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073B1 - 현수식 봉형 문 - Google Patents

현수식 봉형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073B1
KR100607073B1 KR1020040086047A KR20040086047A KR100607073B1 KR 100607073 B1 KR100607073 B1 KR 100607073B1 KR 1020040086047 A KR1020040086047 A KR 1020040086047A KR 20040086047 A KR20040086047 A KR 20040086047A KR 100607073 B1 KR100607073 B1 KR 100607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rod
blocking rods
rods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6970A (ko
Inventor
이완영
Original Assignee
이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영 filed Critical 이완영
Priority to KR102004008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0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36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식 봉형 문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가이드채널을 갖는 두 포스트와, 각 포스트의 가이드채널에 양단이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하는 복수의 차단봉과, 각 차단봉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일단이 최하단 차단봉에 고정되는 복수의 와이어와, 빔에 설치되어 각 와이어를 동시에 당기거나 놓아줌으로써 차단봉들을 승강시키는 견인수단 및 각 차단봉들이 하강하였을 때 각 차단봉을 일정높이로 이격되게 위치시켜 주는 차단봉 간격유지수단을 포함한다. 차단봉 간격유지수단은 각 포스트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면서 수평으로도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스토퍼돌기와, 각 차단봉의 양단에서 돌출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돌출길이가 점차 줄어들어 계단식으로 배치된 각 스토퍼돌기에 순차적으로 걸리는 복수의 걸림탭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추락방지와 통제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구조적 강성이 뛰어나 안전한 차단문을 실현할 수 있다.
봉형 문, 현수, 차단, 주차시스템, 무팔레트

Description

현수식 봉형 문{Hanging bar gat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현수식 봉형 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3은 도2의 Ⅲ-Ⅲ선 단면도,
도4는 도2의 Ⅳ-Ⅳ선 단면도,
도5는 도1의 Ⅴ를 따라 취한 평면도,
도6은 본 발명 현수식 봉형 문의 차단봉 멈춤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의한 현수식 봉형 문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발췌 정면도들,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에 의한 현수식 봉형 문의 차단봉 멈춤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와 측면도,
도9 내지 도10b는 본 발명 현수식 봉형 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췌 평면도와 정면도들,
도11a 및 도11b는 본 발명이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의 입출고용 적재대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와 측면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포스트 11: 가이드채널
12: 빔 13: 가이드레일
20: 차단봉 21: 와이어구멍
22: 가이드롤러 30: 와이어
31: 가이드풀리 32: 로드
40: 견인수단 41: 와이어드럼
42: 기어 43: 모터
50: 차단봉 간격유지수단 51: 스토퍼돌기
52: 걸림탭 53: 보조와이어
본 발명은 차단문(gat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추락방지나 진출입 차단 등 주의안전과 통제가 요구되는 곳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현수식(懸垂式) 봉형(棒形) 문(門)(hanging bar gate)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주차장의 출입구나 철도건널목 등과 같이 완전차폐는 필요하지 않지만 적절한 출입통제와 안전조치가 필요하거나, 또는 추락방지 등을 위한 주의안전 이 요구되는 곳에는 단순히 통행 및 접근 제한에 대한 주의 내지는 경고를 할 목적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바 게이트(bar gate)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바 게이트는, 오래전부터 동물의 통행제한용으로 마굿간이나 목장에서 막대를 착탈하는 등의 간단한 구성으로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근래에 들어서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0201484호와 등록실용신안번호 제0133194호 등에 제시된 바와 같이, 통제용 차단봉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그 한쪽 단부가 기둥에 피벗(pivot) 지지되고, 기둥내에 구비된 구동장치에 의해서 차단봉이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왕복 스윙(swing)됨으로써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자동차 보급의 확산에 기인한 주차공간의 절대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 기계장치에 의해 작은 공간에 많은 차량을 층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주차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주차시스템의 입·출고용 적재대에 있어서도 그 형태에 따라 봉형 문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예컨대, 여러 가지 형태의 주차시스템 중에서 근래에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차량을 간편하고 신속하고 입·출고시킬 수 있는 소위 무팔레트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무팔레트 주차시스템의 경우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52058호, 실개평5-85953호, 특개평8-120964호 및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4-0024178호 등에 제시된 바와 같이 랙(rack)의 적재대와 운반기구의 탑재수단을 포크(fork)로 구성하여 서로 교호적으로 중첩 교차시킴으로써 상호간에 차량을 이재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무팔레트 주차시스템의 입출고용 적재대는 한쪽 측면이 운반기구의 출입을 위해 개방될 수밖에 없는 바, 승하차시 탑승자의 추락방지 등 안전을 위해서는 입출고용 적재대의 개구를 적적히 통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무팔레트 주차시스템의 입출고용 적재대에 상술한 통상의 바 게이트를 적용하기에는 랙의 구조상 적절치 못할 뿐만 아니라, 설사 적용한다 하더라도 바 게이트가 갖고 있는 자체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자칫 발생할 수 있는 탑승자의 낙하사고를 방지하기에는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즉, 입출고용 적재대의 개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차단봉이 상하로 회동하는 형식을 채택할 수밖에 없는데, 적재공간의 높이는 좌우길이에 비해 상당히 작을 뿐 아니라 차단봉은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수평으로 위치되어야 하므로 적재대의 개구를 차단하기에는 차단봉의 길이가 턱없이 모자라고, 특히 차단봉이 그 한쪽 단부만 기둥에 지지되기 때문에 구조적 강도가 취약할 뿐 아니라 일정높이에 1개만 구비되므로 승하차시 발생할 수 있는 탑승자의 낙하사고 등을 방지하기에는 역부족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입출고용 적재대의 개구에 차단봉 구동수단을 내장한 큰 부피의 기둥을 설치해야 하므로 이재시 차량의 출입에 간섭될 우려도 많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시야확보가 용이하면서도 구조적 강성이 우수하여 추락이나 차량 등의 출입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통제할 수 있는 현수식 봉형 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단봉이 상하로 슬라이딩 구동되어 제한된 크기의 개구를 통한 출입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아 특히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의 입출고용 적재대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현수식 봉형 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현수식 봉형 문은,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가이드채널(guide channel)을 갖는 두 포스트; 각 포스트의 가이드채널에 양단이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하는 복수의 차단봉; 각 차단봉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일단이 최하단 차단봉에 고정되는 복수의 와이어(wire); 각 와이어를 동시에 당기거나 놓아줌으로써 차단봉들을 승강시키는 견인수단; 각 차단봉들이 하강하였을 때 각 차단봉을 일정높이로 이격되게 위치시켜 주는 차단봉 간격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차단봉 간격유지수단이, 각 포스트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면서 수평으로도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스토퍼돌기와, 각 차단봉의 양단에서 돌출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돌출길이가 점차 줄어들어 계단식으로 배치된 각 스토퍼돌기에 순차적으로 걸리는 복수의 걸림탭(tab)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각 차단봉의 양단에 가이드채널에 구름 접촉하는 가이드롤러(guide roller)가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충분한 시야확보를 보장하면서도 종래에 비해 봉형 문의 구조적 강성이 우수하여 추락이나 차량 등의 출입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통제할 수 있음은 물론, 차단봉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기 때문에 예컨대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의 입출고용 적재대와 같이 제한된 크기의 개구를 갖는 곳에 설치되어도 개구의 크기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차량의 원활한 이재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바, 봉형 문의 신뢰성과 안전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1 내지 도4에서, 본 발명에 의한 현수식 봉형 문은, 수평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두 포스트(10)와, 이들 포스트(10) 사이에 설치되어 포스트(10)를 따라 승강하는 복수의 차단봉(20)과, 각 차단봉(20)들을 지지하는 두 와이어(30)와, 각 와이어(30)를 동시에 당기거나 놓아줌으로써 차단봉(20)들을 승강시키는 견인수단(40) 및 각 차단봉(20)들이 하강하였을 때 각 차단봉(20)들을 일정높이 간격으로 위치시켜주는 차단봉 간격유지수단(50)을 포함한다.
각 포스트(10)는 서로 대향하는 한쪽 측면에 차단봉(20)들의 단부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채널(11)을 가지며, 그 상단은 양자간에 수평으로 위 치되는 빔(12)에 의해서 서로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차단봉(20)의 상승시 그 위치확보를 위해 빔(12)이 차단봉(20)의 위치를 피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기로 빔(12)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이 개구된 채널형태로 구성되어 차단봉(20)이 상승하였을 때, 각 차단봉(20)들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차단봉 케이싱(bar casing)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차단봉(20)은 예를 들어 3개가 구비되고, 구조적 강도와 함께 견인수단(40)에 걸리는 부하를 고려하여 중공(中空)의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져 양 단부가 두 포스트(10)의 가이드채널(11)에 끼워져 승강된다.
각 차단봉(20)의 양 단부에는 두 와이어(30)를 각각 관통시키기 위한 와이어구멍(21)이 서로 동축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때, 각 와이어구멍(21)들은 미관상 와이어(30)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포스트(10)의 가이드채널(11) 삽입부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차단봉(20)의 양 선단에는 원활한 승강을 위해 포스트(10)의 가이드채널(11)에 구름 접촉하는 가이드롤러(22)가 롤러브래킷(roller bracket:23)을 통해 각각 부착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가이드채널(11)의 바닥(11a)에 가이드레일(guide rail:13)을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가이드롤러(22)는 가이드레일(13)과 결합되는 풀리(pulley)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각 와이어(30a)(30b)는 한쪽 단부가 각 차단봉(20)들의 양 단부에 형성된 와 이어구멍(21)을 각각 관통하여 최하부에 위치한 차단봉(20c)에 고정된다. 그리고 다른쪽 단부는 포스트(10)의 상방으로 인출되고, 각각 포스트(10)의 상단에 구비된 가이드풀리(31)에 안내되어 방향전환 된 후 후술한 견인수단(40)의 와이어드럼(41a)(41b)에 고정된다.
한편, 바람직하기로 각 와이어(30a)(30b)의 하단에는 도7a 및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차단봉(20)들 간에 회전변위 내지는 유동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해 차단봉(20)을 하강시켰을 때, 각 차단봉(20)들을 모두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실축 또는 파이프 형태의 로드(rod: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봉(20)이 상승하였을 때(문이 열렸을 때), 포스트(10)의 상부로 길게 돌출된 로드(32)는 휘어지지 않으므로 빔(12)의 양측(도면에는 일측만 도시됨)에 로드(32)의 돌출길이에 대응하는 보조기둥(33)을 각각 세워 이들 보조기둥(33)의 상단에 가이드풀리(31)를 설치한다.
견인수단(40)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포스트(10)의 상단을 연결하는 빔(12)의 상면 중앙부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두 와이어(30)를 각각 권취하는 1쌍의 와이어드럼(41)과, 이들 와이어드럼(41)에 각각 동축으로 장착되어 서로 이맞물림되는 기어(42) 및 어느 한 와이어드럼(41a)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와이어(30)를 감거나 풀어주는 모터(43)로 이루어진다.
차단봉 간격유지수단(50)은 예를 들어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0)의 가이드채널(11) 양 측판(11b) 내면에 설치되는 3개의 스토퍼돌기(51)와, 각 차단봉(20)의 양 선단에서 돌출되어 각 스토퍼돌기(51)에 걸리는 걸림탭(52)들로 구성된다.
각 스토퍼돌기(51)는 차단봉(20)들의 하강을 순차적으로 저지하기 위해서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동시에 수평방향으로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어긋나게 위치되어 전체적으로는 대략 계단형태를 이루는데, 이때 하방으로 갈수록 차단봉(20)에 근접한다.
여기서, 최하측의 스토퍼돌기(51a)는 최하부 차단봉(20c)의 롤러브래킷(23)에 접촉하도록 포스트(10)의 양 측판(11b)간에 설치되는 배플(baffle)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실상 없어도 무방하다.
각 걸림탭(52) 역시 하방으로 갈수록 각 차단봉(20)의 선단으로부터의 돌출길이가 점차 작아져 하강시 다른 스토퍼돌기(51)에 간섭되지 않고 대응하는 스토퍼돌기(51)에만 순차로 걸리게 된다.
이러한 걸림탭(52)은 가이드롤러(22)를 지지하는 롤러브래킷(23)의 외면에 차단봉(20)의 선단과의 간격을 달리하여 부착되고, 최하측 차단봉(20c)에는 구비되지 않는다.
한편, 차단봉 간격유지수단(50)은 도8a 및 도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돌기(51)와, 걸림탭(52) 및 보조와이어(53)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두 포스트(10)의 가이드채널(11) 양 측판(11b) 내면의 소정위치와 최상측 차단봉(20a)의 양쪽 롤러브래킷(23) 외면에는 최상측 차단봉(20a)의 하강을 저지하기 위한 1개의 스토퍼돌기(51)와 걸림탭(52)이 서로 대응하도록 각각 부착되고, 최상측 차단봉(20a)과 중간 차단봉(20b)의 양쪽 롤러브래킷(23)은 일정길이를 갖는 보조와이어(53)로 연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차단봉(20)이 3개이상으로 구비될 경우에는 최하측 차단봉(20c)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차단봉(20)들은 인접하는 차단봉(20)들끼리 각각 보조와이어(53)로 연결해줌은 물론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도, 최하측 차단봉(20c)의 하강을 보다 확실하게 저지하기 위해 그 롤러브래킷(23)의 하단에 접촉하는 배플 형태의 스토퍼돌기(51a)를 포스트(10)의 가이드채널(11)에 구비할 수 있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현수식 봉형 문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1에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는 차단봉(20)이 하강하여 봉형 문이 닫혀 있는 상태로, 이 상태에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차단봉(20)들이 간격유지수단(50)에 의해 상호간에 일정높이씩 이격되어 두 포스트(10)에 지지되어 있다.
즉, 최상측과 중간 차단봉(20a)(20b)은 그 롤러브래킷(23)에 수평으로 어긋나게 구비된 걸림탭(52)들이 포스트(10)의 두 측판(11b) 내면에 상하로 이격되면서 수평으로 어긋나게 위치된 스토퍼돌기(51)상에 접촉되고, 최하측 차단봉(20c)은 와 이어(30)에 지지됨과 함께 그 롤러브래킷(23)이 포스트(10)의 최하측 스토퍼돌기(51a)상에 얹혀져 서로 일정높이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봉형 문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개방으로 작동시켜 견인수단(40)의 모터(43)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러면, 모터(43)와 동축으로 장착된 한쪽 와이어드럼(41a)이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기어(42)로 연결된 다른쪽 와이어드럼(41b)이 함께 회전됨으로써 두 와이어(30)가 각각의 와이어드럼(41a)(41b)에 동시에 감겨지게 된다.
와이어(30)가 감겨지면, 먼저 최하측의 차단봉(20c)이 상승하여 중간 차단봉(20b)의 하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어서 중간 차단봉(20b)이 최하측 차단봉(20c)에 얹혀진 상태로 함께 상승하며, 중간 차단봉(20b)이 최상측 차단봉(20a)의 하면에 접촉하면 최상측 및 중간 차단봉(20a)(20b)들이 최하측 차단봉(20c) 상에 순차 적층된 상태로 함께 상승함으로써 개방된다.
상승된 차단봉(20a~20c)들은 도1의 가상선 및 도2,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포스트(10)의 상단을 연결하는 채널형 빔(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모터(43)가 정지되어 상승이 멈춘다.
한편, 봉형 문을 닫고자 할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폐쇄로 작동시켜 견인수단(40)의 모터(43)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러면, 기어(42)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와이어드럼(41a)(41b)들이 동시에 풀림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 라 각 와이어(30)의 구속력이 해제되어 각 차단봉(20)들이 자중에 의해 동시에 포스트(10)의 가이드채널(11)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어서, 최상측 차단봉(20a)이 일정높이만큼 하강하면 그 롤러브래킷(23)에 구비된 걸림탭(52)이 포스트(10)의 최상측 스토퍼돌기(51)에 걸려 하강이 저지된다. 이때, 중간 차단봉(20b)에 구비된 걸림탭(52)은 최상측 스토퍼돌기(51)와 수평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최하측 차단봉(20c)에는 걸림탭(52)이 없으므로 중간 및 최하측 차단봉(20b)(20c)들은 계속해서 하강한다.
다음, 최상측 차단봉(20a)이 멈춘 뒤 중간 및 최하측 차단봉(20b)(20c)이 일정높이만큼 더 하강하면 중간 차단봉(20b)의 롤러브래킷(23)에 구비된 걸림탭(52)이 포스트(10)의 중간 스토퍼돌기(51)에 걸려 멈추고, 최하측 차단봉(20c)만 계속해서 하강하게 된다.
이어서 중간 차단봉(20b)이 멈춘 뒤 일정높이만큼 최하측 차단봉(20c)이 더 하강하면 모터(43)가 정지하여 최하측 차단봉(20c)의 하강이 와이어(30)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봉형 문이 폐쇄된다. 이때, 최하측 차단봉(20c)은 포스트(10)에 배플 형태의 최하측 스토퍼돌기(51a)가 구비된 경우, 그 롤러브래킷(23)이 최하측 스토퍼돌기(51a)상에 걸쳐지며, 이에 따라 설사 모터(43)가 정확한 정지시점에서 멈추지 않더라도 최하측 차단봉(20c)의 과도한 하강이 방지된다.
한편, 도9 및 도10b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각 차단봉(20)의 양 선단에 구비되 는 가이드롤러(24)가 직접 포스트(10)의 측판(11b)에 구름 접촉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차단봉 간격유지수단(50)의 스토퍼돌기(51)와 걸림탭(52)이 포스트(10)의 가이드채널(11)내에 구비될 수 없으므로 스토퍼돌기(51)는 포스트(10)의 양 측판(11b) 외면에 부착되고, 차단봉(20)이 두 포스트(10)의 간격보다 작고 그 전후폭보다 큰 폭으로 구성되어 걸림탭(52)이 차단봉(20)의 선단에서 직접 돌출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30)가 포스트(10)내에 위치하지 못하고 외부에 노출되기는 하지만, 이러한 실시예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갖는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 현수식 봉형 문은 도11a 및 도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적재대가 포크로 이루어진 소위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의 입출고용 적재대(L)에 있어서 이재를 위한 개구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즉, 무팔레트방식 주차시스템의 경우 차량(V)을 적재하는 적재대와 운반기구의 탑재수단이 포크상으로 구성되어 상호 중첩되도록 교차되면서 차량(V)을 이재하므로 입출고용 적재대(L)가 랙(R)에 직접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탑승자의 승하차시 자칫 이재를 위한 개구를 통해 추락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탑승자가 확실히 승차하거나 또는 하차하여 완전히 입출고용 적재대(L)로부터 빠져나올 때까지 이재용 개구는 확실히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개구 역시 일정크기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V)의 이재동작에 간섭되지 않아야 하는 바, 본 발명 현수식 봉형 문은 상하 슬라이딩 구동방식으로 개구의 크기에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뿐 아니라, 차단봉(20)이 일정간격을 유 지하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양단이 포스트(10)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확실한 안전보장과 통제기능을 구현하므로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의 입출고용 적재대(L)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할 수 있다.
더욱이, 빔(12)을 랙(R)의 장변쪽 수평보(B)로 대치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도 매우 간단한 이점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현수식 봉형 문에 의하면,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스윙바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에 비해 봉형 문의 구조적 강성과 안전성이 대단히 우수하며, 이에 따라 추락이나 차량 등의 출입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단봉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기 때문에 예컨대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의 입출고용 적재대와 같이 제한된 크기의 개구를 갖는 곳에 설치되어도 개구의 크기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차량의 원활한 이재동작을 보장할 수 있으며, 개방시에도 각 차단봉들이 서로 밀착하여 적은 공간에 모아지므로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봉형 문의 신뢰성과 안전성 향상 등에 크게 기여하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가이드채널을 갖는 두 포스트;
    상기 각 포스트의 가이드채널에 양단이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하는 복수의 차단봉;
    상기 각 차단봉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일단이 최하단 차단봉에 고정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각 와이어를 동시에 당기거나 놓아줌으로써 차단봉들을 승강시키는 견인수단;
    상기 각 차단봉들이 하강하였을 때 각 차단봉을 일정높이로 이격되게 위치시켜 주는 차단봉 간격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봉형 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봉 간격유지수단이,
    상기 각 포스트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면서 수평으로도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스토퍼돌기와, 상기 각 차단봉의 양단에서 돌출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돌출길이가 점차 줄어들어 계단식으로 배치된 상기 각 스토퍼돌기에 순차적으로 걸리는 복수의 걸림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봉형 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봉 간격유지수단이,
    상기 각 포스트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스토퍼돌기와, 상기 최상측 차단봉의 양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돌기에 걸리는 걸림탭과, 상기 최하단 차단봉을 제외한 나머지 차단봉들을 인접하는 차단봉끼리 서로 연결해주는 일정길이의 보조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봉형 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와이어의 하단에, 상기 차단봉이 하강했을 때 서로 이격된 각 차단봉들을 모두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로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봉형 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이,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두 와이어를 각각 권취하는 두 와이어드럼과, 이들 와이어드럼에 각각 동축으로 장착되어 서로 이맞물림되는 기어쌍과, 상기 와이어드럼의 어느 하나를 감김방향 또는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봉형 문.
  6.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차단봉의 양단에 상기 가이드채널에 구름 접촉하는 가이드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봉형 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포스트의 가이드채널 바닥에 가이드레일이 세로로 더 설치되고, 상기 차단봉에 구비된 가이드롤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풀리형 단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봉형 문.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포스트의 상단이 빔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봉형 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 포스트의 상단을 연결하는 빔이, 하방으로 개구된 채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차단봉을 들어올렸을 때 각 차단봉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형 봉형 문.
KR1020040086047A 2004-10-27 2004-10-27 현수식 봉형 문 KR100607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047A KR100607073B1 (ko) 2004-10-27 2004-10-27 현수식 봉형 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047A KR100607073B1 (ko) 2004-10-27 2004-10-27 현수식 봉형 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970A KR20060036970A (ko) 2006-05-03
KR100607073B1 true KR100607073B1 (ko) 2006-08-02

Family

ID=3714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047A KR100607073B1 (ko) 2004-10-27 2004-10-27 현수식 봉형 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6000A (zh) * 2018-10-30 2019-01-18 安徽华星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一种立体停车设备后防松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101B1 (ko) * 2007-09-04 2008-09-25 박병오 무대 현수막 게시장치
KR101663461B1 (ko) * 2015-02-03 2016-10-0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개폐가능 펜스
CN107558778A (zh) * 2017-10-18 2018-01-09 福建三铭科技有限公司 一种钢丝绳牵引式立体停车库
KR102325531B1 (ko) * 2021-03-19 2021-11-12 주식회사 지성에스이 분리방지형 추락방지도어를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6000A (zh) * 2018-10-30 2019-01-18 安徽华星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一种立体停车设备后防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970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918B1 (ko)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의 입출고용 적재대
US20170234023A1 (en) Lift-slide parking system
KR100452858B1 (ko)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한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
SK283218B6 (sk) Zariadenie na parkovanie motorových vozidiel
KR100607073B1 (ko) 현수식 봉형 문
JP2016180247A (ja) 昇降フェンス装置とそれを備えた駐車設備
JP6548489B2 (ja) 機械式駐車装置
EP1614834B1 (de) Regallager für Kraftfahrzeuge
JPH0338382B2 (ko)
DE202016001890U1 (de) Automatische Parkanlage zum Parken von Fahrzeugen auf Plattformen auf mehreren Ebenen und Tiefen und in beliebiger Länge
JP2000248767A (ja) 立体駐車設備のゲート装置
KR102604402B1 (ko) 주차타워설비
JP2593561B2 (ja) 機械式駐車設備
JPH0678375U (ja) 工事用昇降装置に関連する扉装置
JPH10159374A (ja) 自走縦重列エレベータ式駐車設備
JP3312884B2 (ja) 多段式駐車設備
JPH07252952A (ja) 立体駐車装置
JP5653134B2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5364536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200237779Y1 (ko) 입체주차장치
JP4136898B2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002167995A (ja) 駐車設備のゲート装置
JP2728152B2 (ja) 立体駐車場
JP3566946B2 (ja) 多段式駐車装置
JP3554888B2 (ja) 倉庫のドアー及び出入口部の高さ制限バーの損傷防止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