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563B1 -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563B1
KR100867563B1 KR1020027013980A KR20027013980A KR100867563B1 KR 100867563 B1 KR100867563 B1 KR 100867563B1 KR 1020027013980 A KR1020027013980 A KR 1020027013980A KR 20027013980 A KR20027013980 A KR 20027013980A KR 100867563 B1 KR100867563 B1 KR 100867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pivot
pivot bolt
wiper blad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9439A (ko
Inventor
드블록페터
브레쉬프랑스
비난츠페터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09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60S1/407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with means provided on the blade for locking the side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Ink Je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특히 차량의 창유리를 와이핑 하는데 이용된다. 와이퍼 장치는 차량에 안내되어 구동되는, 전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와이퍼 암(12)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암의 자유 단부(14)에는 상기 단부에 고정된 피벗 볼트(36)가 배치되고, 상기 피벗 볼트의 피벗 축선(38)은 와이퍼 암 종축선에 대해 횡으로, 실질적으로 와이퍼 암의 이동 방향(22)으로 연장하고, 피부터 볼트에 피벗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창유리(28)에 접촉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16)가 지지되고, 와이퍼 장치는 피벗 볼트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피벗 축선에 대해 횡으로, 서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 놓이고, 와이퍼 블레이드에 배치된 정지면(78, 86)들을 갖고, 상기 정지면들은 서로 마주 놓인 고정면(80, 81)들 사이에 적절하게 맞물린다.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지면이 피벗 볼트(36)용 베어링 보어(34)를 포함하는 커플링 부품의 2개의 치크 영역에 배치되고, 와이퍼 암의 하나의 고정면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향한 치크 영역(80)이고, 다른 하나의 고정면(81)은 베어링 보어(34)로부터 돌출한 피벗 볼트(36)의 연장부(44)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와이퍼 암(12)으로부터 먼,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지면(86)을 후방 고정하고, 따라서 간단하고 저렴한 와이퍼 장치가 얻어진다.
와이퍼 암, 와이퍼 블레이드, 피벗 축선, 피벗 볼트, 정지면, 베어링 보어

Description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Wiper device especially for the panes of motor vehicles}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식의 공지된 와이퍼 장치(DE 16 55 410 A1)에서, 와이핑될 창유리를 향해 볼 때, 와이퍼 암 및 와이퍼 블레이드는 옆으로 나란히 또는 와이퍼 장치의 작동 방향에 대해 앞뒤로 나란히 배치된다. 이로부터, 와이퍼 암이 와이퍼 블레이드 위에 배치되는 와이퍼 장치의 경우보다 더 낮은 높이의 와이퍼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DE 15 05 397 A1). 상기와 같은 와이퍼 장치의 더 낮은 높이는 특히 높은 주행 속도에서 와이퍼 블레이드가 창유리로부터 떨어지는 특성과 관련하여 바람직하다. 와이퍼 작동 중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피벗 볼트에 고정되도록, 상기 방식의 와이퍼 장치의 경우에 와이퍼 암에 측면으로 배치된 피벗 볼트는 그 중간 섹션에 링 홈을 갖고, 탄성력에 대항해서 변위될 수 있고 와이퍼 블레이드에 한 단부측이 고정되는 판 스프링이 와이퍼 블레이드가 피벗 볼트에 장착된 후에 상기 링 홈 내로 삽입되고, 상기 링 홈의 측벽과 함께 와이퍼 암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것을 보장한다. 링 홈의 2개의 측면의 링 면은 와이퍼 암의 고정면을 형성하는 한편, 판 스프링의 측면 에지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지면으로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 수단의 배치와 형성은 비용이 많이 드는데, 그 이유는 한편으로는 피벗 볼트에 링 홈이 제공되어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 새 와이퍼 블레이드에 적절한 판 스프링이 재차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공지된 다른 와이퍼 장치의 경우에(DE 26 40 399 A1) 피벗 볼트 및 그것의 고정 수단이 와이퍼 블레이드에 배치되고, 이들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 소실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제공되어야 한다.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에서, 피벗 볼트 상에 지지된 와이퍼 블레이드는 커플링 부품의 측면 정지면과 함께 와이퍼 암의 치크(cheek) 영역과 피벗 볼트의 자유 단부에 위치한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피벗 축선 방향으로 고정된다.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 소실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측 록킹 수단이 필요 없는데, 그 이유는 별도의 커플링 부품과 관계없이 항상 존재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측면이 록킹 수단의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연장부는 피벗 볼트와 고정 결합되고, 베어링 보어의 외장면에는 연장부에 매칭되는 관통 채널이 배치된다. 이로 인해, 고체의 비탄성 재료, 예를 들어 금속으로 피벗 볼트를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주어진다.
피벗 볼트에 다수의 연장부가 배치되고, 베어링 보어의 외장면에, 상기 연장부에 매칭되고 상기 연장부 수에 상응하는 수의 관통 채널이 제공되면, 특히 본 발명의 작동 안정적인 구성이 가능하다.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지면이 보어 개구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및 방사방향으로 연장한 함몰부의 베이스면에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는 와이퍼 암으로부터 먼, 커플링 부품의 종측면으로부터 피벗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면, 연장부는 함몰부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방해가 되는 연장부는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또한, 피벗 축선 방향으로 볼 때 함몰부는 링 세그먼트 형태로 형성되고 관통 채널이 함몰부 내로 통해 있으면,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면은 하나의 선회 방향으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선회 운동을 위한 스토퍼 또는 제한면으로서 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관통 채널은 하나의 링 세그먼트 단부면에 근접해서 함몰부 내로 통해 있으므로, 와이퍼 암 상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규정된 조립 위치가 주어진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다른 링 세그먼트 단부면은 피벗 볼트 상에 지지된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선회 제한부를 형성한다. 이로써, 와이퍼 블레이드는 창유리로부터 들어 올려진 와이퍼 암에서 약 180°회전할 수 없으므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뒷면이 창유리 위에 접촉하지 않을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가 피벗 볼트 상에서 상기 요구에 부합하는 적절한 선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세그먼트 각도는 와이퍼 작동 중에 이루어지는, 피벗 볼트의 피벗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선회 운동에 연장부의 두께를 더한 것보다 크다.
예를 들어, 윈드실드를 손으로 세척할 때, 함몰부로부터 경우에 따라 일부가 돌출한, 피벗 볼트의 연장부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를 다루는 작업자의 부상 위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함몰부의 깊이는 적어도 피벗 축선을 향한 연장부의 높이와 동일한 크기로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비용이 저렴한 실시예는, 연장부가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종측면 중 하나는 피벗 볼트를 향하고, 피벗 축선에 대해 횡으로 피벗 볼트와 바람직하게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는 피벗 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설계됨으로서 달성된다. 피벗 볼트의 직경을 지나 돌출한 연장부의 2개의 위치에 간단하게 와이퍼 암의 고정면 중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장치의 커플링 부품이 창유리로부터 먼, 밴드형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탄성의 지지 요소의 상부 밴드면에 지지되고, 상기 커플링 부품이 적어도 일부에 걸쳐 상기 지지 요소에 면 접촉하고, 또한 창유리를 향한 지지 요소의 하부 밴드면에는 창유리에 접촉 가능한, 고무 탄성의 와이퍼 스트립이 종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면, 와이퍼 레버에 속하는 특히 낮고 경량의 와이퍼 블레이드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개선예와 실시예는 해당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기 설명에 제시된다.
도 1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와이퍼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와이퍼 장치에 속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도 1에서 Ⅲ으로 도시된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장치의 화살표 IV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장치의 화살표 V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와이퍼 장치에 속하는 와이퍼 암의, 피벗 볼트가 제공된 단부 섹션의 사시도.
도 8은 후면에서 볼 때, 서로 정렬된 사전 조립 위치에서 도 6 및 도 7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중간 조립 위치에서 도 8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작동 위치에서 도 9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포함되는 와이퍼 레버(10;도 1 및 도 2)의 한 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차량에 안내되어 구동되는 와이퍼 암(12)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암의 자유 단부(14)에는 길게 연장한 와이퍼 블레이드(16)가 피벗식으로 결합된다. 와이퍼 암(12)은 그 반대편 단부(18)에 의해 지지되고, 진자 축선(20)을 중심으로 양방향 화살표(22)의 방향으로 전환점 사이에서 진자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16)는 와이핑될 창유리를 지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에 대해 횡으로 이동되고, 고무 탄성의 와이퍼 스트립(24)은 와이핑될 창유리(28)의 표면(26)에 접촉한다.
와이퍼 스트립(24)은 밴드형으로 연장한, 스프링 탄성의 지지 요소(30)와 종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되며, 창유리로부터 먼, 상기 지지 요소의 상부 밴드면(29)에 커플링 부품(32)이 놓이며(도 8), 상기 커플링 부품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6)는 와이퍼 암(12)과 피벗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밴드면(29)에 면 접촉하는 커플링 부품(32)에 베어링 보어(34)가 제공되고(도 3 내지 도 5), 상기 베어링 보어는 와이퍼 암(12)의 자유 단부(14)에서 측면으로 상기 와이퍼 암과 연결된 피벗 볼트(36)를 수용하는데 이용된다(도 7). 피벗 볼트(36) 또는 피벗 축선(38;도 2)은 와이퍼 레버(10)의 진자 운동 또는 작동 운동 방향(양방향 화살표 22)으로 연장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창유리(28)의 와이핑될 표면(26)은 만곡되어 있다. 라인(26)은 창유리 표면의 최대 곡률을 도시하기 때문에, 그 2개의 단부가 창유리에 접촉하는, 아직 부하를 받지 않은 와이퍼 블레이드(16)의 곡률은 창유리의 최대 곡률보다 더 큰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와이퍼 암(12)을 통해 가해진, 화살표(40;도 1)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착력 하에서 지지 요소(30)의 하부 밴드면(31)에 배치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고무 탄성의 와이퍼 스트립(24)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창유리 표면(26)에 접촉한다. 이 경우, 금속으로 제조된 스프링 탄성의 지지 요소(30)는 와이퍼 스트립(24)을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창유리에 적절하게 접촉시키며 압착력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응력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구면으로 만곡된 창유리는 구 표면의 일부가 아니기 때문에, 와이퍼 작동 중에 와이퍼 블레이드(16)가 와이퍼 암(12)에 대해서 항상 창유리 표면의 각각의 위치와 경로에 매칭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선회 운동(화살표 41)을 가능하게 하는 피벗 연결부(34, 36)가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사이에 필요하다.
상기 피벗 연결부는 하기에서 도 3 내지 도 8 에 의해 상세히 설명된다. 도 6 및 도 8에는 와이퍼 스트립(24)의 커플링 부품(32)과 지지 요소(30) 사이의 연결부인, 와이퍼 블레이드(16)의 상부 영역만 도시된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더 이상 와이퍼 스트립(24)과 지지 요소(30)는 구분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상기 2개의 부품 사이의 연결부는 와이퍼 블레이드(16)와 와이퍼 암(12) 사이의 피벗 연결부의 디자인에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선회-피벗 연결부의 와이퍼 암 측 부분은 피벗 볼트(36) 및 그것의 특수한 형상에 의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 볼트(36)의 단부면(42)에 플레이트 형상의 연장부(44)가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의 하나의 종측면은 피벗 볼트(36)를 향하고, 상기 피벗 볼트에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연장부(44)는, 피벗 연결부의 피벗 축선(38)을 형성하는, 피벗 볼트(36)의 종축선을 횡단하도록 배치된다. 연장부(44)의 길이(46)는 피벗 볼트(36)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연장부의 2개의 단부는 날개 형태이고 동일한 치수로 피벗 볼트 위로 돌출한다. 와이퍼 레버(10)의 형성을 위한 피벗 볼트(36)가 커플링 부품(32)의 베어링 보어(34)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베어링 보어는 그 외장면(48;도 4)에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관통 채널(50)을 가지며, 상기 채널의 폭(52;도 3)은 플레이트형 연장부(44;도 7)의 두께(54)에 매칭되므로, 피벗 볼트(36)의 직경을 지나 돌출한 날개의 단부가 문제없이 관통 채널(50)들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통 채널(50;도 5)들의 깊이(56;도 5)는, 보어 직경에 깊이(56)의 2배를 더한 크기가 적어도 플레이트형 연장부(44)의 길이(46)와 같은 크기이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와이퍼 블레이드(16)의 종방향으로 연장한 하나의 측면 치크(58)에서, 커플링 부품(32)은 링형 돌출부(6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베어링 보어(34)를 둘러싼다. 상기 돌출부는 예를 들어 미리 제조된 베어링 부시의 링 칼라형 연장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 부시는 커플링 부품(32) 내에 배치된다. 다른 종측면 또는 측면 치크(62)에서 커플링 부품(32)은 2개의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함몰부(64)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피벗 축선(38) 방향으로 볼 때 링 세그먼트 형태로 형성된다(도 3 및 도 6). 보어(34)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그리고 소정 세그먼트 각도에 걸쳐 원주방향으로 연장한 2개의 함몰부(64)중 각각은 2개의 관통 채널(50) 중 하나 내로 통해 있다. 2개의 함몰부는, 관통 채널(50)이 각각 하나의 링세그먼트 면(66)에 근접해서 각각의 함몰부(64) 내로 통하도록 배치된다. 링 세그먼트 면(66)으로부터 세그먼트 각도(68) 만큼 떨어져 있는 다른 링 세그먼트면(70)은 원주방향으로 함몰부(64)를 제한한다. 함몰부(64)의 깊이는, 피벗 축선(38) 방향으로 측정할 때 적어도 플레이트형 연장부(44)의 높이(74)와 같다. 외부 세그먼트 면들 사이의 치수(75)는 연장부(44)의 길이(46)보다 약간 더 크다.
와이퍼 레버(10)의 형성을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16)와 와이퍼 암(12) 사이의 연결은 도 8 내지 도 10에 의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먼저 2개의 와이퍼 레버 부품(12, 16)들은 서로 동축으로 연장부(44) 또는 상기 연장부의 2개의 날개형 돌출부들이 상기 연장부에 할당 배치된 관통 채널(50)의 각각의 경로에 대해 정렬된 위치로 되어야 한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화살표(76) 방향으로 피벗 볼트(36) 상으로 미끄러지고, 연장부(44)의 날개형 단부들은 그들의 관통 채널(50) 내에 도달한다. 와이퍼 블레이드(16) 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플링 부품(32)이 돌출부(60)의 단부면(78)으로 상기 단부면을 향한, 와이퍼 암(12)의 편평한 치크 영역(80;도 7)에 충돌하면, 피벗 볼트(36)의 플레이트형 연장부(44)도 베어링 보어(34)로부터 돌출되고 그 날개형 단부는 각각의 2개의 링 세그먼트형 함몰부(64) 영역 내에 배치된다(도 9).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핑 될 창유리(28)에 접촉하면, 화살표(82;도 9) 방향으로 와이퍼 블레이드(16)가 선회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16) 또는 와이퍼 레버(10)는 날개형 돌출부들이 그들의 관통 채널(50)을 떠나 도 10에 도시된 작동 위치에 도달한다. 와이퍼 작동 중에 원치 않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암에 적절하게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 단부면(78)으로부터 함몰부(64)의 베이스면(68)까지의 치수(84;도 4)는 와이퍼 암(12)의 면(80)의 치수(88, 도 7)와, 상기 면을 향한, 날개형 단부의 긴 단부면(81)의 치수에 맞게 신중하게 조정된다. 과도한 결정을 방지하기 위해, 선회 방향(이중 화살표 41)의 세그먼트 각도(68)는 적어도 와이퍼 작동시 이루어지는, 피벗 축선(38)을 중심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16)의 선회 운동보다 적어도 연장부(44)의 두께(54) 만큼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2개의 함몰부(64)는, 와이퍼 작동 중에 와이퍼 암(12)과 와이퍼 블레이드(16) 사이의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2개의 관통 채널(50)에 대해서 배치되어야 한다. 관통 채널(50)로부터 이격된 링 세그먼트 면(70)은, 피벗 볼트(36) 상에 지지된 와이퍼 블레이드(16)용 선회 제한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와이퍼 암이 창유리로부터 떨어져 접히는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는 커플링 부품(32)이 와이퍼 스트립(24) 대신 창유리(28)을 향하는 잘못된 조립 위치로 피벗 축선을 중심으로 약 180°회전될 수 있는 것이 방지된다.
와이퍼 블레이드가 예를 들어 와이퍼 작동 중에 의도치 않게 와이퍼 암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피벗 볼트(36)의 플레이트형 연장부(44)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고정 수단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 수단은 와이퍼 블레이드(16)의 정지면(78, 86)들을 포함하고, 상기 정지면들은 피벗 축선(38)에 대해 횡으로 서로 간격(84)을 갖고, 와이퍼 암(12)의 서로를 향한 고정면(80, 81)들 사이에 적절하게 맞물린다.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지면들은 커플링 부품의 2개의 종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커플링 부품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제공되고 피벗 볼트(36)용 베어링 보어(34)를 포함한다. 와이퍼 암(12)의 고정면들 중 하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향한 치크 영역(80)이다. 와이퍼 암의 다른 고정면은 베어링 보어(34)로부터 돌출한, 피벗 볼트(36)의 연장부(44)에 치크 영역(80)을 향한, 연장부(44)의 수직 단부면(81;도 8)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단부면은 와이퍼 암으로부터 먼, 와이퍼 블레이드의 베이스면 또는 정지면(86)에 후방 결합된다. 와이퍼 블레이드의 상기 정지면(86)은 함몰부(64)의 베이스 면(86)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면은 연장부(44)의 날개형 단부의, 상기 베이스 면을 향한 면(81)과 협동한다. 플레이트형 연장부(44)의 높이에 맞게 함몰부의 깊이(72)가 적절하게 매칭됨으로써, 플레이트형 연장부가 함몰부(64) 내에 완전히 놓이고 상기 함몰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와이퍼 블레이드(1b)를 와이퍼 암(12)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연장부(44)가 관통 채널(50)에 대해 정렬될 때까지 그 작동 위치(도 10)로부터 도 9의 화살표(82)와 반대로 선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도 8의 화살표(76)의 방향과 반대로 와이퍼 암(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Claims (13)

  1. 차량에서 안내 구동되고 전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와이퍼 암(12)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암의 자유 단부(14)에는 상기 단부에 지지된 피벗 볼트(36)가 배치되고, 상기 피벗 볼트의 피벗 축선(38)은 와이퍼 암-종축선에 대해 횡으로, 와이퍼 암(12)의 이동 방향(22)으로 연장하고, 피벗 볼트 상에 상기 피벗 축선(38)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창유리(28)에 접촉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16)가 지지되고, 와이퍼 장치는 피벗 볼트 상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들은 와이퍼 블레이드에 배치된 정지면들을 갖고, 상기 정지면들은 피벗 축선에 대해 횡으로, 서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 놓이고, 와이퍼 암의 서로 마주 놓인 고정면들 사이에 적절하게 맞물리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지면(78, 86)들은 상기 블레이드에 배치된, 상기 피벗 볼트(36)용 베어링 보어(34)를 포함하는 커플링 부품(32)의 2개의 종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퍼 암의 하나의 고정면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향한 치크 영역(80)이고, 다른 고정면(81)은 상기 피벗 볼트(36)의 연장부(44)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와이퍼 암으로부터 먼,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6)의 정지면(86)에 후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44)는 상기 피벗 볼트(36)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 보어(34)의 외장면(48)은 상기 연장부에 매칭되는 관통 채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볼트(36)에 다수의 연장부가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 보어(34)의 외장면(48)은, 상기 연장부의 수에 상응하고 상기 연장부에 매칭되는 다수의 관통 채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지면은 보어 개구부로부터 원주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연장한 함몰부(64)의 베이스면(86)에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와이퍼 암(12)으로부터 먼, 상기 커플링 부품(32)의 종측면(62)으로부터 피벗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축선(38) 방향으로 볼 때 상기 함몰부(64)는 링 세그먼트형으로 형성되고, 관통 채널(50)은 함몰부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채널(50)은 하나의 링 세그먼트 면(66)에 근접해서 상기 함몰부(64)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링 세그먼트 면(70)은 상기 피벗 볼트(36)에 지지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6)의 선회 제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세그먼트 각도(68)는 와이퍼 작동 중에 이루어지는, 상기 피벗 볼트(36)의 상기 피벗 축선(38)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6)의 선회 운동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64)의 깊이(72)는 적어도 피벗 축선(38) 방향의 상기 연장부(44)의 높이와 같은 크기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44)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하나의 종측면(81)은 상기 피벗 볼트(36)를 향하고, 상기 피벗 축선에 대해 횡으로, 바람직하게 피벗 볼트와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46)는 상기 피벗 볼트(36)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품(32)은 창유리(28)로부터 먼, 밴드형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탄성 지지 요소(30)의 상부 밴드면(29)에 지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부분 섹션에 걸쳐 상기 밴드면에 면 접촉하고, 상기 창유리(28)를 향한 상기 지지 요소(30)의 하부 밴드면에는 창유리에 접촉할 수 있는 고무 탄성의 와이퍼 스트립(24)이 종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와이퍼 암.
KR1020027013980A 2001-02-21 2002-02-01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KR100867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8200A DE10108200A1 (de) 2001-02-21 2001-02-21 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108200.2 2001-02-21
PCT/DE2002/000375 WO2002066300A2 (de) 2001-02-21 2002-02-01 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439A KR20030009439A (ko) 2003-01-29
KR100867563B1 true KR100867563B1 (ko) 2008-11-10

Family

ID=767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980A KR100867563B1 (ko) 2001-02-21 2002-02-01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910244B2 (ko)
EP (1) EP1363817B1 (ko)
JP (1) JP4051288B2 (ko)
KR (1) KR100867563B1 (ko)
CN (1) CN1278893C (ko)
AU (1) AU2002247592A1 (ko)
BR (1) BR0204196B1 (ko)
CZ (1) CZ298123B6 (ko)
DE (3) DE10108200A1 (ko)
ES (1) ES2276923T3 (ko)
PL (1) PL210860B1 (ko)
WO (1) WO200206630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2764B4 (de) * 2001-05-10 2016-08-25 Valeo Auto-Electric Wischer Und Motoren Gmbh Wischvorrichtung
FR2842485B1 (fr) * 2002-08-29 2006-11-24 Bosch Gmbh Robert Piece de liaison d'un bras d'essuie-glace et d'un balai d'essuie-glace sans articulation
DE10251519A1 (de) * 2002-11-04 2004-05-13 Valeo Wischersysteme Gmbh Adapter für ein Wischblatt
DE10251520A1 (de) 2002-11-04 2004-05-13 Valeo Wischersysteme Gmbh Adapter für ein Wischblatt
DE10259479A1 (de) * 2002-12-19 2004-07-01 Robert Bosch Gmbh Wischhebel
DE10259477B4 (de) * 2002-12-19 2020-12-10 Robert Bosch Gmbh Verhinderungsanordnung einer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259476A1 (de) * 2002-12-19 2004-07-01 Robert Bosch Gmbh Verbindungsanordnung einer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259481A1 (de) * 2002-12-19 2004-07-01 Robert Bosch Gmbh Verbindungsanordnung einer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0343571A1 (de) * 2003-09-19 2005-04-14 Volkswagen Ag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Wischerblatt am Wischerarm einer Scheibenwischeranlage
DE102004016017A1 (de) * 2004-04-01 2005-10-20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US7150066B1 (en) 2005-06-15 2006-12-19 Shih Hsien Huang Windshield wiper structure for vehicles
CZ302305B6 (cs) * 2005-08-25 2011-02-16 Škoda Auto a. s. Sterac vozidla
TWM288872U (en) 2005-09-25 2006-03-21 Shih-Hsien Huang Connection device for car wiper arm
TWM288873U (en) * 2005-09-29 2006-03-21 Shih-Hsien Huang Connection device for car windshield wiper arm
US20070221365A1 (en) * 2006-03-24 2007-09-27 Evapco, Inc. U-shaped heat exchanger tube with a concavity formed into its return bend
US7299520B2 (en) * 2006-03-24 2007-11-27 Shih-Hsien Huang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FR2926514B1 (fr) * 2008-01-17 2010-06-11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liaison pour balai d'essuyage realise en deux parties qui comporte des moyens anti-retournement
DE102009001809A1 (de) * 2009-03-24 2010-09-30 Robert Bosch Gmbh Anschluss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arms mit einem Wischblatt nach einem Sidelockprinzip
KR101098004B1 (ko) 2009-08-26 2011-12-22 주식회사 캐프 차량 와이퍼용 멀티 어댑터
WO2011031516A2 (en) * 2009-08-27 2011-03-17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assembly
DE102009059120A1 (de) 2009-12-19 2011-06-22 Daimler AG, 70327 Kopplungsteil zum Verbinden eines Wischarms mit einem Wischblatt und Verbindungseinrichtung mit einem Kopplungsteil
DE102009059121A1 (de) * 2009-12-19 2011-06-22 Daimler AG, 70327 Steckverbindung zwischen einem Wischblatt und einem Wischarm
FR2957877B1 (fr) * 2010-03-29 2013-04-12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a debattement angulaire limite
USD706200S1 (en) 2010-09-22 2014-06-03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CA2843637C (en) 2011-07-29 2018-12-1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688251B2 (en) 2012-01-20 2017-06-27 Dongguan Hongyi Wiper Co., Ltd. Wiper connector and bolt-stabilizing sleeve adapto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RU2577981C1 (ru) 2012-02-24 2016-03-20 Пилон Мануфэкчуринг Корп.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CN103481862B (zh) * 2012-06-12 2015-09-09 东莞鸿益雨刷有限公司 雨刷连接器及插销施力稳定套
DE102012210544A1 (de) * 2012-06-21 2013-12-24 Robert Bosch Gmbh Wischadaptervorrichtung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474838B1 (ko) 2013-07-01 2014-12-22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9539987B2 (en) 2014-04-01 2017-01-1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434355B2 (en) 2014-04-01 2016-09-06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USD787308S1 (en) 2014-10-03 2017-05-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package
WO2017075066A1 (en) 2015-10-26 2017-05-0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CN105253109A (zh) * 2015-11-25 2016-01-20 都昌县业达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雨刮器的连接头基座
EP3458315B1 (en) 2016-05-19 2021-09-08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blade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U2017267978A1 (en) 2016-05-19 2018-11-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0513246B2 (en) 2016-05-19 2019-12-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WO2017201485A1 (en) 2016-05-19 2017-11-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WO2018081791A1 (en) 2016-10-31 2018-05-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FR3114064B1 (fr) * 2020-09-17 2022-12-16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systeme d’essuyage d’un vehicule automobi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3113A1 (de) * 1999-05-28 2000-12-07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WO2001008950A1 (de) * 1999-07-30 2001-02-08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zwischen umkehrlagen bewegbaren, zur scheibe belasteten wischerar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05397A1 (de) 1965-05-07 1969-10-30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er fuer Fahrzeuge
US3378874A (en) 1966-06-10 1968-04-23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assembly
FR2324489A1 (fr) 1975-09-16 1977-04-15 Journee Paul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 balai d'essuie-glace sur un bras
US4132490A (en) * 1975-06-07 1979-01-02 Paul Journee, S.A. Device for securing a wiper blade to an arm
DE2604325C3 (de) * 1976-02-05 1980-03-2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2816206A1 (de) * 1978-04-14 1979-10-25 Rau Swf Autozubehoer Wischblatt oder wischarm,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DE2817224A1 (de) * 1978-04-20 1979-10-31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ue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IT1144605B (it) * 1981-06-09 1986-10-29 Arman Spa Dispositivo d attacco per tergicristalli
GB2263329B (en) * 1981-07-09 1994-01-12 Secr Defence Ammunition feed apparatus
GB2263392B (en) * 1992-01-15 1995-06-07 China Wiper Special Rubber Co A wiper blade yoke assembly
DE19645170A1 (de) * 1996-11-02 1998-05-07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3113A1 (de) * 1999-05-28 2000-12-07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WO2001008950A1 (de) * 1999-07-30 2001-02-08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zwischen umkehrlagen bewegbaren, zur scheibe belasteten wischer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51288B2 (ja) 2008-02-20
BR0204196A (pt) 2003-02-18
AU2002247592A1 (en) 2002-09-04
DE10108200A1 (de) 2002-08-22
CN1457308A (zh) 2003-11-19
KR20030009439A (ko) 2003-01-29
WO2002066300A3 (de) 2002-12-05
JP2004517780A (ja) 2004-06-17
BR0204196B1 (pt) 2011-04-05
PL363103A1 (en) 2004-11-15
CZ20023439A3 (cs) 2003-04-16
ES2276923T3 (es) 2007-07-01
US6910244B2 (en) 2005-06-28
WO2002066300A2 (de) 2002-08-29
CN1278893C (zh) 2006-10-11
EP1363817A2 (de) 2003-11-26
DE50208844D1 (de) 2007-01-11
CZ298123B6 (cs) 2007-06-27
PL210860B1 (pl) 2012-03-30
US20030163885A1 (en) 2003-09-04
DE10290581D2 (de) 2004-04-15
EP1363817B1 (de)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563B1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KR100650300B1 (ko) 전환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윈도우를 향해 하중을 받는 와이퍼 암을 구비한 자동차의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KR100594711B1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아암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
KR100688047B1 (ko) 차량의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US20030097726A1 (en) Wiping device for windows of motor vehicles having a wiper arm which is guided on the vehicle and driven in a pendulum manner
US6625842B1 (en) Wiper device for motor vehicle panes
JP4204480B2 (ja) 駆動されるワイパアームと、該ワイパアームに枢着された、ガラス特に自動車のガラスを清掃する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とを備えたワイパレバー
KR100821111B1 (ko) 차량의 윈드실드용 와이퍼 장치
AU774020B2 (en) Wiper blade for the glass surfaces of a motor vehicle
KR20000068534A (ko) 자동차 유리창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602961B1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SK286807B6 (sk) Stieracie zariadenie skiel motorových vozidiel
JP2002521270A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
KR20040058291A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KR100587727B1 (ko) 와이퍼 아암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시키는 장치
KR20150006834A (ko) 차창 와이퍼 아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5554532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アーム
US5819363A (en) Windshield wiper for a window with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EP3501917B1 (en) Wiper arm device to clean a vehicle windshield and use of the wiper arm device
CN112714722A (zh) 适配器单元及刮水片
EP3580099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30100955A (ko) 차창용 와이퍼 장치
JP5134852B2 (ja) ウインドウガラスワイパ
JP4837401B2 (ja) ワイパブレード
CN109941233B (zh) 清洁车辆挡风玻璃的雨刮器臂装置和雨刮器臂装置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