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441Y1 - 자동차용 와이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와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441Y1
KR200224441Y1 KR2019990009673U KR19990009673U KR200224441Y1 KR 200224441 Y1 KR200224441 Y1 KR 200224441Y1 KR 2019990009673 U KR2019990009673 U KR 2019990009673U KR 19990009673 U KR19990009673 U KR 19990009673U KR 200224441 Y1 KR200224441 Y1 KR 200224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iper
shaft
fixed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093U (ko
Inventor
석남영
Original Assignee
김민박,라이문트하이넨
주식회사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박,라이문트하이넨, 주식회사캄코 filed Critical 김민박,라이문트하이넨
Priority to KR2019990009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441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0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441Y1/ko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이드 홈(42)을 갖는 M형태의 가이드 레일(40)과; 제 1고정축(32c)과 복수개의 가이드 홀(32b,32b-1)을 갖는 것으로, 구동축(31)에 결합된 고정 아암 헤드(32)와; 로울러(38)를 고정하는 제 2고정축(34c)과 블레이드 고정부(36)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힌지축(34a-1) 및 상기 가이드 홀(32b,32b-1)에 삽입되는 핀(34b,34b-1)을 갖는 가변 아암 헤드(34)와; 제 1고정축(32c)과 제 2고정축(34c)에 연결된 스프링(3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와이퍼의 길이가 아암의 위치에 따라 가변 되도록 하여 넓은 영역을 세척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와이퍼{WIPER FOR AN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퍼의 길이가 아암의 위치에 따라 가변 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영역을 세척하도록 하여 시계를 향상시켜 사고의 위험을 줄이도록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공기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혼합기를 엔진의 실린더 내로 흡입하고, 이 흡입된 혼합기를 압축 및 착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동력을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된 동력으로 구동휘일을 회전시킴으로써, 주행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차량에는 주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안전장치의 작동은 이와 연결되어 있는 계기판을 수시로 확인함으로써, 작동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우천중 주행 중인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와이퍼가 구비되어 있다. 이 와이퍼는 평상시 글래스 표면에 먼지 등의 이 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우천시 빗물에 의한 얼룩을 제거토록 하여 시야가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프론트 글래스의 저면에 일정한 각을 가지면서 좌, 우 반복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와이퍼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이러한 와이퍼 장치(2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 및 글래스(10)를 닦는 블레이드(24) 및 고정부(22)로 이루어져 있다. 링크는 모터의 동력으로 고정부(22)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브라켓과, 이 브라켓에 연결되는 다수의 로드로 구성되어 있고, 그 단부에 블레이드 고정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됨과 동시에 이와 연결된 다수의 링크를 통해 작동력을 고정부(22)로 전달함으로써, 글래스(10)표면에 밀착되어 있는 블레이드(24)를 왕복이동(L)시켜 먼지와 빗물들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글래스 표면에 밀착된 블레이드를 이동시 이 블레이드 고정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좌, 우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세척범위가 한정되어 시계가 낮아지는 되고, 이러한 원인으로 우천시 접촉사고의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아암의 위치에 따라 아암의 길이가 가변 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영역을 세척하여 시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와이퍼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의 작동 범위를 도시한 정면도.
도 4a, b는 도 3의 A-A,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구동축 32:고정 아암 헤드
32b,32b-1:가이드 홀 32c:제 1고정축
34:가변 아암 헤드 34a-1:힌지축
34b,34b-1:핀 34c:제 2고정축
36:블레이드 고정부 38:로울러
39:스프링 40:가이드 레일
42:가이드 홈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가이드 홈을 갖는 M형태의 가이드 레일과; 제 1고정축과 복수개의 가이드 홀을 갖는 것으로, 구동축에 결합된 고정 아암 헤드와; 로울러를 고정하는 제 2고정축과 블레이드 고정부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힌지축 및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핀을 갖는 가변 아암 헤드와; 제 1고정축과 제 2고정축에 연결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를 제공함에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의 작동 범위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a, b는 도 3의 A-A, B-B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앞서, 종래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이 다수의 로드를 경유하면서 소정의 각도를 갖는 왕복운동으로 변환된 후 고정부(22)로 전달됨으로써, 블레이드(10)를 작동시켜 글래스(10)를 세척하게 된다.
이때, 블레이드(10)의 이동을 통해 글래스(10)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 고정부를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만큼 왕복 운동하는 가운데 블레이드의 이동거리가 한정되어 있음으로써, 세척범위가 줄어들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 발명에서 프론트 글라스의 하단을 고정하는 차체에 가이드 레일(40)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 레일(40)의 중심부에 고정 아암 헤드(32)를 구비하며, 이 고정 아암 헤드(32)에 가변 아암 헤드(34)를 설치하여 스프링(39)으로 연결하였다.
여기에서, 가이드 레일(40)은 프론트 글래스의 윗부분으로 향하는 M형태로 구비하고, 그 윗면에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가이드 홈(42)을 전길이에 걸쳐 형성하였다.
고정 아암 헤드(32)는 링크의 단부에 고정된 구동축(31)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단부에 삼각홀의 형태를 갖고, 그 대향되는 곳에 복수의 가이드 홀(32b,32b-1)을 갖는 몸체(32a)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체(32a)의 밑면 중심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 1고정축(32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변 아암 헤드(34)는 고정 아암 헤드(32)와 결합되어 있고, 작동시 가이드 레일(40)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32a)에 형성된 가이드 홀(32b,32b-1)에 삽입되는 핀(34b,34b-1)을 갖고, 이 핀(34b,34b-1)과 대향되는 양측면에 블레이드 고정부(36)를 고정하는 복수의 힌지축(34a-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핀(34b,34b-1)과 힌지축(34a-1)을 갖는 그 밑면 중심부에 로울러(38)를 고정하는 제 2고정축(34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로울러(38)는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가이드 홈(42)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울러(38)를 고정하는 제 2고정축(34c)과 몸체(32a)에 형성된 제 1고정축(32c)사이에 스프링(39)을 연결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34a-1)에는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고정부(36)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터를 구동함과 동시에 구동축(31)이 회전을 하게 되고, 구동축(31)에 연결된 고정 아암 헤드(32)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고정 아암 헤드(32)의 제 1고정축(32c)과 가변 아암 헤드(34)의 제 2고정축(34c)이 스프링(39)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 1고정축(32c)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로울러(38)가 가이드 레일(40)의 가이드 홈(4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레일(40)의 반경이 커짐으로써, 몸체(32a)의 가이드 홀(32b,32b-1)에 삽입된 핀(34b,34b-1)이 빠지게 되어 블레이드를 글라스 표면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인출시켜 세척을 하게 된다.
이어 글래스의 중심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홀(32b,32b-1)로 핀(34b,34b-1)이 삽입되면서 블레이드가 글래스 표면으로부터 당겨져 세척을 하게 되고, 전기한 바와 같이 동일한 작용으로 글래스의 좌측면을 세척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M형 가이드 레일의 형태에 따라 가변 아암 헤드의 길이가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하여 글라스 표면을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글래스의 전표면을 세척하도록 하여 많은 시계를 확보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가이드 홈(42)을 갖는 M형태의 가이드 레일(40)과;
    제 1고정축(32c)과 복수개의 가이드 홀(32b,32b-1)을 갖는 것으로, 구동축(31)에 결합된 고정 아암 헤드(32)와;
    로울러(38)를 고정하는 제 2고정축(34c)과 블레이드 고정부(36)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힌지축(34a-1) 및 상기 가이드 홀(32b,32b-1)에 삽입되는 핀(34b,34b-1)을 갖는 가변 아암 헤드(34)와;
    제 1고정축(32c)과 제 2고정축(34c)에 연결된 스프링(3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
KR2019990009673U 1999-06-02 1999-06-02 자동차용 와이퍼 KR200224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673U KR200224441Y1 (ko) 1999-06-02 1999-06-02 자동차용 와이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673U KR200224441Y1 (ko) 1999-06-02 1999-06-02 자동차용 와이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093U KR20010000093U (ko) 2001-01-05
KR200224441Y1 true KR200224441Y1 (ko) 2001-05-15

Family

ID=5476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673U KR200224441Y1 (ko) 1999-06-02 1999-06-02 자동차용 와이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4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36B1 (ko) 2007-08-08 2009-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KR101766019B1 (ko) * 2015-07-03 201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싱글 와이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147B1 (ko) * 2002-11-22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윈드 쉴드 와이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36B1 (ko) 2007-08-08 2009-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KR101766019B1 (ko) * 2015-07-03 201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싱글 와이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093U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48493A (zh) 一种车辆刮水器单位
KR200224441Y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100681070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KR200260751Y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19990058658A (ko)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구동 시스템
KR200172282Y1 (ko) 자동차용와이퍼
KR0158998B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200171220Y1 (ko) 캠을 이용한 일체형 와이퍼 링크구조
KR200155919Y1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노즐의 구조
KR20070043405A (ko) 소음 저감형 와이퍼
KR200210359Y1 (ko) 와이퍼 아암 일체형 와이퍼 블레이드
KR200146880Y1 (ko) 자동차 테일 게이트 와이퍼의 와이핑 에어리어 변환 장치
KR200144419Y1 (ko) 자동차용 와이퍼의 구동장치
KR20010000092U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KR200202622Y1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KR0116171Y1 (ko) 자동차용 윈드쉴드 와이퍼의 아암 결합구조
KR200202618Y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
KR100189369B1 (ko) 차량용 윈드시일드 와이퍼
KR100427382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96262B1 (ko) 볼조인트를 구비한 와이퍼 구동장치
KR19980028486U (ko) 자동차의 와이퍼
KR20020016149A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9980046188U (ko) 차량 와이퍼 구동장치
KR19980041748U (ko) 2중 브레이드 와이퍼장치
KR19990018484U (ko)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