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531B1 - 분리방지형 추락방지도어를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분리방지형 추락방지도어를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531B1
KR102325531B1 KR1020210035708A KR20210035708A KR102325531B1 KR 102325531 B1 KR102325531 B1 KR 102325531B1 KR 1020210035708 A KR1020210035708 A KR 1020210035708A KR 20210035708 A KR20210035708 A KR 20210035708A KR 102325531 B1 KR102325531 B1 KR 102325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all prevention
unit
guide rail
do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일
최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성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성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성에스이
Priority to KR102021003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ables or r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of wing type, e.g. revolving or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component faults o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리방지형 추락방지도어를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는, 내부에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구조물의 입구에 구비되는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주차구조물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승강도어와, 상기 승강도어의 양측에서 상기 승강도어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도어유닛, 상기 도어유닛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승강도어가 개방 또는 미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이하로 진입할 경우 차량의 진행을 차단하는 추락방지도어와, 상기 추락방지도어의 양측에서 상기 추락방지도어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유닛 및 상기 도어유닛 및 상기 추락방지유닛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방지형 추락방지도어를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Door Assembly of Parking Structure Having Falling Preventing Door for Prevent Separation}
본 발명은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구조물의 입구에 구비되는 도어유닛이 개방 또는 미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이하로 진입 시 차량의 진행을 차단하며, 차량의 의한 충격에 의해 지지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추락방지도어를 포함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한정된 토지 영역에 차량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주차공간이 점차 부족해지는 바, 주차를 위한 공간을 여유있게 할당할 수 없는 지역에서는 주차타워 등과 같은 주차구조물을 도입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주차타워의 경우에는 내부에 차량이 안착될 수 있는 파렛트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좁은 면적에서도 많은 차량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일반적으로 주차타워는 상하 방향을 따라 깊게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지하 방향으로 공간을 형성한 주차타워의 경우에는 차량의 낙하 사고에 따른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주차구조물에 차량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연구되고 있으나, 차량의 급발진 또는 운전 실수 등에 의한 차량의 충돌 등과 같은 외력을 받게 될 경우 도어가 양 옆에 구비되는 기둥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어 아직까지 대처가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최근에는 차량의 주차를 위한 파렛트가 대기 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진입시키거나, 또는 시스템의 오류에 의해 파렛트가 대기 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황 등을 대비하기 위해, 차량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차단장치가 의무화되고 있다(국토부 행정예고안).
이와 같은 추락차단장치는 차량이 일정한 속도 이하, 행정예고안에 의하면 5km 이하로 진입할 경우에 진행을 차단할 수 있도록 외력에 대해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78532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기존에 설치된 도어유닛이 시스템적 오작동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이 진입하거나, 차량의 급발진 또는 운전 실수 등에 의해 도어가 차량의 충돌 외력을 받게 될 경우에도 양 옆에 구비되는 기둥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방지형 추락방지도어를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는, 내부에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구조물의 입구에 구비되는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주차구조물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승강도어와, 상기 승강도어의 양측에서 상기 승강도어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도어유닛, 상기 도어유닛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승강도어가 개방 또는 미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이하로 진입할 경우 차량의 진행을 차단하는 추락방지도어와, 상기 추락방지도어의 양측에서 상기 추락방지도어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유닛 및 상기 도어유닛 및 상기 추락방지유닛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승강도어 및 상기 추락방지도어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도어 및 상기 추락방지도어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와이어 및 상기 승강와이어의 일부가 권취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의 방향을 가변시키는 복수의 풀리를 포함하는 풀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도어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슬라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락방지유닛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이 파손될 경우 파손된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중공 내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이 파손될 경우 파손된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는 보강와이어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상부에서 상기 보강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추락방지도어의 후방 측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추락방지도어가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도어 이탈방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이탈방지유닛은 한 쌍이 차량의 양측 휠 간의 이격 거리보다 짧은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방지형 추락방지도어를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는, 주차구조물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유닛이 시스템적 오작동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이 진입하거나, 차량의 급발진 또는 운전 실수 등에 의해 승강도어가 차량의 충돌 외력을 받게 될 경우에도 도어유닛의 후방에서 차량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도어가 구비됨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락방지도어가 제2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모듈 및 도어 이탈방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추락방지도어가 차량의 충돌 외력을 받게 될 경우에도 제2가이드레일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보다 안전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락방지도어의 상하 이동 구조가 합리적으로 설계되어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하며,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도어유닛을 전방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추락방지유닛을 후방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추락방지유닛에 구비되는 지지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도어 이탈방지유닛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도어유닛(100)을 전방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추락방지유닛(200)을 후방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는 도어유닛(100), 추락방지유닛(200) 및 구동유닛(10)을 포함한다.
도어유닛(100)은 주차구조물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승강도어(110a, 110b)와, 승강도어(110a, 110b)의 양측에서 승강도어(110a, 110b)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120)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승강도어(110a, 110b)는 구동유닛(10)이 발생시키는 구동력에 의해 상하 구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도어(110a, 110b)는 복수 개의 파트로 분할되어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120) 사이에 다단으로 배열된 형태를 가지며, 각 승강도어(110a, 110b)의 승강 속도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추락방지유닛(200)은 도어유닛(100)의 후방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승강도어(110a, 110b)가 개방 또는 미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이하로 진입할 경우 차량의 진행을 차단하는 추락방지도어(210)와, 추락방지도어(210)의 양측에서 추락방지도어(2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220)을 포함한다. 이때 추락방지도어(210) 역시 구동유닛(10)이 발생시키는 구동력에 의해 상하 구동될 수 있다.
구동유닛(10)은 도어유닛(100) 및 추락방지유닛(20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도어유닛(100) 및 추락방지유닛(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20)에 구비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구동유닛(10)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1)와, 승강도어(110a, 110b) 및 추락방지도어(210)에 각각 연결되고, 구동모터(11)의 회전에 따라 승강도어(110a, 110b) 및 추락방지도어(210)를 상하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승강와이어(w)와, 승강와이어의(w) 일부가 권취되며, 구동모터(11)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의 방향을 가변시키는 복수의 풀리(12, 14)를 포함하는 풀리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풀리모듈은 복수 개의 풀리(12, 14)의 배치 구조에 따라 승강도어(110a, 110b) 및 추락방지도어(21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시키거나, 또는 동일한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풀리모듈은 승강도어(110a, 110b)의 상하 이동에 관여하는 제1풀리(12) 및 추락방지도어(210)의 상하 이동에 관여하는 제2풀리(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의 구동유닛(10)은 승강도어(110a, 110b) 또는 추락방지도어(210)의 무게에 의해 구동모터(10)에 부하가 인가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무게추(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유닛(10)의 구성 및 구조는 승강도어(110a, 110b) 및 추락방지도어(210)가 승강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라면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승강도어(110a, 110b)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가이드레일(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1슬라이드부(111)를 포함하며, 추락방지도어(210)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가이드레일(21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2가이드레일(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슬라이드부(211)를 포함한다.
따라서 승강도어(110a, 110b) 및 추락방지도어(210)는 일정한 승강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승강 과정에서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추락방지유닛(200)에 구비되는 지지모듈(23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의 추락방지유닛(200)은 제2가이드레일(22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제2가이드레일(220)이 파손될 경우 파손된 제2가이드레일(220)에 대해 보조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모듈(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모듈(230)은 제2가이드레일(220)의 상부에 구비되는 레일 브라켓(222)과 상부 프레임(20)의 연결 부분에 구비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제2가이드레일(220)의 내부에는 중공(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모듈(230)은 중공(221) 내에서 제2가이드레일(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제2가이드레일(220)이 파손될 경우 파손된 제2가이드레일(220)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는 보강와이어(232)와, 제2가이드레일(220)의 상부에서 보강와이어(23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31)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는 제2가이드레일(220)이 파손될 경우에도 기 설정된 강성을 가지는 보강와이어(232)가 중공 (221) 내에서 보조적인 지지력을 제공하여 구조물 전체의 형태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차구조물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유닛(100)의 승강도어(110a, 110b)이 시스템적 오작동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이 진입하거나, 차량의 급발진 또는 운전 실수 등에 의해 승강도어(110a, 110b)가 차량의 충돌 외력을 받게 될 경우에도 도어유닛(100)의 후방에서 차량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도어(210)가 하향되어 차량의 진입 경로에 위치됨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도어 이탈방지유닛(300)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는 추락방지도어(210)의 후방 측 바닥에 구비되어 추락방지도어(210)가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도어 이탈방지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어 이탈방지유닛(300)은 한 쌍이 차량의 양측 휠 간의 이격 거리보다 짧은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차량의 진행에는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어 이탈방지유닛(300)은 'ㄱ'자 형태로 전방을 향해 일부가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도어지지부(310)와, 도어지지부(310)의 돌출부 하부 전면에 구비되는 탄성 재질의 충격방지루버(3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도어지지부(310)의 형상은 추락방지도어(210)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도어 프레임에 걸리도록 하여(도 3 참조)보다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충격방지루버(320)는 추락방지도어(210)의 도어 프레임 부분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구동유닛
11: 구동모터
12, 14: 풀리모듈
13: 무게추
20: 상부 프레임
100: 도어유닛
110a, 110b: 승강도어
111: 제1슬라이드부
120: 제1가이드레일
200: 추락방지유닛
210: 추락방지도어
211: 제2슬라이드부
220: 제2가이드레일
221: 중공
222: 레일 브라켓
230: 지지모듈
231: 고정부재
232: 보강와이어
300: 도어 이탈방지유닛
310: 도어지지부
320: 충격방지루버

Claims (7)

  1. 내부에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구조물의 입구에 구비되는 진출입 도어 어셈블 리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주차구조물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승강도어와, 상기 승강도어의 양측에서 상기 승강도어의 상하 이동을 가 이드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도어유닛;
    상기 도어유닛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승강도어가 개방 또는 미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이하로 진입할 경우 차량의 진행을 차단하는 추락방지도어와, 상기 추락방지도어의 양측에서 상기 추락방지도어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추락방지유닛; 및
    상기 도어유닛 및 상기 추락방지유닛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추락방지도어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승강도어 및 상기 추락방지도어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도어 및 상기 추락방지도어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와이어; 및
    상기 승강와이어의 일부가 권취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의 방향을 가변시키는 복수의 풀리를 포함하는 풀리모듈;
    을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유닛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이 파손될 경우 파손된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중공 내에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이 파손될 경우 파손된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는 보강와이어;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상부에서 상기 보강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도어의 후방 측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추락방지도어가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도어 이탈방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이탈방지유닛은 한 쌍이 차량의 양측 휠 간의 이격 거리보다 짧은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
KR1020210035708A 2021-03-19 2021-03-19 분리방지형 추락방지도어를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 KR10232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708A KR102325531B1 (ko) 2021-03-19 2021-03-19 분리방지형 추락방지도어를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708A KR102325531B1 (ko) 2021-03-19 2021-03-19 분리방지형 추락방지도어를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531B1 true KR102325531B1 (ko) 2021-11-12

Family

ID=7849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708A KR102325531B1 (ko) 2021-03-19 2021-03-19 분리방지형 추락방지도어를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5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212A (ja) * 1994-12-28 1996-07-16 Nissei Ltd 駐車装置の車両入出庫口における安全装置
KR20060036970A (ko) * 2004-10-27 2006-05-03 이완영 현수식 봉형 문
KR101785325B1 (ko) 2016-11-04 2017-10-17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의 파렛트 추락 방지 장치
JP2018155029A (ja) * 2017-03-17 2018-10-04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212A (ja) * 1994-12-28 1996-07-16 Nissei Ltd 駐車装置の車両入出庫口における安全装置
KR20060036970A (ko) * 2004-10-27 2006-05-03 이완영 현수식 봉형 문
KR101785325B1 (ko) 2016-11-04 2017-10-17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의 파렛트 추락 방지 장치
JP2018155029A (ja) * 2017-03-17 2018-10-04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9964B2 (en) Elevator car,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checking, maintaining and/or repairing an elevator system
AU705086B2 (en) Attachment lift
US8474905B2 (en) Roof assembly for a vehicle
JP2013529585A (ja) エレベータ設備
JP2008044543A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KR101547650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EP1405813B1 (en) Elevator device
CN108883904B (zh) 电梯轿厢、电梯系统和维护电梯系统的方法
CN110116954B (zh) 双层电梯系统
TW200900343A (en) Lift with two lift cages, which are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shaft
KR102325531B1 (ko) 분리방지형 추락방지도어를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진출입 도어 어셈블리
JP2017066809A (ja) 車両飛び込み防止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20210081130A (ko)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가이드 롤러
KR101800416B1 (ko) 지지력과 전도안정성이 강화된 감충지주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KR102255164B1 (ko)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도어 어셈블리
KR101352597B1 (ko) 추락방지를 위한 도어 이탈 방지수단을 구비한 화물용 업도어 엘리베이터
JP2017025484A (ja) 機械式駐車装置
JP6026633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S62220667A (ja) 駐車装置
WO2012035599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220124607A (ko) 인양식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주차구조물의 도어 어셈블리
JP2013231342A (ja) 乗込口のガイドレール
JP3312884B2 (ja) 多段式駐車設備
JPWO2018216201A1 (ja) エレベータ用ピット梯子
KR20230111366A (ko) 주차설비의 차량 추락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