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047B1 - 기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047B1
KR100616047B1 KR1019990016264A KR19990016264A KR100616047B1 KR 100616047 B1 KR100616047 B1 KR 100616047B1 KR 1019990016264 A KR1019990016264 A KR 1019990016264A KR 19990016264 A KR19990016264 A KR 19990016264A KR 100616047 B1 KR100616047 B1 KR 100616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track
track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8097A (ko
Inventor
노나까찌아끼
오비세이지
야마다마꼬또
시게노부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124915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1695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492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17015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88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18Groove and land recording, i.e. user data recorded both in the grooves and on the la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02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operation to be executed
    • G11B11/10504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02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operation to be executed
    • G11B11/1051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11B11/10556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or switching or masking the transducers in or out of their operative position
    • G11B11/10563Access of indexed parts
    • G11B11/10565Marks for track change, e.g. prepits, gray 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9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 G11B7/0037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서로 인접하고 공통의 어드레스가 제공되는 한 쌍의 동심형 또는 나선형 트랙이 그 상부에 사전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는 재생 장치, 또는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가, 판독 또는 기록 헤드가 한 쌍의 트랙중 하나의 트랙에서 다른 트랙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시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재생 방법, 트랙, 광자기 디스크

Description

기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재생 장치 및 방법{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자기 디스크(magneto-optical disc)의 개략도로서, 디스크 상에 형성된 트랙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자기 디스크의 개략도로서, 디스크 상에 형성된 트랙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자기 디스크의 개략도로서, 디스크 상의 트랙에 조사된 레이저 빔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개략적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의 제1 실시예의 기록 동작의 플로우 챠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의 제1 실시예의 변형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개략적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기록시의 트랙 변경 동작의 플로우 챠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에서의 트랙 변경 동작의 플로우 챠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방법에서의 트랙 변경 동작의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데이타 입력부
15 : EDC 인코더
16 : ECC 인코더
17 : 메모리
18 : 변조기
19 : 자계 변조 드라이버
21 : RF 증폭기
22 : RF 신호 복조기
본 발명은 양 벽면이 소정의 주파수로 워블(wobble)되어 있는 트랙과 양 벽면이 편평(flat)하게 되어 있는 트랙이 그 상부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램 데이타, 비디오 데이타, 오디오 데이타 등이 기록되는 광 디스크는, 예를 들면, 컴팩트 디스크(CD)가 대표적이다.
최근, 사용자가 프로그램 데이타, 비디오 데이타, 오디오 데이타 등을 기록할 수 있는 매체가 출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압축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미니 디스크(MD)가 알려져 있다. MD는 140MB 정도의 작은 기록 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하는데 사용하기 적당하다. 그러나, 이 기록 용량은 비디오 데이타 및 컴퓨터 데이타를 기록하기에는 충분치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640MB의 기록 용량을 갖는 광자기 디스크가 새롭게 제안되었다. 이 새로운 디스크를 "MD-DATA2" 디스크라고 부른다.
종래의 MD는, 디스크 상에 22.05㎑의 주파수로 워블된 그루브가 사전 형성되어 있고 어드레스 정보가 22.05㎑로 변조되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새롭게 제안된 MD-DATA2는, 워블된 그루브(wobbled groove)와 워블되지 않은 그루브(non-wobbled groove)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워블된 그루브와 워블되지 않은 그루브 사이의 랜드(land)에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MD-DATA2 디스크 상에는 한 측면이 소정의 주파수로 워블되어 있고 다른 측면이 편평하게 되어 있는 제1 랜드 TrA와 한 측면이 편평하게 되어 있고 다른 측면이 소정의 주파수로 워블되어 있는 제2 랜드 TrB가 형성되어 있다.
즉, 지금까지 물리적 특성이 서로 다른 두 개의 트랙 상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MD가 제안된 적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 특성이 서로 다른 두 개의 트랙 상에 데이 타를 기록할 때, 한 쌍을 이루는 이 두 개의 트랙 간의 스위칭 시간이 제어되는 기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서로 인접하고 공통의 어드레스가 제공되는 한 쌍의 동심형 또는 나선형 트랙이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한 쌍의 트랙중 한 트랙에 소정의 길이로 블럭화된 데이타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한 트랙에 소정의 길이로 블럭화된 데이타를 기록한 후에 공통의 어드레스를 갖는 다른 트랙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트랙에 액세스한 후에 상기 한 쌍의 트랙중 나머지 트랙에 새롭게 소정의 길이로 블럭화된 데이타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서로 인접하고 공통의 어드레스가 제공되는 동심형 또는 나선형 트랙이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기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록 장치는,
입력 데이타를 소정의 길이로 블럭화하는 수단;
블럭화된 데이타를 상기 디스크에 기록하는 수단; 및
상기 기록 수단이 상기 한 쌍의 트랙중 한 트랙에 액세스하여 블럭화된 데이타를 그 트랙에 기록하고, 기록후에, 공통의 어드레스를 갖는 상기 한 쌍의 트랙중 다른 트랙에 액세스하여 그 트랙에 새로운 소정의 길이로 블럭화된 데이타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서로 인접하고 공통의 어드레스가 제공되는 한 쌍의 동심형 또는 나선형 트랙이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기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록 장치는,
입력 데이타를 제1 전송 속도로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상기 메모리 수단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량이 소정의 제1 값을 초과하는 때를 검출하여,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데이타를 상기 제1 전송 속도보다 높은 제2 전송 속도로 판독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 내에 저장된 데이타량이 상기 소정의 제1 값보다 작은 소정의 제2 값에 도달했을 때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을 정지시키는 메모리 제어 수단;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타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이 정지된 동안, 상기 한 쌍의 트랙중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타가 기록된 트랙에서 다른 트랙으로 상기 기록 수단을 이동시키는 기록 수단 이동 제어 수단; 및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이 정지된 동안 상기 기록 수단의 기록을 정지시키기 위한 기록 수단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서로 인접하고 공통의 어드레스가 제공되는 한 쌍의 동심형 또는 나선형 트랙이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도록 되어 있는 재생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재생 장치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는 수단;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타를 제1 전송 속도로 일단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상기 메모리 수단 내에 저장된 데이타량이 소정의 제1 값을 초과하는 때를 검출하여,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타를 상기 제1 전송 속도보다 높은 제2 전송 속도로 판독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 내에 저장된 데이타량이 상기 소정의 제1 값보다 작은 소정의 제2 값에 도달할 때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의 데이타 저장을 정지시키는 메모리 제어 수단; 및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의 데이타 저장이 정지된 동안, 상기 한 쌍의 트랙중 상기 데이타가 판독된 한 트랙에서 다른 트랙으로 상기 판독 수단을 이동시키는 기록 수단 이동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편의상,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의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분할하여 설명한다.
삭제
1.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자기 디스크
2.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
3.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4.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1.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자기 디스크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에는 기록 매체로서 소위 MD-DATA2 포맷의 광자기 디스크가 사용된다.
도 1은 광자기 디스크 상에 형성된 기록 트랙의 형상을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자기 디스크 상의 기록 트랙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광자기 디스크(1)는 직경이 약 64mm이고 두께가 1.2mm인 디스크 형상의 기록 매체로서 데이타가 광자기 기록 방법에 의해 기록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MD-DATA2 포맷의 광자기 디스크(1)는 기록 트랙 피치를 0.95㎛(종래의 MD-DA (디지탈 및 오디오) 포맷의 광자기 디스크의 경우 1.6㎛)로 줄임으로써 향상된 기록 밀도를 갖는다.
광자기 디스크(1)의 기록면에는 내주측(lead-in area)에서 외주측(lead-out area)으로 나선형 랜드(spiral land)와 그루브가 형성된다. 이 광자기 디스크(1)에서는, 랜드가 데이타가 기록되는 기록 트랙이다.
또한, 이 광자기 디스크(1)에서는, 트랙이 소위 이중 나선 형상(double-spiral form)을 갖는다. 즉, 기록 트랙인, 쌍을 이루는 두 개의 평행 배치된 랜드가 광자기 디스크(1)의 기록면 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기록 트랙에서, 내측 트랙은 기록 트랙 TrA라고 하고 외측 트랙은 기록 트랙 TrB라고 한다.
기록 트랙 TrA와 TrB 사이에는 워블 그루브 WG 또는 논-워블 그루브 NWG가 있다.
특히,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논-워블 그루브 NWG는 기록 트랙 TrA의 내측에 인접하고 워블 그루브 WG는 기록 트랙 TrB의 내측에 인접한다.
즉, 함께 나사선을 구성하는 한 쌍의 기록 트랙 TrA와 TrB의 내측면 사이에는 워블 그루브 WG가 형성되고, 한 쌍의 나선형 기록 트랙 TrA와 TrB의 외측면에는 논-워블 그루브 NWG가 형성되어 있다.
워블 그루브 WG는 광자기 디스크(1) 상의 물리 어드레스의 주파수 또는 2위상(biphase) 변조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대응하는 워블링 라인을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판독을 하기 위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워블 그루브 WG에 포함되어 있는 워블링 라인에 대응하는 워블 신호를 검출하여, 이 신호를 복조하고 이에 따라 광자기 디스크(1)의 물리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도록 되어 있다.
나사선을 형성하는 한 쌍의 기록 트랙 Tra와 TrB 사이에 워블 그루브 WG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기록 트랙 TrA 및 TrB는 통상 동일한 어드레스를 갖는다.
광자기 디스크(1)에서는, 워블 그루브 WG가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워블 그루브 WG로부터의 워블 신호와의 크로스토크를 작게한 워블 신호가 검출될 수 있고, 또한 기록 트랙의 피치를 좁게할 수 있다.
동일한 어드레스 정보가 제공되는 기록 트랙 TrA 및 TrB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구별된다는 것에 주의한다.
즉, 기록 트랙 TrA와 TrB의 구별을 위해, 도 3의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해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판독하기 위한 메인 빔 외에도 워블 신호 검출을 위한 두 개의 사이드 빔을 사용한다.
메인 빔의 빔 스폿 SPS가 소정의 기록 트랙 상에 있는 경우, 두 개의 사이드 빔의 빔 스폿 SPs1 및 SPs2가 기록 트랙에 인접한 그루브 상에 각각 조사된다.
예를 들면, 메인 빔의 빔 스폿 SPS가 기록 트랙 TrA 상에 있는 경우, 외주측의 사이드 빔의 빔 스폿 SPs1은 워블 그루브 WG에 조사되고 내주측의 사이드 빔의 빔 스폿 SPs2는 논-워블 그루브 NWG에 조사된다.
한편, 메인 빔의 빔 스폿 SpS가 기록 트랙 TrB 상에 있는 경우, 외주측의 사이드 빔의 빔 스폿 SPs1은 논-워블 그루브 NWG에 조사되고 내주측의 사이드 빔의 빔 스폿 SPs2는 워블 그루브 WG에 조사된다.
즉, 광자기 디스크(1)에서는, 메인 빔의 빔 스폿 SPS가 기록 트랙 TrA에 조사되는지 TrB에 조사되는지에 따라 2개의 사이드빔의 빔 스폿 SPs1 및 SPs2가 워블 그루브 WG 및 논-워블 그루브 NWG 또는 논-워블 그루브 NWG 및 워블 그루브 WG에 각각 조사된다.
따라서, 사이드 빔의 빔 스폿 SPs1 및 SPs2 중 어느 빔 스폿이 워블 그루브 WG (또는 논-워블 그루브 NWG)에 조사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통상 동일한 어드레스 정보가 제공되는, 광자기 디스크(1) 상의 기록 트랙 TrA와 TrB를 서로 구별할 수 있다.
650nm의 파장 λ를 갖는 레이저 광이 조리개(NA) 내의 0.52의 대물 렌즈를 통해 광자기 디스크(1) 상의 기록 트랙에 조사된다. 기록 트랙 상에는 589KB/s의 전송 속도와 2.0m/s의 일정 선속도로 데이타가 기록된다. 기록 트랙상에는 0.29㎛의 비트 길이로 데이타가 기록된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1) 상의 기록 트랙에는 1-7RLL (run length limited) 변조 방법, RS-PC(Reed-Solomon-Product code) 에러 정정 방법 및 블럭 디인터리빙 방법(block deinterleaving method)에 의해 데이타가 기록된다. 그 결과, 광자기 디스크(1)는 19.7%의 리던던시를 갖고, 이에 따라서 전체 기록 용량이 650MB이다.
광자기 디스크(1)에서, 워블 그루브 WG에 기록된 하나의 어드레스 영역이 1 섹터를 형성한다. 각각의 이러한 섹터는 기록 트랙을 따라 약 6.9mm마다 형성된다.
광자기 디스크(1)에서, 16 섹터분의 기록 영역이 1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1 에러 정정 코드(ECC) 블럭 내의 데이타가 각각의 이러한 클러스터 내에 기록된다.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1)에서는, 물리 어드레스와 기록된 데이타량 사이의 일치를 위해 데이타 재기록 단위인 1 ECC 블럭 내의 데이타가 1 클러스터 내에 기록된다. 광자기 디스크(1)에서는, 1 ECC 블럭 내의 데이타량이 32,768 바이트라는 것에 주의한다.
광자기 디스크(1)의 사양이 표 1에 집합적으로 도시된다.
디스크 직경 64mm
디스크 두께 1.2mm
트랙 피치 0.95㎛
비트 길이 0.39㎛/비트
λ·NA 650nm· 0.52
기록 방법 온-랜드 기록
어드레싱 방법 인터레이스 어드레싱(이중 나사선의 1 워블링)
변조 방법 RLL(1, 7)
에러 정정 방법 RS-PC
인터리빙 블럭
리던던시 19.7%
선속도 2.0m/s
데이타 속도 589 kB/s
기록 용량 650MB
표 1에 명시된 바와 같이 광자 디스크(1)는 데이타를 고밀도로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동화상 코딩 엑스퍼트 그룹; 2)에 의해 압축된 데이타가 15 내지 17분 동안 광자기 디스크(1)에 기록될 수 있다.
2.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
본 발명이 적용되어 상술한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하여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판독하는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을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의 개략적 블럭도이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은 통상 참조 번호(2)로 표시된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광자기 디스크(1)에 변조 자계를 제공하는 자기 헤드(11)와, 광자기 디스크(1)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하여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판독하는 광학 헤드(12)와, 광자기 디스크(1)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스핀들 모터(13)를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기록 시스템에, 데이타 입력 회로(14)와,ID (식별) 코드/EDC(에러 검출 코딩) 인코더(15)와, ECC(에러 정정 인코딩) 인코더(16)와, 메모리(17)와, 변조기(18)와, 자계 변조 드라이브(19)를 더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그 재생 시스템 내에, RF 증폭기(21)와, RF 신호 변조기(22)와, ID 디코더(23)와, 메모리(24)와, ECC 디코더(25)와, EDC 디코더(26)와, 데이타 출력 회로(27)를 더 포함한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그 서보 시스템에 서보 제어기(28)를 포함한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광자기 디스크(1) 상의 워블 그루브로서 기록된 워블 신호를 검출하여 광자기 디스크(1)의 물리 어드레스 정보를 검출하는 ADIP(이전 그루브의 어드레스) 디코더(29)를 포함하고, 또한 기록 및 재생 시스템, 서보 제어기(28)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기(30)를 포함한다.
데이타 기록을 위해, 상기 기능부로 구성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을 설명한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는, 예를 들면, 카메라, 비디오 테잎 리코더, 위성 방송 스텝 톱 박스(STB) 등과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광자기 디스크(1)에 기록될 데이타가 공급된다. 기록될 데이타는 데이타 입력 회로(14)에 공급된 다음, 데이타 입력 회로(14)로부터 ID/EDC 인코더(15)에 입력된다.
ID/EDC 인코더(15)에서는, ID/EDC 인코더(15)에 공급된 기록될 데이터의 ID 정보 및 공급된 기록될 데이타의 ID 정보와 기록 데이타의 에러 검출을 위한 에러 검출 코드(EDC)가 공급된 기록될 데이터에 추가된다.
ID 정보와 EDC가 추가된 기록될 데이타는 ECC 디코더(16)에 공급되고, ECC 디코더(16)에서는 소정의 에러 정정 블럭 단위로, 공급된 기록될 데이타에 에러 정정 코드를 추가한다. ECC가 추가된 기록 데이타는 일단 메모리(17)에 저장된다.
메모리(17)에서, 메모리(17)에 저장된 기록될 데이타는, 외부 장치로부터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으로 기록될 데이타가 전송되었던 전송 속도와, 광자기 디스크(1)로 데이타를 기록한 속도간의 차로 인한 시간 갭이 흡수된 후, 변조기(18)에 공급된다.
변조기(18)는 공급된 기록될 데이타를 소정의 변조 방법으로 변조한다. 변조된 기록될 데이타는 자계 변조 드라이버(19)에 공급된다.
자계 변조 드라이버(19)는, 공급된 기록될 데이타에 대응하여, 자기 헤드(11)를 구동시켜 광자기 디스크(1) 상의 기록 트랙에 공급된 데이타를 광자기식으로 기록하게 한다.
데이타 기록을 위해,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능한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 광학 헤드(12)는 광자기 디스크(1) 상의 기록 트랙에 기록된 데이타를 판독하고, 판독 신호를 RF 증폭기(21)에 공급하며, 이 RF 증폭기(21)는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 판독된 신호를 증폭 및 처리한 다음, RF 신호 복조기(22)로 공급한다.
RF 신호 복조기(22)는 판독 신호를 2진 코딩, 복조 및 다른 처리를 하여 데이타를 재생한다. RF 신호 복조기(22)에 의해 생성된 재생 데이타는 일단 메모리(24)에 저장된다. RF 신호 복조기(22)에 의해 생성된 재생 데이타는 또한 ID 디코더(23)에 공급된다. ID 디코더(23)는 재생 데이타로부터 ID 정보를 검출한다. 검출된 ID 정보는 ID 정보에 이해 표시된 재생 데이타와 함께 일단 메모리(24)에 저장된다.
메모리(24)에서, 메모리(24)에 저장된 재생 데이타는,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 데이타가 판독되었던 속도와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으로부터 외부 장치로 데이타가 전송되었던 전송 속도 간의 차로 인한 시간 갭이 흡수된 후, ECC 디코더(25)에 공급된다. ECC 디코더(25)는 소정의 에러 정정 블럭에 추가된 ECC에 기초하여 재생 데이타를 정정한다. 에러가 정정된 재생 데이타는 EDC 디코더(26)에 공급되고 EDC 디코더(26)는 재생 데이타에 추가된 EDC에 기초하여 재생 데이타 내의 에러를 검출한다. 에러가 검출된 재생 데이타는 데이타 출력 회로(27)에 공급된다. 데이타 출력 회로(27)는 재생 데이타를, 예를 들면, 카메라, 비디오 테잎 레코더, 위성 방송 셋트 톱 박스(STB) 등과 같은 외부 장치에 공급한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는, 기록 또는 판독 동작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보-제어된다.
RF 증폭기(21)는, 광학 헤드(12)에 의해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광학 헤드(12)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의 스폿이 광자기 디스크(1)의 기록면에 바로 투사되었는지를 나타내는 포커스 에러 신호(focus error signal)와, 레이저 스폿이 기록 트랙 등에 바로 투사되었는지를 나타내는 트랙킹 에러 신호(tracking error signal)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포커스 에러 신호, 트랙킹 에러 신호 등은 서보 제어기(28)에 공급된다. 이러한 포커스 에러 신호, 트랙킹 에러 신호 등에 기초하여, 서보 제어기(28)는 광학 헤드(12)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의 스폿이 기록 면과 기록 트랙에 각각 투사되도록 광학 헤드(12)를 제어한다.
또한, 서보 제어기(28)는, 예를 들면, 워블 신호로부터 얻어진 클럭 등에 기초하여 스핀들 모터(13)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데이타가 일정 선속도로 기록 또는 판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보 제어기(28)는 광학 헤드(12)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의 전력을 변경 또는 제어하여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 데이타의 기록 또는 판독이 적당한 레이저 전력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는, 어드레스 정보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타의 기록 또는 판독을 위한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 검출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1)는 기록 트랙(랜드)에 인접한 워블 그루브 WG에 기록된 어드레스 정보를 갖는다. RF 증폭기(21)는, 예를 들면, 두 개의 사이드 스폿 SPs1 및 SPs2 간의 차이로부터 소위 푸쉬풀(pushpull) 신호를 생성한다.
푸쉬풀 신호는 푸쉬풀 신호로부터 워블 신호를 검출하고 이 워블 신호를 디코드하여 현재 데이타가 기록되거나 판독되고 있는 광자기 디스크(1)의 물리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ADIP 디코더(29)에 공급된다. ADIP 디코더(29)는 시스템 제어기(30)에 물리 어드레스를 공급한다.
또한, ADIP 디코더(29)는 워블 신호의 극성 등을 판단하여, 현재 기록 또는 재생되고 있는 기록 트랙의 위치가, 내주측의 기록 트랙 TrA인지 또는 외주측의 기록 트랙 TrB 인지를 검출한다.
기록 트랙의 위치 정보가 시스템 제어기(30)에 공급되고, 이 시스템 제어기(30)에는 또한 앞서 설명한 ADIP 디코더(29)에 의해 검출된 어드레스 정보가 공급된다.
시스템 제어기(30)에는 외부 장치 등으로부터 판독 개시 어드레스, 기록 개시 어드레스 등과 같은 정보가 또한 공급된다.
시스템 제어기(30)는,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광학 헤드(12)가 광자기 디스크(1)의 방사 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랙 점프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서보 제어기(28)에 공급한다.
이러한 트랙 점프 신호에 기초하여, 서보 제어기(28)는 광학 헤드(12)를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해 방사상으로 이동시켜 기록 트랙 상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레이저 광을 조사시킨다.
3.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전술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외부 장치로부터 광자기 디스크(1)에 공급된 기록될 데이타를 광자기식으로 기록할 수 있고,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여 이를 외부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자기 디스크(1) 상의 이중 나사선으로 형성된 각각의 기록 트랙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1)는 기록면에 소위 이중 나사선의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평행 기록 트랙 TrA 및 TrB를 갖는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는, 스위칭 포인트가 선정되어 있고 내주측 기록 트랙 TrA 및 외주측 기록 트랙 TrB가 이러한 소정의 스위칭 포인트마다 스위치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6 클러스터분의 소정의 길이를 따라 기록 트랙들 TrA 및 TrB 중 하나에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다른 기록 트랙 TrA 또는 TrB로 진행한다.
1 클러스터 내에 기록 가능한 데이타량은 32,768 바이트이고 이는 1 ECC 블럭의 데이타량과 같다. 한 기록 트랙으로부터 다른 트랙으로의 스위칭은 데이타 기록이 클러스터의 정수배인 기록 트랙 길이로 되었을 때 실행된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 의해 기록되는 데이타량을 고정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하나의 광자기 디스크(1)에 복수의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되는 경우에도 기록 트랙 TrA 및 TrB 간의 스위칭이 소정의 위치에서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이 용이하게 동작할 수 있다.
데이타가 광자기 디스크(1)에 일정 선속도로 기록되기 때문에, 1 클러스터는 약 6.9mm×16의 일정 길이를 갖는다. 또한, 클러스터의 정수배의 기록 트랙 길이를 기록 트랙 TrA 및 TrB 간의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스위칭 포인트로 설정함으로써,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데이타 기록 또는 판독을 위한 각각의 고정된 길이로 기록 트랙을 TrA에서 TrB로 또는 그 반대로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 의해 16 클러스터마다 스위칭되는 기록 트랙 TrA 또는 TrB에 대한 데이터 기록이 후술된다. 광자기 디스크(1)의 각 섹터의 물리 어드레스를 ADD_X로 표시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먼저, 데이타 기록 동작이 개시되면, 단계 S1에서 시스템 제어기(30)가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개시 어드레스(ADD_X)를 지정한다. 그 다음, 단계 S2에서 시스템 제어기(30)는 서보 제어기(28)에 트랙 점프 명령을 하여 광학 헤드(12) 및 자기 헤드(11)가 기록 개시 어드레스(ADD_X)로 트랙 점프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단계 S3에서 시스템 제어기(30)는 광학 헤드(12) 및 자기 헤드(11)를 내주측 기록 트랙 TrA의 기록 개시 어드레스(ADD_X)에 이동시키고, 단계 S4에서 헤드가 기록 개시 어드레스(ADD_X)에 데이타를 기록하게 한다.
그 다음, 단계 S5에서, 시스템 제어기(30)는 ADIP 디코더(29)에 의해 검출된 어드레스 정보를 모니터하여 데이타가 기록 개시 어드레스(ADD_X)로부터 16 섹터 앞의 어드레스(ADD_X+15)에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시스템 제어기(30)가 데이타가 16 섹터 앞의 어드레스(ADD_X+15)에 기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시스템 제어기(30)가 1 클러스터분의 데이타가 기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단계 S6으로 가서 16 클러스터분의 데이타가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시스템 제어기(30)가 16 클러스터분의 데이타가 아직 기록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단계 S5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시스템 제어기(30)가 16 클러스터분의 데이타가 기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소정의 스위칭 위치로 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단계 S7에서 광학 헤드(12)와 자기 헤드(11)를 제어하여 기록 트랙 TrA로의 데이타 기록을 정지시킨다.
단계 S8에서, 시스템 제어기(30)는 서보 제어기(28)에 트랙 점프 명령을 하여 광학 헤드(12)와 자기 헤드(11)를 기록 개시 어드레스(ADD_X)에 트랙 점프시킨 다.
단계 S9에서, 시스템 제어기(30)는 서보 제어기(28)를 제어하여 광학 헤드(12) 및 자기 헤드(11)를 기록 개시 어드레스(ADD_X)에 있는 외주측 기록 트랙 TrB으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단계 S10에서, 시스템 제어기(30)는 광학 헤드(12)와 자기 헤드(11)가 기록 개시 어드레스(ADD_X)로부터 기록 트랙 TrB로 데이타를 기록하기 시작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30)는 ADIP 디코더(29)에 의해 검출된 어드레스 정보를 모니터하여, 단계 S11에서 데이타가 기록 개시 어드레스(ADD_X)로부터 16 섹터 앞의 어드레스(ADD_X+15)에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시스템 제어기(30)가 1 클러스터분의 데이타가 16 섹터 앞의 어드레스(ADD_X+15)에 기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S12에서 16 클러스터분의 데이타가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시스템 제어기(30)가 16 클러스터분의 데이타가 아직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 S1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시스템 제어기(30)가 16 클러스터분의 데이타가 기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 소정의 스위칭 위치로 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단계 S13에서, 광학 헤드(12) 및 자기 헤드(11)를 제어하여 기록 트랙 TrB로의 데이타 기록을 정지시킨다.
16 클러스터분의 데이타가 양쪽 기록 트랙 TrA 및 TrB에 각각 기록된 경우, 단계 S14에서 시스템 제어기(30)는 지정된 어드레스(ADD_X)의 16 클러스터 앞의 어드레스(ADD_X+255)를 지정하고, 단계 S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1 내지 S14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광자기 디스크(1)에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기록할 수 있고 각 기록 트랙의 스위칭 포인트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광자기 디스크(1)의 내주측(또는 외주측)으로부터 데이타를 순차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결정된 양의 데이타가 광자기 디스크(1)에 기록된 경우, 어드레스로부터 외주측 또는 내주측 전체를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지않은 미기록 영역으로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1)에 추가의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이 미기록 영역에 데이타가 기록된다.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는, 이러한 추가의 데이타를 광자기 디스크(1)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 상에 기록함으로써 추가의 데이타를 기록할 때 방해(disturbance) 등으로 인해 기록 위치가 잘못 지정(misregistered)되는 경우에도 기존의 데이타를 소거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1 내지 S14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광자기 디스크(1)에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기록할 수 있고, 이로써 데이타 기록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로부터, 각 선정된 트랙 길이로 교대로 스위치되는 기록 트랙 TrA 및 TrB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스위칭 위치는 소정의 트랙 길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트랙 길이의 변화로 교대로 스위치되는 기록 트랙 TrA 및 TrB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소정의 트랙 길이(예를 들면, 32 클러스터분)로 교대로 스위치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기록 개시 어드레스에서 기록 트랙 TrA 및 TrB에 데이타를 기록하도록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록 트랙 TrA의 제1 스위칭 위치에서의 기록 개시 어드레스가 ADD_X인 경우에는, 기록 트랙 TrB의 제2 스위칭 위치에서의 기록 개시 어드레스가 ADD_X+8로 설정될 수 있고, 기록 트랙 TrA의 제2 스위칭 위치에서의 기록 개시 어드레스는 ADD_X+32로 설정될 수 있으며, 기록 트랙 TrB의 제2 스위칭 위치에서의 기록 개시 어드레스는 ADD_X+4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스위치되기 전의 기록 트랙으로의 데이타 기록이 개시되는 기록 개시 위치와 스위치되기 전의 기록 트랙으로의 데이타의 기록이 종료하는 기록 종료 위치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스위치된 기록 트랙들중 하나에 대하여 데이타의 기록을 개시함으로써, 기록 트랙들 간의 이동 시간을 상대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데이타 기록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예를 들면, 200㎛의 광자기 디스크(1)의 소정의 방사상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데이타가 기록될 때마다 기록 트랙 TrA와 기록 트랙 TrB 사이를 스위칭하도록 될 수 있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예를 들면 200 턴(turn)의 기록 트랙과 동일한 길이의 데이타가 기록될 때마다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트랙킹 서보 시스템에 의해서만 스위칭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록 트랙 TrA와 TrB 간의 스위칭이 슬레드 서보 시스템에 로드할 필요없이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되기 전의 기록 트랙으로의 데이타 기록이 개시하는 기록 개시 위치와 스위치되기 전의 기록 트랙으로의 데이타의 기록이 종료하는 기록 종료 위치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기록 트랙 TrA 및 TrB중 스위치된 트랙으로의 데이타 기록이 개시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데이타의 내용 등에 따라 브레이크 포인트가 설정될 때마다 기록 트랙 TrA와 기록 트랙 TrB 간의 스위칭이 행해지도록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오디오 데이타가 기록될 때 또는 ATRAC 방법에 의해 압축된 오디오 데이타가 기록될 때 소위 사운드 단위마다 기록 트랙 TrA와 TrB 간의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비디오 데이타의 내용 등에 따라 브레이크 포인트가 설정될 때마다 기록 트랙 TrA와 TrB 간의 스위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프레임수의 정수배 또는 MPEG에 의해 압축된 비디오 데이타가 기록될 때 소위 GOP마다 기록 트랙 TrA와 TrB 간의 스위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광자기 디스크(1)에 기록될 오디오 데이타 및 비디오 데이타의 브레이크 포인트에 기초하여 스위칭 포인트를 설정함으로써, 광자기 디스크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스위칭 포인트를 용이하게 식별하고 기록된 데이타를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되기 전의 기록 트랙으로의 데이타 기록이 시작되는 기록 개시 위치와 스위치되기 전의 기록 트랙으로의 데이타의 기록이 종료되는 기록 종료 위치 간의 소정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기록 트랙 TrA 및 TrB중 스위치된 트랙으로의 데이타 기록이 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이중-나선형 광자기 디스크(1)에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데이타 기록 뿐만 아니라 데이타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기록 트랙 각각의 스위칭 포인트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서, 기록된 데이타를 쉽게 편집할 수 있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이 광자기 디스크(1)에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타가 높은 속도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중-나선형 광자기 디스크(1)에 데이타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이중-나선형 광자기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수가 제한되어 있지 않은 나선형 기록 트랙의 광자기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에도 적용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 기록 트랙 TrA에서 기록 트랙 TrB로의 스위칭 또는 반대로의 스위칭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비디오 테잎 레코더, 위성 방송 셋트 톱 박스(STB) 등과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입출력 버퍼(4)에 연속하여 공급된 기록될 데이타의 비트 속도 및 입출력 버퍼(4)로부터 외부 장치에 연속하여 공급된 재생 데이타의 비트 속도를 전송 속도 Vb라고 한다.
또한, 디스크 드라이브(3)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1)에 기록되는 데이타의 비트 속도 및 디스크 드라이브(3)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 재생되는 데이타의 비트 속도를 기록 속도 Vt라고 한다.
전송 속도 Vb와 기록 속도 Vt 간의 관계는 Vt〉Vb이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는, 디스크 드라이브(3)가 기록을 개시할 때, 데이타가 외부 장치로부터 입출력 버퍼(4)에 전송 속도 Vb로 공급된다.
따라서, 입출력 버퍼(4)에 데이타가 전송 속도 Vb로 저장된다.
입출력 버퍼(4)로의 데이타 저장 개시로부터 소정의 시간 Tj가 경과하면, 입출력 버퍼(4)는 디스크 드라이브(3)에 데이타를 공급하기 시작한다. 데이타는 광자기 디스크(1)에 기록 속도 Vt로 기록된다.
입출력 버퍼(4) 내에 저장된 데이타량은 Vt-Vb의 속도로 감소하고, 시간 Tx가 경과되었을 때는 0이 된다. 이러한 관계를 다음의 수학식 1로 나타낸다.
Tj×Vb = Tx ×(Vt-Vb)
수학식 1은 데이타가 시간 Tx 동안 하나의 기록 트랙에 연속하여 기록되면, 시간 Tj 동안 기록이 정지되는 경우에도 기록 속도 Vt로 연속 기록하는 것이 보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자기 디스크(1)로의 기록 속도 Vt가 일정하기 때문에, 경과된 시간 Tx와 데이타가 기록된 클러스터의 수 B 사이에 일정한 비례 관계가 존재하는데,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표현된다.
B=(Tx ×Vt)/C
여기서, C는 1 클러스터 내에 포함되어 있는 비트수이다.
따라서, 다음의 수학식 3에 의해 표현되는 관계는 상기 수학식 1 및 2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B=(Tj×Vb×Vt)/{C×(Vt-Vb)}
연속적으로 기록된 데이타량 X는 클러스터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다음의 수학식 4에 의해 표현되는 관계를 만족시킨다.
X=(Tj×Vb×Vt)/(Vt-Vb)
즉, 적어도 B 클러스터 또는 X 비트 이상의 데이타가 하나의 기록 트랙에 연속하여 기록되면, 시간 Tj 동안 기록이 정지되는 경우에도 전송 속도 Vb로 연속해서 기록하는 것이 보장된다.
광자기 디스크(1)가 이중 나사선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내주측 기록 트랙 TrA와 외주측 기록 트랙 TrB를 적당한 시간으로 교대로 스위치한다.
이 때,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수학식 3에 의해 정의된 것 이상의 클러스터의 데이타를 기록 트랙(TrA 또는 TrB)중 하나의 트랙에 기록하고, 그 다음 기록 트랙을 다른 기록 트랙(TrB 또는 TrA)으로 스위치한다.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시간적으로 적절하게 선택된 기록 트랙에 데이타를 기록하기 때문에, 데이타가 기록 트랙중 한 트랙에 균일하게 기록될 뿐만 아니라 광자기 디스크(1)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으로부터 두 개의 기록 트랙 모두에 일정하게 순차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1)에 선정된량의 데이타가 기록되는 경우, 어드레스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이 데이타가 기록되지 않은 미기록 영역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1)에 추가의 데이타가 기록되고, 미기록 영역에 기록된다.
따라서, 이렇게 기록된 추가의 데이타가 방해(disturbance)로 인해 잘못 기록되는 경우에도, 광자기 디스크(1) 내의 기존의 데이타 상에 기록되지 않아서, 기존의 데이타가 실수에 의해 삭제되지 않는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기록 트랙들중 하나의 트랙에 수학식 3을 만족하는 다수의 클러스터의 데이타가 연속하여 기록된 후에, 트랙 TrA와 TrB 사이의 스위칭이 이루어짐으로써, 외부 장치로부터 입출력 버퍼(4)로 데이타가 연속하여 공급되는 것을 보장한다.
즉,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는, 하나의 기록 트랙에서 다른 기록 트랙으로 이동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 Tj를 고려하여 수학식 3에 의해 정의된 것보다 많은 클러스터의 데이타가 하나의 기록 트랙에 기록된 후에 기록 트랙 TrA 및 TrB를 선택함으로써 데이타가 전송 속도 Vb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는, 데이타가 외부 장치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3)에 더 높은 데이타 속도로 공급되어, 예를 들면 동화상 데이타 등의 높은 데이타 속도를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시간으로 기록될 수 있다.
한 기록 트랙에서 다른 기록 트랙으로의 이동을 위한 시간 Tj를 고려하여,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것이다.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는, 제1 전송 속도로 전송된 데이타가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타가, 복수의 나선형으로 되어 있고 평행한 기록 트랙이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에 제1 전송 속도보다 높은 제2 전송 속도로 기록되고, 데이터량은 트랙 스위칭이 행해진 이동 시간, 제1 및 제2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기록 트랙들 중 하나에 제1 전송 속도로 연속 전송될 수 있으며, 트랙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을 위해 기입 트랙이 선택된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2)에서는, 복수의 병렬 기록 트랙들 간의 스위칭이 이동 시간, 제1 및 제2 전송 속도 간의 관계에 따라 이루어져서 제1 전송 속도로 연속 데이타 전송을 보장함으로써 모든 기록 트랙에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다.
동일한 논리 구조를 갖는 광자기 디스크(1)에 기록하기 위한 데이타를 더욱 조정하기 위해,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을 사용하여 데이타의 논리 구조마다 기록 트랙간의 스위칭을 행할 수 있다.
기록될 데이타가 예컨대 화상 데이타인 경우 논리 구조는 필드 또는 프레임이고, 데이타가 MPEG로 압축된 화상 데이타인 경우 GOP(group of picture : 화상 그룹)이며, 데이타가 소위 ATRAC(adapted transform acustic coding: 적응형 변환 음향 코딩) 방식으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타인 경우 사운드 유닛이다. 광자기 디스크(1)에 기록될 데이타의 모든 논리 구조에서 기록 트랙을 스위칭함으로서, 디스크(1)로의 액세스가 개선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 의한 기록 트랙 TrA 및 TrB 간의 스위칭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0의 플로우 챠트는 도 9의 플로우 챠트의 단계(S22 및 S24)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외부 장치로부터 입출력 버퍼(4)로 데이타가 공급되기 시작하면,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의 제어기(5)는 단계(S21 내지 S25)의 동작을 실행한다.
단계 S21에서, 제어기(5)는 자기 헤드(11) 및 광학 헤드(12)가 기록 트랙 TrA 상의 소정의 어드레스(a1)로 점프하도록 디스크 드라이브(3)에 제어 명령을 제공한다.
단계 S22에서, 디스크 드라이브(3)는 기록 트랙 TrA상의 어드레스(a1)에서 시작하는 미리 결정된 수의 클러스터(n1)를 기록하는 제어 명령을 제공한다.
이 때, 제어기(5)는 도 10의 단계(S31 내지 S36)의 동작을 실행한다.
단계 S31에서, 제어기(5)는 데이타 기록 개시 명령을 디스크 드라이브(3)에 제공한다. 그 다음, 단계 S32에서, 제어기(5)는 디스크 드라이브(3)가 각각의 소정의 논리 구조에서 기록을 완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디스크 드라이브(3)가 소정의 논리 구조에서 기록을 완수하였다고 제어기(5)가 판단하면, 단계 S33에서, 데이타가 기록 트랙 TrA에 기록된 기록 속도 Vt를 판단한다. 그 다음, 단계 S34에서, 제어기(5)는 기록 속도 Vt를 기초로, 기록 속도 Vt를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기록 트랙중 하나에 기록될 데이타의 연속적인 기록 길이를 판단한다.
즉, 제어기(5)는 수학식 3으로 규정되는 클러스터의 수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단계 S35에서, 제어기(5)는 기록 트랙 TrA에 기록된 데이타량이 연속적인 기록 길이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즉, 제어기는 단계 S34에서 결정된 것보다 많은 클러스터가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록 트랙 TrA에 기록된 데이타량이 연속적인 기록 길이에 도달하였다고 제어기(5)가 판단하면, 제어기는 기록 종료 명령을 제공하여 기록 트랙 TrA에의 데이타 기록을 종료시킨다. 이 때, 기록 트랙 TrA에 기록된 클러스터의 수는 n1이다.
다음으로, 단계 S23에서, 제어기(5)는 자기 헤드(11) 및 광학 헤드(12)가 기록 트랙 TrB 상의 소정의 어드레스(a2)로 점프하도록 디스크 드라이브(3)에 제어 명령을 제공한다. 어드레스(a2)는 어드레스(a1) 근방의 것이다.
단계 S24에서, 디스크 드라이브(3)는 기록 트랙 TrB상의 어드레스(a2)에서 시작하는 선정된 수의 클러스터(n2)를 기록하는 제어 명령을 제공한다.
이 때, 제어기(5)는 도 10의 단계(S31 내지 S36)의 동작을 실행한다.
단계 S31에서, 제어기(5)는 데이타 기록 개시 명령을 디스크 드라이브(3)에 제공한다. 그 다음, 단계 S32에서, 제어기(5)는 디스크 드라이브(3)가 각각의 소정의 논리 구조에서 기록을 완수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디스크 드라이브(3)가 소정의 논리 구조에서 기록을 완수하였다고 제어기(5)가 판단하면, 단계 S33에서, 데이타가 기록 트랙 TrB에 기록된 기록 속도 Vt를 결정한다. 그 다음, 단계 S34에서, 제어기(5)는 기록 속도 Vt를 기초로, 기록 속도 Vt를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기록 트랙 TrB에 기록될 데이타의 연속적인 기록 길이를 결정한다. 즉, 제어기(5)는 수학식 3으로 규정되는 클러스터의 수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S35에서, 제어기(5)는 기록 트랙 TrB에 기록된 데이타량이 연속적인 기록 길이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즉, 제어기는 단계 S34에서 선정된 것보다 많은 클러스터가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록 트랙 TrB에 기록된 데이타량이 연속적인 기록 길이에 도달하였다고 제어기(5)가 판단하면, 제어기는 단계 S36에서 기록 종료 명령을 제공하여 기록 트랙 TrB에의 데이타 기록을 종료시킨다. 이 때에, 기록 트랙 TrB에 기록된 클러스터의 수는 n2이다.
다음에 단계 S25에서, 제어기(5)는 단계 S2에서 기록된 클러스터의 수(n1)에 관한 어드레스를 기록 트랙 TrA상의 어드레스(a1)에 추가하고, 단계 S4에서 기록된 클러스터의 수(n2)에 관한 어드레스를 기록 트랙 TrB상의 어드레스(a2)에 추가한다. 그런 다음 제어기(5)는 단계 S21 및 후속 단계의 동작을 반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 사용된 광자기 디스크(1)에 관하여, 기록 트랙중 하나에 기록되는 연속적인 기록 길이는 데이타가 기록 트랙에 기록된 기록 속도 Vt로부터 결정되며, 기록 속도 Vt로 연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는 데이타량이 결정된다.
연속적인 기록 길이보다 긴 데이타를 기록 트랙중 하나에 기록한 후,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추가의 데이타 기록을 위해 다른 기록 트랙으로 스위칭한다.
그러므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효과적으로 데이타를 광자기 디스크(1)에 기록할 수 있으며, 데이타를 높은 속도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출력 버퍼(4)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예컨대 TOC(table of contents : 콘텐츠 테이블)과 같은 디스크 관리 영역내에 기록 트랙 TrA 및 TrB간의 스위칭 포인트에 관한 정보, 즉, 기록 트랙 TrA 및 TrB간의 연결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다. 그러므로, 데이타 재생시, 스위칭 포인트를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연속적인 데이타가 재생될 수 있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2)에서, 데이타는 기록 트랙 TrA 및 TrB간의 스위칭 포인트상의 정보를 기초로 기록 속도 Vt 보다 큰 속도로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 판독되므로, 데이타는 전송 속도 Vb로 외부 장치로 확실하게 전송될 수 있다.
다음에는, 기록 트랙 TrA 및 TrB과 본 발명의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 내의 다른 기록 트랙간의 스위칭에 대해 설명하겠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 디스크 드라이브(3)가 데이타 기록 동작을 개시하면, 데이타는 전송 속도 Vb로 외부 장치로부터 입/출력 장치(4)로 공급된다.
그러므로, 데이타는 속도 Vb로 입출력 버퍼(4)에 저장된다. 임계치(제1 임 계치) 보다 큰 데이타량이 입출력 버퍼(4)에 저장되는 경우, 입출력 버퍼(4)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3)로의 데이타 공급이 개시되고, 데이타는 기록 속도 Vt로 광자기 디스크(1)에 기록된다.
이 때에, 입출력 버퍼(4)에 저장된 데이타량은 속도(Vt - Vb)로 감소하여 마침내 제로(0)가 된다.
그러므로,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 입출력 버퍼(4)에 저장된 데이타량은 제어기(5)에 의해 관리된다. 제어기(5)는 입출력 버퍼(4)에 저장된 데이타량이 선정된 임계치(제2 임계치) 이하로 되면, 입출력 버퍼(4)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3)로의 데이타 공급을 중단한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 입출력 버퍼(4)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3)로의 데이타 공급이 중단되는 동안에도 데이타가 외부 장치로부터 입출력 버퍼(4)로 연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입출력 버퍼(4)에 저장된 데이타량은 속도 Vb로 증가한다. 선정된 양의 데이타(제1 임계치)가 입출력 버퍼(4)에 저장되었다면, 입출력 버퍼(4)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3)로의 데이타 공급이 재개되며, 데이타는 기록 속도 Vt로 광자기 디스크(1)에 기록된다.
전술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은 외부 장치로부터 입출력 버퍼(4)로의 데이타 전송을 보장할 수 있어서, 입출력 버퍼(4)의 브레이크다운을 피할 수 있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 기록 트랙 TrA 및 TrB간의 스위칭은 입출력 버퍼(4)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3)로의 데이타 공급이 중단되는 동안에 행 해진다. 그러므로, 광자기 디스크(1)에의 데이타 기록은 기록 트랙 TrA 및 TrB간의 스위칭에 의해 방해되지 않으므로, 기록 트랙간의 효율적인 스위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에는, 데이타 판독의 트랙 스위칭에 대해 설명하겠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 디스크 드라이브(3)는 광자기 디스크(1)를 일정한 선형 속도로 회전시키고, 선정된 시간동안 판독하며, 판독된 데이타를 입출력 버퍼(4)에 기록 속도 Vt로 저장시키고, 기록 속도 Vt 보다 느린 전송 속도 Vb로 입출력 버퍼(4)로부터 외부 장치로 데이타를 전송하도록 구동한다. 물론, 데이타가 디스크 드라이브(3)로부터 입출력 버퍼(4)에 공급되는 전송 속도는 광자기 디스크(1)의 회전 속도(선형 속도)에 영향을 받는다.
입출력 버퍼(4)에 저장된 데이타량이 소정의 임계치(최대치 근방) 보다 많다면,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의 판독이 정지된다. 말하자면, 간헐적인 기록이 행해진다.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 입출력 버퍼(4)에 저장된 데이타량이 간헐적인 판독 모드 동안에 선정된 값보다 크다면, 기록 트랙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이하, 도 11의 플로우 챠트를 참고하여 판독 제어에 대해 설명하겠다.
단계 S41에서, 판독 명령이 주어지면, 데이타 판독은 디스크 상의 나선형 기록 트랙중 하나(예컨대, TrA)에서 시작된다.
다음, 단계 S42에서,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 판독된 데이타가 입출력 버퍼(4)에 저장된다.
단계 S43에서, 입출력 버퍼(4)에 저장된 판독 데이타는 기록 속도 Vb보다 느린 전송 속도 Vt로 전달된다.
단계 S44에서, 제어기(5)는 입출력 버퍼(4)에 저장된 데이타량이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44에서의 판단 결과 입출력 버퍼(4)내의 데이타량이 제1 임계치보다 작다면, 제어기(5)는 단계 S42로 되돌아가서 판독 데이타를 입출력 버퍼(4)에 저장시키는 것을 계속한다.
단계 S44에서의 판단 결과 입출력 버퍼(4)내의 데이타량이 제1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은 단계 S45에서 중단된다.
다음으로 단계 S46에서, 자기 헤드(11)와 광 헤드(12)는 데이타 기록이 행하여진 기록 트랙(예컨대, TrA)으로부터 다른 기록 트랙 TrB으로 점프한다.
단계 S47에서, 데이타 판독을 대기한다 (말하자면, 1 트랙 점프가 반복된다). 다음 단계 S48에서, 제어기(5)는 입출력 버퍼(4)에 저장된 데이타량이 제2 임계치(제1 임계치보다 작음)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입출력 버퍼(4) 내의 데이타량이 제2 임계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기(5)는 단계 S41로 되돌아가서 단계 S41의 동작 및 후속 단계를 반복한다.
입출력 버퍼(4)내의 데이타량이 제2 임계치보다 크다고 제어기(5)가 판단하면, 단계 S47로 되돌아가서 데이타 판독 동작을 대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2)에서, 광자기 디스크(1) 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은 기록 트랙 TrA 및 TrB간의 스위칭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므로, 트랙 스위칭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중 나선형 기록 트랙이 형성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1)에 데이타를 기록하기에 적합한 디스크 드라이브(3)에 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타입의 광자기 디스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나선형 또는 원형 기록 트랙이 그 수에 제한 없이 형성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디스크 형상의 기록 매체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자기 디스크 기록 장치 및 방법은 소정의 스위칭 포인트마다 스위칭되는 복수의 기록 트랙 모두에 데이타를 기록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복수의 평행한 나선형 기록 트랙이 형성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에 효율적으로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트랙 스위칭 포인트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자기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타에 관하여 각각의 트랙 스위칭 포인트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기록된 데이타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자기 디스크에 효율적으로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기록될 데이타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는 메모리 수단내의 데이타량이 소정의 값에 도달하는 경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데이타가 제1 전송 속도보다 높은 제2 속도로 판독된다. 메모리 수단내의 데이타량이 소정의 값보다 작으면, 메모리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은 중단된다. 메모리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이 중단되는 동안, 판독 헤드는 한 쌍의 기록 트랙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점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재생 장치에서는, 메모리 수단내의 데이타량이 소정의 값보다 작으면, 기록 트랙중 하나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이 중단되고 판독 헤드는 데이타 판독이 중단된 동안 인접한 다른 기록 트랙으로 액세스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트랙의 효율적인 스위칭을 통해 복수의 평행한 나선형 기록 트랙이 형성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자기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 또는 판독할 수 있게 해주므로, 판독 헤드 등이 기록 트랙중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이동할 때의 데이타 전송 속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한다.

Claims (17)

  1. 서로 인접하고 공통의 어드레스가 제공되는 한 쌍의 동심형 또는 나선형 트랙이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한 쌍의 트랙중 하나의 트랙에 소정의 길이로 블럭화된 데이타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트랙에 상기 소정의 길이로 블럭화된 상기 데이타를 기록한 후에 상기 공통의 어드레스를 갖는 다른 트랙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트랙 중 상기 다른 트랙에 소정의 길이로 블럭화된 새로운 데이타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트랙 중 상기 다른 트랙에 소정의 길이로 블럭화된 새로운 데이타를 기록한 후에 상기 공통 어드레스 다음의(following) 어드레스를 갖는 상기 하나의 트랙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랙중 하나의 트랙은 하나의 벽면(wall face)이 소정의 주기로 워블(wobble)되어 있고 다른 벽면이 편평하게 되어 있는 랜드(land)인 기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랙중 다른 트랙은 한 벽면이 편평하게 되어 있고 다른 벽면이 소정의 주기로 워블되어 있는 랜드인 기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블럭화 길이는 에러 정정 단위의 정수배인 기록 방법.
  5. 서로 인접하고 공통의 어드레스가 제공되는 한 쌍의 동심형 또는 나선형 트랙이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기록 장치로서,
    입력 데이타를 소정의 길이로 블럭화하는 수단;
    상기 블럭화된 데이타를 상기 디스크에 기록하는 수단;
    상기 트랙에 액세스하는 수단; 및
    상기 한 쌍의 트랙중 하나의 트랙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액세스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하나의 트랙에 상기 블럭화된 데이타를 기록하고 다음에 상기 하나의 트랙에 기록한 후에 상기 공통 어드레스를 갖는 상기 한 쌍의 트랙중 다른 하나의 트랙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액세스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트랙에 소정의 길이로 블럭화된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트랙에 소정의 길이로 블럭화된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한 후에 상기 공통 어드레스 다음의 어드레스를 갖는 상기 하나의 트랙에 액세스 및 기록하도록 상기 액세스 및 기록 수단을 제어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일단 내부에 입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상기 메모리 수단 내에 저장된 데이타를 간헐적으로 판독하는 스케일 제어(scale controlling)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수단은 판독 수단이 상기 한 쌍의 트랙중 하나의 트랙에서 상기 한 쌍의 트랙중 다른 트랙으로 이동하는 동안 입력된 데이타를 보상하는 기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랙중 하나의 트랙은, 하나의 벽면이 소정의 주기로 워블되어 있고 다른 벽면이 편평하게 되어 있는 랜드인 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랙중 다른 트랙은 하나의 벽면이 편평하게 되어 있고 다른 벽면이 소정의 주기로 워블되어 있는 랜드인 기록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블럭화 길이는 에러 정정 단위의 정수배인 기록 장치.
  10. 서로 인접하고 공통의 어드레스가 제공되는 한 쌍의 동심형 또는 나선형 트랙이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기록 장치로서,
    일단 입력 데이타를 제1 전송 속도로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상기 메모리 수단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량이 소정의 제1 값을 초과하는 때를 검출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데이타를 상기 제1 전송 속도보다 높은 제2 전송 속도로 판독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 내에 저장된 상기 데이타량이 상기 소정의 제1 값보다 작은 소정의 제2 값에 도달했을 때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을 정지시키는 메모리 제어 수단;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타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이 정지된 동안, 상기 기록 수단을 상기 한 쌍의 트랙중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타가 기록된 트랙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트랙중 다른 트랙으로 이동시키는 기록 수단 이동 제어 수단; 및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타 판독이 정지된 동안 상기 기록 수단의 기록을 정지시키기 위한 기록 수단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랙중 하나의 트랙은 한 벽면이 소정의 주기로 워블되어 있고 다른 벽면은 편평한 랜드인 기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랙중 다른 트랙은 한 벽면이 편평하게 되어 있고 다른 벽면이 소정의 주기로 워블되어 있는 랜드인 데이타 기록 장치.
  13. 서로 인접하고 공통의 어드레스가 제공되는 한 쌍의 동심형 또는 나선형 트랙이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도록 되어 있는 재생 장치로서,
    상기 디스크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는 수단;
    일단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타를 제1 전송 속도로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상기 메모리 수단 내에 저장된 데이타량이 소정의 제1 값을 초과하는 때를 검출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데이타를 상기 제1 전송 속도보다 낮은 제2 전송 속도로 판독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 내에 저장된 상기 데이타량이 상기 소정의 제1 값보다 큰 소정의 제2 값에 도달할 때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의 데이타 저장을 정지시키는 메모리 제어 수단; 및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의 데이타 저장이 정지된 동안, 상기 판독 수단을 상기 한 쌍의 트랙중 상기 데이타가 판독된 하나의 트랙에서 상기 한 쌍의 트랙중 다른 트랙으로 이동시키는 판독 수단 이동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재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랙중 하나의 트랙은 하나의 벽면이 소정의 주기로 워블되어 있고 다른 벽면이 편평하게 되어 있는 랜드인 재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랙중 다른 트랙은 하나의 벽면이 편평하게 되어 있고 다른 벽면이 소정의 주기로 워블되어 있는 랜드인 재생 장치.
  16. 서로 인접하고 공통의 어드레스가 제공되는 한 쌍의 동심형 또는 나선형 트랙이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기록 방법으로서,
    일단 메모리에 입력 데이타를 제1 전송 속도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데이타량이 소정의 제1 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
    제1 판단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상기 데이타량이 상기 제1 값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데이타를 상기 제1 전송 속도보다 높은 제2 전송 속도로 판독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상기 데이타량이 상기 소정의 제1 값보다 작은 소정의 제2 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
    제2 판단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상기 데이타량이 상기 소정의 제2 값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을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이 정지된 동안, 기록 헤드를, 한 쌍의 트랙중 데이타가 기록된 트랙에서 다른 트랙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이 정지된 동안 상기 기록 헤드의 기록을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록 방법.
  17. 서로 인접하고 공통의 어드레스가 제공되는 한 쌍의 동심형 또는 나선형 트랙이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는 재생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크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상기 데이타를 제1 전송 속도로 일단 메모리 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데이타량이 소정의 제1 값을 초과하는 때를 검출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데이타를 상기 제1 전송 속도보다 낮은 제2 전송 속도로 판독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상기 데이타량이 상기 소정의 제1 값보다 큰 소정의 제2 값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메모리로의 데이타 저장을 정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로의 데이타 저장이 정지된 동안, 상기 판독 헤드를, 상기 한 쌍의 트랙중 상기 데이타가 판독된 하나의 트랙에서 상기 한 쌍의 트랙중 다른 트랙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생 방법.
KR1019990016264A 1998-05-07 1999-05-07 기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616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124915 1998-05-07
JP10124915A JPH11316953A (ja) 1998-05-07 1998-05-07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JP12492098A JPH11317015A (ja) 1998-05-07 1998-05-07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1998-124920 1998-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097A KR19990088097A (ko) 1999-12-27
KR100616047B1 true KR100616047B1 (ko) 2006-08-28

Family

ID=2646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264A KR100616047B1 (ko) 1998-05-07 1999-05-07 기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재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320833B1 (ko)
EP (1) EP0955635B1 (ko)
KR (1) KR100616047B1 (ko)
CN (2) CN100353446C (ko)
DE (1) DE6992656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045B1 (ko) * 1999-09-16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채널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그 장치
JP2001157154A (ja) * 1999-11-26 2001-06-08 Sony Corp 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
JP4277452B2 (ja) * 2000-02-25 2009-06-1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再生装置
KR100363166B1 (ko) * 2000-02-26 2002-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기록 방지 회로 및 방법
JP2002008247A (ja) * 2000-06-21 2002-01-11 Fujitsu Ltd 光記憶媒体及び光記憶装置
EP1193962A1 (en) * 2000-09-21 2002-04-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ansmission of real-time data from a network element to an application server with recovery method for link failure
JP2003203357A (ja) * 2001-12-28 2003-07-18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再生方法
WO2006129584A1 (ja) * 2005-05-31 2006-12-07 Pioneer Corporation 記録処理状態決定装置および記録処理状態決定方法
JP2007206799A (ja) * 2006-01-31 2007-08-16 Toshiba Corp データ転送装置、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61946A (en) * 1980-07-26 1984-02-07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ized information on a record medium
JPS5794912A (en) 1980-12-03 1982-06-12 Hitachi Ltd Date recording and reproduction system
JPS5853279A (ja) 1981-09-26 1983-03-29 Victor Co Of Japan Ltd 円盤状情報記録媒体
JPS60202573A (ja) 1984-03-28 1985-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イスクの再記録制御方式
US5249271A (en) 1990-06-04 1993-09-28 Emulex Corporation Buffer memory data flow controller
JP2707864B2 (ja) * 1991-04-18 1998-0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及び再生装置
JP3158370B2 (ja) 1991-07-12 2001-04-23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データ再生装置
JPH05234175A (ja) 1992-02-24 1993-09-10 Victor Co Of Japan Ltd 光磁気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US5680379A (en) * 1992-04-20 1997-10-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having means to control maximum delay of information being read from memory
US5418762A (en) * 1992-12-09 1995-05-23 Sony Corporation Optical disk recording device having a pre-recording mode
US5715424A (en) 1992-12-10 1998-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riting data onto rewritable optical media
JP2809043B2 (ja) 1993-03-23 1998-10-0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
CA2125331C (en) 1993-06-08 2000-01-18 Isao Satoh Optical disk,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US5508995A (en) 1993-07-15 1996-04-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capable of recording information on both groove and land tracks
US6269061B1 (en) * 1993-10-07 2001-07-31 Sony Corporation Servo control system for disk player
JP2948090B2 (ja) * 1994-03-04 1999-09-13 日本コロムビア株式会社 光担体記録装置
JPH07272420A (ja) 1994-03-31 1995-10-20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スク記録再生方式
TW347899U (en) * 1994-08-31 1998-12-11 Sony Corp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3323688B2 (ja) * 1995-02-08 2002-09-0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演奏方法
JP3513998B2 (ja) 1995-08-18 2004-03-31 ソニー株式会社 多層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
JP3772379B2 (ja) * 1996-03-25 2006-05-1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アドレス記録方法、および装置
JPH09259440A (ja) 1996-03-25 1997-10-03 Sony Corp 記録媒体、アドレス記録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
JP3824701B2 (ja) 1996-04-01 2006-09-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JP3828610B2 (ja) 1996-05-02 2006-10-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3774944B2 (ja) * 1996-07-19 2006-05-1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光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方法
WO1998010415A1 (en) * 1996-09-03 1998-03-12 Philips Electronics N.V. Information carrier, reading/writing device and reading device for writing and/or reading information blocks
JP3503676B2 (ja) * 1996-10-28 2004-03-08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のトラック判定方法及び光ディスクのアクセス方法
JPH1116216A (ja) 1997-06-19 1999-01-22 Sony Corp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11316953A (ja) 1998-05-07 1999-11-16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53446C (zh) 2007-12-05
US6320833B1 (en) 2001-11-20
CN1199171C (zh) 2005-04-27
USRE39953E1 (en) 2007-12-25
KR19990088097A (ko) 1999-12-27
CN1235342A (zh) 1999-11-17
DE69926567T2 (de) 2006-06-22
CN1551195A (zh) 2004-12-01
DE69926567D1 (de) 2005-09-15
EP0955635A1 (en) 1999-11-10
EP0955635B1 (en)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8954A (en) Optical disk using land and groove tracks
US20050013216A1 (en) Multi-layered high-density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power adjusting method therefor
EP0597483B1 (en) Disc playback method
KR100616047B1 (ko) 기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40094293A (ko)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및 디스크 기록 재생 방법
US7554900B2 (en) Disc-shaped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and data recording method
KR20040089455A (ko) 데이터 기록 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KR20040099105A (ko) 광자기 디스크
JPH11317015A (ja)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CA2242161C (en) Optical disk,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KR101053616B1 (ko)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방법과 기록장치
US6400676B2 (en) Disc-shaped recording medium
JP2003323723A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
JPH11316953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KR100253733B1 (ko) 디브이디알시스템의데이터기록방법(methodforrecordingdataofdvdrsystem)
JP4061784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KR100253734B1 (ko) 디브이디알시스템의데이터기록방법(methodforrecordingdataofdvdrsystem)
JP4193911B2 (ja) 記録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JP3433829B2 (ja) 情報再生装置および高速再生方法
JP2007052923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4039111A (ja)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方法、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0067520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02298446A (ja) 光ディスク
JP2001202686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