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295B1 - 자동차에서 안내되어 진동식 구동되는 와이퍼 아암을 구비한 자동차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에서 안내되어 진동식 구동되는 와이퍼 아암을 구비한 자동차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295B1
KR100589295B1 KR1019997007643A KR19997007643A KR100589295B1 KR 100589295 B1 KR100589295 B1 KR 100589295B1 KR 1019997007643 A KR1019997007643 A KR 1019997007643A KR 19997007643 A KR19997007643 A KR 19997007643A KR 100589295 B1 KR100589295 B1 KR 100589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shoulder
wiper arm
coupling portion
wip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583A (ko
Inventor
코틀라르스키토마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7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8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exterior of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6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the channel-shaped end being provided with protrusions on, or holes in, the side walls to create a piv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윈도우를 닦기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와이퍼 장치는 자동차로 안내되고 진동식으로 구동되는 와이퍼 아암(12)을 가지며, 진동축(16)과 거리를 두고 있는 상기 와이퍼 아암(12)의 자유 단부에는 진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종방향 연장되어 윈도우(24)에 접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22)가 와이퍼 아암측과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26)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힌지식 연결되며, 이 때, 힌지축(32)은 진동 방향(2중 화살표 18)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종류의 와이퍼 장치에서 진동축(16)을 향하고 와이퍼 아암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숄더(72, 96)를 구비할 때, 특히 마찰이 적은 힌지가 나타나게 되며, 상기 숄더에는 진동축(16)과 거리를 두고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된 차단 숄더(74, 102)가 배치된다.
와이퍼 장치, 지지 숄더, 차단 숄더, 커플링부, 힌지축

Description

자동차에서 안내되어 진동식 구동되는 와이퍼 아암을 구비한 자동차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Wiping device for windows of motor vehicles having a wiper arm which is guided on the vehicle and driven in a pendulum manne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제시된 방식(DE-32 20 274 A1)의 종래의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진동식 구동 중에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사이의 힌지 연결부에 원심력이 상당히 작용하게 되는데, 특히 이러한 원심력은 단일 레버 와이퍼 장치의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가 비교적 크고 무겁기 때문에 더욱 증가한다. 이러한 원심력은 힌지축을 형성하는 핀과, 핀 베어링을 형성하는 와이퍼 아암의 자유 단부의 머리핀 모양의 곡률부 또는 이 곡률부에 맞게 조정된 지지 스프링에 의해서 차단되어야 한다. 또한, 힌지 연결부는 환경적인 영향, 즉 도로의 오염에 노출되기 때문에, 핀이 곡률부에 선형으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연결부는 편향되며, 이는 와이핑 결과를 저하시키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힌지에서 구형으로 휘어진 윈도우 표면의 진행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맞추기 위한 필수 조정이 와이핑 작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이다.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에서는 와이핑 작동시,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사이의 힌지는 부하가 완전히 경감되는데, 그 이유는 지지 숄더에 대해 차단 숄더가 면밀하게 맞춰질 경우 원심력이 힌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지는 평평한 숄더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마모는 일어나지 않는다.
제조 기술적 측면에서, 와이퍼 아암에 고정된 지지 숄더를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에 그리고 와이퍼 블레이드측 차단 숄더를 연결 장치의,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숄더와 차단 숄더가 진동축과 힌지축 사이에 장착될 때, 컴팩트한 구조의 와이퍼 장치가 얻어진다.
지지 숄더와 차단 숄더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가 윈도우에 수직한 평면에 있고 와이퍼 아암의 종축 방향으로 연장된 벽을 가지며 이 벽에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의 표면이 인접해 있을 때와, 상기 벽에 지지 숄더가 그리고 표면에 차단 숄더가 형성될 때 특히 간단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매우 낮게 구성된 연결 장치의 경우, 본 발명은,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가 와이퍼 아암의 종축에 대해서 횡으로 U자형 횡단면을 가질 때 상기 커플링부의 U자형 레그에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의 힌지핀용 베어링 수용부가 각각 하나씩 배열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는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의 U자형 레그 사이에 삽입될 때, 및 적어도 하나의 U자형 레그의 내면이 지지 숄더를 갖는 벽을 형성할 때 실현된다.
적합하게도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는 적어도 가상 기본 몸체를 가지며, 힌지핀은 그 양단부가 상기 핀으로부터 돌출하고, 더 나아가서 기본 몸체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차단 숄더를 갖는 표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 내에 통합된다.
차단 숄더 및 지지 숄더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휘어진 진행을 갖고 이러한 곡률 반경이 힌지축으로부터의 각각의 거리에 상응할 때, 두 숄더는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서로 접촉하고, 따라서 마모는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개선 예에서 지지 숄더가 U자형 레그의 내면에 있는 리브형 돌출부에 형성되고, 차단 숄더는 U자형 레그를 향하는 기본 몸체의 표면에 위치한 홈의 측벽에 형성될 때 숄더에서의 마모가 더욱 감소된다. 이로 인해서 숄더는 연결 장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로 오염으로부터 광범위하게 보호된다.
특정 적용예에서는 두개의 커플링부의 각각에 여러개의 지지 숄더와 차단 숄더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개의 커플링부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때 제조 기술적으로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와 개선 예는 해당 도면에 도시된 두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에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와이퍼 장치를 90도 회전한 평면도,
도 3은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를 확대한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커플링부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서 선 V-V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를 확대한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커플링부의 평면도,
도 8은 도 3에 따른 커플링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 9의 선 VIII-VIII에 따라 절단한 부분-측면도,
도 9는 도 8의 선 IX-IX에 따라 절단한 커플링부의 평면도,
도 10는 도 6에 따른 커플링부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11는 도 10에 따른 커플링부의 평면도,
도 12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아암에 연결하기 전 와이퍼 아암측 및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의 확대도.
도 1과 도 2에서 보여주고 있는 와이퍼 장치(10)는 와이퍼 아암(12)을 포함하며, 이 와이퍼 아암(12)의 단부(14)는 진동축(16)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자동차 차체에 지지된다. 진동축(1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와이퍼 아암(12)의 단부(20)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와이퍼 블레이드(22)가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와이퍼 블레이드(22)의 길이 방향 연장부는 진동 방향(양방향 화살표 18)에 대해서 횡으로 놓여있다. 와이퍼 블레이드(22)는 자동차의 윈도우(24)의 닦이는 표면과 화살표 25 방향으로 접해 있다. 와이퍼 아암(12)과 와이퍼 블레이드(22)의 연결은 연결 장치(26)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28)와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30)는 상기 연결 장치(26)에 포함된다. 커플링부(28)는 와이퍼 아암(12)과 견고하게 연결되고, 커플링부(30)는 와이퍼 블레이드(22)와 견고하게 연결된다. 와이퍼 블레이드(22)와 와이퍼 아암(12)은 힌지축(32)이 실제로 진동 방향(양방향 화살표 18)으로, 즉 와이퍼 블레이드(22)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대해서 횡으로 연장되도록 힌지연결된다. 도 1과 도 2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힌지 수단의 설계는 다음에서 도 3 내지 도 7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28)는 지지 아암(34)을 가지며, 상기 지지 아암(34)은 커플링부(28)와 와이퍼 아암(12)의 견고한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지지 아암(34)에는 횡단면이 U자형인 힌지 부품(36)이 연결된다. 두개의 U자형 레그(38, 40) 각각에는 베어링 수용부(42)가 장착된다. 또 다른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30)는 도 6과 7에 도시된다. 상기 커플링부(30)는 두개의 서로 평행한 측면(46, 48)을 갖는 블록형 기본 몸체(44)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46, 48)으로부터는 기본 몸체(44)에 가상적으로 통합되어 있는 힌지핀의 두개의 단부(50)가 돌출되어 나온다. 힌지핀의 종축 또는 핀 단부(50)의 서로 정렬된 두개의 종축은 도 2에 따른 힌지축(32)에 상응한다. 기본 몸체(44)의 양 측면(46, 48) 사이의 거리(52)는, 기본 몸체(44)가 가능한 유격없이 원활하게 U자형 레그(38, 4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커플링부(28)의 U자형 레그(38, 40) 사이의 거리(54)(도 5)에 따라 조정된다. 이는 와이퍼 블레이드(22)가 와이퍼 아암(12)에 힌지 연결되는 경우이다. 즉, 이 경우, 두개의 핀 단부(50)가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28)의 베어링 수용부(42)에 있다. 베어링 수용부(42)는 두개의 U자형 레그(38, 40) 내에서 서로 정렬되기 때문에, 두개의 베어링 수용부(42)의 공통의 베어링축은 마찬가지로 힌지축(32)에 상응한다.
두개의 플라스틱 커플링부(28, 30) 즉, 와이퍼 아암(12)과 와이퍼 블레이드(22)를 분실하지 않도록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커플링부(28)의 U자형 레그(38, 40)에서 보어 형태의 베어링 수용부(42)의 에지는 슬릿형 개구(56)를 통해 개방되며, 이 슬릿형 개구는 세척될 윈도우(24)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하며 진동축(16)으로부터 밖으로 향하고 있다. 개구(56)의 너비(58)는 자동차 윈도우(24)를 향하는 핀 단부(50)의 평면부들(62) 사이의 거리(60)에 맞게 조정됨으로써, 평면부(62)가 개구의 길이 방향으로 편향될 때, 핀 단부(50)는 상기 단부에 각각 배치된 두개의 개구(56)를 통해 베어링 수용부(4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2에는, 조립 위치를 나타내는 그와 같은 배치를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다음에, 와이퍼 블레이드(22)를 와이퍼 아암(12)에 연결시키기 위한 작업 단계를 도 12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서는 두개의 커플링부(28, 30)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22)를 와이퍼 아암(12)에 연결하기 위해서, 와이퍼 블레이드(22)는 핀 단부(50)의 평면부(62)가 개구(56)의 연장선상(도 12)에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도 12). 그 후, 두개의 핀 단부(50)는 이들 핀 단부(50)가 베어링 수용부(42) 내로 삽입되고, 상기 수용부 내에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28)에 대해서 화살표 64 방향으로 움직인다. 두개의 핀 단부(50)가 완전히 이들의 베어링 수용부(42) 내에 위치하면, 와이퍼 블레이드(22)는 평면부(62)가 도 12의 일점 쇄선 위치에 다다를 때까지 화살표 66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위치에서 평면부(62)는 윈도우(24)를 향한다. 도 12는, 도 12에서 베어링 수용부(42)의 벽으로 도시된 가상의 덮개 표면(68) 내부에 평면부(62)가 놓이는 상태를 도시한다.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연결 장치(26)의 작동 위치에서는 와이퍼 아암(12)으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22)를 떼어내는 것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와이핑 작동시에 와이퍼 블레이드(22)는 세척될 윈도우(24)와 접해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의도하지 않게 화살표 66 방향과 반대로 선회될 수가 없고, 따라서 연결의 분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화살표 25 방향과 반대로 윈도우로부터 들리게 되는 와이퍼 블레이드(22)가 화살표 66 방향과 반대로 약 90도 선회하게 됨으로써, 간단하게 다시 분리될 수도 있는 신뢰성을 갖는 삽입-회전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핀 단부(50)는 베어링 수용부(42)의 개구(56)를 통하여 빠져나올 수 있다.
와이핑 작동 동안에 와이퍼 블레이드(22)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화살표 70, 도 2)이 힌지부(32, 42, 50)에 작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와이퍼 장치는 와이퍼 아암에 고정된 진동축을 향하는 지지 숄더(96)를 가지며, 상기 숄더에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된, 진동축(1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차단 숄더가 배치된다.
도 3 내지 도 7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 숄더(72)는 힌지 부품(36)에 있는 U자형 레그(38, 40)의 노출된 단부 에지에 형성된다. 와이퍼 블레이드측 차단 숄더(74)는 측면(46, 48)으로부터 돌출한 기본 몸체(44)의 측면 돌출부(76)에 위치한다. 지지 숄더(72) 및 두개의 차단 숄더(74)가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휘어진 진행 방향을 가지며, 또한 각각의 곡률 반경(78)이 힌지축(32)으로부터의 각각의 간격에 상응한다. 작동 위치에 있는 와이퍼 장치(도 1)에 있어서, 힌지(42, 50)에 부하가 경감될 때 지지 숄더(72)가 차단 숄더(74)에 접하여, 상기 작동 위치에서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사이의 힌지는 유극없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상기 곡률 반경들(78)이 서로 조정된다. 만약 와이핑 작동 동안 원심력(화살표 70, 도 2)이 힌지부(32, 42, 50)에 작용하려 할 경우, 원심력은 지지 숄더(72)와 이에 배치된 차단 숄더(74)에 의해 차단되므로, 원심력은 힌지축(32)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와이핑 작동 동안에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는 구형으로 휘어진 윈도우의 곡선을 따라야 하지만, 와이퍼 아암은 그 진동축(16)을 중심으로 진동하기 때문에, 와이퍼 블레이드(22)는 와이퍼 아암(12)에 대해 힌지축(32)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진동 운동(화살표 80, 도 1)한다. 진동의 귀환점에서 지지 숄더(72)와 차단 숄더(74)와의 상호 작용이 보장되기 위해서, 돌출부(76)의 차단 숄더(74)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된 커플링부(30)의 블록 형태의 기본 몸체(44) 위로 너비(82)(도 6)만큼 돌출된다.
다음에, 도 8 내지 11을 참고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와이퍼 아암의 커플링부(90)는 이미 기술된 와이퍼 아암의 커플링부(28)에 상응한다. 상기 커플링부는 마찬가지로 U자형 레그(92)를 구비한 U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레그에는 커플링부(28)의 베어링 수용부(42)에 상응하는 베어링 수용부(94)가 배열된다. 이미 기술된 실시예와는 달리 지지 숄더(96)는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를 향하는 U자형 레그(92)의 내측면에 위치한 리브형 돌출부(98)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기본 몸체(44)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플링부(102)의 서로 멀리 떨어진 측면(100)에서는 - 이 커플링부의 구조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플링부(30)의 구조에 상응함 - 진동축(1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차단 숄더(104)가 홈(106)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홈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플링부(102)의 측면에 배열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숄더(96) 뿐만 아니라 차단 숄더(104)는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휘어진 진행 방향을 가지며, 지지 숄더(96)와 차단 숄더(104)의 반경(108)이 서로 상응한다. 또한, 리브형 돌출부(98)의 너비(110)가 홈(106)의 너비(112)에 상응한다. 따라서, 와이퍼 장치(10)의 작동시 지지 숄더와 차단 숄더가 상호 작용하며, 이는 이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3 내지 7 및 도 8 내지 10을 도 2를 참고로 전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관찰하여 보면, 지지 숄더(72, 96)와 이에 배치된 차단 숄더(74, 104)가 와이퍼 장치(10)가 조립된 경우 진동축(16)과 힌지부(42, 50)의 축(32)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28, 90)는 윈도우(24)에 수직한 평면에 있는 와이퍼 아암의 종축 방향으로 연장된 레그(38, 40, 92)를 가지며, 상기 레그에는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102)의 각각 하나의 측면(46, 48, 100)이 인접 위치하고, 상기 벽에는 지지 숄더가, 그리고 표면에는 차단 숄더가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퍼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와이퍼 아암의 커플링부(90)의 지지 숄더(96)가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102)의 차단 숄더(104)에 접하게 됨으로써, 핀 단부(50)에는 와이퍼 블레이드(22)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화살표 70)이 경감된다.
두개의 실시예는 모두 와이퍼 장치(10)가 진동축(16)을 향하는, 와이퍼 아암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숄더(72, 96)를 가지며, 또한 진동축(16)으로부터 떨어진 와이퍼 블레이드의 차단 숄더(74, 104)가 상기 지지 숄더에 배치되는 것이 공통된다.

Claims (12)

  1. 자동차에서 안내되고 진동식 구동되는 와이퍼 아암(12)을 구비하며, 진동축(1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와이퍼 아암(12)의 자유 단부에는, 진동 방향(화살표 18)에 대해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윈도우(24)에 접촉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22)가 와이퍼 아암측의 커플링부와 와이퍼 블레이드측의 커플링부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26)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며, 힌지축(32)이 실질적으로 진동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진동축(16) 방향을 향해 상기 와이퍼 아암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숄더(72, 96)가 상기 진동축(16)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된 차단 숄더(74, 104)에 대응 배치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측의 커플링부(30,102)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와 연결된 별도의 부품이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30,102)가 두개의 서로 평행한 측면(46,48)을 갖는 실질적으로 블록형 기본 몸체(44)를 포함하는 자동자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에서, 상기 측면(46,48)으로부터 상기 기본 몸체(44) 내에 가상적으로 통합된 힌지핀의 두개의 단부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에 고정된 지지 숄더(72, 96)가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28, 90)에 배열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측 차단 숄더(74, 104)는 상기 연결 장치(26)의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30, 102)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숄더(72, 96)와 상기 차단 숄더(74, 104)는 진동축(16)과 힌지축(32)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28, 90)는 윈도우(24)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와이퍼 아암 종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그(38, 40, 92)를 가지며, 또한 상기 레그(38, 40, 92)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102)의 측면(46, 48, 100)이 인접해 있으며, 지지 숄더(72, 96)가 상기 레그에 형성되고, 차단 숄더(74, 104)가 상기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28, 90)는 상기 와이퍼 아암(12)의 종축에 대해 횡으로 U자형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커플링부의 U자형 레그(38, 40, 92)에는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102)의 힌지 핀 단부(50)용의 각각 하나의 베어링 수용부(42, 94)가 배열되며, 상기 커플링부가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28, 90)의 U자형 레그(38, 40, 92) 사이로 삽입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U자형 레그(92)의 내측면이 상기 지지 숄더(96)를 구비한 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몸체(44)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46, 48)이 상기 차단 숄더(74)를 갖는 표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숄더(72, 96) 및 상기 차단 숄더(74, 104)는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휘어진 진행 방향을 가지며, 각각의 곡률 반경이 상기 힌지축(32)으로부터 각각의 거리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숄더(96)는 U자형 레그(92)의 내측면에 있는 리브형 돌출부(98)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 숄더(104)는 상기 U자형 레그를 향한 상기 기본 몸체(44)의 표면에서 홈(106)의 측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커플링부(28, 30 ; 90, 102) 각각에는 복수의 지지 숄더와 차단 숄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커플링부(28, 30 ; 90, 102)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28, 90; 30, 102)가 진동축(16)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측 커플링부(28, 90)에 있는 보어 형태의 베어링 수용부(42)는 진동축(16)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슬릿형 개구(56)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측 커플링부(30, 102)의 핀 단부(50)의 평면부(62)가 상기 슬릿형 개구 내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KR1019997007643A 1997-12-24 1998-08-04 자동차에서 안내되어 진동식 구동되는 와이퍼 아암을 구비한 자동차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KR100589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7872.1 1997-12-24
DE19757872A DE19757872A1 (de) 1997-12-24 1997-12-24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am Kraftfahrzeug geführten pendelnd angetriebenen Wischerarm
PCT/DE1998/002224 WO1999033687A1 (de) 1997-12-24 1998-08-04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am kraftfahrzeug geführten pendelnd angetriebenen wischera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583A KR20000075583A (ko) 2000-12-15
KR100589295B1 true KR100589295B1 (ko) 2006-06-14

Family

ID=785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643A KR100589295B1 (ko) 1997-12-24 1998-08-04 자동차에서 안내되어 진동식 구동되는 와이퍼 아암을 구비한 자동차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87948B2 (ko)
EP (1) EP0984878B1 (ko)
JP (1) JP4014654B2 (ko)
KR (1) KR100589295B1 (ko)
DE (2) DE19757872A1 (ko)
ES (1) ES2277392T3 (ko)
WO (1) WO1999033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4413B4 (de) * 1999-03-30 2013-07-25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9935860A1 (de) * 1999-07-30 2001-02-01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zwischen Umkehrlagen bewegbaren, zur Scheibe belasteten Wischerarm
DE10003589A1 (de) * 2000-01-28 2002-04-18 Volkswagen Ag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Wischerblatt
DE10257991A1 (de) * 2002-04-04 2004-02-05 Robert Bosch Gmbh Wischhebel mit einem angetriebenen Wischerarm und einem an diesem angelenkten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WO2004048163A1 (de) 2002-11-26 2004-06-10 Valeo Wischersysteme Gmbh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antreibbaren wischarm
DE10340139B4 (de) * 2003-09-01 2017-03-23 Robert Bosch Gmbh Gelenkverbindung
DE102004016016A1 (de) 2004-04-01 2005-10-20 Bosch Gmbh Robert Gelenkfreies Wischblatt
DE102004058685A1 (de) 2004-12-06 2006-06-1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DE102004058684A1 (de) 2004-12-06 2006-06-1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US20060130263A1 (en) * 2004-12-17 2006-06-22 Coughlin Timothy J Wiper coupl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CA2541641C (en) 2005-04-04 2014-02-11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7774892B2 (en) 2005-04-04 2010-08-17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CN2832607Y (zh) 2005-05-11 2006-11-01 黄椿庭 无支点软骨雨刷
US7150066B1 (en) 2005-06-15 2006-12-19 Shih Hsien Huang Windshield wiper structure for vehicles
TWM288872U (en) 2005-09-25 2006-03-21 Shih-Hsien Huang Connection device for car wiper arm
TWM288873U (en) * 2005-09-29 2006-03-21 Shih-Hsien Huang Connection device for car windshield wiper arm
US7299520B2 (en) * 2006-03-24 2007-11-27 Shih-Hsien Huang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US20070221365A1 (en) * 2006-03-24 2007-09-27 Evapco, Inc. U-shaped heat exchanger tube with a concavity formed into its return bend
US8042218B2 (en) 2007-04-05 2011-10-25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ssembly having side-saddle coupler
WO2008148265A1 (fr) * 2007-06-07 2008-12-11 Qinghuai Shen Nouveau balai d'essuie-glace
DE102008000626A1 (de) * 2008-03-12 2009-09-17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KR101098004B1 (ko) 2009-08-26 2011-12-22 주식회사 캐프 차량 와이퍼용 멀티 어댑터
US8533899B2 (en) 2009-08-27 2013-09-17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assembly
US20130227809A1 (en) 2012-02-24 2013-09-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8261403B2 (en) 2010-05-13 2012-09-11 Trico Products Corporation Beam blade windshield wiper assembly
US8397341B2 (en) 2010-05-13 2013-03-19 Trico Products Corporation Beam blade windshield wiper assembly
US9073520B2 (en) 2010-07-28 2015-07-07 Teklas Kaucuk Sanayi Ve Ticaret A.S. Connecting device for windscreen wipers
USD706200S1 (en) 2010-09-22 2014-06-03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ver
DE102010062925A1 (de) * 2010-12-13 2012-06-14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MX347284B (es) 2011-07-29 2017-04-21 Pylon Mfg Corp Conector de limpiaparabrisas.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KR101433220B1 (ko) 2012-06-25 2014-08-2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D702618S1 (en) 2012-11-15 2014-04-15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blade coupler
US9221429B2 (en) 2012-11-15 2015-12-29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ssembly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9533655B2 (en) 2012-12-04 2017-01-03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9260084B2 (en) 2013-01-03 2016-02-16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9555775B2 (en) 2013-03-15 2017-01-31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s and connector kit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to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511748B2 (en) 2013-03-15 2016-12-06 Ill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9227599B2 (en) 2013-05-02 2016-01-05 Trico Products Corporation Mounting assembly for wiper blade and wiper arm
KR101474838B1 (ko) 2013-07-01 2014-12-22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FR3011211B1 (fr) * 2013-09-30 2017-01-13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eur ou adaptateur pour systeme d'essuyage d'un pare-bris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US9493140B2 (en) 2013-12-02 2016-11-15 Trico Products Corporation Coupler assembly for wiper assembly
USD727238S1 (en) 2013-12-13 2015-04-21 Illinois Tool Works Inc. Cover used for windshield wiper connectors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9434355B2 (en) 2014-04-01 2016-09-06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539987B2 (en) 2014-04-01 2017-01-1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663071B2 (en) 2014-05-29 2017-05-3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USD787308S1 (en) 2014-10-03 2017-05-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package
US10363905B2 (en) 2015-10-26 2019-07-3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O2017201473A1 (en) 2016-05-19 2017-11-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blade
WO2017201485A1 (en) 2016-05-19 2017-11-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U2017267978A1 (en) 2016-05-19 2018-11-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U2017268008A1 (en) 2016-05-19 2018-11-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WO2018081791A1 (en) 2016-10-31 2018-05-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DE102021101020A1 (de) 2021-01-19 2022-07-21 Valeo Wischersysteme Gmbh Wischblatt und Wischeinrichtung zur Reinigung einer Fahrzeugscheib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Wischblatts an einem Wischar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16801A (fr) 1954-11-19 1956-05-14 Attache amovible d'essuie-glace
FR2031697A6 (ko) * 1969-02-04 1970-11-20 Sev Marchal
FR2254959A6 (en) * 1973-12-18 1975-07-11 Sev Marchal Hinge ferrule for a windscreen wiper arm - has inner arm locking projection within hinge shaft opening
GB1591310A (en) * 1976-11-30 1981-06-17 Trico Folberth Ltd Windscreen wipers
DE2715148A1 (de) * 1977-04-05 1978-10-19 Rau Swf Autozubehoer Scheibenwischer
DE2830508A1 (de) * 1978-07-12 1980-01-31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ue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GB2100633B (en) 1981-06-11 1985-02-13 Rolls Royce Selector device for use in the casting of single crystal objects
US4445249A (en) * 1982-03-30 1984-05-01 The Anderson Company Of Indiana Rock-to-lock connection arm-to-blade
DE3335212A1 (de) * 1983-09-29 1985-04-11 SWF Auto-Electric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Scheibenwisch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FR2653080B1 (fr) * 1989-10-13 1991-12-06 Journee Paul Sa Dispositif connecteur pour balai d'essuie-glac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662414B1 (fr) * 1990-05-23 1992-07-31 Journee Paul Dispositif de liaison a articulation entre un bras d'essuie-glace et un balai d'essuie-glace.
US5065474A (en) * 1990-06-22 1991-11-19 China Wiper Special Rubber Co., Ltd. Multiple position adapter for mounting wiper-blade assembly on wiper arm
FR2744971B1 (fr) * 1996-02-16 1998-03-13 Journee Paul Sa Essui-glace de vehicule automobile muni d'un capot d'habillage comportant un troncon d'extremite artic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77392T3 (es) 2007-07-01
JP4014654B2 (ja) 2007-11-28
WO1999033687A1 (de) 1999-07-08
EP0984878A1 (de) 2000-03-15
JP2001513053A (ja) 2001-08-28
EP0984878B1 (de) 2006-12-13
US20030097726A1 (en) 2003-05-29
US6687948B2 (en) 2004-02-10
DE59813843D1 (de) 2007-01-25
DE19757872A1 (de) 1999-07-01
KR20000075583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9295B1 (ko) 자동차에서 안내되어 진동식 구동되는 와이퍼 아암을 구비한 자동차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KR100595354B1 (ko) 자동차의 윈도우용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피봇 연결 장치
KR100650300B1 (ko) 전환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윈도우를 향해 하중을 받는 와이퍼 암을 구비한 자동차의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KR100594711B1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아암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
KR100688047B1 (ko) 차량의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JP4567203B2 (ja) 自動車のウィンドゥ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をワイパアームに枢着結合するための装置
KR100867563B1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KR100660768B1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JP4488146B2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シールド用のワイパ装置
CN100548759C (zh) 用于清洗特别是汽车的玻璃的、具有一个雨刷臂和一个在该雨刷臂上铰接的雨刷片的雨刷杆
KR20030031135A (ko) 특히 차량의 윈드 스크린-와이핑 장치를 위한 와이퍼 암
KR20040058186A (ko) 와이퍼 블레이드
KR20060118427A (ko) 유리창용 와이퍼 암
CZ20011167A3 (cs) Stěrací zařízení skel automobilů
CN105452069A (zh) 刮水片以及刮水器
JP2001500088A (ja) 自動車の窓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を自動車に案内された駆動可能なワイパアームに接続するための装置
KR100578704B1 (ko) 차량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KR200224441Y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19990006423A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GB2306565A (en) Drive arm assembly for windscreen wipers
JP2023535469A (ja) ワイパーブレード用コネクタ
KR20010099870A (ko) 힌지 연결부
KR100692883B1 (ko) 차량의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
KR970010064B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200171220Y1 (ko) 캠을 이용한 일체형 와이퍼 링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