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764B1 - 커넥터용 표시구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764B1
KR100594764B1 KR1020040006970A KR20040006970A KR100594764B1 KR 100594764 B1 KR100594764 B1 KR 100594764B1 KR 1020040006970 A KR1020040006970 A KR 1020040006970A KR 20040006970 A KR20040006970 A KR 20040006970A KR 100594764 B1 KR100594764 B1 KR 100594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isplay member
user
display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621A (ko
Inventor
미야케미치히로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1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2Heat shrink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3Special insulation
    • Y10S439/936Potting material or coating, e.g. grease, insulative coating, sealant or,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94Assembling elongated conductors, e.g., splicing, etc.
    • Y10T29/49201Assembling elongated conductors, e.g., splicing, etc. with overlapping orienting
    • Y10T29/49202Assembling elongated conductors, e.g., splicing, etc. with overlapping orienting including oppositely facing end orie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과제)사용전에 한번만 유저에 대해서 소정의 작업을 권할 수 있는 커넥터용 표시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커넥터용 표시구(10)는 제1표시부재(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표시부재(12)의 표면(14)에는 유저에 대해서, 커넥터의 사용전에 유저에게 소정의 작업을 권하는 정보,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의 사용전에 CD-ROM의 소프트를 인스톨하는 작업을 권하는 제1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제1표시부재(12)의 이면의 접착부(16)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커넥터(34)의 접속부(34A)에는, 제1표시부재(12)가 접착부(16)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서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34)는 제1표시부재(12)가 제거되지 않으면, 외부기기의 대응하는 접속단자에 접속불능으로 되어 있다. 제1표시부재(12)는 유저에 의해, 커넥터(34)로부터 박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용 표시구{DISPLAY MEANS FOR CONNECTOR}
도 1은 제1실시예의 커넥터용 표시구의 정면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커넥터용 표시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X-X에서의 (a)의 단면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커넥터용 표시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의 커넥터용 표시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커넥터용 표시구의 커넥터에의 부착을 설명하는 정면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커넥터용 표시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제1실시예의 커넥터용 표시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제2실시예의 커넥터용 표시구의 정면도.
도 9는 제2실시예의 커넥터용 표시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2실시예의 커넥터용 표시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커넥터용 표시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2실시예의 커넥터용 표시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60, 70, 90 커넥터용 표시구
12, 42, 46, 50, 54, 62, 72, 82, 86, 92 제1표시부재
30 케이블 34 커넥터
34A 접속부 34B 파지부
64, 74, 84, 88, 94 제2표시부재
본 발명은 커넥터에 부착되는 커넥터용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커넥터를 접속시킬 때에 유저에게 소정의 주의를 일깨워주기 위해, 여러가지 표시구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수플러그(100)를 표시구로서의 보호커버(102)로 덮고, 보호커버(102)에 온수플러그(100)에 관한 경고를 기재함으로써, 유저에게 소정의 주의를 일깨워주고 있다. 또, 특허문헌2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110)의 케이블부분에 플러그(110)가 부착되어 있는 기구명이 표시된 표시구로서의 태그표시구(112)를 부착하여, 플러그(110)가 어느 기구의 것인지를 유저에게 나타내고 있다. 또, 특허문헌3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120)가 접속되는 곳의 기기(122)의 커넥터(124)에 소정의 주의사항이 기재 된 표시구로서의 커버시트(126)가 설치되고, 이 주의사항에 의해 유저에게 소정의 주의를 일깨워주고 있다.
그러나, 소정의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와 다른 전자기기를 케이블로 접속하여 사용하기 전에 한번만 유저에 의해 소정의 작업이 행해지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유저에게 상기 소정의 작업을 권하고자 해도, 표시구를 제거하는 일없이 커넥터를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에게의 고지로서는 불충분했다. 또, 특허문헌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표시구에 의해 커넥터가 덮여져있기 때문에, 유저는 커넥터를 접속할 때에 표시구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지만, 이 표시구는 커넥터의 미사용시에는, 상시 커넥터의 접속부를 덮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소정의 작업이 행해진 후에도 상기 소정의 작업을 권하게 된다는 문제가 생겨 버린다.
(특허문헌1)
일본국 실용신안등록제3076080호공보
(특허문헌2)
일본국 특허공개2001-5393호공보
(특허문헌3)
일본국 특허공개평5-299129호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전에 한번만 유저에 대해서 소정의 작업을 권할 수 있는 커넥터용 표시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커넥터용 표시구는, 커넥터에 부착되는 커넥터용 표시구로서,
커넥터의 사용전에 유저에게 소정의 작업을 권하는 제1정보가 표시되고, 유저에 의해 이 커넥터용 표시구가 제거되지 않으면 커넥터를 접속할 수 없는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된 제1표시부재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용 표시구의 제1표시부재는 커넥터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유저에 의해 이 커넥터용 표시구가 제거되지 않으면 커넥터를 접속할 수 없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유저가 이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표시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있지만, 이 제1표시부재에는 커넥터의 사용전에 유저에게 소정의 작업을 권하는 제1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 커넥터용 표시구에 의하면, 유저에 대해서, 커넥터가 사용되기 전에, 효과적으로 소정의 작업을 권할 수 있다. 제1표시부재는 커넥터를 사용할 때에 유저에 의해 제거되므로, 그 후의 사용시에는 유저에게 상기 소정의 작업이 권해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커넥터의 사용전에 한번만 유저에 대해서 소정의 작업을 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용 표시구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커넥터의 접속시에 유효해지는 제2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커넥터의 접속에 지장없는 위치에 부착된 제2표시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커넥터용 표시구에 의하면, 제2표시부재는, 커넥터의 접속에 지장없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제거할 필요가 없고, 유저가 커넥터를 사용할 때에 수시로 유저에 대해서 제2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커넥터가 부착되어 있는 기기명, 커넥터를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 등이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용 표시구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표시부재와 상기 제2표시부재가 일체적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각각이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를 일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또,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는, 각각이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1표시부가 제거된 후에도, 제2표시부를 커넥터에 부착한 채로 해 놓을 수 있다.
(실시예)
(제1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케이블(30)(도 1 참조)은,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카메라를 도시하지 않은 외부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이다. 케이블(30)에 의해, 상기 디지털카메라와 외부기기를 접속하여, 디지털카메라로부터의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다운로드하는 등의 처리를 행할 때에는 유저에 의해 외부기기에 소정의 CD-ROM의 소프트가 인스톨되지 않으면 안되는 구성의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30)은 케이블부(32) 및 커넥터부(34)를 구비한다. 커넥터(34)는 케이블(30)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접속부(34A) 및 파지부(34B)를 구비한다. 접속부(34A)는 외부기기의 대응하는 커넥터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파지부(34B)는 접속부(34A)와 케이블부(32) 사이에 배치되어, 커넥터(34)의 부착 및 분리시에 유저에 의해 쥐어지는 부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용 표시구(10)는 제1표시부재(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표시부재(12)의 표면(14)에는, 유저에 대해서, 커넥터의 사용전에 유저에게 소정의 작업을 권하는 정보,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의 사용전에 CD-ROM의 소프트를 인스톨하는 작업을 권하는 제1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제1표시부재(12)의 이면의 접착부(16)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또한, 제1표시부재(12)는 대전방지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34)의 접속부(34A)에는, 제1표시부재(12)가 접착부(16)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서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34)는 제1표시부재(12)가 제거되지 않으면, 외부기기의 대응하는 접속단자에 접속불능으로 되어 있다. 제1표시부재(12)는 유저에 의해 커넥터(34)로부터 박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가 케이블(30)을 사용해서 디지털카메라와 외부기기를 접속할 때에는 커넥터(34)를 외부기기의 대응하는 커넥터에 접속한다. 이 때, 유저는 커넥터용 표시구(10)의 제1표시부재(12)를 커넥터(34)로부터 박리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제1표시부재(12)의 표면(14)에는, 커넥터의 사용전에 CD-ROM의 소프트를 인스톨하는 작업을 권하는 제1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용 표시구(10)에 의하면 유저에 대해서, 커넥터가 사용되기 전에 효과적으로, 외부기기에 CD-ROM의 소프트를 인스톨하는 작업을 권할 수 있다.
또, 일단 외부기기에 소프트가 인스톨되면, 재차 유저에게 이 인스톨을 권할 필요는 없어지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표시부재(12)는 커넥터(34)를 사용할 때에 유저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그 후의 커넥터(34)의 사용시에는, 유저에게 상기 인스톨이 권해지는 일은 없고, 커넥터(34)의 사용전에 한번만 유저에 대해서 상기 인스톨을 권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접착부(16)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표시부재(12)를 접속부(34A)에 접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제1표시부재(12)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 접속부(34A)에 접착할 수도 있다. 즉, 제1표시부재(12)를, 제1정보가 표시되는 표면층(12A), 접착가능부재로 이루어지는 접착층(12B) 및 접착층(12B)을 덮는 박리가능한 박리층(12C)을 적층시켜서 구성한다. 그리고, 접착부(16)의 박리층(12C)을 접착층(12B)으로부터 박리해서 접착층(12B)을 노출시키고, 제1표시부재(12)를 접속부(34A)에 접착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표시부재(12)의 일부에 접착재를 도포할 필요가 없어지고, 간단한 방법으로 제1표시부재(12)의 일부분에 접착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또, 제1표시부재의 형상은,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제1표시부재(42)와 같이, 주머니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표시부재(42)의 표면(14)에 노치를 형성하여 개구(44)를 구성하고, 커넥터(34)의 접속부(34A)를, 개구(44)로부터 제1표시부재(42) 내에 삽입함으로써, 커넥터용 표시구(10)를 커넥터(34)에 부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34)를 덮을 수 있고, 커넥터(34)에의 먼지 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제1표시부재(46)와 같이, 통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표시부재(46)를 열에 의해 수축가능한 부재로 구성함과 아울러, 측부에 절취선(48)을 구성해 둔다. 그리고,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34)를, 제1표시부재(46)의 통의 내측에 삽입한 후에, 가열에 의해 제1표시부재(46)를 수축시키고,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표시부재(46)를 커넥터(34)에 밀착시킴으로써 부착한다. 유저에 의한, 제1표시부재(46)의 커넥터(34)로부터의 제거는 절취선(48)을 잘라냄으로써 가능하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제1표시부재(50)와 같이, 상기 제1표시부재(46)의 이면측의 일부를 잘나내어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표시부재(46)와 마찬가지로 커넥터(34)에 부착한다. 또, 유저에 의한, 제1표시부재(50)의 커넥터(34)로부터의 제거는 절취선을 잘라내는 일없이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도 4, 6에 나타내는 제1표시부재(46, 50)는 가열수축에 의하지 않고, 접착제를 통해서 커넥터(34)의 접속부(34A)에 접착시켜서 부착해도 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제1표시부재(54)와 같이, U자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U자의 단부내측에 접착부(16)를 형성하고, 접착부(16)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속부(34A)와 접착시켜서, 제1표시부재(54)를 커넥터(34)에 부착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에 제2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해서, 제1실시예와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커넥터용 표시구(60)는 제1표시부재(62) 및 제2표시부재(6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표시부재(62) 및 제2표시부재(64)는 1장의 시트로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절취선(63)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표시부재(62)의 표면(14)에는 유저에 대해서, 커넥터의 사용전에 유저에게 소정의 작업을 권하는 정보,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의 사용전에 CD-ROM의 소프트를 인스톨하는 작업을 권하는 제1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제1표시부재(62)의 이면의 접착부(16)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제2표시부재(64)의 표면(65)에는, 유저에 대해서, 커넥터(34)의 접속시마다 유효해지는 정보,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30)이 디지털카메라의 케이블인 것을 명시하는, 제2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제2표시부재(64)의 이면의 접착부(66)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커넥터(34)의 접속부(34A)에는 제1표시부재(62)가 접착부(16)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서 접착되어 있다. 커넥터(34)의 파지부(34B)에는 제2표시부재(64)가, 접착부(66)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서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34)는 제1표시부재(62)가 제거되지 않으면, 외부기기의 대응하는 커넥터에 접속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표시부재(62)는 유저에 의해, 커넥터(34)로부터 박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표시부재(64)의 파지부(34B)에의 접착강도는 제1표시부재(62)의 접속부(34A)에의 접착강도보다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표시부재(62)가 유저에 의해 박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 제2표시부재(64)는 박리되지 않고 파지부(34B)에 접착된 채 사용되기 때문에, 쉽게 박리되지 않는 강도로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가 케이블(30)을 사용해서 디지털카메라와 외부기기를 접속할 때에는, 커넥터(34)를 외부기기의 대응하는 커넥터에 접속한다. 이 때, 커넥터용 표시구(60)의 제1표시부재(62)는 유저에 의해, 절취선(63)에 의해 제2표시부재(64)로부터 분리되어 커넥터(34)로부터 박리되지 않으면 안되지만, 제1표시부재(62)의 표면(14)에는 커넥터의 사용전에 CD-ROM의 소프트를 인스톨하는 작업을 권하는 제1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용 표시구(60)에 의하면, 유저에 대해서, 커넥터가 사용되기 전에 효과적으로 외부기기에 CD-ROM의 소프트를 인스톨하는 작업을 권할 수 있다.
또, 일단 외부기기에 소프트가 인스톨되면, 재차 유저에게 이 인스톨을 권할 필요는 없어지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표시부재(62)는 커넥터(34)를 사용할 때에 유저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그 후의 커넥터(34)의 사용시에는 유저에게 상기 인스톨이 권해지는 일은 없고, 커넥터(34)의 사용전에 한번만 유저에 대해서 상기 인스톨을 권할 수 있다.
또, 제2표시부재(64)는 제1표시부재(62)가 제거된 후에도,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34)의 파지부(34B)에 부착된 채이므로, 유저에 대해서 커넥터(34)가 설치된 케이블(30)이 디지털카메라의 케이블인 것을 명시할 수 있다.
또한, 제1표시부재 및 제2표시부재의 형상은 상기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제1표시부재(72) 및 제2표시부재(74)와 같이, 주머니형상으로서 커넥터용 표시구(7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2표시부재(74)의 표면(65)에 노치를 형성하여 개구(75)를 구성하고, 커넥터(34)를 개구(75)로부터 제2표시부재(74) 및 제1표시부재(72)내에 삽입함으로써, 커넥터용 표시구(70)를 커넥터(34)에 부착한다.
제1표시부재(72)와 제2표시부재(74)가 절취선(63)에 의해 분리되고, 제1표시부재(72)가 커넥터(34)로부터 제거된 후에는,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표시부재(74)만이 커넥터(34)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제1표시부재(82) 및 제2표시부재(84)와 같이 통형상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표시부재(82) 및 제2표시부재(84)를 열에 의해 수축가능한 부재로 구성하고,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표시부재(46)(도 5 참조)와 마찬가지로 하여 커넥터(34)에 부착한다. 유저에 의한, 제1표시부재(46)의 커넥터(34)로부터의 제거는, 절취선(83) 및 절취선(63)을 잘라냄으로써 가능하다.
제1표시부재(82)가 커넥터(34)로부터 제거된 후에는,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표시부재(84)만이 커넥터(34)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제1표시부재(86) 및 제2표시부재(88)와 같이, 상기 제1표시부재(82) 및 제2표시부재(84)의 이면측의 일부를 잘라내어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표시부재(82) 및 제2표시부재(84)와 마찬가지로 하여 커넥터(34)에 부착한다. 또, 유저에 의한 제1표시부재(86)의 커넥터(34)로부터의 제 거는, 절취선(63)을 잘라냄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0에 나타내는, 제1표시부재(82), 제2표시부재(84) 및 도 11에 나타내는 제1표시부재(86), 제2표시부재(88)는 가열수축에 의하지 않고, 접착제를 통해서 커넥터(34)의 접속부(34A)에 접착시켜 부착해도 된다.
또, 제1표시부재, 제2표시부재는 도 12에 나타내는 제1표시부재(92), 제2표시부재(94)와 같이, U자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2표시부재(94)의 내측에 접착부(66)를 설치하고, 접착부(66)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손잡이(34B)와 접착시켜서, 커넥터용 표시구(90)를 커넥터(34)에 부착한다. 유저에 의한 제1표시부재(92)의 커넥터(34)로부터의 제거는, 절취선(63)을 잘라냄으로써 가능하다.
제1표시부재(82)가 커넥터(34)로부터 제거된 후에는,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표시부재(94)만이 커넥터(34)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2정보로서, 케이블(30)이 디지털카메라의 케이블인 것을 나타냈지만, 제2정보는 이와 같이 케이블의 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에도, 예를 들면, 수분접촉금지, 구부림금지, 접속금지 커넥터의 종류 등을 제2정보로서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1표시부재와 제2표시부재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제1표시부재와 제2표시부재는 별체이어도 된다. 특히 일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별체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점수를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용 표시구에 의하면, 제1표시부재가, 커넥터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유저에 의해 이 커넥터용 표시구가 제거되지 않으면 커넥터를 접속할 수 없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유저에 대해서, 커넥터가 사용되기 전에 효과적으로 소정의 작업을 권할 수 있다. 또, 제1표시부재는 커넥터를 사용할 때에 유저에 의해 제거되고, 그 후의 사용시에는 유저에 상기 소정의 작업이 권해지는 일은 없으므로, 커넥터의 사용전에 한번만 유저에 대해서 소정의 작업을 권할 수 있다.

Claims (3)

  1. 커넥터에 부착되는 커넥터용 표시구로서,
    커넥터의 사용전에 유저에게 소정의 작업을 권하는 제1정보가 표시되고, 유저에 의해 이 커넥터용 표시구가 제거되지 않으면 커넥터를 접속할 수 없는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된 제1표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표시구.
  2. 제 1항에 있어서, 커넥터의 접속시에 유효해지는 제2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커넥터의 접속에 지장이 없는 위치에 부착된 제2표시부재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표시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부재와 상기 제2표시부재는 일체적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각각이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표시구.
KR1020040006970A 2003-02-04 2004-02-03 커넥터용 표시구 KR100594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6647 2003-02-04
JP2003026647A JP2004239994A (ja) 2003-02-04 2003-02-04 コネクタ用表示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621A KR20040071621A (ko) 2004-08-12
KR100594764B1 true KR100594764B1 (ko) 2006-07-03

Family

ID=3282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970A KR100594764B1 (ko) 2003-02-04 2004-02-03 커넥터용 표시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513071B2 (ko)
JP (1) JP2004239994A (ko)
KR (1) KR100594764B1 (ko)
CN (1) CN100334778C (ko)
TW (1) TWI2337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4251A (ja) * 2005-08-29 2007-03-15 Jtekt Corp 駆動力伝達モジュール
US7740282B2 (en) * 2006-05-05 2010-06-22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Port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80272586A1 (en) * 2007-05-04 2008-11-06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Multi-part identification labels
JP5152973B2 (ja) * 2007-05-10 2013-02-27 三菱電機照明株式会社 直管蛍光ランプ
US7547227B1 (en) * 2008-04-21 2009-06-16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Adhesive laminate label for a communication connector jack and communication connector jack including same
TWI382604B (zh) * 2009-02-18 2013-01-11 Asustek Comp Inc 連接器以及具有其之電子裝置
CN101807752B (zh) * 2009-02-18 2012-10-10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连接器以及具有其的电子装置
US20100313454A1 (en) * 2009-05-13 2010-12-16 Adc Telecommunications, Inc. Cable label and methods
CN101997222B (zh) * 2009-08-13 2014-01-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水晶头
US8221157B2 (en) * 2009-09-21 2012-07-17 Ideal Industries, Inc. Connector assemblies with integrated wiring diagra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20270435A1 (en) * 2011-04-12 2012-10-25 Jeramy Hale Electrical safety plug with grip wings for electrical plugs and data cord plugs
US8690400B2 (en) 2011-06-29 2014-04-08 Target Brands, Inc. Holding structure for light socket
JP5093705B2 (ja) * 2011-10-14 2012-12-1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駆動力伝達モジュール
US9281603B2 (en) * 2014-04-22 2016-03-08 Mitchell J Cullins Data connector and labeling apparatus
US10151890B2 (en) 2015-03-18 2018-12-11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Data communication port insert configurable with indicia to customize data communication station labeling and identification
US10184970B2 (en) * 2015-10-07 2019-01-2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mating assurance system and method
JP6485323B2 (ja) * 2015-10-29 2019-03-20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AU2020311423B2 (en) 2019-07-11 2023-01-1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scope air/water flush adaptor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246A (ja) * 1993-03-25 1994-10-07 Hitachi Ltd ファクシミリの交信試験用コネクタ接続方式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319A (en) * 1907-10-14 1908-12-01 Library Bureau Metal tip for guide-cards.
US905349A (en) * 1908-08-15 1908-12-01 Orrie W Neal Seal for electric wires.
US1949141A (en) * 1931-12-02 1934-02-27 Arthur G Blaylock Indicating device
US3281056A (en) * 1965-08-10 1966-10-25 Kugler Emanuel Bag dispensing container
NL7203934A (ko) 1972-03-24 1973-09-26
JPS4914390U (ko) 1972-05-05 1974-02-06
JPS5526668B2 (ko) 1972-06-10 1980-07-15
US4658504A (en) * 1985-08-23 1987-04-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for insulating conductor joints particularly bus bars and insulated bus bar apparatus
US4726131A (en) * 1985-11-27 1988-02-23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Identification tags
IT1200265B (it) * 1986-07-02 1989-01-12 Grafoplast Spa Terminale per cavi elettrici con corpo e portasigle ad alveolo liberi di ruotare rispetto alla punta metallica
JPH0376080U (ko) 1989-11-21 1991-07-30
US5090559A (en) * 1990-11-19 1992-02-25 Safety Kleen Corp. Reusable garment bags for drycleaning
JPH05299129A (ja) 1992-04-22 1993-11-12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情報処理機器におけるコネクタ部分の構造
US5470253A (en) * 1994-10-03 1995-11-28 Caterpillar Inc. Engine wiring system
JP3065932B2 (ja) 1996-03-12 2000-07-17 鐘紡株式会社 熱収縮包装体
JP3051955B2 (ja) 1997-08-27 2000-06-12 株式会社藤井合金製作所 電気プラグ用カバー
US6254967B1 (en) * 1998-03-12 2001-07-03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device, such as a plug or a connector, with nameplate, especially for hazardous locations
US6385878B1 (en) 1999-02-09 2002-05-14 Stephen Key Design, Llc Rotatable label system including tamper-evident fea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CN2365730Y (zh) * 1999-03-17 2000-02-23 旭丽股份有限公司 新型结构的标签
JP2001005393A (ja) 1999-06-21 2001-01-12 Sankuresuto:Kk タグ表示具
CN2386507Y (zh) * 1999-07-13 2000-07-05 吴宪宗 插头、插座或电线的警示变色贴
ES2366081T3 (es) 1999-08-17 2011-10-17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Etiqueta de sellado.
JP2002245865A (ja) * 2001-02-20 2002-08-30 Tsubasa System Co Ltd ケーブル用タッグ
US6591583B2 (en) * 2001-04-25 2003-07-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of finishing sheet metal goods
US20030027445A1 (en) * 2001-08-01 2003-02-06 Carney James M. Portective cove for pin interconnect
US6811027B2 (en) * 2001-08-10 2004-11-02 Blue Mountain Innovations, Llc Quick opening garment protector
US20040241065A1 (en) * 2002-09-30 2004-12-02 Bernard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kit for generation of chlorine dioxide gas
US20070089989A1 (en) * 2005-09-02 2007-04-26 William Hoagland Conformable hydrogen indicating wrap to detect leaking hydrogen ga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246A (ja) * 1993-03-25 1994-10-07 Hitachi Ltd ファクシミリの交信試験用コネクタ接続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34778C (zh) 2007-08-29
US20070227053A1 (en) 2007-10-04
KR20040071621A (ko) 2004-08-12
JP2004239994A (ja) 2004-08-26
CN1521896A (zh) 2004-08-18
US7513071B2 (en) 2009-04-07
US20040154196A1 (en) 2004-08-12
US7530821B2 (en) 2009-05-12
TW200425597A (en) 2004-11-16
TWI233716B (en)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764B1 (ko) 커넥터용 표시구
EP0554073B1 (en) A window badge
JP2896743B2 (ja) 脱着可能クリップ
JP4867977B2 (ja) プラグ外し補助具
JP2517402Y2 (ja) 保護カバー
JPS608378Y2 (ja) コネクタ装置
JP3741582B2 (ja) 配送用タグ
JP2000132960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CN210119805U (zh) 用于电子标识设备的安装辅助标签及机动车
JP5327029B2 (ja) 外装用筐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製品
JP7245471B2 (ja) 保護フィルムの貼付方法及び保護フィルムの貼付装置
JP2000102155A (ja) 線材接続部保護クリップ
JP5235320B2 (ja) カードの印刷表面加工方法
JPH1031993A (ja) 電池接続装置
JP3087251U (ja) 写真アルバム
JP2600235Y2 (ja) リボンカセット
JPH0736169U (ja) ロールコネクタ用封印シール
JP3089471B2 (ja) 端部用保護キャップ
JP3059383U (ja) 電動工具用表示札
CA2156386C (en) Hose fastening band
JP3034902U (ja) カバー付きパネル
JP2007217047A (ja) ラベル付筐体装置
JP200417775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93243A (ja) 部品取付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49984A (ja) タイヤ用ラ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