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293B1 - 점착 시이트 및 그 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점착 시이트 및 그 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293B1
KR100624293B1 KR1019990019389A KR19990019389A KR100624293B1 KR 100624293 B1 KR100624293 B1 KR 100624293B1 KR 1019990019389 A KR1019990019389 A KR 1019990019389A KR 19990019389 A KR19990019389 A KR 19990019389A KR 100624293 B1 KR100624293 B1 KR 10062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resin
film
weight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727A (ko
Inventor
곤도다케시
다카하시가즈히로
미네우라요시히사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0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2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used during dicing or gri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89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of discrete laminae to single face of additional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Di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80℃의 온도 범위에서 동적 점탄성 tanδ의 최대값이 0.5 이상인 기재 및 그 위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요철의 고저차가 큰 표면을 갖는 피착체의 이면 가공시에, 상기 점착 시이트가 피착체 표면에 부착되어 가공 공정 중 표면을 보호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Description

점착 시이트 및 그 이용 방법{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OF USE THEREOF}
본 발명은 점착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요철의 고저차가 큰 표면을 갖는 피착체의 이면 가공시에, 피착체 표면에 부착되어 가공공정 중 표면을 보호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점착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 연삭 공정에서, 전기 회로가 형성된 표면은 점착 시이트에 의해 보호된다. 전극 소자에 의한 통상적인 회로의 고저차는 약 5∼20㎛ 정도이었다. 이러한 통상의 회로가 형성된 웨이퍼에 대해, 종래의 표면 보호 시이트는 회로 파손 또는 웨이퍼 균열 없이 회로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만족스러웠다.
그러나, 최근에는 IC 칩의 실장(mounting) 방법이 다양화되고 있다. 예컨대 IC 칩 회로 표면이 하측에 배치되는 패키징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 패키징 방법에서, 전극 소자는 회로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있고, 이 고저차는 30㎛ 이상, 경우에 따라 100㎛를 넘는다.
이와 같이 돌출상의 전극 소자가 형성된 웨이퍼를 종래의 표면 보호 시이트로 표면을 보호하면서 이면 연마하면, 돌출상의 소자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그 이면이 깊게 연마되어, 웨이퍼의 이면상에 함몰상(딤플상, dimples)이 형성된다. 또한, 딤플부가 균열되어, 결국 웨이퍼의 파괴가 발생한다.
유사한 문제가 웨이퍼 회로의 검사 후 불량 회로의 마킹을 위해 제공되는 잉크(배드마크, bad mark)에서도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상에 형성된 돌출상 부분을 소위 "범프(bump)"라 칭한다. 범프가 큰 반도체 웨이퍼에 대해, 예컨대 표면 보호 시이트의 기재 필름의 경도를 감소시키고, 점착 시이트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조치를 취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만족스럽지 못했고, 상술한 문제점들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요철의 고저차가 큰 표면을 갖는 피착체의 이면 가공시에, 피착체 표면에 부착되어 가공공정 중에 표면을 보호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점착 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이트는 -5∼80℃의 온도 범위에서 동적 점탄성 tanδ의 최대값이 0.5 이상인 기재 및 그 위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는 기재의 두께와 영률의 곱이 0.5∼100kg/c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피착체 표면에 점착 시이트를 부착시키고, 그 점착 시이트로 피착체 표면을 보호하면서 그 이면에서 피착체를 가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착 시이트의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착체 표면의 요철을 정확히 추종하여 요철의 고저차를 흡수할 수 있고, 피착체의 이면 연마시에 피착체 표면의 요철에 의한 영향없이 평활한 이면 연마를 실시할 수 있는 표면 보호용 점착 시이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이트는 기재 및 그 위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기재는 -5∼80℃의 온도 범위에서 동적 점탄성 tanδ의 최대값(이하, 간략히 "tanδ 값"으로 언급함)이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5∼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7∼1.8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tanδ"는 손실 탄성률/저장 탄성률의 비로 정의되는 손실접선(loss tangent)을 의미한다. 이것은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대상물에 제공되는 인장 또는 비틀림 등의 응력에 대한 응답을 근거로 측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의 두께와 영률의 곱은 0.5∼100kg/cm, 바람직하게는 1.0∼50kg/c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kg/c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800㎛, 가장 바람직하게는 80∼500㎛의 범위이다.
기재는 수지성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술한 물성을 나타내는 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물성은 수지 그 자체 또는 첨가제가 혼합된 수지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기재는 경화성 수지로 제막 및 경화하거나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제막하여 제조될 수 있다.
경화성 수지로서, 예컨대 광경화형 수지 또는 열경화형 수지가 사용된다. 광경화형 수지가 바람직하다.
광경화형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광중합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 및 폴리엔·티올계 수지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폴리에스테르형 또는 폴리에테르형 폴리올 화합물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예컨대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릴렌 디이소이아네이트, 1,4-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 이소시아네이트-말단기를 갖는 우레탄 전중합체(prepolymer)와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분자내에 광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고, 광조사시 중합 경화되어 필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1000∼50,000, 바람직하게는 2000∼30,000의 범위이다. 이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만으로는 종종 막형성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광중합성 단량체로 희석하고, 막을 형성시킨 후, 경화시켜 필름을 얻는다. 광중합성 단량체는 분자내에 광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데,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큰(bulky) 기를 갖는 아크릴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희석용으로 사용되는 광중합성 단량체는, 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다만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 화합물;
벤질 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 화합물; 및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몰포리닐 아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및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복소환식 화합물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필요에 따라,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단량체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00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90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0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30∼200중량부의 양으로 부가된다.
한편, 기재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폴리엔·티올계 수지는 아크릴로일기를 갖지 않는 폴리엔 화합물 및 다가 티올 화합물로부터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폴리엔 화합물은 예컨대 디아크롤레인 펜타에리스리톨,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알릴 에테르 부가물 및 불포화 알릴우레탄 올리고머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다가 티올 화합물로서 펜타에리스리톨의 메르캅토아세트산 또는 메르캅토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시판되고 있는 폴리엔 폴리티올계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엔·티올계 수지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0∼5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30,000 범위이다.
광경화 수지로부터 기재를 형성하는 경우, 수지에 광중합 개시제를 혼입함으로써, 광조사에 의한 중합 경화 시간 및 광조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화합물, 아세토페논 화합물, 아실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티타노센 화합물, 티옥산톤 화합물 또는 퍼옥사이드 화합물 등의 광개시제 또는 아민 또는 퀴논 등의 광증감제일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질 디페닐 설파이드, 테트라메틸티우람 모노설파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디벤질, 디아세틸 및 β-클로로안트라퀴논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수지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5∼1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5∼5중량부의 양으로 부가된다.
상기 경화성 수지의 제조시, 상술한 물성이 실현될 수 있도록 올리고머 및 단량체는 다양한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기재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 텐, 폴리부타디엔, 폴리메틸펜텐,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수소화 스티렌-비닐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수소화물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중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비수소화 또는 수소화 스티렌-비닐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스티렌-비닐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고함량의 비닐기를 갖는 SIS(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이다. 비수소화 및 수소화 스티렌-비닐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그 자체는 상온 부근에서 tanδ의 큰 피크를 나타낸다.
상술한 수지 중에 tanδ값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첨가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anδ값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첨가물의 예로는 탄산칼슘, 실리카, 운모 등의 무기 충전제(filler) 및 철, 납 등의 금속 충전제를 들 수 있다. 특히 비중이 큰 금속 충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기재에는 상기 성분 이외의 다른 첨가물 예컨대 가소제 또는 안료 및 염료 등의 착색제가 함유될 수 있다.
필름형성 방법에 있어서, 먼저 액상 수지(예컨대 미경화 수지, 수지 용액)를 공정 시이트상에 박막 형태로 캐스팅(casting)한 후, 수지 유형에 따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소정의 필름형성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기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필름형성중 수지에 가해지는 응력이 적어져, 피쉬-아이(fish-eye, 수지 성분의 불용성 부분)의 형성이 적게 된다. 게다가, 필름 두께의 균일성이 높고, 두께 정밀도는 통상 2% 이내로 감소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필름형성 방법으로는, T 다이 또는 관상막(tubular film) 방법을 사용하는 압출 성형이나 캘린더법을 포함한다.
기재 사이의 점착제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재의 상부면, 즉 점착제층이 설치되는 측면상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거나 또는 프라이머(primer) 등의 또 다른 층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이트는 상기 기재상에 점착제층을 설치함으로써 제조된다. 점착제층이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투명 기재를 사용한다.
점착제층은 종래의 각종 점착제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점착제는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비닐 에테르계의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경화형, 가열 발포형 및 수팽윤형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 재료의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3∼1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50㎛ 정도의 범위이다.
상기 점착제로서, 각종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방사선 경화형(광경화형, 자외선 경화형 또는 전자선 경화형) 점착제로서, 예컨대 일본 특공평 1(1989)-56112호 공보 및 일본 특개평 7(1995)-135189호 공보 등에 기재된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게다가, 수팽윤형 점착제로서, 예컨대 일본 특공평 5(1993)-77284호 공보 및 일본 특공평 6(1994)-101455호 공보에 기재된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이트는 상기 점착제를 나이프 롤 도포기(knife roll coater), 그라비아 도포기(gravure coater), 다이 도포기(die coater), 리버스 도포기(reverse coater) 등을 사용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각종 기재상에 적당한 두께로 도포하고, 그 점착 시이트를 건조시켜 기재 위에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점착제층상에 분리형 라이너(release liner)를 도포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이트는 각종 물품의 표면을 보호하고, 정밀 가공시 일시적인 고정용으로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점착 시이트는 반도체 웨이퍼 이면의 연마 공정 중 회로표면 보호용으로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이트는 상술한 특정 물성을 갖는 기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표면의 요철을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 시이트는 범프 등이 형성되어 있고 표면의 고저차가 큰 웨이퍼에 대해 충분한 접착력으로 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웨이퍼 표면의 요철이 이면 연마에 주는 영향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웨이퍼 파괴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매우 평활하게 연마할 수 있다. 게다가, 예컨대 점착제층이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로 이루어진 경우, 자외선 조사에 의해 접착력이 쉽게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가공이 종료한 후 점착제층을 자외선으로 조사하여 쉽게 박리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결코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이면 연마 적성 시험」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이면 연마 적성 시험
범프로서 인쇄에 의한 다음과 같은 도트 상의 배드마크를 6 인치의 반도체 웨이퍼의 거울 표면상에 형성하였다. 배드마크가 형성된 웨이퍼 표면에 각 점착 시이트를 부착하고, 웨이퍼의 반대면을 연마하였다. 웨이퍼 형상, 연마 조건 및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웨이퍼 형상
웨이퍼 두께(도트가 인쇄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 650∼700㎛
도트 직경: 500∼600㎛
도트 높이: 70㎛
도트 피치: 10 mm 간격(전면 인쇄);
(2) 이면 연마 조건
최종 두께: 200㎛
연마 장치: (주)디스코 제 grinder DFG 840
(3) 평가 방법
연마된 웨이퍼 이면을 관찰하였다. 균열 또는 딤플이 없거나 또는 딤플이 관찰되지만 최대 깊이가 2㎛ 미만이면, 웨이퍼를 "양호"로 평가하였다. 반면, 딤플이 관찰되고, 최대 깊이가 2㎛ 이상이면, 웨이퍼를 "딤플 발생"으로 평가하였다.
tanδ는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로 100Hz의 인장 응력에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기재를 소정의 크기로 샘플링하고, (주)오리엔테크가 제작한 Rheovibron DDV-11-EP를 사용하여 주파수 110Hz 및 온도 -40∼150℃의 범위에서 tanδ를 측정하였다. -5∼80℃의 온도 범위에서 측정된 tanδ의 최대값을 "tanδ값"으로 채용하였다.
영률은 시험 속도 200mm/분에서 JIS(일본 공업 표준규격) K7127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중량 평균 분자량 5000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주)아라까와 케미칼 인더스트리 제) 50중량부,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50중량부, 광중합 개시제(Irgacure 184, (주)시바-가이기 제) 2.0중량부 및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0.2중량부를 배합하여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분출식 다이(fountain die) 방식에 따라, 상기 수지 조성물을 캐스팅용 공정 시이트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주)도라이 인더스트리 제: 두께 38㎛)상에 두께가 110㎛가 되도록 도포하여 수지 조성물층을 형성하였다. 도포 직후, 수지 조성물층상에 동일한 PET 필름을 적층한 후, 광량 250mJ/cm2 의 고압 수은 램프(160W/cm, 거리 10cm)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으로 조사하여 수지 조성물층을 가교 경화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양 PET 필름을 박리한 후 두께 110㎛의 기재 필름을 얻었다. 이 기재 필름의 tanδ 및 영률을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이 기재 필름의 한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 의 공중합체) 100중량부, 분자량 8000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20중량부, 경화제(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10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벤조페논계 화합물) 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 건조하여, 두께 2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점착 시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시이트의 이면 연마 적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대신에 몰포리닐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50중량부 대신에 25중량부의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의 몰포리닐 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스티렌-비닐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주)구라라이 제, Hybrar VS-1)의 톨루엔 60% 용액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지지 필름상에 캐스팅하고, 적층 및 자외선 조사를 하지 않고 100℃에서 2분간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tanδ값 및 영률을 갖는 두께 300㎛의 기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기재 필름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점착 시이트의 이면 연마 적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대신에 폴리엔·티올계 수지((주)아사히 뎅까 고교 제, BY-314)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막을 형성하고 경화하여 두께 250㎛의 기재 필름을 얻었다. 이 기재 필름의 tanδ 및 영률을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기재 필름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이 점착 시이트의 이면 연마 적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주)아라까와 케미칼 인더스트리 제)의 첨가량을 60중량부로 하고, 50중량부의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대신에 50중량부의 N-비닐카프로락탐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기재 필름으로서, 두께 110㎛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상품명: Sumikathene L705)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기재 필름으로서, 두께 100㎛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필름(비닐아세테이트 함량: 12중량%)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기재 필름으로서, 두께 110㎛의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함량: 6중량%)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기재 필름으로서, 두께 110㎛의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필름(메타크릴산 함량: 8중량%)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기재 필름으로서,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tanδ 최대값 (-5∼80℃) 영률 (kg/cm2) 필름 두께 (㎛) [FT]×[YM] (kg/cm) 이면 연마 적성
실시예 1 0.78 1100 110 12.1 양호
〃 2 0.85 2400 110 26.4 양호
〃 3 1.18 1400 110 15.4 양호
〃 4 1.05 100 300 3.0 양호
〃 5 1.61 120 250 3.0 양호
〃 6 0.81 3000 110 33.0 양호
비교예 1 0.19 1300 110 14.3 딤플 발생,웨이퍼 파손
〃 2 0.16 660 100 6.6 딤플 발생,웨이퍼 파손
〃 3 0.21 900 110 9.9 딤플 발생
〃 4 0.17 1300 80 10.4 딤플 발생,웨이퍼 파손
〃 5 0.03 35000 100 350.0 딤플 발생,웨이퍼 파손
주: [FT]×[YM]은 [필름두께]×[영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피착체 표면에 형성된 요철을 정확히 추종하여 요철의 고저차를 흡수하고, 피착체의 이면 연마시 피착체 표면의 요철에 의한 영향없이 평활하게 이면 연마가 가능한 표면 보호용 점착 시이트를 제공한다.

Claims (3)

  1. -5∼80℃의 온도 범위에서 동적 점탄성 tanδ의 최대값이 0.5∼2.0인 수지 필름 및 그 위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이트로서,
    상기 수지필름이, 광중합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또는 폴리엔·티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수지로 제막 및 경화하거나,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부타디엔, 폴리메틸펜텐,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수소화 스티렌-비닐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수소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수지를 제막하여 얻어지는 점착 시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수지 필름의 두께와 영률의 곱이 0.5∼100 kg/cm의 범위인 점착 시이트.
  3. 제1항 또는 2항의 점착 시이트를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에 부착시키고, 그 점착 시이트로 표면을 보호하면서 웨이퍼의 이면을 연삭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면에 전기 회로가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의 이면 연삭 방법.
KR1019990019389A 1998-06-02 1999-05-28 점착 시이트 및 그 이용 방법 KR100624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152835 1998-06-02
JP15283598A JP3739570B2 (ja) 1998-06-02 1998-06-02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727A KR20000005727A (ko) 2000-01-25
KR100624293B1 true KR100624293B1 (ko) 2006-09-13

Family

ID=1554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389A KR100624293B1 (ko) 1998-06-02 1999-05-28 점착 시이트 및 그 이용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793762B1 (ko)
EP (1) EP0962509B1 (ko)
JP (1) JP3739570B2 (ko)
KR (1) KR100624293B1 (ko)
CN (1) CN1163564C (ko)
DE (1) DE69915537T2 (ko)
HK (1) HK1024019A1 (ko)
MY (1) MY119665A (ko)
SG (1) SG73646A1 (ko)
TW (1) TWI23012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363A2 (ko) 2008-04-21 2009-10-29 (주)Lg화학 점착 필름 및 이를 사용한 백그라인딩 방법
KR20140047031A (ko) * 2011-03-22 2014-04-21 린텍 코포레이션 기재(基材) 필름 및 그 기재 필름을 구비한 점착 시트
KR101459124B1 (ko) * 2011-12-07 2014-11-07 제일모직주식회사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9570B2 (ja) * 1998-06-02 2006-01-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方法
JP3410371B2 (ja) * 1998-08-18 2003-05-2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エハ裏面研削時の表面保護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方法
JP2002203827A (ja) * 2000-12-28 2002-07-19 Lintec Corp 半導体ウエハの裏面研削方法
JP2002203828A (ja) * 2000-12-28 2002-07-19 Lintec Corp ウエハの裏面研削方法
JP2002220571A (ja) * 2001-01-24 2002-08-09 Nitto Denko Corp 半導体ウエハ加工用保護シート
DE10121556A1 (de) * 2001-05-03 2002-11-1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Rückseitenschleifen von Wafern
JP4565804B2 (ja) * 2002-06-03 2010-10-2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被研削基材を含む積層体、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体を用いた極薄基材の製造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4574234B2 (ja) * 2004-06-02 2010-11-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半導体加工用粘着シートおよび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JP4781765B2 (ja) * 2005-09-30 2011-09-28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半導体ウェーハのバックグラインド用保護テープ
DE102005055769A1 (de) * 2005-11-21 2007-05-24 Tesa Ag Verfahren zur temporären Fixierung eines polymeren Schichtmaterials auf rauen Oberflächen
JP2007250789A (ja) * 2006-03-15 2007-09-27 Shin Etsu Polymer Co Ltd 半導体ウエハの保護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ウエハの研削方法
CN102311708A (zh) * 2006-12-05 2012-01-11 琳得科株式会社 激光切割薄片以及芯片体的制造方法
KR101075192B1 (ko) * 2009-03-03 2011-10-2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JP2011023396A (ja) * 2009-07-13 2011-02-03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シート
JP5068793B2 (ja) 2009-09-24 2012-11-0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5563411B2 (ja) * 2009-10-16 2014-07-3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光学フィルム
GB201006427D0 (en) * 2010-02-26 2010-06-02 Scott Bader Co Methacrylate-based adhesive compositions
JP5762781B2 (ja) 2011-03-22 2015-08-1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基材フィルムおよび該基材フィルムを備えた粘着シート
JP5770038B2 (ja) * 2011-07-25 2015-08-2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5193376B1 (ja) * 2012-03-26 2013-05-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ウエハ表面保護用粘着テープ
JP5680128B2 (ja) 2012-04-13 2015-03-04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接着フィルム、及び貼付方法
WO2014046096A1 (ja) * 2012-09-24 2014-03-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バックグラインドシート
JP6359243B2 (ja) * 2013-03-29 2018-07-18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5896262B1 (ja) * 2014-06-30 2016-03-30 Dic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CN107110723B (zh) * 2014-12-17 2019-08-20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按压检测装置
JP6169067B2 (ja) * 2014-12-24 2017-07-2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加工用粘着テープ
JP6623639B2 (ja) * 2015-09-18 2019-12-2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仮固定用テープ
WO2017187800A1 (ja) * 2016-04-26 2017-11-02 日東電工株式会社 造形ステージ用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造形装置
EP3788113A1 (en) 2018-05-03 2021-03-10 Avery Dennison Corporation Adhesive laminates and method for making adhesive laminat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302A (ko) * 1990-11-20 1992-06-25 권태완 저염 속성발효액젓의 제조방법
JPH06177098A (ja) * 1992-12-10 1994-06-24 Mitsui Toatsu Chem Inc ウエハ裏面研削用テープ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5334430A (en) * 1989-09-05 1994-08-02 Senju Metal Industry Co.,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temporarily securing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47341A (en) 1962-04-18 1966-11-29 W. Engdahl Gord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R2043687A6 (fr) 1969-05-27 1971-02-19 Properzi Ilario Dispositif d'acheminement et réglage du débit du liquide refroidisseur et lubrifiant dans un laminoir à cages multiples, pour barres et fils métalliques
DE3639266A1 (de) 1985-12-27 1987-07-02 Fsk K K Haftfolie
DE3787680T2 (de) 1986-07-09 1994-03-10 Lintec Corp Klebestreifen zum Kleben von Plättchen.
JPH06101455B2 (ja) 1987-05-27 1994-12-1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エハ研摩用保護シ−トおよびこのシ−トを用いたウエハ面の研摩方法
US4859217A (en) 1987-06-30 1989-08-22 Uop Process for separating nitrogen from mixtures thereof with less polar substances
JPH0712631B2 (ja) 1992-03-23 1995-02-15 株式会社リコー 射出成形金型およびその射出成形方法
JPH06101455A (ja) 1992-09-18 1994-04-12 Honda Motor Co Ltd 内燃エンジンの触媒劣化検知装置
JP3410202B2 (ja) 1993-04-28 2003-05-26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ウェハ貼着用粘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177149B2 (ja) 1996-03-15 2001-06-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テープ用基材、該基材を用いた粘着テープ、および該基材の製造方法
JP3729584B2 (ja) 1996-12-26 2005-12-21 三井化学株式会社 半導体ウエハの裏面研削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粘着フィルム
JPH1116863A (ja) 1997-06-25 1999-01-22 Mitsui Chem Inc 半導体ウエハの裏面研削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粘着フィルム
JP3739570B2 (ja) * 1998-06-02 2006-01-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4430A (en) * 1989-09-05 1994-08-02 Senju Metal Industry Co.,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temporarily securing electronic devices
KR920009302A (ko) * 1990-11-20 1992-06-25 권태완 저염 속성발효액젓의 제조방법
JPH06177098A (ja) * 1992-12-10 1994-06-24 Mitsui Toatsu Chem Inc ウエハ裏面研削用テープおよびその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363A2 (ko) 2008-04-21 2009-10-29 (주)Lg화학 점착 필름 및 이를 사용한 백그라인딩 방법
KR20140047031A (ko) * 2011-03-22 2014-04-21 린텍 코포레이션 기재(基材) 필름 및 그 기재 필름을 구비한 점착 시트
KR101893937B1 (ko) 2011-03-22 2018-08-31 린텍 코포레이션 기재(基材) 필름 및 그 기재 필름을 구비한 점착 시트
KR101459124B1 (ko) * 2011-12-07 2014-11-07 제일모직주식회사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2509A2 (en) 1999-12-08
JPH11343469A (ja) 1999-12-14
TWI230122B (en) 2005-04-01
JP3739570B2 (ja) 2006-01-25
KR20000005727A (ko) 2000-01-25
CN1237607A (zh) 1999-12-08
SG73646A1 (en) 2000-06-20
DE69915537T2 (de) 2005-03-03
DE69915537D1 (de) 2004-04-22
MY119665A (en) 2005-06-30
CN1163564C (zh) 2004-08-25
EP0962509B1 (en) 2004-03-17
EP0962509A3 (en) 1999-12-22
HK1024019A1 (en) 2000-09-29
US6793762B1 (en) 200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293B1 (ko) 점착 시이트 및 그 이용 방법
KR100584026B1 (ko) 점착시트 및 그의 사용 방법
US7351645B2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for use in semiconductor work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chip
JP3383227B2 (ja) 半導体ウエハの裏面研削方法
JP4828009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0537971B1 (ko) 베이스재료및그를사용하는접착테이프
KR20000017531A (ko) 양면점착시트 및 그 사용 방법
JP4841802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100105428A (ko) 점착시트 및 반도체 웨이퍼의 가공방법, 반도체 칩의 제조방법
JP4707805B2 (ja) 半導体ウエハ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る半導体ウエハ表面の保護方法
WO2016088677A1 (ja) 粘着シート、および加工物の製造方法
JP2002141309A (ja) ダイシングシー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9091903A (ja) ダイシングシートおよび当該ダイシングシートを用いるチップの製造方法
JP2014189563A (ja) 粘着シート、保護膜形成用フィルム、保護膜形成用複合シート、およびマーキング方法
JP3945565B2 (ja) 半導体ウエハの加工方法
WO2016151913A1 (ja) ダイシングシート、ダイシング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ルドチップの製造方法
KR20190098247A (ko) 박리 라이너 부착 마스크 일체형 표면 보호 테이프
JP7404073B2 (ja) 半導体加工用粘着テープ
JP3330851B2 (ja) ウエハ研削方法
JP2001127029A (ja) ウエハ裏面研削時の表面保護シートおよび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WO2020158768A1 (ja) エキスパンド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210097028A (ko) 마스킹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