다. 그 후, 단계(S6)에서, 승압 및 강압 인버터(3)의 구동은 정지되고, 단계(S7)에서, 스위치(SW2)는 턴 오프된다.
이와 같이, 커패시터(C1)로부터 방전된 전력(최대 약 1kw)을 이용하여 엔진(1)을 시동할 수 있다.
한편, 단계(S1)에서,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이 소정의 전압(28 V)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8 및 S9))에서, 스위치(SW1 및 SW2)는 턴 온된다. 그 다음, 단계(S10)에서,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는 구동된다. 따라서, 14V 배터리(E1)로부터 방전된 직류 전력(최대 약 1kw)의 전압(최대 14V)은 28V 내지 42V까지 상승되고, 직류 전력(최대 약 1kw)은 커패시터(C1)에 공급되어 커패시터(C1)를 충전한다.
그 후, 단계(S11)에서,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이 소정의 전압(28V)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는 정지되고, 단계(S12 및 S13))에서, 스위치(SW1 및 SW2)는 턴 오프된다. 이와 같이, 엔진(1)을 시동하면,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이 충분치 않을 시에도 14V 배터리(E1)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력에 의해 커패시터(C1)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1) 시동이 확실해진다.
(2) 배터리 충전 시의 동작
그 다음, 도 3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참조로 14V 배터리(E1)를 충전할 시의 동작이 기술된다.
첫째로, 단계(S21)에서, 차량이 4WD 모드에 있는지, 또는 환언하면, 모터(M1)가 동작 중에 있는 지가 판단된다. 차량이 4WD 모드에 있지 않으면, 단계(S21)에서, NO로 판정된다. 단계(S22)에서, 14V 배터리(E1)의 충전 전압이 전압 센서(7)의 검출 신호에 기초로 하여 소정의 전압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이 충전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도달하지 않으면, 단계(S22)에서, NO로 판정된다. 그 후, 단계(S23)에서, 스위치(SW1)는 턴 온된다. 게다가, 단계(S24)에서, 자계 콘트롤러(8)는 42V 교류 발전기(2)의 자계 제어를 행한다. 그 후,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11Vrms 내지 42Vrms의 전력(대략 최대 4kW)은 승압 및 강압 인버터(3)에 의해 14V의 강압 전압의 직류 전력(대략 최대 1kW)으로 변환된다. 단계(S25)에서, 14V 배터리(E1)는 이 전력에 의해 충전된다.
한편, 단계(S21)에서, 차량이 4WD 모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전력은 모터(M1)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고, 14V 배터리(E1)를 충전할 수 없다. 따라서, 단계(S27)에서, 스위치(SW1)는 턴 오프된다.
한편, 단계(S22)에서, 14V 배터리(E1)의 충전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26)에서,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은 소정의 전압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충전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도달하지 않으면, 단계(S26)에서, NO로 판정된다. 그 후, (후술하는) 커패시터(C1)를 충전하는 동작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차량이 4WD 모드에 있지 않을 시에,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전력에 의해 14V 배터리(E1)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전기가 14V 배터리(E1)로부터 방전될 시에도, 배터리(E1)의 완전 충전을 급속히 회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탑재된 각종 전기 장치에 전력을 확실히 공급한다.
(3) 커패시터(C1) 충전 시의 동작
그 다음, 도 4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참조로 커패시터(C1)를 충전할 시의 동작이 기술된다. 도 3에 도시된 단계(S26)를 처리할 시에 NO로 판정되면, 커패시 터(C1)의 충전 동작이 실행된다. 14V 배터리(E1)로부터 방전된 전력은 도 2에 도시된 단계(S8 내지 S13)를 처리할 시에 이용되지만, 이 충전 동작에서는 충전에 이용되는 전력이 엔진(1)에 의해 구동되는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다.
첫째로, 도 4에 도시된 단계(S31)에서, 스위치(SW2)는 턴 온된다. 그 다음, 단계(S32)에서,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전력은 정류되고, 이의 전압은 승압 및 강압 인버터(3)에 의해 28V 내지 42V까지 강압되어, 최대 약 1kw의 커패시터(C1)에 공급되어 커패시터(C1)를 충전한다.
그 후, 단계(S33)에서,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이 전압 센서(15)의 검출 신호에 기초로 하여 소정의 전압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충전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도달하면, 단계(S34)에서, 스위치(SW2)는 턴 오프되고, 커패시터(C1)의 충전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도달하지 않으면, 커패시터(C1)의 충전은, 차량이 4WD 모드에 있지 않을 시(모터를 구동하지 않을 시) 및, 14V 배터리(E1)의 충전이 완료될 시(제 1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을 시)에 실행된다. 따라서,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이 강압될 시에도, 커패시터(C1)의 완전한 충전을 급속히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진을 시동할 준비를 할 수 있다.
(4) 4WD 모드 시의 동작
그 다음, 도 5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참조로 4WD 모드 시의 동작에 대해 기술된다. 첫째로, 단계(S41)에서, 모터 콘트롤러(9)는, 차륜 속도 센서의 검출 신호 및 가속 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라 4WD 구동이 실행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 계(S42)에서, 4WD 구동을 실행하면, 구동/충전 제어 회로(6)는 명령 신호를 자계 콘트롤러(8)로 출력하여 자계 전류를 이 자계 콘트롤러(8)에 인가한다. 이와 같이, 42V 교류 발전기(2)의 자계 전류는 제어 가능하게 된다.
그 후, 단계(S43)에서, 스위치(SW3)는 턴 온된다. 따라서, 42V 교류 발전기(2)에 발전되어, 정류 회로(14)에 의해 정류된 전력은 모터(M1)에 급전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단계(S44)에서, 모터 콘트롤러(9)는 다른 명령 신호를 자계 콘트롤러(13)로 출력하여 자계 전류를 이 자계 콘트롤러(13)에 인가한다. 이와 같이, 모터(M1)의 자계 전류는 제어 가능하게 된다.
그 다음, 42V 교류 발전기(2)의 축은 엔진(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되어, 42V 교류 발전기(2)는 발전기로서 동작된다.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3상 교류 전력은 정류 회로(14)에 의해 정류되고, 이 정류에 의해 획득된 16 내지 60V의 전력(대략 최대 4kW)은 모터(M1)로 급전되어, 모터(M1)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4WD 모드는 엔진(1)에 의해 전륜을 구동하고, 모터(M1)에 의해 후륜을 구동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이, 4WD 모드에서는, 엔진(1)의 회전력에 의해 42V 교류 발전기(2)를 구동하여,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3상 교류 전력을 정류 회로(14)에 의해 정류하며, 이에 의해 이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M1)를 구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CS1)에서, 엔진(1)을 구동하면,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정류하여,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를 이용하여 이 전력의 전압을 강압하며, 이에 의해 14V 배터리(E1) 및 커패시터(C1)를 정류 전력에 의해 충전할 수 있다. 더욱이, 4WD 모드에서, 정류 회로(14)를 이용하여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3상 교류 동력을 정류하여, 정류된 전력을 모터(M1)에 공급하여 모터(M1)를 구동할 수 있다. 그래서, 42V 교류 발전기(2)를 이용하여, 모터(M1)를 구동하는 제 1 정격 전압 및, 14V 배터리(E1)를 충전하는 제 2 정격 전압의 양쪽을 획득하여, 전력을 제각기 모터(M1) 및 14V 배터리(E1)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구성을 간소화하고, 레이아웃의 유연성을 제공하며, 중량 및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환언하면, 모터 발전기는 일반적으로 4WD 모드 시에 전력을 모터에 공급하고, 제 1 배터리를 충전할 시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장치 구성을 간소화하고, 레이아웃의 유연성을 제공하며, 중량 및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는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3상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이 직류 전력에 의해 14V 배터리(E1)를 충전한다. 따라서, 14V 배터리(E1)에 대한 충전 전력을 생성하기 위해 임의의 다른 정류 회로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장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환언하면,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는 모터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3상 교류 전력을 강압된 전압의 직류 전력을 변환한다. 그 후, 이 직류 전력는 제 1 배터리에 공급되어 제 1 배터리를 충전한다. 따라서, 임의의 다른 정류 회로를 탑재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장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게다가, 엔진(1)을 시동하면, 커패시터(C1)로부터 방전된 전력은,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를 이용하여 제 1 정격 전압의 3상 교류 전압으로 변환되고, 이 3상 교류 전력은 42V 교류 발전기(2)에 공급되어 42V 교류 발전기(2)의 축을 회전시켜, 엔진(1)을 시동한다. 따라서, 어떤 다른 전원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장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환언하면, 엔진을 시동하면, 커패시터 장치로부터 방전된 전력은,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를 이용하여 제 1 정격 전압의 3상 교류 전압으로 변환된다. 이 3상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 발전기의 축을 회전시켜, 엔진을 시동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다른 전원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장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한편,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이 엔진(1)을 시동할 시에 소정의 전압에 도달하지 않으면, 14V 배터리(E1)로부터 방전된 전력의 전압은 승압 및 강압 인버터(3)에 의해 승압되고, 승압된 전압의 전력은 커패시터(C1)에 공급되어 커패시터(C1)를 충전한다. 그 후, 엔진(1)은 커패시터(C1)로부터 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시동된다. 따라서,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이 낮을 경우에도 엔진(1)을 확실히 시동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커패시터 장치의 충전 전압이 엔진을 시동할 시에 소정의 전압에 도달하지 않으면, 커패시터 장치는 제 1 배터리로부터 방전된 전력의 소정의 전압을 갖도록 충전된다. 따라서,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이 낮을 경우에도 엔진을 확실히 시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액셀 스위치(SW4)가 턴 온되면, 엔진(1)은 시동되어, 커패시터(C1)로부터 방전된 전력이 급전된다. 따라서, 차량이 이동 중이지 않을 동안에만 엔진 을 일시 정지하는 아이들 정지(idle stop) 동작을 실현하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거나, 예컨대, 액셀 스위치가 턴 온될 시에, 엔진이 시동된다. 따라서, 아이들 정지 동작을 실현하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3상 교류 전력은 정류 회로(14)를 이용하여 정류되고, 정류된 전력은 모터(M1)에 공급된다. 따라서,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를 이용하지 않고 모터(M1)를 구동하는 직류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환언하면, 모터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3상 교류 전력은 정류 회로(14)를 이용하여 정류되고, 이 전력은 모터에 공급된다. 따라서, 승압 및 강압 인버터를 이용하지 않고 모터를 구동하는 직류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더욱이, 모터(M1)가 구동되지 않고, 14V 배터리(E1)가 충전되지 않을 시에 커패시터(C1)는 충전된다. 따라서, 커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이 강압될 시에도, 충전 전압을 급속히 승압하여, 엔진(1)을 시동할 준비를 할 수 있다.
환언하면, 모터를 구동하지 않고, 제 1 배터리(E1)를 충전하지 않을 시에 커패시터 장치는 충전된다. 따라서, 커패시터 장치의 충전 전압을 언제라도 소정의 전압 이상으로 유지하여, 장치의 엔진을 시동할 준비를 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시스템은 스위치(SW1, SW2 및 SW3)를 포함한다. 이 장치의 동작은, 즉, 엔진(1)의 시동, 14V 배터리(E1)의 충전, 커패시터(C1)의 충전 및 모터(M1)의 구동은 각각의 스위치를 개폐하여 스위치된다. 따라서, 스위칭 동작을 확실 히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제 1 스위치, 제 2 스위치 및 제 3 스위치를 이용하여, 이들 스위치를 적절히 개폐함으로써, 엔진의 시동, 제 1 배터리의 충전, 커패시터 장치의 충전 및 모터의 구동을 스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동작을 확실히 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기술된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4WD 차량용 제어 시스템(CS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CS2)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바와 같이, 엔진(1), 42V 교류 발전기(모터 발전기)(2), 승압 및 강압 인버터(3), 14V 배터리(E1), 모터 콘트롤러(9), 자계 콘트롤러(8), 구동/충전 제어 회로(6), 엔진 콘트롤러(12), 회전 센서(10), 회전 위치 센서(11), 전압 센서(7) 및 스위치(제 1 스위치)(SW1)를 포함한다.
더욱이, 장치(CS2)에서, 스위치(제 2 스위치)(SW2) 및 42V 배터리(제 2 배터리: 커패시터 장치)(E2)의 직렬 접속 회로는 후속 단계에서 승압 및 강압 인버터(3)에 제공된다. 더욱이, 장치(CS2)는 42V 배터리(E2)의 충전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센서(16)를 포함한다. 여기서, 또한, 42V 배터리(E2) 대신에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DLC)(커패시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4개의 스위칭 소자(Tr11 내지 Tr14)를 포함하는 H-브리지 회로(18)는 후속 단계에서 스위치(SW2) 및 42V 배터리(E2)로 구성된 직렬 접속 회로에 제공된다. 더욱이, 영구 자석의 직류 모터(M2)는 후속 단계에서 H-브리지 회로(18)에 제공된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터(M2)는 차동 장치(4)를 통해 후륜(5)에 연결된다.
장치(CS2)는 또한 H-브리지 회로(18)내의 각각의 스위칭 소자(Tr11 내지 Tr14)의 온 및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17)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위칭 소자(Tr11 내지 Tr14)를 구동 회로(17)의 제어 하에 턴 온 및 오프함으로써, 모터(M2)의 회전 방향 및 구동 또는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 시스템(CS2)의 동작에 대해 기술된다. 여기서, 엔진 시동 시, 14V 배터리 충전 시, 4WD 모드 구동 시 및 42V 배터리 충전 시에 취해지는 동작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해진다.
먼저, 구동/충전 제어 회로(6)는, 액셀 스위치(SW4)가 턴 온됨을 검출할 시에, 엔진(1)을 시동한다. 엔진(1)을 시동하면, 스위치(SW2)는 턴 온되고, 스위치(SW1)는 턴 오프된다. 더욱이, H-브리지 회로(18)는 오프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42V 배터리(E2)에 의해 방전된 직류 전력은 승압 및 강압 인버터(3)에 공급되고,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는 42V의 직류 전력을 3상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그 후, 이 3상 교류 전력은 42V 교류 발전기(2)에 공급된다. 선택적으로, 42V 교류 발전기(2')의 축은 회전되어, 모터로서 기능을 한다. 이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엔진(1)이 시동된다.
한편, 42V 배터리(E2)의 충전 전압이 전압 센서(16)의 검출 신호에 기초로 하여 소정의 전압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42V 배터리(E2)를 충전하는 동작은 14V 배터리(E1)로부터 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특히, 스위치 (SW1)가 턴 온되고, 14V 배터리(E1)로부터 방전된 직류 전력의 전압은 승압 및 강압 인버터(3)에 의해 승압된다. 42V 배터리(E2)는 이런 전력에 의해 충전된다. 그 후, 42V 배터리(E2)의 충전 전압이 이런 충전 동작에 의해 소정의 전압에 도달한 후, 상술한 동작은 엔진(1)을 시동하도록 실행된다.
한편, 14V 배터리(E1)의 충전 전압이 엔진(1) 시동 시에 소정의 전압 미만으로 강압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위치(SW1)는 턴 온되고, 스위치(SW2)는 턴 오프된다. 이런 상태에서,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은 정류되고, 이 전력의 전압은 승압 및 강압 인버터(3)에 의해 강압된다. 따라서, 강압되고 정류된 전력은 14V 배터리(E1)에 공급되어, 14V 배터리(E1)를 충전한다.
더욱이, 42V 배터리(E2)의 충전 전압이 엔진(1) 시동 시에 소정의 전압 미만으로 강압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위치(SW1)는 턴 오프되고, 스위치(SW2)는 턴 온된다. 이런 상태에서,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은 정류되어, 42V 배터리(E2)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42V 배터리(E2)의 충전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42V 배터리(E2)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모터 콘트롤러(9)의 제어 하에 4WD를 실행하면, 스위치(SW1 및 SW2)는 턴 오프된다. 이 상태에서, H-브리지 회로(18)내의 각각의 스위칭 소자(Tr11 내지 Tr14)의 온 및 오프 상태는 구동 회로(17)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42V 배터리(E2)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은 모터(M2)에 공급되는 소정의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후륜(5)을 구동하여 회전시켜, 4WD 동작을 달성한다.
게다가, 42V 배터리(E2)를 충전할 시, 스위치(SW2)는 턴 온되고, 스위치 (SW1)은 턴 오프된다. 이 상태에서,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되는 3상 교류 전력은 승압 및 강압 인버터(3)에 의해 정류되고, 정류된 전력은 42V 배터리(E2)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42V 배터리(E2)를 충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4WD 차량용 제어 시스템(CS2)에 따르면, 엔진(1)을 구동할 시에,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정류하여,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를 이용하여 이 전력의 전압을 강압하고, 이에 의해,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4V 배터리(E1) 및 42V 배터리(E2)를 충전할 수 있다.
더욱이, 4WD 모드 시에,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를 이용하여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3상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정류된 전력을 H-브리지 회로(18)를 통해 모터(M2)에 공급하며, 이에 의해 모터(M2)를 구동할 수 있다.
그래서, 42V 교류 발전기(2)를 이용하여, 모터(M2)를 구동하는 제 1 정격 전압 및, 14V 배터리(E1)를 충전하는 제 2 정격 전압의 양방을 획득하여, 전력을 제각기 모터(M2) 및 14V 배터리(E1)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구성을 간소화하고, 레이아웃의 유연성을 제공하며, 중량 및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는 42V 교류 발전기(2)에 의해 발전된 3상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며, 이 직류 전력은 14V 배터리(E1)를 충전하기 위해 14V 배터리(E1)에 공급되고, 또한 모터(M2)를 구동하기 위해 모터(M2)에 공급된다. 이것은, 임의의 다른 정류 회로를 준비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따라서, 장치 구 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게다가, 엔진(1)을 시동하면, 42V 배터리(E2)로부터 방전된 전력은, 승압 및 강압 인버터(3)를 이용하여 제 1 정격 전압의 3상 교류 전압으로 변환되고, 이 3상 교류 전압은 42V 교류 발전기(2)에 공급되어 42V 교류 발전기(2')의 축을 회전시켜, 엔진(1)을 시동한다. 따라서, 어떤 다른 전원이 필요하지 않다. 이와 같이, 장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한편, 42V 배터리(E2)의 충전 전압이 엔진(1)을 시동할 시에 소정의 전압에 도달하지 않으면, 14V 배터리(E1)로부터 방전된 전력의 전압은 승압 및 강압 인버터(3)에 의해 승압되고, 승압된 전압의 전력은 42V 배터리(E2)에 공급되어 42V 배터리(E2)를 충전한다. 그 후, 엔진(1)은 42V 배터리(E2)로부터 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시동된다. 따라서, 42V 배터리(E2)의 충전 전압이 낮을 경우에도 엔진(1)이 확실히 시동될 수 있다.
게다가, 액셀 스위치(SW4)가 턴 온되면, 엔진(1)은 42V 배터리(E2)로부터 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시동된다. 따라서, 아이들 정지 동작을 실현하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모터(M2)가 구동되지 않을 시와, 14V 배터리(E1)가 도통되지 않을 시에, 42V 배터리(E2)는 충전된다. 따라서, 42V 배터리(E2)의 충전 전압이 강압될 시에도, 이 충전 전압을 급속히 승압하여, 언제라도 엔진(1)을 시동할 준비를 할 수 있다.
게다가, 제어 시스템은 스위치(SW1 및 SW2)를 포함한다. 엔진(1)의 시동, 14V 배터리(E1)의 충전, 42V 배터리(E2)의 충전 및 모터(M1)의 구동은 각각의 스위치를 개폐하여 스위치된다. 따라서, 스위칭 동작을 확실히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어,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양호한 실시예는 예시적이고,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 의해 지시된 본 발명의 범주 및, 청구범위에 따른 의미내의 모든 변형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003년 11월 14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3-384958호에 포함된 주 문제에 관계하고, 이는 여기서 전적으로 참조로 포함된다.

Claims (12)

  1. 차륜의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엔진 및, 차륜의 나머지의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가진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엔진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제 1 전압의 제 1 교류 전력을 발전시키는 모터 발전기;
    상기 제 1 교류 전력을 상기 제 1 전압 보다 낮은 제 2 전압의 제 2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 2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제 1 배터리; 및
    상기 인버터에 접속되는 커패시터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에는 상기 제 1 교류 전력으로부터 변환된 제 3 전압의 제 3 전력이 공급되는, 차량 제어용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에는 상기 커패시터 장치로부터 방전되는 제 4 전압의 제 4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제 4 전력을 제 5 전압의 제 5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며,
    상기 모터 발전기에는 상기 제 5 교류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엔진을 시동하기 위해 구동력을 생성시키는, 차량 제어용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을 시동하면, 상기 커패시터 장치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 미만일 경우, 상기 인버터에는 상기 제 1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제 6 전압의 제 6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제 6 전력을 제 7 전압의 제 7 전력으로 승압시켜, 상기 커패시터 장치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제 7 전력을 상기 커패시터 장치에 공급하는, 차량 제어용 제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소정의 조건이 충족될 경우에 시동되는, 차량 제어용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액셀 스위치가 턴 온되는 것인, 차량 제어용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은 직류 전력인, 차량 제어용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류 전력을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제 3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를 더 구비하는, 차량 제어용 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커패시터 장치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제 1 교류 전력을 제 8 전압의 제 8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는, 차량 제어용 제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와 상기 제 1 배터리 간의 전기 접속을 변경하는 제 1 스위치; 및
    상기 인버터와 상기 커패시터 장치 간의 전기 접속을 변경하는 제 2 스위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엔진을 시동하면, 상기 제 2 스위치는 폐쇄되고, 상기 제 1 스위치는 개방되어, 상기 커패시터 장치로부터 상기 인버터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배터리를 충전하면, 상기 제 1 스위치는 폐쇄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개방되어,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제 1 배터리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커패시터 장치를 충전하면, 상기 제 2 스위치는 폐쇄되고, 상기 제 1 스위치는 개방되어,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커패시터 장치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는. 차량 제어용 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발전기와 상기 모터 간의 전기 접속을 변경하는 제 3 스위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엔진을 시동하고, 상기 제 1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커패시터 장치를 충전하면, 상기 제 3 스위치는 개방되고,
    상기 모터를 구동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개방되고, 상기 제 3 스위치는 폐쇄되어, 상기 모터 발전기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는, 차량 제어용 제어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장치는 커패시터 또는 제 2 배터리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차량 제어용 제어 시스템.
  12. 차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엔진 및, 차륜의 나머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가진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터 발전기에 의해 발전되는 제 1 전압의 제 1 교류 전력을 상기 제 1 전압 보다 낮은 제 2 전압의 제 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제 2 직류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모터 발전기에 의해 발전되는 상기 제 1 교류 전력을 제 3 전압의 제 3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제 3 직류 전력을 상기 모터에 공급하는 단계;
    커패시터 장치로부터 방전되는 제 4 전압의 제 4 전력을 제 5 전압의 제 5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5 교류 전력을 모터 발전기에 공급하여, 상기 모터 발전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엔진을 시동하는 단계; 및
    상기 모터 발전기에 의해 발전되는 상기 제 1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상기 커패시터 장치를 충전하기 위해 정류된 전력을 상기 커패시터 장치에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040092787A 2003-11-14 2004-11-13 모터 구동 4륜 구동 차량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0629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84958A JP4063199B2 (ja) 2003-11-14 2003-11-14 モータ駆動4wd車両の制御装置
JPJP-P-2003-00384958 2003-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637A KR20050046637A (ko) 2005-05-18
KR100629221B1 true KR100629221B1 (ko) 2006-09-27

Family

ID=3443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787A KR100629221B1 (ko) 2003-11-14 2004-11-13 모터 구동 4륜 구동 차량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57869B2 (ko)
EP (1) EP1531078B1 (ko)
JP (1) JP4063199B2 (ko)
KR (1) KR100629221B1 (ko)
CN (1) CN100341724C (ko)
DE (1) DE60200402832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611626T3 (pl) * 2003-03-10 2011-06-30 Akuros S R O Sposób regeneracji ogniw akumulatorów i środek regeneracyjny do akumulatorów ołowiowych
SE525582C2 (sv) * 2003-06-30 2005-03-15 Dometic Sweden Ab En inverter och en metod för att strömförsörja en växelströmsapparat i ett fordon
JP3783710B2 (ja) * 2003-11-04 2006-06-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モータ制御方法
JP4082336B2 (ja) 2003-11-14 2008-04-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駆動4wd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4082338B2 (ja) 2003-11-27 2008-04-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駆動4wd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7378808B2 (en) * 2004-05-25 2008-05-27 Caterpillar Inc. Electric drive system having DC bus voltage control
JP4275614B2 (ja) * 2004-12-10 2009-06-10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回転電機
JP2006230132A (ja) * 2005-02-18 2006-08-31 Honda Motor Co Ltd 電流供給方法、内燃機関の始動方法、電源装置及び車両
JP4648054B2 (ja) * 2005-03-31 2011-03-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電動駆動装置用制御装置及び電動駆動装置
NO323946B1 (no) * 2005-11-23 2007-07-23 Jarl Voster Koblingsanordning og fremgangsmate ved bruk av samme
JP4386451B2 (ja) * 2006-03-06 2009-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動車両の制御装置
JP4742992B2 (ja) 2006-05-30 2011-08-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4508159B2 (ja) * 2006-06-07 2010-07-21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始動装置
JP4211806B2 (ja) * 2006-06-07 2009-0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駆動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US7789794B2 (en) * 2007-10-23 2010-09-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propulsion system of an alternatively powered vehicle
FR2931902B1 (fr) * 2008-05-27 2014-05-23 Valeo Equip Electr Moteur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u temps de demarrage d'un moteur thermique de vehicule.
US20100006351A1 (en) * 2008-07-08 2010-01-14 Howard J Scott Electric vehicle with contra-recgarge system
US20100102568A1 (en) * 2008-10-23 2010-04-29 Rodolphe Juan Jacques Bonin Electric Power Generating System Using Permanent Magent Motors
JP5274504B2 (ja) * 2010-04-09 2013-08-28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車の電源システム
JPWO2012026026A1 (ja) * 2010-08-26 2013-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ディーゼルハイブリッド車両システム
US8497591B2 (en) * 2010-12-29 2013-07-3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off-highway vehicle engine cranking
JP5283784B1 (ja) * 2012-01-11 2013-09-04 新電元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力供給システム、エンジン制御装置、および、電力供給方法
JP5830443B2 (ja) * 2012-06-28 2015-1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の駆動装置
US8968155B2 (en) 2012-07-31 2015-03-03 John M. Bird Resistanc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2014065114A (ja) * 2012-09-26 2014-04-17 Makita Corp 動力工具
CN104737435B (zh) * 2012-11-28 2018-05-29 富士电机株式会社 电力转换系统及其控制方法
CN102975631B (zh) * 2012-11-28 2017-10-10 沈阳工业大学 四轮全驱电动汽车轴饱和补偿姿态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3192691B (zh) * 2013-01-10 2016-02-03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混合动力四驱汽车驱动系统及方法
FR3008650B1 (fr) * 2013-07-18 2016-09-09 Technoboost Vehicule hybride
KR101766094B1 (ko) * 2015-12-15 2017-08-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출력 제어 시스템
JP6677824B2 (ja) * 2016-12-27 2020-04-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6607217B2 (ja) * 2017-03-03 2019-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自動車
JP6969357B2 (ja) * 2017-12-20 2021-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
KR102614137B1 (ko) * 2018-04-13 2023-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인버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3022344B (zh) * 2021-04-30 2022-05-31 重庆长安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双电机的动力电池充电系统及电动汽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009A (ja) 1999-02-24 2000-09-08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02152911A (ja) 2000-11-14 2002-05-24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4輪駆動制御装置
JP2002200932A (ja) 2000-12-28 2002-07-16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JP2005130597A (ja) 2003-10-23 2005-05-19 Nissan Motor Co Ltd モータ駆動4wd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2144A (en) * 1981-02-26 1982-09-02 Nippon Denso Co Generation controller for vehicle
US4616166A (en) * 1984-12-10 1986-10-07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 power system for starting a large rotatable synchronous machine
DE29624299U1 (de) * 1995-05-19 2001-11-22 Toyota Motor Co Ltd Kraftübertragungsvorrichtung, sowie Fahrzeug mit Vierradantrieb mit einer derartigen Kraftübertragungsvorrichtung
CN1055895C (zh) * 1995-05-19 2000-08-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动力传送装置及采用该装置的四轮驱动车辆以及动力传送方法及四轮驱动方法
EP0743213B1 (en) * 1995-05-19 2001-10-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ybrid vehicle power 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n reverse drive
US6148784A (en) * 1995-08-31 2000-11-21 Isad Electronic Systems Gmbh & Co. Kg Drive systems,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3219039B2 (ja) 1997-12-15 2001-10-15 富士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電気システム
US5942818A (en) * 1998-02-06 1999-08-24 Isuzu Ceramics Research Institute Co., Ltd. Control apparatus for engine-driven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generators
JPH11332012A (ja) * 1998-05-14 1999-11-30 Toyota Motor Corp 車両駆動システム
JP3380879B2 (ja) * 1998-09-29 2003-0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ハイブリッド車の電源装置
WO2001021431A1 (fr) * 1999-09-20 2001-03-29 Hitachi, Ltd. Dynamoteur de vehicule hybride et procede de commande dudit moteur
EP1108606B1 (en) 1999-12-15 2007-03-07 Hitachi, Ltd. Electric generating system for automobiles and its control method
JP3804383B2 (ja) * 2000-01-19 2006-08-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を有する車両の制御装置
JP4460708B2 (ja) * 2000-03-29 2010-05-12 株式会社東芝 エンジンのスタータと発電機とを兼用した永久磁石モータの制御装置
US6518736B2 (en) * 2000-06-26 2003-02-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chanical power outputting apparatus and inverter apparatus
JP3555567B2 (ja) * 2000-09-04 2004-08-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の制御装置
JP3638876B2 (ja) * 2001-03-01 2005-04-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の駆動装置及び車両
JP4023171B2 (ja) * 2002-02-05 2007-12-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負荷駆動装置、負荷駆動装置における電力貯蔵装置の充電制御方法および充電制御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009A (ja) 1999-02-24 2000-09-08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02152911A (ja) 2000-11-14 2002-05-24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4輪駆動制御装置
JP2002200932A (ja) 2000-12-28 2002-07-16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JP2005130597A (ja) 2003-10-23 2005-05-19 Nissan Motor Co Ltd モータ駆動4wd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57869B2 (en) 2007-01-02
EP1531078B1 (en) 2010-07-28
JP4063199B2 (ja) 2008-03-19
US20050104544A1 (en) 2005-05-19
EP1531078A2 (en) 2005-05-18
CN100341724C (zh) 2007-10-10
KR20050046637A (ko) 2005-05-18
JP2005151685A (ja) 2005-06-09
DE602004028329D1 (de) 2010-09-09
EP1531078A3 (en) 2006-07-05
CN1618652A (zh) 2005-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221B1 (ko) 모터 구동 4륜 구동 차량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7119513B2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motor drive four wheel drive vehicle
JP4116292B2 (ja) ハイブリッド車用電動発電システム
JP4082338B2 (ja) モータ駆動4wd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EP1535789B1 (en) Control device for motor-driven 4wd vehicle and related method
US7301247B2 (en) Power supply device incorporated in vehicle driven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599888B1 (ko) 모터 구동 4wd 차량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4391028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H07111710A (ja) 電動走行車両のハイブリッド電源装置
JP3389750B2 (ja) 排気エネルギー回収装置
JPH11132070A (ja) パラレル・ハイブリッド車両の車速制御装置
JPH0491323A (ja) ターボチャージャ用回転電機の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