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192B1 -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192B1
KR101075192B1 KR1020090018211A KR20090018211A KR101075192B1 KR 101075192 B1 KR101075192 B1 KR 101075192B1 KR 1020090018211 A KR1020090018211 A KR 1020090018211A KR 20090018211 A KR20090018211 A KR 20090018211A KR 101075192 B1 KR101075192 B1 KR 101075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tape
tap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627A (ko
Inventor
최성환
전해상
문기정
심창훈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8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192B1/ko
Priority to JP2011530923A priority patent/JP2012504698A/ja
Priority to PCT/KR2009/001150 priority patent/WO2010101324A1/ko
Priority to CN200980140767.1A priority patent/CN102753640B/zh
Priority to US13/254,939 priority patent/US9090800B2/en
Priority to MYPI2011001178A priority patent/MY160364A/en
Priority to TW098128793A priority patent/TWI605100B/zh
Publication of KR20100099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192B1/ko
Priority to JP2013241747A priority patent/JP5626548B2/ja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1/00Adhesive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 C08G2650/56Polyhydroxyethers, e.g. phen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08L2312/06Crosslinking by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3/00Presence of epoxy res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제 층이 상온에서 점착력을 가지지 않으나 가열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만 점착력이 발현되어 리드프레임에 라미네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점착제 층의 추가적인 광경화로 인한 부분적 상호침투망상구조를 형성하여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 중에 점착 테이프가 노출되는 열이력에 대하여 향상된 내열성을 가지며 반도체 장치의 제조 중의 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도움이 되고 봉지재료의 누출을 방지하며 공정 완료 후 테이프가 제거될 시에 리드프레임이나 봉지재료에 점착제의 전사를 방지할 수 있는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는 내열 기재와 상기 내열 기재 상에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페녹시 수지, 열경화제,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 층은 열경화 및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부품, 점착테이프, 페녹시 수지, 열경화제,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광개시제

Description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ADHESIVE TAPE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제 층이 상온에서 점착력을 가지지 않으나 가열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만 점착력이 발현되어 리드프레임에 라미네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점착제 층의 추가적인 광경화로 인한 부분적 상호침투망상구조를 형성하여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 중에 점착 테이프가 노출되는 열이력에 대하여 향상된 내열성을 가지며 반도체 장치의 제조 중의 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도움이 되고 봉지재료의 누출을 방지하며 공정 완료 후 테이프가 제거될 시에 리드프레임이나 봉지재료에 점착제의 전사를 방지할 수 있는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서 휴대용 기기(휴대폰, 랩탑 컴퓨터, DVD/CD/MP3 재생기, PDA 등)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필수적이다. 그에 따라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는 반도체 패키지들의 소형화와 박형화가 최우선 과제로 대두된다. 기존의 반도체들은 길게 나온 리드를 통하여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표면실장패키지 방식(gull-wing SO format 또는 QFP (quad-flat-package))을 사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요구 특성에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수 GHz의 고주파를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기기들의 경우 반도체 장치의 유전손실에 의한 발열 반응으로 그 성능 및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 이와 같은 반도체의 요구 특성에 맞추어서 리드가 없는 QFN(quad flat no-lead package) 방식의 수요가 급상승하고 있다. QFN의 경우 리드가 길게 나와 있지 않고 다이 주위의 랜드 형태로 패키지 바닥 쪽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바로 회로기판에 땜질(soldering)이 가능하다. 이에 리드를 가진 형태의 패키지보다 현저하게 작고 얇게 제조할 수 있고 회로기판에서 차지하는 면적도 기존에 비해서 약 40% 정도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발열 면에 있어서도, 칩을 올려 놓는 리드프레임이 밀봉 수지에 의해 쌓여져 있는 기존의 방식과 차별되어 리드프레임이 패키지의 바닥에 있고, 다이 패드가 외부로 바로 노출되어 있음으로 방열이 우수하다. 그래서 리드가 나와 있는 패키지들에 비해서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고 자체인덕턴스가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이렇게 패키지 바닥으로 리드프레임과 밀봉 수지 표면이 공존하는 계면이 생기게 됨으로, 일반적인 금속 몰딩틀을 이용시에 밀봉수지가 리드프레임과 몰딩틀 사이로 쉽게 새어 들어가서 랜드부 표면이나 다이패드 표면을 수지로 오염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리하여, 필수적으로 점착테이프를 사용하여 리드프레임에 라미네이션(lamination)시킨 후 QFN 제조 공정 및 수지 봉지 공정을 거침으로 수지 공정 동안 밀봉 수지의 블리드-아웃(bleed-out)이나 플래쉬(flash)를 막을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 중에 내열 점착테이프와 관련되는 공정은 간단히 테이핑(tape lamination) 공정 -> 다이 접착(die attach) ->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 밀봉 수지 봉지(EMC molding) -> 디테이핑(detaping)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로, 테이핑 공정에서는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점착테이프를 구리 혹은 PPF(Pre-Plated Frame) 리드프레임에 점착시키는데, 라미네이터의 종류 및 방식에 따라 요구되는 점착 테이프의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롤러(roller)를 사용하는 경우, 핫프레스(hot press)를 사용하는 경우, 두 경우의 혼합형, 그리고 리드프레임의 Dam bar 부분만을 프레스하는 경우 등으로 나뉘어진다. 각 방식에 따라 점착제 층은 기포의 포함없이 리드프레임에 밀착이 잘되어 있어야 하고 점착테이프가 라미네이션된 리드프레임의 취급 과정에서도 delamination없을 정도의 점착력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로, 다이를 리드프레임에 접착시키는 다이 접착공정에서는 페이스트 혹은 필름 형태의 에폭시, 폴리이미드, 실리콘계의 접착층이 150 ~ 170℃에서 20 ~ 60분 정도의 시간에 걸쳐서 경화가 되면서 다이와 리드프레임을 접착시킨다. 이 공정 동안 리드프레임에 라미네이션되어 있던 점착테이프는 그 점착제 층이나 기재층의 어떤 화학적 물리적 변형이 없이 안정된 내열도로 다이 접착성에 문제를 일으켜서는 안 된다.
셋째로, 와이어 본딩 공정에서는 금, 알루미늄, 구리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다이와 리드프레임의 랜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 공정에서는 열, 압력 혹은 초음파를 동원하여 와이어를 접합시키는데, 주로 100 ~ 300℃에서 짧게는 20분에서 길게는 2시간 정도까지 공정이 유지된다. 와이어가 다이와 랜드부에 각각 접합되는 동안 높은 접합성을 위해서 고열과 고압 혹은 초음파 진동까지 필요함으로 그 과정 동안 밑에서 리드프레임을 받치고 있는 테이프의 물성의 변동이 생기면 반도체 장치에서 제일 중요한 와이어 본딩성에 문제가 생길 수가 있다. 다시 말해서, 와이어가 손상되거나 접합계면이 부실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함으로 기재를 포함하여 점착제 층 자체는 내열성이나 물리적인 외력에 대한 적은 변형성과 내구성이 우수해야 한다.
넷째로, 밀봉 수지 봉지 공정에서는 다이 접착 공정과 와이어 본딩이 된 리드프레임/테이프를 몰딩틀 안에서 밀봉 수지를 사용하여 봉지를 하게 된다. 이 과정은 175 ~ 190℃의 고온에서 3 ~ 5분 정도 행하여지는데, 수지가 흘러 들어와서 각 소자 혹은 다수의 소자들을 동시에 밀봉시키는 동안 수지가 리드프레임과 테이프 사이의 계면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테이프가 리드프레임에 고온에서도 잘 밀착이 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하지 않으면 고온 고압으로 들어오는 밀봉 수지의 블리드-아웃(bleed-out)이나 플래쉬(flash)를 일으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밀봉 수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점착제 층이 밀봉 수지와 반응하여 차후에 밀봉 수지 표면에 잔류 점착제를 남길 수가 있으며, 혹은 밀봉수지의 흐름에 의한 점착제 층의 물리적인 전단 변형이 오면서 밀봉 수지 표면을 고르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다섯째로, 디테이핑 공정에서는, 위의 밀봉 수지 공정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테이프가 제거된 후에 점착제 층과 접해 있던 밀봉 수지 표면이 물리적 혹은 화학 적으로 균일해야 하고 점착제가 남아 있으면 안 된다. 또한 리드프레임 표면에도 점착제의 잔류물이 남아 있으면 안 된다. 테이프를 제거하는 방식은 상온에서 수작업이나 가열이 가능한 자동화된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들이 있다.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는, 밀봉 수지 봉지 공정을 거친 테이프가 접착되어 있는 리드프레임을 오븐이나 핫플레이트 (hot plate)를 통과하면서 테이프가 제거될 수 있는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테이프를 제거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에 쓰이는 점착테이프의 요구 특성을 종합적으로 요약을 하자면, 각 라미네이터의 라미네이션 방식에 맞추어서 테이프가 외관상으로 기포의 형성이 없이 리드프레임에 밀착되어야 하고, 다이 접착성이나 와이어 본딩성이 우수할 수 있도록 언급된 온도 범위 및 공정 시간 동안 테이프가 물리적 화학적 변화가 없어야 한다. 다시 말해, 아웃가스(outgas)와 같은 형태로 점착제 층의 일부가 빠져 나와서 반도체 장치 소자 표면에 흡착되어 결합이 되어야 할 계면의 결합력을 저하시켜서는 안 된다. 또한, 테이프의 치수의 변동이 생기거나, 점착제 층의 물리적 특성인 탄성계수 혹은 점도와 같은 값의 극단적으로 변화하여 점착제 층이 흘러 버리거나 너무 경도가 높아져서 부스러지는 것은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을 유지하는데 우려를 줄 수 있다. 밀봉 수지 봉지 공정 동안에는 테이프가 리드프레임에 밀착된 상태를 잘 유지하여서 그 계면 사이로 밀봉 수지가 침투하여 리드프레임 표면을 오염시키지 않아야 한다. 물론 디테이핑 공정 후에 디플래쉬 (deflash) 공정이 추가가 가능은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추가 세척 공정이 없는 것이 효율 및 경제적으로 권장된다. 디테이핑 후에는 밀봉 수지 표면 상태가 밀봉 수지가 원래 디자인되었던 의도대로 구현이 되도록 점착제와 밀봉 수지간에 특이한 반응이 없어야 하고 점착제가 표면에 남아 있지 않아야 한다. 또한, 리드프레임 표면에도 점착제의 잔사가 있지 않아야 한다.
특별히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테이프의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라이네이션의 방식 중에서도 핫프레스를 사용하여 라미네이션을 하는 라미네이터에 적합한 점착제 층의 개발에 세부 목적이 있다. 이 경우, 점착제 층이 상온에서 라미네이터 구성 요소의 일반적인 재질인 스텐레스 스틸(STS) 종류의 재질에 대하여 점착력이 전혀 없고 일정한 열과 압력이 가해졌을 시에만 점착력이 구현되어 리드프레임에 접착되어야 하는 것이다.
종래의 아크릴계이나 실리콘계의 점착제로는 이와 같은 온도에 의존적인 초기 점착력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해, 상온에서 점착력이 제로(zero)에 근접하고 가열시에만 점착력이 나오도록 구현하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점착제의 조성이나 기능기들의 조절에 의한 피착제와의 물리적인 결합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겠으나 기본적으로 낮은 유리전이온도에 의한 점착제의 점성으로 피착제에 큰 외압이 없이도 밀착하여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열경화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경우는 근본적인 내열 응집력의 한계나 우수한 택(tack) 특성으로 디테이핑 후에 리드프레임이나 밀봉 수지 표면에 점착제 잔사의 문제가 있고, 실리콘계 점착제의 경우 미경화된 저분자 점착제가 고온 공정에서 아웃가스 형태로 휘발될 경우 그의 낮은 표면 에너지 때문에 반도체 장비 및 반도체 소자의 표면에 쉽게 흡착 혹은 고착되어 장비를 오염시키고 와이어 본딩성이나 다 이 접착성과 연관된 반도체 신뢰성에 큰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은 이미 공론화된 사실이다. 실리콘계의 경우는 점착력이 높아서 밀봉 수지 누출에 유리할 것으로 예상되나 높은 점성에 의한 높은 변형율로 고온 고압의 밀봉수지의 흐름이 리드프레임과 점착제 층 사이를 밀고 들어가 밀봉 수지 누출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특별한 라미네이션 공정 조건의 요구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고 기존의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에 사용되어 온 점착테이프들의 점착제 잔사 및 밀봉 수지 누출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열 기재와 상기 내열 기재 상에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페녹시 수지, 열경화제,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 층은 열경화 및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열 기재는, 두께가 5㎛ ~ 100㎛이고, 유리전이 온도가 110℃ ~ 450℃이며, 100℃ ~ 200℃에서 기재의 열팽창계수가 1 ppm/℃ ~ 35 ppm/℃이고, 상온 탄성률이 1 GPa ~ 10GP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페녹시 수지는 페녹시 수지 또는 변성 페녹시 수지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 5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소 이중결합을 분자 내에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제 층의 스텐레스 스틸(STS) 재질에 대한 상온 점착력이 0 ~ 1 gf/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는 80℃ ~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페녹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열경화제 5 ~ 20 중량부 및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5 ~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5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제 층이 상온에서 점착력을 가지지 않으나 가열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만 점착력이 발현되어 리드프레임에 라미네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점착제 층의 추가적인 광경화로 인한 부분적 상호침투망상구조를 형성하여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 중에 점착 테이프가 노출되는 열이력에 대하여 향상된 내열성을 가지며 반도체 장치의 제조 중의 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도움이 되고 봉지재료 의 누출을 방지하며 공정 완료 후 테이프가 제거될 시에 리드프레임이나 봉지재료에 점착제의 전사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는 반도체 장치 제조 공정에 필요하고 그에 따른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는 마스킹(masking)용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리드프레임과 같은 금속류에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고 내열성도 탁월한 열가소성의 페녹시 수지를 주재로 사용한다. 리드프레임에 대한 우수한 밀착성 및 접착성으로 밀봉 수지의 블리드-아웃(bleed-out)이나 플래쉬(flash)가 없고 경화도를 조절함으로써 리드프레임에 점착력이 발현되는 온도도 조절 가능하다. 또한, 첨가된 광경화 수지들의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추가적인 가교 구조 형성으로 향상된 응집력으로 디테이핑 후에 점착제의 리드프레임이나 밀봉 수지 표면에 남는 점착제 잔류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는 반도체 패키징 공정을 예를 들어 기술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전자부품의 고온 제조공정상에 마스크 시트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는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에서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되어 점착제 층을 형성하는 기재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필름이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내열 기재의 경우 필름 형태로 가공이 가능하고 충분한 내열성으로 상기 기술된 온도 범위 및 시간 동안 물리-화학적 변화가 없어야 된다. 또한 이러한 내열기재는 5% 중량감소가 되는 온도가 적어도 3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200℃에서의 열팽창계수가 1 ~ 35 pp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 또한 110℃ ~ 450℃인 필름이 바람직하다. 안정되고 우수한 고온 내열성은 고온 라미네이션시에 기재의 평탄도를 유지하여 균일하게 라미네이션이 가능하게 하고 높은 와이어 본딩성을 보장할 수 있다. 고온에서도 유지되는 필름의 치수 안정성은 수지 봉지 공정 동안에도 몰딩틀에서 변형이 없어서 수지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탄성률은 상온에서 1 GPa ~ 10GPa 이고, 100 ~ 300℃ 범위 내에서도 100 ~ 5000 MPa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률이 너무 낮거나 접힘 현상이 심한 기재 필름들을 사용한 경우, 테이프의 취급 과정, 테이프를 라미네이션 장비에 로딩(loading)하는 과정, 테이프가 장비에 피딩(feeding)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주름이 남아 있게 되어 추후에 라미네이션 불량(부분delamination)을 야기하고 불균일한 와이어 본딩성 및 수지 블리드-아웃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요구 특성들을 만족하는 기재로는 내열성 고분자 필름이 적용 가능하고, 내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으로 가공된 필름들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의 두께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라미네이션 장비 및 수지 봉지 장비의 적용 한계에 의하여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5 ~ 100㎛가 바람직하나, 외 력에 의한 주름 현상을 억제하고 적절한 내열성을 유지하고 취급에 용이하기 위해서는 10 ~ 40㎛가 더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점착제와 기재 필름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샌드매트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및 프라이머 처리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는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의 점착제 층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점착력이 뛰어난 열가소성 페녹시 수지를 주재로 하고 페녹시 수지용 열경화제와 페녹시 수지의 과다 경화 수축을 조절하면서 내열성을 보존하기 위한 광경화수지(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및 이를 위한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는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의 점착제 층을 이루는 점착제 조성물의 주점착제 성분은 열가소성 수지인 페녹시 수지를 사용한다. 페녹시 수지의 종류로는 비스페놀 A형 페녹시, 비스페놀 A형/비스페놀 F형 페녹시, 브롬계 페녹시, 인계 페녹시, 비스페놀 A형/비스페놀 S형 페녹시 및 카프로락톤 변성 페녹시 등을 예로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비스페놀 A형 페녹시 수지가 내열성, 친환경성, 경화제 상용성, 경화 속도 측면에서 우수함으로 더 바람직하다.
상기 페녹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 5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내부 응집력의 증가로 인한 내열성 향상으로 디테이핑시 점착제 잔사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경우 내부 응집력이 떨어져서 요구되는 내열 특성이 구현되지 않고, 분자량이 500,000을 초과할 경우 고점도에서 오는 작업성의 저하나 코팅 후에도 코팅 면상이 고르게 나오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다른 원료들과의 혼합성이 조절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페녹시 수지를 용해할 수 있는 유기 용매 종류에는 케톤계, 알코올계, 글라이콜 에테르계, 에스테르계가 있다. 그 중에서 몇 가지 예로는 사이클로헥사논, 메틸에틸케톤, 벤질알코올, 다이에틸렌글라이콜알킬에테르, 페녹시프로판올, 프로필렌글라이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N-메틸피롤리돈 등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유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해 페녹시 수지를 5 ~ 40 중량부가 적당하고 20 ~ 30중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 코팅 불량 및 기재 필름과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톨루엔, 자일렌, 아로마틱 100, 헥산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용매를 희석제로 첨가할 수 있다. 희석제의 양은 용매 대비하여 40%를 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페녹시 수지는 적당한 가교제를 첨가하여서도 사용이 가능한데, 가교제 혹은 경화제로는 수산기를 기능기를 가지고 있는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멜라민,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이소시아네이트 관능성예비중합체, 페놀경화제, 아미노계 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제 양은 페녹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 4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5 ~ 2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경화제의 양이 너무 작아(< 5 중량부) 충분하지 못한 가교 구조가 형성될 경우에는 점착제 층이 물러져서(상대적인 유리전이온도의 감소 및 손실 탄성률 증가) 라미네이션시에 리드프레임이 점착제 층으로 너무 깊숙이 파고 들어가고 리드프레임에 의해서 밀린 점착제가 리드프레임의 다이패드나 랜드부 주위로 올라옴으로써 수지 밀봉 공정시에 밀봉 수지와 리드프레임 사이에 끼어서 디테이핑시에 점착제 잔사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경화제 양이 너무 많을 경우(> 20 중량부)에는 점착제 층의 점착력과 젖음성이 너무 떨어져서 디라미네이션(delamination)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지나치게 증가된 강도로 인하여 라미네이션 과정에서 점착제 층이 부스러지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고, 추가적으로 기재 필름에 점착제 도포 후 건조 및 경화 과정 동안 지나친 경화 수축으로 테이프가 휘어버리는 문제를 발생시켜서 라미네이션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페녹시 수지의 가교 구조에 추가적인 가교 구조를 형성할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화합물(수지)은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진 아크릴 고분자, 아크릴 올리고머, 아크릴 모노머 등이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가지고 있다. 이 아크릴기는 자유 라디칼 반응을 통해서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관능기로 작용하는데, 그 수에 따라 반응성, 가교 구조, 및 경화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관능기의 수가 늘어날수록 반응(가교) 속도가 증가하고, 유리전이 온도가 증가하고, 내열성이 증가하나 점착제 층의 유연성과 점착력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적절한 관능기 수를 가진 아크릴 수지를 선택함에 있어서도, 페녹시 수지를 경화시키는 열경화제의 선택과 마찬가지로, 점착력과 경직성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에너지선 경화에 사용되는 아크릴 화합물의 예로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아로마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알리파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단독 혹은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올리고머의 조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각 종류의 올리고머 중에서도 관능기의 수에 따라서도 선택이 가능하며, 2 ~ 9 정도의 관능기를 가진 올리고머 사용이 가능하다. 높은 경화 밀도를 통한 점착제 층의 응집력, 강도, 유리전이온도의 증가로 우수한 와이어 본딩성 및 디테이핑시에 점착제 층이 밀봉 수지 표면과 리드프레임에 잔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6 ~ 9 정도의 관능기를 가진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화합물의 함량은 페녹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 ~ 40 중량부를 첨가하고, 바람직하게는 5 ~ 3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화합물의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를 개시하는데 사용되는 광개시제에는 벤조 페논계, 치오산톤계,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계, 알파 아미노 케톤계, 페닐 글리옥실레이트계, 알아크릴 포스파인계 등이 있다. 광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기도 하나 점착제 층제 층의 두께나 에너지선의 세기 등에 따라 고른 가교 구조의 형성을 위하여 광개시제의 효율 및 특성에 따라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광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의 100 중량부에 대해서 0.5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는 80℃ ~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점착제 층의 스텐레스 스틸(STS) 재질에 대한 상온 점착력이 0 ~ 1 gf/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가 80℃ 미만인 경우에는 QFN 공정 동안의 열이력에 의해서 고온에서의 점착제의 물성 변화가 너무 심해지고, 150℃를 초과할 경우에는 테이프의 라미네이션 온 도가 170℃ 이상이 되면서 라미네이션 후에 휨(warpage)이 심해진다(리드프레임의 열팽창이 심해 지면서 테이프와의 열팽창 정도의 차이가 커져 결국 warpage가 증가함).
이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실시가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페녹시 수지(국도화학, YP50) 100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 300 중량부에 용해하고 이소시아네이트계 열경화제(다우코닝, CE138) 15 중량부,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인 알리파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일본합성, UV7600B80) 20 중량부, 알아크릴 포스파인계 광개시제(CYTEC, DAROCUR TPO) 2 중량부를 혼합하여 1시간 교반 하였다. 교반이 끝난 점착제 조성물을 25㎛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LN, 코오롱)에 도포하고 150℃ 건조기에서 약 3분간 건조하였다. 두께는 약 6㎛로 확인되었다. 건조기를 통과한 건조된 테이프는 추가적인 가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에너지선 경화 단계를 거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의 광량은 약 300 mJ/㎠ 이었다. 점착제 층 내의 완전한 경화를 위하여 장파장의 자외선 A영역 (315 ~ 400 nm)의 에너지선을 방출하는 무전극UV램프를 사용하였다.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은 UV램프의 강도, 조사 면과의 거리, 조사 시간 등의 적절한 조합으로 조절하였다. 또한 산소에 의한 에너지선 경화 효율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 분위기에서 자외선이 점착제 층에 조사되었다.
<비교예>
점착제의 주재로 아크릴 수지(삼원, AT5100) 100 중량부를 에틸아세테이트 320 중량부에 용해하고 이소시아네이트계 열경화제(다우 코닝, CE138) 10 중량부,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인 알리파틱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일본합성, UV7600B80) 25 중량부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CYTEC, EB600) 0.5 중량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0.1 중량부, 알아크릴 포스파인계 광개시제(CYTEC, DAROCUR TPO) 1 중량부를 혼합하여 1시간 교반하였다. 고온 라미네미션시의 점착력의 발현과 디테이핑시의 점착제 잔사를 막기 위해 에폭시와 실리콘계의 아크릴레이트를 각각 첨가하였다. 교반이 끝난 점착액을 25㎛ 두께의 폴리이미드 필름(LN, 코오롱)에 도포하고 150℃ 건조기에서 약 3분간 건조하였다. 두께는 약 6㎛로 확인되었다. 건조기를 통과한 건조된 테이프는 추가적인 가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질소 분위기에서 자외선이 조사되었고, 자외선의 광량은 약 300 mJ/㎠ 이었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를 각각 평가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를 위한 실험 내지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으로 하였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해 생략하기로 한다.
[표 1]
구분 실시예 비교예
점착제 종류 열가소성
페녹시 수지
아크릴 수지
STS304판에 대한 상온에서의 점착력 없음 거의 없음
라미네이션 조건 핫 프레스, 200℃, 2 MPa, 20 초
라미네이션 정도 우수 주름
5% 중량 손실 온도(℃) 430 330
유리전이온도(℃) 120 30
200℃에서의 테이프 탄성률 (Pa) 2.8 x 109 1.6 x 109
200℃에서의 Outgas (%) ± 0.1 1.2 1.6
점착력
(gf/53mm, 구리 모델 L/F)
라미네이션 후 detaping 15 5
핫 플레이트, 220℃, 45분 후 detaping 130 20
점착제 잔사
(detaping 후)
리드프레임 표면 없음 있음
밀봉 수지 표면 없음 없음
밀봉 수지 누출 없음 심함
Detaping 후 점착제 층에 남은 리드프레임 자국 뚜렷함 점착제 층 밀림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페녹시 수지를 주재로 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아크릴 수지를 주재로 한 비교예의 반도체 장치제조에 쓰이는 점착테이프로서의 주요 특성들과 연관되는 물성들을 비교하였다.
이들 점착테이프의 라미네이션 측면의 적용 용도에 있어서 상온에서 스테인레스 재질에 점착력이 없어야 하는 이유로 그와 같은 특성을 주기 위하여 점착제 조성물이 결정되었다. 두 점착테이프는 STS 304 재질에 대하여 모두 상온 점착력이 측정이 불가할 정도로 없었으나, 비교예의 경우 점착제와 STS 304 재질간의 미세한 점착력이 남아 있었다. 이는 아크릴 수지의 근본적인 점착 특성을 자외선 경화를 통해서 없애지는 못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거나 또는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이 ~ 800,000) 아크릴 사슬에서 오는 점착제 층의 무름 혹은 유연성으로 반데르발스나 극성기에 의한 점착력이 아닌 점착제 층의 물리적 변형으로 인한 접착 표면의 증가에서 오는 미세한 점착력에 기인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였다. 결국 이 미세한 점착력이 상기에서 언급한 라미네이션 장비의 경우에서는 테이프의 피딩성(feeding)에 문제가 되어 약 20%의 작업성 실패를 초래했다.
또한 비교예의 경우에는 초기 상온 점착력을 없애기 위해 추가된 상대적으로 과량의 에너지선 경화형 올리고머들로 인하여 고온에서의 라미네이션시에서도 충분한 점착력이 나오지 않아서 부분적으로 디라미네이션(delamination)이 발견되었고, 육안으로도 확인 가능할 정도로 리드프레임에 접착이 된 부분과 되지 않은 부분의 존재로 인하여 테이프의 주름이 발견되었다. 또한 비교예의 경우 이와 같은 낮은 점착력으로 밀봉 수지 본지 공정에서 심각한 수지 누출 문제를 일으켰고 리드프레임 표면이 밀봉 수지로 오염이 된 것을 확인하였다. 디테이핑 후에 남아있는 리드프레임 패턴의 자국을 검사해보면 다이나 랜드부 자국 주위로 눌려서 밀린 점착제가 뭉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상대적으로 무른 비교예의 점착제 층이 밀봉 수지 공정 동안 고온 고압의 수지 흐름으로 인해 변형이 되면서 수지 누출을 용이하게 해주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실시예의 경우는 점착제 층의 밀림 현상이 없이 점착제 층에 다이나 랜드부의 표면의 조도가 그대로 음각이 되어 있는 것으로 점착제가 리드프레임에 밀착되어서 수지 누출이 없었을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열무게분석장치, 시차주사열량계, 동적기계분석장치, 습윤분석기를 사용하여 각각 측정한 5% 중량손실온도, 유리전이온도, 동적탄성률, outgas의 상대적인 값의 비교에서도 알 수 있듯이 페녹시 수지와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을 사용한 실시예의 경우가 가교 밀도가 더 높아 점착제 층의 강도가 더 높고 우수한 내열특 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모사된 다이접착 공정(175℃ 오븐에서 45분 체류), 와이어 본딩 공정(220℃ 핫플레이트 위에서 45분 체류), 그리고 밀봉 수지 봉지 공정 이후 디테이핑시에 리드프레임에 점착제의 잔사가 실시예의 경우에만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의 경우 와이어 본딩성 검사에서 와이어 본딩 불량율이 약 300ppm 정도로 아주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크릴 수지를 주재로 하는 점착제의 경우 아크릴 수지 고유의 특성으로 상온에서는 점착력이 없고 고온에서만 점착력이 발현되는 점착제를 구성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열가소성수지인 페녹시 수지의 경우 상온에서는 점착력이 없고 고온에서만 점착력이 구현되는 라미네이션 방식에 아주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을 통한 3차원의 상호 침투 망상 가교 구조를 형성하지 않을 시에는 점착제 층이 밀린 것을 확인하였고, 내열성의 부족으로 상기된 모사 열공정을 통과한 후에 테이프를 디테이핑했을 시에는 리드프레임에 점착제가 잔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된 사항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내열 기재와 상기 내열 기재 상에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페녹시 수지, 열경화제,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는 80℃ ~ 150℃이고, 상기 점착제 층은 열경화 및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 기재는, 두께가 5㎛에서 100㎛이고, 유리전이 온도가 110℃ ~ 450℃이며, 100℃ ~ 200℃에서 기재의 열팽창계수가 1 ppm/℃ ~ 35 ppm/℃이고, 상온 탄성률이 1 GPa ~ 10G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녹시 수지는 페녹시 수지 또는 변성 페녹시 수지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 5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소 이중결합을 분자 내에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페녹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열경화제 5 ~ 20 중량부 및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5 ~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5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KR1020090018211A 2009-03-03 2009-03-03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KR101075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211A KR101075192B1 (ko) 2009-03-03 2009-03-03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JP2011530923A JP2012504698A (ja) 2009-03-03 2009-03-09 電子部品製造用粘着テープ
PCT/KR2009/001150 WO2010101324A1 (ko) 2009-03-03 2009-03-09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CN200980140767.1A CN102753640B (zh) 2009-03-03 2009-03-09 用于制造电子部件的粘合带
US13/254,939 US9090800B2 (en) 2009-03-03 2009-03-09 Adhesive tape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components
MYPI2011001178A MY160364A (en) 2009-03-03 2009-03-09 Adhesive tape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components
TW098128793A TWI605100B (zh) 2009-03-03 2009-08-27 用於製造電子組件的黏著膠帶
JP2013241747A JP5626548B2 (ja) 2009-03-03 2013-11-22 電子部品製造用粘着テー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211A KR101075192B1 (ko) 2009-03-03 2009-03-03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627A KR20100099627A (ko) 2010-09-13
KR101075192B1 true KR101075192B1 (ko) 2011-10-21

Family

ID=4270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211A KR101075192B1 (ko) 2009-03-03 2009-03-03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90800B2 (ko)
JP (2) JP2012504698A (ko)
KR (1) KR101075192B1 (ko)
CN (1) CN102753640B (ko)
MY (1) MY160364A (ko)
TW (1) TWI605100B (ko)
WO (1) WO20101013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2433B2 (ja) * 2009-08-06 2014-06-18 Dic株式会社 粘着剤、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粘着フィルム及び積層体
KR20120082129A (ko) * 2011-01-13 2012-07-2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JP5541248B2 (ja) * 2011-08-16 2014-07-09 東レ先端素材株式会社 電子部品製造用粘着テープ
CN102965040B (zh) * 2011-09-01 2014-12-03 东丽先端素材株式会社 用于制造电子部件的胶粘带
KR101382596B1 (ko) * 2011-11-04 2014-04-1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버블 프리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JP5942321B2 (ja) * 2012-09-21 2016-06-29 東レ先端素材株式会社Toray Advanced Materials Korea, Inc. モールドアンダーフィル工程のマスキングテープ用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利用したマスキングテープ
JP6105412B2 (ja) * 2013-07-03 2017-03-29 早川ゴム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粘着テープ
KR20150016878A (ko) * 2013-08-05 2015-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방법
KR101832522B1 (ko) * 2013-11-29 2018-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형성용 조성물, 광경화전 가공용 점착 필름, 접착 필름 및 전자종이 표시장치
WO2015080482A1 (ko) * 2013-11-29 2015-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9972509B2 (en) 2016-09-12 2018-05-15 Win Semiconductors Corp. Anti-plasma adhesive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516339B1 (ko) * 2018-04-06 2023-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조사기용 덮개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광 조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이 접착 방법
US11024954B2 (en) * 2018-05-14 2021-06-01 Mediatek Inc. Semiconductor package with antenna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1043730B2 (en) 2018-05-14 2021-06-22 Mediatek Inc. Fan-out package structure with integrated antenna
US20190348747A1 (en) 2018-05-14 2019-11-14 Mediatek Inc. Innovative air gap for antenna fan out pack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4150A (ja) * 2004-01-28 2005-09-08 Ajinomoto Co Inc 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接着フィルム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
KR100755175B1 (ko) 2001-08-21 2007-09-03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9806A (en) * 1971-05-10 1980-12-16 Phillips Petroleum Company Laminates
CA1304865C (en) 1985-12-20 1992-07-07 Kollmorgen Technologies Corporation Heat activatable adhesive for wire scribed circuits
JPS62153311A (ja) 1985-12-27 1987-07-08 Showa Highpolymer Co Ltd 硬化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4833116A (en) * 1986-10-16 1989-05-23 Kanzaki Paper Mfg. Co., Ltd.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
JPH0744201B2 (ja) * 1986-11-28 1995-05-1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フイルムキヤリア−用銅貼り積層複合テ−プの製造方法
JP3775760B2 (ja) 1995-04-28 2006-05-17 日本化薬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硬化物、物品及び接着方法
US6017603A (en) 1995-04-28 2000-01-25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Ultraviolet-curing adhesive composition and article
US5905099A (en) * 1995-11-06 1999-05-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eat-activatable adhesive composition
TW340967B (en) * 1996-02-19 1998-09-21 Toray Industries An adhesive sheet for a semiconductor to connect with a substrate, and adhesive sticking tape for tab, an adhesive sticking tape for wire bonding connection, a substrate for connecting with a semiconductor and a semiconductor device
JPH10178274A (ja) * 1996-12-17 1998-06-30 Sumitomo Bakelite Co Ltd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4081839B2 (ja) 1998-02-23 2008-04-30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電極接続用接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微細電極の接続構造
JP3739570B2 (ja) * 1998-06-02 2006-01-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方法
US6177173B1 (en) * 1998-07-01 2001-0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amped laminates having welded through holes and/or edges with decreased spring back and improved fastener force retention and, a method of making
JP4634680B2 (ja) * 1999-07-08 2011-02-16 ソマール株式会社 容易に剥離可能な粘着性フィルム
US6700185B1 (en) 1999-11-10 2004-03-02 Hitachi Chemical Co., Ltd. Adhesive film for semiconductor, lead frame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DE10000656A1 (de) * 2000-01-11 2001-07-12 Basf Ag Carbodiimide mit Carboxyl- oder Carboxylatgruppen
JP2001240842A (ja) 2000-02-28 2001-09-04 Nitto Denko Corp 紫外線硬化型粘着剤組成物とその粘着シ―ト類
JP2004082295A (ja) * 2002-08-28 2004-03-18 Kyowa Ltd 孔開け加工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固定用粘着テープ
JP4184143B2 (ja) 2003-04-28 2008-11-19 ザ・インクテック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粘着剤組成物
JPWO2007018120A1 (ja) * 2005-08-05 2009-02-1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2007277282A (ja) * 2006-04-03 2007-10-25 Nitto Denko Corp 半導体ウエハ加工用粘着シート
KR101081263B1 (ko) 2006-05-09 2011-11-08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접착 시트, 이를 이용한 회로 부재의 접속 구조 및 반도체 장치
JP5052050B2 (ja) 2006-06-16 2012-10-17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電極接続用接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微細電極の接続構造
JP5040247B2 (ja) * 2006-10-06 2012-10-03 東レ株式会社 半導体用接着組成物、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844383B1 (ko) 2007-03-13 2008-07-07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반도체 칩 적층용 접착 필름
JP5010990B2 (ja) * 2007-06-06 2012-08-29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接続方法
KR100910672B1 (ko) * 2007-08-03 2009-08-04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내열성 점착시트
KR101427903B1 (ko) * 2007-11-22 2014-08-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다이싱·다이본드용 점착테이프
KR101096250B1 (ko) 2009-06-15 2011-1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심 이동을 억제시키는 폴리게이트 도핑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게이트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175B1 (ko) 2001-08-21 2007-09-03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테이프
JP2005244150A (ja) * 2004-01-28 2005-09-08 Ajinomoto Co Inc 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接着フィルム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26548B2 (ja) 2014-11-19
JP2014043586A (ja) 2014-03-13
US9090800B2 (en) 2015-07-28
TWI605100B (zh) 2017-11-11
KR20100099627A (ko) 2010-09-13
WO2010101324A1 (ko) 2010-09-10
TW201033317A (en) 2010-09-16
CN102753640B (zh) 2014-03-05
MY160364A (en) 2017-02-28
US20110318580A1 (en) 2011-12-29
CN102753640A (zh) 2012-10-24
JP2012504698A (ja) 201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192B1 (ko)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KR101073698B1 (ko) 점착테이프와 리드프레임의 라미네이션 방법
KR100845092B1 (ko) 접착수지 조성물, 접착필름, 다이싱 다이본딩 필름 및반도체 장치
KR102637855B1 (ko) 필름상 접착제 및 반도체 가공용 시트
KR101208082B1 (ko) 반도체 공정용 점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673452B1 (ko) 다이 본딩 필름, 다이싱 다이 본딩 시트, 및 반도체 칩의 제조 방법
KR20190111911A (ko) 반도체 장치 제조용 접착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20082129A (ko)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KR101147841B1 (ko)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JP5541248B2 (ja) 電子部品製造用粘着テープ
KR101194544B1 (ko) 다이 익스포즈드 플립칩 패키지(defcp)의 몰드 언더필 공정용 점착 마스킹 테이프
KR20170101603A (ko) 내열성이 향상된 전자부품용 점착테이프
KR101382596B1 (ko) 버블 프리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KR20220023189A (ko) 점착제의 전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KR20150042015A (ko) 점착력이 향상된 반도체 공정용 내열 점착 마스킹 테이프
CN102965040B (zh) 用于制造电子部件的胶粘带
KR20150075493A (ko) 전자부품용 점착테이프
KR20140086144A (ko) 마스킹 테이프 제조용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공정용 내열 마스킹 테이프
KR20150100160A (ko) 계면 접착력이 향상된 반도체 공정용 내열 점착 마스킹 테이프
KR20140085714A (ko) 전자부품용 점착테이프
KR20160071240A (ko) 내플라즈마성이 향상된 반도체 공정용 내열 점착 마스킹 테이프
KR20160049091A (ko) 전자부품용 점착테이프
KR20140081369A (ko) 전자부품 제조용 점착테이프
KR101481710B1 (ko) 전자부품용 점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전자부품용 점착 테이프
KR20180115076A (ko) 반도체 장치 제조용 내열성 점착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